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013B1 - 자주식 파쇄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파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013B1
KR0167013B1 KR1019950703464A KR19950703464A KR0167013B1 KR 0167013 B1 KR0167013 B1 KR 0167013B1 KR 1019950703464 A KR1019950703464 A KR 1019950703464A KR 19950703464 A KR19950703464 A KR 19950703464A KR 0167013 B1 KR0167013 B1 KR 016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pressure
self
bottom plat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818A (ko
Inventor
유끼오 다무라
사또루 고야나기
야스따까 니시다
도루 나까야마
마사호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안자끼 사또루
고마쓰 세사큐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0751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5341U/ja
Priority claimed from JP03822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66947B2/ja
Application filed by 안자끼 사또루, 고마쓰 세사큐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자끼 사또루
Publication of KR96070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원은 바닥판과 파쇄기와의 사이에 피파쇄물이 막혀서 록크된 때 그 록크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호퍼의 바닥판을 왕복 운동하는 피더용 유압 모터(54)와 상기 피더용 유압 모터(54)의 제 1 및 제 2 포트(54a, 54b)에 유압펌프의 토출압유를 공급하는 피더용 밸브(50)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용 밸브(50)를 제 1 솔레노이드(55)에 통전하면 제 1 위치(B), 제 2 솔레노이드(55, 56)에 통전하면 제 2 위치(C)로 되게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55, 56)에 통전하는 키프릴레이(59)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트(54a, 54b)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온(ON)하는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57, 58)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57, 58)와 키프 릴레이(keep relay ; 59)를 제 1 또는 제 2 압력 스위치(57, 58)가 온(ON)하면 통전하는 제 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55, 56)가 역으로 되게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주식 파쇄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건물 철거 현장 등에서 콘크리트 부스러기 등의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자주식 파쇄기(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파쇄물의 파쇄기로의 공급량 제어 기구를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파쇄기에 피파쇄물을 공급하는 호퍼(hopper)로의 피파쇄물 공급량 제어 기능을 구비한 자주식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자주식 파쇄기로선 일본 실개소 64-32744 호 공보 및 특개소 63-77553 호 공보에 기재되나 좌우 1 쌍의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 위에 호퍼와 파쇄기와 구동장치를 부착하고 차체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1쌍의 주행체(traveling bodies)간에 배출 콘베이어를 상하이동(raised up and falling down)이 자유롭게 부착한 것이 있다.
이러한 자주식 파쇄기는 크롤러(crawler) 또는 차륜을 회전구동 함으로써 자체 이동할 수 있고 피더(feeder)를 거쳐서 호퍼 내에 투입한 콘크리트 부스러기 등의 피파쇄물을 파쇄기로 세밀하게 파쇄하고 그 파쇄면을 배출 콘베이어에 의해서 차체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일본 실개소 64-32744 호 공보에 기재된 자주식 파쇄기는 피파쇄물을 호퍼에 투입하고 피파쇄물을 그 호퍼로부터 파쇄기에 직접 낙하시키는 것이며 피파쇄물은 그 자중에 의해서 호퍼를 따라서 낙하하므로 피파쇄물의 자중(own weight)이나 호퍼내 투입량에 의해서 파쇄기에 이동되는 단위 시간당의 양이 변화되고, 그 결과 파쇄기에 의해서 안정된 파쇄를 할 수 없고 호퍼 내에 피파쇄물이 막힌 파쇄기에 이승할 수 없는 수가 있다.
