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62B1 -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962B1
KR100193962B1 KR1019960045776A KR19960045776A KR100193962B1 KR 100193962 B1 KR100193962 B1 KR 100193962B1 KR 1019960045776 A KR1019960045776 A KR 1019960045776A KR 19960045776 A KR19960045776 A KR 19960045776A KR 100193962 B1 KR100193962 B1 KR 10019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pattern
colore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80002292A (en
Inventor
신덕순
Original Assignee
신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덕순 filed Critical 신덕순
Publication of KR98000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62B1/en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이나 기타 무기질로 된 기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무늬를 갖는 장식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having a pattern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metal or other inorganic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의 제조방법은, (a) 거친 표면을 갖는 평판형의 기재(2)를 준비하는 제1공정과; (b) 상기 기재(2)의 표면 상에 안료로 착색된 경화성 도료로 바탕색이 되는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c)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제3공정과; (d)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칠층(6)에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분말을 산포하여 무늬칠층(6)이 착색되도록 하는 제4공정과; (e) 착색된 무늬칠층(6)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그리고 (f) 상기 경화된 무늬칠층(6) 상으로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투명표피층(8)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진다.A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lat substrate 2 having a rough surface; (b) a second step of applying a color scheme which becomes a background color with a curable paint colored with a pigment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c) a third step of specifically shaping a pattern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d) a fourth step of dispersing the colored powder containing pigments in the patterned layer 6 formed by the third step to color the patterned layer 6; (e) a fifth step of curing the colored patterned layer 6; And (f) a sixth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skin layer 8 by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on the cured patterned layer 6.

따라서, 매우 유려한 장식판을 제공하며, 종래의 나전칠기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flexible decorative plate, a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lacquer lacquer.

Description

장식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본 발명은 장식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이나 기타 무기질로 된 기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무늬를 갖는 장식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having a pattern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metal or other inorganic material.

통상 가정에서 널리 이용되는 가구는 시각적 효과 및 미적 효과를 위하여 그 표면에 장식이 많이 구성되게 된다.Furniture commonly used in homes are often decorated with a lot of decorations on the surface for visual and aesthetic effects.

장식이라 함은 크게 표면 장식과 입체 장식으로 대별되는 순수 장식과 경첩이나 문고리 등의 기능 장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기능 장식은 그 제조 단계에서부터 기능성을 고려하여 가구 등과는 별개로 제작되며, 그 소재 및 제조방법 등도 가구와는 별개로 고려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순수 장식과는 구별이 되는 것이며, 주로 문 등을 힌지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경첩이나 문의 개폐시에 용이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문고리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Decorations can be divided into pure decorations, which are roughly divided into surface decorations and three-dimensional decorations, and functional decorations such as hinges and door handles. Functional decorations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furniture and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ality from the manufacturing stag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is also considered separately from the furniture,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pure decoration to be dealt with in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to enable easy gripping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hinge or door for fixing the door and the like hingeably. For example, a door knocker may be used.

한편, 순수 장식은 글자 그대로 가구 등의 표면을 미적으로 장식하는 것으로서, 주로 도색이나 나전장식으로 무늬를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표면 장식이라 하고, 기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형성화시킨 것을 입체 장식이라 하며, 실제의 부조 형상의 조각을 기대 표면에 부착시켜서 형성시킨다.Pure decoration, on the other hand, literally decorates the surface of furniture, etc., and is mainly formed by forming a pattern by painting or bare metal decoration. Surface decoration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base. The actual relief-shaped pieces are attached to the base surface to form them.

특히, 예로부터 가구의 장식으로는 나전칠기라 하여 광채가 나는 작은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목질의 기대에 박아 붙이고, 옻칠을 하여 장식하는 장식기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상기에서 자개는 금조개 등의 내면이 매끄러우며 통상 우유빛의 광택을 내는 것으로서, 천연적으로 채집하거나 인공적으로 양식하여 얻은 조개류의 폐각을 얇게 썰은 것을 일컫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decoration of furniture has been developed as a decorative technique in which a small mother-of-pearl sculpture, which is called Najeon lacquer, is embedded in wooden shapes in various shapes and decorated with lacquer. The mother-of-pearl is a smooth inner surface of the gold clam, such as to give a milky luster, and refers to a thin slice of the shell of shellfish obtained by collecting naturally or artificially.

