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258B1 -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258B1
KR100264258B1 KR1019980008617A KR19980008617A KR100264258B1 KR 100264258 B1 KR100264258 B1 KR 100264258B1 KR 1019980008617 A KR1019980008617 A KR 1019980008617A KR 19980008617 A KR19980008617 A KR 19980008617A KR 100264258 B1 KR100264258 B1 KR 100264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ip
rolled steel
hot
cold roll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4795A (ko
Inventor
유이치 히고
세이이치 하마나카
도오루 후지타
Original Assignee
하마다 야스유키(코가 노리스케)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CA00223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CA2231760A1/en
Application filed by 하마다 야스유키(코가 노리스케), 닛신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마다 야스유키(코가 노리스케)
Priority to KR1019980008617A priority patent/KR1002642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258B1/ko
Priority to US09/756,245 priority patent/US20010001049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7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surfac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36Al-base component
    • Y10T428/1275Next to 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57F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steel strip)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0.01-0.25중량%의 C, 1.5중량%까지의 Si, 0.05-2.5중량%의 Mn, 0.1중량%까지의 P, 0.02중량%이하의 S, 0.005-0.1중량%의 Al, 0.05-1.0중량%의 Mo, 임의로 0.005-0.2중량%의 Ti Nb, V 및 W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임의로 0.05-0.6중량%의 Cu, 0.05-0.6중량%의 Ni, 0.05-3.0중량%의 Cr 및 0.0003-0.003중량%의 B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불가피 불순물을 제외한 Fe인 조성을 갖는다. 냉간압연 강대는 열간압연, 산 세척, 냉간압연에 이어서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어닐링함으로써 제조된다.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냉간압연 강대를 인라인 가열하고 다음에 도금욕에 침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어닐링되거나 용융 도금된 강대는 1-5%의 소성변형을 유도할 정도의 저압으로 더 냉간압연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건축 재료로서 유용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강대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들 강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화 도금은 화재등의 동안에 강 재료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내화 구조물을 필요로 하는 건축표면에 적용되었다. 요즘에는 상승된 온도에서 고강도를 나타내는 이른바 “내화 강”이 사용되고 있어 강 재료가 600℃ 근처의 상승된 온도에서 가열될 때에도 건축물은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내화 강의 사용으로 내화 도금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온강도는 고온에서의 항복강도로 나타낸다.
건축용 주 구조부재로서 지금까지 사용된 그러한 내화 강 재료는 통상 비교적 두꺼운 열간압연 강판이지만, 냉간압연 강대로 제조한 용융 도금이 있거나 또는 없는 강판도 그 용도에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 구조물은 주 구조부재이외에 부 구조부재, 지붕 및 벽을 위한 강재료를 필요로 한다. 냉간압연 강판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판은 종종 그러한 부재로서 사용되었다. 이런 종류의 강 재료가 그 고온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내화성이 개선될 때, 주 구조부재의 것과 동일한 이점이 기대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내화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냉간압연 강판은, 열간압연 강대에 냉간압연, 어닐링, 용융 도금등을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때때로 강판은 실제 사용에 필요한 건축부재를 성형하기 위해 고압으로 재형성된다. 따라서, 강판은 적당한 고온강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성형성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내화 건축 부재로서 유용한 강 재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강재료는 고온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우수한 고온 특성은 강대의 합금 조성을 제어함으로써 확보되고 강대에의 소성변형의 도입으로 더 개선된다.
