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795B1 - 재봉틀 - Google Patents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795B1
KR100325795B1 KR1019960706587A KR19960706587A KR100325795B1 KR 100325795 B1 KR100325795 B1 KR 100325795B1 KR 1019960706587 A KR1019960706587 A KR 1019960706587A KR 19960706587 A KR19960706587 A KR 19960706587A KR 100325795 B1 KR100325795 B1 KR 10032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ece
cloth
needle bar
cloth suppor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로 무라따
마사노리 시바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바루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7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완충체가 탈락한 경우에 천 지지편 유지체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한 캣치부재를 구비한다. 이 캣치부재는, 상면에 완충제를 구비하고 있으며, 천 지지편 유지체에 구비한 보호부재를 완충상태에서 캣치한다. 게다가 캣치는, 베드의 상명과 천 지지편의 하단의 사이에 천 존치용의 간극이 생기는 상태에서 행한다.
정상시에는 천을 손상시키거나 큰 소리를 내지 않고 봉제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소음발생의 방지를 위하여 상요한 완충체가 탈락하는 상태에 이른 이상시에 있어서도, 천을 손상시키거나 과도하게 큰 음을 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봉제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재봉틀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베드 (3f) 의 상방에 설치된 유지틀 (11f) 에, 침봉승강기구 (8f) 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피동자 (16f) 와 봉제용의 바늘 (15f) 을 구비하는 침봉 (6f) 이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침봉 (6f) 에는 천 (65f) 을 빼어당길 때에 천이 따라 올라감을 방지하기 위한 천 지지편 (29f) 을 하단에 부설한 천 지지편 유지체 (20f) 가 상대적인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부설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 천 지지편 유지체 (20f) 는 스프링 (31f) 에 의하여 하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f) 를 상향으로 지지함으로써 그 상하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받침부재 (47f) 가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를 따라서 상하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 받침부재 (47f) 는 상면에 완충제 (48f) 를 구비하고, 또, 이 받침부재 (47f) 는 상기 침봉 (6f) 의 상하운동과 동기하여 상하로 왕복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49f) 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f) 의 상방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 (23f) 에는, 상기 받침부재 (47f) 와의 결합용 결합부 (28f)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침봉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니들 클램프 (14f) 는, 침봉 (6f) 의 상승에 의해 천 지지편 유지체 (20f) 에 있어서 하방의 맞닿음 부재 (24f) 에 맞닿아 그를 들어올리기 위한 들어올림 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것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침봉용의 승강기구 (8f) 에 의해서 침봉 (6f) 를 하강시키면, 스프링 (31f) 을 통하여 천 지지편 유지체 (20f) 가 하강되고,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 (28f) 가 받침부재 (47f) 에 맞닿는다. 그 후 받침부재 (47f) 는 구동기구 (49f) 에 의해서 상기 침봉 (6f) 의 하강과 동기하여 하강된다. 그리고 도 12C 와 같이 천 지지편 (29f) 의 하단이 베드 (3f) 에 맞닿기 직전의 위치에 다다르면, 상기 받침부재 (47f) 의 하강이 정지되고, 천 지지편 (29f) 은 그 위치로 유지된다. 그 사이에 침봉 (6f) 은 더욱 하강하여 도 12D 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12D 의 상태로부터 침봉 (6f) 이 상승하여 바늘 (15f) 이 천 (65f) 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과정에서는, 상기 천 지지편 (29f) 은 천 (65f) 의 들뜸을 저지한다. 이어서 도 12C 와 같이 들어올림 부재 (14f) 가 맞닿음 부재 (24f) 에 맞닿는다. 그 후는 도 12B 와 같이 천 지지편 유지체 (20f) 는 침봉 (6f)에 의해서 들어올려짐과 동시에 받침부재 (47f) 도 구동기구 (49f) 에 의해서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도 12A 와 같이 침봉 (6f) 이 그의 상한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에는, 들러올림 부재 (14f) 와 맞닿음 부재 (24f) 의 결합을 통하여, 천 지지편 유지체 (20f) 를 상기 받침부재 (47f) 에 의한 상하운동 범위 보다도 높은 상한 위치까지 들어올려, 받침부재 (47f) 와 결합부 (28f) 의 사이에 간극 (Gf) 이 생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5-245278 호 공보 참조).
상기 구성의 것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천 (65f) 으로 부터 바늘 (15f) 을 빼낼 때 천 지지편 (29f) 에 의해서 천 (65f) 의 들어올림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원활한 봉제를 가능하게 하고, 또 침봉 (6f) 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천 지지편 (29f) 도 베드 (3f) 로부터 상방의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베드 (3f) 상에서는 천 (65f) 을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임의의 무늬를 봉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천 지지편 (29f) 은 받침부재 (47f) 에 의하여 베드 (3f) 와 맞닿지 않는 위치에서 하강을 정지하므로, 천 (65f) 을 베드 (3f) 로 밀어부쳐 그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봉 (6f) 이 상승한 도 12A 의 상태에서는 상기 받침부재 (47f) 와 결합부 (28f) 의 사이에 간극 (Gf)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침 (多針) 재봉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4,531,467 호로 공지되어 있는 다두 (多頭) 재봉틀내의 1두에 관한 다침 재봉틀) 에서는 유지틀 (11f) 의 횡방향 이동에 의한 다침내의 1개의 침봉 (6f) 도 다른 침봉으로 교체시키는 것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간극 (Gf) 이 있어도, 천 지지편 유지체 (20f) 의 하강에 의해서 결합부 (28f) 가 받침부재 (47f) 에 맞닿을 때에는, 받침부재 (47f) 를 구동기구 (49f) 에 의해서 미리 천천히 하강 개시해 둘 수 있으므로, 결합부 (28f) 와 받침부재 (47f) 의 속도차를 작게하여 양자의 충돌음을 작게할 수 있다.
