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88B1 - 회전콘넥터 - Google Patents

회전콘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88B1
KR0140588B1 KR1019950004548A KR19950004548A KR0140588B1 KR 0140588 B1 KR0140588 B1 KR 0140588B1 KR 1019950004548 A KR1019950004548 A KR 1019950004548A KR 19950004548 A KR19950004548 A KR 19950004548A KR 0140588 B1 KR0140588 B1 KR 014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conductor
airbag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232A (ko
Inventor
히로노리 가또
마사노리 나까오
유우이찌 이다
Original Assignee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3834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24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683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083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다오까 마사다까, 알프스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가다오까 마사다까
Publication of KR95002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회로를 포함하는 많은 회로의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되고,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회전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조립작업성에 뛰어나며 록부재의 제거를 잊는 일 없는 회전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의 하우징과(1)과 제2의 하우징(5) 사이에 획성되는 환상의 공간내에, 에어백용 도체(11a, 11b)를 가지는 제1의 가용성케이블(17a)과 그 이외의 도체(11c∼11f)를 가지고 제2의 가용성케이블(17b)을 겹쳐 권회하고 이들 도체(11c∼11f)의 일단을 다이렉트콘넥터(10)의 대응하는 단자(14a∼14f)에 접속하는 동시에 이 다이렉트콘넥터(10)의 돌제(13)에 에어백용단자(14a, 14b)와 그 이외의 단자(14c∼14f)를 분할하는 격벽(13a)을 설치하였다.
제1 및 제2의 하우징(101, 105)의 상대적인 회동을 저지하는 록부재(112)에 커버(112a)를 일체 형성하고, 이 록부재(112)을 회전콘넥터에 장착했을 때, 스티어링장치에의 조립시에 상기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로부터 제거함으로서 록해제와 동시에 커버(112a)를 다이렉트콘넥터(111)로부터 제거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회전콘넥터
제1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종단면도.
제2도 상기 회전콘텍터에 구비되는 가용성 케이블의 평면도.
제3도 제1도의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용성 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제4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용성 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제5도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용성 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제6도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용성 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
제7도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사시도.
제8도 상기 회전콘넥터에 록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9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제1의 하우징3, 103 : 외통부
5, 105 : 제2의 하우징6 : 천정판
7, 107 : 내통부9, 109 : 가용성 케이블
9a : 절삭깊이10, 111 : 다이렉트콘넥터
11a, 11b : 에어백용도선11c∼11f : 그 이외의 도체
12 : 절연필름13 : 돌제(突堤)
13a : 격벽14a∼14f, 111a : 단자
15, 16 : 연결판17a : 제1의 가용성 케이블
17b : 제2의 가용성 케이블18 : 갭
101 : 제1의 하우징112 : 록부재
112a : 커버112b : 클립(clip)부
112c : 암112d : 구멍
113 : 돌기113a : 박육판
114 : 보스115 : 규제핀(규제돌출부)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 사이를 가용성 케이블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전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회로를 포함하고 그 이외의 폰회로나 오토크로즈회로등의 복수의 회로접속용으로 사용되는 회전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전콘넥터는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양 하우징 사이에 획성되는 환상의 공간내에 수납된 띠형상의 가용성 케이블로 개략 구성되어 있고, 그 가용성 케이블의 양단은 양 하우징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어 있다. 이 가용성 케이블은 상호 평행한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고, 하우징으로부터 도출된 부분의 선단에는 콘넥터가 접속되어 있다. 이 콘넥터로서는 가용성 케이블의 일부를 하우징으로부터 소정길이 만큼 연장되고, 그 선단에 전용의 콘넥터를 접속한 것이 일반적인데, 미국 특허 제52307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자체에 복수개의 단자를 설치하고 이들 단자에 가용성 케이블의 각도체를 접속한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콘넥터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콘넥터는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에 조립되어 에어백회로나 폰회로등 각종 회로의 전기적 접속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회전콘넥터의 한쪽의 하우징은 스티어링코럼(스테이터)측에, 다른쪽의 하우징은 핸들(로터)측에 각각 설치되고, 가용성 케이블의 양단에 접속된 전용콘넥터 혹은 다이렉트콘넥터에 에어백인프레이터나 폰스위치등에 설치된 상대측의 외부콘넥터가 접속된다.