또, 예컨대 일본 특개소 60-139347 호 공보에 기재된 파쇄기에 피파쇄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피더를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일본 특개소 60-139347 호 공보엔 빗살상의 판자(comblike plate)를 경사로 상하로 요동해서 호퍼 내에 투입한 피반송물의 크기를 선택하고 파쇄기에 공급하는 피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같은 피드는 피반송물의 크기를 선별할 수 있는데 공급량을 콘트롤할 수 없고 파쇄기에 의한 파쇄 능력 이상의 양을 공급해서 파쇄기에 의한 파쇄의 능률이 저하되거나 파쇄기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일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피파쇄물의 파쇄기로의 공급량 제어에 있어서의 피파쇄물의 막힘에 의한 바닥판의 록킹(locking)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자주식 폐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구성에 의하면 좌우 1쌍의 주행체(traveling bodies)를 구비한 차체 위에 파쇄기, 호퍼를 부착하고 상기 차체의 좌우 1 쌍의 주행체간에 배출 콘베이어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홀더의 바닥판을 파쇄기의 투입구로 향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과 회전 구동되는 회전원판을 연결봉으로 연결해서 원판의 회전에 의해서 바닥판이 왕복 운동하게 하고,
상기 원판을 회전하는 피더용 유압 모터의 제 1 및 제 2 포트에 유압 펌프의 토출유를 피더용 밸브로 공급하게 하고,
상기 피더용 밸브를 제 1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1 위치와 제 2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2 위치에 전환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에 전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더용 밸브를 제 1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1 위치,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2 위치로 되게 하고 상기 제 1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키프 릴레이(keep relay)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트의 압력의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온(ON)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와 키프 릴레이를 그 제 1 또는 제 2 압력 스위치가 온 하면 통전하는 제 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 역(逆)이 되게 접속한다.
상기 회전 원판과 상기 연결봉과의 접속 위치를 상기 회전 원판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가변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스트로크를 변화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의 피파쇄물의 이송방향의 후단부에 바닥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제 2 구성에 의하면 주행장치를 구비하고 자주식 주행 가능한 차체를, 상기 차체에 얹히고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피파쇄물을 상기 파쇄기에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파쇄기와 상기 호퍼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호퍼와 상기 파쇄기 사이의 피파쇄물 공급 통로에 대해서 왕복 운동하고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피파쇄물을 파쇄기에 순차 투입하는 투입 수단과,
상기 피파쇄물 투입 수단의 왕복 운동 중에 있어서의 록크 상태를 검출해서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 모드를 통상의 피파쇄물 투입 모드에서 록크상태 해제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구동제어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록크 상태 해제 모드의 동작 중에 록크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출하고 구동 수단의 동작 모드를 록크 상태 해제된 것을 검출하고 구동 수단의 동작 모드를 록크 상태 해제 모드에서 상기 피파쇄물 투입 모드로 자동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 포트를 구비한 유압 모터로 구성되며 유압원에서 상기 제 1 유압 공급 포트로의 유압 공급에 의해 정전 방향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피파쇄물 투입모드로 동작하고 유입원에서 상기 제 2 유입 공급포트로의 유압 공급에 의해서 역전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록크 해제 모드로 동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유압원과 상기 제 1 유압 공급 포트로의 유압 공급로에 배열 설치된 압력 검출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유압이 소정압을 넘어섰을 때, 유압의 공급 포트를 제 1 유압 공급 포트에서 제 2 유압 공급 포트로 전환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 모드를 상기 피파쇄물 투입 모드에서 상기 록크 해제 모드로 전환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엔 상기 유압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바닥판에 전달하는 링크 수단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부재와 일단을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오프 세트한 위치에 접속되며 타단을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링크 부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링크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접속점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오프세트량을 가변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의 왕복 운동 스트로크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피파쇄물의 반송방향 후단에 단 부착 돌출부를 갖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주식 파쇄기에는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배출 콘베이어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구성에 의하면 주행장치를 구비한 자체 위에 운전석과 호퍼와 그 호퍼에 연결된 파쇄기와 동력원을 부착해서 이루어진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를 차체의 전후방향의 중간부에 두고 상기 파쇄기의 앞부분에 상기 호퍼를 상기 파쇄기의 후부에 상기 동력원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의 일측방에 상기 운전석을 상기 파쇄기의 다른 측방에 파쇄기용 모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을 파쇄기의 투입구로 향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과 회전 운동되는 회전원판을 연결봉으로 연결해서 원판의 회전에 의해서 바닥판이 왕복 운동하게 하고,
상기 원판을 회전하는 피더용 유압 모터의 제 1 및 제 2 포트에 유압 펌프의 토출유를 피더용 밸브로 공급토록 하고 그 피더용 밸브를 제 1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1 위치와 제 2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2 위치에 전환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가 제공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하는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발명을 특정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만 설명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자 기재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최적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의 평면도.
