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725B1 -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725B1
KR100367725B1 KR10-2000-0087218A KR20000087218A KR100367725B1 KR 100367725 B1 KR100367725 B1 KR 100367725B1 KR 20000087218 A KR20000087218 A KR 20000087218A KR 100367725 B1 KR100367725 B1 KR 10036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gh
lumbar
pelvis
pressur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991A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2000-008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7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추부를 단련하고 개선하기 위한 재활 운동 시스템으로서 안전과 기능효과를 발전시킨 기술 구성에 관한 것이다. 신전 운동에 있어서, 요추부는 하부신경과 취약한 관절 구조로 인해 골반 고정은 안전에 필수 요소이다. 그런데, 기존의 허리 신전 운동 장치는 발판을 전진하여 무릎을 올린 상태에서 벨트로 허벅지 중간부를 좌대 아래로 당겨묶어 골반을 좌판에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골반을 고정한다고 하지만, 신전할 때 그 반작용은 발판에까지 미치고 힘을 쓸수록 발판을 미는 힘은 증가하므로 실제로는 하부 관절이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골반 후부에 골반가압고정기구를 설치하고 좌대 부위에 허벅지 후부 밀착 고정기구를 설치하여 요추 하부 차단 기능을 갖추고 좌대의 전방에 2쌍의 이동 링크로 유도되어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압고정대-이동기구를 구비하고, 허벅지 전면부를 감싸 누를 수 있는 허벅지 고정기구에다, 하복부가 접속되지 않게 골반상부 받침을 구비한 요추 하부 전면 고정기구를 상기 가압고정대-이동기구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골반의 전후와 허벅지 전후면의 전부위를 밀착 고정함으로써, 요추 신전 굴절 운동 시 요추부위 이외의 근육을 완전히 고립시키는 본래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Load Generator and Waist Exercise System Using Same}
본 발명은 내부작동매체의 유동방향이나 유량을 제어하여 얻어지는 저항력을 이용하여 회전운동부하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부하기구와, 필요시 이러한 부하기구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를 구성하여 상체에 의한 허리의 단련과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구성한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허리부위는 그 골격구조가 골반과 척추가 서로 연결되고 골반의 하부엔 고관절이 연결되며, 골반과 척추사이엔 여러 허리근육으로 지지 연결되어 움직일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허리근육을 단련하거나 재활을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종래의 운동장치로서 알려져 있는 선행기술은 미국특허 제5,928,112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허리의 재활운동시에 하체는 고정시키고 상체를 굽힌 상태에서 상향으로 펼치는 신전운동(伸展運動)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구조적인 특성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를 조목별로 후술한다.
재활 운동 장치의 안전성은 의료기의 기본 요건이다.
특히, 요추부는 지탱 골격이 없이 추골이 마디 형태로 결합된 취약한 구조이고, 하부신경이 관통하고 있어 하부 골반 고정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전제조건이다.
종래의 허리 신전 운동 장치의 골반 고정 방법에 대한 선행 기술은 발판으로 무릎을 밀어 올린 상태에서 허벅지 중간부를 벨트로 당겨 묶어 골반을 좌판에 밀착시켜 고정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보면 고관절의 양 골격 중 단지 대퇴골 만을 고정한 것이고, 골반쪽은 그 상부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고정될 수가 없다. 따라서, 관절의 한쪽 고정으로 다른 한쪽이 고정된다는 개념은 성립될 수도 없으므로 종래의 골반고정기법은 진정한 기술적 고정수단이 될 수가 없다. 또한, 하체고정기법도 역시 그러하다.
종래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골반을 골반 받침에 지탱하고 앉은 자세에서 발판을 전진시키면 무릎은 구부려지면서 밀어 올라가게되어 무릎 걸이에 밀착되고 허벅지 아래는 좌판에서 떨어져 공간이 생긴다. 허벅지 중간부를 벨트로 좌판 아래로 끌어당겨 묶게 되면, 골반의 하부는 좌판에 더욱 밀착되지만, 허벅지 하부는 여전히 공간이 남게 되어, 지탱되지 않는다.
물론, 허벅지는 무릎쪽이 상하가 고정된 장단지에 받혀있고, 대퇴골이 좌판에 밀착되어 있어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허리 신전 운동 시에는 발, 무릎, 고관절의 신전 근육들은 반작용으로 대응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결코 고정된 것이 아니다. 실제로, 허리를 구부리고 펼 때, 신전 운동의 반작용은 골반 대퇴부, 장단지를 거쳐 발에 미치게 되고 힘을 쓰면 쓸수록 발판을 미는 힘은 증가한다. 이처럼 허리운동의 반작용이 골반에서 발에 이르기까지 하부관절로 연동한다는 것은, 상부 관절들이 하나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명백한 근거이다.
재활의학에서, 운동 관절의 한쪽 골격을 고정하는 이유는, 다른 한쪽의 골격근을 고립하는 효과와 안정이 절대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허벅지 양끝을 받치고 중간부를 압박하는 고정기법은 연로하거나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에는 골절과 같은 의료 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다.
