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095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095B1
KR0137095B1 KR1019940036837A KR19940036837A KR0137095B1 KR 0137095 B1 KR0137095 B1 KR 0137095B1 KR 1019940036837 A KR1019940036837 A KR 1019940036837A KR 19940036837 A KR19940036837 A KR 19940036837A KR 0137095 B1 KR0137095 B1 KR 013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image
recording
image form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982A (ko
Inventor
아끼오 스즈끼
마사노리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19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 G03G15/16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the force produced by an electrostatic transfer field formed between the second base and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transfer through an air gap the field being produced by laying down an electrostatic charge behind the base or the recording member, e.g. by a corona device
    • G03G15/16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 G03G15/1655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transporting the second base in the transfer area, e.g. guides comprising a rotatable holding member to which the second base is attached or attracted, e.g. screen transfer holding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1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recording material, e.g. plastic material, OHP, ceramics, tiles, texti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8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 G03G15/6594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py material, e.g. postcards, large copies, multi-layered materials, coloured sheet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ormat or the thickness, e.g. endless for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443Copy medium
    • G03G2215/00493Plastic
    • G03G2215/00497Overhead Transparency, i.e. OH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 G03G2215/0196Recording medium carrying member with speed swi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5Variable fixin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기록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제1회전 속도로 회전될 때, 유지되어 있는 기록재 상에 화상이 기록된다. 기록재재 상의 화상은 정착부에 의해 정착된다. 형성된 화상의 정착 속도는 보통 용지, 두꺼운 용지, OHP 쉬트 등과 같은 기록재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유지 수단 상의 기록재에 화상이 기록된 후, 유지 수단의 회전 속도는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회전 속도로 변한다. 그후, 기록재는 유지부로부터 분리되고, 유지부 근처에 제공된 장착부로 이송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
제3도는 화상 처리부의 세부 제어 블럭도.
제4도는 판독기 계조 보정 회로에서 입력/출력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계조 보정 특성도.
제5도는 프린터 계조 보정 회로에서 입력/출력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계조 보정 특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부의 개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제어를 도시하는 순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제어의 N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순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착 제어의 (N+1)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순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4 횡 크기 정착 제어의 (N+1)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4 횡 크기 정착 제어의 정상적인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4종 크기 정착 제어의 (N+1)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4종 크기 정착 제어의 정상적인 회전 제어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 드럼4:현상 장치
5:전사 장치5f:기록재 보유 시트
7:기록재 카세트8a:분리 핀
8b:분리 푸시-업 롤러9:열 롤러 정착기
201:판독부202:프린터부
203:화상 처리부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더 상세하게는 컬러 복사 장치 및 컬러 프린터에 적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록재를 유지하기 위해 전사 드럼과 같은 기록재 유지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에 사용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의 종류에 따라 화상 형성 조건을 바꿈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들면, 형성된 화상의 서명도가 중요한 OHP 용지의 경우에, 선명도를 보장하기 위해 보통 용지의 정착 속도와는 다른 낮은 정착 속도로 정착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정착 속도(fixing speed)는 정착 장치를 통과하는 기록재의 이송 속도를 가리킨다.
근래에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속도와 관련하여, OHP용지 이외의 두꺼운 용지와 같은 용지 상에 낮은 정착 속도로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잠상, 현상 등과 같은 화상 형성 동작 속도와는 다른 정착 속도로 화상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이들 속도 간의 차이를 흡착할 속도 변환 영역이 필요하다. 속도 변환 영역으로써, 화상 전사 장치에서 정착 장치까지 용지 이송부를 사용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 속도와 정착 속도 간의 차이가 흡착된다.
즉,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복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록재는 선정된 속도로 전사 위치를 통과하여야만 한다.
기록재의 후단(rear edge)이 선정된 속도로 전사 위치를 통과한 후 기록재의 속도가 바뀌고, 상기 속도 변화의 완료 후에 기록재의 전단(front edge)이 정착 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전사 위치와 정착 위치 사이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최대 길이의 기록재의 길이에 속도 변화에 필요한 길이를 더함으로써 얻어진 경로의 길이가 요구된다.
상기 장치는 용지 이송부를 갖는 전체 장치의 크기가 선정된 크기내로 작아지려면 기록 용지(기록재) 자체가 제한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용지 크기의 제한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없이 그리고 화상 형성 크기를 제한함이 없이 두꺼운 용지 모드 등에서의 화상 형성 속도와는 다른 정착 속도로 정착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를 실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정보를 기록할 기록재를 유지하기 위한 기록재 유지 수단, 기록재의 정착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정착 속도 절환 수단, 및 설정된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기록재 유지 수단으로부터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분리 수단은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1)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분리 타이밍이 기록재의 용지 크기에 따라 제어된다. (2)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속도는 기록재의 용지 크기에 따라 제어된다. (3) 기록재 유지 수단의 분리 속도는 기록재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되는 기록재의 매수에 따라 제어된다.
상기 구성 이외에, 상기 장치는 기록재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용지 종류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또한 상기 장치에서는 상기 용지 종류 검출 수단의 검출 출력에 따라 세 가지 종류 이상의 정착 속도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의 속도는 정착 속도에 대응하여 절환되고, 기록재의 용지 이송 방향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제어가 실행된다. 그래서, 화상 형성의 수루풋을 감소시키지 않고 화상이 형성될 수 있는 모든 용지 크기로 정착 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확할 것이다.
이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에는 디지탈 컬러 화상 판독부(201)(이하, 간단히 판독부라고 한다)가 제공되어 있다. 하부에는 디지탈 컬러 화상 프린터부(202)(이하, 간단히 프린터부라고 한다)는 하부에 제공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203)는 상기 판독부(201)와 상기 프린터부(202) 사이에 제공된다.
