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383B1 - 감감작제 - Google Patents

감감작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383B1
KR0155383B1 KR1019900013797A KR900013797A KR0155383B1 KR 0155383 B1 KR0155383 B1 KR 0155383B1 KR 1019900013797 A KR1019900013797 A KR 1019900013797A KR 900013797 A KR900013797 A KR 900013797A KR 0155383 B1 KR0155383 B1 KR 015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dar pollen
cedar
sensitizer
pollen allergen
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881A (ko
Inventor
죠꾸 마쓰하시
미쓰꼬 우스이
마사가즈 미쓰하시
순사꾸 안도오
Original Assignee
하야시바라 겐
가부시기 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겡규우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야시바라 겐, 가부시기 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겡규우죠 filed Critical 하야시바라 겐
Publication of KR91000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61K39/36Allergens from pol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신규의 감수성감퇴제는 부분 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 부터 시작하는 ALa-ILe-Asn-ILe-Phe-Asn-의 배율을 지닌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공유결합에 따라 제조되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감수성 감퇴제는 원래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비교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G 및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의 산생을 현제히 촉진하지만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룰로불린 E 항체의 산생을 현저히 감소한다. 따라서, 감수성 감퇴제는 아니필락시스나 알레르기의 두려움도 없이 삼나무 화분 환자들에 투여할 수 있고, 또, 감수성감퇴에 소요되는 시간도 약 1/3~1/200으로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감감작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감감작제(減感作劑)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특히 부분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 부터 차례로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결합시킨 감감작제에 관한 것이다. 삼나무 화분증은 삼나무의 개화시에 비산하는 화분에 의하여 일으키게 되는 알레르기증이다. 근년에 와서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삼나무의 조림면적의 증대에 따라서 삼나무 화분증 환자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고 계절적인 증세발생이라고는 하지만 공중 위생상 무시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종래, 삼나무 화분증의 치료법으로서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나 크로모글리크산 2 나트륨 등이 투여되고 있으나 이것들은 어느것이나 대중요법이었으므로 단순히 환자의 증세를 일시적으로 완화함에 불과하였다. 한편, 삼나무 화분증의 원인물질인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투여하여 감감작(hyposensitization)하여 삼나무 화분증을 근치하려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감작 요법에서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의한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의 위험이 따를 뿐아니라 이 위험을 피하고자 알레르겐을 소량씩 투여하는 것을 필수로 하고 그 치료기간은 약 3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친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더욱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은 유리 용기, 금속 용기 등에 매우 흡착되기 쉬우므로, 감감작함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일정량씩 투여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여 취급시에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개량에 착안하여 새로운 감감작제의 확립을 목표로 예의 연구한 다음 이미 일본국 특허공개 제 156926/89호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 결합시킨 감감작제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감감작제는 대부분의 환자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은 판명되기는 하였지만 일부에 아직 이 감감작제로 감감작하기 어려운 환자가 있다는 것을 판명하였다. 따라서 삼나무 화분에 존재하는 알레르겐 자체에 대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하여 신규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검색한 결과, 이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 결합시킨 감감작제를 확립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된 것으로서, 신규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특히 아래의 (i)~(iii)의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i) 부분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부터 순차로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신규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이 화분속에 소량 존재한다.
(ii) 이 신규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이 일본국 특허공개 제 156926/8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은 부분 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부터 순차로 Asp-Asn-Pro-Ile-Asp-Ser-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약 1/50~1/5량으로 삼나무 화분에 존재한다.
(iii) 이 신규의 삼나무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결합시킨 감감작제가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은 일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오모테 삼나무, 우라 삼나무)의 화분으로 부터 조제되는 알레르겐으로서, 그 구조가 부분 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 부터 순차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하고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기는 N 말단으로 부터 차례로 Ala-Ile-Asn-Ile-Phe-Asn-Val-Glu-Lys-Tyr-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알레르겐이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당질이라 함은 예컨대 전분, 아밀토스, 덱스트란, 폴리수크로스, 풀룰란, 엘시난, 커어들란(curdlan),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고무, 구아검, 크산탄검, 카라기난, 펙틴, 셀룰로오스, 글루코만난, 키토산,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등의 각종 단순 다당류 혹은 복합 다당류, 이들 다당류의 유도체 또는 이들 다당류의 부분 가수분해물 등을 자유로히 이용할 수 있고 그 평균 분자량은 통상 500~10,000,000, 특히 10,000~1,000,000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풀룰산, 엘시난 또는 이들의 부분 가수분해물 등의 말토트리오스 잔기를 반복단위로 하는 수용성 중성 다당류에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공유시킴에 따라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의한 아나필락시스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다 효과가 높은 삼나무 화분증 감감작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매우 합리적이다.
