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249B1 -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249B1
KR100450249B1 KR10-2002-7017749A KR20027017749A KR100450249B1 KR 100450249 B1 KR100450249 B1 KR 100450249B1 KR 20027017749 A KR20027017749 A KR 20027017749A KR 100450249 B1 KR100450249 B1 KR 10045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ermi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housing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107A (ko
Inventor
가네다쇼이치
우에노겐지
우에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미키 세이미쓰 하우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10Telephone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50Application to a particular transducer type
    • B06B2201/52Electrodynamic transducer
    • B06B2201/53Electrodynamic transducer with vibrating magnet or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버저음, 또는 저주파의 진동을 발생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이질음을 감소하는 휴대형 단말기이다.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의 단자 부품을 단락, 또는 단자 부품에 증폭기, 또는 증폭기와 일정 전압 또는 일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상기 액추에이터의 기계 진동계의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이질음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MOBILE TERMINAL WITH ELECTROMAGNETIC ACTUATOR}
근래에, 휴대형 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기의 보급은 눈부시다. 그 휴대형 단말기에는 착신 통지 수단으로서 통상적으로 체감 진동 발생용 소형 원통형 모터와, 버저음 발생용 변환기와, 통화용 음성 발생용 스피커 등의 부품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소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그 단말기 내부에 탑재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한 구체적인 장치로서 도 8에 도시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는 통형 하우징(19)의 내측에 평판형 자석(24)과 요크(yoke)(25)와 극편(pole piece)(3)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부(9)를 2개의 판 스프링형의 서스펜션(suspension)(21, 22)으로 탄성 지지하여 기계 진동계(6)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19)의 개방단에 음성 코일(8)을 부착한 다이어프램(18)을 부착하여 고정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19)의 측벽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자대(端子臺)(20)를 설치하고, 그 단자대(20)에 단자 부품(3, 3')을 구비하여 입력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음성 코일(8)과 상기 단자 부품(3, 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음성 코일(8)에 주어지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18) 또는 상기 기계 진동계(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동시키고, 다이어프램(18)으로부터는 버저음, 멜로디음, 또는 통화용 음성을, 또한 기계 진동계(6)으로부터는 체감 진동을 각각 발생한다. 즉, 하나의 액추에이터(1)의 부품으로 체감 진동과 통화용 음성, 및 버저음 또는 멜로디음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는 기기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를 탑재한 휴대형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 즉 상기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동작하지 않는 때에 이 휴대형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두드리면, 상기 기계 진동계가 진동하여 "삥" 하고 표현되고, 줄을 퉁기는 듯한 음(이하, 이와 같은 음을 이질음이라고 지칭한다)이 발생한다. 이 이질음이 사용자에게 자기의 휴대형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가 강성 부족이라고 느끼게 하고, 또한 휴대형 단말기 내부의 탑재 부품의 부착 불량이나 고장을 의심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통화용 음성, 버저음(buzzer), 멜로디음, 또는 저주파의 진동을 발생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휴대형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통하여 계측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 내부의 기계 진동계의 진동 특성을 도시하는 곡선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기계식 스위치가 열린 때의 전자 진동형 액추에이터의 기계 진동계와 음성 코일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기계식 스위치가 닫힌 때의 전자 진동형 액추에이터의 기계 진동계와 음성 코일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계식 스위치를 트랜지스터로 구성한 이질음 감소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질음 감소 장치를 탑재한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질음 감소 장치를 탑재한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8은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기계 진동계의 진동을 없애기 위한 이질음 저감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발명하였다. 또한, 상기 이질음 저감 장치를 낮은 비용또는 간단한 수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형 단말기의 비용 상승 및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형의 하우징을 기본 프레임으로 하고, 평판형 자석과, 상기 자석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요크 및 극편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부를 박판형의 서스펜션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시켜 기계 진동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자기 회로부에 대향하는 쪽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면에 부착되는 음성 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대에 부착되는 단자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코일과 상기 단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구성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부품을 단락시켜 상기 음성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통형의 하우징을 기본 프레임으로 하고, 평판형 자석과, 상기 자석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요크 및 극편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부를 박판형의 서스펜션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시켜 기계 진동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자기 회로부에 대향하는 쪽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면에 부착되는 음성 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대에 부착되는 단자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코일과 상기 단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구성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항상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단자 부품에 생성되는 신호를 귀환시켜 출력 신호를 조정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일정 전압 신호 또는 일정 주파수 신호를 상기 증폭기에 출력하는 신호 발생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는 휴대형 단말기의 외장 케이스를 통하여 계측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 내부의 기계 진동계의 진동특성을 도시하는 곡선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휴대형 단말기(4)의 외장 케이스(5) 내부에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와, 단자 부품(3,3')을 단락시키는 스위칭 수단인 기계식 스위치(2)가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휴대형 단말기(4)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자 유동형 액추에이터(1)의 내부 구조, 동작, 및 기능에 대하여는 도 8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최초로 이질음 발생의 원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기계식 스위치(2)를 열은 상태가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의 내부 구조와 등가이다. 이 상태에서 외장 케이스(5)를 두드리면, 그 진동에 의해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내부의 기계 진동계도 진동한다. 상기와 같이, 기계 진동계는 판 스프링 형상의 서스펜션으로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기계 진동계의 진동 특성은 시간과 함께 서서히 수속(收束), 및 감쇄하는 곡선을 그린다. 외장 케이스(5)를 통하여 계측한 상기 진동 특성을 도 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다. 이 일점쇄선의 곡선과 같이 기계 진동계가 진동하여 공기를 울리기 때문에 "삥" 하고 줄을 퉁긴 것과 같은 이질음이 발생한다.