판독부(201)에서, 원고(30)는 원고대 글래스 판(31) 상에 놓이고, 노광 램프(32)에 의해 노광되어 스캔된다. 그래서, 원고(30)에서 나오는 반사광 화상은 렌즈(33)에 의해 RGB 3색 분해 필터와 일체로 형성된 컬러 감지기(a full color sensor)(34)로 압축됨으로써, 컬러 분해 화상 아날로그 신호를 얻게 된다. 상기 컬러 분해 화상 아날로그 신호는 증폭 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과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디지탈 신호는 화상 처리부(203)에 의해 처리되고 프린터부(202)로 보내진다.
상기 프린터부(202)에서, 화상 유지 멤버로서의 감광 드럼(1)은 화상표로 도시된 방향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전 노광 램프(11), 코로나 대전기(2), 레이저 노광 광학계(3), 전위 감지기(12), 현상 장치(4)(현상기 4y, 4c, 4m, 4Bk), 드럼 상의 광 양을 검출하는 검출 감지기(13), 전사 장치(5), 및 소제기(6)는 감광 드럼(1)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레이저 노광 광학계(3)에서, 판독부(201)에서 나오는 화상 신호는 레이저 출력부(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광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레이저 빔은 폴리곤 미러(3a)에 의해 반사되고 렌즈(3b)와 미러(3c)를 지나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 투영된다.
프린터부(202)에서 화상이 형성될 때, 감광 드럼(1)은 화상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이 사전 노광 램프(11)에 의해 방전된 후, 상기 드럼(1)은 대전기(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광 화상(E)이 매 분해 컬러마다 방사됨으로써,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선정된 현상기가 동작하게 되고, 감광 드럼(1) 상의 잠상이 현상됨으로써, 감광 드럼(1) 상에는 기초 재료인 레이진으로 주로 형성되는 토너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현상기는 편심캠(24y, 24c, 24m 및 24Bk)의 동작에 의해 각 분해 컬러에 따라 감광 드럼(1)에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광 드럼(1)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은 기록재 카세트(7)로부터 이송계와 전사 장치(5)를 통해 드럼(1)에 접하는 위치에 공급된 기록재로 전사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사 장치(5)는 전사 드럼(5a), 전사 대전기(5b), 기록재를 정전기적으로 흡착하기 위한 흡착 대전기(5c)를 접하는 흡착 롤러(5g), 내측 대전기(5d), 및 외측 대전기(5e)를 구비한다. 유전체로 된 기록재 유지 쉬트(5f)는, 회전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된 전사 드럼(5a)의 주면 개구 영역에 원주형으로 일체로 펼쳐진다. 기록재 유지 쉬트(5f)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과 같은 유전체 쉬트가 사용된다.
드럼 형태의 전사 장치 즉, 전사 드럼(5a)이 회전됨에 따라, 감광 드럼 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대전기(5b)에 의해 기록재 유지 쉬트(5f) 상에 놓인 기록재 상으로 전사된다.
흡착되는 기록재 상으로 소정 수의 컬러 화상이 전사되고 기록재 유지 쉬트(5f)로 이송됨으로써, 기록재 상으로 전사되어 모든 컬러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모든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4색의 토너 화상의 전사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료될 때, 기록재는 분리 핀(8a), 분리 푸싱-아웃(pushing-out)롤러(8b), 및 분리 대전기(5h)의 동작에 의해 전사 드럼(5a)으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기록재는 열 롤러 정착기(9)를 거쳐 트레이(tray)(10) 상으로 배출된다.
한편, 전사의 완료후 감광 드럼(1) 표면 상에 잔류하는 토너는 소제기(6)에 의해 소제된다. 그후, 드럼(1)은 다시 화상 형성 단계에 사용된다.
기록재의 양측 모두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기록재가 정착기(6) 외부로 배출된 후, 이송 통로 절환 안내부(19)가 곧바로 구동하고, 기록재는 다시 한번 이송 종 통로(20)를 통해 반전 통로(21a)로 유도된다. 그후, 반전 롤러(21b)의 역회전에 의해, 공급된 기록재의 후ㄷ간이 헤드에 세트되고, 기록재는 급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되어 중간 트레이(22)에 수납된다. 그후, 화상은 다시 상기 화상 형성 단계에 의해 다른 표면 상에 형성된다.
분말이 흩어져 전사 드럼(5a)의 기록재 유지 쉬트(5f)상에 침전되고 오일이 기록재 등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훠 브러쉬(fur brush)(14), 기록재 유지 쉬트(5f)를 통해 상기 브러쉬(14)에 접촉하는 백업 브러쉬(backup brush)(15), 오일 제거 롤러(16), 및 쉬트(5f)를 통해 롤러(16)에 접촉하는 백업 브러쉬(17)에 의해 소제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소제는 화상 형성 전에 또는 그 후에 수행되고, 잼(용지 걸림)이 발생할 때마다 수행된다.
실시예에서, 소정 타이밍에서 편심 캠(25)이 동작하게 되고, 전사 드럼(5a)과 일체로 된 캠 활로우어(follower)(5i)가 동작함으로써, 기록재 유지 쉬트(5f)와 감광 드럼(1) 간의 간극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전사 드럼과 감광 드럼 간의 간격은 대기 모드 동안 또는 전원이 턴오프되었을때 증가된다.
