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78B1 -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78B1
KR100246578B1 KR1019960080065A KR19960080065A KR100246578B1 KR 100246578 B1 KR100246578 B1 KR 100246578B1 KR 1019960080065 A KR1019960080065 A KR 1019960080065A KR 19960080065 A KR19960080065 A KR 19960080065A KR 100246578 B1 KR100246578 B1 KR 10024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urface
imaging target
light source
illumination ligh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933A (ko
Inventor
고로 기타무라
가즈시 요시다
토기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ublication of KR97006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 취급성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를 제공한다.
촬상대상면(2)을 반사갓(34),(34')을 가지는 두 개의 조명광원(27),(27')에 의해 각각의 우측만, 및 좌측만을 실질적으로 조명하고, 반사갓(34),(34')을 타원 단면 및 포물선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광원(27),(27')에 직접광 차단수단(38),(38)을 마련한다. 수광면(5)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25) 및 조명광원(27),(27')의 위치 및 자세를 원고대(24)에 대해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본 발명은 촬상대상면을 구성하는 사진, 원고, 입체물 등이 놓이는 원고대와, 상기 사진이나 원고 등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탈 스틸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촬상 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광원을 구비한, 프레젠테이션 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로서 종래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시예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70)는 촬상대상면(7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이 놓이는 원고대(74)를 구비하고, 이 원고대(74)의 중앙 상방에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85)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75)가 아암(80)을 통하여 지지되고, 상기 원고대(74)의 양측에는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조명하기 위한 가늘고 긴 형광등(78)을 가지는 좌우 한쌍의 조명광원(77),(77)이 아암(79)를 통하여 상기 원고대(74)와 평행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조명광원(77) 및 아암(79)은 각각 상기 원고대(72)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70)에 있어서,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함에 있어서는 통상 촬상대상면(7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을 원고대(74)상에 위치 결정해 두고, 조명광원(77),(7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조명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72)에 균일한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광원(77),(77)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한 후 상기 카메라유니트(75)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하게 된다.
이 경우, 촬상대상면(72)의 화상은 대물렌즈(76a)를 가지는 광학유니트(76)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유니트(75)의 수광면(85)을 구성하는 촬상소자에 촬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70)에 있어서는 촬상대상면(72)이 예를들어 광택을 가지는 것인 경우, 이 촬상대상면(72)을 그 위로부터 조명광원(77),(77)에 의해 조사하면, 그 촬상대상면(72)에서 반사된 정반사광이 화상취입장치(75)의 수광면(85)에 들어가 버린다. 이와같이 수광면(85)에 정반사광이 들어가면, 화상에 고스트가 발생하여 선명하지 않게 되어 원하는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같은 단점을 회피하기 위해 조명광원(77) 및 아암(79)은 통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두개의 조명광원(77)의 배치를 위하여 장치가 대형화되어 운반이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도록 된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반사갓을 나타내며, (A)는 횡방향 중앙단면도, (B)는 종방향 중앙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반사갓의 작용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의 수납운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청구항 1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8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청구항 1, 청구항2, 청구항 3 및 청구항 5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청구항 1, 청구항2, 청구항3,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촬상대상면
5...수광면
20...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24...원고대
25...카메라유니트
26...광학유니트
27...조명광원
31...제1아암
32...제2아암
33...램프
34...반사갓