또, 결합부 (28f) 와 받침부재 (47f) 에 다소의 속도차가 있어도 완충제(48f) 에 의해 그를 완충할 수 있어서 충돌음을 작게할 수 있다.
이 종래의 재봉틀에서는 상기 완충제 (48f) 의 역할이 크다. 그러나 도 12E 와 같이 상기 완충제 (48f) 가 재봉틀 가동중에 탈락하며, 천 지지편 (29f) 이 하강하는 경우, 받침부재 (47f) 가 하강을 정지하여도 상기 결합부 (28f) 는, 상기 완충제 (48f) 가 존재하는 정상인 경우에 비하여, 상기 완충제 (48f) 의 두께만큼, 보다 하방까지 하강하고, 천 지지편 (29f) 의 하단이 베드 (3f) 에 충돌하게 된다. 그러면 재봉틀의 고속운전에 의해 천 지지편 (29f) 은 반복하여 베드에 충돌하기 때문에, 큰 음을 내어 작업원을 놀라게 하거나, 천 지지편 (29f) 이 파손하거나, 베드 (3f) 상의 천 (65f) 을 손상시키거나 하여, 봉제를 계속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재봉틀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목적은, 천으로부터 바늘을 뺄 때 천 지지편에 의해 천의 들어올림을 억제하여 원활한 봉재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목적은, 바늘이 상승하였을 때 천 지지편도 베드로부터 상방의 위치로 상승시켜서, 베드상에서의 천의 자유로운 횡방향 이동을 가능하게할 수 있도록 한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3 목적은, 상기 상하운동하는 천 지지편은, 받침부재에 의해 그 하강을 베드에 맞닿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시켜서, 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 4 목적은, 천 지지편이 상한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에는, 천 지지편에 연결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재의 연결을 끊고, 스무스한 침봉의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제 5 목적은, 상기 천 지지편의 하강에 수반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받침부재에 맞닿을 때에는 양자의 속도차를 작게하여, 충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 6 목적은, 상기의 경우,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재에 다소의 속도차가 있어도, 완충제에 의해 그를 완충하여 충돌음을 작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제 7 목적은, 상기 완충제가 탈락하여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받침부재의 결합관계에 변화가 생긴 경우라도, 천 지지편이 베드에 당접하여 비정상적인 큰 충격음을 발생시키거나, 천 지지편을 파손시키거나, 천의 손상시켜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의 도면 및 그에 관련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천으로부터 바늘을 빼낼 때에 천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천 지지편을, 침봉의 상하운동과 동기한 상태에서 상하운동시키도록 하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도 1A 는 커버를 제거한 재봉틀 헤드의 종단면도.
도 1B 는 침봉 승강기구를 나타내는 부분도.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선 Ⅱ-Ⅱ 에 다른 단면도.
도 3A ∼ 도 3C 는 구동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 에 있어서의 선 Ⅲ-Ⅲ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1 과는 반대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침봉승강기구 및 제어기구를 나타내는 기구도.
도 5 는 천 누름체가 하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의 재봉틀 헤드의 종단면도.
도 6 은 침봉이 하한위치까지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의 재봉틀 헤드의 종단면도.
도 7 은 동작 설명용의 타임 차트.
도 8A ∼ 도 8E 는 정상시의 동작상태 설명도.
도 9A, 도 9B 는 완충제가 탈락한 경우의 동작상태 설명도.
도 10 은 받침부재가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는 도 10 의 받침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1B 는 도 10 에 있어서의 X I-X I 선 단면도.
