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015B1 - 잔디용 에어레이터 - Google Patents

잔디용 에어레이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015B1
KR0139015B1 KR1019950009205A KR19950009205A KR0139015B1 KR 0139015 B1 KR0139015 B1 KR 0139015B1 KR 1019950009205 A KR1019950009205 A KR 1019950009205A KR 19950009205 A KR19950009205 A KR 19950009205A KR 0139015 B1 KR0139015 B1 KR 013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nozzle
lawn
aerator
sid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601A (ko
Inventor
고스케 가와구치
요시히사 호쿠고
만조 마츠오
마사히코 미야우치
아키라 이다
Original Assignee
우치야마 하루오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3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93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9652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50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040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2554B2/ja
Application filed by 우치야마 하루오, 가부시키가이샤 마루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우치야마 하루오
Publication of KR950028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5/00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 A01B45/02Machines for treating meadows or lawns, e.g. for sports grounds for aer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7/00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vermin in soil or in foodstuffs
    • A01M17/002Injection of toxic gases or fluids into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밭 등의 지면을 주행하면서 노즐로부터 지면으로 고압액을 주입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노즐(72)로부터 지면에 고압액을 분사하고, 분사후의 지면을 진압롤러(78)에 의하어 진압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a) 진압롤러(78)가 좌우방향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 이동이 자유로운 동시에 차체(16)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상대변위 자유롭게 되도록 진압롤러(78)를 차체(16)에 지지하는 지지장치(74,100) 및, (b) 진압롤러(78)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02)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잔디용 에어레이터
본 발명은 잔디밭 등의지면을 주행하면서 노즐로부터 지면으로 고압액을 주입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Aerator) 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국제공개 WO/91/07078은 잔디밭을 주행하면서, 노즐로부터 고압수를 잔디밭에 간헐분사하여, 잔디밭에 에어레이트용 통공을 형성하고, 동시에 분사후의 잔디밭을 진압롤러에 의하여 진압하는 것을 개시한다.
국제공개 WO/91/07078의 에어레이터에서는, 진압롤러는 좌우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노즐을 구비한 노즐장치의 전후에 배설됨과 동시에 전후의 진압롤러는 에어레이터의 측방에서 보아 노즐장치와 일체적으로 요동하여 노즐장치 및 진압롤러가 주행방향의 지면의 凹凸에도 불구하고 적정높이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국제공재 WO/91/07078의 에어레이터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a) 노즐장치 및 진압롤러는 에어레이터의 주행방향의 잔디밭의 凹凸에 대하여는 추종 하지만, 에어레이터의 좌우방향의 잔디밭의 凹凸에는 추종할 수 없고, 에어레이터의 좌우방향으로 잔디밭의 凹凸이 있는 경우 높이가 부적절로 된다.
(b) 진압롤러가 노즐장치의 전후에 각각 존재함으로 잔디가 노즐장치의 중량에 의하여 상하기 쉽고, 또 진압롤러에 의한 지면의 진압은 진압롤러의 중량에만 의존하고 있으므로, 진압롤러의 중량을 충분히 크게 할 필요가 생기고, 에어레이터의 중량이 증대함과 동시에 잔디를 상하게 한다.
종래의 잔디용 에어레이터는 또 노즐로부터의 고압액의 분사에 관하여 특별의 안전 기능을 준비하고 있지 않다.
노즐로부터의 고압액의 분사는 위험을 동반하므로 작업자의 조작잘못 등에 대한 안전대책을 채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전상 배려되는 것에는 다음의 것이 있다.
(c) 노즐장치는 주입작업장소에서는 고압액을 지중의 소정깊이까지 주입하기 때문에 지면에 충분히 접근하도록 하강되고, 또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보관장소와 주입 작업장소와의 사이에서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등의 경우는 지면에서 적당히 떼어 상승시키지만 노즐 장치의 하측위치이외에서는 노즐로부터 고압액의 분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한다.
(d) 잔디용 에어레이터는 주입작업중의 주행은 저속으로 되고, 일반도로 등의 주행중은 고속으로 되므로 주입작업이외의 주행시에 노즐로부터의 고압액의 분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한다.
(e) 펌프의 공운전방지를 위하여 액체탱크가 빈상태가 되면 운전을 정지시킨다.
더욱 골프장에서는 잔디밭용 에어레이터가 정기적 또는 적당히 잔디밭을 주행하여 방제액 등을 잔디밭에 고압으로 주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잔디밭용 에어레이터등을 포함하여 잔디밭용 주행차는 각종의 오일사용기기를 탑재하고 있는 데, 작업중 잔디밭용 주행차의 오일사용기기에 만일 오일유출사고가 생기면 잔디밭에 낙하한 오일이 잔디를 상하게 하거나 오염시켜 버린다. 특히 골프장의 그린은 페어웨어(fair way)기타의 잔디에 비하여 균정, 미관 등에 관하여 엄중히 관리되어 있고, 만일 잔디밭용 주행차에 오일누출사고가 생기면 큰 손해에 연계된다.
