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990B1 -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990B1
KR100259990B1 KR1019940036470A KR19940036470A KR100259990B1 KR 100259990 B1 KR100259990 B1 KR 100259990B1 KR 1019940036470 A KR1019940036470 A KR 1019940036470A KR 19940036470 A KR19940036470 A KR 19940036470A KR 100259990 B1 KR100259990 B1 KR 10025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steel sheet
rolling
iron loss
high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게이지
이시마마사요시
센다구니히로
스즈끼가즈히로
고마쓰바라미찌로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564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43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51608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41419B2/ja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 C21D8/129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articles with special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volving a localized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07Running or continuous length work
    • Y10T156/1023Surface deformation only [e.g., embo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10T156/1064Partial cutting [e.g., grooving or inc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4Honeycomb, or with grain orientation or elongated elements in defined angular relationship in respective components [e.g., parallel, inter- sect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89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 그 외의 전기기기의 철심을 이용하여 최적인 저철손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무리 소둔을 끝낸 방향성 규소강판의 표면에, 그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각각 압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가지며, 이 선형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의 도입위치를 다르게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손(鐵損) 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제1a도 및 제1b도는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의 도입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홈 폭과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홈 깊이와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홈의 경사각도와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홈 간격과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의 고전위 밀도영역의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7도는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의 고전위 밀도영역과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8도는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의 고전위 밀도영역과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의 각 간격과 철손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돌기부착 롤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과 W17/50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변압기 그 외의 전기기기의 철심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저철손 (低鐵損)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성 전자강판은 주로 변압기의 철심재료로서 사용되고, 그 자기 특성이 양호한 것이 요구된다. 특히, 철심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에너지 손실, 즉 철손이 적은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철손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결정방위를 (100) [001] 방위로 고도로 가지런하게 하는 것, Si 함유량을 높여서 강판의 전기저항을 증가시키는 것, 불순물을 저감시키는 것, 그리고 판두께를 얇게하는 것 등 여러가지의 시험을 시도해왔다. 그결과, 판두께가 0.23mm 이하의 강판에서는, 철손 W17/50(최대자속밀도 1.7T 에서 50Hz 의 주파수로 교번자화 했을 때의 철손) 이 0.9W/kg 이하인 것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야금학적인 수법에서는 이 이상의 대폭적인 철손의 개선은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최근에, 철손의 대폭적인 저감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인위적으로 자구를 세분화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시험되어 왔다. 그 중에서 현재 공업화되어 있는 방법의 하나로서, 일본국 특공소 57-225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마무리 소둔을 마친 강판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강판은 레이저 빔이 갖는 강한 에너지에 의해 도입된 국소적인 고전위 밀도영역을 갖는다. 이 고전위 밀도영역은 180°자구의 세분화를 가져오고, 철손이 적은 강판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강판에는, 변형잡기 소둔과 같은 고온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고전위 밀도영역이 소실되고, 철손의 열화를 초래함으로, 변형잡기 소둔을 필수로 하는 권철심 (卷鐵心) 에는 이용되지 못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변형잡기 소둔이 가능한 기술로서, 일본국 특공소 62-54873 호 공보에는 마무리 소둔을 끝낸 강판에 대해서, 레이저나 기계적 수단에 의해서 국소적으로 절연피막을 제거한 후 피막제거부를 산세 (酸洗) 하는 방법이나, 나이프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직접 지철까지 이르는 표시를 실시하는 등의 수단에 의해, 선형의 홈을 국소적으로 형성한 후, 이 홈을 인산계의 장력부여 피막처리를 실시하는 것으로 매립하는 방법이, 또 일본국 특공소 62-53579 호 공보에는 마무리 소둔을 끝낸 강판에 90 ~ 220kgf/mm2의 하중으로 지철부분에 깊이 5㎛ 를 넘는 홈을 형성한 후, 75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처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 3-69968 호 공보에는 최종 냉간압연후의 강판에, 그 압연방향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선형의 표시를 도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강판은 어느 것도 표면에 선형의 홈을 가지며, 이 홈 근방에 생기는 자극 (磁極) 에 의해 자구가 세분화되는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서, 철손저감이 실현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변형잡기 소둔이 가능한 저철손재료가 얻어지게 되었지만, 그후, 상세한 조사 결과, 이와 같은 강판의 철손은 일본국 특공소 57-2252 호 공보등에 개시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갖는 강판에 비하여 약간 처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이 발명은 선형 홈의 형성에 의한 저철손화를 더욱 촉진한 매우 철손이 적은 방향성 전자강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무리 소둔을 끝낸 방향성 규소강판의 표면에 그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각각 압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가지며, 이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의 도입위치를 다르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이다.
그리고,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을 교차시켜서 도입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양자가 완전히 중복되지 않으면 된다.
또, 실시에 있어서,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의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가 30°이내일 것, 또한 선형 홈은 폭 0.03 ~ 0.30mm 및 깊이 0.01 ~ 0.07mm 이고, 고전위 밀도영역은 폭 0.03 ~ 1mm 인 것이 유리하고 적합하다.
또한, 선형 홈의 간격은 1 ~ 30mm 이고, 고전위 밀도영역의 간격은 1 ~ 3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마무리 소둔을 끝낸 방향성 규소 강판의 표면에, 그 압연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각각 압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가지며, 이 선형 홈 끼리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끼리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l1및 l2가,
1 ≤ l1≤ 30(mm) … … (1)
5 ≤× l2≤ 100 … … (2)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이다.
