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515B1 -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515B1
KR100489515B1 KR10-2001-0004044A KR20010004044A KR100489515B1 KR 100489515 B1 KR100489515 B1 KR 100489515B1 KR 20010004044 A KR20010004044 A KR 20010004044A KR 100489515 B1 KR100489515 B1 KR 10048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anel
repair
lightweigh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401A (ko
Inventor
박상태
안상호
조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타임
(주)엠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타임, (주)엠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타임
Priority to KR10-2001-000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515B1/ko
Priority to CNB018183441A priority patent/CN1265069C/zh
Priority to CA002427218A priority patent/CA2427218A1/en
Priority to PCT/KR2001/001830 priority patent/WO2002036902A1/en
Priority to EP01981140A priority patent/EP1346118A4/en
Priority to JP2002539632A priority patent/JP2004513268A/ja
Priority to AU1280002A priority patent/AU1280002A/xx
Priority to AU2002212800A priority patent/AU2002212800B2/en
Publication of KR2002006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성화, 노화, 열화, 누수 균열, 재료분리 등이 생긴 콘크리트 구체의 하자부를 제거한 후 상기 하자 제거부에 앙카로써 결합시키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체 보수,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 구체 보수용 패널은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이며 경량콘크리트층 및 패널 보강수단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체가 손상부를 보유하는 경우에 상기 손상부 둘레를 컷팅한 후 파취 제거하고 각종 합성수지계 보수재료로써 보수하여 상기 패널 및 앙카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체와 단면을 복구함으로써 보수 대상 구조물과 보수재를 보호하여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성화, 노화, 열화, 누수 균열, 재료 분리 등이 생긴 콘크리트 구체의 상기 하자부를 제거한 후 상기 하자 제거부에 결합시키는 보수, 보강용 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콘크리트 구체라 함은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형성되는 모든 구체를 일컬음이다. 예를 들면 사람이 거주하는 일반적인 건물과 교량, 터널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 및 콘크리트 포장도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체는 균열에 의하여 각종 하자가 발생하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성비와 같이 산화물이 용해된 물에 의하여 알칼리성이었던 물성이 중성화되어 박리현상, 균열의 확장, 콘크리트 구체 내에 포함되어 있던 철근의 부식 등 구조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하자의 진행을 저지하고 구조물을 보수하는 방법은 하자부위를 파취하여 제거하고 철근이 산화된 경우에는 방청 처리한 후 균열이 발생된 부위에 보수재를 주입하여 공기 또는 물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파취, 제거된 부위를 에폭시 몰탈, 무수축 콘크리트, 각종 폴리머 시멘트 몰탈을 수회에 걸쳐 미장하여 단면을 복구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여 왔다. 상기 보수재 및 보수공법으로서 여러 가지가 개발되고 적용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주입공법, 습윤용 에폭시 주입공법, 마이크로 시멘트 주입공법, 에폭시계 몰탈을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아크릴계 고강도 몰탈 등 각종 폴리머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단면복구공법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 공법은 적용되는 재료들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파취, 제거된 콘크리트 구체의 단면복구가 미장작업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일단 기존 구조물과 상기 재료로써 단면복구된 부위의 계면에서 접착력이 소모되면 박리현상, 균열현상이 다시 진행되게 되고 상기 박리 및 균열이 진행된 계면으로 공기 및 물이 유입되어 보수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수, 보강대상 구조물과 동일 재료인 콘크리트 패널로써 복구된 단면을 보호함으로써 반영구적인 내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구체의 하자 보수 부위를 효율적으로 커버하고 견고한 결합으로써 보수 대상 구조물과 보수재를 보호할 수 있는 패널 및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수대상 구조물과 동일한 재료인 콘크리트 재질의 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체 보수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의 개략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경량콘크리트층(111) 및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을 보강하는 보강수단(112)으로 형성된다.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을 형성하는 재료로서의 시멘트는 보수대상 콘크리트 구체(210)에 적합하도록 포틀랜트 시멘트, 백시멘트, 칼라시멘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은 경량골재를 골재로 사용한 패널로서, 상기 경량골재는 퍼라이트(perlite), 필라이트(filite), 셀라이트(celite), 에이엘씨(ALC) 골재 및 에이엘씨(ALC) 파쇄 골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4)은 일반 콘크리트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골재를 사용하고 보수 대상 구체 콘크리트(210)의 압축강도와 같은 여러 조건에 적합하도록 배합비 등을 조절해서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은 경량콘크리트층(111)을 형성하는 시멘트의 종류, 경량골재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되고 또한 상기 보강수단(112)의 종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수단(112)은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 일면에 결합되거나 그 내부에 포함되는 것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경량콘크리트층(111) 일면에 결합되는 보강수단(112)을 포함하는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은 기 타설, 강제증기 양생된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 일면에 고강도 몰탈용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한 것을 타설하여 형성되는 패널이다. 