또한, 앉은 자세에서는 고관절에 비해 하복부가 앞으로 나온 상태이고, 평균비만을 감안하더라도 벨트의 고정위치는 허벅지의 중간 부위가 됨으로써, 골반을 좌판에 밀착시키려면 상당한 가압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허벅지 하부가 받혀있지 않는 공간 상태이므로, 심한 고통을 겪게 되며, 비만인의 경우, 벨트가 대각선 방향으로 조이게 되므로, 고정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고통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선행 기술의 하체, 골반 고정 수단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골반 후부가 골반 받침에 지탱되게 당겨 앉은 상태에서, 발을 발판에 얹고, 무릎 걸이는 무릎의 위치에 가깝게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고, 발판을 대각선 방향으로 상승되게 전진하여 무릎을 대퇴골보다 높게 올려서 무릎 걸이에 밀착되게 하고 허벅지 중간부를 당겨 묶어서 골반을 좌판에 밀착되게 한다.
여기서, 골반 고정 여부를 살펴보면, 허벅지 중간부가 눌러 고정하면 골반이 좌판에 밀착되고, 후부가 골반 받침에 받쳐 있어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고관절의 양골격 중 단지 대퇴골 만을 고정한 것이고, 골반 쪽은 전후가 개방되어 있어 고관절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골반은 고정될 수가 없다.
물론, 골반 후부가 골반 받침에 받쳐 있다고 하나 그 사이에는 완충 공간이 있게 마련이고, 받쳐 있는 상태에서부터 밀착되는 상태에 이르기까지는 분명, 움직일 수 있는 스페이스가 발생함으로써, 운동의학상의 고정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것이다.
또한, 하체 고정여부를 살펴보면, 대퇴골의 무릎 쪽은 발판에 의해 장단지에 높게 받친 상태에서 허벅지 중간부를 벨트로 당겨 묶게 되면, 골반은 좌판에 밀착되지만, 허벅지 하부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릎과 고관절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생기는 공간은, 구부러진 관절을 펼 수 있는 여지를 가져오고, 신전 근육의 움직임은 발에서부터 골반까지 미치므로 하체는 실질적으로 고정되지 않는다. 물론, 하체 신전시에 발 쪽은 고정된 발판에 그리고 엉덩이 쪽은 골반 받침에 받혀 운동에 제한을 받으므로 고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골반과 골반 받침 사이의 완충 공간이 있어 가압하여 밀착될 때까지의 여백만큼 골반은 뒤로 밀려나고 그만큼 대각으로 접속된 벨트를 가압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실제로, 허리를 구부리고 신전할 시, 힘을 쓰면 쓸수록 그 반작용은 발판에가해지고 벨트를 더욱 조이게 되어 고통이 가증되는 실례가 바로 요추 하부 관절이 전혀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신전운동의 반작용은 역시 신전방향이고, 이 반작용의 방향으로 고정하는 선행의 하체고정기법에 의해서는, 이러한 반작용이 차단될 수 없음은 당연한 이치이다. 결과적으로, 요추 굴절 운동의 반작용이 발에까지 미치는 기술상의 문제로 인해, 신전 운동 시에 요추 근육은 물론 하부 근육까지 동원됨으로써, 요추 근력 측정치는 실제치가 될 수 없으며, 요추 중심 운동 궤도가 고관절로 변위되기도 하므로, 자칫 탈골과 같은 의료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추 신전 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반작용의 차단방향과는 정반대의 고정수단은 하부 근육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없으므로 목적 기술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허리운동장치의 신전 운동방향에 따른 반작용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운동장치의 신전 운동방향에 따른 반작용의 차단방향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재활 운동 장치의 일부 생략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절 회전 기구의 전후진 이동기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박 고정대(320)의 경사각을 설정하기 위한 탄성받침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허벅지 골반 가압고정기구의 구성 요소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반가압 및 허벅지 가압을 위한 골반 가압대와 허벅지 가압대의 이송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허벅지 후부 받침대에 대한 변형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요추 하부 고정 방법에서의 변형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서 고관절부·허벅지 전방면 가압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골반 가압기구 또는 허벅지 후방면 압박기구의 이송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운동범위조절기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부하기구의 바람직한 예를 도시한 내부 구조 단면도로서,
도 14는 결합구조도,
도 15는 도 14의 상하방향 종단면도,
도 16은 방향조절밸브 중 양방향 체크밸브 형태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허리 재활 운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
310 : 슬라이드부재 320 : 압박 고정대
330 : 간헐고정기구 340 : 탄성받침기구
350 : 레칫기구 360 : 레칫블록
370 : 좌대 380 : 골반 가압대
390 : 상체고정기구 400 : 상하회동기구
410 :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반동수단
420 : 허벅지 후방면 가압대
430 : 수직이동기구 440 : 머리 받침대
500 : 하지고정기구
재활 의학에서, 요추 신전 운동의 안전과 효율은 요추 하부 관절에 대한 완벽한 고정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술 구성은, 요추 하부의 반작용 차단장치와, 그 대응 기반이 되는 받침고정장치가 서로 세팅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좌대, 등판, 손잡이, 이들 관련 프레임 등을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하여 의자체를 이루고, 허리의 운동, 단련, 재활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통상의 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방위치에 전후상하로 조절되는 발지지대(26)와, 골반 및 하체를 완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30)가 설치되고, 골반의 후방에 반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골반가압고정기구(380)가 설치되고, 허벅지 후방에는 역시 반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허벅지가압고정기구(370)를 포함한 요추 하부 반작용 차단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골반가압고정기구(380)와 허벅지 가압고정기구(370)를 구비하여 골반 및 허벅지의 후방에 반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요추 하부 반작용 차단장치(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30)는, 발을 발지지대(26)에 지지하고 앉은 자세에서, 프레임(F)측을 베이스 링크로 하는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 quadric crank mechnism)를 매개로 링크 회동되면서 상부 골반(pelvis) 장골(ilium) 돌출부를 받침과 동시에, 양 허벅지 상부 표면을 감싸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 압박 고정대(320)를 구비한다.