또, 본 발명은 표면에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을 갖는 마무리 소둔을 끝낸 일방향성 전자강판에 대해서, 이 선형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l1(mm) 로 하였을 때, 하기 식을 만족하는 간격 l1및 l3(mm) 의 아래로 선형의 미소 (微小) 압연 변형을 동일하게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이다.
1 ≤ l1≤ 30(mm) … … (1)
5 ≤× l3≤ 100 … … (3)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무리 소둔을 끝낸 일방향성 전자강판에 형성하는 선형홈의 형태는, 폭: 0.03 ~ 0.30mm, 깊이: 0.01 ~ 0.07mm 압연방향과의 교차각도: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대해서 30°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소 압연 변형의 도입시에 있어서는, 선형돌기폭: 0.05 ~ 0.50mm, 돌기높이: 0.01 ~ 0.10mm, 롤축과 이루는 각도: 30°이내의 선형돌기를 갖는 롤을 이용하고, 이 선형돌기부착 롤을 강판에 대해서, 면압: 10 ~ 70kg/mm2으로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청구항 1 의 본 발명의 기초가 된 연구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히비터 (inhibitor) 로서 MnSe 및 AlN 을 포함하는 3.2wt%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까지 압연하고, 그 후, 다음에 나타내는 (A)~(E) 의 처리를 실시하였다.
(A) 그라비아 옵셋인쇄에 의한 에칭레지스트 도포후, 전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mm 간격으로 폭 0.15mm, 깊이 0.020mm 의 선형의 홈을 형성한 후 탈탄소둔, 이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고, 또한 덧칠코팅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B) (A)와 동일처리를 실시하여 얻은 제품에 대해서,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mm 간격으로 선형의 홈과 겹치지 않도록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였다. 조사부에는, 폭 0.30mm 에 걸쳐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이 관찰되었다.
(C) (A)와 동일처리를 실시하여 얻은 제품에 대해서,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mm 간격으로 선형 홈과 동일 위치로 되도록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였다.
(D) 홈 형성처리를 하지 않고 탈탄소둔, 최종 마무리 소둔, 그리고 덧칠코팅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E) (D)에 의해 얻어진 제품에 대해서,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4mm 간격으로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였다. 조사부에는 (B) 와 동일하게 폭 0.30mm 에 걸쳐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이 관찰되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품판으로 부터, 폭 150mm 및 길이 280mm 의 시편을 채취하고, 단판자기시험 (SST) 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판정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여기에서, W17/50값은 자속밀도 1.7T, 주파수 50Hz 에 있어서의 철손측정치이며, B8값은 자화력 800A/m 에 있어서의 자속밀도를 나타낸다.
표 1 로 부터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선형 홈과 선형 홈의 사이에 고전위 밀도영역을 갖는 재료 (B) 는 홈만의 재료 (A) 및 고전위 밀도영역만의 재료 (E) 에 비하여 적은 철손을 나타내었다. 선형 홈과 동일위치로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한 재료 (C) 도 홈만에 비하여 약간 저철손으로 되지만, 재료 (B) 에 비하면 철손 저감량은 적었다.
이상과 같이, 강판표면에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과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함께 갖고, 또, 선형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이 동일 위치에 겹치지않는 방향성 전자강판은, 종래에도 한층 더 저철손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와 같은 재료는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지않는 적철심용 재료로서 특히, 종래재료 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는 권철심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종래재료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에서, 고전위 밀도영역이 선형 홈과 동일 위치에서 겹치지 않고, 홈 사이에 도입한 쪽이 저철손으로 되는 것은, 자구 세분화에 유효한 자극량이 홈 사이의 쪽이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 발명자 들의 상세한 조사에 의하면, 선형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의 도입 위치는 동일위치가 아니면, 저철손화의 목적은 달성할 수 없다. 즉, 제 1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전위 밀도부가 선형 홈의 중간에 홈과 평행으로 존재하는 배치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b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홈과 교차하도록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하여도 된다. 요는,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이 완전히 중복되는 것을 피하면, 저철손화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매우 큰 저철손화를 실현하는 데는, 고전위 밀도영역을 선형 홈의 중간부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형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하는 면은 강판의 동일 면에 있어서도 표리반대면에 있어서도 동등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확인 되었다.
다음에,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우선, 강판 표면에 형성하는 선형 홈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각각 판 두께 0.23mm 의 강판에 형성한 선형홈의 폭 및 깊이와 이 홈을 도입한 강판의 철손 W17/50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홈의 폭이 0.03 ~ 0.30mm, 선형 홈의 깊이가 0.010 ~ 0.070mm 에 있어서, 0.80W/kg 이하의 저철손이 안정하게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선형 홈의 폭은 0.30mm 를 넘는 경우에도 저철손은 얻어지지만, 자속 밀도가 크게 저하하기 때문에, 그 적정 범위는 0.030 ~ 0.30mm 로 한다.
또한, 제 4 도 및 제 5 도에, 각각 홈폭 0.20mm, 깊이 0.020mm 로 하였을 때의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선형 홈의 경사각도와 이 홈을 도입한 강판의 철손 W17/50값,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홈간격과 W17/50값의 관계를 각각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으로 부터, 0.80W/kg 이하의 저철손을 얻기 위해서는, 압연방향의 선형 홈 간격은 1 ~ 30mm, 선형 홈의 경사각도는 30°이내에서 홈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선형 홈과 동시에 형성하는 고전위 밀도 영역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6 도에, 상술한 실험의 조건 (A) 에 나타낸 처리에 의해, 폭 0.150mm, 깊이 0.020mm 의 선형 홈을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mm 간격으로 형성한 강판에 플라즈마 불꽃의 조사부가 홈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조사하였을 때에 가져온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과 이 처리를 거친 강판의 철손 W17/50값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은, 플라즈마 불꽃 조사노즐의 노즐 직경을 바꾸는 것으로 변화 시키고, 조사부의 자구구조를 주사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함으로써, 조사부에 의해 발생시킨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을 구했다.
