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699B1 - 다방향 입력스위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699B1
KR0147699B1 KR1019950010962A KR19950010962A KR0147699B1 KR 0147699 B1 KR0147699 B1 KR 0147699B1 KR 1019950010962 A KR1019950010962 A KR 1019950010962A KR 19950010962 A KR19950010962 A KR 19950010962A KR 0147699 B1 KR0147699 B1 KR 014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ody
hollow convex
operating
contacts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36A (ko
Inventor
다꾸야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끼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마사다까
Publication of KR95003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7/00Mechanism between key and laykey
    • H01H2237/004Canti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목적] 조작성이 우수하고, 저렴하고 또 방수성이 좋은 다방향 입력스위치를 제공한다.
[구성] 고정접점(4a~4d)를 가지는 기판(4)상에 중공블록부(5a~5d)를 가지는 클릭고무(5)를 재치하고, 이 클릭고무(5)와 조작체(3)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3)에 의하여 중간부가 구동되고, 일단측에서 중공블록부(5a~5d)의 선단표면을 각각 압압하는 회동체(6a~6d)와, 상기 회동체(6a~6d)의 각 타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7)를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체(7)에 조작체(3)의 경도범위를 규제하는 돌기(17a~17d)를 설치하고, 상기 중공블록부(5a~5d)의 선단표면을 각각 만곡면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스위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체와 지지체 및 회전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상기 다방향 스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체의 전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개구부 2:하우징
3:조작체 4:기판
4a~4d:고정접점 5:클릭고무
5a~5d:중공볼록부 6a~6d:회동체
7:지지체 8a~8c:가동접점
9:조작노브 10:기부
11:구체부 12:내측 원환부
13:외측 원환부 13b:구동편
14:연결부 15:원환부
16:받이부 16a:슬릿
17a~17d: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러 구동장치등에 사용되고, 조작체의 경도(傾倒)방향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다방향 스위치의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 소 59-18864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기판과, 내부에 가동 접점이 설치된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시이트상의 클릭고무와, 상기 조작체와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 조작체에 대한 경도 조작력을 상기 중공볼록부에 전달하는 구동체와, 상기 조작체와 구동체를 중립위치에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다방향 스위치에서는 조작체를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임의 방향으로 경도시키면, 경도방향에 위치하는 클릭고무의 중공볼록부가 구동체에 의하여 압압되어 클릭감을 생기게 함과 동시에, 상기 중공볼록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이 이에 대향하는 고정접점에 접촉하기 때문에,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조작체에 대한 경도 조작력을 해제하면, 스프링의 가세에 의하여 구동체와 조작체가 중립위치에 복귀함과 동시에, 중공볼록부가 자신의 탄발력에 의하여 비조작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져 당초의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또, 일본국 실공 평3-2363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을 가지는 기판과, 내부에 가동접점이 설치된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시이트상의 클릭고무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에 길이가 긴 돌출체와 그 주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짧은 돌기를 설치하고, 각 돌기의 하면을 클릭고무의 각 중공볼록부에 당접(當接)시킨 다방향 입력스위치도 제안되어 있다. 이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를 임의 방향으로 전도하면, 전도방향에 위치하는 중공볼록부가 돌기에 압압되나, 각 중공볼록부의 선단 표면에 외측으로부터 중심축으로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경도시에 그 중공볼록부의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내부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양호한 접촉상태를 얻을수가 있다. 