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863B1 -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863B1
KR0118863B1 KR1019900008639A KR900008639A KR0118863B1 KR 0118863 B1 KR0118863 B1 KR 0118863B1 KR 1019900008639 A KR1019900008639 A KR 1019900008639A KR 900008639 A KR900008639 A KR 900008639A KR 0118863 B1 KR0118863 B1 KR 011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ide wall
inlet
tightening
passag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65A (ko
Inventor
야스이사오 아다찌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노루
다이킨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노루, 다이킨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노루
Publication of KR91000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6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djusting flow cross-section, otherwise than by using adjustable stat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일실시예를 포함한 터어보 압축기의 부품단면도.
제2도는, 산기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터어보 압축기 각부의 압력분포를 표시하는 도.
제4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
제5도(a) 및 (b)는, 편심캠의 작동을 표시하는 개략도.
제6도는, 다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요부단면도.
제7도는, 효율을 표시하는 도.
제8도는, 서어징 한계를 표시하는 도.
제9도는, 부분 부하 효율을 표시하는 도.
제10도는 서어징 한계를 표시하는 도.
제11도는 부분 부하 효율을 표시하는 도.
제12도는 최대 효율을 표시하는 도.
제13도는, 서어징 한계를 표시하는 도.
제14도는, 부분 부하 효율을 표시하는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산기장치 1 : 임펠러
2,3 : 측벽 4 : 스크로울
5 : 입구부 5a : 입구측조임부
7 : 출구부 7a : 출구측조임부
8 : 가동측벽 10 : 기점
본 발명은 터어보 냉동기등에 사용되는 터어보 압축기의 날개없는 산기장치(Vane Difuser)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 터어보 압축기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토출측에서 유체를 감속시켜 운전 에너지를 정압으로 변환하는 산기장치와, 그 산기장치에 연속한 스크로울(와류실)이 설치되고 있다.
통상, 산기장치는 평행인 측변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다.
종래 터어보 압축기에 있어서 산기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기장치의 입구부의 폭을 좁힌 것이 있었다.(특개소 55-156299호 공보참조). 이것은 산기장치의 입구부에서의 역류를 회피하여 소용돌이에 의한 손실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입구부의 폭을 좁혀도 흐름의 박리를 억제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흐름을 일부 정류화 할 뿐이다.
특히, 입구부의 폭을 지나치게 좁힌 경우에는 임펠러와의 정합이 무너져서 손실이 증대하므로 부분 부하효율의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사양점 효율 및 최대 풍량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 한층 입구부의 폭을 좁혀도 서어징의 한계를 높일 수 없다는 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유체의 흐름의 상태를 좋게하며 사양점 효율 및 부분 부하효율을 광범위에 걸쳐 항상시킬수 있는 동시에 한계를 높일 수 있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는 임펠러의 토출측에 대향 배치된 한쌍의 측벽 사이에 형성되며 임펠러로부터 유입한 액체의 스크로울에 인도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에 있어서, 유체의 출구부에 유체의 동압이 정압으로 대략 회복하는 부분을 기점으로 스크로울측으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통로폭을 좁힌 출구측 조임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출구측 조임부 보다도 상류측의 통로폭(t2)의 3/8이상, 3/4이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출구측 조임부의 기점을 산기장치의 입구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길이의 70% 이상이며, 90% 이하의 위치에 설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입구부에 하류측으로 향하여 데이퍼 형상으로 통로폭을 좁힝 입고측 조임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입구측 조임부의 최소의 통로 폭을 사양점 풍량에 따라 임펠러의 출구폭(t1)의 75% 이살, 95% 이하로 설정하고 있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로울이 상기 한쌍의 측벽중의 한편의 측벽측으로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측 조임부가 상기 한편의 측벽을 통로측에 돌출시켜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한층으로는 측벽중의 적어도 출구측 조임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통로폭을 조정 자유로운 가동측벽을 설치하고 있으며,해당 가동측벽을 부하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동 측벽 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동측벽 조작수단이 날개의 열림각이 작게되면 통로폭을 감소시키도록 가동측벽을 이동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한 구성의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에 의하면 정압회복이 대략 완료된 출구부에 있어서 출구측 조임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압력손실이 작어도 좋으며, 다시 흐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스크로울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출구측 조임부의 최소의 통로폭(t3)을 출구측 조임부 보다도 상류측의 통로폭(t2)의 3/8 이상, 3/4이하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서어징(surging)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가장 적합한 것이라는 견해를 얻었다.
