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541B1 - 비디오카메라 - Google Patents

비디오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541B1
KR0180541B1 KR1019930003090A KR930003090A KR0180541B1 KR 0180541 B1 KR0180541 B1 KR 0180541B1 KR 1019930003090 A KR1019930003090 A KR 1019930003090A KR 930003090 A KR930003090 A KR 930003090A KR 0180541 B1 KR0180541 B1 KR 018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camera
video
electric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961A (ko
Inventor
마나부 와까바야시
겐지 오기로
다까노리 니시야마
히로또 다끼따
유따까 다까미
히로노부 사또
다께스께 마루야마
마사히꼬 야쯔
겐지 고바야시
시게유끼 이또
겐지 마쯔모또
이와오 마이자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3002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비디오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VTR일체형 비디오카메라의 카메라떨림을 저감하기 위해, VTR의 테이프감기축의 축방향A와 렌즈 및 광합뷰파인더의 광축을 맞추고, VTR, 렌즈 및 광학뷰파인더를 동일평면상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병렬 배치한다.
이러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VTR 일체형 비디오카메라의 중심을 촬영자에게 가장 근접시킬 수 있어 카메라떨림을 최소로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카메라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앞쪽에서 본 내부부품의 구성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뒤쪽에서 본 내부부품의 구성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케이스를 덮고 앞쪽에서 본 외관도.
제4도는 제2도에 케이스를 덮고 뒤쪽에서 본 외관도.
제5도 및 제6도는 차계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져스트모드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 광학시스템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의 광학시스템의 정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의 광학시스템의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캠고리에 마련된 캠홈의 형상을 도시한 전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고리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줌렌즈의 초점거리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고리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전자줌회로의 화상확대율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고리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총합의 화상확대율을 도시한 그래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캠고리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제1도의 광학파인더에서의 피사체의 배율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촬상소자에 의해 결상되는 피사체범위와 광학파인더에 의해 관찰되는 피사체 범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광학줌파인더의 렌즈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상기 파인더의 광각단의 수차를 도시한 도면.
제19도는 상기 파인더의 중간 수차를 도시한 도면.
제20도는 상기 파인더의 망원단의 수차를 도시한 도면.
제21도는 다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렌즈의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렌즈의 광각단의 수차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상기 비디오카메라렌즈의 망원단의 수차를 도시한 도면.
제24도는 다른 실시예의 파인더의 부품구성의 사시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상기 파인더의 동작설명도.
제27도는 알버터식 광학파인더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부품구성의 사시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29도 및 제30도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1도 ~ 제33도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제34도는 제33도의 흐름도에 도시된 동작의 타이밍도.
제35도 ~ 제38도는 다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9도는 1차전지와 2차전지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0도는 다른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41도는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의 다른 조작모드를 도시한 흐름도.
제42도는 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의 다른 조작모드를 도시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관련된 문헌으로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 1-98373, 동평성 1-142539, 동 평성 3-198480, 동 평성 4-39267, 동 평성 3-206777, 동 평성 3-292067, 동 평성 2-39011, 동 평성 1-261086, 동 평성 3-33710, 동 소화 63-223720, 동 평성 1-32217, 광학기술핸드북(아사쿠라서점) pp. 863 ~ 866(1970)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부품배치에 의해 카메라흔들림을 저감한 컴팩트 비디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시야틀의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서 등가적으로 줌렌즈의 촬영범위를 표시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촬영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재생영상의 용장성이나 편집의 필요성을 저감한 일정시간 촬영기능을 갖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배율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줌렌즈에 있어서의 렌즈간의 간격길이가 짧아도 좋고, 그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또한 그것을 위해 사용하는 전자줌에 의한 화질이 그다지 저하되지 않는 배율범위에서 점자줌을 사용하면 되는 전자줌을 갖는 비디오카메라용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의 목적은 사용상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비디오촬영 자체만이 아닌 재생 및 촬영전의 사전준비도 포함한 사용하기 더욱 편리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의 목적은 1차전지(건전지)와 2차전지(축전지)의 혼합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1차전지 사용시에는 충전할 수 없게 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 의해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제1도, 제2도, 제3도 및 제4도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는 케이스(2)를 떼어낸 내부부품의 앞쪽에서 본 외관도, 제2도는 케이스(2)를 떼어낸 내부부품의 뒤쪽에서 본 외관도, 제3도는 VTR 일체형 비디오카메라(1)의 앞쪽에서 본 외관도, 제4도는 뒤쪽에서 본 외관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컴팩트비디오카메라(10)은 VTR메카니즘(20), VTR메카니즘(20)의 앞부분에 배치한 VTR회로(21)과 마이크(13) 및 VTR메카니즘(20)과 VTR회로(21)의 측면에 배치한 광학 뷰파인더(12), 광학 뷰파인더(12)의 하부에 배치한 비디오카메라렌즈(11), 비디오카메라렌즈(11)의 하부에 배치한 전지(23) 및 비디오카메라회로(24)로 이루어진다. 비디오카메라렌즈(11)의 뒤쪽부분에는 촬상소자(25)가 부착되어 있다. VTR메카니즘(20)에는 테아프감기축(22a), (22b), 실린더(28) 및 카세트홀더(20a)가 탑재되어 있다. VTR메카니즘(20)의 테이프감기축(22a), (22b)의 축방향은 화살표A방향이다.화살표A방향과 비디오카메라렌즈(11)의 광축 및 광학 뷰파인더(12)의 광축은 평행하다. 또, VTR메카니즘(20), 광학 뷰파인더(12), 비디오카메라렌즈(11) 및 전지(23)은 서로 중첩되어 있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병렬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홀더(20a)에는 테이프카세트(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고, 테이프카세트는 테이프감기축(22a), (22b)에 끼워넣어지며,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는 실린더(28)에 감겨진다.
