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947B1 -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947B1
KR100472947B1 KR1020040050264A KR20040050264A KR100472947B1 KR 100472947 B1 KR100472947 B1 KR 100472947B1 KR 1020040050264 A KR1020040050264 A KR 1020040050264A KR 20040050264 A KR20040050264 A KR 20040050264A KR 100472947 B1 KR100472947 B1 KR 10047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water
disposed
raw water
coa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기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4005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9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화학적 처리공정 및 물리적 처리공정을 일체화하여 부유된 현탁 물질과 용존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운전할 수 있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내부가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로 분할되는 본체를 갖는 하우징부와, 제 1 챔버 내에 한정되어 투입된 미처리된 원수를 응집제와 교반하여 미소 프록을 생성하는 반응부와, 제 2 챔버 내에 한정되어 제 1 챔버에서 월류하는 미처리된 원수 및 미소 프록를 공급받아 고분자 응집제와 교반하여 대형 응집 프록을 생성하는 응집부와, 제 3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대형 응집 프록을 분할하면서 침전시키는 침전부와, 침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화학적 처리된 원수를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여과부와, 여과부의 상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감시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One-type treatment system of a waste water and well water having a monitoring control skill}
본 발명은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적 처리공정 및 물리적 처리공정을 일체화하여 부유된 현탁 물질과 용존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운전할 수 있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폐수 및 정수를 처리하는 장치는 반응, 응집에 필요한 반응시간, 응집시간, 교반강도, 유입농도에 따른 약품투입량 설정 및 고액분리에 필요한 침전조 수면적, 체류시간, 웨어길이 등이 적절해야 안정된 처리수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장치의 시설 용량 및 외형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해야 하므로 좁은 공간에 설치가 곤란한 단점이 있고, 반응 및 응집 상태가 양호하도록 과다하게 약품을 투입하여 처리상태를 약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시설비용, 약품비용, 슬러지 처리비용 등이 상승하여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입 농도에 따라 반응, 응집 상태가 변하므로 약품투입량 설정이 적절히 되도록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최적의 처리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관리자가 수시로 관찰하여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종래의 처리 시설은, 설계 용량에 맞도록 대형화하여 단일 또는 복수로 직렬로 배치함으로써 고장발생 때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운영을 중단해야 하고, 원수 농도변동에 따라 약품 주입량은 크게 변하므로 최적의 처리 상태를 찾기 위한 부분적인 운영이 곤란하였다. 종래의 처리공정은 원수 주입 펌프 용량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하여 밸브조정 또는 계량조를 설치하여 유입 유량을 고정하고 약품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반응, 응집 상태를 제어하였으나, 이 경우 유입 농도에 비례하여 가능한 신속하게 분산, 혼합시켜 균일한 반응이 되도록 처리상태를 확인하며 운전하기에는 단위조작이 복잡하고 제어가 어려웠다.
최적의 반응, 응집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pH가 적당하고 알칼리도가 높을 수록 응집대가 넓어져 잔류 탁도 없이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입설비를 설치하여 가성소다 또는 소석회 등을 주입하였으나 취급이 불편하고 주입설비의 고장이 잦아 운영관리가 불편하였다. 또한 원수의 수온이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르고 물의 점도가 낮아져 응집제의 화학반응이 촉진되며 응집제의 사용량도 줄어든다. 따라서 원수의 수온을 가능한 높게 운전되도록 실내에 설치하여, 겨울철 온도 영향이 없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처리가 되고록 할 수 있으나, 종래의 처리시설은 원수의 수온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반응조에서 약품과 혼화되어 응집된 미소 프록(Floc)이 응집제와 충분한 접촉으로 대형 프록(Floc)이 형성되도록 하여 침전속도를 높이도록, 응집조에서 대규모의 순환 과류로 완전 혼합하고 단낙류를 방지하도록 부벽을 설치하여 미성장된 미소 프록(Floc)이 침전조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응집조 바닥에서 상부로 흐름을 유도하여 침전조로 유입되도록 종래의 처리시설에서는 하고 있으나, 응집 슬러지가 무거워 응집조에 침적될 경우 흐름을 방해하는 단점이 있다.