이제 형상 장치(4)에서 토너 농도 제어가 서술될 것이다. 마젠타(magenta) 현상기(4m), 시안 현상기(4c), 및 황색 현상기(4y)에서 각 토너가 약 960nm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광에 대해 반사되는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현상시에 각 현상기에 배치된 현상제 농도 검출부(780)에 의해 반사광이 검출된다. 상기 검출된 반사광은 A/D 변환기(752)에 의해 토너 농도 신호로 변환된다. 토너 농도 신호에 대한 토너는 호퍼(hopper)(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현상기로 보충된다.
한편, 이와 유사하게 흑색 토너도 약 960nm의 파장ㅇㄹ 갖는 적외선 광을 흡착하기 때문에, 현상기의 토너 농도 검출은 실행되지 않는다. 약 960nm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광은 감광 드럼(1) 상에 현상된 흑색 토너 화상으로 방사된다. 현상된 흑색 토너의 농도는 감광 드럼(1) 상에 반사된 성분과 흑색 토너에 의해 흡착된 성분 간의 비율로부터 검출됨으로써, 현상기에 있는 토너 농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드럼 상의 광 양을 검출하는 감지기(13)는 흑색 현상기(4Bk)와 전사 대전기(5b) 사이에 배치되고, 전사되기 전에 흑색 현상기(4Bk)에 의해 현상된 흑색 토너 화상을 검출할 수 있다. 감지기(13)는 전사 동작에 의해 아무런 토너 농도 변화도 없는 상태에서 흑색 토너 화상을 검출할 수 있다.
이제 열 롤러 정착기(9)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상기 열 롤러 정착기(9)는 상부 정착 롤러(9a), 하부 정착 롤러(9b), 정착 웹(web)(9c), 및 정착 오일 코팅(9d)을 구비한다.
열 롤러 정착기(9)는 정착 롤러(9a,9b)의 열 에너지로써 기록재 상의 토너를 용해하고, 상기 용해된 토너와 기록재를 정착(9a,9b) 간의 압력으로써 정착시킨다. 상부 정착 롤러(9a)와 하부 정착 롤러(9b)의 표면은, 상기 정착 롤러의 거의 중간부위에 설치된 상부 정착 히터(9e)와 하부 정착 히터(9f)와, 롤러 표면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상부 정착 서미스터(781)와 하부 정착 서미스터(782)에 의해 각각 최적의 표면 온도가 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상기 정착 웹(9c)은 상부 정착 롤러(9a) 또는 오프셋(offset) 토너 상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상부 정착 롤러와 접촉하게 된다. 이 예에서, 정착 웹(9c)에 설치된 테이크-업(take-up) 장치에 의해 새로운 표면이 상부 정착 롤러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소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소제된 표면에 실리콘 오일(silicon oil)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정착 오일 코팅(9d)이 준비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기록재 상의 토너가 상부 정착 롤러(9a)로 오프셋되지 않도록 필요하다면 상부 정착 롤러에 공급된다.
열 롤러 정착기(9)는 정착 구동 모터(제1도에 도시되지 않음)로써 정착 롤러(9a,9b)와 기록재 이송부(9g)를 구동시킨다. 상기 정착 구동 모터는 정착 구동 모터 구동기(761)에 의해 구동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록재 종류에 따라 정착 성능의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세 가지 종류의 용지에 대응하는 정착 속도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이제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시 주변 속도가 Vp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보통 용지의 정착 속도 VFN=VP이다. 두꺼운 용지에 대한 정착 속도 VFT는 VFN보다 작다. OHP에 대한 정착 속도 VFO는 VFT보다 작다. 그래서, VP=VFNVFTVFO의 관계가 만족된다. 정착 구동 모터 구동기(761)는 상기 세 가지 종류의 정착 속도가 실현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록재 이송부(9g)의 이송 속도는 정착 롤러(9a,9b)의 주변 속도와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상기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제어와 관련하여 크게 두 블럭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 블럭은 주로 화상 처리부(203)를 제어하는 판독부(201)와 판독부 제어기(700)에 관한 것이다. 다른 블럭은 프린터부(202)를 제어하는 프린터부 제어기(701)에 관한 것이다.
참조번호(702)는 광학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구동시켜 스캔 미러(32a,32b,32c)와 노광 램프(32)를 이동시키기 위한 광학 모터 구동기를 가리키고, 703은 자동 급지기 RDF를 제어하여 원고를 자동적으로 교환하는 RDF 제어기를 가리키고, 704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를 가리키고, 705는 판독기 제어기(700)의 제어 프로그램이 제정되어 있는 ROM을 가리키고, 706은 제어값 등과 같은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RAM을 가리키고, 그리고 707은 노광 램프(32) 등과 같은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I/O를 가리킨다.
상기 RAM(706)은 심지어 전원이 차단될 때에도 데이타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에 의해 백업된다.
이제 프린터 제어기(701)의 주변 제어부가 서술될 것이다. 참조번호 750은 프린터 제어기(701)의 제어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한 ROM을 가리키고, 751은 제어값 등과 같은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RAM을 가리키고, 752는 드럼 상의 광 양을 검출하는 검출 감지기(13) 등에서 나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를 가리키고, 753은 아날로그 설정 값을 고전압 제어부(770)로 출력하는 D/A 변환기를 가리키고, 그리고 754는 모터, 클러치 등의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I/O를 가리킨다.
제3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부(203)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101은 완전한 컬러 감지기(34)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RGB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상기 아날로그 RGB 신호를 예를들면 8비트인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 공지된 쉐이딩(shading) 보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쉐이딩 보정 회로를 구비하는 CCD 판독부를 가리킨다. 상기 CCD 판독부(101)는 원고 화상의 디지탈 RGB 화상 신호를 발생한다.
