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254B1 - 순환장해개선제 - Google Patents

순환장해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254B1
KR100329254B1 KR1019950701597A KR19950701597A KR100329254B1 KR 100329254 B1 KR100329254 B1 KR 100329254B1 KR 1019950701597 A KR1019950701597 A KR 1019950701597A KR 19950701597 A KR19950701597 A KR 19950701597A KR 100329254 B1 KR100329254 B1 KR 10032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oving
agent
blood
circulation
bloo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956A (ko
Inventor
신야마히로시
가와무라도루
오끼따미노리
우찌다다께시
와따나베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0606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19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066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1929A/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5070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21,4-Dihydropyridines, e.g. nifedipine, nicardi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or sparfloxac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Abstract

기관 또는 말초 순환 장해를 위한 개선제로서 특히 유용하며,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로 표현되는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

Description

순환 장해 개선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특정 구조를 갖는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
각각의 부호가 후술되는 바와 같은 하기 일반식 (I)의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는
칼슘 채널 길항 작용을 갖고 이미 저혈압제, 대뇌의 혈관 확장제 및 관상 동맥 질환 치료제 (협심증 치료제)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 225356 / 1988 호, 미합중국 특허 제 4886819 호,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257616 호)로 유용함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도체 (I)이 대뇌의 혈류 상승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62824 / 1990 호,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342577 호), 혈관 경련용 치료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80826 / 1990 호,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379737 호) 및심장 자극제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35168 / 1992 호,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462407 호)로 매우 유용함이 공지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I)의 용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이 지금까지 발견된 상기 작용과는 완전히 다른 놀랄만한 작용, 즉 혈류 (blood flow) 감소 억제 작용 및 혈액 유동 (blood rheology) -, 적혈구 변형 - 및 미소 순환 - 개선 작용을 가지며, 기관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특히 이것은 각종 기관에서의 혈류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말초 순환 개선제 외에도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I)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 및 말초 순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 (I)의 디히드로피리디 유도체 또는 그의 산 부가염(통상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순환 장해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식 중에서,
R1,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이며 ;
R4및 R5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 수소 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겐화알킬, 알킬술포닐, 알킬술피닐, 알킬티오, 알콕시, 할로겐화알콕시, 알콕시카르보닐, 시아노, 할로겐 또는 니트로이며, 단, R4및 R5가 동시에 수소 원자가 아니고 ;
X가 비닐렌 또는 - CH = N - 이고 ;
A 가 알킬렌이며 ;
B 가 일반식 - N (R6)(R7) 또는
의 기 (식중에서, R6, R7및 R8이 동일 또는 상이하고,각각 수소 원자, 알킬, 시클로알킬, 아르알킬, 아릴 또는 피리딜이며, Ar이 아릴 또는 피리딜이고 n이 0, 1 또는 2의 정수이다)이다. (이후,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 (I)로 언급함)].
상기에서, R1,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 알킬이며, R4가 수소원자이고, R5가 니트로, 할로겐화 알킬 또는 시아노이며, R6및 R7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각각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이며, R8이 아릴이고, Ar이 아릴이며, n이 1인 일반식 (I)의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이 매우 저독성이고, 느린 효과의 개시 및 효과의 오랜 지속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것은 고효율적이고 매우 안전하다.
이 명세서의 일반식 (I)에서 사용된 부호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R1, R2및 R3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R1, R2및 R3으로 표현되는 알킬이 직쇄 또는 측쇄 일수 있으며, 탄소 원자수 1 ∼ 6의 저급알킬 (예 :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 - 부틸, t - 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및 헥실)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 원자수 1 ∼ 4의 저급알킬이 바람직하다. 알킬은 시클로프로필메틸, 시클로부틸에틸 및 시클로펜틸메틸 같이 말단에 탄소 원자수 3 ∼ 6의 저급 시클로알킬알킬을 가질 수 있다.
R1, R2및 R3으로 표현되는 바람직한 시클로알킬로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 같은 탄소 원자수 3 ∼ 6의 저급 시클로알킬이 있다.
R1, R2및 R3으로 표현되는 바람직한 알콕시알킬로서, 메톡시에틸, 에톡시에틸, 프로폭시에틸, 이소프로폭시에틸, 부톡시에틸, 메톡시프로필, 2 - 메톡시 - 1 - 메틸에틸 및 2 - 에톡시 - 1 - 메틸에틸 같은 탄소 원자수 3 ∼ 7의 알콕시 알킬이 있다.
R4및 R5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환상의 임의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로피리딘 환과의 결합 부위에 관계있는 2 - 및 / 또는 3 - 위치에 치환될 수 있다.
