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92B1 -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92B1
KR0138992B1 KR1019900700526A KR900700526A KR0138992B1 KR 0138992 B1 KR0138992 B1 KR 0138992B1 KR 1019900700526 A KR1019900700526 A KR 1019900700526A KR 900700526 A KR900700526 A KR 900700526A KR 0138992 B1 KR0138992 B1 KR 013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ump
pump house
pump chamb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757A (ko
Inventor
스트리드스베르그 레나르트
Original Assignee
스트리드스베르그 레나르트
마이다타 오토메이션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트리드스베르그 레나르트, 마이다타 오토메이션 에이비 filed Critical 스트리드스베르그 레나르트
Publication of KR90070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05C5/0229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the valve being a gate valve or a sliding valve
    • B05C5/023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the valve being a gate valve or a sliding valve rotating valve, e.g. rotating perforated cyli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지점에 페이스트와 아교 같은 용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펌프하우스(208)를 구비하고, 이 펌프하우스(208) 내부에 펌프체임버(206)를 갖추어 용제가 튜브(202)로부터 이 펌프체임버(206)에 공급되게 하며, 상기 펌프하우스(208)로부터 용제를 배출시키도록 된 노즐(215)을 구비함과 더불어, 상기 펌프체임버(206)내로 용제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된 상부밸브하우징(203)과, 상기 펌프체임버(206)로부터 노즐(215)로 인해 용제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된 하부밸브하우징(212) 또는 유사한 장치를 갖추는 바, 상기 펌프하우스는 구동전압발전기와 연결되면서 전극(209,210)을 갖춘 피에조-전기식 재료로 만들어지고, 적절하게 피에조-전기식 재료를 선택하고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전극(209,210)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내부공간체적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 체적변화는 상기 밸브하우징(203,212)내의 밸브들이 적절히 설정될 때 펌프동작 중 용제가 분출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밸브하우징(203,214)내의 밸브부재(204,213)는 구멍(205,214)이 형성된 얇은 밴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들 밸브부재는 예컨대 한바퀴 감싸주도록 이루어진 밴드의 일부분으로서 독립적으로 제어되거나 동시에 구동된다.

Description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본발명은 보통 평평한 표면상에 고속으로 적은량의 아교라던가 용접용 용제 또는 기타 접착제를 용제하는 용제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납땜용제를 도포하는데 적용기 위한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회로기판의 표면에는 부품을 설치하기 전 모든 납땜지점에 납땜과 추후에 설치될 부품지지대를 용접할 때 이용되도록 일정량의 납땜용제가 용제되어야 하고, 또 상기 각 납땜지점에 도포되는 용제의 양은 각각 별도로 결정되어 일정 허용오차내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부품을 장착하는 장치에 보조를 맞춰 적절한 용제를 도포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높은 것이 요구되기도 하는바, 예컨대 많은 시스템에서는 통상 SOL-20형태의 집적회로 소자를 1-2초이내에 설치하여야 하게 되므로 이러한 설치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납땜용제도포장치가 1-2초내에 20지점 또는 초당 20-10지점에 납땜용제를 도포할 수 있어야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납땜용제와 아교 이외의 다른 재료도 계량해서 도포 해주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도포되는 재료를 간단히 용제라 하기로 한다.
