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482B1 -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482B1
KR100333482B1 KR1019990039599A KR19990039599A KR100333482B1 KR 100333482 B1 KR100333482 B1 KR 100333482B1 KR 1019990039599 A KR1019990039599 A KR 1019990039599A KR 19990039599 A KR19990039599 A KR 19990039599A KR 100333482 B1 KR100333482 B1 KR 10033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ype
width
ohmic contact
optical mod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7717A (ko
Inventor
김제하
박찬용
편광의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3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482B1/ko
Priority to US09/498,610 priority patent/US6392781B1/en
Publication of KR2001002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semiconductor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having a PN or PIN junction
    • G02F1/017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 G02F1/01708Structures with periodic or quasi periodic potential variation, e.g. superlattices, quantum wells in an optical wavequid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의 정전용량과 접촉저항이 동시에 감소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는, 기판 위에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 p형 광도파로층, p형 클래드층, 및 p형 옴접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리지(ridge) 구조의 전계흡수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폭(W3)은 상기 옴접촉층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변조기의 특성저하요소인 접촉저항과 정전용량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변조특성이 우수한 수십 기가급의 초고속 광변조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High speed semiconductor optical modulator and its fabrication method }
본 발명은 전계흡수형 반도체 광변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자의 정전용량과 접촉저항이 동시에 감소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용 광원으로는 주로 반도체 레이저가 사용된다. 즉, 반도체 레이저에 전류를 가하면 단색파장의 빛이 나오는데, 이 빛의 강도를 변조하여 광섬유를 통과시킴으로써 광신호를 전송한다. 반도체 레이저에서 방출되는 빛의 강도를 변조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반도체 레이저에 가해지는 전류를 변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Chirping'이라는 '빛의 파장 이동현상'이 발생하여 2.5 Gb/s 이상의 고속신호의 장거리 전송의 장애가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서 반도체 레이저의 빛은 일정한 강도로 출력시키고 외부에서 다른 광소자를 이용하여 빛의 강도를 변조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광소자를 광변조기라 하며, 그 종류로서 전계흡수형 광변조기가 있다.
이 전계흡수형 광변조기는 반도체 레이저에 전기장을 가하면 밴드갭이 줄어드는 현상을 이용한 광소자이다. 즉, 반도체 레이저에 전기장을 가하지 않을 때는 빛을 통과시키다가 전기장을 가하면 빛을 흡수하여 통과시키지 않는 현상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세기의 빛을 변조시켜 광신호를 만드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계흡수형 광변조기는 반도체 레이저에서 방출되는 빛의 파장에 해당하는 에너지 크기의 밴드갭을 갖는 직접천이형 반도체 또는 다중양자우물구조(Multi-quantum well ; MQW)를 이용하여 도파로 형태로 제작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계흡수형 광변조기의 구조도이다. 이는 기판(11) 위에 제1도전형 InGaAsP층(12), MQW 흡수층(13), 제2도전형 InGaAsP층(14), 제2도전형 InP층(15), 및 제2도전형 옴접촉층(16)을 순차적으로 성장한 후, 일정한 폭을 갖는 띠 모양만 남기고 기판(11)이 노출되도록 식각한다. 그 다음 그 주변에는 폴리이미드(17)를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금속전극(19, 20)을 형성한다.
이 구조에서 MQW 흡수층(13)은 주위보다 굴절률이 높으므로 MQW 흡수층(13)으로 입사된 광은 띠모양의 도파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계속 흡수되거나 아니면 입사 반대 방향으로 투과하게 된다.
광변조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p형 전극(19)과 n형 전극(20)에 역전압을 가하면, 즉 p형 전극(19)보다 n형 전극(20)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MQW 흡수층(13)에서 캐리어가 발생하여, 전자는 n형 전극(20)쪽으로, 정공은 p형 전극(19) 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전압을 가하지 않으면 빛이 흡수되지 않아 빛은 MQW 흡수층(13)을 투과하게 된다. 이러한 전계흡수형 광변조기는 p형 전극(19)과 n형 전극(20)에 가해지는 전압을 변조함으로써 빛의 강도를 변조한다.