R4및 R5로 표현되는 할로겐의 예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가 있으며, 특히 불소 원자 및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R4및 R5로 표현되는 알킬 및 시클로알킬로는 R1∼ R3에 대하여 언급한 것들이 바람직하다. 즉, 직쇄 또는 측쇄 일 수 있는 것들로서, 탄소 원자수 1 ∼ 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원자수 1 ∼ 4 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4및 R5로 표현되는 알콕시는 탄소원자수 1 ∼ 3의 저급 알킬(예 :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이소프로폭시)이 바람직하다.
R4및 R5로 표현되는 알킬티오는 탄소원자수 1 ∼ 3을 갖는 것(예: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및 이소프로필티오)이 바람직하다.
R4및 R5로 표현되는 알콕시카르보닐로는,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및 프로폭시카르보닐 같이 탄소원자수 2 ∼ 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4및 R5로 표현되는 할로겐화 알킬 또는 할로겐화 알콕시의 할로겐으로는 상기 언급한 것들을 예로 들 수 있고, 할로겐화 알킬은 몇몇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화되거나 [예 : (CF3)2CHCH2- 및 CF3CH2-] 또는 모든 수소 원자가 할로겐화 된것, 즉, 과플루오로알킬 [예 : 트리플루오로메틸]일 수 있다. 또한, 할로겐화 알콕시는 몇몇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화 되거나 또는 모든 수소 원자가 할로겐화 된것일 수 있다.
할로겐화 알킬 및 할로겐화 알콕시는 각각 탄소원자수 1 ∼ 6,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 4 를 갖는다.
R4및 R5로 표현되는 알킬 술포닐 및 알킬 술피닐의 알킬의 예로는 상기 R1∼ R3에 대해 예시된 것들, 즉,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 6,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 4를 갖는 것들이 포함된다.
R4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고 R5가 바람직하게는 시아노, 니트로 또는 할로겐화 알킬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R6, R7및 R8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R6, R7및 R8로 표현되는 알킬 또는 시클로 알킬은 R1∼ R3에 대하여 예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R6, R7및 R8로 표현되는 아르알킬로는, 벤질, α - 페닐에틸, β - 페닐에틸 및 γ - 페닐프로필 같은 페닐 C1- C3알킬이 바람직하다.
R6, R7및 R8로 표현되는 아릴로는, 페닐나프틸을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족 환(예 : 아르알킬 및 아릴)이 임의 위치에 동일 또는 상이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치환체는 예를 들어, 상기 R4및 R5에 대하여 언급한 것들을 포함한다.
R6, R7및 R8로 표현되는 피리딜은 예를 들어, 상기 R4및 R5에 대하여 언급한 동일 또는 상이한 치환체를 가질수 있는, 2 - 피리딜, 3 - 피리딜 및 4 - 피리딜을 포함한다.
A로 표현되는 알킬렌은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2 ∼ 4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킬렌 (예 :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및 1, 2 - 디메틸에틴렌)을 포함한다.
Ar로 표현되는 아릴 및 피리딘은 예를 들어, R6, R7및 R8에 대하여 예시된 것들을 포함하고 R6, R7및 R8같이 임의의 위치에 동일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다.
디히드로피리딘의 4 - 위치 치환체인로 표현되는 환이, X가 비닐렌 (- CH = CH -)일 경우 벤젠환을 ; X가 - CH = N - 일 경우 피리딘을 의미한다.
이 환은 임의의 위치에서 디히드로피리딘의 4 -위치에 결합한다.
R4및 R5치환체가 디히드로피리딘의 4 - 위치에 결합하는 탄소 원자에 대한 오르토 - 및 / 또는 메타 - 위치 (들)에 비하여, 오르토 -, 메타 - 및 파라 - 위치의 어느 곳에나 바람직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의 예로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화합물들이 있다.
표 - 1
바람직한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에는 2 - [p - (4 - 벤즈히드릴피페라지노) 페닐] 에틸 메틸 2, 6 - 디메틸 - 4 - (3 - 니트로페닐) - 1, 4 - 디히드로피리딘 - 3, 5 - 디카르복실레이트, 2 - [p - (4 - 벤즈히드릴피페라지노) 페닐] 에틸 메틸 2, 6 - 디메틸 - 4 - (4 - 시아노 - 2 - 피리딜) - 1, 4 - 디히드로피리딘 - 3, 5 - 디카르복실레이트, 및 그의 산부가염이 있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이 공지 방법 자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조용 특정 방법이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07975 / 1988 호 (US 특허 제 4849429 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12560 / 1988 호 (US 특허 제 4910195 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25356 / 1988 호 (US 특허 제 4886819 호, EP 특허 출원 제 257616 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1765 / 1983 호 (US 특허 제 4892875 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99042 / 1988 호 (US 특허 제 4886819 호, EP 특허 출원 제 257616 호),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152351 / 1988 호 (US 특허 제 4910195 호) 및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60064 / 1986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조된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은 적절한 때에 임의의 순도로 동일한 것을 제공하기 위하여, 농축,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재침전 및 재결정 같은 공지의 분리 및 정제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이 염기성기를 가지므로, 공지 방법에 의하여 산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염이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한 어떠한 제한도 없다. 염의 예로는 염산염, 브롬화 수소산염, 인산염 및 황산염 같은 무기산 염, 및 아세트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말산염 및 주석산염 같은 유기산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성분인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이, 혈류 감소 억제 작용 및 혈액 유동 -, 적혈구 변형 - 및 미소 순환 - 개선 작용을 기초로 하여, 생쥐, 쥐, 토끼, 개, 고양이 및 인간과 같은 포유류에서 순환 장해 개선을 위해 유용하다.
