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700B1 -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00B1
KR100462700B1 KR1019960042656A KR19960042656A KR100462700B1 KR 100462700 B1 KR100462700 B1 KR 100462700B1 KR 1019960042656 A KR1019960042656 A KR 1019960042656A KR 19960042656 A KR19960042656 A KR 19960042656A KR 100462700 B1 KR100462700 B1 KR 100462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vable
cavity
clos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216A (ko
Inventor
요시요 야마다
요시노부 타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6004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0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캐버티내에 충전된 열가소성수지의 압력이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품질이 안정된 고정밀도의 제품을 얻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고정형은 기판와, 그 기판에 고정형 및 가동형의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가동형에 충돌하여 닫히는 이동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이동플레이트를 스프링이 이동형의 방향으로 누르고 있다. 기판에는 이동플레이트를 관통한 볼록부가 있고, 이 볼록부가 결합하는 오목부가 가동형에 있으며, 이들 볼록부 및 오목부 사이에 캐버티가 형성된다. 이동형과 가동형 사이의 캐버티로의 러너 및 게이트가 형성된다.
성형시에는, 형체력(型締力)으로 형폐(型閉)하여, 이동플레이트와 가동형이 닫히고, 이동플레이트와 기판이 약간 열린 상태에서, 캐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한다. 이 때, 수지의 압력에 의해 이동플레이트와 기판와의 열림량이 크게되어, 캐버티 내의 수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후, 형체력을 강화하여 이동플레이트와 기판을 닫는다. 이 사이에, 캐버티 내의 수지가 러너로 복귀하여, 볼록부가 오목부에 결합되어 게이트가 닫힌 시점에, 일정량의 수지가 캐버티 내에 남아있다. 이후, 캐버티 내의 수지는 압축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장치 및 사출성형방법
본 발명은, 예컨데 수지 등의 성형재료의 사출성형장치, 및 이 사출성형장치에 이용되는 사출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이트의 차단 및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의 압축을 실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열가소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있어서는, 금형장치 내에 형성된 제품형태의 캐버티 내에 용융된 수지를 충전하고, 이것을 냉각시켜 고체화함으로써 제품을 성형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사출성형에서는, 성형기에 있어서, 계량공정(計量工程), 충전공정 및 압력유지공정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인라인스크류식 성형기를 예로 든다면, 가열실린더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는 스크류를 후퇴시키면서, 용융시킨 수지를 실린더 본체 내의 선단측에 소정량을 담는다(계량공정). 다음에, 스크류를 전진시켜서, 실린더 본체의 선단부의 노즐로부터 금형장치 내로 수지를 사출시켜, 캐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한다(충전공정). 그 후, 스크류에 의해 실린더 본체 내의 수지에 적당한 압력을 부가하여, 냉각에 의한 수축되는 분량의 수지를 캐버티 내에 보충한다(압력유지공정).
한편, 금형장치 내의 캐버티의 용적은 일정하다. 그 결과, 캐버티 내에 충전되는 수지의 압력이나 양은, 기본적으로 성형기측의 제어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때문에, 성형기측의 제어에 오차가 있으면, 그 상태로 캐버티 내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이나 양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차를 해소함에는, 성형기의 스크류 등의 제어를 정밀하게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오차의 발생요인은 온도, 수지자체의 성질의 변화등 다양하다. 예컨데, 스크류로부터 캐버티까지는 긴 수지통로가 있지만, 이 수지통로에 있어서 발생하는 오차가 있으면, 임시로 스크류의 제어를 정밀하게 하여도, 캐버티 내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이나 양에 오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 결과, 성형기의 제어만으로는, 캐버티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해소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종래에 의해 실시되어져 온 사출성형압축에서는, 예컨데 일본국 특개평6-7169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한 후, 금형장치의 일부의 구성부품을 움직이게 하거나, 형체력을 전환하는 등으로 캐버티 자체의 용적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캐버티 내의 수지를 압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캐버티의 용적을 작게 하여 수지를 압축하는 것은 캐버티 내에 충전된 수지의 압력이나 양의 오차를 해소하는 작용을 보유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사출압축성형에서, 수지통로로부터 캐버티로의 게이트를 닫고나서 압축을 실시할 경우, 종래의 금형장치에서는, 게이트를 닫기 위한 수단과 압축을 위한 수단을 별도로 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일본국 특개평6-71698호 공보에 기재된 금형장치에서는, 게이트를 닫기 위한 수단과, 압축을 위한 수단을 공용하고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고정측형 플레이트에 슬리브를 형개폐방향으로 가동하여 조립함과 동시에, 이 슬리브를 스프링에 의해 가동형의 방향으로 눌러서, 캐버티가 고정측형 플레이트의 오목부와 가동측형 플레이트의 볼록부로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우선 약한 형체력을 형폐하여, 가동측형 플레이트와 슬리이브는 접촉하지만, 고정형측 플레이트와 가동형측 플레이트는 약간 열려져 있어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캐버티 내에 수지를 충전한다. 다음에, 체결력을 강화하여 고정측형 플레이트와 가동측형 플레이트를 닫으면, 오목부와 볼록부가 것에 의해 게이트가 닫힘과 동시에, 압축이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기재의 금형장치에서는, 고정측형 플레이트와 가동측형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에 의해 캐버티로의 수지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고정측형 플레이트와 가동측형 플레이트를 닫는 것에 따라, 상기 수지통로 내의 수지는 압축되면서 캐버티 내로 들어가지만, 성형기측으로 복귀해야만 한다. 만약 수지통로 내의 수지가 성형기측으로 복귀하여도, 캐버티의 둘레에서 수지통로 내의 수지가 고정측형 플레이트와 가동측형 플레이트에 의해 압축작용을 받기 때문에, 캐버티 내의 최종적인 수지의 양 및 압력은 불안정한 것으로 된다.
