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2273B1 -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2273B1
KR100322273B1 KR1019940025913A KR19940025913A KR100322273B1 KR 100322273 B1 KR100322273 B1 KR 100322273B1 KR 1019940025913 A KR1019940025913 A KR 1019940025913A KR 19940025913 A KR19940025913 A KR 19940025913A KR 100322273 B1 KR100322273 B1 KR 10032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lock
nodes
mast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295A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1994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273B1/ko
Publication of KR96001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1Change of the master or reference, e.g. take-over or failure of the mas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79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by determining clock distribution path in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망 동기 시스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교환기를 하나의 노드로 하는 망의 동기 구현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망을 구성하는 각 노드들의 경로 테이블을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며, 결정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를 이용하여 망에 접속된 각 노드들의 망 동기를 구현하며, 망 운용 중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될 시 새로 접속된 노드의 경로 테이블과 현재의 경로 테이블을 비교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다시 확인하며, 새로 접속된 노드가 마스터 노드의 경로 정보를 가질시 전체 노드의 망동기를 새로운 노드의 클럭 소스로 동기시킴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수개의 교환기들을 노드로 하는 교환망에서 망 동기를 구현함

Description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간의 망동기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다수개의 노드들로 구성되는 교환망의 망동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노드를 결정한 후 마스터 노드의 클럭에 나머지 슬레이브노드들의 클럭을 동기시켜 망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동기는 가장 신뢰성이 있는 동기 방식인 독립 동기 방식으로 구현한다. 독립 동기 방식은 시스템마다 독립적인 클럭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타 시스템의 영향에 무관한 반면 서로 안정된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10-9이상의 고안정도도의 클럭 소스가 필요한다. 하지만 국부발진기용 클럭을 사용하는 교환기에서는 안정도가 10-6-10-7정도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 주기로 클럭이 어긋난다. 따라서 망을 구성하고 있는 각 노드마다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클럭 관련 버퍼를 클리어해야만 한다.
상기 버퍼 클리어 주기는 버퍼의 크기와 클럭안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런 버퍼의 크기는 하기와 같이 구한다.
버퍼 크기=2*(2*클럭안정도*버퍼의 클리어 주기*데이타 전송 속도)
여기서 버퍼의 크기를 512 비트라 하고, 데이타 전송속도를 1024Kbps라 하면, 클럭안정도에 따라 하기와 같이 버퍼 클리어 주기를 설정해야 한다.
클럭안정도 버퍼 클리어 주기
10-62분
10-720분
10-83.4시간
10-934시간
상기와 같이 클럭안정도가 정밀하지 못하면 버퍼의 클리어 주기가 빨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버퍼 클리어를 수행할 때 마다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노드간의 송수신데이타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노드가 연결되는 교환망에서 하나의 클럭 소스를 사용하여 마스터-슬레이브의 종속동기를 구현하므로서 교환망의 전체 망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노드가 연결되는 교환망에서 경로 정보가 변경될 시 마다 노드 번호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로 전체 망의 동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망동기 장치는, 연결된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클럭을 복원하는 수단들과,연결된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들과, 상기 다중화신호를 수신하여 노드 우선순위를 분석하며, 자기 노드 보다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일 시 마스터 노드를 탐색하여 마스터 노드의 번호데이타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마스터 노드의 번호데이타를 래치하는 수단과, 상기 클럭복원수단들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수단들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의 번호데이타에 대응되는 복원클럭을 선택 출력하는 수단과,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자기 노드클럭 및 상기 클럭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우선순위를 갖는 클럭을 망동기클럭으로 결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동기 방법은, 연결된 노드들의 번호를 분석하여 자기 노드가 마스터 노드일 시 자기 노드의 클럭에 동기시키며, 연결된 링크 들을 통해 자기 노드의 클럭 정보를 메세지화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연결된 링크들로 부터 메세지가 수신되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수신 메세지가 새로운 노드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일 시 접속 노드의 번호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인가 검사하며, 마스터 노드 번호일 시 자기 노드의 클럭을 마스터 노드의 클럭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연결된 다른 노드들로 클럭 변경 정보를 송출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수신 메세지가 클럭 변경 정보일 시 수신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자기 노드의 클럭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연결된 다른 노들로 클럭 변경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부품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교환망의 노드 수 및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방법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노드(node)"라는 용어는 링크를 통해 교환망에 연결되는 교환기를 나타낸다. "마스터 노드(master node)"라는 용어는 자신의 클럭 소스로 모든 노드들의 클럭 소스로 제공하는 노드를 의미하며, "슬레이브 노드(slave noed)"는 상기 마스터 노드로 부터 제공되는 클럭 소스로 망동기를 구현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경로 테이블(routing table : RTB)"는 자기 노드와 다른 노드 들 간의 경로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로서 이를 이용하여 마스터 노드 및 슬레이브 노드를 결정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식으로 망동기를 구현하는 노드 들의 망동기 장치 구성도로서, 교환망의 각 노드 들은 링크(link)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경로가 형성된다.
