KR100495753B1 - Cup holder device - Google Patents

Cup hold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5753B1
KR100495753B1 KR10-2002-0034563A KR20020034563A KR100495753B1 KR 100495753 B1 KR100495753 B1 KR 100495753B1 KR 20020034563 A KR20020034563 A KR 20020034563A KR 100495753 B1 KR100495753 B1 KR 100495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holder
drawer body
sub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24559A (en
Inventor
이즈메도모하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2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5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컵홀더 장치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종류의 음료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유지시키기 쉽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Problem) In the cup holder apparatus, it is easy to receive and hold a beverage container of a different diameter from above and to hold it stably.

(해결수단)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30a)을 구비한 주홀더체(30)와,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31)와,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32)와,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를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4)과,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5)과, 기립되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Solution means) The main holder body 30 provided with the holding space 30a for receiving the beverage container Y from above, and the withdrawal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 The arm body 31 rotatably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30, the sub-holder body 32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body 31, and the drawer body 1 The first holding means 4 for tilting the holder body 30, the second holding means 5 for rotating the arm body 31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and the drawer body in the standing arm body 31 ( The third holding means 6 which rotates the sub-holder body 32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31a toward the draw-out front end side 14 of 1) is provided.

Description

컵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Cup holder device {Cup hold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등에 설치되며, 이 실내 등에서 음료의 용도로 제공되는 각종 음료용기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컵홀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 cup holder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in an interior of an automobile and the like and is used to maintain various beverage containers provided for use of beverages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 standing state.

리테이너와, 이 리테이너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트레이와, 이 리테이너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경동(傾動)되는 홀더부재와, 홀더부재의 전단측에 홀더면을 향하도록 트레이의 인출에 따라서 기립되는 서포트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일본특허 제2794389호 참조).A retainer, a tray accommodated in the retainer, a holder member tilted in the pulled-out state of the retainer, and a support member standing up as the tray is pulled out toward the holder surface at the front end of the holder member; A cup holder for a vehicle is disclosed (see Japanese Patent No. 2794389).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컵홀더에 있어서는, 서포트부재의 기립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의 측부에 각각 서포트부재의 홀더면을 눌러 댈수 없었고, 이 결과,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를 각각 덜컹거림없이 유지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cup holder, since the upright posi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he holder faces of the support members cannot be pressed against the sides of various beverage contain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t was difficult to keep each of the containers without rattles.

여기서, 이러한 종래의 컵홀더에 있어서의 서포트부재를, 상시, 그 서포트면을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도록 하면,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의 측부에 각각 서포트부재의 홀더면을 눌러 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해버리면, 서포트부재를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기립방향으로 세우도록 하면서 홀더부재의 홀더구멍에 음료용기를 삽입해야 한다. Here, if the support member of such a conventional cup holder is hel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support surface is always downward, the hold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pressed against the sides of various beverage contain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If this is done, the beverage container should be inserted into the holder hole of the holder member while the support member is erected in the standing direction against the finger.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컵홀더 장치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유지하기 쉽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make it easy to hold | maintain and hold various beverage containers with a different diameter from upper direction in this kind of cup holder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컵홀더 장치를 이하의 (1) 내지 (10)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In order to achieve the said objective, in invention of Claim 1, it was assumed that the cup holder apparatus was provided with the structure of the following (1)-(10).

(1) 서랍체와,(1) drawer body,

(2) 이 서랍체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와,(2) a housing for storing the drawer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pulled out;

(3) 서랍체의 수납체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의 상면측과 수납체의 상부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을 가지고 있으며,(3) having a holder means housed betwee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drawer body and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n a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4) 홀더수단은,(4) holder means,

서랍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을 구비한 주(主)홀더체와,A main holder body which is assembled to the drawer body in a rotatable manner and has a holding space for receiving a beverage container from above;

(5)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伏倒)하여 수납체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arm)체와,(5) an arm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on the rear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so as to be housed in a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

(6)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고 있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이 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副)홀더체와,(6) a sub-holder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body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arm body in the hallwa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7)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를, 이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단부가 상승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과(7) first holding means for tilting the main holder body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such that the end of the main holder body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s raised;

(8)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과,(8) second gripping means for rotating the arm body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9)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9) a third holding means for rotating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raw-out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arm body standing up according to the drawing-out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0)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으로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가 눌려져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10) In the withdrawal state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body, the sub-holder body is pressed against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y touching the third holding means on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the beverage container is taken into the holding space of the main holder body.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1)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1 탄지수단에 의해서 주홀더체를, 이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단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1) As the drawer body is taken out, the first holder means can rotate the main holder body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end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2) 또, 이와 같이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킬 수 있다.(2) In addition, as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in this manner, the arm body can be rotated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by the second finger holding means.

(3) 또,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부홀더체를 회동시킬 수 있다.(3) In addition, the third holder means can rotate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raw-out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arm body standing up as the drawer body is pulled out.

(4) 암체는,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며,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과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유지공간의 내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시 일정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홀더체는, 이와 같이 기립된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됨과 아울러,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에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눌려져 닿도록 주홀더체의 유지공간내로 돌출된다.(4) The arm body is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at the rear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and stands up in accordance with the draw-out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A constant distance is always formed by the second gripping means between the facing surface and the inner portion of the holding space on the pull-out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In addition, the sub-holder body is sup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raw-out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standing body body by the third gripping means, and in the holding space of the main holder body. Upon receipt, it protrudes into the holding space of the main holder body so as to be pressed against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y the tapping of the third holding means.

(5)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를,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의 바닥에 맞닿는 서랍체의 상면과, 상기 받아들임에 따라서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의 측부에 눌려져 닿는 부홀더체와,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유지공간의 내측부에 의해서, 기립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5) In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everage container accepted from above with respect to the holding space is received in this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which abuts on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epted in this way, an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acceptance. Of the sub-holder body pressed against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resisting the third holding means by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holding space on the front end of the drawer body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By the inner part, it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nding state.