다음에, 이질음 저감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장치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은 상기 전자 진동형 액추에이터의 기계 진동계와 음성 코일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외장 케이스를 두드리면, 기계 진동계(6)는 화살표(7)의 방향으로 상하로 진동한다. 그러면, 기계 진동계(6)의 자기 회로부(9)와, 단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성 코일(8) 사이에서 전자 유도가 생겨 음성 코일(8)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기계 진동계(6)는 상하로 진동하기 때문에, 유도 기전력의 방향도 그것에 따라 끊임없이 역방향으로 변화한다.
도 3과 같이, 기계식 스위치(1)가 열린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자 부품은 개방되기 때문에, 음성 코일(8) 내에는 유도 기전력이 발생할 뿐 유도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유도 전류에 의한 자계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와 같이, 기계식 스위치(1)를 닫으면, 음성 코일(8)과 기계식 스위치(1)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유도 전류(10)가 음성 코일(8) 내에 흘러 자계(11)가 발생한다. 이 자계(11)의 방향은 자기 회로부의 진동의 방향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기계 진동계(6)의 상하 진동(7)은 억제되어 빨리 수속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를 통하여 계측된 이 진동 특성의 곡선을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한다. 도 2와 같이, 기계식 스위치(1)가 닫힐 때(단자 부품이 단락된 때)의 진동 특성은 열린 때의 진동 특성에 비해 빨리 영에 수속하기 때문에 귀에 들린 때의 잔류 음향감이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 이질음이 감소되어 들리는 것이다.
또한, 기계식 스위치(1)는 도 5에 된 것과 같은 트랜지스터(12) 또는 FET 등의 스위칭 동작을 가진 반도체 소자나 릴레이 등의 여자(勵磁) 접접 소자를 사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는 상기 각종 반도체 소자로 아날로그 스위치를 형성하고 이것을 기계식 스위치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내장하는 IC를 이용하여도 같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이질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질음 감소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새로이 휴대형 단말기에 탑재하는 부품을 기계식 스위치 하나로 억제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대형화 및 비용 증가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공지된 또는 구조가 간단한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하여 낮은 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스위칭 동작을 가진 이질음 감소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의 회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내부 구조 및 동작과 기능에 대하여는 도 8의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휴대형 단말기(4)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이질음 감소 장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와, 그 단자 부품(3)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증폭기(13, 13')로 구성된다.
종래의 휴대형 단말기 내부에도 증폭기는 탑재되어 있으나, 그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에서는 증폭기의 전원 전압을 다운시켜 실질적으로 그 기능을 정지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폭기(13, 13')에 항상 전원 전압을 가하여 동작 상태로 세팅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단말기의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외장 케이스(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적 상태에 있어서는 증폭기(13, 13')에는 어떤 신호도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그 출력 신호(15, 15')의 전압치는 모두 0 V로 유지된다. 또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단자 부품(3)에 나타나는 신호(14, 14')의 전압치도 모두 0 V로 유지된다. 이 정적 상태로부터 외장 케이스(5)를 두드려 진동을 가하면, 그 진동이 외장 케이스(5) 내부의 이질음 감소 장치에 전달되고,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 내부의 도시되지 않은 기계 진동계가 진동한다.