점도포(點塗布)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종래 도포장치는 동작속도가 늦고 또 대부분이 일정한 압력으로 일정한 내경을 갖는 튜브(노즐)을 통해 적정시간동안 용제를 가압해주도록 된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반복성이 좋지않다는 결점을 갖고 있는바, 그 중 특히 기계적인 방법으로 용제의 체적(량)을 결정하도록된 몇몇 장치에 있어서는 각 도포지점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된 중량이 무거운 도포량결정헤드가 설치되어 있어서 장치의 동작속도가 늦고 용량 또한 적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납땜용제를 점초포방식으로 도포하는 대신 스크린프린팅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는 장치를 설치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결점이 있으며, 이러한 방식이 가끔 아교와 같은 물질을 도포하는 데에도 채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일정한계내에서 선택할 수 있는 체적을 갖는 용제를 다수의 지점에 선택된 체적이 균일하게 고속으로 계량해서 도포할 수 있도록 된 용제도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용제도포장치는, 각각의 지점에 용제라던가 아교와 같은 용제를 도포함에 있어, 특히 후술하는 회로소자장착기와 조합되어 작동하면서 전자회로기판에 납땜용제를 용제하도록 되어 있는바, 즉 용제저장용기로부터 파이프를 통해 용제를 공급받도록 된 펌프하우스와, 이펌프하우스로 부터의 용제를 배출하도록 된 노즐을 갖추어, 용제저장용기 내부에서 용제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 펌프하우스로 용제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량이 상부밸브장치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상부 밸브장치는 상기 펌프하우스내에 위치한 펌프체임버로 상기 용제의 유입을 정해진 시간에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펌프체이버의 출구와 인접된 곳에는 하부밸브장치 또는 적절한 제한장치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펌프하우스에서 펌핑작용을 하는 중요부분은 피에조전기식 재료로 된 몸체로서, 이 몸체에는 이 피에조전기식 몸체에 가해지는 전기장의 크기에 따라 체적이 줄어들거나 커지도록 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장은 상기 피에조전기식 몸체에 인접설치되어 구동전압을 발생시키는 반전기에 연결시켜진 전극봉에서 발해지도록 되어 있어서, 펌프작동을 하는 몸체내에 상기 피에조전기식 재료의 위치를 적절히 배치하게 되면 상기 피에조전기식 몸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체적이 상기 전극봉사이에 가해지는 몸체 내부에 형서된 공간체적이 상기 적극봉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에조전기식 재료에 전압이 가해질 때 상기와 같은 공간의 체적변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펌프작용을 하는 몸체의 내부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바, 이와 같은 작동은 소정적 또는 탄성적으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적절한 충전재료를 펌프작동을 하는 몸체의 내부공간에 채워 그 내부벽에 적절히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작동을 하는 몸체는 그 내부표면이 충전재료로 코우팅된 튜우브형태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밸브장치는 일반적으로 밸브부재라던가 밸브몸체를 갖춘 평탄한 부재로 되어 있는바, 이 평탄부재는 밴드 또는 회전형원판형상으로 되면서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밸브가 개방되면 이들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용제가 통과하게 된다. 또 상.하부밸브장치를 갖춘 특별한 예에서는 상기 밸브부재가 양쪽 밸브장치를 관통하는 1개의 밴드로 이루어져, 펌프동작중 상기 2개의 밸브장치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 들게 될 때 특별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하부밸브장치가 설치되지 않고 단지 용제유동 제한장치만이 설치되어 노즐자체가 제한장치역할을 적절히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와 같이 구성되게 되면 움직임은 구성부품은 적어지나 대부분의 용제체적이 반복적으로 균일해지지가 못해서 상부밸부가 개방되게 되면 펌프하우스가 용제로 채워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아교 및 납땜용제용제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 a,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용제계량헤드의 1실시예를 서로 수직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3도 a 내지 g는 본 발명 용제계량헤드의 동작을 차례로 나타낸 개략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용제계량헤드의 밸브밴드조정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용제계량헤드의 밸브밴드조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밸브역할을 하도록 된 회전식 밸브부재가 사용되면서 하부밸브기능이 생략된 경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 기계장치의 주요부분은 도포장치(110)로서, 이 도포장치(110)는 모터 (131)에 의해 구동되어 안내바아(130)를 따라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된 캐리지(120)에 설치되는바, 여기서 상기 안내바아(130)와 모터(131)는 본 발명의 요지는 아니다. 저장용기(112)내에 채워진 용제는 노즐수단(111)을 통해 인쇄회로기판(140)과 같은 용제대상물로 분출되는바,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안내바아(130)에 대하여 Y-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도록 되어야 하고, 만약 상기 회로기판 또는 안내바아가 Y-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방식으로 된 것이라면 본 발명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도포장치(110)는 용제도포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모터(121)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회로기판(