이들은 각종 기관에서 혈류 감소에 대한 억제작용을 하므로, 뇌간, 심장, 신장, 부신 및 폐 같은 각종 기관에서의 순환장해 개선을 위하여 유용하다. 또한, 이들은 레이노 병(Raynaud's syndrome), 차단성 동맥 경화증(arteriosclerosis obliterans), 차단성 롬순기티스(romsoongitis obiterans), 뷰르거병(Buerger disease), 당뇨병성 미세소관 장해 및 말초 동맥 패쇄증(예 : 당뇨병성 괴저) 같이 포유류에서의 말초 순환 장해로 유도되는 질병들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더욱이, 이들은 급성 및 만성 단계 모두에서 대뇌혈관 장해 치료외에도, 고혈압 및 기관 순환 장해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이 본 발명의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사용될 경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같이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가제는 약학적으로 요구되는 성분과 적당하게 혼합하여, 구강 또는 비경구 투여 가능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주사액 형태의 약학적 조성물로 제조된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이 투여 경로, 증세, 환자의 몸무게 및 연령에 따라 변하므로, 성인 환자에게 구강 투여시, 0.1 - 100 mg / 인간 / 일, 바람직하게는 1 - 20 mg / 인간 / 일의 양으로 1 ∼ 수회 복용으로 나누어 투여함이 바람직하다. 정맥 투여시,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은 하루에 1 ∼ 수회 복용으로 나누어 0.1 ∼ 300 μg / 인간 / 일, 바람직하게는 5 ∼ 100 μg / 인간 / 일의 양으로 투여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하기 실험예, 실시예 및 참고예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1H - NMR 로서 CDCl3가 사용된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의 혈류 개선 작용을 실험예 1 과 2 에서 시험하였다.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의 순환 장해 개선 작용을 실험예 3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시약
발명의 화합물 :
2 - [p - (4 - 벤즈히드릴피페라지노) 페닐] - 에틸 메틸 2, 6 - 디메틸 - 4 - (3 - 니트로페닐) - 1, 4 - 디히드로피리딘 - 3, 5 - 디카르복실레이트 · 염산염 (화합물 2)
실험예 1 과 2 에서의 대조 시약 :
닐바디핀(nilvadipine : NIL) 및 펜톡시필린(pentoxifylline : PXF) 실험예 3 에서의 대조 시약 :
니카르디핀(nicardipine) 및 히드랄라진(hydralazine)
시험 동물
실험예 1 과 2 :
발작 경향의 자발적 고혈압성 수컷 쥐(male Stroke - Pron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 SHRSP) 및 위스타 - 교또 수컷쥐(male Wistar - Kyoto rat : WKY)
실험예 3 :
SHRSP
실험예 1 : 혈액 점성도 및 플라즈마 점성도에 대한 영향
시험 방법
생후 9주(week)의 SHRSP 및 WKY에게 시험 시약 또는 부형제(용매)를 매일 연속적으로 구강 투여를 시작하여 3주 동안 계속한다. 심장 수축성 혈압 및 심장 박동율을 프로그램 가능한 혈압계(BP - 98, Softron)를 사용하여, 시약 투여 전 및 투여 2시간 후에 매주 측정한다.
혈액 점성도의 측정
상기의 투여후,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 : 40 mg / kg 신체 중량)을 복강내에 투여하고, 혈액을 하행성 동맥으로 부터 채취하여 헤파린을 첨가한다. 이 혈액은 즉시 전체 혈액으로 사용된다. 플라즈마(plasma)는 전체 혈액을 10 분간 2,000 rpm 및 10 분간 3,0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즉시 분리함으로써 수득한다. 전체 혈액 및 플라즈마의 점성도를 회전 점도계(E 형 점도계, Tokyo keiki)로 측정한다. 측정시 전단율을 전체 혈액 및 플라즈마 모두에 대하여 3.84 - 192.0 sec-1로 고정한다.
피브리노겐 농도의 측정
하행성 동맥으로 부터 채취한 신선한 혈액(9 부피) 및 3.8 %의 구연산 나트륨(1 부피)을 혼합한다.
