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07B1 -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07B1
KR100228007B1 KR1019950049526A KR19950049526A KR100228007B1 KR 100228007 B1 KR100228007 B1 KR 100228007B1 KR 1019950049526 A KR1019950049526 A KR 1019950049526A KR 19950049526 A KR19950049526 A KR 19950049526A KR 100228007 B1 KR100228007 B1 KR 10022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fer
tape
coating film
hea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563A (ko
Inventor
코오헤이 코야마
시게루 타마이
마사토시 신타니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324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73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310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3134B2/ja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쇼로쿠, 시드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세가와 쇼로쿠
Publication of KR960021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 가능한 리필식 도막전사구에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서 부품점수가 적고 소형이며, 또한 구조가 간단한 테이프카아트리지.
평판형상의 지지기판(10)에 도막전사테이프(T)를 권장한 공급리일(11)과, 사용후의 테이프(T')를 회수하는 권취리일(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구성되는 소형이고, 또한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며, 양 리일(11,12)은, 도막전사구의 케이스(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가능하게 계합된다.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교환에 있어서는 양 리일(11,12)을 양 회전부(30,31)에 각각 계합시키면서 지지기판(10)을 양 회전부(30,31)위에 재치한 다음, 테이프(T)를 헤드(H)에 대하여 세트한다.

Description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1에 관한 글지우개를 분해하여 가리키는 사시도.
제2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테이프카아트리지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3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틀 가리키는 정면도.
제4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가리키는 제3도의 1-1선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
제6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테이프구동부에 대한 장착요령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7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케이스본체의 내부구성을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
제8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역전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9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회전조작부의 구조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9(a)도는 도막전사용 헤드와, 회전조작부의 관계를 가리키는 도면, 제9(b)도는 회전조작부의 위치결정부를 가리키는 도면.
제10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도막전사용 헤드와, 회전조작부를 절개해서 가리키는 정면도로서,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
제11도는 상기한 회전조작부의 조작요령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11(a)도는 캡부재를 케이스의 원통선단부에 부착하는 상태.
제11(b)도는 캡부재를 회전 조작하는 상태.
제12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외관을 가리키는 사시도.
제12(a)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상태.
제12(b)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
제13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내부를 가리키는 정면도.
제13(a)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제13(b)도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는 상태의 도면.
제14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사시도.
제14(a)도는 세로끌기 사용하는 상태의 도면.
제14(b)도는 가로끌기 사용하는 상태의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2에 관한 글지우개를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
제16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테이프카아트리지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17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가리키는 정면도.
제18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가리키는 제17도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제19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
제20도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테이프구동부에 대한 장치요령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21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케이스본체의 내부구성을 분해해서 가리키는 사시도.
제22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클러치기구를 가리키는 도면.
제22(a)도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단면도.
제22(b)도는 상기한 클러치기구의 마찰부재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23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도막전사용 헤드의 부착구조를 가리키는 도면.
제23(a)도는 도막전사용 헤드와, 지지기판의 헤드부착부와의 관계를 일부 단면으로 표시하는 정면도이고, 도막전사용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상태.
제23(b)도는 도막전사용 헤드와, 케이스의 회전조작부와의 관계를 일부 절개한 정면도이며, 도막전사용 헤드가 사용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면.
제24도는 상기한 글지우개의 도막전사용 헤드의 선단가압부의 개량 변형예를 확대해서 가리키는 측면도.
제25도는 구체적인 예1의 글지우개에 있어서의 테이프구동부의 연동부의 개량변형예를 가리키는 사시도.
제26도는 종래의 글지우개의 내부구성을 일부 절개해서 가리키는 정면도.
본 발명은,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와 도막전사구에 관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막전사테이프위의 수정도료층, 점착재층 등의 도막을 지면(紙面) 등에 전사하기 위한 도막전사구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리필식 도막전사테이프 장진기술에 관한다.
종래의 도막전사구의 일예로서 본 발명자들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No.5-138097 및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No.5-13800에 개시된 도막전사구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
이들 도막전사구는, 모두, 주로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지우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26(a)도와 제26(b)도에 각각 표시하듯이 수동 조작가능한 케이스(a)내에 도막전사테이프(b)가 권장된 공급리일(c)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b)가 회수되는 권취리일(d)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케이스(a)의 선단부에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피전사부(지면상의 피수정부분)(e)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f)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공급리일(c)에서부터 공급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는, 상기한 헤드(f)의 선단가압부(g)를 경유해서 상기한 권취리일(d)이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케이스(a)는, 상기한 공급리일(c)과 권취리일(d)을 내장할 수 있는 윤곽상태와, 지수를 구비한 편평한 상자로 되어 있다. 이 케이스(a)의 편평한 표리면, 즉, 제26(a),(b)도의 지면에 대한 표리면이 수동조작시에 있어서의 파지면(把持面)으로 되어 있다.
또, 제26(a)도의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f)의 선단가압부(g)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상기한 공급리일(c)과 권취리일(d)의 두루 감긴자세 그대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문(日文)과 같은 세로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한, 소위 세로끌기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제26(b)도의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상비한 헤드(f)의 가압부(g)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상기한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으로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유럽문자와 같은 가로 쓰기 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한, 소위 가로끌기 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도막전사구에 의해 오자 등을 지우는 데에는 상기한 케이스(a)의 파지면을 손가락으로 파지해서 도면에 표시했듯이,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g)에 의해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상기한 피수정부분(e)위에 밀착상태로 밀어붙이면서 상기한 케이스(a)를 각각 소정방향(제26(a)도의 화살표방향, 제26(b)도의 지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g)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b)의 수정도료층은, 상기한 피수정부분(e)위에 도착되어서 문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사용후의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가 상기한 권취리일(d)에 회수된다.
그런데, 근년에 지구자원의 유효이용이 주장되어 있어서, 이 종류의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도 자원절약화의 요청에 따라, 소모품인 도막전사테이프(b)만을 교환하는 소위 리필(refill)식 장치구조의 채용이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26(a)도에 표시된 세로끌기식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케이스(a)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카아트리지가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이 소모품으로서의 카아트리지는 도면으로 표시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와 함께 상기한 공급리일(c), 권취리일(d)과 헤드(f)의 합계 4점의 구성부품이 한 조가 된 구조와,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합계 3점의 구성부품이 한 조가 된 구조인 2종류로 대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의 테이프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부품(b), (c), (d), (f)가 모두 플라스틱제의 용기내에 장착되어 구성되고, 이것이 그대로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아트리지와 교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후자의 테이프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부품의 3점(b,c,d)이 유지부재에 의해 가유지되어서 구성되고,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아트리지와의 교환 시에 상기한 유지부재가 해체 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어느 테이프카아트리지에 있어서도,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으므로 한층 더한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
즉, 전자의 것에 있어서는, 도막전사구의 주요구성부품의 대부분이 소모품으로서 교환되게될 뿐 아니라, 이것들이 모두 플라스틱제의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부품점수도 많고, 또한 대형이며, 복잡한 구조이어서 교환부품자체의 제품코스트가 고가가 되며, 따라서 이 구조로서는 자원절약화와 러닝코스트의 저감화라고 하는 리필(refill)타이프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가 없다. 그 뿐 아니라, 플라스틱제 용기 자체가 구조상 비교적 대형이기 때문에 도막전사구 자체의 대형화를 초래하므로, 그 휴대성과 수동조작의 용이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또, 후자의 것에 있어서는, 가유지용의 유지부재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교환작업이 복잡하고, 또한 번잡하므로, 작업에 어느 정도의 숙달이 요구되는 구조이므로, 일반수요자의 전체에 용이하고 확실한 교환작업을 보증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제26(b)도에 표시된 가로끌로식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f)의 가압부(g)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상기한 케이스(a)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전면대향시켜서 안내하게 되므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만을 교환하는 리필구조의 채용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즉, 이 도막전사구에 있어서는, 구조상 필연적으로 상기한 도막전사테키프(b)가 상기한 헤드(f)부분에 있어서 90° 비틀려 있다. 이 때문에 생산자 측에 있어서는, 조립작업도 자동화가 어려운 상태에 있으므로 숙련자가 수작업으로 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또, 소모품인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교환하는 리필구조를 채용함에 있어서는 도막전사구의 분해·조립작업과,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작업은, 수요자측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기본이다. 따라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b)를 교환하는 구조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일련의 작업을 일반수요자에 있어서도 용이하고 신속하며,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수과제가 되고 있었다.