클럭복원부116은 링크로 부터 수신되는 데이타로 클럭을 복원하여 출력한다. 상기 클럭복원부116은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 만큼 구비한다. 신호검출부117은 링크로 부터 수신되는 다중화신호를 검출한다. 데이타완충부118은 상기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다른 노드의 메세지 정보를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임동기검출부119는 수신되는 메세지의 프레임동기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검출부117, 데이타완충부118 및 프레임동기검출부119는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 만큼 구비한다.
제어부111은 상기 신호검출부117, 데이타완충부118 및 프레임동기검출부119로부터 메세지 및 프레임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망동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112는 본 발명에 따라 망동기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램113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타 들을 일시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11은 수신 메세지를 분석하여 경로 정보일 시 노드들의 번호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며, 이에 대응되는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클럭 선택 데이타 및 I/O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디코더114는 상기 제어부111로 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디코딩하며,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 출력에 대응되는 어드레스 정보를 출력할 시 래치 클럭을 발생한다. 래치115는 상기 제어부111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상기 디코더114가 래치 클럭을 발생시 트리거되어 상기 수신 데이타를 클럭 선택 데이타로 래치한다. 버퍼(tri-state buffer)120은 상기 클럭복원부116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을 수신하고 상기 래치115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 선택 데이타를 제어신호로 수신한다. 상기 버퍼120은 각 클럭복원부116으로 부터 출력되는 클럭 중에서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에 대응되는 클럭을 선택하여 마스터 클럭으로 출력한다.
국부발진부121은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소스이다. 분주부122는 상기 국부발진부121의 출력을 수신하며, 소정 분주하여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한다. 클럭순위결정부123은 상기 분주부122 및 버퍼120의 출력을 수신하며, 가장 우선 순위를 갖는 클럭을 선택하여 망동기 클럭으로 출력한다.
먼저 노드에 다른 노드와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노드로 운용되는 경우, 제어부111은 다른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는 클럭 선택 데이타를 상기 래치115로 출력한다. 이로인해 상기 래치115는 상기 버퍼120을 모두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클럭순위결정부123은 상기 분주부122를 출력하는 자기 노드의 클럭을선택 출력한다. 그러므로 독립적으로 노드를 운용하는 경우에는 자기 노드의 클럭을 사용하여 동기시키게 된다.
이때 임의 노드가 경로 정보에 대한 메세지를 발생하면, 신호검출부117은 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알린다. 즉, 임의 링크로 다중화신호가 발생되면, 해당하는 링크에 연결된 신호검출부117은 다중화신호의 수신을 확인하고 이를 제어부111로 통보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데이타완충부118을 통해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며, 프레임동기검출부119는 상기 다중화신호로 부터프레임동기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11은 경로 정보에 관련된 메세지를 수신하게 되면, 이전의 경로 정보와 수신된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확인한다. 여기서 마스터 노드는 노드 번호가 가장 작은 번호를 갖는 노드를 마스터 노드로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확인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데이타를 클럭 선택데이타로 출력한다. 그러면 래치115는 버퍼120 중 해당하는 노드의 클럭복원부116과 연결된 버퍼가 온시킨다. 따라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복원한 클럭복원부116의 출력이 클럭순위결정부123으로 인가되며, 클럭순위결정부123은 마스터 노드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교환망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노드 간의 망을 동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서,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 수신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새로운 노드 접속 메세지일 시 경로 정보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노드의 경로 정보 수신시 노드 번호를 분석하여 수신 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인가를 분석하며 아닐시 수신된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자기 노드의 경로테이블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분석과정에서 수신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일 시 마스터 노드의 클럭으로 자기 노드의 클럭을 동기시키고, 수신된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자기 노드의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변경 후 수신 링크 이외에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가 검사하며, 접속된 링크가 있을시 해당 링크로 변경된 경로 정보를 송출하고 종료하며,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과정에서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가 아닐시 현재 자기 노드에 접속된 노드가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 검사과정에서 접속된 노드가 있을시 경로 정보 관련 메세지인가 검사하여 아니면 종료하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마스터 노드 분석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교환망이 격자형의 9개 노드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한 예시 도면이다. 여기서 N1-N9는 노드 번호이고, L1-L12는 노드 간의 접속 링크 번호이다.