응집조에서 형성된 대형 프록(Floc)을 침전, 분리시키기 위한 종래의 침전시설은 난류, 밀도류, 편류, 대류 등이 생기면 입자의 침전이 방해되어 부상하므로 유입, 유출의 균등화를 꾀하기 위해 정류설비를 하여 효율을 높이나 환류를 일으켜 침강을 방해는 결점으로 용량효율 증대에 비해 침전효율은 별로 향상되지 않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일반 침전지와 같이 적은 용적에 경사판을 설치하여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상향류식 경사판 침전지가 많이 이용되나, 경사판 표면에서는 침전된 입자가 하강하고 이면에서는 청등수가 상승하여 두 유체 사이에서 난류가 발생하여 분리율이 악화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유입수를 경사판 상부에서 유입시키고 집수설비를 경사판의 하단에 설치하여 청등수와 침전입자가 같이 아래로 흐르도록 하면 서로 혼합되지 않아서, 침전입자의 하강이 용이하고 경사판의 각을 작게 할 수 있고 침전면적을 크게할 수 있어 종래의 장치보다 분리율이 우수한 시설이 있으나 제작 및 설치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침전시설은 전부유물이 수심 방향에 고르게 분포하여 있다고 가정하는 유입부, 유효한 침전을 행하는 침전부, 침전을 마친 처리수가 모여 유출되는 유출부, 침전물이 퇴적되는 부분으로 슬러지의 수집 및 배출이 행해지는 슬러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슬러지를 모으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 및 구동부의 기계적 장치가 필요하고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에 의한 충격 및 와류로 슬러지가 파괴되어 재부상하여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슬러지 처리를 위해 별도의 농축시설 및 탈수기 등의 시설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 처리공정 및 물리적 처리공정을 일체화하여 부유된 현탁 물질과 용존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운전할 수 있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 상부가 개방되고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 배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은 타측면 측으로 경사진 제 1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직한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에 의해서 타측에서부터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로 분할되는 본체를 갖으며, 제 1 격벽의 상부 양측의 모서리부분에는 제 1 유출공 및 제 2 유출공이 형성되고, 제 2 격벽에는 제 1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 2 경사면의 끝단에는 제 1 격벽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타공판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제 1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제 1 챔버의 상부를 덮는 덮개와, 제 1 챔버의 타측면에서 제 1 챔버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미처리된 원수를 공급받아 제 1 챔버 내부로 투입하는 공급파이프와, 미처리된 원수와 통상의 응집제를 교반하여 미소 프록을 생성하는 반응교반기를 갖는 반응부;
제 2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제 2 챔버의 내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제 3 격벽에 의해서 형성되어 제 1 챔버에서 제 1 유출공 및 제 2 유출공에서 월류되는 미처리된 원수 및 미소 프록을 공급받는 제 1 응집조 및 제 2 응집조와, 미처리된 원수 및 미소 프록과 통상의 고분자응집제를 교반하여 미처리 원수를 화학적으로 처리함과 아울러 대형 응집 프록을 생성하는 제 1 응집교반기 및 제 2 응집교반기를 갖는 응집부;
제 3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제 2 챔버에서 유입되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원수 및 대형 응집 프록을 분배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의 하부에서 제 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수로와, 분배수로의 상부에 다수가 배치되어 대형 응집 프록이 효율적으로 고액 분리되게 하는 경사판과, 상부가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와 연통하면서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대형 응집 프록이 침전되는 농축호퍼를 갖는 침전부;
경사판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여과층지지대와, 여과층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반응부 및 응집부를 거쳐 화학적으로 처리된 미처리 원수를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여과층과,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여과층을 거쳐 물리적으로 처리된 처리수가 월류되는 다수의 월류웨어를 갖는 여과부; 및
상부 및 타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의 월류웨어에서 안내되는 처리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웨어와, 배출웨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월류웨어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배출되는 처리수를 감시하는 모니터를 갖는 배출감시부로 이루어진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적 처리공정 및 물리적 처리공정을 일체화하여 부유된 현탁 물질과 용존 물질을 제거함과 아울러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고, 누구나 쉽게 운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a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5는 4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평면도이다.
도 1a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100)는 하우징부(110),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하수, 폐수 또는 정수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부(200) 및 응집부(3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화학적 처리를 거친 처리수를 다시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침전부(400) 및 여과부(500)와, 물리적 처리를 거친 처리수를 배출하면서 처리수의 수질상태를 점검하는 배출감시부(600)를 구비한다.