이 발명의 주목적은, 이와 칼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한 신규의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점수가 적고 소형이며, 또한 간단한 구조로서 나아가서는, 콤팩트한 도막전사구를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환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신속,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이 발명의 다른 또 한가지의 목적은, 필기구감각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 용이한 리필식 도막전사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 이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리필식의 것에 있어서 가로끌기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도막전사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테이프카아트리지의 구성은, 두께가 얇은 평판형상의 지지기판에 도막전사테이프를 감은 공급리일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리일이 회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한 양 리일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과 권취회전부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지지기판은, 적어도 상기한 양 리일을 상기한 양 회전부에 대응한 간격치수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얇은 두께의 판재로 되는 동시에 그 한쪽면이 도막전사테이프의 주행안내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지지기판에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이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해서 상기한 공급리일에서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가 상기한 권취리일에 두루 감기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의 구성은,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를 해체교환 가능하게 구비한 것으로서 수동 조작 가능한 케이스 내에, 공급회전부와 권취회전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이들 양 회전부에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이 각각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어서,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 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는,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설되거나, 혹은,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지지기판에 설치된다. 상기한 케이스는, 필기구를 잡은 자세에 있어서의 수동을 가능하게 한 한 쌍의 대향하는 파지면을 구비한다.
상기한 헤드는, 세로끌기 사용의 각도에 고정된 구성 외에,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고,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두루 감기의 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테이프카아트리지의 교환에 있어서는,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이 상기한 지지기판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교환 작업은 지지기판마다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한 양 리일을 상기한 도막전사구의 케이스의 공급회전부와, 권취회전부에 걸어 맞추면서 지지기판을 이들 양 회전부위에 재치하기만 하면 교환작업을 완료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어서, 상기한 헤드가 선단가압부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두루감기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불가능했던 가로끌기 사용과,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라고 하는 두가지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하는 구조가 실현된다.
즉, 그 사용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의 가압부가 도막전사테이프를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안내하기 때문에 케이스 자체를 필기구와 같은 자세로 파지한 상태로 헤드의 가압부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를 지면 등의 위에 밀착형상으로 밀어붙일 수가 있어서 그대로 케이스를 옆 방향으로,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막전사테이프의 수정도막층이 지면 등의 위에 전사되게 된다.
또,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에 있어서는, 먼저 상기한 헤드를 그 사용위치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로 회전 조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헤드부분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의 자세가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두루감기 자세에 대하여 약 90° 비틀린 상태로부터 평행한 상태로 조작되어서 상기한 헤드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의 착탈작업이 용이한 자세로 되기 때문에 그대로 케이스를 열면,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의 교환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 여기에서, 도막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대향하면,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의 표리면이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과 동일방향으로 향하면, 즉, 평행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하,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이 발명의 상기한 것과, 또 그것이외의 관련되는 목적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한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 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사항을 읽어보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5도에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카아트리지와 도막전사구가 표시되어 있으며,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부재 또는 요소를 가리키고 있다.
[구체예 1]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예1인 도막전사구가 제1도 내지 제14도에 표시된다.
이 도막전사구(1)는, 구체적으로는, 오자 등을 수정하기 위한 글지우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모품으로서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교환 가능한 카아트리지식, 즉, 리필식 구조를 구비해서 구성된다.
상기한 글지우개(1)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수동조작 가능한 케이스(2)에, 테이프카아트리지(C), 테이프 구동부(D), 도막전사용 헤드(H) 및 회전조작부(R)가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 글지우개(1)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H)가 제2(a)도와 제13(a)도에 표시하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겸, 세로끌기 조작위치)(x)와, 제12(b)도와, 제13(b)도에 표시하는 사용위치(가로끌기 조작위치)(y)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마다 설명한다.
[케이스2]
상기한 케이스(2)는, 도면 표시한 바와 같이 편평한 상자의 형태로 되어서,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테이프 구동부(D)를 내장할 수 있는 정면윤곽형상과 치구를 구비한다. 후술하듯이 상기한 케이스(2)의 편평한 표리면(2a,2b)은, 수동조작시의 파지면을 형성한다.
상기한 케이스(2)는, 사출형성 등에 의해서 형성된 플라스틱제의 것으로서 케이스본체(3)와 켑체(4)로 구성된다. 분해 가능한 분할구조로 되여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개구내주부에는, 끼워맞춤 오목부(3a)가 거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 오목부(3a)에 상기한 캡체(4)의 끼워맞춤리브(4a)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한 케이스 본체(3)의 후단부에는, 걸어맞춤부(3b)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부(3b)에 상기한 캡체(4)의 계지포올(4b)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케이스본체(3)와, 캡체(4)의 선단부에는, 원통반할부(3c,4c)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원통반할부(3c,4c)는 후술하는 캡부재(5)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한 케이스(2)의 조립에 있어서는, 먼저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계지포올(4b)을 계합시킨 다음에 감합오목부(3a)에 감합리브(4a)를 감합시키면서 상기한 원통반할부(3c,4c)를 상호 일체적으로 조합한다. 끝으로 이 조합한 부분(원통선단부)(6)에 상기한 캡부재(5)를 감합함으로써 상기한 케이스(2)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상기한 케이스본체(2)에는, 후술하듯이 도막전사테이프(T)의 헐거움을 바로잡기 위한 조작창문(7)(제7도 참조)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한 캡체(4)에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잔류량을 확인하기 위한 3개의 잔류량확인창문(8a 내지 8c)이 개구되어 있다.
[테이프카아트리지 C]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소모품으로서 교환 가능한 구성부품이다. 이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구체적 구성은, 제2도 내지 제5도에 표시되어 있다.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지지기판(10)에 도막전사테이프(T)를 권장해서 구성된 공급리일(11)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회수하는 권취리일(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구성된다. 이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제6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테이프구동부(D)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지지기판(10)은, 평판형상의 두께가 얇은 판재로 구성되고, 그 재질과 형상치수는,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유지강도를 구비한 범위 내에 있어서 가능한 한 얇고, 또한 콤팩트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이 지지기판(10)은, 양 리일(11),(12)을 테이프구동부(D)에 장착할 때까지의 동안에만 유지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면 되고, 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강도가 확보되는 한, 가급적이면 두께는 얇은 형상이고, 또한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표시한 구체적 예에 있어서는, 지지기판(10)의 재질은, AS(아크릴니트릴스틸렌)수지 또는, ABS(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수지로 되고, 지지기판(10)의 두께치수는 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지지기판(10)의 정면형상은,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외주윤곽을 따른 부분을 보유하는 형상이 된다. 지지기판(10)의 한쪽면 즉, 상면(10a)은 도막전사테이프(T)의 주행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은, 각각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두루 감는 중공의 드럼부(11a,12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드럼부(11a,12a)의 중앙에는 세레이션 또는 스플라인 등의 치형계합부를 보유하는 장착구멍(11b,1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리일(11,12)의 드럼부(11a,12a)는, 각각 그 지지끝부가 상기한 지지기판(10)의 지지구멍(10b,1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양 드럼부(11a,12a)의 지지끝부에, 고리형상의 감합홈(13,1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감합홈(13,13)이 지지구멍(10b,10c)의 내경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 지지된다. 이것에 관련해서 이들 지지구멍(10b,10c)의 외주부분에는, 제5도에 표시하듯이 드럼부 삽입용의 커트라인(14,14…)이 각각 방사방향으로 뻗어나서 복수개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의 외주에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가 권장되어 있고, 그 공급측의 선단이 상기한 권취리일(12)의 드럼부(12a)의 외주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도막전사테이프(T)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필름, 아세테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제, 혹은, 종이제 등의 필름형상기재(두께 25 내지 38μm정도)의 편면에 염화비닐 공중합수지, 저분자 폴리에틸렌 등의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며, 다시 그 위에 가압접착성을 보유하는 폴리우레탄 등의 점착제(감압접착제)층이 형성된 구조(구체적인 구조는 도면표시 생략)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수정도료층은, 전사 후에 즉시 그 위에서 필기가 가능한 소위 드라이타이프의 것이 채용되고 있다.
또, 상기한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의 자유단은 그대로 개방 끝이 되는 한편, 상기한 권취리일(12)의 드럼부(12a)의 자유단에는 테이프주행용 안내플랜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상기한 공급리일(11)의 측에 있어서는, 그 생산공정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권장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드럼부(11a)의 자유단에 플랜지가 없는 구조가 바람직한 한편, 반드시 안내플랜지가 없어도,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동작은,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권취리일(12)측에 있어서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권취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안내플랜지(15)가 필수적이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이 안내플랜지(15)가 없으면,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가 권취할 때에 흐트러져 버려서 상기한 드럼부(12a)의 외주에 정렬해서 권취되기가 어렵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이 권취된 도막전사테이프(T')가 상기한 권취리일(12)의 회전을 저해해서 상기한 글지우개(1)를 조작 불능하게 해버리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지지기판(10)위에서의 배치는, 제6도에 표시하듯이 이들 장착구멍(11b,12b)이 상기한 테이프구동부(D)의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에 대하여 각각 동측형성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장착위치 근방의 지지기판(10)에는, 부착플랜지(10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여기에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20,21)이 기립형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쪽의 가이드핀(20)은, 상기한 공급리일(11)에서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또 다른 한 쪽의 가이드핀(21)은, 권취리일(12)에 권취되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 권취쪽 가이드핀(21)에는, 플랜지가 붙여있는 가이드로울러(22)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됨으로써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하고도 또한 정렬된 권취안내가 조장되는 동시에 설혹 전사불량에 의한 도막의 남아 붙은 것이 도막전사테이프(T')에 있을 경우에라도 이 도막전사테이프(T')가 가이드핀(21)에 감겨들어 간다고 하는 불상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공급측 가이드핀(20)에도, 똑같은 가이드로울러가 부착되어도 된다.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선단부분(Ta)은, 상기한 케이스(2)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도막이 실시되어 있지 않는 필름형상기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미리, 상기한 공급리일(11)로부터 상기한 헤드(H)의 위치에 대응한 길이만큼만 공급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다. 또 이 세트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3도와 제4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회전정지부재(35)가 채용되어 있다.