또, 상기 출구측 조임부의 기점을 산기장치의 입구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 길이의 70% 이상, 90% 이하의 위치에 설정하여 두면 서어징 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부 부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한층 가장 적합하다.
다시, 입구부에 입구측 조임부를 설치하며 입구측 조임부의 최소의 통로폭을 사양점 풍량에 따라 임펠러의 출구폭(t1)의 75% 이상, 95% 이하로 설정하여 두면 산기장치의 입구측의 흐름의 비뚤어짐 치우침이 감해지므로 사양점 및 부분 부하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효율 개선이 도모되여 또한 서어징 여유를 증가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최대 풍량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또, 스크로울이 산기장치의 한편의 측벽측에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측 조임부가 상기 한편의 측벽을 통로측에 돌출시켜서 형성되고 있는 것이면 스크로울로부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측벽중의 적어도 출구측 조임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통로폭을 조정 자재로운 가동측벽을 설치하고 있으며, 해당 가동측벽을 부하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동측벽 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면 가동측벽 조작수단에 의하여 부하에 따라 가동측벽을 이동시켜서 최적한 폭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부하의 대소에 불구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도측벽 조작수단이 날개 열림각이 작게 이루면 통로폭을 감소시키도록 가동측벽을 이동시키는 것이면 부하의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게 통로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표시하는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산기장치의 일실시예를 포함한 터어보 압축기의 부분 단면도이며, 이 산기장치(A)는 임펠러(1)의 토출 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대향한 측벽(2),(3)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며 산기장치(A)에 연속하여 스크로울(4)이 설치되고 있다.
이 스크로울(4)은 한편의 측벽(2)측에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다.
산기장치(A)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향하여 각각 형상이 상이한 입구부(5), 도중부(6) 및 출구부(7)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입구부(5)에는 하류측으로 향하여 측벽(2),(3)의 쌍방울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 통로폭을 좁히는 것에 의해 입구측 조임부(5a)가 형성되고 있다.
또, 도중부(6)에 있어서 측벽(2),(3)은 평행으로 이루고 있으며 여기에서의 통로폭(t2)은 일정하게 하고 있다.
상기 입구측 조임부(5a)에 있어서의 조임비율 즉, 입구측 조임부(5a)의 최소의 통로폭(이 통로폭은 도중부(6)에 있어서의 통로폭(t2)에 동일하다)은 임펠러(1)의 출구폭(t1)의 75% 이상이며, 또한 95%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제2도를 참조하여 입구측 조임부(5a)의 테어퍼끝(5c)의 지름 D2은, 임펠러(1)의 출구지름 D1의 1.05-1.2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입구측 조임부(5a)에서의 각 측벽(2),(3)의 경사 각도는 15-30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출구부(7)에는 기점(10)으로서 스크로울(4)측에 향하여 통로폭을 테이퍼 형상으로 좁힌 출구측 조임부(7a)가 형성되고 있다.
이 출구측 조임부(7a)는 스크로울(4)을 쏠리게 한측의 측벽(2)을 통로측에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통로폭을 좁히고 있다.
상류로부터 하류로 향하여 정압의 회복 상태를 표시하는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의 기점(10)은 산기장치(A)의 출구부(7) 부근에서 동압이 정압으로 대략 회복하고 있는 부분(제3도에 있어 점r의 전후)에 설정하고 있으며, 임펠러(1)의 지름이나 산기장치의 전체 길이등을 고려하면 입구(5b)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 길이의 대략 70-90%의 범위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점(10)의 위치는 사양점 헤드가 높아지며 스크로울(4)측에 접근시킬 필요가 있다.
또, 출구측 조임부(7a)의 테이퍼의 각도는 15도 이상, 25도 이하로 하고 있다.
출구측 조임부(7a)의 최소의 통로폭(t3)은 도중부(6)의 통로폭(t2)의 3/8 이상 3/4 이하로 설정하고 있다.
또, 출구측 조임부(7a)의 측벽(2)은 스크로울(4)내의 지름방향의 중앙부근까지 진출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출구(7b)는 변두리는 아니며, 챔퍼링이 행해지고 있다.