140)의 높이를 직접 측정할 수 있도록 거리감지기(150)가 갖춰져 있는바, 이 거리감지기(150)에는 일시적으로 하강에서 도포장치(110)와 회로기판(140)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탐침봉(101)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140)상의 다수의 기준점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카메라(190)가 사용되게 되는바, 즉 연합조정시스템이 잘못놓여진 회로기판의 위치를 수정할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190)가 X-또는 Y-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시 회로기판의 테두리에 대해 납땜지점들이 정확히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것을 정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190)은 상기 회로기판(140)측면의 시험표면(160)에 위치한 용제도포지점들을 측정하는데에도 이용되는바, 즉 상기 도포장치(110)를 사용하여 용제지점에 소정량의 용재를 도포한 다음 카메라와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도포지점의 크기를 검출하여 시스템의 제어 컴퓨터를 통해 설정된 용제량과 실제의 도포량과의 차이를 산출해서 피이드백시킴으로써 도포량을 수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접착재(201)는, 대기압이상의 압력으로 유지된 저장용기의 윗부분에다 불어넣게 되면 파이프 (202)를 통해 상부밸브하우징(203)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바, 이 상부밸브하우징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205)이 뚫려진 밴드가 갖춰지면서 이 밴드가 X-방향으로 앞, 뒤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멍(205)이 펌프체임버(206)와 소통되어지는 제1위치에서는 상기 구멍(205)을 통해 용제가 파이프(202)로 부터 상기 피동펌프체임버축소부재(207)의 내부공간인 펌프체임버(206)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밴드가 이동하여 그 구멍(205)이 차단되게 되는 제2위치에서는 더 이상 상기 접착재가 상기 튜브(202)로 부터 펌프체임버(206)로 하강하지 못하도록 상기 밴드(204)가 흐름을 차단해 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204)가 적정주기로 앞, 뒤로 이동하면서 용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부재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용제의 펌프작동은 피에조-전기식 재료로 만들어진 펌프실(208)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 펌프실(208)의 내, 외부쪽에는 각각 전극(209,210)이 설치되면서 그 중 적어도 하나가 잘 절연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관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극(209)이 접지되어 구동전압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에 연결된는 한편, 상기 전극(210)의 외부에는 돌발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물질(21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구성재료를 적절히 선택해서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전극(209, 210)사이에 가해지는 전압과 펌프하우스(208)의 내부공간체적과의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게 되는바, 즉 펌프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피동펌프챔버축소부재(207)가 상기 내부공간의 체적변화량을 보상해주게 되어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내부공간체적변화와 동일한 변화량이 보다 적은 체적을 갖는 펌프체임버(206)에 가해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밸브하우징(212)은 바로 펌프하우스(208)밑부분에 부착되어 상부밸브하우징(203)과 연관해서 위, 아래로 움직이고, 상기 밸브하우징(212)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214)이 형성된 밴드(213)가 상기 X-방향으로 앞, 뒤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임의의 제1위치로 부터 밴드(213)가 이동해서 구멍(214)를 통해 용제가 펌프체임버(206)로 부터 노즐(215)로 유동할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밴드(213)가 이동해서 임의의 제2위치에 있게 되면 용제의 유동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프하우스(208)가 튜브형 몸체 또는 직사각형과 같은 임의의 단면에 내부구멍이 갖춰진 형상으로 되는 한편, 피동펌프체임버축소부재(207)는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내부구멍안에 설치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하우스(208)에는 그 상, 하부 끝부분에 플랜지 또는 돌출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설치되면서, 이들 플랜지에는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펌프하우스(208)가 상, 하부 밸브하우징(203,212)에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 상기 오목부는 적절히 설치된 나사를 보여줌으로ㅆ 조임효과를 낼수 있도록된 클램프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의 용제 계량헤드의 실시예에 대해 제3도를 참조로 설명하는바, 도면보호a)내지 g)는 동작순서대로 표기하였다.