먼저, 하우징부(110)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면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2)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본체(114)를 구비한다. 본체(114)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을 가진다. 본체(114)의 일측면은 본체(114)의 타측면 상으로 경사진 제 1 경사면(11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체(116)의 내부는 수직한 제 1 격벽(118a) 및 제 2 격벽(118b)에 의해서 본체(114)의 타측에서부터 제 1 챔버(chamber)(120a), 제 2 챔버(120b) 및 제 3 챔버(130c)로 분할된다. 이때, 제 1 챔버(120a)와 제 2 챔버(120b)를 분할하는 제 1 격벽(118a)의 상부 양측의 모서리부분에는 제 1 유출공(122a) 및 제 2 유출공(122b)이 형성되며, 제 2 격벽(118b)에는 제 1 경사면(116)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제 2 경사면(124)이 형성되고, 제 2 경사면(124)의 끝단에는 제 1 격벽(118a)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타공판(126)이 형성된다. 즉, 제 2 격벽(118a)은 본체(114)의 상부에서부터 본체(114)의 하부 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되고 연장부에는 제 1 격벽(118a)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면(1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부(110)의 제 1 챔버(120a) 및 제 2 챔버(120b)에는 공급되는 하수, 폐수 또는 정수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부(200) 및 응집부(300)가 배치된다.
반응부(200)는 제 1 챔버(120a)의 상부를 덮는 덮개(210)와, 제 1 챔버(120a)의 타측면 중앙 상부에 인접 위치에서 제 1 챔버(120a)의 외부로 연장되어 원수저장조(도시되지 않음)에서 하수, 폐수 또는 정수를 공급받는 공급파이프(212)와, 제 1 챔버(120a)의 일측면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제 1 부벽(214) 및 제 2 부벽(214b)과, 제 1 챔버(120a) 내부로 공급된 하수, 폐수 또는 정수를 교반하는 반응교반기(216)를 구비한다. 덮개(210)는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메탈라스(metal lath) 형상의 철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덮개(210)의 일측에는 제 1 챔버(120a)의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점검구(218)가 형성된다. 제 1 부벽(214a) 및 제 2 부벽(214b)은 제 1 챔버(120a)의 일측면 모서리부분과 제 1 유출공(122a) 및 제 2 유출공(122b)을 감싸면서 제 1 챔버(120a)의 상부면에서부터 제 1 챔버(120a)의 하부면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즉, 제 1 부벽(214a) 및 제 2 부벽(214b)은 응집제와 혼화되어 응집된 미소 프록(Floc)을 응집부(300) 측으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제 1 부벽(214a) 및 제 2 부벽(214b) 측으로 안내된 미소 프록(Floc)이 각각의 제 1 유출공(122a) 및 제 2 유출공(122b)을 통해 응집부(300) 측으로 월류되게 한다. 이러한 제 1 부벽(214a) 또는 제 2 부벽(214b)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반응부(200) 측으로 투입되는 응집제의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의 pH계측기(220)가 장착된다. 즉, pH계측기(220)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응집부(300) 측으로 월류하는 반응부(200) 유출수의 pH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반응부(200) 유출수의 pH값은 미리 최적응집실험을 행한 결과에 따른 최적응집 pH값에 ±여유범위를 더하여 설정된 최적응집pH 상한값과 하한값의 비교를 통해 응집제의 주입 여부가 결정되고, pH설정값의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 응집제 주입을 시작하고, 하한값 이하인 경우 응집제 주입을 중지하는 운전을 연속 반복 시행하여 응집제의 적정 주입량을 제어한다. 한편, 반응교반기(216)는 제 1 챔버(120a)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222)와, 제 1 지지대(222)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서 덮개(2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반응교반모터(224)와, 반응교반모터(224)에서 제 1 챔버(120a)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반응교반축(226)을 구비한다. 이러한 반응교반모터(224)는 통상의 인버터에 의해서 회전속도가 제어되고, 반응교반축(226)에는 다수의 반응교반날개(228)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챔버(120a)의 내부 타측면 모서리부분에는 반응교반축(226)의 운전에 따라 발생하는 교반와류에 의해서 석회분이 용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분쇄된 제 1 석회석층(230)이 형성된 여재기둥(232)이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여재기둥은 사방면이 타공된 형상을 가진다.