사용이 즈음해서는 핸들을 정 역의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면, 핸들측에 설치된 하우징이 동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회전방향을 따라 가용성 케이블이 공간내에서 조여감겨지거나 혹은 되돌려감겨지게되어 어느상태에서도 로터와 스테이터간의 전기적 접속은 회전콘넥터의 가용성 케이블에 의하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콘넥터와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를 조립하는 경우, 회전콘넥터의 가용성 케이블은 핸들의 회동중립위치를 기준으로 거의 같은 양이 조여감겨지거나 되돌려감겨지도록 조립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하기 까지 양 하우징을 회동중립위치에 록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록기구를 부설한 회전콘넥터가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이 회전콘넥터는 횡동중립위치에 위치맞춤된 양 하우징에 대하여 록부재를 장착함으로서 스테어링장치에 조립하기 까지 양 하우징의 자유로운 회동을 록하도록 한 것이고, 그 록부재는 한쪽의 하우징을 스티어링코럼측에 고정한 시점에서 양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근년 자동차의 핸들측에 부설되는 회로부품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상술한 에어백인프레이터나 폰스위치 이외에도 오토크로즈회로나 에어콘회로등의 콘트롤스위치류를 핸들의 패드상에 배치하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콘넥터에 의하여 접속되는 회로수가 증가하면, 가용성 케이블 도체의 수도 필연적으로 증가하는데, 스티어링장치 주변의 스페이스에는 일정한 제한이 있기 때문에 실제상으로는 가용성 케이블 폭의 치수를 대단히 크게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각 도체간의 절연거리가 짧아지고, 특히 에어백인프레이터를 기폭시키는 에어백용 도체에는 다른 도체에 비하여 큰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그 에어백용 도체의 다른 도체에 대한 절연이 중요한 문제로 된다.
그러나 상술한 다이렉트콘넥터를 이용한 경우, 하우징자체에 설치된 콘넥터의 내부에 각 단자와 각 도체가 스폿용접이나 납땜등을 이용하여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가용성 케이블의 도체수가 증가하여 도체간의 핏치가 좁아지면 이들 접속부분이 근접하여 절연거리가 짧아져 다회로화에는 대응하기 어렵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정 및 요망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회로화에 적합한 회전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런데, 근년 가용성 케이블의 양단에 접속되는 콘넥터를 하우징자체에 설치하고, 이 콘넥터를 이용하여 에어백인프레이터등의 외부기기를 직접 접속하도록 한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회전콘넥터가 미국 특허 제5230713호 공보에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하우징에 콘넥터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하는 것과 동시에, 가용성 케이블과 외부기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와의 접속공정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그러나,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다이렉트콘넥터는 복수개의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단자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방지성을 높히는 목적으로(다이렉트콘넥터에 커버부재를 입힐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회전콘넥터의 조립공정에 상술한 록부재와 커버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립작업이 번잡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통상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한 후,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가 정확하게 접속되었는지 아닌지의 검사공정에 들어가는데, 커버부재를 제거하여 외부기기를 다이렉트콘넥터에 접속할 수 있으면 전기적특성은 만족되기 때문에 만약 록부재가 장착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이 검사공정에서 록부재의 유무를 체킹할 수는 없고, 록부재를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작업성에 뛰어나고 또 록부재 제거를 잊어버리는 일이 없는 회전콘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에 획성된 환상의 공간내에 권회되고, 서로 평행한 에어백용 도체와 그 이외의 도체를 가지는 띠형상의 가용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그 가용성 케이블의 각 도체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면 동시에 이들 두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콘넥터에 상기 에어백용 도체가 접속된 단자와, 그 이외의 도체가 접속된 단자를 분할하는 격벽을 설치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 사이에 획성된 환상이 공간내에 권회되고, 서로 평행한 에어백용 도체와 그 이외의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는 띠형상의 가용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그 가용성 케이블의 각 도체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동시에 이들 도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콘넥터에 상기에어백용 도체가 접속된 단자와 그 이외의 도체군이 접속된 단자를 현격(懸隔)하는 갭을 마련하고, 이 갭의 간격을 상기 그 외의 도체군이 접속된 단자군의 병력핏치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의 공간내에 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는 가용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그 가용성 케이블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동시에 이들 도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를 거쳐 외부기기에 접속되로록 되어 있다.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간에 양자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록부재를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고, 그 록부재에 상기 다이렉트콘넥터를 피복하는 커버를 일체 형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에 대응하여 서술하면, 가용성 케이블의 에어백용 도체와 그 이외의 도체는, 하우징자체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의 대응하는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데, 에어백용 도체가 접속된 단자와 그 이외의 도체가 접속된 단자는, 분할용의 격벽 혹은 현격용의 갭에 의하여 절연상태가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에 대응하여 서술하며, 회전콘넥터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회동중립위치에 위치맞춤된 양 하우징에 대하여 록부재를 장착하면, 양 하우징의 자유로운 회동이 록부재에 의하여 저지되고, 회동중립위치에 위치맞춤된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할 수가 있다. 그 때, 록부재를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를 피복하는 커버를 일체적으로 가지기 때문에 록부재의 장착과 동시에 다이렉트콘넥터가 확보되고, 다이렉트콘넥터에 별도의 커버부재를 입힐 필요가 없어진다.