도 12A ∼ 도 12E 는 종래의 재봉틀의 동작상태 설명도.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재봉틀은,
천을 받치기 위한 베드 (3) 와,
베드의 상방에 구비시킨 유지틀 (11) 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틀 (11) 에는,
봉제용의 바늘 (15) 을 하단에 부설하고 있는 침봉 (6) 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천으로부터 바늘을 빼낼 때에 천이 따라 올라감을 방지하기 위한 천 지지편 (29) 을 하단에 부착 설치하고 있는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상하운동 가능하고, 또 하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베드 (3) 의 상면에 상기 천 지지편 (29) 의 하단이 접하기 이전에 잡기 위하여,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따르는 위치에는 상면에 완충제 (48) 를 구비하고 있는 받침부재 (47) 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게다가, 상기 받침부재 (47) 는,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와 동기시켜서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침봉 (6) 의 상하운동과 동기하여 작동하는 구동기구 (49) 에 연결시키고,
추가로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운동함으로써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받침부재 (47) 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28) 를 구비시키고,
또한, 상기 침봉 (6) 에는 침봉의 상승에 의해서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들어 올리기 위한 들어올림 부재 (14) 를 부설하는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에는 상기 들어올림 부재 (14) 와 결합시키기 위한 맞닿음 부재 (24) 를 부설하고,
상기 들어올림 부재 (14) 와 맞닿음 부재 (24) 의 결합을 통하여, 침봉 (6)이 그의 상한위치까지 상승할 때에는,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결합부 (28) 가 상기 받침부재 (47) 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있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유지틀 (11) 에는, 받침부재 (47) 의 상면의 완충제 (48) 가 탈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47) 가 하강하였을 때에,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면에 완충제 (11b) 를 구비하고 있는 캣치부재 (11a) 를 구비시키는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에는 상기 캣치부재 (11a) 의 상면에 맞닿게 하기 위한 보호부재 (27) 를 구비시키고,
이들 캣치부재 (11a) 와 보호부재 (27) 의 상하방향의 위치관계는, 보호부재 (27) 가 캣치부재 (11a) 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베드 (3) 의 상면과 천 지지편 (29) 의 하단의 사이에 천 존치용의 간극이 생기는 위치관계로 한 재봉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상시에는, 조용한 봉제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받침부재 (47) 상의 완충제 (48) 가 탈락한 경우에도, 캣치부재 (11a) 에 의한 보호부재 (27) 의 캣치에 의해 천을 손상시키거나 천 지지편을 파손시키는 일 없이, 게다가 지나치게 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봉재를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재봉틀의 일 예로서 다수의 재봉틀 헤드를 갖는 다두 재봉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1A 에 있어서, 부호 (1) 은 다수의 재봉틀 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브릿지라고도 불려지는 부분이다. 부호 (2) 는 상기 프레임 (1) 에 장착한 그 중의 하나의 재봉틀 헤드를 나타낸다. 부호 (3) 은 재봉틀 헤드 (2) 의 하방에 있어서의 베드의 존재를나타내는 것으로, 본 예에서는 베드에 있어서의 침판부분을 나타낸다. 베드 (3) 아래에는 주지 (周知) 의 셔틀 (3b) 이 설치되어 있다. 부호 (3a) 는 바늘탈락구멍이다. 부호 (4) 는 재봉틀 헤드에 있어서의 베이스 틀, 부호 (5) 는 베이스 틀 (4) 에 관통삽입되어 있는 구동용의 주축, 부호 (6) 은 상하운동이 가능한 침봉, 부호 (7) 은 천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천 누름체이고, 침봉 (6) 과 동기하여 상하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8) 은 주축 (5) 의 회전운동에 의해 침봉 (6) 을 상하로 구동하기 위한 침봉승강기구, 부호 (9) 는 천 누름체 (7) 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 틀 (4) 은 프레임 (1) 에 고정 부착되는 본체 (10) 와, 본체 (10) 에 대하여 베어링 (12) 에 의해 수평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된 유지틀 (11) 을 구비한다. 또한 이 유지틀 (11) 을 회전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1) 과 일체화시켜 있어도 좋다. 침봉 (6) 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가 상기 유지틀 (11) 에 각각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으며, 또 그들은 유지틀 (11) 의 수평회전운동에 의해서 교환적으로 바늘탈락구멍 (3a) 의 상방에 가져오기 위하여, 유지틀 (11) 의 회전운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하나의 원호상에 병렬로 되어 있다. 부호 (11a) 는 천 누름체 (7) 를 그의 하한 위치에서 받아들이기 위한 캣치부재, 부호 (11c) 는 침봉 (6) 및 천 누름체 (7) 를 그들의 상한위치로 받아들이기 위한 캣치부재로, 각각은 유지틀 (11) 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예를 들면 고무로 된 O 링으로 예시하는 완충제 (11b), (11d) 를 구비한 구성의 것을 예시한다. 부호 (14) 는 침봉 (6) 이 상한위치에 상승하였을 때에 천 누름체 (7) 도 그 상한 위치까지 들어 올리기 위한 들어올림 부재로, 침봉 (6) 의 하단에 구비하고 있는 바늘 부착구로서 겸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들어올림 부재 (14) 의 상측에는, 예를 들면 고무로 된 O 링으로 예시하는 완충제 (14a) 를 구비시켰다. 부호 (15) 는 봉제용의 바늘을 나타낸다. 침봉 (6) 의 상단에 고정 부착하고 있는 피동자 (16) 는 침봉승강기구 (8) 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구 (8) 에 있어서의 구동자와의 끼워맞춤용으로 끼워 맞춤부 (17) 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18) 은 둘레지지편 끼워맞춤부로, 침봉 (6) 의 둘레지지를 하기 위한 둘레지지편 (19) 에 대하여 상대적인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둘레지지편 (19) 은 천 누름체 (7) 에서의 일부의 부재 (후술하는 베이스재 ; 21)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도로 형성한 것을 유지틀 (11) 에 부착하여도 좋다.