응집부(300)는 제 2 챔버(120b) 내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제 3 격벽(310)에 의해서 제 1 유출공(122a)과 연통하는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유출공(122b)과 연통하는 제 2 응집조(312b)로 분할된다. 이러한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에는 제 1 응집교반기(314a) 및 제 2 응집교반기(314b)가 배치된다. 이때, 제 1 응집교반기(314a) 및 제 2 응집교반기(314b)는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대(318a) 및 한 쌍의 제 3 지지대(318b)와, 제 2 지지대(318a) 및 제 3 지지대(318b)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응집교반모터(320a) 및 제 2 응집교반모터(320b)와, 제 1 응집교반모터(320a) 및 제 2 응집교반모터(320b)에서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응집교반축(322a) 및 제 2 응집교반축(322b)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응집교반모터(320a) 및 제 2 응집교반모터(320b)는 고분자 응집제와 접촉하여 생성된 대형 응집 프록(Floc)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분당 60회 회전하며, 제 1 응집교반축(322a) 및 제 2 응집교반축(322b)에는 다수의 제 1 응집교반날개(324a) 및 제 2 응집교반날개(324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챔버(120a) 및 제 2 챔버(120b)에 반응부(200) 및 응집부(300)가 형성된 하우징부(110)의 제 3 챔버(120c)에는 화학적 처리를 거친 처리수를 다시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침전부(400) 및 여과부(500)가 배치된다.
침전부(400)는 제 1 경사면(116) 및 제 2 경사면(124)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수로(410)와, 분배수로(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경사판(412) 및 농축호퍼(416)를 구비한다. 분배수로(410)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일단은 제 1 경사면(116)의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제 2 경사면(124)의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분배수로(410)는 제 2 챔버(120b)의 제 1 타공판(126)에서 침전부(400) 측으로 안내된 대형 응집 프록(Floc)을 분배한다. 한편, 다수의 경사판(412)은 분배수로(410)와 마찬가지로 제 1 경사면(116)에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제 2 경사면(124)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경사판(412)이 하부는 분배수로(410)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고 각각의 경사판(412)의 상부는 경사판(412)의 양단에서 연장된 고정환봉(414)에 의해서 제 3 챔버(120c)의 내측면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판(412)은 대형 응집 프록(Floc)의 효율적인 고액 분리가 되도록 분배수로(410)의 상부를 기준으로 제 1 경사면(116) 및 제 2 경사면(124)과 동일한 55°의 경사를 가진다. 한편, 농축호퍼(416)는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호퍼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농축호퍼(416)의 상부는 제 2 챔버(120b) 및 제 3 챔버(120c)와 연통하고, 농축호퍼(416)의 하부에는 슬러지배출관(418)이 형성되어 통상의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슬러지배출관(418)의 상부에는 농축호퍼(416)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맨홀(420)이 형성된다.
여과부(500)는 침전부(400)의 경사판(412)들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여과층지지대(510)와, 여과층지지대(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여과층(512)과, 여과층(512)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월류웨어(514)를 구비한다. 여과층지지대(510)는 다수의 경사판(412)들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제 1 경사면(116) 및 제 2 경사면(124)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 이격 배치된다. 여과층(512)은 여과층지지대(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타공판(516)과, 제 2 타공판(516)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 2 석회석층(518)과, 마찬가지로 제 2 석회석층(518) 상부를 덮는 제 1 자갈층(520)과, 제 1 자갈층(520)의 상부를 덮는 제 2 자갈층(522) 및 제 2 자갈층(522)의 상부를 덮는 모래층(524)을 구비한다. 이때, 제 2 자갈층(522)은 제 1 자갈층(52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한편, 월류웨어(514)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가지며 제 2 격벽(118b)에서부터 제 3 챔버(120c)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때, 각각의 월류웨어(514)의 양측면 상에는 여과층(512)을 통과한 처리수가 고르게 월류 되도록 다수의 월류공(526)이 형성되고, 월류웨어(541)의 일단 하부면 상에는 처리수 배출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삼각웨어(528)가 형성되며, 월류웨어(514)의 양측면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연장되어 부유된 미세 슬러지 또는 유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월류방지턱(5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월류웨어(514)의 일측에는 제 3 챔버(120c)의 상부에서 여과층(512)을 지나 침전부(400)의 경사판(412)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 1 주입파이프(532)가 형성되고 제 1 주입파이프(532)에는 통상의 계면측정용 농도계(534)가 배치되며, 계면측정용 농도계(534)의 일측에는 마찬가지로 제 3 챔버(120c)의 상부에서 여과층(512)의 제 2 타공판(516) 까지 연장되는 제 2 주입파이프(536)가 형성되고 제 2 주입파이프(536)에는 통상의 수위측정용 전극식 수위계(538)가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월류웨어(514)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여과층(512)의 상부에 저장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여과층(512) 및 경사판(412)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펌프(54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반응부(200), 응집부(300)와, 물리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침전부(400), 여과부(500)가 배치된 하우징부(110)에는 배출감시부(600)가 배치된다.