38...도료(직접광 차단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는, 도 6 내지 도 11의 개념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즉, 기본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대상면(2)이 설정되는 원고대(4)와, 상기 촬상대상면(2)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5)과, 상기 촬상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원(7)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외측, 즉 촬상대상면(2)의 일단을 지나는 수직면(3)을 기준으로 촬상대상면(2)의 반대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명광원(7)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상기 수광면(5)과 동일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조명광원(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상의 왜곡이 실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수광면(5) 및 촬상광학계(11)의 광축(3')을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경사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됨과 동시에, 상기 촬상대상면(2)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5)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광학계(11)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수직(수직면(3)과 겹치거나 평행)이 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촬상광학계(11)에 의해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촬상대상면(2)의 실상에 왜곡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좌측에 제1수광면(5)과 제1조명광원(7)이 배치되며, 그들과 대칭으로 상기 제1촬상대상면(2)의 좌측에 제2촬상대상면(2')이 설정됨과 동시에, 이 제2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우측에 제2수광면(5')과 제2조명광원(7')이 배치되어, 사선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명광원(7)에 의해 상기 제1촬상대상면(2)과 제2촬상대상면(2')의 경계선(수직면(3))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조명광원(7)에 의해 경계선(수직면(3))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제2촬상대상면(2),(2')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수광면(5),(5')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상기 촬상광학계(11)의 광축을 촬상대상영역(S)의 중앙(수직선(3)과 겹치는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대상면(2)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광면(5)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소자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하나의 조명광원(7)으로 촬상대상영역(S) 전체를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광원(7),(7')이 램프(13),(13')와 반사갓(14),(14')을 가지며, 상기 반사갓(14),(14')이 그 갓단부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촬상대상면(2),(2')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조명광원(7),(7')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대상면(2),(2')에 한정 집광시킬 수 있으며, 조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3),(13')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15)이 마련된다. 직접광 차단수단(15)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차폐판을 램프(13),(13') 하방에 배치하거나 램프(13),(13') 하부에 광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도료를 도포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제1조명광원(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경계선(수직면(3))에 대해 동일측의 제2촬상대상면(2')을 향하는 것, 및 제2조명광원(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경계선(수직면(3))에 대해 동일측의 제1촬상대상면(2)을 향하는 것이 저지되며, 조명광원(7),(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5')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는 상기 반사갓(14),(14')이 비구면 형상이 된다. 비구면 형상이란 단면 형상이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갓(14),(14')이 상기 두개의 조명광원(7),(7')을 지나는 상기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제1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그 한 쪽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제1단면에 직교하는 상기 촬상대상면(2),(2')에 수직인 제2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그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의 외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후술하는 실시예의 반사갓의 단면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의 (A)의 타원 단면으로 보면, 한 쪽의 초점(Fa)으로부터 나온 광은 다른 쪽의 초점(Fb)을 지나도록 교차하며, 도3의 (B)의 포물선 단면으로 보면 초점(F')으로부터 나온 광은 평행광(가상선)이 되므로, 그 초점(F')보다 내측에서 나온 광은 외측으로 퍼진다. 그 때문에 반사갓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이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상기 원고대에 대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또한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조명광원이 모두 하나의 커버 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장치가 극히 컴팩트해진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고대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이 제1아암에 대해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제2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상기 제2아암에 결합된 커버 내에 내장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로써 비교적 단순한 장치 구성하에서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임의의 위치 및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암의 기단부가 상기 원고대의 일단부에 축지지되어 있어, 이 제1아암을 선회시킴에 의해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와 조명광원이 상기 원고대에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며 운반이 용이해진다. 