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585B1 -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 Google Patents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585B1
KR0156585B1 KR1019930010026A KR930010026A KR0156585B1 KR 0156585 B1 KR0156585 B1 KR 0156585B1 KR 1019930010026 A KR1019930010026 A KR 1019930010026A KR 930010026 A KR930010026 A KR 930010026A KR 0156585 B1 KR0156585 B1 KR 015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late
plate
hook
cross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36A (ko
Inventor
마사오 가토
Original Assignee
마사오 가토
가토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오 가토, 가토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사오 가토
Priority to KR101993001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585B1/ko
Publication of KR95000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 E04B2001/2648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located in slots of the elongated woode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52Details of nailing, 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조건축에 있어서의 축조립구조 및 작업을 간단히 한다. 기둥형상의 받이부재(1)의 기둥면에 훅 플레이트(3)의 기단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정하고, 도리 등의 교차부재(2)의 끝의 끼움홈(6)에 상기 훅 플레이트(3)의 훅(4)를 삽입하는 동시에 교차부재(2)에 삽통한 볼트(21)을 훅(4)로 받으므로써 받이부재(1)과 교차부재(2)의 축조립고정을 한다. 또, 외주가 원형을 이루는 갈고리형의 훅플레이트(26)을 받이부재(27)과 교차부재(27)측의 끼움홈(28,31)에 끼워서 함께 볼트고정함으로써 축조립을 실시한다.

Description

목조 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 구조물
제1도는 축조 구조물과 축조구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축조구와 장부 가공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정면도 및 평면도이며, 제2(c)도는 축조구의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축조 작업의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축조 구조물과 축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a)도는 축조 구조와 축조구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제5(b)도는 교차 부재와 토대 부재의 단면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축조 공정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구조물의 토대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단면도.
제8도는 건축물의 토대와 마루 구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제9도는 축조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는 마루의 부설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벽 패널의 장착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제12도는 축조와 주벽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대 부재 2 : 교차 부재
3 : 훅 플레이트 4 : 훅
6 : 삽입홈 8 : 결합홈
9 : 돌출부 11 : 고정 플레이트
21 : 볼트 26 : 훅 플레이트
26a : 세로부 26b : 가로부
32,33,34 : 볼트 구멍
본 발명은 목조 건축용 축조구(軸組具: framework member)와 그 축조구를 사용한 축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일본식의 목조 건축에 있어서는 구조재의 조립에는 독특한 축조 공법이 사용되며, 특히 복잡한 요철(凹凸)형상을 끼워맞추기 위한 장부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 바 이들 가공에는 고도로 숙련된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재래의 축조 구조의 단순화나 작업성의 향상, 비용의 저감 등을 위하여 쇠붙이를 사용하여 「겹 이음」, 「서로대 이음」, 「짜맞춤 이음」, 「맞댐 이음」 등의 축조를 행하는 방법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나, 복강 쇠붙이를 사용하는 축조에서는 기둥, 대들보 등의 접합부에 다량이면서도 복잡한 구조의 쇠붙이 및 다량의 볼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통적인 축조공법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잡한 장부 가공을 필요로 하므로 그 작업에는 고도의 숙련이 요구되기 때문에 일손 부족을 초래하는 외에 많은 일손이 필요하므로, 원가고나 공기 지연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조립 작업도 복잡하며 축조 시에 많은 난제들이 야기되게 된다.
또한, 건축 이음구를 사용한 축조에서도 다량의 복잡한 구조의 금구나 띠판을 사용하고 다수의 볼트류를 사용하므로, 공기 및 비용의 면에서 충분한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고 축조의 정밀도의 면에서도 충분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들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축조 구조와 축조구를 제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판형의 훅 플레이트(hook plate: 3)의 기단부에서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형성한 삽입 구멍(13)에 삽입 및 현수되는 결합부(10)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훅 플레이트(3)의 선단 측에는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한 삽입흠(6)에 찔러 넣어지고, 또 바닥부에 볼트를 낙하시켜 위치를 결정하는 상부가 개방된 결합홈(8)을 형성함으로써 상향의 훅(4)이 형성되는 데에 있다.