먼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망 내에서 마스터-슬레이브 노드를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으로 교환망을 형성하는 각 노드는 일련의 독특한 노드 번호를 갖게된다. 이런 교환망에서 각 노드는 자기 노드 번호와 비교하여 교환망 내에서 가장 작은 노드 번호를 갖는 노드의 클럭을 클럭 소스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노드N2-노드N9는 노드N1의 클럭 소스를 이용하여 망동기를 구현하게 된다. 즉, 노드N1이 마스터 노드가 되고, 노드N2-노드N9가 슬레이브 노드가 되어 종속 동기의 망 운용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각 노드들이 마스터 노드가 교환망 내의 어느 곳에 위치되어 있는지, 그리고 마스터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링크 중 어느 링크가 가장 최단 경로를 제공하는지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노드와 노드 간에는 특정 형태의 메세지를 주고 받게 되는데, 제3도와 같은 교환망이 형성된 경우 메세지의 형태는 하기 표1과 같다.
- 표1 -
메세지 헤드(message head)
메세지 길이(message length)
링크 번호(link number)
메세지 식별정보(message ID)
목적지 노드(Destination Node)
발신 노드(Source Node)
1번 노드 까지의 hop 수
2번 노드 까지의 hop 수
3번 노드 까지의 hop 수
4번 노드 까지의 hop 수
5번 노드 까지의 hop 수
6번 노드 까지의 hop 수
7번 노드 까지의 hop 수
8번 노드 까지의 hop 수
9번 노드 까지의 hop 수
여기서 메세지 헤드는 메세지의 시작을 알리는 데이타로서, "7E" 데이타라고 가정한다. 메세지 길이는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메세지를 이루는 바이트 데이타의 총 수를 의미한다. 링크 번호는 목적지 노드로 가기 위한 링크를 나타낸다. 메세지 식별정보는 현재의 메세지가 무얼하려고 하는지를 정의하는 데이타로서, 해당 메세지가 경로 정보에 관련된 경우에는 경로 정보임을 나타내는 ID가 실린다. 그리고 목적지노드는 메세지를 수신할 노드번호이고, 발신노드는 메세지를 발생한 노드번호가 실린다. 나머지는 노드 간의 경로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hop 수는 노드와 노드 간의 경유할 링크 수를 의미한다.
또한 각 노드 들은 자기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연결하기 위한 경로 테이블(routing table)을 구비한다. 하기 표2는 제3도와 같은 교환망에서 노드N2의 경로 테이블을 나타낸다.
- 표2 -
SN1 SN2 SN3 SN4
DN1 L1 L4 L2 -
DN2 - - - -
DN3 L2 L4 L1 -
DN4 L1 L4 L2 -
DN5 L4 L1 L2 -
DN6 L2 L4 L1 -
DN7 L1 L4 L2 -
DN8 L4 L1 L2 -
DN9 L2 L4 L1 -
상기 표2는 제3도와 같이 9개 노드가 격자형 구조를 갖는 망에서 노드N2의 경로 테이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각 노드들은 (망내의 노드 수 * 최대 접속 링크 수) 만큼의 경로 테이블 기억 장소를 갖게된다. 상기 표2에서 DN은 목적지 노드의 번호(Destination Node No)이고, SN은 일련 번호(Serial No)이다. 상기 표2는 목적 노드 까지 도달하는 홉 수가 동일한 경우 링크 번호가 작은 것을 우선으로 한 것이다.
상기 표2와 같은 경로 테이블을 가지면, 상기 표1과 같은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노드들이 망동기를 이루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임의 노드가 링크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1은 220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34단계에서 래치115를 통해 다른 노드들의 클럭 통로를 차단한다. 이런 경우 클럭순위결정부123은 분주부122를 출력하는 자기 노드의 클럭을 선택한다. 따라서 제어부111은 현재 자기 노드에 연결된 다른 노드가 없는 상태이므로 망동기를 이루지 않고 자신의 클럭으로 독립 동기를 한다.
새로운 노드가 교환망에 접속되는 경우, 각 노드는 인접 노드로 부터 경로 테이블을 수신하는 경우와 직접 접속되는 노드로 부터 경로 테이블을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220단계-232단계를 통해 수행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212단계-219단계 및 224단계-232단계를 통해 수행된다.