또, 상기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30)는, 상기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의 중간 링크(311)에 미끄럼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간헐고정기구(330)에 의해 미끄럼 이동이 간헐 고정되도록 결합된 슬라이드 부재(311)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된 제1 가압 고정대(321)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311)에 힌지결합된 제1 가압 고정대(321)의 양단부에 그 일방향이 고정되고, 그의 타방향은 상기 일방향 고정부위를 중심으로 경사회동 가능하게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탄성받침기구(340)에 의해 간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가압고정대(323)의 양단부에 결합된 압박 고정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의 중간 링크(222)에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베이스 링크(350)에 일정간격으로 각각 힌지결합된 한 쌍의 종동 링크(221, 221)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된다.
또, 상기 간헐고정기구(330)는, 상기 중간 링크(222)에 대한 슬라이드 부재(311)의 미끄럼 이동을 간헐 고정하도록 중간 링크(222)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위치설정공(222a, …)과 구멍맞춤되도록 슬라이드 부재(311)에 위치된 스토퍼(331)와, 이 스토퍼(331)가 상기 위치설정공(222a)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탄지배열된 탄성부재(333)와, 상기 탄성부재(333)의 탄지구(335a)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331)가 시이소오 운동되도록 핀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 부재(311)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받침기구(340)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311)에 고정된 양측 세레이션붙이 위치설정부재(341, positioning member)와, 상기 양 세레이션부(341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위치설정부재(341)에 간헐 고정되도록 시이소오 운동 가능한 한 쌍의 절곡 레버(343)를 구비하고, 이 절곡 레버(343)는 상기 세레이션부(341a) 방향으로 지향되도록 상기 제2 가압 고정대(323)에 탄지 배열되는 경사면 밀착고정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베이스 링크(Fb)는 상기 한 쪽의 종동 링크(221)의 회동각을 설정 가능하도록 상기 한 쪽의 링크에 결합된 레칫 기구(350)와, 상기 다른 한 쪽의 종동 링크(221)가 베이스 링크(Fb)를 기반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종동 링크(221)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된 종동링크-이송기구(2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이송기구(200)는, 상기 종동 링크(221)가 상기 베이스 링크(Fb)에 대하여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송블록(228a)을 매개로 핀결합된 이송나사(228)와, 이 이송나사(228)의 회전량을 조절하기 위한 종동레버-이송핸들(227)을 구비한다.
또, 상기 레칫 기구(350)는, 상기 한 쪽(사용자 측)의 종동 링크(221)에 회동 가능하게 핀결합된 레칫 레버(351)와, 상기 레칫 레버(351)의 일단부와 맞물려 상기 레칫 레버(351) 일단부의 위치를 다단계로 설정 가능하도록 세레이션부를 가지는 레칫 블록(36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레칫 블록(360)은, 상기 베이스 링크(Fb)에 고정된 고정부재(361)와, 상기 고정부재(361)에 일단부가 핀결합되어, 이 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레칫 바아(363)를 포함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레칫 바아(363)의 타단부는 수직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성된 스프링붙이 돌출부재(365)에 의해 그 하단이 베이스 링크(Fb)에 탄지배열된다.
또, 상기 압박 고정대(320)는 유연 자재로 피복된다.
여기서, 상기 압박 고정대(320)에는 유연 자재부(31)이 기계적으로 접합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상부면과 골반측 복부를 강하게 압박하더라도 유연한 접촉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한 골반 후부의 반작용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골반가압고정기구는, 가압고정블록을 전후이동되도록 하여 골반을 가압고정할 수 있도록 골반 가압대-이송기구(381)에 결합된다.
또, 상기 허벅지 후부의 반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허벅지 가압고정기구(610)는 골반이 밀착되는 좌대(370) 부위를 제외한 전면의 허벅지 부위 좌판 프레임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회동기구(4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좌대 후부 프레임에 설치된 좌대 이송기구(371)에 의해 이송되면서, 골반 하부 및 허벅지 후면을 받치되 상기 좌대(370)의 일단을 중심으로 상하회동기구(400)에 의해 피벗회동 가능하게 허벅지 후방면 가압대(420)가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상하회동기구(400)는, 프레임의 일측에 축결합된 회동-핸들(373)과 이 회동-핸들(37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어 좌대용 가압고정블록(377)을 이송시키는 이송나사(375)를 포함한 좌대-이송기구(371)와, 이 이송기구(371)의 조작량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체(401)에 연동하여 회동되도록, 단면에서 볼 때, 2개의 부재가 일정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벨-크랭크 형식으로, 구성된 회동부재(403)를 포함한다.
한편,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는 가압대-이송기구의 중력을 탄력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의 탄성부재의 반동력에 의해 지지된다.
또, 이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받침수단(410)은, 상기 베이스 링크(Fb)측의 상기 종동링크(221)가 일정 회전각운동이 가능한 위치에 상기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의 회전이동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수직이동 가능하게 일정거리로 간격져 하우징(411)에 탄지배열된 반동바아(413)와, 이 반동바아(413)에 가로 배열된 종동링크-받침롤러(415)를 포함한다.