제4도는 배출 콘베이어 부분의 상세 측면도.
제5도는 호퍼 부분의 상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호퍼 바닥판을 구동하기 위해 채용된 유압계통을 도시하는 유압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호퍼 바닥을 구동하는 유압 계통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의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채용되는 피더 요부의 확대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하는 피더의 일부 파단 평면도.
제10도는 피드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양호한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한 자주식 파쇄기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출원인이 소유하는 1994년 9월 14일 출원의 PCT/JP 93/01312호 및 1994년 9월 14일 출원의 PCT/JP 93/01313 호의 기재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일부 채용하였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하부 좌우 양측엔 가로 부재(2)를 거쳐서 좌우 1쌍의 트랙 프레임(3)이 부착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3)엔 유압 모터(17)와 그 유압 모터(17)로 구동되는 스프로켓(sprocket ; 4)과 아이 들러(idler ; 5)가 부착되어 있다. 스프로켓(4)과 아이 들러(5)에 걸쳐서 벨트(6)가 감아 걸어져서 벨트 식의 주행기구(7)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1쌍의 주행기구(7)가 주행장치(19)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벨트 식의 주행장치(10)를 채용하고 있는 데 예컨대 차륜식의 주행장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체(1) 위에는 호퍼(11)와 유압 구동식 파쇄기(8)와 밸브군(9)을 구비한 유압 계통을 갖고 있다. 또한, 차체엔 유압 계통의 구동원으로서 엔진(10)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차체(1)에 있어서의 파쇄기(8)의 일 측면(8a)으로부터 일측방으로 돌출한 부분은 손잡이(12)가 부착되어서 작업자 탑승바닥(13)으로 되어 있다. 작업자 탑승 바닥(13)에는 좌우 1쌍의 주행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작업자 탑승 바닥(13)과 같은 쪽에 설치된 커버(40) 상부엔 상기 밸브군(9)을 조작해서 호퍼(11) 및 파쇄기(8)를 제어하는 조작 레버(1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 1쌍의 주행기구(7) 사이에는 배출 콘베이어(16)가 상하 요동이 자유롭게 배열 설치되고 배출 콘베이어(16)의 반입측(16a)을 상기 파쇄기(8)의 배출구 아래쪽에 위치하고 배출측(16b)은 주행기구(7) 및 차체(1)보다 앞쪽으로 돌출 되어 있다.
다음에 각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호퍼(11)는 제5도에 도시하듯이 차체(1)에 부착한 받침대(30)에 지지되고 있다. 호퍼(11)의 바닥판(31)은 받침대(30)의 위쪽에 받쳐진 가이드 롤러(30a)에 지지되며 파쇄기(8)의 투입구(8b)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바닥판(31)의 투입구(8b)로부터 먼 쪽의 단부엔 브래킷(31a)이 하향으로 돌출 되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31a)은 이것에 삽입 관통하는 핀(32)에 의해 연결봉(33)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다. 연결봉(33)의 타단은 핀(35)에 의해 회전원판(34)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원판(34)은 유압 모터(3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듯이 회전원판(34)에 핀(35)의 심어 설치하는 구멍(35a)을 복수개 형성하는 동시에 각 심어설치하는 구멍(35a)의 방사 방향위치, 회전 중심에서의 오프세트량을 각각 변화시킴으로서 바닥판(31)의 수평방향 스트로크를 변화시킴으로서 바닥판(31)의 수평방향 스트로크를 변화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0도에 도시하듯이 바닥판(31)의 윗변에 있어서의 이동방향 후부에 단부(31b)를 형성하고 피반송물을 단부(31b)로 누르고 공급 측에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고 피반송물과 바닥판(31)의 상부 면과의 사이에 미끄럼을 방지하고 피반송물을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회전원판(34)이 회전하면 연결봉(33)을 거쳐서 바닥판(31)이 가이드롤러(30a)에 안내되어서 회전원판(34)과 연결봉(33)도 접속위치의 회전원판의 회전중심에 대한 오프세트량에 따른 스트로크로 왕복 운동한다. 바닥판(31)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바닥판(31)위의 피파쇄물엔 관성력이 작용하며 이 관성력과 후속의 피파쇄물의 중량에 의해 피파쇄물은 반송방향으로 연동 이동해서 최종적으로 파쇄기(8)의 투입구(8b)에 투입된다.