참조번호 102는 예를들면 컬러 간의 편차와,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제어 신호의 쉬프트 양에 따라 CCD 판독부(101)로부터 입력된 RGB 화상 신호의 픽셀 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한 쉬프트 메모리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103은 쉬프트 메모리(102)로부터 입력된 RGB 화상 신호를 MCY 화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보색 변환 회로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104는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입력된 흑색 추출 신호에 따라 보색 변환 회로(103)로부터 입력된 MCY 화상 신호로부터 화상의 흑색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흑색 영역에 대해 Bk 화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흑색 추출 회로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105는 상기 흑색 추출 회로(104)로부터 입력된 Bk 화상 신호와 상기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입력된 UCR 양 제어 신호에 따라 보색 변환 회로(103)로부터 입력된 MCY 화상 신호에 대해 하부 색 제거 처리(undercolor removing process:UCR)를 수행하기 위한 UCR 회로를 가리킨다.
즉, 흑색 추출 회로(104)와 UCR 회로(105)는 MCY의 3색의 토너로 상기 추출된 흑색 영역을 오버랩시키지 않지만, 그것을 Bk 토너로 교체하여 화상 형성을 실행함으로써, 컬러 재생을 향상시킨다.
흑색 추출 회로(104)로부터 추출된 Bk 화상 신호는 다음 식(1)에 의해 결정된다:
Bk=A·min(C2,Y2,M2)(1)
식(1)에서, (A)는 흑색 추출 계수를 가리키고, C2, Y2 및 M2는 보색 변환 회로(103)로부터 출력된 MCY 화상 신호를 가리킨다. 흑색 추출 계수(A)는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지정된 흑색 추출 양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UCR 회로(105)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MCY 화상 신호는 다음 식(2)에 의해 결정된다:
M1=B1·(M2-D1·Bk)
C1=B2·(C2-D2·Bk)(2)
Y1=B3·(Y2-D3·Bk)
식(2)에서, M2, C2 및 Y2는 보색 보정 회로로부터 발생된 MCY 화상 신호를 가리키고, M1, C1 및 Y1은 UCR 회로(105)로부터 발생된 MCY 화상 신호를 가리키고, 계수 B1, B2, B3, D1, D2 및 D3는 판독기 제어기(700)에서 나오는 UCR 양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참조번호 106은 사용되는 토너의 혼탁한 성분을 제거하고 CCD의 RGB 필터 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입력된 마스킹 계수(masking coefficient) 제어 신호에 따라 UCR 회로(105)로부터 입력된 MCY 화상 신호에 대해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마스킹 회로를 가리킨다. 마스킹 회로(106)로부터 출력되는 MCY 화상 신호는 다음 식(3)으로 표현된다:
식(3)에서, a11 내지 a33은 마스킹 계수를 가리키고, M1, C1 및 Y1은 UCR 회로(105)로부터 발생된 MCY 화상 신호를 가리키고, M0, C0 및 Y0는 마스킹 회로(106)로부터 발생되는 MCY 화상 신호를 가리키고, 상기 마스킹 계수 a11 내지 a33은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지정되는 마스킹 계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참조번호 107은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선택 단자 S에 입력된 컬러 선택 신호에 따라 마스킹 회로(106)와 흑색 추출 회로(104)로부터 입력된 MCYBk 화상 신호중 한 색의 화상 신호를 선택함으로써 화상 신호 V1을 출력하기 위한 선택기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108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기(107)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 V1에 대해 계조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화상 신호 V2를 출력하기 위한 판독기 계조 보정 회로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판독기 계조 보정 회로(108)는 판독기 제어기(700)로부터 지정된 계조 보정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된 예로써 제4도에 도시된 변환 특성(a 내지 e)중 어느 한 특성에 기초하여 화상 신호에 대해 농도 보정을 수행한다. 판독기 계조 보정 회로에서의 설정은 이하에 서술될 조작부의 화상 농도의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참조번호 109는 컬러마다 프린터부(202)의 출력 특성이 선형이 되도록 프린터 제어기(701)로부터 입력된 프린터 컬러 선택 신호에 따라 예로써 제5도에 도시된 감마 특성(m,c,y,bk)중 어느 한 특성을 선택함으로써 화상 신호에 대해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계조 보정 회로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110은 레이저 노광 광학계(3)에 포함된 레이저 구동기를 가리킨다. 상기 레이저 구동기(110)는 프린터 계조 보정 회로(109)로부터 입력된 화상 신호 V3에 근거하여 반도체 레이저를 변조함으로써, 감광 드럼(1) 상에 잠상을 형성하게 된다.
제6도는 본 실시예에서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부를 도시한다. 제6도에서, 참조번호 351은 형성될 화상의 매수와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수치 값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텐-키(ten-key)를 가리키고, 352는 형성될 화상의 설정 매수를 클리어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중지하기 위한 클리어/정지 키를 가리키고, 353은 형성될 화상 매수, 동작 모드, 및 선택 급지단 등을 지정된 값으로 재설정하기 위한 리셋 키를 가리키고, 354는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시작 키를 가리킨다.
