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096B1 - 몰딩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 Google Patents

몰딩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096B1
KR0158096B1 KR1019960004831A KR19960004831A KR0158096B1 KR 0158096 B1 KR0158096 B1 KR 0158096B1 KR 1019960004831 A KR1019960004831 A KR 1019960004831A KR 19960004831 A KR19960004831 A KR 19960004831A KR 0158096 B1 KR0158096 B1 KR 015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einforcing ribs
hook body
molded
substra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아키 타키자와
케이수케 사카키바라
미츠루 아케노
류우이치 무라사키
츠요시 미나토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61Male or hook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7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opposed structure formed from distinct filaments of diverse shape to those mating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92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having mounting surface and filaments constructed from common piece of material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시이트(2) 및 기판시이트(2)의 하나 이상의 면 위에 몰딩 성형된 복수의 후크요소(3)를 포함하며, 각 후크 요소가 스템(31a) 및 만곡부(31b)를 가진 후크 몸체를 가지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각 후크요소(3)는 후크몸체(31)와 후크몸체(31)의 대향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32,33)를 가지고 있다. 제1보강리브(32)의 높이는 제2보강리브(33)의 높이보다 높다.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 보강리브(32,33)의 존재로 인하여, 동반 맞물림 요소가 후크 요소(3)로부터 분리될 때, 후크 몸체(31)에 형성된 압축응력은 2이상의 점으로 분산된다.

Description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각각 두 개의 다른 벤딩 포인트를 도시하는 제1a도 및 제1b도의 선 Ⅱ-Ⅱ 및 선Ⅲ-Ⅲ를 따른 후크요소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각각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요소의 측면도 및 정면도.
제4도는 제 2실시예의 후크요소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제5도는 제 3실시예에 따른 후크요소열의 부분파쇄측면도.
제6도는 제 3실시예에 따른 후크요소열의 부분파쇄정면도.
제7도는 동반 루프가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종래의 후크요소가 어떻게 벤딩 되는 가를 도시하는, 보강리브가 없는 종래의 후크요소의 측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동반 루프요소가 보강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보강리브를 가진 종래의 후크요소에서의 응력 분포를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기판사이트 3 : 후크요소
5 : 요부 31 : 후크몸체
32 : 제1보강리브 33 : 제2보강리브
34 : 보조보강리브
본 발명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몰딩 성형된 합성수지 면파스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반복사용으로 인한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며 강력한 맞물림 강도를 가지는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만든 통상의 직물 또는 편물 면파스너에 대신하여, 상기 형태의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새로운 산업자재용 파스너로서 점점 더 일반화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에 대한 다양한 수요가 창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파스너가 산업용자재로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각 후크요소의 강성 및 맞물림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다. 한편으로, 의류나 종이기저귀와 같은 일상용품에 파스너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맞물림 강도가 반복사용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후크요소에 상당한 정도의 유연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제안들이 제시되어 왔으며, 미국특허 제4,725,221호, 제4,872,243호, 제5,131,119호 및 제5,339,499호에서 그 예를 찾을 수 있다.
미국특허 제4,725,221호나 제4,872,243호에 개시된 후크요소는 보통의 스템과 상기스템에서 전방으로 급격히 연장하는 만곡부로 이루어져 잇는 단순한 후크형상을 갖는 반면, 미국특허 제5,131,119호의 후크요소는, 스템과 만곡부로 이루어져 있는 후크본체의 양면으로부터 일체를 이루고 돌출하는 (후크요소열을 가로지르는 방향의)동일형상의 대향 보강리브를 갖는다.
