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565B1 -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565B1
KR101072565B1 KR1020080095398A KR20080095398A KR101072565B1 KR 101072565 B1 KR101072565 B1 KR 101072565B1 KR 1020080095398 A KR1020080095398 A KR 1020080095398A KR 20080095398 A KR20080095398 A KR 20080095398A KR 101072565 B1 KR101072565 B1 KR 10107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urine
rotation
amoun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985A (ko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5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6Realisations of and provisions for preventing "sweating" of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의 세척수에 잠기도록 당김끈에 장착되어 대소변에 각각 설정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세척수량조절부와;
상기 당김끈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폐시키는 중력식덮개와;
상기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에 결합된 중력식덮개의 상향회전을 간섭하면서 하향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의하면, 대소변의 용변 세척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낭비를 줄여 세척수의 절약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력식덮개의 고정편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회전공간을 확보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부재가 회전제어부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력식덮개가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원활하게 폐쇄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양변기, 중력식덮개, 세척수량조절부, 회전제어부,

Description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device for water out of toilet controling quantity of water for feces and urine}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를 배수하여 대소변의 용변을 세척할 때, 대변량 조절부구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대변세척시에도 최소한의 세척수로 대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수조에 일정량의 세척수를 담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후, 수조에 담수된 세척수를 배수시켜 양변기 본체 내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며, 배수된 세척수량만큼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담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용변을 세척하는 세척수는, 용변의 종류에 상관없이 수조에 담 수된 세척수를 모두 배수시키므로 소변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세척수를 배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본건 출원인이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4113호로 출원하여 제164180호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등록받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135호로 출원하여 제277618호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2007년 특허출원 제24132호로 출원하여 제809036호로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용변자의 용변이 대변일 경우, 조절레버(미도시)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의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당김끈(11)을 상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당김끈(11)에 연결된 후레쉬밸브(20)를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후레쉬밸브(20)의 회전제어편(30)이 회전제어돌기(40) 저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회전제어편(30)의 지지력보다 후레쉬밸브(20)의 당김력이 강하면, 상기 회전제어편(30)은 회전제어돌기(4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후레쉬밸브(20)의 상향 회전으로 개방된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통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가 양변기 본체 내부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면서 낮아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11a)가 하강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20)는 하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용변자의 용변이 소변일 경우, 조절레버(미도시)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레버의 회전에 따라 당김끈(11)을 상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당김끈(11)에 연결된 후레쉬밸브(20)를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후레쉬밸브(20)의 상향 이동거리 짧아 회전제어편(30)이 회전제어돌기(40)를 통과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후레쉬밸브(20)의 상향 회전으로 개방된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통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가 양변기 본체 내부로 배수되어 용변을 세척하면서 낮아지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부구(11a)가 하강함과 동시에 후레쉬밸브(20)는 하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후레쉬밸브(20)의 하향 회전으로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선 등록된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는, 후레쉬밸브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를 배수시켜 용변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대변에 따른 세척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어 불필요한 세척수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낀 회전제어편이 회전제어돌기에 걸려 닫히지 않아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회전제어돌기를 회전제어편이 통과하면서 후레쉬밸브가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폐쇄시키기 전까지 수도전으로부터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를 막을 수 없으므로 세척수의 낭비 및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대소변의 용변 세척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력식덮개의 고정편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회전공간을 확보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부재가 회전제어부에 걸리지 않아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원활하게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는,
조절레버에 연결된 당김끈에 장착되어 대소변에 각각 설정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세척수량조절부와;