또,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록부재를 양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면, 양 하우징의 록상태가 제거되고 커버도 다이렉트콘넥터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콘넥터를 다이렉트콘넥터를 거쳐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가 있다. 환언하면, 록부재에 일체화된 커버를 제거하지 않으면 외부기기를 다이렉트콘넥터에 접속할 수 없게 되어있기 때문에 회전콘넥터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한 후,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접속을 검사함으로서 록부재가 제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가 있고, 록부재의 제거를 잊어버림으로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없앨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회전콘네터에 구비되는 가용성 케이블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용성 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합성수지제의 제1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그 제1의 하우징(1)은 원판상의 바닥판(2)과 그 외주둘레에 입설된 외통부(3)를 가지고 있고, 바닥판의 중앙에는 센터구멍(4)이 개설되어있다. 5는 합성수지제의 제2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그 제2의 하우징(5)은 원판상의 천정판(6)과 그 중앙부에 늘어뜨려 설치된 내통부(7)를 가지고 있으며, 내통부(7)에는 축삽입구멍(8)이 마련되어 잇다. 이들 제1의 하우징(1)과 제2의 하우징(5)은, 천정판(6)의 외주둘레에 상기외통부(3)의 상단둘레에, 내통부(7)의 하단둘레가 상기 바닥판(2)의 센터구멍(4)에 각각 가이드됨으로서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있다. 9는 가용성 케이블을 나타내고, 그 가용성 케이블(9)은 상기 제1의 하우징(1)측의 바닥판(2) 및 외통부(3)와 제2의 하우징(5)측의 천정판(6) 및 내통부(7)와의 사이에 획성된 환상의 공간내에 수납되어있다. 이 가용성 케이블(9)은 상기 공간내에 와권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그 일단은 상기 외통부(3)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의 하우징(1)의 외부에 도출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이 도출부분의 선단에 전용의 콘넥터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가용성 케이블(9)의 타단은 상기 천정판(6)의 상면에 입설된 다이렉트콘넥터(10)를 거쳐 제2의 하우징(5)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용성 케이블(9)은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도선(11a∼11f)을 한쌍의 절연필름(12)으로 래미네이트한 띠형상의 플랫케이블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도체(11a, 11b)는 에어백회로의 접속용, 다른 도선(11c∼11f)은 폰회로나 오토크로즈회로 혹은 에어콘회로등의 접속용으로서 각각 사용된다. 이들 회로중 에어백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가장 크기 때문에 에어백용 도체(11a, 11b)의 배열핏치는 다른 도선(11c∼11f)보다 커지게 되어 있고, 또 에어백회로에는 특히 높은 접속의 신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절연필름(12)으로부터 노출되는 에어백용 도체(11a, 11b)의 표면에만 금도금등의 귀금속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한편, 에어백회로를 제외하면 흐르는 전류가 가장 큰 것은 폰회로이기 때문에, 에어백용 도체(11a, 11b)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도선(11f)이 폰회로의 접속용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가용성 케이블(9)의 일단부에는 절삭깊이(9a)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용 도체(11a, 11b)와 다른 도선(11c∼11f)은 이 절삭기피(9a)에 의하여 2분할되는 동시에 45도 꺾어진 곳 선(A, B)을 따라 각각 되집어꺾어짐으로서 상기 다이렉트콘넥터(10)와의 접속부분을 향해 방향 변환되어 있다.
제 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다이렉트콘넥터(10)는 상기 천정판(6)의 상면에 입설된 합성수지제의 돌제(13)와, 이 돌제(13)의 내부에 배설된 복수개의 단자(14a∼14f)와 , 이들 단자(14a∼14f)와 상기 도선(11a~11f)을 접속하는 연결판(15, 16)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제(13)의 중앙부에는 단자(14a, 14b)와 단자(14c~14f)를 분할하는 격벽(13a)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단자(14a, 14b)에도 금도금등의 귀금속도금이 실시되어 있고, 이들 단자(14a, 14b)와 상기 에어백용 도체(11a, 11b)는 한쪽의 연결판(15)의 내부에 납땜등이나 스폿트용접등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다른 단자(14c∼14f)와 도선(11c∼11f)은 다른쪽의 연결판(16)의 내부에 납땜이나 스폿트용접등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들 연결판(15, 16)은 압입이나 스너프멈춤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상기 돌제(13)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의 하우징(1)을 고정체로서 이용하고, 제2의 하우징(5)을 가동체로서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먼저 회전콘넥터의 제1의 하우징(1)을 스티어링코럼측에 고정하고, 스티어링샤프트를 제2의 하우징(5)의 축삽입구멍(8)으로부터 돌출시킨 후, 스티어링샤프트에 스티어링허브를 압입하는 동시에 이 스티어링허브와 일체의 핸들을 제2의 하우징(5)에 고정한다. 그런다음, 차체측의 외부콘넥터를 제1의 하우징(1)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된 전용콘넥터에, 핸들측의 외부콘넥터를 제2의 하우징(5)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터(10)에 각각 접속함으로서 핸들에 장착된 에어백용인프레이터나 폰스위치, 혹은 오토크로즈회로나 에어콘회로등의 콘트롤스위치류가 회전콘넥터를 거쳐 차체측의 대응하는 회로에 접속된다.
