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1171B1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1171B1
KR100311171B1 KR1019970067217A KR19970067217A KR100311171B1 KR 100311171 B1 KR100311171 B1 KR 100311171B1 KR 1019970067217 A KR1019970067217 A KR 1019970067217A KR 19970067217 A KR19970067217 A KR 19970067217A KR 100311171 B1 KR100311171 B1 KR 10031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ousing
control valve
cha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521A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와구치
겐 스이토우
마사노리 소노베
요시히로 마키노
Original Assignee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71730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111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카와 타다시,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이시카와 타다시
Publication of KR1998007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1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95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F04B27/1804Controlled by crankcase pressure
    • F04B2027/1822Valve-controlled fluid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제어 밸브 및 그 장착부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보관 및 수송이 용이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11,12)의 하면에는 복수의 돌출부(85,87)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 형성한다. 이들 돌출부(85,87)의 하단면을 제어 밸브(49)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Description

압축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 공조(空調)장치에 사용되는 가변 용량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압축기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피스톤식의 가변 용량 압축기가 공지되어 있다.
즉, 압축기 전체의 하우징의 내부에 크랭크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구동 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보어내에는 피스톤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압축실이 구획되고 있다. 상기 크랭크실내에서 상기 구동 샤프트에는 예를 들어 사판으로 되는 캠플레이트가 일체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요동가능하게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피스톤이 왕복운동되며, 이것에 의해 압축실의 용적이 증감되어 압축성 유체, 예를 들어 냉매 가스가 압축된다.
여기서, 배출 영역과 상기 크랭크실의 사이에는 연통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통로의 도중에는 제어 밸브를 이루는 용량 제어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 제어 밸브의 개방도(開度) 조정에 의거해서 크랭크실의 압력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의 압력과 압축실내의 압력의 상기 피스톤을 통한 차이가 변경된다. 그리고 이 차이에 따라서, 사판의 경사각이 변경되어 배출 용량이 제어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 구성에서는, 압축기내의 각 구성 요소, 또는 이 압축기가 탑재되는 차량 엔진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상기 용량 제어 밸브를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의 하단이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압축기를 부주의하게 작업대 등의 평면상에 설치하면, 용량 제어 밸브의 하단이 상기 평면에 접촉하는 수가 있다. 그리고, 용량 제어 밸브에 압축기 자체의 중량이 작용하여 용량 제어 밸브에 비틀림이 생겨서 용량 제어 밸브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용량 제어 밸브와 하우징의 부착부에 이완이 생겨서 하우징내의 압력누설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조립 작업이 종료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용에 있어서, 용량 제어 밸브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전용 유지구 또는 운반 케이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서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한 제어 밸브 및 그 부착부에 결함이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보관 및 수송이 용이한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은, 하우징내에 용적을 변화시키므로써 압축성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실을 구획하는 동시에, 동 하우징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설치하고, 이 제어 밸브를 그 일부가 하우징에 대해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부착한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수단은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이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압축기를 사용 장소에 고정할 때의 고정부를 겸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2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수단은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이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과 설치 평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이루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3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제어압실 및 크랭크실을 형성하며, 이 크랭크실을 가로지르듯이 구동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크랭크실내에서 그 구동 샤프트에는 회전 지지체를 일체 회전가능하게 고정부착하며, 이 회전지지체에는 힌지 기구를 거쳐서 캠 플레이트를 경사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어압실내의 압력을 상기 제어 밸브의 개방도 제어에 의해 배출 용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의 전단면에 접합되는 전방 하우징과, 이 실린더 블록의 후단면에 접합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방 하우징에 배치하고 나머지 돌출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후방 하우징에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접촉 방지 수단에 의해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해도, 용량 제어 밸브에 압축기 자체의 중량이 작용하지 않는다. 게다가 조립 작업이 종료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송을, 전용 유지구 또는 운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하우징의 하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어 밸브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압축기를 사용 장소에 고정할 때의 고정부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대가 억제된다.
청구범위 제 3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과 설치 평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를 압축기의 고정부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된다.
청구범위 제 4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상기 돌출부가 예를 들어 하우징을 주조할 때 동시에 주입(鑄入) 성형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부품 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제어압실의 압력을 제어하여 배출용량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밸브, 즉 용량 제어 밸브는 대형화하기 쉽고, 이러한 용량 제어 밸브에서는 그 하단이 하우징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기 쉽다. 또, 용량제어 밸브의 하단에 하중이 작용해서 용량 제어 밸브에 비틀림이 생기면, 개방도 제어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어, 배출 용량의 변경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된 접촉 방지 수단을 채용하므로써, 압측기를 평면상에 설치해도 제어 밸브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억제되고, 배출 용량을 원활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6 항에 기재된 압축기에서는, 돌출부 사이의 거리, 즉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서, 압축기가 평면상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압축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압축기를 후방 하우징 쪽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압축기의 최대 경사각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압축기의 최소 경사각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실린더 블록
11b : 압축실
12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방 하우징
13 :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후방 하우징
15 : (제어압실을 겸하는) 크랭크실
16 : 구동 샤프트
21 : 회전 지지체
22 :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
23 : (힌지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핀
24 : (힌지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 아암
25 : (힌지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구멍
49 : (제어 밸브로서의) 용량 제어 밸브
85 : (접촉 방지 수단과 고정부를 겸하는 돌출부로서의) 고정 다리부
87 : (접촉 방지 수단을 이루는 돌출부로서의) 지지 돌기
90 : 평면
이하에 본 발명을 클러치레스(clutchless)형 가변 용량 압축기(이하, 간단히「압축기」라 한다)로 구체화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 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하듯이 실린더 블록(11)의 전단에는 전방 하우징(12)이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후단에는 후방 하우징(13)이 밸브 플레이트(14)를 거쳐서 접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실린더 블록(11), 전방 하우징(12), 후방 하우징(13)에 의해 압축기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주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 또는 이하에서 말하는 전,후는 압축기의 후술하는 풀리(17)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한다.
