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7525B1 - 모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7525B1
KR100297525B1 KR1019980022745A KR19980022745A KR100297525B1 KR 100297525 B1 KR100297525 B1 KR 100297525B1 KR 1019980022745 A KR1019980022745 A KR 1019980022745A KR 19980022745 A KR19980022745 A KR 19980022745A KR 100297525 B1 KR100297525 B1 KR 10029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mother
wheel
travel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229A (ko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마사카쯔 아라키
에이이치로오 키노시타
쇼오지 스즈키
마코토 아라이
Original Assignee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이치로오
칸토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369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08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69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0891B2/ja
Application filed by 호리에유키지,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이치로오, 칸토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에유키지
Publication of KR1999002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525B1/ko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기체 전후 길이의 단축화, 조작성 및 심기 작업성의 항상을 도모한다.
모공급장치(4)와 모심기장치(5)로 이루어진 심기부(1b)를 주행차륜(2,2)을 주행기체(1a)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차륜 상하장치(19)의 상측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주행기체측의 동력을 심기부측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상기 차륜 상하장치(19)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로 연통하는 공간부(S)를 통해서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모 이식기
본 발명은, 모 이식기에 있어서의 심기부와 이 심기부에의 전동수단의 배치에 관계된다.
좌우 방향의 회전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차륜 지지부재에 주행차륜이 지지되어 있어, 상기 차륜 지지부재를 유압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기체(機體)에 대해 주행차륜을 승강시키는 차륜 상하장치를 구비한 야채 이식기 등의 모 이식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하면서 모(苗)를 지면에 심는 모 이식기에 관계된다.
야채 모(苗)의 이식기(利植機)로서, 예를 들면, 턴 테이블형의 모 공급장치에 사람의 손으로 야채 포트 모를 보급하여, 이 모 공급장치가 모를 일주(一株)씩 소정위치에 공급하고, 그 보를 모심기 기구가 심도록 구성한 야채용 모 이식기(이하, 야채 이식기라 함)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야채 이식기는, 모공급장치와 모심기장치로 이루어진 심기부가 상기 차륜 상하장치에 간섭하지 않도록 이 차륜 상하장치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의 전후 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류의 야채 이식기는, 작업자가 기체(機體)의 진행에 맞추어서 기체의 측방을 걸으면서 모 공급장체이 모를 보급한다. 이 모 보급작업을 쉽게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도1은 야채 이식기의 측면도,
도2는 야채 이식기의 평면도,
도3은 주행부와 심기부의 연결부분의 사시도,
도4는 모 공급장치의 저면도,
도5는 모심기 장치 등의 측면도,
도6은 모심기 장치 등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공간부, 1...야채 이식기(모 이식기),
1a...주행부, 1b...심기부,
2...후륜(주행차륜), 3...전륜(주행차륜),
4...모 공급장치, 5...모심기 장치,
6...조종핸들, 7...주행부 미션케이스,
14...메인프레임, 19...차륜 상하장치
30...심기부 미션케이스(전동수단) 60...모심기 기구,
80...진압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모 이식기는, 모공급장치와 모심기장치로 이루어진 심기부를 주행차륜을 주행기체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차륜 상하장치의 상측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주행기체측의 동력을 심기부측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상기 차륜 상하장치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로 연통하는 공간부를 통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모 이식기는, 주행차륜을 가지는 주행부와, 기체를 조향조작하는 조종핸들과, 사람의 손으로 보급되는 모를 소정위치에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와, 이 모 공급장치로 소정위치에 공급되는 모를 밭에 심는 모심기 기구를 구비한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보다도 후측에 상기 모심기 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모심기 기구의 상방에 상기 모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이들 모심기 기구와 모 공급장치의 후방에 상기 조종핸들을 설치하며, 당해 조종핸들과 상기 주행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상기 모심기 기구의 좌우 일측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조종핸들과 주행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기체 측방으로, 또한 주행부의 후측을 작업자가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에 모를 보급하도록 하면, 주행부 및 조종핸들과 주행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이 작업자에게 방해물이 되지 않아, 모 공급작업을 행하기 쉽다.