제2 특징은 상기 제1 특징 외에, 훅 플레이트(3)가 기단부에 상하 두 개 이상의 결합부(10)를 돌출 형성한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제3 특징은 상기 제1 특징 외에 결합부(10)가 훅 플레이트(3)의 기단부의 면에서 돌출하는 훅 플레이트(3)과 동일한 판 두께를 갖는 돌출부(9), 및 이 돌출부(9)의 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고착된 고정 플레이트(11)를 갖추는 데에 있다.
제4 특징은 상기 제1 특징 외에 결합부(10)가 훅 플레이트(3)에 돌출 형성한 돌출부(9)의 하면을 따른 둥근봉으로 이루어지는 부착부(12)를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제5 특징은 상기 제1 특징 외에 훅(4)의 결합홈(8)의 선단 측의 내측면(8a)이 상향으로 개방되는 경사면에 형성되는 데에 있다.
제6 특징은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27)의 축조면과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9)의 당접 단면에 형성된 슬릿(28,31)에 찔러넣은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훅 플레이트(26)에 세로부(26a)와 가로부(26b)를 설치하여 훅 플레이트(26)를 갈고리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세로부(26a)와 가로부(26b)에는 토대 부재(27) 또는 교차 부재(29)를 관통하는 볼트를 끼워서 통하는 볼트 구멍(36,37,38)이 천공되는 데에 있다.
제7 특징은 상기 제6 특징 외에 훅 플레이트의 세로부(26a)와 가로부(26b)가 교차하는 내면측이 토대 부재(27)와 교차 부재(29)와의 교차각과 거의 동일하게 되는 데에 있다.
제8 특징은 상기 제6 특징 외에 훅 플레이트(26)의 외주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데에 있다.
제9 특징은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다른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을 당접시켜서 양부재를 교차 상태로 하고 상기 토대 부재(1)와 교차 부재(2)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모양의 축조구에 의하여 양쪽의 부재를 연결 고정하는 목조 건축의 축조 구조에 있어서,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설치한 삽입 구멍(13)에 판형의 훅 플레이트(3)의 결합부(10)를 삽입하여 하향 이동 시킴으로써 훅 플레이트(3)를 고정하고,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설치한 삽입홈(6)을 상기 훅 플레이트(3)에 끼워 넣고 상기 삽입홈(6)을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교차 부재(2)에 찔러넣은 볼트를 훅 플레이트(3)에 상향으로 형성한 결합홈(8)내로 낙하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토대 부재(1)와 교차 부재(2)를 축조 고정하게 되는데에 있다.
제10 특징은 상기 제9 특징 외에 토대 부재(1)의 삽입 구멍(13)과 훅 플레이트(3)의 결합부(10)가 상하로 두 개 이상 나란히 설치되는 데에 있다.
제11 특징은 상기 제9 특징 외에 훅 플레이트(3)의 결합홈(8)이 선단 측의 내측면(8a)이 위를 향해서 개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데에 있다.
제12의 특징은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27)의 축조면에 다른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9)의 당접 단면을 당접시켜서 양부재를 교차 상태로 하고, 상기 토대 부재(27)와 교차 부재(29)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모양의 축조구에 의하여 양쪽의 부재를 연결 고정하는 목조 건축의 축조 구조에 있어서, 토대 부재(27)의 축조면에 설치한 슬릿(28)에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훅 플레이트(26)의 가로부(26b)를 끼워 넣고, 교차 부재(29)의 당접 단면에 설치한 슬릿(31)에 훅 플레이트(26)의 세로부(26a)을 끼워 넣고, 상기 토대 부재(27), 교차 부재(29) 그리고 훅 플레이트(26)에 볼트를 관통시켜서 조여서 고정하는 데에 있다.
제13 특징은 상기 제12 특징 외에 훅 플레이트(26)의 외주와 토대 부재(27)측의 슬릿(28)의 내주가 다같이 적합한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데에 있다.
