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06B1 -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 Google Patents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06B1
KR100553806B1 KR1020030030902A KR20030030902A KR100553806B1 KR 100553806 B1 KR100553806 B1 KR 100553806B1 KR 1020030030902 A KR1020030030902 A KR 1020030030902A KR 20030030902 A KR20030030902 A KR 20030030902A KR 100553806 B1 KR100553806 B1 KR 10055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ing body
container
ring
contain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281A (ko
Inventor
니시다류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40027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3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formed separately but connected to the 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901Tamper-resistan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미개봉된 상태에서의 캡의 외관을 이 미개봉된 상태인 것임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하면서도 깔끔하고 세련된 형태가 갖춰지도록 한다.
(해결수단) 캡 본체(1)는 용기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개구(Yb)를 그 폐색된 상단에 의해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체(2)는 그 내주부에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하단측 외주에 형성된 빠짐규제 돌출부(Yd)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20)을 가지고 있다. 캡 본체(1)와 링체(2)는, 이들 캡 본체(1)와 링체(2)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1)의 하단측의 내면에 상기 링체(2)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캡 본체(1)의 하단측에는 상기 링체(2)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창구멍(16,16,…)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BOTTLE-SHAPED CONTAINER CAP}
도 1은 캡(Cp) 및 용기(Y)의 입구부(Ya)의 단면도
도 2는 캡(Cp) 및 용기(Y)의 입구부(Ya)의 단면도(밀봉상태)
도 3은 캡(Cp) 및 용기(Y)의 입구부(Ya)의 단면도(개봉상태)
도 4는 캡(Cp)의 정면도
도 5은 캡(Cp)의 평면도
도 6은 캡(Cp)의 저면도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링체(2)의 평면도
도 10은 링체(2)의 측면도
도 11은 링체(2)의 측면도(도 10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p - 캡 Y - 용기
Ya - 입구부(용기 입구부) Yb - 개구
Yd - 빠짐규제 돌출부 1 - 캡 본체
16 - 창구멍 2 - 링체
20 - 걸어맞춤편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부에 나사식 체결됨에 의해서 상기 입구부의 개구를 밀봉함과 아울러, 나사식 체결된 캡의 최초의 개방조작에 의해서 상기 캡의 일부를 분리시킴으로써, 그 후에는 상기 용기가 이미 개봉된 것임을 인식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캡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용기의 입구부에 나사식 체결됨에 의해서 상기 입구부의 개구를 밀봉함과 아울러, 나사식 체결된 캡의 최초의 개방조작에 의해서 상기 캡의 일부를 분리시킴으로써, 그 후에는 상기 용기가 이미 개봉된 것임을 인식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캡으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캡은 캡 본체와 링체로 구성되어 있다. 링체에는 캡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와, 병체의 입구부의 하단측에 형성된 돌조의 하면에 걸리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다. 링체의 걸어맞춤돌기는 주회(周回)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캡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를 외측에서 덮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단차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이 걸어맞춤상태에서는 링체의 걸어맞춤돌기가 내측을 향해서 굴곡되어 있다. 병체의 입구부에서 캡을 최초로 떼어내는 개방조작을 하면, 캡 본체만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단차부와 걸어맞춤돌기의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 걸어맞춤상태가 해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그 굴곡상태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그 후 걸어맞춤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내측을 향해서 다시 굴곡된 상태로 되돌아 오기 때문에, 링체의 걸어맞춤돌기가 다시 캡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를 외측에서 덮을 수 없게 되며, 따라서 병체의 입구부에서 캡이 적어도 한 번 개방된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보 제2561260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캡에서는, 병체의 입구부에서 캡을 한 번도 개방하지 않은 미개봉된 상태에서는 링체의 걸어맞춤돌기가 캡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를 외측에서 덮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병체가 한 번도 개방되지 않은 미개봉된 상태인 것임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이 미개봉된 상태에서의 캡의 외관을 깔끔하고 세련된 형태로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상기 캡이 이용되는 용기의 의장성을 크게 확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캡에서는, 링체의 걸어맞춤돌기가 주회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 본체와 링체가 분리된 후, 상기 링체의 내측에 드라이버 등의 선단을 끼우고서 상기 걸어맞춤돌기를 그 굴곡상태가 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킴과 동시에, 이 탄성변형된 걸어맞춤돌기의 내측으로 상기 캡 본체의 외주면 하단부를 끼워넣어서 다시 상기 단차부에 상기 걸어맞춤돌기가 걸어맞춰진 상태를, 즉 미개봉된 상태를 다시 작위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 비교적 용이한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류의 캡에 있어서, 미개봉된 상태에서의 캡의 외관을 이 미개봉된 상태인 것임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하면서도 깔끔하고 세련된 형태가 갖춰지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이 이하의 (1) 내지 (7)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으로서,