도 1~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한 모 이식기의 일 예로서의 야채 이식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야채 이식기(1)는, 주행차륜(2,2,3,3)을 가지는 주행부(주행기체(1a)로 밭이랑(U)을 넘어선 상태로 기체를 진행시키면서, 모 공급장치(4), 모심기 장치(5) 등으로 이루어지는 심기부(1b)로 야채 포트 모를 밭이랑(U)의 상면에 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업자는, 기체 후방에 설치한 조종핸들(6)로 적절히 기체를 조향조작함과 동시에, 심기 작업시에는 기체 측방을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4)에 모를 보급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낟.
주행부(1a)는, 주행부 미션케이스(7)의 전측에 엔진(9)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9)의 좌측면부에는 이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펌프(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엔진(9)의 상측에는 연료 탱크(11) 등이 설치되고, 그 상측을 본넷트(12)가 덮고 있다. 주행부 미션케이스(7)의 배면부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로 긴 장방형의 연결프레임(13)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이 연결프레임의 배면 우단부에 주행부(1a)와 조종핸들(6)을 연결하는 메인프레임(14)의 전단부가 고착 연결되어 있다. 메인프레임(14)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심기부(1b)의 우측을 통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간에서 위쪽을 향해 경사지게 만곡되어, 그대로 심기부(1b)의 후방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단부에 조종핸들(6)이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주행부 미션케이스(7)의 좌우측면에서 돌출하는 회동통부(15,15)에 차륜 지지부재로서의 주행 전동케이스(16,16)가 일체로 설치되며, 그 주행 전동케이스의 선단부에 구동 주행차륜인 후륜(2,2)이 축 지지되어 있다. 또, 엔진(9)의 하측에 전후방향의 피벗축(17a)을 중심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전륜 지지프레임(17)의 좌우 양단부에 전륜 지지로드(18,18)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로드의 하단부에 종동 주행차륜인 전륜(3,3)이 축 지지되어 있다.
주행부(1a)에는 기체에 대해 후륜(2,2)을 승강시켜서 기체위치를 제어하는 차륜 상하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륜 상하장치(19)는, 주행부 미션케이스(7) 위에 배치한 유압밸브 유니트(20)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승강실린더(21)가 설치되어, 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에 천칭간(22)이 상하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는, 전후 양단이 유압밸브 유니트(20)와 메인프레임(14)에 설치한 설치부재(23)에 지지된 가이드 축(24)을 따라서 슬라이드 되도록 되어 있다. 천칭간(22)의 좌우 양단부와, 회동통부(15,15)에 고착한 스윙암(25,25)이 연결로드(26,26)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좌측 연결로드(26)는, 롤링실린더(27)가 조립되어 있어, 이 실린더를 신축 작동시킴으로써 길이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실린더(21) 및 롤링실린더(27)는, 상기 유압펌프(10)에서 공급되는 작동유를 유압밸브 유니트(20) 내의 제어밸브(도시하지 않음)로 제어하여 작동시키고 있다. 승강실린더(21)를 신축 작동시키면, 좌우 후륜(2,2)이 같은 방향으로 같은 양만큼 기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여 기체가 승강한다. 또, 롤링실린더(27)를 신축작동시키면, 좌우 후륜(2,2)이 역방향으로 같은 양만큼 기체에 대해 상하로 움직여서 기체가 좌우로 기울어진다.