이 회전정지부재(25)는, 상기한 지지판(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회전정지부재(25)는,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장착구멍(11b,12b)에 걸쳐지고 있는 듯한 형상과 치수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부측면에는 한 쌍의 계지볼록부(25a,25b)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양 리일(11,12)은 상기한 회전부(30,31)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가능하게 원터치로 세트된다. 또, 상기한 지지기판(10)을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한 양 리일(11,12)은 양 회전부(30,31)에서 원터치로 해체할 수가 있다.
[테이프구동부D]
상기한 테이프구동부(D)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구동부(D)는, 제6도와 제7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리일(11)을 회전구동하는 상기한 공급회전부(30), 권취리일(12)을 회전구동시키는 상기한 권취회전부(31)와, 양 회전부(30,31)를 연동시키는 연동부(32) 등을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는 각각, 중공의 회전축부(35,36)와 회전원판(37,38)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축부(35,36)는,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기립형성으로 설치된 중공지지축(39,40)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부(35,36)의 외주부에는, 도면표시할 바와 같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등의 치형계합부가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의 장착구멍(11b,12b)의 치형계합부에 각각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 상기한 장착구멍(11b,12b)이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계합되어서 축받이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이 회전축부(35,36)와 일체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연동부(32)는, 상기한 권취회전부(31)를 상기한 공급회전부(30)에 연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한 회전원판(37,38)과 슬라이드수단(50)으로 구성된다.
이 슬라이드수단(50)은, 상기한 양 회전부(30,31) 사이의 회전전달기능 뿐만 아니라,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속도와, 권취속도를 동기시키는 슬라이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고무 등의 마찰부재, 예를 들면 0링으로 구성된다. 이 마찰부재(50)는, 구동측의 회전원판(37)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동시에 종동측의 회전원판(38)의 외주에 마찰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으로는 표시하지 않지만, 상기한 마찰부재(50)의 코스트저감의 목적으로, 이 마찰부재(50)는, 상기한 회전원판(37)보다도 외경치수가 작은 종동측의 회전원판(38)의 외주부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마찰부재(50)가 상기한 회전원판(37)의 외주에 마찰계합되게 된다.
상기한 구동측과 종동축의 양 회전원판(37,38)의 회전비, 즉, 외경치수비는, 상기한 양 리일(11,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권취지름을 고려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과 권취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적당히 설정된다.
이리하여, 후술하는 상기한 헤드(H)의 가압조작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화살표A방향)이 공급리일(11)에 회전토오크로서 작용하면, 이 공급리일(11), 그리고 또, 공급회전부(30)의 회전원판(37)이 회전된다. 이 회전력은, 마찰부재(50)의 마찰력에 의해 종동측인 권취회전부(31)의 회전원판(38), 그리고 또, 권취리일(12)을 연동해서 회전시키고, 이것이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권취한다.
이 경우, 구동측의 회전원판(37)과, 종동측의 회전원판(38)의 회전비(외경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데에 대하여 공급리일(11)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의 비는 경시적으로 변화해서 일정하지 않다. 즉, 사용함에 따라서 공급리일(11)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점점 작아지는 데에 대하여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반대로 크게되어 간다.
그러므로, 권취리일(12)의 권취속도는, 공급리일(11)의 공급속도에 비교해서 경시적으로 빨라져가서 이들 양 속도의 동기가 무너지고, 공급리일(11)에 작용하는 회전토오크도 점점 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 회전토오크가 마찰부재(50)의 마찰력을 극복해서 구동측의 회전원판(37)이 종동측의 회전원판(3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회전하는 결과가 되어서, 상기한 공급속도와 권취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되게 된다.
또, 제7도와 제8도에 표시하듯이, 권취회전부(31)에는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기구(60)는, 상기한 회전원판(38)에 설치된 계지포올(60a)과,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중공지지축(40)과 동심고리형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역전방지포올(60b,60b…)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8도에 있어서 상기한 계지포올(60a)은, 역전방지포올(60b,60b…)을 탄성변형하면서 타넘어서 그 정면회전을 허용한다. 또, 상기한 양 리일(11,12)이 화살표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면, 상기한 계지포올(60a)은 역전방지포올(60b,60b…)의 어느 하나에 계합해서 그 역회전을 저지한다. 또, 이 역전방지기구(60)는, 상기한 공급회전부(30)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한 역전방지기구(60)에 관련해서 공급회전부(30)에는, 제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도막전사테이프(T)의 헐거움을 수정하기 위한 헐거움수정다이얼(6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헐거움수정다이얼(61)은, 상기한 회전원판(37)의 하측외주부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다수의 요철부(61a,61a…)로 구성된다. 또, 헐거움수정다이얼(61)에 대응해서 상기한 케이스본체(3)에는, 상기한 조작창문(7)이 개구되어 있으며, 이 조작창문(T)을 통하여 상기한 헐거움수정다이얼(60)을 수동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도막전사테이프(T)의 헐거움이 적당하게 수정된다.
[도막전사용 헤드 H]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H)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지면 위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위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 내주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H)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보유하는 플라스틱제로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와, 가압하는 헤드본체(65)와, 상기한 원통선단부(6)에 유지되는 축받이부(66)로 구성된다.
상기한 헤드본체(65)는, 도막전사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얇은 판형상의 것이며, 선단을 향해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테이퍼형상의 단면을 보유하고, 그 선단(65a)이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이 헤드본체(65)의 양쪽가장자리에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65b,6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축받이부(66)는 제1도, 제7도, 제9(a)도와,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원호형상의 단면을 보유하고,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2)의 원통반할부(3c,4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한 축받이부(66)의 기단부에는, 축방향위치결정용의 원호형상플랜지(6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66a)가 상기한 양 원통반할부(3c,4c)의 원통형상감합홈(67)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헤드(H)는,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에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되는 동시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반원통형상의 축받이부(66)내의 중앙부분에는, 상기한 헤드본체(65)가 도면에 표시했듯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66)의 개방부(68)는, 헤드본체(65)에의 테이프세팅개구로 되어 있다. 이 테이프세팅개구(68)는, 헤드(H)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을 때, 도막전사테이프(T)를 양 리일(11,12)의 권회자세대로 삽통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헤드본체(65)에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세팅이 용이한 구조가 되어 있다.
[회전조작부 R]
상기한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헤드(H)를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원통선단부(6)에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캡부재(5)와, 원통선단부(6)의 외주에 설치된 위치결정부(71)로 구성된다.
상기한 캡부재(5)는 플라스틱제의 일체성형품이고, 상기한 원통선단부(6)에 밖에서 끼워지는 베이스부(72)와, 상기한 헤드(H)에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감합되는 감합부(73)로 구성된다.
상기한 베이스부(72)는,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의 기능과 회전조작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베이스부(72)외 원통내경은, 상기한 원통선단부(6)의 외주에 삽통되고,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동시에 그 외주에 다수의 치형형상의 미끄럼방지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감합부(73)는, 상기한 헤드(H)를 삽통하는 삽통구멍(7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삽통구멍(74)의 형상치수는,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한 캡부재(5)와, 헤드(H)가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감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위치결정부(71)는, 상기한 캡부재(5)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적으로 위치결정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통선단부(6)의 외주의 대향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있다. 이들 한 쌍의 위치결정부(71,71)는 동일구조이다. 이하에, 캡체(4)의 원통반할부(4c)측의 위치결정부(7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위치결정부(71)는, 제9도와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6)의 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나는 삽통안내홈(71a)과, 이 삽통안내홈(71a)의 한 쪽 끝에서 원통선단부(6)의 둘레방향으로 뻗어나는 이탈방지안내홈(71b)으로 구성된다. 도면표시한 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이탈방지안내홈(71b)은, 제10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6)의 중심각 90°의 범위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양 끝에는 제1계합부(75a)와 제2계합부(75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계합부(75a,75b)는 상기한 안내홈(71a,71b)보다도 깊은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양 계합오목부(75a,75b)에 상기한 캡부재(5)의 내주에 설치된 계합볼록부(76)가 계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즉, 이 계합볼록부(76)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안내홈(71a,71b)을 따라서 어느 정도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한 양 계합오목부(75a,75b)에 대해서 탄성 복귀되면서 계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계합볼록부(76)와 계합오목부(75a,75b)의 계합 위치관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한 캡부재(5)의 계합볼록부(76)가 제1계합오목부(75a)에 계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12도와 제13도에 표시하듯이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겸, 가로끌기조작위치)(x)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의 권회자세대로, 즉,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시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할하도록(직교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또, 상기한 계합볼록부(76)가 계합오목부(75b)에 계합된 상태(제10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12(b)도와 제13(b)도에 표시하듯이 사용위치(가로끌기 조작위치)(y)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N)의 가압부(6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2b)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즉,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평행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글지우개(1)의 취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방법]
제11(b)도에 표시하듯이 캡부재(5)를 회전조작해서 헤드(H)를 세로끌기조작위치(x)(제12(a)도, 제13(a)도 참조)와 가로끌기조작위치(y)(제12(b)도, 제13(b)도 참조)의 두 위치의 어느 한 쪽으로 위치결정 선택함으로써 다음 두가지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① 세로끌기사용 : (제16(a)도 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문과 같은 세로쓰기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하다. 그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는 자세로 파지한다.