제어압실을 겸하는 크랭크실(15)은 전방 하우징(12)과 실린더 블록(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는, 크랭크실(15)을 가로지르듯이 상기 전방 하우징(12)과 실린더 블록(11)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가설(架設) 지지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전단부는 크랭크실(15)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있으며, 그 돌출단부에는 풀리(17)가 고정부착되어 있다. 풀리(17)는 밸트(18)를 거쳐서 외부 구동원을 이루는 차량 엔진(도시생략)에 항상 작동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의 가변 용량 압축기는 클러치레스 타입으로 되어 있다.
또, 풀리(17)는 앵귤러 베어링(19)을 거쳐서 전방 하우징(12)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17)에 작용하는 축방향 하중 및 레이디얼방향 하중이 앵귤러 베어링(19)을 거쳐서 전방 하우징(12)에서 수용되고 있다.
구동 샤프트(16)의 전단부와 전방 하우징(12) 사이에는 립시일(lipseal)(20)이 개재되어 있다. 립시일(20)은 크랭크실(15)내의 압력 누설을 방지한다.
구동 샤프트(16)에는 회전 지지체(21)가 고정부착되고 있으며, 캠 플레이트로서의 사판(22)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고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판(22)에는, 선단부가 구(球)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가이드 핀(2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지체(21)에는 지지 아암(24)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아암(24)에는 한쌍의 가이드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핀(23)은 가이드 구멍(2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있다. 즉, 이들 가이드핀(23), 지지 아암(24), 및 가이드 구멍(25)에 의해 힌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24)과 한쌍의 가이드핀(23)의 연계에 의해, 사판(22)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구동 샤프트(16)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사판(22)의 요동은 가이드 구멍(25)과 가이드핀(23)의 슬라이드 가이드 관계와, 구동 샤프트(16)의 슬라이드 지지 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사판(22)의 반경 중심부가 실린더 블록(11)측으로 이동하면, 사판(22)의 경사각이 감소한다. 또, 회전 지지체(21)의 후면에는 사판(22)의 최대 경사각을 규제하기 위한 경사각 규제 돌출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각 감소 스프링(26)은 상기 회전 지지체(21)와 사판(2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경사각 감소 스프링(26)에 의해, 사판(22)이 실린더 블록(11)측을 향해서 경사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중심부에는 수용 구멍(27)이 구동 샤프트(16)의 축선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며, 그 내주면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거의 동일 직경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 구멍(27)내에는 원통 형상의 차단체(28)가 실린더 블록(11)의 후단측으로부터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넣어져 수용되어 있다. 차단체(28)는 대경부(28a)와 소경부(28b)로 이루어져 있다.
차단체(28)의 통내에는 구동 샤프트(16)의 후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대경부(28a)의 내주면에는 레이디얼 베어링(30)이 끼워넣어져 지지되어 있다.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30)은, 대경부(28a)의 내주면에 부착된 서클립(31)에 의해서, 차단체(28)의 통내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되어 있다. 또, 레이디얼 베어링(30)은 구동샤프트(16)의 후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바깥에서 끼워져 있다. 그리고, 구동샤프트(16)는 레이디얼 베어링(30) 및 차단체(28)를 거쳐서 수용 구멍(27)의 주위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용 구멍(27)의 후단 내주면에는 환상홈(27a)이 형성되며 이 환상홈(27a)에는 서클립(27b)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29)은 차단체(28)의 대경부(28a) 및 소경부(28b) 사이의 단차와 서클립(27b)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29)의 탄성계수는 상기 경사각 감소 스프링(26)의 탄성계수보다 작아지게 설정되어 있고, 양 스프링(26,29)의 가압력의 합력은 압축기의 후방 방향으로의 힘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스프링(26,29)의 가압력의 합력이 사판(22), 후술하는 스러스트 베어링(34), 및 차단체(28)에 작용하고 있다.
후방 하우징(13)의 중심부에는 흡입 통로(3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32)는, 그 전방측 부분이 차단체(28)의 이동경로가 되는 구동 샤프트(16)의 연장선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흡입 통로(32)는 수용 구멍(27)의 후단측으로 개구되고 있으며, 수용 구멍(27)측의 흡입 통로(32)의 개구 주위에는 위치결정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면(33)은 밸브 플레이트(14)상에 있다. 차단체(28)의 소경부(28b)의 선단면(先端面)은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소경부(28b)의 선단면이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하므로써, 차단체(28)의 후단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사판(22)과 차단체(28) 사이의 구동 샤프트(16)상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4)이 구동 샤프트(16)상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판(22)의 회전은 스러스트 베어링(34)의 존재에 의해서 차단체(28)로의 전달이 방지된다.