다음에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 (20) 은 천 지지편 유지체로, 유지틀 (11) 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관통삽입한 베이스재 (21) 와, 그 하단에 고정 부착한 가이드 부재 (22) 와, 상부에 상하로의 위치조절 가능하게 부착한 또 하나의 가이드 부재 (23) 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천 지지편 유지체 (20) 는, 침봉 (6) 과 평행하게 상하운동시키기 위하여, 양 가이드 부재 (22), (23) 에 뚫어설치한 관통공에 침봉 (6) 을 관통시키고 있지만, 침봉 (6) 과 평행한 상하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틀 (11) 에만 장착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부호 (24) 는 침봉 (6) 에 대한 천 누름체 (7) 의 상대적인 하강의 하한을 결정하기 위한 맞닿음 부재로, 가이드 부재 (22) 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부호 (25), (26)은 스프링 시트로, 가이드 부재 (23) 의 일부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부호 (27) 은 캣치부재 (11a) 에 맞닿도록 하기 위한 보호부재로, 가이드 부재 (23) 의 하면에서 침봉삽통용의 투과구멍의 구멍가장자리로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부호 (28) 은 제어기구에서 후술의 받침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로, 가이드 부재 (23) 에 부설한 예를 나타낸다. 부호 (29) 는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하단에 부설한 천 지지편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 (22) 와 일체로 형성한 예를 나타내며, 부호 (29a) 는 천으로부터 바늘이 빠져나올 때에 천에 맞닿아 따라 올라감을 저지하는 천지지부를 나타낸다. 다음에 부호 (31) 은 침봉 (6) 의 상승용 및 도 6 으로부터 도 5 의 상태에서 천 누름체 (7) 를 하향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제 1 스프링으로, 피동자 (16) 와 스프링 시트 (25) 의 사이에 개재시킨 압축 스프링을 예시한다. 또 측방으로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봉 (6) 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부호 (32) 는 침봉 (6) 및 천 누름체 (7) 를 들어올리기 위한 제 2 스프링으로, 유지틀 (11) 과 스프링 시트 (26) 의 사이에 끼워 장착한 상기 제 1 스프링 (31) 보다도 약한 압축 스프링을 예시한다. 상기 제 1 스프링 (31) 과 동일하게 측방으로의 튀어나옴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재 (21) 의 둘레에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침봉승강기구 (8) 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 (34) 는 승강체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봉으로, 하부 및 상부를 각각 베이스 틀 (4) 의 본체 (10) 에 의해서 지지하고 있다. 부호 (35) 는 침봉 (6) 을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침봉용 승강체, 즉, 침봉 (6) 을 위로 움직이거나 아래로 움직이는 구동을 행하기 위한 침봉 구동부재로, 안내봉 (34) 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한 본체 (36) 와, 그본체 (36) 에 부착한 침봉 구동자 (37) 로 구성하고 있다. 부호 (38) 은 주축 (5) 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교환하여 상기 침봉용 승강체 (35) 로 전달하여 그를 상하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로, 주지의 레버 클랭크 기구를 예시한다. 이 기구는, 주축 (5) 에 부착한 편심휠 (39) 과, 그 편심휠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하운동하도록 한 클랭크 로드 (40) 와, 일단을 피벗장착 부재 (42) 에 의해서 베이스 틀 (4) 에 피벗장착하고, 중간부에 상기 클랭크 로드 (40) 를 축체 (43) 로 피벗연결한 승강레버 (41) 와, 그 승강레버 (41) 의 자유단부와 상기 본체 (36) 를 연결하는 링크 (44 ; 도 1B 참조) 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고, 주축 (5) 이 회전운동하면 레버 (41) 가 상하로 요동하고, 침봉용 승강체 (35) 를 안내봉 (34) 에 따라서 상하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제어기구 (9) 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호 (45) 는 천 누름체 (7) 의 상하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천 누름체용 승강체, 즉 천 누름체 (7) 를 위로 이동시키거나 아래로 이동시키는 구동을 행하기 위한 천 누름 구동부재로, 상기 안내봉 (34) 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한 본체 (46) 와, 그 본체 (46) 에 부착한 연결편 (46a) 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연결편 (46a) 의 선단에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자유하강을 저지하기 위하여 그를 받치도록 한 받침부재 (47) 를 구비하고 있다. 받침부재 (47) 는, 연결편 (46a) 과 일체로 형성된 베이스재 (47a) 의 위에 완충제 (48;예를 들면 경도 80°∼ 90°의 폴리우레탄 고무제. 이 경도는, 일본공업규격에 있어서 규정되고 있는 A 형의 스프링식 경도시험에 있어서 측정된 경도이다.) 를 첨부시킨 구성의 것을 예시한다. 다음에 부호 (49) 는 상기 천 누름체용승강체 (45) 를 상기 침봉용 승강체 (35) 에 추종하고 또 미리 제어된 속도에서 상하구동하도록 한 구동기구를 나타낸다. 부호 (51), (52) 는 침봉용 승강체 (35) 의 이동을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링편으로, 연결부재 (53) 에 의해서 상호간에 굴곡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으며, 제 1 링편 (51) 의 상단은 침봉용 승강체 (35) 의 본체 (36)에 연결편 (54), 예를 들면 상기 링크 (44) 를 본체 (36) 에 피벗장착하는 핀으로 피벗장착하고 있으며, 제 2 링편 (52) 의 하단은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본체 (46) 에 연결편 (55), 예를 들면 핀으로 피벗장착하고 있다. 부호 (56) 는 상기 침봉용 승강체 (35) 의 상하운동 속도에 비하여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상하운동 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양 링편 (51), (52) 상호의 연결부의 상하운동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체로, 안내부 (57), 예를 들면 홈을 갖는다 (도 2 ∼ 도 4 참조). 