10 분간 3,000 rpm에서 즉시 원심 분리하여 수득한 플라즈마를 시험 시료로 사용하고, 피브리노겐 수준을 트롬빈 - 응고 시간법(thrombin - clotting time method)으로 측정한다. 피브리노겐 측정 시약 B를 측정을 위해 사용한다.
결과
SHRSP를 사용하여, 화합물 2를 3주 동안 매일 연속적으로 투여한 뒤, 혈액 점성도에 대한 화합물 2의 효과를 닐바디핀(NIL) 또는 펜톡시필린(PXF)의 효과와 비교한다.
정상 혈압의 쥐(WKY)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효과와의 비교 결과를 표2에 요약한다.
표 - 2
평균 ± S. E. 혈액 점성도를 동맥 혈액 시료 채취 직후에 측정한다.
*) : 부형제를 투여한 WKY와 상당한 차이 (P < 0.05)
혈액 점성도에 대한 영향
SHRSP에 대한 시약의 어떠한 효과도 동맥 혈액 시료상의 헤마토크리트(Ht)값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부형제를 투여한 그룹과 비교시, 화합물 2를 3 mg / kg 신체 중량으로 투여한 WKY에서 Ht 값의 상당한 감소가 발견되었다. 혈액 시료 채취 직후에, 부형제를 투여한 SHRSP 그룹의 전체 혈액 점성도가 WKY 그룹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각각의 전단율에서의 점성도가 화합물 2의 투여로 복용량에 의존하여 감소하였고, 3 mg / kg 신체 중량으로 투여한 그룹은 WKY 부형제 그룹과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유사하게, NIL을 투여한 그룹이 전체 혈액 점성도의 감소 경향을 보여주는 반면, PXF의 투여는 전체 혈액 점성도에서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동일하게, SHRSP 부형제 그룹의 플라즈마 점성도가 WKY 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각의 시약 투여는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피브리노겐 농도에 대한 영향
플라즈마 부 요소(side factor) 중에서 상당한 정도로 혈액 점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피브리노겐 농도를 측정하였다. 부형제 그룹에서의 피브리노겐 수준이 WKY 그룹에서 보다 SHRSP 그룹에서 높았지만, 각 시약의 투여는 아무 효과도 없었다.
전술한 결과를 근거로 할때, 본 발명의 시약이 혈류 개선 효과를 가지며, 이것은 SHRSP 부형제 그룹에서 관찰된 전체 혈액 점성도의 상승이, 3 주 동안 화합물 2를 매일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거의 정상 수준까지 억제된 사실로 보아 명백하다.
실험예 2 : 적혈구 변형에 대한 영향
시험 방법
시험 시약 또는 부형제(용매)는 생후 9주의 SHRSP 및 WKY에 매일 10 ml / kg 신체중량의 복용량으로 강압적으로 구강 투여된다.
심장 수축 혈압 및 심장 박동율을 프로그램 가능한 혈압계(BP - 98, Softron)를 사용하여 실험 첫날 및 실험 개시 3 주후에 측정한다. 적혈구 변형은 시약 투여 개시 3주후에 측정한다.
동물들은 펜토바르비탈로 마취시키고, 혈액을 복부 동맥으로 부터 채취하여 헤파린을 첨가한다. 이 헤파린이 첨가된 혈액을 사용하여, 적혈구 변형은 Reid 등의 방법[Reid HL 등, J. Clin. Pathol., 29, 855 - 858 (1976)]에 의하여 즉시 측정한다. 특히, 20 cm 수 칼럼(water column) 네가티브 압력하에, 5 μm 크기의 세공(핵공 : Nucleopore)을 갖는 막 여과기를 생리적 식염수(대조 용액) 또는 혈액(0.5 ml)이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측정한다. 혈액의 여과기 통과 시간은 생리적 식염수의 여과기 통과 시간을 사용하여 보정(식 1)하고, 분당 통과하는 혈액량(식 2)을 계산한다.
통과량은 각종 Ht 값(식 3)을 사용하여 보정하고, 그 결과를 적혈구의 여과기 통과 속도로 환산하여 전체 혈액중 적혈구 변형을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한다.
식 1 :
힐액 (0.5 ml)의 여과기 통과 시간(생리적 식염수로 보정, 단위 : 초)
x 힐액(0.5 ml)의 여과기 통과 시간(초)
식 2 :
분당 혈액 통과량(ml / 분)
식 3 :
적혈구의 여과기 투과 속도(ml / 분)
식 3에서, C1은 1차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수득한 식 2의 값이고, C2는 2차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수득한 식 2의 값이다.
결과
3 주 동안 화합물 2를 매일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적혈구 변형에 대한 영향을 Reid 등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고 대조 시약으로 NIL 및 PXF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를 비교한 뒤, 그 결과를 표 3 에 요약하였다.
표 - 3
* 부형제를 투여한 SHRSP와 상당한 차이(P < 0.05).