이러한 보강리브는 만곡부에 소정의 맞물림 강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템이 납작하여 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템이 강성과 스템의 기저부의 인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미국특허 제5,339,499호의 후크요소는 전술한 후크요소와 유사하며 단지 스템의 두께가 만곡부보다 2배의 두께로 균일하다는 점에서 다르다. 즉, 만곡부는 스템의 상단까지의 스템의 두께에 비하여 1/2배의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마지막에 언급된 구조에 의하면, 면파스너를 몰딩 하는 동안에 다이에서 유연하게 후크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면파스너가 동반관계에 있는 면파스너(이하, 동반 면파스너라 한다.)와 맞물려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각각의 후크요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와 맞물려 결합되는 다수의 동반 면파스너는,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로 형성된 복수의 루프 요소를 가지는 암형 면파스너 또는 상기 언급된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와 동일한 구조를 각각 갖는 다른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이다. 수형 및 암형 면파스너를 이용하면, 두 개의 개별부재 또는 요소를 착탈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동반 맞물림 요소가 면파스너의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각각의 동반 맞물림 요소는 만곡부를 조금 만곡된 형태로 변형시키면서 곡선부분의 내면을 따라 막곡부의 선단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면 파스너가 동반 면파스너로부터 분리될 때 후크요소에서 발생하는 응력은 단일점에 집중되게 된다. 이에 의하면 후크요소가 응력이 집중되는 점에서 벤딩(bend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반복사용으로 벤딩포인트에서 탄성이 상실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후크요소는 손상되기 쉬우며, 종종 맞물림 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후크요소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는 벤딩포인트의 위치는 동일 형상의 후크요소에서 일정하다. 응력이 후크요소에 어떻게 분포하는 가를 연구함으로써 그러한 벤딩포인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첨부된 제7도는 미국특허제4,872,243호의 단순형상 후크요소의 동반 루프요소로부터 분리될 때의 벤딩포인트를 보여준다. 제8도는 미국특허 제5,131,119호의 후크요소의 응력분포를 보여준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명백하듯이, 보강리브가 없는 단순형상 후크요소(30)에서뿐 아니라 보강리브(320)가 있는 후크요소(300)에서도, 압축응력은 후크에 벤딩이 발생하는 단일점 P에 집중된다. 특히 보강리브(320)를 가지는 후크요소(300)에서는 단일 벤딩포인트 P는 보강리브(320)의 정점에 위치한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목적은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에서 후크요소가 벤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후크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시이트 및 기판 시이트의 하나이상의 면에 몰딩 성형된 다수의 후크요소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가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후크요소는 스템 및 만곡부를 가지는 후크몸체를 가진다. 각각의 후크요소는 (후크요소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후크몸체의 반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및 제2 보강리브를 가지며, 제1보강리브의 높이는 제2보강리브의 높이보다 높다.
제1 보강리브의 높이는 후크몸체에 있는 만곡부의 선단의 하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제1보강리브의 정점이 후크몸체의 후방 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또는 제2보강리브는 인접한 후크열상에 있는 각 쌍의 요소들이 보조보강리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보강리브의 반대측 외면상에 하나이상의 보조보강리브를 갖는다.
기판시이트는 후크요소가 있는 면에 후크요소열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요부(凹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요부의 각 저면은 하나의 후크요소열에 배열된 후크요소들의 인접 전방 및 후방 후크 몸체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기저부를 연결한다. 또한, 각 요부의 너비는 동반 맞물림요소를 요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각 후크요소의 후크몸체는 하나이상의 면 위에 보강리브를 갖는다.
상기 보강리브에 의하면, 후크요소의 만곡부에 충분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후 스템의 기저부에 충분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고, 따라서 후크요소가 납작해지는 것에 대하여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강성을 중대시키기 위하여, 후크요소는 각 대향면상에 제1 및 제2보강리브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보강리브가 같은 높이를 가지면, 후크몸체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은, 예를 들어 루프요소와 같은 동반 맞물림요소가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두 보강리브의 정점 근처의 공통점에 집중되어 후크몸체는 한 점에서 벤딩이 일어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후크몸체는 실질적으로 단지 종래의 것과 같은 정도의 집중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가진다.