또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링크(221)의 이동은 일측이 베이스 링크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224)과 지지대(202)에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양측에 각각 설치된 이송나사(228)와 나사결합된 이송블록(228a)과 힌지고정되고, 상기 이송나사(228)과 평행으로 위치하고 이송핸들(227)과 결합 설치되는 단속봉(233)은 베어링(234,234)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대(201,202)에 설치된 회동부재(235)와 직선베어링(236)의 내측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스플라인부(237)가 형성되어 전진시엔 작동봉(228)에 형성된 내치 스플라인부(238)와 치합이 이루어져 손잡이(232)와 함께 단속봉(233)이 작동봉(228)을 회전시킬 수 있고, 후방 이동링크(221)을 전진시키면 전방 링크(221)를 중심으로 지렛대 후부 상향하면서 선단의 압박 고정대(320)가 지렛대 작용으로 하향으로 가압고정되고, 후진시엔 회동부재(235)에 형성된 내치 스플라인부(239)와 치합이 이루어져 회동부재(235)의 외측에 설치된 풀리(240), 벨트(241) 및 하부 나사봉(206)에 설치된 풀리(242)를 거쳐 하부 나사봉(206)의 회전 작동이가능하게 구성되어, 발지지대(26)의 전후진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기 위한 발지지대(26)는 복수개의 지지대(201,202,203)에 상,하 가이드봉(204,205)을 타고 이들 가이드봉(204,205) 사이에 위치한 나사봉(206)에 의하여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된 블록(207)의 하부에 설치되어지되, 일측은 브라켓(208)에 힌지 고정되고 다른 일측은 워엄 기어(209)에 고정설치된 링크(210,210)의 타측이 상,하로 위치되게 각각 힌지고정되며, 상기 워엄 기어(209)는 블록(207)의 내측으로서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워엄(211)과 치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워엄(211)은 지지대(201,202,203) 및 블록(207)의 하부에 위치하고 선단에 손잡이(212)가 장착되며 블록(207)과 함께 워엄(211)이 내측에서 치합된 상태로 전,후진이 가능하게 일부가 스플라인 축 형태로 구성된 조절축(213)에 의하여 그 회전에 따라 워엄(211), 워엄기어(209) 및 링크(210,210)의 연동에 의하여 높낮이 및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나사봉(206)에 의한 전,후진 위치 이동과 조절축(213)에 의한 높낮이 및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변형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앉은 자세에 따라 좌대(370)의 경사면을 변위시키도록 구성하여, 허벅지와 골반이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좌대(370)에 허벅지가 밀착되게 앉은 상태에서 무릎쪽을 가압하는 기법으로 반작용을 차단하여 보다 강력하고도 안정적인 골반 및 허벅지의 고정을 가능케 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골반 가압고정기구(380), 상체고정기구(390), 고관절부·허벅지 전방면 압박기구(30'), 허벅지 후방면 압박기구(420) 및, 이들 관련 프레임(F) 등을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하여 허리의 운동, 단련, 재활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통상의 운동장치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관련 프레임(F)은 각각의 기구들의 지지용 베이스 및 골격을 이룬다.
본원에 따른 허리 재활 운동 장치에 있어, 사용자(환자 포함)가 발을 딛고 서서, 상체, 골반 및 하체가 완전 고정된 상태에서 허리의 신전 및 굴곡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허리 재활 운동 장치는, 발을 발지지대(26)에 지지하고 선 자세에서, 프레임(F)측을 베이스로 하는 수직이동기구(430)를 매개로 발지지대를 상하이동시키면서, 골반을 가압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발지지대(26)을 설정시킨 후, 골반가압대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골반가압대용 이송나사(385)를 조작하기 위한 골반가압대용 이송핸들(383)을 포함하는 골반가압기구(380)와, 상기 골반가압기구(381)의 골반가압대를 골반 후면측에 경사접촉시킨 후 상기 골반가압대 하방의 허벅지 후방면을 가압시키기 위한 허벅지 후방면 압박기구(371)와, 상기 허벅지 후방면 압박기구(371)와 골반가압기구(381)의 대향측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전방면과 고관절부위를 압박하기 위한 고관절부·허벅지 전방면 압박기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허리 재활 운동 장치는, 척주 단부측의 요추부위를 사이에 두고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사용자의 굴절 및 신전운동 시 상체를 앞뒤에서 받쳐주기 위한 상체고정기구(39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체고정기구(390)는 상기 요추부위의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상체 후방면과 적정 간격을 두고 상체 후방면을 타고 상방으로 뻗쳐지고 어깨와 상체 전방면과 적정 간격을 두고 어깨와 상체 전방면을 따라 굴곡진 한 쌍의 상체 전방측 지지부재(391)와, 상기 상체 후방면을 압박하도록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에 결합된 상체 후방면 압박대(397)와, 상기 상체 전방면을 압박하도록 상체 전방측 지지부재(391)에 결합된 상체 전방면 압박대(39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는 프레임(F)측을 베이스(즉, 고관절부위)로 하여 신전 및 굴곡운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관절부·허벅지 전방면 압박기구(30')는, 양측 기립 프레임(F)을 베이스로 하여, 상호 병렬 배열된 두 쌍의 기립 프레임 사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 배열된 한 쌍의 가이드 바아(228)와, 이 가이드 바아(228)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한 쌍의 허벅지 압박용 이송 블록(228)과, 양측 이송 블록(228, 228)을 베이스로 하여 핀결합된 한 쌍의 절곡형 회동부재(35)과, 상기 절곡형 회동부재(35) 및 이송블록(228a)과 함께 연결부재(39)를 매개로 구획되어 허벅지 압박대용 이송나사(33)에 중앙부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절곡형 회동부재를 따라 힌지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고관절부·허벅지 전방면 압박대(37)와, 상기 압박대(37)의 힌지회동을 간헐적으로 규제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아(228)의 측면에 기대어 배열됨과 아울러 그의 회동 시 가이드바아(228)로부터의 일방향 회동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상기 절곡형 회동부재(35)의 종단에 핀결합된 규제레버(3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 상기한 실시예들에서의 구성에서의 공통 작동 기구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한다.