또한 대장균, 살모넬라균, 세라티아균 등의 미새울로 부터 유래하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등의 복합 다당류 또는 이들의 부분 가수 분해들의 사용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공유결합함으로써 점막 등의 결합성이 뛰어나 있기 때문에, 경피 또는 경점피형 감감작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공유결합 방법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결합할 수 있는 각종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디아조법, 펩티드법, 알킬화법, 가교법, 아미드 결합법, 과옥소산 산화법, S-S 결합법 등이 있다.
디아조법에서는 예컨대 p-아미노벤질기, p-아미노벤조일기, m-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조일기, m-아미노아니솔기, m-아미노벤질옥시메틸기, 3-(p-아미노페녹시)-2-히드록시프로피오닐기, 3-(p-아미노-m-메틸아닐리노)-5-클로로트리아지닐기 등의 방향족 아미노기를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당질에 도입하여 얻은 활성화 당질과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반응시킨다.
펩티드법에서는 예컨대, 카르복실기를 가진 당질을 예컨대 아지드, 산클로리드, 카르보디이미드, 이소시아네이트 등과 반응시켜 얻는 카르복실기를 가진 당질 유도체인 당질 카르보네이트, 브롬화시안 활성화 당질 등의 활성화 당질과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반응시킨다.
알킬화법에서는 예컨대 클로로아세틸기, 브로모아세틸기, 요오도아세틸기, 할로겐화 트리아지닐기 등을 도입한 당질 할로겐화 알킬 유도체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반응시킨다.
가교법에서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공존하에 예컨대 글루타르알데히드, 글리옥살, 숙신알데히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아조벤지딘, N,N'-에틸렌-비스-말레이미드 등의 가교 시약을 반응시킨다.
아미드 결합법에서는 아미노기를 지닌 당질을, 예컨대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 클로로부틸릴 클로라이드, 플루오로프로피오닐 플루오라이드, 요오도발레릴 아이오다이드 등의 할로아실 할라이드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활성화 당질과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반응시킨다.
반응할 때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중량비는 보통 1:0.001~1:1,000, 바람직하기는 1:0.01~1:100으로 부터 선택된다.
반응조건은 생성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당질 결합물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본래의 이무노글로불린 G 및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의 산생능을 실질적으로 저하시키는 일이 없이 아나필락시스 및 알레르기를 야기하는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 산생능을 현저히 감소할 수 있는 조건이면 좋고, 통상은 온도 약 0~100℃, pH 약 3~12에서 약 0.1~50시간의 범위가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당질 결합물을 통상적으로 예컨대, 여과, 세정, 원심분리, 염석, 투석, 흡탈착, 겔여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영동 등의 방법으로 분리정제한 다음, 농축하여 용액상 또는 시럽상으로 채취하거나, 다시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채취하여 삼나무 화분증에 대한 감감작제를 얻는다.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예컨대 안정제, 방부제, 보조제,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제 및 치료제 등으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제조되는 감감작제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경우와 비교하여 이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G와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의 산생을 현저히 증대하는 한편, 알레르기나 아나필락시스를 야기하는 이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의 산생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삼나무 화분증 환자에 투여하여 이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비교하여 유리 용기, 금속기구 등에의 흡착손실도 없어, 안정성이 양호하고, 또한 아나필락시스의 우려도 없이 투여할 수 있고, 감감작에 소요되는 시간도 약 1/3~1/200로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예컨대 동결건조 주사제, 용액 주사제 등의 주사제로서 제조되어 피부내, 피하, 근육내, 복강내 등에 성인 1회당 약 0.01~100,000ng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양을 매주 1~2회 정도, 약 1~12개월간 투여함으로써 감감작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예컨대 정제, 설하정, 점안제, 비강내 분무제, 습포제, 크리임제, 로우션제 등의 경피 및 경점 파악으로서도 제조되어, 그 투여량, 투여빈도 등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그 감감작의 목적을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국소투여 방법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감감작제가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조직에 결합해 있는 이무노글로불린 E와 알레르겐의 결합을 저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작용은 투여된 국소조직에서 즉효성이 있으므로 환자의 고통을 곧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제 및 치료제 뿐만아니라, 노송나무(Cupressus) 화분증의 예방제 및 치료제로서도 유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이 감감작제는 일본국 특허공개 제 156926/89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감감작제와 병용함으로써 치료대상 환자를 넓히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험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실험 1-1]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제조]
일본국 치바현 산출의 삼나무(오모데 삼나무)에서 채취한 삼나무 화분에 중량으로 약 15배량의 0.125M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pH 8.0)을 가하고, 4℃에서 천천히 1시간 교반추출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얻었다. 잔류물을 마찬가지로 재차 추출하여 원심분리하였다. 이 상청액을 황산 암모늄 염석(80% 포화)하여 얻는 염석물을 투석 및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DEAE-Sephadex(스웨덴국의 Pharmacia LKB Biotechnology 판매)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비흡착 확분을 채취하고, 이것을 CM-Sephadex 칼럼(스웨덴국의 Pharmacia LKB Biotechnology 판매)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인삼염 완충액(pH 7.0)으로 용출한 다음, 이어서 Mono S 칼럼(스웨덴국의 Pharmacia LKB Biotechnology 판매)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Tris-HCl 완충액(pH 7.0) 존재하에서 염화 나트륨 농도 기울기로 분리용출하여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 및 항(抗)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에 대해 강한 친화성을 나타내는 정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함유액을 원료인 삼나무 화분에 대하여 고형물당 약 0.001%의 수율로 얻었다.