제1도는 어닐링 후의 냉간압연 압하율과 실온 및 600℃에서의 특성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내화 건축부재로서 유용한 새로이 제안된 강대는 0.01-0.25중량%의 C, 1.5중량%까지의 Si, 0.05-2.5중량%의 Mn, 0.1중량%까지의 P, 0.02중량%까지의 S, 0.005-0.1중량%의 Al, 0.05-1.0중량%의 Mo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불가피 불순물을 제외한 Fe이다. 강대는 0.005-0.2중량%의 Ti, Nb, V 및 W중의 하나 이상 및/또는 0.05-0.6중량%의 Cu, 0.05-0.6중량%의 Ni, 0.05-3.0중량%의 Cr 및 0.0003-0.003중량%의 B중의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내화 건축부재로서 유용한 냉간압연 강대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특정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1000-1250℃에서 가열하고, 800-950℃에서 열간압연하고, 400-700℃에서 권취(coiling)하고, 산 세척하고, 4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다음에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어닐링한다. 박스형 어닐링 또는 연속 어닐링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내화 건축부재로서 유용한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된 냉간압연 강대를 연속 용융 도금 장치에서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인라인 가열하고 다음에 용융 도금욕에 침지시킨다.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강판중 어느 것이든 각각 어닐링 또는 용융도금 후에 강대에 소성변형을 유도할 정도의 1-5%의 저압으로 더 냉간압연될 수 있다. 소성변형은 스트레칭 부하 또는 레벨링의 적용으로 강대에 유도될 수 있었지만, 저압으로의 냉간압연이 산업적 관점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유리하게도 추가의 냉간압연은 얻어진 강대의 고온 특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성형성의 열화가 없는 내화 강부재에 필요한 고온강도에 대한 합금 원소의 효과를 조사하고 시험하였다.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열간압연 강대는 강 매트릭스에 용해되거나 또는 금속간 화합물로서 석출하는 Mo, W, Ti 또는 Nb와 같은 합금 원소의 첨가로 고온 특성이 개선된다. 한편, 냉간압연된 대로의 강대는 성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응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성형성의 개선을 위해 냉간압연 후에 재결정화점을 초과하는 온도에서 어닐링된다.
냉간압연후의 어닐링은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래의 열간압연 강대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Mo의 첨가로 인해 고온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그러나, 그 용도에 필요한 고온강도는 종종 실현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불량한 고온강도가 냉간압연후의 어닐링 단계에서 예기치 않은 석출등으로 야기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즉,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에 의해 가공되기 때문에 열간압연 강대와는 다른 금속 상태에 있다. 이런 점에서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가 열간압연 강대와 단지 두께만 다르다면,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에 열간압연 강대에 대해 제안된 합금 설계를 간단히 적용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의 금속 히스테리시스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Mo의 첨가가 지금까지 제안된 합금 설계중에서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고, 고온 특성의 증가를 위해 특정 조성의 Mo의 용해 및 석출을 사용하는 유리한 합금 설계에 이르렀다. 내화 및 고온 특성은 Ti, Nb, V 및 W와 같은 카바이드 형성 원소의 복합 첨가에 의해 더 개선될 수 있다.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는데 필요한 강대의 성형성은 어닐링 또는 용융 도금 단계에서 제어된 열처리로 확보된다.
고온강도는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에의 1-5%의 소성변형의 도입으로 더 증가된다. 그러한 경미한 소성변형의 도입은 600℃ 근처의 고온에서 강대의 항복강도를 증가시켜 그 우수한 내화성으로 인해 내화 건축부재로서 유용한 강 재료를 제공한다. 그러한 소성 변형은 고온 상태가 아닌 저온 상태에서 강대에 적용된다. 실제적으로 소성변형은 작은 압하율로 냉간압연에 의해 강대에 적용된다.
제안된 합금 설계는 다음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C:0.01-0.25중량%
C는 필요한 강도를 강에 제공하는 합금 원소이다. 강도에 대한 C의 효과는 0.01중량% 이상의 양으로 C를 첨가함에 따라 더 커진다. 그러나, 0.25중량%를 초과하는 C의 과잉 첨가는 성형성 또는 용접성의 열화를 일으킬 것이다.
Si:1.5중량%까지
Si는 강도의 개선에 효과적인 합금 원소이지만, 1.5중량%를 초과하는 Si의 과잉 첨가는 강의 경화와 불량한 연성을 초래할 것이다. 용융 도금을 위한 모판의 경우에 0.3중량%를 초과하는 양의 Si의 첨가는 비도금 표면부분을 잔존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Si 함량은 보다 적게 제어되어야 한다. 비도금 표면부분의 잔존과 같은 결점은, 강대가 0.3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Si를 함유하더라도, 강대에 Fe 또는 제1철합금을 전기도금하고 다음에 강대를 용융 도금 장치에 통과시킴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1.5중량%까지의 Si를 함유하는 강대는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Mn:0.05-2.5중량%
Mn은 강 제조 단계에서 강에 탈산화제로서 첨가되고 또한 불순물로서 포함된 S로 인한 고온에서의 취화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Mn 효과는 0.05중량% 이상의 양으로 Mn을 첨가하는 경우에 현저해진다. 그러나 2.5중량%를 초과하는 Mn의 과잉첨가는 불량한 연성을 초래할 것이다.