상기 파쇄기(8)의 구동축(20)은 제3도에 도시하듯이 그 일단부에는 일 측면(8a)으로부터 돌출해서 플라이휠(41)이 설치되며 타단부는 타측면(8c)으로부터 돌출해서 플리(21), 벨트(22), 플리(23)를 거쳐서 유압 모터(24)로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플라이휠(41)은 상술한 한 측의 커버(40)로 에워싸이고 폴리(21), 벨트(22), 플리(23)는 타측의 커버(42)로 에워싸여 있다.
상기 배출 콘베이어(16)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하듯이 프레임(25)에 구동 플리(26)의 중동 플리(2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플리(26)와 종동 플리(27) 사이에는 벨트(28)가 감아 걸어지며 구동 플리(26)를 유압 모터(29)로 구동함으로서 벨트가 구동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25)에는 V 자 상의 벨트가이드(30')가 설치되어서 벨트(28)가 V 자 상으로 되게 하고 있다. 또, 그 프레임(25)에 고착된 지지편(31)이 차체(1)에 부착한 브래킷(32')에 핀(33')으로 상하 운동이 자유롭게 받쳐지며 상기 프레임(25)에 부착한 수용피스(receiving piece ; 34')와 차체(1)와의 사이가 턴 버클(turnbuckle), 로드,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있으며 그 연결부재의 길이를 바꿈으로서 배출콘베이어(16)는 상향경사자세와 수평자세와의 사이에서 상승하강(raised up and falling down)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파쇄물을 호퍼(11)내에 투입하면 바닥판(31)이 피파쇄물을 일단 받을 후 그 바닥판(31)의 왕복 운동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기(8)의 투입구(8b)에 보내들이고 낙하시킨다. 그 결과 피파쇄물의 자중이나 호퍼내 투입량이 바뀌어도 파쇄기(8)에 단위 시간당 거의 동일 량의 피파쇄물을 이송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파쇄기(8)에 의해서 한정된 파쇄를 할 수 있고 호퍼(11)내에 피파쇄물이 막히는 일이 없다.
다음에 상기 각 유압 모터를 제어하는 유압 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에 도시하듯이 엔진(10)에 의해 제 1 및 네 2 주유압 펌프(41, 42)와 제 1 및 제 2 보조 유압 펌프(43, 44)가 구동되고 제 1 및 제 2 유압펌프(41', 42')의 토출압유는 좌우 주행용 밸브(45, 46)로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47, 48)에 공급되는 동시에 피파쇄기용 밸브(49)로 파쇄기용 유압모터(24)에 공급되며 상기 좌우주행용 밸브(45, 46)는 상기 좌우 1쌍의 주행 레버(14)에 의해 작동되는 파일롯 밸브에서의 파일롯 압유를 전환할 수 있고 상기 파쇄기용 밸브(49)는 조작 레버(15)에 의해서 전환된다.
상기 제 1 보조 유압 펌프(43)의 토출로(43a)는 피더용 밸브(50)로 제 1 및 제 2 회로(51, 52)에 접속 제어되며 그 제1 및 제2 회로(51, 52)는 카운터 밸런스 밸브(53)를 거쳐서 피더용 유압 모터(54)의 제 1 및 제 2 포트(53a, 54b)에 접속되며 이 피더용 밸브(50)는 중립 위치 A에 유지되며 제 1 솔레노이드(55)에 통전되면 제 1 위치 B로 되며 제 2 솔레노이드(56)에 통전되면 제 2 위치 C로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51, 52)에는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57, 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보조 유압 펌프(44)는 콘베이어용 밸브(64)로 콘베이어용 유압 모터(29)에 공급된다.