또, 상기 조작체를 소정각도 경도하면, 돌출체의 하단의 일부가 클릭고무의 관통구멍을 삽통하여 기판에 당접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조작체의 경도 각도가 규제되기 때문에, 2조(組)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동시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일본국 실개 소59-3364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체에 하우징의 상방에 돌출하는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우징에 이 돌기가 계합하는 십자형의 안내홈을 설치한 다방향 입력스위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의 경도방향이 상기 안내홈에 의하여 4방향으로 규제되기 때문에, 2조이상의 스위치소자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실개 소59-188644호 공보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조작체와 구동체를 중립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의 탄성력을 크게 설정하여 확실한 중립상태를 실현하려고 하면, 클릭고무의 중공볼록부에서 발생하는 클릭감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감소되고, 조작필링(클릭감촉)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작게 설정하여 클릭감을 크게 하는 것도 생각되나, 이 경우에는 조작체와 구동체를 중립상태에 유지하는 복귀력이 약해져, 조작체의 중립상태가 불안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중공 볼록부가 좌굴(座屈) 변형한 후, 조작체에 다시 경도조작력을 가하면, 구동체가 좌굴 변형한 중공볼록부를 지점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경도조작이 종료한 것의 스토퍼 감각이 얻어질 수 없어, 이 점으로부터도 조작 필링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실공 평3-23639호 공보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클릭고무의 각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에 외측으로부터 중심측에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비대칭 형상의 중공볼록부는 조작 필링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있을뿐만 아니라, 클릭고무의 성형과정을 번잡하게 하여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체에 설치한 돌출체를 경(硬)질의 기판에 당접시킴으로써 2개이상의 스위치소자가 동시에 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으나, 기판상에 재치한 클릭고무에 돌출체가 삽통되는 삽통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내부에 침입한 물이나 쥬스등의 액체가 이 관통구멍을 거쳐 기판측에 침입하여 전기적으로 트러블등이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 실개 소59-33640호 공보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를 경도 조작할 때, 그 조작체의 돌기가 하우징의 안내홈에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체를 다른 2방향으로 전도시키는 경우, 안내홈의 일방향에 따라 전도한 조작체를 일단 중립으로 되돌린 후 그 조작체를 안내홈의 다른 방향에 따라 경도시킬 필요가 있어, 신속한 조작을 바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 그 제2의 목적은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안정된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값싸고 또 조작 피일링이 우수한 다방향 입력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또, 그 제3의 목적은 접점부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하면서 2조 이상의 스위치 소자의 동시 온을 방지됨과 동시에, 신속하게 입력조작을 행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의 목적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하고,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 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경도시킴으로써 그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각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의 경도조작력을 상기 중공볼록부에 전달하는 회전가능한 회전체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조작체의 상기 회동체에 대한 구동부를 그 회동체의 회동지점과 상기 중공볼록부에 대한 압압부와의 사이에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2의 목적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하고,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 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의 경도 조작력을 상기 중공볼록부에 전달하는 회전가능한 회전체를 각각 배치하고, 또 상기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을 만곡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제3의 목적은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하여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유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 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 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그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중공볼록부를 압압하는 복수의 회동체와, 그 회동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이들 조작체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조작체의 경도방향을 규제하는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의 경도시에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회동체의 중간부가 구동되어, 그 회동체의 일단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그 회동체가 회동하고, 타단측에서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을 압압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에 가해지는 압압력에 비하여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필요한 조작력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클릭고무의 중공볼록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조작체를 중심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중공볼록부에서 발생하는 좌굴변형에 대응하여 얻어지는 조작피일링이 양호하게 되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를 임의 방향으로 경도하면, 그 조작체에 의하여 경도방향에 배치된 회전체가 구동되고, 그 회동체가 회동하여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을 압압하나,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이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체와 중공볼록부는 점접촉된 상태로, 그 회동체의 회동에 따라 접촉부위가 이동하여 항상 상기 중공볼록부에 대하여 직하로의 압압력이 전달된다. 