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679B1 - 작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작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679B1
KR100388679B1 KR1019960703638A KR19960703638A KR100388679B1 KR 100388679 B1 KR100388679 B1 KR 100388679B1 KR 1019960703638 A KR1019960703638 A KR 1019960703638A KR 19960703638 A KR19960703638 A KR 19960703638A KR 100388679 B1 KR100388679 B1 KR 10038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umulator
consumer
valve
pressur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0288A (ko
Inventor
안소니 하리스 데이빗
Original Assignee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9422579A external-priority patent/GB942257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9422580A external-priority patent/GB9422580D0/en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7070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having accumulator 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7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having accumulator charging devices
    • F15B1/033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having accumulator charging devices with electrical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0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or related fluid control means therefor
    • F16H2061/305Accumulators for fluid supply to the servo motors, or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의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펌프(10b)로부터 스티어링밸브(5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 1소비기구로 유체를 이동시킨다. 클러치 작동기(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 2소비기구가 펌프로부터 충전되는 축압기(10c)로부터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하여 작동된다. 솔레노이드밸브는 제 2소비기구(12)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여 제 2소비기구를 작동시킨다.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 이하의 축압기압력레벨에서 제 1소비기구(50)에 대한 유체의 흐름은 제 1소비기구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키는 한편 축압기의 충전에 이루어지는 충분한 배압을 발생하도록 하는 레벨로 제한된다. 이러한 흐름의 제한은 솔레노이드밸브(12a) 또는 별도의 충전밸브(2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작동시스템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스티어링 작동시스템의 상세도
제 2도는 제 1도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전 및 방출밸브구조의 상세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스티어링 작동시스템의 제 2실시형태의 사시도
제 4도는 제 2도에서 보인 것과 유사한 충전 및 방출밸브구조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스티어링 작동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보인 상세도
제 5도는 제4도 시스템 일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유체압력작동형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어 본원 출원인의 유럽특허 제 0038113호, 제 0059035호 및 제 0101220호에 기술된 형태의 반자동 트랜스미션에 사용되는 차량용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이러한 작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작동시스템은 펌프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소비기구를 포함하는 상호연결형의 폐쇄형 중심 및 개발형 중심회로에 가압유체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미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서 폐쇄형 중심회로는 펌프에 의하여 충전되는 축압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시스템에 있어서는 개방형 중심회로의 작동이 폐쇄형 중심회로에서 축압기의 충전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상기 문제점이 없는 작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시스템은 유체조에서 유체를 끌어내는 펌프, 펌프로부터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소비기구와, 펌프에 의하여 충전되는 축압기로부터 밸브수단을 통하여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소비기구로 구성되고, 밸브수단은 제 2 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여 제 2 소비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되어 있고, 또한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의 축압기 압력레벨에 응답하여 제 1 소비기구 쪽으로 유체흐름을 제 1 소비기구의 작동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로 제한하는 반면에 축압기의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압을 발생하도록 한다.
축압기의 충전시 제 1 소비기구로부터 흐름을 제한하는 것은 제 1 소비기구의 상기와 같은 영향 없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요구된다.
제 1 및 제 2 소비기구는 밸브수단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다.
밸브수단은 제 2 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고 제 1 소비기구에 대한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도록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스풀과 같은 밸브부재)를 갖는 제 1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재는 제 2 소비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축압기 압력레벨 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밸브부재에 대한 유체압력의 작용으로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로 떨어지는축압기압력레벨에 응답하여 밸브부재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1 밸브수단에 스풀형 밸브부재가 사용될 때에 스풀에는 제 1 소비기구에 대한 제한된 흐름이 일어나는 하나이상의 그루브 또는 기타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밸브수단은 제 2 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고 또한 축압기의 충전율을 제어하도록 이동되는 밸브부재를 갖는 제 1 밸브를 포함한다.