심기부(1b)는, 주행부의 동력을 심기부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인 심기부 미션 케이스(30)의 하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3)의 상면에 고착되어, 이 심기부 미션케이스의 상부에 제1심기 전동케이스(31)의 기부가 고착되며, 또한 이 제1심기 전동케이스의 선단부에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의 기부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심기 전동케이스(31)와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에 후술할 모심기 장치(5)의 작동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모심기 장치(5)의 후술할 모심기 기구(60)는, 주행부(1a)보다도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심기부 미션케이스(30)에 기부를 고착한 상부 프레임(34)에 모심기 기구(6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모 공급장치(4)와 후술할 모 재치대(55,5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기부 미션케이스(30)의 입력축(30a)은 이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에 돌출해 있으며, 이것을 주행부 미션케이스(27)의 PTO출력부(7a)에 삽입함으로써 PTO출력부 내의 주행부측 축에 전동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심기부 미션케이스(30)는, 상기 연결프레임(13)에 볼트(35,...)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35,...)를 풀어 PTO 출력부(7a)에서 입력축(31a)을 뽑아 냄으로써, 주행부(1a)에서 심기부(1b)째 뽑아 낼 수 있어, 심기부(1b)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심기부 미션케이스(30)는 연결프레임(13)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후방에 설치되며, 동시에 제1심기 전동케이스(31)는 심기부 미션케이스(30)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후방에 설치되고, 또한 제2심기 전동케이스(32)는 제1심기 전동케이스(31)의 하단부에서 수평하게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체의 전후 길이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는 일이 없으며,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의 하측에 상기 천칭간(22)이 이동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또, 평면에서 보았을때, 심기부 미션케이스(30)는, 연결프레임(13)의 우단부에 고착되어 있으며, 승강실린더(21)와 천칭간(22)과 우측의 연결로드(26) 사이에 형성되는 기체 제어기구의 우측 공간부(S)를 통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심기 전동케이스(31)는 심기부 미션케이스(30)의 좌측, 제2심기 전동케이스(32)는 제1심기 전통케이스(31)의 또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롤링실린더(2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만큼 좌측 공간부보다도 우측 공간부 쪽이 넓기 때문에, 심기부 미션케이스(30)를 우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제2심기 전동케이스(32)는 모심기 장치(5)의 작동기구 외측(좌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제2심기 전동케이스가 모 보급작업시에 오퍼레이터가 상기 작동기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호 커버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다. 또, 심기부 미션케이스(30), 제1심기 전동케이스(31) 및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을 좌우로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모 공급장치(4)는, 복수의 모 공급캡(40,...)을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한 턴 테이블(41)을 구비하고 있다. 이 턴 테이블(41)은 기체의 좌우 중심보다도 약간 오른쪽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턴 테이블(41)은, 상기 상부프레임(34)에 고정된 지지판(42)에 중심축(43)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중심축(43)에는 래칫 휠(45)이 설치되며, 그 래칫 휠을 기어치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부세한 래칫조 조(爪)(46)가 중심축(43)에 회전이 자유롭게 감합하는 래칫암(47)에 설치되어 있다. 래칫암(47)과, 후술할 앞링크 지지암(67b)과 일체로 작동하는 모 공급 구동암(49)이 모 공급 구동로드(50)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어, 모 공급 구동암(49)이 요동함으로써, 턴 테이블(41)이 모심기 장치(5)의 작동과 동기(同期)하여 모 공급캡(40,...)의 심기 간격만큼씩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각 모 공급캡(40,...)의 저부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셔터(52,...)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앞쪽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가 잘려진 C자형의 셔터 닫음봉(53)이 모 공급캡의 저부에 접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닫음봉(53)의 잘려진 부분에 상당하는 모 공급위치에 P에 위치하는 모 공급캡(40)의 셔터(52)는 자중(自重) 또는 모의 중량에 의해 열리지만, 그 이외의 모 공급캡(40,...)의 셔터(52,...)는 셔텨 닫음봉(53)으로 규제되어서 닫힌 상태가 된다.
턴 테이블(41)의 우측과 전측에는, 육묘 트레이를 1개씩 재치시킨 모 재치대(55,56)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모 재치대(55)는, 상부프레임(34)에서 우측방으로 돌출한 설치봉(55a,55a)에 설치되고, 육묘 트레이를 약간 오른쪽 위쪽에 경사지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측의 모 재치대(56)는, 상브 프레임(34)에서 전방으로 돌설한 설치봉(56a,56a)에 설치되며, 육묘 트레이를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업시에는, 기체(機體)의 진행에 맞추어서 작업자가 좌측 후륜(2)의 후방을 걸으면서 모 재치대(55,56)에 재치되어 있는 육묘 트레이의 포트 모를 각 모 공급 캡(40,...)에 보급한다. 턴 테이블(41)의 회전으로 모가 들어간 모 공급캡(40)이 모 공급위치 P까지 이동하면, 셔터(52)가 열려서 모가 모심기 장치(5)의 모심기 기구(60)의 가운데로 낙하한다.