전지(23)은 1차전지(건전지)를 사용한다. 현재, 건전지는 어느곳에서나 입수가 용이하여 2차전지(축전지)와 같이 충전할 필요가 없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컴팩트비디오카메라 (1)은 케이스(2)로 싸요져 있다. 케이스(2)의 앞면에는 개구부(8)을 갖고, 비디오카메라렌즈(11), 광학 뷰파인더(12), 마이크(13) 및 타르(tarry)램프(9)가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8)은 차폐판(10)에 의해서 개폐된다. 개구부(8)의 경사방향 아래쪽에는 차폐판 해제노브(36)이 배치되어 있다. 차폐판해제노브(36)을 답아당기면 차폐판(10)은 위쪽으로 이동하여 개구부(8)을 덮는다. 케이스(2)의 상면에는 녹화스위치(4), 이젝트스위치(5), 모드전환스위치(6) 및 위쪽커버(3)이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2)의 측면에는 줌스위치(7)이 배치되어 있다. 녹화스위치(4)는 녹화의 개시 또는 종료를 설정한다. 이젝트스위치(5)는 슬라이드스위치타입으로 이젝트스위치(5)를 끌어당기면 위쪽커버(3) 및 후술하는 카세트덮게(15)가 열려 테이프카세트(도시하지 않음)를 넣거나 빼낸다. 모드전환스위치(6)은 촬영모드의 전환을 실행한다. 모드전환스위치(6)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케이스(2)의 하면에는 전지덮게(14)가 배치되고 전지덮게(14)를 열어서 전지(23)을 넣거나 빼낸다. 케이스(2)의 이면에는 카세트덮개(150, 뷰파인더 접안부(18)이 배치되며, 뷰파인더 접안부(18)의 주위에는 아이컵(eyecup)(19)가 형성되어 있다. 아이컵(19)의 안족에는 전원표시등(26) 및 녹화표시등(27)이 배치되어 있다. 카세트덮개(15)에는 액정표시부(16)이 있어 컴팩트비디오카메라(1)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카세트덮개(15)의 우측에는 볼록한 핑거스토퍼(17)이 잇어 컴팩트비디오카메라(1)을 오른손으로 쥐었을 때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에 배치된 위쪽커버(3)과 이면에 배치된 카세트덮개(15)에서 VTR 메카니즘(20)에 삽입하는 테이프카세트(도시하지 않음)를 넣거나 빼낸다. 아이컵(19)는 뷰파인더 접안부(18)을 들여다보았을 때 유해한 외광의 입사를 방해하는 작용을 한다. 전원표시등(26)은 모드전환스위치(6)이 카메라(CAMERA )모드(C) 또는 VTR(V)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점등한다. 그 색채차는 적생이 바람직하다. 녹화표시등(27)안 모드전환스위치(6)이 CAMERA 모드로 되고 녹화스위치(4)가 온(ON)되어 녹화중으로 되었을 때 점등한다. 녹화표시등(27)의 색채는 녹색 또는 청색이 바람직하다. 녹화표시등(27)은 후술하는 J촬영모드(져스트 촬영모드)일 때 점멸해서 시간경과를 표시한다. 점멸의 주기는 1초간격이 바람직하다. 제5도 및 제6도는 케이스(2)의 개구부(8)을 덮는 차폐판(10)의 구성과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폐판(10)의 상단에는 차폐판슬라이드노브(30)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차폐판(10)의 개폐기구는 차폐판(10)과 차폐판(29)에 걸어고정된 비틀림코일스프링(33)으로 이루어진다. 비틀림 코일스프링(33)의 한쪽끝(33a)의 한쪽끝(33a)는 차폐판(10)의 상단이 있어서 나사934)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고, 비틀림 코일스프링(33)의 다른쪽 끝(33b)는 케이스(2)의 돌기(35)에 회전 가능하게 축고정되며, 비틀림 코일스프링(33)의 코일부(33a)는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되어 있다. 차폐판(10)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케이스(2)에 유지되어 있고, 비틀림코일스프링(33)은 항상 상향의 힘을 차폐판(10)에 부가하고 있다. 차폐판(10)은 측단부에 잘라냄부937)이 있으며, 차페판해제노브(36)과 일체로 이동하는 걸어 맞춤고리(38)이 걸어맞춰져 있다. 걸어맞춤고리(38)은 해제노브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39)에 의해 항상 차폐판(10)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차폐판(10)의 아래쪽에는 케이스(2)에 전원스위치(31)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스위치노브(32)는 셔터판 하단부(10a)와 접촉해서 눌려져 전원이 온상태로 되어 있다. 해제노브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39)의 힘에 대항해서 차폐판해제노브(36)을 슬라이드시키면 걸어맞춤고리(38)이 차폐판(10)의 잘라냄부(37)에서 분리되고, 차폐판(1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33)의 힘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해서 개구부(8)을 차폐한다. 차폐판 하단부(10a)가 위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전원스위치노브(32)를 누르고 있던 힘이 없어져 전원이 오프(OFF)상태로 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드전환스위치(6)의 CAMERA 모드는 노말(N), 져스트(J), 토글(T)의 3개의 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노말모드(N)을 지표(47)에 맞추면 녹화스위치(4)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녹화하고 녹화스위치(4)를 놓으면 녹화를 종료한다. 져스트모드(J)는 녹화스위치(4)를 누르면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동안) 녹화하고 자동적으로 녹화를 종료한다. 토글모드(T)는 녹화 스위치(4)를 누르면 녹화를 개시하고, 녹화스위치를 놓아도 계속 녹화를 하며, 녹화스위치(4)를 재차 누르면 녹화를 종료한다. 져스트모드의 동작은 비디오카메라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실행한다.
제7도에 져스트모드(J)일 때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모드전환스위치(6)이 져스트모드(J)에 맞춰지면 카메라전원스위치(44)가 온된다. 녹화스위치(4)를 누르면 녹화가 개시된다. 경과사간이 측정되어 측정결과가 카운트다운표시(후술한다)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녹화정지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의 광학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도는 비디오카메라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701)은 줌렌즈, (702)는 광학파인더, (703)은 포커스링크, (704)는 스프링, (705)는 철심, (706)은 래치솔레노이드, (707)은 캠고리, (708)은 줌모터, (709)는 굼기어, (710)은 조리개모터, (711)은 촬상소자, (712)는 전자줌회로, (713)은 고역성분추출회로, (714)는 자동초점맞ㅁ회로, (715)는 전자줌제어회로, (716)은 전자석(電磁石), (717)은 영구자석이다.
또, 제9도는 이 실시예를 제8도에서의 좌측이서 본 정면도로서, (718)은 파인더용 캠고리, (719)는 렌즈,(720)은 출력단자, (721)은 카메라회로, (722)는 줌위치검출기이며, 제8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줌렌즈(701), 광학파인더(702) 및 전자줌 회로(712)를 구비하고 있다. 줌렌즈(701)은 여러개의 렌즈로 이루어지며, 이중 포커스용 렌즈가 포커스링크(703)에 연결접속되어 있다. 이 포커스링크(703)은 스프링(705)에 의해서 한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고, 영구자석(717)과 전자석(716)으로 이루어지는 래치솔레노이드(706)에 의해서 철심(705)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포커스링크(703)이 이동해서 포커스용 렌즈가 이동하고 포터스용 렌즈가 이동하고 포커스조정(초점맞춤)이 실행된다.
줌렌즈(701)에 있어서의 렌즈중 주밍(zooming)용 렌즈는 줌렌즈(701)의 캠고리(707)에 연결접속되고, 이 캠고리(707)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주밍용 렌즈가 이동해서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변화한다. 이 캠고리(707)은 줌기어(709)를 거쳐서 줌모터(7080에 연결접속되고 줌모터(708)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변화하게 된다.
또, 줌렌즈(701)의 조리개값은 조리개모터(710)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변화한다.
피사체(도시하지 않음)의 광학적인 상이 줌렌즈(701)을 거쳐서 촬상소자(711)에 결상되고, 촬상소자(711)은 이 광학적인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신호는 카메라회로(721)에서의 전자줌회로(712)로 공급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가변의 추출범위내의 부분이 추출되고 시간적으로 확대되어 출력단자(720)에서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촬상소자(711)에 의해서 촬상되는 피사체상의 이 추출범위에서 결정되는 화상이 확대되어 소위 전저주밍이 가능하게 된다.
또, 촬상소자(71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는 카메라회로(721)에서의 고역성분 추출회로(713)으로 공급되어 그 고주파성분이 추출된다. 자동초점맞춤회로(714)는 이 고주파성분에서 초점맞춤상태를 검출하고, 포커스제어신호를 래치솔레노이드(706)으로 공급한다. 고역성분 추출회로(713)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성분이 최대로 되도록 래치솔레노이드(706)을 구동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장 양호한 포커스상태가 얻어지도록 줌렌즈(701)의 포커스용 렌즈가 위치결정된다.
줌위치검출기(722)는 줌렌즈(701)의 캠고리(707)과 맞물려 캠고리(707)의 회전각을 저항값으로서 검출해서 그 검출결과를 출력한다. 전자줌제어회로(715)는 줌위치검출기(722)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전자줌회로(712)에서 설정되는 상기 추출범위와 이 추출범위에서 추출되는 영상신호의 시간축상에서의 확대율을 제어하고, 이것에 의해서 전자줌회로(712)의 화상확대율이 변화한다.
파인더용 캠고리(718)은 캠고리(707)고 맞물려 그의 회전각에 따라서 광학파인더(702)내의 렌즈(719)를 이동시키고 광학파인더(702)의 배율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줌렌즈(1)의 초점거리는 5mm ~ 15mm의 범위내에서 변화시킬수 있으며, 줌렌즈(1)의 밝기인 F값은 초점거리가 15mm 일 때 F = 3으로 하고 있다. 또, 촬상소자(711)의 유효촬상범위는 세로 3.6mm, 가로 4.8mm이며, 대각선상의 길이는 6mm 로 되어 있다. 또, 점자줌회로(712)의 점자줌배율은 화상확대율로서 1 ~ 2배이다.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에 설명한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723)은 전방군 렌즈(front-group lens set), (724)는 링크, (725)는 조리개, (726a), (726b)는 캠폴로워(캠종동자), (727)은 로드, (728)은 전방 이동프레임, (729)는 전방군, (730)은 나사, (731)은 후방군이고, 상술한 도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전방군 렌즈(723)을 내부에 유지하고 있는 전방군(729)는 전방 이동프레임(728)과 맞물려 있고, 이 전방 이동프레임(728)은 포커스프링(703)에 걸어고정되고 또한 로드(727)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방 이동 프레임(728)에는 캠폴로워(726a)가, 후방군 렌즈(rear-group lens set)를 유지한 후방군(731)에는 캠폴로워(726b)가 각각 고정부착되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캠고리(707)에 마련된 캠홈(732a), (732b)에 끼워맞춰져 있다. 또, 캠고리(707)에는 그의 회전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하기 위한 규제홈(733)이 마련되어 있다. 또, 제11도는 비디오카메라 전체의 줌배율 및 광학파인더(702)의 배율이 가장 클때의 캠폴로워(726a), (726b)의 위치도 도시하고 있다.