(2) 상단이 폐색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을 이루는 캡 본체와,
(3) 링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4) 캡 본체는 통형상을 이루는 용기 입구부에 나사식 체결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의 개구를 그 폐색된 상단에 의해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5) 링체는 그 내주부에 상기 용기 입구부의 하단측 외주에 형성된 빠짐규제 돌출부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으며,
(6) 캡 본체와 링체는 이들 캡 본체와 링체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내면에 상기 링체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7) 캡 본체의 하단측에는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링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창구멍이 상기 캡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에 캡 본체를 나사식 체결함과 아울러 빠짐규제 돌출부의 하측에 링체의 걸어맞춤편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캡 본체를 용기 입구부에서 떼어내도록 개방조작하면, 즉 상기 나사식 체결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캡 본체를 비틀어 돌리는 개방조작을 하면, 캡 본체는 점차 용기 입구부의 상측을 향해서 전진하지만, 링체는 그 걸어맞춤편이 빠짐규제 돌출부에 걸어맞춰진 위치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개방조작에 따라서 캡 본체와 링체의 접촉 경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양자가 분리됨으로써, 링체가 상기 용기 입구부의 하단측에 캡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로 항시 남겨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 입구부에서 캡이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된 것임을, 이 개방조작 이후에 용기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항시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캡 본체와 링체는, 이들 캡 본체와 링체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내면에 링체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일부가 분리되는 기능을 구비한 캡을 용이하고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큰 염회력(捻回力:비틀어 돌리는 회전력)이 캡 본체에 작용하지 않는 한 캡 본체가 용기 입구부에서 개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용기가 예기치않게 개봉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캡 본체와 링체는 상기 성형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과대한 염회력을 캡 본체에 작용시키지 않더라도 양자를 분리시키면서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를 떼어낼 수 있는, 즉 용기를 최초로 개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링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에서 분리될 때까지는 이 캡 본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용기 입구부의 외관을 깔끔하고 세련되게 할 수 있다.
또, 캡 본체의 하단측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는 링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창구멍이 상기 캡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에서 적어도 한 번은 캡 본체가 개방되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가 개방되지 않았다면, 링체가 캡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창구멍을 통해서 링체를 볼 수 있다. 즉, 캡 본체의 내측에 링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가 한 번도 개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창구멍은 캡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를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용기 입구부에서 적어도 한 번 캡 본체가 개방되었다면, 캡 본체와 링체가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창구멍을 통해서 캡 본체의 내측에 링체가 없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가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외주부에 상기 캡 본체의 상단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지느러미형상체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느러미형상체가 상기 캡 본체의 후육부(厚肉部:두께가 두꺼운 부분) 내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로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링체가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느러미형상체의 돌출단부 측이 상기 캡 본체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를 최초로 개방함에 따라서, 상기 캡 본체의 후육부 내에서 지느러미형상체가 빠지면서 상기 캡 본체와 링체가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캡 본체와 링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양자를 다시 본래의 일체화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빠져버린 지느러미형상체를 캡 본체의 후육부 내에 다시 끼워넣을 필요가 있게 되는데, 상기 지느러미형상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상기 지느러미형상체를 다시 끼워넣는 것은 그리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결과, 용기 입구부에서 적어도 한 번 캡 본체를 개방한 후에는, 이 개방에 의해서 분리된 캡 본체와 링체를 다시 본래의 일체화된 상태로 되돌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를 적어도 한 번 