종래의 잔디밭용 주행차에는 그에 탑재되어 있는 오일사용기기로부터의 만일의 오일누출사고의 대책이 세워져 있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의 증대화에 연계하는 1쌍의 진압롤러의 요동방식에 의한 구조를 폐지하면서,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의 凹凸에 대하여도 진압롤러의 높이를 적정화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의 증대화에 연결되는 1쌍의 진압롤러의 요동방식에 의한 구조를 폐지하면서 주행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의 凹凸에 대하여도 진압롤러 및 노즐장치의 높이를 적정화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즐장치 및 진압롤러를 상측위치로 하였을 때의 주행중 장해물 등으로의 노즐장치 및 진압롤러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 를 달성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 를 달성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e) 를 달성할 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입작업을 종료하였을 때에 안전하게 액체탱크내를 빈상태로 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성에 관계하는 펌프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릴수 있는 잔디용 에어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재하는 오일사용기기로부터 잔디의 오일누출대책을 세운 잔디밭용 주행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일사용기기 수납실로서의 주행용 동력실과 함께 운전석에서의 누출오일도 효율좋게 받아 잔디밭으로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잔디밭용 주행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욱 오일누출대책에도 불구하고 오일사용기기의 보수에 지장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잔디밭용 주행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출오일을 원활히 회수할 수 있는 잔디밭용 주행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중 잔디밭의 부분적인 융기부를 기름받이 커버가 문질렀을 경우에도 잔디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잔디밭용 주행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대응하는 도면의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는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노즐(72)로부터 지면에 고압액을 분사하고, 분사후의 지면을 진압롤러(78)에 의하여 진압한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는 다음의 (a)∼(d) 의 구성요소를 갖고 있다.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a) 에어레이터(1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뻗어서 고압액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72)을 구비하는 노즐장치(70);
(b) 상기 노즐(72)로 부터 고압액이 분사된 후에 지면을 진압하는 진압롤러(78);
(c)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가로방향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자유로운 동시에 프레임(16)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노즐장치(70)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상기 프레임(16)에 지지하는 연결브래킷(74)과 평행링크장치(100);
(d)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진압롤러(78)를 가압하는 가압수단(10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서는 상기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74)은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의 좌우방향 동일측의 끝부에 공통으로 장치되어 있고, 상기 평행링크장치(100)는 좌우의 상기 각 연결브래킷(7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뻗어지고,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74)에 결합하고 있는 롤러측 연직포스트(96), 상기 각 롤러측 연직포스트(9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각 롤러측 연직포스트(96)와 함께 4점평행링크장치(100)를 구성하는 차체측 연직변부(94)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서는 상기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각 차체측 연직변부(94)는 서로 결합하고 동시에 유압실린더(52)에 의하여 상기 차체(16)에 대하여 상하이동되고, 범퍼(26)가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의 상측위치에서는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베설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는 상기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의 상측위치에서는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상기 범퍼(26)와 차륜(14)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측으로 되도록 상기 롤러측 연직포스트(96)를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에 대하여 상방으로 강제적으로 요동시키는 풀리(104)와 와이어(106)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서는 진압롤러(78)는 주행하는 지면(114) 의 凹凸에 대응하여 밀어올리는 힘을 받는다. 좌우방향의 凹凸로부터 진압롤러(78)로의 밀어올리는 힘은 진압롤러(78)를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주행방향의 凹凸로부터 진압롤러(78)로의 밀어올리는 힘은 진압롤러(78)를 진압롤러(79)의 자중 및 인장스프링(10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승시키도록 작용한다.
노즐파이프(70) 및 진압롤러(78)는 연결브래킷(74)과 평행링크장치(100)에 의한 지지에 의하여 프레임(16)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변위가 자유이고 동시에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결과, 주행방향 및 좌우방향의 지면(114)의 凹凸에 따라 상하이동 및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하고, 좌우방향의 각 부위를 거의 적정높이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서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를 작업지와 격납장소와의 사이에서 주행시키는 경우 등 고압액의 주입작업 이외의 주행의 경우는 유압실린더(52)는 차체측 연직변부(94)를 상승시켜, 노즐장치(70) 및 진압롤러(78)를 상측위치로 한다. 노즐장치(70) 및 진압롤러(78)는 상측위치에서는 범퍼(26)에 의하여 외측에서 둘러쌓이고, 장해물에 직접적인 충돌을 회피한다.
본 발명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서는 풀리(104)와 와이어(106)는 노즐장치(70) 및 진압롤러(78)를 그 상측위치에 있어서, 차륜(14)과 범퍼(26)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위로한다. 잔디용 에어레이터(10)가 사면을 오르기 시작할 때나 내려감이 끝날때에는 지면(114)이 노즐장치(70) 및 진압롤러(78)로 일시적으로 접근하지만, 사면과의 충돌보다 먼저 범퍼(26)가 사면에 충돌하여 지면(114) 으로의 노즐장치(70) 및 진압롤러(78)의 충돌은 회피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측면도이다. 1개의 전륜(12) 및 좌우의 후륜(14)은 각각 프레임(16)의 전부의 좌우방향 중앙 및 후부의 좌우에 각각 배설되고 프레임(16)을 지지하고 있다. 프레임(16)의 상부에는 앞에서 순번으로 운전석(18), 비료액이나 약액 또는 물 등을 저유하는 액체탱크(20) 및 주입기(24)가 배설된다. 리어범퍼(26)는 프레임(16)과 대략 동일높이에 있어서 주입기(24)의 좌우측방 및 후방에서 주입기(24)를 둘러쌓도록 프레임(16)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어 있다.