배출감시부(600)는 상부 및 타측면이 개방된 배출웨어(610) 및 배출웨어(6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카메라(612)를 구비한다. 배출웨어(610)는 각각의 월류웨어(514)에서 안내되는 처리수를 취합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제 3 챔버(120c)의 일측면 상에 개방된 타측면이 일체로 장착된다. 이러한 배출웨어(610)의 하부에는 취합된 처리수를 처리수저장조(도시되지 않음)로 안내하는 처리수배출관(614)이 형성된다. 한편, 카메라(612)는 배출웨어(610)의 일측면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카메라(612)는 각각의 삼각웨어(528)를 통과하는 처리수를 촬영하고, 다시 촬영된 영상을 작업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616)로 전송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여과부 및 침전부를 세척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먼저 반응부(200)의 공급파이프(212)를 통하여 원수저장조(도시되지 않음)에서 처리되지 않은 상태의 하수, 폐수 또는 정수(이하 “원수”라 함)가 투입된다. 이때, 원수저장조에는 용적식 원수공급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원수 공급유량을 통상의 인버터로 조정하여 최적의 반응시간이 유지되도록 하고, 공급파이프(212)의 인접하게는 원수 유량측정용 유량계(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된다. 이렇게 반응부(200)에 원수가 공급되면, 반응교반기(216)가 작동하고 또한 반응부(200)에는 응집제가 투입된다. 이때 반응교반기(216)의 반응교반모터(224)는 작동하여 반응교반축(226) 및 반응교반날개(228)를 회전시키면, 반응부(200) 내의 원수는 적절한 교반와류를 형성하고, 교반와류는 각각의 여재기둥(232) 내의 제 1 석회석층(230)과 접촉하여 석회분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제 1 석회석층(230)에서 석회분이 용출이 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알칼리도 공급을 한다. 이와 같이 반응부(200)의 원수는 응집제와 혼화되어 미소 프록(Floc)이 형성되고, 미소 프록(Floc)이 형성된 원수는 제 1 부벽(214a) 및 제 2 부벽(214b)의 하부를 거쳐 제 1 유출공(122a) 및 제 2 유출공(122b)을 통하여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 측으로 월류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부벽(214a) 및 제 2 부벽(214b)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장착된 pH계측기(220)는 제 1 응집조(312a) 또는 제 2 응집조(312b) 측으로 월류하는 원수에 포함된 pH농도를 측정하여 응집제의 투입량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소 프록(Floc)이 형성된 원수가 응집부(300)의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 측으로 월류되면,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에 장착된 제 1 응집교반기(314a) 및 제 2 응집교반기(314b)가 작동하고 또한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에는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된다. 이때, 제 1 응집교반기(314a) 및 제 2 응집교반기(314b)의 제 1 응집교반모터(320a) 및 제 2 응집교반모터(320b)는 작동하여 제 1 응집교반축(322a)과 제 2 응집교반축(322b), 제 1 응집교반날개(324a)와 제 2 응집교반날개(324b)를 회전시키면, 응집부(300)의 제 1 응집조(312a) 및 제 2 응집조(312b)에는 고분자응집제와 충분한 접촉으로 대형 응집 프록(Floc)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대형 응집 프록(Floc)은 제 1 타공판(126)을 지나 침전부(400) 측으로 유입된다.
침전부(400) 측으로 유입된 대형 응집 프록(Floc)은 침전부(400)의 분배수로(410)에 의해서 침전부(400)에 고르게 분배된 후 화학적으로 처리된 원수와 함께 각각의 경사판(412)의 상부로 안내된다. 이때, 대형 응집 프록(Floc)은 각각의 경사판(412)을 따라서 농축호퍼(416) 측으로 침전되고, 원수는 제 2 타공판(516), 제 2 석회석층(518), 제 1 자갈층(520), 제 2 자갈층(522) 및 모래층(524)을 거쳐 물리적으로 처리가 완료된다. 여과층(512)을 통과하여 물리적으로 처리가 완료된 원수는 각각의 월류웨어(514)에 형성된 월류공(526)을 통해 월류웨어(514)의 내측으로 월류된 후 삼각웨어(528)를 거쳐 배출웨어(610) 측으로 안내되고 다시 처리수배출관(614)을 통해 처리수저장조(도시되지 않음)로 안내된다. 이때, 각각의 삼각웨어(528)를 통과하는 원수는 카메라(612)를 통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은 작업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616)로 전송된다. 한편, 계면측정용 농도계(534)는 슬러지 계면을 측정하여 슬러지 계면이 상승시 경보 및 용적식 원수공급펌프를 정지시키고, 마찬가지로 수위측정용 전극식 수위계(538)는 여과층(512)을 통과한 원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일정치 이상 상승시 경보 및 용적식 원수공급펌프를 정지시킨다.