또, 상기한 각종 압박대(31, 37, 370, 380)에 있어, 그의 일단부가 각종 이송 핸들(32, 383)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압박대들을 이송시키는 이송나사들에는 상기한 압박대에 일단부가 힌지회동되도록 핀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부의 대향측 타단부에는 압박대에 마련된 세레이션붙이 부재에 레칫결합되도록 시이소오 운동가능한 레칫레버(53)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핀결합된 지지브라켓(51)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경사면밀착고정구(50)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 상기 복수의 절곡형 회동부재(35)에 각각 절곡형 회동부재(35)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브라켓(51)에 결합되되, 절곡형 회동부재(35)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5)에 의해 그의 이동이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한 경사면밀착고정구(50)에 의해 이송나사(33, 375, 385)의 수평이동에 따른 경사방향으로의 위치설정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 필요시에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의 상부에 머리 받침대(440)를 설치하고,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압박대용 경사위치설정을 위한 경사면밀착고정구(50)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다음, 신전,굴절운동시 운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등판측 프레임(6)이나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의 종동링크(221)의 운동중심축이나 이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설치되는 운동범위조절기구(60)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3, 도4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중심축으로서 힌지부(13)나 아니면 운동중심축으로서 회동기어(284)의 중심축 (288)과 연동이 이루어지는 회동부위인 회동기어(292)의 중심축(296)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부(13)나 중심축(296)과 함께 연동이 이루어지고 그 일측 기준 위치에 스토퍼(62,62)가 설치되는 회전디스크(61)와, 힌지부(13)나 중심축(296)과는 연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단지 공전상태로 끼워지며 내측에 스토퍼(62)가 걸려 고정되고 스프링(68,68)에 의하여 탄지된 상태로 설치되며 운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한쌍의 조절손잡이(63,63)와, 운동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장공(66,66)과 이들 장공(66,66)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한 고정요홈(67,67)을 각각 가지며 상기 조절손잡이(63,63)가 각각 상기 장공(66,66)을 경유 외부로 노출 되게 의자체(1)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케이싱(65)의 결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각각의 조절손잡이(63,63)을 이용하여 장공(66,66)에 마련된 범위에서 여러 고정요홈(67,67)중 어느 특정의 부위에 위치시켜 양측의 운동범위를 각각 설정하면 힌지부(13)나 중심축(296)과 연동되는 회전디스크(61)의 스토퍼(62,62)가 고정요홈(64,64)에 끼워 고정되는 위치까지 범위에 국한하여 운동범위가 정해지고 결국, 등판측 프레임(6)이나 가압고정대-이동기구(310)의 중간링크(9)의 운동범주가 정해지게 된다. 물론 전술한 조절손잡이(63,63)나 장공(66,66)은 일측에만 형성하여 일측의 운동범주만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겠다.
또한, 상체 후부 프레임(6) 또는 베인형 제어장치 구동 중심축에 부하기구(8)와 함께 수동구동기구를 연동되도록 설치하여, 능동(能動)운동 또는 수동(受動)운동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데, 능동운동시엔 사용자의 체력을 활용하여 부하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부하기구(8)에서 얻어지는 운동부하력에 따라 운동을 행하게 되고, 수동운동시엔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아니하더라도 외부에서 제3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수동적(受動的)인 운동력에 의하여 사용자의 허리운동을 강제적으로 수행시키도록 행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를 중심으로 볼 때, 전술한 능동적인 부하기구 (8)의 경우 후술되는 본 발명에 의한 부하기구(80)나 기타 기존의 통상적인 중량추, 스프링, 탄성고무재, 독립적인 쇽 압소바(Shock Absorber),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수동(受動)구동기구의 경우엔 전기적인 작동방식에 의한 구동모터,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실린더, 기타 외부 인력 등과 같이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아니하더라도 외부에서 제3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수동적(受動的)인 강제 부하력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후술되는 손잡이 레버(74)나 매체수급조절기구(87) 등이 그러하다.