부호 (59) 는 제 1 과 제 2 링편 (51), (52) 의 연결부를 안내부 (57) 에 추종시키기 위한 종동자로, 상기 안내부 (57)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밑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한 원활한 이동을 위한 롤러를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재봉틀의 동작을 설명한다. 주축 (5) 이 회전운동하면, 침봉용 승강체 (35) 가 도 1A 의 상태로부터 하강하고, 그 구동자 (37) 에 의한 구동에 의해 침봉 (6) 은 도 1A 의 상한위치로부터 도 5 의 위치를 거쳐서 도 6 의 하한위치까지 하강을 행한다. 이때, 천 누름체 (7) 는 제어기구 (9) 에 의한 제어를 받으면서 도 1A 의 상한위치로부터 도 5 의 하한위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늘 (15) 이 천 (65) 으로부터 빠져나올 때에 천지지부 (29a) 가 천 (65) 의 들뜸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위치로서, 천지지부 (29a) 가, 예를 들면 베드 (3) 의 상면으로부터 1mm 정도 상방이 되는 위치) 까지 하강하고, 도 6 과 같이 그곳에 유지된다. 이어서 구동자 (37) 의 상승에 의하여 침봉 (6) 은 도 5 의 상태를 거쳐 도 1A 와 같이 상한위치까지 상승한다. 그 과정에 있어서, 천 누름체 (7) 는 도 6 의 상태로부터 도 5 의 상태까지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한위치로 유지되어서 천 (65) 의 들뜸을 저지한다. 따라서 침봉 (6) 의 상승에 의해 천 (65) 으로부터 바늘이 원활하게 빠져나오게 하다. 그 후 천 누름체 (7) 는 제어기구에 의한 제어를 받으면서 도 1 의 상한위치까지 상승한다. 이와 같은 침봉 (6) 의 상하운동 및 그와 동기한 천 누름체 (7) 의 상하운동이 반복하여 행해지고, 천 (65) 에 대한 제봉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상기와 같은 천 누름체 (7) 의 동작의 제어를 설명한다. 상기 침봉 (6) 의 하강에 의하면 스프링 (31) 을 통하여 천 누름체 (7) 는 하향의 힘을 받는다. 한편, 침봉용 승강체 (35) 의 하강은 링편 (51), (52) 을 통하여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에 전달되고,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가 하강한다. 이 경우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하강은, 종동자 (59) 가 가이드체 (56) 의 제어를 받음으로써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종동자 (59) 는, (i) 먼저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부 (57) 에 있어서 침봉용 승강체 (35) 의 상하운동방향 (안내봉 (34) 의 방향) 과 평행하게 되어 있는 고속부 (57a) 가 하강하기 때문에,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는 침봉용 승강체 (35) 와 같은 속도로 하강한다. (ii) 이어서 도 3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자 (59) 가 안내부 (57) 에서 경사상태로 되어 있는 완속부 (57b)에 이르면, 제 1 과 제 2 의 링편 (51), (52) 은 상호간에 굴곡하면서 그 굴곡의 정도는 점점 커지므로,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하강속도는 침봉용 승강체 (35) 의 하강속도보다도 작아진다. 또한 이 경우 완속부 (57b) 는 원호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하강속도는 점차 느려진다. (iii) 그리고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자 (59) 가 정지부 (57c) 에 달하면, 침봉용 승강체 (35) 가 하강하여도 링편 (51), (52) 은 상호의 굴곡이 커지는 것만으로 침봉용 승강체 (35) 의 움직임은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에 전해지지 않고,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는 정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침봉용 승강체 (35) 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하강의 경우와는 정반대의 동작이 행해져서, (iv)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는 먼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정지부 ; 57c), (v) 이어서 침봉용 승강체 (35) 에 비하여 천천히 상승을 개시하고 (완속부 ; 57b) (vi) 이어서 침봉용 승강체 (35) 와 동일속도로 상승을 행한다 (고속부 : 57a).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상기와 같은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천 누름체 (7) 는 받침부재 (47) 의 제어를 받아서 전술과 같이 하강, 정지 및 상승을 행한다.
상기 침봉 (6) 및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의 하강 및 상승에 수반하는 상기 천 누름체 (7) 의 하강 및 상승동작을 도 7, 도 8A ∼ 도 8E 에 의거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또한 도 7 은 침봉 (6) 과, 천 누름체용 승강체 (45) 에 있어서의 받침부재 (47) 와, 캣치부재 (11a) 와, 천 누름체 (7) 의 상하운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침봉 (6) 은 천 누름체 (7) 와의 연결관계를 갖는 점으로서 들어올림 부재 (14) 의 상면 즉 완충제 (14a) 의 윗쪽 둘레를 나타내고, 받침부재 (47) 는천 누름체 (7) 와의 연결관계를 갖는 점으로서 상면 즉 완충제 (48) 의 상면을 나타내고, 캣치부재 (11a) 는 천 누름체 (7) 와의 연결관계를 갖는 점으로서 그 상면 즉 완충제 (11b) 의 윗쪽 둘레를 나타낸다. 그리고 천 누름체 (7) 는 침봉 (6) 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맞닿음 부재 (24) 의 하면, 받침부재 (47) 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결합부 (28) 의 하면, 캣치부재 (11a) 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보호부재 (27) 의 하면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천 누름체 (7) 를 나타내는 1 점쇄선은, 본래는 침봉 (6) 을 나타내는 실선 또는 받침부재 (47) 를 나타내는 굵은 파선과 겹쳐져 표기되는 것이지만, 그와 같이 하면 도면이 불명료해지므로, 실선 또는 굵은 파선의 상측을 따라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 의 a 의 구간에 있어서는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침봉 (6) 의 위치가 받침부재 (47) 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맞닿음 부재 (24) 가 침봉 (6) 에 있어서의 들어올림 부재 (14) 의 위에 상승된 상태로 침봉 (6) 과 일체적으로 하강을 행한다.
