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48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480B1
KR100431480B1 KR10-2002-0007856A KR20020007856A KR100431480B1 KR 100431480 B1 KR100431480 B1 KR 100431480B1 KR 20020007856 A KR20020007856 A KR 20020007856A KR 100431480 B1 KR100431480 B1 KR 10043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evaporator
chamber
fan
retur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0727A (ko
Inventor
오리가사다까히로
야마나까도미지
시바따고오이찌
야마자끼스스무
오찌아이히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6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적 효율이 높고 저비용이면서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응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서,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가진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일본 특허 공개 평11-14876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고, 냉장고의 종단면도인 도1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냉장고 본체(101)는 그 내부에 냉동실(102), 야채실(103), 냉장실(104)을 구비하고 있다. 냉동실(102)의 냉각에 이용하는 냉동실용 증발기(105)는 냉동실(102)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야채실(103) 및 냉장실(104)의 냉각에 이용하는 냉장실용 증발기(106)는 야채실(103)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냉동실용 증발기(105)의 상측에는 냉기를 냉동실(102)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동실용 송풍기(107)가 배치되고, 냉동실용 증발기(105)의 하측에는 증발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라디안트 히터(111) 및 제상수 받이 접시(109)가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용 증발기(106)의 상측에는 냉기를 냉장실(104) 및 야채실(103)로 강제 순환시키는 냉장실용 송풍기(108)가 배치되고, 냉장실용 증발기(106)의 하측에는 증발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는 라디안트 히터(112) 및 제상수 받이 접시(1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상수 받이 접시(109, 110)에는 제상수를 냉장고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파이프(113, 114)가 설치되어 있다.
도16은 도14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17은 도16에 도시한 냉동 사이클의 블럭도이다. 압축기(10)로부터 나온 냉매는 응축기(115), 이슬 방지 파이프(116), 드라이어(117)를 경유하여 3방 밸브(118)에 이른다. 냉매 유로는 3방 밸브(118)에 있어서 분기하여, 한 쪽은 냉장실용 캐필러리 튜브(119)를 향하고, 다른 쪽은 냉동실용 캐필러리 튜브(120)를 향한다. 그리고, 냉매는 냉장실 캐필러리 튜브(119)로부터 냉장실용 증발기(106)에 이르고, 냉동실용 캐필러리 튜브(120)의 출구와 하나가 되어 냉동실용 증발기(105)에 이른다. 그 후 어큐뮬레이터(105a), 흡입 파이프(121)를 통해 압축기(10)로 복귀한다.
다음에 상기 냉동 사이클의 각 부품의 부착 위치를 설명한다. 응축기(115)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회 절곡된 파이프에 다수의 핀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냉동실(102)의 하부 후방의 기계실 내에 응축기(10)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105a)는 냉동실용 증발기(105)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다. 흡입 파이프(121)의 외주에는 냉장실용 캐필러리 튜브(119)와, 냉동실용 캐필러리튜브(120)를 병렬로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흡입 파이프(121)와 캐필러리 튜브(119, 120)를 열교환시키고 있다. 따라서, 흡입 파이프(121)의 외주면에 2개의 캐필러리 튜브가 땜납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입 파이프(121)에는 2개의 캐필러리 튜브(119, 120)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복잡해져, 제조 공정에서의 조립도 고비용이 된다. 또한 3방 밸브(118)는 냉장고 하부 후방의 기계실 내에 압축기(10), 응축기(115)와 함께 수납되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앞에서 서술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과 냉장실에 각각 전용의 증발기를 갖고 있음으로써 각각의 증발기에 부착된 서리의 융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냉동실용 증발기(105)에서 냉각된 냉기는 냉동실용 송풍기(107)에 의해 강제적으로 냉동실(102)로 불어내어지고, 다시 냉동실용 증발기(105)로 복귀하는 냉기 순환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냉동실용 증발기(105)에는 냉동실(102) 내의 습기가 서리가 되어 부착된다. 라디안트 히터(111)는 증발기(105)에 일정량의 서리가 부착되면, 정기적으로 발열하여 서리의 융해를 행한다. 융해된 제상수는 제상수 받이 접시(109)로 유도되어, 배수 파이프(113)를 경유하여 냉장고 밖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상은 냉장실용 증발기(106)에서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한, 2개의 증발기의 전방면에는 각 실과의 구획을 겸한 취출구 혹은 취입구를 구비한 냉장실 화장판(122) 및 냉동실 화장판(123)을 갖고 있고, 이들 화장판의 취출구로부터 각 실로 냉기가 이송되어 냉장고 안이 냉각된다. 따라서, 2개의 증발기를 개별적으로 배치한 구성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2개의 화장판을 필요로 한다.