개방한 사실, 즉 용기가 적어도 한 번 개봉된 사실을 감추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와 링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캡 본체를 용기 입구부에 나사식 체결하는 조작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캡 본체와 링체가 본래와 같이 일체화되는 사태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걸어맞춤편은,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캡 본체를 나사식 체결하여 감에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선단이 상기 용기 입구부의 외면 및 빠짐규제 돌출부에 맞닿아서 눌려짐으로써 상기 캡 본체의 상단측을 향해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캡 본체를 완전히 나사식 체결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선단이 상기 빠짐규재 돌출부를 타고 넘음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캡 본체와 이 캡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된 링체로 이루어지는 캡을 용기 입구부에 최초로 나사식 체결함으로써, 캡 본체를 용기 입구부에 고정하여 이 용기 입구부의 개구를 밀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링체의 걸어맞춤편을 빠짐규제 돌출부에 하측에서 적절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 및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에 있어서, 상기 링체가 박육부(薄肉部:두께가 얇은 부분)를 통해서 서로 연접된 2개 이상의 링구성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항시 용기 입구부 측에 남겨지는 링체를 주로 용기의 파기시에 용기 입구부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즉, 용기 입구부에서 캡 본체를 떼어낸 후, 상기 용기 입구부에서 링체(2)를 빼낼 수 있도록 이 링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듯이 조작하면, 상기 박육부를 중심으로 하여 링구성체의 하단측이 외측방향으로 넓혀지도록 링체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링체가 변형되면, 이 링체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그 선단이 빠짐규제 돌출부의 하측에 걸어맞춰지도록 캡 본체의 상단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편의 돌출방향과 캡 본체의 축이 이루는 각도가 약간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편이 빠짐규제 돌출부로의 눌림에 의해서 하측으로 휨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한 상태에서 링체를 계속해서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걸어맞춤편이 휨변형되면서 빠짐규제 돌출부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링체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시 용기 입구부 측에 남겨지는 링체를 주로 용기의 파기시에 용기 입구부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캡(Cp)을 용기(Y)의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 2는 캡(Cp)을 용기(Y)의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한 용기(Y)의 밀봉상태를,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캡 본체(1)를 떼어낸 용기(Y)의 개봉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상기한 캡(Cp)을 나타내고 있고, 도 9 내지 도 11은 캡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며, 상기 캡 본체(1)와 함께 상기한 캡(Cp)을 구성하는 링체(2)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캡(Cp)은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Y)의 입구부(Ya){이하, 설명의 편의상 '용기 입구부(Ya)'라고도 한다}에 나사식 체결됨에 의해서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개구(Yb)를 밀봉함과 아울러, 나사식 체결된 캡(Cp)의 최초의 개방조작에 의해서 캡(Cp)의 일부를 분리시킴으로써, 그 후에는 상기 용기(Y)가 이미 개봉된 것임을 확실하게 인식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캡(Cp)은 봉입물이 담겨진 용기(Y)의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됨에 의해서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개구(Yb)를 밀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캡(Cp)이 나사식 체결된 용기(Y)가 사용자에 의해서 최초로 개방조작된 때에, 상기 캡(Cp)에서 그 일부를 분리시켜서 용기 입구부(Ya) 측에 남김과 아울러 용기 입구부(Ya)의 개구(Yb)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캡(Cp)의 최초의 개방조작 후에는 용기 입구부(Ya)에 대해서 몇 번이고 캡(Cp)을 체결하거나 개방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캡(Cp)에서 분리된 그 일부가 항시 용기 입구부(Ya) 측에 남겨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Y)로서는 각종 식품, 조미료, 음료, 약품 등의 포장용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Y)가 예정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Y)의 입구부(Ya)로서는 병의 주둥이를 예정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용기(Y)로서는 유리제, 도자기제, 금속제, 플라스틱제 등의 각종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Y)를 예정하는 것이다.
상기 캡(Cp)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캡(Cp)은 캡 본체(1)와 링체(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 입구부(Ya)에서의 최초의 캡(Cp)의 개방조작에 의해서 상기 링체(2)가 상기 캡 본체(1)에서 분리되어 용기 입구부(Ya) 측에 남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캡(Cp)은 통형상을 이루는 용기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캡 본체(1)는 그 내측에 용기 입구부(Y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링체(2)도 그 내측에 용기 입구부(Ya)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을 이루는 용기 입구부(Ya)의 상단에는 개구(Y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형상을 이루는 용기 입구부(Ya)의 하단이 용기(Y)의 본체부와 일체가 되도록 연접됨으로써, 전체로서 상단에 개구(Yb)를 구비한 용기(Y)가 형성된다.