도 7 의 b 의 점 (예를 들면 주축각도 (침봉 (6) 이 상한위치에 있을 때를 0°로 한다) 로 하여 60°근방) 에 이르면,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침봉 (6) 의 위치와 받침부재 (47) 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동등하게 높아지므로,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의 결합부 (28) 는 받침부재 (47) 의 위에 장착된다. 이 경우, 침봉 (6) 의 하강곡선과 받침부재 (47) 의 하강곡선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것이 명확한 바와 같이 양자의 하강의 속도차가 작으며, 결합부 (28) 는 받침부재 (47) 의 위에 소프트 랜딩의 상태에서 충격없이 안착한다. 따라서 충격음의발생도 거의 없다. 또, 완충제 (48) 의 존재는 다소의 속도차가 있어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7 의 c 의 구간에 있어서는,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받침부재 (47) 의 위치가 침봉 (6) 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그 결합부 (28) 가 받침부재 (47) 의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부재 (47) 와 일체적으로 하강을 행한다.
도 7 의 d 의 점 (예를 들면 주축 각도로 하여 120°근방) 에 이르면,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받침부재 (47) 의 위치와 캣치부재 (11a) 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동등하게 높아지므로,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의 보호부재 (27) 가 캣치부재 (11a) 의 위에 안착된다. 이 경우, 받침부재 (47) 의 하강곡선의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있는 것이 명확한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하강속도가 작고, 보호부재 (27) 는 캣치부재 (11a) 의 위에 소프트 랜딩의 상태로 안착된다. 따라서 충격음의 발생은 거의 없다. 또, 완충제 (11b) 의 존재는 다소 하강속도가 커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7 의 e 의 구간에 있어서는,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받침부재 (47) 의 위치가 캣치부재 (11a) 의 위치 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도 8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그 보호부재 (27) 가 캣치부재 (11a) 의 위에 안착한 상태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7 의 f 의 점 (주축각도로 하여 240°근방) 에 이르면, 받침부재 (47) 가 상승하여 재차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받침부재 (47) 의 위치와 캣치부재 (11a)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동등하게 높아지므로, 도 8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부재 (27) 는 천 누름체 (7) 의 결합부 (28) 를 밑으로부터 상향으로 지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받침부재 (47) 의 상승곡선의 경사가 완만해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 (47) 는 상승속도가 작고, 받침부재 (47) 는 결합부 (28) 의 하면에 소프트 터치의 상태에서 맞닿는다. 따라서 충격음의 발생은 거의 없다. 또, 완충제 (48) 의 존재는 다소 상승속도가 커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7 의 g 의 구간에 있어서는,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받침부재 (47) 의 위치가 침봉 (6) 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도 8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그 결합부 (28) 가 받침부재 (47) 에 의해 밑으로부터 상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받침부재 (47) 의 상승과 함께 일체적으로 상승을 행한다.
도 7 의 h 의 점 (예를 들면 주축 각도에 대하여 300°근방) 에 이르면, 받침부재 (47) 의 상승속도가 완만해져,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침봉 (6) 의 위치와 받침부재 (47) 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동등한 높이로 되므로, 도 8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의 맞닿음 부재 (24) 는 들어올림 부재 (14) 에 의해서 밑으로부터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침봉 (6) 의 상승곡선과 받침부재 (47) 의 상승곡선이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것으로부터 명확해 지는 바와 같이 양자의 상승의 속도 차가 작으며, 들어올림 부재 (14) 는 맞닿음 부재 (24) 의 하면에 소프트 터치의 상태로 맞닿는다. 따라서 충격음의 발생은 거의 없다. 또 완충체 (14a) 의 존재는 다소의 속도차가 있어도 충격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도 7 의 i 의 구간에 있어서는, 천 누름체 (7) 에 대하여 침봉 (6) 의 위치가 받침부재 (47) 의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 누름체 (7) 는 그 맞닿음 부재 (24) 가 침봉 (6) 에 있어서의 들어올림 부재 (14) 에 의해서 밑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 상태로 침봉 (6) 과 일체적으로 상승을 행하고, 침봉 (6) 이 그 상한위치까지 상승하면 천 누름체 (7) 는 받침부재 (47) 에 의한 상하운동 범위보다도 높은 상한 위치까지 들어 올려지고, 맞닿음 부재 (24) 가 캣치부재 (11a) 에 받아들여져서 침봉 (6) 및 천 누름체 (7) 의 상승이 종료된다. 이 때, 결합부 (28) 와 받침부재 (47) 의 완충제 (48) 의 사이에는 간극 (G) 이 생긴다.