도14에서 설명한 냉동실용 증발기(105)와, 냉장실용 증발기(106)가 각각의 실에 설치되어 있음에 따른 구조의 복잡화를 해소할 목적으로 특별한 실을 만들어, 양 증발기를 함께 정리한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8-247622호 공보가 있다. 도15는 냉장고의 종단면도로, 냉동실용 증발기(105)와, 냉장실용 증발기(106)를 냉장고의 천정에 수납했지만,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의 높이 제한으로부터 증발기(105, 106)는 냉장고의 천정에 상하로 얇게, 전후로 길게, 좌우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증발기(105, 106)에 부착된 서리를 융해 제거할 때에 서리 해수를 받는 제상수 받이 접시의 면적이 커지고, 또한 제상수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경사를 부여해야만 해, 제상수 받이 접시의 깊이가 깊어지는 동시에, 배수를 위해 천정으로부터 바닥면까지 긴 배수관이 필요해진다.
도15에서 설명한 냉장고는 증발기(105, 106)의 냉기 송풍팬(124)이 1개이므로, 냉장실이나 야채실로 이송하는 냉기의 양을 각각의 댐퍼에 의해 조절하여, 덕트로 송풍하므로 통풍 경로가 복잡해진다. 또한 냉장실과 냉동실의 냉기가 혼류하므로 냉동 사이클의 냉각 효율이 나빠져 있었다. 또한, 천정부에 위치하는 증발기를 둘러싸는 단열재가 겉표면의 결로 방지를 위해 두꺼워져, 그 만큼 냉장고의 높이 수치가 커져 운반성과 설치성이 나빠진다.
도14에 도시한 냉장고는 냉동실용 증발기와 냉장실용 증발기가 각각의 부실의 배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냉장실 안, 특히 야채실의 수납 용적이 줄고, 냉장고 내의 유효 용적을 줄여 냉장고의 내용적 효율을 악화시키고 있었다. 또한,냉각을 위한 2개의 증발기를 각각의 부실에 설치하므로 증발기의 증가에 의한 원가 상승은 물론, 각 증발기로의 제상을 위해 2개의 제상용(라디안트) 히터가 필요해지고, 그들의 고정 부품도 복수개 필요해져 재료비나 조립 가공비가 비싸게 치였다. 또한 각각의 부실에 증발기를 배치하므로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절환 밸브, 캐필러리 튜브, 팬가드 화장판, 제상용 히터 등이 복수개 필요해져 조립 공정이 많아진다. 또한, 냉장고의 운전 중에 냉장실 내의 수분이나 저장 중인 야채류가 가진 수분은 증발기에 서리가 되어 흡착되고, 제상시에는 냉장고 밖으로 배출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냉장고 안이 건조하여 야채 등의 저장품도 수분을 잃게 되어 신선도가 떨어지기 쉬웠다.
도15에 도시한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로의 냉기 송풍팬이 1개이므로, 냉장실과 냉동실의 냉기가 혼입하여 냉각 효율을 높게 할 수 없고, 또한 증발기를 수납하는 단열 상자 부재로 인해 냉장고의 높이 수치가 높아져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이 냉장고는 증발기를 가로로 사용하므로 제상수 받이 접시가 커지고, 원가가 높아지고 배수 파이프가 길어져 누수의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적 효율이 높고, 저비용이면서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장실측 종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다른 냉동실측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증발기 부분 확대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증발기 부분 확대도.
도5는 도3에 도시한 증발기 부분의 확대 수평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야채실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상수 받이 접시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제상수 받이 접시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구획판의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라디안트 히터 단면도.
도11은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 부품의 배치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한 냉동 사이클의 블럭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 모드를 도시한 설명도.
도14는 종래예를 도시한냉장고의 종단면도.
도15는 다른 종래예를 도시한 냉장고의 개략 종단면도.
도16은 도14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도시한 분해도.