이때, 상기 부하기구(8)에 의하여 얻어지는 운동부하력의 경우, 실제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운동부하력은 순수한 부하기구(8)에 의한 운동부하력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등판프레임(6)이나 무릎걸이(9) 등을 포함한 주변 관련 구성의 연동이 함께 수반되고 이들 구성의 작동에 소요되는 별도의 부하력이 소요되게 되므로, 이와 같은 불합리한 요소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아니면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제3자에 의한 강제적인 수동운동시에 운동에 필요로 하는 부하력을 감소시키고자부하기구(8)와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등판프레임(6)과 연동되는 운동프레임의 대향측이나 제어장치 구동 중심축에 반운동흡수기구(7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운동흡수기구(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프레임의 대향측으로서 등판프레임(6)의 힌지부(13)를 거쳐 대향측인 지지대(72)에 중량추 형태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프레임의 대향측으로서 등판프레임(6)의 힌지부(13)를 거쳐 작동이 되는 부하기구(8)의 연결링크(14), 연결링크(14)와 연동되는 작동축(15), 작동축(15)과 연동되는 지지링크(16)와 가로대(17)의 고정브라켓(18)사이에 충격흡수기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미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중량추나 충격흡수기가 아닌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나 기타 적절한 형태의 것을 선택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인 운동장치에도 사용되고, 다른 부하력이 요구되는 곳에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본 발명인 부하기구(80)의 경우, 도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케이싱(81,82)의 내부로서 회전이 가능한 중심축(83)의 외주연에 작동매체를 내장하기 위한 원통형 공간(84)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84)의 내측엔 상기 공간(8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베인(85)을 기밀유지상태에서 중심축(83)과 연동할 수 있게 설치하며, 상기 공간(84)의 일측엔 베인(85)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매체의 유동방향이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86)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시 상기 공간(84)의 일측에 작동매체의 부하 또는 무부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된 별도의 매체수급조절기구(87)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부하기구(8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원통형 공간(84)의 내측엔 고정부재(800)의 설치공간(802)을 마련하고, 외측 케이싱(81,82)의 내,외측 중심엔 중심축(83)을 끼워 고정하되, 설치공간(802)엔 원판형 고정부재(800)가 위치하도록 하고 고정부재(800)의 일측엔 원통형 공간(84)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베인(85)을 고정 설치하고, 제어기구(86)로서 유로(804)의 유량조절밸브(806)와 유로(808)의 방향조절밸브 (810)를 설치하되, 외측케이싱(81,82) 상호간은 내부 패킹(812)이 설치된 나사결합방식으로 고정하고 상기 베인(85)이나 고정부재(800)의 양측엔 마찰계수가 낮고 내마모성인 테프론 소재의 기밀유지용 작동체(814,816)를 각각 설치하고 중심축(83)의 외주연엔 기밀 유지용 리테이너(818), U-패킹(820) 등을 설치하게 된다. 제어기구(86)로서 유량조절밸브(806)의 경우 유로(804)가 위치하는 부위에 반원형 단면 형상의 밸브체(822)가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방향조절밸브(810)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808)에 밸브체(824)가 일방향으로만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체크밸브 형태나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808)의 양측에 작동축(826)을 중심으로 밸브시트(828,830)에 각각 스프링(832,834)으로 탄지된 밸브체(836,838)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작동축(826)의 외주연을 타고 움직일 수 있게 작동자(840)를 설치하되 작동자(840)는 외부에 설치된 레버(8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래크와 피니언 방식으로 좌우방향으로 작동자(840)가 움직여 밸브체(836,838)중 어느 일측을 개폐하느냐에 따라 내부작동매체인 오일의 유동방향을 양방향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한 체크밸브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매체수급조절기구(87)의 경우,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케이싱 (81,82)의 일측에 상기 원통형 공간(84)과 유로(844)를 통하여 연통되도록 실린더 형태의 본체(846)를 설치하고 본체(846)의 내측엔 피스톤로드(848)가 결합된 피스톤(850)을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끼워 결합하되, 피스톤로드(848)는 상기 본체(846)의 후부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결합된 마감부재(852)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피스톤로드(848)의 후부에 결합된 손잡이(854)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피스톤 로드(848)가 피스톤(850)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 하면서 본체(846)의 내용적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상기 공간(84)의 내측에 채워져 있던 작동매체가 본체(84)의 내측으로 수용되느냐 여부에 따라 베인(85)의 가동에 의하여 중심축(83)에 미치는 부하력이 무부하 상태인지 아니면 부하상태인지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설치시엔 외측 케이싱(81,82)을 고정부위, 예를 들면 의자체(7)에 고정하고 중심축(83)은 등판프레임(6)이나 무릎걸이(9)와 연동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전술한 힌지부(13)나 회동기어(284)의 중심축(288)과 연결된 상태로 결합 설치하여 활용이 가능한데, 작동시엔 이들 힌지부(13)나 중심축(288)에 의하여 중심축(83)을 회전시키면 고정부재(800)와 연동되는 베인(85)이 원통형 공간(84)의 내부에서 움직이게 되는데 내부 작동매체는 유량조절밸브(806), 방향조절밸브(810) 및 매체수급조절기구(87)에 의하여 운동부하력, 방향, 무부하 여부 등을 조절하여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또한, 상기한 허리 재활 운동장치에 있어, 환자를 포함한 사용자의 신전 및 굴절 운동 대신에, 본원에 의해 안출된 상체 고정기구를 운동범위조절기구 및 부하기구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상체고정기구(390)의 회전축과 걸어맞춤된 타이밍 벨트와 같은 전동수단을 매개로 수직회전제어기구(60, 80)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체고정기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상체고정기구(390)와, 이 상체고정기구(390)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하지를 고정하기 위한 하지고정기구(500)를 포함하여 허리를 재활하기 위한 운동장치에 사용해도 좋다.