이 구성은 아암의 기단부가 도 12와 같이 원고대의 단부에 배치될 수 없는 구성에 비해 아암의 기단부가 원고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취입장치(20)는 촬상대상면(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이 놓이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인 원고대(24)를 구비하고, 이 원고대(24)의 한 쪽 구석부에 제1아암(31)이 원고대(24)와 평행인 제1방향의 축선(R)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상기 원고대(24)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이 제1아암(31)의 선단에 제2아암(32)이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 즉, 상기 제1아암의 중심선(P)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상기 제1아암(31)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이 제2아암(32)의 선단에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25) 및 후술하는 조명광원(27),(27')을 덮는 하면이 개구된 커버(39)가 상기 제2아암(32)의 중심선(Q)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유니트(25)는 상기 커버(39) 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유니트(25)에는 도 2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촬상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면(5)이 내장되며, 그 하부에 촬상대상면(2)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5)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6a) 등을 가지는 광학유니트(26)가 결합되며, 그 양측부에 각각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며 점광원에 가까운 램프(33),(33')와 후술하는 비구면 형상의 반사갓(34),(34')을 가지는 조명광원(27),(27')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조명광원(27),(27')의 하방에 필터(29),(2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램프(33),(33')의 하부에는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도료(38)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도료(38)는 직업광 차단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반사갓(34),(34')은 도 3의 (A)에 그 횡방향 중앙 단면이, 그리고 도 3의 (B)에 그 종방향 중앙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조명광원(27),(27')을 지나는 상기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횡방향 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있어 그 한 쪽의 초점(Fa)이 상기 램프(33)의 필라멘트(35)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횡방향 단면에 직교하는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종방향 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있어 그 초점(Fa)이 상기 램프(33)의 필라멘트(35)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35)의 길이방향의 축선은 상기 반사갓(34)의 형상을 감안하여 포물선 단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본 실시예의 화상취입장치(20)를 이용하여 촬상대상면(2)을 촬상함에 있어서, 통상 촬상대상면(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을 원고대(24) 상의 중앙에 위치결정해 두고,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됨과 동시에, 상기 광학유니트(26)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의 거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면(C)과 겹치도록 아암(31),(32)이나 카메라유니트(25)의 위치 및 자세를 적절히 조절하고, 조명광원(27),(27')을 점등시켜 상기 촬상대상면(2)을 조명하면서 상기 카메라유니트(25)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을 촬상하게 된다. 이로써 촬상대상면(2)의 화상은 광학유니트(26)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유니트(25)의 수광면(5)을 구성하는 촬상소자에 촬상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갓(14),(14')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원 단면 및 포물선 단면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갓으로서 회전 타원경을 사용하면 통상 중심부가 밝아짐과 동시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영역(E)이 원형이 되어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을 균일하게 조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타원단면의 실린더경을 사용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a의 타원 단면에서 보면 하나의 초점(Fa)으로부터 나온 빛은 다른 하나의 초점(Fb)을 지나도록 교차하여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의 전역을 커버할 수 있지만, 상하방향(길이방향)으로 빛이 크게 밀려 나와 조명효율이 좋지 않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와 같이 타원과 직교하는 단면을 도 5b와 같은 포물선 단면으로 구성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의 전역을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의 화상취입장치(20)에 있어서는 촬상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9)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촬상대상면(2)을 거의 2분할하는 수직면(C)보다 좌측으로 조명광원(27)이 경사져 배치되며, 그와 대칭되게 상기 수직면(C)보다 우측으로 조명광원(27')이 배치되어, 상기 좌측의 조명광원(2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 중 상기 수직면(C)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의 조명광원(2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 중의 상기 수직면(C; 경계선)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촬상대상면(2)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면(5)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됨으로써 상기 조명광원(27),(27')의 램프(33),(33')로부터 나와 반사갓(34),(34')의 갓단부에서 반사된 빛은 도2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중에서 교차하여 상기 수직면(C)을 기준으로 반대측의 촬상대상면(2; 우측 절반부, 좌측 절반부)을 조사한다.