또, 부언하면, 상기 공보에는 고정측형 플레이트와 가동측형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지통로를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개시되지 않았다. 도면의 기재로부터 알 수 있듯이,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금형장치에서는 수지통로 내의 수지가 외부로 새어나온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것으로, 캐버티 내에 충전되는 성형재료의 압력이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개폐하는 형폐시에 서로 간에 캐버티를 구비하는 고정형 및 가동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형은 기판와, 이 기판에 상기 고정형 및 가동형의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가동형에 접촉하여 닫히는 이동플레이트와, 이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기판에 대하여 상기 가동형의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편향수단을 보유하고, 상기 가동형과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닫힌 형태에서 이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기판이 개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캐버티의 용적이 변화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기판이 닫히는 것에 따라, 재료통로로부터 상기 캐버티로의 게이트가 닫히는 구성으로 한 금형장치를 이용한다.
또, 가소형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금형장치의 상기 재료통로로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상기 금형장치의 상기 고정형 및 상기 가동형을 개폐시키고, 또 형체력을 조정가능한 형체장치를 사용한다.
그리고, 약한 형체력으로 상기 고정형과 상기 가동형을 형폐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형이 닫히는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기판이 닫힌 형태에서, 상기 재료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금형장치의 상기 재료통로로 성형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캐버티 내에 충전한다(충전공정). 이때, 상기 금형장치내의 성형재료의 압력과 형체력 등의 균형에 의해, 상기 기판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형이 변위하여, 상기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이 조정된다(조압공정).
상기 재료공급장치에서의 성형재료의 공급정지 후, 형체력을 강화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닫는다. 이 사이에, 우선 상기 캐버티측의 성형재료가 상기 재료공급장치측으로 복귀하여, 상기 게이트가 닫힌 시점에서 상기 캐버티 내로 일정량의 성형재료가 남고(계량공정), 그 후, 상기 기판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서로 충돌할 때까지 닫히고, 상기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가 압축된다(압축공정).
상기 압축공정에 의해, 재료공급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성형재료의 양의 오차가 있어도, 기판에 대하여 이동 플레이트 및 가동형이 변위하는 것에 의해 오차가 흡수되고,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은 일정하게 된다. 한편, 조압공정이 종료한 시점에서, 캐버티측의 성형재료의 양은 일정하지 않지만, 그 후의 계량공정에 있어서, 기판과 이동 플레이트가 닫히는 것에 따라, 캐버티측의 성형재료가 재료공급장치측으로 복귀하고, 게이트가 닫힌 시점에서, 캐버티측내에는 일정량의 성형재료가 남아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압공정 및 계량공정에 의해, 캐버티측으로 충전되는 성형재료의 압력 및 양이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제어된다. 그 결과, 품질이 안정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게이트가 닫힌 후,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는 압축되는 것으로, 성형재료의 고체화에 따라 수축이 보상되고, 이 보상 때문에, 재료공급장치측으로 압력유지제어를 실시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
상기 금형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가능하다. 예컨데, 상기 기판은 오목부를 일체적으로 보유하고, 상기 가동형은 상기 고정형의 오목부가 삽입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를 보유하고, 이들 오목부 및 볼록부에 의해 상기 캐버티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오목부에 결합된 상기 볼록부에 의해 닫히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재료통로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형와의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이, 스프링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편향수단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미는 힘은, 상기 재료통로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형의 닫힌 형태가 유지되는 힘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재료통로가 이동 플레이트와 가동형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 기판에 추가하여, 결국 조압에 관한 성형재료의 압력은 캐버티에 있어서만 기판에 추가되고, 캐버티를 기준으로 조압이 이루어진다. 한편, 재료통로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은, 이동 플레이트와 가동형을 닫도록 작용하지만, 그 압력에는 편향수단이 저항하고, 이동 플레이트와 가동형이 닫힌 형태로 유지된다. 또, 계량공정에 있어서는, 재료통로의 용적이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가 원활하게 재료통로로 복귀하며,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결과, 조압과 계량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금형장치는, 상기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캐버티로부터 차단되는 오버플로우부를 상기 캐버티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보유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데, 상기 오목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상기 볼록부를 둘러싸서, 상기 재료통로 및 게이트와 함께 상기 오버플로우부를 형성하는 주변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은 오버플로우부가 있으면, 충전가공시, 캐버티의 주변부로부터 오버플로우부에 가스 및 성형재료가 유출하는 것에 의해, 캐버티의 주변부에 있어서 성형재료의 유동성이 향상하고, 캐버티의 주변부까지 원활하게 또한 양호하게 성형재료가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성형되는 제품의 주변부에서의 치수 등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후 계량공정에서는,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는, 게이트를 통해서 재료통로측으로 복귀하고, 또는, 더욱이 오버플로우부로 유출한다. 그리고, 게이트가 닫히고, 또한, 오버플로우부와 캐버티가 서로 차단된 후는, 캐버티 내의 성형재료가 압축된다.
