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822B1 -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822B1
KR100467822B1 KR10-2002-0008230A KR20020008230A KR100467822B1 KR 100467822 B1 KR100467822 B1 KR 100467822B1 KR 20020008230 A KR20020008230 A KR 20020008230A KR 100467822 B1 KR100467822 B1 KR 100467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fractive index
binder resin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335A (ko
Inventor
장영래
구예모
장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2-0008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822B1/ko
Priority to AU2003206204A priority patent/AU2003206204A1/en
Priority to JP2003567992A priority patent/JP3880965B2/ja
Priority to CNB038037327A priority patent/CN1311035C/zh
Priority to EP03703458A priority patent/EP1474489A4/en
Priority to PCT/KR2003/000205 priority patent/WO2003068876A1/en
Priority to US10/504,609 priority patent/US7806979B2/en
Priority to TW092102717A priority patent/TWI243844B/zh
Publication of KR2003006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에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및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를 동시에 포함하여 눈부심 방지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표면 산란을 줄이고 내부에서의 빛의 확산을 유도하여 내부로부터 통과되는 빛 또는 정보들이 표면에서의 퍼지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고,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COATING COMPOSITION FOR PROTECTING DAZZLING EFFECT}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눈부심 방지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고,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가면서 다양하고 많은 디스플레이들을 접하게 되며, 텔레비전, 노트북, PC, 휴대폰 액정으로부터 시계, 사진, 액자 등까지 그 크기와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자연광 등의 외부의 빛에 노출되었을 때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데, 그것은 디스플레이의 최외각 표면에서 편평한 표면으로 입사되는 빛이 한쪽 방향으로 반사되는 경우 상의 콘트라스트가 떨어지고 쉽고, 눈의 피로감을 느끼거나 두통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재의 요철 형성에 의한 표면 산란을 유도하여 외광의 확산을 구현하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9-58036호, 평6-18706호, 평9-127312호 등은 경화성 수지에 실리카 등의 응집성 미립자, 또는 수지 비드를 첨가하거나 표면에 엠보싱 처리하는 등의 처리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표면에서의 빛의 난반사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눈부심 방지 효과가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181306호, 및 평10-20103호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표면 산란 기술로 표면 요철 구조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써 이미지의 왜곡 현상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눈부심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고,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하고,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
a)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b)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2 내지 30 중량부; 및
c)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눈부심 방지 특성외에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바인더 수지 중에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이가 0.2∼0.5인 미립자와 굴절률 차이가 0.1 미만인 미립자를 동시에 첨가한 결과, 눈부심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동시에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내부로부터 투과되는 이미지가 필름과 공기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큰 각도로 굴절되어 이미지간의 간섭을 유발하는데 반해, 필름 내부의 필러와 매트릭스간의 굴절률 차이는 필름과 공기와의 차이보다는 적어 이미지간의 간섭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이미지 왜곡의 최소화와 함께 눈부심 방지 특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평균 조도가 0.1∼0.3 ㎛이 되는 표면 요철이 존재해야 한다.
또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필름 내부와 표면에서의 빛의 확산 정도의 조절이 중요하며, 특히 내부 확산 헤이즈가 15∼40이고, 표면 헤이즈가 15 미만으로 유지되는 것이 눈부심 방지와 왜곡 현상의 최소화에 바람직하다. 내부 확산 헤이즈는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이가 0.2∼0.5인 미립자의 함량 및 크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표면 헤이즈는 표면 요철 형상에 의해서 결정되어 지고, 이를 위해서는 제 2의 미립자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에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및 굴절률 차이가 0.1 미만인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및 굴절률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는 알루미나(굴절률 1.77), 수산화 알루미늄(굴절률 1.58), 산화 마그네슘(굴절률 1.74), 산화 안티몬(굴절률 2.18), 또는 실리카(굴절률 1.48)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인더의 굴절률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입경이 0.05 ㎛ 미만일 경우에는 빛의 확산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 ㎛을 초과할 경우에는 빛의 퍼짐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는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며, 평균입경이 3 ㎛을 초과할 경우에는 빛의 퍼짐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는 ⅰ) 반응성 올리고머 최대 80 중량%, ⅱ) 다관능 모노머 10 내지 100 중량%, 및 ⅲ) 1 종 이상의 이관능 또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최대 3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ⅰ)의 반응성 올리고머는 통상적으로 2∼6의 관능기를 가지는 우레탄 변성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올리고머, 에폭시 올리고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총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중 최대 80 중량%로 포함되며,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내마모성이나 내찰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ⅱ)의 다관능 모노머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의 3 관능 이상의 아크릴을 말한다. 그 함량은 아크릴계 총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중 최대 10 중량%로 포함되며, 1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마모성과 내찰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ⅲ)의 이관능 또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는 코팅액의 점도를 낮게 유지시키면서 코팅 도막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그 예로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옥타 데실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류;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류; 헥산 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의 이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등이 있다. 그 함량은 총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중 최대 30 중량%로 포함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은 이외에 개시제와 용매도 사용된다.
