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382B1 - 캡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382B1
KR100285382B1 KR1019950700952A KR19950700952A KR100285382B1 KR 100285382 B1 KR100285382 B1 KR 100285382B1 KR 1019950700952 A KR1019950700952 A KR 1019950700952A KR 19950700952 A KR19950700952 A KR 19950700952A KR 100285382 B1 KR100285382 B1 KR 10028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roof ring
peeler
container
peeler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470A (ko
Inventor
끼시타까오
나까무라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요시노 쇼이치로
Publication of KR95070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3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formed separately but connected to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캡은 용기의 주둥이부에 장착되는 캡이며, 필퍼프루프기구를 구비하고, 개전완료인지 미개전인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캡에 관한 것이다. 캡은, 정상이 원통상으로 된 수지제의 캡 본체와, 캡 본체의 저부로 노출하여 부착된 수지제의 필퍼프루프환을 구비한다. 개전 후에 필퍼프루프환이 환상으로 되어 있으면, 캡이 미개전인 것으로 잘 못볼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캡에서는, 개전하면 필퍼프루프환이 도중에서 절단되어, 하나의 나선상으로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용기의 주둥이부에 부착되는 필퍼프루프 기구를 갖는 캡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용기의 주둥이부에 부착되는 수지제의 캡에는 필퍼프루프기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 여기서 필퍼프루프기구라 함은, 캡이 미개전(未開栓)인지 또는 개전(開栓)된 것인지를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종래의 필퍼프루프기구를 구비한 캡은 캡 본체부와 그 하부에 배치된 걸림편을 갖는 링부와 가는 다리부에서 둘레 방향의 몇 개소가 연결된 일체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캡은, 용기의 주둥이부에 나사맞춤 하면, 링부의 걸림편이 용기의 주둥이부의 테두리에 걸려서 부착된다.
이 캡은, 캡 본체를 개(開)방향으로 회전하면 다리부가 파단되어, 캡 본체부가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떨어져 나가게 되어, 링부만이 용기의 주둥이부에 남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캡에서는, 개전시에 용기의 주둥이부에 링부가 환상인 채로 남게 되므로, 개전 후에 재차 캡 본체부를 주둥이부에 나사를 비틀어 넣어, 떨어진 위치에서 보면, 캡 본체부와 링부가 일체화 되어 보여, 마치 미개전의 캡인 것처럼 보일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개전 또는 미개전상태를 틀림없이 확인할 수 있는 필퍼프루프기구를 갖는 캡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캡은, 병 등 용기의 주둥이부의 숫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지제의 캡이며, 개전 또는 미개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필퍼프루프기구를 갖고 있다.
캡은, 정상이 원통상인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의 저부에 부착된 필퍼프루프환을 갖는다. 캡 본체의 상부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필퍼프루프환은 (a)환체부와 (b)탄성걸림편을 구비한다.
(a) 환체부는, 환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프레임부가, 이웃끼리 종단면적이 작은 제1연접부에 의해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1연접부 중의 하나는 다른 연접부 보다도 종단면적이 작아서, 파단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체부는 둘레 방향의 복수개소가 캡 본체에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접합에는 초음파 접합법 등이 채용 가능하다. 이 접합부 중 상기 파단가능한 제1연접부의 개방향(開方向)쪽에 위치하는 접합부는, 그 이외에 위치하는 접합부 보다도 접합면적이 커서, 접합강도가 크다.
(b) 탄성걸림편은 상기 환체부의 내측에 복수로 설비되어 있다. 탄성걸림편은, 환체부에서 캡 본체의 정상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탄성걸림편의 앞부분은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직경이 확대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용기의 주둥이부의 숫나사부의 하부에 설비된 테두리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필퍼프루프환은 초음파접합에 의해서 캡 본체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단가능한 상기 하나의 제1연접부에, 종단면적을 축소한 단면축소부를 설비해두면, 이 제1연접부를 파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환체부의 프레임부에, 캡 본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기립벽부를 설비하면, 필퍼프루프환을 부착하기 쉽게 된다.
기립벽부를 각각 분리시켜 두어도 상관없으나, 서로 인접하는 기립벽부의 상부를 제2연접부에 의해서 접속하고, 전체기립벽부를 일체적으로 연접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2연접부를 파단가능하게 해둔다.