또, 오버플로우부에 의해, 캐버티의 주변부에서의 성형재료의 냉각이 지연된다. 이것에 의해, 계량공정 때에, 캐버티로부터 재료통로 또는 오버플로우부로 성형재료가 보다 한층 원활하게 유출함과 동시에, 압축공정을 실시하는 형폐의 동작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서부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열가소성수지를 성형재료로 하는 사출성형에 응용한 것으로,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인라인스크류식의 사출성형기를 사용한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재료공급장치에 있는 가열실린더장치이다. 이 가열실린더장치(1)는 대략 원통형상의 실린더본체(2)를 보유하고 있다. 이 실린더본체(2)에는, 가열용 히터(3)가 외주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노즐(4)이 선단부(도면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린더본체(2)의 후부상측에는 호퍼(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본체(2)내에는, 스크류(6)가 회전가능하면서 축방향(도면의 우측방향에 표시)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스크류(6)의 후측에는, 유압실린더(11)의 피스톤로드(12)가 고정되어 연결하고 있다. 즉, 이 유압실린더(11)는 스크류(6)를 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또, 스크류(6)는, 전동서보모터(13)에 의해 회동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서보모터(13)로부터 스크류(6)에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피스톤로드(12)의 외주에 고정된 스플라인통(14)에, 회전전달용 기어(15)가 스플라인 결합된다. 즉, 기어(15)는 스크류(6)에 대하여 회전방지 되어있지만, 축방향으로는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참조부호 21은 직압식의 형체장치로서, 이 형체장치(21)는, 고정측 플레튼(platen)(22) 및 가동측 플레튼(23)을 보유하고 있다. 이 가동측 플레튼(23)은, 타이바(tie bar)(24)을 라서 도면에 표시한 좌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유압실린더(25)에 의해 형체용 램(26)을 개재하여 구동되는 것이다. 이 유압실린더(25)는, 서보밸브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제어장치(27)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형체력을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측 플레튼(22)에는, 금형장치 중의 고정형(32)이 부착되고, 가동측 플레톤(23)에는 동일한 가동형(33)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형체장치(21) 및 가열실린더장치(1)는,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금형장치(31)의 구성을 도 1에서부터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1에서부터 도 6에 있어서, 굵은선의 해칭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수지이다. 고정형(32) 및 가동형인 가동형(33)은, 가동측 플레튼(23)의 이동에 의해 서로 개폐하고, 형폐시에 서로 간에 제품형상의 캐버티(34)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성형되는 제품은 원통형상의 롤러(101)이며, 그 축방향이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의 형개폐방향으로 일치시키고 있다.
상기 고정형(32)은, 고정측 플레튼(23)에 부착되는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와, 이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의 가동형(33) 측의 면에 고정된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를 보유하고 있고,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 및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으로 기판(38)이 구성되어 있다. 또,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에는 로케이션 링(39) 및 4각부시(40)가 고정되어 있다. 이 4각부시(40)는, 가열실린더장치(1)의 노즐(4)이 접속되어 있으며, 4각부시(40)의 내부에는 재료통로인 스풀(41)이 제공되고,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를 관통하여 가동형(33)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의 가동형(33)측에는, 이동 플레이트(46)가 상기 형개폐방향으로 소정범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를 위해,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의 가동형(33)측으로 스토퍼(48)와 아울러, 볼트(49)에 의해 고정된 슬리이브(50)가 이동플레이트(46)을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관통하고 있다. 또, 스토퍼(48)는, 가동형(33)측으로부터 이동플레이트(4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 이동플레이트(46)과 기판(38)와의 사이의 최대간극, 즉 최대열림량을 규제한다. 또,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와 이동플레이트(46)와의 사이에 압축형태로 끼워진 편향수단인 스프링(51)에 의해, 이동플레이트(46)는 기판(38)에 대하여 가동형(33)의 방향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4각부시(40)의 선단부가 이동플레이트(46)에 형성된 관통구멍(52)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기판(38)에는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와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에 의해 끼워져서 슬리이브(56)가 고정되어 있지만, 이 슬리이브(56)는 고정측 받침플레이트(37)를 관통하여 가동형(33)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슬리이브(56)의 선단측은 이동플레이트(46)에 형성된 관통구멍(57)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이브(56)의 선단부는, 이동플레이트(46) 보다도 가동형(33)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58)를 보유하지 않는다.
상기 가동형(33)은, 가동측 플레튼(23)에 부착되는 가동측 부착플레이트(61)와, 이 가동측 부착플레이트(61)의 고정형(32)측의 면에 스페이서블럭(62)을 개재하여 고정된 가동측 받침플레이트(63)와, 이 가동측 받침플레이트(63)의 고정형(32)측의 면에 고정된 가동측형 플레이트(64)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동측형 플레이트(64)는, 상기 고정형(32)의 이동플레이트(46)에 접촉되어 닫히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 가동측 플레이트(64) 및 이동플레이트(46)의 서로의 안내를 위해, 이동플레이트(46)에는 가이드핀(66)이 고정되어 있고, 가동측형 플레이트(64)에는, 가이드핀(66)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관통구멍(67)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가동측형 플레이트(64)에는, 상기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삽입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측형 플레이트(64)내에 매립되어 고정된 코어(72)에 형성된 핀부(73)가 볼록부(71)내에 동축적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핀부(73)는, 상기 고정형(32)의 오목부(58)를 형성하는 슬리이브(56)내에 삽입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볼록부(58)와 볼록부(71)와의 결합면 및 핀부(73)와 슬리이브(56)와의 결합면은, 형개폐방향과 평행한 주면(柱面)을 이루고, 또한, 성형되는 롤러(101)에 버(burr)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간의 극간은 거의 없다. 