사용에 즈음해서는 핸들을 시계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제2의 하우징(5)에 전달되고, 제2의 하우징(5)이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들면 회동중립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제2의 하우징(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요성케이블(9)은 내통부(7)측으로 조여감겨진다. 반대로,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제2의 하우징(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용성케이블(9)은 외통부(3)측으로 되돌려감겨져 어떠한 상태에서도 양 하우징(1,5)간의 전기적 접속은 가요성케이블(9)을 거쳐 유지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요성케이블(9)과 다이렉트콘넥터(10)와의 접속부분에 있어서, 가요성케이블(9)의 각 도선(11a∼11f)이 에어백용 도체(11a, 11b)와 그 이외의 도선(11c∼11f)으로 2분할되는 동시에, 이들 도선(11a∼11f)에 접속되는 다이렉트콘넥터(10)의 각 단자(14a∼14f)중, 에어백용단자(14a, 14b)와 그 이외의 단자(14c∼14f)가 절연성의 격벽(13a)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접속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에어백회로를 다른 회로에 대하여 확실하게 절연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에어백회로용의 도체 및 단자와 그 이외의 회로의 도체 및 단자와의 절연이 확실하게 되면, 에어백회로의 전류가 그 이외의 회로에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그 이외의 회로끼리를 쇼트시킬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회로 이외의 접속용으로서 사용되는 도선(11c∼11f)의 배열핏치를 좁힐 수가 있고, 이들 도선(11c∼11f)의 수가 증가하여도 가요성케이블(9)의 폭치수가 현저히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에어백용 도체(11a, 11b)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는 도선(11f)을 폰회로의 접속용으로서 사용하고있기 때문에, 흐르는 전류가 가장 큰 에어백회로와 두 번째로 큰 폰회로와의 절연거리가 커지게 되고, 이 점으로부터도 에어백회로의 절연성을 높힐 수가 있다. 또한, 에어백용 도체(11a, 11b)와 그 이외의 도선(11c∼11f)이 가요성케이블의 단부에서 2분할 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용 도체(11a, 11b)측의 도출단만을 도금용기에 더함으로서 그 이외의 도선(11c∼11f)dp 대해서는 고가인 귀금속도금을 생략 할 수가 있어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요성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고, 제1도∼제3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히고 있다.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상위한 점은, 서로 분리되어 겹쳐진 제1의 가요성케이불(17a)과 제2의 가요성케이블(17b)을 이용하고, 제1의 가요성케이블(17a)에 상기 에어백용 도체(11a, 11b)를 설치하고, 제2의 가요성케이블(17b)에 그 이외의 도선(11c∼11f)을 설치한 것에 있는데,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같다. 즉, 양가요성케이블(17a,17b)은 전길이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환상의 공간내에 권회되어 있고, 제1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각 도선(11a∼11f)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가 다이렉트콘넥터(10)의 대응하는 단자(14a∼14f)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어백용 도체(11a, 11b)와 그 이외의도선(11c∼11f)이, 그 전길이에 걸쳐 두께방향으로 겹쳐진 제1의 가요성케이블(17a)과 제2의 가요성케이블(17b)으로 나뉘어져 있고, 에어백용 도체(11a,11b)와 그 이외의 도체(11c∼11f)사이의 절연성이 양가요성케이블(17a,17b)의 절연필름에 의하여 높아지는 동시에 각각의 가요성케이블(17a,17b)의 폭치수를 좁게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효과에 더하여 회전콘넥터의 박형화에 적합하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요성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고, 제4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히고 있다.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2실시예와 상위한 점은 다이렉트콘넥터(10)의 에어백용단자(14a,14b)와 그 이외의 단자(14c∼14f)가, 격벽(13a)을 거쳐 양가요성케이블(17a,17b)의 두께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에 있는데,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같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에 구비되는 다이렉트콘넥터와 가요성케이블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사시도이고, 제4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히고 있다.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2실시예와 상위한 점은, 다이렉트콘넥터(10)의 에어백용단자(14a,14b)와 그 이외의 단자(14c∼14f)를 갭(18)에 의하여 현격한 것에 있는데,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같다. 