상기 보강수단(112)이 경화되면 상기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을 강제증기 양생하여 그 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수단(112)이 경량콘크리트층(111) 내부에 포함되는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은 상기 보강수단(112)을 경계로 하여 경량콘크리트층(111)을 상부 경량콘크리트층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이 형성되는 태양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이 기 타설, 양생된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수단(112)과 결합되면서 패널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이 기 형성된 패널 형태가 아니라 타설된 후 경화되기 전에 보강수단(112)이 함설되고 다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보강수단(112)과 결합되는 다른 하나가 그것이다. 상기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 역시 경화된 후 강제증기 양생되어 그 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은 보강수단(112)에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수단(112)은 프리프레그 일방향 탄소섬유, 무수지 양방향 직조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함침 수단으로 하여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111) 사이에 결합된다. 제조공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콘크리트 구체의 손상부(221)의 넓이 및 깊이에 맞추어 형틀을 제작하고 상기 형틀 표면에 이형 필름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형틀에 상기 포틀랜트 시멘트, 백시멘트, 칼라시멘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경량골재(퍼라이트, 필라이트, 셀라이트, 에이엘씨 골재, 에이엘씨 파쇄골재) 중 어느 하나 및 물을 소정의 배합비로써 믹싱, 타설하고 경화시켜 패널 형태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111)을 형성한다. 함침용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로써 믹싱한 후 상기 하부 경량콘크리트층의 일면에 얇게 도포한다. 상기 함침용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 직후 상기 프리프레그 일방향 탄소섬유, 무수지 양방향 직조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유리섬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에 함침시킨다. 함침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고 다시 상도 함침용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도포한다. 상기 상도 함침용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 직후 상기 상부 경량콘크리트층을 결합시킴으로써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을 형성한다. 그리고 경량콘크리트층(111)을 경화시킨 후 결합시키는 방법 이외에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리섬유 메쉬를 함설하고 즉시 상기 상부 경량콘크리트층을 타설함으로써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110)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을 사용하여 손상된 콘크리트 구체를 보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보수공법은, 콘크리트 구체가 노화, 재료분리, 중성화, 열화의 원인으로 손상부를 보유하는 경우에서, 상기 손상부 주위를 직사각형으로 컷팅하고; 상기 컷팅선 내부에 포함되는 콘크리트를 파취,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손상부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과 파쇄된 콘크리트부의 외곽 경계부를 무기질계 밀봉재로써 밀봉하고; 상기 외곽 경계부에 다수의 공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손상부의 상면과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콘크리트 구체에 균열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손상부를 보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손상부를 직사각형으로 컷팅하기 이전 단계로서, 상기 균열의 인접부위에 지수제 주입구용 패카 홀을 상기 균열을 관통하도록 다수 형성하고; 상기 패카 홀에 지수제 주입용 패카를 설치하여 지수제를 주입하고; 상기 지수제의 주입, 충진이 완료된 후 상기 지수제 주입용 패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중성화에 따른 박리현상, 노화, 재료분리 등이 발생하여 표면층에 손상 및 열화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손상 열화된 부위를 개략 파취해 내고 이 부위를 각종 특수 몰탈을 사용하여 미장 처리하는 방법에 의함으로써 보수 작업을 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보수를 요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동일 재료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보수,보강용 패널을 별도로 마련하고 이를 구체의 손상부위에 취부한 후, 구체와의 사이에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 충진하는 새로운 방식의 콘크리트 구체 보수,보강공법을 제공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반복적인 미장작업에 의하지 않고 프리캐스트화된 보수,보강용 패널을 취부하는 것에 의하여 손상 부위의 보수 작업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체의 하자 보수 부위를 효율적으로 커버하고 견고한 결합으로써 보수 대상 구조물과 보수재를 보호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을 콘크리트 구조체의 손상 부위에 취부하고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함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앙카를 사용하여 패널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강도 합성수지의 주입을 위한 주입공을 상기 패널 상에 설치하여 이를 통하여 수지를 주입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나, 예컨대 특허출원 제10-2000-0069466호로 출원된 앙카와 같이 수지 주입 경로가 자체 내에 형성된 다목적 앙카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수지 주입공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보수, 보강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7은 상기 특허출원 제10-2000-0069466호로 출원된 다목적 앙카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및 이 다목적 앙카에 수지를 주입된 수지가 앙카 내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앙카(130)는 콘크리트 구체(220)내에 매립 설치되는 실린더형의 인서트(130a)와 함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패널(11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130b)와 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수지주입관(130c)이 구비되어 있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지주입관(130c)을 통하여 수지(172)를 주입하면 이 주입된 수지가 다목적 앙카(130) 내를 통과하여 상기 패널(110)과 콘크리트 구체(220)의 손상부(221) 사이에 충진되는 바 별도의 수지 주입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다목적 앙카를 사용한 경우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손상부를 보유하는 콘크리트 구체를 보수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체의 손상부(221)는 여러 종류의 것이 있을 수 있다. 콘크리트의 노화에 따른 중성화, 재료분리 및 열화가 있을 수 있고 콘크리트 형성 당시 시공의 하자로 발생하거나 또는 사용환경의 영향으로 발생한 균열부(224) 및 상기 균열부(224)를 통한 누수현상(225)의 발생 등 그 태양은 다양하다.