제2도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동력계통 등의 구성도이다. 운전석(18)에는 운전자가 걸터않을 좌석(28), 및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조타(操舵)를 위하여 회전조작되는 스티어링휠(30)이 장비되고, 스티어링휠(30)의 회전조작에 전륜(12)이 연동하여 조타되도록 되어 있다. 유압식 구동장치(HST)(34) 는,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를 포함하고 주행엔진(32)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식 구동장치(34)의 회전동력은 기어식 변속기(36) 및 디퍼렌셜장치(38)를 경유하여 좌우의 후륜(14)으로 전달된다. 주변속레버(40) 및 부변속레버(42)는 운전석(18)에 배설되어 주변속레버(40)는 유압식 구동장치(34)의 출력회전속도 및 전후진을 제어하고, 부변속레버(42)는 기어식 변속기(36)에 있어서 기어의 맞물림을 변환하여 기어식 변속기(36)의 감속비를 제어한다. 유압식 구동장치(34)와 오일탱크(44)와는 유압회로에서 상호 접속되어 유압식 구동장치(34)로부터 도출되어 오는 오일은 오일쿨러(48)에서 냉각되어 필터(46)에서 이물질이 여과되어서 오일탱크(44)로 되돌아간다.
변환밸브(50)는 유로(51)를 통해서 주입기(24)의 유압실린더(52)에 접속되어 유압식 구동장치(34)로부터 유압실린더(52)에 이송되는 유압을 제어한다.
작업기용 엔진(60)의 회전동력은 전자클러치(62)를 통해서 간헐분사펌프(64)로 전달 되어 간헐분사펌프(64)는 고압호스(68)를 통해서 액체탱크(20)내의 액체를 흡입한다. 간헐분사펌프(64)로 부터 토출되어 오는 고압액은 고압호스(68)를 경유하여 주입기(24)의 노즐파이크(70)로 유도된다.
간헐분사펌프(64)는 왕복펌프이고, 흡입과 토출과의 교대의 반복에 의하여 액체를 간헐적으로 고압호스(68)로 분사한다. 토출압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일본국 특원평6-260462호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왕복펌프와 같이 구동부에 서로 맞물리는 비원형기어를 장비하고, 토출행정의 시간을 흡입행정의 시간보다 단축시키는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간헐분사펌프(64)를 채용하였을 경우, 후술의 노즐(72) (제 3도 등) 로부터의 고압액의 간헐분사를 실현하기 위하여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에 문제가 있는 간헐밸브 및 어큐뮬레이터를 폐지할 수 있으므로, 물이외에 미립자 함유의 액체, 예를 들면 비료액이나 방제액을 주입하여 에어레이트와 함께 시비나 방제를 행할수 있다.
제3도, 제4도, 제5도는 각각 주입기(24)의 측면도, 주입기(24)를 후방에서 본 도면 및 평면도이다. 노즐파이프(70)는 좌우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길어지고, 복수개의 노즐(72)은 하향으로 되어 노즐파이프(70)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으로 장치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브래킷(74)은 노즐파이프(70)의 좌우의 끝부를 전단부에 각각 장치되어 있다. 진압롤러(78)는 노즐파이프(70)에 대하여 평행으로 길어지고, 좌우의 끝부에 있어서 롤러브래킷(76)의 대략 전후방향 중앙부에 회전이 자유로운 동시에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롤러브래킷(76)은 연결브래킷(74)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6도는 진압롤러(78)에 방호판(80)의 장치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6도에 있어서, 방호판(80)은 좌우의 끝부에 연직방향으로 길어지는 장공(82)을 상하로 구비하고, 볼트(84)는 장공(82)으로 끼워 통해져 있으므로, 롤러브래킷(76)의 전단부에 나사식으로 부착되고, 방호판(80)을 롤러브래킷(76)에 고정한다. 장공(82)에 있어서 볼트(8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서 방호판(80)의 높이는 적당히 조정된다. 방호판(80)은 노즐(72)의 열의 전방 및 하방을 덮고,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주행중 노즐(72)보다 전방에서 잔디밭(114)을 슬라이딩하여 잔디밭(114)등에서 노즐(72)을 보호한다. 방호판(80)은, 각 노즐(72)의 분구에 대치하는 부위에 통과구멍을 갖고, 각 노즐(72)로부터의 고압액은 방호판(80)의 각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잔디밭(114)에 분사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스크레이퍼(86)는 진압롤러(78)의 후면측에 있어서 진압롤러(78)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길어지고, 조정나사(87)에 의하여 높이를 조정이 자유로운 롤러브래킷(76)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선단을 진압롤러(78)에 접촉시키고 있다.