상기 개시제는 열분해 개시제, 또는 자외선 분해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열분해 개시제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자외선 분해 개시제로는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벤질 디메틸 케탈,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 페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또는 벤조인 부틸 에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 함량은 개시제의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코팅성 및 기재에 대한 부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메틸 에틸 케톤, 메칠 이소부틸 케톤, 아세톤 등의 케톤류; 메틸 셀루솔브, 에틸 셀루솔브, 부틸 셀루솔브 등의 셀루솔브류, 디메틸 포름아마이드, 또는 테트라 히드로 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의 코팅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레벨링제, 습윤제, 소포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코팅액은 다양한 종류의 기재에 적용할 수 있다. 기재의 종류로는 트리아세틸 셀루로즈,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투명한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코팅재는 눈부심 방지 처리한 상기 기재를 LCD용 편광판, RPTV용보호 필터, 컴퓨터 보안기 등의 디스플레이 용용제품에 적용할 때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필름에 적용할 때 롤 코팅을 이용하며, 구체적으로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리버스 콤마 코팅, 립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시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플로루 코팅, 스핀 코팅 등이 있다. 코팅 도막 두께는 1 내지 20 ㎛이 바람직하며, 적용 분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팅된 기재는 50∼80 ℃의 오븐에서 예비 건조를 하여 용매를 휘발시킨 후, 자외선 경화기로 경화를 하게 되는데, 이때 자외선 조사량은 400∼2000 mJ/㎠ 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80 중량부 및 2-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2-HEA)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로 굴절률이 1.77인 평균입경 1 ㎛의 알루미나(AL-41DBM-01, 일본 스미토모 화학) 10 중량부, 자외선 분해 개시제로 2-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중량부, 용매로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 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 중량부, 및 부틸 셀루솔브 20 중량부, 습윤제(Tego 453, 테고사) 0.3 중량부, 레벨링제(BYK 300, BYK사) 0.3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때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상기 혼합한 코팅액을 밀링 장치를 사용하여 분산시켜 최종 알루미나의 평균입경을 0.4 ㎛으로 조절하였다.
이소 프로필 알코올 30 중량부, 부틸 셀루솔브 10 중량부에 굴절률이 1.48인 평균입경 1 ㎛의 실리카 7 중량부를 분산시키고, 상기 준비된 알루미나가 분산된 코팅액에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80 중량부 및 2-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2-HEA)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로 굴절률이 1.74인 평균입경 4 ㎛의 산화 마그네슘(Premier사) 10 중량부, 자외선 분해 개시제로 2-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중량부, 용매로 이소 프로필 알코올 20 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 중량부, 및 부틸 셀루솔브 20 중량부, 습윤제(Tego 453, 테고사) 0.3 중량부, 레벨링제(BYK 300, BYK사) 0.3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때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상기 혼합한 코팅액을 밀링 장치를 사용하여 분산시켜 최종 산화 마그네슘의 평균입경을 0.6 ㎛으로 조절하였다.