상기 반사갓(34),(34')의 갓단부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촬상대상면(2),(2')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조명광원(27),(27')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대상면(2),(2')에 한정 집광시킬 수 있으며, 조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커버(39)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되며, 또한 광학유니트(26) 구체적으로는, 광학유니트(26)의 대물렌즈(26a)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수직(수직면(3)과 겹침)이므로, 광학유니트(26)에 의해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촬상대상면(2)의 실상에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램프(13),(13')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으로서의 도료(38)가 발라져 있으므로, 조명광원(2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촬상대상면(2) 중의 수직면(3)보다 좌측부분을 향하는 것, 및 조명광원(2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촬상대상면(2) 중의 수직면(3)보다 우측부분을 향하는 것이 저지되어, 조명광원(27),(2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유니트(25) 및 조명광원(27),(27')이 3축(R,P,Q)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 원고대(24)에 대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또한 상기 카메라유니트(25)에 상기 조명광원(27),(27')이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27),(27')에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위치 및 자세를 용이하게 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메라유니트(25)에 대한 조명광원(27),(27')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취급이 간편해지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명광원(27),(27')은 반드시 카메라유니트(25)에 부착할 필요는 없고, 커버(39)나 제2아암(32) 등의 다른 장소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유니트(25)에 대한 조명광원(27),(27')의 위치 및 자세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아암(31)의 기단부가 상기 원고대(24)의 일단부에 축지지되어 있어 이 제1아암(31), 제2아암(32), 카메라유니트(25)를 적절히 회동시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9)를 보관을 위한 제2위치에 위치시켜 두게 되면, 커버(39) 내의 카메라유니트(25)와 조명광원(27),(27')을 원고대(24)에 중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꾀해져 운반이 간편해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는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8)

  1. 촬상대상면이 설정되는 원고대와, 상기 촬상대상면을 촬상하기 위하여 촬상광학계 및 수광면을 갖춘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촬상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원을 구비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고대에 제1방향의 축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상기 제1방향의 축선과는 다른 방향의 축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조명광원과 카메라유니트는 모두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과 상기 조명광원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대해 평면에서 보아 동일측에서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대에 겹쳐지는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광면이 상기 촬상대상면과 평행이 되며, 또한 상기 촬상대상면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광학계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촬상대상면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좌측에 제1수광면과 제1조명광원이 배치되며, 그들과 대칭으로 상기 제1촬상대상면의 좌측에 제2촬상대상면이 설정됨과 동시에, 이 제2촬상대상면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우측에 제2수광면과 제2조명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제1조명광원에 의해 상기 제1촬상대상면과 제2촬상대상면의 경계선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조명광원에 의해 상기 경계선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고, 또한 상기 제1촬상대상면 및 제2촬상대상면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수광면 및 제2수광면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대상면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면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소자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원이 램프와 반사갓을 가지며, 상기 반사갓이 그 갓단부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이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은 상기 촬상대상면에 수직인 제1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있어 그 한쪽의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제1단면에 직교하는 상기 촬상대상면에 수직인 제2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있어 그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KR1019960080065A 1996-01-26 1996-12-31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KR100246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2343 1996-01-26
JP8/12343 1996-01-26
JP01234396A JP3934698B2 (ja) 1996-01-26 1996-01-26 照明光源付き画像取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33A KR970060933A (ko) 1997-08-12
KR100246578B1 true KR100246578B1 (ko) 2000-04-01

Family

ID=1180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065A KR100246578B1 (ko) 1996-01-26 1996-12-31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34698B2 (ko)
KR (1) KR1002465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4499B2 (en) 2005-01-12 2009-07-21 Samsung Techwin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video presenter and video presenter having the same
JP5982928B2 (ja) * 2012-03-26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書画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4698B2 (ja) 2007-06-20
JPH09205527A (ja) 1997-08-05
KR970060933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0782B2 (ja) 照明装置
KR100246578B1 (ko)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JP3661798B2 (ja) 照明装置
WO2004046808A1 (ja) 電子閃光装置用反射鏡及び電子閃光装置
KR100215115B1 (ko)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
US20030218684A1 (en) Imaging apparatus
US20050105181A1 (en) Support surface of a device for optically capturing objects
JP2000004383A (ja) 多方向画像取込装置
JPH10274515A (ja) 曲面検査方法及び検査用カメラユニット
US6094545A (en) Deflector/diffuser/flash system
JPH09205568A (ja) 照明光源付き画像取込装置
JPH1164784A (ja) 照明装置
JPH04128707A (ja) イメージスキャナ
JP2005164913A (ja) 閃光発光装置
JPS5812165Y2 (ja) 照明撮影装置
JPH08220467A (ja) 照明光学系
JPH0577050B2 (ko)
JP3093414U (ja) デジタルカメラ用高倍率拡大撮影装置
JPH0576520A (ja) 潜在指紋検索装置
JP2957761B2 (ja) 照明付き装着ヘッド
JP2003279314A (ja) 投影装置、および照射装置
JP2691803B2 (ja) 原稿読取装置用の照明装置
JP2001174917A (ja) 画像形成装置
JPH0865464A (ja) 静止画入力装置
JPH0452875A (ja) 画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