이러한 광변조기에서 중요한 파라미터로는 변조속도(Modulation Speed)와 소광비(Extinction Ratio)를 들 수 있다. 변조속도를 결정짓는 변수는 정전용량, 저항, 전하수송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광변조기의 구조와 관계가 있다. 정전용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MQW 흡수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면적을 작게 하여야 한다. 수십 기가급의 초고속 광변조를 위해서는 정전용량이 0.1 pF 이하로 작아야 하므로 흡수층의 면적이 작아야 하며, 따라서 흡수층의 폭을 2 μm 이하로 제한하여야 한다. 물론, 이와 같이 MQW 흡수층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면 정전용량을 줄일 수는 있으나 동작전압이 커지고 전하수송이 느려지므로 고속동작에 장애가 되어 정전용량의 감소 효과를 상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광변조기는 MQW 흡수층의 폭이 작아짐으로 인해 전극과의 접촉면적도 작아지며, 이로 인해 접촉저항이 증가하였다. 접촉저항이 증가하면 광변조 속도가 느려지므로 초고속 광변조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정전용량과 접촉저항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초고속 동작에 장애가 되는 정전용량과 접촉저항을 동시에 감소시키기 위해 광흡수층의 폭은 작게 유지하면서 전극 접촉면적은 넓게 유지할 수 있는 전계흡수형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지(ridge)형 전계흡수 광변조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의 구조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기판 22 : n형 광도파로층
23 : 광흡수층 24 : p형 광도파로층
25 : p형 클래드층 26 : p형 옴접촉층
27 : 폴리이미드 28 : 유전체 표면보호막
29 : p형 전극 30 : n형 전극
31, 32 : 식각용 유전체박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는,기판 위에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 p형 광도파로층, p형 클래드층, 및 p형 옴접촉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리지(ridge) 구조의 전계흡수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폭(W3)은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n형 광도파로층과, p형 광도파로층 및 p형 클래드층의 폭(W2)은 모두 동일하고, 상기 폭(W2)은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W1)보다 크거나 같도록 형성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광흡수층의 폭(W3)은 1∼3 μm 이고, 상기 옴접촉층의 폭(W1)은 5∼10 μm 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 p형 광도파로층, p형 클래드층, 및 p형 옴접촉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리지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p형 옴접촉층이 W1의 폭을 가지도록 식각하는 제 2 단계; 상기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과 p형 광도파로층과 p형 클래드층과 p형 옴접촉층이 W2의 폭으로 가지도록 수직 식각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W1보다 작은 W3의 폭을 가지도록 측면 식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은, 상기 리지 구조의 측면에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전체 물질을 형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p형 옴접촉층을 노출한 상태로 상기 p형 클래드층 위에 유전체박막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p형 옴접촉층의 상부와 기판의 하부에 p형 전극과 n형 전극을 형성하는 제 7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제 4 단계는, 폭 W2와 폭 W3의 차이만큼의 폭을 갖는 테스트패턴을 완전히 식각시키는 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만큼만 선택적 측면 식각한다. 또한, 상기 폭 W2는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는 기판(21) 위에 n형 광도파로층(22)과, 광흡수층(23), p형 광도파로층(24), p형 클래드층(25), p형 옴접촉층(26)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옴접촉층(26)은 p+형으로 도핑된 InGaAs로서, W1의 폭을 갖는다. p형 클래드층(25)은 p형으로 도핑된 InP로서, W2의 폭을 갖는다. p형 광도파로층(24)은 p형으로 도핑된 InGaAsP로서, W2의 폭을 갖는다. 광흡수층(23)은 도핑하지 않은 InGaAsP 또는 MQW(Multi-quantum well)로서, W3의 폭을 갖는다. n형 광도파로층(22)은 n형으로 도핑된 InGaAsP으로서, W2의 폭을 갖는다. 여기서, 'W3 < W1 ≤ W2'이다.
도 3a 내지 도 3h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의 제작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판(21) 위에 n형 광도파로층(22)과 광흡수층(23), p형 광도파로층(24), p형 클래드층(25), 및 p형 옴접촉층(26)을 차례로 성장한다.
다음, 도 3b와 같이 폭 W1을 갖는 스트라이프 패턴의 유전체박막(31)을 형성하여 p형 옴접촉층(26)을 식각한다. 이로써, 옴접촉층(26)은 W1의 폭을 갖는다.
다음, 도 3c와 같이 폭 W2(여기서, W2 ≥W1)을 갖는 스트라이프 패턴의 유전체 박막(3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d와 같이 이 유전체 박막(32)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기판(21)이 노출될 때까지 건식식각방법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식각한다.
다음, 도 3e와 같이 광흡수층(23)에 황산-과산화수소 수용액이나 인산-과산화수소 수용액을 이용하여 선택적 측면식각을 수행한다. 이로써, 광흡수층(23)은 W3(여기서, W3<W1)의 폭을 가지고, 광도파로층들(22,24)과 p형 클래드층(25)은 W2의 폭을 갖는다.
다음, 도 3f와 같이 폴리이미드(27)와 같은 유전체 물질을 리지(ridge)의 측면에 형성하고, p형 옴접촉층(26)이 노출되도록 유전체박막(32)을 제거한다. 그 위에 도 3g와 같이 p형 옴접촉층(26) 이외의 부분을 표면보호를 위해 유전체박막(28)을 형성한다.