상기 제2연접부에, 종단면적을 축소한 단면축소부를 설비해 두면, 필퍼프루프환을 캡 본체에 초음파접합할 때에 제2연접부가 절단될 경우에도, 단면축소부에서만 절단하게 되어, 제2연접부가 기립벽부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연접부에 단면축소부를 설비할 경우에는, 상기 단면축소부를 제2연접부의 개방향측의 단부에 설비하는 편이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개전 후에 필퍼프루프환을 잡아당겨 제거할 때에, 제2연접부의 파단부분이 손에 찔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퍼프루프환의 환체부의 상면에, 상기 캡 본체에 대한 접합부로서의 돌기를 설비하고, 캡 본체의 하단 저면에, 필퍼프루프환의 상기 돌기가 걸리는 위치 맞춤용의 환상의 홈을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필퍼프루프환을 캡 본체에 초음파접합할 때에, 양자에 축심 엇갈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캡이 장착되는 용기의 숫나사부의 외경과 테두리의 외경을 대략 동일직경으로 하면, 캡하부(필퍼프루프환이 내장되는 부분)의 외경을 소직경으로 할 수 있다.
또, 프레임부나 탄성걸림편의 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으로 되는 캡을 용기의 주둥이부에 비틀어 넣으면, 필퍼프루프환의 탄성걸림편이 탄성적으로 직경이 확대되면서 용기의 테두리를 넘고, 넘은 후에는 오그라드러 테두리에 걸린다. 탄성걸림편이 테두리에 걸린 후는, 필퍼프루프환을 잡아 뜯지않는 한, 캡을 용기로 부터 떼낼 수 없다.
이 상태에서, 캡을 개방향으로 회전하면, 캡 본체에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동시에, 나사작용에 의한 상승력이 가해지지만, 필퍼프루프환은 탄성걸림편이 용기의 테두리에 걸려서 상방이동이 저지된다. 그 결과, 캡 본체와 필퍼프루프환과의 접합부가 파단되는 동시에, 필퍼프루프환의 제1연접부 중 사전에 파단가능하게 설정해 둔 하나가 파단된다. 다른 제1연접부와, 접합부 중의 면적이 큰 접합부는 파단되지 않는다.
또, 제2연접부를 설비한 경우에는, 캡 본체와 필퍼프루프환과의 접합부가 파단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제2연접부도 파단된다.
따라서, 필퍼프루프환은 일단을 캡 본체에 연결시킨 한개의 벨트상체로 되고, 용기의 주의 테두리를 넘어서 상승할 수 있게 되어, 캡 본체에 잡아 당겨지면서 나선상으로 끌어올려진다. 필퍼프루프환은 캡 본체와 동시에 용기로 부터 떨어져 나간다.
캡을 뗀 후에, 필퍼프루프환을 잡아당겨 큰 면적의 접합부를 파단하여, 필퍼프루프환을 캡 본체로 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필퍼프루프환을 이탈시키지 않고 캡을 재차, 주둥이부에 장착할 수도 있으나, 이미 필퍼프루프환은 나선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나선상으로 된 것을 환상으로 되돌리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미개전으로 잘못 보는 일은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캡의 조립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5(A)도는 제3도의 I-I단면도이고, 제5(B)도는 제3도의 II-II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요부확대평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요부확대평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요부확대평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에 있어서의 제1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에 있어서의 제2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캡에 있어서의 캡 본체와 필퍼프루프환과의 접합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캡 본체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캡의 조립종단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요부확대정면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에 있어서의 제2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제2연접부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정면도이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확대정면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변형예를 나타낸 요부확대정면도이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2연접부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정면도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캡에 있어서, 캡 본체로 부터 필퍼프루프환을 잡아 당기어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에 있어서의 제1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에 있어서의 제1연접부및 제2연접부의 확대정면도이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캡에 있어서의 캡 본체와 필퍼프루프환과의 접합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캡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캡 본체와 필퍼프루프환과의 접합부분의 확대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캡에 대해서 제1도 내지 제12도의 도면에 의해서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캡과 이 캡이 장착되는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캡의 조립종단면도이다.
용기(50)의 주둥이부(51)의 외주면에는, 오른쪽 나사산으로 형성된 숫나사부(52)와, 링상의 테두리(53)가 설비되어 있다. 테두리(53)의 외경은 숫나사부(52) 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캡(1)은, 수지제의 캡 본체(10)에 수지제의 필퍼프루프환(20)이 부착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제12도는 캡 본체(10)의 일부파단 정면도이다. 캡 본체(10)은 정상부(11)를 갖는 원통상으로 되고, 상부가 소직경부(12), 하부가 대직경부(13)로 되어 있다.