상기한 상체 고정기구(390)는,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일부가 요추 중심축과 일정거리 오프셋된 상체고정기구회전축(510)과, 상기 상체고정기구회전축(510)에 연결된 한 쌍의 병렬배열형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와, 상기 복수의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에 이 지지부재(395)를 가로질러 배열된 축을 회전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체 전방측 지지부재(391)와, 사용자의 상체 전방면을 압박하도록 상체 전방측 지지부재(391)에 설치된 상체 전방면 압박대(393)와, 사용자의 상체 후방면 즉, 등부위를 압박하도록 상체 후방측 지지부재(395)에 설치된 상체 후방면 압박대(397)와, 사용자의 골반부위를 압박하도록 상기 상체 후방면 압박대(397)의 하방에 설치된 골반가압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하지고정기구(500)는, 사용자가 착좌하도록 프레임(F)에 고정배치된 허벅지를 포함한 좌대(370)와, 상기 좌대(370)를 둘러싸되 사용자의 허벅지를 탄력적으로 압박하도록 그 양단부가 측면 프레임(F)에 견인 가능하게 배치된 하지고정벨트(520)와, 상기 하지고정밸트(520)의 일단면이 접속되어 사용자의 하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하지고정벨트(52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핸들(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원에 따른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하지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체고정기구를 인체의 척주중심과 일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자의 허리 특히 복횡근 및 외복근 등의 긴장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내포하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은 상기의 선출원한 기술 구성에다 새로운 기술 구성을 보충하여 시스템의 기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전방측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종동링크로 유도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벅지의 방해를 받지 않게 설정된 높이에서, 압박 고정대를 전진회동시켜, 허벅지 골반 고정대의 위치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종동 링크의 기울기를 제한된 범주에서 회동되어 받쳐지되, 요추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무게 이상의 가압력에서는 받침롤러가 하향회동하는 종동링크를 압축 탄성지지하는 형식으로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반동수단을 설치 구성하였고, 압박 고정대(320) 선단에는 하복부의 방해를 받지않고 허벅지 전면부를 감싸 누를 수 있도록 긴 라운딩 형태의 골격판에 유연 자재로 된 허벅지 고정부위 선단에 골반 상부 돌출부를 받치도록 구성된 허벅지 골반 가압고정기구를 설치하였고, 제1 및 제2 가압고정대가 허벅지의 기울기에 따라 경사방향으로 위치설정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압박 고정대가 일정 범주에서 회동되게 힌지 연결하고, 제1 가압고정대와 압박 고정대의 힌지 연결부의 뒤쪽에 제2 가압 고정대가 상하로 회동 고정되게 설치하여 허벅지의 상부 전부위가 고른압력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였고, 골반 후부에는 골반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골반가압고정기구가 설치되었으며, 허벅지의 하부는, 좌대를 골반 접속 부위와 허벅지 부위를 분리하여 허벅지 후부면을 더욱 가압 밀착 고정하도록 회동부재를 설치하여 허벅지 후부면을 경사방향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여, 골반의 전후와, 허벅지 전후면을 완전 밀착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고관절의 양 골격의 전, 후 전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요추하부 고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요추 신전 굴절 운동 근육을 완전 고립시키는 본래의 목적이 달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압박 고정대(320) 위치를 허벅지 전방면 부위에 더욱 압박 가능하게 설정 가능하고, 후부 종동링크를 전진시켜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30)를 가압할 때, 가압정도를 판단할 수 없는 기술 문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부재(551)와 함께 상체 후방면 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로드셀(553)을 장착하여, 가압 정도에 따라 변위되는 돌출 상태로 양측 허벅지 골반 고정의 가압력을 식별할 수 있도록 로드셀 형식의 가압력 측정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그리고, 도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 운동에서, 수동 운동은 치료의 과정이므로, 구동축에 지렛대 레바를 설치하고 구동축이 저항을 받지 않도록, 베인 타입의 저항장치에 유로조절기구를 설치하거나 차단 밸브의 방향 선택축을 조절하여 유로를 개방하도록 한 무부하 선택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또, 상기 이송나사는 이송블록과 함께 볼나사로 구성되어도 좋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허리 재활 운동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방측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종동링크로 유도되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허벅지의 방해를 받지 않게 설정된 높이에서, 압박 고정대를 전진회동시켜, 허벅지 골반 고정대의 위치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압박 고정대가 일정 범주에서 회동되게 힌지 연결함으로써, 가압고정대-이동기구의 제1 가압고정대와 압박 고정대의 힌지 연결부의 뒤쪽에 제2 가압 고정대가 상하로 회동 고정되게 설치하여 허벅지의 상하부 전부위가 고른압력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였고, 고관절의 양 골격의 전, 후 전부위를 밀착고정하는 요추하부 고정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 특히 복횡근 및 외복근 등의 긴장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내포하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발지지대, 좌대, 상체후방면 압박대, 지각, 손잡이 및 이들 관련 프레임 등을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조립 구성하여 의자체를 이루고, 부하기구와 연동되는 상체후방면 압박대를 이용하여 허리운동을 행하되 허리의 운동, 단련 및 재활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통상의 운동장치에 있어서,
    후부 골반이 위치하는 프레임 부위에 골반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골반가압고정기구가 설치되고,
    좌대 하부에 허벅지 후부를 밀착고정시키도록 고정 구성된 허벅지 후부 밀착고정기구가 설치되어,
    요추 하부의 반작용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되, 반작용 차단기구가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또는 별도의 프레임에 설치되되, 하복부가 접속되지 않게 구성한 상부 골반 받침 및 허벅지 가압고정기구가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고정기구와 받침고정대들은, 별도의 경사면 밀착고정기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좌판의 전방의 요추 하부 전면 고정 프레임 상에 2 쌍의 병렬 이동링크로 유도되도록 구성한 가압고정대의 이동수단과, 일정 높이에서 가압고정대의 거리와 허벅지 골반 고정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받침기구를 구비한 기울기 받침수단과,
    후부 링크를 전진시켜 압박고정대가 지렛대 작용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한 가압수단이 전체 또는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5. 압박대의 받침기구 또는 연결부재에 연동되는 압축장치를 구성하여 가압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압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6. 베인 형태의 제어조절장치에 양방향 제어조절기구를 설치하거나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한 제어장치.