그리고, 최종적인 제품형태의 캐버티(34)는, 볼록부(58)와 오목부(71)에 의해 형성하고 되어 있다. 즉, 볼록부(58)의 선단면이 롤러(101)의 일단면을 형성하고, 오목부(71)의 저면이 롤러(101)의 타단면을 형성하며, 오목부(71)의 내주면이 롤러(101)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핀부(73)가 롤러(101)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또, 닫힌 고정형(32)의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의 가동측형 플레이트(64)와의 사이에는 상기 스풀(41)을 캐버티(34)로 연통시키는 재료통로인 러너(76) 및 게이트(77)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46)의 가동형(33)측의 면에는, 볼록부(58)를 둘러싼 원고리형상의 주변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캐버티(34)의 전체 둘레에 따라서 오버플로우부(78)가 형성된다. 이 오버플로우부(78)는, 상기 러너(76)에 연통하고 있고, 이 러너(76)의 일부 및 이 러너(76)로부터 캐버티(34)로의 게이트(77)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게이트(77)는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가동형(33)의 볼록부(71)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닫힌다. 또, 스프링(51)이 이동플레이트(46)를 미는 힘은 러너(76)내의 수지의 압력에 대하여 이동플레이트(46)와 고정형(33)이 닫힌 형태가 유지되는 힘으로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가동측 부착플레이트(61)와 가동측 받침플레이트(63)와의 사이에는 인젝터 플레이트(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형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인젝터 플레이트에는 성형된 롤러(101)를 돌출하는 제품인 젝터핀(82)과 러너(76)내에서 고체화된 수지를 돌출시키는 러너 인젝터 핀(83)이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가열실린더장치(1), 형체장치(21) 및 금형장치(31)에 의해, 컴퓨터 등의 제어장치와 아울러, 이하에 설명하는 충전공정을 실시하는 충전제어수단, 조압공정을 실시하는 조압제어수단, 계량공정을 실시하는 계량제어수단 및 압축공정을 실시하는 압축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 사출성형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열실린더장치(1)에 있어서는, 가소화공정과 사출공정이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가소화공정에서는, 호퍼(5)로부터 실린더본체(1)내에 공급된 열가소성수지가 히터(3)에 의한 가열과 스크류(6)의 회전에 의한 혼련(混練)에 의해 용융되어 가소화된다. 이 가소화와 동시에 수지는 스크류(6)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보내지고, 실린더본체(1)내의 선단측에 담겨진다. 이것에 따라, 스크류(6)는 수지의 압력에 의해 후퇴한다. 또, 가소화공정중에도, 압축실린더(11)에 의해 스크류(6)에는 전방으로의 적당한 배압(背壓)이 작용되어 있다. 스크류(6)가 소정위치까지 후퇴한 것이 검출되면, 압축실린더(11)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6)가 전진하여 실린더본체(1)내의 선단측 수지가 노즐(4)로부터 사출되어 금형장치(31)의 스풀(41)로 공급된다. 스크류(6)가 소정위치까지 전진한 것이 검출되면, 또는, 스크류가 기계적인 전진한도까지 전진하면, 가소화공정이 반복된다.
형체장치(21)는, 우선 약한 일정한 형체력으로 고정형(32)과 가동형(33)을 형폐한다. 이때,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형(32)의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이 접촉되어서 닫힌다. 한편, 고정형(32)의 기체(38)와 이동플레이트(46)은 초기닫힘량(A1)을 가지고 열고 있지만, 스토퍼(48)는 이동플레이트(46)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즉, 형체력과 스프링(51)의 힘이 결합되어 있다. 또, 고정형(32)의 볼록부(58)는 가동형(33)의 오목부(71)에 결합되어 있지 않고, 열린 게이트(77)에 의해 러너(76)와 캐버티(34)가 연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열실린더장치(1)로부터 스풀(41)로 수지를 사출한다. 이 수지는 스풀(41)로부터 러너(76) 및 게이트(77)를 통하여 캐버티(34)내에 충전된다(충전공정).
캐버티(34)내가 수지로 가득 채운 후에도, 가열실린더장치(1)에 있어서는, 스크류(6)가 소정위치까지 전진한 것이 검출되기까지, 또는, 스크류(6)가 전진한도까지 전진하기까지 사출공정이 계속되어, 가열실린더(1)로부터 금형장치(31)로의 수지의 공급이 여전히 계속된다. 그 사이, 형체력은 약한 채이다. 그 때문에, 금형장치(31)내의 수지의 압력에 의해,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5)에서의 오일의 출입이 정지되지 않고 형체장치(21)가 부여하고 있는 형체력에 대항해서, 고정형(32)의 기판(38)에 대한 이동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이 열림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기판(38)와 이동플레이트(46) 사이의 확대된 열림량(A2)은 금형장치(31)내의 수지의 압력과 형체력과의 균형에 의해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형체력과, 스프링(51)의 힘 및 금형장치(31)내의 수지가 이동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을 후퇴시키는 힘과의 결합에 의하여 열림량(A2)이 결정된다. 이 열림량(A2)은, 금형장치(31)내에 보다 많은 수지가 공급되도록 크게 된다. 환언하면, 가열실린더장치(1)로부터 공급되는 수지의 양에 오차가 있어도, 상기 열림량의 변화에 의해 오차가 흡수되고, 캐버티(34)내의 수지의 압력이 조정되어 일정하게 된다(조압공정). 이와 같이 하여, 캐버티(34)내의 수지의 압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열림량(A1)에서부터 (A2)가 크게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51)의 힘은 약간 약하게 되고, 또, 가동형(33)과 함께 형체용 램(26)이 복귀되는 것에 의해 압력실린더(25)가 부여하는 형체력도 약간 변화하게 되지만, 이들 스프링(51)의 힘이나, 형체력의 변화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것이다. 즉, 이동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의 변위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스프링(51)의 힘이나 형체력과 결합하는 수지의 압력의 불균형은, 일정한 용적의 캐버티에 다른 양의 수지를 충전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압력의 불균형에 비하면, 매우 작다.
또, 상기 조압공정에 있어서, 고정형(32)의 기판(38)와 이동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을 열도록 작용하는 수지의 압력은, 고정형(32)에 대해서는 형개폐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38)에 작용하는 압력이다. 이것이 조압에 관한 압력이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의 금형장치(31)에서는 러너(76)를 고정형(32)의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과의 사이에 형성한 것으로, 기판(38)과 이동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을 열도록 작용하는 수지의 압력은 대략 캐버티(34)만에 있어서 기체(38)에 작용한다(정확하게는, 4각부시(40)를 포함한다). 그 결과, 캐버티(34)를 기준으로 조압이 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러너(76)의 수지의 압력은,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을 열도록 작용하지만, 러너(76)내의 수지의 압력에는 스프링(51)의 힘이 대항하고,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다음의 계량공정에서도 동일하다.