이 갭(18)은 양에어백용단자(14a,14b)간의 핏치나 그 이외의 단자(14c∼14f)간의 핏치에 대하여 충분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술한 제1∼3실시예에서 설명한 격벽(13a)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또, 상기 제1∼3실시예에서 설명한 격벽(13a)은 에어백용단자(14a,14b)와 그 이외의 단자(14c∼14f)와의 연면거리를 길게하는 구조이면 그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의 하우징(1)을 고정체로 하고, 제2의 하우징(5)을 가동체로 하여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것과는 반대로 제2의 하우징(5)을 고정체로 하고, 제1의 하우징(1)을 가동체로 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다이렉트콘넥터(10)를 제2의 하우징(5)에만 설치하고, 제1의 하우징(1)에는 외부로 도출되는 전용의 콘넥터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것과는 역으로 다이렉트콘넥터를 제1의 하우징(1)에만 설치하고, 제2의 하우징(5)에는 전용의 콘넥터를 설치하여도 좋고 혹은 양 하우징(1,5)의 콘넥터를 함께 다이렉트커플링타입으로 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사시도, 제8도는 회전콘넥터에 록부재를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01은 합성수지제의 제1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그 제1의 하우징(101)은 원판상의 바닥판(102)과 그 외주둘레에 입설된 외통부(103)를 가지고 있고, 바닥판(102)의 중앙에는 센터구멍(104)이 개설되어 있다. 105는 합성수지제의 제2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그 제2의 하우징(105)은 원판상의 천정판(106)과 그 중앙부에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의 하우징(101)과 제2의 하우징(105)은 천정판(106)의 외주둘레가 상기 외통부(103)의 상단둘레에, 내통부(107)의 하단둘레가 상기 바닥판(102)의 센터구멍(104)에 각각 가이드됨으로서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는데, 후술하는 록부재에 의하여 그 자유로운 회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109는 가요성케이블을 나타내고, 그 가요성케이블(109)은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도선을 한쌍의 절연필름으로 래미네이트한 띠형상의 플랫케이블로 불리워지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하우징(101)측의 바닥판(102) 및 외통부(103)와 제2의 하우징(105)측의 천정판(106) 및 내통부(107)와의 사이에 획성된 환상의공간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 가요성케이블(109)은 상기 공간내에 와권상으로 권회되어 있고, 그 일단은 상기 외통부(103)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의 하우징(101)의 외부로 도출되고, 이 도출부분의 선단에 전용의 콘넥터(110)가 접속되어 있다. 또, 가요성케이블(109)의 타단은 상기 천정판(106)의 상면에 입설된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다이렉트콘넥터(111)를 거쳐 제2의 하우징(105)의 외부에 도출되어 있다. 이 다이렉트콘넥터(111)는 상기 단자(111a)를 포위하는 돌제(111b)로 이루어지고, 각 단자(111a)는 돌제(111ㅠ)의 상면개구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112는 상술한 록부재를 나타내고, 그 록부재(112)는 하면을 개구한 보잊상의 커버(112a)와, 그 커버(11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클립부(112b) 및 커버(112a)의 측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암(112c)으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나 경질고무등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커버(112a)는 상기 콘넥터(111)의 돌제(111b)를 피복하는데 충분한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고, 또 상기 암(112c)의 선단부분에는 구멍(112d)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록부재(112)에 대응하여 상기 제1의 하우징(110)에 있어서의 외통부(103)의 외주면에는 돌기(113)가 일체 성형 되어있고, 그 돌기(113)의 상면에는 보스(114)가 입설되어 있다. 또, 상기 외통부(103)의 외주면과 상기 돌기(113)와의 연결부분에는 박육판(113A)이 성형되어 있고, 이 박육부(113a)는 돌기(113)를 제1의 하우징(101)으로부터 제거할 때의 파단부로서 기능한다.
제7도는 상기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에 장착하기 전의 비록상태를 나타내고, 제8도는 그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에 장착한 록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록상태에 있어서 상기 록부재(112)의 커버(112a)는 상기 콘넥터(111)의 돌제(111b)에 입혀지고, 암(112c)은 구멍(112d)이 보스(114)에 열코킹됨으로서 돌기(113)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의 하우징(101)을 고정체로 하여 이용하고, 제2의 하우징(105)을 가동체로 하여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회전콘넥터의 제1의 하우징(101)은 스티어링코럼측에 고정되고, 제2의 하우징(105)은 핸들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스티어링장치에의 조립에 즈음하여 가동체인 제2의 하우징(105)은 핸들의 회동중립위치로부터 정 역의 양방향에 각각 같은 양만큼 회전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회전콘넥터의 제조과정에서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내에 가요성케이블(109)을 권회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의 하우징(101,105)을 회동자유롭게 연결한 후, 양 하우징(101,105)을 회동중립상태에 위치맞춤한다. 그런다음,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부재(112)의 커버(112a)를 제2의 하우징(105)의 다이렉트콘넥터(111)에 입히는 동시에 암(112c)의 구멍(112d)을 보스(114)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보스(114)를 열코킹하여 암(112c)을 제1의 하우징(101)의 돌기(113)에 고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의 하우징(105)에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다이렉트콘넥터(111)의 돌제(111ㅠ)가 회전방향에 위치하는 커버(112a)의 규제벽과 충돌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의 하우징(101,105)의 상대적인 회전은 록부재(112)에 의하여 저지된다. 따라서 회전콘넥터의 반송중등에 있어서 진동이 작용하여도 록부재(112)의 회전콘넥터로부터의 탈락은 보스9114)의 열코킹에 의하여 저지되고 그 상태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하기까지 유지할 수가 있다.