  7. 제 6 항에 따른 제어장치의 일축에 도는 등판과 연동되는 프레임에 수동운동레버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8. 회동제어장치와 연동되는 프레임 상에 저항력 측정장치(로드셀)가 설치되고 제어장치의 제어조절로 제동하거나 제어장치의 일축에 구간 제동 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9.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체 후방면 지지 프레임 수직 회동축이 좌판 하부에 설치되는 제어장치와 연동하게 구성하되 제어장치 수직 회동 중심과 요추 중심선이 일치되게 이루어진 요추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000-0087218A 2000-12-30 2000-12-30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KR100367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18A KR100367725B1 (ko) 2000-12-30 2000-12-30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218A KR100367725B1 (ko) 2000-12-30 2000-12-30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91A KR20020056991A (ko) 2002-07-11
KR100367725B1 true KR100367725B1 (ko) 2003-01-10

Family

ID=2769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7218A KR100367725B1 (ko) 2000-12-30 2000-12-30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77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778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인바디 근력 측정 장치
KR101934428B1 (ko) 2018-01-12 2019-01-02 허승환 좌식 하복부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28B1 (ko) * 2006-03-15 2007-10-04 허영백 운동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요추관절 재활운동장치
WO2008077117A1 (en) * 2006-12-19 2008-06-26 Bret Contreras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KR100895111B1 (ko) * 2007-07-27 2009-04-28 이종건 운동기구
KR102041999B1 (ko) * 2017-07-21 2019-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지근육 신장운동 장치
CN114392147B (zh) * 2021-12-25 2024-07-02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神经外科用腰椎康复舒缓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689A (en) * 1978-07-24 1980-10-14 Kintron, Incorporated Exercising device including linkage for control of muscular exertion required through exercising stroke
JPS59108571A (ja) * 1982-12-10 1984-06-23 セノ−株式会社 筋力トレ−ニングマシン
US4902009A (en) * 1987-06-11 1990-02-20 Arthur Jones Machine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muscles of the lower trunk, and method
US5007634A (en) * 1987-06-11 1991-04-16 Jones Arthur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the legs and pelvis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the lower trunk of the human body
KR0140155Y1 (ko) * 1995-07-18 1999-05-15 안정용 종합신체단련기구
US5928112A (en) * 1987-06-11 1999-07-27 Medx 96, Inc. Machine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muscles of the human bod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7689A (en) * 1978-07-24 1980-10-14 Kintron, Incorporated Exercising device including linkage for control of muscular exertion required through exercising stroke
JPS59108571A (ja) * 1982-12-10 1984-06-23 セノ−株式会社 筋力トレ−ニングマシン
US4902009A (en) * 1987-06-11 1990-02-20 Arthur Jones Machine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muscles of the lower trunk, and method
US5007634A (en) * 1987-06-11 1991-04-16 Jones Arthur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the legs and pelvis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the lower trunk of the human body
US5928112A (en) * 1987-06-11 1999-07-27 Medx 96, Inc. Machine for exercising and/or testing muscles of the human body
KR0140155Y1 (ko) * 1995-07-18 1999-05-15 안정용 종합신체단련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778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인바디 근력 측정 장치
KR101994180B1 (ko) * 2017-03-16 2019-07-01 주식회사 인바디 근력 측정 장치
KR101934428B1 (ko) 2018-01-12 2019-01-02 허승환 좌식 하복부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91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224B1 (ko)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 재활운동시스템
CN113274247B (zh) 一种康复训练设备
US5312315A (en) Pneumatic variable resistance rehabilitation/therapy apparatus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US5362302A (en) Therapeutic table
EP1169003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e lokomotionstherapie
US6416448B1 (en) Therapy and training device
KR101614752B1 (ko) 정형 교정장치
EP1423061A1 (de) Kniegelenkorthese
KR20120100613A (ko)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WO2003024356A2 (en) Soleus pump
US4724828A (en) Cervically adjustable chiropractic treatment table
KR100367725B1 (ko)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US20080167684A1 (en) Treatment table with calf/foot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9949884B2 (en) Device for spine corr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CN113018096B (zh) 一种刚柔耦合腰椎康复治疗器
KR100343094B1 (ko)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CN114870332A (zh) 一种大健康医疗用按摩健身器
KR2003249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3506455B2 (ja) 運動装置
CA3198112A1 (en) Supine stepper
KR100413225B1 (ko)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DE19539680A1 (de) Kinetische Möbel, - Trainingsgeräte, sowie Körperkorrekturbewegungssysteme
KR101931432B1 (ko) 척추 교정용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