본원 발명자는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였으며, 응력이 분산될 수 있으면 벤딩포인트가 필연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적인 수단을 찾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하였으며, 마침내 상술된 후크구조는 생산단가 및 생산성 면에서 타당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즉,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조적 특징은, 보강리브를 가진 후크몸체의 구조가 일일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및 제2보강리브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보강리브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보강리브는 형상 및 치수에 있어 명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후크몸체가 그 대향면상에 높이가 다른 두 보강리브를 가지는 구조로써, 예를 들어 루프요소와 같은 동반 맞물림요소가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두 보강리브의 각 정점근처에 있는 두점 이상의 점에 존재하는, 후크몸체에 작용하는 응력들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예를 들어 루프요소와 같은 동반 맞물림요소가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후크몸체가 그 높이 방향으로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2a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시에,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보강리브의 각 정점들 근처에 압축응력이 존재하며 후크몸체의 후면에 있는 두점에 작용한다. 후크몸체의 벤딩부위에서 발생하는 건 압축응력은 종래의 후크요소의 것과 비교해서 일정정도로 감소할 것이므로, 그 만큼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중대될 수 있다.
상술된 구조는 후크요소의 만곡부에도 좋은 결과를 제공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의 축은 제1 및 제2 보강리브가 후크몸체의 반대면상에 존재하는 후크몸체의 중앙에 위치하지만, 동반 맞물림요소가 제2a도의 후크몸체의 만곡부로 이동할 때,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의 축은 단지 제1보강리브만이 후크몸체의 한 면 위에 존재하는 스템의 상부에서 후크몸체의 중앙위치로부터 거리(t)만큼 옆으로 벗어나게 된다. 후크몸체의 만곡부가 동반 맞물림요소에 의하여 그 내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당겨질 때, 단지 제1보강리브만이 존재하는 스템부위 상에 축에 대해 비틀림을 주기 위한 우력(couple)이 작용한다. 이것은 동반 맞물림요소에 의해 상방향으로 당겨질 때 후크요소의 만곡부가 후크몸체의 중심에 대하여 선회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동반 맞물림요소로부터 만곡부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보강리브는 후크요소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 외에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제2보강리브가 후크몸체로부터 돌출하므로, 동반 맞물림요소는 스템에 다다른 후에 기판시이트의 상면으로 이동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템에 의하여 동반 맞물림요소의 루프가 넓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그 결과 동반 맞물림요소의 맞물림 율이 증대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제1b도, 제2a도, 제2b도 및 제2c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제1a도는 제 1실시예의 몰딩 성형된 면파스너의 후크요소에 대한 좌측 보조보강리브를 따라 절취한 좌측 수직단면도이며, 제1b도는 우측 보조보강리브를 따른 후크요소에 대한 우측 수직단면이다. 도시된 면파스너(1)에 의하여, 다수의 후크요소(3)의 열이 기판시이트(2)의 상면 위에 몰딩 성형되며, 후크가 동일방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돌출 되어 있다. 각기 다른 실시예의 여러 도면을 통하여 유사한 부품과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지시된다.
후크요소(3)는 후크몸체(31)를 가지며,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는 후크몸체(31)의 좌측 및 우측면(제1a도의 정면 및 후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보조보강리브(34)는 인접한 후크요소열에서 서로 인접하며 대향하는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를 연결한다. 후크몸체(31)는 그 기저부로부터 상단을 향하여(옆쪽으로) 너비가 점차 감소하는 스템(31a)과, 선단이 기판시이트(2)의 상면을 향하는 상태로 스템(31a)상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구부러진 만곡부(31b)를 가지고 있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31)의 좌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보강리브(32)는 상방향으로 가면서 너비가 점차 감소하면서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거의 중앙에서 점진적으로 돌출하고, 다음으로 실질적으로 균일한 너비로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하며, 만곡부(31b)의 중앙선을 따라 만곡부(31b)의 선단의 중간까지 연장한다.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31)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보강리브(33)는 제1보강리브(31)와 유사하게 상방향으로 가면서 너비가 점차 감소하면서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거의 중앙에서 점진적으로 돌출하고, 또한 근소하게 너비가 감소하면서 상방향 수직으로 연장하며, 만곡부(31b)의 선단의 저면과 높이가 실제상으로 같은 정점에서 종단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의 정점간에는 높이 차가 존재한다.