작동시스템은 제 1 소비기구에 대한 유체의 흐름을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 이하의 측압기 압력레벨로 제한하는 별도의 충전밸브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시스템은 축압기가 충전될 수 있는 압력레벨을 제한하는 제 2 밸브수단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 제 2 밸브수단은 영국특허출원 제 94209830호에 기술된 형태의 충전밸브 및 방출밸브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에서, 클러치작동시스템은 개방형 중심파워 스티어링 밸브(50)의 형태인 제 1 소비기구와 클러치작동 슬래이브 실린더(11)를 위한 작동기(12)의 형태인 제 2 소비기구에 가압유체를 공급하는 파워팩(10)을 포함한다. 이들 소비기구에는 가압유체가 솔레노이드 작동형 유량제어밸브(12a)의 형태인 밸브수단을 통하여 공급된다.
슬래이브 실린더(11)는 클러치해제베어링(14)을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레바(13)에 작용한다.
파워팩(10)은 유체조(10a), 전기구동펌프(10b), 축압기(10c)와역지밸브(10d)를 포함한다.
작동기(12)는 작동기를 각각 솔레노이드밸브(12a)와 슬래이브 실린더(11)에 연결된 두 개의 챔버(18)(19)로 나누는 피스톤(17)을 포함한다. 따라서, 챔버(18)가 가압되면 피스톤(17)이 이동하여 챔버(19)로부터 유체를 몰아냄으로서 슬래이브 실린더(11)를 작동시키고 클러치가 분리되도록 클러치작동레바(13)를 이동시킨다.
클러치작동레바(13)의 변위량은 출력이 전자제어유니트(36)에 공급되는 로터리 포텐셔메타(44)의 형태인 감지기에 의하여 측정된다. 또한 제어유니트(36)는 이에 제 1 도에서 부로 S로 보인 다른 차량작동 파라미터입력이 수신되고 밸브(12a)의 솔레노이드(12d)에 작동기(12)를 축압기(10c)나 유체조(10a)에 연결하라는 명령을 지시한다.
전자제어유니트(36)등의 전체구성과 작동설명은 상기 유럽특허를 참조바라며, 상세한 설명은 않기로 한다.
솔레노이드작동형 밸브(12a)는 하우징(15)의 통공(31)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외측부(30)로 구성된다. 이 외측부(30)는 통공(31)과 함께 환성공급통로(35)(36)를 형성하며 이들은 축압기(10c)와 작동기(12)에 각각 연결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두 개의 다른 환상공급통로(51)(52)가 형성되며, 공급통로(51)는 펌프(10b)에 연결되고 통로(52)는 스티어링밸브(50)에 연결된다.
밸브외측부(30)내에는 대경부를 갖는 축방향 가동형 스풀(37)이 배치되며 이는 솔레노이드밸브(12a)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 각각 복귀스프링(38)(39)에 의하여 제 1도에서 보인 위치에 놓여있다. 복귀스프링(39)은 나선형 너트(40)에 대하여 작용하며 나선공(41)내에서의 그 축방향 위치가 본원출원인의 영국특허출원 제9308539.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풀(37)에 가하여지는 스프링부하를 제어한다.
스풀(37)이 제 1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 스풀대경부(42)는 환상공급통로(35)(36)사이의 연통상태를 차단하여 작동기(12)의 챔버(18)가 파워팩(10)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스풀위치에서 유로(X)와 복귀라인(43)을 통하여 유체조(10a)와 연통한다.
또한 스풀은 부가적인 대경부(53)를 포함하며 이 대경부에는 이 대경부(53)를 따라 부분적으로 축방향 그루브(54)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37)이 제 1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 환상공급통로(51)는 스풀(37)이 활동하는 통공(30a)내의 턱(55)을 지나 유로(Y)를 통해 방해받지 않고 공급통로(52)와 연통한다.
작동시스템은 제어유니트(36)에 축압기(10c)내의 유체압력레벨을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는 입력레벨감지기(56)를 갖춤으로서 완성된다. 전형적으로 축압기내의 압력레벨이 10바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제어유니트(36)에는 축압기의 충전이 필요하고 40바아의 압력레벨이 축압기가 완전히 충전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받아들여진다.