제10도에 있어서의 링크(724)는 조리개모터(710)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서 조리개(725)가 개폐동작을 실행한다. 또, 나사(730)은 철심(705)와 당접할 수 있도로 배치되어 있다.
제12도는 캠고리(707)을 회전시켜서 렌즈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한 줌렌즈(1)의 처점거리의 변화범위를 5mm ~ 15mm로 했을 때의 캠고리(707)의 회전각에 대한 초점거리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제11도에 있어서, 화살표 X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캠고리(707)은 회전운동하고, 도시한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초점거리는 길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캠홈(732a), (732b)의 A점보다 왼쪽에에 캠폴로워(726a), (726b)가 있을 때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mm인 것으로 한다. 캠홈(732a), (732b)의 A점에 캠폴로워(726a), (726b)가 있을 때의 캠고리(707)의 회전각은 제12도에서 보아 대략 80°이다. 또, 캠고리(707)의 회전각이 0°일 때(캠폴로워(726a), (726b)가 각각 캠홈(732a), (732b)의 우측단에 있을 때) 초점거리는 5mm이다.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 mm를 초과해도 캠고리(707)을 회전운동시킬수 있지만,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고리(707)에 마련한 캠홈(732a), (732b)는 그 A점에서 캠고리(707)의 원주방향으로 신장하고 있기 때문에 캠폴로워(732b)는 화살표X로 표시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방 이동프레임(728)과 후방군(731)은 은 모두 이동하지 않고 렌즈의 위치가 고정되어 초점거리는 그대로 최대로 유지된다.
제8도, 제9도에 있어서, 전자줌 제어회로(715)는 줌위치검출기(722)에서 검출되는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도에 따라서 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화상확대율을 변화시킨다. 이것을 제13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단, 제13도에서는 세로축에 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화상확대율을, 가로축에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mm를 초과하는 각도 80° 이상캠고리(707)을 회전운동시키면 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화상확대율이 1배에서 2배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카메라회로(721)에서 출력단자(720)으로 출력도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배율은 줌렌즈(701)의 배율과 전자줌회로(712)의 배율(화상확대율)의 총합배율로되고,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전자줌회로에 의해 확대한 상을 광학적 줌렌즈에 의해 더욱 확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14도는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5mm 일 때(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 = 0°)의 화상의 크기를 1로하고, 동일한 피사체를 동일한 조건에서 촬상했을 때의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출력단자(720)에서 얻어지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의 크기(즉, 상기한 총합배율)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것에 의하면, 캠고리(707)을 연속적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얻어지는 화상의 크기는 1배에서 6배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인더용 캠고리(718)에 의해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과 연동해서 광학파인더(702)의 렌즈(719)가 이동하여 광학파인더(702)의 배율이 변화한다. 제15도는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광학파인더(702)에서의 표시화상의 크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이 0°일때의 표시화상의 크기를 1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캠고리(707)의 회전운동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킴과 동시에 광학파인더(702)에 화상이 배율이제14도에 도시한 카메라회로(7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사의 배율과 대략 마찬가지로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점자줌회로(712)에서의 화상확대율의 변화특성은 제13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되지만, 이것과 동시에 전자줌회로(712)에서는 영상신호의 추출범위의 중심도 화상확대율의 변화와 함께 변화시키도록 한다.이 점에 대해서 제16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6도에 잇어서, 현재 피사체(734)에 대해서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mm일 때의 촬상소자(711)에서의 피사체상의 결상범위를 실선으로 표시한 범위(735)로 하고 그 중심점을 점 (736)으로 하며, 또 이때의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의 번위를 점선으로 표시한 범위(737)로 한다. 따라서,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의 범위(737)은 피사체상의 결상범위(735)에 대해서 범위(741)로써 표시한 범위만큼 좁혀져 있다.
전자줌회로(712)에 의한 확대범위와 그 중심점은 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mm로 되었을 때(제11도중의 A점)의 촬상소자(711)상의 결상범위(735)와 그 중심점(736)에서 전자줌회로(716)에서의 활대율이 중가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그리고 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확대율이 2배로서 최대로 되면(제13도) 전자줌회로(712)에 의한 확대범위와 그 중심점은 각각 실선으로 표시한 범위(738)과 점(739)로 된다. 또ㅡ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의 범위도 전자줌회로(716)에서의 확대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점선으로 표시한 범위(737)(줌렌즈(701)의 초점거리가 15mm 일 때)에서 1점쇄선으로 표시한 범위(740)9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확대율이 최대로 될 때)로 변화한다.
이상의 이유에 의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2개의 다른 광학계인 줌렌즈(701)과 광학파인더(702)는 각각 광축을 갖고도 있고, 또 이들 광축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줌렌즈(701)에 의한 상의 중심점과 광학파인더(702)가 관찰하는 피사체범위(737)의 중심점은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각각 변화하고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 중심점의 어굿남에 의해 줌렌즈(702)를 거쳐서 촬상소자(711)이 촬상하는 피사체범위와 광학파인더(702)가 관찰하는 피사체범위가 다르며, 이 때문에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무한 원거리 피사체에 대해서 줌렌즈(701)고 광학파인더(702)의 피사체범위의 줌심점을 일치시킨 경우(즉, 줌렌즈(701)과 광학파인더(702)의 광축을 무한원 거리에서 일치시킨 경우) 줌렌즈(701)에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L(mm), 줌렌즈(701)이 초점거리를 f(mm), 전자줌회로(712)에서의 확대율을 N배, 줌렌즈(701)의 광축과 광학파인더(702)의 광축의 간격을 x(mm)로 하면 촬상소자(711)의 촬상면상에서 본 중심점에 어긋남량k(mm)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k = (f×x×N)/L
여기에서, x = 28mm, L = 1000mm로 하면, N = 1이고 f = 15mm 일 때 k = 0. 42mm, N = 1이고 f = 5mm일 때 k = 0. 14mm로 되고, 또 최대배율 N = 2이고 f = 15mm 일 때 k = 0. 84mm로 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줌렌즈(701)의 초점거리f가 15mm일 때의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범위(737)을 촬상소자(711)의 결상범위(735)보다 미리 0.42 mm의 범위(741)만큼 좁혀 둔다. 이것에 의해, 줌렌즈(701)의 초점거리 f 가 5mm ~ 15mm의 범위이고 전자줌회로(716)에서의 확대율N이 1배의 범위에 있어서는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하는 피사체범위(737)내의 피사체상을 전부 포함하는 영상신호가 촬상신호가 촬상소자(711)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 때,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범위(737)을 촬상소자(711)이 촬상하는 피사체범위에 대해서 8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용상 문제가 없다.
전자줌회로(712)에 의해 촬사소자(711)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전자줌회로에 의해 구정되는 범위에서 시간적으로 확대하는 경우이는 그 확대범위의 중심을 그 확대율에 따라서 0에서 0.42mm (상기 식에서 f=15mm이고 N=1과 N=2의 1의차)까지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젖자줌회로(712)에 의해서 화상이 확대된 카메라회로(721)의 출력신호는 항상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파시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상에 의해,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범위의 상은 줌렌즈(701)의 초점거리나 전자줌회로(712)의 확대율에 관계없이 모든 카메라회로(721)이서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나타내는 것으로 되며, 광학파인더(702)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는 항상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서의 피사체에 대한 초점맞춤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상소자(711)상에서의 피사체의 결상상태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피사체의 거리에 맞게 줌렌즈(701)를 렌즈볼을 이동시켜서 조첨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 포커스의 설정(초점맞춤)은 제8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포커스링크(703)을
철심(705)를 거쳐서 스프링(704) 및 래치솔레노이드(706)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실행된다.
래치소레노이드(706)에서는 내부의 후단(제8도중 우측단)에 영구자석(717)리 고정되어 있다. 전자석(716)에 전류를 흐르게 해서 영구자석(717)에 의한 자계를 강하게 하면 철심(705)는 스프링(704)에 의한 힘에 대항해서 라치솔레노이드(706)내의 후단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철심(705)의 전단(제8도중 좌측단)은 포커스링크(703)을 후단방향(제8도중 우측단)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철심 (705)는 영구자석(717)과 당접해서 이동을 완료하고, 이것에 의해 포커스링크(703)도 정지한다. 포커스링크(703)은 줌렌즈(701)중의 전방 이동프레임(728)에 고정되어 있고, 전방 이동프레임(728)과 함께 전방군(719)와 전방군 렌즈(713)을 이동시킨다. 이 이동방향과 이동량은 포커스링크(703)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과 동일하다. 줌렌즈(701)은 전방군 렌즈(723)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피사체거리를 이동변화시켜서 초점이 맞는 피사체를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초점에 맞는 피사체의 위치를 1개 결정할 수 있다.