이소 프로필 알코올 30 중량부, 부틸 셀루솔브 10 중량부에 굴절률이 1.48인 평균입경 1 ㎛의 실리카 7 중량부를 분산시키고, 상기 준비된 산화 마그네슘이 분산된 코팅액에 혼합하여 눈부심 방지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80 중량부 및 2-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2-HEA)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로 굴절률이 1.48인 평균입경 1 ㎛의 실리카 10 중량부, 자외선 분해 개시제로 2-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중량부, 용매로 이소 프로필 알코올 50 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 중량부, 및 부틸 셀루솔브 30 중량부, 습윤제(Tego 453, 테고사) 0.3 중량부, 레벨링제(BYK 300, BYK사) 0.3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때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비교예 2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80 중량부 및 2-헥산디올아크릴레이트(2-HEA)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로 굴절률이 1.58인 평균입경 1 ㎛의 수산화 알루미늄 10 중량부, 및 굴절률이 1.48인 평균입경 1 ㎛의 실리카 7 중량부, 자외선 분해 개시제로 2-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 2 중량부, 용매로 이소 프로필 알코올 50 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 중량부, 및 부틸 셀루솔브 30 중량부, 습윤제(Tego 453, 테고사) 0.3 중량부, 레벨링제(BYK 300, BYK사) 0.3 중량부와 혼합하였다. 이때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또는 2, 및 비교예 1 또는 2에서 제조한 코팅액 조성물을 트리아세틸 셀룰로즈 필름에 5번 와이어 바로 코팅하였다. 이를 50 ℃ 오븐에서 2 분간 건조하고, 1 J/㎠의 UV 에너지로 경화하였다. 코팅된 필름의 광택(gloss), 헤이즈(haze), 내부 헤이즈, 표면 헤이즈, 투과율, 상 선명도, 스파클 현상, 흑농 도 등의 물성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헤이즈 및 투과율 - HR-100(일본 무라카미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내부 헤이즈는 눈부심 방지 필름의 표면에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여
요철 형상을 상쇄시킨 후 헤이즈를 측정하였고, 표면 헤이즈는 총 헤이
즈 값에서 내부 확산 헤이즈 값을 차감하였다.
ㄴ) 상선명도 - ICM-1(일본 스가사)의 기기를 사용하여 4 개의 슬릿(0.125
㎜, 0.25 ㎜, 0.5 ㎜, 2.0 ㎜)을 통과한 선명도 값을 합산하여 평가하였
다. 이때 합산한 값이 높을수록 선명도가 좋다.
ㄷ) 스파클 현상 - LCD 모듈에 눈부심 방지 필름을 부착한 후, 육안으로 관
찰하였다.
ㄹ) 흑 농도 - 필름 뒷면에 검은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Macbeth RD198로 평
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Gloss (%) 62 59 59 60
헤이즈 (%) 34.6 38.2 11 17.4
내부 헤이즈 30.5 33.0 0 3.4
표면 헤이즈 4.1 5.2 11 14
투과율 (%) 93.3 93.1 93.3 93.6
상 선명도 177 163 100 108
스파클 현상 없음 없음 발생 약간 발생
흑 농도 1.96 1.95 1.80 1.88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바인더 수지에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와 굴절율 차이가 0.1을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를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2의 코팅액 조성물이 투과도, 헤이즈, 상 선명도, 및 스파클 현상이 비교예 1 내지 2의 코팅액과 비교하여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은 눈부심 방지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표면 산란을 줄이고 내부에서의 빛의 확산을 유도하여 내부로부터 통과되는 빛 또는 정보들이 표면에서의 퍼지는 정도를 줄임으로써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이미지의 왜곡 현상이 현저히 감소시키고, 콘트라스트, 상 선명도 등의 특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a)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b)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안티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2 내지 30 중량부; 및
    c)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안티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a)ⅰ) 반응성 올리고머 최대 80 중량%;
    ⅱ) 다관능 모노머 10 내지 100 중량%; 및
    ⅲ) 1 종 이상의 이관능 또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최대 30 중량%
    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
    b)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안티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2 내지 0.5인
    평균입경 0.05 내지 1 ㎛의 미립자 2 내지 30 중량부;
    c) 알루미나,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안티몬,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a)의 아크릴레이트계 바인더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0.1을 넘지 않는
    평균입경 0.5 내지 3 ㎛의 미립자 1 내지 20 중량부
    d) 개시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및
    e) 용매 10 내지 20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3. 삭제
  4. 제1항 기재의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눈부심 방지 필름.
  5. 제1항 기재의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눈부심 방지 시트.