한편, 농축호퍼(416)에 농축된 응집 슬러지는 슬러지배출관(418)에 인접배치된 농축 슬러지 이송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슬러지배출관(418)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농축 슬러지 이송펌프가 작동하면 반응부(200) 측으로 미 처리된 원수 공급이 중단되고, 농축호퍼(416) 내의 농축 슬러지가 하한시 까지 수위를 낮추면 여과부(500)에 장착된 세척펌프(540)는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하는 세척펌프(540)는 여과층(512)의 상부에 저장된 처리수를 이용하여 여과층(512),다수의 경사판(412)을 역세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은 별도로 마련된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동제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100)는 하우징부(110)에 미 처리된 원수를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반응부(200) 및 응집부(300)와, 화학적으로 처리된 원수를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침전부(400) 및 여과부(500)와, 처리수를 감시하는 배출감시부(60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현장내 무인 운전으로 운영이 용이하고, 실내에 설치함으로써 수온이 일정하여 약품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이며,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동파방지 및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적인 처리와 최적의 처리수질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양질의 용수생산 및 폐수처리에 활용하여 물 절약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화된 장치(100)를 설치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규격화된 시설을 판매함으로써 처리수의 수질보증이 가능하여 품질인증에 의한 수출을 기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a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여과부 및 침전부를 세척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110 : 하우징부 114 : 본체부
118a : 제 1 격벽 118b : 제 2 격벽
120a : 제 1 챔버 120b : 제 2 챔버
120c : 제 3 챔버 122a : 제 1 유출공
122b : 제 2 유출공 200 : 반응부
210 : 덮개 212 : 공급파이프
214a : 제 1 부벽 214b : 제 2 부벽
216 : 반응교반기 220 : pH점검구
230 : 제 1 석회석층 232 : 여재기둥
300 : 응집부 310 : 제 3 격벽
312a : 제 1 응집조 312b : 제 2 응집조
314a : 제 1 응집교반기 314b : 제 2 응집교반기
400 : 침전부 410 : 분배수로
412 : 경사판 416 : 농축호퍼
418 : 슬러지배출관 500 : 여과부
510 : 여과층지지대 512 : 여과층
514 : 월류웨어 516 : 제 2 타공판
518 : 제 2 석회석층 520 : 제 1 자갈층
522 : 제 2 자갈층 524 : 모래층
526 : 월류공 528 : 삼각웨어
534 : 계면측정용 농도계 538 : 수위측정용 전극식 수위계
540 : 세척펌프 600 : 배출감지부
610 : 배출웨어 612 : 카메라
616 : 모니터

Claims (11)

  1. 수직프레임,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 배치됨과 아울러 일측면은 타측면 측으로 경사진 제 1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직한 제 1 격벽 및 제 2 격벽에 의해서 타측에서부터 제 1 챔버, 제 2 챔버 및 제 3 챔버로 분할되는 본체를 가지며, 상기 제 1 격벽의 상부 양측의 모서리부분에는 제 1 유출공 및 제 2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격벽에는 상기 제 1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경사면의 끝단에는 상기 제 1 격벽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 타공판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제 1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를 덮으면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철망형상을 가지는 덮개와, 상기 제 1 챔버의 타측면에서 상기 제 1 챔버의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미처리된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 1 챔버 내부로 투입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미처리된 원수와 통상의 응집제를 교반하여 미소 프록을 생성하는 반응교반기를 갖는 반응부;
    상기 제 2 챔버 내에 한정되면서, 상기 제 2 챔버의 내부를 양측으로 분할하는 제 3 격벽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제 1 챔버에서 상기 제 1 유출공 및 상기 제 2 유출공에서 월류되는 상기 미처리된 원수 및 상기 미소 프록을 공급받는 제 1 응집조 및 제 2 응집조와, 상기 미처리된 원수 및 상기 미소 프록과 통상의 고분자응집제를 교반하여 상기 미처리 원수를 화학적으로 처리함과 아울러 대형 응집 프록을 생성하는 제 1 응집교반기 및 제 2 응집교반기를 갖는 응집부;
    상기 제 3 챔버 내에 한정되고, 상기 제 2 챔버에서 유입되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원수 및 상기 대형 응집 프록을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경사면의 하부에서 상기 제 2 격벽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수로와, 상기 분배수로의 상부에 다수가 배치되어 상기 대형 응집 프록이 효율적으로 고액 분리되게 하는 경사판과, 상부가 상기 제 2 챔버 및 상기 제 3 챔버와 연통하면서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어 상기 대형 응집 프록이 침전되는 농축호퍼를 갖는 침전부;
    상기 경사판들의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여과층지지대와, 상기 여과층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반응부 및 상기 응집부를 거쳐 상기 화학적으로 처리된 원수를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여과층과, 상기 여과층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여과층을 거쳐 물리적으로 처리된 처리수가 월류되는 다수의 월류웨어를 갖는 여과부; 및