먼저 인접 노드를 통해 경로 테이블을 수신하는 경우의 동작을 살펴본다. 접속된 노드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클럭을 결정한다. 즉, 다중화신호가 검출되면, 제어부111은 상기 표1과 같은 메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 메세지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메세지를 처리한다. 이때 수신메세지가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시도하는 메세지가 아닌 경우에는 220단계에서 현재 자신의 노드에 다른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다른 노드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면 이를 인지하고, 222단계에서 수신된 메세지가 경로 테이블에 관련된 메세지인가를 검사한다. 이는 상기 표1과 같은 메세지에서 메세지 식별정보를 확인하면 된다. 여기서 경로 테이블에 관련된 메세지가 아닌 경우에는 망동기 동작을 종료하고 해당하는 메세지를 처리하는 루틴을 점프한다.
그러나 상기 222단계에서 수신된 메세지가 경로 테이블에 관련된 메세지인 경우에는 224단계에서 소스 노드로 부터 수신된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가 될 수 있는가를 검사한다. 즉, 상기 메세지를 발신할 노드가 더 현재의 마스터 노드보다 더 작은 노드 번호를 갖는가를 검사한다. 이때의 검사 방법은 현재 자기 노드가 마스터 노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기 노드의 번호와 수신 메세지의 발신 노드의 번호를 비교하며, 현재 자기 노드가 슬레이브노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마스터 노드 번호와 수신 메세지의 발신 노드와 번호를 비교한다. 그리고 노드 번호가 작은 노드를 마스터로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226단계에서 수신 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226 단계에서 마스터 노드를 변경한다. 이런 경우 제어부1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의 버퍼120을 제어하여 변경된 마스터 노드이 클럭을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 노드를 변경한 후, 또는 상기 224단계에서 마스터 노드의 번호보다 발신 노드의 번호가 큰 경우, 제어부111은 228단계에서 상기 표2와 자기 노드의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또 다른 노드들이 자기 노드에 접속되어 있는가를 검사하며,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노드들과 연결된 링크들로 상기 경로 테이블 정보를 전송하고 망동기 동작을 종료하며, 그렇지 않으면 경로 테이블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종료한다.
두번째로 자기 노드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되는 경우의 망동기 과정을 살펴본다. 자기 노드에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위한 메세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1은 212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14단계에서 상대 노드로 문의 메세지("who are you")를 발생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1은 216단계에서 상대 노드로 부터 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한다. 상기 대기 상태에서 메세지가 수신되면, 217단계에서 수신된 메세지를 분석하는데, 상대 노드로 부터 수신된 메세지가 문의 메세지("who are you")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18단계에서 응답메세지("I am a ***")를 송출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상대 노드로 부터 수신된 메세지가 응답메세지("I am a ***")이면, 219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상기 224단계로 진행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자기 노드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마스터 노드와 새로 접속된 노드를 비교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며, 변경된 경로 테이블 정보를 접속된 다른 노드들로 전송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망동기 과정을 노드N1-노드N3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각 노드들은 접속되기 이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234단계에서와 같이 모두 독립 동기로 운용중인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독립 동기를 이루는 상태에서 노드N1과 노드N2가 접속되는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노드N1 및 노드N2는 212단계 및 219단계를 수행하여 각각 상대 노드로 문의 메세지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문의 메세지를 받은 노드는 다시 응답 메시지를 발생하여 발신 노드로 출력한다. 그리고 224단계-232단계를 수행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동시에 경로 테이블 정보를 변경한다. 이 경우 노드N1의 경로 테이블은 하기 표3과 같이 작성되며, 노드N2의 경로 테이블은 표4와 같이 작성된다.
표3 표4
SN1 SN2 SN1 SN2
DN1 - - DN1 L1 -
DN2 L1 - DN2 - -
상기와 같이 경로 테이블이 작성되는 경우, 노드N1은 마스터 노드로서 독립동기로 운영되며, 노드N2는 접속 노드 번호가 자신의 노드 번호 보다 작기 때문에 링크L1을 통해서 노드N1의 클럭 소스를 수신하여 종속 동기로 운영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노드N2에 노드N3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두 노드는 212단계-219단계를 수행하여 노드간에 문의 메세지 및 응답 메세지를 송수신하고, 224단계 및 232단계를 수행하여 경로 테이블을 변경한다. 이 경우 상기 노드N2의 경로 테이블은 하기 표5와 같이 작성되고, 노드N3의 경로 테이블은 하기 표6과 같이 작성된다.