이 진동에 의해 기계 진동계의 자기 회로부와 음성 코일 사이에 전자 유도가 생기고 음성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유도 기전력이 단자 부품(3, 3')에 나타남으로써 신호(14, 14')의 어느 한 쪽의 전압치가 0 V로부터 어떤 값 V V로 변하여 2개의 단자 사이의 전압치가 불균형하게 된다. 여기에서 신호(14)의 전압치가 0 V로부터 V V로 변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신호(14)가 증폭기(13')에 귀환 입력되고, 출력 신호(15')의 전압치가 -V V로 변화하여 단자 부품(3')에 입력된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음성 코일과 2개의 증폭 회로(13, 13')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고, 유도 전류가 음성 코일 내에 흘러 자계가 발생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원리에 의해 자계의 방향이 기계 진동계의 진동을 억제하여 영으로 수속시켜 이질음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이질음 감소 동작에 추가하여 증폭 회로(13, 13') 자체의 동작에 의해서도 이질음 감소의 효과가 얻어진다. 그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으로부터 증폭 회로(13)에는 어떤 신호도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즉, 증폭 회로(13)의 입력측은 항상 0 V이다}, 그 출력 신호(15)는 서서히 V V로부터 0 V로 변화한다. 이 출력 신호(15)가 단자 부품(3)에 가해지기 때문에 신호(14)도 0 V로 변화해 간다. 그러면, 신호(14)가 증폭회로(13')에 귀환되어 입력되기 때문에, 그 출력 신호(15')도 0 V로 변화하고, 신호(14')도 0 V로 변화한다. 즉 2개의 증폭회로(13, 13')가 그 출력 신호(15, 15')를 0 V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를 원해의 정적 특성 즉 신호(14, 14')의 전압치를 0 V로 복귀시킨다. 이상으로부터 항상 전원전압을 가하여 동작상태로 세트된 증폭기를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에 접속하는 것이 이질음 감소에 있어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5)를 통하여 계측된 기계 진동계의 진동 특성은 도 2에 실성으로 도시된 곡선과 거의 동일하게 계측된다. 따라서, 귀에 들린 때의 잔류 음향감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에게 이질음이 감소되어 들린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부터 휴대형 단말기에 탑재된 증폭기를 항상 동작시켜 이질음의 감소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형 단말기에 새로이 기기를 탑재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대형화 및 비용 상승을 초래하지 않는다. 더욱이, 공지된 일반적이고 구조가 간단한 증폭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낮은 비용으로 높은 동작 신뢰성을 가진 이질음 감소 장치 및 그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의 회로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중복되는 부품 및 구성에 관해서는 일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이질음 감소 장치는 도 6의 회로 구성에 추가하여 한 쪽의 증폭기(13)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호 발생원(16)으로 구성되고, 휴대형 단말기(4)의 외장 케이스(5) 내에 탑재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증폭기(13, 13')에 항상 전원 전압을 가하여 동작 상태로 세트하고, 또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휴대형 단말기(4)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을 한다.
이하에서, 신호 발생원(16)으로부터 일정 전압 신호(17)를 발생하는 경우의 휴대형 단말기 전체의 동작과, 이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4)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정 전압 신호(17)는 증폭기(13, 13')로 증폭되고,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단자 부품(3, 3')에 입력된다. 이 때의 출력 신호(15, 15')의 전압치를 설명의 편의상 V V로 표기한다.
외장 케이스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적 상태에서는, 신호(15, 15')의 전압치는 각각 V V 및 -V V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자 유동형 액추에이터(1)의 단자 부품(3, 3')에 나타나는 신호(14, 14')의 전압치도 각각 V V 및 -V V로 유지된다. 이 정적 상태로부터 외장 케이스(5)를 두드리면, 이 진동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기계 진동계의 자기 회로부와 음성 코일 사이에서 전자 유도가 생겨 음성 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이 기전력이 음성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2개의 단자 부품(3, 3')에 나타남으로써 한 쪽의 단자 부품(3, 3')에 나타나는 신호(14, 14')의 전압치가 V V로부터 V' V로 변화하고, 2개의 입력 단자 사이의 신호(14, 14')의 전압치가 불균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음성 코일과, 2개의 증폭 회로(13, 13')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고, 유도 전류가 음성 코일 내를 흘러 자계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계 진동계의 진동가 억제되어 영으로 수속하기 때문에 이질음이 감쇠된다.