도17은 도16에 도시한 냉동 사이클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냉장고 본체
1a : 단열 상자 부재
1b : 내부 상자
2, 104 : 냉장실
3 : 냉장실 도어
4, 103 : 야채실
4a : 야채실 용기
4b : 덮개 부재
5 : 야채실 도어
6 : 하부 냉동실
7 : 냉동실 도어
10 : 압축기
19 : 상부 냉동실
20 : 커플링 덕트
21 : 흡입 통로(제1 냉기 복귀 통로)
22 : 냉장실 배면 송풍 덕트
23, 31 : 증발기실 흡입구
23F, 23R : 단열재 부착 케이스
24, 32 : 구획벽
24a : 구획벽면
25 : 덕트 커버
26, 34 : 화장판
26a :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
26b : 냉장실 복귀 덕트
27, 33 : 구획판
27b : 흡입 횡덕트
28 : 증발기
28a, 106 : 냉장실용 증발기
28b, 105 : 냉동실용 증발기
28c, 105a : 어큐뮬레이터
29 : 냉장실 팬 모터(제1 팬)
31a : 냉동실용 흡입 통로(제2 냉기 복귀 통로)
35 : 송풍 덕트
36 : 상부 풍향판
37 : 하부 풍향판
38 : 냉동실 팬 모터(제2 팬)
39 : 제상 히터(라디안트 히터)
39a : 냉장실용 제상 히터
39b : 냉동실용 제상 히터
40, 109, 110 : 제상수 받이 접시
41 : 부직포
42 : 냉동실용 증발기 U 파이프 통과 구멍
43 : 냉장실용 증발기 U 파이프 통과 구멍 위치
44 : 라디안트 히터 구멍
45 : 구획판 지지 링
46 : 가변 피치 히터 F
47 : 가변 피치 히터 R
48 : 석영 유리
49 : 히터 지지 엔드 피스
50 : 리드선
51 : 냉동실 배수 파이프
52 : 냉장실 배수 파이프
53, 115 : 응축기
54, 116 : 이슬 방지 파이프
55, 117 : 드라이어
56 : 캐필러리 튜브
57, 121 : 흡입 파이프
58 : 기계실
102 : 냉동실
107 : 냉동실용 송풍기
108 : 냉장실용 송풍기
113, 114 : 배수 파이프
118 : 3방 밸브
119 : 냉장실용 캐필러리 튜브
120 : 냉동실용 캐필러리 튜브
122 : 냉장실 화장판
123 : 냉동실 화장판
124 : 냉기 송풍팬
상기의 목적은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가진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접촉하는 냉장실 냉기 접촉 부분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접촉하는 냉동실 냉기 접촉 부분으로 증발기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한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제1 팬 및 제2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각 운전을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및 제1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장실의 냉각 운전을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제1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압축기 및 상기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장실의 고습 운전을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및 제2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제1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동실의 냉각 운전을 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증발기가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제1 냉기 복귀 통로를 통과하는 냉기가 접촉하는 제1 증발기 부분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통과하는 냉기가 접촉하는 제2 증발기 부분을 구비하고, 제2 증발기 부분의 증발 능력을 제1 증발기 부분의 증발 능력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냉장고의 냉장실측의 통풍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실측 통로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냉장고의 증발기 부분 확대도, 도4는 도3과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증발기 부분 확대도, 도5는 도3에 도시한 증발기 부분의 확대 수평 단면도, 도11은 도1에 도시한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 부품의 배치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한 냉동 사이클의 블럭도,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 모드를 도시한 설명도를 도시한다.
우선, 냉동 사이클 부품의 배치와 사이클 유로를 도11, 도12에 의해 설명한다. 압축기(10)로부터 나온 냉매는 응축기(53), 이슬 방지 파이프(54), 드라이어(55)를경유하여 캐필러리 튜브(56)에 이른다. 그리고, 냉매는 캐필러리 튜브(56)로부터 냉장실용 부분과 냉동실용 부분을 구비한 1개의 증발기(28)로 들어가고, 그 후 어큐뮬레이터(28c)를 통해 흡입 파이프(57)를 통과하여 압축기(10)로 복귀한다. 여기서, 증발기(28)는 구획판(27)을 경계로 냉장실용 부분, 냉동실용 부분으로 하여 통풍로의 사용 구분을 하고 있다. 또한, 흡입 파이프(57)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1개의 캐필러리 튜브(56)를 땜납 등으로 고정 부착하여 양 부품 사이의 열교환을 시키고 있고, 이 열교환 부분은 냉장고의 단열재 내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응축기(53)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회로 절곡되어, 냉동실의 하부 후방의 기계실 내에 드라이어(55), 압축기(10)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동 사이클은 1개의 증발기(28)에 1개의 캐필러리 튜브(56)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흡입 파이프 조립품의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 갯수도 적고, 부품 재료비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냉장고의 제조 가격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증발기(28)에 설치하는 출입구의 접속 부위는 종래의 4군데로부터 2 군데가 됨으로써, 용접 부위가 2 군데나 적어져 냉장고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냉장고의 냉장실측의 구조, 냉기 순환 경로 구성을 도1에 있어서 설명한다. 냉장고 본체(1)는 냉장실(2) 및 야채실(4)을 갖고, 냉장실(2)의 전방면에는 냉장실 도어(3), 야채실(4)의 전방면에는 야채실 도어(5)를 설치하고 있다. 야채실(4)은 야채실 용기(4a)와, 이 야채실 용기(4a)의 덮개 부재(4b)를 구비하고 있다. 야채실(4)의 배면 하부에는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를 형성하는 화장판(26) 및 구획벽(24)이 설치되고,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의 하류에 증발기(28) 및 냉장실 팬 모터(29)가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의 하류에는 흡입 통로(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입 통로(21)는 증발기(28)의 전방면을 씌우는 동시에 단열 부재를 갖는 덕트 커버(2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2) 및 야채실(4)은 흡입 통로(21), 냉장실 배면 송풍 덕트(22) 등을 거쳐서 냉장실 팬 모터(29)(제1 팬 모터) 및 증발기(28)를 갖는 공간에 연통하고 있으며, 증발기(28) 및 압축기(10)는 전술한 도11, 도12와 같이 냉매가 흐르는 배관에 접속되어 냉장고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냉장실 팬 모터(29)를 구동함으로써 냉장실(2) 및 야채실(4)을 순환한 냉기는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 흡입되어, 흡입 통로(21)로부터 증발기실 흡입구(23)를 통과한 후, 증발기(28)로 복귀하여 다시 냉각된다. 냉장실(2) 및 야채실(4)은 이와 같은 냉기 순환에 의해 냉각된다.