삭제
먼저 기존 콘크리트 구체의 노화,재료분리,중성화,열화,록포켓(227),박리 등의 원인으로 손상되거나 누수가 발생된 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범위를 확정하여 컷팅 선(213)이 직선과 직각이 되도록 컷팅 작업을 한다. 컷팅 완료된 노화,재료분리,중성화,열화,록포켓(227),박리 등의 원인으로 손상 누수되는 부분을 전기햄머 기타 공구들을 이용 누수경로를 따라 누수가 되지 않는 곳과 비교하여 좀더 깊이 파취 제거 작업한다. 노출된 철근(222)이 부식 등의 손상을 입었을 경우 철근 부식부분은 녹 제거용 샌드 그라인더 등을 이용 녹을 완전 제거 한 다음 붓 등으로 방청제를 도포 한다. 철근 녹 제거 및 방청 처리 완료 후 햄머드릴을 이용, 주입용 패카 홀(226)을 누수가 진행되는 부위에 천공작업 한다. 패카 홀(226) 천공작업 완료 후 홀(226) 내부의 먼지를 제거 한 다음 주입용 패카(163)를 꽉 조여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고압 주입기 등을 이용 주입, 충진 작업한다. 패카(163)를 이용한 지수제(170)의 주입이 완료 된 후 상기 패카(163)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제거한 다음 표면의 먼지 등을 말끔히 제거함과 동시에 습식 접착 고강도 속경 지수제(171)를 수작업 혹은 쇠흙손을 이용하여 미장한다. 미장 작업완료 24시간 이상 경과 후 재누수의 발생 여부를 확인 한 다음 특허출원 제10-2000-0069466호 다목적 앵카 홀(223)을 햄머드릴 등을 이용 천공함과 동시에 에어펌프 등을 이용 앵카 홀(223) 내부의 먼지 기타 이물질 등을 완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다목적 앵카(130) 및 전술한 콘크리트 구체 보수용 패널(110) 중 어느 한 패널을 선택하여 설치하고 상기 패널과 기존 구조물과의 표면 편차가 나지 않도록 레벨을 균등히 조절한다. 상기 패널과 기존 구조물 사이의 틈새는 무기질계 밀봉재로써 밀봉하고 상기 다목적 앵카(130)가 공기 배출구 역할을 하므로 공기 배출구(142)는 패널 상부 틈새에만 설치한다. 밀봉재가 경화 된 후 고압 주입기를 이용 습식 접착 그라우트재(172)를 하부 다목적 앙카(130)로부터 상부쪽으로 주입을 진행하고 1차 주입 완료 약 24시간 경과 후 2차로 저압 주입을 진행함으로써 완전 충진을 기할 수 있다. 2차 주입 완료 후 약 24시간 경과 후 상기 패널에 형성된 다목적 앙카 홀(113) 주변의 함몰부, 공기 배출구(142)가 설치된 부위 및 기타 오염된 표면을 마감 정리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 콘크리트 손상부(221)에 누수 현상이 없는 경우에는 지수제의 주입, 도포, 미장 작업은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체의 하자 보수 부위의 부실한 부분을 완전 제거 한다음 고정철물로써 상기 보수 패널을 설치 하고 보수 대상 구조물과 상기 보수 패널과의 틈새를 합성수지계 접착제를 주입,충진하여 접착함으로서 기존의 미장작업혹은 뿜칠작업 등으로 인한 기존 구조물과 보수재와의 계면 박리현상등의 문제점을 완전 제거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그 성능을 회복 시키고 반 영구적인 내구성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패널의 일면이 경량콘크리트 혹은 콘크리트로 형성 되므로 보수 대상구조물과의 친화성이 매우 우수하여 유지관리가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구체 보수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의 개략 사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보수용 패널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체의 손상부를 보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순서 개략 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다목적 앙카의 구성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다목적 앙카에 주입된 수지가 앙카 내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111 : 경량콘크리트층
112 : 보강수단 113 : 앙카 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30 : 다목적 앙카 141 : 숫나사부
삭제
142 : 공기 배출구 152 : 저압 주입용 실린더
161 : 에폭시 몰탈 163 : 주입용 패카
170 : 지수제 171 : 고강도 속경 지수제
210 : 콘크리트 구체 213 : 컷팅선
214 : 파취부 바탕면 221 : 콘크리트 구체 손상부
222 : 노출된 철근 223 : 앵카 홀
224 : 균열부 225 : 누수
226 : 주입용 패카 홀 227 : 록포켓

Claims (25)

  1. 소정 깊이만큼 직사각형으로 콘크리트가 파취, 제거된 콘크리트 구체의 손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패널로서,
    퍼라이트(perlite), 필라이트(filite), 셀라이트(celite), 에이엘씨(ALC) 골재 및 에이엘씨(ALC) 파쇄골재 중 어느 하나를 골재로 하여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경량콘크리트층(111); 및,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경량콘크리트층 일면에 소정 두께로 적층 결합되는 패널 보강수단(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시멘트는 포틀랜트 시멘트, 백시멘트, 칼라시멘트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3. 제1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고강도 몰탈용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한 뒤 상기 경량콘크리트층(111) 일면에 타설, 양생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4. 소정 깊이만큼 직사각형으로 콘크리트가 파취, 제거된 콘크리트 구체의 손상부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패널로서,