턴 테이블(41)은 후륜(2,2)보다도 후방, 또한 기체의 좌우 중심보다도 우측으로 약간 비켜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턴 테이블(41)의 좌측 바로 옆을 보행하면서 모 보급작업을 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하다. 메인프레임(14)은 작업자와 반대측에 있으므로, 작업의 방해물이 되지 않는다. 이 때, 턴 테이블(41)과 조종핸들(6)의 간격으로 진압륜(80)과 진압륜(80) 사이의 밭이랑 면이 보일 수 있으므로, 모를 심는 상황을 감시하면서 모 보급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조종핸들(6)의 후측을 보행하면서, 턴 테이블(41) 우측의 모재치대(55)에 재치되어 있는 육모 트레이의 모를 모 공급캡(40,...)에 보급해도 된다.
모심기 장치(5)는, 하단이 뾰족한 캡 모양의 모심기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모심기 기구(60)는, 전특부재(60a)와 후측부재(60b)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심기 기구(6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전특부재 회동축(61A)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전특부재 설치암(62A,62A)에 전측부재(60a)가 일체로 설치되며, 모심기 기구(60)의 전방에 위치하는 후측부재 회동축(61B)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후측부재 설치암(62B,62B)에 후측부재(60b)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축(61A,61B)을 지지점으로 하여 양부재(60a,60b)가 회동하면, 모심기 기구(60)의 하부가 개폐한다. 전측부재 설치함(62A)과 후측부재 설치암(62B)에 형성된 기다란 구멍에 헐겁게 끼워지는 연동핀(63)에 의해서, 전측부재(60a)와 후측부재(60b)는 서로 연동하여 회동한다. 전측부재 설치암(62A)의 다리부(62aA)와 후측부재 설치암(62B)의 다리부(62aB) 사이에, 전측부재(60a) 및 후측부재(60b)를 닫히는 쪽으로 부세하는 스프링(64)이 장설되어 있다. 이 모심기 기구(60)는, 하기의 작동기구에 의해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지지부(33a)에 뒤쪽 링크 지지암(67A)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그 지지암에 기부가 피벗팅된 뒤쪽 링크(68A)의 후단에 전측부재 회동축(61A)이 연결되어 있다. 뒤쪽 링크(68A)의 중간부에는, 제2심기 전동케이스(32)의 후단부에 설치한 뒤쪽 링크 구동암(69A)이 연결되어 있다. 또, 심기부 미션케이스(30)에 앞쪽 링크 지지암(67B)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그 지지암에 기부가 피벗팅된 앞쪽 링크(68b)의 후단에 후측부재 회동축(61B)이 연결되어 있다. 앞쪽 링크(68B)의 중간부에는, 제1심기 전동케이스(31)의 후단부에 설치한 앞쪽 링크 구동암(69B)이 연결되어 있다. 양 구동암(69A,69B)이 구동 회전하면, 뒤쪽 링크(68A) 및 앞쪽 링크(68B)가 기부(基部)의 위치를 전후로 변동시키면서 상하로 요동하여, 모심기 기구(60)가 일정자세 그대로 상하로 움직인다.
뒤쪽 링크(68A)의 기부에는 개폐암(71)이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그 개폐암(71)의 선단부와 전측부재 설치암(62A)이 개폐로드(72)로 연결되어 있다. 또, 뒤쪽 링크(68A)의 중간부에는 뒤쪽 링크 구동암(69A)과 일체로 회전하는 개폐캠(7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캠의 캠 폴로어(FOLLOWER)로서의 롤러(74)가 개폐암(71)에 설치되어 있다. 모심기 기구(60)가 하사점 부근에 있는 위치로부터 상승하는 행정에서, 개폐캠(73)이 롤러(74)에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개폐캠(73)이 롤러(74)에 계합합면, 개폐로드(72)가 당겨지고, 전측부재(60a)와 후측부재(60b)가 서로 연동하여 회동하며, 모심기 기구(60)가 열린다. 개폐캠(73)이 롤러(74)에 계합하지 않을 때는, 스프링(64)의 장력에 의해서 모심기 기구(60)가 닫혀 있다.