브러시(88)는 스크레이퍼(86)보다 더욱 후면측에서 진압롤러(78)에 평행으로 길어지고, 높이조정이 자유롭게 조정나사(89)에 의하여 좌우의 끝부에서 롤러브래킷(76)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잔디밭(114) 에 접촉하고 있다. 조정나사(87,89) 에 의한 스크레이퍼(86) 및 브러시(88)의 높이조정의 구조는 제6도의 볼트(84)에 의한 방호판
(80)의 경우와 같다. 門형의 고정틀(90)은 기립상태에서 프레임(16)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상하이동틀(92)은 좌우로 연직변부(94)를 갖고, 좌우상하의 안내롤러(95)에 의하여 고정틀(90)에 대하여 상하이동 자유롭게 고정틀(90)에 지지된다. 유압실린더(52)는 연직방향으로 길어지고, 상하의 끝부에서 각각 고정틀(90) 및 상하이동 틀(92)에 결합하고, 신축에 의하여 상하이동 틀(92)을 고정틀(90)에 대하여 상하이동시킨다.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좌우의 연직변부(94)에 대응하여 평행으로 배설되고, 상하의 링크봉(98)은 (후술의 구(球) 이음매(108)를 통해서) 연직변부(94) 및 연직포스트(96)로 결합하고 있고 (상호 독립으로 동시에 상하이동 틀(92)에 대하여 소정 범위내에서 3 차원 변위할 수 있다), 상하의 링크봉(98)은 연직변부(94) 및 연직포스트(96)와 함께 4 점 평행링크장치(100) 를 구성한다. 가압수단으로서의 인장스프링(102) 은 양단부를 각각 상하이동 틀(92) 및 상측의 링크봉(98)의 중간부에 걸림되고, 연직포스트(96)를 아래로 가압함과 동시에 진압롤러(78)가 지면(114) 에서 떠있을 때에는 좌우의 인장스프링(102)의 균형적인 좌우방향 가압력에 의하여 노즐파이프(70) 및 진압롤러(78)를 좌우방향 수평선에 따르는 자세로 자동적으로 되돌린다. 연직포스트(96)는 전후방향에 관하여 진압롤러(78)의 위치로 되는 것과 같이 하단부에서 연결브래킷(74)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가압수단으로서의 인장스프링(102) 은, 상단측은 상측의 링크봉(98)의 중간부에 걸려있디만 상단측은 연직포스트(96)의 상단부에 걸더라도 소정의 가압력에서의 아래쪽으로의 연직포스트(96)의 가압 및 진압롤러(78)가 지면(114) 에서 떠있을 때의 좌우방향 수평선에 따르는 자세로 노즐파이프(70) 및 진압롤러(78)의 자동적인 되돌림을 달성할 수 있다.
풀리(104)는 상하이동 틀(92)의 좌우의 각 연직변부(94)에 회전이 자유롭게 장치되고, 와이어(106) 는 양단부를 각각 고정틀(90)의 좌우의 연직변부의 하단부 및 연직포스트(96)에 하측의 링크봉(98)의 결합부로 걸림되고, 중앙부에서 올려져서 풀리(104) 에 걸려 있다. 이로써, 상하이동 틀(92)의 상방으로의 작은 변위에 대하여 연직포스트(96)는 큰 변위가 생겨 진압롤러(78)등의 재빠른 접리가 가능하게 된다.
제7도는 평행링크장치(100) 에 있어서 연직변부(94) 및 연직포스트(96)에의 링크봉(98)의 양단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링크봉(98)은 전후의 끝부에 있어서 각각 연직변부(94) 및 연직포스트(96)에 구이음매(108) 를 통하여 결합하고 있다.
제7도는 좌상단부의 링크봉(98)에 있어서 전후의 끝부의 결합구조밖에는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다른 3개의 링크봉(98)에 있어서 저후의 끝부도 제7도와 똑같은 구이음매(108)에 의하여 연직변부(94) 및 연직포스트(96)에 결합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서로 독립으로 동시에 연직변부(94)에 대하여 소정벙위애에서 3차원 변위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연직포스트(96)와 연직변부(94)와의 사이에는 연직포스트(96)를 아래로 가압하도록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 (도시하지 않음) 가 배설되어 있다.
제8도는 진압롤러(78)의 경사이동상태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구이음매(108) 를 절점에 구비하는 평행링크장치(100) 에 의하여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상대적으로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연직선에 대하여 경사 이동한다.
그결과, 잔디밭(114) 에 융기(116)가 존재하여, 진압롤러(78)가 좌우방향 한쪽의 끝부에 있어서 융기(116) 에 올라 앉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좌우의 연직포스트(96)의 높이 및 연직선에 대한 경사각이 변화하고, 노즐(72) 및 진압롤러(78)는 좌우에 존재하는 凹凸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각도로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한다.
제9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것으로 제4도, 제8도와 동일한 도면이다.
제9도, 제10도에 있어서, 우측의 연직포스트(96)는 전후방향에 수평으로 길어지는 지지핀(138)을 하단부에서 관통되고, 지지핀(138)은 우측의 연결브래킷(74)의 상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좌측의 연직포스트(96)는 전후방향에 수평으로 길어지는 지지핀(110)을 하단부에서 관통되고, 지지핀(110)은 좌측의 연결브래킷(74)의 상단부에서 좌우방향에 수평으로 길어지는 장공(112)(장공(112)은 좌측의 연결브래킷(74)의 전후에 존재한다) 에 양단부를 끼워 통하게 되어, 연결브래킷(74)을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동시에 장공(112) 에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즉 좌우방향으로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잔디밭(114) 에 융기(116) 가 존재하고, 진압롤러(78)가 좌우방향 한쪽의 끝부에 있어서 융기(116) 에 올라앉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좌우의 연결브래킷(74)이 각 연직포스트(96)에 대하여 변위하여 노즐(72) 및 진압롤러(78)는 일체적으로 경사이동한다.
주행용 동력실(130)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32), 엔진(32)에 의하여 구동되는 HST(유압식 구동장치)(34), HST(34)의 출력회전동력을 저속 및 고속의 2단으로 변속하는 기어식 변속기(36),HST(34)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48), HST(34)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을 냉각하는 오일쿨러(48), HST(34)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일을 저유하는 오일탱크(44)등이 수납되어 있다.
유압식토크 제네레이터(132)는 운전석(18)에 배설되고, 스티어링휠(30)로부터 전륜(12)에 전달되는 조타력을 증가한다. 엔진(32), HST(34), 기어식 변속기(36), 오일쿨러(48), 오일탱크(44) 및 유압식토크 제네레이터(132)는 어느 것이든지 오일을 사용하고 오일누출의 염려가 존재한다. 프로펠러 샤프트(152)는 탱크(20)의 아래쪽을 전후방향으로 길어지고 회전동력을 기어식 변속기(36)로부터 디프장치(154) 에 전달한다. 디프장치(154)도 내부에 소정량의 윤활유를 포함하여 만일의 오일누출의 두려움이 있다.