다음, 도 3h와 같이 p형 옴접촉층(26)의 상부와 기판(21)의 하부에 p형 전극(29)과 n형 전극(30)을 각각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선택적 측면식각은 (W2-W3)/2만큼 측면에서 선택적으로 식각하면 된다. 'W1≤W2'로 구성하는 것은 선택적 측면식각 시에 p형 옴접촉층이 같이 식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 선택적 측면식각을 쉽게 형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W3 = 2 μm, W2 = 7 μm라 하자. 그러면 W2가 5 μm인 테스트 패턴을 웨이퍼 상에 동시에 형성하고 선택적 측면식각을 수행하면 이 테스트 패턴의 W2가 0 이 되는 시간, 즉, 테스트패턴이 떨어져 나가는 시간에 식각을 중지하면 W3를 정확하게 2 μm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적 측면식각방법을 도입하면 p형 옴접촉층의 폭을 광흡수층의 폭에 비해 넓게 구성할 수 있고, 따라서 소자의 접촉저항과 정전용량을 동시에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초고속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의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변조기의 특성저하요소인 접촉저항과 정전용량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변조특성이 우수한 수십 기가급의 초고속 광변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기판 위에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 p형 광도파로층, p형 클래드층, 및 p형 옴접촉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리지(ridge) 구조의 전계흡수형 광변조기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폭 W3은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형 광도파로층과, p형 광도파로층 및 p형 클래드층의 폭 W2는 모두 동일하고, 상기 폭 W2는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은 5∼1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폭 W3은 1∼3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5. 기판 위에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 p형 광도파로층, p형 클래드층, 및 p형 옴접촉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리지 구조를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p형 옴접촉층이 W1의 폭을 가지도록 식각하는 제 2 단계;
    상기 n형 광도파로층과 광흡수층과 p형 광도파로층과 p형 클래드층과 p형 옴접촉층이 W2의 폭으로 가지도록 수직 식각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광흡수층이 상기 W1보다 작은 W3의 폭을 가지도록 측면 식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 구조의 측면에 유전체 물질을 형성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p형 옴접촉층을 노출한 상태로 상기 p형 클래드층 위에 유전체박막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p형 옴접촉층의 상부와 기판의 하부에 p형 전극과 n형 전극을 형성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폭 W2와 폭 W3의 차이만큼의 폭을 갖는 테스트패턴을 완전히 식각시키는 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만큼만 선택적 측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폭 W2는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의 폭 W3은 1∼3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옴접촉층의 폭 W1은 5∼10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제조방법.
KR1019990039599A 1999-09-15 1999-09-15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33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599A KR100333482B1 (ko) 1999-09-15 1999-09-15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US09/498,610 US6392781B1 (en) 1999-09-15 2000-02-04 High speed semiconductor optical modulato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599A KR100333482B1 (ko) 1999-09-15 1999-09-15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17A KR20010027717A (ko) 2001-04-06
KR100333482B1 true KR100333482B1 (ko) 2002-04-25

Family

ID=1961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599A KR100333482B1 (ko) 1999-09-15 1999-09-15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92781B1 (ko)
KR (1) KR100333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1850B2 (en) 2002-09-20 2010-08-2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electromechanical behavior of structures within a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device
TW559686B (en) * 2002-12-27 2003-11-01 Prime View Int Co Ltd Optical interference type pane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570896B (en) * 2003-05-26 2004-01-11 Prime View Int Co Ltd A method for fabricating an interference display cell
US7058265B2 (en) * 2003-05-27 2006-06-06 Avago Technologies, Ltd. Customizing traveling wave optical modulators
US7221495B2 (en) * 2003-06-24 2007-05-22 Idc Llc Thin film precursor stack for MEMS manufacturing
US7031558B2 (en) * 2003-08-18 2006-04-18 Hassan Tanbakuchi Low-pass filter transmission line with integral electroabsorption modulator
TWI231865B (en) 2003-08-26 2005-05-01 Prime View Int Co Ltd An interference display ce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TW593126B (en) * 2003-09-30 2004-06-21 Prime View Int Co Ltd A structure of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and manufacturing the same
US7560739B2 (en) * 2004-06-29 2009-07-14 Intel Corporation Micro or below scale multi-layered heterostructure
US7161730B2 (en) * 2004-09-27 2007-01-09 Idc,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rmal compensation for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display
US7684104B2 (en) 2004-09-27 2010-03-23 Idc, Llc MEMS using filler material and method
US7369296B2 (en) * 2004-09-27 2008-05-06 Idc, Llc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actuation voltage thresholds of a deformable membrane in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US7373026B2 (en) * 2004-09-27 2008-05-13 Idc, Llc MEMS device fabricated on a pre-patterned substrate