제3도 a에서는 상,하부밴드(204,213)의 구멍(205,214)이 닫혀지고 노즐(215) 끝부분은 용제로 완전히 채워져 있지 않으며, 상기 펌프체임버(206)내의 압력은 대기압과 거의 같도록 유지되어 있다. 제3도 b에서는 상부밴드(204)의 구멍(205)이 소통되어져 펌프체임버(206)내의 압력이 도포제저장용기(112)의 압력으로까지 상승하게 되며, 제3도 c에서는 전압이 변화되어 펌프체임버(206)의 체적이 증가시켜지면서 이 펌프체임버(206)로 용제가 압입되어 더이상 유동되지 않게 된다.
이어 제3도 d에서는 상부 밴드(204)의 구멍(205)이 닫혀지고, 펌프체임버(206)의 압력이 상기 용제저장용기(112)내의 압력과 거의 같아지게 되고, 제3도 e에서는 하부밴드(213)의 구멍(214)이 열려 펌프체임버(206)이 대기압으로 떨어짐에 따라 압력감소로 인해 펌프체임버(206)가 약간 수축됨과 더불어 상부밴드(204)가 약간 아래로 눌려지기 때문에, 노즐(215)의 선단에 용제가 약간 채워지게 된다.(상기와 같은 동작전에는 상기밴드(204)의 양착면에 압력이 작용되고 있었다.).
제3도 f에서는 전압이 점차로 변화해서 펌프체임버(206)의 체적이 천천이 감소되게 되는바, 이때 만일 전압을 적정수준으로 변화시켜 주게 되면 노즐(215)의 선단밖으로 용제가 거의 압출될 때까지 상기 노즐(215)에 용제가 완전히 채워지게 되며(이 동작단계는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음), 제3도 g에서는 전압이 급속히 감소되면서 펌프체임버(206)의 체적이 급속히 감소되어 이미 용제가 충전된 노즐(215)의 선단에 압력이 신속히 증가되어 이 노즐(215)로 부터 용제 입적(粒適)이 배출된 다음 거의 수직으로 낙하하게 되는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용제가 배출된 뒤에도 상기 노즐(215)의 선단에는 용제가 완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에 다시 제3도 a에서와 같이 하부밴드(213)의 구멍(214)이 닫혀지면서 상,하부밴드(204,213)의 구멍이 모두 닫혀지게 되는바, 이때 상기 노즐(215)의 선단은 용제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게 되고, 상기 펌프체임버(206)의 압력은 주위의 대기압과 거의 같아지게 된다.
그런데 제3도에서는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이동동작이 X-Y-방향으로만 그 칫수를 변화시킬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3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Z-방향으로도 그 칫수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2개의 밴드(204,213)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나의 모터로서 동시에 이동시킬수도 있는바, 여기서 상기 밴드(204,213)에서 쓰인 밴드란 표현은 이들 두 부재가 얇아야만 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하부밴드(213)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재질로서 재질로서 얇으면서 인장상태로 놓여진 밴드로 구성되어,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하부분이 Z-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불필요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 밴드(213)에 가해지는 제어력의 조합을 적절하게 전달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상기 상,하부밴드(204,213)를 구동제어해주도록된 제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X-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된 안내부재(401)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부밴드(204)는 상기 안내부재(401)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부밴드(213)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401)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이들 밴드(204,213)의 구동동작은 공압실린더라던가 전자석, 선형보이스코일모터 또는 이에 유사한 장치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엑센터를 매개로 상기 안내부재(401)에 회전모우터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제5도는 상기 상,하부밴드(204,213) 제어장치의 2가지 다른 실시예를 함께 도시한 것으로, 이는 1개의 로울러(501)와 3개의 로울러(502)로 구성되는바, 이들 각 실시예는 각각 a)와 b)로 도시되어 있다. 즉, a)예에서는 상기 밴드가 로울러(501,502)주위 전체를 한바퀴 감싸주도록 일체로 된 하나의 밴드(204,213)로 구성되어, 이들 밴드(204,213)가 상기 로울러(501)의 중간부에서 이 로울러(501)에다 동시에 고정시켜주게 되는 연결부재(503)에 의해 상호 접합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상기 로울러(501)가 구동시켜지게 되면 상기 밴드가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b)예에서는 상부밴드(204)가 공압실린더라던가 전자석, 선형 보이스코일모터와 같은 선형모타(402)에 일체로 연결되어, 로울러(501,502)를 한바퀴 감싼 밴드(204)가 연결부재(505)를 매개로 구동아암에 연결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이스코일제어방식은 상기 밴드를 대단히 빠르게 이동시킬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벽에 가해지는 힘을 신속히 변화시켜주게 됨으로써 용제가 신속히 공급되도록 해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부품의 속도는 용제를 펌프체임버(206)로 밀어넣어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빠른 속도를 유지할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이 용제계량헤드의 성능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제한요소로 된다.