참조번호 369는 세부 모드 설정이 용이하도록 액정 등으로써 구성된 표시 패널이다. 표시 패널(369)의 표시 내용은 설정 모드에 따라 바뀐다. 이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369) 상의 커서는 커서 키(366 또는 368)에 의해 이동되고, OK 키(364)에 의해 설정이 확인된다. 이와 같은 설정 방법은 또한 터치 패널로써 구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371은 보통 용지보다 두꺼운 기록재 상에 화상이 형성될 때 설정되는 용지 종류 설정 키를 가리킨다. 용지 종류 설정 키(371)가 한번 눌려지면, 두꺼운 용지 모드가 설정되고 LED(370a)가 점등된다. 용지 종류 설정 키(371)를 다시 누름으로써, OHP 모드가 설정되어 LED(370a)가 꺼지고 LED(370b)가 점등된다. 용지 종류 설정 키(371)를 또 다시 누름으로써, 동작 모드는 보통 용지 모드로 복귀하고 LED(370a와 370b)가 꺼진다.
참조번호 375는 다음 네 가지 종류의 양면 모드:즉, 예를들면 한면 원고로부터 한면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한면/한면 모드, 한면 원고로부터 양면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한면/양면 모드, 양면 원고로부터 양면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양면/양면 모드, 및 양면 원고로부터 두 개의 한면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양면/한면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양면 모드 설정 키를 가리킨다. LED(372 내지 374)는 설정된 양면 모드에 따라 점등된다. 한면/한면 모드에서는, LED(372 내지 374)모두가 꺼진다. 한편/양면 모드에서는, 단지 LED(372)만이 점등된다. 양면/양면 모드에서는, 단지 LED(373)만이 점등된다. 양면/한면 모드에서는, 단지 LED(374)만이 점등된다.
자동 급지기 RDF가 사용되지 않을 때 보통 용지의 경우와 두꺼운 용지에 대한 모드가 한면/한면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4색 동작이 특정한 예로써 이하에 서술될 것이다.
이 경우에, 보통 용지가 화상을 형성할 기록재로써 사용되기 때문에, 정착 구동 모터 구동기(761)에 대한 속도는 감광 드럼(1)의 화상 형성 속도 VP와 같은 VFN으로 설정되어 있다.
형성될 화상의 매수가 텐-키(351)를 사용하여 설정된 후, 조작자가 용지 선택-키(303)로써 금지단을 선택하고 시작 키(354)로써 동작 개시를 명령하면, 프린터 제어기(701)는 예를들면 감광 드럼 구동 모터, 정착 구동 모터, 급지 구동 모터, 및 주 구동 모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구동 모터의 각 구동기로 명령을 내린다.
모터의 구동 상태가 안정된 후, 기록재 P의 급지 동작은 지정된 급지단으로부터 시작된다. 이 예에서, 판독부(201)는 4색 모드에서 첫번째 컬러의 현상 컬러로써 마젠타에 대한 화상 신호가 만들어지도록 상술한 쉬프트 양, 흑색 추출양, UCR 양, 판독기 컬러 선택 신호 등을 화상 처리부(203)의 각 블럭으로 설정한다. 판독기 계조 보정 회로(108)에 대해, 조작부(704)의 농도 키(304와 306)의 지정 내용에 대응하여 제4도에 도시된 변환 특성(a 내지 e)중 어느 한 특성을 선택된다. 프린터 계조 보정 회로(109)에 대해 제5도에 도시된 변환 특성(m)이 선택된다.
지정된 급지단으로부터 급지된 기록재 P의 급지 타이밍은 레지스트(resist) 롤러(50)에 의해 판독부(201)의 광학 스캔 동작과 일치한다. 다음에 상기 기록재 P는 흡착 대전기(5c)를 접촉하는 전극으로써 흡착 롤러(5g)에 의해 전사 쉬트(기록재 유지 쉬트 5f)에 흡착된다.
판독부(201)에 의해 판독된 원고 정보는 화상 처리부(203)에 의해 처리되고, 코로나 대전기(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1)상에 레이저로써 방사됨으로써, 잠상이 형성되어 마젠타 현상기(4m)에 의해 현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현상된 화상 정보는 전사 대전기(5b)에 의해서 상기 흡착된 기록재 P상에 전사대전기(5b)로 전사된다. 원고를 판독하고,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 및 전사하기 위한 상기 화상 형성 동작은 상기 순서로 나머지 3원색 C(시안), Y(황색), 및 Bk(흑색) 각각에 대해 실행된다. 지금부터 화상 처리부(203)에 대한 설정 동작이 화상 정보마다 실행된다고 가정한다.
전사 쉬트(5f)로부터 4색의 화상이 전사된 기록재 P를 분리하기 위해, 전사 쉬트(5f)와 기록재 P간의 흡착력은 분리 대전기(5h)에 의해 약화된다. 상기 전사 쉬트(5f)는 분리 푸싱-업 롤러(8b)에 의해 변형되고, 곡률 분리가 실행된다. 기록재 P는 분리핀(8a)에 의해 전사 쉬트(5f)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기록재P는 전사 드럼(5a)과 동일한 속도(VP)로 이송되도록 기록재 이송부(9g)에 의해 열 롤러 정착부(9)로 이송되고, 정착 속도 VFN=Vp로 정착되어 트레이(10)상으로 배출된다.
지금부터 본 실시예의 주요한 목적으로써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 화상 형성 동작의 제어가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OHP 모드에서의 제어가 VFT가 VFO로 바뀐다는 점을 제외하고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의 제어와 거의 같기 때문에, 지금부터 이하에 두꺼운 용지 모드의 경우가 예로써서술될 것이다.