(6)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가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내로 상기 부홀더체를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를 각각 절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6)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bholder body is always held upward by the third holding means in the pulled-out state of the drawer body,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space into the holding space. The beverage holder may be inserted smoothly while pressing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finger of the third fingering mea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hold various beverage container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respectively.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컵홀더 장치의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부홀더체의 선단부와,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의 내측부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invention of Claim 2, in the drawing state from the housing | casing of the drawer body of the cup holder apparatus of Claim 1, the front-end | tip part of a subholder body and the holding | maintenance body of the main holder body in the drawer front-end | outlet side of a drawer body are mentioned. Inner part of space is located so that it is loca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지공간으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를,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과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의 전후에서 끼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received from the upper side as a holding space can be pinched and held at about the sam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draw front side and the draw back end side of a drawer body, it can maintain a drink container stably.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컵홀더 장치의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기립된 암체와 부홀더체가 이루는 각도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수납체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의 인출 개방부에 맞닿아서 암체가 복도되었을 때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부홀더체의 선단부가 서랍체의 상면에 맞닿게 하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in invention of Claim 3, in the drawing state of the drawer body of the cup holder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drawer body in which the angle which the standing arm body and the sub holder body make is taken out is in a drawer state to the storage body. According to the press-fitting operation, the tip of the sub-holder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so as to contact the lead-out opening of the housing body and rotate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finger of the third holding means when the arm body is corrid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t an angle to reach.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복도되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부홀더체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resisting the finger of the third holding means so that the sub-holder body is accommodated between the arm body to be corrid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by press-operating the drawer body in the withdrawn state. Can be rotated gently.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ypical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FIG.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의 사용방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랍체(1)를 인출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도 1) 및 이와 같이 서랍체(1)를 인출시켜서 음료용기(Y)를 유지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도 2 내지 도 4)를 각각 사시상태로 나타내고 있다.1 to 4 show a cup holder apparatus (FIG. 1) and a drawer body 1 in the state where the drawer body 1 is pulled out so that the usage of the cup hold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The cup holder apparatus (FIGS. 2-4) of the state which hold | maintained and hold | maintained the beverage container Y is shown in the perspective state, respectively.

또한 도 5 내지 도 9는 서랍체(1)를 인출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2는 이 상태의 컵홀더 장치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5 to 9 show the cup holder apparatus in the state in which the drawer 1 is drawn out, respectively, and FIGS. 10 to 12 show the main parts of the cup holder apparatus in this state, respectively.

그리고 도 13은, 도 12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의 컵홀더 장치의 요부를,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압입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다.And FIG. 13 has shown the main part of the cup holder apparatus in the position similar to FIG. 12 in the state which pushed-in the drawer body 1 to the storage body 2. As shown in FIG.

또한 도 14 및 도 15는,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수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컵홀더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14 and 15 show the outline of the structure of the cup holder apparatus in the state which accommodated the drawer 1 in the housing | casing 2, respectively.

도 16은, 주홀더체(30)와 암체(31)를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 및 도 18은 주홀더체(3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16 shows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arm body 31 separately, and FIGS. 17 and 18 show the main holder body 30, respectively.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암체(31)와 부홀더체(32)를 분리해서 나타내고 있다.19 to 21 separately show the arm body 31 and the sub-holder body 32.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등에 구비되며, 이 실내 등에서 음료용으로 제공되는 각종 음료용기(Y)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The cup holde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f an automobile, etc., and is used in order to hold the various beverage containers Y provided for beverage in this room etc. in a standing state.

이러한 음료용기(Y)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컵이나, 도 3에 나타내는 쥬스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PET병 등을 예정하는 것이다.As such a beverage container Y, the cup shown in FIG. 2, the juice scan shown in FIG. 3, the PET bottle as shown in FIG. 4, etc. are scheduled.

그리고, 이러한 컵홀더 장치는,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Y)를 각각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And such a cup holder apparatus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 which can hold suitably the various beverage containers Y from which an outer diameter differs, respectively (refer FIG. 2 thru | or FIG. 4).

또한 이러한 컵홀더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센터 콘솔 등의 내측에 후술하는 수납체(2)를 내장시킴과 아울러, 음료용기(Y)를 유지시킬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 수납체(2) 내로부터 후술하는 서랍체(1)를 인스트로먼트 패널 등의 외측으로 인출시키고, 이와 같이 서랍체(1)상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Y)를 기립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cup holder device is provided in an interior of an automobile, a container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corporated inside the instrument panel or the center console, and the beverage container Y can be held. When the need arises, the drawer body 1 mentioned later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is storage body 2 to the outside of an instrument panel etc., and thus the said beverage container Y is drawn on the drawer body 1 in this way. It is used to keep the standing state.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That is, the cup holde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1) 서랍체(1)와,(1) drawer (1),

(2) 이 서랍체(1)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2)와,(2) a housing 2 for storing the drawer 1 in a retractable manner,

(3) 서랍체(1)의 수납체(2)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1)의 상면(10)측과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3)을 가지고 있다.(3) The holder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10 side of the drawer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20 of the drawer 2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2. It has a means (3).

[수납체(2)][Storing body (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체(2)는 편평한 케이싱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체(2)는 폭광(幅廣)의 상부(20)와 폭광의 하부(21)를 가짐과 아울러, 전단측이 서랍체(1)의 인출 개방부(22)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체(2)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20)가 상방을 향한 횡방향의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등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체(2)는 서랍체(1)의 인출방향을 따르는 1쌍의 측부(23,23)를 가지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 casing 2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orm flat casing shape. That is, the housing 2 is configured to have the upper portion 20 of the luminescent light and the lower portion 21 of the luminescent light, and the front end side to be the draw opening part 22 of the drawer 1. have. The housing 2 is configured to be provided inside the instrument panel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acing upward. In addition, the housing 2 has a pair of side portions 23 and 23 along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drawer 1.