모심기 기구(60)가 상사점에 있을 때에, 모 공급장치(4)에 의해 모가 낙하 공급된다. 공급된 모는, 전측부재 회동축(61A)과 후측부재 회동축(61B)에 설치되어 있는 통 모양의 모(苗) 가이드(76)를 통해서 모심기 기구 내로 유도된다. 모를 유지한 모심기 기구(60)가 하강하고, 하사점에서는 모심기 기구(60)의 하부가 밭이랑의 표토부(表土部)에 꽂혀서 모 이식용 구멍을 형성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모심기 기구(60)가 열려, 유지하고 있던 모를 상기 모 이식용 구멍 가운데에서 해방한다. 그대로 모심기 기구(60)가 상승하여, 상사점 부근까지 상승하면 모심기 기구(60)가 닫힌다.
모심기 위치의 후방에는, 좌우 한쌍의 진압륜(80,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진압륜(80,80)은, 하부 근처에서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후술할 로드(92)에 헐겁게 끼운 스프링(81)으로 아래쪽을 향해서 부세되어 있으며, 기체의 진행에 따라 밭이랑 면을 전동(轉動)하여, 모가 심아진 후의 모 이식구멍 주위의 흙을 붕락시켜서 구멍을 도로 메우게 함과 동시에, 그 자취를 가볍게 진압하도록 되어 있다.
진압륜(80,80)이 설치된 진압륜 프레임(82)은, 심기(植付)깊이 조절가이드 프레임(83)에 상하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심기깊이 조절가이드 프레임(83)에는 복수의 계합부(84,...)를 가지는 가이드 홈(84)이 형성되어 있어, 이 가이드 홈에 진압륜 프레임(82)과 일체인 심기깊이 조절레버(85)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감합하고 있다. 심기깊이 조절레버(85)를 가이드 홈(84)의 계합부(84a,...)에 계합시키면, 진압륜 프레임(82)이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심기깊이 조절레버(85)의 조작으로, 진압륜(80,80)의 설치 높이를 복수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의 심기깊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또, 상기 심기깊이 조절가이드 프레임(83)은, 메인프레임(14)의 전후 중간부에 고착한 지지프레임(86)에 상하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프레임(87)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밭이랑 면의 요철에 따라 진압륜(80,80)이 기체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면, 그 진압륜의 상하로의 움직임에 의한 진압륜 프레임(81)의 요동이, 연동기구(88)를 개재하여 유압밸브 유니트(20) 내의 승강용 유압밸브에 전달되어, 요동프레임(87)의 각도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 가는 방향으로 승강실린더(21)를 작동시킨다. 이로 인해, 밭이랑의 상면에서 기체까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기체를 승강 제어한다.
또한, 메인프레임(14)의 후부에는 진압륜 고정레버(90)가 회동이 자류롭게 설치되어, 이 레버와 일체인 암(91)의 기다란 구멍(91a)에 하단부를 요동프레임(87)에 연결한 로드(92)의 상단부가 핀 고정되어 있다. 진압륜 고정레버(90)를 가이드 홈(93)의 계지부(93a)예 계지하면, 진압륜(80,80)이 기체에 대해 일정 높이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 제어가 기능하지 않게 된다. 기체를 비작업위치로 상승시키 상태에서 모심기 장치(5)를 작동시키는 경우와, 운전시에 진압륜(80,8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으로 진압륜(80,80)을 고정한다.
요동프레임(87)은 기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체의 좌측을 보행하는 작업자가 이 요동프레임(87)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확실한 진압을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체의 상승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유압밸브 유니트(20) 내의 롤링용 유압밸브는 좌우경사 검출용 진자(95)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변환되도록 되어 있어, 기체가 좌우로 경사하면 롤링실린더(27)가 적절히 작동하여, 기체를 좌우 수평으로 되돌아 가도록 제어한다.
