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15869A1 -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15869A1
WO2021215869A1 PCT/KR2021/005147 KR2021005147W WO2021215869A1 WO 2021215869 A1 WO2021215869 A1 WO 2021215869A1 KR 2021005147 W KR2021005147 W KR 2021005147W WO 2021215869 A1 WO2021215869 A1 WO 20212158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obot cleaner
area
line
driving
direc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51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용길
서진욱
김가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920,98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80988A1/en
Priority to CN202180029811.2A priority patent/CN115426930B/zh
Priority to DE112021002542.2T priority patent/DE112021002542T5/de
Priority to AU2021259042A priority patent/AU2021259042A1/en
Publication of WO20212158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158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1Steering means; Means for avoiding obstacles; Detail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driver is accommod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6Propulsion of the whol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ensuring the processing of the whole working su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48Performing a task within a working area or space, e.g. cleaning
    • G05D1/6482Performing a task within a working area or space, e.g. cleaning by dividing the whole area or space in sectors to be processed separate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which rotate the mop of the robot cleaner and drive and clean the floor through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mop and the floor .
  • Such a robot cleaner that cleans while driving in an area that needs to be cleaned by itself without user manipulation has been developed.
  • a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space to be cleaned, a mop capable of cleaning the floor, and the like, and can run while wiping the floor of the space recognized by the sensor with a mop.
  • the wet robot vacuum cleaner has a water tank,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mop, and the mop is configured to wipe the floor surface with moistur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strongly attached to the floor surface.
  • the mop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t is rotat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to wipe the floor.
  • a plurality of mops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travel in a specific direction by using frictional force in contact with the floor while rotating.
  • US Patent No. US8452450B2 discloses a robot cleaner that cleans while traveling on the floor.
  • the robot cleaner may travel on the floor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 the robot cleaner may uniformly clean the cleaning area while driving along the wall of the cleaning area. That is, the robot cleaner may continuously move forward until the obstacle is recognized, and when the obstacle is detected, the robot cleaner may travel by changing the direction.
  • Korean Patent No. KR1412582B1 discloses a robot cleaner that cleans only the set area by setting a predetermined cleaning area of a space to be cleaned.
  • the robot cleaner may clean only a partial area in which contamination has occurred in the space to be cleaned.
  • the robot cleaner only passes once for some areas, and does not repeatedly clean the contaminated area intensively. Therefore, there is a limit in that it cannot be thoroughly cleaned if the contamination is severe in some areas.
  •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JP2008-0108201A discloses a robot cleaner that reciprocates while turning around obstacles, corners, walls, and the like.
  • the robot cleaner divides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movement ranges and travels for each movement range, and the movement range may overlap an adjacent movement range.
  • the robot cleaner since the traveling directions of the robot cleaners in adjacent movement range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s a result, the robot cleaner repeatedly cleans the cleaning area twice.
  • the robot cleaner only cleans the cleaning area twice as a whol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repeatedly clean a specific area with severe pollution, and rather, it cleans the area with low pollution twice unnecessarily for energy and cleaning. There is a limit to wasting ti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that repeatedly cleans a floor surfa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which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s described abov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meticulously cleaning a heavily contaminated floor surfa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capable of performing the overall cleaning of a cleaning area and repeatedly cleaning a specific area with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that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running and cleaning.
  • a robot cleaner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 water bottle and a motor therein, and having a bumper on the front; and a pair of rotating plate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p facing the bottom and rotatably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ody.
  • the main body may travel in a predetermined second cleaning area after traveling in a predetermined first cleaning area on the floor surface, and the second cleaning area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cleaning area.
  • the main body may rotate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leaning area and the second cleaning area overlap.
  • the first cleaning area may be partitioned by an obstacle or a virtual line on the floor surface as a boundary, and the main body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direction change angle when detecting that the boundary has been reached.
  •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includes a pair of rotating plates to which a mop facing a floor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plates to drive a robot cleaner
  • a control method comprising: an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a cleaning area on the floor surface; and a driving step in which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the cleaning area.
  • the cleaning reg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regions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 the area setting step may include: a cleaning area setting step of setting the cleaning area on the floor surface; and a divided area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cleaning area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 an obstacle including a wall may be detected, and a boundary of the cleaning area may be set by reflecting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 the virtual divided region in a rectangular shape may be set in the cleaning region.
  • the divided region may be set by including a first virtual starting line including a predetermined starting position and a first virtual arriv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arting li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a first divided area is set including a virtual first starting line including a predetermined starting position and a virtual first arriv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arting li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cond division area may be set including two starting lines and a virtual second arriv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starting 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second starting line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first arrival line.