소직경부(12)의 내주면에는, 용기(50)의 숫나사부(52)에 나사맞춤 되는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부(12)의 내주면과 대직경부(13)의 내주면 사이의 단차면(16)으로 부터는 환상을 이룬 내링(17)이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캡 본체(10)의 정상부(11)의 내측에는 패킹(18)이 세트되어 있다.
필퍼프루프환(20)은 환체부(21)와 탄성걸림편(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은 필퍼프루프환(20)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5(A)도, 제5(B)도는 각각 제3도의 I-I단면도, 제3도 II-II단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A)도에 대응하는 부위의 평면도이고, 제7도는 제5(B)도에 대응하는 부위의 평면도이고, 제8도는 제5(A)도 및 제5(B)도에 대응하는 부위의 정면도이고, 제9도는 제1연접부(25(25A))를 중심으로 한 확대정면도이고, 제10도는 제2연접부(26)를 중심으로 한 확대정면도이다.
환체부(21)는 원호상으로 된 8개의 프레임부(22)를 환상으로 연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프레임부(22A)를 제외한 7개의 프레임부(22)에 각 2개씩 탄성걸림편(40)이 설비되어 있다.
프레임부(22 및 22A)는 종단면이 대략 L자형으로 되며, 기부(23)과 기립벽부(24)를 갖고 있다. 제5(A)도 및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로 인접하는 프레임부(22 및 22A)는, 기부(23)의 하부외측을 종단면적이 작은 제1연접부(25)에 의해서 연접되어 있고, 기립벽부(24)의 상부내측을 종단면적이 작은 제2연접부(26)에 의해서 연접되어 있다. 또, 제1연접부(25)의 종단면적은 제2연접부(26)의 종단면적 보다도 충분히 크다.
또, 프레임부(22A)와, 윗쪽에서 보아 프레임부(22A)의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부(22)와의 사이의 제1연접부(25A)는, 제5(B)도 및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다른 제1연접부(25) 보다도 종단면적이 작게 되어 있고, 제2연접부(26)의 종단면적과 동일 정도이거나 그 것 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제1연접부(25, 25A) 및, 제2연접부(26)는 각각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동일 종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걸림편(40)은 프레임부(22)의 기부(23)의 내주면에서 윗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뻗어 있고, 선단부의 내경은, 용기(50)의 숫나사부(52) 보다도 대직경이며, 테두리(53)의 외경 보다도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기부(23)의 상면에는, 둘레 방향의 4개소에 초음파접합용의 돌기(30, 30A)가 돌출 설비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4개의 돌기 중의 하나는, 탄성걸림편(40)을 갖지 않은 프레임부(22A)에 설비되어 있고, 이 프레임부(22A)에 설비된 돌기(30A)는, 그 둘레방향으로 연하여 길게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캡 본체(10)에 대한 접합면적을 크게 하였다.
나머지 3개의 돌기(30)는 상기 돌기(30A)를 기점으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90°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3개의 돌기(30)는 대략 원추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둘레방향으로 연하는 길이는 돌기(30A)에 비해서 매우 짧아, 캡 본체(10)에 대한 접합면적은 작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30)의 형상을 대략 원추형상으로 하였으나,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퍼프루프환(20)은, 제2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벽부(24)를 캡 본체(10)의 대직경부(13)의 내주면과 내측링(17)과의 사이에 삽입하고, 기부(23)를 캡 본체(10)로 부터 노출시킨 상태이고, 4개의 돌기(30, 30A)를 캡 본체(10)의 대직경부(13)의 단차저면(19)의 내측단차면(하단저면)(19a)에 초음파 접합함으로써, 캡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즉, 필퍼프루프(20)은, 돌기(30, 30A)를 접합부로서 캡 본체(10)에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돌기(30A)는 그 둘레방향의 길이를 돌기(30) 보다도 길게 하여 접합면적을 크게 하고 있기 때문에, 돌기(30A)에 의한 접합부의 접합강도는, 다른 돌기(30)에 의한 접합부의 접합강도 보다도 크다. 이에 대하여, 다른 3개의 돌기(30)는 점접함으로 되어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캡(1)을 용기(50)의 주둥이부(51)에 장착할 경우에는, 캡(1)을 주둥이부(51)에 비틀어 넣는다. 주둥이부(51)가 막히기 전에, 필퍼프루프환(20)의 탄성걸림편(40)이 용기(50)의 테두리(53)에 접촉하지만, 탄성걸림편(40)은 탄성에 의해 직경이 확대되면서 테두리(53)를 넘는다. 테두리(53)을 넘은 탄성걸림편(40)은 재차 직경이 축소되어, 그 선단이 테두리(53)에 걸려서 멈추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그 직후에, 주둥이부(51)의 선단면이 캡(1)의 패킹(18)에 압압접촉하여, 주(51)가 막히게된다. 제2도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이 캡(1)은 간단하게 용기(50)에 장착할 수 있다.
