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984B1 -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984B1
KR100194984B1 KR1019960066919A KR19960066919A KR100194984B1 KR 100194984 B1 KR100194984 B1 KR 100194984B1 KR 1019960066919 A KR1019960066919 A KR 1019960066919A KR 19960066919 A KR19960066919 A KR 19960066919A KR 100194984 B1 KR100194984 B1 KR 100194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rol system
link signal
ipc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8349A (ko
Inventor
김천수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66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984B1/ko
Publication of KR1998004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984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U링크 신호의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경제적으로 하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의 각 노드를 제어계블럭에 U링크 접속하는 경우 4개의 케이블을 통해 접속함에 기인하여 노드 갯수가 증가됨에 따라 케이블의 수가 4배로 증가하여 많은 수의 케이블을 접속해야 되므로, 많은 수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보조 커넥터를 회로보드에 설치해야 되고 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스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케이블 수의 증가에 기인하여 케이블 탈장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게 되어 교환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케이블 탈장의 빈도를 감소시키게 되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U링크 신호의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경제적으로 하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에서는 일부의 장치에 장애가 발생되더라도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장치를 이중화시켜 구성하는데, 교환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IPC노드 중계블럭과 제어계블럭도 이중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중화 되어 있는 종래의 IPC노드 중계블럭과 제어계블럭 사이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접속하였다. 즉,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은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는데 각 노드별로 송신부와 수신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중화된 제어계블럭(20a, 20b)은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는데 수신부와 송신부를 구비하여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과 U링크신호를 주고받는다. 한편,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에 구비되어 있는 각 노드는 케이블을 통해 제어계블럭(20a, 20b)에 접속되어 U링크신호를 주고 받는데, 예를들어 IPC노드 중계블럭(10a)의 노드1은 케이블(C1)을 통해 제어계블럭(20a)에 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C2)을 통해 제어계블럭(20b)에 접속되어 있고, IPC노드 중계블럭(10b)의 노드1은 케이블(C3)을 통해 제어계블럭(20b)에 접속됨과 동시에 케이블(C4)을 통해 제어계블럭(20a)에 접속되어 있다. 즉,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의 각 노드는 총 2개의 케이블을 통해 제어계블럭(20a, 20b)에 접속되어 U링크신호를 주고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들어 단일의 회로보드로 이루어진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에 8개의 노드를 수용하는 경우 총16개의 케이블이 소요되어 제한된 회로보드의 에지핀(edge pin)으로 16개의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를 두어야 하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의 각 노드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커넥터(CA1)를 설치하고 각 제어계블럭(20a, 20b)에 커넥터(CA2)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커넥터를 통해 케이블을 접속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과 제어계블럭(20a, 20b) 사이에 U링크신호를 주고받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과 제어계블럭(20a, 20b)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것이 U링크신호를 송신하고, 마찬가지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것이 U링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어,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IPC노드 중계블럭(10a)이 액티브 상태이면, IPC노드 중계블럭(10a)의 해당 노드에 있는 송신부가 케이블(C1, C2)을 경유하여 제어계블럭(20a, 20b)측에 U링크신호를 전송하나, IPC노드 중계블럭(10b)이 대기상태로 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IPC노드 중계블럭(10b)의 해당 노드에 있는 송신부는 U링크신호를 제어계블럭(20a, 20b)측에 전송하지 않게된다. 한편, IPC노드 중계블럭(10a)으로부터 전송된 U링크신호가 제어계블럭(20a, 20b)에 인가되는 경우 해당 U링크신호는 A사이드의 수신부(A)와 B사이드의 수신부(B)에 공급되는데, 이때 제어계블럭(20a, 2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20a)가 액티브 상태이면 제어계블럭(20a)의 수신부(A)는 IPC노드 중계블럭(10a)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나, 제어계블럭(20b)이 대기상태로 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제어계블럭(20b)의 수신부(B)는 IPC노드 중계블럭(10a)으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C1)이 탈장되어 IPC노드 중계블럭(10a)으로부터 인가되는 U링크신호를 제어계블럭(20a)이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제어계블럭(20b)이 대기상태로부터 액티브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제어계블럭(20b)의 수신부(B)가 IPC노드 중계블럭(10a)으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계블럭(20a, 20b)이 