  • the second starting line may be set in the first divided area.
  • a virtual first divided area and a virtual second divided area are respectively set in the cleaning area, the first divide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area overlap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and the driving step In , after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the first divided area, it may travel in the second divided area.
  • the traveling step may include: a first area traveling step in which the robot cleaner travels in any one of the divided areas; and a second area driving step in which the robot cleaner drives the other one of the divided areas.
  • the traveling step may include: a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of driving the robot cleaner from a predetermined first starting line to a first arriv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tarting lin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direction change step of rotating the robot cleaner after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a second forward driving step of driving the robot cleaner from the first arrival line to the first starting line; and a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of rotating the robot cleaner after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 the robot cleaner when the robot cleaner detects an obstacle while driving, it may enter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 the robot cleaner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direction change angle.
  •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are the same, bu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robot cleaner in the two-way switching step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raveling preparation step of disposing the robot cleaner at a starting point before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 driving may be started in a region where the divided regions overlap each other.
  • driving may be start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is finished.
  • the robot cleaner starts traveling from a predetermined starting point and travels to a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and then rotates and travels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second area travel step may start driving at the first turning point.
  • the cleaning are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re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robot cleaner drives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while performing the overall cleaning, repeated cleaning can be performed on a specific area.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by separating it.
  • FIG.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
  • FIG. 4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obot cleaner and its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veling direc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area driving step in the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area sett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A to 13F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first area driv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A to 14D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ond area driv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robot cleaner moves forward while drawing a curve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rea travel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A and 17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a state of moving toward a starting point in order to start a second area travel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bot cleaner 1
  • FIG. 2 is a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robot cleaner 1
  • FIG. 3 is a rear view of the robot cleaner 1
  •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1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bot cleaner 1
  • FIG. 6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robot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and moved along the floor surface B to clean the floor using a mop.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vertical direc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 the side to which the first lower sensor 1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is set forward.
  • the 'lowest part' of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art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in each configuration when the robot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or it may be a part closest to the floor.
  •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main body 50 , rotating plates 10 and 20 , and mops 30 and 40 .
  • the rotating plates 10 and 20 may be made of a pair including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nd the mops 30 and 40 are the first mops 30 and the second mops 40 ) may be included.
  • the body 50 may have the overall external shape of the robot cleaner 1 or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coupled to the body 50 , and som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accommodated in the body 50 .
  • the body 5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body 50a and an upper body 50b, and a battery 135 and a water tank 141 in a space in which the lower body 50a and the upper body 5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parts of the robot cleaner 1 including motors 56 and 57 may be provided (see FIG. 5).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50, the first mop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r a flat fram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is generally laid down horizontally, and thus the horizontal width (or diameter)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coupled to the main body 50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B).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substantially circular, and the first rotating plate 1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50, and the second mop 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is made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or a flat fram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is generally laid down horizontally, and thus the horizontal width (or diameter)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coupled to the body 50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B).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have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or may be symmetrical. I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and in this cas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 20) can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 the first mop 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to face the bottom surface (B).
  • the first mop 30 has a bottom surface facing the floor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first mop 30 has a flat shape.
  • the first mop 30 is made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p 30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B).
  •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p 30 may form a generally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mop 3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first mop 3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and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 the second mop 4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to face the bottom surface (B).
  • the second mop 40 has a bottom surface facing the floor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second mop 40 has a flat shape.
  • the second mop 4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ufficiently lar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p 40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or may form an inclination with the bottom surface B.
  •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p 40 may form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second mop 40 may be formed in a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 the second mop 4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a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robot cleaner 1 may move in a linear direction, and may move forward or backward.
  • the robot cleaner 1 may move forward.
  • the robot cleaner 1 may change direction and may rotate.
  • the robot cleaner (1) can move while changing direction, and can move in a curved direction.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ower sensor 123 .
  • the first lower sensor 12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floor (B).
  •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in a range capable of detec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point where the first lower sensor 123 is formed and the bottom surface B.
  • the relative distance (which may be a distanc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loor surface, or a distance in an inclined direction from the floor surface) to the floor surface B, which is sensed by the first lower sensor 123, has a predetermined value.
  • the bottom surface may be suddenly lowered, and accordingly,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detect the cliff.
  •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be formed of an optical sensor, and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rough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ncident.
  •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be an infrared sensor.
  •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be referred to as a cliff sensor.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wer sensor 124 and a third lower sensor 125 .
  • the second lower sensor 124 and the third lower sensor 125 are aligned with the center of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 a virtual line connecting is referred to as a connecting line L1
  • i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0 on the same side as the first lower sensor 123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line L1, and is relative to the floor B.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distance (see FIG. 4).