캡(1)이 미개전 상태인 것은, 필퍼프루프환(20)이 환상을 이루어 캡 본체(10)에 일체화 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캡(1)을 개전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된다. 캡(1)을 개방향으로 회전하여도, 탄성걸림편(40)이 용기(50)의 테두리(53)에 맞부딪치기 때문에, 필퍼프루프환(20)은 윗쪽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것에 맞서서 캡(1)을 개방향으로 회전하면, 캡 본체(10)에는 회전력이 가해지는 동시에, 나사작용에 의한 상승력이 가해진다. 이들 힘에 의해서, 캡 본체(10)와 필퍼프루프환(20)과의 접합부 중 돌기(30)의 접합부가 파단되고, 이와 거의 동시에, 필퍼프루프환(20)의 제1연접부(25A)와 제2연접부(26)가 파단된다. 다른 제1연접부(25)와, 접합면적이 크게 된 돌기(30A)에 있어서의 접합부는 이 때에는 파단되지않는다.
그 결과, 필퍼프루프환(20)은, 일단을 돌기(30A)의 접합부에 의해서 캡 본체(10)에 연결된 하나의 벨트상으로 되며, 또한 각 제1연접부(25)를 굴곡점으로 하여 자유로히 구부러지게 된다. 캡 본체(10)의 상승에 수반되어, 필퍼프루프환(20)은 나선상으로 되어 용기(50)의 테두리(53)의 외측을 통하여, 주둥이부(51)를 올라가서, 캡 본체(10)와 함께 용기(50)으로 부터 떨어져 나간다.
그 후, 필퍼프루프환(20)을 캡 본체(10)에 부착한 상태로 해 둘 수도 있으나, 필퍼프루프환(20)을 강하게 잡아당겨서, 돌기(30A)에 의한 접합부도 파단하여 캡 본체(10)으로 부터 이탈할 수도 있다.
필퍼프루프환(20)이 캡 본체(10)로 부터 이탈하면, 캡 본체(10)를 재차 용기(50)의 주둥이부(51)에 비틀어 넣어도, 필퍼프루프환(20)이 없음으로써, 캡(1)이 개전완료 상태임을 한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필퍼프루프환(20)이 장치되어 있는 캡 본체(10)를 재차 주둥이부(51)에 비틀어 넣는 경우에 있어서도, 필퍼프루프환(20)은 이미 환상으로 되어 있지 않고 나선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나선상으로 된 상태를 환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캡(1)이 개전완료임을 한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미개전으로 잘못 보는 일은 없다.
[제2실시예]
제13도는 본 발명의 캡(1)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2도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 이 제2실시예의 캡(1)이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1실시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겠다.
이 캡(1)의 캡 본체(10)에는 내측링(17)이 없다. 한편, 용기(50)의 테두리(53)의 외경은 숫나사부(52)의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2실시예의 캡(1)은, 캡(1) 본체의 하부이며 필퍼프루프환(20)이 내장되는 부분의 외경을, 제1실시예의 것 보다도 소직경으로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14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캡(1)의 제3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제14도는 제8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필퍼프루프환(20)의 부분정면도이고, 제15도는 제2연접부(26)의 확대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20)에 있어서는, 제2연접부(26)의 우단부에 단면축소부(26a)가 설비되어 있다. 이 단면축소부(26a)의 저면은 개방향을 향해서 오름 구배로 되어 있고, 그 종단면적은 제2연접부(26)의 좌측부분 보다도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연접부(26)에 단면축소부(26a)를 설비한 점이 제1실시예와의 상이한 점이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다.