이 때문에, 상기 중공볼록부가 좌굴 변형중이더라도 그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이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고, 그 결과, 상기 선단내면의 가동접점이 상기 표면의 고정접점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안정된 접촉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중공볼록부는 대칭 형상이기 때문에, 중공볼록부가 좌굴 변형할 때에 양호한 조작피일링이 얻어지고, 또한 클릭고무의 성형공수의 번잡화를 억제하여 코스트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다방향 입력스위치에서는 조작체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돌기에 의하여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규제되기 때문에, 액체가 클릭측으로부터 기판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2조 이상의 스위치 소자가 동시에 온 상태가 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조작체를 다른 2이상의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일방향으로 경도한 조작체를 일단 중립위치에 복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속하게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구비되는 하우징의 일부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체와 지지체 및 회전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 제4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상기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조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상기 다방향 스위치에 구비되는 조작체의 전도 범위를 설명하는 도이다. 또한, 제6도의 (a)는 조작체의 비조작상태를 나타낸 도, 제6도의 (b)는 조작체를 앞쪽으로 경도한 상태를 나타낸 도, 제6도의 (c)는 조작체를 우측으로 경도한 상태를 나타낸 도, 제6도 (d)는 조작체를 우측 경사방향으로 경도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본 실시예의 다방향 입력스위치는 주로 외곽을 형성하여 개구부(1)나 그외 다른 투공(透孔)(1a)등을 가지는 하우징(2)과, 일부가 상기 개구부(1)로부터 노출되어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체(3)와, 상기 조작체(3)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약90도의 등간격으로 설치된 4조의 고정접점(4a~4d)을 구비한 기판(4)과, 상기 기판(4)상에 재치된 클릭고무(5)와, 상기 조작체(3)와 클릭고무(5)와의 상에 배치된 4개의 회동체(6a~6d)와, 이들 회동체(6a~6d)를 지지하는 지지체(7)로 구성되고, 각 회동체(6a~6d)는 조작체(3)에 의하여 중간부가 구동되게 되어 있고, 지지체(7)는 하우징(2)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투공(1a)에도 도시하지 않은 다른 조작체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클릭고무(5)에는 조작체(3)방향으로 돌출하고 내부에 중공부분을 가지는 중공볼록부(5a~5d)등이 일체 성형되어 있고, 각 중공볼록부(5a~5d)는 기판(4)의 고정접점(4a~4d)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표면은 상방으로 부풀어 만곡면이 되어 있고, 상기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내면에는 고정접점(4a,4c)과 각각 대향하는 가동접점(8a,8c)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중공볼록부(5b,5d)의 선단표면도 만곡면이 되어 있고, 이들 중공볼록부(5b,5d)의 선단내면에도 고정접점(4b,4d)과 각각 대향하는 도시하지 아니한 가동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3)는 개구부(1)로부터 돌출하는 수지제의 조작노브(9)와, 이 조작노브(9)의 아래쪽에 장착되는 수지제의 기부(基部)(10)로 이루어지고, 이들 조작노브(9)와 기부(10)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조작노브(9)는 주변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계지편(9a)을 가지고, 그 조작노브(9)의 표면은 요곡(凹曲)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요곡면의 소정위치에는 조작체(3)의 조작방향을 나타내는 4개의 화살표(9b)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기부(10)는 중앙에 배치된 구체부(11)와, 이 구체부(11)에 연결된 내측 원환부(12)와, 이 내측 원환부(12)에 연결된 외측 왼환부(13)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 외측 원환부(13)는 상기 계지편(9a)에 대응하는 4개의 탄성편(13a)과,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회동체(6a~6d)의 중간부를 압압하는 4개의 구동편(13b)을 가지고 있고, 각 계지편(9a)과 탄성편(13a)을 스냅 결합함으로써 조작노브(9)와 기부(10)는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구체부(11)와 내측 원환부(12)와는 연결부(14)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 연결부(14)는 구체부(11)로부터 약 