U링크신호를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측으로 U링크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액티브 상태에 있는 제어계블럭의 송신부가 U링크신호를 전송하고, 액티브 상태에 있는 IPC노드 중계블럭의 수신부가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10a, 10b)의 각 노드를 제어계블럭(20a, 20b)에 U링크 접속하는 경우 4개의 케이블을 통해 접속함에 기인하여 노드 갯수가 증가됨에 따라 케이블의 수가 4배로 증가하여 많은 수의 케이블을 접속해야 되므로, 많은 수의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서 다수의 보조 커넥터를 회로보드에 설치해야 되고 시스템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스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케이블 수의 증가에 기인하여 케이블 탈장이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시켜 교환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하고, 케이블 탈장의 빈도를 감소시켜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의 각 노드와,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화된 제어계블럭 사이에 U링크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의 각 노드와 상기 제어계블럭을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일대일로 대응되게 접속하되,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에 수용된 A, B사이드측 노드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상기 단일의 케이블에 접속하고,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에 수용된 A, B사이드측 노드의 수신부를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을 통해 상호 접속하고, 상기 제어계블럭에 수용된 A, B 사이드측 송신부와 수신부를 상기 단일의 케이블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계블럭에 수용된 A, B 사이드측 수신부를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을 통해 상호 접속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게 되어 교환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케이블 탈장의 빈도를 감소시키게 되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의 U링크신호 접속방식을 도시한 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U링크 케이블의 연결을 도시한 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의 U링크신호 접속방식을 도시한 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U링크 케이블의 연결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a, 30b : IPC노드 중계블럭 40a, 40b : 제어계블럭
C5, C6 : 케이블
본 발명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의 U링크신호 접속방식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에 있어서,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된 각 노드에는 하나의 케이블(C5),(C6) 만이 접속되어 해당 케이블을 통해서 U링크신호를 주고받는데, 해당 1개의 케이블(C5),(C6)은 해당 사이드의 송신부와 수신부에 접속되어 있고,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된 각 노드의 수신부는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BL1, BL2)을 통해서 상호 접속된다. 또한, 이중화된 제어계블럭(20a, 20b)에 있어서, A사이드와 B사이드에는 수신부와 송신부를 구비하는데, 각 사이드의 송신부와 수신부는 1개의 케이블(C5),(C6)을 통해서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에 개별로 접속되고,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된 각 수신부는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BL3, BL4)을 통해서 상호 접속된다. 한편,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과 제어계블럭(40a, 40b)의 각 노드는 제어계블럭(40a, 40b)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접속되는데, A사이드측 IPC노드 중계블럭(30a)의 각 노드는 A사이드측 제어계블럭(40a)에 1개의 케이블(C5)을 통해 접속되고, B사이드측 IPC노드 중계블럭(30b)의 각 노드는 B사이드측 제어계블럭(40b)에 1개의 케이블(C6)을 통해 접속된다. 따라서,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에 수용된 각 노드와 제어계블럭(40a, 40b)을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의 갯수가 종래의 1/2로 감소된다.
한편,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의 각 노드와 제어계블럭(40a, 40b) 사이에 케이블(C5, C6)을 접속하는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의 각 노드에 대응되는 갯수만큼의 커넥터(CA3)를 설치하고 각 제어계블럭(40a, 40b)에 커넥터(CA4)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커넥터를 통해 케이블을 접속하는데, 예를들어 각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에 8개의 노드를 수용하는 경우 각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에는 8개의 커넥터를 구비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8개 만큼의 커넥터가 감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과 제어계블럭(40a, 40b) 사이에 U링크신호를 주고받는 경우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과 제어계블럭(40a, 40b)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것이 U링크신호를 송신하고, 마찬가지로 액티브 상태에 있는 것이 U링크신호를 수신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들어,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IPC노드 중계블럭(30a)이 액티브 상태이면, IPC노드 중계블럭(30a)의 해당 노드에 있는 송신부가 케이블(C5)을 경유하여 제어계블럭(40a)측에 U링크신호를 전송하나, IPC노드 중계블럭(30b)이 대기상태로 되어 있음에 기인하여 IPC노드 중계블럭(30b)의 해당 노드에 있는 송신부는 U링크신호를 제어계블럭(40b)측에 전송하지 않게된다. 