단면축소부(26a)를 설비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필퍼프루프환(20)을 캡 본체(10)에 초음파 접합할 때, 그 진동에 의해서 제2연접부(26)가 파단될 경우가 있다.
그 때,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제2연접부(26)의 종단면적이 전장에 걸쳐서 동일하게 되어 있으면, 제2연접부(26)의 좌우양단이 파단되고, 그 파단편이 필퍼프루프환(20)으로 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 제2연접부(26)의 파단편이 캡(1)에 남은 채로 되어 있으면, 캡(1)을 용기(50)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파단편이 캡(1)으로 부터 탈락하여 용기(50) 내로 혼입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2연접부(26)에 단면축소부(26a)를 설비해두면, 초음파접합을 행하였을 때에 제2연접부(26)가 파단된다고 해도 단면축소부(26a)만이 파단하게 되고, 제2연접부(26)의 좌측부분은 파단되지않고 기립벽부(24)에 연결된 상태대로 보지된다. 제16도는 단면축소부(26a)가 파단된 상태를 나타낸 필퍼프루프환(20)의 개략부분 정면도이다.
그 결과, 제2연접부(26)가 필퍼프루프환(20)으로 부터 탈락하지 않고, 용기(50) 내로 혼입되는 일도 없다.
제17도 및 제18도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15도에 대응한 제2연접부(26)의 확대정면도이다. 제17도는 단면축소부(26a)를 제2연접부(26)의 좌단부에 설비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제18도는 단면축소부(26a)를 제2연접부(26)의 중앙에 설비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면축소부(26a)를 이와 같이 배치하여도, 제2연접부(26)를 필퍼프루프환(20)으로 부터 탈락불능으로 할 수 있다.
제19도는, 단면축소부(26a)를 제2연접부(26)의 좌단부에 설비한 경우에, 단면축소부(26a)가 파단된 후의 필퍼프루프환(26)의 개략부분정면도이다.
또, 용기(50)에 장착된 캡(1)을 개전한 후에, 필퍼프루프환(20)을 캡 본체(10)로 부터 이탈시킬 때에는, 제20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필퍼프루프환(20)을 잡아당김으로, 제15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면축소부(26a)를 제2연접부(26)의 우단부에 설비한 편이, 제2연접부(26)의 파단부가 손에 찔리지 않게 되어,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 하다.
[제4실시예]
제21도는 본 발명의 캡(1)의 제4실시예의 도면을 나타낸 것이며, 필퍼프루프환(20)의 제1연접부(25A)의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필퍼프루프환(20)에 있어서는, 파단가능한 제1연접부(25A)의 우단부에 단면축소부(25a)를 설비하고 있다. 이 단면축소부(25a)의 상면은 개방향을 향해서 내림 구배로 되어 있고, 그 종단면적이 제1연접부(25A)의 좌측부분 보다도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연접부(25A)에 단면축소부(25a)를 설비한 점이 제1실시예와 상이점이고, 절단불능인 제1연접부(25)를 포함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다.
단면축소부(25a)를 설비함으로써, 제1연접부(25A)를 파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제2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면축소부(25a)를 제1연접부(25A)의 좌단부에 설비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술한 바와같이 우단부에 설비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용기(50)의 숫나사부(52) 및 캡 본체(10)의 암나사부(14)가 오른 쪽나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용기(50)에 장착된 캡(1)을 개전할 때에는, 제1연접부(25A)의 오른 쪽의 프레임부(22A)는 캡 본체(10)과 함께 윗쪽으로 들어 올려져서, 제1연접부(25A)의 좌측의 프레임부(22)는 용기(50)의 테두리(53)에 걸려 멈추게 되므로, 제1연접부(25A)의 우단부에는 도면 중 화살표(F1)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향의 힘이 작용하고, 제1연접부(25AI)의 좌단부에는 도면 중화살표(F2)로 나타낸 것과 같이 하향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같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제2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단면축소부(25a)를 제1연접부(25A)의 우단부에 설비한 편이, 제2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단부에 설비하는 것 보다도, 단면축소부(25a)가 찢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제5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연접부(26)는, 필퍼프루프환(20)을 캡 본체(10)에 초음파접합할 때에, 절단되는 일도 있으나, 절단되지않는 경우도 있다. 초음파접합시에 제2연접부(26)가 절단되지 않는 경우를 고려하면, 제2연접부에도 단면축소부를 설비하여 절단되기 쉽도록 해두는 것이 좋다.