90도의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연설(延設)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7)는 클릭고무(4)위에 재치되는 원환부(15)와, 이 원환부(15)에 연결되고, 상기 구체부(11)를 받아 넣는 받이부(16)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원환부(15)는 외측에 돌출하는 4개의 돌기(156a)를 가지고, 이들 돌기(15a)가 하우징(2)에 형성된 계합홈(2a)에 각각 계합함으로써 지지체(7)는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환부(15)상에는 조작체(3)의 기부(10)의 외측 원환부(13)에 당접하는 3각 형상의 돌기(17a~17d)가 일체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돌기(17a~17d)에 의하여 조작체(3)의 경도범위가 규제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체(6a~6d)는 그 외측단부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원환부(15)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각 회동체(6a~6d)의 상면 중간부가 조작체(3)에 의하여 회동 구동되면, 그 회동체(6a~6d)의 내측단부에 의하여 상기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표면이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회동체(6a~6d)와 상기 돌기(17a~17d)는 받이부(16)를 중심으로 하는 약 45도의 등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받이부(16)의 내면은 구체부(11)의 외경과 거의 같은 내경을 가지는 구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받이부(16)에는 조작체(3)의 연결부(14)를 받아 넣는 슬릿(16a)이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이부(16)는 구체부(11)를 받아 넣음으로써 상기 구체부(1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다방향 입력스위치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계지편(9a)을 탄성편(13a)에 스냅인함으로써 조작노브(9)와 기부(10)를 일체화하여 조작체(3)를 얻음과 동시에, 지지체(7)에 회동체(6a~6d)를 조립해 넣고, 그 지지체(7)의 받이부(16)에 조작체(3)의 구체부(11)를 끼워넣음으로써 이들 지지체(7)와 조작체(3)를 일체화한다. 이에 의하여, 기부(10)의 연결부(14)가 받이부(16)의 슬릿(16a)내에 끼워넣어지고 조작노브(9)는 구체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상기 조작노브(9)의 화살표(9b)의 표시위치가 변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일체화한 지지체(7)와 조작체(3)를 하우징(2)내에 조립해 넣고, 지지체(7)의 돌기(15a)를 하우징(2)의 계합홈(2a)에 각각 계합시킨다. 지지체(7)의 4개의 돌기(15a)를 하우징(2)의 계합홈(2a)에 각각 계합시킴으로써 그 지지체(7)가 하우징(2)에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이 하우징(2)내의 기판(4)과 클릭고무(5)에 대하여 상기 지지체(7)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조립한 다방향 입력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비조작시의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조작노브99)의 주변부, 예를 들면, 제4도의 우측을 누르면, 조작체(3)의 구체부(11)가 지지체(7)의 받이부(16)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체(3)는 구체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제4도의 시계방향으로 경도하여 조작노브(9)의 압압축(우측)이 하강한다. 이에 따라, 기부(10)의 도면중 우측의 구동편(13b)이 회동체(6a)의 중간부를 구동하기 때문에, 상기 회동체(6a)는 우측의 일단이 지지체(7)의 원환부(15)와 접촉하는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동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회동체(6a)의 타단측의 부분에서 클릭고무(5)의 중공볼록부(5a)가 압압되고, 이 중공볼록부(5a)가 좌굴 변형하여 클릭감이 생김과 동시에,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접점(8a)이 1조의 고정접점(4a)에 접촉한 시점에서, 이들 고정접점(4a)이 가동접점(8a)을 거쳐 도통(온)하여, 소정의 전기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도상태의 조작노브(9)로부터 손을 떼면, 클릭고무(5)의 중공볼록부(5a)의 탄발력에 의하여 회동체(6a)를 거쳐 조작체(3)가 하강하고 있는 쪽이 밀어올려지고, 상기 조작체(3)는 제4도에 나타낸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접촉상태에 있었던 가동접점(8a)은 고정접점(4a)으로부터 떨어져, 다시 비도통상태(오프)가 된다.
다음에, 조작체(3)의 경도범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조작체(3)를 조작노브(9)의 표면에 붙여진 4개의 화살표(9b)의 어느 한 방향으로 경도하면, 제6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3)를 화살표(9b)에 따라 회동체(6b)의 방향으로 경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6b)를 거쳐 중공볼록부(5b)가 압압되고, 상기 중공볼록부(5b)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동접점이 기판(4)의 1조의 고정접점(4b)에 접촉하여 온상태가 된다. 이 경우, 조작체(3)는 2개의 돌기(17a,17b)의 중앙을 압압하기 때문에, 기부(10)의 하면이 돌기(17a,17b)에 당접할 때까지의 스트로크 양은 비교적 크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조작체(3)를 약 6도까지 경도한 시점에서 기부(10)의 하면이 돌기(17a,17b)와 당접함으로서 상기 조작체(3)의 경도가 저지된다. 또, 제6도(c)에 나타낸바와 같이, 조작체(3)를 회동체(6a)의 방향으로 경도했을 경우나 도시생략했으나 다른 회동체(6c 또는 6d)의 방향으로 경도했을 경우도 각각 마찬가지이다.
한편, 조작체(3)를 화살표(9b)로부터 벗어난 방향으로 경도하면, 예를 들면 제6도(d)에 나타낸바와 같이, 조작체(3)를 화살표(9b)로부터 45도 어긋난 돌기(17a)의 방향으로 경도하면, 돌기(17a)의 양측에 위치하는 회전체(6a,6b)를 거쳐 중공볼록부(5a,5b)가 각각 압압된다.