KR10-2002-0008230A 2002-02-15 2002-02-15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KR100467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30A KR100467822B1 (ko) 2002-02-15 2002-02-15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AU2003206204A AU2003206204A1 (en) 2002-02-15 2003-01-29 Coating composition for protecting dazzling effect
JP2003567992A JP3880965B2 (ja) 2002-02-15 2003-01-29 眩しさ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B038037327A CN1311035C (zh) 2002-02-15 2003-01-29 防止眩目效应的涂层组合物
EP03703458A EP1474489A4 (en) 2002-02-15 2003-01-29 PAINT FOR NON-FLAMING PAINTING
PCT/KR2003/000205 WO2003068876A1 (en) 2002-02-15 2003-01-29 Coating composition for protecting dazzling effect
US10/504,609 US7806979B2 (en) 2002-02-15 2003-01-29 Coating composition for protecting dazzling effect
TW092102717A TWI243844B (en) 2002-02-15 2003-02-11 Coating composition for protecting dazzling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230A KR100467822B1 (ko) 2002-02-15 2002-02-15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35A KR20030068335A (ko) 2003-08-21
KR100467822B1 true KR100467822B1 (ko) 2005-01-24

Family

ID=2772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230A KR100467822B1 (ko) 2002-02-15 2002-02-15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06979B2 (ko)
EP (1) EP1474489A4 (ko)
JP (1) JP3880965B2 (ko)
KR (1) KR100467822B1 (ko)
CN (1) CN1311035C (ko)
AU (1) AU2003206204A1 (ko)
TW (1) TWI243844B (ko)
WO (1) WO20030688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0283A1 (en) 2007-05-16 2008-11-20 Lg Chem, Ltd.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KR101238616B1 (ko) * 2005-02-14 2013-02-2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하드코팅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770B2 (en) * 2003-03-15 2005-06-14 Cpfilms, Inc Fade protector
TWI406770B (zh) * 2005-02-21 2013-09-01 Dainippon Printing Co Ltd Anti-glare optical laminate
KR100670899B1 (ko) * 2005-08-29 2007-01-17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고해상 방현필름
KR100824325B1 (ko) * 2006-05-26 2008-04-22 요업기술원 실리카 미세 중공구를 포함하는 방현 코팅제, 및 이로부터제조되는 방현 필름
JP5306643B2 (ja) * 2006-12-27 2013-10-02 花王株式会社 光拡散性部材
JP5303836B2 (ja) * 2006-12-28 2013-10-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層用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防眩フィルム
KR100951290B1 (ko) * 2007-05-16 2010-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눈부심 방지 필름
US20100285398A1 (en) * 2007-05-18 2010-1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mper indicating article
US7713349B2 (en) * 2008-01-22 2010-05-11 Ppg Industries Ohio, Inc. Coatings including pigments comprising substrate particles with ultrafine metal oxide particles deposited thereon
EP2325006B1 (en) * 2008-09-08 2015-03-25 Mitsubishi Plastics, Inc. Multilayer polyester film
JP5602999B2 (ja) * 2008-09-27 2014-10-08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防眩性フィルム
JP2010102072A (ja) * 2008-10-23 2010-05-06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10630B2 (ja) 2009-02-27 2014-06-04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2次元的にパターン化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2次元的にパターン化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JP2013505121A (ja) * 2009-09-16 2013-02-14 サン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水の蒸発による透明テクスチャーコーティング
JP2012159691A (ja) * 2011-01-31 2012-08-23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3147358B (zh) * 2011-07-12 2014-10-15 苏州斯迪克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雾面防粘纸的制备方法
WO2013095064A1 (ko) 2011-12-21 2013-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US20130225746A1 (en) * 2012-02-24 2013-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anslucent white polymer composition and its use in glass laminates and other articles
KR101579646B1 (ko) * 2012-05-31 2015-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WO2014204249A1 (ko) 2013-06-19 2014-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CN104640953B (zh) 2013-06-19 2017-04-12 株式会社Lg化学 压敏粘合剂组合物
CN111491997A (zh) * 2017-12-20 2020-08-04 3M创新有限公司 包含具有不同折射率的颗粒的聚合物复合材料
TWI693734B (zh) * 2019-05-16 2020-05-1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防眩膜及具有此防眩膜之偏光板
US11740388B2 (en) * 2020-02-13 2023-08-29 Benq Materials Corporation Anti-glare film and polarizer with the same
WO2023101220A1 (ko)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성 조성물, 보호 필름, 광학 소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17447899B (zh) * 2023-12-26 2024-03-19 广州申威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眩高清低雾涂料、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101A (ja) * 1996-03-15 1997-09-2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H11286083A (ja) * 1998-04-02 1999-10-19 Oike Ind Co Ltd 防眩性フイルム
JP2000180611A (ja) * 1998-12-18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表示装置
KR100405305B1 (ko) * 2000-06-10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8036A (ja) 1982-09-29 1984-04-03 Nitto Electric Ind Co Ltd 防眩効果と耐スクラツチ性にすぐれたシ−トの製造法
FR2602065B1 (fr) * 1986-06-19 1990-01-05 Canon Kk Support electrophotographique photosensible.