제5실시예는, 제1연접부(25A)와 제2연접부(26)의 양방으로 각각 단면축소부(25a, 26a)를 설비한 것이다. 제23도는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필퍼프루프환(20)의 제1연접부(25A) 및 제2연접부(26)의 확대정면도이다.
제1연접부(25A)의 단면축소부(25a)의 상면은 개방향쪽을 향해서 내림구배로 되어 있고, 단면축소부(26a)의 하면은 개방향쪽을 향해서 내림구배로 되어 있어, 어느 단면축소부(25a, 26a)도, 그 종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똑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겠다.
단면축소부(25a)를 제1연접부(25A)의 우단부에 설비하는 편이 좋은 것은 제4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그러나, 제5실시예의 경우에는, 단면축소부(26a)는 제2연접부(26)의 좌단부에 설비한 편이 좋다. 그 이유는,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2연접부(26)의 양단부에 작용하는 힘 (F1, F2)의 방향의 관계에서, 단면축소부(26a)를 찌어지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이다.
[제6실시예]
제24도는 본 발명의 캡(1)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캡 본체(10)과 필퍼프루프환(20)과의 접합부분의 확대단면도(제1실시예의 제11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캡 본체(10)의 대직경부(13)의 내측 단차면(19a)이 평탄하게 되어 있고, 이 내측단차면(19a)에 필퍼프루프환(20)의 4개의 돌기(30, 30A)를 맞부딪치게 한 상태로, 이 돌기(30,30A)를 내측단차면(19a)에 초음파 접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조립작업성의 면에서, 캡 본체(10)과 필퍼프루프환(20)과의 사이에 직경방향의 간극을 설비하고 있다.
그러나, 제1실시예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초음파접합시에 진동에 의해서 캡 본체(10)과 필퍼프루프환(20)의 축심이 엇갈릴 우려가 있다. 양자의 축심이 엇갈리면, 캡(1)의 용기(50)에 장착시나 캡(1)의 개전시에 불편하게 되는 일이 있다.
제6실시예에서는 제2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캡 본체(10)의 내측단차면(19a)에, 돌기(30, 30A)를 걸어 맞출 수 있는 위치맞춤용의 환상의 홈(19b)를 설비하였다. 환상의 홈(19b)는 내측단차면(19a)을 일주하고 있다.
돌기(30, 30A)를 환상의 홈(19b)에 걸어맞춘 상태로 초음파 접합하면, 초음파접합시에 캡 본체(10)과 필퍼프루프환(20)이 직경방향으로 상대이동 불능으로 되어, 축심의 엇갈림이 생기지않는다.
제25도는 제6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필퍼프루프환(20)의 기립벽부(24)의 외주면 하부에, 보조위치 맞춤돌기(24a)를 설비한 것이다. 보조위치 맞춤돌기(24a)는 기립벽부(24)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어, 보조위치 맞춤돌기(24a)의 외면과 캡 본체(10)의 대직경부(1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캡은 개전완료인지 또는 미개전인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쥬스나 청량음료수 등의 식료품을 충전한 용기에 장착되는 캡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용기의 주둥이부에 나사맞춤하여, 개전 또는 미개전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필퍼프루프기구를 갖는 수지제의 캡에 있어서, 정상이 원통상으로 된 수지제의 캡 본체의 상부 내주면에, 용기의 주둥이부의 숫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캡 본체의 저부에 수지제의 필퍼프루프환이 노출되어서 부착되어 있고, 이 필퍼프루프환은 다음의 (a)환체부와 (b) 탄성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인 캡.
    (a) 환체부는, 복수의 프레임부가 제1연접부에 의해서 환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제1연접부 중의 하나는 다른 제1연접부 보다도 종단면적이 작아서 파단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환체부는 둘레방향으로 복수개소가 캡 본체에 부분적으로 접합되고, 상기 파단가능한 제1연접부의 개방향측에 위치하는 접합부가 다른 접합부 보다도 접합면적이 크게 되어 있다.