증발기실과 그 주변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도2 및 도3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1)는 상부 냉동실(19), 하부 냉동실(6), 냉동실 도어(7), 냉동실용 증발기(28), 냉동실 팬 모터(38)(제2 팬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냉동실 팬 모터(38)를 구동(급전을 개시)함으로써 상부 냉동실(19) 및 하부 냉동실(6)을 순환한 냉기는 증발기실 흡입구(31)를 경유하여 증발기(28)로 흡입되고, 증발기(28)에서 다시 냉각된 후, 다시 상부 냉동실(19), 하부 냉동실(6)로 복귀되어 상하의 각 냉동실(19, 6) 내로의 냉각 운전이 행해진다. 증발기(28)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27)을 경계로 햐여 우측을 냉장실 및 야채실의 냉각에 이용하는 냉장실용 증발기(28a), 좌측을 냉동실의 냉각에 이용하는 냉동실용 증발기(28b)로 하고 있다. 구획판(27)은 냉장실용 증발기(28a)와 냉동실용 증발기(28b), 증발기실 흡입구(23)(도1 참조)와 증발기실 흡입구(31)(도2 참조)를 냉기 누설이 없도록 구획되어 있다. 그로 인해, 냉동실 냉기 순환 경로는 전술한 냉장실(2) 및 야채실(4)과는 따로 독립된 냉기 순환 경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냉동실용 증발기(28b)는 냉장실용 증발기실(28a)과 일체로 형성된 1개의 증발기(28)이고, 증발기(28)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한 증발기 구획판(27)에 의해 구분되어 있을 뿐이고, 2개의 증발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1에 의해 야채실의 설명을 이하에 행한다. 야채실(4)은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간접 냉각해야 하는 야채실 용기(4a)와, 이 야채실 용기(4a)의 상면 개구를 씌우는 덮개 부재(4b)를 구비하고, 야채실(4) 내의 야채로부터 증산하는 수분을 빼앗기지 않도록 하여 용기 내를 고습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야채실(4)의 냉각은 냉장실(2)을 경유한 냉기가 야채실(4)의 전방면 상방부로부터유입하고, 냉기는 덮개 부재(4b)의 상면과 야채실 용기(4a)의 측면 및 하면으로 분기하여, 야채실 용기(4a)를 둘러싸도록 냉기가 흘러 그 후 야채실(4) 후방의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야채실(4) 및 상부 냉동실(19) 후방의 흡입 통로(21)의 주변 구조에 대해 도1, 도11,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흡입 통로(21)는 증발기(28)의 냉동실(19)측에서 증발기(28)의 전방면을 씌우는 구획벽(24)과, 화장판(26) 사이에서 증발기실 흡입구(23)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21)의 하방에는 도6에 도시한 냉장실 복귀 덕트(26b)로부터 흡입한 냉기를 복귀시키는 흡입 횡덕트(27b)(도2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28)의 하부에는 제상 히터(39)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는 화장판(26)의 중간부에 개구되어 냉장실(2), 야채실(4)을 순환한 냉각 후의 복귀 냉기가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 통로(21)의 하방 증발기실 흡입구(23)와,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와의 횡폭은 냉장실용 냉각기(28a)의 횡폭 수치와 거의 동일 수치를 갖고,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흡입 통로(21)를 경유하여 증발기실 흡입구(23)로부터 냉장실용 증발기(28a)로 압력 손실이 적게 흐른다.