제2a도, 제b도 및 제2c도는 동반 맞물림요소로서의 루프요소(4)가 후크요소(3)로부터 분리될 때, 제1실시예의 후크요소(3)가 작동 및 벤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분리 시에,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몸체(31)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은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의 각 정점에 인접한 후크몸체(31)의 후면상의 두점 P1, P2에 집중된다. 따라서, 종래의 후크요소의 경우 압축응력이 한 점에 집중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산되며, 그 결과 각 벤딩포인트 P1, P2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은 감소하게 되며,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된다.
상술된 구조에 의하면, 후크요소(3)는 루프요소(4)로부터 유연하게 분리될 수 있다. 제2b도와 제2c도는 후크요소(3)로부터 루프요소(4)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도시한다. 동반 맞물림요소가 제2a도의 후크몸체(31)의 만곡부로 이동할 때 후크요소(3)의 축(0)은 후크요소(3)의 스템(31a)의 하부에서 후크몸체(31)의 중앙선과 일치하며, 그 후크몸체는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향면상에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를 가진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요소(3)의 축(0)은 후크몸체의 한 측면 상에 단지 제1보강리브(32)만이 존재하는 후크몸체(31)의 중심위치로부터, 축(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스템의 상부에서 거리 T만큼 옆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루프요소(4)가 만곡부(31b)의 내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당겨지면, 제2b도에서 화살표로 지시된 방향으로 후크몸체부위가 축에 대하여 선회하도록 제1보강리브(32)만을 가지는 후크몸체부위에 우력이 작용하며, 그 결과 후크몸체는 뒤틀리게 된다. 이것은 후크요소(3)의 만곡부(31b)가 루프요소(4)의 상방향 견인력에 의하여 후크몸체(31)의 스템(31a)에 대하여 선회하고, 따라서 후크 및 루프요소(3,4)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만곡부(31b)로부터 루프요소(4)가 용이하게 분리되게 함을 의미한다.
제2보강리브(33)는 후크요소(3)의 스템(31a)의 기저부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기능 외에도 맞물림 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2보강리브(33)가 후크몸체(31)로부터 돌출하므로, 그 정점은 루프요소(4)가 인접한 후크요소(3)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고 루프요소(4)가 더 들어가면 루프요소(4)의 루프형상이 더 넓어지도록 하여, 각각의 인접한 후크요소(3)와 루프요소(4)의 맞물림 율을 증대시킨다.
제1실시예에서, 후크요소(3)는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의 각 외면상에 한 쌍의 보조보강리브(34)를 가지며 인접 후크요소열의 각 쌍의 후크요소는 대항하는 보조보강리브(3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후크요소(4)가 납작해지는 것과 기판시이트(2)가 후크요소열 사이에서 찢어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후크요소를 도시한다. 제3a도는 기판시이트(2)를 따라 후크요소(3)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고, 제3b도는 기판시이트(2)를 따라 후크요소(3)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보강리브(32)는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융기하며, 실제상으로 후크몸체(31)의 꼭지점(top point)과 거의 높이가 같은 정점을 갖는다. 따라서, 제1보강리브(32)의 일부가 후크몸체(31)의 후방면(제3a의 촤측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므로, 압축응력은 상점 및 하점(P3,P4)으로 분산된다.
반면에, 제2보강리브(33)는 후크몸체(31)를 따라 상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감소하면서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융기하며, 실질적으로 스템(31a)높이의 2/3지점까지 상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제2보강리브(33)에 의하여 후크몸체(31)상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은 제1보강리브의 두 벤딩포인트(P3,P4)뿐 아니라 후크몸체(31)의 후방면상에 있는 제2보강리브(33)의 정점근처의 한 점(P5)에 집중되어, 압축응력은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많은 점으로 분산된다.