P:0.1중량%까지
P는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Cu와의 조합으로 내식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원소이지만, 0.1중량%를 초과하는 P의 과잉 첨가는 취화를 일으킬 것이다.
S:0.02중량%이하
S는 불가피 불순물로 포함된 유해한 원소이다. S의 함량이 적을수록 용도에 더 알맞게 된다. 제안된 강에서 허용가능한 S 함량은 0.02중량% 이하이다.
Al:0.005-0.1중량%
Al은 강에 탈산화제로서 첨가되고 또한 강중의 AIN으로서 N의 안정화에도 효과적이다. 이 효과는 0.005중량% 이상의 양의 Al의 첨가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0.1중량%를 초과하는 Al의 과잉 첨가는 성형성 및 외관의 열화를 일으킬 것이다.
Mo:0.05-1.0중량%
첨가제 Mo는 강 매트릭스중에 카바이드로서 용해되거나 또는 석출되어 고온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 Mo 효과는 0.05중량% 이상의 양의 Mo의 첨가에 의해 현저해지지만 1.0중량%에서 포화된다. 1.0중량%를 초과하는 Mo의 과잉 첨가는 오히려 강의 경화와 불량한 연성을 초래할 것이다.
Ti, Nb, V, W:각각 0.005-0.2중량%
이들 원소는 고온강도 뿐만 아니라 실온에서의 인장성에 효과적인 카바이드로서 석출되는 임의의 첨가제이다. 그러한 개선 효과는 0.005중량% 이상의 양의 Ti, Nb, V 또는 W의 첨가에 의해 실현된다. 그러나, 이 효과는 0.2중량%에서 포화 되고, 0.2중량%를 초과하는 Ti, Nb, V 또는 W의 과잉 첨가는 강의 경화와 불량한 연성을 초래할 것이다.
Cu:0.05-0.6중량%
Cu는 P와의 조합으로 강의 내식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임의의 합금 첨가제이다. 그러한 효과는 0.05중량%의 양의 Cu의 첨가로 현저해질 수 있다. 그러나, 0.6중량%를 초과하는 Cu의 과잉 첨가는 오히려 열간압연 동안에 고온 균열의 촉진을 일으킬 것이다.
Ni:0.05-0.6중량%
Ni는 고온 취화의 억제 및 내식성에 효과적인 임의의 첨가제이다. 그러한 효과는 0.05중량% 이상의 양의 Ni의 첨가로 현저해질 수 있다. 그러나, Ni는 강제조가를 증가시킬 정도의 고가의 원소이고, 그러한 특성에 대한 유리한 효과는 Ni가 0.6중량%를 초과하는 양으로 첨가될 때조차 Ni 함량의 증가에 관계없이 거의 기대되지 않는다.
Cr:0.05-3.0중량%
Cr은 내식성에 효과적인 임의의 첨가제이고 또한 카바이드의 석출로 인한 고온강도를 증가시킨다. 그러한 효과는 0.05중량% 이상의 양의 Cr의 첨가로 현저해 질 수 있다. 그러나, 3.0중량%를 초과하는 Cr의 과잉 첨가는 오히려 강의 경화와 불량한 연성을 초래하나, 내식성 또는 고온 강도를 더 개선시키지는 않을 것이다.
B:0.0003-0.003중량%
B는 입계를 효과적으로 강화하는 임의의 첨가제이다. B 효과는 0.0003중량% 이상의 양의 B의 첨가로 현저해질 수 있지만 0.003중량%에서 포화된다.
특정 조성을 갖는 강 재료를 종래의 연속 주조공정으로 슬라브로 주조하고 다음에 소경의 두께로 열간압연한다.