한편, IPC노드 중계블럭(30a)으로부터 전송된 U링크신호가 제어계블럭(40a)에 인가되는 경우 해당 U링크신호는 A사이드의 수신부(A)에 공급되고 해당 U링크신호는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BL3)을 통해서 B사이드의 수신부(B)에 공급되는데, 이때 제어계블럭(40a, 4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40a)이 액티브 상태이고 B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40b)이 대기상태이면, 제어계블럭(40a)의 수신부(A)는 IPC노드 중계블럭(30a)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나 제어계블럭(40b)의 수신부(B)는 IPC노드 중계블럭(30a)으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며, 제어계블럭(40a, 4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40a)이 대기상태이고 B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40b)이 액티브 상태이면, 제어계블럭(40a)의 수신부(A)는 IPC노드 중계블럭(30a)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나 제어계블럭(40b)의 수신부(B)는 IPC노드 중계블럭(30a)으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이상과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C5)이 탈장되어 IPC노드 중계블럭(30a)이 대기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IPC노드 중계블럭(30b)이 액티브상태로 전환되면, 제어계블럭(40b)이 대기상태로부터 액티브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제어계블럭(40b)의 수신부(A)가 IPC노드 중계블럭(30b)으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하여 회로보드상의 라인(BL4)를 통해 B사이드측의 수신부(B)에 인가하데, 이때 제어계블럭(40a, 40b) 중에서 A사이드에 설치된 제어계블럭(40a)이 액티브 상태이면, A사이드측 제어계블럭(40a)의 수신부(B)는 B사이드측 수신부(A)로 부터의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계블럭(40a, 40b)가 U링크신호를 IPC노드 중계블럭(30a, 30b)측으로 U링크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액티브 상태에 있는 제어계블럭의 송신부가 1개의 케이블(C5),(C6)을 통해 U링크신호를 전송하고, 액티브 상태에 있는 IPC노드 중계블럭의 수신부가 해당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IPC노드 중게블럭(30a, 30b) 중에서 액티브 상태에 있는 노드의 수신부가 U링크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케이블 탈장이 발생되는 경우 대기상태에 있던 노드가 액티브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해당 노드의 수신부가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BL1),(BL2)을 통해 인가되는 U링크신호를 수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된 제어계블럭과 IPC노드 중계블럭 간에 U링크신호를 접속하는 경우 각 노드당 접속되는 U링크 케이블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게 되어 교환시스템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케이블 탈장의 빈도를 감소시키게 되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화된 IPC노드 중계블럭의 각 노드와, 단일 회로보드의 A사이드와 B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이중화된 제어계블럭 사이에 U링크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의 각 노드와 상기 제어계블럭을 단일의 케이블을 통해 일대일로 대응되게 접속하되,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에 수용된 A, B사이드측 노드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상기 단일의 케이블에 접속하고, 상기 IPC노드 중계블럭에 수용된 A, B사이드측 노드의 수신부를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을 통해 상호 접속하고, 상기 제어계블럭에 수용된 A, B 사이드측 송신부와 수신부를 상기 단일의 케이블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계블럭에 수용된 A, B 사이드측 수신부를 회로보드 상에 형성된 라인을 통해 상호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KR1019960066919A 1996-12-17 1996-12-17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KR100194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19A KR100194984B1 (ko) 1996-12-17 1996-12-17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919A KR100194984B1 (ko) 1996-12-17 1996-12-17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49A KR19980048349A (ko) 1998-09-15
KR100194984B1 true KR100194984B1 (ko) 1999-06-15

Family

ID=6644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919A KR100194984B1 (ko) 1996-12-17 1996-12-17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9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34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319B1 (en) Test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s
KR100194984B1 (ko) 교환시스템의 u링크 신호 크로스 이중화 접속방법
JPH09247766A (ja) 遠方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2255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KR19980075969A (ko) 아이피시(ipc)경로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중화 장치
KR100392032B1 (ko) 디지탈 신호 분배기 모듈
KR20000040686A (ko) Lan 선로의 이중화 시스템
JPH06216923A (ja) 通信方式
KR0152229B1 (ko) 시스팀의 이중화를 위한 저가형 이중화 노드
KR100308926B1 (ko) 통신 시스템의 예비 절체 장치
JPS6142978B2 (ko)
JPH06164613A (ja) 光ループネットワーク
KR200301942Y1 (ko) 전송시스템의 전송경로 절체제어장치
KR200239746Y1 (ko) 디지탈 신호 분배기 모듈
KR200180134Y1 (ko) 교환기에서의 광 정합 링크 장치
JPH11205321A (ja) 通信路切替え装置
KR100285718B1 (ko) 억세스망서브시스템과스위치망서브시스템간에이중화링크구조를가지는전전자교환기
KR20000011960U (ko) 아이피씨 이중화 경로구조
KR200206030Y1 (ko) 교환기 셀프간 이중화 인터페이스 구조
KR0174563B1 (ko) 페이징 송신기에 있어서 주/예비장치의 절체 회로
KR100307492B1 (ko) 전전자교환기의동일한기능을수행하기위한정합장치
JPH04213942A (ja) 二重ループ型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集線装置
JPH04268846A (ja) U字型光バ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H06177799A (ja) 伝送装置の回線切り替え方式
KR19980050247U (ko) 전전자 교환기의 입출력 포트 이중화 및 모드 선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