조종핸들(6)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양단이 후방으로 연장되는자형을 하고 있으며, 그 양단부에 그립(6a,6a)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시와 노상 주행시에는, 작업자가 그립(6a,6a)을 쥐고 조종한다. 조종핸들(6)은 기체의 좌우 중심에서 우측으로 비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밭이랑 우측의 홈을 보행하면서 핸들조작을 하기 쉽고, 또 기체의 좌측을 보행하면서 모 보급작업을 행할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립(6a,6a)의 하측에는 사이드 클러치 레버(100,10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조종핸들(6)의 기부에는 조작패널(101)이 설치되어, 이 조작패널에 모 공급장치(4) 및 모심기 장치(5)에 전동하는 심기(植付) 클러치의 잇고 끊기 조작과 기체의 승강 조작을 하는 심기 승강레버(102), 메인클러치의 잇고 끊기 조작을 하는 메인클러치 레버(103)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의 부호 104는 모심기 간격을 조절하는주간(株間) 조절레버이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모 공급장치(4), 조종핸들(6), 메인프레임(14) 및 모재치대(55)를 기체의 좌 중심의 우측에 비켜서 배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좌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모 이식기는 심기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륜 상하장치의 상측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첩시킴으로써 기체 전후 길이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주행부의 동력을 심기부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차륜 상하장치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는 연통하는 공간부를 통해서 설치함으로써, 기능적으로도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며, 조종성, 심기 작업성이 향상하도록 되었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모 이식기는 조종핸들과 주행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이 배치되어 있는 쪽과 반대쪽의 기체 측방으로, 또한 주행부의 후측을 작업자가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에 모 공급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작업자에게 방해물이 되지 않음으로, 모 공급작업을 하기 쉽게 된다.

Claims (2)

  1. 모공급장치와 모심기장치로 이루어진 심기부를 주행차륜을 주행기체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키는 차륜 상하장치의 상측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도록 설치함과 동시에, 주행기체측의 동력을 심기부측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을, 상기 차륜 상하장치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하로 연통하는 공간부를 거쳐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이식기.
  2. 주행차륜을 가지는 주행부와, 기체를 조향조작하는 조종핸들과, 사람의 손으로 보급되는 모를 소정위치에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와, 이 모 공급장치로 소정위치에 공급되는 모를 밭에 심는 모심기 기구를 구비한 모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보다도 후측에 상기 모심기 기구를 설치함과 동시에, 당해 모심기 기구의 상방에 상기 모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이들 모심기 기구와 모 공급장치의 후방에 상기 조종핸들을 설치하며, 당해 조종핸들과 상기 주행부를 연결하는 프레임을 상기 모심기 기구의 좌우 일측쪽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KR1019980022745A 1997-09-18 1998-06-17 모이식기 KR100297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273692 1997-09-18
JP27369297A JP3860890B2 (ja) 1997-09-18 1997-09-18 苗移植機
JP27369397A JP3860891B2 (ja) 1997-09-18 1997-09-18 苗移植機
JP1997-273693 199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29A KR19990029229A (ko) 1999-04-26
KR100297525B1 true KR100297525B1 (ko) 2001-10-26

Family

ID=6590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745A KR100297525B1 (ko) 1997-09-18 1998-06-17 모이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99B1 (ko) 2013-11-15 2015-10-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정식을 위한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양파 정식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199B1 (ko) 2013-11-15 2015-10-06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정식을 위한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양파 정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29A (ko) 199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85289A (ja) 苗移植機
KR100923239B1 (ko) 복수조 이식 묘식기
KR100297523B1 (ko) 보행형모이식기
KR100297525B1 (ko) 모이식기
KR100805347B1 (ko) 복수조식 묘식기
JP3515915B2 (ja) 移植機
JP3678001B2 (ja) 苗移植機
JP3860891B2 (ja) 苗移植機
JP2000262114A (ja) 複数条植え苗移植機
JP2007312674A (ja) 苗植機
JP3860890B2 (ja) 苗移植機
JP2007043958A (ja) 植付機
JP6672965B2 (ja) 苗移植機
JP3860887B2 (ja) 苗移植機
KR100486956B1 (ko) 모 이식기
JP3634656B2 (ja) 苗移植機
JP2002262616A (ja) 苗移植機
KR100432086B1 (ko) 모종 이식기
KR101617077B1 (ko) 모종 이식기
JP4214676B2 (ja) 苗移植機
JP4796440B2 (ja) 移植機
JP4340801B2 (ja) 苗移植機
KR100432087B1 (ko) 모종 이식기
JP2009153472A (ja) 苗移植機
JPH1156031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