    퍼라이트(perlite), 필라이트(filite), 셀라이트(celite), 에이엘씨(ALC) 골재 및 에이엘씨(ALC) 파쇄골재 중 어느 하나를 골재로 하여 시멘트 및 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상기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상부 면에 결합되는 패널 보강수단(112); 및,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 상부 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경량콘크리트패널 층과 동일한 재료로써 형성되는 상부 경량콘크리트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5.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함침수단으로 하여 프리프레그 일방향 탄소섬유를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사이에 함침,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6.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함침수단으로 하여 무수지 양방향 직조 탄소섬유를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사이에 함침,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7.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함침수단으로 하여 아라미드섬유를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사이에 함침,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8.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함침수단으로 하여 유리섬유를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상부 및 하부 경량콘크리트층 사이에 함침,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9.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상기 하부 경량콘크리트층이 경화되기 전에 유리섬유 메쉬를 함설하고 즉시 상기 상부 경량콘크리트층을 타설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10. 제4항에서, 상기 패널 보강수단(112)은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하부 경량콘크리트 층 상부 면에 유리섬유 메쉬를 깔고 규사, 고강도 몰탈용 에폭시 수지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상기 유리섬유 메쉬 위에 타설하는 동시에 기 타설, 경화되어 패널 형태로 된 상기 상부 경량콘크리트 층을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11. 콘크리트 구체(210)가 노화, 재료분리, 중성화, 열화의 원인으로 손상부(221)를 보유하는 경우에서,
    상기 손상부(221) 주위를 직사각형으로 컷팅하고;
    상기 컷팅선(213) 내부에 포함되는 콘크리트를 파취,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손상부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널(110, 114)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과 파쇄된 콘크리트부의 외곽 경계부를 무기질계 밀봉재로써 밀봉하고;
    상기 외곽 경계부에 다수의 공기 배출구(142)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손상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110, 114)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공법
  12. 제11항에서, 상기 파취된 부위의 콘크리트면에 합성수지계 접착제를 표면에 도포한 후 합성수지 및 규사를 혼합한 고강도 합성수지 몰탈로써 미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공법
  13. 콘크리트 구체(210)가 균열(224)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손상부(221)를 보유하는 경우에서,
    상기 균열(224)의 인접부위에 지수제 주입구용 패카 홀(226)을 상기 균열(224)을 관통하도록 다수 형성하고;
    상기 홀(226)에 지수제 주입용 패카(163)를 설치하여 지수제(170)를 주입하고;
    상기 지수제(170)의 주입, 충진이 완료된 후 상기 지수제 주입용 패카(163)를 제거하고;
    상기 손상부(221) 주위를 직사각형으로 컷팅하고;
    상기 컷팅선(213) 내부에 포함되는 콘크리트를 파취,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제거된 손상부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패널(110, 114)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과 파쇄된 콘크리트부의 외곽 경계부를 무기질계 밀봉재로써 밀봉하고;
    상기 외곽 경계부에 다수의 공기 배출구(142)를 설치하고; 그리고,
    상기 손상부의 상면과 상기 패널(110, 114)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고강도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공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지수제 주입구용 패카 홀(226)은 상기 균열(224)과 45°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크 구체 보수, 보강공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서, 콘크리트를 파취, 제거하는 단계 직후에 속경성 고강도 지수제(171)로써 상기 파취, 제거부를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체 보수, 보강공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01-0004044A 2000-10-30 2001-01-29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048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44A KR100489515B1 (ko) 2001-01-29 2001-01-29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CNB018183441A CN1265069C (zh) 2000-10-30 2001-10-30 用于加强混凝土本体的复合板
