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9178B1 -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178B1
KR100349178B1 KR1020000016505A KR20000016505A KR100349178B1 KR 100349178 B1 KR100349178 B1 KR 100349178B1 KR 1020000016505 A KR1020000016505 A KR 1020000016505A KR 20000016505 A KR20000016505 A KR 20000016505A KR 100349178 B1 KR100349178 B1 KR 10034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ead frame
residual stress
magnetic flux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458A (ko
Inventor
양충진
김상원
조봉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1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1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47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measuring forces due to residual str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1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the magnetic properties of material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str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6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ement of force, e.g. for preventing influence of transverse components of force,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칩을 패키징할 때 필요한 리드 프레임용 Fe-40% Ni극박판의 잔류 응력을 현장 라인에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잔류응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측정 장치에서는 자기 유도센서를 사용하여 센서의 입력 전류로 인해 발생하는 자속(magnetic flux)을 피측정체인 리드 프레임 소재 내부에 흘려주면 자속은 재료 내부를 통해 센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때 재료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 때문에 센서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변화가 초래되며, 이때 변화된 자속을 센서의 감지코일에서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리드 프레임의 잔류 응력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에 의해 현장에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 판독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소재와 불량소재의 선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RESIDUAL STRESS IN Fe-Ni LEAD FRAME THIN SHEET}
본 발명은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첨단 메모리 반도체 칩(chip)의 패키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리드 프레임(lead frame)용 극박판의 잔류응력에 대한 존재여부,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리드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칩을 패키징(packaging)할때 칩과 기판을 리드 프레임으로 연결하게 되는데, 리드 프레임은 정밀한 펀칭 가공(punching)에 의해 성형된다. 이때, 리드 프레임 소재에 잔류응력이 남아 있으면 자동화 라인에서 실장될(mount) 반도체 칩들이 정해진 위치에 놓이지 않게 되어 후속 공정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펀칭 공정 전에 소재내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을 사전에 파악하여양호한 소재와 불량 소재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철강재의 제조공정에서 용접, 성형, 열처리등으로 도입되는 재료내부의 잔류 응력은 비파괴식으로 측정하는 것이 단연 효율적이다. 따라서 미세한 응력측정엥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를 사용하나, 변형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또한, 고정된 시설물이나 해체된 구조물에서 X-ray 측정으로 잔류응력을 판독할 수 있으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중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미소부위의 잔류응력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있으나 복잡한 형상을 갖는 거친 표면에서 그 효과가 크며(Tanaka.S,J.of the JSTP, Vol.33(381),(1992)1119), 응력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표준치와 항상 비교하여 간접적으로 값을 구하게 된다.
한편, 반도체 조립 자동화 라인에서 Fe-Ni 리드 프레임의 잔류 응력을 현장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그로 인하여 현장 기술자들이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을 측정하여 불량/양호를 쉽고 정확하게 판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현장 기술자들이 극박판의 형태를 갖는 리드 프레임 소재에서 측정센서를 x,y,z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이동된 각 위치에서 센서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각 위치에서의 잔류응력의 크기, 분포 그리고 응력방향을 측정하여 불량소재와 양호한 소재를 판정할 수 있는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 응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기구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센서부의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센서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자기유도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제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응력 측정장치에 따른 출력 전압의 투입전류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전류 함수로 나타난 출력전압의 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응력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극박판의 잔류응력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6...자기유도센서, 20...엔코더,
40~43...스테핑 모터, 50...스테핑 모터 구동부,
60...스테핑 모터 제어부, 70...센서구동부,
80...신호증폭부, 90...신호발생부,
100...동기정류기, 110...A/D컨버터,
120...메인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 응력 측정장치는 대향하는 2쌍의 자극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극박판의 리드프레임상에서 상하, 좌우 및 회전이 가능하며, 한쌍의 자극에 입력된 전류신호에 따라 발생된 자속을 상기 극박판의 리드프레임에 인가한 후 상기 리드프레임의 잔류응력에 따라 변환된 자속을 다른 한쌍의 자극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리드프레임용 자기전도성 소재의 잔류응력의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자속을 발생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접촉을 통해 상기 센서부로 입력되는 자속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상기 센서부를 x,y,z축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서 자체 회전시키기 위하여 각각 마련된 스테핑 모터와,상기 센서부의 x,y,z축 이동거리 및 회전각을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 제어부와,상기 회전용 스테핑 모터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센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응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와,
상기 스테핑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자속신호와 상기 입력자속과의 변화에 따라 검출된 각 위치에 따른 상기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의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이용하여 리드 프레임의 양부를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시스템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리드프레임 소재인 극박판의 잔류응력을 직접 측정하도록 다수개의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sensor probe)(16)와, 상기 센서부(16)를 측정 시편에 따라 구동하여 주는 센서 구동부(sensor driver)(70)와, 상기 센서부(16)의 각 센서에 측정용 교류신호를 인가하는 신호발생부(90)와, 상기 센서부(16)의 각 센서를 통해 얻어진 전기적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부(80)와, 상기 센서부(16)의 각 센서의 위치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부와, 상기 각 부의 기능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핑 모터부는 상기 센서부의 각 센서의 위치를 x,y,z축을 따라서, 전후,좌우,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y축, z축 이동용 스테핑모터(41)(42)(43)를 각각 구비하고, 나아가 상기 센서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용 스테핑모터(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테핑 모터부의 각 스테핑 모터는 각각의 스테핑 모터구동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각 스테핑 모터 구동부(50)는 상기 메인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x,y,z이송거리 및 회전각 지령 신호를 입력받는 스테핑 모터 제어부(60)에 의해 총괄제어된다.