만일 상기 용제가 도포되는 회로기판표면에 돌출부분이 없다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제계량헤드는 용제가 도포되어져야할 상기 회로기판표면상을 짧은 거리내에서 단지 X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용제계량헤드는 상기와 같이 X 및 Y 방향으로 반드시 이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서 시간을 낭비하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동작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용제계량헤드로 부터 분출되는 용제량은 전압변화의 진폭을 변화시켜 주게 되면 일정한계내에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펌프하우스는 여러개를 조립해서 하나의 구동장치로 밴드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상기 하부밸브하우징(212)을 분리시키는 한편, 상부밸브하우징(203)은 일체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상기 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가 하나로 된 경우에는, 동작시키고자 하는 펌프하우스에만 구동전압을 인가해서 구동시키는 한편, 필요한 경우에만 피동펌프하우스에다 정상전압에 비해 극지적은 구동전압을 가해서, 길고 연속적인 일련의 피동펌프작동사이클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밴드와 펌프하우스의 탄성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소량의 용제흐름을 보상해 주도록 미약하나마 후방으로의 역회전 펌프작용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평행으로 설치된 몇개의 펌프하우스들은 서로 다른 용제에 대해 소요체적에 대한 특정계량값을 갖고 있거나 또는 동일한 용제에 대해서도 단지 하나의 펌프하우스(208)에 가해지는 서로 다른 구동전압으로서는 실제로 그 계량값의 차이를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체적계량값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여러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하부밴드의 기능은(제2도 실시예의 하부밸브하우징(212)의 기능에 상당함) 생략될수 있고, 또 상기 상부밴드의 구멍이 적절한 시기에 개방되도록 설정해놓게 되면(제2도 실시예의 상부밸브하우징의 기능(203)에 상당함)대부분의 경우 상기 펌프체임버(206)의 용제공급동작의 반복동작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215)의 선단에는 적절한 용제분출량제한 부재가 갖춰지는 것이 잇점이 있는바, 왜냐하면 이러한 제한부재는 용제의 매우 높은 점성과 조합을 이루어 상기 펌프체임버(206) 및 상기 노즐(215)의 나머지 부위보다 노즐(215)의 선단에 훨씬 큰 유동저항을 부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용제에 있어서는 상기 제한부재가 오히려 용제의 점성과 조합을 이루어 소정의 용제공급압력으로도 상기 용제를 유동하지 못하게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경우에서는 상기 용제의 충전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3도 c에서와 같은 작동행정 중 펌프체임버(206)의 체적변화를 유발시키기 위해 직류전압의 변화에다 교류전압을 중첩시키고 있는바 그에 따라 교류전압이 펌프체임버(206)의 벽에 진동을 일으켜 용제가 펌프체임버(206)을 통해 흔들려지면서 내려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부밸브하우징(203,212)에 해당되는 밸브의 기능이 밴드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나, 이를 예를 들어 상기 밴드(204,213)의 두께보다 좀 더 두껍게 제작한 슬라이딩밸브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제6도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밸브하우징(602)내에 회전식 밸브부재(601)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밸브부재(601)는 상기 밸브하우징을 통하여 흐르는 용제의 유동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서 그 축에 수직으로 관통구멍이 형성시켜진 원통형봉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하부밸브기능은 생략되어 있으나, 그 대신 상기 밸브(601)에는 개방시간이 적절히 부여되어 상기 주입튜브(604)에 가해지는 적절한 압력과 함께 조합을 이루어 노즐(215)에 갖춰진 용제유동제한부재(603)에 반복적으로 적절한 용제공급력을 부여해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601)는 모터와 같은 수단에 의해 회저구동시켜지게 되는바,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펌프체임버를 하나의 동일한 밸브제한장치에 연결시켜 일렬로 위치시킬 수가 있게 된다.(본 실시예에서는 몇개의 펌프체임버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밸브부재에 다수의 구멍(605)이 형성되어 이들 각 구멍(605)이 각 펌프체임버에 소통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서는 피동펌프체임버축소부재(207)가 튜브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바, 이 축소부재의 외부면은 상기 펌프체임버의 내주면과 정확히 끼워맞춰지도록 되고(예컨대 진공상태하에서 상기 펌프체임버내부로 성형시켜줌으로써), 내부공간은 용제와 직접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적절하기는 하나 반드시 그렇게 해야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펌프체임버축소부재의 주요기능은 펌프체임버에 일정한 체적을 형성해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펌프체임버내부체적 변화량이 용제가 충전된 보다 적은 체적에 쉽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Claims (12)