상술한 작동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풀(37)이 제 1도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기(12)는 축압기(10c)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아 해제베어링(14)에 의하여 작동되는 클러치가 결합된다. 클러치는 분리하기 위하여 밸브(12a)의 솔레노이드(12b)가 제 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풀(37)을 우측으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작동되어 대경부(42)가 환상공급통로(35)(36)사이를 연통하도록 개방하고 복귀유로(X)를 폐쇄하여 유체조(10a)가 작동기(12)의 챔버(18)를 축압기(10c)에 연결함으로서 피스톤(17)이 제 1도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으로 이동되어 작동기(12)가 챔버(19)로부터 유체를 슬래이브 실린더(11)로 이동시켜 클러치해제베어링(14)을 작동시킴으로서 클러치를 분리한다.
스풀(37)의 상기와 같은 축방향 운동으로 이제까지는 제한되지 않았던 유로(Y)가 축방향그루브(54)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루브(54)는 스티어링 밸브(50)에 필요한 유량이 밸브(50)의 영향받지 않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높은 레벨로 유지되도록 하는 반면에 축압기(10c)를 충분히 충전하도록 밸브(12a)의 펌프 측에서 배압이 생성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압력감지기(56)가 축압기(10c)가 충전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경우(전형적으로 20바아정도의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로 압력레벨이 떨어지는 경우), 클러치작동기(12)가 작동되지 않을 때에 제어유니트(36)는 솔레노이드(12b)에 스풀(37)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그루브(54)가 유로(Y)측에 이르도록 하는 신호를 보냄으로서 스티어링밸브(50)의 작동효과와 슬래이브 실린더(11)의 작동 없이 축압기(10c)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그루브(54)를 통한 스티어링밸브(50)로의 제한된 흐름은 스풀(37)이 작동기(12)를 작동하도록 제어유니트(36)에 의하여 이동될 때에, 또는 작동기(12)가 작동상태하에 있지 않는 경우, 압력레벨감지기(56)가 축압기의 충전이 필요함을 지시하는 경우에 스티어링회로에 보내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방형의 중심스티어링밸브(50)의 작동기 축압기의 충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작동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스티어링이 작동될 때에 축압기(10c)가 펌프(10b)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는 레벨을 제어하지 아니한다.
이로써 축압기(30-40바아의 압력레벨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는 밸브(50)가 예를 들어 완전고정위치에 있을 때에 100바아 이상의 압력레벨이 스티어링 휠에서 발생될 수 있으므로 스티어링밸브(50)의 펌프 측에서 발생하는 배압의 결과로서 100바아 이상의 압력레벨로 충전될 수 있다.
요구되는 경우, 고압축압기충전압력의 상기 문제점은 제 1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제 2 밸브수단(60)을 축압기(10c)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2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제 2 밸브수단(60)은 상술한 본원출원인의 영국특허출원 제 9420983.0호에 기술된 형태인 충전밸브(114)와 방출밸브(117)의 구조로 구성된다.
충전밸브(114)는 중간에 환상요입구의 형태로 형성된 소경부(121)를 갖는 스풀(120)로 구성되며, 소경부는 축방향 위치에 따라서 충전포트(122)(123)사이의 연통을 제어한다. 스풀(120)의 일측단부(124)는 역지밸브(10d)의 축압기 측에서 충전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스풀(120)의 타측단부는 롯드의 형태로 구성되어 스프링(128)에 의하여 방출시이트(127)에 대해 평상시 고정되어 있는 방출밸브(117)의 볼 밸브부재(126)가 방출시이트에서 벗어나도록 작동한다. 메인 스풀 제어스프링(129)은 스풀을 제 2 도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으로 탄지하도록 스풀(120)에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풀(120)의 단부(124)에 작용하는 축압기 압력은 메인 스풀 제어스프링(129), 경스프링(128)과 방출밸브부재(126)에 작용하는 충전압력의 조합된 작용에 대하여 작용한다. 스풀(120)의 단부의 유효단면영역과 충전압력에 노출된 밸브부재(126)의 영역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전형적으로 스풀의 단부 124에 대하여 2:1이다.) 이와 같이 면적차이가 큰 것을 이용함으로서 축압기압력이 방출밸브(117)를 충분히 개방할 정도로 상승되는 순간에 볼 밸브부재(126)를 둘러싸고 있는 압력이 크게 떨어져 스풀(120)에서 우측으로 작용하는 힘도 역시 떨어져 스풀(120)의 단부(124)에 작용하는 축압기압력은 스풀이 좌측으로 신속히 이동하여 충전포트(123)를 폐쇄한다. 