헤마토크리트 값
WKY 보다 높은 헤마토크리트 값을 보이는 경향이 SHRSP에서 발견되었다. Ht 값이, 부형제를 투여한 SHRSP그룹과 비교시 PXF(100 mg / kg 신체 중량)를 투여한 SHRSP그룹에서 현저히 상승하였다. Ht 값에서의 어떤 명백한 변화가 다른 시약의 투여로 유발되지 않았다.
적혈구 변형성
혈액 시료 채취 직후 적혈구의 여과도가 부형제를 투여한 WKY 그룹과 비교시, 부형제를 투여한 SHRSP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SHRSP 그룹에서 적혈구의 여과도가 화합물 2의 투여로 복용량에 의존하여 향상되었고, 3 mg / kg 신체 중량으로 화합물 2를 투여한 그룹은, 부형제를 투여한그룹과 비교시 적혈구 여과도에서 현저한 향상을 보였다. NIL(30 mg / kg 신체 중량)을 투여한 그룹이 또한 향상된 적혈구 투과도를 보였고, 그 결과는 화합물 2를 투여한 그룹에 의해 획득한 결과와 거의 같았다. PXF(100 mg / kg 신체 중량)를 투여한 그룹이, 부형제를 투여한 WKY 그룹에 의해 획득한 것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적혈구 투과도에서 현저한 향상을 보였다. WKY에서의 적혈구 투과도는, SHRSP 그룹에서 보다 화합물 2(3 mg / kg 신체 중량) 또는 부형제를 투여한 그룹에서 현저히 높았다.
전술한 결과를 기초로 할때, 3주 동안 화합물 2(1 mg / kg 신체 중량 또는 3 mg / kg 신체 중량)의 연속적 투여가, 적혈구 변형의 증가를 초래함이 분명하다. 따라서, 미소 순환 개선 작용은 혈관 확장 작용외에 혈액 유동 향상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음이 분명하다.
비록 NIL의 투여에 의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었지만, NIL은 화합물 2의 양에 비해 10배 이상 많은 복용량(30 mg / kg 신체 중량)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NIL의 작용이 화합물 2의 적혈구 변형화 보다 약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실험 결과에 근거할때,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이, 혈액 유동 및 적혈구 변형의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미소 순환 개선 작용을 가지며, 말초 순환 개선제로서 유용함이 명백하다.
실험예 3 :
각종 기관 및 관 저항성에 있어서 혈류량(blood flow volume)에 대한 영향
시험 방법
SHRSP는 생후 9 ∼ 13주 사이에 4 % NaCl(SP 사료, 일본의 Funabashi Farm 제조)을 함유하는 사료로 키워, SHRSP의 각종 기관에서 혈류량이 감소되게 한다. 시험 시약을 이 기간동안 구강 투여하고 각종 기관에서 혈류량 감소의 가능한 억제를 방사성 소체법(radioactive microsphere method)으로 측정한다.
수술 과정
1 %의 할로테인(halothane) 마취하에 PF - 50 카테터를 우축 대퇴 동맥 및 우측 총 경동맥을 통해 심장의 좌심실에 삽입하고, 이 두개의 카테터를 등을 통하여 피하로 목의 후부에 정치시킨다. 카테터를 심장의 좌심실에 삽입하는 것은 압력 변환기에 의해 파장 형태를 관찰하면서 행한다. 기관에서의 혈류량은 쥐들이 마취에서 깨어나 3 시간 이상이 지난후의 상태에서 측정한다.
기관에서 혈류량의 측정
51Cr- 표지된 방사성 소체(100,000, 직경 15.5 ± 0.1 μ, 비활성도 1257.3 MBq / g)를 30 초간 심장의 좌심실에 주입한다. 소체는 0.01 % 트윈(Tween) 80 함유의 생리적 식염수(0.5 ml)에 용해시키고, 응집을 막기 위해 30분 이상 초음파 분쇄를 행한다. 동맥혈(대조군)을 1 분간 0.458 ml / 분의 속도로, 소체의 주사 5 초전에서 부터 펌프(Harvard Corp. 사 제조)로 채취한다.
투여 5 분후, 동물들은 치사량의 펜토바르비탈 용액을 정맥 투여하여 도살시키고, 뇌, 심장, 폐, 신장 및 부신을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주입된 소체 용액의 방사성은, 대조 혈액 및 조직 시료에서 γ - 계수기로 측정한다.
기관에서의 혈류량은 하기식으로 계산한다.
기관의 혈류량
주입된 방사성은, 주입전 총 방사성 - 주입후 주입기내의 잔류 방사성으로 계산하며, 기관의 혈류량은 조직의 g당 혈류량으로 표현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결과
시험 시약의 투여로 야기된 SHRSP의 각종 기관에서 혈류량의 변화는 표 4에 요약한다.