두꺼운 용지 상에 토너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보통 용지의 경우에서 보다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보통 용지의 경우에서 보다 정착 속도를 느리게 설정함으로써, 단위 영역 및 단위 시간당 에너지가 증가되어 두꺼운 용지의 정착 성능을 보장한다. 이 예에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분리핀(8a)에서 상부 및 하부 정착 롤러의 접촉 위치까지의 간격은 두꺼운 용지 상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는 최대 크기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화상(잠상) 형성 속도 VF로써 전사 드럼(5a)의 주변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전사 드럼(5a)의 속도와는 다른 정착 속도 VF를 달성하기 위해 기록재 이송부(9g)를 속도 변환 영역으로 설정하게 된다. 그래서, 기록재 이송부(9g)는 두꺼운 용지 상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최대 크기에만 대응하는 영역으로써 확보되어야 한다. 결국,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정착 속도와 비슷한 방법으로 전사 드럼(5a)의 속도가 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착 속도 VF가 화상 형성 속도 VP보다 느리게 되어야만 할 때, 기록재는 최종적인 컬러 전사후 금방 분리되지 않지만, 전사 드럼(5a)이 다시 한번 회전된다. 그후, 분리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금부터 이하에 4색 모드/두꺼운 용지 모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제어가 제7도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서술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지 및 흡착을 포함하는 잠상의 형성, 현상, 및 전사 동작(S1000)은 마지막 컬러가 전사될 때까지(S1001) 반복된다.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 정착 속도 VF=VFT가 화상 형성 속도 VP와 다르기 때문에, 처리 루틴은 단계(S1003)으로 진행한다.
전사 쉬트(5f)에 대해, 동작 모드가 다수의 기록재가 유지되어 있는지 또는 아닌지의 모드인 지에 대해 검사된다(S1003). 이 실시예에서, 정전 흡착이 기록재 유지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전사 쉬트(5f)의 전체 주변의 1/2 미만 크기의 기록재의 경우, 두 개의 기록용지 상에 동시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정착 제어에서, 두 개의 기록재 상에 화상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이하, 2 전사 쉬트 스택킹 동작(2 transfer sheet stacking operation)이라 함], 두 개의 기록재는 두 기록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한 개의 기록재로써 취급되어 이하에 서술될 (N+1)회전 제어가 실행된다(S1003).
단지 한개의 기록재만을 전사 쉬트(5f)에 유지하고 화상 형성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 이송부(9g)의 끝단 위치까지의 간격 LTC는 기록재의 용지 이송 방향에서 크기 PX와 비교된다(S1004).
크기 PX가 간격 LTC보다 클 때,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 이송부(9g)의 끝단 위치까지의 간격은 정착 속도의 변환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 서술될 (N+1)회전 동작이 실행된다(S1006).
이와는 반대로, 크기 PX가 간격 LTC보다 작을 때, 이하에 서술될 N 회전 제어가 수행된다(S1005). 그후, 장치는 정착의 종료와 용지 배출의 종료를 대기하고(S1008), 전사 드럼(5a)의 속도로써, 드럼 모터의 속도는 다음 기록재로 화상 형성을 위해 VP로 설정된다(S1009).
상기 동작은 설정 매수에 따라 여러번 실행된다(S1010). 설정 횟수에 의한 동작의 완료 후, 화상 형성 동작이 종료된다.
지금부터, 이하에 정착 제어에서 N 회전 제어 및 (N+1) 회전 제어가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순서도와, 제10도 내지 제13도의 타이밍도를 참조로 서술될 것이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 이송부(9g)의 끝단 위치까지의 간격 LTC는 300mm이다.
이하에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 대표적인 기록재 크기에 의한 제어가 도시된다.
(1) A4 횡 급지 크기(급지 방향:210mm), 1 전사 쉬트 스택킹:N 회전 제어
(2) A4 종 급지 크기(급지 방향:297mm), 1 전사 쉬트 스택킹:N 회전 제어
(3) A3 횡 급지 크기(급지 방향:420mm), 1 전사 쉬트 스택킹:(N+1) 회전 제어
(4) A4 종 급지 크기(급지 방향:210mm), 2 전사 쉬트 스택킹:(N+1) 회전 제어
먼저,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 N 회전 제어가 제8도에 도시된 순서도와 제12도와 제13도의 타이밍도를 참조로 서술될 것이다.
제12도와 제13도의 타이밍도는 기록재 크기의 A4 종 급지 크기로 표현되어 있다. 제12도는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의 N 회전 제어를 도시한다. 제13도는 두꺼운 용지 모드 대신에 정상적인 제어를 도시한다.
심지어 화상 형성 속도 VP와 같은 전사 드럼의 주변 속도가 전사 동작의 종료시 정착 속도 VF로 설정되어 있을 때라도, 기록재의 선단이 기록재 이송부(9g)의 선단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N 회전 제어는 기록재의 이송 상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지금부터 이하에 제8도의 순서도가 서술될 것이다.
N 회전 제어에서, 동작은 마지막 컬러 전사의 초기에 개시된다. 다음에 분리 동작은 두꺼운 용지 모드 대신에 정상적인 회전 제어와 같다. 그래서, 장치는 분리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타이밍을 대기한다(S1101). 분리 시작 타이밍이 되면, 분리핀(8a)과 분리 푸싱-아웃 롤러(8b)가 동작하게 되어 분리 동작이 시작된다(S1102).
다음에 장치는 기록재 이송 방향에서 크기 PX로부터 결정되는 전사 종료 타이밍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S1103). 전사 종료 타이밍이 되면, 전사 대전기의 출력은 오프로 설정된다(S1104). 감광 드럼 모터 구동기(760)에 있어서, 두꺼운 용지에 대한 정착 속도 VFT와 전사 드럼의 주변 속도가 같게 되도록 속도가 설정된다(S1105). 그후, 장치는 분리 동작 종료 타이밍이 될 때까지 대기하고, 분리핀(8a)이 턴오프되어 분리 동작이 종료된다(S1107).