이는 방출밸브부재(126)가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힘을 제공함으로서 역지밸브(10d)의 펌프측 압력이 라인을 통하여 유체조(10a)로 방출되게 한다. 따라서 축압기(10c)의 충전이 스풀(120)에 의하여 중지되는 완전차단레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유사하게 스프링(129)이 스풀(120)을 이동시켜 충전포트(123)를 개방하여 축압기(10c)의 충전이 재개되기 전에 축압기의 충전이 스풀(120)에 의하여 차단되는 레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레벨로 축압기 압력이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충전의 차단과 충전의 개시는 완벽한 차단과 압력레벨의 재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충전밸브(114)와 방출밸브(117)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제 3도에서 보인 클러치 작동시스템은 제 3도에서 축압기(10c)가 환상공급통로(51)(52)(유로Y'참조)를 통하여 충전되고 파워스티어링밸브(50)에는 영구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공급통로(51)와 충전밸브(80)를 통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도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제 2도의 구성과 유사한 제 3도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스풀(37)이 제 3도에서 보인 위치에 있을 때에 스풀의 대경부(42)가 환상공급통로(35)(36)사이의 연통을 차단하고 작동기(12)의 챔버(18)가 파워팩(10)에 의하여 가압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스풀의 위치에서 공급통로(36)는 유로(X)와 복귀라인(43)을 통하여 유체조(10a)와 연통하고 환상공급통로(51)는 유로(Y')를 통하여 공급통로(52)와 제한되지 않는 연통상태에 놓여있어 축압기(10c)의 충전율이 제한되지 아니한다.
압력레벨감지기(56)는 제어유니트(36)를 통하여 병렬결합형의 유량제한기(81)를 갖는 충전밸브(8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전기신호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축압기의 압력레벨이 20바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 감지기(56)는 충전밸브(80)를 폐쇄하여 스티어링 밸브(50)로의 흐름을 유량제한기(81)를 통하여 변경시킨다. 이는 밸브(80)의 펌프 측에 배압이 생성되도록 하여 축압기(10c)의 적절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반면에 스티어링밸브(50)의 효과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작동시스템은 또한 스티어링 밸브회로의 압력이 2-3바아로 상승될 때에 제어유니트(36)에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스티어링밸브(50)가 작동됨을 지시하는 압력감지기(90)를 포함한다. 80-100바아의 작동압력은 밸브가 완전고정상태에 있을 때에 이러한 스티어링밸브회로에 흔치않은 것은 아니다.
제 3도의 작동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풀(37)이 제 3도에서 보인 위치에 있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기(12)는 축압기(10c)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아 해제베어링(14)을 위하여 작동되는 클러치가 결합된다. 클러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밸브(12a)의 솔레노이드(12b)는 스풀(37)을 제 3도에서 보았을 때에 축방향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어 대경부(42)가 환상공급통로(35)(36)사이를 연통되게 개방하고 유체조(10a)로의 복귀유로(X)를 폐쇄하여 작동기(12)의 챔버(18)를 축압기(10c)에 연결하고, 제 3도에서와 같이 피스톤(17)이 우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서 클러치를 분리하도록 클러치해제베어링(14)을 작동시킨다.
스풀(37)의 상기와 같은 축방향운동으로 아직까지는 제한되지 않았던 축압기 충전유로(Y')가 대경부(53)의 축방향 그루브(54)를 통하여 형성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루브(54)는 축압기(10c)를 충전시키는데 유용한 유량이 확보되어 밸브(50)의 영향받지 않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충분한 흐름이 스티어링밸브(50)에 대하여서도 유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만약 압력감지기(56)가 축압기(10c)가 충전이 요구됨을 지시할 때에(압력레벨이 전형적으로 20바아인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로 떨어졌을 때) 제어유니트(36)는 충전밸브(80)에 신호를 보내어 스티어링밸브(50)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축압기(10c)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배압을 생성하기 위해 제한기(81)를 통하여 흐름이 전환되게 한다.