캡 본체(1)는 상단이 폐색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캡 본체(1)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 본체(1)의 하단부는 다른 부분보다도 지름이 약간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외면 모두를 다른 부분의 내외면보다도 외측에 위치시킨 스커트형상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이하, 상기 캡 본체(1)에 있어서의 큰 지름으로 된 하단부를 스커트형상부(10)라 하고, 캡 본체(1)에 있어서의 상기 스커트형상부(1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을 캡 본체(1)에 있어서의 원통형상부(11)라 한다}.
상기 스커트형상부(10)와 상기 원통형상부(11)의 사이에는, 캡 본체(1)의 내측에 있어서 캡 본체(1)의 하단측을 향하는 내주측 단차면(12)과, 캡 본체(1)의 외측에 있어서 캡 본체(1)의 상단측을 향하는 외주측 단차면(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캡 본체(1)의 외측에 형성된 외주측 단차면(13)은 상기 캡 본체(1)의 상단측에서 하단측을 향하여 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캡 본체(1)에 대해서 링체(2)는, 이 링체(2)에 있어서의 상기 캡 본체(1)의 상단을 향하는 단면이 상기 내주측 단차면(12)에 밀착되고, 또한 이 링체(2)의 외면(즉, 외주면)이 스커트형상부(10)의 내면(즉,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도록, 캡 본체(1)와 링체(2)가 후술하는 성형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또, 캡 본체(1)의 원통형상부(11)의 내주면에는 이 캡 본체(1)의 축을 에워싸는 나선형상의 암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 본체(1)는 용기 입구부(Ya)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Yc)에 상기 암나사부(14)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용기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링체(2)는 그 축방향으로의 높이치수가 작은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체(2)는 그 축방향으로의 최대 높이치수가 상기 캡 본체(1)의 내주측 단차면(12)과 상기 캡 본체(1)의 하단과의 사이의 치수와 거의 같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체(2)는 그 내주부에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하단측 외주면에 형성된 빠짐규제 돌출부(Yd)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20)을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용기 입구부(Ya)에 있어서의 수나사부(Yc)의 형성개소의 하측에 이 용기 입구부(Ya)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턱형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턱형상부에 의해서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편(20)은 상기 링체(2)의 내주부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어맞춤편(20)은 상기 링체(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턱형상체(21)에 대해서 상기 링체(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거의 같은 간격으로 상기 턱형상체(21)의 선단에서 기부에 이르는 절결부(22)를 복수개 형성함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인접하는 절결부(22,22) 사이에 1개의 걸어맞춤편(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걸어맞춤편(20,20,…)은, 용기 입구부(Ya)에 캡(Cp)을 나사식 체결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체(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비스듬히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의 걸어맞춤편(20,20,…)은 그 선단을 지나는 가상의 원의 직경이 상기 용기 입구부(Ya)에 있어서의 수나사부(Yc)의 형성개소의 최대 지름보다 작고, 또한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의 형성개소의 지름보다도 작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체(2)의 걸어맞춤편(20)은, 상기 용기 입구부(Ya)에 대해서 상기 캡 본체(1)를 나사식 체결하여 감에 따라서 우선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외면에 맞닿아서 눌려짐으로써, 걸어맞춤편(20)의 선단이 상기 캡 본체(1)의 상단측을 향하는 상태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걸어맞춤편(20)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용기 입구부(Ya)에 대해서 상기 캡(Cp)을 최초로 나사식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용기 입구부(Ya)에 대해서 상기 캡 본체(1)를 더 나사식 체결하여 가면, 상기 링체(2)의 걸어맞춤편(20)이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에 의해서도 계속해서 눌려짐으로써, 걸어맞춤편(20)의 선단이 상기 캡 본체(1)의 상단측을 향하는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게 되고, 그 후 상기 용기 입구부(Ya)에 대해서 상기 캡 본체(1)를 완전히 나사식 체결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편(20)의 선단이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를 타고 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편(20)의 선단이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따라서, 캡 본체(1)와 이 캡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된 링체(2)로 이루어지는 캡(Cp)을 용기 입구부(Ya)에 최초로 나사식 체결함으로써, 캡 본체(1)를 용기 입구부(Ya)에 고정하여 이 용기 입구부(Ya)의 개구(Yb)를 밀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링체(2)의 걸어맞춤편(20)을 빠짐규제 돌출부(Yd)에 하측에서 적절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캡 본체(1)와 링체(2)는 이들 캡 본체(1)와 링체(2)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성형함으로써 캡 본체(1)의 