축조구는 기둥 등의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돌출하도록 그 기단을 토대 부재(1)에 부착 고정하고, 상기 축조구의 돌출단은 거기에 맞붙이는 대들보, 횡목 등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형성된 삽입홈(6)에 끼워 넣어 상하 좌우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교차 부재와 축조구의 돌출단이 볼트 체결됨으로써 토대 부재(1)와 교차 부재(2)가 축조 고정된다.
또 상기 축조구의 하나는 훅 플레이트(3)의 기단부의 고정 플레이트(11)가 토대 부재(1)측의 고정용의 삽입 구멍(13)에 삽입됨으로써 토대 부재(1)측에 고정되고 축조구의 훅(4)은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돌출하여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형성된 삽입홈(6)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교차 부재(2)의 좌우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이때 교차 부재(2)측에 좌우로 삽입된 볼트(21)를 훅(4)으로 고정함으로써 상하 위치 결정이 행해지는 동시에, 상기 볼트(21)가 훅(4)의 결합홈(8)에 낙하 및 삽입됨으로써 교차 부재(2)가 토대 부재(1)측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작용한다.
또 축조구의 다른 하나인 훅 플레이트(26)는 토대 부재(27)측의 내주가 원형을 이루는 슬릿(28)에 적절히 끼워지고, 그 일단을 축조면에 돌출시킨 상태에서 볼트에 의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은 교차 부재(29)측에 형성된 슬릿(31)에 끼워 고정되어서 볼트 체결함으로써 고정되고, 토대 부재(27)과 교차 부재(29)가 축조 고정된다.
도면은 본 발명의 축조 구조와 축조구의 두 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 바, 제1도 내지 3도에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도는 한 개의 토대 부재(기둥)(1)에 대하여 네 개의 교차 부재(들보)를 교차 상태로 축조한 예를 나타내고, 세로 방향의 토대 부재(1)의 4면에 대하여 네 개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5)이 밀려 접촉되고, 기단부를 토대 부재(1) 각각의 측면에 삽입한 훅 플레이트(3)로부터 돌출하는 훅(4)을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설치한 삽입홈(6)에 삽입시키고, 교차 부재(2)측으로 관통시킨 볼트(7)를 훅(4)에 고정시켜서 접합하는 것이다.
상기 훅 플레이트(3)는 제2(a)도 내지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장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훅 플레이트(3)의 선단을 훅(4)으로 하도록 선단상부에 적어도 선단측 내면이 경사진 V자형의 볼트 밀어넣기용의 결합홈(8)을 형성하고 있고, 기단부 측에는 상하 두 개의 삽입용의 결합부(10,10)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부(10)는 훅 플레이트(3)에서 돌출하는 돌출부(9)를 구비하며, 각 돌출부(9)의 돌출단에는 원형 플레이트의 외주의 한 측에 수직 방향의 절결부(11a)를 형성한 플랜지 모양의 고정 플레이트(11)가 고착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각 돌출부(9)의 하단에는 핀 모양의 둥근 막대기로 이루어지는 부착부(12)가 용착되고, 이 부착부(12)의 단면과 훅 플레이트(3)의 기단면과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과의 사이에 체결 여유 S로서 근소한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훅 플레이트(3)에 대하여 토대 부재(1)의 주면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1,11)를 끼워 맞추는 두 개의 원형 삽입 구멍(13)이 상하의 결합부와 동일한 간격으로 천공되고 이 삽입 구멍(13)의 최심부에는 감합 삽입된 각 고정 플레이트(11)가 감합 상태로 하강 활주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해서 