종래의 나전칠기의 제작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우선 장식할 부분의 기대에 아교 등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자개를 붙이고, 그 위에 카슈나 생옻칠과 같은 도료를 도포한다. 도료가 건조 및 경화된 후에 샌드페이퍼(Sand Paper)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고르게 연마(Polishing)한 다음 다시 락카나 니스 등의 투명 재질의 덧칠을 하는 칠과 연마의 공정을 동일하게 수회 반복하여 실시한다.Looking briefly 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lacquer lacquer, first, the mother-of-pearl is attached to the expectation of the part to be decorated using an adhesive such as glue, and a paint such as cashew or fresh lacquer is applied thereon. After the paint is dried and cured, sand paper is used to evenly polish the surface, and then the paint and polishing processes are repeated several times in the same manner. .

따라서, 종래의 가구 표면 장식 작업은 가구 등의 생산현장에서 직접 이루어져야 하며, 더욱이 그러한 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며,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furniture surface decoration work has to be made directly at the production site, such as furniture, moreover, such a work takes a lot of time, a lot of manpower has a problem.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소위 '무늬목'이라 불리우는 인쇄에 의하여 나뭇결 등의 무늬나 착색이 이루어진 박엽지를 사용하여 장식면을 구성하는 경우가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었으며, 이는 나뭇결 등의 무늬나 착색이 이루어진 박엽지를 기대의 표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키고, 그 표면을 락카나 니스 등의 투명 재질로 덧칠하는 극히 간편한 기술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전통적인 방식의 나전칠기와 같은 내구성과 광택 및 미적 감각 등의 표현에서의 장식 효과 등의 모든 면에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rt, the case where the decorative surface is formed by using a thin paper made of a pattern or coloring such as wood grain by printing called so-called 'veneer' has been widely used. Although it is known that a very simple technique of attaching the thin paper made of adhesive to the surface of the base using an adhesive, and coating the surfac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lacquer or varnish, it is known for its durability, glossiness, and aesthetic sensation such as traditional lacquer coat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inferior in all aspects, such as decorative effect in the expression.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7-1981호에는 금속판 표면에 요철접착면을 형성하고, 이에 생옻칠을 하여 100∼200℃ 정도의 온도에서 10∼20분간 3차례 반복 열처리 가공하고, 이 표면에 다시 옻칠을 실시하여 연마한 뒤 자개를 접착시킨 다음, 이에 공지된 옻칠 및 광택 공정을 행하여서 이루어지는 나전칠 금속장식판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기재를 금속판으로 하여 그 표면에 나전을 부착하는 것과 전통의 옻칠을 수행한 금속장식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재를 종래의 나무재질에서 금속재질로 대체하고, 금속재질에의 칠층의 부착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샌드페이퍼로 요철접착면을 형성시킨 것 이외에는 종래의 나전칠기의 제작공정과 대동소이하게 옻칠을 하고, 연마하는 칠과 연마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더욱이 자개를 무늬의 형상에 따라 일일이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에서 제한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자유로운 무늬의 구성 및 다양한 색상 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87-1981 discloses an uneven adhesion surface on the surface of a metal plate, which is subjected to raw lacquer, and subjected to repeated heat treatment three times for 10 to 20 minutes at a temperature of about 100 to 200 ° C.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re metal sheet is performed by laminating and polishing mother-of-pearl, and then performing a well-known lacquer and polishing process. Provided is a metal plate subjected to lacquer. However, it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manufacturing process of Na-jeon lacquer, except that the substrate is replaced with a metal material from a conventional wood material, and a concavo-convex adhesive surface is formed with sand pape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even layers to the metal material. There is still a problem of repeatedly performing the process of painting and polishing,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vity is limited because the mother-of-pearl must be attached with adhesiv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the configuration and various colors of the pattern.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이나 기타 무기질로 된 기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형상의 무늬를 갖는 장식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ive plate having a pattern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metal or other inorganic material.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판의 하나의 구체예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decorative plate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판의 다른 하나의 구체예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ecorative plate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공정 순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der of proces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기체 4 : 배색칠층2: gas 4: coloring layer