조압공정의 완료 후, 형체장치(21)는 형체력을 강화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형(32)의 기판(38)과 이동플레이트(46)가 닫힌다. 이것에 따라, 캐버티(34)내의 남은 수지는 계속 열려있는 게이트(77)로부터 러너(76)로 복귀하고, 또는, 더욱 오버플로우부(78)로 유출하고, 금형장치(31)내의 수지는 가열실린더(1)의 실린더본체(2)내에 복귀한다. 스크류(6)는 복귀되는 수지의 양만큼 후퇴된다. 그리고,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가동형(33)의 오목부(71)로 결합시작되면, 게이트(77)가 열림과 동시에, 오버프로우부(78)에서부터 캐버티(34)가 차단되고, 이 시점에서, 캐버티(34)내에 일정량의 수지가 남는다(계량공정).
계량공정 후,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형(32)의 기판(38)과 이동플레이트(46)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닫히고, 이것에 따라, 캐버티(34)내의 수지가 가압되어 압축된다(압축공정). 이 압축량(B)는 계량공정의 종료시점에서의 기판(38)과 이동플레이트(46)와의 열림량(A3)과 동일하다.
상기 조압공정이 완료한 시점에는, 캐버티(34)의 용적, 즉 캐버티(34)내의 수지의 양은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그 후의 계량공정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캐버티(34)내의 수지가 러너(76)로 복귀하고, 게이트(77)가 닫힌 순간에는, 캐버티(34)내에 일정량의 수지가 남는다. 이와 같이, 조압공정 및 계량공정에 의해, 캐버티(34)내에 충전되는 수지의 압력 및 양이 정확하게 제어된다.
그 결과, 금형장치(31)에 있어서, 러너(76)를 고정형(32)의 이동플레이트(46)와 가동형(33)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계량공정에 있어서, 러너(76)의 용적은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적이 작게 되어 있는 캐버티(34)로부터 러너(76)로 수지가 원활하게 복귀하고, 캐버티(34)내의 수지의 압력이 정확히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함께, 형폐의 동작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이동플레이트(46)에, 볼록부(58)를 둘러싸서, 러너(76)의 일부 및 게이트(77)를 형성하는 오버플로우부(78)를 형성한 것으로, 게이트(77)를 포함하는 캐버티(34)의 주변부의 냉각이 지연되고, 이것에 의해, 계량공정시에 캐버티(34)로부터 러너(76)로 수지가 보다 더욱 원활하게 복귀한다. 이것에 대하여, 만약 오버플로우부(78)가 없고, 게이트가 단순한 사이드게이트로 되어 있다면, 일반적으로 캐버티 내의 수지의 냉각, 고착화는 캐버티의 주변부의 가까운 위치가 보다 신속하게 전진되므로, 캐버티로부터 러너로 수지가 원활하게 복귀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상기 오버플로우부(78)의 효과를 충분하게 나타내는 것에는, 오버플로우부(78)를 롤러(101)의 두께에 걸맞는 크기로 할 필요가 있다.
형폐에 따라 게이트(77)가 닫힌 후에는 압축공정으로 되어서, 캐버티(34)내의 수지는 압축되지만, 계량공정에 있어서, 캐버티(34)내에 일정의 압력으로 일정량의 남게 됨으로써 압축도 원활하게 실시된다. 그리고, 압축에 의해 수지의 냉각에 의한 고체화에 따른 수축이 보상된다. 이 결과, 이 보상을 위해 가열 실린더장치(1)측으로 압력유지공정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물론, 압축에는, 캐버티(34)내의 수지의 고체화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있다.
그리고, 캐버티(34)내의 수지가 충분하게 냉각되어 고체화 한 후, 형체장치(21)에 의해 고정형(32)과 가동형(33)이 형폐된다. 이것에 따라, 캐버티(34)내의 수지, 즉 롤러(101)와 러너(76) 및 스풀(41)내에서 고체화된 수지는 우선 고정형(32)으로부터 이탈된다. 계속해서, 형체장치(21)측에 설치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인젝터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러너인젝터핀(83)이 러너(76) 및 스풀(41)내에서 고체화한 수지를 돌출하여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離型)시킴과 동시에, 제품인젝터핀(82)이 롤러(101)를 돌출하여 가동형(33)으로부터 이형시킨다. 더욱이, 러너(76) 및 스풀(41)내에서 고체화한 수지 및 롤러(101)가 취출된 후, 형폐가 다시 실시되어, 이상의 공정이 반복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성형되는 제품이 롤러(101)이지만, 본 발명은, 각종 제품의 성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 표시하는 제2실시예는,매니즈커스(maniscus)형 광학렌즈(102)의 성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고, 도 9에 표시하는 제3실시예는, IC카드의 기판(103)의 성형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또, 앞서 설명한 도 1에서부터 도 7에 표시하는 제1실시예의 금형장치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8 및 도 9에는, 캐버티(34)근방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금형장치 전체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금형장치와 동일하다. 또, 도 10에는, 성형되는 IC카드의 기판(103)을 표시하고 있다. 이 IC카드의 기판(103)은, 얇은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한쪽의 면에는 오목부형상의 IC칩장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102)나 IC카드의 기판(103)은, 관통구멍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금형장치에는, 제1실시예의 금형장치의 슬리이브(56)를 중실(中實)한 핀형상 혹은 블록형상의 입자(86)로 대신하고 있고, 이 입자(86)와 가동형(33)의 코어(72)가 서로 결합하는 것은 없다. 성형방법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또, 도 8 및 도 9는, 압축공정이 완료하여, 가동형(33)의 오목부(71)에 결합한 입자(86)의 선단부의 볼록부(58)에 의해 게이트(77)가 닫힌 형태를 표시하고 있지만, 도 8 및 도 9에 2점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은 충전공정, 조압공정 또는 계량공정으로 게이트(77)가 열려져 있을 때의 입자(86)의 위치이다.