  • the third lower sensor 125 may be formed opposite to the second lower sensor 124 with respect to the first lower sensor 123 .
  • Each of the second lower sensor 124 and the third lower sensor 125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ithin a range capable of detecting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B).
  • Each of the second lower sensor 124 and the third lower sensor 125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first lower sensor 123 , except for a position where it is formed.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tor 56 , a second motor 57 , a battery 135 , a water tank 141 and a water supply tube 142 .
  • the first motor 56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0 to rotat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 the first motor 56 may be made of an electric motor coupled to the main body 50 , and one or more gears may be connect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 the second motor 57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0 to rotate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second motor 57 may be made of an electric motor coupled to the main body 50 , and one or more gears may be connected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first mop 30 may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 the second rotating plate may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57 . (20) and the second mop 40 can be rotated.
  • the second motor 57 may form a symmetry (left and right symmetry) with the first motor 56 .
  • the battery 135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0 to supply power to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
  • the battery 135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
  • the battery 135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for this purpose,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13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50 or the battery 135 itself.
  • the battery 135 may be coupled to the body 50 .
  • the bucket 141 is made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internal space so that a liquid such as water is stored therein.
  • the bucket 14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ody 50 ,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body 50 .
  • the water supply tube 142 is made in the form of a tube or pipe,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41 so that the liquid inside the water tank 141 flows through the inside.
  • the water supply tube 142 is made such that the opposite e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4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tary plate 10 and the second rotary plate 20, and accordingly, the liquid inside the water tank 141 is removed. 1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the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 the water supply tube 14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one tube is branched into two, at this time, one branched e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other branched one is located abov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 the end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located above the.
  •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separate water pump 143 to move the liquid through the water supply tube 142 .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bumper 58 , a first sensor 121 , and a second sensor 122 .
  • the bumper 58 is coupled along the rim of the main body 50 , and is made to move relative to the main body 50 .
  • the bumper 58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50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along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er of the main body 50 .
  • the bumper 58 may be coupled along a portion of the rim of the body 50 , or may be coupled along the entire rim of the body 50 .
  • the first sensor 121 is coupled to the main body 50 and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movement (relative movement) of the bumper 58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50 .
  • the first sensor 121 may be formed using a microswitch, a photo interrupter, or a tact switch.
  • the second sensor 122 may be coupled to the body 50 and configured to detect a relative distance to an obstacle.
  • the second sensor 122 may be a distance sensor.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displacement sensor 126 .
  • the displacement sensor 126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0, and can measure a distance moving along the bottom surface.
  • the displacement sensor 126 may use an optical flow sensor (OFS) that acquires image information of the floor using light.
  • OFS optical flow sensor
  • the optical flow sensor (OFS)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mage sensor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floor to obtain image information of the floor, and one or more light sources that control the amount of light.
  • the operation of the displacement sensor 126 will be described using the optical flow sensor as an example.
  • the optical flow senso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rea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1, and takes pictures of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floor surface during movement.
  • the optical flow sensor converts a downward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to generate downward image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at.
  • the displacement sensor 126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1 with a predetermined point regardless of slippage. That is, by observing the lower side of the robot cleaner 1 using the optical flow sensor,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ition by sliding.
  • the robot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sensor 127 .
  • the angle sensor 127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50 and can measure the movement angle of the main body 50 .
  • the angle sensor 127 may use a gyro sensor that measures the rotation speed of the body 50 .
  • the gyro sensor may detect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by using the rotation speed.
  • the angle sensor 127 may detect an angl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moves based on a predetermined virtual line.
  • a virtual connecting line L1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rotation plates 10 and 20 to each other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nnecting line L1 may mean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0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
  • connection line L1 may serve as a reference for divid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wer sensor 123 is disposed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L1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container 141 is disposed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L1. It can be called the rear of the robot cleaner (1).
  • the first lower sensor 123 , the second lower sensor 124 , and the third lower sensor 12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main body 50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L1 , and the main body 50 .
  • the first sensor 121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on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 the second sensor 122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50 .
  • the battery 135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5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e L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B.
  • a displacement sensor 126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5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e L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bumper 58 are positioned among the main body 50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L1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50
  •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50 may be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50 .
  • the driving direction line H is a forward driving direction line Hf extending parallel to the floor 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ttery 135 is disposed based on the connecting line L1 and the connecting line L1.
  • it may include a rear running direction line (Hb) extending parallel to the floor surface (B)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et 141 is disposed.
  • the battery 135 and the first lower sensor 123 may be disposed on the forward driving direction line Hf, and the displacement sensor 126 and the bucket 141 may be disposed on the rear driving direction line Hb. have.