본 발명의 알레르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Mono S 칼럼으로 부터의 분리 용출에 있어 먼저 출원한 일본국 특허공개 제 156926/89호 공보에 개시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이 염화 나트륨 농도 약 0.25M에서 용출되었음에 대하여 본 발명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은 염화 나트륨 농도 약 0.40M에서 용출되어, 그 수득량은 상기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에서 이미 발표한 바와같이 알레르겐의 약 1/20이였다. 이 제품을 SDS-PAGE로 측정하였던 바, 분자량 약 40,000±5,000이고, 등전점은 약 9.5 부근이었다. 이 제품을 사용하여 문헌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Vol. 256권, pp. 7990~7997(1981)]에 기재된 바와같이 하여 기상(gas-phase) 프로테인 시이퀀서로 분해하고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동종임을 확인한 다음 부분 아미노산 배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N 말단으로 부터 순차로 알라닌-이소로이신-아스파라긴-페닐알라닌-아스파라긴-발린-글루탐산-리신-티로신의 배열을 가지고 있음을 판명하였다. 이 배열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어느것이나 L 배위의 광학 이성체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아미노산 잔기는 어느것이나 L 배위의 광학 이성체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Ala-Ile-Asn-Ile-Phe-Asn-Val-Glu-Lys-Tyr-으로 간략히 나타낼 때도 있다.
[실험 1-2]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풀룰란의 공유 결합물의 제조]
풀룰란(평균분자량 200,000)의 2w/v% 수용액 100㎖에 1.7w/v% 염화 시아누르의 아세톤 용액 2㎖를 가하고, 빙수중에서 5℃ 이하에서 방치하고 5%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해 pH를 7.0으로 조정한 후, 이 pH를 유지하면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이 pH를 유지하면서 4℃의 물에 대해 하룻밤 투석하여 활성화 풀룰란액을 얻었다. 이 활성화 풀룰란액 30㎖에 실험 1-1의 방법으로 얻은 정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용액 40㎖(1㎖당 약 1㎎의 알레르겐을 함유한다)를 가하여 교반하면서 pH 7.0, 37℃에서 5시간 유지하고, 이어서 5℃에서 하룻밤 방치한 다음, 여기에 글리신 6g을 가하여 교반하면서 10시간 유지하였다. 이것을 0.01M 아세트산 완충액(pH 5.0)에 대해 투석하고, 이어서 CM-Sephadex 칼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비흡착 획분을 얻은 다음, 정밀여과하여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을 얻었다. 그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60%이었다. 이 제품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경우와는 달리 유리 용기, 금속 기구에의 흡착 손실도 없고 안정성이 양호하여 취급하기 용이하다.