[서랍체(1)][Drawer body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랍체(1)는, 수납체(2)의 내부에 상기 인출 개방부(22)로부터 납입(納入)되는 폭과 길이를 구비한 트레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랍체(1)는, 이 서랍체(1)의 인출방향을 따르는 1쌍의 측판부(11,11)와, 이 1쌍의 측판부(11,11)간에 걸치는 바닥판부(12)와, 수납체(2)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2)의 상기 인출 개방부(22)를 막는 크기의 전판부(13)를 구비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1 is comprised in the tray shape provided with the width | variety and the length which are delivered from the said draw opening part 22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 casing 2. In other words, the drawer body 1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 parts 11 and 11 along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 and a bottom plate part 12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side plate parts 11 and 11. ) And a front plate portion 13 of a size that blocks the pull-out opening portion 22 of the housing body 2 in a storage state of the housing body 2.

상기 서랍체(1)의 1쌍의 측판부(11,11)의 외면간의 치수는, 수납체(2)의 양측부(23,23)의 내면간의 치수보다 약간 작고,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하면에서부터 측판부(11)의 상단까지의 치수는,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 하부(21)내면간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전판부(13)는,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이 전판부(13)의 이면(裏面)이 인출 개방부(22)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는 압입위치가 서랍체(1)의 완전 수납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The dimens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air of side plate parts 11 and 11 of the drawer body 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mension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arts 23 and 23 of the housing body 2, The dimens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art 12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part 1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20 of the housing | casing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2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front plate part 13 is sized so that it cannot insert inward from the draw opening part 22 of the accommodating body 2, and the back surface of this front plate part 13 is the draw opening part 22. Moreover, as shown in FIG. The press-fitting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drawer body 1 is such that the drawer body 1 is fully received.

그리고, 상기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홀더수단(2)이 절첩형상으로 서랍체(1)의 상면(10)(즉, 바닥판부(12)의 상면)과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도 15)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1, the holder means 2 described later is folded to form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1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2) and the storage body ( It is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0 of 2) and the inner surface (FIG. 15).

[수납체(2)와 서랍체(1)][Storing body 2 and drawer body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의 상부(20)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돌조(16)가, 이 서랍체(10)를 소정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탄발하여 삽입되는 걸어맞춤 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창(24)에 탄성돌조(16)가 걸어맞춰진 위치가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protrusion 16 formed in the upper part 20 of the drawer body 1 in the upper part 20 of the drawer body 1 in the upper part 20 of the drawer body 2 moves this drawer body 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engaging window 24 is formed to be inserted in a pulled out state, and the elastic protrusion 16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window 24 such that the drawer 1 is completely drawn out. It is.

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의 양측부에는 각각, 만곡 외측에 있는 면을 수납체(2)의 측부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탄성 만곡편(17)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체(2)의 측부에는,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에서 상기 탄성 만곡편(17)의 일부가 탄발하여 삽입되는 창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elastic curved piece 17 which elastically contacts the surface in a curved outer side with the sid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 casing 2 is formed in the both side parts of the draw-out | retracting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1, respectively. . In the side portion of the housing body 2, a window hole 25 into which a part of the elastic curved piece 17 is elastically inserted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drawer body 1 is completely drawn out.

[홀더 수단(3)][Holder means 3]

(1) 서랍체(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30a)을 구비한 주홀더체(30)와,(1) the main holder body 30 which is assembled to the drawer body 1 rotatably and has a holding space 30a for receiving the beverage container Y from above;

(2)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여 수납체(2)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31)와,(2) The main holder body on the pull-out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2 through the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1. Arm body 31 rotatably assembled to 30, and

(3)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32)와,(3) The sub-holder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body 31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arm body 31 which is a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1 and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body 1 ( 32),

(4)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를, 상기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주홀더체(30)의 단부가 상승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4)과,(4) an agent for tilting the main holder body 30 so that the end of the main holder body 30 on the pull-out front end 14 of the drawer body 1 rises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1 fingering means (4),

(5)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5)과,(5) second gripping means 5 for rotating the arm 31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1;

(6)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을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6) The sub-holder body 32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31a facing the drawer front end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arm body 31 standing up according to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The third finger holding means 6 which rotates is provided.

주홀더체(30)의 회동축선, 암체(31)의 회동축선 및 부홀더체(32)의 회동축선은, 모두 서랍체(1)의 인출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holder body 30, the rotation axis of the arm body 31,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ub holder body 32 are all arrang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direction of the drawer body 1.

[주홀더체(30)][Main holder body 3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는 내측을 음료용기(Y)의 유지공간(30a)으로 하는 틀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holder body 30 is comprised so that the inside may form the frame shape which makes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beverage container Y the inside.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홀더체(30)는,Specifically, the main holder body 30,

(1) 서랍체(1)의 양 측판부(11,11)의 내면사이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된 기부(30b)와,(1) a base 30b configured to have a width accommodated between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 portions 11 and 11 of the drawer body 1;