제11도는 오일받이버킷(256)의 사시도이다. 오일받이버킷(256)은 전륜(12)의 부분이 절제되어, 운전석(18) 및 주행용 동력실(130) 의 아래쪽에서 탱크(20)의 대략 전반부의 범위까지를 덮는 수평판부(258), 및 프로펠러 샤프트(152)의 후단부 및 디프장치(154)의 아래쪽을 덮고 프로펠러 샤프트(152) 와 거의 같은 경사각으로 경사하고 있는 경사부(260)를 갖고 있다.
수직벽(262) 은 수평판부(258) 및 경사부(260) 의 둘레가장자리에 따라 길어지고, 수직에 기립하여 상면을 동일높이로 가지런하게 되어 있다.
오일저장실(264) 은 경사부(260) 및 경사부(260) 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기립하고 있는 수직벽(262) 의 부분에서 형성되고, 후단에 있어서 오일받이버킷(256) 의 최하부로 되어있다.
드레인(266) 은 오일저장실(264) 의 측벽부를 형성하는 수직벽(262) 의 최하부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캡(268) 에 의하여 개폐된다. 뻗어있는 부분(270) 은 수직벽(262) 의 전단부의 좌우 및 수직벽(262) 의 후단부 중앙에 합계 3개가 설치되고, 수직벽(262) 의 상면의 높이로 가지런하게 되어 수직벽(262) 에서 뻗어있다.
오일받이버킷(256) 은 뻗어있는 부분(270) 의 상면을 프레임(16)의 하면에 붙여지고, 볼트(272) 를 뻗어있는 부분(270) 의 끼워통하기 구멍에 하측에서 끼워통하게 되어 볼트(272)에 의하여 프레임(16)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고정된다.
주입기 동력실(22)내에도 간헐적인 토출행정을 이용하여 고압액을 간헐토출하는 플런저펌프 및 그 플런저펌프를 구동하는 엔진 등 오일을 사용하고 있는 오일사용기기가 존재한다. 이들 주입기동력실(22)내의 오일사용기기는 오일저장실(264) 의 상방에 집중하여 배치되고, 주입기동력실(22)내의 오일사용기기로부터의 오일의 누출, 낙하를 오일저장실(264) 에서 받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펌프 등의 주입기동력실(22)내의 오일사용기기를 오일저장실(264) 의 상방으로 집중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면, 경사부(260) 의 후방에 수평판부(258) 와 똑같은 수평판부를 연장시켜 주입기동력실(22)의 아래전체를 덮거나 또는 플런저펌프등 주입기동력실(22)내의 중요한 오일사용기기의 아래쪽만을 덮도록 하여도 좋다.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의한 고압액 주입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잔디밭(114) 에 액체를 간헐주입하는 작업에서는 변환밸브(50)에 있어서 유압의 변환에 의하여 유압실린더(52)가 신장된다.
이로써 상하이동틀(92)이 고정틀(90)에 대하여 하강하고, 진압롤러(78)는 잔디밭(114) 에 접지상태로 된다. 다음에 잔디용 에어레이터(10)가 전진 주행함과 동시에 간헐분사펌프(64)로부터 고압호스(68)를 통해서 각 노즐(72)에 비료액 등의 액체가 간헐적으로 압송되어 노즐(72)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고압액이 분사된다. 방호판(80)은 주행중 노즐(72)의 열의 전방 및 아래쪽을 덮어 잔디밭(114) 위의 돌등의 돌기물이 노즐(72)에 충돌하여 노즐(72)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방호판(80)은 적어도 각 노즐(72)의 분구에 대응하는 부위를 통과구멍으로 되어 있고, 노즐(72)로 부터 간헐분사되는 고압액은 방호판(80)의 수평면부를 관통하여 잔디밭(114)에 주입되고 잔디밭(114) 으로 침투함과 동시에 잔디밭(114) 에 수직의 에어레이트용 통공을 만든다. 진압롤러(78)는 자중과 연직포스트(96)를 통해서 인장스프링(102) 으로 부터의 가압력에 의하여 잔디밭(114) 에 누름되어 잔디밭(114)을 전동하면서 잔디밭(114)으로의 고압액의 주입에 동반하여 융기한 잔디밭(114)의 부위를 노즐(72)의 후방에서 진압한다. 스크레이퍼(86)는 진압롤러(78)에 선단을 문질러 진압롤러(78)에 부착한 진흙 등을 진압롤러(78)로부터 박리시킨다. 브러시(88)는 진압롤러(78)에 의한 진압후의 잔디밭(114) 을 브러시 솔질한다.
잔디밭(114) 은, 통상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주행방향에 고저차가 있고, 연직방향에 있어서 후륜(14)과 노즐(72) 및 진압롤러(78)와의 거리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주행중 순차로 변화한다.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평행링크장치(100)에 의한 상하이동틀(92)의 연직변부(94)로의 연결에 의하여 좌우 독립으로 상하이동틀(92)의 연직변부(94)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상대변위하고, 진압롤러(78)는 연직방향에 있어서 후륜(14)과 노즐(72) 및 진압롤러(78)와의 거리에 관계없이 자중 및 인장스프링(102) 의 가압력에 의한 적절한 누름힘으로 잔디밭(114) 으로의 접지상태를 유지한다.