실린더 블록(11)에 관통 설치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11a)내에는 단두형의 피스톤(35)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1la)의 내벽, 피스톤(35), 및 밸브 플레이트(14)에 의해 압축실(11b)이 구획된다.
상기 사판(22)의 회전 운동은 한쌍의 슈(36)를 거쳐서 각 피스톤(35)의 전후왕복 요동으로 변환되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피스톤(35)이 실린더 보어(1la)내에서 전후 이동되어서 압축실(11b)의 용적이 증감된다.
후방 하우징(13)내에는 흡입실(37) 및 배출실(38)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4)상에는 각 실린더 보어(11a)에 대응해서 흡입 포트(39) 및 배출포트(40)가 형성되며, 이들 흡입 포트(39) 및 배출 포트(40)와 대응하도록 흡입 밸브(41)와 배출 밸브(42)가 형성되고 있다. 흡입실(37)내의 압축성 유체로서의 냉매가스는, 피스톤(35)의 왕복 동작에 의해, 흡입 포트(39)로부터 흡입 밸브(41)를 가압 후퇴시켜 실린더 보어(11a)내의 압축실(11b)로 유입한다. 압축실(11b)내로 유입한 냉매가스는, 피스톤(35)의 왕복 동작에 의해서 소정의 압력에 이르기까지 압축된 후, 배출 포트(40)로부터 배출 밸브(42)를 가압후퇴시키고 배출실(38)로 배출된다. 배출밸브(42)는 리테이녀(43)에 접촉하여 개방도가 규제된다.
회전 지지체(21)와 전방 하우징(12)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4)이 개재되어 있다. 스러스트 베어링(44)은 압축실(11b)에서 피스톤(35), 슈(36), 사판(22), 및 가이드핀(23)을 거쳐서 회전 지지체(21)에 작용하는 압축 반력을 수용한다.
흡입실(37)은 통구(通口)(45)를 거쳐서 수용 구멍(27)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차단체(28)가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할 때 흡입 통로(32)의 전단부가 폐쇄되고 통구(45)는 흡입 통로(32)에서 차단된다.
구동 샤프트(16)내에는 축심 통로(46)가 형성되어 있다. 축심 통로(46)의 입구(46a)는 립시일(20) 부근에서 크랭크실(15)에 개구하고 있으며, 축심 통로(46)의 출구(46b)는 차단체(28)의 통내에 개구하고 있다. 차단체(28)의 주위면에는 방압(放庄) 통구(47)가 관통 설치되어 있다. 방압 통구(47)는 차단체(28)의 통내와 수용 구멍(27)을 연통하고 있다.
상기 배출실(38)과 크랭크실(15)은 급기 통로(48)로 접속되어 있다. 급기통로(48)의 도중에는 제어 밸브로서의 용량 제어 밸브(49)가 설치되고 있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하듯이, 상기 용량 제어 밸브(49)는 선단부가 후방 하우징(13)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량 제어 밸브(49)의 개방도 조정에 의해서 급기 통로(48)의 통로 단면적이 조정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흡입 통로(32)와 용량 제어 밸브(49) 사이에는 검압(枝庄) 통로(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검압 통로(50)를 거쳐서 용량 제어 밸브(49)내에 흡입 압력(Ps)이 인도된다.
흡입실(37)로 냉매가스를 도입할 때의 입구가 되는 흡입 통로(32)와 배출실(38)로부터 냉매가스를 배출하는 배출 통로(51)는 외부 냉매 회로(52)에서 접속되어 있다. 외부 냉매 회로(52)중에는 응축기(53), 팽창 밸브(54), 및 증발기(55)가 개재되어 있다. 팽창 밸브(54)는 온도식 자동 팽창 밸브로 이루어지며, 증발기(55)의 출구측 가스 온도의 변동에 따라서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증발기(55)의 근처에는 온도 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56)는 증발기(55)에서의 온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 온도 정보가 제어 컴퓨터(57)에 보내진다. 또, 제어 컴퓨터(57)에는 차량의 차실 내의 온도를 지정하기 위한 실온(室溫) 설정기(58), 실온 센서(59),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0), 및 엔진 회전수 센서(61) 등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57)는, 예를 들어 실온 설정기(58)에 의해 미리 지정된 실온, 온도 센서(56)에서 얻어지는 검출 온도, 실온 센서(59)에서 얻어지는 검출 온도,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6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 및 엔진 회전수 센서(61)에서 얻어지는 엔진 회전수 등의 외부 신호에 의거해서 입력 전류값을 구동 회로(62)에 지령한다. 구동 회로(62)는 지령된 입력 전류값을 후술하는 용량 제어 밸브(49)의 솔레노이드부(63)에 대해서 출력한다. 기타의 외부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실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있으며, 차량의 환경에 따라서 입력 전류값이 결정된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하듯이, 상기 용량 제어 밸브(49)는 솔레노이드부(63)와 밸브 하우징(64)이 중앙 부근에서 접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부(63)와 밸브 하우징(64) 사이에는 밸브실(65)이 구획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65)내에 밸브체(66)가 수용되어 있다. 밸브실(65)에는 밸브체(66)와 대향하게 밸브 구멍(67)이 개구되어 있다. 이 밸브 구멍(67)은 밸브 하우징(64)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밸브체(66)와 밸브실(65)의 내벽면 사이에는 강제 개방 스프링(68)이 장착되어, 밸브체(66)를 밸브 구멍(67)의 개방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 이 밸브실(65)은 상기 급기 통로(48)를 거쳐서 후방 하우징(13)내의 배출실(38)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64)의 선단부에는 감압실(69)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이 감압실(69)은 상기 검압 통로(50)를 거쳐서 후방 하우징(13)의 흡입 통로(32)에 연통되어 있다. 