그래서, 전사 속도(5a)의 주변 속도는, 기록재의 전단이 정착 속도와 같은 속도로 구동되는 기록재 이송부(9a)에 도달하기 전에 정착 속도(=기록재 이송부의 속도)와 같다. 그래서, 기록재가 정상적으로 분리되고 이송되어, 두꺼운 용지에 대해 정착 속도로 정착된다.
지금부터 (N+1) 회전 제어가 제9도의 순서도와 제10도 및 제11도의 타이밍도를 참조로 서술될 것이다.
제10도와 제11도의 타이밍도는 A4 횡 급지 크기의 2 전사 쉬트 스택킹과 관련하여 표현된다. 제10도는 (N+1) 회전 제어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제11도는 두꺼운 용지 대신에 정상적인 회전 동작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N+1) 회전 제어에서, 용지와 이들 간의 부분이 상기와 같이 한개의 용지로 설정되어 있다는 생각은, A4 횡 금지 크기의 2 전사 쉬트 스택킹에도 적용된다. 2 전사 쉬트가 스택된 용지를 한개의 용지로 고려할 때, 전사 위치에서 기록재 이송부의 끝단까지의 간격 LTC가 300mm 이상이기 때문에, 그들 간의 간격은 정착 속도의 속도 변환 영역으로써 사용될 수 없다. 그래서, 전사 동작 및 분리 동작은 N 회전 제어 또는 두꺼운 용지 모드 대신에 정상적인 회전 동작의 경우에서와 같이 거의 동시에 실행되지 않지만, 심지어 전사 동작의 완료후에도 분리 동작은 실행되지 않으나, 전사 드럼(5a)이 한번 회전된 후 수행된다.
그래서, 전체 전사 드럼(5a)이 속도 변환 영역으로써 사용된다.
지금부터 이하에 제9도의 순서도를 참조로 제어가 서술될 것이다.
장치는 마지막 컬러의 전사 종료를 대기한다(S1201). 전사 종료 타이밍이 되면, 전사 대전기의 고전압이 턴오프되어 전사 동작이 종료된다(S1202).
전사 드럼(5a)의 주변 속도는 정착 속도 VFT와 같도록 설정되어 있다(S1203). 이 속도에서, 장치는 다음 회전의 분리 시작 타이밍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S1204). 분리 시작 타이밍이 되면, 분리 동작이 실행된다(S1205). 분리 동작의 완료후(S1206), 분리핀(8a)은 턴오프되어(S1207) 동작이 종료된다.
이렇게 해서, 전사 드럼(5a)은 속도 변환 영역으로 설정된다. 두꺼운 용지 모드에서의 동작은 정상적인 동작의 화상 형성 최대 크기까지 수행될 수 있다. 2 전사 쉬트 스택킹 동작에 있어서, 두꺼운 용지 모드도 역시 실현될 수 있다.
즉, 비록 상기 실시예가 예로써 정착 속도를 3단으로 절환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서술되었지만, 또한 정착 속도는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절환될 수 있다.
비록 상기 실시예가 기록 이송부(9g)가 정착 속도와 동일한 이송 속도로 설정된 경우와 관련하여 예로써 도시되었지만, 또한 전사 드럼(5a)의 주변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실시예에서 기록재의 용지 이송 방향에서의 크기 PX와 비교되는 간격 LTC가 전사 위치에서 정착 롤러까지의 간격 LTF으로 교체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현을 가능케 한다.
비록 상기 제1실시예가 4색 모드/두꺼운 용지 모드의 경우와 관련하여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심지어 1색, 1색, 3색 모드/두꺼운 용지 모드의 경우라도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특히, 기록재에 공급되는 단위 시간 열 에너지가 비교적 충분히 작은 1색/컬러 모드/두꺼운 용지 모드의 경우에 심지어 장착 속도가 감소되지 않을 지라도, 정착 성능이 보장되는 화상이 출력되는 한, 1색 모드에서 정착 속도를 감소할 수가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 비록 흡착 수단이 기록재 유지 수단으로써 사용되었지만, 또한 공지된 그리퍼(gripper) 수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비록 실시예가 컬러 복사 장치와 관련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컬러 화상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복사 장치 또는 1색, 2색, 또는 3색의 전광석판 프린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전광석판 프린터의 경우, 판독부(201) 대신에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프린터 기술 언어를 기록 화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RIP) 등이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또는 화상 형성 크기에 제한없이, 두꺼운 용지 모드 등에서의 화상 형성 속도와는 다른 정착 속도로 정착 속도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가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9)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정보를 기록할 기록재를 유지하기 위한 기록재 유지 수단,
    다수의 정착 속도를 절환하고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설정된 정착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기록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분리 타이밍은 상기 기록재의 용지 크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에서 분리시의 속도는 상기 기록재의 용지 크기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의 분리 속도는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기록재의 매수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용지 종류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세 가지 종류 이상의 정착속도가 상기 용지 종류 검출 수단의 검출 출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종류 검출 수단은 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 유지 수단에 유지된 기록재 상에 다수의 컬러 성분의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화상을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 상에 상기 다수 컬러 성분의 화상을 순차적으로 오버레이(sequentially overlaying)하는 수단과,
    상기 형성된 화상을 기록재 상으로 전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원고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유지된 기록재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되고, 기록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과,
    상기 기록재가 상기 유지 수단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제1회전 속도, 및 상기 기록재 상에 형성된 화상의 제1정착 속도에 대응하고 상기 제1회전 속도와는 다른 제2회전 속도로 상기 유지 수단을 회전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상기 유지 수단 상의 기록재 상에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감광 드럼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화상을 상기 유지 수단 상의 기록재로 전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이 회전할 때마다 상기 유지 수단 상의 기록재에 서로 다른 컬러 성분의 화상을 오버랩(overlap)하고,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기록재 상에 화상이 기록된 후 상기 제1회전 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 속도로 바꾸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제2정착 속도를 가지며,
    한 컬러 성분의 화상을 기록재 상에 기록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의 회전 속도를 상기 제2회전 속도로 바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이 한번 회전되는 동안의 시간 주기 동안 기록될 화상의 크기에 따라 기록의 완료후 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다수의 기록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제2정착 속도를 가지며, 그로인해 기록재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회전 속도중 어느 한 속도를 선택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40036837A 1993-12-27 1994-12-26 화상 형성 장치 KR0137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23093A JP3382331B2 (ja) 1993-12-27 1993-12-27 画像形成装置
JP93-330230 199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982A KR950019982A (ko) 1995-07-24
KR0137095B1 true KR0137095B1 (ko) 1998-06-01

Family

ID=18230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837A KR0137095B1 (ko) 1993-12-27 1994-12-2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689760A (ko)
EP (1) EP0660198B1 (ko)
JP (1) JP3382331B2 (ko)
KR (1) KR0137095B1 (ko)
CN (1) CN1068443C (ko)
DE (1) DE694348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1539A (en) * 1995-01-10 1997-07-29 Mita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mooth transfer sheet roller transport
JPH09301592A (ja) * 1996-05-13 1997-11-25 Riso Kagaku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