6 : 무늬칠층 8 : 투명표피층6: patterned layer 8: transparent skin layer

10 : 장식구 12 : 목피박층10: ornament 12: wood thin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의 제조방법은, (a) 도료의 접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거친 표면을 갖는 평판형의 기재를 준비하는 제1공정과; (b)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재의 표면 상에 안료로 착색된 경화성 도료로 바탕색이 되는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c)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제3공정과; (d)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칠층에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분말을 산포하여 유색분말이 경화되기 전에 무늬칠층에 묻혀지도록 하여 무늬칠층이 착색되도록 하는 제4공정과; (e) 착색된 무늬칠층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그리고 (f) 상기 경화된 무늬칠층 상으로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투명표피층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진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lat substrate having a rough surface for smooth adhesion of the paint; (b) a second step of applying a color scheme which becomes a background color with a curable paint colored with a pigm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med by the first step; (c) a third step of specifically shaping a pattern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d) a fourth step of dispersing the colored powder including the pigment in the patterned layer formed by the third process so that the colored powder is buried in the patterned layer before the colored powder is cured; (e) a fifth step of curing the colored pattern layer; And (f) a sixth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skin layer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on the cured patterned layer.

상기 제1공정에서의 평판형의 기재의 준비는 기재가 금속판인 경우에는 금속판의 표면을 염화철 등의 부식제를 사용하여 부식시켜 표면을 거칠게 하여 기재로 준비할 수 있으며, 또한 도자기나 타일의 원료가 되는 소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지를 반죽하고, 이를 평판형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 기재로 준비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when the substrate is a metal plate,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may be prepared by corroding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with a caustic agent such as iron chloride to roughen the surface. When the base material is used, the base material may be kneaded, molded into a flat plate shape, and then dried to prepare a base material.

상기 제1공정과 제2공정 사이에서 상기 기재의 표면 상에 목피박층을 직접 접착시켜 목피박층 상으로 배색칠층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색칠층 대신에 목피박층만이 형성되도록 하는 목피박층 형성 공정이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A wood peel layer forming step of directly adhering a wood peel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o form a color layer on the wood layer or to form only a wood layer instead of the color layer. This can be done additionally.

또한, 상기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투명표피층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 사이의 임의의 공정 단계에서 자개 등의 장식구를 부착이나 박아 넣기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부가의 장식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y process step between the second step of coloring and the sixth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skin layer, an additional deco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y fixing a tool such as mother-of-pearl or the like by attaching or injecting it. hav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장식판의 구체예들의 단면도들이며, 제1도는 기재(2)의 표면 상에 배색칠층(4)만을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배색칠층(4)을 형성시킨 후, 장식구(10)를 박아넣거나 부착하기 등에 의하여 취부시킴으로써 상기 배색칠층(4) 상에 형성되는 무늬칠층(6)과 함께 전체적으로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도는 기재(2)의 표면 상에 배색칠층(4)과 목피박층(12)을 이중으로 형성시킨 것을 도시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배색칠층(4) 대신에 목피박층(12)만을 형성시킨 것도 가능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목피박층(12)을 형성시킨 후, 제1도의 구체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식구(10)를 박아넣거나 부착하기 등에 의하여 취부시킴으로써 상기 배색칠층(4) 상에 형성되는 무늬칠층(6)과 함께 전체적으로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re cross-sectional views of embodiments of a decorative pla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is a view showing only the coloring layer 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wherein the coloring layer 4 is formed. After forming, by attaching or decorating the ornament 10, it is configured to give a decorative effect as a whole with the patterned layer 6 formed on the coloring layer (4). In addition, FIG. 2 shows that the color fill layer 4 and the wood thin layer 12 are formed in duplicate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but the wood thin layer 12 instead of the color fill layer 4 is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ay, and after forming the wood skin layer 12, the coloring layer is formed by mounting or attaching the ornament 1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Together with the patterned layer 6 formed on the (4) can be configured to give a decorative effect as a whole.