구획벽(24)은 냉장실용 증발기(28a)로부터의 열에 의해 흡입 통로(21)측의 벽면에 서리, 이슬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단열성의 재료로 제작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15 ㎜ 내지 20 ㎜ 정도 두께의 단열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 통로(21) 내의 구획벽면(24a)의 온도는 냉장실(2) 또는 야채실(4)과 동일한 온도대(예를 들어 3 내지 5 ℃) 또는 그 이상의 온도대이고, 흡입 통로(21) 내를 통과하는 복귀 냉기가 구획벽면(24a)에 접촉해도 구획벽면(24a)의 표면에는 서리, 이슬 등이 부착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획벽면(24a)은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이 벽면에 따라 하방의 증발기실 흡입구(23)로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 벽면 전체가 평평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냉동실 후방의 냉각 공기의 순환 경로 구조에 대해 도2, 도6, 도11, 도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증발기(28)는 냉장실용 증발기(28a)와, 냉동실용 증발기(28b)를 1개의 증발기로 구성하고, 또한 상부 냉동실(19)의 배면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장실(2)로 토출된 냉기가 야채실(4)을 냉각하여 냉장실용 증발기(28a)로 복귀할 때에, 야채실(4)의 배면 우측 하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부터 흡입되어 냉장실용 증발기(28a)로 복귀하지만, 냉장실(2) 및 야채실(4)의 배면 좌측의 냉각 공기는 흡입되지 않으므로, 냉장실(2) 및 야채실(4) 속에서 온도 분포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냉장실(2) 및 야채실(4) 내의 온도 분포를 좋게 하기 위해 야채실(4)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는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와는 별도로 냉장실 복귀 덕트(26b)를 야채실(4)의 배면 좌단부에 설치하고, 냉동실용 증발기(28b)의 좌단부에 따라 흡입구로 이어지는 통로를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만들고, 또한 냉동실용 증발기(28b)의 전방면 하단부 주변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통과하는 흡입 횡덕트(27b)를 만들어, 냉장실용 증발기(28a)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증발기실 흡입구(23)에 접속하고, 냉장실 복귀 공기 흡입구(26a)로부터 들어가는 흡입통로(21)(제1 냉기 복귀 통로)를 경유하여 온 냉기와 합류하여 냉장실용 증발기(28a)로 복귀하고, 냉각되어 다시 냉장실 팬 모터(29)를 경유하여 냉장실로 토출된다. 따라서, 냉장실(2) 및 야채실(4)의 좌측 공기가 순환하기 쉬워져 막히는 일 없이 온도 분포가 좋은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상부 냉동실(19), 하부 냉동실(6)의 냉기 순환에 대해 설명하면, 증발기(28)는 상부 냉동실(19) 속에서 냉장고 본체의 배면부에 고정되어 있다. 냉장고가 운전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냉동실 팬 모터(38)(제2 팬 모터)로의 급전에 의해 냉동실용 증발기(28b)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냉동실용 증발기(28b)의 전방면을 씌우는 구획벽(32)과, 야채실(4)과, 냉동실 상부(19)를 구획하는 구획판(33) 및 냉동실 배면을 형성하는 화장판(34)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송풍 덕트(35)를 통과하고, 일부는 화장판(34)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풍향판(36)을 통과하고, 나머지는 하부 풍향판(37)을 통해 하부 냉동실(6) 내로 후방으로부터 들어가 용기 내를 냉각하고, 용기의 전방 또는 좌우로부터 넘쳐 바닥면으로 옮겨 용기의 외측과 냉장고의 내벽 간극을 통해 냉동실용 흡입 통로(31a)(제2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 증발기실 흡입구(31)로 흡입되어 다시 냉동실용 증발기(28b)로 복귀한다. 이 반복에 의해 냉동실 내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한다. 또한, 화장판(34)에 형성된 상부 풍향판(36), 하부 풍향판(37)은 냉각 공기가 냉동실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통로가 생성되어 있다.
도9는 구획판(27)의 측면도이다. 구획판(27)은 증발기(28)의 하방에 라디안트 히터를 통과시키는 라디안트 히터 구멍(44)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증발기(28)의 하방부로부터의 냉기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구획판(27)의 형상이 단순해지고, 부품의 가공도 용이해져 저렴한 증발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획판(27)을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시켰지만, 이 구획판(27)을 증발기(28)의 열교환용 휜으로 구성시키는 다른 실시예도 있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부품의 실용화는 물론, 보다 저렴한 증발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3,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용과 냉장실용 증발기를 구비한 구성의 제상을 1개의 라디안트 히터로 행함으로써 부품 갯수의 삭감과 냉장고의 원가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는 구획판을 설치했으므로 구획판의 냉장실측 면에는 냉동실이 운전되고 있을 때에, 냉장실 내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부착되지만, 냉장실 및 냉동실이 제상 중에 녹아 물이 되어 다시 냉장고 안을 순환하는 냉기에 흡습되어 냉장고 안을 순환하므로, 냉장실 내를 고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접시의 물이 동결했다고 해도 다음의 서리 제거에 의해 녹아 강제 순환 중에 승화하여 냉장고 안을 고습화하게 된다.