표5 표6
SN1 SN2 SN1 SN2
DN1 L1 - DN1 - -
DN2 - - DN2 L2 -
DN3 L2 - DN3 - -
위와 같은 노드N2는 노드N3의 마스터 노드가 된다. 그러나 상기 노드N2에는 노드N1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변경된 경로 테이블 정보를 노드N1에 알려줘야 한다. 따라서 상기 노드N2가 230단계 및 232단계를 수행하여 노드N3의 접속에 의해 변경된 경로 테이블 정보를 노드N1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노드N3가 노드N2에 접속 된 후, 노드N2가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고 이를 노드N1에 통보하는 경우의 메세지 형태는 하기 표7과 같다.
표7
7E : 메세지 헤드
7 : 메세지 길이
L1 : 링크번호
RTB정보ID : 메세지 ID
1 : 목적지 노드
2 : 발신 노드
1 : 1번 노드까지의 hop수
0 : 2번 노드까지의 hop수
1 : 3번 노드까지의 hop수
그러면 상기 노드N1은 220단계-230단계를 통해 노드N3의 접속을 감지하며, 이런 동작들을 완료하면 상기 노드N1의 경로 테이블은 하기 표8과 같이 작성되며, 상기 노드N2의 경로 테이블은 하기 표9과 같이 작성되고, 상기 노드N3의 경로 테이블 정보는 하기 표10과 같이 작성된다.
표8 표9 표10
SN1 SN2 SN1 SN2 SN1 SN2
DN1 - - DN1 L1 - DN1 L2 -
DN2 L1 - DN2 - - DN2 L2 -
DN3 L1 - DN3 L2 - DN3 - -
상기와 같이 노드N1-노드N3으로 이루어지는 망동기는 노드N1이 마스터 노드가 되며, 노드N2는 노드N1을 마스터 노드로 하는 슬레이브 노드가 되고, 노드N3은 노드N2를 마스터 노드로 하여 동작하다 최종 경로 테이블 정보를 수신한 후 노드N1을 마스터 노드로 하는 슬레이브 노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노드로 이루어지는 교환망에서 특정 노드를 마스터 노드로 하여 망동기를 이뤄 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임의 노드에 새로운 노드가 접속되는 경우에도 노드 들의 경로 테이블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를 결정한 후 결정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 소스로 전체 망의 동기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교환망 각 노드의 망동기 장치 구성도
제2도는 교환망에서 각 노드들이 수행하는 망동기 흐름도
제3도는 교환망의 노드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제어부 112: 롬
113: 램 114: 디코더
115: 래치 116: 클럭복원부
117: 신호검출부 118: 데이타완충부
119: 프레임동기검출부 120: 버퍼
121: 국부발진부 122: 분주부
123: 클럭순위결정부

Claims (8)

  1. 교환망의 망동기 장치에 있어서,
    노드들과 연결되며,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클럭을 복원하는 수단들과,
    노드들과 연결되며,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들과,
    상기 다중화신호를 수신하여 노드 우선순위를 분석하며, 자기 노드 보다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일 시 마스터 노드를 탐색하여 마스터 노드의 번호를 클럭 선택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클럭복원수단들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를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에 대응되는 복원클럭을 선택 출력하는 수단과,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자기 노드클럭 및 상기 클럭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우선순위를 갖는 클럭을 망동기클럭으로 결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다중화신호 수신시 가장 작은 번호데이타를 갖는 노드번호를 마스터 노드의 클럭 선택 데이타로 출력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장치.
  3. N개의 노드로 구성되는 교환망의 망동기 장치에 있어서,
    N개의 노드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타클럭을 복원하는 수단들과,
    N개의 노드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노드들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화신호를 검출하는 수단들과,
    상기 신호검출수단들로 부터 출력되는 다중화신호로 부터 프레임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프레임 동기신호 수신시 다중화신호를 수신하여 노드들의 번호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자기 노드의 번호 보다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들이 있을 시 마스터 노드를 탐색하여 마스터 노드의 번호를 클럭 선택 데이타로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클럭복원수단들에 각각 대응되는 스위치들을 구비하며, 상기 클럭 선택 데이타를 제어신호로 수신하여 상기 마스터 노드에 대응되는 복원클럭을 선택 출력하는 수단과,
    자기 노드의 클럭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자기 노드클럭 및 상기 클럭선택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며, 우선순위를 갖는 출력을 자기 노드의 클럭으로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변경된 클럭 정보를 자기 노드와 연결된 링크를 통해 출력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다중화신호 수신시 가장 작은 번호데이타를 갖는 노드번호를 마스터 노드의 클럭 선택 데이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장치.