래치솔레노이드(706)의 전자석(716)에 영구자석(717)에 의한 자계를 소멸시키는 방향의 자계가 발생하도록 전류를 흐르게했을 때 철심(705)는 스프링(704)의 작용력에 의해 전단방향(제8도중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나사(730)과 당접하면 정지한다. 나사(7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철심(705)는 전단 방향으로 이동해서 정지하게 된다. 철심(705)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포커스링크(703)도 스프링(704)에 의해서 이동하게 되어 전방 이동프레임(728)과 함께 전방군 렌즈(723)을 전단방향(제8도중 좌측단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의 이동량은 나사(730)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나사(730)에 의해 전방군 렌즈(723)의 정지위치를 제2포커싱위치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줌렌즈(701)의 초점이 맞는 피사체의 위치를 제2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래치솔레노이드(706)에 전류룰 흐르게 하고 그 흐르는 방향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줌렌즈(701)의 초점이 맞는 피사체의 위치를 2개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스프링(704)의 강도와 영구자석(717)에 의한 자계의 강도및 전자사거(716)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래이솔레노이드(706)에 흐르게 하는 전류는 전방군 렌즈(723)을 이동시킬 때에만 필요한 것으로서, 어느하나의 초점이 맞는 위치에 설정한 후에는 전류를 흐르게할 필요가 없게 된다.
래치솔레노이드(706)은 자동초점맞춤회로(714)에 의해서 제어된다. 자동초점맞춤회로(714)에서는 촬상소자(71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의 고주파성분이 공급되고, 그 양이 최대로 되는 위치에 줌렌즈(7)의 전방군 렌즈(723)이 설정하는 전류를 래치솔레노이드(706)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해서 영상신호의 고역성분의 양이 최대로 되어 피사체에 대해서 초점맞춤된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이 줌렌즈(701)과 광학파인더(702)의 광축을 무한대의 원거리에서 일치시키는 경우 피사체가 원거리에 있을 때 전자줌회로(712)에서의 추출범위의 중심점을 상기와 같이 이동시키면 오히려 광학파인더(702)의 표시화상과 카메라회로(72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이 일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자동초점맞춤회로(714)가 피사체가 원거리에 있도록 동작핼 때에는 전자줌회로(712)에서의 추출범위의 중심점의 상기한 이동을 금지하도록 자동초점맞춤회로(714)가 전자줌회로(712)를 제어한다.
이상은 초점이 맞는 전방군 렌즈(723)의 위치를 영상신호의 고역성분의 양이 최대로 되는 임의의 위치로 하도록 하는 것이었지만, 전방군 렌즈(723)의 설정위치를 2곳으로 하고, 영상신호의 고역성분의 양이 큰 위치 쪽을 선택하도록 해서 초점맞춤을 하도록 해도 실용상 충분하다.
이상 기술한 동작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는 전자줌회로(712)를 병용하면서 줌렌즈(701)의 배율에 맞게 피사체에 대해서 1배에서 6배까지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줌렌즈만을 사용한 종래의 비디오카메라와 동일한 동작을 하고, 피사체와는 실용상 충분히 초점이 맞는다. 전자줌을 동작시킨 경우(배율 3배에서 6배)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또, 광학파인더의 배율을 줌렌즈와 전자줌회로를 합쳤을 때의 배율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또한 광학파인더에서 관찰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의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텔레비전 등을 사용하지 않고 눈으로 촬상되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줌렌즈(701)의 렌즈를 이동시켜서 초점을 맞추도록 했지만, 촬상소자(71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초점을 맞추도록 해도 좋고, 이 경우의 이동수단으로서 래치솔레노이드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초점이 맞는 촬상소자의 위치를 2곳으로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줌렌즈에 전자줌회로를 병용하고, 줌렌즈에 의한 최대의 화상확대율 이상의 화상확대율을 상기 전자줌회로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종래의 줌렌즈만에 의한 비디오카메라에서는 얻을 수 없는 큰 화상확대율이 얻어지고, 또 예를 들면 주로 6배 줌렌즈를 사용한 종래의 비디오카메라에 비해서 전자줌회로의 화상확대율을 2배로 하는 것에 의해 줌렌즈를 3배의 줌렌즐 해서 소형의 줌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비디오카메라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파인더에서 관찰되는 피사체범위의 상과 얻어지는 영상신호의 화상을 대략 일치시킬 수 있어 모니터텔레비전 등의 광학파인더 이외의 피사체 확인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광학 뷰파인더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광학 뮤파인더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으로 얇은 카메라 본체에 적용했을 때 충분한 배율을 갖는다.
다음은 광학 뷰파인더의 수치실시예이다.
파인더수치 실시예
r = 0. 0은 곡률반경이 무한대를 나타내고, 평면을 의미한다.
비구면계수
상기한 파인더수치 실시예의 렌즈구성도를 제17도에 도시한다. 제17도는 실시예의 광학 뷰파인더의 전체도로서, Ⅰ~ Ⅵ의 6군 구성으로 되어 있다. (251), (252)는 상을 상하 및 좌우로 반전시티는 역할을 갖는 프리즘이다. S13은 시야틀면으로서 Ⅴ군의 S14면과 접하고 있다. Ⅴ군의 S15면과 프리즘252의 S16면과의 사이에는 공기간격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제18도 ~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호한 수차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줌비 5, 6배, 최대화각 53. 5°, 근축배율 0. 44~2. 46배, 시계각 25°, 줌비 5, 6배라는 광학줌파인더를 얻을 수 있다.
제18도의 0. 6은 16. 1°, 0. 9는 24. 1°, 제19도의 0. 6은 8. 71°,0. 9는 13.3°, 제20도의 0.6은 3.1°, 0. 9는 4. 6°의 화각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비디오카메라렌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비디오카메라렌즈 즉 줌렌즈에서는 렌즈의 점수가 가급적 삭감되어 있다.
제21도 상기 변형예의 줌렌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201)은 부(負)굴절력의 제1렌즈군, (202)는 정(正)굴절력의 제2렌즈군, (203)은 제1렌즈군(201)내에서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의 메니스커스렌즈, (204)는 제1렌즈군(201)내에서 정인 양볼록렌즈, (205)는 제2렌즈군(202)내에서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부의 메니스커스렌즈, (206)은 제2렌즈군(202)내에서 정이 양볼록렌즈이다. 광각에서 망원으로의 배율 변화시 제2렌즈군(202)가 물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배율변화시의 상면 위치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1 렌즈군(201)이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배율변화의 동작을 실행하고 있다. 이 이동은 각 렌즈군의 초점거리 등에 따라서 주지의 방법으로 계산된다. 그리고, 제1렌즈군(201)이 그와 같이 이동하도록 캠이 설계된다.
다음에 제21도에 도시한 줌렌즈의 수치 실시예1을 기술한다. r(i)는 물체측에서 차례로 제i번째의 렌즈면s(i)의 곡률반경, d(i)는 렌즈면s(i)와 s(i+1) 사이의 광축상의 거리, N(j)와 ν(j)는 각각 물체측에서 차례로 제j번째의 렌즈의 굴절율과 아베(Abbe)수, f는 줌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거리이다. 또, FNO 는 최대구경비, ω는 화각이다.
수치실시예1
FNO = 1 : 2.7 ~ 4.8 f = 5.22 ~ 15.01
ω = 59.81°~ 22.61°
제1 렌즈군(201)과 제2렌즈군(202)의 이동량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줌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거리f와 렌즈면간 거리중 가변인 d(4)의 값을 다음에 나타낸다.
f 5.22 7.74 15.01
D(4) 11.49 6.25 1.00
또, *를 붙인 렌즈면은 비구면이고, 형상은 비구면계수에 의해 다음식과 같이 표시된다.
Z = CH2/(1+1-(K+1)C2Y2)+A4Y4+A6Y6+A8Y8+A10Y10
단, Z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Y에 있어서의 비구면상의 점의 비구면 정점과 접하는 평면으로부터의 거리, C는 기준구면의 곡률(1/r), K는 원추정수, Y는 광축으로부터의 높이, A4 ~ A10은 각각 4차 ~ 10차의 비구면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있어서의 비구면계수를 다음에 나타낸다.
제22도, 제23도는 상기 수치실시예1의 수차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제22도의 0.9는 약 25°,0.6은 약 17°이고, 제23도의 0.9는 약 9°,0.6은 약 6° 화각을 나타낸다.