회전콘텍터를 도시 생략한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할 때에는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에 장착한 채로 제1의 하우징(101)을 스티어링코럼측에 고정하고, 스티어링샤프트를 제2의 하우징(105)의 축삽입구멍(108)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다음으로 치구 또는 손가락으로클립부(112b)를 끼워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로부터 빼면 그 빼는 과정에서 암(112c)에 고정된 돌기(113)가 박육부(113a)에서 파단하여 제1의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가 있고, 동시에 커버(112a)를 다이렉트콘넥터(111)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그런 다음, 스티어링샤프트에 스티어링허브를 압입하는 동시에, 이 스티어링허브와 일체의 핸들을 제2의 하우징(105)에 고정하면, 핸들의 회동중심위치에 대하여 회전콘넥터의 회동중립위치를 일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1의 하우징(101)으로부터 가요성케이블(109)을 거쳐 외부에 도출된 콘넥터(110)는 차체측에 장착된 에어백구동회로나 폰회로등의 외부기기에 접속되고, 제2의 하우징(105)에 설치된 콘넥터(111)는 핸들에 장착된 에어백용인프레이터나 폰스위치등의 외부기기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전콘넥터의 스티어링장치에의 조립이 종료한 시점에서,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가 정확히 접속되었는지의 여부의 검사공정으로 진행한다. 이 검사는 핸들과 차체측의 대응하는 외부기기간의 도통상태를 체크하는 것인데, 이러한 검사공정에서 전기적특성이 만족되면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접속이 양호한지를 판정할 뿐만아니라 록부재(112)가 회전콘넥터로부터 확실하게 제거되어 있는지도 판정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록부재(112)에 일체화된 커버(112a)가 제거되지 않으면 외부기기를 다이렉트콘넥터(111)에 접속할 수없게 되기 때문에 회전콘넥터와 외부기기와의 전기적접속을 검사함으로서 록부재(112)가 제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가 있고, 록부재(112)의 제거를 잊어버림으로서 발생하는 불량품을 없앨 수가 있다.
사용에 즈음해서는 핸들을 시계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회전력이 제2의 하우징(105)이 동방향으로 회전한다. 예를들면, 핸들을 회동중심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제2의 하우징(105)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요성케이블(109)은 내통부(107)측에 조여감겨진다. 반대로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제2의 하우징(10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요성케이블(109)은 외통부(103)측으로 조여감겨지게되어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양 하우징(101,105)간의 전기적접속은 가요성케이블(109)을 거쳐 유지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하우징(101,105)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록부재(112)에, 제2의 하우징(105)의 다이렉트콘넥터 (111)를 보호하는 커버(112a)를 일체 형성하였기 때문에, 록부재(112)를 회전콘넥터에 장착하는 동시에 다이렉트콘넥터(111)를 보호 할 수가 있고, 다이렉트콘넥터(111)에 별도의 커버부재를 입힐 필요가 없어져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없다. 또한, 커버(112a)가 다이렉트콘넥터(111)의 돌제(111b)에 회전방향으로 충돌한는 규제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언하면 다이렉트콘넥터(111)가 록기구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2의 하우징(105) 에 록부재(112)와 충돌하는 회전멈춤을 일부러 설치 할 필요가 없고, 록기구를 간략화할 수가 있다. 또, 록부재(112)는 제1의 하우징(1)의 돌기(113)에 고정되어 회전콘넥터로부터 탈착하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112a)를 다이렉트콘넥터(111)에 긴밀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커버 (112a)를 다이렉트콘넥터(111)에 긴밀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커버(112a) 의 설치와 떼어냄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계되는 회전콘넥터의 요부사시 도로서, 제7도와 제8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히고 있다.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5실시예와 다른 점은. 록부재(113)의 커버(112a)를 평판상으로 형성하고, 록부재(112)의 회전멈춤으로서 제2의 하우징(105)에 한쌍의 규제핀(115)을 입설한 것에 있고, 그 나머지 구성은 기본적으로 같다. 이 경우, 커버(112a)는 단순히 콘넥터(111)의 상면개구를 덮는 보호기능밖에는 없는데, 암(112c)과 규제핀(115)이 제2의 하우징(5)의 회전방향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의 하우징(101, 105)의 상대적인 회동은 록부재(112)에 의하여 저지된다. 