제 6 도로 부터,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이 1mm 를 넘으면, 철손은 홈만의 경우에 비하여, 오히려 열화하고, 한편, 0.030mm 미만에서는 철손저감의 효과가 작아진다. 따라서,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은 0.030 ~ 1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7 도는 제 6 도에 있어서의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을 0.30mm 가 되도록한 경우의 압연방향의 간격과 철손 W17/50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 8 도는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고전위 밀도영역의 경사각도와 W17/50값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 8 도에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에서는,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은 0.30mm, 압연방향의 간격은 4mm 이었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고전위 밀도영역의 간격은 1 ~ 30mm, 경사각도는 30°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방향성 전자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얻어진 제품은 상기 나타낸 조건을 전부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한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이 권장된다.
즉, 방향성 전자 강판용 슬래브를 열간압연하고, 그후 필요에 따라서 열연판 소둔을 행한 후, 1 회 또는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 이상의 냉간압연에 의해 최종제품 판 두께로 하고, 그 후 탈탄소둔에 대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한 후, 통상 덧칠 코팅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함에 있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의 전후의 어느 것의 공정에 있어서,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한다.
선형 홈의 형성은 국소적으로 에칭처리 하는 수법, 칼날 등으로 표시하는 수법, 돌기부착 롤로 압연하는 수법 등을 들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것은 최종냉간압연 후의 강판에 인쇄 등에 의해 에칭 레지스트를 부착시킨 후, 비 부착역에 전해 에칭 등의 처리에 의해 선형 홈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즉, 일본국 특공소 62-53579 호 공보에 개시된 마무리 소둔 후의 강판을 기어형 롤로 압연하는 방법은,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을 1mm 이하로 하는 것은 곤란하며, 철손은 오히려 열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 되지 않는다. 공업화의 용이성으로 부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0-236271 호 공보에 개시된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는 방법이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방법, 나아가서는, 돌기부착 롤을 이용하여 강판에 미소한 변형을 도입하는 방법 등이 적용가능하지만, 공업화의 용이성으로 부터 돌기부착 롤을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권장된다.
또한, 이 발명의 성분조성범위는 종래 공지된 어느 것도 적합하지만, 대표조성을 들면 다음과 같다.
C: 0.01 ~ 0.10 wt% (이하 단지 % 로 나타냄)
C 는 열간압연, 냉간압연중의 조직의 균일 미세화 뿐만아니라, 고스방위의 발달에 유용한 성분이며, 적어도 0.01% 이상의 함유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0.10%를 넘어서 함유되면 오히려 고스방위에 혼란이 생기기 때문에 상한은 0.10% 정도가 바람직하다.
Si: 2.0 ~ 4.5%
Si는 강판의 비저항을 높여 철손의 저감에 유효하게 기여하지만, 4.5% 를 상회하면 냉연성을 잃고, 한편 2.0% 에 충족되지 않으면 비저항이 저하할 뿐만아니라, 2차 재결정·순화를 위하여 행해지는 최종 고온 소둔중에α-γ변태에 의해서 결정방위의 랜덤화를 발생하고, 충분한 소둔개선 경화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Si량은 2.0 ~ 4.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0.02 ~ 0.12%
Mn 은 열간취화 (熱間脆化) 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0.02% 정도를 필요로 하지만, 너무 많으면 자기 특성을 열화 시키기 때문에 상한은 0.12% 정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히비터로서, 소위 MnS, MnSe 계와, AlN 계가 있다. MnS, MnSe 계의 경우는, Se, 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0.005 ~ 0.06% 정도이다. Se, S는 어느것도, 방향성 규소강판의 2 차 재결정을 제어하는 인히비터로서 유력한 성분이다. 제어력 확보의 관점으로는 적어도 0.005% 정도를 필요로 하지만, 0.06% 를 넘으면 그 효과를 잃기 때문에, 그 하한, 상한은 각각 0.01%, 0.06%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N 계의 경우는,
Al: 0.005 ~ 0.10%, N: 0.004 ~ 0.015%
Al 및 N 의 범위에 대해서도, 상술한 MnS, MnSe 계의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하여, 상기의 범위로 정하였다. 여기에 상기한 MnS, MnSe 계 및 AlN 계는 각각 병용이 가능하다.
인히비터 성분으로서는 상기한 S, Se, Al 의 외에 Cu, Sn, Cr, Ge, Sb, Mo, Te, Bi 및 P 등도 유용하게 적합하기 때문에, 각각 소량 합쳐서 함유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 상기 성분의 최적 첨가범위는 각각 Cu, Sn, Cr: 0.01 ~ 0.15%, Ge, Sb, Mo, Te, Bi: 0.005 ~ 0.1%, P: 0.01 ~ 0.2% 이며, 이들의 각 인히비터 성분에 대해서도, 단독사용 및 복합사용 어느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형성한 선형 홈의 위치에 따른 적정한 배치하에서,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한 경우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선형 홈의 형성과 고전위 밀도영역의 형성은 독립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재료는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적철심용 재료로서 특히 종래재료 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는 권철심 재료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종래재료와 동등한 성능을 발휘한다.
다음에, 청구항 6 의 발명을 설명한다.