이 경우, 조작체(3)는 돌기(17a)의 바로 위를 압압하기 때문에, 기부(10)의 하면이 돌기(17a)에 당접할 때까지의 스트로크양은 작아지고 본 실시예의 경우는 조작체(3)를 약3도까지 경도한 시점에서 기부(10)의 하면기 돌기(17a)에 당접하게 되어 상기 조작체(3)이 경도가 저지된다. 이 때문에, 중공볼록부(5a,5b)가 좌굴 변형하기 전에 회전체(6a,6b)에 의한 압압이 정지되어, 이들 중공볼록부(5a,5b)에 설치된 가동접점(8a)등은 고정접점(4a,4b)에 접촉하지 않고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또 조작체(3)를 다른 돌기(17b,17c,17d)의 방향으로 경도했을 경우도 각각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체(3)를 화살표(9b)에 따라 임의방향,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도하면, 상기 조작체(3)에 의하여 경도방향에 위치하는 회동체(6a)의 중간부가 구동되어 상기 회동체(6a)는 일단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타단측의 압압부로 중공볼록부(5a)의 선단표면을 압압하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볼록부(5a)의 선단표면을 압압하는 압압력에 비하여 상기 조작체(3)의 조작에 필요한 조작력을 키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클릭고무(5)의 작동하중을 높이면 내구성은 연화하나, 본 실시예의 경우는 조작체(3)가 직접 클릭고무(5)를 압압하는 것이 아니라, 회동체(6a~6d)에 의하여 이 원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하중을 올려도 클릭고무(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피일링을 높일 수 가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조작체(3)를 회동체(6a)의 방향으로 경도했을 경우, 한개의 중공볼록부(5a)만이 압압되나 다른 중공볼록부(5b~5d)는 압압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중공볼록부(5a)만의 좌굴변형에 대응하는 일의(一義)적인 조작피일링이 얻어져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중공볼록부(5a~5d)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조작체(3)를 중립상태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클릭고무(5)의 중공볼록부(5a~5d)에서 발생하는 좌굴변형에 따른 클릭감이 다른 탄성체에 의하여 손상되는 일없이, 상기 좌굴변형에 대응하여 얻어지는 조작피일링을 양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릭고무(5)의 탄성력을 변화시킴으로서 조작체(3)의 조작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또, 조작체(3)를 소정각도만 경도하면, 회동체(6a~6d)의 양단의 회동지점과 압압부가 각각 지지체(7)의 원환부(15)와 클릭고무(5)의 중공볼록부(5a~5d)에 당접하고, 회동체(6a~6d)의 그 이상의 회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경도조작이 완료된 것의 스토퍼 감각이 얻어져 조작피일링이 안정된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체(3)를 임의방향으로 경도하면, 경도방향에 위치하는 회동체(6a~6d)가 회동하여, 그 회동체(6a~6d)가 대응하는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표면을 압압하나, 각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표면은 평탄하지 않고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6a~6d)와 중공볼록부(5a~5d)는 점접촉한 상태로 회동체(6a~6d)의 회동에 따라 접촉부위가 이동하여 항상 중공볼록부(5a~5d)에 대하여 직하로의 압압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중공볼록부(5a~5d)가 좌굴변형중이더라도 그 중공볼록부(5a~5d)의 선단내면이 기판(4)의 표면에 대하여 평행인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중공볼록부(5a~5d)에 설치된 가동접점(8a)등이 표면(4)의 고정접점(4a~4d)에 확실하게 접촉하게 안정된 접촉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또, 각 중공볼록부(5a~5d)는 대칭형상이기 때문에, 중공볼록부(5a~5d)가 좌굴 변형할 때에 양호한 조작피일링이 얻어지고 또한 클릭고무의 성형공정이 간략화되어 크스트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체(7)의 원환부(15)상에 설치한 돌기(17a~17d)에 의하여 조작체(3)의 경도범위가 규제되기 때문에, 2조 이상의 접저무분이 동시에 온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이들 돌기(17a~17d)는 클릭고무(5)의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클릭고무(5)를 기판(4)의 고정접점(4a~4d)를 포함하는 전역부설할 수가 있고, 따라서 하우징(2)의 개구부(1,1a)등으로부터 물이나 쥬스등의 액체가 들어갔다 해도, 그 액체가 클릭고무(5)를 거쳐 기판(4)의 고정접점(4a~4d)에 달하는 일은 없어, 접점부에 대한 방수성을 높일 수가 있다.또, 조작체(3)를 다른 둘 이상의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일방향으로 경도한 조작체(3)를 복귀시키는 일 없이, 그대로 다른 방향으로 신속하게 경도조작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부(10)의 구체부(11)가 지지체(7)의 받이부(16)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3)는 경도 방향으로는 조작할 수 있으나, 조직노브(9)의 직하로 눌러 넣어도 조작체(3) 전체가 하강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이 점으로부터도 조작 피일링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기부(10)에 설치한 연결부(14)를 받이부(16)에 설치한 슬릿(16a)내에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체(3)의 자유로운 회전이 규제되고, 조작체(3)에 화살표(9b)를 붙여 방향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슬릿( 16a)에 의하여 받이부(16)에 적당한 탄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부(11)와 받이부(16)의 사이의 덜거덕 거림이 없어져, 조작체(3)를 덜거덕거림 없이 지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조작체(3)측의 4개의 구동편(13b)과 각 회동체(6a~6d)와의 위치관계가 자동적으로 결정되고, 한편, 지지체)의 4개의 돌기(15a)를 하우징(2)의 계합홈(2a)에 각각 계합시킴으로써 하우징(2)내의 기판(4)과 클릭고무(5)에 대하여 지지체(7)가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조작체(3)로부터 회동체(6a~6d)를 거쳐 중공볼록부(5a~5d)에 이르는 동력 전달계의 위치 정밀도가 높아져 조작체(3)의 조작에 요하는 조작력이 안정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접점(4a~4d) 