제7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55, 56)는 키프 릴레이(59)와 주 스위치(60)를 거쳐서 전원에 접속하고 그 키프 릴레이(59)는 리세터 코일(61)에 통전하면 접촉편(59)이 제 1 단자(59b)에 접속되고 세트코일(62)에 통전하면 접촉편(59a)이 제 2 단자(59c)에 접속되고 또한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 1 단자(59b)가 제 1 솔레노이드(55)에 접속되고 제 2 단자(59c)가 제 2 솔레노이드(56)에 접속되고 이것은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55, 56)는 비상 정지 스위치(63)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파쇄기(8)에 피파쇄물을 이송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주 스위치(60)를 온 하면 제 1 솔레노이드(55)에 통전되어서 피더용 밸브(50)가 제 1 위치 B로 되며 피더용 유압 모터(54)의 제 1 포트(54a)에 압유가 공급되어서 일 방향, 예컨대 정전 구동한다.
이것에 의해 연결봉(33)을 거쳐서 호퍼(11)의 바닥판(31)이 소정 스트로크로 왕복동작해서 파쇄기(8)에 피파쇄물을 투입한다.
이 상태에서 바닥판(31)이 정방향 이동할 때 파쇄기(8)와 바닥판(31)의 사이에 피파쇄물이 막혀서 록크하면 제 1 보조 유압 펌프(43)의 토출압이 상승해서 제 1 회로(51)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제 1 압력 스위치(57)가 온 한다.
이것에 의해 세트코일(62)에 통전해서 접촉편(59a)이 제 2 단자(59c)에 접속해서 제 2 코일(56)에 통전되며 피더용 밸브(50)가 제 2 위치 C로 되어서 피더용 유압 모터(54)의 제 2 포트(54b)에 압유가 공급되어서 다른 방향(역전)으로 회전하므로 바닥판(31)은 복귀동작해서 록크가 해제되며 바닥판(31)이 다시 정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의 상태에서 주 스위치(60)를 오프(OFF)하고 제 2 솔레노이드(56)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상술된 상태에서 주 스위치(60)를 오프하지 않으면 바닥판(31)은 다시 정방향으로 이동해서 피파쇄물에 충돌해서 록크하므로 제 2 회로(52)내의 압력이 상승해서 제 2 스위치(58)가 온하고 그것에 의해 리세트 코일(61)에 통전해서 접촉편(59a)이 제 1 접점(59b)에 접속하므로 제 1 코일(55)에 통전되어서 피더용 밸브(50)가 제 1 위치 B로 되어서 피더용 유압 모터(54)가 일 방향(정전)으로 회전해서 바닥판(31)이 다시 복귀동작해서 록크가 해제된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큰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다.
상기 각 유압 모터의 유압 회로를 제6도에 도시하듯이 구성했으므로 다음의 이점을 갖는다.