한편, 상기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을 측정하는 각 센서는 자기유도센서가 양호하게 사용되며, 상기 자기유도센서는 동시에 4개까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센서(16)는 각각의 상기 스테핑 모터에 의해 x,y,z축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회전용 스테핑 모터에 의한 센서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엔코더(20)와, 상기 신호증폭부(80)를 통해 증폭된 센서검출신호를 상기 신호발생부(70)로부터 각 센서에 출력된 신호와 동기시킨 후 정류하여 A/D컨버터(110)로 출력하는 동기정류기(100)를 더 구비하고, 상기 A/D컨버터(110)는 상기 동기 정류기(100)를 통해 정류된 검출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메인제어부(120)로 입력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센서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에 있어서, 자기유도센서(16)가 장착되는 센서 홀더(15)는 x,y,z축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가이드 프레임(30)(31)(28)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0)(31)(28)은 측정 시스템이 놓여 있는 테이블(26)위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16)는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서 상하,좌우 및 전후로 움직인다. 또한, 4개의 센서 홀더(15)는 센서부 본체(1)의 각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나, 자체적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 운동은 회전용 스테핑 모터(40)와 결합형성된 풀리(5) 및 상기 풀리(5)에 연결된 벨트(19)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센서부 (16) 전체를 붙잡아 주는 센서부 본체(1)는 전술한 가이드 프레임 브라켓을 따라서 움직이며, 좌우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각 프레임 위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23)(24)에 의하여 구동된다. 측정 시스템 테이블(26) 위에는 리드 프레임 시편을 잡아주는 시편 클램프(32)가 있어서, 잔류 응력 측정 동안에 시편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각각의 자기유도센서(16)는 센서홀더(15)에 안전하게 삽입되어 있으며, 센서 홀더(15)는 타이밍 벨트(19)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스핀들(14)에 직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센서부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자기 유도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홀더(15) 및 상기 스핀들(14)은 센서 외곽 케이스로 보호되며, 와셔(12), 볼트(8), 너트(17), 베어링(10)(11) 및 스프링(9)등으로 견고하고 안정성있게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자기유도센서의 상세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자기 유도 센서(16)는 4개의 극으로 구성되며, 각각 대향하는 2쌍의 자극(magnetic pole)은 각각 리드 프레임의 잔류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류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자극(161)이고, 이와 인접하여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2개의 타 자극은 상기 입력 자극을 통해 입력된 전류신호가 리드 프레임을 거친후 다시 받아들여지는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검출 자극(162)이다. 상기 각각 2개씩 형성된 입력 자극(161)과 검출 자극(162)에는 각각 소정 횟수 및 소정 형태로 도선이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한상의 입력 자극(161)으로 측정 전류를 입력하면, 상기 한쌍의 입력자극(161)은 입력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두 자극(161)이 상호 번갈아 가며 N측과 S극을 가지며 상기 한쌍의 자극(161)의 간격거리사이에 자속이 발생되며 상기 자속은 상기 입력전류의 주파수에 따라 방향변화가 발생된다. 즉, 상기 한상의 입력자극(161)을 통해 상호간에는 소정의 자속(magnetic flux)이 발생하고 상기 자속은 주파수에 따라 방향이 계속 바뀌게 된다. 이때 피사체인 리드프레임 극박판을 상기 센서부에 접촉시킬 경우 상기 리드프레임은 자기전도성 소재이므로 상기 발생된 자속은 상기 리드프레임 극박판을 통해 다시 검출자극(162)으로 그 자속측정신호로 입력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검출자극(162)을 통해 검출되는 자속신호는 리드 프레임 극박판내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서 입력자극(161)을 통해 흘러들어간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고, 이 변화에 상응하는 만큼의 전자기적 포텐셜(electromagnetic potential)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증폭부(80)로 입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잔류응력에 따라 변화된 검출자속과 최초 입력자속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잔류응력의 분포, 크기 및 응력방향을 계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센서의 재질은 투자율(magnetic permeability)이 아주 큰 Fe-80%Ni합금(permalloy)을 사용하며, 전기신호->자기발생->전기신호등의 변환과정에서 가능하면 손실이 극소화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센서는 시편의 폭 방향으로 0~300mm거리의 범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시편의 길이방향으로는 0~500mm 범위까지 움직일 수 있게 한다. 물론 움직일 수 있는 범위는 정하기 나름이지만 리드 프레임의 실제 크기를 감안하면 전술한 범위가 적절하다. 이때, 움직일 때의 분해능은 0.1mm까지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센서는 상하 이동을 하게 되어 있는데, 최대 60mm까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계값이 설정된다. 