이 경우, 규제핀(115, 115)을 입설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양 하우징(101, 105)의 상대적인 회동도 저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5, 6실시예에서는 제1의 하우징(101)을 고정체로 하고, 제2의 하우징(105)으 가동체로 하여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것과는 반대로 제2의 하우징(105)을 고정체로 하고 제1의 하우징(101)을 가동체포 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6 실시예에서는 다이렉트커플링타입의 다이렉트콘넥터(111)를 제2의 하우징(105)에만 설치하고, 제1의 하우징(101)에는 외부에 도출되는 콘넥터(110)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양 하우징(101, 105)의 콘넥터를 함께 다이렉트콘넥터로 하여도 좋고, 또 상기 제5, 6실시예와는 반대로 록부재의 일단을 제2의 하우징(105)측에 고정하고, 커버에 의하여 덮혀지는 다이렉트콘넥터를 제1의 하우징 (101)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5, 6실시예에서는 록부재(112)에 마련한 구멍(112d)을 돌기(113)에 설치한 보스(114)에 삽입한 후, 그 보스(114)의 열코킹에 의하여 록부재(112)를 돌기(113)에 고정하는 경우는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단순히 보스(114)에 구멍(112d)을 압입함으로서 공정을 간략화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도 있고, 또 상기 각 실시예와는 반대로 록부재(112)측에 보스를, 돌기(113)측에 구멍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5, 6실시예에서는 박육부(113a)를 돌기(113)의 기본부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 박육부를 록부재(112)의 파단개소에만 설치하여도 좋고 또 록부재(112)와 돌기(113)의 양쪽에 설치하여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케이블의 도체나 각 도체에 접속되는 다이렉트콘넥트 단자의 개수가 증가하였다고 하더라도, 에어백용 도체와 이것에 접속되는 단자는 그 이외의 도체나 단자에 대하여 높은 절연상태로 확보되기 때문에 다회로화에 적합한 회전콘넥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콘넥트의 제조과정에서 회동중립위치에 위치마춤된 양 하우징에 대하여 록부재를 장착하면, 양 하우징의 자유로운 회동이 록되는 동시에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트가 확보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가 있고, 또 회전콘넥트를 스티어링장치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록부재를 양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면 양 하우징의 록해제와 함께 커버도 다이렉트콘넥트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회전콘텍트와 외부기기와 전기적접속을 검사함으로서 록부재가 제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고, 록부재의 제거를 잊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에 획성된 환상공간내에 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에어백용 도체와 그 이외의 도체를 가지는 띠형상의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가용성 케이블의 각 도체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동시에 이들 도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트의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콘넥터에 상기 에어백용 도체가 접속된 단자와 그 이외외 도체가 접속된 단자를 분할하는 격벽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터
  2.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에 획성된 환상공간내에 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에어백용 도체와 그 이외의 도체를 가지는 띠형상의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가용성 케이블의 각 도체의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동시에 이들 도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트의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콘넥터에 상기 에어백용 도체가 접속된 단자와 그 이외외 도체군가 접속된 단자를 현격하는 갭을 마련하고, 이 갭의 간격을 상기 그 이외의 도체군이 접속된 단자군으 배열핏치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케이블을 그 전체길이에 걸쳐 상기 에어백용 도체의 연장설치 부분과 그 이외의 도체의 연장설치 부분으로 분할하고, 이들 연장설치 부분이 두께방향으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환상공간내에 권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트.
  4. 상대적으로 회동자유롭게 연결된 한쌍의 하우징과 이들 양 하우징간에 획성된 환상공간내에 권회되며, 서로 평행한 복수개의 도체를 가지는 가요성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가용성 케이블의 양단이 상기 하우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에 전기적으로 도출되는 동시에, 이들 도출부분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다이렉트콘넥트를 거쳐 외부기기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는 회전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 하우징간에 양자의 자유로운 회동을 저지하는 록부재을 제거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록부재에 상기 콘넥터를 피복하는 커버를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상기 다이렉트콘넥트를 거쳐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도록 하는 규제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콘텍터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에 규제돌부를 설치하고, 이 규제돌부를 상기 록부재를 거쳐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향에 대향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콘넥터.