(2) 서랍체(10)의 양 측판부(11,11)의 내면사이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는 양 단부를 각각 상기 기부(30b)에 일체로 연접시킨 U자형상부(30c)를 구비하고 있다.(2) configured to have a width accommod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 plates 11 and 11 of the drawer body 10, and both ends of the drawer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respectively; A U-shaped portion 30c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30b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주홀더체(30)는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 서랍체(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The main holder body 3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drawer body 1 in the base 30b.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의 상기 U자형상부(20c)와의 연접위치와 상기 기부(30b)의 최후단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부(30b)에 형성된 축구멍(30d)과, 서랍체(1)의 측판부(11)에 형성된 축구멍(도시생략)에 샤프트(30e)를 관통시킴으로써, 서랍체(1)에 주홀더체(30)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shaft hole formed in the said base 30b between the connection position with the said U-shaped part 20c in the said base 30b, and the last end of the said base 30b. The main holder body 30 is assembled to the drawer body 1 rotatably by passing the shaft 30e through the 30d and the shaft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side plate portion 11 of the drawer body 1. It is.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의 회동은, 주홀더체(30)를 횡방향으로 배치한 복도위치에서부터, 상기 기부(30b)의 최후단이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내면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주홀더체(30)는 상기 서람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탄지수단(4)에 의해서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회동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for the rotation of the main holder body 30, from the corridor position which arrange | positioned the main holder body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ottom board part of the drawer body 1 is the last end of the said base 30b. The main holder body 30 which is made to reach the position which abuts on the inner surface of 12, and which is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with respect to the storage body 2 is taken out of the said sram body 1 As a result, the first holding means 4 is rotated so as to stand at an angle.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의 회동조립위치와 최후단과의 사이에 있는 하부에, 주홀더체(30)가 완전히 일어선 위치에 있어서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에 형성된 구멍(18)을 통과해서 수납체(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26)의 하측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걸리는 돌부(30f)가 형성되어 있다(도 9).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in the position which the main holder body 30 fully stood in the lower part between the rotation assembly position in the said base part 30b of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last end. Passed through the hole 18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12 of the sieve 1 and is inserted from the withdrawal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to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 26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body 2. A hanging protrusion 30f is formed (FIG. 9).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의 양 측부에는 각각, 주홀더체(30)의 내측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소(30g)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오목소(30g) 내에는 이 오목소(30g)의 내측으로부터 서랍체(1)의 측판부의 내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원기둥형상부(30h)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recessed part 30g which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holder body 30 is formed in the both side parts of the base 30b of the main holder body 30, this concave In the saw 30g, a cylindrical portion 30h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of the recess 30g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portion of the drawer 1 is form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부(30b)에 형성된 축구멍(30d)이 상기 원기둥 형상부(30h)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axial hole 30d formed in the base 30b is formed so that the said cylindrical part 30h may penetrate.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기둥형상부(30h)가 스프링 권회부(卷回部)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상기 원기둥형상부(30h)에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4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가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이 상기 제 1 탄지수단(4)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drawer is made by the screw coil spring 40 provided in the said cylindrical part 30h so that the said cylindrical part 30h may be delivered to the inside of a spring wind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sieve 1, the main holder body 30 stands up at an angl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40 functions as the first holding means 4.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은, 스프링 하단을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측에, 스프링 상단을 기부(30b)의 오목소(30g)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각각 눌러 댄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원기둥형상부(30h)에 구비되어 있으며(도 12 및 도 13),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시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권회부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주홀더체(30)를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도 12).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40 has the lower end of the spring at the bottom plate portion 12 side of the drawer 1 and the upper end of the spring at the recess 30g of the base 30b. It is provided in the said cylinder-shaped part 30h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spring winding part in the state which pressed each to the edge part in the drawer front end 14 of the drawer body 1 in FIG. 12 (FIG. 12 and 13), In the position where the drawer body 1 was completely pulled out, the main winding body 30 was raised at an angle so as to enlarge the spring winding part (Fig. 12).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서랍체(1)의 전판부(13)를 이용하여 서랍체(1)를 압입조작하면, 비스듬하게 일어서 있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의 상면으로서 후술하는 암체(31)의 회동조립위치와 주홀더체(30b)의 회동조립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이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를 에워 싸는 상연부(上椽部)(22a)에 맞닿고, 주홀더체(30)는 이 압입조작에 따라서 다시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의 탄지에 저항하면서 복도된다.When the drawer body 1 is pushed in by using the front plate part 13 of the drawer body 1 in a state where the drawer body 1 is completely pulled out, the base 30b of the main holder body 30 which is standing at an angle is held up.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upper body of the arm body 31, which is described later, between the pivot assembly position of the arm body 31 and the pivot assembly position of the main holder body 30b, encloses the lead opening part 22 of the housing body 2 (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22a, the main holder body 30 passes through the corridor while resisting the fingering of the screw coil spring 40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 operation.

[암체(31)]Rock body 31

암체(3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body 31 is

(1) 좌우 1쌍의 암부(31b,31b)와,(1) left and right pairs of arm portions 31b and 31b,

(2) 이 암체(31)가 소정의 위치까지 기립한 상태에서, 이 암체(31)의 상측이 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좌우 1쌍의 암부(31b,31b)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된 횡판부(31c)를 구비하고 있다.(2) In the state where the arm body 31 stands up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ide plate part formed so as to span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arm parts 31b and 31b on the side that becomes the upper side of the arm body 31 ( 31c).