US7327510B2 (en) * 2004-09-27 2008-02-05 Idc, Llc Process for modifying offset voltage characteristics of an interferometric modulator
EP2495212A3 (en) * 2005-07-22 2012-10-31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s having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N101272982B (zh) 2005-09-30 2012-03-21 高通Mems科技公司 Mems装置及其互连
US7795061B2 (en) * 2005-12-29 2010-09-1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 of creating MEMS device cavities by a non-etching process
US7652814B2 (en) 2006-01-27 2010-01-2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 with integrated optical element
US7547568B2 (en) * 2006-02-22 2009-06-1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ditioning of MEMS device and insulating layer thereof
US20070228156A1 (en) * 2006-03-28 2007-10-04 Household Corporation Interoperability facilitator
US7643203B2 (en) * 2006-04-10 2010-01-05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ric optical display system with broadband characteristics
US7711239B2 (en) * 2006-04-19 2010-05-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utilizing nanoparticles
US7417784B2 (en) * 2006-04-19 2008-08-2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utilizing a porous surface
US7369292B2 (en) * 2006-05-03 2008-05-06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Electrode and interconnect materials for MEMS devices
US7321457B2 (en) * 2006-06-01 2008-01-22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 and structure for fabrication of MEMS device having isolated edge posts
US7763546B2 (en) 2006-08-02 2010-07-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reducing surface charges during the manufacture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devices
US7706042B2 (en) * 2006-12-20 2010-04-2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 and interconnects for same
US7535621B2 (en) 2006-12-27 2009-05-19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Aluminum fluoride films f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applications
US7733552B2 (en) 2007-03-21 2010-06-0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cavity-coating layers and methods
US7719752B2 (en) 2007-05-11 2010-05-18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structures, methods of fabricating MEMS components on separate substrates and assembly of same
US7570415B2 (en) * 2007-08-07 2009-08-04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MEMS device and interconnects for same
KR100958718B1 (ko) 2007-12-07 2010-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신호의 위상을 변환시키는 광전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집적회로
KR101848804B1 (ko) 2015-07-10 2018-04-1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광 송신모듈, 광 트랜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WO2017010743A1 (ko) * 2015-07-10 2017-01-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광 송신모듈, 광 트랜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9123A (ja) * 1992-04-14 1993-11-05 Ricoh Co Ltd 面型光変調器
JPH07230066A (ja) 1994-02-18 1995-08-29 Hitachi Ltd 半導体光変調器
EP0829100A1 (en) * 1996-03-28 1998-03-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adiation-emitting semiconductor diode having a separate confinement layer compri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with at most 30 % aluminum or a semiconductor material free of aluminum
JP2817713B2 (ja) * 1996-06-17 1998-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光変調器
US6207973B1 (en) * 1998-08-19 2001-03-27 Ricoh Company, Ltd. Light emitting devices with layered III-V semiconductor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717A (ko) 2001-04-06
US6392781B1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482B1 (ko) 초고속 반도체 광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US5801872A (en) Semiconductor optical modulation device
US10534131B2 (en) Semiconductor optical integrated device having buried hetero structure waveguide and deep ridge waveguide
US5799119A (en) Coupling of strongly and weakly guiding waveguides for compact integrated mach zehnder modulators
CN110168824B (zh) 半导体光放大器及其制造方法、光相位调制器
JP5144306B2 (ja)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828018B2 (ja) 光変調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半導体装置
KR100737348B1 (ko) 전계흡수형 광 변조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8117077A1 (ja) 光集積素子および光送信機モジュール
JP4762834B2 (ja) 光集積回路
JPH07230066A (ja) 半導体光変調器
JP2019008179A (ja) 半導体光素子
US20130207140A1 (en) Semiconductor Optical Element Semiconductor Optica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98501B2 (en) Semiconductor optical modulator and semiconductor mach-zehnder optical modulator
CN107706739B (zh) 光设备的制造方法
JP2817602B2 (ja) 半導体マッハツェンダ変調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79993A (ja) 半導体光素子
WO2020250291A1 (ja) 半導体光集積素子および半導体光集積素子の製造方法
JP2005116644A (ja) 半導体光電子導波路
KR102207718B1 (ko) 레이저 소자
CA2267018C (en) Optical wavelength converter with active waveguide
JP4105618B2 (ja) 半導体光変調導波路
KR100630514B1 (ko) 전기 흡수 변조기 및 그러한 변조기를 제조하는 방법
KR20050025384A (ko) 도파로형 광 검출기
JPH09101491A (ja) 半導体マッハツェンダ変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