[실험 1-3]
[동물에의 투여 시험]
[실험 1-3-1]
[예방작용시험]
마우스(BALB/C, 10-12 주령, 암컷, 1군 4마리)를 이용하여 실험 1-2의 방법으로 얻은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을 알레르겐으로서 1㎍을 함유한 생리 식염수 0.2㎖을 매주 1회, 3주에 걸쳐서 복강내에 투여하고, 1주간 후에 실험 1-1의 방법으로 얻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1㎍와 보조약으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4㎎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 0.2㎖을 마찬가지로 투여하였다.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G,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량 및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은 알레르겐과 수산화 알루미늄 혼합물의 투여 직전과 투여 종료 1주간 경과후에 채혈하여 측정하였다. 대조로서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 대신에 실험 1-1의 방법으로 제조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1㎍와 실험 1-2에서 사용한 풀룰란 40㎍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였다. 더우기, 이무노글로불린 G와,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량은 문헌 [The Journal of Biochemistry, 92, Vol. pp. 1413~1424(1982)]에 기재된 효소면역 흡착 측정법(EIA)에 의한 항체값으로 평가하였고,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은 문헌 [Life Science, Vol. 8, Part II, pp. 813~820(1969)]에 기재되어 있는 PCA(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반응에 의한 항체값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kpo00001
표 1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풀룰란의 공유결합물은 그들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달리 삼나무 화분증을 예방하는 감감작제로서 가장 적합하다.
[실험 1-3-2]
[치료활성시험]
마우스 (BALB/C, 10~12 주령, 암컷, 1군 6마리)를 이용하여 실험 1-1의 방법에서 얻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1㎍와 보조약으로서 수산화 알루미늄 4㎎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생리식염수 0.2㎖를 매주 1회, 3주에 걸쳐서 복강내에 투여하고, 2주 후에 실험 1-2의 방법으로 얻은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을 알레르겐으로서 1㎍ 함유한 생리 식염수 0.2㎖를 매주 3회, 3주에 걸쳐서 마찬가지로 투여하였다. 더욱이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 산생을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수산화 알미늄 혼합물을 투여하여 유도하였다. 이무노글로불린 G,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량 및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의 복강내 투여직전과 투여종료 1주간 경과후, 그리고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합물의 복강내투여에 의한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 재유도 1주간 경과후에 채혈하여 측정하였다. 대조실험은 삼목화분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 대신에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풀룰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험 1-3-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Figure kpo00002
표 2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풀룰란의 공유결합물은 그들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달리 삼나무 화분증을 치료하는 감감작제로서 가장 적합하다. 또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합물의 투여에 따라 미리 감작시켜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를 생성시킨 기니아피그, 래트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수산화 알루미늄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를 구강내, 비강내, 표피내 또는 피하에 투여하고, 그 1시간 후에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구강내, 비강내, 표피내 또는 피하에 투여하였던 바, 본래 일어나야 할 화분 알레르기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공유 결합물은 아나필락시스의 우려도 없고 높은 감감작 효과를 발휘하므로 삼나무 화붕증을 예방 또는 피료하기 위한 감감작제로서 가장 적합하다.
[실험 2-1]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공유결합물의 제조]
대장균으로 부터 유래하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10㎎을 함유하는 10mM 인산 칼슘 용액 1㎖에 100mM과 요오드산 나트륨 60㎕을 가하고,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켜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당쇄를 분열시킨 다음, 4℃의 1M-글리신 염산 완충액(pH 4.4)에서 하룻밤 투석하여 과잉량의 과요오드산 나트륨을 제거한 다음 여기에 0.1M-탄산 수소 나트륨 완충액을 가하여 pH를 약 9.5로 조정하였다. 또한 인산 완충액(pH 9.5) 1㎖에 실험 1-1의 방법으로 얻은 정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10㎎을 용해하고 여기에 상술한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용액을 혼합하여 시프 염기(Schiff base)를 형성시켰다. 이어서 수소화 붕소 나트륨을 가하여 복합체의 형성반응을 완료하고, 이 반응액을 Sephadex G-100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획분을 채취하고, 이 획분을 정밀여과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을 얻었다. 그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40%이었다. 이 제품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경우와는 달리 유리용기 등에의 흡착손실도 없고, 안정성이 양호하여 취급하기 용이하다.