감압실(69)의 내부에는 벨로우즈(70)가 수용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64)의 감압실(69)과 상기 밸브실(65) 사이에는 상기 밸브 구멍(67)과 연속하는 감압 로드 가이드(71)가 형성되어 있다. 감압 로드(72)에 의해 상기 밸브체(66)와 상기 벨로우즈(70)가 작동 연결되어 있다. 또, 감압 로드(72)의 밸브체(66)와 접합하는 측의 부분은 밸브 구멍(67)내의 냉매가스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소경으로 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64)에는, 밸브실(65)과 감압실(69) 사이에서, 상기 밸브 구멍(67)과 직교하게 포트(73)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73)는 급기 통로(48)를 거쳐서 크랭크실(15)에 연통되어 있다. 즉, 밸브실(65), 밸브 구멍(67), 및 포트(73)는 상기 급기 통로(48)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부(63)의 수용실(74)에는 개략 유개원통상(有蓋円筒伏)을 이루는 가동 철심(75)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있다. 수용실(74)의 개구부에는 고정 철심(76)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가동 철심(75)과 수용실(74)의 바닥면 사이에는 추종 스프링(7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추종 스프링(77)은 상기 강제 개방 스프링(68)보다 탄성계수가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 철심(76)에는 수용실(74)과 밸브실(65)을 연통하는 솔레노이드 로드 가이드(78)가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로드(79)는 상기 밸브체(66)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며, 솔레노이드 로드 가이드(78)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관통되어 있다. 또, 솔레노이드 로드(79)의 가동 철심(75)측의 단부는 상기 강제 개방 스프링(68)과 추종 스프링(77)의 가압력에 의해서 가동 철심(75)에 접촉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철심(75)과 밸브체(66)가 솔레노이드 로드(79)를 거쳐서 작동 연결된다.
상기 가동 철심(75) 및 고정 철심(76)의 외측에는 양 철심(75,76)을 타넘어가듯이 원통형의 코일(8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80)에는 상기 제어 컴퓨터(57)의 지령에 의거해서 구동회로(62)로부터 소정의 전류가 공급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의 압축기에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하듯이 후방 하우징(13)의 후단면에는, 그 중앙을 가로지르듯이 고정 돌출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12)의 전단 근처의 외주에서, 그 윗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고정돌출부(8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돌출부로서의 고정 다리부(脚部)(8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 돌출부(83,84) 및 고정다리부(85)는 후방 하우징(13) 또는 전방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고정 돌출부(83,84) 및 고정 다리부(85)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구 삽입관통 구멍(86)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구 삽입관통 구멍(86)에 삽입관통되는 고정구(도시생략)를 거쳐서 압축기가 예를 들어 차량 엔진의 장착 스페이스에 고정된다. 즉, 이들 고정 돌출부(83,84) 및 고정 다리부(85)는 압축기를 사용 장소에 고정할 때의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실린더 블록(11)의 후단 근처의 하면 중앙에는 돌출부로서의 지지 돌기(8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지지 돌기(87) 및 상기 고정 다리부(85)의 하단면은 어느 것이나 상기 용량 제어 밸브(49)의 기단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압축기를 예를 들어 작업대 등의 평면(90)상에 설치한 경우에 압축기는 고정 다리부(85)와 지지 돌기(87)에서 지지된다. 즉, 고정다리부(85)와 지지 돌기(87)는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과 상기 평면(90)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러치레스 가변용량 압축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런데,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60)가 온 상태하에서 실온 센서(59)에서 얻어지는 검출 온도가 실온 설정기(58)의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 제어 컴퓨터(57)는 솔레노이드부(63)의 여자(勵磁)를 지령한다. 그러면, 코일(80)에 구동 회로(62)를 거쳐서 소정의 전류가 공급되며, 도 1 및 도 3 에 도시하듯이 양 철심(75, 76)간에는 입력 전류 값에 따른 흡인력이 생긴다. 이 흡인력은, 강제 개방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밸브 개방도가 감소하는 방향의 힘으로서, 솔레노이드 로드(79)를 거쳐서 밸브체(66)에 전달된다. 한편, 밸로우즈(70)는 흡입 통로(32)로부터 검압 통로(50)를 거쳐서 감압실(69)에 도입되는 흡입 압력(Ps)의 변동에 따라서 변위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부(63)의 여자 상태에서는 이 벨로우즈(70)의 흡입 압력(Ps)에 따른 변위가 감압 로드(72)를 거쳐서 밸브체(66)에 전해진다. 따라서, 용량 제어 밸브(49)는 솔레노이드부(63)로부터의 가압력과, 벨로우즈(70)로부터의 가압력, 및 강제 개방 스프링(68)의 가압력의 균형에 의해 밸브 개방도가 결정된다.