뻗어 있고, 내부에 있어서는 고정 플레이트와 동일 두께의 세로 방향의 긴 원형 고정 고멍(13a)을 이루고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고정 구멍(13a)과 토대 부재(1)의 주면과의 사이에 남겨진 소정 두께의 결합부(14)에는 상기 부착부(12)와 같은 폭의 슬릿(16)이 고정 플레이트(11)를 최심부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훅 플레이트(3)를 하한 위치까지 하강 활주시키는 것을 허용 가능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릿(16)의 저면은 전술한 부착부(12)의 저면을 따라 라운드를 형성하고 고정 구멍(13a)의 저면과 함께 훅 플레이트(3)의 훅(4)에 가해지는 하중의 수납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부(12)의 지름은 돌출부(9)의 판 두께 보다 크게 되어 훅 플레이트(3)에 가하여지는 하중을 받는 토대 부재(1) 측의 면적이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삽입 구멍(13), 고정 구멍(13a) 및 슬릿(16)은 예컨대 고정 플레이트(11)와 동일 원형의 커터에 부착부(12)와 같은 형태의 커터(모두 도시안됨)를 동심적으로 일체로 형성한 밀링 커터에 의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간단하게 절삭 가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조에 대하여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5)에는 상기 훅 플레이트(3)를 끼워 고정시키는 동일한 두께의 삽입홈(6)이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다시 교차 부재(2)에는 상기 볼트 삽입용 결합홈(8)의 저부와 그 아래쪽에 뚫어 설치한 볼트 구멍(15)과 대응하는 횡단 방향의 볼트 구멍(18, 19)이 관통하도록 천공된다.
상기 구조에 의한 축조 방법은 먼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 플레이트(3)의 고정 플레이트(11)를 토대 부재(1)의 삽입 구멍(13)에 삽입하여 하한 위치까지 아래 방향으로 활주 하강시킴으로써 훅 플레이트(3)를 결합부(14)에 고정시켜서 토대 부재 측에 고정한다. 이어서 상단의 볼트 구멍(18)에 볼트(21)를 삽입한 상태로 교차하고 훅 플레이트(3)를 삽입홈(6)에 끼우면서 교차 부재(1)의 당접 단면(5)을 토대 부재(1)의 기둥면에 당접하고 상방에서 기둥면을 따라 하강시키면, 볼트(21)가 훅(4)의 결합홈(8)에 수용되면서 하강한다. 이때, 볼트(21)는 결합홈(8)의 선단 측의 경사되는 안내면(8a)에 안내되면서 교차 부재(2)를 토대 부재(1)측으로 끌어 당겨서 압접시키도록 작용한다. 다시, 훅 플레이트(3)측의 부착부(12)와 훅 플레이트(3)의 기단면과의 사이에 틈새 S는 교차 부재(2)와 토대 부재(1)의 체결 여유로서 작용한다.
상기 작동에 의하여 교차 부재(2)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 뒤, 볼트 구명(19 및 15)에 두 번째의 볼트(22)를 삽입하여 체결 고정된다. 제2(b)도에 있어서의 토대 부재(1)에는 4방의 기둥면 전부에 고정 구멍(13)이 형성되고 4방에서 교차 부재(2)가 맞붙게 되어 있으나, 고정 플레이트(11)의 한쪽 측에 형성된 절결부(11a)는 사방에서 삽입된 훅 플레이트(3)의 고정 플레이트(11)가 서로 간섭하지 않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고 토대 부재(1)의 단면이 클 경우는 고정 구멍(13a) 자체가 서로 간접하지 않으므로 상기 절결부(11a)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축조 구조 및 축조구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장의 철제 판형 부재를 주면이 반경 R의 원호형을 이루고 그 외주의 일부를 약 90°의 갈고리형으로 절결한 절결부(26C)를 형성하여 세로부(26a)과 가로부(26b)로 이루어지는 훅 플레이트(26)를 사용하고 있다. 