[실험 2-2]
[동물에의 투여시험]
마우스(BALB/C, 10~12 주령, 암컷, 1군 6마리)를 사용하여 실험 2-1의 방법으로 얻은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을 알레르겐으로서 10㎍을 함유한 생리 식염수 1㎖을 마우스에 매주 3회, 3주에 걸쳐서 경구투여하고, 이어서 그 투여 1주간 마우스에 매주 3회, 3주에 걸쳐서 경구토여하고, 이어서 그 투여 1주간 경과후에 채혈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A, 이무노글로불린 G의 항체량 및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을 측정하였다. 대조시험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 대신에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의 혼합물을 사용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무노글로불린 A 및 이무노글로불린 G 항체량은 문헌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Vol. pp. 355~362(1975)]에 기재된 EIA법에 의한 항체값으로 평가하였고,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량은 실험 1-3-1에서 사용한 PCA 반응에 의한 항체값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kpo00003
표 3의 결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은 이들의 단순한 혼합물과는 달리 삼나무 화분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감감작제로서 가장 적합하다. 또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합물의 투여에 따라 미리 감작시켜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를 형성시킨 마우스를 사용하여 상기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생리 식염수를 구강내 및 비강내에 분무하고 30분 후에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을 구강내 및 비강내에 분무하였던 바, 본래 일어나야 할 알레르기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 등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복합다당류의 공유결합물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 등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단순다당류의 공유결합물의 경우와 비교하여 점막 결합성이 우수하여 국소 조직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점막에서의 흡수율이 높아서 경구, 경비강 등 경피, 경점피형의 감감작제로서 보다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1)]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제조]
일본국 아끼다현 산출의 삼나무(우라 삼나무)로부터 채취한 삼나무 화분을 사용하여 실험 1-1의 방법에 준하여 정제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액을 제조하여 원료인 삼나무 화분에 대하여 고형물당 약 0.001%의 수율로 얻었다. 이 제품은 SDS-PAGE로 측정하였던 바, 분자량 약 40,000±5,000이고, 등전점은 약 9.5 부근이였다. 또, 이 제품을 사용하여 실험 1-1의 방법에 준하여 부분 아미노산 배열을 조사하였던 바 그 N 말단으로 10번째까지의 아미노산 배열이 실험 1-1에서 설명한 오모데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화분 알레르겐의 부분아미노산 배열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2)]
[감감작제]
풀룰란(평균 분자량 약 140,000) 5g을 물 400㎖에 용해하여 1N-수산화나트륨액으로 pH를 10.7로 한 다음, 이 pH를 유지하면서 브롬화 시아노겐 3g을 서서히 가하여 1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1N-염산으로 pH를 5.0로 한다음, 이 pH를 유지하면서 냉수로 투석하여 활성화 풀룰란액을 제조하였다. 이 활성화 풀룰란액에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한 우라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화분 알레르겐액 200㎖을 가하여 실온하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후, 반응액의 3배량의 아세톤을 가하여 침전물을 채취하고 이것을 0.01M 아세트산 완충액(pH 5.0)에 용해하여 원심분리해서 불용물을 제거한 다음, 상청액을 CM-Sephadex 컬럼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비흡착 획분을 얻고, 이것을 정밀여과하여 여액을 앰푸울에 넣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풀룰란 공유 결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감감작제를 얻었다.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70%였다.
이 제품은 아나필락시스의 우려도 없고 높은 감감작 효과를 발휘하므로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제,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하다. 또, 이 제품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경우와는 달리 유리용기, 금속기구에의 흡착손실도 없고 안정성이 양호하여 취급하기 용이하다.
[실시예 2]
풀룰란 부분 가수분해물(평균 분자량 약 10,000) 52g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10㎖에 가온하면서 용해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하여 여기에 10㎖의 피리딘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4-니트로벤조일 클로리드 1.0g을 첨가하여 실온하에서 17시간 유지하였다. 여기에 2배 용량의 n-프로필 알코올을 가하고 침전물을 채취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였다.
이러한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침전을 5w/v% 소디움 히드로설파이드 수용액 100㎖에 용해하여 80℃에서 30분간 유지한 다음, 활성탄으로 탈색하고 2배 용량의 n-프로필 알코올을 가해 침전시킨 것을 물에 용해하여, 하룻밤 수도물로 투석하였다.
이 용액을 2℃ 이하로 냉각하여 교반하면서 염산을 최종 농도 약 0.1N가 되도록 가하고, 이어서 아질산 나트륨을 약 1w/v%가 되도록 가한 다음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2℃ 이하의 증류수로 2시간 투석하여 활성화 풀룰란 부분가수 분해물을 얻었다. 이 활성화 풀룰란 부분 가수분해물 용액에 실험 1-1의 방법으로 얻은 오모데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액 20㎖를 가하고 탄산 나트륨 수용액을 가해 pH 8.5로 하여 4℃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2시간 결합반응시킨 다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정제하여 앰푸울에 넣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풀룰란 부분 가수분해물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액상 감감작제를 얻었다.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60%였다.
이 제품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삼나무 화분증 등의 예방제,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하고 유리 용기, 금속기구에의 흡착손실도 없고, 안정성이 양호하여 그 취급도 용이하다.