청구항 6 의 발명의 기초가 된 실험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히비터로서 MnSe 및 AlN 을 포함하는 3.2wt%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까지 압연하고, 그라비아 옵셋인쇄에 의한 에칭레지스트 도포후에 전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압연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는 폭 0.18mm 및 깊이 0.018mm 의 선형의 홈을, 그라비아 롤의 패턴을 바꿈으로써 홈 간격을 0.7mm 부터 100mm 까지 변화시켜서 형성하고, 20% NaCl 전해욕중에서 20A/dm2의 전류밀도하에서 전해에칭을 행함에 있어서, 에칭시간을 컨트롤 함으로써 선형 홈의 폭이 변화하여도 홈 깊이가 0.018mm 로 일정하게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선형 홈 형성처리 후의 강판에, 탈탄소둔, 이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고, 또한 덧칠 코팅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판으로 부터 에프스테인 시편을 잘라내어, 이 시편에 변형잡기 소둔을 실시한 후 자기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측정의 결과, 제 5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홈의 간격이 1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에서 철손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다음에, 발명자들은 간격 1 ~ 30mm 의 범위에서 선형 홈을 형성한 상기 제품에 대해서, 또한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는 것에 의한 자기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플라즈마 불꽃은 노즐 공경 0.35mm 의 노즐을 이용하여, 아크전류 7A 의 조건하에서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주사(走査) 하여 조사하였다. 이 때 조사간격을 0.7mm 부터 100mm 까지 변화시켰다. 그 결과, 플라즈마 조사부에는 강판압연 방향에 길이 0.30mm 에 걸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이 관찰되었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으로 부터 폭 150mm 및 길이 280mm 의 시료를 채취하고, 단판자기시험 (SST) 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바, 플라즈마 불꽃의 조사에 의해 선형 홈만을 도입한 강판에 비하여 저철손으로 된 제품과 반대로 철손이 열화한 제품이 얻어진다. 이들의 측정결과를 또한 상세히 분석한 결과, 선형 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l1(mm), 플라즈마 불꽃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조사간격을 l2(mm) 로 하면, 제 9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홈의 간격 l1에 대해서× l2가 5 이상, 100 이하로 되도록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한 제품에 있어서 매우 적은 철손이 얻어지는 것이 새롭게 판명되었다. 여기에서,× l2가 5 미만에서는, 철손은 선형 홈만의 경우에 비하여 오히려 열화된다. 이것은 고전위 밀도영역의 형성에 있어서 도입되는 자극량이 너무 많아져서, 이력손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편,× l2가 100 을 넘으면, 자극 생성량이 적기 때문에, 선형 홈만에 비하여 철손의 개선은 적지않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강판에 형성한 선형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l1이 1mm 이상 30mm 이하로 또한 선형의 간격 l1과 관계하여 식(3) 을 만족하는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l2에서 형성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갖는 강판은 홈만을 형성한 강판에 비하여 매우 적은 철손을 나타내는 것을 새롭게 알아내었다.
다음에, 청구항 7 의 발명을 설명한다.
이 발명의 기초가 된 실험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구항 6 의 발명의 기초가 된 실험과 동일하다.
인히비터로서 MnSe, AlN 을 포함하는 3.2% 규소강의 열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까지 압연한 후, 그라비아 옵셋인쇄에 의한 에칭레지스트 도포후에 전해에칭을 실시함으로써,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폭 0.18mm, 깊이 0.018mm 의 선형의 홈을 형성하였다. 이때, 그라비아 롤의 패턴을 바꿈으로써 홈 간격을 0.7mm 부터 100mm 까지 변화시겼다. 그리고 전해에칭은 20% NaCl 전해욕중에서 20A/dm2의 전류밀도하에서 전해에칭을 행하고, 에칭시간을 컨트롤 함으로써 선형 홈 폭이 다소 변화하여도 홈 깊이가 0.018mm 로 일정하게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홈 형성처리 후, 탈탄소둔 이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고, 또한 덧칠 코팅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다음에, 발명자들은, 특히 적은 철손이 얻어진 간격 1 ~ 30mm 에서 선형 홈을 형성한 상기 제품에 대해서, 또한 돌기부착 롤에 의해서 강판에 미소 압연 변형을 도입한 경우의 자기 특성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리고, 미소 압연 변형의 도입에는, 제 10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롤축 방향에 평행으로 선형돌기를 갖는 롤을 이용하였다. 돌기 높이는 0.05mm, 돌기폭은 0.20mm 이며, 20kg/mm2의 하중을 가하였다. 이때, 선형돌기의 간격을 1mm 에서 100mm 까지 변화시켰다. 강판의 선형돌기 압연부에는 폭: 0.30mm 에 걸쳐서 선형의 고전위 밀도부가 관찰되었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으로 부터 폭 150mm, 길이 280mm 의 시료를 채취하고, 단판자기시험 (SST) 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바, 돌기부착 롤 압연에 의해서, 홈만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저철손으로 된 제품과 반대로 철손이 열화한 제품이 얻어졌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얻어진 측정결과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선형 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l1(mm), 돌기부착 롤의 선형돌기간격(미소 압연 변형의 간격) 을 l3(mm) 로 하였을 때, 제 11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3가 5 이상, 100 이하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현격히 철손이 저감하는 것을 신규로 알아내었다. 여기에,× l3가 5 보다 작을 경우에는, 철손은 홈만의 경우에 비하여 오히려 열화하지만, 그 이유는 고전위 밀도부 형성에 의해 도입되는 자극량이 너무 많아져서, 오히려 이력손의 증대를 초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 l3가 100 보다 큰 경우에는 자극의 생성량이 적기 때문에, 눈에 뛸만큼 철손의 개선효과는 얻을 수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선형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l1(mm) 으로 하였을 때, 다음 식 (3) 을 만족하는 간격: l3(mm) 으로 형성된 선형의 미소 압연변형을 강판에 도입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보다 한층 철손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 규명된 것이다.