하단측의 내면에 링체(2)의 외면을 밀착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따라서 캡 본체(1)와 링체(2)는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즉, 캡 본체(1)와 링체(2)는 2색성형(double injection)에 의해서, 또는 캡 본체(1)를 인서트(삽입물)로 하는 링체(2)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또는 링체(2)를 인서트로 하는 캡 본체(1)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캡(Cp)에 의하면, 용기 입구부(Ya)에 캡 본체(1)를 나사식 체결함과 아울러 빠짐규제 돌출부(Yd)의 하측에서 링체(2)의 걸어맞춤편(20)의 선단을 걸어맞춘 상태에서, 캡 본체(1)를 용기 입구부(Ya)에서 떼어내도록 개방조작하면, 즉 상기 나사식 체결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캡 본체(1)를 비틀어 돌리는 개방조작을 하면, 캡 본체(1)는 점차 용기 입구부(Ya)의 상측을 향해서 전진하지만, 링체(2)는 그 걸어맞춤편(20)이 빠짐규제 돌출부(Yd)에 걸어맞춰진 위치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개방조작에 따라서 캡 본체(1)와 링체(2)의 접촉 경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양자가 분리됨으로써 링체(2)가 상기 용기 입구부(Ya)의 하단측에 상기 캡 본체(1)에서 분리된 상태로 항시 남겨지게 된다(도 3). 따라서, 용기 입구부(Ya)에서 캡(Cp)이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된 것임을, 이 개방조작 이후에 용기(Y)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항시 인식시킬 수 있다.
또, 캡 본체(1)와 링체(2)는, 이들 캡 본체(1)와 링체(2)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1)의 하단측의 내면에 링체(2)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일부가 분리되는 기능을 구비한 캡(Cp)을 용이하고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양자를 분리시킬 수 있는 큰 염회력(捻回力:비틀어 돌리는 회전력)이 캡 본체(1)에 작용하지 않는 한 캡 본체(1)가 용기 입구부(Ya)에서 개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용기(Y)가 예기치않게 개봉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캡 본체(1)와 링체(2)는 상기 성형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과대한 염회력(捻回力)을 캡 본체(1)에 작용시키지 않더라도 양자를 분리시키면서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를 떼어낼 수 있는, 즉 용기(Y)를 최초로 개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 링체(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1)에서 분리될 때까지는 이 캡 본체(1)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용기 입구부(Ya)의 외관을 깔끔하고 세련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체(2)가 박육부(薄肉部)(24)를 통해서 서로 연접시킨 2개 이상의 링구성체(23,2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9에 평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호형상을 이루는 2개의 링구성체(23,23)에 의해서 상기 링체(2)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체(2)는 이 링체(2)의 직경방향 양측 위치에 각각 형성된, 홈의 개구를 링체(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서 연장되며 또한 하단면과 홈바닥의 사이를 상기 박육부(24)로 한 분할홈(25)에 의해서 2개의 링구성체(23,23)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편(20)이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Yd)에 걸어맞춰짐에 의해서 항시 용기 입구부(Ya) 측에 남겨지는 링체(2)를 주로 용기(Y)의 파기시에 용기 입구부(Ya)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즉,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를 떼어낸 후, 상기 용기 입구부(Ya)에서 링체(2)를 빼낼 수 있도록 이 링체(2)를 파지한 상태에서 잡아당기듯이 조작하면, 상기 박육부(24)를 중심으로 하여 링구성체(23)의 하단측이 외측방향으로 넓혀지도록 링체(2)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링체(2)가 변형되면, 이 링체(2)의 내주부에 형성되어 그 선단이 빠짐규제 돌출부(Yd)의 하측에 걸어맞춰지도록 캡 본체(1)의 상단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편(20)의 돌출방향과 캡 본체(1)의 축이 이루는 각도가 약간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편(20)이 빠짐규제 돌출부(Yd)로의 눌림에 의해서 하측으로 휨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상기한 상태에서 링체(2)를 계속해서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걸어맞춤편(20)이 휨변형되면서 빠짐규제 돌출부(Yd)를 부드럽게 타고 넘을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링체(2)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시 용기 입구부(Ya) 측에 남겨지는 링체(2)를 주로 용기(Y)의 파기시에 용기 입구부(Ya)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Y)가 유리제인 경우, 쓰레기의 분리수거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 용기(Y)의 파기시에 이 용기(Y)에서 캡(Cp) 전체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박육부(24)를 파단하여 링체(2)를 2개의 링구성체(23,23)로 분리시킴으로써, 용기(Y)의 파기시에 용기 입구부(Ya)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링체(2)를 빼낼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캡 본체(1)의 스커트형상부(10)의 내주면에, 캡 본체(1)와 링체(2)의 미분리시에 상기 링체(2)의 분할홈(25)에 끼워지는 리브(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캡 본체(1)의 하단측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는 링체(2)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창구멍(16,16,…)이 상기 캡 본체(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창구멍(16)이 캡 본체(1)의 원통형상부(11)와 스커트형상부(10)의 접합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창구멍(16)이 상기 외주측 단차면(13)에서 외측으로 개방되고, 내주측 단차면(12)에서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입구부(Ya)에서 적어도 한 번은 캡 본체(1)가 개방되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가 개방되지 않았다면, 링체(2)가 캡 본체(1)에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창구멍(16)을 통해서 링체(2)를 볼 수 있다. 