표 - 4
각각의 값은 기관 중량에 대하여 평균 ± S. E.로 표현된 분당 각종 기관의 혈류량(ml/g)이다.
# : 생후 9주된 SHRSP의 값과 상당한 차이
* : 병의 개시를 보이지 않는 SHRSP(생후 13 주)의 값과 상당한 차이
(* : P < 0.05, ** : P < 0.01, *** : P < 0.001).
괄호 안의 숫자는 시험 동물의 숫자이다. 시험 시약은 생후 9 ∼ 13주 사이에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각종 기관에서의 혈류량에 있어서, 화합물 2가 투여된 그룹이, 질병의 어떠한 개시도 보이지 않는 생후 13주의 쥐로부터 수득한 결과와 비교할때, 대뇌에서의 증가 경향외에, 소뇌, 간뇌, 신장 및 부신에서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모든 기관의 혈류량은 시약 투여 개시시에 생후 9주의 쥐 값과 차이가 없었고, 따라서 관의 장해(vascular disorders)에 기인한 혈류 감소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니카르디핀을 투여한 그룹이, 생후 9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심장 및 폐에 있어서 혈류량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신장 및 부신에서의 혈류량은 생후 13주된 쥐의 값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히드랄라진을 투여한 그룹이, 생후 13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신장에서만 현저한 혈류량의 증가를 보였다.
각 기관의 관 저항성(vascular resistance)이, 질병의 어떠한 개시도 보이지 않는 생후 13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화합물 2를 투여한 그룹의 소뇌, 간뇌 및 신장에서 현저히 감소하였고, 또한 대뇌 및 부신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다.
니카르디핀을 투여한 그룹이, 질병의 어떠한 개시도 보이지 않는 생후 13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신장 및 부신에서만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생후 9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뇌간, 심장 및 폐에 있어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히드랄라진을 투여한 그룹이, 질병의 어떠한 개시도 보이지 않는 13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신장에서만 현저한 감소를 보였고, 생후 9주된 쥐의 값과 비교시 간뇌 및 부신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생후 9 ∼ 13주 사이에 SHRSP에게 화합물 2를 매일 연속적으로 구강 투여한 결과, 측정한 모든 기관에서 생후 9주(시약 투여 개시시)된 SHRSP의 각종 기관의 혈류량 유지가 명백히 나타났다. 이때, 3 종류의 시약을 처리한 그룹간에, 혈류량 측정 시간시의 혈압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화합물 2가 다른 두 시약과 비교시, 혈류 감소에 보다 강한 억제를 보였다.
전술한 실험 결과에 근거할때,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및 그의 산 부가염이, SHRSP에서 발견된 기관의 관 장해 표시인 고혈압과 관련된 각종 기관의 혈류량 감소를 억제하고,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유용함이 명백하다.
참고예
2 - [p - (4 - 벤즈히드릴피페라지노) 페닐] 에틸 메틸 - 2, 6 - 디메틸 - 4 - (3 - 니트로페닐) - 1,4 - 디히드로피리딘 - 3, 5 - 디카르복실레이트(화합물 1) 와 그의 염화 수소산염(화합물 2)의 합성
3 - 니트로벤즈알데히드(1.144 g, 7.57 밀리몰), [p - (4 - 벤즈히드릴 - 피페라지노) 페닐]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3.464 g, 7.59 밀리몰) 및 메틸 3 - 아미노크로토네이트(873 mg, 7.58 밀리몰)을 100 ml 가지 플라스크에 넣고, 이소프로판올(12 ml)을 첨가한다. 플라스크에 딤로트(Dimroth) 응축기를 장치하고 혼합물은 16시간 동안 가열하에 환류한다. 반응 용매는 감압하에 증류 · 제거하고, 잔류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클로로포름 : 메탄올 = 45 : 1] 및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겔, 아세트산에틸 n - 헥산 = 2 : 3]로 분류하며, 수득한 조 생성물은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정제하여, 일명 화합물 1(수율 48 %) 2.503 g을 얻었다.
IR vmax KBrcm-1: 1680, 1520
1H -NMRδ : 8.06 (1H, t, J = 2Hz), 7.97 (1H, ddd, J = 8; 2; 1Hz), 7.1 - 7.6 (12H), 7.03 (2H, d, J = 8.6Hz), 6.80 (2H, d, J = 8.6Hz), 6.02(1H, s), 5.07 (1H, s), 4.26 (1H, s), 4.22 (2H, t, J = 7Hz), 3.64 (3H, s), 3.15 (4H, dd, J = 5; 4.7Hz), 2.81 (2H, t, J = 7Hz), 2.55 (4H, dd, J = 5; 4.7Hz), 2.33, 2.28 (3H, s, 각각)
화합물 1(2.124 g, 3.16 밀리몰)을 200 ml 가지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를 고무로 밀봉한다. 여기에 염화메틸렌(100 ml)을 첨가하고, 내용물을 용해시킨후, 혼합물은 염화 수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30분간 실온에서 교반한다. 수득한 결정을 여과 · 수집하면, 일명 화합물 2를 약 2.22 g을 얻는다.