제8도의 경우와 같이 융기(116) 때문에 좌우로 고저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융기(116)로부터 진압롤러(78)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올라앉음 측의 연직포스트(96)가 상승하는 것과 같은 좌우방향 수평선에 대한 경사력을 진압롤러(78)는 받는다.
이 경사력은 좌우의 연직포스트(96)를 통해서 좌우상하의 링크봉(98)에 전달되어 각 링크봉(98)의 전후의 끝부의 구이음매(108) 있어서 회전운동이 생기고,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진압롤러(78)와 일체적으로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하고, 이에 의하여 노즐파이프(70) 및 진압롤러(78)는 융기(116) 측의 끝부를 비융기측에 대하여 높게 되도록, 제10도의 경우와 같이, 융기(116) 때문에 좌우로 고저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융기(116) 로부터 진압롤러(78)에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올라앉음 측의 연직포스트(96)가 상승함과 동시에 우측의 연결브래킷(74)이 지지핀(138) 둘레로 요동하고, 좌측의 연결브래킷(74)은 장공(112) 에 있어서 지지핀(110) 의 변위와 지지핀(110) 의 둘레의 요동에 의하여 우측의 연결브래킷(74)에 대하여 상하 좌우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고, 좌측의 연직포스트(96)에 대하여 요동하고, 이로써 진압롤러(78)는 융기(116) 측의 끝부를 비융기측에 대하여 높게 되도록 경사이동한다.
주행중 만일 HST(34) 및 오일쿨러(48)등의 오일사용기기에 오일의 누출이 일어났을 경우에는 운전석(18) 및 주행용 동력실(130) 의 오일사용기기로부터의 누출에 의하여 낙하하는 오일은 수평판부(258) 에, 또 디프장치(154) 및 주입기동력실(22)의 오일사용기기로부터의 누출에 의하여 낙하하는 오일과, 프로펠러샤프트(152) 를 상방에서 이동하여 와서 프로펠러샤프트(152) 로부터 낙하하는 오일은 경사부(260)에 각각 받아져서 저유되고, 잔디밭(114) 으로의 낙하는 저지된다. 수평판부(258)에 받아진 오일은 중력으로 오일저장실(264) 쪽으로 흐르고 오일저장실(264) 에 고이게 한다.
오일받이버킷(256) 으로부터 누출유를 배출할 때에는 캡(268) 을 떼어내어 오일받이버킷(256) 으로부터 버킷 등의 용기로 옮긴다.
주행용 동력실(130) 내의 기기의 보수 및 점검 등에 있어서는 볼트(272) 를 풀고, 오일받이버킷(256) 을 프레임(16)으로 부터 떼고, 작업종료후는 다시 오일받이버킷(256) 을 프레임(16)에 장치하여 둔다.
고압액의 주입작업시 이외의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주행시에서는 변환밸브(50)에 있어서 유압의 변환에 의하여 유압실린더(52)는 축소된다. 이로써, 상하이동틀(92)이 상승하여 롤러브래킷(76)은 상승한다. 더욱, 상하이동틀(92)의 상승에 동반하여 와이어(106) 가 풀리(104) 를 지나 고정틀(90)측으로 변위하고, 링크봉(98)은 연직포스트(96)측을 연직변부(94)측에 대하여 상방으로 요동시킨다.
진압롤러(78)가 지면(114) 에서 떠서 이에 동반하여 지면(114) 상의 좌우의 凹凸로부터 진압롤러(78)로의 경사이동력이 소실하고, 또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좌우의 인장스프링(102) 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을 뿐 아니라, 좌우방향 중앙으로 좌우균등하게 가압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연직포스트(96)로부터 구이음매(108) 에 같은 힘이 작용하여 좌우의 연직포스트(96)는 서로 같은 높이로 되어 노즐파이프(70) 및 진압롤러(78)는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따른 자세로 되돌아간다. 상하이동틀(92)의 최종적인 상측위치에서는 연결브래킷(74)의 아래에 맞붙어 있는 노즐(72)이나 진압롤러(78)등의 일체는 리어범퍼(26)의 좌우방향 수평부와 후륜(14)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측으로 된다. 이 결과,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주행 중 노즐(72), 진압롤러(78) 및 방호판(80)등은 외측에서 리어범퍼(26)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으로 되어 노면상의 장해물과의 충돌을 회피함과 동시에 사면의 오름개시시 및 내림 종료시에 노면과의 직접적인 충돌은 회피한다.
제12도는 유압실린더(52) 및 간헐분사펌프(64)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하측위치검출수단(120) 은 고정틀(90)에 장치되고, 유압실린더(52)의 신축에 의하여 고정틀(90)에 대하여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틀(92)이 하측위치에 있는가 여부를 상하이동틀(92)과의 접촉에 의하여 검출한다. 저속위치 검출수단(122) 은 부변속레버(42)의 저속위치 및 고속위치를 검출한다. 주입작업에서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를 충분한 저속으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변속레버(42)는 주입작업시용 주행레인지로서의 저속위치로 변환된다. 또, 산포장소와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보관장소와의 사이의 이동때문에 일반도로를 주행할 때에는 잔디용 에어레이터(10)를 충분한 고속으로 주행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변속레버(42)는 이동시용 주행레인지로서의 고속위치로 변환된다. 액위스위치(124) 는 액체탱크(20)내의 액체가 0 보다 크고 동시에 0 에 극히 가까운 액위이하로 되었는가 여부를 검출한다.