제3도의 공정 흐름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판의 제조방법은 표면이 요철면이 되도록 형성된 기재(2)를 준비하는 제1공정에서부터 최외층의 피막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에 이르기까지에서 순서대로 기재(2)의 준비, 바탕색의 형성, 무늬의 형성, 무늬의 착색 및 투명표피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process flow diagram of FIG. 3,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ecorativ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from the first process of preparing the base material 2 formed so that the surface is an uneven surface to the sixth process of forming the outermost film. In order to prepare the substrate 2 in order, the formation of the background color,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the coloring of the pattern and the formation of the transparent skin to be made.

상기에서 제1공정은 기재(2) 표면의 요철면의 형성이 중요하며, 기재(2)로서 금속판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금속판의 표면을 염화철 등의 부식제를 사용하여 부식시켜 표면을 거칠게 하여 거친 표면을 갖는 기재(2)로 준비할 수 있으며, 또한 도자기나 타일의 원료가 되는 소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지를 반죽하고, 이를 평판형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 역시 거친 표면을 갖는 기재(2)로 준비할 수 있다.In the first step, the formation of the uneven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is important. When the metal plate is used as the base material 2,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is corroded with a corrosion agent such as iron chloride to roughen the surface, thereby roughening the surface. It can be prepared with a base material (2) having, in addition, when using the base material as a raw material of porcelain or tile, kneading the base material, shaping it into a flat shape, and then dried to give a base material having a rough surface (2) You can prepare.

특히, 금속판의 표면을 부식제로 요철면을 형성시키는 것은 샌드페이퍼에 의한 종래의 기계적 연마에 비하여 훨씬 평활도가 높으면서도 배색칠층(4)이나 또는 목피박층(12)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공정에 의한 요철면의 형성 및 상기 요철면 상으로의 배색칠층(4)이나 목피박층(12)의 부착은 그 이후의 단계에서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별도의 폴리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forming the uneven surface by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with a corrosive agent can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coloring layer 4 or the wood coating layer 12 while having a much higher smoothness tha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polishing by sandpaper. Therefore, the formation of the uneven surface by the first step and the attachment of the color coating layer 4 or the wood-thin layer 12 onto the uneven surface require extra polishing to smooth the surface of the product in a later step.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상기 제2공정은 배색칠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재(2)의 요철면 상에 안료로 착색된 경화성 도료로 바탕색이 되는 배색칠층(4)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기재(2)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면 상으로 유색의 배색칠층(4)을 형성시켜 최종적으로 생산될 제품의 전체적인 바탕색이 나타나도록 한다.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색의 경화성 도료로서는 경화성 합성수지에 원하는 색상의 유색의 안료를 혼합시킨 도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통상의 가구 제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관용명으로서의 '카슈'등과 같은 도료가 희석제 및 경화제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The second proces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lor painting process. A step for forming a color fill layer 4, which becomes a background color with a curable paint colored with a pigment, on an uneven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on the uneven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formed by the first step. As a result, the colored layer 4 is formed so that the overall background color of the product to be finally produced appears. As the colored curable paint which can be used herein, a paint obtained by mixing a colored pigment of a desired color with a curable synthetic resin can be used. In particular, paints such as 'Kash' as a common name widely used in the furniture manufacturing industry include diluents and hardeners.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에서 경화성 합성수지라 함은 통상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들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는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들이다.In the above, the curable synthetic resin may be used a conventional thermosetting resin or photocurable resin, all of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한 바와 같은 안료로 착색된 경화성 도료의 사용으로 종래의 기술에서 주로 사용되는 옻칠에 비하여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면서도 평활도가 매우 높고 색상이 유려한 배색칠층(4)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use of a curable paint colored with a pigment as described abov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curing compared to the lacquer used mainly in the prior art, while forming a highly smooth and colorful color coating layer 4. Can be.