그리고, 상기 암체(31)는 상기 암부(31b)의 하단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The arm 31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30 at the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31b.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에 있어서의 이 기부(30b)와 U자형상부(30c)의 연접개소 근방에 형성된 좌우의 오목부(30i)에 각각 상기 1쌍의 암부(31b,31b)의 하단을 삽입함과 아울러, 이 암부(31b)의 하단에 형성된 축구멍(31e)과 이 오목부(30i)의 측벽에 형성된 축구멍(30j)에 샤프트(31f)를 관통시킴으로써, 주홀더체(30)에 암체(31)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recesses 30i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junction of the base 30b and the U-shaped portion 30c in the base 30b of the main holder body 30 are provided.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arm portions 31b and 31b are inserted, respectively, and the shaft holes 31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arm portion 31b and the shaft holes 30j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portion 30i. The female body 31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30 by penetrating the shaft 31f.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회동은, 암체(31)의 하면이 주홀더체(30)의 상면을 따르도록 한 복도위치에서부터, 상기 암체(31)의 암부(31b)에 있어서의 상기 샤프트(31f)에 의한 회동조립위치와 암부(31b)의 하단과의 사이의 개소가 상기 오목부(30i)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오목부(30i) 내면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도 11 참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주홀더체(30)의 상면에 하면을 따르도록 복도되어 있는 암체(31)는 이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주홀더체(30)의 상면에 대해서 거의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기립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arm body 31 is based on the arm part 31b of the said arm body 31 from the corridor position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arm body 31 may follow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lder body 30. The recess between the rotation assembly position by the said shaft 31f and the lower end of the arm part 31b in the drawer front end side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said recessed part 30i. (30i) to the position which abuts on the inner surface (refer FIG. 11), a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lder body 30 which corrides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1 with respect to the storage body 2. The arm body 31, which is corridor along the lower surface, is rotated to form an angle of about 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lder body 30 by the second gripping means 5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It is supposed to stand.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에 형성된 좌우 오목부(30i, 30i) 중 일측의 오목부(30i){도 16에 있어서의 하측에 위치되는 오목부(30i)}를 기준으로 한 내측방에 상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스프링의 수용공간(30k)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cessed part 30i (the recessed part located in the lower side in FIG. 16) among the left-right recessed parts 30i and 30i formed in the base 30b of the main holder body 30 ( 30i)}, the receiving space 30k of the spring opened to the outer side in the upper side is form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용공간(30k)을 통과하는 상기 샤프트(31f)를 스프링 권회부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5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31)가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이 상기 제 2 탄지수단(5)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withdrawal of the drawer 1 is carried out by the screw coil spring 50 provided so that the said shaft 31f which passes this accommodating space 30k may be delivered to the inside of a spring winding par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the arm 31 is raised.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50 functions as the second gripping means 5.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은, 스프링 일단을 주홀더체(30)의 수용공간(30k)의 바닥부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을 암체(31)의 암부(31b)의 일측의 하단에 상착(上着)시킨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도 10),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권회부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암체(31)가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50 makes one end of the spring abut the bottom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30k of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makes an arm 31. It is provided so as to elastically deform the spring winding part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arm part 31b of () (FIG. 10), and the said spring in the position which pulled out the drawer body 1 completely. The arm body 31 is raised so that the winding part may be enlarged to enlarge.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서랍체(1)의 전판부(13)를 이용하여 서랍체(1)를 압입조작하면, 일어서 있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을 향한 면에 있어서, 이 암체(31)의 회동조립위치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이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를 둘러싸는 상연부(22a)에 충돌되어, 암체(31)는 이 압입조작에 따라서 다시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의 탄지에 저항하면서 복도된다.When the drawer body 1 is press-fitted using the front plate portion 13 of the drawer body 1 while the drawer body 1 is completely drawn out, the drawer body 1 in the standing arm body 31 is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ead end side 15, a portion located above the pivot assembly position of the arm body 31 collides with the upper edge portion 22a surrounding the lead opening portion 22 of the housing body 2. Thus, the arm 31 is corridor while resisting the finger of the screw coil spring 50 in accordance with this press-in operation.

[부홀더체(32)][Subholder body 32]

부홀더체(3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좌우 암부(31b,31b)의 상단(上端)간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한 대략 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holder body 32 is configured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width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arm portions 31b and 31b of the arm body 31.

그리고, 이러한 부홀더체(32)는, 그 일변부(32a)에 있어서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The sub holder 32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31 in the one side portion 32a.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좌우 암부(31b,31b)의 상단과 횡판부(31c)의 상연(上椽)과의 사이에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의 납입공간(31g)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one side part of the sub-holder body 32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eft-right arm parts 31b and 31b of the arm body 31, and the upper edge of the side plate part 31c ( A delivery space 31g of 32a) is formed.