열간압연 단계에서는 슬라브를 침지시키고, 열간압연한 다음에 권취한다.
침지는 슬라브가 100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될 때 강 매트릭스중의 합금원소의 용해를 촉진하고 슬라브를 열간압연할 수 있는 상태로 되게 한다. 그러나, 1250℃를 초과하는 과도하게 높은 침지 온도는 슬라브의 고온 취화를 일으킬 것이다.
열간압연은 바람직하게는 작업중에 생긴 페라이트 입자의 잔존 없이 강 매트릭스중의 합금 원소의 과포화 용해를 확보하기 위해 800-950℃에서 마무리된다.
마무리온도가 800℃보다 낮으면, 합금 원소가 강 매트릭스에 부분적으로 석출되어 고온 강도가 불량하게 된다. 그러나, 950℃를 초과하는 보다 높은 마무리 온도는 열 에너지를 헛되이 소비하고 또한 가열노상에 고압을 부과할 것이다.
열간압연 강대는 400-700℃에서 권취된다. 제어된 권취 온도는 권취 동안에 금속간 화합물등의 성장 없이 합금 원소의 용해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한 용해로 인해 어닐링 또는 인라인 가열에 이어서 냉간압연한 후 강대는 고온 특성이 개선된다.
그 후, 열간압연 강대를 냉간압연전에 산 세척한다
다음에 강대를 종래의 조건하에서 냉간압연한다. 냉간압연은 다음의 어닐링 또는 연속 용융 도금 단계에서 재결정화를 촉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40-90%의 압하율로 시행된다. 그러한 제어된 압하율은 성형성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굵은 결정립으로의 성장을 억제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용응 도금이 없는 냉간압연 강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냉간압연후의 강대를 바로 어닐링 단계로 운반한다. 어닐링 단계에서는 강대를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가열하여 냉간압연으로 인한 변형을 해제하고 충분한 재결정화를 촉진한다; 그렇지 않으면 열 처리된 강은 경질이고 성형성이 불충분할 것이다. 한편, 9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의 과열은 굵은 결정립으로의 성장을 일으키지만 강대는 연화될 수 있다. 굵은 결정립으로의 성장은 열 처리된 강대의 성형성을 감소시키고 외관을 불량하게 할 것이다.
용융 도금된 강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냉간압연후의 강대를 연속 용융 도금 장치에서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인라인 가열한다. 인라인 가열은 강대의 표면층을 활성화하고 강대를 어닐링하기 위해 환원성 분위기하에서 시행한다.
인라인 가열을 위한 온도는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게 설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냉간압연 및 재결정화로 인한 변형의 해제가 강대를 연화하는데 불충분해질 것이다. 그러한 저온 가열은 강대의 불충분한 활성을 일으켜 용융 도금후에 비도금된 표면부분이 잔존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9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의 과열은 굵은 결정립으로의 성장 또는 표면 결함등의 발생을 야기한다.
다음에 인라인 가열된 강대를 연속 용융 도금 장치에서 용응 도금욕에 침지시킨다. 용융 도금욕은 Zn, Al 또는 Zn-Al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Zn, Al 또는 Zn-Al 도금층으로 도금된 강대가 얻어진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이 강대에 1-5%의 소성변형을 적용할 정도의 조건하에서 더 냉간압연이 행해질 수 있다. 소성변형의 도입은 강대의 고온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
고온강도에 대한 소성변형의 효과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새로이 발견되어 있다. 고온강도는 상기한 저압으로 그러한 냉간압연 단계에서의 압하율로 나타낼수 있는 소성변형의 정도에 따라 증가된다.
제1도는, 0.09중량% C, 0.05중량% Si, 0.55중량% Mn, 0.012중량% P, 0.006중량% S, 0.035중량% Al, 0.31중량% Mo, 0.07중량% V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불가피 불순물을 제외한 Fe인 강을 열간압연하고, 냉간압연하고, 800℃에서 1분간 어닐링하고 다음에 더 냉간압연하였을 때의, 실온 및 600℃에서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냉간압연 압하율의 효과를 나타낸다.