5 ≤× l3≤ 100 … … (3)
청구항 7 의 발명에 있어서 도입되는 선형의 홈과 미소 압연 변형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선형 홈의 폭은 0.03 ~ 0.30mm, 깊이는 0.01 ~ 0.07mm 로 하는 것이 철손저감 효과상 바람직하다 라는 것은, 홈폭 및 깊이가 너무 작다면 자극의 생성량이 작고 충분한 자구세분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한편 너무 크면 자속밀도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 홈의 도입각도는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대해서 30°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 라는 것은, 30°를 넘으면 자구 세분화 효과가 급격하게 작아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미소 압연 변형에 대해서 설명하면, 변형의 부여수단으로서는 선형 돌기부착 롤이 특히 유리함에 적합하다. 돌기형상에 대해서는, 선단부가 뾰족해져 있어도, 둥글게 되어 있어도, 평탄하게 되어 있어도 좋지만, 내구성 및 효과의 점으로 부터 선단부는 둥근쪽이 바람직하다. 선형돌기부의 폭은 0.05mm ~ 0.50mm 정도가 최적이다 라는 것은, 0.05mm 미만에서는 미세 변형 영역이 좁기 때문에 효과가 작으며, 한편 0.50mm 를 넘은 것에서는 변형량이 너무 많아서 이력손의 열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또, 돌기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지만 0.01 ~ 0.10mm 정도가 실용상 최적이다. 또한, 돌기의 간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식 (3) 을 만족하는 간격 l3(mm) 로 하는 것이 필수조건이다. 또한, 선형돌기의 각도는 롤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축방향으로 부터 30°이내의 각도이면 교차해 있어도 좋다. 또, 압연할 때에 인가하는 면압 (面壓) 은 10 ~ 70kg/mm2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는 것은 면압이 10kg/mm2미만의 경우는 미소 변형의 도입효과에 부족하며, 한편 70kg/mm2를 넘는 경우는 변형량이 너무 커서 이력손의 열화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선형 홈과 미소 압연 변형도입부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는,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없다. 즉, 홈과 변형 도입부는 동일위치라도, 홈 사이의 변형 도입부가 있어도, 또 양자가 교차하여 있어도 좋으며, 또한 양자는 동일면, 양면의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관계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미소 압연 도입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돌기부착 롤이 특히 유리하게 적합하지만, 그외, 강판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한 철제 와이어상으로 부터 압하를 가하는 방법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방향성 전자강판용 슬래브를 열간압연하고, 그후 필요에 따라서 열연판 소둔을 행한후, 1 회 또는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 이상의 냉간압연에 의해 최종제품 판두께로하고, 그후 탈탄소둔에 대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한 후, 통상 덧칠 코팅을 실시한 제품으로 한다.
선형 홈의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최종 마무리 소둔의 전후의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다. 홈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국소적으로 에칭처리하는 방법, 칼날 등으로 표시하는 방법, 돌기부착 롤로 압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최종 냉간압연후, 강판에 인쇄 등에 의해 에칭 레지스트를 부착시킨 후 전해에칭 등의 처리에 의해 홈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후, 전술한 바에 따라서 강판에 미소 압연 변형을 도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하여 얻어진 강판은 특별히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적철심용 재료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변형잡기 소둔을 필요로 하는 권철심용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재료와 동등 정도의 성능을 발휘한다.
[실시예 1]
C:0.070%, Si:3.3%, Mn:0.069%, Se:0.018%, Sb:0.024%, Al:0.021% 및 N:0.008% 를 포함하는 3.3wt%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 까지 압연한후, 그라비아 옵셋인쇄에 의한 에칭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이어서 전해에칭 및 알칼리 액중에서의 레지스트 박리에 의해, 폭 0.16mm 및 깊이 0.018mm 의 선형 홈을,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10°의 경사각도로, 압연방향으로 3mm 간격으로 형성하였다. 그후, 탈탄소둔, 이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고, 또한 덧칠 코팅을 실시하였다. 또한,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하기의 (F) ~ (H) 의 조건에 따라서, 각각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여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불꽃은 노즐 공경 0.35mm 의 노즐을 이용한 아크전류 7.5A 의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F) 선형 홈과 평행하면서 조사부가 홈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10°의 경사각도로 6mm 간격으로 조사
(G) 선형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조사. 조사각도와 간격은 (F) 와 동일
(H) 선형 홈과 같은 위치에 6mm 간격으로 조사
또, 비교로서
(I) 홈 형성처리만으로 플라즈마 불꽃 조사하지 않음
(J) 홈 형성처리를 행하지 않고 (F) 와 동일조건에서 플라즈마 불꽃 조사의 처리를 거친 재료도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품코일의 폭방향으로 부터, 150 × 280mm 의 시편을 각 6 장씩 채취하고, 변형잡기 소둔을 실시하지 않고 단판자기 시험기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로 부터, 홈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한 재료는, 비교예에 비교하여 철손의 저감폭이 큰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C:0.071%, Si:3.4%, Mn:0.069%, Se:0.020%, Al:0.023% 및 N:0.008% 를 포함하는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처리하고 0.18mm 두께의 강판으로 하였다. 이 강판에 대해서,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절연 피막을 제거한 후 30% HNO3액중에서 산세처리함으로써,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폭 0.18mm 및 깊이 0.015mm 의 선형 홈을, 압연방향으로 4mm 간격으로 형성한 후, 재차 덧칠 코팅을 실시하고, 800℃ × 3min 으로 베이크 하였다. 또한,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하기의 (K) ~ (M) 의 조건에 따라서, 각각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고,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하였다. 플라즈마 불꽃은 노즐 공경 0.35mm 의 노즐을 이용하여 아크전류 7A 의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K) 선형 홈과 평행하면서 조사부가 홈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4mm 간격으로 조사
(L)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터의 경사각도 15°로 되도록 4mm 간격으로 조사
(M) 선형 홈과 같은 위치에 4mm 간격으로 조사
또, 비교로서
(N) 홈 형성처리만으로 플라즈마점조사 하지 않음
(O) 홈 형성처리를 행하지 않고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4mm 간격으로 플라즈마점조사만의 처리를 거친 재료도 제작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제품코일로 부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시편을 채취하고 자기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표 3 으로 부터, 홈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고전위 밀도부를 갖는 재료는 비교예에 비하여 철손의 저감폭이 큰것을 알았다.