감지기(90)가 스티어링 밸브(50)의 작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어유니트(36)에 보낼 때에 제어유니트(36)는 슬래이브 실린더(11)를 작동시키지 아니하고 그루브(54)를 이용하여 축압기(10c)로의 충전흐름을 충분히 제한하도록 스풀(37)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라는 신호를 밸브(12a)의 솔레노이드(12b)에 보낸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축압기(10c)의 충전 중에 스티어링밸브(50)의 영향받지 않는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정교한 제어유니트(36)에 있어서는 스풀(37)은 스티어링밸브(50)가 작동될 때마다 이동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밸브가 직선위치의 양측으로 작은 스티어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어유니트는 축압기의 제한되지 않은 충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제 1도에 관련하여 상기와 같이, 만약 필요한 경우, 높은 축압기 충전압력의 문제점이 제 3도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축압기(10c)에 제 2 밸브수단(60)을 이용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제 2밸브수단(60)은 제 2도에 관련하여 상기와 유사한 충전밸브(114)와 방출밸브(117)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4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이는 이러한 충전밸브(114)와 방출밸브(117)의 구조를 이용한 작동시스템을 보이고 있으며 충전밸브(114)는 제 2도의 단일 소경부(121)를 갖는 것에 대하여 두 개의 소경부(121a)(121b)를 갖는 스풀(120)로 구성된다. 소경부(121a)는 스풀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충전포트(122)(123)사이의 연통상태를 제어한다. 소경부(121b)와 이와 결합된 축방향연장형의 흐름제한그루브(181a)는 제 3도 구조에서 제한기(181)의 기능을 수행하는 스티어링 포트(181)를 통한 흐름을 제어한다.
스풀(120)의 일측단부(124)는 역지밸브(10d)의 축압기 측의 충전압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스풀(120)의 롯드단부(125)는 평상시 스프링(128)에 의하여 방출시이트(127)에 고정되어 있는 방출밸브(117)의 볼 밸브부재(126)가 방출시이트로부터 벗어나도록 작동한다. 메인 스풀제어스프링(129)은 스풀(120)을 제 4도에서 보았을 때 좌측으로 탄지되도록 스풀(120)에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스풀(120)의 단부(124)에 작용하는 축압기압력은 메인 스풀제어스프링(129), 경스프링(128)과 방출밸브부재(126)에 작용하는 충전압력의 조합된 작용에 대하여 작용한다. 스풀(120)의 단부(124)의 유효단면영역과 충전압력에 노출된 밸브부재(126)의 영역은 상이하게 되어 있다.(전형적으로 스풀의 단부(124)에 대하여 2:1이다). 사용된 단면영역의 큰 차이로 축압기 압력이 방출밸브(117)를 개방하도록 충분히 상승될 때에 볼 밸브부재(126)를 둘러싸고 있는 압력이 떨어져 스풀(120)의 좌측으로 작용하는 힘도 역시 떨어져 스풀(120)의 단부(124)에 작용하는 축압기 압력은 스풀을 우측으로 신속히 이동시켜 충전포트(123)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로써 방출밸브부재(126)가 개방 유지되는 큰 힘이 제공되어 역지밸브(10d)의 펌프 측 압력이 라인을 통하여 유체조(10a)측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축압기(10c)의 충전이 스풀(120)에 의하여 차단되는 완벽한 차단레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축압기 압력은 스프링(129)이 스풀(120)을 이동시켜 충전포트(123)를 개방시키고 축압기(10c)는 충전을 재개하기 전에 축압기의 충전이 스풀(120)에 의하여 차단되는 레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레벨로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충전의 차단과 충전의 개시는 확실한 차단과 재충전 압력레벨을 제공하도록충전밸브(114)와 방출밸브(117)에 의하여 확실하고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것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흐름제한 그루브(181a)는 스티어링포트(181)와 협동하여 충전포트(123)가 개방되고 축압기(10c)가 펌프(10b)를 위하여 충전될 때에 스티어링밸브(50)로의 유체흐름을 제어한다. 스티어링회로의 이러한 제한은 스풀(120)이 포트(123)를 폐쇄하도록 우측으로 이동될 때에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제 4도의 구성에 있어서, 스티어링포트(181)와 그루브(181a)와 함께 스풀(120)의 특별한 소경부(121b)는 제 3도 구조에 있어서, 충전밸브(80), 제한기(81) 및 압력감지기(56)의 기능을 대신한다.