IRvmax KBrcm-1: 2450, 1680, 1525, 1350
1H - NMRδ : 13.72 (1H, brs), 8.05 - 7.9 (6H), 7.82, 7.26 (4H, A2B q, J = 8.6Hz), 7.6 - 7.3 (8H), 6.28 (1H, s), 5.2 - 5.05 (2H), 5.01 (2H, s), 4.27 (2H, t, J = 6.5Hz), 4.3 - 4.1 (2H), 3.66 (3H, s), 3.65 - 3.45 (4H), 2.95 (2H,t, J = 6.5Hz), 2.36, 2.33 (3H, s, 각각)
실시예 1 : 정제
(1) 화합물 2 10 g
(2) 직접 압축용 미세 과립 209 호 (Fuji Kagakusha 사제) 110 g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메타실리케이트 20%
옥수수 전분 30%
락토스 50 %
(3) 결정형 셀룰로스 60 g
(4) CMC 칼슘 18 g
(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g
(1), (3) 및 (4)는 미리 100 메쉬 - 체를 통과시킨다. (1), (3), (4) 및 (2)를 각각 일정한 수분 함량까지 건조 시킨후, 성분들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상기 중량비로 혼합한다. (5)를 균일하게 혼합된 분말에 첨가하고 단시간(30초)동안 혼합한다. 혼합분말은 압축하여 각각 200 mg의 정제를 만든다.
정제는 폴리비닐 아세탈 디에틸아미노아세테이트 같은 막 피복제를 사용하여 가스트로 피복(gastro - coated)되거나 식품 착색으로 피복될 수 있다.
실시예 2 : 캡슐
(1) 화합물 2 50 g
(2) 락토스 930 g
(3)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g
상기 성분들은 무게를 달아 균일하게 혼합한 뒤, 혼합 분말은 각각 200 mg의 단단한 젤라틴 캡슐에 채운다.
실시예 3 : 주사액
(1) 화합물 2 5 mg
(2) 글루코스 100 mg
(3) 생리적 식염수 10 ml
상기 혼합 용액은 막 여과기를 통해 여과시킨후, 여과에 의해 살균한다. 여과액은 무균적으로 작은 병에 붓고, 질소 가스를 충전시켜 밀봉하여 정맥 주사액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화합물 2(20.1 g)를 불포화 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Excel 0 - 95 R, Kao Corp. 사 제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TO - 10 M, Nikko Chemical Corp. 사 제조) (1 : 1)의 혼합물(650 g)에 첨가하여 용해한후, 40 ℃에서 교반하여 비미셀(non - micell) 용액을 얻는다. 수득 용액(600 g) 및 마그네슘 알루미네이트 메타실리케이트(370 g, Neusilin US2, FUji Kagaku Sangyo 사 제조)를 회전식 과립 제조기에서 혼합한다. 이어서, 카르멜로스(Camellose) 나트륨 A(30 g)를 혼합 교반하고, 과립 형성을 위해 정제수(250 ml)를 첨가한다. 과립은 강풍 (forced - air) 건조기로 17 시간 동안 40℃에서 건조한 후 42 - 200 메쉬 - 체를 통과시켜 캡슐에 싸여진 550 g의 과립을 제조한다.
산업적 이용 가능성
활성 성분으로 본 발명의 디히드로피리딘 유도체(I) 또는 그의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순환 장해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특히 이 조성물은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 및 말초 순환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활성 성분으로서 2-[p-(4-벤즈히드릴피페라지노)페닐]-에틸메틸 2,6-디메틸-4-(3-니트로페닐)-1,4-디히드로피리딘-3,5-디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의 산 부가염을 함유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에 있어서, 상기 순환 장해 개선제는 고혈압에 수반되는 각종 기관의 혈류량 감소의 억제를 위한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 또는 말초 순환에서의 혈액 점도의 증대 또는 적혈구의 막 투과성 감소의 개선, 혈액 유동성의 개선 및 적혈구 변형능의 개선을 위한 말초 순환 개선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장해 개선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혈압에 수반되는 각종 기관의 혈류량 감소의 억제를 위한 기관의 순환 장해 개선제인 순환 장해 개선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말초 순환에서의 혈액 점도의 증대 또는 적혈구의 막 투과성 감소의 개선, 혈액 유동성의 개선 및 적혈구 변형능의 개선을 위한 말초 순환 개선제인 순환 장해 개선제.
  4. 제 2 항에 있어서, 기관이 신장, 부신 및 폐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순환 장해 개선제.