본 발명은, 렌즈(102)와 같은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제품의 성형에 적당한 것이고, 렌즈(102)의 광학적 특성도 향상시킨다. 또, 렌즈(102)나 IC카드의 기판(103)과 같은 비교적 얇은 두께의 제품에는 오버플로우부(78)가 특히 효과적이다. 통상의 사출성형에는, 게이트로부터 캐버티 내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을 때, 캐버티의 주변부에서는 실행이 정지되기 때문에 수지의 충전성이 악화된다. 또, 수지의 흐름의 선단부는 냉각에 의한 고체화가 신속하게 진행되는 것에서도 불충분한 충전에까지 이르지 않아도, 잔류응력의 왜곡 등에 의해 제품특성이 악화되거나 한다. 예컨데, 제품의 주변부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도 약간 두껍게 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더욱이, 사출성형에 있어서는, 캐버티 내에 수지를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따라서, 이 캐버티 내의 가스(공기 및 수지의 가스)를 뽑아내야만 하기 때문에, 예컨데, 고정형과 가동형과의 접촉면에 가스밴트로 하여 미소한 간극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 가스밴트는, 간극치수를 지나치게 크게 설정하면 버가 발생하고, 한편, 간극치수를 지나치게 작게 설정하면 충전불량을 초래하는 문제를 발생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충정공정 때에, 캐버티(34)로부터 오버플로우부(78)에 가스 및 수지가 유출하는 것에 의해, 확실하게 가스밴트가 발생함과 동시에, 캐버티(34)의 주변부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성이 향상하는 것에 의해, 캐버티(34)의 주변부까지 양호하게 수지가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제품의 주변부의 잔류응력의 왜곡을 저감할 수 있고, 제품의 주변부의 치수 등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구나, 오버플로우부(78)는,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가동형(33)의 오목부(71)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최종적으로 캐버티(34)로부터 차단되는 것으로, 제품에 버가 발생하도록 한 것도 아니다.
더욱이, 도 11에서부터 도 15에 표시하는 제4실시예는 문방구의 롤러펜의 선금(先金)으로서 이용되는 롤러홀더(106)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롤러홀더(106)는, 원통형상의 본체부(107)를 하부에 보유하고, 이 본체부(107)의 상단부로부터 지름방향 안쪽에 굴곡한 단차부(108)를 보유함과 동시에, 이 단차부(108)의 내주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얇은 통형상의 테이퍼부(109)를 보유하고 있다. 또, 이 테이퍼부(109)의 내측에는, 이것을 지름방향으로 횡으로 절단하는 브지리부(110)를 보유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보유하는 롤러홀더(106)를 통상의 사출성형에 의해 성형한 경우, 특히 얇은 테이퍼부(109) 등으로는 충전불량을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냉각에 의한 수축에 의해 특히 브리지부(110)가 나사로 결합되어 있는 부분에서 테이퍼부(109)의 외면에 싱크마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롤러홀더(106)를 형성하는 본 제4실시예의 금형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실시예의 금형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실시예의 금형장치에서는, 슬리이브(56)의 선단부의 내측에 롤러홀더(106)의 테이퍼부(109)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품형성면(9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리이브(56)의 내면에는 제품형성면(91)에 연속하는 구멍부(92)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기판(38)에는 고정측 부착플레이트(36)와 슬리이브(56)에 의해 끼워져서 핀(93)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93)의 선단부에는 돌편부(94)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돌편부(94)는, 상기 슬리이브(56)의 구멍부(92)내에 삽입되어 있다.
한편, 가동형(33)의 코어(72)에는, 오목부(71)내를 동축적으로 관통하여 고정형(32)의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96)는 그 외면에 의해 테이퍼부(109)를 포함한 롤러홀더(106)의 내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돌출부(96)의 선단부는 형폐시에 상기 고정형(32)의 슬리이브(56)의 구멍부(92)에 결합되는 결합부(97)가 된다. 또, 이 결합부(97)를 포함한 돌출부(96)의 선단측에는 슬리트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부(98)는, 돌출부(96)의 한 쌍의 측면 및 선단면으로 뽑아져 있고, 형폐시에 상기 고정형(32)의 핀(93)의 돌편부(94)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돌출부(96)는, 성형되는 롤러홀더(106)의 테이퍼부(109) 내를 관통하고, 이 테이퍼부(109)의 선단개구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58)와 오목부(71)의 결합면, 구멍부(92)와 결합부(97)와의 결합면 및 돌편부(94)와 슬릿부(98)와의 결합면은, 형개폐방향과 평행한 주면을 이루고 있고, 또한, 성형되는 롤러홀더(106)에 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서로 간에 간극은 거의 없다.
이 금형장치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도, 상기 제1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우선 비교적 약한 형체력으로 형폐하여 충전을 실시하지만, 이 때는,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가동형의 오목부(71)에 결합하지 않고, 열린 게이트(77)로부터 캐버티(34)내에 수지가 충전된다. 조압공정을 포함한 충전공정의 완료 후, 형체력이 강화되면, 고정형(32)의 기판(38)과 이동 플레이트(46)이 닫혀있지만, 이것에 따라, 캐버티(34)내의 남은 수지가 러너(76)의 방향으로 복귀하고,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58)가 오목부(71)가 닫힌 후는, 캐버티(34)의 수지가 압축된다.
이 성형에 있어서, 고정형(32)의 슬리이브(56)의 제품성형면(91)이 롤러홀더(106)의 단차부(108)의 상면 및 테이퍼부(109)의 외면을 형성하고, 고정형(32)의 핀(93)의 돌편부(94)가 브리지부(110)의 상단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가동형(33)의 오목부(71)가 본체부(107) 외면을 형성하고, 가동형(33)의 돌출부(96)가 롤러홀더(106)의 내면과 브리지부(110)의 한 쌍의 측면 및 하단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롤러홀더(106)의 테이퍼부(109)는 형개폐방향에 대하여 경사하고 있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테이퍼부(109)는 얇은 것으로 하여도, 충전공정 및 조압공정에 있어서는, 고정형(32) 및 가동형(33)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09)를 형성하는 면은 서로 크게 이탈하는 것으로 되어, 그 결과, 캐버티(34)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09)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수지가 원활하게 유입되어, 충전불량을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압축공정에 있어서, 슬리이브(56)가 테이퍼부(109)를 압축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테이퍼부(109)를 불량하지 않게 확실하게 성형할 수 있고, 브리지부(110)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부분에서 테이퍼부(109)의 외면에 싱크마크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일도 없다. 결국, 형개폐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테이퍼부(109)에는 본체부(107)보다도 강한 압축이 작용한다. 또, 가동형(33)에는 테이퍼부(109)내를 관통하는 돌출부(96)와 브리지부(110)를 내려서 둘러싸는 슬릿부(98)를 설치하고, 고정형(32)에는 그 기판(38)과 일체적으로 돌출부(96)가 결합하는 구멍부(92)와, 슬릿부(98)에 결합하는 돌편부(94)를 설치한 것으로, 브리지부(110)를 포함하여 테이퍼부(109) 전체에 압축을 작용하도록 한다.