또한, 상기 이질음 감소 장치에 추가하여, 본 실시예에서도 증폭 회로(13, 13') 자체의 동작에 의해 이질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로부터 증폭 회로(13)의 입력측은 일정 전압 신호(17)에 의해 항상 어떤 일정한 전압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그 출력 신호(15)는 서서히 V' V로부터 V V로 변화한다. 이 출력 신호(15)에 의해 신호(14)도 V V로 변화한다. 그러면, 신호(14)가 증폭 회로(13')로 귀환 입력되고, 출력 신호(15')가 -V V로 변화하고,그 신호(15')가 가해지므로, 신호(14')도 -V V로 변화한다. 즉 2개의 증폭 회로(13, 13')가 그 출력 신호(15, 15')를 V V 및 -V V로 조정함으로써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를 원래의 정적 특성 즉 신호(14, 14')의 전압치를 V V 및 -V V로 복귀시킨다. 이상으로부터 항상 전원전압을 가하여 동작 상태로 세트된 증폭기를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에 접속하고, 그 증폭기에 일정 전압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이질음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5)를 통하여 계측된 기계 진동계의 진동 특성은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곡선과 거의 같이 계측된다. 따라서, 귀에 들린 때의 잔류 음향감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에게 이질음이 감소되어 들린다.
일정 전압 신호(17)의 전압치는 그 신호(17)를 증폭하고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에 입력시켜 동작시킨 때,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자가 그 동작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를 구동시키는 전압치로 하는 것이 하나의 목료이다. 즉 전자 유동형 액추에이터(1)의 착신 통지 동작을 행하는 전압치(이하, 단순히 동작 전압이라고 지칭한다)보다 작은 전압치로 된다. 그러나 동작 전압은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형식, 크기, 중량, 모델 등에 따라서 그 값이 변경된다. 따라서, 일정 전압 신호의 전압치도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느 V 이하가 적절한가 하는 것은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이, 결국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동작 전압을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실시예는 설명의 형편상, 증폭기가 연산 증폭기에 의한 반전 증폭 회로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지만, 증폭부는 출력 신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면 변경 가능하고, 상기 증폭기를 트랜지스터나 FET 등의 반도체 소자를 접속하여 형성한 증폭 회로로 대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가진다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단자 부품에 가하지만, 일정 전압 신호에 대신하여 주파수를 어떤 값으로 일정하게 설정한 일정 주파수 신호의 전압분을 증폭하여 단자 부품에 가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일정 주파수 신호는 신호 발생원(16)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
이 일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가 동작할 때, 휴대형 단말기(4)의 사용자가 그 동작을 느끼지 않는 레벨의 동작을 발생시키는 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하나의 목표이다. 따라서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동작 대역 밖에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동작 대역은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형식, 크기, 중량, 모델 등에 따라서 변경되고,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정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 대역도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구체적으로 어느 Hz가 적절한 것인가는 잘라서 말할 수 없다. 목표로서는, 인간의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20 Hz-20 kHz 이외의 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청 주파수 대역은 사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결국 휴대 단말기(4) 탑재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1)의 동작 대역을 참고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로부터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증폭기를 항상 동작시켜 이질음의 감소용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새로이 휴대형 단말기에탑재하는 부품을 진동 발생원 하나로 하여 휴대형 단말기의 대형화 및 비용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이질음을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이질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새로이 휴대형 단말기에 탑재하는 부품을 기계식 스위치 또는 진동 발생원 하나로 억제하여 이질음 감소 장치를 실형할 수 있다. 또는, 이미 휴대형 단말기에 탑재된 증폭기를 이용하여 새로이 탑재하는 일 없이 이질음 감소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형 단말기의 대형화 및 비용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낮은 비용으로 신뢰성이 높은 이질음 감소 장치 및 그 장치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통형의 하우징을 기본 프레임으로 하고, 평판형 자석과, 상기 자석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요크(yoke) 및 극편(pole piece)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부를 박판형의 서스펜션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시켜 기계 진동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자기 회로부에 대향하는 쪽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면에 부착되는 음성 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대(端子臺)에 부착되는 단자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코일과 상기 단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구성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부품을 단락시켜 상기 음성 코일에 유도 전류를 흐르게 하는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2. 