그리고, 이 파지자세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할 지면위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80)의 개시끝부(상단)에 대고 그대로 케이스(2)를 세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수정부분(80)의 종단(하단)에서 정지시킨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이, 상기한 필름형상기재로부터 박리되어서 상기한 피수정부분(80)위에 전사 피복된다. 이에 따라, 오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이 위에서 바른 문자를 즉시 기입할 수가 있게 된다.
② 가로끌기사용 : (제14(b)도 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유럽의 문자와 같은 가로쓰기문장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는 자세로 파지해서 그 파지자세로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헤드(H)의 가압부(35a)를 피수정부분(80)의 개시끝부(좌측끝)에 댄다. 그리고, 그대로 케이스(2)를 가로방향, 즉, 지면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수정부분(80)의 종단(우측끝)에서 정지시키면 오자 등이 지워지고 바른 문자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교환방법]
또, 모든, 도막전사테이프(T)가 공급리일(11)측으로부터 권취리일(12)측으로 권취 회수되어서 사용이 끝나면, 테이프카아트리지(c)를 다음수순으로 새로운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교환한다.
① 상기한 헤드(H)를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둔다. 즉, 상기한 헤드(H)가 세로끌기조작위치(x)에 있으면, 그냥 그대로이면 되지만, 가로끌기조작위치(y)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캡부재(5)를 회전조작해서 상기한 헤드(H)를 가로끌기조작위치(y)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로 회전시켜 둔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헤드(H)부분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자세는, 제13(a)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리일(12)외 권회자세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조작되고, 상기한 테이프세팅개구(66)를 통해서 실시하는 상기한 헤드(H)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착탈작업이 용이한 자세로 된다.
② 케이스(2)를 분해해서 연다. 이 경우, 먼저, 상기한 캡부재(5)률 제11(a)도와 같이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부터 뽑아낸 다음, 상기한 캡체(4)가 상측에 있는 상태로, 원통반할부(4c)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이 캡체(4)를 케이스본체(3)로부터 해체한다.
③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아트리지(c)(비어있는 공급리일(11)+사용이 끝난 도막전사테이프(T')가 회수된 권취리일(12))를 상기한 헤드(H)의 세팅위치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T)를 해체하면서 집어낸다.
이 경우, 상기한 지지기판(10)을 그냥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은, 상기한 테이프구동부(D)의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로부터 동시에 해체되게 된다.
④ 미사용의 새 테이프카아트리지(C)(미사용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감겨있는 공급리일+권취리일(12))를 상기와 같은 요형으로 장착한 다음, 그 도막전사테이프(T)를 소정의 개소에 세팅한다.
이 경우, 상기한 가이드핀(20,21)이 지지지판(10)에 설치되어서 이들 가이드핀(20,21)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세팅이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생산공정에서 이미 완료되어 있으므로, 이 테이프 교환 시에 있어서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헤드(H)의 가압부(65a)에 경유하도록 세트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선단부분(Ta)은, 미리, 상기한 공급리일(11)에서 상기한 헤드(H)의 위치에 대응한 길이만큼만 공급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으므로 이 공급선단부분(Ta)을 제1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의 권회자세 그대로 헤드(H)의 헤드본체(65)의 양단위치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배치하기만 하면, 세팅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완료할 수가 있다. 이 세팅완료 후, 상기한 회전정지부재(25)를 테이프카아트리지(C)로부터 제거한다.
이 세팅에 의해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는, 제3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공급리일(11)로부터 공급된 다음, 상기한 가이드핀(20)을 통하여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를 경유하여 반전되고, 또, 가이드핀(21)을 통하여 권취리일(12)에 권회된 상태로 장전된다.
또, 이들, 일련의 테이프세팅작업은, 헤드(H)를 가압부(65a)로부터 일단 해체해서 실시한 다음 다시 부착해도 된다.
⑤ 이후, 다시 케이스(2)를 상기한 것과 반대수순으로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신, 구의 테이프카아트리지의 교환작업을 완료한다.
[구체예 2]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도막전사도구가 제15도 내지 제23도에 표시되어 있고, 구체예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부분에는, 구체예1과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도막전사도구(1)는, 구체예1과 동일한 필름식 구조를 구비해서 구성된 글지우개인데, 도막전사용 헤드(H)가 테이프카아트리지(C)에 설치되어 있다는 등의 약간의 변경이 되어 있다.
도막전사구(1)는, 제15도에 표시하듯이 수동조작 가능한 케이스(2)에 도막전사용 헤드(H)를 구비한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테이프구동부(D) 및 회전조작부(R)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 글지우개(1)에 있어서는, 상기한 헤드(H)가 제12(a)도와 제13(a)도에 표시하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겸, 세로끌기조작위치)(x)와, 제12(b)도 및 제13(b)도에 표시하는 사용위치(가로끌기조작위치)(y)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구성부마다 설명한다.
[케이스 2]
상기한 케이스(2)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테이프구동부(D)를 내장할 수 있는 정면윤곽형상치수와 폭 치수를 구비한 편평한 상자형태로 되어 있다. 후술하듯이 케이스(2)의 대향하는 한 쌍의 편평한 표리면(2a,2b)이 수동조작시의 파지면으로 되어 있다.
이 케이스(2)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제의 것으로서, 케이스본체(3)와 캡체(4)로 구성된 분해 가능한 분할구조로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케이스본체(3)의 개구내주부에는, 감합오목부(3a)가 대략, 전체둘레에 걸쳐서 설치되는 동시에 그 후단부에 계합부(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감합오목부(3a)에는 캡체(4)의 감합리브(4a)가 감합되는 동시에 상기한 계합부(3b)에는, 캡체(4)의 계지포올(4b)이 계합된다. 또, 이들 케이스본체(3)와 캡체(4)의 선단부에는, 캡부재(5)에 의해 일체 결합되는 원통반할부(3c,4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한 케이스(2)의 조립은,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계합부(3b)에 캡체(4)의 계지포올(4b)을 계합시킨 다음, 감합오목부(3a)에 감합리브(4a)를 감합시키면서 상기한 양 원통반할부(3c,4c)를 일체적으로 조합해 두고, 이 조합된 원통선단부(6)에 상기한 캡부재(5)를 끼워서 그 조립을 완료한다.
또, 도면에 표시하지 않지만 상기한 계합부(3b)와 계지포올(4b)의 계합구조 대신에, 케이스본체(3)에 대하여 캡체(4)가 상하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되는 구조로 되어도 된다.
또, 상기한 캡본체(4)에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잔류 양을 확인하기 위한 3개의 잔류양 확인창문(3a 내지 8c)이 개구되어 있다.
[테이프카아트리지 C]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는 소모품으로서 교환 가능한 구성부품으로서 그 구체적구성이 제16도 내지 제19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지지기판(10)에 도막전사테이프(T)를 권장해서 구성된 공급리일(11)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회수하는 권취리일(12)과, 도막전사테이프(T)를 피전사부위에 가압하는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H)가 설치되어 구성되고,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케이스본체(3)의 테이프구동부(D)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지지기판(10)은, 평판형상의 두께가 얇은 판재로 구성되고, 그 재질과 형상치수는, 상기한 양 리일(11,12)과 도막전사용 헤드(H)의 유지강도를 구비한 범위 내에 있어서 가능한 한 얇고, 또한 콤팩트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이 지지기판(10)은, 후술하듯이 양 리일(11,12)과 헤드(H)를 테이프구동부(D)와 헤드유지부인 원통선단부(6)에 각각 장착할 때까지의 동안에만 이것들과의 대응한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보유하고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지지기판(10)은, 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최저한의 강도가 확보되는 한 가급적으로 얇은 두께형상이고, 또한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표시한 것에 있어서는, 구체예1과 마찬가지로, 지지기판(10)의 재질은 AS(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수지로 된다, 지지기판(10)의 두께치수는 1mm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지지기판(10)의 정면형상은, 제17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외주윤곽을 따른 타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기판(10)의 선단부분에 헤드부착부(9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기판(10)의 한쪽면, 즉, 상면(10a)은 도막전사테이프(T)의 주행안내면으로서 기능한다.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은, 각각 도막전사테이프(T)를 권회하는 중공의 드럼부(11a,12a)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들 드럼부(11a,12a)의 중앙에는, 세레이션 또는 스플라인 등의 치형계합부를 보유하는 장착구멍(11b,12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양 리일(11,12)의 드럼부(11a,12a)는 각각 지지단이 상기한 지지기판(10)의 지지구멍(10b,1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드럼부(l1a,12a)의 지지단에 고리형상의 감합홈(13,1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감합홈(13,13)은, 상기한 지지구멍(10b,10c)의 내경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지지 된다. 이것에 관련해서, 이것들 지지구멍(10b,10c)의 외주부분에는, 제19도에 표시하듯이 드럼부 삽입용인 커트라인(14,14…)이 각각 방사방향으로 뻗어나서 복수개소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의 외주에는, 도막전사테이프(T)가 권장되어있다. 이 도막전사테이프(T)는, 상기한 도막전사헤드(H)를 경유해서 안내되는 동시에, 그 선단이 권취리일(12)의 드럼부(12a)의 외주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구체적 구성은, 구체예1과 동일하다.