[실시예 3]
엘시난(평균 분자량 약 20,000) 10g을 20㎖ 증류수 속에 가온하면서 용해하고,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하여 여기에 헥사메틸렌디아민 5g을 첨가한 다음, 1N-수산화 나트륨액으로 pH를 11.0으로 하였다. 이것을 방수속에서 20℃ 이하로 유지함과 동시에 이 온도와 pH를 유지하면서 브롬화 시아노겐 5g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30분간 반응시키고 이어서 4℃의 증류수 속에서 1시간 투석하여 활성화 엘시난 용액으로 하였다.
이 활성화 엘시난 용액에 25w/v% 글루타르알데히드액 2㎖와 실험 1-1의 방법으로 제조한 오모데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액 60㎖을 가하고, 다시 1M 아세트산 완충액(pH 5.0)을 10㎖ 첨가하고, 4℃에서 24시간 교반하면서 결합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글리신을 농도 1M가 되도록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유지하고, 다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을 겔여과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엘시난 공유 결합물의 획분을 채취하였다. 이것을 농축하고 정밀여과하여 병에 넣어 동결 건조한 다음, 밀봉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엘시난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고형의 감감작제를 얻었다.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징당 약 50%이었다.
이 제품은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제,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하고 그 취급도 용이하다.
[실시예 4]
1w/v%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평균 분자량 약 20,000) 수용액 200㎖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메티오디드 2g을 첨가하고 1N-염산을 가해 pH를 4.0로 조정하고, 이 pH를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실온하에서 2시간 반응시킨 다음, 증류수에서 하룻밤 투석하여 활성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활성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에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한 우라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액 50㎖를 첨가하고 pH를 4.5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실온하에서 하룻밤 결합 반응시킨 다음,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정제하여 앰푸울에 넣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액상의 감감작제를 얻었다.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30%이였다.
이 제품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풀룰란 공유결합물,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엘시난 공유결합물의 경우보다도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G 항체와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 산생량이 약간 낮지만, 이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E 항체의 산생은 없어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제,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취급도 용이하다.
[실시예 5]
살모넬라균으로 부터 유래하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100㎎을 약 4℃의 50% 포화 아세트산 나트륨 25㎖에 가하고 0.5N-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 9.0으로 하여 여기에 브로모아세틸 브로마이드 20㎕와 무수디옥산 1㎖의 혼합용액(pH 약 8.5)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6N-염산을 사용하여 pH 약 4.5로 조정하고, 4℃의 물에서 5일간 투석하여 활성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 활성화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용액에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한 우라 삼나무로 부터 유래하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40㎖를 첨가하고 pH를 4.5로 유지하여 교반하면서 25℃에서 2일간 반응시킨 다음,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정제하고 앰푸울에 넣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리포폴리사카라이드 공유결합물을 함유하는 액상의 감감작제를 수득하였다. 수율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당 약 35%이였다.
이 제품은 삼나무 화분 등의 예방제, 치료제로서 가장 적합하여 그 취급도 용이하다.
또한 당질로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사용하는 이 제품은 점막 결합성이 우수하여 국소조직에 머무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점막에서의 흡수가 높고 경구, 경비강 등의 경피, 경점피형 감감작제로서 보다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한 것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신규의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특히 부분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 부터 순차로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을 공유결합한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경우와 비교하여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이무노글로불린 G, 이무노글로불린 M 항체 산생을 현저히 증대함과 동시에 알레르기나 아나필락시스의 우려없이 투여할 수 있고 감감작에 소요되는 기간도 약 1/3~1/200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조직에 결합하고 있는 이무노글로불린 E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항원항체반응을 저지하여 환자의 국소에서의 고통을 즉효적으로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경피, 경점피약 등의 국소투여제로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 본 발명의 감감작제는 유리용기, 금속기기 등에의 흡착손실도 없고,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비교하여 안정성이 양호하고 취급하기도 용이하므로 그 공업적 의의는 크다.

Claims (26)

  1. 부분 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부터 시작하여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당류를 공유결합시켜서 된 공유결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부분 아미노산 배열이 그 N 말단으로 부터 시작하여 Ala-Ile-Asn-Ile-Phe-Asn-Val-Glu-Lys-Tyr-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공유결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은 일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의 화분으로 제조된 것인 공유결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분자량은 SDS-폴리아크릴 아미드겔 전기영동법으로 측정하여 약 40,000±5,000인 공유결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등전점은 약 9.5인 공유결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중량비는 1:0.001~1:1,000의 범위에 있는 공유결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당질은 말로트리오스를 주반복 단위로 하는 글리칸(glycan)인 공유결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글리칸은 풀룰란, 엘시난 또는 이것들의 부분 가수분해물인 공유결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당질의 분자량은 500~10,000,000의 범위에 있는 공유결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당질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인 공유결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또는 세라티아균류의 미생물로 부터 유래하는 것인 공유결합물.