KR1019950701597A 1993-08-25 1994-08-25 순환장해개선제 KR100329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10606 1993-08-25
JP21060693A JPH0761928A (ja) 1993-08-25 1993-08-25 臓器循環障害改善剤
JP93-210668 1993-08-25
JP21066893A JPH0761929A (ja) 1993-08-25 1993-08-25 末梢循環改善剤
PCT/JP1994/001412 WO1995005825A1 (fr) 1993-08-25 1994-08-25 Traitement symptomatique des troubles circulatoi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956A KR950703956A (ko) 1995-11-17
KR100329254B1 true KR100329254B1 (ko) 2002-09-27

Family

ID=26518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597A KR100329254B1 (ko) 1993-08-25 1994-08-25 순환장해개선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691339A (ko)
EP (1) EP0667157A4 (ko)
KR (1) KR100329254B1 (ko)
CA (1) CA2147762A1 (ko)
WO (1) WO1995005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140A (en) * 1996-04-03 1999-03-09 Merck & Co., Inc. Biheteroaryl inhibitors of farnesyl-protein transferase
GB9801231D0 (en) * 1997-06-05 1998-03-18 Merck & Co Inc A method of treating cancer
US6960576B2 (en) * 1999-09-13 2005-11-01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Hydroxyalkanoylaminolactams and related structures as inhibitors of Aβ protein production
CA2404273A1 (en) * 2000-04-11 2001-10-18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mpany Substituted lactams as inhibitors of a.beta. protein production
KR100561868B1 (ko) * 2004-03-31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장을 이용한 혈류 제어 장치 및 혈류 제어 방법
US7730793B2 (en) * 2007-11-16 2010-06-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enturi flow sensor
US20110189166A1 (en) * 2010-01-29 2011-08-04 John Boucher Methods of treating hemorheologic abnormalities in mamm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819A (en) * 1986-08-27 1989-12-12 The Green Cross Corporation Dihydropyr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EP0379737A2 (en) * 1988-12-29 1990-08-01 The Green Cross Corporation Dihydropyr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ngiospa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429B2 (ja) * 1986-08-27 1994-11-02 株式会社ミドリ十字 ジヒドロピリジン誘導体
EP0342577B1 (en) * 1988-05-19 2000-03-15 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Use of dihydropyridine derivatives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cerebral circulation disorders
EP0448091B1 (en) * 1990-03-23 1998-08-05 The Green Cross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lightly water-soluble drug
JP3049816B2 (ja) * 1990-06-25 2000-06-05 ウェルファイド株式会社 強心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6819A (en) * 1986-08-27 1989-12-12 The Green Cross Corporation Dihydropyridi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EP0379737A2 (en) * 1988-12-29 1990-08-01 The Green Cross Corporation Dihydropyr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ngiospa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05825A1 (fr) 1995-03-02
EP0667157A1 (en) 1995-08-16
US5856328A (en) 1999-01-05
EP0667157A4 (en) 1995-11-08
US5691339A (en) 1997-11-25
CA2147762A1 (en) 1995-03-02
KR950703956A (ko) 199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5661B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sickle cell anemia
US20030022923A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sickle cell anemia
JP2002537258A5 (ko)
CA1220425A (en) Use of dihydropyridines in medicaments having a salidiuretic action
KR100329254B1 (ko) 순환장해개선제
JP2002114683A (ja) 過剰のエナンチオマーを含む治療用組成物
JP2838282B2 (ja) 血管攣縮治療剤
US5530001A (en) Pharmaceutical use of dihydropyridine derivative
JP3049816B2 (ja) 強心薬
JP3175278B2 (ja) 尿酸***促進剤
NL8401155A (nl) Farmaceutisch preparaat.
EP0342577B1 (en) Use of dihydropyridine derivatives for the prophylaxis or treatment of cerebral circulation disorders
JPH0761929A (ja) 末梢循環改善剤
JP2000103736A (ja) 血管透過性亢進抑制剤
KR100517384B1 (ko) 신규한 암로디핀 오로테이트 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약제학적 조성물
RU2136279C1 (ru) Применение лацидипина для лечения артериосклероза
JPH0761928A (ja) 臓器循環障害改善剤
JP2997892B2 (ja) ヒダントイン誘導体を有効成分とする循環器系疾患の予防及び治療剤
JPH08225450A (ja) 脂質酸化抑制剤
JP2756941B2 (ja) 2−クロロ−3−アリールアミノ−1,4−ナフトキノン誘導体の血小板凝集抑制剤としての用途
JPH08208477A (ja) 血管内皮保護剤
JPH10265384A (ja) 心肥大抑制剤
JPH0733661A (ja) 脳疾患予防治療剤
EP0463407B1 (en) Use of dihydropyridins in cardioton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JPH03153683A (ja) 冠不全の治療のための医薬品製造への、カーボチオアミド1―オキシドの応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