이 챔버링면은 측벽(3)과 평행으로도 좋으며 라운딩 형상으로도 좋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정압이 대략 회복하고 있는 출구부(7) 부근의 부분(점 r의 전후)을 기점(10)으로서 통로폭을 좁힌 출구측 조임부(7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 출구측 조임부(7a)에 의해 흐름의 박리를 억제 하며 정압 상승시키는 동시에 스크로울(4)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서어징(suring)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출구측 조임부(7a)의 최소의 통로폭(t3)이 도중부(6)의 통로폭(t2)의 3/8 이상, 3/4 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서어징 여유를 증가하며 사양점 효율 및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한층 더 적합하다.
다시 출구측 조임부(7a)의 기점을 산기장치(A)의 입구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길이의 70-90%의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서어징 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한층 더 적합하다.
또, 입구부(5)에 있어서 하류부에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통로폭을 좁힌 입구측 조임부(5a)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도중부(6)의 통로폭(t2)을 사양점 풍량에 따라서 임펠러의 출구폭(t1)의 75% 이상, 95% 이하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산기장치(A)의 입구부(5)의 흐름의 비뚤어짐 치우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구측 조임부(5a)와 출구측 조임부(7a)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사양점 및 부분 부하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효율 개선이 도모되는 동시에 서어징 여유를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최대 풍량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다시, 스크로울(4)이 한편의 측벽(2)측에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측 드로오잉부(7a)가 상기 한편의 측벽(2)을 통로측에 돌출시켜서 형성되고 있으므로 스크로울(4)로부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부분 부하 효율을 더한층 향상시킬수 있다.
제4도는 전기 실시예와 동일한 통로폭 형상으로 설정한 산기장기(A)에 있어서 측벽을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표시하고 있다.
동일 도면에 있어서 스크로울(4)을 쏠리게 한측에 있는 측벽(2)이 베이스 측벽(20)과 이 베이스측벽(20)에 대하여 이동 자유롭게 부착된 가동측벽(8)을 가지고 있으며 가동측벽(8)을 이동시키는 가동측벽 조작수단(9)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측벽 조작수단(9)은 압축기의 흡입구측에 설치되어 구동축(92)에 의하여 구동되는 날개(91)와, 구동축(92)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편심캠(93)과, 이 편심캔(93)에 일단부(94a)가 접촉하며 타단부(94b)가 베이스측벽(20)을 관통하여 가동측벽(8)의 이면에 고정된 조작축(94)으로부터 이룬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올리는 것에 더붙여서 이하의 작용효과를 올린다.
즉, 구동축(92)에 의하여 날개(91)과 흡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지면 임펠러(1)에 의한 흡입량이 감소된다.
한편, 구동축(92)에 수반하여 편심캔(93)이 회동하며[제5도(a) 및 제5도(b)참조].
이 편심캔(93)이 조작축(94)에 의해 가동측벽(8)을 제4도에 있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통로폭이 좁혀진다.
또, 날개(91)가 흡입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진 경우는 산기장치(A)내의 압력에 의해 가동측벽(8)이 통로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부하에 따라서 통로폭을 증감시킴으로 부하의 대소에 불구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에너지 절약이 도모된다.
특히, 날개(91)의 열림정도에 따라서 통로폭을 조정함으로 부하의 변화에 대하여 상기 조정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산기장치의 출구의 조임부 만에 가동측벽을 실시 할 수도 있다.
또, 조작축(94)을 유압에 의해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시, 형상기억 합금제의 스프링을 히이터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변형시켜서 조작축(94)을 이동시킬 수 도 있다.
비교예 I-IV
하기의 표1의 조임비율(t1/t2)로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II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IV는 완전히 조이고 있지않은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의 비교예 I-IV에 대하여 부분 부하 효율을 측정한 바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최고 풍량의 80-90% 전후의 통상의 사양점 풍량영역에 있어서는 비율 0.8인 비교예 II가 가장 적합하며, 이것에 의해 고풍량으로는 비율 0.95인 비교예 I이 가장 적합하다.
0.70으로 한 비교예 III은 지나친 조입에 의하여 임펠러(I)와의 정압 무너져서 손실이 증대하고 있으며, 사용할 잇점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으로부터 입구부를 조인 것으로는 그 조임 비율이 0.8 정도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하였다.