잔액방출스위치(126) 는 액체탱크(20)로부터 액체를 완전히 뽑을때에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운전자에 의하여 수동 조작된다. 제어기(128) 는 하측위치검출수단(120), 저속위치검출수단(122), 액위스위치(124) 및 잔액방출스위치(126) 로부터 입력을 받아 전자클러치(62), 액추에이터(125) 및 펌프작동표시램프(123) 를 제어한다.
액추에이터(125) 는 변환밸브(50)의 변환을 통하여 유압실린더(52)의 신축을 제어한다.
펌프작동표시램프(123)는 운전석(18)에 배치되고, 전자클러치(62)가 온에 있는 것, 즉 간헐분사펌프(64)가 운전상태에 있는 것을 점등에 의하여 알린다.
지면(114) 에의 고압액 주입작업에서는, (a) 잔대용 에어레이터(10)를 저속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부변속레버(42)는 저속위치로 변환되어, (b) 진압롤러(78)를 접지시키기 위하여, 상하이동틀(92)은 수동에 의한 변환밸브(50)의 조작으로 유압실린더(52)의 신장에 의하여 하강되어 하측위치로 된다. 또, (c) 간헐분사펌프(64)의 공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72)로부터 분사시키는 액체가 액체탱크(20)에 존재할 필요가 있고, 액체탱크(20)내의 액위는 소정치 이상에 있어야 한다.
제어기(128) 는 (a)∼(c) 의 조건을 각각 하측위치검출수단(120), 저속위치검출수단(122)및 액위스위(124) 로부터의 입력으로 판별하고(a)∼(c) 의 어느 하나의 조건도 만족되어 있지 않으면 전자클러치(62)를 오프, 즉 비통전상태로 한다. 이로 인하여, 전자클러치(62)는 오프로 되고, 간헐분사펌프(64)는 작업기용 엔진(60)으로 부터의 회전동력은 전달되지 않고, 정지상태로 되어 노즐(72)로부터 고압액의 분사는 행해지지 않는다.
노즐(72)로부터 고압액을 분출하고 있는 주입작업시에 액체탱크(20)내의 액위가 저하하여 상술의 (c)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게 되는 경우는 제어기(128) 는 전자클러치(62)를 오프로 하고, 노즐(72)로부터의 고압액의 분사를 정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 전자클러치(62)의 오프후, 액추에이터(125) 를 통해서 변환밸브(50)의 위치를 변환하여 유압실린더(52)를 축소시켜 상하이동틀(92)을 상측위치로 변경한다.
더욱, 그후 잔디용 에어레이터(10)의 운전자가 액체탱트(20)를 빈상태로 하기 위하여 잔액방출스위치(126) 를 온으로 하면, 제어기(128) 는 액추에이터(125) 를 통해서 변환밸브(50)의 위치를 변환하여 유압실린더(52)를 신장하여 상하이동틀(92)을 하측위치로 한다. 하측위치검출수단(120) 이 상하이동틀(92)의 하측위치로 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기(128) 는 내장타이머를 작동시켜 소정시간을 측정하여 액위스위치(124) 로부터의 입력에 관계없이 전자클러치(62)를 그의 소정시간 통전한다. 그결과, 간헐분사펌프(64)가 소정시간 구동되고, 액체탱크(20)내의 액체는 노즐(72)로부터 방출되어 액체탱크(20)내의 완전히 빈상태로 된다.
그후, 제어기(128) 는 액추에이터(125) 를 통해서 변환밸브(50)의 위치를 다시 변환, 유압실린더(52)는 축소하고 상하이동틀(92)은 상측위치로 되돌아간다.
제1도는 잔디용 에어레이터의 측면도,
제2도는 잔디용 에어레이터의 동력계통 등의 구성도,
제3도는 주입기의 측면도,
제4도는 주입기를 후방에서 본 도면,
제5도는 주입기기의 평면도,
제6도는 진압롤러에의 방호판의 장치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평행링크장치에 있어서 연직변부 및 연직포스트에의 링크봉의 양단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진압롤러의 경사이동상태를 후방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제4도와 동일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제8도와 동일한 도면,
제11도는 기름받이 버킷의 사시도,
제12도는 유압실린더 및 간헐분사펌프의 제어장치의 구성도.

Claims (4)

  1. 잔디용 에어레이터(10)에 있어서,
    (a) 에어레이터(1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가로방향으로 뻗어서 고압액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72)을 구비하는 노즐장치(70);
    (b) 상기 노즐(72)로 부터 고압액이 분사된 후에 지면을 진압하는 진압롤러(78);
    (c)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가로방향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자유로운 동시에 프레임(16)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 상대변위가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상기 프레임(16)에 지지하는 연결브래킷(74)과 평행링크장치(100);
    (d)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지면에 대하여 상기 진압롤러(78)를 가압하는 가압수단(10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74)은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의 좌우방향 동일측의 끝부에 공통으로 장치되어 있고, 상기 평행링크장치(100)는 좌우의 상기 각 연결브래킷(74)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연직방향으로 뻗어지고,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좌우방향의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74)에 결합하고 있는 롤러측 연직포스트(96), 상기 각 롤러측 연직포스트(96)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각 롤러측 연직포스트(96)와 함께 4점평행링크장치(100)를 구성하는 차체측 연직변부(9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각 차체측 연직변부(94)는 서로 결합하고 동시에 유압실린더(52)에 의하여 상기 차체(16)에 대하여 상하이동되고, 범퍼(26)가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의 상측위치에서는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를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의 상측위치에서는 상기 노즐장치(70) 및 상기 진압롤러(78)가 상기 범퍼(26)와 차륜(14)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상측으로 되도록 상기 롤러측 연직포스트(96)를 상기 차체측 연직변부(94)에 대하여 상방으로 강제적으로 요동시키는 풀리(104)와 와이어(106)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용 에어레이터.