CA002427218A CA2427218A1 (en) 2000-10-30 2001-10-30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CT/KR2001/001830 WO2002036902A1 (en) 2000-10-30 2001-10-30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01981140A EP1346118A4 (en) 2000-10-30 2001-10-30 COMPOSITE PLATE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A CONCRETE BODY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2002539632A JP2004513268A (ja) 2000-10-30 2001-10-30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用複合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修・補強工法
AU1280002A AU1280002A (en) 2000-10-30 2001-10-30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U2002212800A AU2002212800B2 (en) 2000-10-30 2001-10-30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044A KR100489515B1 (ko) 2001-01-29 2001-01-29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491A Division KR100482984B1 (ko) 2004-11-12 2004-11-12 패널 레벨조정 및 주입용 앙카 및 그를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10-2004-0092489A Division KR100482983B1 (ko) 2004-11-12 2004-11-12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401A KR20020063401A (ko) 2002-08-03
KR100489515B1 true KR100489515B1 (ko) 2005-05-12

Family

ID=276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044A KR100489515B1 (ko) 2000-10-30 2001-01-29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5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733B1 (ko) 2004-04-02 2006-07-14 주식회사 엠텍 펀칭박강판-섬유메시-일방향섬유 복합메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0706678B1 (ko) * 2006-03-14 2007-04-13 한토산업 (주)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KR100871143B1 (ko) * 2008-04-07 2008-12-05 정시영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보강블록 장치와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단면복구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79B1 (ko) * 2001-05-17 2004-06-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0451903B1 (ko) * 2001-04-27 2004-10-08 김장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의 보수·보강방법
KR100412049B1 (ko) * 2001-06-27 2003-12-24 정한복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0435099B1 (ko) * 2001-10-31 2004-06-09 구일건설(주) 부모멘트로 손상된 교량 상판 패널보강공법
KR100697341B1 (ko) * 2004-04-08 2007-03-26 (주)엘림인더스트리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패널과 이를 이용한보수보강 방법
KR100686062B1 (ko) * 2006-02-03 2007-02-26 (주)원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균열보수용 균열지우개,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균열보수방법
KR100842872B1 (ko) * 2007-07-04 2008-07-02 심재홍 황토보드 및 그 제조방법
DE202012006184U1 (de) * 2012-06-27 2012-08-09 STÜWA - Konrad Stükerjürgen GmbH Brunnenfiltersegment
KR101536443B1 (ko) * 2013-11-21 2015-07-13 (주)청우산업개발 건축물 내진 보수 보강 공법
US9874036B2 (en) 2015-05-08 2018-01-23 Cannon Design Products Group, Llc Prefabricated, deconstructable,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KR102548490B1 (ko) * 2021-10-28 2023-06-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텍스타일 보강 모르타르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하여 보수되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 보수방법
KR102620869B1 (ko) 2023-06-05 2024-01-05 (주)대림이엔씨 공극방지용 충진재 주입앵커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639A (ja) * 1990-11-01 1992-06-17 Fuji Kogyo Kk Alc複合パネル
JPH0835338A (ja) * 1994-07-21 1996-02-06 Oriental Constr Co Ltd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強構造
JPH08135067A (ja) * 1994-11-15 1996-05-28 Sumitomo Forestry Co Ltd 床用複合alcパネル
KR960041577A (ko) * 1995-05-11 1996-12-19 이옥신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압착주입 보강구조 및 공법
KR200172372Y1 (ko) * 1999-09-01 2000-03-15 진형장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KR20010036866A (ko) * 1999-10-12 2001-05-07 윤풍식 콘크리트 보강용 고인장 박판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159213A (ja) * 1999-12-03 2001-06-12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