상기 당김끈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폐시키는 중력식덮개와;
상기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에 결합된 중력식덮개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의하면, 대소변의 용변 세척시, 대소변에 설정된 세척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낭비를 줄여 세척수의 절약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에 의하면, 중력식덮개의 고정편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회전공간을 확보하여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 탄성부재가 회전제어부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중력식덮개가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원활하게 폐쇄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조(10)의 세척수에 잠기도록 당김끈(11)에 장착되어 대소변에 각각 설정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세척수량조절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당김끈(11)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개폐시키는 중력식덮개(200)가 구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에 결합된 중력식덮개(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척수량조절부(100)는, 상기 당김끈(11)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소변에 대응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소변량 조절부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변량 조절부구(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당김끈(11)에 장착되어 대변에 대응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대변량 조절부구(1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대변량 조절부구(120)는 소변량 조절부구(110)보다 얇은 두께로 작게 형성되며,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부(300)는, 상기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력식덮개(200)의 고정편(21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10)가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어관(12)의 걸림돌기(320a)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32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310)와 동일 회전선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부재(320)의 회전공(321)에 장착되어 상기 중력식덮개(200)의 회전으로 탄성부재(310)가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320)의 회전홈(322)에 장착되어 수조(10)에 담수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된 회전제어부재(330)를 복원시키는 복원부재(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회전제어부재(330)에 대향하게 돌출되어 고정부재(320)의 회전공(321)에 결합되는 회전돌기(331)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제어부재(330)의 하단부에 탄성부재(310)가 밀착되면서 중력식덮개(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3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복원부재(340)는, 상기 고정부재(320)의 회전홈(322)에 장착되는 회전축(341)에 회전제어부재(330)를 가압하여 복원시키는 복원돌기(34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41) 단부에 부력을 생성하는 부구(343)가 형성되며, 상기 부구(343) 일측에 돌출되어 고정부재(320) 저면에 밀착되는 회전정지돌기(3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실용신안등록 제127590호 양변기의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량조절부(100)의 소변량 조절부구(110)와 대변량 조절부구(120)가 수조(10) 담수된 세척수에 잠기도록 당김끈(11)에 장착한 상태에서 소변의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50)를 상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조절레버(50)에 연결된 회동부재(71)가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받침부재(63)에 작동부재(72)의 선단부가 밀착되면서 상향으로 회전방향이 바뀜과 동 시에 상기 상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부재(72)에 연결된 당김끈(11)을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당김끈(11) 하부에 연결된 중력식덮개(200)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레버(50)의 걸림편(54)이 지지부재(61)의 회전제한홈(61') 상단에 밀착되면서 회동부재(71) 하단부가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므로 당김끈(11)을 짧게 당김과 동시에 상기 중력식덮개(200)의 고정편(210)에 고정된 회전제어부(300)의 탄성부재(310)가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제어돌기(332)에 밀착되는데, 상기 당김끈(11)의 당김 길이가 짧아 탄성부재(310)가 회전제어돌기(332)를 통과하지 못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배수공(12a)을 통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가 양변기 본체로 배수되어 소변의 용변을 세척하고,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세척수 수위가 하강하여 소변량 조절부구(110)가 노출됨과 동시에 소변량 조절부구(110)의 부력이 상실된다.
상기 소변량 조절부구(110)의 부력이 상실되면, 당김끈(11) 하단부에 연결된 중력식덮개(200)의 자중 및 배수공(12a)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유속에 의해 중력식덮개(200)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수공(12a)을 폐쇄시키는데, 상기 상기 소변량 조절부구(110) 하부의 당김끈(11)에 위치한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부력은 유지하나, 소변량 조절부구(110)보다 크기가 작거나 두께가 얇은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부력보다 상기 중력식덮개(200)의 자중 및 배수공(12a)으로 배수되는 세척수 유속의 힘이 크므로 중력식덮개(200)가 배수공(12a)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중력식덮개(200)가 배수공(12a)을 폐쇄시키면, 배수공(12a)으로 배수된 세척수량만큼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또한, 대변의 용변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50)를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레버(50)의 걸림편(54)이 지지부재(61)의 회전제한홈(61')에 걸려 회동부재(71)의 회전이 정지됨과 동시에 회동부재(71)의 걸림턱이 받침턱 저면에 걸려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작동부재(72)가 회동부재(71)와 함께 상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당김끈(11)을 상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당김끈(11) 하부에 연결된 중력식덮개(200)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중력식덮개(200)의 고정편(210)에 결합된 회전제어부(300)의 탄성부재(310) 상면이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제어돌기(332) 저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제어돌기(332) 저면에 밀착된 탄성부재(310)의 지지력보다 당김끈(11)의 당김력이 크면, 상기 탄성부재(310)는 회전제어돌기(332)를 통과한다.