이 또한 움직일 때의 분해능은 0.1mm까지 가능하게 설계된다. 상기 센서는 자체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분해능 각도 1°씩 360°회전이 가능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센서의 구동 및 제어는 메인 제어부(120)를 통해 실행되고, 제어는 센서 각 개별 또는 동시에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각 위치로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각 위치에서 잔류응력의 크기를 알 수 있고 이로써 잔류응력의 분포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각 위치에서 360°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리드프레임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의 응력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엔코더(20)에서 응력방향에 따른 센서의 회전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응력방향은 공정의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를 측정하는 것은 양불판정과 공정 프로세서 조건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한편, 잔류응력 검출을 위해 자기 유도형 센서에 여자교류신호를 생성하고 공급하며, 피측정체에서 되돌아온 전기신호를 축적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여자교류발생 신호로 주파수 0.1 ~ 10kHz 범위로 발생가능하며 이때 주파수 분해능은 100Hz이하에서는 0.1Hz, 100Hz ~ 10kHz 범위에서는 1Hz미만으로 정해진다. 전기적 신호로 얻어지는 전압 진폭의 범위는 0.5V ~ 10V 범위로 정해지며, 이때의 분해능은 0.1V 미만으로 할 수 있다. 수신된 전기 검출 신호는 신호 증폭부를 통해서 10 ~ 2650배까지 증폭이 가능하고,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동시에 8개(8channel)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의 제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류응력 측정장치에서는 프로그램의 기본정보 설정, 즉 장치를 설정하고,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유도센서(16)의 x,y 축으로의 이동위치 및 이동속도등의 센서 조정을 하고, 센서의 입력 전류 및 주파수등의 잔류응력측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후, 데이터를 입력한 파일을 저장하고, 실제 측정이 개시되면 저장된 파일을 읽어온 후 장치와의 연결 및 해제를 설정한다. 이때, 자동계측인 경우에는 센서의 이동속도 및 회전각도등을 설정한 후 계측을 실시하게 되고, 계측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한 화면상에 잔류 응력의 측정결과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한편, 수동 계측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자기유도센서가 장착된 센서 프레임을 이동 및 회전시키는 각 스테핑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좌,우,상하운동을 실시하고, 그에 따라 각 자기유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잔류 응력 데이터를 읽어들여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든 작업은 메인 제어부(120) 즉, 컴퓨터의 메뉴 드라이브(menu drive)로 설정, 실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류 응력 측정장치에 따른 출력 전압의 투입전류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본 발명의 잔류응력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입력전류를 0~20mA로 변화시키고, 교류여자 신호의 주파수를 1000~4000Hz까지 변화시키면서 자기 유도센서를 통해 얻어진 출력신호를 정리한 것이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전압은 투입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며, 사용한 주파수가 높을 수록 얻어지는 출력 신호의 강도가 급격히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전류 함수로 나타난 출력전압의 주파수 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전압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포물선형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투입 전류가 증가할 수록 그 정도는 심해진다. 이는 센서재료의 와전류 손실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센서 재료내에서 주파수(f)의 f1.5에 비례하여 와전류에 의한 열발생으로 비롯되어 결국 출력전압에 그 영향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주파수의 증가보다는 투입전류의 증가에 따른 출력신호의 강화가 더욱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류응력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극박판의 잔류응력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투입전류를 1mA, 사용 주파수를 1000Hz로 하여 두께 0.15mm의 리드 프레임 극박판의 측정범위를 폭 28mm, 길이 40mm만큼 이동하면서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자기유도센서의 선단부(tip)를 20°간격으로 회전하면서 총 160°를 회전시켜 각 지점에서의 잔류 응력 분포와 크기를 얻었다. 