다른 것에도, 본 발명은 샤프펜슬의 선금 등, 각종 제품의 성형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라인스크류식의 사출성형기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성형기에는 플런저 방식의 성형기등 다양한 성형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형체장치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직압식 형체장치 뿐 만 아니라 토글(toggle)식 형체장치등 다양한 형체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형체장치의 구동원도, 유압실린더에 한정하지 않고, 전동모우터 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금형장치도 상기 실시예의 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데, 이동 플레이트를 밀어붙이는 편향수단으로는 스프링 외에 인젝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열가소성수지의 사출성형을 예로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열가소성수지를 바인더로 하여 사용되는 세라믹스의 사출성형이나 사출성형분말치금법, 또는, 열경화성수지의 사출성형 등, 각종 성형재료의 사출성형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캐버티 내에 충전되는 성형재료의 압력이나 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롤러의 성형에 적용된 제1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충전공정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와 동일한 금형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조압공정을 표시한다.
도 3은, 도 1과 동일한 금형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계량공정을 표시한다.
도 4는, 도 1과 동일한 금형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압축공정을 표시한다.
도 5는, 도 4의 금형장치의 캐버티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금형장치의 돌출부 근방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장치전체의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렌즈의 성형에 적용한 제2실시예에 이용되는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을 IC카드의 기판의 성형에 적용한 제3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IC카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을 롤러홀더의 성형에 적용한 제4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충전가공시를 표시하고 있다.
도 12는, 도 11과 동일한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계량공정을 표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1과 동일한 금형장치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압축공정을 표시하고 있고, 도 11 및 도 12와 단면은 90°다르다.
도 14는, 도 11로부터 도 13에 표시하는 금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롤러홀더를 표시하는 정면도로서, 양분한 단면이 표시되어 있다.
도 15는, 도 14에 표시하는 롤러홀더의 측면도로서, 양분한 단면이 표시되어 있다.

Claims (5)

  1. 서로 개폐하여 형폐시에 서로 간에 캐버티(34)를 형성하는 고정형(32) 및 가동형(33)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형(32)은 기판(38)과, 상기 기판(38)에 상기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의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동형(33)에 접촉되어 닫히는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상기 기판(38)에 대하여 상기 가동형(33)의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편향수단과, 상기 기판(38)은 상기 고정형(32)의 블록부(58)가 삽입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71)를 구비하고, 이들 오목부(71)와 볼록부(58)에 의해 상기 캐버티(3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가동형(33) 사이에 재료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재료통로로부터 상기 캐버티(34)로의 게이트(77)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77)는 상기 기판(38)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46)가 닫혀지면, 상기 오목부(71)에 결합된 상기 볼록부(58)에 의해 닫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장치(31)와,
    가소형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금형장치(31)의 상기 재료통로로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상기 금형장치(31)의 상기 고정형(32) 및 상기 가동형(33)를 개폐시키고, 또 형체력을 조정가능한 형체장치(21)와,
    약한 형체력으로 상기 고정형(32)과 상기 가동형(33)을 형폐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가동형(33)이 닫히는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기판(38)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재료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금형장치(31)의 상기 재료통로로 성형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캐버티(34) 내로 충전하는 충전제어수단과,
    상기 충전제어수단에 의한 충전시, 형체력과 상기 편향수단의 힘 및 상기 금형장치(31)내의 수지가 이동 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을 후퇴시키는 힘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판(38)에 대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46) 및 상기 가동형(33)을 변위시켜서, 상기 캐버티(34)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을 조정하는 조압제어수단과,
    상기 조압제어수단에 의한 조압 후, 형체력을 강화하여 상기 기판(38)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닫고, 상기 캐버티(34)측의 성형재료를 상기 재료공급장치측으로 복귀시켜, 상기 게이트(77)가 닫힌 시점에서 상기 캐버티(34) 내로 일정량의 성형재료를 남기는 계량제어수단과,
    상기 계량제어수단에 의한 계량제어 후, 상기 기판(38)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서로 접촉시킬 때까지 닫고, 결합상태의 상기 볼록부(71) 및 오목부(58)에 의해 상기 캐버티(34) 내의 성형재료를 압축하는 압축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71)에 상기 볼록부(58)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캐버티(34)로부터 차단되는 오버플로우부(78)를 상기 캐버티(34)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58)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에 상기 볼록부(58)를 둘러싸서, 상기 재료통로 및 상기 게이트(77)와 아울러 상기 오버플로우부(78)를 형성하는 주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수단이 스프링(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5. 서로 개폐하여 형폐시에 서로 간에 캐버티(34)를 형성하는 고정형(32) 및 가동형(32)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형(32)는 기판(38)과, 이 기판(38)에 상기 고정형(32) 및 가동형(33)의 개폐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동형(33)에 접촉되어 닫히는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상기 기판(38)에 대하여 상기 가동형(33)의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편향수단과, 상기 기판(38)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볼록부(58)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형(33)은 상기 고정형(32)의 볼록부(58)가 삽입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71)를 구비하고, 이들 오목부(71)와 볼록부(58)에 의해 상기 캐버티(3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가동형(33) 사이에 재료통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재료통로로부터 상기 캐버티(34)로의 게이트(77)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77)는 상기 오목부(71)에 결합된 상기 볼록부(58)에 의해 닫혀지는 구성을 한 금형장치(31)와,