  12. 부분 아미노산 배열로서 그 N 말단으로 부터 차례로 Ala-Ile-Asn-Ile-Phe-Asn-의 배열을 가진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류를 공유결합시킨 것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해서 되는 감감작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은 N 말단으로 부터 차례로 Ala-Ile-Asn-Ile-Phe-Asn-Val-Glu-Lys-Tyr-의 부분 아미노산 배열을 가지고 있는 감감작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이 일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의 화분으로 부터 제조된 것인 감감작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분자량은 SDS-폴리아크릴 아미드겔 전기영동법으로 측정하여 약 40,000±5,000인 감감작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등전점은 약 9.5인 감감작제.
  17. 제12항에 있어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당질의 중량비는 1:0.001~1:1,000의 범위에 있는 감감작제.
  18. 제12항에 있어서, 당질은 말로트리오스를 주반복 단위로 하는 글리칸인 감감작제.
  19. 제18항에 있어서, 글리칸은 풀룰란, 엘시난 또는 이들의 부분 가수분해물인 감감작제.
  20. 제12항에 있어서, 당질의 분자량은 500~10,000,000의 범위에 있는 감감작제.
  21. 제12항에 있어서, 당질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물인 감감작제.
  22. 제21항에 있어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또는 세라티아균류의 미생물로 부터 유래하는 것인 감감작제.
  23. 제12항에 있어서,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증의 치료용인 감감작제.
  24. 제12항에 있어서, 감감작제는 삼나무 화분증의 예방용인 감감작제.
  25. 제12항에 있어서, 감감작제는 성인 1회당 0.01~100,000ng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감감작제.
  26. 제12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안정제, 발부제, 보조제 및 부형제로 된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1종인 감감작제.
KR1019900013797A 1989-09-02 1990-09-01 감감작제 KR0155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8085 1989-09-02
JP1228085A JP2838800B2 (ja) 1989-09-02 1989-09-02 減感作剤
JP01-228085 1989-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881A KR910005881A (ko) 1991-04-27
KR0155383B1 true KR0155383B1 (ko) 1998-11-16

Family

ID=1687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797A KR0155383B1 (ko) 1989-09-02 1990-09-01 감감작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73628A (ko)
EP (1) EP0416816B1 (ko)
JP (1) JP2838800B2 (ko)
KR (1) KR0155383B1 (ko)
CA (1) CA2024167A1 (ko)
DE (1) DE690144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9534A (en) * 1992-05-21 1999-02-09 The Picower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Glycosylation of lipids and lipid-containing particle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thods and materials derived therefrom
US6090386A (en) * 1991-07-12 2000-07-18 Griffith; Irwin J. T cell peptides of the CRX JII allergen
US6982326B1 (en) 1991-07-12 2006-01-03 Immulog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Allergenic proteins and peptides from Japanese cedar pollen
JP3575802B2 (ja) * 1991-07-12 2004-10-13 イミユロジク・フアーマシユーチカル・コーポレーシヨン 日本杉花粉からのアレルゲン性蛋白質及びペプチド
AU5668194A (en) * 1992-11-12 1994-06-08 Immulog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Allergenic proteins and peptides from japanese cedar pollen
JP3512452B2 (ja) * 1993-12-21 2004-03-29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ポリペプチド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H07188291A (ja) * 1993-12-27 1995-07-25 Hayashibara Biochem Lab Inc 蛋白質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762943A (en) * 1996-05-14 1998-06-09 Ribi Immunochem Research, Inc. Methods of treating type I hypersensitivity using monophosphoryl lipid A
DE19957904A1 (de) * 1999-12-01 2001-06-07 Merck Patent Gmbh Insektengift-Allergene mit verminderter IgE-Reaktivität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2201141A (ja) 2000-10-27 2002-07-16 Hayashibara Biochem Lab Inc 蛋白質合成抑制遺伝子の発現増強剤
EP1446156A2 (en) * 2001-11-13 2004-08-18 Vlaams Interuniversitair Instituut voor Biotechnologie vzw. Method to obtain protection against bystander allergen
DE10209822A1 (de) 2002-03-06 2003-09-25 Biotechnologie Ges Mittelhesse Kopplung niedermolekularer Substanzen an ein modifiziertes Polysaccharid