[실시예 3]
인히비터로서 MnSe, Sb 및 AlN 을 포함하는 3.3wt%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까지 압연한 후, 그라비아옵셋 인쇄에 의한 에칭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이어서 전해에칭 및 알칼리 액중에서의 레지스트 박리에 의해, 폭 0.16mm 및 깊이 0.018mm 의 선형홈을,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10°의 경사 각도로, 압연방향으로 3mm 피치 (l1= 3mm) 로 형성하였다. 그 후, 탈탄소둔, 이어서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고, 또한 덧칠 코팅을 실시하였다. 또한,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여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하였다. 플라즈마 불꽃은 노즐 공경 0.35mm 의 노즐을 이용하여 아크 전류 7.5 A 의 조건하에서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사간격 (l2) 을 1mm 로 부터 100mm 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켜서 조사하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으로부터 폭 150mm 및 길이 280mm 의 시편을 채취하고, 단판자기시험기 (SST) 에 의해 자기특성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냈다. 또 비교로서, 고전위 밀도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선형만의 강판의 특성을 표 4 에 병기한다.
표 4 에 의해 선형 홈의 간격을 l1(mm) 로 했을 때 식 (2) 를 만족하는 간격 l2(mm) 으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한 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적은 철손을 나타냈다.
[실시예 4]
인히비터로서 MnSe, Sb 및 AlN 을 포함하는 3.2wt%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처리하고 0.18mm 두께의 강판으로 하였다. 이 강판에 대해서,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절연피막을 제거한 후 30% HNO3액중에서 산세처리함으로써, 교차방향으로 뻗는 폭 0.18mm 및 깊이 0.015mm 의 선형 홈을, 압연방향으로 3mm 간격 (l1= 3mm) 으로 형성한 후, 재차 덧칠 코팅을 실시하고, 800℃ × 3min 으로 베이크 하였다. 또한,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플라즈마 불꽃을 조사하고,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영역을 도입하였다. 플라즈마 불꽃은 노즐 공경 0.35mm 의 노즐을 이용하여 아크전류 7A 의 조건하에서 교차방향으로 조사하여 압연방향의 조사간격 l2를 1mm 로 부터 80mm 까지 단계적으로 변화시켜서 조사하였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으로부터 폭 150mm 및 길이 280mm 의 시편을 채취하고, SST 에 의해 자기특성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를 표 5 에 나타냈다. 또 비교로서, 고전위 밀도 영역을 형성하지 않는 선형 홈 만의 강판의 특성을 표 5 에 병기한다.
표 5 에 의해 선형 홈의 간격을 l1(mm) 로 하였을 때 식 (2) 를 만족하는 간격 l2(mm) 에서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형성한 강판은, 비교예에 비하여 매우 적은 철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인히비터로서 MnSe, Sb 및 AlN 을 포함하는 3.3% 규소강의 열간압연판을, 중간소둔을 사이에 두는 2 회의 냉간압연에 의해 0.23mm 두께까지 압연한후, 그라비아옵셋 인쇄에 의한 에칭 레지스트를 도포후, 전해에칭, 알칼리 액중에서의 레지스트 박리의 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폭: 0.16mm 및 깊이: 0.018mm 의 선형 홈을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부터 10°의 각도를 이루도록 3mm 피치 (l1= 3) 로 도입하였다. 이어서, 탈탄소둔, 최종 마무리 소둔을 실시한 후, 덧칠 코팅을 실시하였다.
그후, 얻어진 강판에 대해서, 돌기부착 롤 압연을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부를 형성하였다. 돌기부착 롤로서는, 돌기높이:0.02mm 의 롤 축방향에 평행한 선조돌기를 갖는 롤을 이용하고, 30kg/mm2의 하중을 부가하였다. 이때, 선형돌기의 간격을 1mm 로 부터 100mm 까지 변화시켰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판으로부터 폭: 150mm, 깊이: 280mm 의 시편을 채취하고, 단판자기 시험기 (SST) 에 의해 자기특성에 대해서 측정한 결과를 표 6 에 나타냈다.
그리고, 표 6 에는, 비교로서 돌기 롤 압연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홈만의 강판 및 돌기 롤 압연만을 행한 강판에 대해서 조사결과도 병기하여 나타냈다.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의 간격이 l1(mm) 인 때, 5 ≤× l3≤ 100 을 만족하는 간격 l3(mm) 하에서 돌기부착 롤을 이용하여 선형의 미소 압연 변형을 도입한 강판은 홈만의 경우는 물론 돌기부착 롤압연만을 실시한 경우와 비하여도 우수한 철손값을 나타냈다.