도4는 도3과는 다른 냉장고의 증발기 부분 확대도이다. 여기서는, 증발기(28)의 하방에 냉장실용 제상 히터(39a) 및 냉동실용 제상 히터(39b)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증발기의 하방에 히터를 배치한 경우에는 구획판(27)의 하방에 히터를 통과시키는 관통 구멍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구획판(27)의 형상이 심플하고 제작비도 저렴해진다. 또한, 증발기(28)의 제상시에 나오는 수분은 증발기(28) 하방의 제상수 받이 설치되어(40)로 낙하하여, 냉동실 배수파이프(51) 및 냉장실 배수 파이프(52)에 의해 유도되어 냉장실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이들 제상 히터는 하방의 제상수 받이 설치되어 내에 히터 고정 지지부를 돌출시키고, 이 히터 고정 지지부에 2개의 제상 히터를 조립함으로써 조립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냉장실용 증발기(28a), 냉동실용 증발기(28b)의 착상량에 따른 적절한 제상 히터 입력을 선정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은 서리 제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3, 도5,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28)의 하부에 제상수 받이 접시(40)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냉동실용 증발기(28b)와 냉장실용 증발기(28a)의 제상수 받이 접시를 일체로 한 성형품으로 제작하고, 냉장실용 증발기(28a) 하방의 물받이 접시의 바닥을 냉동실용 증발기(28b) 하방의 물받이 접시의 바닥보다도 낮아지도록 설치하고, 제상시의 물이 냉동실측의 물받이 접시로부터 냉장실측의 물받이 접시로 흐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냉동실측의 제상수도 냉장실측의 물받이 접시에 모인다. 그리고 냉장실의 냉각 공기가 냉장고 안을 순환할 때에, 냉기는 물받이 접시의 위를 흐를 때에 흡습하여, 냉장실 내를 보다 고습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식품류의 건조 방지, 특히 생야채 등의 보존에 효과가 있다. 또한, 도8,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상수 받이 접시(40)와 구획벽(32)이 접촉하는 부분에 부직포(41)를 개재시킴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만이 낮은 쪽으로 흘러 공기의 누설이 없으므로, 냉장실 순환 공기와 냉동실 순환 공기가 섞이는 일 없이 각각의 순환 공기를 독립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상시에 나오는 수분이 냉장실의 냉각 운전시에 냉장실 안으로 순환하게 되므로 제상수 받이 접시에배수를 위한 파이프를 없앨 수 있어, 부품 갯수의 삭감이 된다.
도3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용 증발기(28b)와 냉장실용 증발기(28a)의 제상에는 1개의 제상 히터(39)를 채용하고, 이 제상 히터를 제작할 때에 냉장실부와 냉동실부의 발열량이 바뀌도록 가변 피치화하고, 또한 양자의 접속부는 직선화하였으므로 냉동실용 증발기(28b)와 냉장실용 증발기(28a)의 착상량 등에 차이가 나도 효율적으로 제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냉동실부와 냉장실부의 경계는 직선화하고 있으므로 발열량이 적어 구획판 등의 지지 부재로의 열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3 및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용 증발기(28b)와 냉장실용 증발기(28a)의 경계는 구획판(27)을 설치하고, 냉동실측의 증발기 상부를 단열재 부착 케이스(23F)로 씌우고, 냉장실측의 증발기 상부는 냉기 송풍 덕트로 이어지는 단열재 부착 케이스(23R)로 씌우고 있으므로, 각각의 냉기는 혼류하는일 없이 각각의 부실을 순환한다. 따라서, 냉장실의 수분이 냉동실의 증발기에 흡착되는 일도 적어져 냉장실측을 고습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냉장고의 운전 모드를 도13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표는 급전을 ×표는 급전 정지를 각각 나타낸다.
우선, 운전 모드 A는 냉장실과 냉동실을 동시에 냉각 운전하는 모드이다. 즉, 압축기와 제1 팬[냉장실용 팬 모터(29)] 및 제2 팬[냉동실 팬 모터(38)]의 양쪽이 급전 상태이고, 냉기를 생성하는 각 증발기로부터 제1 팬, 제2 팬에 의해 냉장실 및 냉동실로의 냉기를 순환시켜 각각의 실을 냉각하고, 그 후 각 실로의 제1냉기 복귀 통로[흡입 통로(21)], 제2 냉기 복귀 통로[냉동실용 흡입 통로(31a)]를 각각 통과 후, 다시 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냉기 순환 경로를 형성한다.