또, 조입 비율이 0.75-0.95이면 실용상 바람직한 것으로 추측된다.
시험예 I, II 및 비교예 II
입구부만을 조인 것으로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 상기의 비교예 II에 더불어서 출구부만을 조인 시험예 I와 입구부를 비교예 II와 동일한 조임비율로 조이며, 또한 출구부를 시험예 I와 동일한 조임 비율이 조인 시험예 II와를 제작하였다.
(표 2참조)
Figure kpo00002
그리고, 이들의 시험예 I, II 및 비교예 II를 사용하여 서어징 한계를 측정한바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또 부분 부하 효율을 측정한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저풍량으로부터 고풍량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출구측 만을 조인 시험예 I 및 입구부와 출구부의 쌍방울 조인 시험예 II의 서어징 한계는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의 그것보다도 높으며 이것으로부터 출구측 조임부(7a)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서어징 한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실제 증명되었다.
또, 시험예 II의 서어징 한계는 시험예 I의 한계 보다도 약간 높게 되고 있으나, 이것은 입구부와 출구부의 쌍방울 조이는 것에 의한 상승효과라고 추측된다.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저풍량으로부터 고풍량에 걸된 대략 전체 범위에 있어서 시험예 I, II의 부분 부하 효율은 비교예 II의 그것보다도 높으며 시험예 II의 부분 부하 효율은 시험예 I의 부분 부하 효율 보다도 높다.
이것으로부터 출구부를 소정의 조임 비율로 조인 것은 입구부를 조인것중 가장 바람직한 결과가 얻어진 것 이상으로 부분 부하 효율의 향상이 가능한 것임이 실증되었다.
또, 입구부와 출구부의 쌍방울 조인 것은 출구부만을 조인 것 이상으로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명하였다.
이것은 입구측 조입부(5a)와 출구측 조임부(7a)와의 상승효과에 의해 넓은 범위의 효율 개선을 달성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시험예 II, III 및 비교예 II, V]
상기의 시험예 II 및 비교예 II에 더붙여서 통로폭 t2, 통로폭 t3, 출구폭 t1의 칫수 관계를 하기의 표3과 같이 설정한 시험예 III 및 비교예 V의 산기장치를 제작하였다.
Figure kpo00003
출구조임부(7a)의 조임의 영향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입구조임부(5a)의 조임 비율은 일정하게 하고 있다.
상기의 시험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서어징 한계를 측정한바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으며, 또 부분 부하 효율을 측정한 바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12도는 최대 효율을 표시하고 있다.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저풍량으로부터 고풍량에 걸친 범위에 있어서 입구부와 출구부의 쌍방울 조인 시험예 II, III 및 비교예 V의 서어징 한계는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Ⅱ의 그것보다도 높으며 시험예 III, 시험예 II, 비교예 V의 차례로, 출구부에서의 조임 비율이 크게 이룰수록 서어징 한계가 높게 이루고 있다.
제1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출구부에서의 조임 비율을 0.25로한 비교예 V의 부분 부하 효율은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에 대하여 저풍량으로는 높으나 고풍량으로는 낮게 이루고 있다.
출구부에서의 조임 비율을 0.5로한 시험예 II의 부분 부하 효율은,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에 대해 전체 범위에 걸쳐 높게 이루고 있다.
또, 출구부에서의 조임 비율을 0.75로한 시험예 III의 부분 부하 효율은, 비교예 II에 대하여 저풍량으로부터 중간풍량에 걸펴 높게 이루고 있으며, 고풍량으로는 대략 동등하게 이루고 있다.
한편, 제1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최대 효율은 출구부에서의 조임이 0.5-1.0의 범위로는 대량 동등하게 이루고 있다.
이들로부터 통상의 사양점 풍량에 대한 적합성을 고려하며 부분 부하도 고려하면 입구부와 출구부의 쌍방을 조인것에 있어서 출구측 조임부(7a)에 있어서의 최소의 통로폭(t3)을 도중부(6)에 있어서의 통로폭(t2)의 3/8-3/4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사양점 효율과 부분 부하 효율을 동시에 균형좋게 높일 수 있다고 추측된다.