즉, 캡 본체(1)의 내측에 링체(2)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가 한 번도 개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창구멍(16)은 캡 본체(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Ya)를 어느 방향에서 보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가 적어도 한 번 개방되었다면,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창구멍(16)을 통해서 캡 본체(1)의 내측에 링체(2)가 없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따라서,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가 적어도 한 번은 개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캡 본체(1)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재료의 색채와 링체(2)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색채를 서로 다르게 하면, 캡 본체(1)가 용기 입구부(Ya)에서 적어도 한 번 개방되었는지 아닌지를 보다 선명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캡 본체(1)와 링체(2)를 분리가능하게 일체화하는 성형시에, 링체(2)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재료의 일부가 캡 본체(1)의 내측에서 창구멍(16) 내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끼워지는 플라스틱재료의 일부에 의해서 링체(2)의 상단에 복수의 돌기부(26,26,…)가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링체(2)의 외주부에 상기 캡 본체(1)의 상단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지느러미형상체(27)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지느러미형상체(27)가 캡 본체(1)의 후육부(厚肉部:두께가 두꺼운 부분) 내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로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의 돌출단부(27a) 측이 캡 본체(1)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삭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가 상기 링체(2)의 하단측에 그 일단이 일체가 되도록 연접시킨 상태에서 상단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이 상단측으로 돌출되어 감에 따라서 그 외측면이 상기 링체(2)의 외주면에서 점차 멀어지게 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캡 본체(1)의 스커트형상부(10)의 내면부에 있어서의 창구멍(16)의 형성위치와 캡 본체(1)의 하단과의 사이에, 이 하단을 향하는 입구를 가짐과 아울러 이 입구측에서 내측을 향해서 점차 스커트형상부(10)의 외면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형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의 외곽형상을 따르는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17)에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로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지느러미형상체(27)가 링체(2)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지느러미형상체(27,27) 사이에 거의 같은 간격을 둔 상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오목부(17)도 캡 본체(1)의 스커트형상부(10)에 이 캡 본체(1)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오목부(17,17) 사이에 거의 같은 간격을 둔 상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느러미형상체(27)의 돌출단부(27a)는 링체(2)의 외주면의 지름보다도 큰 가상원의 원호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가상원의 직경이 캡 본체(1)의 하단의 내경, 즉 스커트형상부(10)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용기 입구부(Ya)에서 캡 본체(1)를 최초로 개방함에 따라서, 캡 본체(1)의 후육부 내에서 지느러미형상체(27)가 빠지면서 상기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된 상태에서 양자를 다시 본래의 일체화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빠져버린 지느러미형상체(27)를 캡 본체(1)의 후육부 내에 다시 끼워넣을 필요가 있게 되는데,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고, 또한 이 지느러미형상체(27)가 끼워져 있던 캡 본체(1)의 후육부 내의 오목부(17)도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의 경사를 따르는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17)에 상기 지느러미형상체(27)를 다시 끼워넣는 것은 그리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결과, 도시한 예에서는, 용기 입구부(Ya)에서 적어도 한 번 캡 본체(1)를 개방한 후에는, 이 개방에 의해서 분리된 캡 본체(1)와 링체(2)를 다시 본래의 일체화된 상태로 되돌리기가 어렵기 때문에, 용기 입구부(Ya)에서 적어도 한 번은 캡 본체(1)를 개방한 사실, 즉 용기(Y)가 적어도 한 번 개봉된 사실을 감추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시한 예에서는 지느러미형상체(27)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지느러미형상체(27) 모두를 다시 분리전과 같이 캡 본체(1)의 오목부(17)에 끼워넣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부정한 사태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캡 본체(1)와 링체(2)가 분리된 상태에서, 캡 본체(1)를 용기 입구부(Ya)에 나사식 체결하는 조작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게 캡 본체(1)와 링체(2)가 본래와 같이 일체화되는 사태도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캡에 의하면, 용기가 미개봉된 상태에서의 캡의 외관을 이 미개봉된 상태인 것임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하면서도 깔끔하고 세련된 형태가 갖춰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캡이 사용되는 용기의 의장성을 지장없이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으로서,