및 가동접점(8a~8d)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소자를 4조 사용한 4방향스위치를 예시하여 설명했으나, 스위치 소자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조 사용한 2방향 스위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17a~17d)를 지지체(7)의 원환부(15)상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돌기(17a~17d)를 원환부(15)의 대신 조작체(3)의 기부(10) 하면에 설치하거나, 원환부(15)와 기부(10)에 적당히 나누어 설치해도 좋고, 그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릭고무의 중공볼록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비하여 조작체의 경도 조작력을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또 중공볼록부의 좌굴변형에 따른 클릭감이 손상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작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과의 접촉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클릭고무의 성형공정을 간략화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조작피일링을 높일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접점부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하면서 2조 이상의 스위치 소자의 동시 온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체를 다른 2이상의 방향으로 경도시킬 때, 그 조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

Claims (3)

  1.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며 다방향으로 경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방향으로 경도함으로써 그 조작체의 경도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그 조작체의 경도조작력을 상기 중공볼록부에 전달하는 회전가능한 회동체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조작체의 상기 회동체에 대한 구동부를 그 회동체의 회동지점과 상기 중공볼록부에 대한 압압부와의 사이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
  2.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며 다방향 경도 가능하게 저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 방향에 경도함으로써 상기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각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그 조작체의 경도조작력을 상기 중공볼록부에 전달하는 회동가능한 회동체를 각각 배치하고, 또 상기 중공볼록부의 선단표면을 만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
  3.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일부가 그 개구부로부터 노출되며 다방향 경도 가능하게 저지되는 조작체와, 복수의 고정접점이 배설된 기판과, 상기 조작체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중공볼록부를 가지는 클릭고무와, 이들 중공볼록부의 선단내면에 설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를 임의 방향에 경도함으로써 그 조작체의 경도방향에 배치된 상기 고정접점에 대하여 상기 가동접점이 접촉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와 상기 각 클릭고무와의 사이에 상기 조작체에 의하여 구동되어 상기 중공볼록부를 압압하는 복수의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를 설치하고, 이들 조작체와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조작체의 경도방향을 규제하는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스위치.
KR1019950010962A 1994-05-12 1995-05-04 다방향 입력스위치 KR0147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98690 1994-05-12
JP09869094A JP3315245B2 (ja) 1994-05-12 1994-05-12 多方向入力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36A KR950034336A (ko) 1995-12-28
KR0147699B1 true KR0147699B1 (ko) 1998-09-15

Family

ID=1422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962A KR0147699B1 (ko) 1994-05-12 1995-05-04 다방향 입력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31453A (ko)
JP (1) JP3315245B2 (ko)
KR (1) KR0147699B1 (ko)
DE (1) DE1951753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0022B2 (ja) * 1997-09-30 2003-11-25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接点入力装置
JP2000021271A (ja) * 1998-06-30 2000-01-21 Nec Shizuoka Ltd スティックスイッチ用ツマミ構造
US6377685B1 (en) *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JP4330704B2 (ja) * 1999-06-21 2009-09-1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
DE10037155B4 (de) * 2000-07-29 2005-09-22 Leopold Kosta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ippschalters sowie Kippschalter
DE10037141B4 (de) * 2000-07-31 2005-09-22 Leopold Kosta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ltelementen sowie Schaltelement
DE10151603C1 (de) * 2001-10-18 2003-03-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Mehrwege-Schalteranordnung, sowie Schalterbaustein
JP3971159B2 (ja) 2001-11-07 2007-09-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FR2832849B1 (fr) * 2001-11-26 2004-08-27 Valeo Climatisation Touche satellite multifonction pour tableau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US20030184522A1 (en) * 2002-03-28 2003-10-02 Takashi Mita Text input device