그리고, 이 납입공간(31g)에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납입공간(31g)에 접하는 암부(31b)의 상단에 형성된 축구멍(31h)과, 이와 같이 삽입되는 일변부(32a)와 이 일변부(32a)와 서로 이웃하는 좌우변부가 서로 접하는 코너부에 각각 형성된 축받이 돌부(32b)에 형성된 축구멍(32c)에 샤프트(32d)를 관통시킴으로써, 암체(31)에 부홀더체(32)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 돌부(32b)는, 부홀더체(32)의 양면 중, 기립위치에 있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과 마주 향하는 면(이하, 이 측에 있는 부홀더체(32)의 면을 부홀더체(32)의 배면(32e)이라 칭하고, 또한, 이 배면(32e)의 반대의 부홀더체(32)의 면을 부홀더체(32)의 전면(32f)이라 칭한다.)측에 형성되어 있다.And the shaft hole 31h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arm portion 31b in contact with the delivery space 31g while inserting the one side portion 32a of the sub-holder body 32 into the delivery space 31g, By passing the shaft 32d through the shaft hole 32c formed in the bearing protrusion 32b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one side portion 32a and the one side portion 32a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serted. The sub-holder body 32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body 31. The bearing protrusion 32b faces the surface 31a facing the lead front end 14 of the drawer 1 in the arm body 31 in the standing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subholder body 32. Surface (hereinafter, the surface of the sub-holder body 32 on this side is referred to as the back surface 32e of the sub-holder body 32, and the surface of the sub-holder body 32 opposite to the rear surface 32e is It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32f of the sub-holder body 32).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배면(32e)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축받이 돌부(32b,32b)의 측방에 각각, 상기 일변부(2a)를 따르는 회동규제 리브(32g)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on the back surface 32e of the subholder body 32, 32 g of rotation control ribs which follow the said one side part 2a to the side of the said bearing protrusions 32b and 32b on either side. ) Is formed.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회동은, 부홀더체(32)의 배면(32e)을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하는 면(31a)을 따르게 한 말(末)회동위치에서부터, 상기 부홀더체(32)의 회동규제 리브(32g)가 암체(31)의 횡판부(31c)에 있어서의 상연부에 형성된 돌출부(31d)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즉,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배면(32e)을 암체(31)의 상기 면(31a)에 근접시킨 부홀더체(32)는, 상기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기립위치에 있는 암체(31)의 상기 면(31a)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거의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of the subholder body 32 includes the back surface 32e of the subholder body 32 and the lead front end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arm body 31. From the horse-rotating position along the facing surface 31a, the projection regulating rib 32g of the sub-holder body 32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art of the horizontal plate portion 31c of the arm 31. The upper surface 10 of the arm body 31 and the drawer body 1 which are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1 with respect to the housing | casing 2, and are made to the position which abuts on 31d). That is, the sub-holder body 32 which made the back surface 32e close to the said surface 31a of the arm body 31 so that it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part 12 of the drawer body 1, the said drawer According to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sieve 1, with respect to the said surface 31a of the arm body 31 in a standing position by the said 3rd holding means 6, in this embodiment, the said surface is made into the angle of about 60 degree | times. (31a) It is made to rotate in the direction away from.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에 형성된 좌우의 회동규제 리브(32g,32g)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2d)를 스프링 권회부(63)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부홀더체(32)가 상기와 같이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60)이 상기 제 3 탄지수단(6)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said shaft 32d is rotated between the spring winding part 63 between the left-right rotation control rib 32g, 32g formed in the one side part 32a of the subholder body 32. As shown in FIG. The sub-holder body 32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by the screw coil spring 60 provided so as to be delivered inside.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60 functions as the third gripping means 6.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60)은, 스프링 일단(61)을 암체(31)의 횡판부(31c)에 형성시킨 홈(31i)의 홈바닥에 눌러 댐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62)을 부홀더체(32)의 배면(32e)측에 형성시킨 홈(32h)의 홈바닥에 눌러 댄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63)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도 19 참조), 암체(31)가 기립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권회부(63)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부홀더체(32)를 상기와 같이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coil spring 60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of the groove of the groove 31i in which the one end of the spring 61 is formed in the side plate portion 31c of the arm 31, and together with the dam. The spring winding end 63 is elastically deformed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62 of the spring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of the groove 32h formed on the rear surface 32e side of the sub-holder body 32. (See FIG. 19), the arm body 31 is rotated in an upright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shot to expand the spring winding portion 63 so that the sub-holder body 32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수납체(2)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3)가 눌려져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withdrawal state from the housing 2 of the drawer body 1, the beverage container Y is taken into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as the beverage container Y is received. The sub-holder body 3 is pressed against the side portion Ya of (Y) by the touch of the third holding means 6.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로부터의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기립되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회동되는 부홀더체(32)의 전면(32f)을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시키도록, 부홀더체(32)의 선단(32i)측{즉, 상기 일변부(32a)에 대향하는 타변부측}을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awer body 1 in the arm body 31 standing up by the second holding means 5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from the housing body 2. The secondary holder body 32 is rotated by the third holding means 6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31a facing the drawing front end side 14, and the secondary holder body rotated in this way ( The main holder body 30 is placed on the tip end 32i side of the sub-holder body 32 (that is, the other side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portion 32a) so that the front surface 32f of the 32 is disposed in a direction near the horizontal. ) Is configured to protrude toward the holding space 30a side.

그리고, 상기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우선, 부홀더체(32)의 전면(32f)에 음료용기(Y)의 바닥부 혹은 바닥부측의 측부(Ya)가 맞닿음과 아울러, 이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여 부홀더체(32)가 그 배면(32e)을 암체(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부홀더체(32)의 회동에 의해서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에 음료용기(Y)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n, as the beverage container Y is received from above into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first, the bottom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Y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32f of the sub holder body 32. Alternatively, the side portion Ya on the bottom sid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abutment body 32 resists the finger of the third holding means 6 so that the sub-holder body 32 has the rear surface 32e of the arm 31. It rotates in the direction which approaches, and the beverage container Y can be received in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by the rotation of this subholder body 32. As shown in FIG.

(기능)(function)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Since the cup holde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above structure,

(1)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1 탄지수단(4)에 의해서 주홀더체(30)를, 이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단부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1) As the drawer body 1 is pulled out, the main holder body 30 is pulled out by the first holding means 4, and the drawer front side of the drawer body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is pulled out. The end in 14 can be rotated in the rising direction.

(2) 또, 이와 같이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킬수 있다.(2) In addition, as the drawer body 1 is pulled out in this manner, the second fingering means 5 can rotate the arm body 31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3) 또,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킬 수 있다.(3)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31a toward the take-out front end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arm body 31 standing up as the drawer body 1 is pulled out, the third tungsten The sub holder body 32 can be rotated by the means 6.

(4) 암체(31)는,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며,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과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상시 일정 간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부홀더체(32)는, 이와 같이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상기 제 3 탄지수다(6)에 의해서 상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됨과 아울러,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32)가 눌려져 닿도록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내로 돌출된다.(4) The arm body 31 is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30 on the withdrawal rear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and further includes the drawer body 1. Stand out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1 and withdrawal of the drawer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surface 31a facing the drawer front side 14 of the drawer 1 in the arm 31. The second gripping means 5 forms a constant gap between the inner portion 30m of the holding space 30a on the front end side 14 at all times. The sub-holder body 32 is formed by the third ballistic catcher 6 from the surface 31a facing the drawer front end side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arm body 31 standing up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being burnt in a direction that is always far away, as the beverage container (Y) is received into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the third finger holding means (6) on the side (Ya) of the beverage container (Y) The sub-holder body 32 is projected into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by pressing.