냉방부하가 큰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실온 센서(59)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실온 설정기(58)의 설정 온도의 차이가 커진다. 제어 컴퓨터(57)는 검출온도와 설정 실온에 의거해서 설정 흡입 압력을 변경하도록 입력 전류값을 제어한다. 즉, 제어 컴퓨터(57)는 구동 회로(62)에 대해서 검출 온도가 높을수록 입력 전력값을 크게 하도록 지령한다. 따라서, 고정 철심(76)과 가동 철심(75) 사이의 흡인력이 강해져서 밸브체(66)의 개방도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증대한다. 그리고 보다 낮은 흡입 압력(Ps)으로 밸브체(66)의 개폐가 행해진다. 따라서, 용량 제어 밸브(49)는 전류값이 증대됨에 따라서, 보다 낮은 흡입 압력(Ps)을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밸브체(66)의 밸브 개방도가 작아지면 배출실(38)로부터 급기 통로(48)를 경유해서 크랭크실(15)로 유입하는 냉매가스량이 적어진다. 이러한 한편에서, 크랭크실(15)내의 냉매가스는 축심 통로(46), 차단체(28)의 내부, 방압 통구(47), 수용구멍(27), 및 통구(45)를 경유해서 흡입실(37)로 유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이 저하된다. 또, 냉방 부하가 큰 상태에서는 흡입 압력(Ps)이 높고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과 압축실(11b)내 압력의 차이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사판(22)의 경사각이 커진다.
급기 통로(48)에서의 통과 단면적이 영인 상태, 즉 용량 제어 밸브(49)의 밸브체(66)가 밸브 구멍(67)을 완전히 폐지한 상태로 되면 배출실(38)에서 크랭크실(15)로의 고압 냉매가스의 공급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은 흡입실(37)내의 압력(Ps)과 거의 동일하게 되며, 사판(22)의 경사각은 최대가 된다. 사판(22)의 최대 경사각은 회전 지지체(21)의 경사각 규제 돌출부(21a)와 사판(22)의 접촉에 의해서 규제되며, 배출 용량은 최대로 된다.
반대로 냉방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실온 센서(59)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실온 설정기(58)의 설정 온도와의 차이가 작아진다. 제어 컴퓨터(57)는 구동 회로(62)에 대해서, 검출온도가 낮을수록 입력 전류값을 작게 하도록 지령한다. 이 때문에 고정 철심(76)과 가동 철심(75) 사이의 흡인력이 약해지고, 밸브체(66)의 밸브 개방도를 작게 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감소한다. 그리고, 보다 높은 흡입 압력(Ps)으로 밸브체(66)의 개폐가 행해진다. 따라서 용량 제어 밸브(49)는 전류값이 감소되는 것에 의해서, 보다 높은 흡입 압력(Ps)을 유지하도록 작동한다.
밸브체(66)의 밸브 개방도가 커지면 배출실(38)에서 크랭크실(15)로 유입하는 냉매가스량이 많아지며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이 상승한다. 또, 이 냉방부하가 작은 상태에서는, 압축실(11b)내의 압력이 낮아서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과 압축실(11b)내의 압력의 차이가 커진다. 이 때문에 사판(22)의 경사각이 작아진다.
냉방 부하가 없는 상태에 근접해 가면, 증발기(55)에서의 온도가 이슬 발생을 가져오는 온도에 접근하도록 저하해 간다. 온도 센서(56)에서의 검출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되면 제어 컴퓨터(57)는 구동 회로(62)에 대해서 솔레노이드부(63)의 소자(消磁)를 지령한다. 상기 설정 온도는 증발기(55)에서 이슬(frost)을 발생하는 것 같은 상황을 반영한다. 그리고 코일(80)로의 전류 공급이 정지되어서 솔레노이드부(63)가 소자되며 고정 철심(76)과 가동 철심(75)의 흡인력이 소실된다.
이 때문에 도 4 에 도시하듯이 밸브체(66)는 강제 개방 스프링(68)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 철심(75) 및 솔레노이드 로드(79)를 거쳐서 작용하는 추종 스프링(77)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밸브체(66)가 밸브 구멍(67)을 최대로 개방한 밸브 개방 스위치로 이행한다. 따라서 배출실(38)내의 고압냉매가스가 급기 통로(48)를 거쳐서 크랭크실(15)에 공급되며 크랭크실(15)내의 압력(Pc)이 높아진다. 이 크랭크실(15)내의 압력 상승에 의해서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 이행한다.
또한,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60)의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컴퓨터(57)는 솔레노이드부(63)의 소자를 지령하고, 이 소자에 의해서도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 경사각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용량 제어 밸브(49)의 개폐 동작은 코일(80)에 대한 입력 전류값의 대소에 따라서 변한다. 입력 전류값이 커지면 낮은 흡입 압력(Ps)으로 개폐가 실행되며, 입력 전류값이 작아지면 높은 흡입 압력(Ps)으로 개폐 동작이 행해진다. 압축기는 설정된 흡입 압력(Ps)을 유지하도록, 사판(22)의 경사각을 변경하여 그 배출용량을 변경한다. 즉, 용량 제어 밸브(49)는 입력 전류값을 변화시켜 운전을 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용량 제어 밸브(49)를 구비하므로써 압축기는 냉동 회로의 냉동 능력을 변경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상기 사판(22)이 차단체(28)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사판(22)의 요동이 스러스트 베어링(34)을 거쳐서 차단체(28)에 전달된다. 이 요동 전달에 의해서 차단체(28)가 흡입통로 개방 스프링(29)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위치결정면(33)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사판(22)의 경사각이 최소로 되면 차단체(28)가 위치결정면(33)에 접촉하여 흡입 통로(32)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는 흡입 통로(32)에서의 통과 단면적이 영으로 되며 외부 냉매 회로(52)에서 흡입실(37)로의 냉매가스 유입이 방지된다.