보조보강리브(34)는,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처럼, 후크몸체(31)를 따라 상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감소하면서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융기하며, 실질적으로 스템(31a)높이의 중간지점까지 연장한다. 제3b도로부터 명백하듯이, 인접한 후크요소열의 각 쌍의 후크요소(3)는 대향하는 보조보강리브(3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4도는 제2실시예의 후크요소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보강리브와 보조보강리브(32,33,34)는 각각 기저부에 후크몸체(31)의 스템(31a)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심이 약간 상방향(우방향)위치에서 후크몸체(31)의 기저부로부터 융기한다. 본 변형예의 경우에,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동반 맞물림요소가 후크요소로부터 분리될 때 압축응력은 세 점으로 분산되며, 후크요소(3)의 기저부, 특히 후크몸체(31)의 기저부는 적당한 정도의 유연성을 가진다.
제5도 및 제6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시이트(2)는 그 후크요소가 존재하는 면에 후크요소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복수의 요부(5)를 가지고 있으며, 요부(5)의 각 저면은 인접항 전방 및 후방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대향하는 전방 및 후방 기저부사이로 연장한다. 상술하면, 동일한 후크요소열에 있는 인접한 전방 및 후방 후크요소열에서는, 제5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후방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전방 기저부는 기판시이트(2)에 있는 요부(5)의 저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완만한 곡선으로 융기하며, 전방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후방 기저부는 기판시이트(2)에 있는 요부(5)의 저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완만한 곡선으로 융기한다. 각 후크요소(3)는 스템(31a)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며 아래로 곡선을 그리는 만곡부(31b) 및 스템(31a)의 상부를 가지며 만곡부(31b)전체는 기판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각 요부(5)의 너비는 최소한 동반 맞물림요소를 요부(5)에 넣을 수 있을 정도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몸체(31)의 기저부 및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의 기저부는 기판시이트(2)에 있는 요부(5)의 저면으로부터 일체로 상방향으로 돌출한다. 즉, 요부(5)는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의 각 외측 면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너비(WI)를 가지고 있는데, 그 외면은 각각 후크요소(3)의 스템(31a)의 반대편 측면 상에 제공되며 갈짓자 형상의 측면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후크요소(3)는 제1보강리브 및 제2보강리브(32,33)의 각 외면 위에 한 쌍의 보조보강리브(34)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보조보강리브(34)는 기판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일직선으로 융기한다. 인접한 후크열의 인접한 후크요소의 대향하는 보조보강리브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보강리브와 보조보강리브(32,33,34)는 각각 기저부에 후크몸체(31)의 스템(31a)보다 좁은 너비를 가지고 있으며, 후크몸체(31)의 기저부의 중앙의 약간 전방의 위치로부터 융기한다. 이 실시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기능들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요부(5)는 전방 후크요소(3)의 후방면으로부터 인접한 후방 후크요소쪽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차로 증가한다. 본 요부로써, 동반 맞물림 요소(4)가 후크요소(3)로부터 분리될 때, 후크(3)는 어려움 없이 구부러진다. 후크몸체(31)에 있는 만곡부(31b)의 선단의 하면과 스템(31a)의 요부(5)의 저면사이의 거리(L')는 종래의 후크요소의 것과 동일하지만, 만곡부(31b)의 선단의 하면과 기판시이트(2)의 상면사이의 거리(L)는 후크(3)의 실질적인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L')와 요부의 깊이(D)와의 거리차이와 같다. 거리(L')는 종래의 후크요소와 치수에 있어 동일하지만, 기판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요소(3)의 높이는 종래의 것보다 요부(5)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요소의 실제상의 높이와 요부(5)의 깊이(D)와의 차이만큼 낮다. 