상기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제어돌기(332)를 통과한 탄성부재(310)는 회전제어부재(330)의 하단부를 가압함과 동시에 고정부재(320)의 회전공(321)에 회전돌기(331)가 결합된 회전제어부재(330)는 회전돌기(331)를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에 밀착되면서 중력식덮개(200)의 상향 회전을 정지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20)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걸림돌기(320a)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유동을 방지함과 아울러 고정부재(320)의 회전공(321)에 결합된 회전돌기(331)를 중심으로 회전제어부재(3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제어부재(330)의 내측면에 밀착된 복원부재(340)의 복원돌기(342)를 가압하여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복원부재(340)의 부구(34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복원부재(340)가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제어돌기(332)는 오버플로우어관(12)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중력식덮개(200)의 고정편(210)에 결합된 탄성부재(310)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개방된 배수공(12a)을 통해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가 양변기 본체로 배수되어 대변의 용변을 세척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수조(10)에 저장된 세척수 수위가 하강하여 소변량 조절부구(110)가 노출되면서 소변량 조절부구(110)의 부력이 상실되어 세척수 수면에 위에 떠 있게 된다.
상기 소변량 조절부구(110)가 세척수 수위에 노출되면서 부력이 상실되어도 중력식덮개(200)는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부력에 의해 상향 회전상태를 유지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의 배수공(12a)을 개방을 유지하고, 상기 배수공(12a)으로 수조(10)에 담수된 세척수가 배수되면서 하강하는 세척수 수위에 대변량 조절부구(120)가 노출되어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부력이 상실된다.
상기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부력이 상실되면, 당김끈(11) 하단부에 연결된 중력식덮개(200)의 자중 및 배수공(12a)으로 배수되는 세척수의 유속에 의해 중력식덮개(200)는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수공(12a)을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부(300)의 탄성부재(310)가 회전제어부재(330)의 회전제어돌기(332)를 가압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 외주면에 밀착시켰으므로 중력식덮개(200)의 복원시 고정편(210)에 결합된 탄성부재(310)는 회전제어부재(330)의 간섭을 받지않은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력식덮개(200)가 오버플로우어관(12)의 축(12b)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수공(12a)을 폐쇄시킬 때, 상기 배수공(12a)으로 세척수가 배수되어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져 복원부재(340)의 부구(343) 부력이 상실되면, 상기 복원부재(340)는 고정부재(320)의 회전홈(322)에 결합된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복원돌기(342)가 회전제어부재(330)의 내측면에서 이탈한다.