KR1019950004548A 1994-03-09 1995-03-07 회전콘넥터 KR014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38346 1994-03-09
JP03834694A JP3224933B2 (ja) 1994-03-09 1994-03-09 ケーブルリール
JP6106839A JPH07320835A (ja) 1994-05-20 1994-05-20 回転コネクタ
JP94-106839 199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232A KR950028232A (ko) 1995-10-18
KR0140588B1 true KR0140588B1 (ko) 1998-07-01

Family

ID=2637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548A KR0140588B1 (ko) 1994-03-09 1995-03-07 회전콘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5562466A (ko)
KR (1) KR0140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538B4 (de) * 1996-01-25 2004-12-02 Alps Electric Co., Ltd. Drehverbinder
JPH10294159A (ja) * 1997-04-18 1998-11-04 Yazaki Corp 相対回転部材間継電装置
JP3935245B2 (ja) *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3519013B2 (ja) 1999-03-17 2004-04-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520220B2 (ja) 1999-05-11 2004-04-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561435B2 (ja) * 1999-05-14 2004-09-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回転コネクタ
EP1093201B1 (en) * 1999-10-13 2009-12-09 THOMSON multimedia Cable reel and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such a reel
JP2001297845A (ja) * 2000-04-14 2001-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JP2002029335A (ja) * 2000-07-13 2002-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における回転仮止め構造
DE10103761A1 (de) * 2001-01-27 2002-09-05 Kostal Leopold Gmbh & Co Kg Flexibles Flachbandkabel
DE60237410D1 (de) * 2001-02-21 2010-10-07 Alps Electric Co Ltd Drehverbinder mit mehrfachen flexiblen Leitungen
DE10116295A1 (de) * 2001-03-31 2002-10-10 Nexans France S A Vorrichtung zur Strom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JP3802370B2 (ja) 2001-05-08 2006-07-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3032871A (ja) * 2001-07-17 200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ケーブルリール
US6488520B1 (en) 2001-12-27 2002-12-0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members
US7076863B2 (en) * 2002-05-14 2006-07-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pparatus for folding flat cable
DE102004033024A1 (de) * 2004-07-09 2006-02-02 Nexans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Endstellen
US7175448B2 (en) * 2005-06-29 2007-02-1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a terminal cluster block with locking end fittings
DE102008057588A1 (de) * 2008-11-15 2010-05-20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s Gerät
JP5414918B1 (ja) * 2013-01-31 2014-02-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ゾルバのステータ及びレゾルバ
DE102013019562A1 (de) * 2013-11-22 2015-05-2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ignalen an und/oder von einem drehbaren Bauteil eines Kraftfahrzeugs, Lenksäulenmodul und Kraftfahrzeug
CN206211130U (zh) * 2013-12-31 2017-05-31 3M创新有限公司 直角出口连接器组件
EP2978084B1 (de) * 2014-07-25 2017-03-01 Nexans Baugruppe mit einem Kontaktelement
US10286861B2 (en) * 2015-07-02 2019-05-14 Honda Motor Co., Ltd. Cable reel
WO2018171854A1 (en) * 2017-03-20 2018-09-27 HELLA GmbH & Co. KGaA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a plug
JP6596743B2 (ja) * 2017-12-28 2019-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0141541A (ja) * 2019-03-01 2020-09-03 株式会社タチエス 給電経路付きの軸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5831B1 (de) * 1985-03-23 1989-06-07 Petri AG Justiereinrichtung für einen Stromleitungsverbinder von Gassack-Aufprall-Schutzeinrichtungen
US4838803A (en) * 1986-10-21 1989-06-13 Alps Electric Co., Ltd. Connector device
JPH02215071A (ja) * 1989-02-14 1990-08-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装置
JP2507808B2 (ja) * 1989-05-31 1996-06-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DE4031235A1 (de) * 1990-03-02 1991-09-12 Thomas & Betts Corp Verbindungsvorrichtung
US5304071A (en) * 1990-04-14 1994-04-19 Alps Electric Co., Ltd. Clock spring
US5230713A (en) * 1990-11-17 1993-07-27 Kabelmetal Electro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current between two end points
JP2524419Y2 (ja) * 1991-02-26 1997-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JP2524420Y2 (ja) * 1991-03-18 1997-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ケーブルリール
JP2538866Y2 (ja) * 1991-11-15 1997-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DE4216526A1 (de) * 1992-05-19 1993-11-25 Kabelmetal Electro Gmbh Vorrichtung zur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Endstellen
US5389002A (en) * 1992-12-22 1995-02-14 Nippondenso Co., Ltd. Connector apparatus used for a flexible cable
US5495996A (en) * 1993-06-14 1996-03-0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ble Reel
DE4329116B4 (de) * 1993-08-30 2005-07-28 Takata-Petri Ag Stromübertragungselement für Lenkräder von Kraftfahrzeugen
US5429517A (en) * 1994-02-14 1995-07-04 Methode Electronics, Inc. Two-piece clockspring with lock and wire harnes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02260A (en) 1997-12-30
US5683260A (en) 1997-11-04
US5562466A (en) 1996-10-08
KR950028232A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588B1 (ko) 회전콘넥터
US5683259A (en) Rotary connector
JP5833522B2 (ja) 回転コネクタ
JP3500042B2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20210070238A1 (en) Rotary connector
JPH0725447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接続器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3416413B2 (ja) 回転コネクタ
JP5802156B2 (ja) 回転コネクタ
JP3520220B2 (ja) 回転コネクタ
KR20010007067A (ko) 차량탑재용 회전커넥터
KR0152593B1 (ko) 회전 커넥터
EP2272720A2 (en) Steering module
JP5833523B2 (ja) 回転コネクタ
JPH11301379A (ja) アース線の接続構造
JP2001177949A (ja) 電気接続箱への電子ユニットの組付構造
JP2000228264A (ja) 回転コネクタ
JP2001297845A (ja) ケーブルリール
JP2006114411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2000150012A (ja) 端子の回り止め構造
JP4116456B2 (ja) コネクタ
JP2004235083A (ja) コネクタ
JP3501081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3305171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JP2004146116A (ja) アース用端子金具
JP2999604B2 (ja) ケーブル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