    (b) 탄성걸림편은, 상기 환체부의 내측에 복수 설비되어 있고, 환체부로 부터 캡 본체의 정상부를 향해서 경사지게 내측으로 뻗으며, 직경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용기의 주둥이부의 숫나사부의 하부에 설비한 테두리에 대해서 걸어멈춤가능하게 되어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필퍼프루프환이 초음파접합에 의해서 캡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3. 제1항에 있어서, 파단가능하게 된 상기 하나의 제1연접부에, 종단면적을 축소한 단면축소부가 설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체부의 프레임부가, 캡 본체의 하부 내측에 삽입되는 기립벽부를 갖는 것이 특징인 캡.
  5.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기립벽부의 상부가 제2연접부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접부에 종단면적을 축소한 단면축소부가 설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축소부가 제2연접부의 개방향측 단부에 설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퍼프루프환의 환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캡 본체에 대한 접합부로서의 돌기가 설비되고, 캡 본체의 하단 저면에는, 필퍼프루프환의 상기 돌기가 걸리는 위치 맞춤용의 환상의 홈이 설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캡.
  9. 제1항에 있어서, 용기의 숫나사부의 외경과 테두리의 외경이 대략 동일 직경인 용기에 부착되는 것이 특징인 캡.
KR1019950700952A 1993-07-19 1994-07-18 KR100285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78267 1993-07-19
JP17826793 1993-07-19
JP94-129235 1994-06-10
JP6129235A JP3051637B2 (ja) 1993-07-19 1994-06-10 キャップ
PCT/JP1994/001174 WO1995003224A1 (fr) 1993-07-19 1994-07-18 Bouch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470A KR950703470A (ko) 1995-09-20
KR100285382B1 true KR100285382B1 (ko) 2001-11-22

Family

ID=2646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952A KR100285382B1 (ko) 1993-07-19 1994-07-18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82308A (ko)
EP (1) EP0661215B1 (ko)
JP (1) JP3051637B2 (ko)
KR (1) KR100285382B1 (ko)
CN (1) CN1037252C (ko)
AU (1) AU677083B2 (ko)
CA (1) CA2144857C (ko)
DE (1) DE69420690T2 (ko)
WO (1) WO1995003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0859D0 (en) * 1994-10-12 1994-11-30 Metal Box Plc Tamper-evident closures for containers
IT1287401B1 (it) * 1996-02-29 1998-08-06 Bormioli Metalplast Spa Capsula per la chiusura di contenitori
JP2933308B2 (ja) * 1996-12-03 1999-08-09 聖次 西原 合成樹脂製の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US7344039B2 (en) * 1998-08-07 2008-03-18 Berry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band having foldable tabs including tab extensions, tamper indicating closure including such tamper indicating band, and tamper indicating closure including such tamper indicating band and container
US6371317B1 (en) 1998-08-07 2002-04-16 Kerr Group, Inc. Tamper indicating closure with foldable tab
US6382444B1 (en) * 1999-03-17 2002-05-07 Sentinel Packaging Systems, Inc. Tamper-evident plastic closure system with snap-on band
KR100553806B1 (ko) * 2002-09-27 2006-02-2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CN100436276C (zh) * 2002-12-27 2008-11-26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安全瓶盖
JP4578064B2 (ja) * 2003-05-02 2010-11-10 株式会社細川洋行 口栓部の構造
FR2865461B1 (fr) * 2004-01-27 2007-04-27 Plasturgie Haute Performance P Bouteille en verre munie d'un bouchon a vis
US7735664B1 (en) * 2006-04-18 2010-06-15 Portola Packaging, Inc. Tapered thread structure
JP4795104B2 (ja) * 2006-04-28 2011-10-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US20100233394A1 (en) * 2006-12-13 2010-09-16 Bormioli Rocco & Figlio S.P.A. Process for making plastic closures and closure
US9801969B2 (en) * 2011-03-25 2017-10-31 Szent Bev Co. Scented attachment for containers
CN104879552A (zh) * 2015-05-11 2015-09-02 奥可利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电磁阀双针保护套
MX2016005037A (es) * 2016-04-19 2017-10-18 Francisco Salcido Piñera Juan Sistema y dispositivos de cierre de seguridad para envases.