이 세로부(26a)와 가로부(26b)의 선단은 재료의 수율과 경량화 등을 위하여 절결부(26d, 26e)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훅 플레이트(26)에 대하여 제5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토대 부재(27)(토대) 측에 훅 플레이트(26)를 끼워 고정하기 위하여 훅 플레이트(26)의 외주와 동일한 원호의 내주를 형성한 원호형의 슬릿(28)이 형성되고 교차 부재(기둥)(29) 측의 하단 당접 단부에도 훅 플레이트(26)를 끼워맞추기 위한 슬릿(31)이 절삭 형성된다. 상기 슬릿(28,31)은 모두 톱을 사용하여 하나의 공정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특히 원호형의 슬릿(28)으로 함으로써, 원반형 동력 톱을 사용한 하나의 공정 가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훅 플레이트(26)의 세로부(26a) 및 가로부(26b)와 토대 부재(27), 교차 부재(29)의 상호간에 대응하는 적당한 위치에 볼트 구멍(32 내지 34) 및 볼트 구멍(36 내지 38)가 천공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4(b)도 및 제6(a)도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훅 플레이트(3)를 토대 부재(27)의 슬릿(28)에 삽입하고 두 개의 볼트(41)를 볼트 구멍(33,34,37,38)에 끼워 미리 체결 고정한 후, 교차 부재(29)의 당접 단부를 위쪽에서 하강시키고 슬릿(31)에 훅 플레이트(26)를 삽입시킨 뒤, 볼트(41)를 볼트 구멍(32,36)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교차 부재(29)와 토대 부재(27)의 축 조립이 완료 된다. 훅 플레이트(26)의 절결부(26c)의 절결면은 축 조립 후의 교차 부재(29)와 토대 부재(27)의 교차각 또는 교차면과 거의 일치한다. 참조 부호 42는 직교하는 다른 토대 부재(25)와 훅 플레이트(27)를 고정하는 타켓판 볼트이다.
제4(a)도, 제6(c)도 및 제6(d)도는 상기 훅 플레이트(26) 예컨대 교차 부재(29)(토대 부재)의 상단에 들보(30)(교차 부재)를 얹어 놓고 고정할 경우에 응용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대 부재와 교차 부재의 관계가 제4(b)도, 제5도, 제6(a)도 및 제6(b)도의 경우와 반대로 되어 있다. 즉, 교차 부재(29)의 상단에 미리 훅 플레이트(26)를 볼트(41)로 조여 붙이고 들보(30)측에 형성한 원호형의 내주를 형성한 슬릿(31)에 훅 플레이트(26)의 원호형의 상단부를 끼워 맞추듯이 들보를 얹어 놓고 볼트(41)로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어느 경우도 훅 플레이트(26)의 원호형 외주가 슬릿(28)의 내주와 일치하고 있으므로 축 조립 시의 각 부재의 위치 맞춤이 간단하다.
제7(a)도 및 제7(b)도는 콘크리트 기초(45)위에 얹어놓고 고정한 토대 부재(27)에 대한 장선(43)의 단부를 수용하는 채널 모양 단면의 플레이트(44)의 측벽(46)의 선단을 단부측으로 연출시켜서 삽입 단부(46a)로 하고 이에 대하여 장선(43)의 바닥면에는 삽입 단부(46a)를 끼워 넣은 두 개의 슬릿(47)을 형성하고 있다.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단부(46a)를 슬릿(47)에 끼워놓은 상태로 플레이트(44)위에 장선(43)을 얹어 놓음으로써 조립 고정된다.
제8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축조 구조를 이용하여 행하는 가옥의 조립 방법을 공정마다 도시한 것으로서, 상술한 축조 공법의 사용과 축조재로서의 건조재 또는 집성재의 사용 등을 짜맞춤으로써 조립 후의 치수나 각도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점에 착안하여 가옥의 벽재나 바닥재에 패널을 사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기초(45)위에 장선(43)을 짜맞추어서 고정한 뒤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패널 모양의 바닥재(51)를 부설 고정하고 계속하여 훅 플레이트(3,26)등을 사용한 축조립을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행하고, 다시 2층의 플로어를 패널 모양의 바닥재(51)를 부설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벽(53) 또는 간막이벽 등을 재래의 패널 공법 또는 투바이포 공법(two-by-four method)과 같이 제12도에 도시한 상태로 차례로 짜맞추고 지붕 부재(비도시)를 동일하게 패널 모양 부재로 짜맞추는 것이다.