본 실시예의 후크요소(3)가 동반 루프요소(4)와 맞물려질 때, 루프요소의 단부는 요부(5)에 의하여 안내되어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기저부까지 만곡부(31b)의 하방에서 들어간다. 따라서, 만곡부(31b)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게 루프요소(4)와 맞물리기 위하여 루프요소(4)를 통하여 유연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이점은 루프요소(4)가 자동적으로 후크(3)의 만곡부(31b)아래로 안내된다는 데 있다.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후방면이 완만한 곡선으로서 경사지게 융기하므로, 스템(31a)의 후방면에 대항하여 압축된 루프요소(4)는 후방면을 따라 요부(5)로 안내되고 루프요소(4)의 후방축 위에 존재하는 후크요소(3)의 만곡부(31b)아래로 들어가므로써, 맞물림율이 향상된다. 또한, 후크요소(3)는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기저부로부터 만곡부(31b)위 선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므로, 기판시이트(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후크요소(3)의 부위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후크요소(3)는 제7도 및 제8도의 종래 후크요소(30,300)와 같은 맞물림 강도를 유지하면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진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후크몸체(31)의 대향측면위에 높이가 다른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가 존재하는 한, 후크몸체(31)의 형상 및 치수는 결코 기술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술된 배열에 의하면, 동반 맞물림 요소의 분리시 후크요소에서 발생한 압축응력은 단일점에 집중되지 않고 두 점 또는 그 이상의 점에서 분산되므로, 벤딩포인트 역시 분산되어 종래의 것과 같이 후크요소의 분리력이 작용할 때 후크요소(3)의 벤딩포인트에서의 손상이 방지되고 반복사용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보강리브와 보조보강리브(32,33,34)의 적절한 조합, 각 보강리브(32,33,34)의 적절한 형상 및 치수, 그리고 기판시이트(2)의 적절한 형상을 선택함으로써, 종래의 후크구조와 비교하여 확실히 맞물림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유리한 결과로서, 루프요소(4)가 후크요소(3)의 만곡부(31b)를 내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끌어당길 때, 후크몸체부위를 후크요소(3)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제1보강리브만이 존재하는 후크몸체부위에 우력이 작용하여, 그 결과 후크몸체 부위에서 뒤틀림이 생긴다. 따라서, 후크요소(3)의 만곡부(31b)는 루프요소(4)의 상방향 견인력으로 인해 후크몸체(31)의 스템(31a)에 대하여 선회 또는 회전하여 만곡부(31b)로부터 루프요소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후크 및 루프요소(3,4)의 손상을 감소시킨다.

Claims (7)

  1. 기판시이트(2); 및 상기 기판시이트(2)의 하나 이상의 표면 위에 몰딩 성형된 다수의 후크 요소(3)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후크요소(3)는 스템(31a)과 만곡부(31b)를 가는 후크몸체와 상기 후크몸체(33)의 대향측면위로부터 돌출하는 제1 및 제2보강리브(32,33)를 가지며, 상기 제1보강리브(32)의 높이는 상기 제2보강리브(33)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리브(32)의 높이는 상기 후크몸체(31)에 있는 만곡부(31b)의 선단의 하면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리브(32)의 정점은 상기 후크몸체(31)의 후방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또는 제2보강리브(32,33)는 각 대향측부의 외면 위에 하나 이상의 보조보강리브(3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5. 제4항에 있어서, 인접한 후크요소열의 각 쌍의 후크요소(3)는 상기 보조보강리브(3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시이트(2)는 후크요소가 존재하는 표면에 후크요소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요부(5)를 가지며, 상기 요부(5)의 각 저면은 일렬의 후크요소열에 배열된 상기 후크요소(3)의 인접한 전방 및 후방 후크몸체(31)의 스템(31a)의 직면하는 전방 및 후방 기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7. 제6항에 있어서, 각 상부 요부(5)는 동반 맞물림 요소를 상기 각 요부(5)에 삽일 할 수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로 몰딩성형된 면파스너.