또, 구체예1과 동일한 목적으로 상기한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의 자유단은, 그대로 개방끝부가 된다. 또, 상기한 권취리일(12)의 드럼부(12a)의 자유단에는, 테이프주행용 플랜지(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것에 관련해서 상기한 지지기판(10)에는 공급리일(11)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주부분을 보호하는 테이프보호벽(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보호벽(17)은, 지지기판(10)과 동일한 두께를 보유하는 두께가 얇은 판형상의 것이다.
테이프보호벽(17)은, 공급리일(11)의 외주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기에 권장된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주부를 덮듯이 지지기판(10)의 후단가장자리를 따라서 기립형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보호벽(17)에 의하여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조립시에 있어서는, 도막전사테이프(T)가 공급리일(11)로부터 실수로 분해되어 벗겨지는 것을 하고, 또,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취급시에 있어서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최외경 2면의 도막층, 즉, 상기한 수정도료층을 피복 보호한다. 이 테이프보호벽(17)은,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경량화와 소형간소화의 관점에서 설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그 구체적인 성형범위는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지지기판(10)위에서의 배치는, 제20도에 표시하듯이 이들 장착구멍(11b,12b)이 후술하는 테이프구동부(D)의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에 대하여 동추형상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장착위치 근방의 지지기판(10)에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20,21)이 기립형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쪽의 가이드핀(20)은, 상기한 공급리일(11)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쪽의 가이드핀(21)은, 권취리일(12)에 권취되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 권취 측의 가이드핀(21)에는, 플랜지가 달린 가이드로울러(22)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됨으로써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하고도 정형된 권취안내가 조장되는 동시에, 설혹 전사불량에 의한 도막이 남아 붙어있는 데가 도막전사테이프(T')에 있을 경우라도 이 도막전사테이프(T')가 가이드핀(21)에 감겨 들어가 버린다고 하는 불상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공급측 가이드핀(20)에도 동일한 가이드로울러가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 장착전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헐거움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은 제17도와 제18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회전정지부재(25)에 의해 회전 정지되어 있다. 이 회전정지부재(25)는, 상기한 지지기판(1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다. 회전정지부재(25)는, 도면에 표시했듯이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장착구멍(11b,12b)에 걸쳐지고 있는 것 같은 형상치수로 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측면에는 한 쌍의 계지볼록부(25a,2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계지볼록부(25a,25b)가 상기한 장착구멍(11b,12b)에 각각 해체 가능하게 감합됨으로써, 상기한 양 리일(11,12)의 회전이 정지 유지된다. 또, 회전정지부재(25)는 종이제로 되어도 된다.
[도막전사용 헤드 H]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H)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지면위의 오자 등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위에 가압하는 것이다. 이 헤드(H)는, 상기한 지지기판(10)의 헤드부착부(90)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헤드(H)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보유하는 플라스틱제의 일체성형품이다. 헤드(H)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와 가압을 하는 헤드본체(65)와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는 축받이부(66)로 구성된다.
상기한 헤드본체(65)는, 도막전사테이프(T)보다도 약간 폭이 넓은 얇은 판형상의 것이다. 헤드본체(65)는, 선단을 향하여 점차로 얇아지는 테이퍼형상단면을 보유하고, 이 선단(65a)이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는 가압부로 되어 있다. 또, 이 헤드본체(65)의 양쪽가장자리에는, 도막전사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랜지(65b,6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축받이부(66)는, 제23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원호형상단면을 소유하고,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반원통형상의 축받이부(66)내의 중앙부분에는, 상기한 헤드본체(65)가 도면 표시되어 있듯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축받이부(66)의 개방부(68)는, 헤드본체(65)에의 테이프세팅개구로 되어 있다. 이 테이프세팅개구(68)는, 후술하듯이 헤드(H)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을 때, 도막전사테이프(T)를 양 리일(11,12)의 권회자세 그대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서 헤드본체(65)에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세팅이 용이한 구조가 되어 있다.
상기한 축받이부(66)의 기단부분은, 상기한 헤드부착부(9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나머지의 선단부분은, 상기한 케이스(2)에의 장착시에 있어서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제23(a)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축받이부(66)의 헤드부착부(90)에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축받이부(66)의 기단부 외주면에는 위치결정용 돌기(92)가 돌설되어있다 또, 축받이부(66)를 지지하는 헤드부착부(90)의 선단부(90a)에는, 이 돌기(92)와 계합되는 계합개구(93)가 원주방향으로 뻗어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92)와 계합개구(93)의 계합에 의해 헤드(H)에는, 상기한 헤드부착부(90)에 대해서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되는 동시에 그 축심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간소한 구조를 확보하면서 수요자에 의한 테이프교환시의 작업용이성이 확보되고 있다.
이 경우의 헤드(H)의 회전범위는, 상기한 돌기(92)가 계합되는 상기한 계합개구(93)의 원주방향길이에 따라 규정되고, 도면에 표시한 것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회전조작부(R)에 의한 헤드(H)의 회전조작가능범위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한 헤드부착부(90)의 선단부(90a)에 연속하여 부착부본체(90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부본체(90b)는, 축받이부(66)의 내측원통면에 대응한 원통안내면에 형성되어서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이드핀(20,21)과 협동하여 안내하는 테이프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테이프안내부(90b)는,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조립시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이드핀(20,21)과 헤드(H)에 세팅할 때의 작업을 용이하고도 확실한 것으로 한다. 또, 테이프안내부(90b)는, 테이프보호벽(17)과 마찬가지로 도막전사테이크(T)가 세팅상태로부터 실수로 뿔뿔이 흩어져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취급시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최외경 표면의 도막층, 즉, 상기한 수정도료층을 피복 보호한다.
이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카아트리지(C)는, 제20(a),(b)도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양 리일(11,12)과 헤드(H)를 각각 테이프구동부(d)의 양 회전부(30,31)와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에 상측으로부터 계합시키면서 지지기판(10)을 상기한 양 회전부(30,31)위에 재치시킴으로써 원터치로 세트된다. 또, 지지기판(10)을 그냥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상기한 양 리일(11,12)과 헤드(H)는, 각각 양 회전부(30,31)와 원통반할부(3c)로부터 원터치로 용이하게 해체할 수도 있다.
[테이프구동부 D]
상기한 테이프구동부(D)는, 상기한 케이스본체(3)내에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구동부(D)는 제20도와 제21도에 표시하듯이 공급리일(11)을 회전 구동하는 공급회전부(30)와, 권취리일(12)을 회전 구동하는 권취회전부(31)와, 이들 양 회전부(30,31)를 연동시키는 연동부(32)와, 클러치기구(33)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구성된다.
공급회전부(30)는, 상기한 연동부(32)를 구성하는 구동측 회전기어(44)와, 피동부재 (46)를 구비한다.
구동측 회전기어(44)의 중공회전축부(44a)는,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기립형상으로 설치된 중공지지축(47)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 중공지지축(47)의 선단에는, 회전축부(44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피동부재(46)는,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와 함께 테이프권회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중공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피동부재(46)는, 상기한 구동측 회전기어(44)의 회전축부(44a)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동부재(46)의 외주부에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세레이션, 스플라인 등의 치형계합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구(44a)의 선단에는 피동부재(4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회전부(31)는, 상기한 연동부(32)률 구성하는 종동측 회전기어(48)를 구비한다. 이 회전기어(48)의 중공회전축부(48a)는, 케이스본체(3)의 내측면에 기립형상으로 설치된 중공지지축(49)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 중공지지축(49)의 선단에는, 회전축부(48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부(48a)의 외주부에는 세레이션, 스플라인 등의 치형계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연동부(32)는, 상기한 구동측 회전기어(44)와 종동측 회전기어(48)로 구성된다. 이들 양 회전기어(44,48)는 소정의 기어비율로 맞물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권취회전부(31)는 항상 일정한 회전비를 갖고 상기한 공급회전부(30)에 연동회전된다. 또, 회전비 즉, 상기한 양 기어(48,48)의 기어비율은,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권취지름을 고려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과 권취가 원활히 실시되도록 적당히 설정된다.