도 9에 나타난 화살표 방향은 잔류 응력의 주응력축(principal sterss axes)을 나타내며, 화살표의 크기는 측정된 잔류 응력 중 주응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원하는 대로 극박판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의 크기와 분포가 뚜렷하게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잔류 응력의 크기 및 분포는 도 6에 도시된 컴퓨터 측정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 응력 측정장치에서는 자기유도센서에 입력된 전류에 의해 발생된 자속을 리드 프레임에 인가하고, 리드 프레임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응력에 의한 상기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여 잔류응력의 존재여부,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판단함으로써 리드프레임의 불량여부를 판단하여 반도체칩이 불량의 리드프레임에 장착되는 경우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대향하는 2쌍의 자극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극박판의 리드프레임상에서 상하, 좌우 및 회전이 가능하며, 한쌍의 자극에 입력된 전류신호에 따라 발생된 자속을 상기 극박판의 리드프레임에 인가한 후 상기 리드프레임의 잔류응력에 따라 변환된 자속을 다른 한쌍의 자극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리드프레임용 자기전도성 소재의 잔류응력의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자속을 발생시키는 센서부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센서부에 인가하는 신호 발생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리드 프레임의 접촉을 통해 상기 센서부로 입력되는 자속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센서부를 x,y,z축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에서 자체 회전시키기 위하여 각각 마련된 스테핑 모터와,
    상기 센서부의 x,y,z축 이동거리 및 회전각을 제어하는 스테핑 모터 제어부와,
    상기 회전용 스테핑 모터에 의한 상기 센서부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센서의 회전각도에 따른 응력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와,
    상기 스테핑모터 제어부를 제어하며, 상기 신호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자속신호와 상기 입력자속과의 변화에 따라 검출된 각 위치에 따른 상기 리드 프레임의 잔류응력의 크기, 분포 및 응력방향을 이용하여 리드 프레임의 양부를 판단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자속신호를 소정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신호증폭된 검출신호를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동기시킨 후 정류하여 출력하는 동기 정류기와,
    상기 동기 정류된 검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출력하는 A/D컨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 프레임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KR1020000016505A 2000-03-30 2000-03-30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KR100349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05A KR100349178B1 (ko) 2000-03-30 2000-03-30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505A KR100349178B1 (ko) 2000-03-30 2000-03-30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458A KR20010095458A (ko) 2001-11-07
KR100349178B1 true KR100349178B1 (ko) 2002-08-21

Family

ID=1966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505A KR100349178B1 (ko) 2000-03-30 2000-03-30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1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61B1 (ko) * 2013-10-01 2015-07-14 김경수 잔류응력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4724A (zh) * 2018-12-17 2019-04-12 重庆大学 一种关于机床关重件残余应力水平的评估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61B1 (ko) * 2013-10-01 2015-07-14 김경수 잔류응력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458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919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object thickness
US3268805A (en) Seam tracking and flaw detection
JPH02187286A (ja) 自動ワイヤ接着装置
CN109556774B (zh) 铁磁钢中残余应力的无损监测***及监测方法
CN111308404B (zh) 一种三向应力加载条件下的二维磁特性测量装置
CN211877864U (zh) 一种涡流高速在线管材检测设备
KR100349178B1 (ko) 리드 프레임 소재의 잔류응력 측정장치
CN111365511B (zh) 球阀以及控制方法
US33443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isplacement utilizing a hall plate positioned tangential to an arcuate magnetic field
CN209027451U (zh) 磁致伸缩位移传感器检测校验装置
CN102156268A (zh) 磁性材料旋转磁化特性测量装置
JP2004354282A (ja) 漏洩磁束探傷装置
JPH11183111A (ja) 膜厚変化の測定方法とその装置
CN105588878A (zh) 一种涡流阵列检测金属缺陷装置
JPH0833374B2 (ja) 金属内異質層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200249189A1 (en) Quality detection device, quality detection method, and integrated probe assembly
US6114711A (en) Contact position sensor with optical feedback
JP2538418Y2 (ja) 応力自動測定装置
JPH10328974A (ja) プリント基板の加工方法および装置
SU1631399A1 (ru) Вихретоковы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дл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 изделий
JPS61269040A (ja) 磁性試験片の伸び測定装置
CN115777062A (zh) 灵敏度校正方法、检查装置以及磁传感器组
CN118243538A (zh) 多服役工况同步加载的动态磁畴与磁特性同步测试***
JPS6211174A (ja) 電気部品の半田付検査装置
JP2019211408A (ja) 移動装置、基板検査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