US5983042A (en) * 1996-10-21 1999-11-09 Oki Dat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inting mechanism selectively movable to operative and non-operative positions
JP3397603B2 (ja) * 1996-11-28 2003-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629354B2 (ja) * 1997-08-21 2005-03-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11684B2 (ja) * 1997-09-12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088547A (en) * 1999-07-16 2000-07-11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fuser temperature control
JP2001215862A (ja) 2000-01-28 2001-08-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この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
US6208831B1 (en) * 2000-02-18 2001-03-2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Mount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4422857B2 (ja) * 2000-03-28 2010-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304731B1 (en) 2000-06-08 2001-10-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er for narrow media
US6381422B1 (en) * 2000-07-31 2002-04-30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ine-adjusting a fixation speed of a development material in accordance with temperature control
US6785480B2 (en) * 2000-08-28 2004-08-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image forming speeds
US6285838B1 (en) 2000-09-01 2001-09-04 Lexmark International, Inc. Belt fuser overheat control
JP2003098933A (ja) * 2001-09-20 2003-04-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369271B2 (en) 2002-06-28 2008-05-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ts method, and control method
US7050746B2 (en) * 2003-02-24 2006-05-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trols transferring timing to the paper according to a change of process speed
US7043170B2 (en) * 2003-05-01 2006-05-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peed control of primary and secondary image transfers
US20050013637A1 (en) * 2003-07-14 2005-01-20 Cheol-Ju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ransfer roller in image forming system
JP4993653B2 (ja) * 2003-10-0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材判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その方法
KR100856402B1 (ko) * 2003-11-14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전사롤러 오염방지방법 및 장치
JP4455288B2 (ja) * 2004-11-15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957020B2 (en) 2005-03-15 2011-06-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 program thereof to manage printing sheet communications
KR100708144B1 (ko) 2005-06-21 200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정착속도제어방법
JP5200379B2 (ja) * 2007-01-05 2013-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7075A (en) * 1979-09-26 1981-04-28 Minolta Camera Co Ltd Controlling method for copying by which constant speed fixing corresponding to paper thickness is possible
JPS6051866A (ja) * 1983-08-31 1985-03-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812525B2 (ja) * 1989-08-31 1996-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651248B2 (ja) * 1989-08-31 1997-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15510B2 (ja) * 1990-07-05 1999-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92320B2 (ja) * 1990-09-18 1999-12-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160970A (en) * 1990-11-29 1992-11-0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ntrollable fixing device for fixing a toner image into a sheet
JPH04303858A (ja) * 1991-04-01 1992-10-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374983A (en) * 1991-08-21 1994-12-2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for fixing a toner image on diverse types of recording material
JPH05100515A (ja) * 1991-10-09 1993-04-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333038A (en) * 1991-10-17 1994-07-26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ze or a color tone of a toner image
JPH05289467A (ja) * 1992-04-06 1993-11-05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5289543A (ja) * 1992-04-08 1993-11-05 Ricoh Co Ltd 記録紙搬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4898D1 (de) 2007-02-08
KR950019982A (ko) 1995-07-24
CN1118458A (zh) 1996-03-13
EP0660198B1 (en) 2006-12-27
EP0660198A3 (en) 1998-08-12
US5689760A (en) 1997-11-18
CN1068443C (zh) 2001-07-11
JPH07191510A (ja) 1995-07-28
EP0660198A2 (en) 1995-06-28
DE69434898T2 (de) 2007-10-18
JP3382331B2 (ja) 200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095B1 (ko) 화상 형성 장치
EP1193567B1 (en)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JP4343515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98109A (ja) 画像形成装置
EP112633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thicker image recording material with respect to is heat capacity by using a smaller amount of toner
JP2004078128A (ja) 画像形成装置
US5930572A (en)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on both sides of sheet
JP2007011151A (ja) 画像形成装置
US6505025B2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S20050008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US5198865A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74470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1132A (ja) 画像形成装置
JP3715899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画像処理システム
JP3581423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11931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616274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6211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08272167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008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JP3527353B2 (ja) 画像形成装置
JP326162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242138A (ja) 画像形成装置
JPH07928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4619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