  5.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의 망동기 방법에 있어서,
    연결된 노드들의 번호를 분석하여 자기 노드가 마스터 노드일 시 자기 노드의 클럭에 동기시키며, 연결된 링크 들을 통해 자기 노드의 클럭 정보를 메세지화하여 송출하는 과정과,
    연결된 링크들로 부터 메세지가 수신되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수신 메세지가 새로운 노드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일 시 접속 노드의 번호를 분석하여 마스터 노드인가 검사하며, 마스터 노드 번호일 시 자기 노드의 클럭을 마스터 노드의 클럭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연결된 다른 노드들로 클럭 변경 정보를 송출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전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과,
    수신 메세지가 클럭 변경 정보일 시 수신된 마스터 노드의 클럭을 자기 노드의 클럭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연결된 다른 노들로 클럭 변경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들이 노드 번호가 가장 작은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방법.
  7.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노드들로 이루어진 교환망의 망동기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 수신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새로운 노드 접속 메세지일 시 경로 정보의 수신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새로운 노드의 경로 정보 수신시 노드 번호를 분석하여 수신 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인가를 분석하며 아닐시 수신된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자기 노드의 경로테이블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터 노드 분석과정에서 수신메세지의 발신 노드가 마스터 노드일 시 마스터 노드의 클럭으로 자기 노드의 클럭을 동기시키고, 수신된 경로 정보를 참조하여 자기 노드의 경로 테이블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경로 테이블 변경 후 수신 링크 이외에 또 다른 노드와 접속된 링크가 있는가 검사하며, 접속된 링크가 있을시 해당 링크로 변경된 경로 정보를 송출하고 종료하며, 그렇지 않으면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메세지 수신과정에서 새로운 노드의 접속을 알리는 메세지가 아닐시 현재 자기 노드에 접속된 노드가 있는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 검사과정에서 접속된 노드가 있을시 경로 정보 관련 메세지인가 검사하여 아니면 종료하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마스터 노드 분석과정으로 진행하는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마스터 노드를 결정하는 과정들이 노드 번호가 가장 작은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망의 마스터-슬레이브 간의 망동기 방법.
KR1019940025913A 1994-10-10 1994-10-10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KR10032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913A KR100322273B1 (ko) 1994-10-10 1994-10-10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913A KR100322273B1 (ko) 1994-10-10 1994-10-10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295A KR960016295A (ko) 1996-05-22
KR100322273B1 true KR100322273B1 (ko) 2002-06-20

Family

ID=3746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913A KR100322273B1 (ko) 1994-10-10 1994-10-10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289B1 (ko) * 2000-07-25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이탈시 사설 간이 네트워크 운영 방법
KR100386115B1 (ko) * 2001-02-16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 교환시스템과 타 교환시스템간 범용 인터페이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295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0493A2 (en) Synchronization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667997A1 (en) A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a tele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essage-based synchronization
US6765863B1 (en) Network system
JPH10136000A (ja) シンクロナイゼーションメッセージによるアクティブリファレンスの切替え装置
US57062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wo messaging systems having differing synchronizations one of which is message-based
EP0748547A1 (en) Hierarchical synchronization method
US81261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0667996B1 (en) Network arrangement
KR100322273B1 (ko) 교환망의마스터-슬레이브노드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EP0746919A1 (en) Network arrangement
US6560245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FI104593B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KR100378401B1 (ko) 교환망에서표준클럭에의해마스터-스레이브간의망동기장치및방법
JPH07107105A (ja) 二重化ループlanの従属同期制御方法
KR0153378B1 (ko) 교환망의 망 동기에서 마스터 노드로의 경로 변경 방법
JP3664580B2 (ja) クロック切替装置
FI91690C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sekä sanomapohjaista synkronointia käyttävä tietoliikennejärjestelmä
JPH11122278A (ja) 網同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送受信装置
FI91691C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JP2010219850A (ja) 伝送通信装置の同期タイミングソース切り替え方法
JP4248647B2 (ja) ノード装置
JP2004194067A (ja) 同期網確立方法及びその装置
JP3406854B2 (ja) ノード装置
JP2864703B2 (ja) 光伝送路の二重化方式
JPH10336224A (ja) クロッ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