여기에서 사판(22)의 최소 경사각은 0˚가 아니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최소 경사각 상태에서도 압축실(11b)로부터 배출실(38)로의 냉매가스의 배출은 행해지고 있다. 압축실(11b)에서 배출실(38)로 배출된 냉매가스는 급기 통로(48)를 통해서 크랭크실(15)로 유입된다. 크랭크실(15)내의 냉매가스는 축심 통로(46), 차단체(28)의 내부, 방압 통구(47), 수용 구멍(27), 통구(45)를 통해서 흡입실(37)로 유입한다. 흡입실(37)내의 냉매가스는 압축실(11b)내로 흡입되어서 재차 배출실(38)로 배출된다. 즉, 최소 경사각 상태에서는 배출 영역인 배출실(38), 급기통로(48), 크랭크실(15), 축심 통로(46), 차단체(28)의 내부, 방압 통구(47), 수용구멍(27), 통구(45), 흡입 영역인 흡입실(37), 압축실(11b)을 경유하는 순환 통로가 압축기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실(38), 크랭크실(15), 및 흡입실(37)의 사이에서는 압력차가 생기고 있다. 따라서 냉매가스가 상기 순환 통로를 순환하고, 냉매가스와 더불어 유동하는 윤활유가 압축기내의 각 슬라이딩부를 윤활한다.
공조장치 작동 스위치(60)가 온 상태에 있고 사판(22)이 최소 경사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해서 냉방 부하가 증대하면, 실온 센서(59)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가 실온 설정기(58)의 설정 온도를 넘어선다. 제어 컴퓨터(57)는 이 검출온도 변이에 기초해서 솔레노이드부(63)의 여자를 지령한다. 솔레노이드부(63)의 여자에 의해 급기 통로(48)가 닫히고 크랭크실(15)의 압력(Pc)이 축심 통로(46), 차단체(28)의 내부, 방압 통구(47), 수용 구멍(27), 및 통구(45)를 거친 압력방출에 기초해서 감압되어 간다. 이 감압에 의해 흡입 통로 개방 스프링(29)이 도 4 의 축소 상태로부터 신장한다. 그리고 차단체(28)가 위치결정면(33)으로부터 이격되고 사판(22)의 경사각이 도 4 의 최소 경사각 상태로부터 증대한다.
상기 차단체(28)의 이격에 수반하여, 흡입 통로(32)에서의 통과 단면적이 완만하게 증대해가고, 흡입 통로(32)에서 흡입실(37)로의 냉매가스 유입량은 서서히 증가해 간다. 따라서, 흡입실(37)에서 압축실(11b)내로 흡입되는 냉매가스량도 서서히 증대하며 배출 용량이 서서히 증대한다. 그 때문에 배출 압력(Pd)이 서서히 증대하고, 압축기에서의 부하 토크가 단시간에 크게 변동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최소 배출용량에서 최대 배출용량에 이르는 동안의 압축기에서의 부하 토크 변동이 완만해지고 부하 토크 변동에 의한 층격이 완화된다.
외부 구동원을 이루는 차량 엔진이 정지하면, 압축기의 운전도 정지하고, 즉사판(22)의 회전도 정지하여, 용량 제어 밸브(49)의 코일(80)로의 통전도 정지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부(63)가 소자되어서 급기 통로(48)가 개방되고 사판(22)의 경사각은 최소로 된다.
그런데 압축기가 예를 들어 작업대, 수송 케이스 등에 설치될 때 상기 용량 제어 밸브(49)의 기단부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면, 압축기 자체의 중량이 용량 제어 밸브(49)에 작용해서 비틀럼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같은 비틀림이 발생하면 솔레노이드 로드(79)가 솔레노이드 로드 가이드(78)내에서 근소하게 경사진 상태가 되어 솔레노이드 로드(79)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검출온도와 설정 온도에 의거해서 설정 흡입 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입력 전류값의 변경량은 근소한 것이며, 그 변경에 따라 증감되는 양 철심(75, 76)간의 흡인력의 변화도 근소할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 로드(79)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용량 제어 밸브(49)의 개방도 제어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으며 압축기의 배출용량의 제어가 부정확해진다는 결함이 발생한다. 또, 용량 제어 밸브(49)와 후방 하우징(13)의 고정 구멍(13a)의 결합에 이완이 생기고 흡입 통로(32) 또는 배출실(38)에서 외부로 냉매가스가 누출해서 소망의 압력이 얻어지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고정 다리부(85) 및 지지 돌기(87)에 의해서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과 설치 평면(90)의 접촉이 방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49)에 압축기 자체의 중량이 작용해서 비틀림을 발생할 우려가 감소된다. 그리고 용량 제어 밸브(49)나 그 주변에서 결함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나타난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고정 다리부(85) 및 지지 돌기(87)에 의해 압축기를 평면(90)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이 설치 평면(90)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압축기를 평면(90)상에 설치해도 용량제어 밸브(49)에 비틀림이 생겨서 용량 제어 밸브(49)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용량 제어 밸브(49)와 후방 하우징(13)의 부착부에 이완이 생겨서 하우징내의 압력누설을 초래할 우려가 저감된다. 게다가 조립 작업이 종료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송을 전용의 유지구 또는 운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실린더 블록(11) 및 전방 하우징(12)의 하면에 지지 돌기(87) 및 고정 다리부(85)를 설치한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용량 제어 밸브(49)와 하단이 설치 평면(90)의 접촉이 방지되고 있다. 