제1도로부터 600℃에서의 항복강도가 냉간압연 압하율의 증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기계적 특성의 그러한 개선은 1%를 초과하는 압하율에서 분명하게 인정된다. 600℃에서의 높은 항복강도가 5%를 초과하는 압하율의 경우에 얻어지더라도, 실온에서의 신도는 바람직하지 않게 감소된다. 신도의 감소는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의 불량한 성형성을 의미한다. 이들 결과로부터, 어닐링 후의 냉간압연동안의 압하율은 바람직하게 1-5%의 범위내에서 제어한다.
[실시예]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각각의 강을 용융하고 슬라브로 주조하였다. 슬라브를 단조하고 두께 4.0mm의 강대로 열간압연하였다 다음에 열간압연 강대를 1.Omm의 두께로 냉간압연하고 표 2에 나타낸 다양한 조건하에서 어닐링하였다.
시험편을 이 방법으로 제조된 각 강대에서 절단하고 실온 및 600℃에서 인장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어닐링 온도와 함께 표 2에 나타낸다.
표 2로부터 특정 조성을 갖고 650-950℃에서 어닐링한 강대는 비교 시험편과 비교하여 실온에서 충분한 연성과 600℃에서 보다 높은 항복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내의 강대는 고온 특성이 우수한 내화 건축 부재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인정된다.
[실시예 2]
표 3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각 슬라브를 연속 주조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슬라브를 1150-1200℃에서 침지하고, 850-870℃의 마무리 온도에서 두께 2.3-3.0mm로 열간압연하고 550-580℃에서 권취하였다. 다음에 열간압연 강대를 두께 0.8-1.2mm로 냉간압연하였다.
일군의 냉간압연 강대를 연속 어닐링 라인으로 운반한 한편, 잔류 강대를 연속 용융 도금 라인으로 운반하였다. 연속 어닐링 라인에서는, 각 강대를 820℃에서 40초간 가열하고 다음에 과시효 처리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은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연속 용융 도금 라인에서는, 각 강대를 800℃에서 35초간 인라인 어닐링하고, 도금욕의 온도 근처의 500℃까지 냉각시킨 다음에 용융한 Zn 또는 Zn-5% Al욕에 침지시켰다.
각각의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강대를 절단한 시험편으로 실온 및 600℃에서 인장 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낸다.
표 4로부터 특정 조정을 갖고 특정 온도 범위에서 어닐링한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강대중 어느 것이든, 비교 강대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우수한 연성 뿐만 아니라 600℃에서 고 항복강도로 인해 내화 건축 부재로서 유용하다는 것이 인정된다.
[실시예 3]
표 5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각각의 강을 용융하고, 주조하고, 단조한 다음에 두께 4.Omm의 강대로 열간압연하였다. 다음에 열간압연 강대를 두께 1.Omm로 냉간 압연하였다. 냉간압연 강대를 800℃에서 1분간 가열하고 개방된 분위기하에서 냉각시킴으로써 어닐링하였다. 일군의 어닐링한 강대를 소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해 저압으로 더 냉간압연하였다.
시험편을 각 강대에서 절단하고 실온 및 600℃에서 인장 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표 6에 나타낸다. 표 6으로부터 특정 조성을 갖고 1-5%의 소성변형이 부여된 강대는, 비교 강대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우수한 연성 뿐만 아니라 600℃에서 고 항복강도로 인해 내화 부재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표 7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각각의 슬라브를 연속 주조 공정으로 제조하였다. 슬라브를 1180-1210℃에서 침지시키고, 840-870℃의 마무리 온도에서 두께 2.3-3.Omm의 강대로 열간압연한 다음에 530-580℃에서 권취하였다. 열간압연 강대를 0.6-1.0mm의 두께로 냉간압연하였다.
이 방법으로 제조한 일군의 냉간압연 강대를 연속 어닐링 라인으로 운반한 한편, 잔류군의 강대를 용융 도금 라인으로 운반하였다. 어닐링 라인에서는, 각각의 강대를 800℃에서 40초간 가열한 다음에 과시효 처리를 하거나 또는 하지 않은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용융 도금 라인에서는, 각각의 강대를 800℃에서 35초간 인라인 가열하고, 도금욕의 온도 근처의 500℃까지 냉각시킨 다음에 도금욕에 침지시켰다. 용응한 Zn또는 Zn-5% Al 푸올을 도금욕으로서 사용하였다.