다음에 제24도에 따라서 광학뷰파인더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뷰파인더에서는 부품점수의 삭감의 견지에서 줌렌즈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본 광학뷰파인더는 실상식(realimage type) 파인더이다. 그 광학계는 대물렌즈(48), 2개가 1조인 직립(erecting)프리즘(52),(35), 투과형 액정표시소자(55) 및 접안렌즈(54)로 이루어진다. 대물렌즈(48) 및 접안렌즈(54)는 볼록렌즈이다. 대물렌즈(48)과 접안렌즈(54) 사이에 삽입한 적립프리즘(52),(53)을 대물렌즈(48)에서 생성되는 도립상(inverted image)을 상하 좌우 4개 반사시키는 것에 의해서 질립시킨다. 투과형 액정표시소자(55)는 대물렌즈(48)의 초점위치에 있고, 투과형 액정표시소자(55)의 표시내용과 대물렌즈(48)의 결상을 접안렌즈(54)를 통해서 동시에 본다. 투과형 액정표시소자(55)는 광셔터기능을 이용해서 시야틀(56)과 카운트다운표시(57)을 생성한다. 즉, 시야틀(56)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흑색으로서 시야틀(56) 이외는 광을 통과시킨다. 또, 카운트다운표시(57)을 5블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녹화개시시점은 5블럭 전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흑색으로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블럭이 없어져 녹화시간의 종료와 함께 블럭은 전부 없어진다. 또, 반대로 녹화개시점에는 흑색블럭이 1개 나타나고, 시간이 경과함예 따라 5블럭 모두 나타나 녹화가 종료한 것을 나타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대물렌즈(48)은 망원렌즈는 아니다. 비디오카메라 렌즈(11)의 망원배율의 변화는 시야틀(56)의 사이즈를 변화시켜서 표시한다. 즉, 망원배율이 1배 일 때에는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틀(56)의 사이즈 시야 주위에 위치하고, 망원배율이 상승함에 따라서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틀(56)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시야틀(56)은 시야의 중앙에 위치하여 촬상소자(25)에 찍히고 있는 범위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광학뷰파인더는 비디오카메라렌즈(1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차(視差) 즉 비디오카메라렌즈(11)의 표시범위와 광학뷰파인더의 촬영범위의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야틀(56)이 투과형 액정표시소자(55)내를 이동해서 보정한다.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광학뷰파인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광학뷰파인더는 대물렌즈(58) 및 반사형 액정표시소자(62)로 이루어진다. 대물렌즈(58)은 이면에 금속막을 증착한 반투과경(59)가 형성된 오목렌즈이다. 반사형 액정표시소자(62)는 반사경(65)를 갖고, 반사경(65)의 중앙에 창(63)이 뚫려 있다. 반사형 액정표시소자(62)의 광셔터기능을 이용해서 시야틀(64)를 형성한다. 즉, 시야틀(64)만 광을 통과시키고, 시야틀(64)의 안쪽과 바깥쪽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부분으로 한다. 창(63)에서 들여다 보면 반사형 액정표시소자(62)의 표시내용이 대물렌즈(58), 반투과경(59)에 반사되어 보인다. 즉, 시야틀(64)의 부분은 광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대물렌즈(58)에서 입사한 광은 반사경(65)에서 반사되어 반투과경(59)상에서 시야틀상(60)을 형성한다. 그러나, 시야틀(64) 이외에는 광을 통과시키지 않으므로 검게 보여 반투과경(59)상에서는 아무것도 비치지 않는다. 또, 창(63)에는 촬영자의 눈이 오므로, 촬영시에는 검은색이나 그것에 가까운 색을 띠고 있기 때문에 반투과경(59)상에서는 거의 비치지 않는다. 따라서, 반투과경(59)상에는 시야틀상(60)만이 비쳐 대물렌즈(58)을 통해서 본 피사체와 중첩된다. 반투과경(59)는 오목면경이고, 시야틀(64)는 오목면경의 초점거리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오목면경인 반투과경(59)에 비친 시야틀상(60)은 허상이다. 이 허상인 시야틀상(60)을 먼쪽에 형성하고 있는 피사체와 동일한 위치에서 보게 했으므로, 시야틀상(60)은 확실히 보여 정확한 촬연 범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보타외 2인의 광학기술핸드북(아사쿠라서점), 1970년 3월, pp. 863~86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야틀(64)의 사이즈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시야틀상(60)의 사이즈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시야틀(64)의 하부에 표시한 카운트다운표시(66)은 마찬가지로 반투과경(59)에 카운트다운표시상(61)로서 비친다. 본 실시예에서 대물렌즈(48)은 망원렌즈는 아니다. 본 실시예의 시야틀(64)도 제24도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시야틀(56)과 동일하도록 비디오카메라렌즈(11)의 망원배율에 따라서 사이즈가 변화한다.
상기한 것에 있어서, 대물렌즈(48)을 줌렌즈로 치환할 수도 있다. 1조의 직립프리즘(52),(53)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4회의 반사분만큼 광축방향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줌렌즈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해서 재생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8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시스템은 카메라일체형 VTR(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카메라일체형 VTR용 인터페이스기기(스테이션)에 탑재해서 적외선신호를 전송하는 근접전송과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서 분리해서 적외선신호를 전송하는 공간전송의 2가지의 전송방법에 대응하고 있다.
(401)은 비디오카메라, (402)는 마이크로폰, (403)은 드라이버, (404)~(408)은 입출력단자, (409)는 VTR, (410)은 와이드ID신호발생, 판별회로, (411)은 시스템컨트롤러, (412)는 리모콘수광부, (414)~(421)은 입력단자, (422)는 REC앰프, (423)은 프리앰프, (424)는 자기테이프, (425),(426)은 기록용 자기헤드, (427), (428)은 재생용 자기헤드, (429)는 변조기, (430)은 혼합기, (431)은 광신호 발광유무 출력단자, (429)는 드라이버, (433)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434)는 혼합기, (435)는 드라이버, (436)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437)은 포토다이오드, (438)은 증폭기, (439)는 분파기, (440)은 복조기,(441)~(445)는 출력단자, (446)은 광신호수신부, (474)는 무비전원 온/오프의 입력단자이다. 여기에서, 광신호수신부(446)은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스테이션에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입력단다(415)~(420)에는 기록, 재생, 빨리보내기, 되감기, 포즈, 정지시에 각각 H가 입력되지만, 그 외에는 L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입력단자(415)~(420)에서 시스템컨트롤러(411)에 입력되는 신호는 외부의 리모콘을 사용해서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모콘으로부터의 적외선신호는 리모콘수광부(41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시스템컨트롤러(411)로 공급된다.
우선, 먼저 제29도, 제30도를 사용해서 컴팩트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신호의 전송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9도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근접전송의 경우이다. (456)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 (457)은 스테이션, (458)은 텔레비전(TV), (459)는 접속코드이다. 여기에서, TV(458)과 스테이션(457) 사이는 영상, 음성, 컨트롤신호용 각 접속코드(459)에 의해 미리 연결해 놓았다.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으로 촬영상 비디오를 TV(458)에 비추기 위해서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을 스테이션(457)상에 탑재하는 것만으로 접속이 완료한다. 이 때, 컴팩트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 사이에서는 적외선신호를 불과수cm정도 공간전송하는 것에 의해 영상 및 음성신호를 스테이션(457)로 전송한다.