[시험예 I, 2V 및 비교예 II, VI]
상기의 시험예 I 및 비교예 II에 더붙여서 출구부만을 다음면의 표 4와 같이 조인 시험예 IV 및 비교예 VI를 제작하며, 서어징 한계를 측정한바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부분 부하 효율을 측정한 바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kpo00004
제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출구부만을 조인 시험예 I, IV 및 비교예 VI의 서어징 한계는 입구부만을 조여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은 비교예 II의 서어징 한계 보다도 높게 이루고 있다.
또, 서어징 한계는 시험예 IV,시험예 I 및 비교예 VI의 차례로 높으며 출구부를 조일수록 서어징 한계가 높게 이루고 있다.
한편, 제1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출구부에서의 조임 비율을 0.25로한 비교예 IV의 부분 부하 효율은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에 대하여 저풍량으로는 높으나 중풍량 이상으로는 매우 낮게 이루고 있다.
출구부에서의 조임비율을 0.5로 한 시험예 I의 부분 부하 효율은 입구부만을 조인 비교예 II에 대해 전체 범위에 걸쳐서 높게 이루고 있다.
또, 출구부에서의 조임비율을 0.75로한 시험예 IV의 부분 부하 효율은, 비교예 II에 대하여 저풍량으로부터 중간풍량에 걸쳐서 높게 이루고 있으며, 고풍량으로는 대량 동등하게 이루고 있다.
이들로부터 통상의 사양점 풍량에 대한 적합성을 고려하며 부분 부하도 고려하면, 출구부만을 조인것에 있어서 출구측 조임부(7a)에 있어서의 최소의 통로폭(t3)을, 도중부(6)에 있어서의 통로폭(t2)의 3/8-3/4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사양점 효율과 부분 부하율을 동시에 균형좋게 높일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 장치에 의하면 정압 회복이 대강 완료된 출력부에 출구조임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압력손실이 적으며 흐름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스크로울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서어징 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분 부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출구측 조임부의 최소의 통로폭(t3)이 출구측 조임부 보다도 상류측의 통로폭(t2)의 3/8이상이며, 3/4 이하인 경우에는 서어징 한계, 사양점 효율 및 부분 부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출구측 조임부의 기점을 산기장치의 입구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 길이의 70% 이상이며, 90% 이하인 위치에 설정하여 두면 서어징 한계를 높이며 또한 부분부하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한측 가장 적합하다.
다시, 입구부에 테이퍼 형상의 입구측 조임부를 설치하며, 이 입구측 조임부의 최소의 통로폭을, 사양점 풍량에 따라 임펠러의 출구폭(t1)의 75% 이상이며, 90% 이하로 설정하면 상기의 출구측 조임부와의 상승에 의해 서어징 한계 사양점 효율 및 부분 부하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크로울이 한편의 측벽측에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측 조임부가 상기 한편의 측벽을 통로측에 돌출시켜서 형성되고 있는 것이면 스크로울로부터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율을 더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측벽중의 적어도 출구측 조임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통로폭을 조정 자유로운 가동측벽을 설치하고 있으며 해당가동측벽을 부하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동측벽 조작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면 가동측벽 조작수단에 의하여 부하에 따라서 마이컴동측벽을 이동시켜서 가장 적합한 폭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부하의 대소에 불구하고 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동측벽 조작수단이 날개의 열림각이 작게 이루면 통로폭을 감소시키며 날개 열림각이 크게 이루면 통로폭을 증대시키도록 가동측벽을 이동시키는 것이면 부하의 변화에 대하여 통로폭을 신속하게 조정 할 수 있다.