각각의 강대를 어닐링 또는 용융 도금 후에 저압으로 냉간압연하여 소성변형을 유도하였다.
시험편을 각각의 냉간압연 강대 및 용응 도금된 강대에서 절단하고 실온 및 600℃에서 인장 시험을 하였다. 결과는 표 8에 나타낸다. 표 8로부터 특정 조성을 갖고 1-5%의 소성변형이 부여된 강대는, 비교 강대와 비교하여 실온에서 우수한 연성 뿐만 아니라 600℃에서 고 항복강도로 인해 내화 부재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간압연 강대 또는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는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는데 필요한 고온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 강 제조 단계로부터 어닐링 또는 용융 도금 단계까지 제조방법의 어떤 특정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본 강대는 산업적 관점에서 유리하게 제조된다. 본 강대의 내화성은 어닐링 또는 용융 도금후에 1-5%의 소성변형을 유도할 정도의 저압으로 강대를 냉간압연함으로써 더 개선된다.

Claims (3)

  1.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장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0.01-0.25중량%의 C, 1.5중량%까지의 Si, 0.05-2.5중량%의 Mn, 0.1중량%까지의 P, 0.02중량%이하의 S, 0.005-0.1중량%의 Al, 0.05-1.0중량%의 Mo, 임의로 0.005-0.2중량%의 Ti, Nb, V 및 W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임의로 0.05-0.6중량%의 Cu, 0.05-0.6중량%의 Ni, 0.05-3.0중량%의 Cr 및 0.0003-0.003중량%의 B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불가피 불순물을 제외하고는 Fe인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1000-1250℃에서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슬라브를 800-950℃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열간압연 강대를 400-700℃에서 권취하는 단계; 열간압연 강대를 산 세척하는 단계; 세척한 강대를 4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냉간압연 강대를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단계; 및 어닐링한 장대를 이 강대에 1-5%의 소성변형을 유도할 정도의 저압으로 냉간 압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냉간압연 강대를 박스-어닐링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어닐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내화 건축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0.01-0.25중량%의 C, 1.5중량%까지의 Si, 0.05-2.5중량%의 Mn, 0.1중량%까지의 P, 0.02중량%이하의 S, 0.005-0.1중량%의 Al, 0.05-1.0중량%의 Mo, 임의로 0.005-0.2중량%의 Ti, Nb, V 및 W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임의로 0.05-0.6중량%의 Cu, 0.05-0.6중량%의 Ni, 0.05-3.0중량%의 Cr 및 0.0003-0.003중량%의 B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불가피 불순물을 제외하고는 Fe인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를 1000-1250℃에서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슬라브를 800-950℃의 마무리 온도에서 열간압연하는 단계; 열간압연 강대를 400-700℃에서 권취하는 단계; 열간압연 강대를 산 세척하는 단계; 세척한 강대를 4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단계; 냉간압연 강대를 연속 용융 도금 장치에서 그 재결정화 온도를 초과하나 950℃ 미만의 온도에서 인라인 가열하는 단계; 인라인 가열한 강대를 용융 도금욕에 침지하는 단계; 및 용융 도금된 강대를 이 강대에 1-5%의 소성변형을 유도할 정도의 저압으로 냉간압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80008617A 1998-03-11 1998-03-14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KR100264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231760A CA2231760A1 (en) 1998-03-11 1998-03-11 Cold-rolled steel strip and hot-dip coated cold-rolled steel strip for use as buil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980008617A KR100264258B1 (ko) 1998-03-11 1998-03-14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US09/756,245 US20010001049A1 (en) 1998-03-11 2001-01-08 Cold-rolled steel strip and hot-dip coated cold-rolled steel strip for use as buil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231760A CA2231760A1 (en) 1998-03-11 1998-03-11 Cold-rolled steel strip and hot-dip coated cold-rolled steel strip for use as buil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980008617A KR100264258B1 (ko) 1998-03-11 1998-03-14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US4766998A 1998-03-25 1998-03-25
US09/756,245 US20010001049A1 (en) 1998-03-11 2001-01-08 Cold-rolled steel strip and hot-dip coated cold-rolled steel strip for use as build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795A KR19990074795A (ko) 1999-10-05
KR100264258B1 true KR100264258B1 (ko) 2000-08-16

Family

ID=3195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617A KR100264258B1 (ko) 1998-03-11 1998-03-14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10001049A1 (ko)
KR (1) KR100264258B1 (ko)