주행과 파쇄기를 동시 조작하는 일은 없으므로 제 1 제 2 주유압 펌프(41', 42')의 토출유로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47, 48)와 파쇄기용 유압 모터(24)를 구동토록 하고 피더용 유압 모터(54)와 콘베이어용 유압 모터(29)에는 제 1 및 제 2 보조 유압 펌프(43, 44)의 토출압유를 각각 공급토록 했으므로 각각의 유압 모터의 회전수를 독립해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 1 보조 유압 펌프(43)의 토출로(43a)에 유량 제어 밸브(6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더용 유압 모터(54)로의 공급 유량을 임의로 콘트롤하고 파쇄기용 유압 모터(24)와의 회전수차를 임으로 설정해서 피파쇄물의 공급량과 파쇄기 능력을 매칭시킬수 있다. 바닥판(31)과 파쇄기(8)와의 사이에 피파쇄물이 막혀서 록크한 때 피더용 유압 모터(54)가 역전해서 록크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 브레이크 등을 써서 막힌 피파쇄물을 파쇄할 필요가 없어지며 록크 해제 조작이 간단해진다. 피드 플레이트(3)를 왕복 운동함으로서 호퍼(2)내에 투입한 피반송물을 그 왕복운동의 스트로크에 적당한 양만큼 떨어뜨려 공급할 수 있다. 유압 모터(5)를 이용해서 피드 플레이트(3)를 왕복 운동하므로 그 유압 모터(5)와 유압 펌프를 접속하는 회로에 설치한 릴리프 밸브에 의해서 유압 모터(5)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출구 측에서 피반송물이 막혀도 피드 플레이트(3)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도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수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기재된 실시예에 관해서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이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 있어서는 자명한 사실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좌우 1쌍의 주행체를 구비한 차체 위에 파쇄기, 호퍼를 부착하고 상기 차체의 좌우 1쌍의 주행체 사이에 배출 콘베이어를 배열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을 파쇄기의 투입구로 향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과 회전 구동되는 회전원판을 연결봉으로 연결하고 원판의 회전에 의해서 바닥판이 왕복 운동하게 하고, 상기 원판을 회전하는 피더용 유압 모터의 제 1 및 제 2 포트에 유압 펌프의 토출유를 피더용 밸브로 공급토록 하고, 상기 피더용 밸브를 제 1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1 위치와 제 2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2 위치로 전환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이 되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더용 밸브를 제 1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1 위치,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2 위치가 되게 하고,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키프 릴레이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되면 온 하는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와 키프 릴레이를 제 1 또는 제 2 압력 스위치가 온 하면 통전하는 제 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 역이 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연결봉과의 접속위치를 상기 회전원판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가변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스트로크를 변화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피파쇄물의 이동 방향의 후단부에 바닥판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 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5. 주행장치를 구비하고 자주식으로 주행 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에 얹히고 피파쇄물을 분쇄하는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의 위쪽에 설치되고 피파쇄물을 상기 파쇄기에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파쇄기와 상기 호퍼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호퍼와 상기 파쇄기 사이의 피파쇄물 공급 통로에 대해서 왕복운동하고 상기 호퍼에서 공급되는 피파쇄물을 파쇄기에 순차 투입하는 피파쇄물 투입수단과, 상기 피파쇄물 투입 수단을 구동해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과, 상기 피파쇄물 투입 수단의 왕복 운동 중에 있어서의 록크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 모드를 통상의 피파쇄물 투입모드에서 록크 상태 해제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구동 제어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록크상태 해제 모드의 동작 중에 록크 상태가 해제된 것을 검출하고 구동수단의 동작 모드를 록크 상태 해제 모드에서 상기 피파쇄물 투입 모드로 자동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제 1 및 제 2 유압 공급 포트를 구비한 유압 모터로 구성되며 유압원에서 상기 제 1 유압 공급 포트로의 유압 공급에 의해서 정전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상기 피파쇄물 투입 모드로 동작하고 유압원에서 상기 제 2 유압 공급 포트로의 유압 공급에 의해서 역전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록크 해제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유압원과 상기 제 1 유압 공급 포트로의 유압 공급로에 배열 설치된 압력 검출 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압력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유압이 