    상부 및 타측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면서 다수의 상기 월류웨어에서 안내되는 상기 처리수를 취합하여 배출하는 배출웨어와, 상기 배출웨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월류웨어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감시하는 모니터를 갖는 배출감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교반기는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1 지지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면서 상기 덮개의 외부로 노출되는 반응교반모터와, 상기 반응교반모터에서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다수의 반응교반날개가 형성된 반응교반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 타측면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반응교반기의 운전에 따라 발생하는 교반와류에 의해서 석회분이 용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분쇄된 제 1 석회석층이 형성되고 사방면이 타공된 여재기둥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챔버의 일측면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제 1 유출공 및 상기 제 2 유출공을 감싸면서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면에서부터 상기 제 1 챔버의 하부면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상기 미처리된 원수와 상기 응집제와의 접촉시간을 연장시키면서 상기 미소 프록을 상기 제 1 응집조 및 상기 제 2 응집조 측으로 안내하는 제 1 부벽 및 제 2 부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벽 또는 상기 제 2 부벽 중 어느 하나의 내측으로는 상기 반응부 측으로 투입되는 상기 응집제의 주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통상의 pH계측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응집조 및 상기 제 2 응집조의 상부에는 제 1 응집교반기 및 제 2 응집교반기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 응집교반기 및 상기 제 2 응집교반기는 상기 제 1 응집조 및 상기 제 2 응집조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한쌍의 제 2 지지대 및 한 쌍의 제 3 지지대와, 상기 제 2 지지대 및 상기 제 3 지지대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응집교반모터 및 제 2 응집교반모터와, 상기 제 1 응집교반모터 및 상기 제 2 응집교반모터에는 상기 제 1 응집조 및 상기 제 2 응집조의 내부 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됨과 아울러 다수의 제 1 응집교반날개 및 다수의 제 2 응집교반날개 형성되는 제 1 응집교반축 및 제 2 응집교반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로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 1 경사면의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경사면의 하부에 인접하게 고정되며, 마찬가지로 경사판은 상기 제 1 경사면에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상기 제 2 경사면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하부는 각각의 상기 분배수로의 상부면 상에 장착되고 각각의 경사판의 상부는 각각의 상기 경사판의 상부 양단에서 연장되는 고정환봉에 의해서 상기 제 3 챔버의 내측면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은 상기 분배수로에 의해서 분배된 상기 대형 응집 프록의 효율적인 고액 분리가 되도록 상기 분배수로의 상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과 동일한 55°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호퍼는 방사상 하측으로 좁아지게 연장되는 호퍼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슬러지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슬러지배출관의 상부에는 상기 농축호퍼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는 점검맨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층은 상기 여과층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타공판과, 상기 제 2 타공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 2 석회석층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석회석층의 상부를 덮는 제 1 자갈층과, 제 1 자갈층의 상부를 덮는 제 2 자갈층 및 상기 제 2 자작층의 상부를 덮는 모래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자갈층은 상기 제 1 자갈층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웨어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격벽에서부터 상기 제 3 챔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월류웨어의 양측면 상에는 상기 여과층을 통과한 상기 처리수가 고르게 월류 되도록 다수의 월류공이 형성되며, 상기 월류웨어의 일단 하부면 상에는 상기 처리수의 배출 유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삼각웨어가 형성되고, 상기 월류웨어의 양측면 상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측으로 연장되어 부유된 미세 슬러지 또는 유분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월류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월류웨어의 일측에는 상기 제 3 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여과층을 지나 상기 침전부의 상기 경사면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 1 주입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주입파이프에는 통상의 계면측정용 농도계가 배치되며, 상기 계면측정용 농도계의 일측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 3 챔버의 상부에서 상기 여과층의 상기 제 2 타공판 까지 연장되는 제 2 주입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주입파이프에는 통상의 수위측정용 전극식 수위계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월류웨어 사이에는 여과층의 상부에 저장된 상기 처리수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층 및 상기 경사판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펌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웨어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웨어로 취합된 상기 처리수를 처리수저장조로 안내하는 처리수배출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 장치.