제 5도는 솔레노이드밸브(12a)를 작동시키는 압력감지기(90)가 스티어링밸브(50)와 충전/방출밸브(114/117)사이의 스티어링회로로부터 압력탭핑(200)으로 대체된 제 4도에서 보인 시스템의 수정형태를 보이고 있다. 탭핑(200)은 이 탭핑(200)의 압력레벨이 스티어링 밸브(50)가 작동되어 축압기(10c)의 잠재충전율을 제한함을 지시할 때에 스풀(37)을 이동하도록 밸브(12a)의 스풀(37)의 단부에 작용하는 보조피스톤(201)에 연결된다.
작동기(12)에 공급된 압력을 제어하는 스풀(37)의 솔레노이드 작동은 제 5도에서 부호(12b)로 보인 바와 같이 피스톤(201)의 중심에서 이루어진다.

Claims (14)

  1. 작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유체조에서 유체를 끌어내는 펌프, 펌프로부터 작동되는 하나 이상의 제 1소비기구와, 펌프에 의하여 충전되는 축압기로부터 밸브수단을 통하여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소비기구로 구성되고, 밸브수단은 제 2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여 제 2소비기구를 작동시키며, 또한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의 축압기 압력레밸에 응답하여 제 1소비기구측으로의 유체흐름을 제 1소비기구의 작동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벨로 제한하는 반면에 축압기의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압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소비기구가 밸브수단을 통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밸브수단이 제 2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고 제 1소비기구로의 유체흐름을 제한하도록 이동 가능한 밸브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제 2소비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축압기압력레벨 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제 2소비기구의 작동을 제어수단과 밸브부재에 대한 축압기압력의 직접작용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제 1소비기구에 대한 제한된 연통이 이루어지는 하나이상의 그루브를 갖는 스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밸브수단이 제 2소비기구를 축압기 또는 유체조에 연결하고 축압기의 충전율을 제한하도록 이동되는 밸브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제 2소비기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 1소비기구의 작동을 지시하는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제 1소비기구의 작동이 하나 이상의 제 1소비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압력의 상승을 지시하는 압력레벨감지기에 의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제 1소비기구의 작동이 밸브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제 1소비기구로부터의 압력탭핑에 의하여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밸브부재가 축압기의 제한된 연통이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그루브를 갖는 스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밸브수단이 상기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이하의 축압기 압력레벨에서 제 1소비기구에 대한 유체의 흐름을 제한하는 별도의 충전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충전밸브수단이 상기 사전에 결정된 충전레벨 이하의 축압기압력레벨로 흐름제한기를 통해 제 1소비기구로의 흐름을 전환하는 솔레노이드작동형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축압기가 충전될 수 있는 압력레벨을 제한하는 제 2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19960703638A 1994-11-09 1995-11-07 작동시스템 KR100388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22579A GB9422579D0 (en) 1994-11-09 1994-11-09 Actuation systems
GB9422580.2 1994-11-09
GB9422579.4 1994-11-09
GB9422580A GB9422580D0 (en) 1994-11-09 1994-11-09 Actuation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0288A KR970700288A (ko) 1997-01-08
KR100388679B1 true KR100388679B1 (ko) 2003-10-04

Family

ID=2630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638A KR100388679B1 (ko) 1994-11-09 1995-11-07 작동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27389A (ko)
EP (1) EP0738372B1 (ko)
JP (1) JPH09507906A (ko)
KR (1) KR100388679B1 (ko)
CN (1) CN1072319C (ko)
BR (1) BR9506475A (ko)
DE (1) DE69514906T2 (ko)
ES (1) ES2142498T3 (ko)
WO (1) WO1996015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16836D0 (en) * 1994-08-19 1994-10-12 Automotive Products Plc Fluid pressure supply system