KR1019960004831A 1995-02-28 1996-02-27 몰딩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KR0158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961195A JP3308417B2 (ja) 1995-02-28 1995-02-28 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95-39611 1995-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8096B1 true KR0158096B1 (ko) 1998-12-01

Family

ID=12557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831A KR0158096B1 (ko) 1995-02-28 1996-02-27 몰딩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839172A (ko)
EP (1) EP0729717B1 (ko)
JP (1) JP3308417B2 (ko)
KR (1) KR0158096B1 (ko)
CN (1) CN1112866C (ko)
BR (1) BR9600633A (ko)
CA (1) CA2169134C (ko)
DE (1) DE69608977T2 (ko)
ES (1) ES2147626T3 (ko)
HK (1) HK1010309A1 (ko)
TW (1) TW33765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8835A1 (en) * 2002-11-08 2004-05-13 Tachauer Ernesto S. Active fasteners
US7067185B2 (en) 2003-06-11 2006-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inforced hook web
US7950114B2 (en) * 2004-03-10 2011-05-31 Leonard Arnold Duffy Self-adhering device and method
US7254874B2 (en) * 2004-03-10 2007-08-14 Leonard Arnold Duffy Molded surface fasteners and attachment methods
US7516524B2 (en) * 2005-03-11 2009-04-14 Velcro Industries B.V. Hook fastener compon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TW201137248A (en) * 2010-04-21 2011-11-01 Taiwan Paiho Ltd Injection molded hook structure of velcro fastener and velcro fastener having the same
US9534421B2 (en) 2013-11-13 2017-01-03 Akusesu Corporation Engaging mechanism
US11253683B2 (en) * 2017-02-07 2022-02-22 ewim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scites
JP6794082B2 (ja) * 2017-02-15 2020-12-0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成形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000A (en) * 1971-11-11 1973-10-02 M Menzin Production of a continuous molded plastic strip
JPH0431512U (ko) * 1990-07-03 1992-03-13
JPH0584213U (ja) * 1992-04-24 1993-11-16 吉田工業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559017Y2 (ja) * 1992-06-17 1998-01-1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US5315740A (en) * 1992-08-20 1994-05-31 Velcro Industries, B.V. Hook for hook and loop fasteners
US5339499A (en) * 1993-02-16 1994-08-23 Velcro Industries B.V. Hook design for a hook and loop fastener
JP2731103B2 (ja) * 1993-09-08 1998-03-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854222B2 (ja) * 1993-09-14 1999-02-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JP2886455B2 (ja) * 1994-07-08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JP3474644B2 (ja) * 1994-08-26 2003-12-08 Ykk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
JP2886459B2 (ja) * 1994-09-20 1999-04-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08417B2 (ja) 2002-07-29
CN1112866C (zh) 2003-07-02
EP0729717B1 (en) 2000-06-28
BR9600633A (pt) 1997-12-30
JPH08228811A (ja) 1996-09-10
TW337657U (en) 1998-08-01
CA2169134A1 (en) 1996-08-29
DE69608977T2 (de) 2001-02-08
US5839172A (en) 1998-11-24
DE69608977D1 (de) 2000-08-03
ES2147626T3 (es) 2000-09-16
CA2169134C (en) 1999-04-13
EP0729717A1 (en) 1996-09-04
CN1138440A (zh) 1996-12-25
HK1010309A1 (en) 199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6455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係着片構造
US6061881A (en) Molded engaging member for surface fastener
EP0464753B1 (en) Hook structure for integrally molded surface fastener
KR0158096B1 (ko) 몰딩성형된 면파스너용 후크구조
EP0698351A2 (en) Molded surface fastener
KR950001606Y1 (ko) 성형된 표면 파스너
EP0709038B1 (en) Hook structure for molded surface fastener
US5715581A (en) Hook structure for a molded surface fastener
EP0698352B1 (en) Molded surface fastener
JP2854222B2 (ja) 一体成形面ファスナーのフック片構造
CA2163605C (en) Molded surface fastener
EP0465960B1 (en) Structure of coupling head portion for coiled slide fastener element
EP0170858B1 (en) Hook for a hook-and-eye fastener
EP0523975B1 (en) Windscreen wiper blade
CN1615766A (zh) 带有网格盖的扣环
JP3052501U (ja) 雄面ファスナーとその成形金型構造
JPH053692U (ja) 高負荷伝動用vベルト
KR200290440Y1 (ko) 인장을 요하는 차량용 케이블 장치
JPH033640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