소정 압력을 넘었을 때 유압의 공급 포트를 제 1 유압 공급 포트에서 제 2 유압 공급 포트로 전환해서 상기 구동수단의 동작 모드를 상기 피파쇄물 투입 모드에서 상기 록크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유압 모터의 회전 구동력을 직선 운동력으로 변환해서 상기 바닥판에 전달하는 링크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유압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회전부재와 일단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오프 세트된 위치에 접속되며 타단을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방향의 일단에 접속된 링크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접속 점의 상기 회전 중심에 대한 오프 세트 량을 가변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스트로크를 가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피파쇄물의 반송방향 후단에 단 부착 돌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하 이동(raised up and falling down)이 자유로운 배출 콘베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4. 주행장치를 구비한 차체 취에 운전석과 호퍼와 그 호퍼에 연결된 파쇄기와 동력원을 부착해서 이루어진 자주식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를 차체의 전후방향의 중간 부에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의 앞부분에 상기 호퍼를 상기 파쇄기의 후부분에 상기 동력원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파쇄기의 한쪽에 상기 운전석을 상기 파쇄기의 다른 쪽에 파쇄기용 모터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을 파쇄기의 투입구로 향해서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과 회전 구동되는 회전원판을 연결봉으로 연결해서 원판의 회전에 의해서 바닥판이 왕복운동을 하게 하고, 상기 원판을 회전하는 피더용 유압 모터의 제 1 및 제 2 포트에 유압 펌프의 토출유를 피더용 밸브로 공급토록 하고, 상기 피더용 밸브를 제 1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1 위치와 제 2 포트에 압유를 공급하는 제 2 위치로 전환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이 되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전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피더용 밸브를 제 1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1 위치,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면 제 2 위치가 되게 하고, 상기 제 1 제 2 솔레노이드에 통전하는 키프 릴레이와 상기 제 1 및 제 2 포트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이 되면 온하는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 1 및 제 2 압력 스위치와 키프 릴레이를 제 1 또는 제 2 압력 스위치가 온 하면 통전하는 제 1 또는 제 2 솔레노이드 역이 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과 상기 연결봉과의 접속위치를 상기 회전 원판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가변으로 하고 상기 바닥판의 왕복운동 스트로크를 변화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가 좌우 1쌍의 주행기구로 이루어지며 그 조우 1쌍의 주행기구 사이에 배출 콘베이어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 콘베이어의 일부를 상기 동력원과 반대측으로부터 차체 및 상기 주행장치의 외부에 돌출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콘베이어가 상하 이동(raised up and falling down)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파쇄기.
KR1019950703464A 1993-02-26 1994-02-24 자주식 파쇄기 KR0167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7513U JPH0665341U (ja) 1993-02-26 1993-02-26 フィーダ
JP93-38229 1993-02-26
JP93-7513 1993-02-26
JP03822993A JP3166947B2 (ja) 1993-02-26 1993-02-26 自走式破砕機械
PCT/JP1994/000298 WO1994019107A1 (en) 1993-02-26 1994-02-24 Mobile cru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818A KR960700818A (ko) 1996-02-24
KR0167013B1 true KR0167013B1 (ko) 1999-01-15

Family

ID=2634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464A KR0167013B1 (ko) 1993-02-26 1994-02-24 자주식 파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0004A (ko)
EP (1) EP0685264B1 (ko)
KR (1) KR0167013B1 (ko)
DE (1) DE69421904T2 (ko)
WO (1) WO1994019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703676A (ko) * 1993-08-13 1996-08-31 안자키 사토루 자동 주행 분쇄기계(Self-advancing crushing machine)
JP2777773B2 (ja) * 1993-10-25 1998-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
US5762446A (en) * 1994-01-07 1998-06-09 Manatts Inc. Methods & means for on-roadway recycling of pavement and recovering steels therefrom
JP3449643B2 (ja) * 1994-07-20 2003-09-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破砕機械の破砕機制御装置