또 이들의 강판을 N2중에서 800℃, 3h 의 변형잡기 소둔을 행한바, 돌기부착 롤압연만의 강판 (No.8) 은 0.87W/kg 까지 철손이 열화했지만, 홈 형성한 강판(No. 2~5) 은 고작 0.72W/kg 이었다.
[실시예 6]
인히비터로서 MnSe, Sb, AlN 을 포함하는 규소강의 열연판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처리하고 0.18mm 두께의 강판으로 하였다.
이 마무리 소둔을 마친 강판에 대해서, 초음파진동자를 이용하여 선형으로 절연피막을 제거한 후, 30% HNO3액중에서 산세처리함으로써, 폭: 0.18mm, 깊이: 0.015mm 의 홈을 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3mm 간격 (l1= 3) 으로 형성한 후, 재차 덧칠 코팅을 실시하고, 800℃ 에서 3min 으로 베이크 하였다. 그후, 돌기부착 롤압연에 의해 국소적으로 고전위 밀도부를 형성하였다. 돌기부착 롤로서는 돌기높이:0.03mm 의 롤축 방향으로 평행한 선형돌기를 갖는 롤을 이용하여, 25kg/mm2의 하중을 부가하였다. 이때, 선형돌기의 간격을 1mm 로 부터 80mm 까지 변화시켰다.
이렇게하여 얻어진 제품판으로 부터, 폭:150mm, 길이:280mm 의 시편을 채취하고, SST 에 의해 자기특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그리고, 표 7 에는, 비교로서 돌기 롤 압연처리를 실시하진 않은 홈만의 강판 및 돌기 롤 압연만을 행한 강판에 대해서의 조사결과도 병기하여 나타냈다.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의 간격이 l1(mm) 인 때, 5 ≤× l3≤ 100 을 만족하는 간격 l3(mm) 하에서 돌기부착 롤을 이용하여 선형의 미소 압연 변형을 도입하는 강판은 홈만의 강판은 물론, 돌기부착 롤 압연만을 실시한 강판에 비하여도 우수한 철손값을 나타냈다.
또 이들의 강판을, N2중에서 800℃, 3h 의 변형잡기 소둔을 행한바, 돌기부착 롤 압연만의 강판 (No.16) 은 0.82W/kg 까지 철손이 열화했지만, 홈 형성한 강판 (No. 10 ~ 13) 은 고작 0.71W/kg 이었다.
본 발명의 강판은, 종래재료에 비하여 매우 적은 철손을 나타내기 때문에, 변압기 특히 적철심 변압기의 효율 상승에 크게 기여 한다.
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표면에 압연방향과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뻗는 선형의 홈을 갖는 마무리 소둔을 마친 일방향성 전자강판에, 또한 소정의 조건하에서의 선형 미소 압연 변형을 도입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철손특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변압기의 효율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Claims (5)

  1. 마무리 소둔을 끝낸 방향성 규소강판의 표면에, 압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경사가 30°이내가 되게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각각 압연방향으로 선형 홈의 폭이 0.03 ~ 0.30mm 가 되고, 그 깊이가 0.01 ~ 0.07mm 가 되며, 고전위 밀도영역의 폭이 0.03 ~ 1mm 가 되게 하고, 선형 홈 및 고전위 밀도영역 각각의 간격이 1 ~ 30mm 가 되게 다수 형성되며, 이 선형 홈과 고전위 밀도영역의 도입위치를 다르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마무리 소둔을 끝낸 방향성 규소 강판의 표면에, 그 압연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 홈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을 각각 압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가지며, 이 선형 홈 끼리 및 선형의 고전위 밀도영역 끼리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 l1및 l2가,
    1 ≤ l1≤ 30(mm) … … (1)
    5 ≤× l2≤ 100 … … (2)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3. 표면에,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선형의 홈을 갖는 마무리 소둔을 끝낸 일방향성 전자강판에 대해서, 이 선형 홈의 압연방향에 있어서의 간격을 l1(mm) 로 하였을 때, 하기 식,
    1 ≤ l1≤ 30(mm) … … (1)
    5 ≤× l3≤ 100 … … (3)
    을 만족하는 간격 l1및 l3(mm) 의 아래로 선형의 미소 압연 변형을 동일하게 압연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홈이 폭 0.03 ~ 0.30mm, 깊이 0.01 ~ 0.07mm, 압연방향과 교차각도:압연방향과 직각인 방향에 대해서 3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자기강판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미소 압연 변형의 부여수단이, 선형돌기폭: 0.05 ~ 0.50mm, 돌기높이: 0.01 ~ 0.10mm, 롤축과 이루는 각도: 30°이내의 선형돌기를 갖는 롤이며, 이 선형돌기부착 롤을 강판에 대해서, 면압: 10 ~ 70kg/mm2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40036470A 1993-12-28 1994-12-23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KR100259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5649 1993-12-28
JP33564993A JP3364305B2 (ja) 1993-12-28 1993-12-28 鉄損の低い一方向性電磁鋼板
JP94-51608 1994-03-23
JP05160894A JP3541419B2 (ja) 1994-03-23 1994-03-23 鉄損の低い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94-63179 1994-03-31
JP6317994 199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9990B1 true KR100259990B1 (ko) 2000-06-15

Family

ID=2729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470A KR100259990B1 (ko) 1993-12-28 1994-12-23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65455A (ko)
EP (1) EP0662520B1 (ko)
KR (1) KR100259990B1 (ko)
CN (1) CN1048040C (ko)
CA (1) CA2139063C (ko)
DE (1) DE69424762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45B1 (ko) * 2001-01-29 2009-02-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철손이 적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147527B2 (en) 2011-12-28 2018-12-04 Jfe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004579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WO2021125680A1 (ko) * 2019-12-19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6388T2 (de) 1996-10-21 2002-02-14 Kawasaki Steel Co Kornorientiertes elektromagnetisches Stahlblech
US6261702B1 (en) * 1999-05-21 2001-07-17 J&L Specialty Steel, Inc. Embossed rolled steel and embossing ro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359622B1 (ko) * 1999-05-31 2002-11-0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고자장 철손 특성이 우수한 고자속밀도 일방향성 전자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EP1149924B1 (en) * 2000-04-24 2009-07-15 Nippon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excellent in magnetic properties