(5)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30a)에 대해서 상방으로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를,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의 바닥에 맞닿는 서랍체(1)의 상면(10)과, 이 받아들임에 따라서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눌려져 닿는 부홀더체(32)와,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에 의해서 기립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5) By this,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1 which abuts the beverage container Y accept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lding space 30a to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Y accepted in this way. Of the beverage container Y in a state of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of resisting the fingering of the third holding means 6 by the upper surface 10 of the c) and the beverage container Y thus received in accordance with this acceptance. The inner holder 30m of the holding space 30a in the front end side 14 of the drawer body 1 in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subholder body 32 pressed against the side ya It can be stably supported in the standing state.

(6)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32)가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1)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고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30a)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30a) 내로 상기 부홀더체(32)를 상기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시키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Y)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Y)를 각가 절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6) That is, according to the cup holder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since the subholder body 32 is always supported upward by the 3rd holding means 6 in the drawing state of the said drawer body 1,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space 30a, the beverage container Y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holding space 30a while pressing the sub-holder body 32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fingering of the holding means 6. have. In addition, various beverage containers Y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can be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angle (FIGS. 2 to 4).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수납체(2)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와,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in the drawing state from the housing | casing 2 of the drawer body 1, the front-end | tip 32i part of the subholder body 32, and the drawout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1 ( The inner part 30m of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main holder body 30 in 14) is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30a)으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를,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과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에서 전후에서 끼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Y)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verage container Y received from above in the holding space 30a is almost the same on the drawout front end 14 and the drawout rear end 15 of the drawer 1. The beverage container (Y) can be stably maintained because it can be held at the front and rear in the position.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기립된 암체(31)와 부홀더체(32)가 이루는 각도(α)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에 맞닿아서 암체(31)가 복도되었을 시에,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도록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가 서랍체(1)의 상면(10)에 맞닿게 하는 각도로 되어 있다(도 5, 도 9).Moreover, in this embodiment, the drawer body 1 in which the arm alpha 31 which stood in the pulled-out state of the drawer body 1 and the sub holder body 32 made | formed is made into the drawer state is accommodated. When the arm body 31 is corrided in contact with the lead-out opening 22 of the housing body 2 by the press-fitting operation to the sieve 2, the body 2 is mounted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fingering of the third holding means 6. The tip 32i of the sub-holder body 32 is angled to abut on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body 1 to rotate the holder body 32 (Figs. 5 and 9).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서랍체(1)의 압입조작에 따라서 기립상태에 있는 암체(31)가 쓰러져 들어갔을 때에, 이와 같이 쓰러져 들어간 암체(31)와 부홀더체(32)가 이루는 각도(α)가,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예각이 되도록 되어 있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body 31 and the sub-holder body 32 that collapsed in this way when the arm body 31 in the standing state falls down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alpha formed by the angle α is set to be an acute angle at the lead end side 15 of the drawer body 1.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1)를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복도되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부홀더체(32)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press-fitting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1 in the withdrawn state, the sub-holder body 32 between the corridor arm 31 and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body 1 ) Can be gently rotated in the direction to resist the finger of the third finger holding means (6).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압입조작에 따라서 서랍체(1)의 상면(10)에 맞닿는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에, 암체(31)와 마주 향하는 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만곡된 만곡면부(32j)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랍체(1)의 상면(10)에 이 만곡면부(32j)에 의해서 부홀더체(32)가 맞닿아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부홀더체(32)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m body 31 faces the tip 32i of the sub-holder body 32 that abuts on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1 in accordance with the push-in operation of the drawer 1. A curved curved surface portion 32j is formed so that the side facing toward the curved inner side is formed, and the sub-holder body 32 abuts on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body 1 by the curved surface portion 32j. The sub-holder body 32 is rotated smoothly in a direction against the three holding means 6.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홀더체(32)는, 상기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 내에 삽입된 상태로,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된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도 15).Moreover, in this embodiment,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1 with respect to the storage body 2, the said sub holder body 32 is inserted in the holding space 30a of the said main holder body 30. As shown in FIG. In such a state, it is rotated in a direction that resists the finger of the third fingering means 6 and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orridor arm 31 and the upper surface 10 of the drawer 1 (FIG. 15).

본 발명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가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 내로 상기 부홀더체를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를 각각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b holder body is always supported upward by the third holding means in the withdrawal state of the drawer body, the sub holder body is moved from above the holding space into the holding space.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smoothly inserted while press-fitting in the direction against the finger of the third finger holding mea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hold various beverage container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respectively.

도 1은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device

도 2는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device

도 3은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device

도 4는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up holder device

도 5는 컵홀더의 측면도{서랍체(1)의 인출상태}5 is a side view of the cup holder {withdrawal state of the drawer body 1}

도 6은 컵홀더의 측면도(도 5의 좌측에서 본 상태)Fig. 6 is a side view of the cup holder (as seen from the left side of Fig. 5).

도 7은 컵홀더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the cup holder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7. FIG.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11은 도 7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도 12는 도 7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도 13은 컵홀더 장치의 요부 단면도{서랍체(1)의 수납상태}13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cup holder apparatus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1);

도 14는 컵홀더 장치의 평면 구성도{서랍체(1)의 수납상태}Fig. 14 is a plan view of the cup holder device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1);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in FIG. 14.

도 16은 주홀더체(30)와 암체(31)의 분리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holder body 30 and the arm body 31.

도 17은 주홀더체(30)의 사시도(도 16에 있어서의 주홀더체(30)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holder body 30 (th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holder body 30 in FIG. 16 viewed from the back side).