이 경우,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의 적외선신호발광부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의 바닥면에, 또 스테이션(457)의 적외선신호수광부는 스테이션의 상면에 위치하고 각각이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또,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은 스테이션(457)의 DC출력에서 직접 전원의 공급을 받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제30도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하지 않고 수m분리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공간전송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TV(458)과 스테이션(457) 사이는 영상, 음성, 컨트롤신호용 각 접속코드(459)에 의해 미리 연결해 둔다. 이 때,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으로 촬영한 비디오를 TV(458)에 비추기 위해서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에서 스테이션(457)로 적외선신호를 공간전송하는 것에 의해 영상 및 음성신호를 스테이션(457)로 전송한다. 이 경우,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의 적외선신호발광부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의 상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고, 스테이션(457)의 적외선신호수광부도 스테이션(457)의 상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 컴팩트비디오카메라의 적외선신호발광부를 팝업(popped up)식으로 해서 상면에 부착되고 필요시에 들어올려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외선신호발광부가 사용시에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기능을 부가하면 더욱 사용상의 편리함이 향상한다. 이 경우, 1쌍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준비된다. 또, 공간전송의 경우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에 부착한 전지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제28도에 있어서, 변조기(429), 혼합기(430)에 공급되는 STOP1신호가 L인 경우에는 각각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 STOP신호가 L인 경우에는 드라이버(432)의 동작이 정지하고 STOP3신호가 L인경우에는 혼합기(434) 및 드라이버(435)의 동작이 정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 입출력단자(404)~(408)에 코드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라이버(403)의 출력신호STOP4는 L로 되고,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TOP4는 H로 되는 것으로 한다. 또, LED발광시에는 LED발광유무신호 출력단자(431)에서 H가 출력되고, LED발광정지시에는 L이 출력되는 것으로 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LED발광시에는 발광하고 있는 것을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 컴팩트비디오카메라의 전원스위치가 온인 경우 입력단자(474)에는 H가 입력되지만 전원스위치가 오프인 경우에는 L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먼저 입력단자(414)에 입력되는 카메라/VTR전환스위치의 출력신호가 L로 되어 카메라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401)로 촬영된 영상신호는 카메라(401)에서 신호처리된 후 휘도신호(Y) 및 색신호(C)가 VTR(409)로 공급된다. 또, 마이크(402)에 입력한 L채널(AL) 및 R채널(AR)의 음성신호도 마찬가지로 VTR(409)로 공급된다. VTR(409)에 있어서, 휘도신호(Y)는 FM면조되고, 또 색신호(C)는 3.58MHz에서 주파수 저역변조되고, 각각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비디오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마이크(402)에 입력한 음성신호도 VTR(409)에서 FM변조되고, 이들 비디오신호 및 FM음성신호는 VTR(409)에서 가산된다.
여기에서, 기록개시신호가 입력단자(415)에 입력되면 VTR(409)에서 가산된 비디오신호 및 FM음성신호는 REC앰프(422)로 공급되고, REC앰프(422)에서 증폭된 후 자기헤드(425),(426)에 의해 자기테이프(424)에 기록된다.
다음에 입력단자(414)로의 입력신호가 H로 되어 VTR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재생개시신호가 입력단자(416)에 입력되면 자기헤드(427),(428)에 의해 비디오신호 및 FM음성신호가 자기테이프(424)에서 재생된다. 그 후, 이들 신호는 프리앰프(423)에 의해 증폭되어 VTR(409)로 공급된다. VTR(409)에 입력한 비디오신호는 VTR(409)내의 휘도신호처리회로 및 색신호처리회로에서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변환된다. 또, VTR(409)에 입력한 FM음성신호도 VTR(409)내의 BPF에서 스테레오FM음성신호가 각각 추출되고, 그 후 FM음성신호 복조회로에서 L채널(AL)과 R채널(AR)의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다음에, 컴팩트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적외선신호의 전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입출력단자(404)~(408)에 코드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드라이버(403)의 출력신호STOP4는 H인 것으로 하다.
우선, 먼저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근접전송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하면 컴팩트비디오카메라는 자동적으로 스테이션의 DC출력에서 전원의 공급을 받고, 또 스테이션접속상태 입력단자(421)에는H가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시스템컨트롤러(411)의 출력신호STOP1 및 STOP3은 항상 H로 되고 STOP2는 항상 L로 된다. 그 때문에, 변조기(429), 혼합기(430),(434), 드라이버(435)는 항상 동작하지만 드라이버(432)는 항상 동작을 정지한다.
VTR(409)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색신호(C),L채널(AL)과 R채널(AR)의 음성신호는 변조기(429)에서 변조되어 혼합기(430)으로 출력된다. 또, 시스템컨트롤러(411)에서 공급되는 컨트롤신호(CTL)도 마찬가지로 변조기(429)에서 변조되고, 그 후 혼합기(434)로 출력된다. 혼합기(430)에서는 변조된 휘도신호(Y), 색신호(C), 음성신호(AL,AR)이 혼합되고, 또, 혼합기(434)에서 변조된 컨트롤신호(CTL)이 가산되어 드라이버(435)로 출력된다. 이 가산된 신호는 LED(436)에서 적외선신호로 변환되어 스테이션으로 항상 송신된다. 한편, 드라이버(432)는 동작을 항상 정지하고 있으므로 혼합기(430)의 출력신호는 LED(433)에서는 송신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근접전송인 경우에는 항상 컴팩트비디오카메라에서 스테이션으로 영상, 음성 및 컨트롤신호가 전송된다. 이것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가 스테이션에소 DC전원으 공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전지의 교화을 고려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이다.
LED(436)에서 송신된 적외선신호는 스테이션의 포토다이오드(437)에서 수신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전기신호는 증폭기(438)에서 증폭되고, 또 분파기(439)에서 휘도신호(Y),색신호(C), 음성신호(AL,AR), 컨트롤신호(CIL)의 각 변조신호로 분리된다. 복조기(440)에서는 각각의 변조신호를 복조해서 출력단자(441)~(445)에서 각각 출력한다. 이들 신호는 스테이션에서 접속코드를 거쳐서 TV,VTR로 전송되기 때문에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하는 것만으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의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TV에는 컨트롤신호(CTL)도 공급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AV버스케이블에 의해 전송하고 있던, TV,VTR의 전원제어신호 및 입력모드전환 신호를 이 컨트롤신호(CTL)에 갖게 하는 것에 의해 광전송시스템에 AV버스케이블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적외선신호는 스테이션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다른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그런데, 상기 TV, VTR의 컨트롤신호는 각 회사마다 다르다. 그래서, 각 회사의 TV, VTR에 대응한 컨트롤심호를 적외선신호에 부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각 회사의 리모콘신호의 학습기능을 컴팩트비디오카메라에 갖게 한다. 이것은 각 회사의 리모콘으로 부터의 적외선신호를 리모콘신호를 리모콘수광부(412)에서 수신하고, 이 수신한 신호를 시스템컨트롤러(411)에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실행한다.
다음에 컴팩트비디오카메라를 스테이션에 탑재하지 않고 수m분리해서 신호를 전송하는 공간전송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컴팩트비디오카메라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에 부착한 전지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한다. 또, 스테이션 접속상태 입력단자(21)에는 L이 입력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시스템컨트롤러(411)의 출력신호STOP3은 항상 L로 된다. 그 때문에 혼합기 (434), 드라이버(435)는 항상 동작을 정지하고 LED(436)에서 적외선신호는 송신되지 않는다. 또, 입력단자(421)로의 입력신호가 L이고 카메라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STOP1 및 STOP2도 항상 L로 되어 변조기(429), 혼합기(430), 드라이버(432)는 항상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입력단자(414)로의 입력신호가 H이고 VTR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입력단자(416)에 입력되는 재생개시신호에 의해 컴팩트비디오카메라가 재생을 개시하면 시스템컨트롤러(411)에서 출력되는 STOT1 및 STOP2는 자동적으로 H로 된다. 그 때문에, 변조기(429), 혼합기(430), 드라이버(432)가 동작을 개시하고, VTR(409)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색신호(C), L채널(AL)과 R채널(AR)의 음성신호는 변조기(429)에서 변조되어 혼합기(430)으로 출력된다. 그 후, 이들 휘도신호(Y), 색신호(C), 음성신호(AL,AR)은 혼합기(430)에서 가산되어 드라이버(432)로 출력된다. 또, 이 가산된 신호는 LED(433)에서 적외선신호로 변환되어 스테이션으로 송신된다.
LED(433)에서 송신된 적외선신호는 스테이션의 포토다이오드(437)에서 수신되어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이 전기신호는 증폭기(438)에서 증폭되고, 또 분파기(439)에서 휘도신호(Y), 색신호(C), 음성신호(AL,AR)의 각 변조신호로 분리된다. 복조기(440)에서는 각각의 변조신호를 복조해서 출력단자(441)~(444)에서 각각 출력한다. 이들 신호는 스테이션에서 접속코드를 거쳐서 TV, VTR로 전송되므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한 비디오의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재생중에 빨리보내기신호 또는 되감기신호가 입력단자(417) 또는 (418)로 공급된 경우(빨리보내기재생 또는 되감기재생)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시스템컨트롤러(411)의 STOP1 및 STOP2는 H상태 그대로 이고 적외선의 발광은 계속된다. 또, 포즈신호가 입력단자(419)에 입력된 경우(재생일시 정지)도 STOP1 및 STOP2는 H상태 그대로 이고 적외선은 송신된다. 그러나, 재생정지신호가 입력단자(420)에 입력되면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재생은 정지하고 STOP1 및 STOP2는 자동적으로 L로 된다. 그 때문에 변조기(429), 혼합기(430), 드라이버(432)는 동작을 정지하고 LED(433)으로부터의 적외선신호의 송신도 정지한다.