다음에 상기 재봉틀에서, 서로 다른 실 (색 또는 굵기 등) 에서의 제봉을 행하기 위한 침봉의 교체는, 침봉 (6) 및 천 누름체 (7) 가 각각의 상한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유지틀 (11) 을 횡방향 운동,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서, 바늘탈락구멍 (3a) 의 바로 위의 침봉 (6) 을 다른 침봉과 교체하는 것으로 행한다. 이 경우,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자 (37) 와 피동자 (16) 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으며, 또 도 1A 및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 (28) 와 받침부재 (47) 의 사이에도 간극 (G) 이 있기 때문에, 구동자 (37) 와 피동자 (16) 의 간섭이나, 결합부 (28) 와 받침부재 (47) 의 간섭이 생기는 일 없이, 상기 침봉의 교체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받침부재 (47) 용의 완충제 (48) 가, 반복하여 충격에 의한 피로, 그 외의 사정으로 탈락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는, 받침부재 (47) 에 있어서의 베이스재 (47a) 의 상면이 받침부재 (47) 의 상면으로 된다. 도 7 에 있어서 베이스재 (47a) 의 상면 (47b) 을 얇은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7 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재 (47a) 의 상면 (47b) 은, 침봉 (6) 및 캣치부재 (11a) 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침봉 (6) 또는 캣치부재 (11a) 의 어느 하나가 높은 쪽보다도 항상 밑쪽에 있으므로, 천 누름체 (7) 는 상기 받침부재 (47) 와 결합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침봉 (6) 의 위치가 캣치부재 (11a) 의 위치보다도 높은 구간에서는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 (24) 가 침봉 (6) 의 들어올림 부재 (14) 와 결합하여 침봉 (6) 과 함께 상하운동을 행한다. 캣치부재의 위치가 침봉 (6) 의 위치보다도 높은 구간에서는,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 부재 (24) 가 캣치부재 (11a) 에 받아들여져서, 베드 (3) 의 상면과 천 지지편 (29) 의 하단인 천지지부 (29a) 의 하면의 사이에 천 (65) 존치용의 공간이 생긴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9A 의 상태로부터 도 9B 의 상태로 이동한 경우, 보호부재 (27) 는 침봉 (6) 의 하강속도로 캣치부재 (11a) 에 맞닿지만, 캣치부재 (11a) 의 상측에는 캣치부재 (11a) 용의 완충제 (11b) 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충격음의 발생을 완화한다. 또 천지지부 (29a) 가 베드 (3) 에 맞닿는 일은 없으므로, 천 지지편 (29) 이나 가이드 부재 (22) 가 변형을 하거나, 천 (65) 을 손상시키는 일도 없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침봉 (6) 이 상승할 때에 있어서의 들어올림 부재 (14) 와 맞닿음 부재 (24) 의 결합을 보다 빠른 시점 (주축각도가, 예를 들면 250 ∼ 260° 정도의 작은 점) 에서 행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는 데에는, 구동기구 (49) 에 의한 받침부재 (47) 의 상승을 상기 실시예보다는 늦은 시점에서행하면 좋다. 또 천 지지편의 하한위치에서의 지지를, 상기 캣치부재 (11a) 대신에 받침부재 (47) 에 의해서 행해도 좋다. 그와 같이 하는 데에는, 구동기구 (49) 에 의한 받침부재 (47) 의 최하강위치를 상기 실시예보다도 약간 높은 위치에 설정하면 좋다.
다음에 도 10 및 도 11A, 11B 는 받침부재 (47e) 에서 완충제 (48e) 가 손상된 경우에서의 그 교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부재 (47e) 의 베이스재 (47ae) 에 대하여 완충제 (48e) 를 탈착하기 쉬운 구조로 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서, 부호 (70) 은 베이스재 (47ae) 의 선단에 구비한 빠짐방지편, 부호 (71) 은 완충제 (48e) 에 구비시킨 고정부재로,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재 (47ae) 에 정확히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재 (47ae) 의 치수 (W) 와 치수 (H) 는, 예를 들면 각각 6mm 와 3mm 이며, 상기 고정부재 (71) 에서 그들과 대응하는 부분의 내측 치수는, 예를 들면 각각 5.7mm 와 2.5mm 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서는, 베이스재 (47ae) 의 상면에 접착제를 바르고 그리고 거기에 완충제 (48e) 를 화살표 (72) 방향으로 밀어 덮어씌움으로써 부착한다. 그리고, 기능상 앞 도면의 것과 동일 또는 균등한 구성으로 설명이 중복된다고 생각되는 부분에는, 앞 도면과 동일한 부호에 알파벳의 e 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Claims (1)

  1. 천을 받치기 위한 베드 (3) 와,
    베드의 상방에 구비시킨 유지틀 (11) 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틀 (11) 에는,
    봉제용의 바늘 (15) 을 하단에 부설하고 있는 침봉 (6) 을 상하운동 가능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천으로부터 바늘을 빼낼 때에 천이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천 지지편 (29) 을 하단에 부착 설치하고 있는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하고, 또 하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베드 (3) 의 상면에 상기 천 지지편 (29) 의 하단이 접하기 이전에 잡기 위하여,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따른 위치에는 상면에 완충제 (48) 를 구비하고 있는 받침부재 (47) 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구비하고, 게다가,
    상기 받침부재 (47) 는,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와 동기시켜서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도록 상기 침봉 (6) 의 상하운동과 동기하여 작동하는 구동기구 (49) 에 연결시키고,
    추가로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운동함으로써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상승운동시키도록, 상기 받침부재 (47) 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28) 를 구비시키고,
    또한, 상기 침봉 (6) 에는 침봉의 상승에 의해서 천 지지편 유지체 (20) 를 들어 올리기 위한 들어올림 부재 (14) 를 부설하는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에는 상기 들어올림 부재 (14) 와 결합시키기 위한 맞닿음 부재 (24) 를 부설하고,
    상기 들어올림 부재 (14) 와 맞닿음 부재 (24) 의 결합을 통하여, 침봉 (6) 이 그의 상한위치까지 상승할 때에는,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결합부 (28) 가 상기 받침부재 (47) 로부터 멀어지도록 하고 있는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유지틀 (11) 에는, 받침부재 (47) 의 상면의 완충제 (48) 가 탈락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 (47) 가 하강하였을 때에,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의 하강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면에 완충제 (11b) 를 구비하고 있는 캣치부재 (11a) 를 구비시키는 한편,