상기 조립은 바닥이나 천정 및 벽의 모든 것을 패널재로 짜맞출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고 제9도 내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 시에 크레인을 사용할 수 있고 축조립 후에 있어서도 건물 내부에 패널 부재를 매달아서 조립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용이화, 작업성의 향상 및 신속화 등의 이점이 생기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아래와 같은 기술적 효과가 달성된다.
(1) 가공비의 절감과 공기의 단축이 가능하다.
기둥이나 횡목, 들보 등의 장부 가공이 단순화되고, 모두 기계 가공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며 초기 절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에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축 조립도 간단하고, 신속화될 뿐만 아니라 가공비, 축조립, 인건비의 절감, 공기의 대폭적인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 축조 구조가 간단하므로 해제도 용이하여 부재의 재이용도가 높아진다.
(2) 축조구의 수가 적어도 되고, 구조재의 치수와 장부 가공의 종류가 적어지므로 구조재의 규격화가 가능해진다.
즉, 축조구의 패턴, 치수를 규격화함으로써 장부 가공이 단순하고 단일하게 되며, 가공 기계 설비에 대한 투자가 적어도 될뿐더러 규격 부재의 재고 관리가 쉽게 되고, 수주에서 납입까지의 납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규격화된 구조재는 재고 관리 및 비용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고, 부재 수가 많고 부재 견적에 시간이 걸리던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적은 시간 내에 견적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접합부의 목재 단면의 파괴 결손이 적다.
복잡한 종래의 장부 가공은 부재의 손상 발생률이 높고 보강 쇠붙이와 병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장부(tenon)를 붙인 수나무의 부분을 축조구를 사용함으로써 이 발생률을 작게 할 수 있다.
(4) 건축 후의 조정이 용이하다.
기둥과 횡목이 적은 수의 볼트로 접합되어 있고, 건축후 조절이 필요할 때에 이 볼트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가능해 진다.
(5) 쇠붙이에 의하여 기둥과 횡목의 접합부가 보다 강고해진다.
종래 목조 축조 공법에서는 보강 쇠붙이를 사용하여 접합부를 볼트로 조임으로써 강고한 접합부를 만들고 있었으나 밀리미터 단위의 정밀도를 내는 일은 곤란한 것으로 되어 왔다. 본 발명의 축조구는 횡목 상단부의 볼트를 쇠붙이의 절입 부분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기둥과 횡목의 접착면을 보다 밀착시키고 강고하고 또 고정밀도의 치수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 정밀도에 의하여 동차, 벽 안살 엮기, 초벌 바름질, 마무리 바름질을 수행하여야 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경구조의 벽체(패널)를 구조재 사이에 감착함으로써 쉽게 벽을 만들어 갈 수 있게 된다.
(6) 패널화에 의한 방의 배치 및 증개축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벽을 패널화함으로써 기둥의 수가 적어도 되고 방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지는 외에, 증개축에 있어서의 설계 변경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증개축 시의 해체도 용이하다.
(7) 기타
본 발명의 축조 구조 및 축조구를 집성재의 구조재와 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구조재 직경의 소형화, 건물의 경량화 및 강도의 증가가 가능해지는 외에, 전술한 치수 정밀도의 부가적인 향상과 패널의 실현성이 보다 높아진다.

Claims (6)

  1. 기단부와,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6)에 끼워지는 선단부를 갖는 판형의 훅 플레이트(3)를 포함하며, 상기 기단부에는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형성된 삽입 구멍(13)에 끼워져서 걸어맞춤되는 결합부(10)가 돌출되며, 상기 선단부에는 상부 개방 결합홈(8)이 형성된 상향 훅(4)이 제공되고, 상기 상부 개방 결합홈(8)에는 교차 부재(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볼트가 저부에 낙하하며, 상기 결합부(10)는 훅 플레이트(3)의 기단부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고 훅 플레이트(3)와 동일한 판 두께를 갖는 돌출부(9)와, 상기 돌출부(9)의 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고착된 고정 플레이트(11)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10)에는 훅 플레이트(3)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9)의 하면을 따라 둥근 봉으로 이루어진 부착부(12)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 플레이트(3)는 기단부로부터 상하 두 개 이상의 결합부(10)가 돌출되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4)에 제공된 결합홈(8)의 선단측의 내측면(8a)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구.