한편, 재생정지중에 빨리보내기신호 또는 되감기신호가 입력단자(417) 또는 (418)로 공급되어 테이프의 빨리보내기 또는 되감기가 실행된 경우 STOP1 및 STOP2는 L상태로 그대로 이고 적외선은 송신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LED(433)으로부터의 적외선신호의 전송은 입력단자(414)로의 입력신호가 VTR모드이고 또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자기테이프에서 재생중일 때에만 한정된다. 이것에 의해서 컴팩트비디오카메라에 있어서, TV, VTR로 신호의 광전송이 필요한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재생시에만 자동적으로 광송신부를 동작시키고, 이 이외에는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적외선 전송이 불필요할 때의 전지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적외선신호에 시스템컨트롤러(411)로부터의 컨트롤신호(C시)이 부가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비디오 재생시에 자동적으로 TV, VTR의 전원제어 및 입력모드 전환을 실행하는 AV버스케이블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없다.
또, 수광용 표토다이오드(437)은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1개의 포토다이오드로 겸용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 근접전송계에 광도파로를 마련하는 것이 포토다이오드의 신호포화 등의 문제를 고려한 경우 좋다.
다음에, 입력단자(403)~(408)에 TV,VTR과의 접속케이블이 연결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드라이버(403)에서 시스템컨트롤러(411)로 공급되는 STOP4신호가 L로 되므로 시스템컨트롤러(411)에서 출력되는 STOP1, STOP2, STOP3신호는 항상 L로 되고 적외선신호는 송신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VRT(409)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 색신호(C), L채널(AL), R채널(AR)의 음성신호는 드라이버(403)으로 공급되고, 입출력단자(404)~(408)에서 접속케이블을 거쳐서 TV, VTR로 출력된다. 한편, TV 또는 VTR에서 컴팩트비디오카메라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TV 또는 VTR로부터의 휘도신호(Y), 색신호(C), 음성신호(AL, AR)이 접속케이블을 거쳐서 입출력단자(404)~(408)로 공급되어 VTR(409)로 출력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와이드ID신호발생, 판별회로(410)에 대해서 설명한다. 현재, TV방송의 화면은 종횡비가 3:4이지만, 이 후 본격화되는 하이비전방송에서는 종횡비가 9:16인 와이드화면으로 된다. 그래서, VTR(409)의 출력신호를 와이드ID신호발생, 판별회로(410)으로 공급하고 와이드화면의 판별 결과를 VRT4(409) 및 시스템컨트롤러(411)로 출력한다. 그리고, 광전송하는 영상신호가 와이드화면인 경우에는 와이드화면으로의 전환신호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수신측의 TV을 자동적으로 와이드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제31도에 제28도에 도시한 광전송기능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구동방법, 적외선신호전송방법, LED발생제어유무, TV, VTR을 제어하는 AV버스케이블기능의 유무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음에 제32도에 제28도에 도시한 광전송기능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LED발광 온/오프 및 TV, VTR제어신호출력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신호(CTL)로서 적외선신호에 TV, VTR의 전원제어와 입력모드전환을 실행하는 AV버스케이블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이외에 싱크로에디트신호(Synchronizing editing signal)를 부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싱크로에디트신호를 사용하면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을 재생기, VTR을 녹화기로 해서 더빙을 할 때에 양기계의 일시정지, 일지정지 해제를 재생측의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에 의해 일괄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디오편집시의 사용상의 편리함이 대폭으로 향상한다. 이 싱크로에디트신호는 영상 및 음성신호전송중에 컨트롤신호(CTL)로서 동시에 전송하면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신호로의 컨트롤신호(CTL)의 부가를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을 스테이션(457)에 탑재해서 사용하는 근접전송시에만 한정하는 것에 의해 다른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했지만,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을 스테이션(457)에서 분링해서 전송하는 공간전송시에 적외선신호에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기기의 오동작을 극력 방지하기 위해 싱크로에디트신호는 부가하지 않고 AV버스케이블기능만을 부가한다. 또, 이 AV버스케이블기능은 LED발광개시시 및 LED발광정지시에 적외선신호에 부가해서 전송하면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을 스테이션(457)에서 분리해서 전송하는 공간전송시에 전지의 소모를 극력 억제하기 위해 자기테이프에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만 LED가 자동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했지만, 카메라/VTR전환신호가 VTR인 경우에는 항상 동작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다음에, 제33도에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과 스테이션(457)의 접속확인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접속확인의 타이밍을 제34도에 도시한다.
다음에 비디오카메라와 스테이션의 연결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5도~제38도에 있어서, 제28도,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5도는 상기 실시예의 블럭도, 제36도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과 스테이션(457)의 사용설명 외관도, 제37도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과 스테이션(457)을 결합한 주요부 단면도, 제38도는 제37도의 좌측면 주요부 단면도이다.
제35도에 있어서, (480)은 적외LED를 구동하기 위한 LED드라이버, (481)은 영상, 음성 이외의 제어데이타를 적외광에 의해 리모콘의 의해 리모콘의 신호형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변환 마이컴(마이크로컴퓨터),(482)는 전지와 외부DC전원을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 (483)은 전지충전을 위한 전환스위치, (484)는 전지, (485)는 전지충전을 위한 전원입력단자, (486)은 외부DC전원입력단자, (487)은 전지충전시의 온도데이타를 출력하는 단자, (488)은 접지단자, (489)는 카메라포트측의 접지단자, (490)은 카메라포트측의 전지온도데이타 입력단자, (491)은 외부DC전원 출력단자, (492)는 전지충전전원 출력단자, (493)은 전지충전전류전환용 스위치, (494)(495)는 전지충전전류 전환용의 전항, (496)은 전지충전개시스위치, (497)은 전류검출회로, (498)은 외부DC전원 및 전지충전전용 스위칭레귤레이터, (499)는 광전송된 제어데이타 해석용 마이컴,(500)은 출력논리레벨 변환회로, (501)은 음성신호 출력드라이버(502)는 영상신호 출력드라이버, (503)은 S출력단자, (504)는 합성신호 출력단자, (505), (506)은 음성출력단자, (507)은 싱크로에디트신호 출력단자, (508)은 AV기기 제어신호 출력단자, (511),(512)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과 스테이션(457)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면이고, 접속면(511)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고, 접속면(512)는 스테이션(457)에 배치되어 있다.
우선,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으로의 스테이션(457)로부터의 전력공급에 대해서 설명한다.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이 스테이션(457)에 접속면(511)에 의해 접속되면 충전/급전 전환단자(514)가 스위치(482),(483)을 외부 및 충전측으로 전환하고, 단자(491)에서 단자(486)을 통해서 외부DC전원이 공급된다. 또, 단자(492)에서 단자(485)를 통해서 전지충전전원이 공급된다. 이 때, 전지충전 전원은 전류검출회로(497)에 의해 외부DC전원이 사용되고 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즉 외부DC전원을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공급하도록 스위치(496)에 의해 제어된다. 전지충전시에는 전지단자전압 및 전지온도에 의해 스위치(493)을 제어해서 충전전류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스위치(482),(483)의 전환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방법 이외에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이 스테이션(457)고 접속면(511),(512)에 의해 접속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이나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등 여러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제36도에 있어서, 스테이션(457)에는 카드리모콤(210)의 인출 및 삽입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테이션(457)에는 카드리모콘의 일부의 기능이 카메라컨트롤패널(516)으로서 매립되어 있고, 리모콘LED(513)에서 방사된 광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의 리모콘센서(519)에서 수광된다. 스테이션(457)에는 또 전원램프(517), 충전램프(518)이 표시등으로서 설치되어 있고, 스테이션(457)의 통전상태 및 전지(484)의 충전상태를 표시한다. 카메라끼워맞춤부(509)에는 핀형상의 단자(489),(490),(491),(492),(514)가 수직으로 마련되고, 광접속 수광창(515), 리모콘LED(513)이 마련되어 있다.
제37도에 있어서,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이 스테이션(457)의 카메라끼워맞춤부(509)에 설치되면, 핀형상의 단자(489),(490),(491),(492)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 내부에서 각각 단자(488),(487),(486),(485)에 자(雌), 웅(雄)의 관계로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단자(514)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 내부에서 전환스위치(482),(483),(5 22)(후술)와 당접해서 전환스위치(482),(483),(522)를 전환한다. 리모콘LED(513)에서 출사된 적외광은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 내부에서 리모콘센서(519)에 의해 수광된다. 스테이션(457) 내부에는 외부DC전원 및 전지충전 전원용 스위칭레귤레이터(498)이 설치되어 있다.