JP2001262769A (ja) * 2000-03-23 2001-09-26 Taiheiyo Cement Corp 複合パネル
KR20020033329A (ko) * 2000-10-30 2002-05-06 박상태 프리캐스트경량내화콘크리트 복합보강패널 및 그를 이용한구조물의 보강방법
KR20020039561A (ko) * 2000-11-22 2002-05-27 박상태 다목적 앙카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9639A (ja) * 1990-11-01 1992-06-17 Fuji Kogyo Kk Alc複合パネル
JPH0835338A (ja) * 1994-07-21 1996-02-06 Oriental Constr Co Ltd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強構造
JPH08135067A (ja) * 1994-11-15 1996-05-28 Sumitomo Forestry Co Ltd 床用複合alcパネル
KR960041577A (ko) * 1995-05-11 1996-12-19 이옥신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압착주입 보강구조 및 공법
KR200172372Y1 (ko) * 1999-09-01 2000-03-15 진형장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패널
KR20010036866A (ko) * 1999-10-12 2001-05-07 윤풍식 콘크리트 보강용 고인장 박판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1159213A (ja) * 1999-12-03 2001-06-12 Taisei Corp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JP2001262769A (ja) * 2000-03-23 2001-09-26 Taiheiyo Cement Corp 複合パネル
KR20020033329A (ko) * 2000-10-30 2002-05-06 박상태 프리캐스트경량내화콘크리트 복합보강패널 및 그를 이용한구조물의 보강방법
KR20020039561A (ko) * 2000-11-22 2002-05-27 박상태 다목적 앙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733B1 (ko) 2004-04-02 2006-07-14 주식회사 엠텍 펀칭박강판-섬유메시-일방향섬유 복합메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법
KR100706678B1 (ko) * 2006-03-14 2007-04-13 한토산업 (주) 고분자 세라믹스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단면보수ㆍ보강공법
KR100871143B1 (ko) * 2008-04-07 2008-12-05 정시영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복구용 보강블록 장치와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단면복구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401A (ko) 200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42535C (en) Method for preparing in-ground tunnel structures
KR10048951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경량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US20040050006A1 (en) Composite panel for reparing, reinforcing con&#39;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8755334A (zh) 一种混凝土路面缺陷快速修复的方法
CN1265069C (zh) 用于加强混凝土本体的复合板
US10253627B2 (en) Method of repairing a tunnel
AU2002212800A1 (en) Composite panel for repairing, reinforcing con&#39;c bod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50030924A (ko) 표면열화 및 피복이 미 확보된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재매입보강공법
CN111156025B (zh) 公路隧道衬砌超限裂缝修复组合处治方法
CN112195970A (zh) 一种过江隧道工程防水施工方法
KR20010088712A (ko) 탄소봉을 이용한 기존 건축·토목 구조물의 보수 및보강공법
KR016466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압착주입 보강공법
KR1004829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프리캐스트콘크리트패널 및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1259097B1 (ko) 이어치기 공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
KR101013090B1 (ko) 보강몰탈을 이용한 슬래브 보강공법
KR100482984B1 (ko) 패널 레벨조정 및 주입용 앙카 및 그를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102397868B1 (ko) 프리캐스트 텍스타일 보강 콘크리트 패널의 연속화 시공에 의해 보강된 구조물 및 그 연속화 시공 방법
KR101586801B1 (ko) 연결부재 및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합보강공법
Kog Forensic engineering of water leakages of underground structures
US11203932B2 (en) Method of installing fiber liner for large tunnel repair
KR1003815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후방수 유지관리시스템
KR100389051B1 (ko) 캐비티록볼트 및 그시공법
Michelis et al. New products for rapid refurbishment of existing tunnels
Schiavinato et al. Support technology
Webster et al. In Situ Repair of Deteriorated Concrete in Hydraulic Structures: Feasibility Stu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