CA (1) CA2231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7271C2 (de) * 1999-08-06 2003-01-09 Hille & Mueller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efzieh- oder abstreckziehfähigem, veredeltem Kaltband, sowie Kaltband, vorzugsweise zur Herstellung von zylindrischen Behältern und insbesondere Batteriebehältern
FR2844281B1 (fr) * 2002-09-06 2005-04-29 Usinor Acier a tres haute resistance mecan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feuille de cet acier revetue de zinc ou d'alliage de zinc
ES2672070T3 (es) * 2008-11-19 2018-06-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Chapa de acero y chapa de acero tratada superficialmente
JP4883216B2 (ja) * 2010-01-22 2012-02-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と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98757B2 (ja) * 2010-03-26 2012-08-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IN2014DN08225A (ko) * 2012-03-07 2015-05-1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JP2013227656A (ja) * 2012-03-30 2013-11-07 Nisshin Steel Co Ltd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941704A (zh) * 2012-11-14 2013-02-27 无锡市光源不锈钢制品有限公司 耐高温耐腐蚀不锈钢带
JP5618431B2 (ja) 2013-01-31 2014-11-05 日新製鋼株式会社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8433B2 (ja) 2013-01-31 2014-11-05 日新製鋼株式会社 湿式多板クラッチ用クラッチ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8432B2 (ja) 2013-01-31 2014-11-05 日新製鋼株式会社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89193B1 (ko) * 2016-12-22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031457B1 (ko) * 2017-12-26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배기계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789470B (zh) * 2021-08-18 2022-09-23 武汉钢铁有限公司 汽车用热轧酸洗钢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38A (ja) * 1991-03-25 1994-01-25 Nippon Steel Corp 高温特性の優れた折板屋根材用溶融亜鉛めっき冷延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138A (ja) * 1991-03-25 1994-01-25 Nippon Steel Corp 高温特性の優れた折板屋根材用溶融亜鉛めっき冷延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01049A1 (en) 2001-05-10
KR19990074795A (ko) 1999-10-05
CA2231760A1 (en) 199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7092B2 (ja) 加工性の良い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5487203B2 (ja) 表面特性に優れた高加工用高強度薄鋼板及び亜鉛メッキ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5528519A5 (ko)
JP2007070659A (ja) 耐食性と伸びと穴拡げ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899688B1 (ko) 연속 생산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표면 품질 및 도금 밀착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264258B1 (ko) 건축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냉간압연 강대 및 용융 도금된 냉간압연 강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1853A (ko) 기계적 성질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고강도 아연도금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367204B1 (ko) 오스테나이트계 매트릭스를 가지는 twip 강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
CN113832386A (zh) 一种高强度热轧基板、热镀锌钢及其制造方法
JP2576894B2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溶融亜鉛めっき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3470A (ja) 塗装焼付硬化性能と常温遅時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40962B2 (ja) 低降伏比型高強度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7273139B2 (ja) 強度及びめっき性に優れた低比重クラッド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7673B2 (ja) 耐二次加工脆性およびめっき密着性に優れた高成形性燃料タンク用めっき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09039A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3873638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0485A (ja) 鋼板の歪時効処理方法および高強度構造部材の製造方法
JP2003105513A (ja) 外観と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9451B2 (ja)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04798B2 (ja) 焼付硬化性を有する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3347152B2 (ja) 耐孔あき腐食性に優れた低降伏比冷延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3602263B2 (ja) 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102606996B1 (ko)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4978B1 (ko)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49202B1 (ko) 용융아연 도금 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