Claims (7)

  1. 임펠러(1)의 토출측에 대향 배치된 한쌍의 측벽(2),(3)사이에 형성되며, 임펠러(1)측의 입구부(5)로부터 유입한 유체를 스크로울(4)로 인도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A)에 있어서, 유체의 출구부(7)에 유체의 동압이 정압으로 회복하는 부분을 기점(10)으로 스크로울(4)측으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통포폭을 좁힌 출구측 조임부(7a)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출구측 조임부(7a)의 최소의 통로폭(t3)을, 해당 출구측 조임부(7a)보다도 상류측의 통로폭(t2)의 3/8 이상이며 3/4 이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조임부(7a)의 기점(10)을 산기장치의 입구(5b)로부터 산기장치의 전체길이의 70% 이상, 90% 이하의 위치에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입구부(5)의 하류측으로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통로폭을 좁힌 입구측 조임부(5a)의 최소의 통로폭을, 사양점 풍량에 따라서 임펠러(1)의 출구폭(t1)의 75% 이상, 95% 이하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스크로울(4)이 상기 한쌍의 측벽(2),(3)중의 한편의 측벽측으로 쏠린 상태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출구측 조임부(7a)가 상기 한편의 측벽을 통로측에 돌출시켜서 형성되고 있는 산기장치 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측벽(2),(3)중의 적어도 출구측 조임부(7a)를 형성하는 부분에 통로폭을 조정 자유로운 가동측벽(8)을 설치하고 있으며, 해당 가동측벽(8)을 부하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가동측벽 조작수단(9)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 장치 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벽 조작수단(9)이 날개 열림각이 작게 이루면 통로폭을 감소시키도록 가동측벽(8)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KR1019900008639A 1989-06-13 1990-06-13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KR0118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1365 1989-06-13
JP1151365A JP2751418B2 (ja) 1989-06-13 1989-06-13 ターボ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65A KR910001265A (ko) 1991-01-30
KR0118863B1 true KR0118863B1 (ko) 1997-09-30

Family

ID=1551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639A KR0118863B1 (ko) 1989-06-13 1990-06-13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43514A (ko)
EP (1) EP0402870B1 (ko)
JP (1) JP2751418B2 (ko)
KR (1) KR0118863B1 (ko)
CN (1) CN1021591C (ko)
DE (1) DE69021938T2 (ko)
ES (1) ES2078268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124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US11125235B2 (en) 2016-06-30 2021-09-21 Cummins Ltd. Centrifugal compressor with diffuser with thro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081A (en) * 1993-12-09 1995-02-07 Pratt & Whitney Canada, Inc. Compressor diffuser
US5520507A (en) * 1994-05-06 1996-05-28 Ingersoll-R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achieve passive damping of flow disturbances in a centrifugal compressor to control compressor surge
US5807071A (en) * 1996-06-07 1998-09-15 Brasz; Joost J. Variable pipe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AU6553496A (en) * 1996-09-09 1998-03-12 Dmytro Bolesta Power generator driven by environment's heat
US6139262A (en) * 1998-05-08 2000-10-31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Variable geometry diffuser
JP4492045B2 (ja) * 2003-06-13 2010-06-30 株式会社Ihi 遠心圧縮機
US7101151B2 (en) 2003-09-24 2006-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Diffuser for centrifugal compressor
US7001140B2 (en) * 2003-12-30 2006-02-21 Acoustiflo, Ltd. Centrifugal fan diffuser
JP2008506885A (ja) 2004-07-13 2008-03-06 タイア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方法
EP1746290A1 (de) * 2005-07-20 2007-01-24 Rietschle Thomas Schopfheim GmbH Radialverdichter
WO2008101687A2 (de) 2007-02-21 2008-08-28 Grundfos Management A/S Pumpenaggregat
US7905703B2 (en) * 2007-05-17 2011-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Centrifugal compressor return passages using splitter vanes
KR100965134B1 (ko) * 2008-03-25 2010-06-23 이지아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JP5233436B2 (ja) 2008-06-23 2013-07-10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羽根無しディフューザを備えた遠心圧縮機および羽根無しディフューザ
CN103277324B (zh) * 2013-05-27 2016-01-20 清华大学 具有非对称无叶扩压器的离心压气机及具有其的汽车
JP6128230B2 (ja) * 2013-10-31 2017-05-17 株式会社Ihi 遠心圧縮機及び過給機
GB2531029B (en) * 2014-10-07 2020-11-18 Cummins Ltd Compressor and turbocharger
DE102014226341A1 (de) 2014-12-18 2016-06-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dichter, Abgasturbolader und Brennkraftmaschine
CN105090122A (zh) * 2015-06-30 2015-11-25 黑龙江凯普瑞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离心式风机及其无叶扩压器
CN104948504A (zh) * 2015-07-10 2015-09-30 南阳新威机电有限公司 一种电气***及其离心泵
US11078922B2 (en) 2015-10-29 2021-08-0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 & Turbocharger, Ltd. Scroll casing and centrifugal compressor
DE102016217446A1 (de) * 2016-09-13 2018-03-15 Bosch Mahle Turbo Systems Gmbh & Co. Kg Ladeeinrichtung
WO2018174166A1 (ja) * 2017-03-24 2018-09-27 株式会社Ihi 遠心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547C (ko) * 1900-01-01
CH125547A (de) * 1927-02-21 1928-04-16 Oscar Simmen Kreiselmaschine.