제38도에 있어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436)은 광접속 광출사창(520) 및 스테이션(457)측의 광접속 광입사창(515)를 통해서 포토다이오드(437)로 입사한다.
또, 스테이션(457)은 상부에 깔때기형상의 카메라끼워맞춤부(509)를 갖는다. 카메라끼워맞춤부(509)는 컴팩트비디오카메라(456)의 바닥면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컴팩트비다오카메라(456)을 스테이션(457)에 위치결정한다. 이것에 의해서 접속면(511) 및 (512)가 위치맞춤된다.
이 실시에의 비디오카메라에서는 2차전지 외에 1차전지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3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전지(521)과 2차전지(487)은 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케이스(14)내에 1차전지(521)용의 제1 리이드단자(546)과 2차 전지용의 제2 리이드단자(545)가 마련된다. 각 리이드단자(545),(546)은 전원스위치 등을 거쳐서 모터 등의 비디오카메라의 부하에 연결된다. 제2 리이드단자(545)는 또 전환스위치를 거쳐서 스테이션의 급전선에도 연결된다.
제40도에는 1차전지와 2차전지를 병용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을 도시한다. 제35도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것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이들 설명을 부분적으로 생략한다. 도면에는 1차전지(521)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1차전지(521)은 잘라냄부(526)을 제외하고 2차전지(486)과 동일한 형상의 어댑터(525)에 수납되어 있다. 이 어댑터(525)를 케이스(14)에 삽입하여 장착하면 스위치(527)의 가동부가 상기 잘라냄부(526)으로 들어가서 충전이 불가능하게 한다. 한편, 2차전지(486)을 삽입하여 장착했을 때에는 2차전지(486)의 그 자신이 스위치(527)의 가동부를 눌러서 스위치(527)을 온으로 하고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키메라(456)을 스테이션(457)에 세트하면 스테이션(457)의 상면의 블록형상단자(514)는 카메라(456)의 바닥면의 받이구멍(528)을 관통해서 스위치(483)의 가동부를 충전측으로 밀어올린다.
상기 잘라냄부(526)은 어댑터(525)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1도, 제42도에 조작모드전환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41도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제42도는 녹화스위치(4)를 누르는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도의 실시예에서 기술한 촬상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스위치(6)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녹화스위치(4)의 누르는 타이밍에 따라서 촬영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의 컴팩트오키메라(1)에서는 표준촬영모드로서 져스트모드(순간촬영모드)를 채용한다. 카메라전원(44)가 온되어 전원이 들어가고 녹화스위치(4)가 한번 눌려지면 녹화가 개시된다.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뷰파인더(12)내에 카운트다운표시하고 소정시간(T1)이 종료하면 녹화를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토글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소정시간(T1)내에 녹화스위치(4)를 2번 누른다(녹화개시시에 연속으로 2번 눌러도 좋다). 소정시간(T1)내에 2번 눌려진 것을 시스템마이컴(도시하지 않음)이 검출해서 T1시간의 제한을 없애고 녹화를 계속하고, 재차 녹화스위치(4)가 눌려져(T2시간) 녹화를 종료한다. 또, 노말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녹화스위치(4)를 계속 누른다. T1시간을 초과해서 녹화스위치(4)가 온(Hi)인 동안에는 T1시간의 제한을 없애고 녹화를 계속하며, 녹화스위치(4)가 오프(Lo)로 되어 녹화를 종료한다. 도면중에 기재는 없지만 또 녹화스위치를 한번 눌러서 져스트모드로 들어가고 도중에 촬영을 연장하려고 생각해서 T1시간내에 녹화스위치를 누르기 시작하여 T1시간을 초과해서 계속 누르면 계속 누르고 있는 동안 녹화가 계속되도록 해도 좋다. 즉, T1시간일 때 녹화스위치가 온(Hi)로 되어 있으면 노말모드로 판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T1시간 이하의 짧은 촬영은 할 수 없다. 그러나, 비디오카메라의 촬영에 있어서는 내용의 이해를 위해 5sce 이상의 촬영이 기본동작이므로, T1시간을 5sec로 하면 시간이 너무짧아 내용 불명의 촬영으로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에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4)

  1. 비디오카메라,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 및 텔레비전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부,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상기 전기 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환하여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변환수단 및 VTR카메라의 재생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전기 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합성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발생하는 변환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합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및 출력된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접속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텔레비전은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수단 및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변환하고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텔레비전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2. 비디오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화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제2 광신호를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복조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제1 광신호를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복조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신호를 변환하는 상기 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VTR 이 재생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2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의 동작은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2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의 동작은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서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변환수단중의 한쪽의 동작은 상기 파워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변환수단중의 한쪽의 동작은 상기 파워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8. 비디오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록재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환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1 광신호와 제2 광신호를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1 전기 신호를 복조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제2 광신호를 제2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복조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신호를 변환하는 상기 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2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상기 비디오카메라를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의 동작은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된 것을 상기 검출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9. 비디오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환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사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제1 광신호에 제2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제1 광신호를 제1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2 전기 신호를 복조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신호를 변환하는 상기 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전기영상신호,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서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검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광변환수단 또는 제2 광변환수단의 동작은 상기 파워검출수단으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10.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환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공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카메라.
  11.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로 재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 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환수단, 상기 변조 전기영상신호, 상기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카메라가 접속되는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상기 비디오카메라시스템을 접속하는 수단과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접속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의 상기 제1 광변환수단의 동작은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된 것을 상기 접속검출수단이 검출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스테이션.
  12.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각각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VTR,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분리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1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1 광변환수단, 상기 변조된 전기영상신호, 상기 전기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와 접속된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으로 발사되는 제2 광신호로 변환하는 제2 광변환수단 및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지 않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1 광변화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가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접속되는 경우 동작될 상기 제2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카메라가 접속되는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비디오카메라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파워검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변환수단중의 한쪽의 동작은 상기 파워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중지되는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
  13. 비디오카메라 및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부,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조하는 수단, 상기 변조된 상기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환하여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변환수단 및 비디오카메라의 재생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광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환 후, 상기 전기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처리해서 합성신호와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변환수단, 상기 변환수단에 응답해서 상기 합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및 출력된 상기 합성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접속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접속코드를 거쳐서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14. 비디오카메라 및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전기영상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부, 상기 전기영상신호와 상기 전기음성신호를 변환하여 광신호를 발생하는 광변환수단 및 비디오카메라의 재생시에 작동하도록 상기 광변환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전기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처리해서 S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단 및 출력된 상기 S신호와 상기 음성신호를 전송하는 접속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카메라스테이션은 상기 접속코드를 거쳐서 전기영상신호와 전기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장치와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비디오카메라시스템.
KR1019930003090A 1992-03-12 1993-03-03 비디오카메라 KR0180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80092 1992-03-12
JP92-053800 1992-03-12
JP9269092 1992-04-13
JP92-092690 1992-04-13
JP22971892 1992-08-28
JP92-229718 1992-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61A KR930020961A (ko) 1993-10-20
KR0180541B1 true KR0180541B1 (ko) 1999-05-01

Family

ID=1295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090A KR0180541B1 (ko) 1992-03-12 1993-03-03 비디오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5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961A (ko) 199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5919A (en) Video camera/VTR and camera station with opto-electronic link between camera/VTR and camera station
US5161025A (en) Optical/electrical view finder
US5424772A (en) Mode changing device for still video camera and still video camera used therewith
US8675121B2 (en) Camera and camera system
US5179478A (en) Electronic still camera attachment for a single-lens relex camera recording an image of the focusing for plate through the viewfinder
US4330797A (en) View-finder for television camera
JPH06507530A (ja) 従来型フィルム式カメラを電子モード操作で使用するための装置
JP4040638B2 (ja) 撮像装置
US8379135B2 (en) Zoom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focus cam for converting rotation amounts into focus lens group movement
KR0180541B1 (ko) 비디오카메라
US8123418B2 (en) Imaging device
JPH06245114A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の撮像状態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181533A (ja) コンパクトビデオカメラ,光学システム,電子ズーム付きビデオカメラ用レンズ及びコンパクト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JP3911637B2 (ja) カメラ
JP3755610B2 (ja) カメラ
JP3755611B2 (ja) カメラ
JPH11125852A (ja) 撮像装置
JPH05158126A (ja) カメラ
KR100228666B1 (ko) 사진카메라 일체화 비데오카메라
JPH0568914B2 (ko)
JP2852223B2 (ja)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2852224B2 (ja)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1138471A (ja) カメラ
JP4194542B2 (ja) 撮像装置
JP3218781B2 (ja) 光学ファイ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