또, 상기 고정 다리부(85)는 압축기를 예를 들어 차량 엔진의 장착 스페이스에 고정할 때의 고정부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제작상 유리하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지지 돌기(87)가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과 설치 평면(9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지지 돌기(87)를 압축기의 고정부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고정 다리부(85) 및 지지 돌기(87)가 전방 하우징(12) 및 실린더 블록(11)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방 하우징(12) 및 실린더 블록(11)을 주조할 때, 고정 다리부(85)와 지지 돌기(87)를 동시에 주입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한 등시에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의 압축기에서는 용량 제어 밸브(49)의 개방도 제어를 행하므로써 제어압실을 겸하는 크랭크실(15)의 압력(Pc)을 제어하고 배출 용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량 제어 밸브(49)에는 압축기의 외부 정보에 의거해서 밸브체(66)로의 가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부(63), 및 흡입압력(Ps)의 변화에 의거해서 밸브체(66)로의 가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밸로우즈(70)등의 감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량 제어 밸브(49)가 대형화되기 쉽고 압축기내의 각 구성 요소 또는 차량 엔진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이 후방 하우징(13)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에 하중이 작용해서 용량 제어 밸브(49)에 비틀림이 생기면 압축기의 배출용량의 변경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은 고정 다리부(85) 및 지지 돌기(87)를 채용하므로써 압축기를 평면(90)상에 설치해도 용량 제어 밸브(49)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배출 용량의 원활한 변경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과 설치 평면(90)의 접촉 방지 구성은 배출 용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 가변용량 압축기의 구성으로서 특히 유효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 에 쇄선으로 도시하듯이 지지 돌기(87)를 후방 하우징(13)의 하면에 돌출 형성하는 것.
이같이 구성하면 고정 다리부(85)와 지지 돌기(87) 사이의 거리, 즉 압축기를 평면(90)상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서 압축기를 평면(90)상에 보다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 돌기(87)를 하우징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돌출부로 변경하는 것. 또는, 도 2 에 쇄선으로 도시하듯이 하우징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복수개, 예를 들어 2 개의 지지 돌기(87)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하는 것.
이같이 구성하면 하우징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압축기를 평면(90)상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고정다리부(85)를 전방 하우징(12)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상에서 복수개, 예를 들어 2 개의 돌기상으로 형성하는 것.
이같이 형성하면 전방 하우징(12)을 형성할 때의 재료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어서 압축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고정 다리부(85)를 용량 제어 밸브(49)의 하단과 설치 평면(90)의 접촉을방지하기 위해 전용 다리부로 변경하는 것.
·지지 돌기(87)를 압축기를 사용 장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예를 들어고정 다리부(85)와 같이 변경하는 것.
·고정 다리부(85)와 지지 돌기(87)중 적어도 한쪽을 하우징과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여 하우징에 부착하는 것.
·크랭크실(15)과 흡입 영역 사이를 연통하는 추기 통로의 도중에 용량 제어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용량 제어 밸브의 개방도 조정에 기초해서 크랭크실(15)의 압력(Pc)과 압축실(11b)의 압력과의 차를 변경시켜, 배출 용량의 변경을 행하게 하는 것. 이 경우 배출 영역과 크랭크실(15)을 항상 연통하는 교축 통로를 설치해도 좋다.
·제어압실을 크랭크실(15)과 독립해서 형성하고 상기 제어압실의 압력 조정에 의거해서 사판(22)의 경사각을 변경하여 배출 용량을 변경하는 것.
·용량 제어 밸브(49)를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부(63)에 의해서만 개방도 제어되는 전자 개폐 밸브, 벨로우즈(70) 등의 감압 기구만에 의해 개방도 제어되는 내부 제어 밸브, 하우징내의 냉매가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 밸브, 하우징내의 과대한 압력을 방출하는 릴리프 밸브 등으로 변경하는 것.
·본 발명을 클리치 부착의 가변 용량 압축기로 구체화하는 것.
·본 발명을 양두 피스톤식의 압축기로 구체화하는 것. 이 경우 쌍을 이루는 실린더 블록의 각 하면에 한쌍의 접촉 방지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이외의 압축기, 예를 들어 워블식 압축기, 웨이브캠 플레이트식 압축기, 스크롤식 압축기, 베인식 압축기로 구체화하는 것.
이들과 같이 구성해도 상기 실시예와 거의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해도, 제어 밸브에 압축기 자체의 중량이 작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어 밸브에 비틀림이 생겨서 제어 밸브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제어 밸브와 하우징의 부착부에 이완이 생겨서 하우징내의 압력 누설을 초래할 우려가 저감된다. 게다가 조립 작업이 종료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송을 전용의 유지구 또는 운반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보관 및 수송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제어 밸브의 하단과 설치 평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부품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어서 제작상 유리하다.
청구항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촉 방지 수단을 압축기의 고정부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서 설계의 자유도를 증대할 수 있다.
청구항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을 주조할 때 동시에 접촉 방지수단을 주조 성형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한 동시에 부품수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는다.