상기 중력식덮개(200)가 배수공(12a)을 폐쇄시키면, 배수공(12a)으로 배수된 세척수량만큼 수도전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수조(10)에 저장하는데, 상기 수조(10)에 저장되어 상승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회전제어부(300)의 복원부 재(340)는 회전축(341)을 중심으로 부구(343)가 정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복원돌기(342)가 회전제어부재(330)의 내면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342)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돌기(331)를 중심으로 회전제어부재(3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과 동시에 상기 복원부재(340)의 회전제어돌기(344)가 고정부재(3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부구(343)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복원부재(340)를 복원시킨 상태에서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공급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에 저장한 후,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로 용변을 세척할 경우, 당김끈(11)에 장착되는 세척수량조절부(100)의 소변량 조절부구(110)와 대변량 조절부구(1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소변 및 대변에 대응되게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선 등록된 배수량 조절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의한 소변량 배수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대변량 배수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세척수량조절부 110: 소변량 조절부구
120: 대변량 조절부구 200: 중력식덮개
300: 회전제어부 310: 탄성부재
320: 고정부재 330: 회전제어부재
340: 복원부재

Claims (7)

  1. 수조의 세척수에 잠기도록 당김끈에 장착되어 대소변에 각각 설정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는 세척수량조절부와;
    상기 당김끈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폐시키는 중력식덮개와;
    상기 오버플로우어관의 축에 결합된 중력식덮개의 상향회전을 간섭하면서 하향회전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중력식덮개의 고정편에 결합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오버플로우어관의 걸림돌기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공에 장착되어 중력식덮개의 회전으로 탄성부재가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제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제어부재를 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에 따라 복원시키도록 고정부재의 회전홈에 회전축이 장착되는 복원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단부에 부력을 생성하는 부구가 형성되고, 상기 부구 하단부에 돌출되어 고정부재 저면에 밀착되면서 부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정지돌기가 형성된 복원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수량조절부는,
    상기 수조에 담긴 당김끈에 소변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도록 장착되는 소변량 조절부구와;
    상기 소변량 조절부구 하부에 위치하는 당김끈에 대변시 배수되는 세척수량을 조절하도록 장착되는 대변량 조절부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변량 조절부구는 소변량 조절부구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변량 조절부구는 소변량 조절부구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제어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공에 결합되도록 몸체 일측에 대향하게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탄성부재가 밀착되도록 하여 중력식덮개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7. 삭제
KR1020080095398A 2008-09-29 2008-09-29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KR10107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98A KR101072565B1 (ko) 2008-09-29 2008-09-29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98A KR101072565B1 (ko) 2008-09-29 2008-09-29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85A KR20100035985A (ko) 2010-04-07
KR101072565B1 true KR101072565B1 (ko) 2011-10-11

Family

ID=4221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398A KR101072565B1 (ko) 2008-09-29 2008-09-29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73B1 (ko) 2011-09-30 2011-12-2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592B1 (ko) * 2011-08-25 2013-01-04 이수인 (주) 양변기 물탱크의 절수형 잔수조절장치
CN107752945A (zh) * 2017-11-24 2018-03-0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式洗碗机
KR102417103B1 (ko) * 2020-09-10 2022-07-0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후레쉬밸브 장치
KR102550829B1 (ko) * 2021-12-14 2023-07-04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플러시밸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64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200401453Y1 (ko) * 2005-08-10 2005-11-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JP2008008121A (ja) 2006-06-30 2008-01-17 Sunx Ltd 戸挟み検出装置
KR100809036B1 (ko) * 2007-03-12 2008-03-0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64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200401453Y1 (ko) * 2005-08-10 2005-11-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JP2008008121A (ja) 2006-06-30 2008-01-17 Sunx Ltd 戸挟み検出装置
KR100809036B1 (ko) * 2007-03-12 2008-03-0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73B1 (ko) 2011-09-30 2011-12-23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85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565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세척수 배출장치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20043207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배수 지지장치
KR200401453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US20010052147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KR101204266B1 (ko) 좌변기용 세면대
KR101454903B1 (ko) 세면 기능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KR100986216B1 (ko) 양변기 급수제어밸브의 수로전환장치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809036B1 (ko) 대.소변 구분이 가능한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1097973B1 (ko) 조절레버의 작동에 따라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배출장치
WO2007129864A1 (en) Chamberpot with auto controlling fill-valve for water saving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1010343B1 (ko) 양변기
KR20042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2단 배수장치
KR20100009972U (ko) 절수형 변기 수조
KR102318753B1 (ko) 좌변기 절수장치
KR200169266Y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JP3018035U (ja) 水洗便器の水タンク
KR20130023470A (ko) 보올부의 보충수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양변기의 보충수 공급호스 고정장치
KR200431122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