KR1020040050264A 2004-06-30 2004-06-30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KR10047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64A KR100472947B1 (ko) 2004-06-30 2004-06-30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64A KR100472947B1 (ko) 2004-06-30 2004-06-30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2947B1 true KR100472947B1 (ko) 2005-03-14

Family

ID=3722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64A KR100472947B1 (ko) 2004-06-30 2004-06-30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9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93B1 (ko) 2006-10-23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KR101145049B1 (ko) * 2011-02-22 2012-05-11 이광근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1214553B1 (ko) * 2012-08-29 2012-12-24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346525B1 (ko) 2012-05-21 2013-12-31 박영구 폐수 응집 처리장치
CN103539280A (zh) * 2012-07-16 2014-01-29 杨志江 一种一体化净水装置
CN105461039A (zh) * 2015-12-31 2016-04-06 中新环科(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絮凝、沉淀池
CN108249685A (zh) * 2018-01-31 2018-07-06 山东联星能源集团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
CN111439817A (zh) * 2020-03-20 2020-07-24 山东建筑大学 一种往复式折板耦合斜板沉淀池装置以及使用方法
CN117819781A (zh) * 2024-03-05 2024-04-05 淄博市临淄双洋福利油脂有限公司 一种脂肪酸废水处理装置及工艺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93B1 (ko) 2006-10-23 2007-01-11 (주)케이지엔지니어링 상수도 정수 처리장치
KR101145049B1 (ko) * 2011-02-22 2012-05-11 이광근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1346525B1 (ko) 2012-05-21 2013-12-31 박영구 폐수 응집 처리장치
CN103539280A (zh) * 2012-07-16 2014-01-29 杨志江 一种一体化净水装置
KR101214553B1 (ko) * 2012-08-29 2012-12-24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CN105461039A (zh) * 2015-12-31 2016-04-06 中新环科(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絮凝、沉淀池
CN108249685A (zh) * 2018-01-31 2018-07-06 山东联星能源集团有限公司 污水处理装置
CN111439817A (zh) * 2020-03-20 2020-07-24 山东建筑大学 一种往复式折板耦合斜板沉淀池装置以及使用方法
CN111439817B (zh) * 2020-03-20 2022-06-07 山东建筑大学 一种往复式折板耦合斜板沉淀池装置以及使用方法
CN117819781A (zh) * 2024-03-05 2024-04-05 淄博市临淄双洋福利油脂有限公司 一种脂肪酸废水处理装置及工艺
CN117819781B (zh) * 2024-03-05 2024-05-24 淄博市临淄双洋福利油脂有限公司 一种脂肪酸废水处理装置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369B1 (ko) 하·폐수 및 오·탁수 처리용 일체형 수처리장치
KR101692162B1 (ko) 고속 침전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JP4444953B2 (ja) 多重円板型スラッジ処理装置
KR100472947B1 (ko) 감시 제어기능을 가지는 일체형 하수, 폐수 및 정수처리장치
JP2006522677A5 (ko)
JP4202207B2 (ja) 凝集分離装置
CN217025454U (zh) 一种机械搅拌澄清池循环泥浆监视装置
KR101345262B1 (ko)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CN211170214U (zh) 一种工业废水一体化处理设备
KR100990438B1 (ko) 응집 침전 장치
KR101087502B1 (ko) 일체형 수처리 장치
KR100379745B1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CN111302532B (zh) 一种絮凝澄清方法
JP2002035503A (ja) 濁水処理装置
CN205367956U (zh) 一种含煤废水净化设备
CN111547898A (zh) 反冲洗废水回流絮凝过滤装置
CN204384990U (zh) 一种循环冷却水石灰软化澄清过滤处理***
JP4215780B2 (ja) 汚濁水浄化装置
KR100814011B1 (ko)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97170B1 (ko) 침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지
KR101205153B1 (ko) 폐수의 응집 처리 장치
KR20190102376A (ko) 고효율 혼화·응집침전설비를 갖춘 굴착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CN210795878U (zh) 机械沉淀净水装置
CN110776150A (zh) 一种工业废水一体化处理设备
KR101935369B1 (ko) 수처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