  4. 기둥 모양의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다른 기둥 모양의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을 당접시켜서, 상기 두 부재의 교차 상태로 하고 상기 토대 부재(1)와 교차 부재(2)에 볼트로 고정되는 플레이트 모양의 축조구에 의하여 상기 두부재를 연결 고정하는 목조 건축의 축조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토대 부재(1)의 축조면에 형성된 삽입 구멍(13)에 판형의 훅 플레이트(3)의 결합부(10)를 삽입하여 하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훅 플레이트(3)를 고정하고 교차 부재(2)의 당접 단면에 설치한 삽입홈(6)을 상기 훅 플레이트(3)에 끼우고 상기 삽입홈(6)을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여 교차 부재(2)에 끼워진 볼트를 훅 플레이트(3)에 상향으로 형성한 결합홈(8)내로 낙하시켜 위치를 결정하여 토대 부재(1)의 교차 부재(2)를 축조 고정하며, 상기 결합부(10)는 훅 플레이트(3)의 기단부의 면에서 돌출하는 훅 플레이트(3)와 동일한 판 두께 갖는 돌출부(9)와, 상기 돌출부(9)의 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고착된 고정 플레이트(11)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10)에는 훅 플레이트(3)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9)의 하면을 따라 둥근 봉으로 이루어진 부착부(12)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 부재(1)의 삽입 구멍(13)과 훅 플레이트(3)의 결합부(10)는 상하로 두 개이상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훅 플레이트(3)의 결합홈(8)은 선단측의 내측면(8a)이 상방으로 개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조 건축용 축조 구조물.
KR1019930010026A 1993-06-04 1993-06-04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KR015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026A KR0156585B1 (ko) 1993-06-04 1993-06-04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0026A KR0156585B1 (ko) 1993-06-04 1993-06-04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36A KR950001036A (ko) 1995-01-03
KR0156585B1 true KR0156585B1 (ko) 1998-11-16

Family

ID=1935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026A KR0156585B1 (ko) 1993-06-04 1993-06-04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211B1 (ko) * 2022-07-04 2023-12-13 (주)한도공영 아케이드용 안전 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211B1 (ko) * 2022-07-04 2023-12-13 (주)한도공영 아케이드용 안전 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36A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754A (en) Framework structure for wooden building and framework member
US6402415B1 (en) Anchoring biscuit device
KR102124775B1 (ko)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CA2885709C (en) Truss
CA2261526A1 (en) Composite wooden beam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beam
KR0156585B1 (ko) 목조건축용 축조구 및 이 축조구를 사용하는 축조구조물
JP5430483B2 (ja) 連結金具
JP2867127B2 (ja) 木製柱状部材の軸組構造及び軸組具
JP4769040B2 (ja) 屋根部の施工方法
JP2024035048A (ja) 建物
JPH10325176A (ja) 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200182227Y1 (ko) 구조용 집성재 연결 브라켓트
JP2593562Y2 (ja) 木造建築用の軸組構造及び軸組具
JP4708912B2 (ja) 屋根部の施工方法
JP2512070B2 (ja) 住宅用直方体ユニット
GB2519812A (en) Improvements in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GB2374643A (en) A butt joint between the end of a timber I-beam and a transverse closure
JPH108557A (ja) 木造建築物の接合構造
WO2022148905A1 (en) Element structure and wall
JPH0657977B2 (ja) 建築部材用継手装置
JPH1113151A (ja) 柱・梁間の接合構造
JP2024102432A (ja) 木質材料からなる壁部材の設置構造
JP3152066B2 (ja) 柱と横架材との接合構造
JPH0735676B2 (ja) 建築部材用継手
JPH02304135A (ja) 軸組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