JP2811784B2 (ja) * 1988-09-09 1998-10-15 三菱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
BE1003639A3 (fr) * 1989-12-18 1992-05-12 Solvay Masse plastique a base de polyolefine et d'une charge minerale particulaire et structures multicouches constituees a partir de cette masse.
US5073587A (en) * 1990-01-16 1991-12-17 Edwards Bill R Polymer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4110380A (ja) * 1990-08-31 1992-04-10 Sumitomo Cement Co Ltd 紫外線吸収剤
JPH0618706A (ja) 1992-01-24 1994-01-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81306A (ja) 1993-12-21 1995-07-21 Nitto Denko Corp ノングレア層並びにそのシート、偏光板及び楕円偏光板
DE4407321A1 (de) * 1994-03-04 1995-09-07 Blanco Gmbh & Co Kg Kunststofformteile mit einer mit anorganischen Füllstoffen gefüllten Kunststoffmatrix
JP4034365B2 (ja) * 1995-03-09 2008-0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超微粒子含有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6066684A (en) * 1995-07-21 2000-05-23 Mitsubishi Rayon Co., Lt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and optical disk having cured coating thereof
JP3206713B2 (ja) 1995-10-27 2001-09-10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JP3676474B2 (ja) * 1996-01-09 2005-07-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20103A (ja) 1996-07-05 1998-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3507719B2 (ja) * 1998-02-17 2004-03-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素子及び表示装置
US6800378B2 (en) * 1998-02-19 2004-10-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reflection films for use with displays
US6589650B1 (en) * 2000-08-07 2003-07-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cope cover slip materials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95253B1 (en) * 1999-09-17 2002-12-17 Kimoto Co., Ltd. Support film for a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1101A (ja) * 1996-03-15 1997-09-22 Konica Corp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
JPH11286083A (ja) * 1998-04-02 1999-10-19 Oike Ind Co Ltd 防眩性フイルム
JP2000180611A (ja) * 1998-12-18 2000-06-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透過型表示装置
KR100405305B1 (ko) * 2000-06-10 2003-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16B1 (ko) * 2005-02-14 2013-02-28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성 하드코팅필름
WO2008140283A1 (en) 2007-05-16 2008-11-20 Lg Chem, Ltd.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anti-glare film prepa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335A (ko) 2003-08-21
EP1474489A1 (en) 2004-11-10
TW200304480A (en) 2003-10-01
WO2003068876A1 (en) 2003-08-21
JP3880965B2 (ja) 2007-02-14
US7806979B2 (en) 2010-10-05
CN1630695A (zh) 2005-06-22
CN1311035C (zh) 2007-04-18
US20060047035A1 (en) 2006-03-02
TWI243844B (en) 2005-11-21
AU2003206204A1 (en) 2003-09-04
EP1474489A4 (en) 2005-05-11
JP2005517760A (ja)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822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CN101878276B (zh) 具有增强的耐磨性和指纹痕迹可除去性的涂料组合物和涂膜
JP561632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4552480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2984B1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
EP2433992A1 (en) Ultraviolet-curable adhesive agent composite, adhesive agent layer, adhesiv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4213694B (zh) 一种高雾度、低闪点的防眩光膜及其制备方法
JP2007058204A (ja)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432987B1 (ko) 투과도가 우수한 내지문성 방현코팅액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내지문성 방현필름
JP2001205179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得られる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7302116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100383090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방현성 필름용 코팅액 조성물, 그의제조방법, 그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4490622B2 (ja) 防眩フィルム
KR100405305B1 (ko)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JP4501333B2 (ja) 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N114153012B (zh) 一种车载显示用防眩光硬化膜及其制备方法
JPH10128899A (ja) 光拡散機能を有するガラス飛散防止フィルム
JP2005288286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031911B2 (ja) 塗料組成物及び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7214824B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24071136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4099639A (ja) 塗料組成物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23054370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23120474A1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WO2014065531A1 (ko) 방현층 형성용 조성물, 방현 필름, 편광판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