TW555142U (en) * 2002-12-13 200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Multi-directional key switch
FI115109B (fi) * 2003-01-22 2005-02-28 Nokia Corp Tunnistusjärjestely ja tunnistusjärjestelyn käsittävä matkaviestin
DE10334218A1 (de) * 2003-07-26 2005-02-24 Leopold Kostal Gmbh & Co Kg Dach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341602B3 (de) * 2003-09-10 2005-07-14 Preh Gmbh Multifunktionsschalter
US20060048341A1 (en) * 2003-10-29 2006-03-09 Koller Thomas J Jog shuttle knob
US6831238B1 (en) * 2004-01-16 2004-12-14 Nokia Corporation Finger-controllable multi-directional switch
EP2009662B1 (de) * 2007-06-25 2009-08-12 Delphi Technologies, Inc. Mehrweg-Kippschalter
CN201341552Y (zh) * 2008-12-29 2009-11-11 刘亚福 电吹风
US8129637B2 (en) * 2009-01-23 2012-03-06 Trw Automotive U.S. Llc Switch mechanism
CN107919248B (zh) * 2017-12-07 2020-07-24 安徽玄同机电科技有限公司 电器用按键结构
USD973881S1 (en) 2018-06-12 2022-12-27 Brainlab Ag Robotic interface
USD901682S1 (en) * 2018-06-12 2020-11-10 Brainlab Ag Robotic interface
USD922969S1 (en) * 2019-04-22 2021-06-22 Off Road Engineering, LLC Switch cover
JP2022174844A (ja) 2021-05-12 2022-11-25 任天堂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およびキ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4787A (en) * 1977-03-11 1978-11-07 Atari, Inc. Joystick controller mechanism operating one or plural switche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US4439648A (en) * 1982-07-28 1984-03-27 Coleco Industries, Inc. Joystick-type controller
JPS5933640U (ja) * 1982-08-27 1984-03-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多方向操作型レバ−スイツチ
JPS59170342A (ja) * 1983-03-12 1984-09-26 清水建設株式会社 エアドーム
JPS59170338A (ja) * 1983-03-16 1984-09-2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局部洗浄装置
JPS59188644U (ja) * 1983-06-01 1984-12-1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揺動型スイツチ
US4486629A (en) * 1983-07-18 1984-12-04 Coleco Industries, Inc. Joystick controller
GB2144582B (en) * 1983-08-05 1987-06-10 Nintendo Co Ltd Multi-directional electrical switch
JPS6292535A (ja) * 1985-10-17 1987-04-28 Fujitsu Ltd デ−タハイウエイ監視方式
US4710602A (en) * 1986-02-03 1987-12-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Illuminated rocker switch assembly
US4816662A (en) * 1986-08-07 1989-03-28 Ichikoh Industries Limited Remote control switch for posture adjustment of automotive mirrors
JPH0323639U (ko) * 1989-07-17 1991-03-12
US5329278A (en) * 1991-10-24 1994-07-12 Dombroski Michael L Pivoting electronic keyboard keys
US5468924A (en) * 1993-07-01 1995-11-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Joy stick support structure for multi-directional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17538C2 (de) 2003-01-23
US5631453A (en) 1997-05-20
JPH07307125A (ja) 1995-11-21
KR950034336A (ko) 1995-12-28
DE19517538A1 (de) 1995-11-30
JP3315245B2 (ja) 200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699B1 (ko) 다방향 입력스위치
US6762372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3219353B2 (ja) 回転操作型スイッチ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EP0656640B1 (en) Lever switch device, method for activating switches in a lever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signals
US5693920A (en) Two-stage movement seesaw switch apparatus
US6080941A (en) Multi-directional key switch assembly
EP0640937B1 (en) Input control device
JP48828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5481128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JP4104179B2 (ja) 車両用ノブスイッチ
JP4317741B2 (ja) 4方向スイッチ装置
US6069327A (en) Switch device
JP4026201B2 (ja) 多方向操作体及びこれを用いた多方向操作装置
EP1208575B1 (en) Gimbal mounted multifunction button
JP200622486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010055914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066635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
JPH11144564A (ja) 回転型電気部品の操作機構
JP2001229784A (ja) スイッチ装置
KR100220332B1 (ko)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3219354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1124777A (ja) 多方向スイッチ
JP3931532B2 (ja) 多方向操作型電子部品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251703B2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