  1. 펌프하우스(208)와, 이 펌프하우스(208)로 용제를 공급하기 위한 주입튜브(202), 상기 펌프하우스(208)로 부터 용제를 배출시키도록 된 노즐(215), 상기 펌프하우스(208)내에 위치해서 용제가 상기 펌프체임버(206)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된 상부제한부재 및 상기 펌프체임버(206)로 부터 유출되는 용제를 차단하도록 된 하부 제한부재를 갖추어 페이스트와 아교와 같은 용제를 도포해주도록 된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스(208)가, 상기 구동전압발전기와 연결되면서 전극(209,210)을 갖춘 피에조-전기식 재료로 만들어지고, 이 피에조-전기식 재료가 상기 전극(209,210)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 상기 펌프하우스(208)의 내부공간체적이 변화시켜지도록 적절히 선택되어 위치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느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가 하부밸브하우징(2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제한부재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밸브부재가 이를 관통해서 유동하는 용제의 유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멍(205)을 갖춘 평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가 구멍(205)이 형성된 밴드(204,2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04,213)가 펌프작동방향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된 안내부재(401)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지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6. 제4항과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204,213)가 로울러(501,502)외주면을 완전히 한바퀴를 감싸게 되는 일체로 된 하나의 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밸브부재가, 축에 수직인 구멍(605)을 갖추면서 도포장치를 관통하여 용제가 유동되는 방향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밸브몸체(60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215)자체가 용제의 유동을 제한하는 하부제한부재(603)를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스(208)가 적절한 방식으로 배치된 피에조-전기식재료로된 튜브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펌프하우스(208)의 내,외부표면에 전극(209,2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펌프하우스(208)가 그 내부표면에 설치된 전극(209)이 접지되면서 펌프하우스(208)가 설치된 다른구성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그 외부표면에 설치된 전극(210)이 상기 구동전압 발전기에 연결시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12. 제9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펌프하우스(208)의 내부표면(209)이 변형될 수 있는 충전재료로 코우팅되어, 펌프하우스(208)의 내부체적이 감소되면서 내부공간을 펌프체임버(206)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KR1019900700526A 1988-07-08 1989-07-07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KR0138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802571A SE461822B (sv) 1988-07-08 1988-07-08 Anordning foer att laegga ut pastor och lim i diskreta punkter, foeretraedesvis vid ytmontering av komponenter paa kretskort
SE8802571-3 1988-07-08
PCT/SE1989/000397 WO1990000852A1 (en) 1988-07-08 1989-07-07 Device for rapid applying of pastes and adhesives at discrete points, especially for surface mounting of components at circuit cards
SEPSE89/00397 1989-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757A KR900702757A (ko) 1990-12-08
KR0138992B1 true KR0138992B1 (ko) 1998-06-15

Family