상기 제3공정은 무늬칠층(6)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공정으로서, 이러한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실크스크린 등의 인쇄 방법 등에 의하여 소정의 무늬의 형상을 자재로 형상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늬의 자유로운 형상화는 장식판 자체의 무늬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나전장식의 무늬 형성의 제한을 극복한 새로운 장식 효과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The third proces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atterned layer 6 process, and is a process of specifically shaping a pattern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and the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is prescribed by a printing method such as silk screen. The shape of the pattern can be shaped into a material. Such free shaping of the pattern enables the diversification of the pattern of the decorative plate itself to enable the creation of a new decorative effect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Na-jeon decorative pattern formation.

상기 제4공정은 건칠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칠층(6)에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분말을 산포하여 유색분말이 경화되기 전의 무늬칠층(6)에 묻혀지도록 하여 무늬칠층(6)이 착색되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제3공정에서의 무색의 경화성 도료로 형성된 무늬를 소정의 색상으로 착색하여 장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3공정과 제4공정에 의한 소정의, 자유로운 무늬의 형성은 종래의 나전제품에서의 장식 효과의 한계를 극복한 전혀 다양한 형상과 색상을 갖는 무늬의 형상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기재(2)의 장식판의 제조과정에서는 최초로 도입되는 개념인 것이다.The fourth proces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rying process, in which the colored powder containing pigment is dispersed in the patterned coating layer 6 formed by the third process so that the colored powder is buried in the patterned coating layer 6 before curing. As a process of coloring the fill layer 6, the pattern formed by the colorless curable paint in the third process is colored with a predetermined color so as to exhibit a decorative effect. The formation of a predetermined, free pattern by the third and fourth processes enables the formation of patterns having a wide variety of shapes and colors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ecorative effect in conventional electrical applianc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ecorative plate of the) is the first concept introduced.

상기 제5공정은 경화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상기 제4공정에서 착색된 무늬칠층(6)을 경화시켜 무늬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처리에서 가해질 수 있는 어떠한 물리적이나 화학적 조작에서도 변색이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제작자가 의도하는 소정의 형상의 무늬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fth proces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uring process, and by hardening the colored pattern layer 6 colored in the fourth process so that the pattern is fixed, it is not discolored or deformed in any physical or chemical operation that may be applied in subsequent process. And the pattern of the predetermined shape intended by the manufacturer can be maintained as it is.

상기 제6공정은 투명표피층(8) 형성 공정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된 무늬칠층(6) 상으로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투명표피층(8)을 형성시키는 공정으로서, 소정의 형상과 색상으로 형상화된 무늬를 보호하면서 무늬가 외부에 잘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식판의 최외층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투명한 표피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긁힘이나 수분의 존재 등에 의하여도 무늬의 형상 및 색상이 쉽게 변형되거나 탈색되지 않도록 하여 제작된 상태 그대로의 무늬를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재(2)를 보호토록 한다.The sixth step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tep of forming the transparent skin layer 8, and is a process of forming the transparent skin layer 8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on the cured patterned layer 6, and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outermost layer of the decorative plate is to be configured to protect the pattern formed by the color so that the pattern can be well expressed on the outside. Due to the formation of this transparent skin layer, the shape and color of the pattern are not easily deformed or discolored even by physical scratches or the presence of moisture from the outside, thereby protecting the substrate 2 as a whole while maintaining the pattern as it is produced. do.