도 18은 주홀더체(30)의 평면도18 is a plan view of the main holder body 30.

도 19는 암체(31)와 부홀더체(32)의 분리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m body 31 and the sub-holder body 32.

도 20은 암체(31)와 부홀더체(32)의 분리측면도20 is a separated side view of the arm body 31 and the sub-holder body 32.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in FIG. 20; FIG.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서랍체 10 - 상면1-Drawer 10-Top

14 - 인출 전단측 15 - 인출 후단측14-Withdrawal front side 15-Withdrawal rear side

2 - 수납체 20 - 상부2-Receptacle 20-Top

3 - 홀더수단 30 - 주홀더체3-Holder means 30-Main holder body

30a - 유지공간 31 - 암체30a-Holding space 31-Rock body

31a - 면(面) 32 - 부홀더체31a-Face 32-Subholder body

4 - 제 1 탄지수단 5 - 제 2 탄지수단4-First Gripping Means 5-Second Gripping Means

6 - 제 3 탄지수단 Y - 음료용기6-Third Grip Means Y-Beverage Container

Ya - 측부Ya-side

Claims (3)

서랍체와,Drawer body, 상기 서랍체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와,A storage body accommodating the drawer body to be retractable; 서랍체의 수납체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의 상면측과 수납체의 상부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In having the holder means accommod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side of a drawer body and the upper inner surface of a housing body in the storage state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on body of a drawer body, 상기 홀더수단은, 서랍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을 구비한 주홀더체와,The holder means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drawer body, and has a main holder body having a holding space for receiving a beverage container from above;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여 수납체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와,A female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main holder body on the rear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main holder body to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through the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서랍체의 수납상태에서 복도되어 있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상기 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와,A sub-holder body rotatably assembled to the arm body so as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arm body that is corrid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draw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를, 상기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단부가 상승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과,First holding means for tilting the main holder body so th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holder body on the pull-out front side of the drawer body is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draw-out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과,Second gripping means for rotating the female body to a predetermined stand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서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And a third holding means for rotating the sub-holder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raw-out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in the arm body standing up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peration of the drawer body,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서,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으로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가 눌려져 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The sub-holder body is configured to be pressed against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y touching the third holding means on the 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beverage container into the holding space of the main holder body in a withdrawn state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body. Cup hold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서 부홀더체의 선단부와,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의 내측부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A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ding end of the sub-holder body and the inner part of the holding space of the main holder body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drawer body are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in the withdrawn state from the housing of the drawer body.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서랍체의 인출상태에서 기립된 암체와 부홀더체가 이루는 각도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수납체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의 인출 개방부에 맞닿아서 암체가 복도되었을 때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부홀더체의 선단부가 서랍체의 상면에 맞닿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The third tangy whe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arm body standing up in the withdrawal state of the drawer body and the sub-holder body touches the withdrawal opening of the storage body by press-operating the drawer body in the withdrawal state to the storage body. A cup hold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portion of the sub holder body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awer body so as to rotate the sub holder body in a direction against the finger of the means.
KR10-2002-0034563A 2001-09-18 2002-06-20 Cup holder device KR1004957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3544A JP4679008B2 (en) 2001-09-18 2001-09-18 Cup holder device
JPJP-P-2001-00283544 2001-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59A KR20030024559A (en) 2003-03-26
KR100495753B1 true KR100495753B1 (en) 2005-06-16

Family

ID=1910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563A KR100495753B1 (en) 2001-09-18 2002-06-20 Cup holder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79008B2 (en)
KR (1) KR1004957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83B1 (en) 2009-03-10 2011-08-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Take-o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40B1 (en) * 2010-09-14 2011-05-20 송의현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adient of a mattress pad
KR102299334B1 (en) * 2017-01-04 2021-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bility container apparatus of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22A (en) * 1996-08-12 1998-06-0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Car Cuphold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329U (en) * 1979-09-03 1981-04-13
JPH08216767A (en) * 1995-02-14 1996-08-27 Piolax Inc Combined use structure of card holder and cup holder
JP3445486B2 (en) * 1998-02-12 2003-09-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Cup holder
JP2000016139A (en) * 1998-06-30 2000-01-18 Nippon Plast Co Ltd Cup hold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022A (en) * 1996-08-12 1998-06-0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Car Cupholde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583B1 (en) 2009-03-10 2011-08-0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Take-o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59A (en) 2003-03-26
JP2003089323A (en) 2003-03-25
JP4679008B2 (en)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762B2 (en) Container holder of a vehicle
US20070126327A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US6817584B2 (en) Cup holder
KR100495753B1 (en) Cup holder device
US6837471B2 (en) Cup holder device
JP2006082769A (en) Cup holder device
US6282827B1 (en) Picture frame and stand therefor
US5667396A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card ejection mechanism
JPH10324188A (en) Container holder
US5029727A (en) Tooth-pick dispenser
JP2002283905A (en) Drawer accommodation device for vehicle
KR100373059B1 (en) Cup Holder
KR102395177B1 (en) Cup holder for vehicle
JP3598250B2 (en) holder
JP2576748Y2 (en) Can holder
KR200219122Y1 (en) computer desk
KR200198324Y1 (en) Cup holder for use in a car
JP3100122U (en) Multifunctional integrated television
JPS589629B2 (en) Handset holding mechanism for desktop and wall-mounted telephones
JP2610789B2 (en) Cup holder
KR20000008589U (en) Wire Pocket Guide for Refrigerator
KR0140286Y1 (en) Cup holder equipped with coin receiving portion
JPH11346857A (en) Folding structure for foldable member
KR200374630Y1 (en) Leaflet receiver
KR0162312B1 (en) Game pack holder of game machine-v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