운전 모드 B는 냉장실을 냉각 운전하는 것이다. 즉, 압축기 및 제1 팬이 급전 상태이고,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냉기는 냉장실, 야채실을 냉각하면서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통해 다시 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냉기 순환 경로이다. 이 때 제2 팬[냉동실 팬 모터(38)]은 급전 정지 상태이고, 냉동실의 냉각은 정지하고 있다.
운전 모드 C는 냉장실을 고습 운전하는 모드이다. 즉, 압축기 및 제2 팬은 급전 정지 상태이고, 제1 팬만 급전 상태이다. 이것은 제1 팬의 통전에 의해 증발기로부터의 냉기가 냉장실 전체로 송풍되고, 그 후 제1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 다시 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냉기 순환 경로이다. 여기서 증발기는 압축기의 급전 정지 상태이므로 증발기는 냉각되어 있지 않지만, 증발기에는 냉장실 내의 수분이 서리가 되어 다량으로 부착되어 있고, 이 다량으로 부착된 서리(수분)가 증발기로부터 제1 팬에 의해 냉장실 안으로 송출되게 된다. 따라서, 냉장실 안은 제1 팬으로부터의 수분을 포함한 공기가 순환함으로써 고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운전 상태에서 냉장실이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압축기는 급전 상태가 되고, 증발기에 냉동 사이클 내의 냉매가 흘러 냉각되어, 다시 냉장실로의 냉각 운전이 시작된다.
운전 모드 D는 냉동실을 냉각 운전하는 것이다. 즉, 압축기 및 제2 팬이 급전 상태이고,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동실을 냉각하면서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통해 다시 증발기로 복귀시키는 냉기 순환 경로이다. 이 때 제1 팬[냉장실 팬모터(29)]은 급전 정지 상태이고, 냉장실의 냉각은 정지하고 있다. 또한,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압축기와 제2 팬은 급전이 정지하여 냉동실로의 냉각 운전이 정지된다.
운전 모드 E는 압축기(10), 제1 팬의 급전이 정지하고, 제2 팬만 급전 상태이다. 이 때 제1 팬[냉장실용 팬 모터(29)]의 운전은 정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2 팬의 급전에 의해 증발기(28)로부터의 냉기가 냉동실의 전체로 송풍되고, 그 후 제2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 다시 증발기로 복귀하고, 냉동실 내를 냉각하여 냉동실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운전 모드 E에 있어서는 증발기에 부착된 서리를 압축기 정지 중에 제2 팬으로 냉동실 내의 복귀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에 녹이고, 그리고 서리가 녹을 때에 나오는 기화열을 탈취하며, 그 기화열을 탈취한 공기가 냉동실 내로 이송되어 실내 전체를 냉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팬 통전시의 팬 풍량은 통상 운전할 때보다 적게 하여(저속 회전수) 냉동실 안으로의 공기 순환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냉동실 내의 식품의 이상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냉동실 안은 냉동 사이클 정지 중에도 불구하고 냉동실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의 서리가 제거된 상태를 온도 센서에 의해 감시하여,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오프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증발기의 서리를 제거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운전 패턴을 정기적으로 넣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서리 제거 간격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측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냉장고의 전력 절약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운전 모드 F는 제1 팬 및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압축기만 급전을 행하는 것이고, 증발기 주위의 공기를 냉각만 하는 것으로, 냉장고 내부 온도에 끼치는 영향이 적어 에너지가 낭비되므로 운전 모드 E와 마찬가지로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운전 모드는 냉장실, 냉동실의 운전 패턴의 조합을 각종 변경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좋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 모드 C에 있어서 더 설명하면, 증발기의 서리에 대해 압축기 정지 중에 제1 팬을 통전시키면, 냉장실 내의 복귀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증발기 표면의 서리를 녹이고, 동시에 증발기로부터 수분를 흡수하고, 이 흡수된 수분이 냉장실 안으로 이송되어 냉장고 내부 전체를 고습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증발기의 서리 부착을 제거할 수 있고, 이 운전 모드 C가 정기적으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냉장고의 서리 제거 간격을 적게 하여, 냉장실측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어 냉장고의 전력 절약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동실용 증발기와 냉장실용 증발기를 구비한 1개의 증발기를 1개의 부실에 수납함으로써, 한정된 냉장고 내의 용적, 특히 냉장실의 유효 용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어, 냉장고의 내용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를 1개의 부실에 수납함으로써 증발기 주변 부품의 공용화에 의해 부품 갯수가 대폭으로 삭감되어 저렴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동 사이클의 부품 삭감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 운전 정지시에 제1 팬에 급전하여 냉장실의 고습 운전 모드로 증발기에 부착된 서리를 녹이면서 냉장실 내로 냉기 순환시키므로 냉장실 안이 고습이 되어 식품, 특히 생선, 야채류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적 효율이 높고 저비용이면서 신뢰성이 높은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접촉하는 냉장실 냉기 접촉 부분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로부터의 복귀 냉기가 접촉하는 냉동실 냉기 접촉 부분으로 증발기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제1 팬 및 제2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고,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의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및 