상기 제6공정까지에 의하여 완성된 제품은 통상의 방법대로 마감되고, 포장되는 등의 통상의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Products finished by the sixth process can be carried out in the usual manner, such as finishing, packaging, etc. in a conventional manner, all of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또한, 상기 제1공정과 제2공정 사이에서 목피박층(12)을 상기 기재(2)의 요철면 상에 직접 접착시켜 목피박층(12) 상으로 배색칠층(4)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색칠층(4) 대신에 목피박층(12) 만이 형성되도록 하는 목피박층 형성 공정이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the wood foil layer 12 is directly adhered on the uneven surface of the substrate 2 so that the color fill layer 4 is formed on the wood foil layer 12 or Instead of the coloring layer 4, a wood skin layer forming process for forming only the wood skin layer 12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상기 목피박층 형성 공정은 배색칠층(4)을 대신하여 소위 무늬목과 같은 별도로 제조된 장식무늬가 이미 형성된 층을 아교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직접 기재(2)의 표면이나 기재(2)의 표면에 형성된 배색칠층(4) 상에 접착시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적절한 무늬를 갖는 무늬목의 접착으로 동일한 패턴의 무늬를 갖는 장식판을 대량으로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무늬목 등의 목피박층(12)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The wood thin film formation process is a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or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 directly using an adhesive such as glue to a layer in which a separately manufactured decorative pattern, such as a veneer, is formed in place of the coloring layer 4. It can be formed by adhering on the color painted layer 4 formed in the,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large number of decorative plates having a pattern of the same pattern by the adhesion of the veneer having an appropriate patter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wood thin layer 12 such as veneer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can also be purchased and used commercially.

또한, 상기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투명표피층(8)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 사이의 임의의 공정 단계에서 자개 등의 장식구(10)를 부착이나 박아넣기로 고정시켜서 부가의 장식 공정이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y process step between the second step of coloration and the sixth step of forming the transparent skin layer 8, an additional decoration step is fixed by fixing or decorating the ornament 10 such as mother-of-pearl. It may additionally be performed.

상기 장식공정은 통상의 나전제품의 제조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제3공정과 제4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무늬층과 더불어 장식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보조장식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decorating process may be appli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onventional bare product, and may be used as an auxiliary decorative means for further increasing the decorative effect together with the pattern layer formed by the third and fourth processes. Can b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유려한 장식판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소정의 형상대로 절취하여 여타 장식하고자 하는 기대 등에 부착시켜 장식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나전칠기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업성과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ery flexible decorative plate, it can be cut to a predetermined shape and attached to other bases to be decorated, thereby producing a decorative effect.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금속판에의 나전방법과 옻칠방법을 수회 반복적으로 적용시켜 나전의 부착에 따른 제한된 장식 효과를 현저하게 개선시킨 다양한 장식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various decorative effects that remarkably improved the limited decorative effect of the adhesion of the Najeon by repeatedly applying the Najeon method and the lacquer method to the conventional metal plat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2)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2),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Is a matter of course.

Claims (5)