US2803396A (en) * 1954-09-29 1957-08-20 Gen Electric Compressor
US3010642A (en) * 1955-02-16 1961-11-28 Rheinische Maschinen Und App G Radial flow supersonic compressor
NL99624C (ko) * 1955-08-29
US3289919A (en) * 1964-11-16 1966-1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Centrifugal gas compressors
US3289921A (en) * 1965-10-08 1966-12-06 Caterpillar Tractor Co Vaneless diffuser
GB1153345A (en) * 1966-06-20 1969-05-29 Caterpillar Tractor Co Imminent Separation Fluid Diffuser Passage
CA1119140A (en) * 1978-12-26 1982-03-02 Phiroze Bandukwalla Centrifugal vapor compressor and a diffuser control therefor
JPS608360B2 (ja) * 1980-05-02 1985-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心式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US4544325A (en) * 1980-10-22 1985-10-01 Teledyne Industries, Inc. Variable geometry device for turbine compressor outlet
JPS5837993U (ja) * 1981-09-04 1983-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ボ圧縮機の停止時逆転防止装置
DE3148756A1 (de) * 1981-12-09 1983-07-21 Dusan Dr.-Ing. 8000 München Nendl Ueberschallringduese
JPS58200003A (ja) * 1982-05-18 1983-11-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回転機械のスクロ−ル
JPS5984201U (ja) * 1983-10-13 1984-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ボ機械
JPS6184199U (ko) * 1984-11-08 1986-06-03
US4932835A (en) * 1989-04-04 1990-06-12 Dresser-Rand Company Variable vane height diffus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5235B2 (en) 2016-06-30 2021-09-21 Cummins Ltd. Centrifugal compressor with diffuser with throat
KR20190001124A (ko) * 2017-06-26 2019-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51A (zh) 1991-01-02
EP0402870B1 (en) 1995-08-30
DE69021938D1 (de) 1995-10-05
US5143514A (en) 1992-09-01
ES2078268T3 (es) 1995-12-16
EP0402870A1 (en) 1990-12-19
JPH0315700A (ja) 1991-01-24
KR910001265A (ko) 1991-01-30
JP2751418B2 (ja) 1998-05-18
CN1021591C (zh) 1993-07-14
DE69021938T2 (de) 199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18863B1 (ko) 터어보 압축기의 산기장치
US4378194A (en) Centrifugal compressor
US5762470A (en) Anti-stall tip treatment means
US4990053A (en) Device for extending the performances of a radial compressor
US5618160A (en) Turbomachinery with variable angle fluid guiding devices
US5529457A (en) Centrifugal compressor
EP1082545B1 (en) Turbomachinery impeller
US5228832A (en) Mixed flow compressor
JPH05195991A (ja) 遠心圧縮機
US4375939A (en) Capacity-prewhirl control mechanism
JPS58104390A (ja) 自由流動型ポンプ
JPS5629099A (en) Diffuser for centrifugal fluid machinery
CN108425704A (zh) 含有导流结构的涡轮机
US6520738B2 (en) Plenum entry bulk swirl generator
US5851103A (en) Turbomachinery with variable angle fluid guiding devices
US4932833A (en) Ring channel blower
KR970005863B1 (ko) 레이디얼 압축기의 성능 향상 장치
EP1534957A1 (en) Screw compressor discharge flow guide
JPH0355839Y2 (ko)
JPS61218795A (ja) 遠心圧縮機用可変幅デイフユーザ組立体
CN218862937U (zh) 叶片、扩压器及离心式压缩机
Whitfield Review of variable geometry techniques applie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centrifugal compressors
JPH0849692A (ja) 両吸込うず巻ポンプ
JPS6344960B2 (ko)
RU2194195C1 (ru) Лопаточный диффузор центробежного компресс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