    가소상태의 성형재료를 상기 금형장치(31)의 상기 재료통로로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와,
    상기 금형장치(31)의 고정형(32) 및 가동형(33)를 개폐시키고, 또한 형체력을 조정가능한 형체장치(21)를 사용하고,
    약한 형체력으로 고정형(32)과 가동형(33)을 형폐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가동형(33)이 닫히는 한편, 상기 이동 플레이트(46)와 상기 기판(38)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재료공급장치로부터 상기 금형장치(31)의 상기 재료통로로 성형재료를 공급하여 상기 캐버티(34) 내로 충전하고,
    이 때, 형체력과 상기 편향수단의 힘 및 상기 금형장치(31)내의 수지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46) 및 가동형(33)을 후퇴시키는 힘의 결합에 의해, 상기 기판(38)에 대하여 상기 이동 플레이트(46) 및 상기 가동형(33)을 변위시켜서, 상기 캐버티(34) 내의 성형재료의 압력을 조정하고,
    상기 재료공급장치로부터의 성형재료의 공급정지 후, 형체력을 강화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닫고,
    그 사이에, 먼저 상기 케버티(34)측의 성형재료를 상기 재료공급장치측으로 복귀시켜, 상기 게이트(77)가 닫힌 시점에서 상기 캐버티(34) 내에 일정량의 성형재료를 남긴 후, 상기 기판(38)과 상기 이동 플레이트(46)를 서로 접촉될 때까지 닫고, 결합상태의 상기 블록부(58)와 상기 오목부(71)에 의해 상기 캐버티(34)내의 성형재료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방법.
KR1019960042656A 1996-09-25 1996-09-25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KR10046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56A KR100462700B1 (ko) 1996-09-25 1996-09-25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56A KR100462700B1 (ko) 1996-09-25 1996-09-25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16A KR19980023216A (ko) 1998-07-06
KR100462700B1 true KR100462700B1 (ko) 2006-03-30

Family

ID=4173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56A KR100462700B1 (ko) 1996-09-25 1996-09-25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860B1 (ko) * 2009-03-26 2011-09-02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고배율 cctv 투명반구용 금형을 이용한 투명반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349A (ko) * 2001-10-22 2003-05-09 (주)누리텍 아이엔씨 밸브바디 성형용 금형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021A (ja) * 1983-06-28 1985-01-16 Tekunopurasu:Kk 圧縮成形方法
JPS62103121A (ja) * 1985-10-30 1987-05-13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
JPH01209119A (ja) * 1988-02-18 1989-08-22 Fujitsu Ltd モールド成形用金型
JPH02139211A (ja) * 1988-11-21 1990-05-29 Nishikawa Kasei Kk 凹凸模様を有するrim製品の成形方法
KR910002392Y1 (ko) * 1988-10-11 1991-04-11 이석주 전동식 자동차 세차기
JPH0671698A (ja) * 1992-08-25 1994-03-15 Yoshio Yamada 射出成形用金型
JPH06226806A (ja) * 1993-01-29 1994-08-16 Mitsubishi Materials Corp 射出成形方法
JPH06297513A (ja) * 1993-04-12 1994-10-25 Sankyo Kasei Co Ltd 樹脂成形法並びに樹脂成形機
US5415817A (en) * 1993-10-22 1995-05-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molding plastic lens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021A (ja) * 1983-06-28 1985-01-16 Tekunopurasu:Kk 圧縮成形方法
JPS62103121A (ja) * 1985-10-30 1987-05-13 Nissei Plastics Ind Co 射出成形機
JPH01209119A (ja) * 1988-02-18 1989-08-22 Fujitsu Ltd モールド成形用金型
KR910002392Y1 (ko) * 1988-10-11 1991-04-11 이석주 전동식 자동차 세차기
JPH02139211A (ja) * 1988-11-21 1990-05-29 Nishikawa Kasei Kk 凹凸模様を有するrim製品の成形方法
JPH0671698A (ja) * 1992-08-25 1994-03-15 Yoshio Yamada 射出成形用金型
JPH06226806A (ja) * 1993-01-29 1994-08-16 Mitsubishi Materials Corp 射出成形方法
JPH06297513A (ja) * 1993-04-12 1994-10-25 Sankyo Kasei Co Ltd 樹脂成形法並びに樹脂成形機
US5415817A (en) * 1993-10-22 1995-05-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rocess for molding plastic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860B1 (ko) * 2009-03-26 2011-09-02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고배율 cctv 투명반구용 금형을 이용한 투명반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16A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6407A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utting gate and compressing mold material
JP2002316347A (ja) 金型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100462700B1 (ko) 사출성형장치및사출성형방법
EP1247633B1 (en) Injection moulding machine and moulding method
JP3160888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3161502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3160877B2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3161501B2 (ja) 射出成形装置およびその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3712331B2 (ja) コア圧縮射出成形機
JP3208758B2 (ja) 射出圧縮成形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射出圧縮成形用金型装置
JPH09262880A (ja) 高圧射出成形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高圧射出成形用金型装置
JPH0994856A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190016575A (ko) 금형용 사출 장치 장착 플레이트 및 금형
JP3000537B2 (ja) 合成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JP3208755B2 (ja) 射出成形方法
NL1004145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spuitgieten en een daarbij te gebruiken gietvormsamenstel.
JP3279947B2 (ja) 繰出鉛筆の先金の成形方法
JP2003154564A (ja) 射出成形機
JP3143794B2 (ja) 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
JPH0513716U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938759A (ja) ダイカスト方法およびダイカスト用金型装置
JPS5925651B2 (ja) 射出成形用金型
JPH0382514A (ja) ディスク成形用金型
JPH05261780A (ja)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2011131468A (ja) 射出成形金型、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