JP4398666B2 (ja) * 2002-05-31 2010-01-1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気特性の優れた一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0757B2 (ja) * 2003-03-19 2010-07-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磁気特性の優れた方向性電磁鋼板とその製造方法
BR112012032714B1 (pt) * 2010-06-25 2022-05-24 Nippon Steel Corporation Método para produção de chapa de aço elétrico com grão orientado
JP5594437B2 (ja) * 2011-09-28 2014-09-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0837B1 (ko) 2011-12-27 2015-12-2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성 전자 강판
JP5884165B2 (ja) 2011-12-28 2016-03-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112017007867B1 (pt) 2014-10-23 2021-03-02 Jfe Steel Corporation folha de aço elétrico de grão orientado e processo para produzir a mesma
KR102078655B1 (ko) * 2015-07-28 2020-02-19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선상 홈 형성방법 및 선상 홈 형성장치
CN108660295A (zh) * 2017-03-27 2018-10-1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铁损取向硅钢及其制造方法
CN112975298B (zh) * 2021-03-22 2022-10-21 保定天威保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少现场组装变压器不对称结构拉板弯曲变形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932A (ja) * 1986-12-27 1988-07-11 Nippon Steel Corp 鉄損の極めて低い高磁束密度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838A (en) * 1976-05-07 1977-12-20 Fiber Glass Systems, Inc. Rod construc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S585968B2 (ja) * 1977-05-04 1983-0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超低鉄損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4545828A (en) * 1982-11-08 1985-10-08 Armco Inc. Local annealing treatment for cube-on-edge grain oriented silicon steel
JPS6342331A (ja) * 1986-08-06 1988-02-23 Kawasaki Steel Corp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615694B2 (ja) * 1987-04-17 1994-03-02 川崎製鉄株式会社 方向性けい素鋼板の鉄損低減方法
US4996113A (en) * 1989-04-24 1991-02-26 Aluminum Company Of America Brightness enhancement with textured roll
JP2895670B2 (ja) * 1991-10-24 1999-05-24 川崎製鉄株式会社 鉄損の低い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6932A (ja) * 1986-12-27 1988-07-11 Nippon Steel Corp 鉄損の極めて低い高磁束密度一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145B1 (ko) * 2001-01-29 2009-02-2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철손이 적은 방향성 전자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10147527B2 (en) 2011-12-28 2018-12-04 Jfe Steel Corporati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004579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KR20200024658A (ko) * 2018-08-28 2020-03-0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KR102091631B1 (ko) * 2018-08-28 2020-03-20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WO2021125680A1 (ko) * 2019-12-19 2021-06-24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KR20210079129A (ko) * 2019-12-19 2021-06-29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KR102276850B1 (ko) 2019-12-19 2021-07-12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및 그 자구미세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040C (zh) 2000-01-05
CA2139063A1 (en) 1995-06-29
DE69424762D1 (de) 2000-07-06
DE69424762T2 (de) 2000-10-26
EP0662520A1 (en) 1995-07-12
CN1114687A (zh) 1996-01-10
CA2139063C (en) 2005-10-18
EP0662520B1 (en) 2000-05-31
US5665455A (en) 1997-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990B1 (ko) 철손이 적은 일방향성 전자강판 및 제조방법
JP6157360B2 (ja)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1387B1 (ko) 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03069032B (zh) 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593346B1 (ko) 방향성 전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0128214B1 (ko) 소음특성이 우수한 저철손-방향성 규소강판의 제조방법
KR100336661B1 (ko) 매우철손이낮은방향성전자강판과그제조방법
JP6116796B2 (ja)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26289B2 (ja) 鉄損の低い方向性電磁鋼板
JPH0657857B2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7320922A (ja) 鉄損の低い一方向性電磁鋼板
JPH06136449A (ja) 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DE68909000T2 (de) Kornorientierte Siliziumstahlbleche mit niedrigen Wattverlus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H1143746A (ja) 極めて鉄損の低い方向性電磁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042A (ja) 積鉄芯用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JP4331900B2 (ja) 方向性電磁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638180B2 (ja) 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60020A (ja) 電子ビーム照射による一方向性けい素鋼板の鉄損低減方法
JPH01147074A (ja) 歪取り焼鈍による特性劣化がない方向性けい素鋼板
JPH0565543A (ja) 歪取り焼鈍を施しても磁気特性の劣化がなくかつ幅方向に均一の特性を有する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
CN113226617B (zh) 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JPH06299244A (ja) 磁気特性に優れた電磁鋼板の製造方法
JPH05311241A (ja) 低鉄損一方向性珪素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ビーム照射装置
JPH04214819A (ja) 歪取り焼鈍を施しても磁気特性が劣化しない低鉄損一方向性けい素鋼板の製造方法及び低鉄損一方向性けい素鋼板の連続製造設備列
JPH07316655A (ja) 低鉄損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