JP7081986B2 (ja) * 2018-06-05 2022-06-07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22538951A (ja) * 2019-06-26 2022-09-07 ミソジウム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エンドリング同時分離型ペット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26744B2 (en) * 1967-12-07 1972-08-01 Containers Limited Pilfer-proof clos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AU485188B2 (en) * 1973-12-11 1975-06-12 Metal Closures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sure seals
IT1011550B (it) * 1974-03-07 1977-02-10 Piergiacomo A Di Dispositivo di chiusura per botti glie con sigillo di garanzia
DE2904181A1 (de) * 1979-02-05 1980-08-14 Merck Patent Gmbh Schraubverschlussanordnung
CH653307A5 (de) * 1981-12-11 1985-12-31 Walter Wiedmer Schraubverschluss mit garantiestreifen fuer behaelter.
GB8324789D0 (en) * 1983-09-15 1983-10-19 United Glass Ltd Closures for containers
JPS6147350A (ja) * 1984-08-02 1986-03-07 株式会社 柴崎製作所 ピルフア−プル−フ部材付キヤツプの製造方法
US4720018A (en) * 1986-01-31 1988-01-19 H-C Industries, Inc. Scoring arrangement for a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GB2186272B (en) * 1986-02-10 1990-01-24 United Glass Ltd Closure devices
DE3613782A1 (de) * 1986-04-23 1987-10-29 Vaw Folien Verarb Gmbh Sicherungsring fuer flaschen-, weithals- o.ae. behaelterverschluesse
DE3762328D1 (de) * 1986-07-11 1990-05-23 Interplastic Ag Sicherheitsband an einem gebindeverschluss.
US4700859A (en) * 1986-08-11 1987-10-20 Owens-Illinois Closure Inc. Tamper indicating closure
GB8623065D0 (en) * 1986-09-25 1986-10-29 Nat Plastics Ltd Guarantee band for container closure
US4919285A (en) * 1988-05-11 1990-04-24 Thoroughbred Plastics Corp. Tamper evident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he same
US5080246A (en) * 1989-09-01 1992-01-14 Anchor Hocking Packaging Company Closure having a spring open tamper evidencing band
NO911503L (no) * 1990-04-27 1991-10-28 Crown Cork Ag Skrukappe med et garantibaand som er utvidbart ved foerstegangs oppskruing.
US5135123A (en) * 1990-09-20 1992-08-04 Phoenix Closures, Inc. Tamper-evident closure with a separately formed break away band
DE4201997C1 (ko) * 1992-01-25 1992-12-10 Stella Kunststofftechnik Gmbh, 6228 Eltville,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3A (zh) 1995-11-29
AU7195394A (en) 1995-02-20
CN1037252C (zh) 1998-02-04
KR950703470A (ko) 1995-09-20
DE69420690T2 (de) 2000-05-04
EP0661215A4 (en) 1997-07-23
JP3051637B2 (ja) 2000-06-12
WO1995003224A1 (fr) 1995-02-02
CA2144857A1 (en) 1995-02-02
US5582308A (en) 1996-12-10
EP0661215A1 (en) 1995-07-05
EP0661215B1 (en) 1999-09-15
JPH0789561A (ja) 1995-04-04
DE69420690D1 (de) 1999-10-21
AU677083B2 (en) 1997-04-10
CA2144857C (en) 2004-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382B1 (ko)
EP0508396B1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US4709823A (en) Tamper evident bottle or package closure
JP6230447B2 (ja) 抜栓キャップ
US5224616A (en) Non-replaceable snap on cap for school milk bottles
EP0842862B1 (en) Snap-on/screw-off cap and neck configuration
JPS6034346A (ja) 固定リングを備えたねじ込蓋
KR960000725A (ko) 플라스틱 용기 뚜껑 및 그 제조 방법
US5167335A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US5823377A (en) Screw cap having a tamper resistant connection to a plastic container
JPH03133750A (ja) 閉鎖部材
US20050242054A1 (en) Tamper-evident quick twist closure
EP3372520A1 (en) Unit comprising a stopper and stopper-locking cap for shipping sparkling wines
US4629082A (en) Bottle stopper
US20050115917A1 (en) Sealing device, receptacle fitted with one such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GB2242678A (en) Non-resealable dispenser cap assembly
KR960034023A (ko) 수지제 캡
US5119963A (en) Mechanical button and button enhancement techniques
IES930009A2 (en) Threaded plastic component for placement on a tube neck
AU705426B2 (en) Plastic closure cap
US5779076A (en) Plastic cap
US20020096485A1 (en) Tamper ring locking tab construction
JPH0375424B2 (ko)
JP4171605B2 (ja) 紙パック用スパウト
WO1999038780A1 (en) Tamper-indicating plastic closure having pilfer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