클러치기구(33) 구체적인 구성은 제22(a)도에 표시되어 있다. 클러치기구(33)는 마찰부재(51)가 상기한 구동측 회전기어(44)와 피동부재(46) 사이에 넣어서 목적하는 모양으로 구성한다.
이 마찰부재(51)로서는 제22(b)도에 표시한 바와 칼은 일래스토모제 0링이 사용되고 있다. 0링(51)은, 회전구동부인 상기한 구동측 회전기어(44)와 테이프권회부(45)를 형성하는 상기한 피동부재(46) 사이의 동력전달부를 구성한다. 이 0링(51)은 구체적으로는, 단면이 원형상을 보유하는 실리콘 고무제이다. 0링(51)은, 상기한 양 부재(44,46)의 대향하는 폭방향 끝면사이에 탄발적으로 장착되어서 이들 3자는 서로 마찰계합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클러치기구(33)의 동력전달은, 상기한 양 부재(44,46) 사이에 작용하는 스러스트하중에 의한 마찰력이 이용되게 된다. 이 마찰력은, 주로 상기한 양 부재(44,46)의 계합면 사이의 거리치수와 상기한 0링(51)의 단면지름치수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적당치로 설정된다.
또, 제21도에 표시되듯이 권취회전부(31)에는, 구체예1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양 리일(11,12)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전방지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전방지기구(60)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 도면표시는 하지 않지만, 상기한 역전방지기구(60)에 관련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헐거움을 수정하기 위한 종래 공지의 되감기기구가 테이프구동부(D)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리하여 후술하는 도막전사용 헤드(H)의 가압조작에 의해 도막전사테이프(T)에 가해지는 인장력(화살표 A방향)이 공급리일(11)에 회전토오크로서 작용하면, 이 공급리일(11)의 테이프권회부(45)(11a,46), 나아가서는, 클러치기구(33)를 통해서 구동측 회전기어(44)가 회전한다. 이 회전력은, 연동부(32)에 의해 종동측 회전기어(48) 또는 권취리일(12)을 연동하여 회전시키고, 이것이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권취한다.
이 경우, 상기한 구동측 회전기어(44)와 종동측 회전기어(48)의 회전비(외경비에 대응)가 항상 일정한데 대하여 공급리일(11)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과의 비는, 경시적으로 변화하여 일정하지가 않다. 즉, 글지우개(1)의 사용에 따라서 공급리일(11)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점점 작아지는 데에 대하여 권취리일(12)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외경은, 반대로 크게되어 간다.
이 때문에 권취리일(12)의 권취속도는 공급리일(11)의 공급속도에 비교해서 경시적으로 빠르게 되어 가서 이들 양 속도의 동기가 무너져서 공급리일(11)에 작용하는 회전토오크도 점점 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 회전토오크가 클러치기구(33)의 마찰력을 극복해서 테이프권회부(45)(11a,46)가 구동측 회전기어(4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회전한다. 그 결과, 상기한 양 리일(11,12)간의 회전토오크차가 해소되며, 상기한 공급속도와 권취속도가 서로 동기하게 되어서 도막전사테이프(T)의 원활한 주행이 확보된다.
[회전조작부 R]
상기한 회전조작부(R)는,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헤드(H)를 회전 조작하는 것이다. 회전조작부(R)는, 원통선단부(6)에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조작부재로서의 캡부재(5)와, 원통선단부(6)의 외주에 설치된 위치결정부(71)로 구성된다.
캡부재(5)는, 플라스틱제의 일체성형품이다. 이 캡부재(5)는, 상기한 원통선단부(6)에 밖에서 끼워지는 베이스부(72)와, 상기한 헤드(H)에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감합되는 감합부(73)로 구성된다.
상기한 베이스부(72)는, 케이스(2)의 조립고정부재로서의 기능과, 회전조작부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이 베이스부(72)는, 그 원통내경이 상기한 원통선단부(6)의 외주에 삽통되고,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설정되는 동시에 그 외주에 다수의 치형형상 미끄럼방지 리브가 형성되어서 구동된다. 상기한 감합부(73)는, 헤드(N)를 삽통하는 삽통구멍(74)을 구비한다. 이 삽통구멍(74)의 형상치수는, 제23(b)도에 상기한 헤드(H)가 삽통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캡부재(5)와 헤드(H)가 회전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감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위치결정부(71)는, 상기한 캡부재(5)의 회전방향위치를 탄발적으로 위치결정 고정하는 것이다. 이 위치결정부(71)는, 원통선단부(6) 외주의 대향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위치결정부(71,71)는 동일 구조이며, 이하에, 캡체(4)의 원통반할부(4c)측의 위치결정부(7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위치결정부(71)는, 제9도에 표시했듯이 상기한 원통선단부(6)의 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나는 삽통안내홈(71a)과, 이 삽통안내홈(71a)의 한 쪽 끝에서 원통선단부(6)의 둘레방향으로 뻗어나는 이탈방지안내홈(71b)으로 구성된다. 도면 표시예에 있어서는, 이탈방지안내홈(71b)은, 제23(b)도에 표시한 바와 칼이 원통선단부(6)의 중심각 90°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탈방지안내홈(71b)의 양끝에는, 제1계합부(75a)와 제2계합부(7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계합부(75a,75b)는, 상기한 안내흠(71a,71b)보다도 깊은 오목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들 양 계합홈부(75a,75b)에는, 상기한 캡부재(5)의 내주에 설치된 계합볼록부(76)가 계탈 가능하게 계합된다. 즉, 이 계합볼록부(76)의 형상치수는, 상기한 안내홈(71a,71b)을 따라서 어느 정도 상대적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안내되는 동시에 상기한 양 계합오목부(75a,75b)에 대하여 탄성복귀하면서 계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 계합볼록부(76)와 계합오목부(75a,75b)의 계합 위치관계는, 구체예1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캡부재(5)의 계합볼록부(76)가 제1계합오목부(75a)에 계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12(a)도와 제13(a)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겸, 세로끌기조작위치)(x)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의 권회자세 그대로, 즉,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직교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또, 상기한 계합볼록부(76)가 제2계합오목부(75b)에 계합된 상태(제23(b)도 참조)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는, 제12(b)도와 제13(b)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사용위치(가로끌기조작위치)(y)에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H)의 가압부(65a)는, 도막전사테이프(T)를 상기한 케이스(2)의 파지면(2a,2b)에 대하여 대략 정면대향시켜서, 즉, 도막전사테이프(T)의 표리면이 상기한 파지면(2a,2b)과 대략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평행하도록) 도막전사테이프(T)를 안내한다.
이리하여, 캡부재(5)는, 헤드(H)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1(a)도에 표시하듯이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에 감합되는 동시에 이 상태에서 상기한 헤드(H)를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로부터 사용위치(y)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케이스(2)를 조립 고정시킨다.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글지우개(1)의 취급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방법]
제11(b)도에 표시하듯이 캡부재(5)를 회전조작해서 헤드(H)를 세로끌기조작위치(x)(제12(a)도, 제13(a)도 참조)와, 가로끌기조작위치(y)(제12(b)도, 제13(b)도 참조)의 두 위치의 어느 한쪽위치에 위치결정 선택함으로써 다음 두가지의 사용이 가능하다.
(i) 세로끌기사용 : (제14(a)도 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문장과 칼은 세로쓰기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하다. 이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는 자세로 파지하고, 이 상태로, 헤드(H)의 가압부(65a)를 오자 등의 수정해야할 지면 위의 피수정부분(피전사부)(80)의 개시끝부분(상단)에 댄다. 그리고, 그냥 그대로 케이스(2)를 세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수정부분(80)의 종단(하단)에서 정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해 헤드(H)의 가압부(65a)에 있어서의 도막전사테이프(T)의 수정도료층(백색)이 필름형상기재로부터 박리되고, 상기한 피수정부분(80)위에 전사 피복된다. 이것에 의하여 피수정부분(80)의 오자 등이 지워지는 동시에 그 위에서 바른 문자를 즉시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i) 가로끌기사용 : (제14(b)도 참조)]
이 사용방법은, 예를 들면, 유럽문장과 같은 가로쓰기문장의 일부를 수정할 경우에 적합하다. 그 사용에 있어서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파지면(2a,2b)을 손가락으로 필기도구를 잡는 자세로 파지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헤드(N)의 가압부(35a)를 피수정부분(80)의 개시끝부분(좌측끝)에 댄다. 그리고, 그냥 그대로 케이스(2)를 가로방향 즉, 지면 등에 대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수정부분(80)의 종단(우측끝)에서 정지시키면, 피수정부분(80)의 오자 등이 지워지고, 바른 문자의 기입이 가능하게 된다.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교환방법]
또, 모든 도막전사테이프(T)가, 공급리일(11)측으로부터 권취리일(12)측으로 권취 회수되어서 사용이 끝나면, 테이프카아트리지(C)를 다음 수선으로 새로운 테이프카아트리지(C)와 교환한다.