    상단이 폐색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을 이루는 캡 본체와 링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캡 본체는 통형상을 이루는 용기 입구부에 나사식 체결되어 상기 용기 입구부의 개구를 그 폐색된 상단에 의해서 막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링체는 그 내주부에 상기 용기 입구부의 하단측 외주에 형성된 빠짐규제 돌출부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편을 가지고 있으며,
    캡 본체와 링체는 이들 캡 본체와 링체 중 어느 일측을 타측에 선행하여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상기 캡 본체의 하단측의 내면에 상기 링체의 외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함으로써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음과 아울러,
    캡 본체의 하단측에는 일체화되어 있는 상기 링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창구멍이 상기 캡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외주부에 상기 캡 본체의 상단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지느러미형상체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느러미형상체가 상기 캡 본체의 후육부(厚肉部) 내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로 상기 캡 본체와 상기 링체가 분리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느러미형상체의 돌출단부 측이 상기 캡 본체의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체의 걸어맞춤편은,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캡 본체를 나사식 체결하여 감에 따라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선단이 상기 용기 입구부의 외면 및 빠짐규제 돌출부에 맞닿아서 눌려짐으로써 상기 캡 본체의 상단측을 향해서 탄성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캡 본체를 완전히 나사식 체결한 위치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의 선단이 상기 빠짐규재 돌출부를 타고 넘음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빠짐규제 돌출부에 하측에서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체가 박육부(薄肉部)를 통해서 서로 연접된 2개 이상의 링구성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링체가 박육부를 통해서 서로 연접된 2개 이상의 링구성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KR1020030030902A 2002-09-27 2003-05-15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KR100553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2417 2002-09-27
JP2002282417 2002-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281A KR20040027281A (ko) 2004-04-01
KR100553806B1 true KR100553806B1 (ko) 2006-02-22

Family

ID=3202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902A KR100553806B1 (ko) 2002-09-27 2003-05-15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942114B2 (ko)
KR (1) KR100553806B1 (ko)
CN (1) CN14852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7161B2 (en) * 2004-12-01 2009-05-05 Fisher Scientific Company L.L.C. Cap closure
GB0602382D0 (en) * 2006-02-07 2006-03-15 Dubois Ltd Packaging article
US7735664B1 (en) * 2006-04-18 2010-06-15 Portola Packaging, Inc. Tapered thread structure
US20100233394A1 (en) * 2006-12-13 2010-09-16 Bormioli Rocco & Figlio S.P.A. Process for making plastic closures and closure
US20080173611A1 (en) * 2007-01-18 2008-07-24 Silgan Holdings Inc. Tamper evident band with hook
EP1964787B1 (en) * 2007-02-27 2010-05-26 Guala Closures S.p.A. Tamper evident closure for containers provided with a threaded neck
US8453859B2 (en) * 2009-09-04 2013-06-04 Tzvi Akiva Rozenberg Tamper-evident bottle closure
GB2482000A (en) * 2010-07-14 2012-01-18 Threadless Closures Ltd Closure having Seal and Inner and Outer Components
JP6231996B2 (ja) * 2013-01-25 2017-11-15 東罐興業株式会社 容器の封止装置
US9340332B2 (en) * 2013-03-15 2016-05-17 Sonoco Development, Inc. Closure for container
US9254941B2 (en) 2014-03-25 2016-02-09 Basf Corporation Resealable container and closure package
CA2996208C (en) * 2015-09-25 2023-10-17 Amcor Group Gmbh Closure system for container
MX2018004885A (es) * 2015-10-22 2018-08-01 Obrist Closures Switzerland Cierres a prueba de manipulación.