    상기 천 지지편 유지체 (20) 에는 상기 캣치부재 (11a) 의 상면에 맞닿게 하기 위한 보호부재 (27) 를 구비시키고,
    이들 캣치부재 (11a) 와 보호부재 (27) 의 상하방향의 위치관계는, 보호부재 (27) 가 캣치부재 (11a) 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는, 베드 (3) 의 상면과 천 지지편 (29) 의 하단의 사이에 천 존치용의 간극이 생기는 위치관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KR1019960706587A 1994-07-20 1995-07-19 재봉틀 KR100325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13394 1994-07-20
JP94-191133 1994-07-20
PCT/JP1995/001443 WO1996002696A1 (fr) 1994-07-20 1995-07-19 Machine a coud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5795B1 true KR100325795B1 (ko) 2002-11-27

Family

ID=1626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587A KR100325795B1 (ko) 1994-07-20 1995-07-19 재봉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90614A (ko)
JP (1) JP2762170B2 (ko)
KR (1) KR100325795B1 (ko)
CN (1) CN1045325C (ko)
AU (1) AU2990895A (ko)
DE (1) DE19581636B4 (ko)
GB (1) GB2304119B (ko)
WO (1) WO19960026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169A1 (de) * 1999-04-21 2000-10-26 Zsk Stickmasch Gmbh Höheneinstellung eines Stoffdrückers
US6170414B1 (en) 1999-05-07 2001-01-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Quilting machine with adjustable presser pl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quilting machine
US6145456A (en) * 1999-05-07 2000-11-14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Quilting machine with adjustable presser plat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quilting machine
JP4488584B2 (ja) * 2000-04-28 2010-06-23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押え位置変更装置を備えたミシン
KR100623706B1 (ko) * 2004-06-18 2006-09-19 (주) 인브로 재봉기계
JP4623423B2 (ja) * 2005-03-24 2011-0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JP2007159619A (ja) * 2005-12-09 2007-06-2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KR101364551B1 (ko) * 2007-01-18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구조
KR20080082361A (ko) * 2007-03-08 2008-09-11 썬스타 특수정밀 주식회사 자수 미싱
KR101364556B1 (ko) * 2007-05-18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 미싱의 옷감 누름부재 구동 전환 구조
CN106012359A (zh) * 2016-07-24 2016-10-12 浙江越隆缝制设备有限公司 单凸轮三连杆的毛巾绣花机机头
GB201803199D0 (en) * 2018-02-27 2018-04-11 Michel Van De Wiele A tufting machine
CN212175205U (zh) * 2019-09-25 2020-12-18 浙江合和机电有限公司 一种独立压脚驱动机构及绣花机
CN112226918B (zh) * 2020-10-24 2022-05-03 深圳市雅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电子中压脚机构
CN113638143B (zh) * 2021-10-13 2021-12-14 南通宝威纺织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缝纫机底座
JP2024004098A (ja) * 2022-06-28 2024-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907A (en) * 1979-06-28 1981-10-06 Usm Corporation Presser-foot apparatus
US4531467A (en) * 1984-03-30 1985-07-30 Golia Jr Dominick Thread take-up arm mechanism for automatic color change embroidery machinery
JP2848968B2 (ja) * 1990-02-09 1999-01-2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JP2555874Y2 (ja) * 1991-02-19 1997-11-26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用布押え体の取付け構造
JPH05245278A (ja) * 1992-03-05 1993-09-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924504B2 (ja) * 1992-10-23 1999-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622530D0 (en) 1997-01-08
AU2990895A (en) 1996-02-16
CN1164877A (zh) 1997-11-12
DE19581636B4 (de) 2004-04-22
WO1996002696A1 (fr) 1996-02-01
DE19581636T1 (de) 1997-04-24
JP2762170B2 (ja) 1998-06-04
GB2304119A (en) 1997-03-12
GB2304119B (en) 1998-02-04
US5590614A (en) 1997-01-07
CN1045325C (zh) 199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795B1 (ko) 재봉틀
KR20070061426A (ko) 미싱
JP4623423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JPS58183191A (ja) ミシンの仮縫機構
JPH03289994A (ja) ミシン
US4452158A (en) Presser foot control for sewing machines
JP3608084B2 (ja) ミシン
US5076110A (en) Cam control mechanism of a carriage in a flat knitting machine
JP5132020B2 (ja) 糸通し装置を備えたミシン
CN108188725B (zh) 一种汽车烟灰盒自动装配机构
JP3578791B2 (ja) 鋼管切断装置
KR20200034558A (ko) 재봉기
JPH0788267A (ja) ミシン
JP3528252B2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H07194871A (ja) ミシン
JPH0984981A (ja) ミシン
JPH05245278A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EP3705613B1 (en) Flat knitting machine yarn feeder with variable yarn feeding positions
JP2007167406A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US3611963A (en) Presser bar suspension systems
JPH0390188A (ja) 布押え単独駆動装置
EP0046660A2 (en) Presser foot for sewing machine
JPS6024309Y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
JP4053287B2 (ja) プレス用リフタ装置
JPS63132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