(i) 케이스(2)를 분해해서 연다.
먼저 캡부재(5)를 제11(a)도와 같이 케이스(2)의 원통선단부(6)로부터 뽑아낸다. 이 경우, 헤드(H)가 세로끌기조작위치, 즉,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x)에 있으면, 캡부재(5)는 그냥 그대로 뽑아낼 수가 있다 또, 헤드(H)가 가로끌기조작위치(y)에 있을 경우에는, 캡부재(5)를 회전조작해서 헤드(H)를 가로끌기조작위치(y)로부터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y)로 회전해 둔 다음 뽑아낸다.
계속해서, 캡체(4)가 상측에 있는 상태에서 원통반할부(4c)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고, 이 캡체(4)를 케이스본체(3)로부터 집어내고, 또는 개방상태로 한다.
(ii) 사용이 끝난 테이프카아트리지(C)(비어있는 공급리일+사용이 끝난 도막전사테이프(T')가 회수된 권취리일+헤드(H))를 그냥 그대로 케이스본체(3)에서 집어낸다.
즉, 지지기판(10)을 그대로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공급리일(11)과 권취리일(12) 및 헤드(H)는, 각각, 테이프구동부(D)의 공급회전부(30)와 권취회전부(31)및 케이스본체(3)의 원통반할부(3c)로부터 동시에 해체되게 된다.
(iii) 미사용의 새 테이프카아트리지(C)(미사용의 도막전사테이프(T)가 권장된 공급리일(11)+권취리일(12)+헤드(H))를 전술한 요령으로 케이스본체(3)에 장착한다.
즉, 가이드핀(20,21)과 헤드(H)가 지지기판(10)에 설치되고, 이들 가이드핀(20,21)과 헤드(H)에 대한 도막전사테이프(T)의 피팅은,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생산공정에서 이미 완료되어 있다, 따라서, 이 테이프교환 시에 있어서는 단지 테이프카아트리지(C)를 케이스본체(3)에 세트하기만 하면 된다.
(iv) 이 다음에 다시 케이스(2)를 상기한 것과는 반대수순으로 닫아서 조립함으로써 신, 구테이프카아트리지의 교환작업이 완료된다.
도면에 표시했듯이 헤드(H)의 회전범위가 캡부재(5)에 의한 헤드(N)의 회전조작 가능범위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익숙하지 않는 수요자에 있어서도 상기한 (iii)의 작업에 있어서의 헤드(N)의 원통반할부(3c)에의 위치결정과, 이것에 이어지는 상기한 (iv)에 있어서의 캡부재(5)의 회전조작이 용이하고 확실하다. 이에 따라, 테이프교환 시의 작업용이성이 보장되는 동시에 오조작도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 상기한 구체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양태를 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범위 내에 있어서 각종 설계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경이 가능하다.
테이프카아트리지(C)에 대해서 :
(1) 도막전사테이프(C)로서, 필름형상기재의 한쪽면에, 박리제층을 통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구조의 것을 사용함으로써, 점착제층 만이가 지면에 전사되는 풀부착도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점착제층의 전사를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제24도에 표시하듯이 헤드(H)의 헤드본체(65) 선단에 선단가압부로서 전사로울러(110)가 지지핀(111)에 의해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 전사로울러(110)가 회전하면서 도막전사테이프(T)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상기한 지지기판(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예1에 있어서는 상기한 양 리일(11,12)을 테이프구동부(D)의 양 회전부(30,31)에 대응한 간격치수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두께가 얇은 판재로 구성되는 한, 또, 구체예2에 있어서는, 양 리일(11,12)과 헤드(H)를 테이프구동부(D)의 양 회전부(30,31)와 케이스본체(3)의 원통선단부(6)에 대응해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두께가 얇은 판재로 구성되는 한, 도면표시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구체예1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10)을 종이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강도유지의 관점에서 가이드핀(20,21)은, 케이스본체(3)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대응해서, 지지기판(10)에는 가이드핀(20,21)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부로서 노치 또는 삽통구멍이 설치된다(도면표시생략). (3) 도면 표시한 구체예에 있어서는,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생산공정과 제품코스트를 고려해서 공급리일(11)의 드럼부(11a)의 자유단은 개방끝부로 되어 있지만, 제4도와 제18도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하듯이, 이 드럼부(11a)의 자유단에 권취리일(12)측과 동일한 테이프주행용 안내플랜지(120)가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로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하면, 도막전사테이프(T)의 권취 시에는, 안내플랜지(120)를 해체해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권장완료 후에 안내플랜지(120)를 부착함으로써 도막전사테이프(T)의 공급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실시되는 것은 물론이고, 테이프카아트리지(C)의 반손시나 교환작업시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T)가 드럼부(11a)로부터 흐트러져 버린다고 하는 불상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도막전사구(1)의 기본구조에 대하여 :
(4) 연동부(32)의 구체적 구조는 상기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할 수가 있다.
예를 들자면, 구체예1에 있어서는, 레이디얼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조가 채용되는 동시에 구체예2에 있어서는, 스라스트하중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물론, 이것들의 어느 것을 채용할 것인가 하는 것은 목적에 따라서 임의 결정할 사항이다.
또, 구체예1의 연동부(32) 대신에, 제25도에 표시하듯이 제품코스트 저감을 위해 0링으로 된 마찰부재(50)를 생략한 구조도 채용가능하다.
즉, 제25(a),(b)도에 각각 표시된 연동부(32)는, 모두, 구동측의 회전원판(37)의 외주에 슬라이드방지부(130,131)가 설치되어서 이 슬라이드방지부(130,131)가 종동측의 회전원판(38)의 외주면에 탄발적으로 마찰 계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방지부(130,131)는, 모두, 회전원판(37)의 반경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을 보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5(a)도에 표시된 슬라이드방지부(130)는, 복수의 탄성마찰부(130a,130a…)가 회전원판(37)의 전체둘레에 걸쳐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각 탄성마찰부(130a,130a) 사이의 절입부(130b)는, 회전원판(37)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어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탄성마찰부(130a)는, 회전원판(37)의 반경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한 회전원판(38)의 외주벽에 탄발적으로 마찰 계합되어 있다.
또, 제25(b)도에 표시되어 있는 슬라이드방지부(131)는, 회전원판(37)의 외주부가 고리형상의 탄성마찰부(131a)로 되어 구성되고, 이 탄성마찰부(131a)가 복수의 지지리브(131b,131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들 지지리브(131b,131b…)는, 회전원판(37)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서 뻗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탄성마찰부(131a)는, 회전원판(37)의 반경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어서 그 외주면이 상기한 회전원판(38)의 외주면에 탄발적으로 마찰 계합되어 있다.
(5) 또, 구체예1의 연동부(32)는, 회전전달기능과 슬라이드기능을 겸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No.5-13800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No.5-58097에 개시되어 있듯이 이들 양 기능을 각각 별개체로 독립해서 구비한 구조로할 수도 있다.
(6) 도면 표시한 구체예에 있어서는, 헤드(H)를 세로끌기조작위치(x)와 가로끌기조작위치(y)의 두 주위에 회전조작 가능하게 해서 세로끌기사용과 가로끌기사용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어느 한쪽의 사용방법에 고정적으로 한정된 구조의 도막전사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가로끌기전용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면 표시한 구체예에 있어서의 세로끌기조작위치(x)가 생략된 구조가 채용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제1과 제2계합부(75a,75b)를 생략해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칼이 본 발명의 테이프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두께가 얇은 평판형상의 지지기판에 도막전사테이프를 권장한 공급리일과, 사용후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리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한 양 리일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와 권취회전부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신, 구의 카아트리지의 교환작업을 지지기판채로 원터치로, 간단하고 신속하며,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수요자에 있어서 그 작업에 익숙함을 용하지 않고, 용이하고도 확실한 교환작업이 보증된다.