장식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도료의 접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거친 표면을 갖는 평판형의 기재를 준비하는 제1공정과; (b) 상기 제1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재의 표면 상에 안료로 착색된 경화성 도료로 바탕색이 되는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c)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무늬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는 제3공정과; (d) 상기 제3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무늬칠층에 안료를 포함하는 유색분말을 산포하여 유색분말이 경화되기 전에 무늬칠층에 묻혀지도록 하여 무늬칠층이 착색되도록 하는 제4공정과; (e) 착색된 무늬칠층을 경화시키는 제5공정; 그리고 (f) 상기 경화된 무늬칠층 상으로 무색의 투명한 경화성 도료를 사용하여 투명표피층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의 제조방법.CLAIMS 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comprising: (a)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lat substrate having a rough surface for smooth adhesion of paint; (b) a second step of applying a color scheme which becomes a background color with a curable paint colored with a pigm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med by the first step; (c) a third step of specifically shaping a pattern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d) a fourth step of dispersing the colored powder including the pigment in the patterned layer formed by the third process so that the colored powder is buried in the patterned layer before the colored powder is cured; (e) a fifth step of curing the colored pattern layer; And (f) a sixth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skin layer using a colorless transparent curable paint on the cured patterne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기재가 금속판인 경우에 금속판의 표면을 염화철 등의 부식제를 사용하여 부식시켜 표면을 거칠게 하여 기재로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a metal plate in the first step, the surface of the metal plate is corroded using a caustic agent such as iron chloride to roughen the surface to prepare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소지인 경우에 이를 반죽하고, 이를 평판형으로 성형한 다음, 건조시켜 기재로 준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판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ubstrate is a base, it is kneaded, molded into a flat plate, and then dried to prepare a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과 제2공정 사이에서 상기 기재의 표면 상에 목피박층을 직접 접착시켜 목피박층 상으로 배색칠층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배색칠층 대신에 목피박층만이 형성되도록 하는 목피박층 형성 공정이 부가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판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ood foil layer is directly adher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etween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step so that a color layer is formed on the wood layer or only a wood layer is formed instead of the color lay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al step of forming a wood skin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색칠을 하는 제2공정과 투명표피층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 사이의 임의의 공정 단계에서 자개 등의 장식구를 부착이나 박아 넣기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부가의 장식 공정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판의 제조방법.The decorativ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corative tool such as a mother-of-pearl is fixed by a method such as attaching or inlaid at an arbitrary process step between the second step of coloration and the sixth step of forming a transparent skin lay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corativ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KR1019960045776A 1996-06-14 1996-10-14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KR1001939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021632 1996-06-14
KR19960021632 1996-06-14
KR101996021632 199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292A KR980002292A (en) 1998-03-30
KR100193962B1 true KR100193962B1 (en) 1999-06-15

Family

ID=6631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76A KR100193962B1 (en) 1996-06-14 1996-10-14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9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35A (en) * 2000-04-04 2001-10-31 문이주 Design timber coating method of metallic plate
KR100384687B1 (en) * 2000-08-01 2003-05-22 김정열 mother-of-pearl ornament by screen prin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969A (en) * 2000-10-31 2001-02-05 유재천 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ware pottery inserted picture and lacquerware pottery inserted picture thereof
KR20020080183A (en) * 2001-04-12 2002-10-23 박차랑 Mother-of-pearl covering ornament and mother-of-pearl covering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35A (en) * 2000-04-04 2001-10-31 문이주 Design timber coating method of metallic plate
KR100384687B1 (en) * 2000-08-01 2003-05-22 김정열 mother-of-pearl ornament by screen prin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292A (en)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6547A (en) Method of making a protective and/or decorative coating and the coating made by this method
KR20060033758A (en) Coating method for surface of furniture
KR10019396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ve plate
KR10110658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lor changeable panel by angle
KR100211283B1 (en) Patterned shape on a surface of glass
KR100317510B1 (en) Method for fabricating door
KR200430749Y1 (en) The frying fan coated with transfer paper
KR20050105943A (en) The frying fan coated with transfer paper
JPH11240297A (en) Pattern placing method for urushi (lacquer) coated product, and urushi coated product
KR20030073612A (en) A Process For Coloring Of Lacquer Face And Nacre
KR2011003501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nel having solid pattern
JP3741540B2 (en) How to make a fiber-reinforced cement board
JPH07126086A (en) Decoration of ceramic plate
TW201829210A (en) Colorful fibric boar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291272Y1 (en) A pearl tile
CN1022993C (en) Technology for cornering composite metal-glass fibre material and products thereof
KR970005344B1 (en) Painting method
KR100297642B1 (en) Process for forming wood color and pattern on iron, plastic, rubber and glass
KR200208953Y1 (en) A lacquer ware applied arts presented Korean paper figure
KR20030068532A (en) Mother-of-pearl coated decorative light metal sheet
KR100468390B1 (en) A Process For Coloring Of Lacquer Face And Nacre
KR20010110285A (en) Process for preparing aluminum decorative elements with thermal adhesive type
KR1015229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ornament inlaid with mother-of-pearl
KR20160018019A (en) Method for coating marble pattern to molded article made of FRP
KR810001408B1 (en) Method of etchig decoration on the meta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