제1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장실의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제1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압축기 및 상기 제2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장실의 고습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압축기 및 제2 팬으로의 급전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팬으로의 급전을 정지하여 냉장실의 냉각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압축기와, 증발기가 설치되어 냉장실 및 냉동실에 공급하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실과, 이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1 냉기 복귀 통로와, 상기 증발기실에 연통하여 상기 냉동실 내의 냉기를 증발기실로 복귀시키는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1 팬과, 상기 제2 냉기 복귀 통로에서 냉기를 순환시키는 제2 팬을 갖고, 상기 증발기가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제1 냉기 복귀 통로를 통과하는 냉기가 접촉하는 제1 증발기 부분과,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할된 제2 냉기 복귀 통로를 통과하는 냉기가 접촉하는 제2 증발기 부분을 구비하고, 제2 증발기 부분의 증발 능력을 제1 증발기 부분의 증발 능력보다도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2-0007856A 2002-01-07 2002-02-14 냉장고 KR100431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0231A JP2003202176A (ja) 2002-01-07 2002-01-07 冷蔵庫
JPJP-P-2002-00000231 2002-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727A KR20030060727A (ko) 2003-07-16
KR100431480B1 true KR100431480B1 (ko) 2004-05-14

Family

ID=2764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856A KR100431480B1 (ko) 2002-01-07 2002-02-14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202176A (ko)
KR (1) KR100431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2537B2 (ja) * 2009-08-12 2012-07-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1931940B1 (ko) * 2012-07-13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5771334B2 (ja) * 2012-09-26 2015-08-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10360790A (zh) * 2014-08-20 2019-10-22 东芝生活电器株式会社 冰箱
JP6591786B2 (ja) * 2014-08-20 2019-10-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4374138B (zh) * 2014-11-28 2017-05-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风冷冰箱
CN107388702B (zh) * 2017-08-25 2019-12-0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制冷***及冰箱
KR102279052B1 (ko) * 2019-12-09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677A (ja) * 1990-03-16 1991-11-28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60554U (ko) * 1997-03-13 1998-11-05 김광호 냉장고의 냉기토출 장치
KR19990004808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간냉식 냉장고
JPH1144477A (ja) * 1997-07-25 1999-02-16 Hitachi Ltd 冷蔵庫
JP2000088422A (ja) * 1998-09-02 200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の庫内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074354A (ja) * 1999-09-01 2001-03-23 Toshiba Corp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3923A (ja) * 1995-05-12 1996-11-22 Toshiba Corp 冷蔵庫
JPH09229532A (ja) * 1996-02-23 1997-09-0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3738169B2 (ja) * 2000-03-30 2006-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湿度調節式冷蔵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7677A (ja) * 1990-03-16 1991-11-28 Toshiba Corp 冷蔵庫
KR19980060554U (ko) * 1997-03-13 1998-11-05 김광호 냉장고의 냉기토출 장치
KR19990004808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간냉식 냉장고
JPH1144477A (ja) * 1997-07-25 1999-02-16 Hitachi Ltd 冷蔵庫
JP2000088422A (ja) * 1998-09-02 200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冷蔵庫の庫内温度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074354A (ja) * 1999-09-01 2001-03-23 Toshiba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727A (ko) 2003-07-16
JP2003202176A (ja) 200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573B2 (en) Refrigerator
KR20120022600A (ko) 냉장고
KR100431480B1 (ko) 냉장고
JP2005172303A (ja) 冷蔵庫
US3475920A (en) Keeping insulation dry
JP2012237520A (ja) 冷蔵庫
JP2016031165A (ja) 冷蔵庫
KR100633149B1 (ko) 냉장고
JP2005090924A (ja) 冷蔵庫
KR0163120B1 (ko) 냉장고
JP4197851B2 (ja) 冷蔵庫
JP4596679B2 (ja) 冷蔵庫
KR100577180B1 (ko) 냉장고
KR100221548B1 (ko) 냉장고의 증발기 설치구조
TWI658245B (zh) refrigerator
KR0122353Y1 (ko) 냉장고
JP4229941B2 (ja) 冷蔵庫
KR100597292B1 (ko) 냉장고
JPH1114232A (ja) 冷蔵庫
JPH07286770A (ja) 冷凍冷蔵庫
KR0152862B1 (ko) 냉장고의 온습도조절장치
KR970009027B1 (ko) 냉장고의 중간단열벽용 덕트
JPH1194438A (ja) 冷蔵庫
KR200147014Y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유동 구조
JPH11183011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