KR1019950009205A 1994-04-19 1995-04-19 잔디용 에어레이터 KR0139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3262A JP2979369B2 (ja) 1994-04-19 1994-04-19 高圧液注入車
JP94-103262 1994-04-19
JP13965294A JP2935090B2 (ja) 1994-05-31 1994-05-31 高圧液注入車
JP94-139652 1994-05-31
JP18040594A JP2952554B2 (ja) 1994-07-11 1994-07-11 芝地用走行車
JP94-180405 199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601A KR950028601A (ko) 1995-11-22
KR0139015B1 true KR0139015B1 (ko) 1998-04-25

Family

ID=27309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205A KR0139015B1 (ko) 1994-04-19 1995-04-19 잔디용 에어레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41025A (ko)
KR (1) KR01390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06B1 (ko) * 2012-04-05 2014-01-03 박성웅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483743Y1 (ko) 2016-12-14 2017-06-21 (주) 토농 잔디관리작업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5464B1 (it) * 1996-02-22 1998-06-08 Franco Selvatici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el terreno
AU737001B2 (en) 1997-08-21 2001-08-09 Tru Turf Pty Ltd Rolling apparatus
GB2333219B (en) * 1998-01-14 2002-10-16 Turfmech Machinery Ltd Aeration machine
AUPQ133799A0 (en) * 1999-06-30 1999-07-22 Forestfield Pty Ltd Roller mounted carriage
WO2001024605A1 (en) * 1999-10-04 2001-04-12 Textron Inc. Method and system for high pressure liquid injection of turf seed
WO2004043132A2 (en) * 2002-11-12 2004-05-27 The Toro Company Walk aerator with ground following coring head, inboard wheels, assembled multi-part crankshaft, integral core deflectors, and shortened coring head depth
US20070289754A1 (en) * 2006-06-15 2007-12-20 Matthews James O Lawn aerating vehicle
US8215361B2 (en) * 2008-11-05 2012-07-10 Baughman Gilbert L Tire sidewall stitcher
WO2011106420A1 (en) * 2010-02-23 2011-09-01 Basf Corporation Injection apparatus for injecting pesticide and method of injecting pesticide in soil adjacent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2526A (en) * 1958-12-23 1961-12-12 Pineapple Res Inst Of Hawaii Method of injecting liquids into the soil
US4424868A (en) * 1981-08-07 1984-01-10 Sisis Equipment (Macclesfield) Ltd. Turf-treatment apparatus
US4776404A (en) * 1986-11-28 1988-10-11 Olathe Manufacturing, Inc. Multiple unit turf aerator
US5398767A (en) * 1988-06-22 1995-03-21 Warke; William L. Ground treatment apparatus
KR950002213B1 (ko) * 1989-11-13 1995-03-15 더 토로 캄파니 토양 경작 방법 및 장치
US5101745A (en) * 1989-11-13 1992-04-07 The T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oil cultivation by high pressure injection of fluids
US5207168A (en) * 1989-11-13 1993-05-04 The T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urf
US5119744A (en) * 1989-11-13 1992-06-09 The T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urf
JP2756751B2 (ja) * 1992-06-30 1998-05-25 株式会社丸山製作所 高圧液噴射作業車
JP2501402B2 (ja) * 1992-12-01 1996-05-29 株式会社マルナカ製作所 芝生用灌注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06B1 (ko) * 2012-04-05 2014-01-03 박성웅 골프 퍼팅 연습장치
KR200483743Y1 (ko) 2016-12-14 2017-06-21 (주) 토농 잔디관리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41025A (en) 1997-06-24
KR950028601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015B1 (ko) 잔디용 에어레이터
ES2378163T3 (es) Aspersor ambulante con estación de acoplamiento de válvula de suministro de agua automática incorporada
CN103958297B (zh) 刮水器刮板
US6460886B2 (en) Tractor
US5148615A (en) Dredging apparatus
WO1996011835A1 (de) Vorrichtung zur demontage von fahrzeugen, insbesondere zu deren trockenlegung
JP3320938B2 (ja) 茶園用乗用型作業機
JPH11207281A (ja) タンク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2935090B2 (ja) 高圧液注入車
JP3331817B2 (ja) ノズル目詰まり防止装置
JP2979369B2 (ja) 高圧液注入車
JP6488435B2 (ja) 除草剤散布車
JP2578299B2 (ja) 洗車装置、洗車ロボットおよび洗車方法
US7980258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propulsion means of vehicles
KR102640435B1 (ko) 염수분사 노즐을 구성한 제설판
JP2541356Y2 (ja) 高圧液噴射装置
JP3848197B2 (ja) 乗用型の茶園管理作業機
JP3877253B2 (ja) 茶園防除作業機
JP3997175B2 (ja) 乗用型ブームスプレーヤ
KR100427969B1 (ko) 모심기기계
KR102598410B1 (ko) 실시간 수위 측정으로 보조엔진을 제어하여 물펌프를보호하는 살수차
JP3082984B2 (ja) ミッションケース装着型油圧ポンプの油溜め構造
JP3921312B2 (ja) 液体散布装置
JP2019080538A (ja) 薬剤散布車両
KR101764700B1 (ko) 승용 농기계 탈부착형 제초제 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