통형의 하우징을 기본 프레임으로 하고, 평판형 자석과, 상기 자석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요크 및 극편으로 구성되는 자기 회로부를 박판형의 서스펜션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지지시켜 기계 진동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개방단에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자기 회로부에 대향하는 쪽의 상기 다이어프램의 면에 부착되는 음성 코일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는 단자대에 부착되는 단자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음성 코일과 상기 단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구성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착신 대기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단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항상 전원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단자 부품에 생성되는 신호를 귀환시켜 출력 신호를 조정하는 증폭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일정 전압 신호 또는 일정 주파수 신호를 상기 증폭기에 출력하는 신호 발생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KR10-2002-7017749A 2001-05-01 2002-04-25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KR100450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3977A JP4098489B2 (ja) 2001-05-01 2001-05-01 電磁誘導型アクチュエータを搭載する携帯端末機
JPJP-P-2001-00133977 2001-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107A KR20030034107A (ko) 2003-05-01
KR100450249B1 true KR100450249B1 (ko) 2004-09-24

Family

ID=1898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749A KR100450249B1 (ko) 2001-05-01 2002-04-25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35423B2 (ko)
EP (1) EP1385262B1 (ko)
JP (1) JP4098489B2 (ko)
KR (1) KR100450249B1 (ko)
CN (1) CN1264272C (ko)
WO (1) WO2002091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2968B2 (en) * 2000-11-08 2008-05-13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 driver
US8041048B2 (en) * 2008-12-31 2011-10-18 Youngtack Shim Electromagnetically-countered speaker systems and methods
CN102196605B (zh) * 2010-03-15 2014-02-26 国民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射频装置、射频ic卡及射频存储卡
JP2015039161A (ja) * 2013-07-19 2015-02-2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スピーカ用磁気回路
DE102020204617A1 (de) 2019-04-11 2020-10-15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Schwingungsaktuator für steife Strukturen zur hochleistungs-Basswiedergabe im Automobilbereich
DE102020213768A1 (de) * 2020-11-02 2022-05-05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Aktuator zur Anregung von Schwingungen umfassend einen Antrieb mit verbesserter Dämpfung
US20220200432A1 (en) * 2020-12-18 2022-06-23 Apple Inc. Shaker for electronic device
CN217388499U (zh) * 2021-05-06 2022-09-06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525B2 (ja) 1989-07-06 1995-07-26 東京瓦斯株式会社 コークス炉炉蓋掃除装置における高圧水ジェットノズルの配置方法
JP2506301Y2 (ja) * 1989-08-21 1996-08-07 株式会社城南製作所 電動カ―テン装置の駆動回路
JPH03104400A (ja) * 1989-09-19 1991-05-01 Fujitsu Ltd ループダイヤル式中継線トランク装置
JP3562892B2 (ja) * 1996-01-26 2004-09-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回路、電磁アクチュエータ装置、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H09233222A (ja) * 1996-02-21 1997-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ーリンギング着信検出装置
JPH09261300A (ja) * 1996-03-27 1997-10-03 Saitama Nippon Denki Kk 携帯電話機の着信音音質調節回路
US5828767A (en) * 1997-09-22 1998-10-27 Jbl Inc. Inductive braking in a dual coil speaker driver unit
US6725109B2 (en) * 2001-03-12 2004-04-20 Palm, Inc. Sound generator circui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4272C (zh) 2006-07-12
EP1385262A1 (en) 2004-01-28
JP4098489B2 (ja) 2008-06-11
EP1385262B1 (en) 2013-02-27
EP1385262A4 (en) 2007-08-08
KR20030034107A (ko) 2003-05-01
US20030146825A1 (en) 2003-08-07
JP2002330195A (ja) 2002-11-15
CN1462503A (zh) 2003-12-17
US7035423B2 (en) 2006-04-25
WO2002091561A1 (fr)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5934B1 (en) Miniature speaker with integrated signal processing electronics
KR100348919B1 (ko) 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
US5546069A (en) Taut armature resonant impulse transducer
WO2004010733A1 (ja) 補聴システム及び補聴方法
KR100450249B1 (ko) 전자 유도형 액추에이터를 탑재하는 휴대형 단말기
KR20090098721A (ko) 콘덴서 마이크로폰
US11317227B2 (en) Monitoring circuitry
KR20030039926A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JP2701279B2 (ja) 音響装置
JPWO2005006809A1 (ja) 圧電型振動発生器及びこれを用いた振動送音器
KR960016675B1 (ko) 청각장애자용 음향 청취 장치
KR20070070750A (ko) 청취보조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1534Y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골도 전화기 및 보청기용 진동자
KR200452709Y1 (ko) 통합 마이크로폰 회로 및 통합 마이크로폰의 구조
KR20020045666A (ko) 진동 스피커
KR200338060Y1 (ko)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CN217388999U (zh) 一种新型喇叭
KR100609955B1 (ko) 보청기 기능을 가진 압전 스피커
JP2000334377A (ja) 電気振動変換器
KR0174471B1 (ko) 개스의 분자운동을 이용한 돔 트위터 스피커
KR20010057857A (ko) 진동 스피커
KR2007000426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청기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음성출력 장치
KR20050015290A (ko) 기도 및 골도 스피커
JP2012216897A (ja) 発振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179483Y1 (ko) 피지티를 이용하여 골도청각을 자극할 수 있는 보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