ID=2037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526A KR0138992B1 (ko) 1988-07-08 1989-07-07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23184B1 (ko)
JP (1) JPH04500332A (ko)
KR (1) KR0138992B1 (ko)
DE (1) DE68910128T2 (ko)
SE (1) SE461822B (ko)
WO (1) WO19900008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5713B (sv) * 1990-02-12 1991-10-21 Mydata Automation Ab Anordning foer att utlaegga pastor och lim
SE465307B (sv) * 1990-02-16 1991-08-26 Uva Ab Saett och slipmaskin foer datorstyrd innerrundslipning av haal
SE465756B (sv) * 1990-03-02 1991-10-28 Qenico Ab Anordning foer flaeckvis applicering av loedpasta, lim, e d, paa ett substrat
DE4325143C1 (de) * 1993-07-27 1994-12-22 Itw Dynatec Gmbh Klebetechnik Auftragseinheit für Leim
DE9315652U1 (de) * 1993-10-15 1993-12-23 Nordson Corp Auftragskopf zum Aufbringen von Klebstoff auf ein Substrat, insbesondere für eine Verklebung eines Chips mit einer Karte
DE4411569C1 (de) * 1994-04-02 1995-07-20 Itw Dynatec Gmbh Klebetechnik Auftragskopf zur dosierten Abgabe von strömenden Medien
SE9901253D0 (sv) * 1999-04-08 1999-04-08 Mydata Automation Ab Dispensing assembly
SE0003647D0 (sv) 2000-10-09 2000-10-09 Mydata Automation Ab Method, apparatus and use
US7980197B2 (en) 2006-11-03 2011-07-19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EP2844044A1 (de) * 2013-09-03 2015-03-04 Mass GmbH Anlag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Löchern in einer Leiterplatte
DE102017213841A1 (de) * 2017-08-08 2019-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uckschablone zur Verwendung in einem Verfahren zur Durchkontaktierung einer Leiterplatte und Verwendung solch einer Druckschablone in einem solchen Verfah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8802571L (sv) 1990-01-09
SE8802571D0 (sv) 1988-07-08
DE68910128D1 (de) 1993-11-25
JPH04500332A (ja) 1992-01-23
SE461822B (sv) 1990-03-26
KR900702757A (ko) 1990-12-08
WO1990000852A1 (en) 1990-01-25
DE68910128T2 (de) 1994-05-05
EP0423184B1 (en) 1993-10-20
EP0423184A1 (en)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992B1 (ko) 회로기판용 용제도포장치
KR102093525B1 (ko) 스텐실 프린터용 인쇄 헤드
JP6480404B2 (ja) 基材上に粘性材料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644502B1 (ko) 점성재료 도포장치
KR102324104B1 (ko) 변위 측정에 의해 분사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939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EP0119573A1 (en) Microdroplet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239435A (ja) 粘性材料塗布装置、及び粘性材料塗布方法
WO19990641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jetting droplets
KR102536445B1 (ko) 자동 압전 스트로크 조절
JPH06106111A (ja) ディスペンサ
JP4548030B2 (ja) 液体定量吐出装置
US20020142102A1 (en) Floating head liquid dispenser with dispensing head sensor
JP2000244107A (ja) 吐出量制御機能付きディスペンサ及びクリーム半田の塗布方法
JP3536924B2 (ja) ペースト均一塗布装置
JPH10277457A (ja) 接着剤塗布装置
JP3738913B2 (ja) 塗布方法
JP2000200965A (ja) 接着剤塗布方法、接着剤塗布ヘッド、及び接着剤塗布装置
JP2001300389A (ja) 粘性材料塗布方法及び装置
KR20240030183A (ko) 정전기유도 정밀토출 시스템
JPH10209632A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におけるディスペンサ
JP2000000504A (ja) 塗布装置
JPH105655A (ja) ペースト塗布機
JPH1065325A (ja) 半田ペースト自動供給方法及び装置
JP2001009346A (ja) 粘性材料塗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