EP0749887B1 (de) * 1995-06-21 2001-09-2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Druckmittelbetriebene Steuerungseinrichtung für eine Servolenkung und eine Kuppl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DE19632256C2 (de) * 1996-08-09 1998-07-02 Volkswagen Ag Pumpenaggregat
DE19735647C1 (de) * 1997-08-16 1999-02-25 Trw Fahrwerksyst Gmbh & Co Verfahren zum Steuern des Lenkvolumenstromes einer hydraulischen Servolenk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6629411B2 (en) * 2001-05-09 2003-10-07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Dual displacement motor control
DE102008009653A1 (de) * 2007-03-07 2008-09-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Hydraulikanordnung zur Steu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0027363A1 (de) * 2010-06-26 2011-12-29 Volkswagen Ag Anordnung mit einem Speicherladeventil
CN104417383A (zh) * 2013-09-02 2015-03-18 天津商业大学 电动运载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850A (en) * 1956-07-02 1958-08-12 Thompson Prod Inc Control valve
US2977761A (en) * 1957-10-31 1961-04-04 Bendix Corp Fluid pressure system having open center and closed center portions
US3119235A (en) * 1960-09-06 1964-01-28 Bendix Corp Control valve
FR2136857B1 (ko) * 1971-05-07 1974-04-05 Dba
DE2836816C2 (de) * 1978-08-23 1986-03-06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Ventileinrichtung
DE3347473A1 (de) * 1983-12-29 1985-07-11 Mannesmann Rexroth GmbH, 8770 Lohr Hydraulisches schaltventil mit integriertem vorrangventil
FR2670169B1 (fr) * 1990-12-07 1997-03-07 Valeo Dispositif de moyens de manoeuvre d'une install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a direction hydraulique assist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42498T3 (es) 2000-04-16
DE69514906D1 (de) 2000-03-09
US5727389A (en) 1998-03-17
BR9506475A (pt) 1997-10-07
EP0738372B1 (en) 2000-02-02
WO1996015372A1 (en) 1996-05-23
DE69514906T2 (de) 2009-10-22
CN1072319C (zh) 2001-10-03
KR970700288A (ko) 1997-01-08
EP0738372A1 (en) 1996-10-23
JPH09507906A (ja) 1997-08-12
CN1138366A (zh)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66151B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ilot operated check valve
KR100388679B1 (ko) 작동시스템
KR100436261B1 (ko) 작동시스템과기구
US7921642B2 (en) Inertial body drive system
US5377717A (en) Hydraulic flow control valve assemblies
SE455291B (sv) Bromstrycksgenerator for ett hydrauliskt motorfordonsbromssystem spec med en drosselkanal med sperrventil mellan en kammare, knuten till minst en hjulbroms, och anordningens tryckkammare
EP1028044B1 (en) Dual brake valve for a steering assist system
EP0416130B1 (en) Hydraulic valve capable of pressure compensation
US20060054225A1 (en) Proportional pressure control valve
US6192929B1 (en) Hydraulic controller
KR100511197B1 (ko) 유압제어밸브 장치
CN115698520B (zh) 延时阀及流量控制器
JPH07259978A (ja) トラクタ等のリバ−スコントロ−ルバルブ
JP2746857B2 (ja) ショックレスバルブ
JP2844504B2 (ja) 電磁比例制御弁
US5794510A (en) Pressurized fluid feed system
GB2076183A (en) Hydrauli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ow of pressure medium
US5185999A (en) Hydraulic brake booster and valve members
GB2294248A (en) Vehicle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GB2306926A (en) Control valve assembly for vehicle fluid pressure supply
JPH0320602B2 (ko)
RU1773783C (ru) Приоритетный гидр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объединенной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09242903A (ja) チェック弁
JPH0366974A (ja) 流量検出弁
JPH052060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