청구항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해도 제어 밸브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 억제되어서 배출용량의 원활한 변경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청구항에 기재된 접촉 방지 구성은 배출 용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 가변 용량 압축기의 구성으로서 특히 유효하다.
청구항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의 지점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서 압축기를 평면상에 안정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내에 용적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압축성 유체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실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하우징내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 밸브를 그 일부가 하우징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평면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이 설치 평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수단은,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압축기를 사용 장소에 고정할 때의 고정부를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 수단은, 하우징의 하면에 설치된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중 하나 이상이 상기 제어 밸브의 하단과 설치 평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2회정정)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 제어압실 및 크랭크실을 형성하며, 상기 크랭크실을 가로지르도록 구동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크랭크실내에서 구동 샤프트에는 회전 지지체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부착하며, 상기 회전 지지체에는 힌지 기구를 거쳐서 캠 플레이트를 경사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어압실내의 압력을 상기 제어 밸브의 개방도 제어에 의해 배출 용량을 연속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의 전단면에 접합되는 전방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블록의 후단면에 접합되는 후방 하우징으로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전방 하우징에 배치하고, 나머지 돌출부중 하나 이상을 상기 후방 하우징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19970067217A 1997-03-31 1997-12-10 압축기 KR100311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080402 1997-03-31
JP08040297A JP3564929B2 (ja) 1997-03-31 1997-03-31 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21A KR19980079521A (ko) 1998-11-25
KR100311171B1 true KR100311171B1 (ko) 2001-12-17

Family

ID=1371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217A KR100311171B1 (ko) 1997-03-31 1997-12-10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48178A (ko)
JP (1) JP3564929B2 (ko)
KR (1) KR100311171B1 (ko)
DE (1) DE1981414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227B2 (ja) * 1998-02-20 2007-05-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3932659B2 (ja) * 1998-03-30 2007-06-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における冷媒吸入構造
JP3758399B2 (ja) * 1999-01-18 2006-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弁取り付け構造
JP2001221158A (ja) * 1999-11-30 2001-08-1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容量可変型圧縮機の制御弁
JP4777541B2 (ja) * 2001-06-08 2011-09-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機内蔵の圧縮機と、これを搭載した移動車
JP4078229B2 (ja) * 2002-03-20 2008-04-23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圧縮機
KR100504859B1 (ko) * 2002-12-03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유 배출 장치
JP2007327436A (ja) * 2006-06-08 2007-12-20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および圧縮機用ハウジング
JP2008120330A (ja) * 2006-11-15 2008-05-29 Sanden Corp 車両用冷凍サイクル
JP6079379B2 (ja) * 2013-03-29 2017-02-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6171875B2 (ja) * 2013-11-13 2017-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3074A (en) * 1988-01-08 1990-10-16 Nippondenso Co., Ltd. Variable displacement swash-plate type compressor
US4950132A (en) * 1988-02-11 1990-08-21 Ford Motor Company Swashplate and sliding shoe assembly for an air conditioning compressor
JP2567947B2 (ja) * 1989-06-16 1996-1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可変容量圧縮機
JP2945748B2 (ja) * 1990-11-16 1999-09-06 サンデン株式会社 容量可変型揺動式圧縮機
JP3089901B2 (ja) * 1993-07-20 2000-09-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クラッチレス圧縮機における動力伝達構造
JP3355002B2 (ja) * 1993-10-15 2002-12-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H08109877A (ja) * 1994-10-11 1996-04-30 Calsonic Corp 容量可変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H08109880A (ja) * 1994-10-11 1996-04-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の動作制御システム
KR100196247B1 (ko) * 1995-06-09 1999-06-15 이소가이 지세이 가변 용량 압축기
US5702235A (en) * 1995-10-31 1997-12-30 Tgk Company, Ltd. Capacity control device for valiable-capacity compressor
DE19801975C2 (de) * 1997-01-21 2002-05-08 Toyoda Automatic Loom Works Steuerventil in einem Kompressor mit variabler Verdrängung und dessen Montage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48178A (en) 2000-04-11
JPH10274162A (ja) 1998-10-13
JP3564929B2 (ja) 2004-09-15
DE19814144C2 (de) 2003-05-15
DE19814144A1 (de) 1998-10-29
KR19980079521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0876A (en) Control valv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010312A (en) Control valve unit with independently operable valve mechanisms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9212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용량제어기구
KR100215158B1 (ko) 가변용량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US5964578A (en) Control valve i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276036B1 (ko) 가변용량 압축기용 제어밸브
EP0748937A2 (en) Displacement controlling structure for clutchless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213727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outlet control valve
US6146106A (en) Electromagnetic valve
KR100291521B1 (ko) 가변용량형압축기용제어밸브
US6234763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215153B1 (ko) 가변용량압축기 및 제어 방법
KR100302820B1 (ko) 가변용량압축기용제어밸브및장착방법
US6135722A (en)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bearing in the shutoff me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11171B1 (ko) 압축기
KR0167369B1 (ko) 요동경사판식 용량가변형 압축기
KR100302822B1 (ko) 가변용량형압축기
US6217293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277815B1 (ko) 가변용량 압축기
US6203284B1 (en) Valve arrangement at the discharge chamber of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428821B1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제어밸브
US6076449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6544004B2 (en) Sing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65783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1026398A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