MX2016005037A (es) * 2016-04-19 2017-10-18 Francisco Salcido Piñera Juan Sistema y dispositivos de cierre de seguridad para envases.
US9694948B1 (en) * 2016-06-03 2017-07-04 Inostrannoje Proizvodstvennoe Unitarnoje Predpriyatie “Alcopack” Closure device for bottle
IT201600080146A1 (it) * 2016-07-29 2018-01-29 Guala Pack Spa Chiusura con sigillo di garanzia
US10487718B2 (en) * 2016-11-22 2019-1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verflow cap air vent
US11059633B2 (en) 2019-10-31 2021-07-13 Cheer Pack North America Flip-top closure for container
US20220055804A1 (en) * 2020-08-20 2022-02-24 Novembal Usa Inc. Hinged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3500B1 (fr) * 1984-04-26 1986-11-28 Astra Plastique Recipient a jeter apres utilisation et destine plus particulierement a l'alimentation des nourrissons
GB8623065D0 (en) * 1986-09-25 1986-10-29 Nat Plastics Ltd Guarantee band for container closure
JP2561260B2 (ja) 1987-02-09 1996-12-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ピルフア−プル−フキヤツプ機構
US4805791A (en) * 1988-05-04 1989-02-21 Continental White Cap, Inc. Band with lock ring for tamper-evident cap
FR2631934B1 (fr) * 1988-05-30 1990-12-14 Astra Plastique Dispositif de bouchage comprenant un bouchon et une bague d'inviolabilite,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IT1242923B (it) * 1990-10-17 1994-05-18 Bormioli Metalplast Spa Capsula in plastica in due pezzi, per bottiglie
JP3051637B2 (ja) * 1993-07-19 2000-06-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IT1262644B (it) * 1993-07-26 1996-07-04 Bormioli Metalplast Spa Capsula per bottiglie contenenti liquidi gassati.
US5465858A (en) * 1995-02-10 1995-11-14 Comar, Inc. Tamper-evident closure
US5813553A (en) * 1995-06-07 1998-09-29 Kerr Group, Inc. Snap-band tamper evident
IT1287402B1 (it) * 1996-02-29 1998-08-06 Bormioli Metalplast Spa Capsula per la chiusura di sicurezza di contenitori
US6382444B1 (en) * 1999-03-17 2002-05-07 Sentinel Packaging Systems, Inc. Tamper-evident plastic closure system with snap-on band
US6685061B2 (en) * 2000-12-12 2004-02-03 Worthington Cylinder Corporation Tamper evident valve outlet cap
WO2002049929A1 (fr) * 2000-12-21 2002-06-27 Yoshino Kogyosho Co.,Ltd. Bouchon de remplissage de resine synth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60891A1 (en) 2004-04-01
KR20040027281A (ko) 2004-04-01
US6942114B2 (en) 2005-09-13
CN1485250A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806B1 (ko) 병형상을 이루는 용기의 캡
EP3078603B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US5609262A (en) Tamper evident, child-resistant closure
EP1025014B1 (en) Sports beverage snap closure
US6016931A (en)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US20150321798A1 (en) Container sealing device
EP1389587B1 (en) Bottle with a screw cap of synthetic resin
KR20090085053A (ko) 보틀 용기
EP0110709A2 (en) Child and tamper-resistant closure
US20050242054A1 (en) Tamper-evident quick twist closure
CN110573434B (zh) 合成树脂容器盖
JP2019051959A (ja) 容器蓋
IE43945B1 (en) A safety closure for bottles
GB2200619A (en) Combined closure and security seal for bottles
JP2008280048A (ja) ボトルキャップ
JP2004161374A (ja) 瓶状ないしはボトル状をなす容器のキャップ
JP2002225899A (ja) 分別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9126527A (ja) ボトルキャップ
JP7396775B2 (ja) 分別キャップ
EP3976486B1 (en) Hinged cap for a container
KR100622207B1 (ko)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JP2003012017A (ja) 合成樹脂製ネジキャップ
JP4388758B2 (ja) 打栓式キャップ
JP2001018974A (ja) ボトル容器
JP2008179382A (ja) ボト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