DE10209821A1 (de) * 2002-03-06 2003-09-25 Biotechnologie Ges Mittelhesse Kopplung von Proteinen an ein modifiziertes Polysaccharid
DE10242076A1 (de) * 2002-09-11 2004-03-25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HAS-Allergen-Konjugate
BR0314107A (pt) * 2002-09-11 2005-07-19 Fresenius Kabi De Gmbh Método de produção de derivados de hidroxialquil amido
FR2850274B3 (fr) * 2003-01-27 2005-03-11 Gattefosse Ets Sa Extrait de bourgeons de cryptomeria japonica d.don
WO2005014655A2 (en) * 2003-08-08 2005-02-17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tes of hydroxyalkyl starch and a protein
CA2558738C (en) 2004-03-11 2013-02-05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tes of hydroxyalkyl starch and a protein, prepared by reductive amination
ES2390885T3 (es) * 2004-03-11 2012-11-19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dos de hidroxialquilalmidón y una proteína
EP1762250A1 (en) * 2005-09-12 2007-03-14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tes of hydroxyalkyl starch and an active substance, prepared by chemical ligation via thiazolidine
JP4958477B2 (ja) * 2006-05-25 2012-06-20 スノーデン株式会社 花粉症軽減用パップ剤
EP2563390A4 (en) 2010-04-30 2014-05-14 Allovate Llc METHOD AND ARTICLE FOR PREVENTING OR REDUCING THE RISK OF DEVELOPING A HYPERALGENIC IMMUNE SYSTEM
PT2563316T (pt) * 2010-04-30 2019-05-27 Allovate Llc Pasta de dentes para desensibilização alérgica através da mucosa oral
ES2556985T3 (es) 2011-01-11 2016-01-21 Capsugel Belgium Nv Nuevas cápsulas duras que comprenden pululano
PT2908857T (pt) * 2012-10-19 2017-09-11 Hal Allergy Holding B V Composições para imunoterapia
EP3290049A4 (en) * 2015-05-01 2018-12-26 Nitto Denko Corporation Allergy vaccine composition
CA3059529A1 (en) 2017-04-14 2018-10-18 Capsugel Belgium Nv Process for making pullulan
WO2018189584A1 (en) 2017-04-14 2018-10-18 Capsugel Belgium Nv Pullulan capsules
WO2024117232A1 (ja) * 2022-11-30 2024-06-06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免疫原性複合体及び医薬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123B2 (ja) * 1987-09-12 1997-03-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減感作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93730A (ja) 1991-04-18
KR910005881A (ko) 1991-04-27
US5073628A (en) 1991-12-17
JP2838800B2 (ja) 1998-12-16
EP0416816B1 (en) 1994-11-30
DE69014498D1 (de) 1995-01-12
EP0416816A1 (en) 1991-03-13
DE69014498T2 (de) 1995-05-11
CA2024167A1 (en) 199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383B1 (ko) 감감작제
JP2594123B2 (ja) 減感作剤
Marsh et al. Studies onallergoids' prepared from naturally occurring allergens: I. Assay of allergenicity and antigenicity of formalinized rye Group I component
US4158705A (en) Antigen-protein complex for blocking allergic reactions
DE60315827T2 (de) Verbesserte polysaccharid- und glykokonjugat-vakzine
JPH07188291A (ja) 蛋白質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960005731B1 (ko) 군락-자극 인자 및 그의 제조방법
HU185314B (en) Process for producing water-soluble immunostimulant glyco-proteins from klebsiella pneumoniae
KR0131204B1 (ko) 암 면역치료용 보조제
Crowley et al. Datura stramonium lecti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omogeneous lectin
JP3512452B2 (ja) ポリペプチド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KR20030096369A (ko) 저분자량 하이알루론산과 폴리펩티드 독소의 면역원성접합체
JPH03151400A (ja) 化学修飾されたアレルゲン類およびそれらの調製方法
JPS6042336A (ja) 免疫グロブリンの製造方法
Crowley et al. [30] Datura stramonium lectin
JP2832885B2 (ja) スギ花粉アレルゲン
CA1182749A (en) Non-allergenic protective antigens from molds
JPH07304794A (ja) スギ花粉アレルゲンとその製造方法
JPS63164895A (ja) 培養細胞由来のレクチン様蛋白質及びその製法並びに該物質を主成分とする抗腫瘍剤
JP3588166B2 (ja) ペプチドとその用途
KR100315929B1 (ko) 신규의폴리펩티드및이폴리펩티드를코우드하는디엔에이(dna)
JP3445593B2 (ja) ペプチドとその用途
JP3588165B2 (ja) ペプチドとその用途
JPS62283101A (ja) 制癌作用物質複合体の製造方法
JPS60136517A (ja) 食物摂取の選択的阻害物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