KR0167853B1 (ko) * 1995-01-23 1999-01-15 안자키 사토루 이동식 크러셔 및 크러셔의 제어방법
JP3646812B2 (ja) * 1995-05-02 2005-05-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式破砕機の制御回路
JP2867235B2 (ja) * 1996-01-12 1999-03-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土質改良機
US5911373A (en) * 1996-08-21 1999-06-15 Reid; Donald W. Self-propelled rock crushing machine
US6332582B1 (en) 1998-06-26 2001-12-25 Komatsu Ltd. Self-propelled crushing machine
KR100871307B1 (ko) * 2001-07-27 2008-12-01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파쇄장치, 그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들을 탑재한 이동식파쇄기
JP2004188326A (ja) * 2002-12-11 2004-07-08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破砕機
DE112004000629T5 (de) * 2003-09-18 2006-03-16 Komatsu Ltd. Mobile Holzzerkleinerungsvorrichtung
CN103274231A (zh) * 2013-06-17 2013-09-04 鹤壁市煤化机械有限责任公司 低轨大倾角往复式给料机
EP2837583B1 (en) * 2013-08-14 2015-10-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obile bulk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slewing convey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445A (en) * 1976-12-01 1978-02-14 S & S Corporation Feeder crusher
US4580732A (en) * 1982-03-04 1986-04-08 Mantell Myron E Filter cake processing method and mechanism
JPS58183251U (ja) * 1982-05-27 1983-12-06 株式会社気工社 ポ−タブルクラツシヤ
JPS60139347A (ja) * 1983-12-27 1985-07-24 富士鋼業株式会社 移動式コンクリ−トクラツシヤ−
JPS6240687A (ja) * 1985-08-19 1987-02-21 Fujitsu Ltd 磁気バブルメモリ素子
US4765546A (en) * 1986-02-24 1988-08-23 Stewart Gerald W Jaw-type crushing apparatus
JPS6377553A (ja) * 1986-09-18 1988-04-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移動式破砕機
JPH07189Y2 (ja) * 1987-08-19 1995-01-11 有限会社平伊建機 自走行式クラッシャ−
DE3822801A1 (de) * 1988-07-06 1990-01-11 Orenstein & Koppel Ag Einrichtung zum zerkleinern von, insbesondere weicheren materialien
US4961542A (en) * 1989-02-03 1990-10-09 Leroy E. DenBesten Material reducer
JPH03130859A (ja) * 1989-10-17 1991-06-0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メモリ転送回路
US4997135A (en) * 1990-01-29 1991-03-05 Zehr Melvin A Grinding apparatus
DE4008176A1 (de) * 1990-03-12 1991-09-19 Kloeckner Becorit Gmbh Strassengaengig transportierbare brechanlage
AT396435B (de) * 1991-12-18 1993-09-27 Frick Dietmar Fahrbare brech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818A (ko) 1996-02-24
DE69421904D1 (de) 2000-01-05
DE69421904T2 (de) 2000-04-20
WO1994019107A1 (en) 1994-09-01
EP0685264B1 (en) 1999-12-01
EP0685264A4 (en) 1997-04-09
EP0685264A1 (en) 1995-12-06
US5580004A (en) 1996-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013B1 (ko) 자주식 파쇄기
US5230475A (en) Conveyor system for shredder
US20030141394A1 (en) Self- propelling wood crusher machine and wood crusher
EP2921234B1 (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auxiliary drive system
KR100190792B1 (ko) 자동추진식분쇄기
KR100224291B1 (ko) 자주식 파쇄기계
US9868121B2 (en) Safety and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a waste processing system
CA3099165A1 (en) Portable grinding/shredding/chipping system having manipulable track drive and other improvements
EP0737516B1 (en) Mobile crusher with a drive control apparatus
KR0160865B1 (ko) 파쇄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JP3166947B2 (ja) 自走式破砕機械
WO1995005243A1 (fr) Concasseur sur chenilles
JP2000325829A (ja) 自走式破砕機のフィーダ制御装置
JP3959105B2 (ja) ごみ分別システム用の搬送および配量装置
JPH11165878A (ja) 原料土供給装置
JP3681027B2 (ja) 自走式破砕機
JP2003170080A (ja) 自走式破砕機
JPH11156226A (ja) 自走式破砕機の駆動装置
JP3117054B2 (ja) 自走式破砕機の破砕機駆動制御装置
JPH11156227A (ja) 破砕機の駆動装置
JP2003170076A (ja) 自走式破砕機
JP2002219379A (ja) 自走式破砕機の油圧駆動装置及び自走式破砕機の操作盤
JP2002239409A (ja) 自走式リサイクル製品生産機の油圧駆動装置
JP2000225355A (ja) 破砕機
JP2001321690A (ja) 自走式破砕機及び自走式破砕機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