특히, 이 교환작업은, 상기한 지지기판에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해서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가 상기한 권취리일에 권회되어서 된 구성을 구비한 경우에는 도막전사테이프의 상기한 헤드에 대한 세팅작업을 일반수요자가 할 필요가 전혀 없어져서, 더욱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그 밖에도, 상기한 지지기판이 두께가 얇은 평판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그 지지기판에 의해서만 상기한 양 리일을 포함한 구성부품이 확보되는 구조이므로 부품점수의 저감화와, 구조의 소형간소화, 또, 제품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자원절약화와 러닝코스트의 저감화라고 하는 리필식 구조에 있어서의 이점을 충분히 살리면서 나아가서는 도막전사구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도 있으므로 그 휴대성과 수동조작 용이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도막전사구는, 상기한 헤드가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어서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현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에는 불가능했던 가로끌기사용과, 도막전사테이프의 교환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항에 있어서 한 구체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예에만 한정되어서 협의(狹義)하게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청구항에서 말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고,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도막전사테이프위의 도막을 지면 등으로 전사하기 위한 도막전사구에 있어서, 그 케이스 내에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로서, 상기한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윤곽형상과, 치수를 구비한 두께가 얇은 평판형상의 지지기판과, 그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가 공급 가능하게 권장된 공급리일과, 상기한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후의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권취리일을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한 양 리일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와, 권취회전부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되는 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은, 적어도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을 상기한 양 회전부에 대응한 간격치수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구비한 두께가 얇은 판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그 한쪽면이 도막전사테이프의 주행안내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판형상의 테이프 보호벽이 상기한 공급리일의 외주부를 피복하듯이 상기한 지지기판에 기립형상이고, 또한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리일은, 그 드럼부의 지지끝부가 상기한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권취리일은, 그 드럼부의 지지끝부가 상기한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자유단에 테이프안내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리일의 드럼부의 자유단이 개방끝부로 되는 동시에 상기한 권취리일의 드럼부의 자유단에 테이프안내플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공급리일의 드럼부의 자유단에 테이프안내플랜지가 해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에 상기한 공급리일에서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핀과, 상기한 권취리일에 권취되는 도막전사테이프를 안내하는 가이드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권취측의 상기한 가이드핀에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에 상기한 도막전사구의 케이스에 설치된 도막전사안내용의 가이드핀을 삽통하기 위한 삽통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양 리일의 회전을 정지유지하기 위한 회전정지부재가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도막전사테이프의 공급선단부분은, 도막이 되어 있지 않는 필름형상 베이스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상기한 케이스의 헤드위치에 대응한 길이만큼만 공급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에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는,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해서 상기한 권취리일에 권회되어 있으며,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된 헤드유지부에 해체가능하고, 또한 돌출형상으로 유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응 테이프카아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지지기판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헤드부착부에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 그대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선단가압부를 보유하는 헤드본체와, 상기한 헤드부착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는 축받이부로 구성되고, 이 축받이부는 상기한 헤드본체에의 테이프세팅개구를 보유하는 반원통형상으로 되며, 상기한 테이프세팅개구는, 상기한 헤드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을 때, 도박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 그대로 삽통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본체의 선단에 상기한 선단가압부를 구성하는 전사로울러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기판의 헤드부착부는, 상기한 헤드의 축받이부의 내측원통면에 대응한 원통안내면을 보유하는 테이프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는, 필름형상기재의 한쪽면에 박리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백색의 수정도료층이 형성되며, 다시 그 위에 감압접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는, 필름형상기재의 한쪽면에 박리제층을 통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19. 한쪽 손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한 형상치수를 보유하는 동시에 필기도구를 잡는 자세로서의 수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파지면을 보유하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회전부와, 이들 양 회전부에 각각 해체가능하며,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되는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을 구비한 테이프카아트리지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돌설되어서 상기한 공급리일의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 위에 가압하는 도막전사용 헤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는, 상기한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윤곽형상과, 치수를 구비한 두께가 얇은 평판형상의 지지기판과, 그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도막전사테이프가 공급 가능하게 권장된 상기한 공급리일과, 상기한 지지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사용후의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회수하는 상기한 권취리일을 구비하며,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된 도막전사테이프는,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를 경유해서 상기한 권취리일에 권회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그 선단가압부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 그대로 안내하도록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고정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조작 가능하게 되고,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 그대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률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정면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선단가압부를 보유하는 헤드본체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는 축받이부로 구성되고, 이 축받이부는, 상기한 헤드본체에의 테이프세팅개구를 보유하는 반원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테이프세팅개구는, 상기한 헤드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을 때,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의 권회자세 그대로 삽통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3. 한 손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한 형상치수를 보유하는 동시에 필기구를 잡는 자세에 있어서의 수동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파지면을 보유하는 케이스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급회전부와, 상기한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권취회전부와, 상기한 양 회전부에 해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테이프카아트리지와, 상기한 케이스의 선단부에 설치되어서 도막전사용 헤드를 위치결정 유지하는 헤드유지부를 구비해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한 테이프카아트리지는, 상기한 케이스 내에 수용 가능한 윤곽형상과 치수를 구비하는 두께가 얇은 평판재로 구성되는 지지기판과, 그 지지기판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권장한 회전 가능한 공급리일과, 상기한 지지기판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공급리일로부터 공급되는 도막전사테이프를 피전사부 위에 가압하는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와, 상기한 지지기판에 설치되어서 상기한 도막전사용 헤드를 경유하는 사용후의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권취회수하는 회전 가능한 권취리일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공급리일과 권취리일은, 상기한 공급회전부와 권취회전부에 각각 해체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계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한 헤드는, 상기한 헤드유지부에 해체가능하고, 또한 돌출형상으로 유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유지부는, 상기한 헤드를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와 사용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부재는, 상기한 헤드가,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유지부에 감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한 헤드를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 교환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한 케이스를 조립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드의 선단가압부는, 상기한 사용위치에 있어서, 상기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상기한 케이스의 파지면에 대하여 대략 전면 대향시켜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구.
KR1019950049526A 1994-12-12 1995-12-12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KR100228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2458A JP3027309B2 (ja) 1994-12-12 1994-12-12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94-332458 1994-12-12
JP7310038A JP2943134B2 (ja) 1995-11-01 1995-11-01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95-310038 1995-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563A KR960021563A (ko) 1996-07-18
KR100228007B1 true KR100228007B1 (ko) 1999-11-01

Family

ID=2656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526A KR100228007B1 (ko) 1994-12-12 1995-12-12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2) EP0717000B1 (ko)
KR (1) KR100228007B1 (ko)
CN (1) CN1069878C (ko)
AU (1) AU711604B2 (ko)
DE (2) DE69529805T2 (ko)
HK (1) HK1006933A1 (ko)
TW (1) TW3188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87464A1 (en) * 1995-10-06 1997-04-07 Kouhei Koyama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DE19635586B4 (de) * 1996-09-02 2005-10-20 Bic Clichy So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aus z. B. klebendem oder deckendem oder farbigem Material von einem auf einer Vorratsspule aufgewickelten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3505673B2 (ja) * 1997-07-23 2004-03-08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
JP3008025B2 (ja) * 1998-03-17 2000-02-14 東洋ケミカル株式会社 粘着体転写装置
DE19824552A1 (de) * 1998-06-03 1999-12-09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824551A1 (de) * 1998-06-03 1999-12-09 Henkel Kgaa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H11348493A (ja) * 1998-06-08 1999-12-21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000025392A (ja) *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4690607B2 (ja) * 2001-09-11 2011-06-01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テープの交換方法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DE102007058031A1 (de) * 2007-11-30 2009-06-04 Henkel Ag & Co. Kgaa 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578999B2 (en) *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FR2981057B1 (fr) 2011-10-10 2013-11-29 Bic Soc Dispositif manuel d'application par ruban d'un revetement sur un support a embout ameliore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TWI547386B (zh) * 2012-01-20 2016-09-01 Sdi Corp A band with a locking function, and a film transducer with the core ban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6357C2 (de) * 1987-10-27 1995-11-09 Pelikan A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r Trägerfolie auf ein Substrat
DE3902552C1 (ko) * 1989-01-28 1990-04-26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De
DE3911402A1 (de) * 1989-04-07 1990-10-11 Wischerath Josef Gmbh Co K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adhaesiven materials
JP2544030Y2 (ja) * 1991-07-31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639606B2 (ja) * 1991-08-30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5499877A (en) * 1993-04-06 1996-03-19 Fujicopian Co., Ltd. Transfer ribbon cassette, a case for enclosing the cassette, and a paint film transfer device having the same
DE4322120C1 (de) * 1993-07-02 1995-01-19 Pelikan Ag Wechselkassette für ein Handgerät zur Übertragung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829699B2 (ja) * 1993-12-03 1998-11-25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4150A1 (en) 1999-06-23
EP0924150B1 (en) 2003-11-12
EP0717000B1 (en) 2003-03-05
KR960021563A (ko) 1996-07-18
CN1131120A (zh) 1996-09-18
HK1006933A1 (en) 1999-03-26
DE69532141T2 (de) 2004-09-09
DE69532141D1 (de) 2003-12-18
TW318812B (ko) 1997-11-01
EP0717000A2 (en) 1996-06-19
AU4037295A (en) 1996-06-20
AU711604B2 (en) 1999-10-14
CN1069878C (zh) 2001-08-22
DE69529805D1 (de) 2003-04-10
EP0717000A3 (en) 1997-01-08
DE69529805T2 (de)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007B1 (ko) 도막전사구용 테이프카아트리지 및 도막전사구
JP2943134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5490898A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KR100259256B1 (ko) 도막전사기구
JP3027309B2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6500259B1 (en) Coat film transfer tape cartridge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6418997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AU755906B2 (en) Clutch mechanism of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6227274B1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6830089B1 (en) Coat film transfer head device and coat film transfer tool
AU745383B2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3071759B2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