  •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line symmetrical) with the driving direction line H as the center (reference).
  • the traveling direction line H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 traveling along the forward traveling direction line Hf of the robot cleaner 1 may be referred to as forward, and traveling by the robot cleaner 1 along the rear traveling direction line Hb may be referred to as reversing.
  • the front end of the robot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 point at which the distance protruding for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e L1 is the farthest.
  • the front end of the robot cleaner 1 may refer to a point through which the forward driving direction line Hf passes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mper 58 .
  • the rear end of the robot cleaner 1 may refer to a point at which the distance protruding back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line L1 is the farthest.
  • the rear end of the robot cleaner 1 may mean a point through which the rear travel direction line Hb passes am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ucket 141 .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the robot cleaner shown in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control unit 110 , a sensor unit 120 , a power supply unit 130 , a water supply unit 140 , a driving unit 150 , a communication unit 160 , a display unit 170 , and a memory. (180).
  • the component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2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robot cleaner 1, so the robot cleaner 1 described herein has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can have
  • control unit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50 and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not show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160 to be described later.
  • the controller 110 may transmit various data about the robot cleaner 1 to a connected control device (not shown).
  •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connected control device and stored.
  • the data input from the control device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robot cleaner 1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from the control device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robot cleaner 1 to autonomously drive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according to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8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nsor unit 120 includes the first lower sensor 123, the second lower sensor 124, the third lower sensor 125,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second sensor ( 122) may be included.
  •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sensors capable of detecting the environment around the robot cleaner 1 , and the sensor unit 120 detects the environment around the robot cleaner 1 .
  • the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by the control unit 110 .
  •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for example, whether an obstacle exists, whether a cliff is detected, or whether a collision is detected.
  • the control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121 . For example, when the bumper 58 comes into contact with an obstacl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driving, the position where the bumper 58 comes into contact may be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121, and the controller 110 ma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to leave this contact position.
  •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or the robot cleaner (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may be controlled so that 1) moves away from the obstacle.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robot cleaner 1 to stop or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may be controlled.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can do.
  • the displacement sensor 126 may measure a distance deviating from the input travel path or travel pattern, and the controller 110 .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to compensate for this.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switched.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a slip occurs in the robot cleaner 1 and the direction the robot cleaner 1 faces is out of the input driving direction, the angle sensor 127 can measure the angle deviating from the input driving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to compensate for this.
  • the power supply unit 13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the battery 135 of the robot cleaner 1 described above.
  • the wate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the water tank 141, the water supply tube 142, and the water pump 143 of the robot cleaner 1 described above.
  • the water supply unit 140 is formed to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liquid (water) supplied to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10 .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driving time of the motor for driving the water pump 143 to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 th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of the robot cleaner 1 described above.
  • the driving unit 150 may be formed so that the robot cleaner 1 rotates or moves in a straight lin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10 .
  •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50 ,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a preset peripheral device, or the robot cleaner 1 . and at least one module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preset external server.
  • the at least one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R (Infrared) module for infrared communication, an ultrasonic module for ultrasonic communication,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Fi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 IR Infrared
  • ultrasonic for ultrasonic communication
  •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WiFi module or a Bluetooth module.
  • WiFi Wireless Fidelity
  • Bluetoot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 a wireless Internet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receive data to/from a preset device through various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wireless LAN (WLAN) and wireless-fidelity (Wi-Fi).
  • WLAN wireless LAN
  • Wi-Fi wireless-fidelity
  • the display unit 170 display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 the display unit 170 may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a screen.
  • the display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50 .
  • the display unit 170 may include a speaker for outputting sound.
  • the speaker may be built into the body 50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hole through which sound can pass is formed in the main body 5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eaker.
  • the source of the sound output by the speaker may be sound data pre-stored in the robot cleaner 1 .
  • the pre-stored sound data may be about a voice guidance corresponding to each function of the robot cleaner 1 or a warning sound for notifying an error.
  • the display unit 170 may include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t can be formed as an element of
  • the memory 180 may include various data for driving and operating the robot cleaner 1 .
  • the memory 180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 for autonomous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 and various data related thereto.
  • each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may be stored, and various settings (values) selected or input by the user (eg, cleaning reservation time, cleaning mode, water supply amount, LED brightness level, notification sound) volume size, etc.) may be included.
  • the memory 18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currently given to the robot cleaner 1 .
  • the informatio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may be map information mapped by the robot cleaner 1 by itself.
  • the map information, that is, the map (Map)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each area constituting the surface to be cleaned.
  • FIG. 10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irst area driving step in the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lowchart is disclosed for this
  •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region setting step in a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A to 13F are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first area traveling step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cleaner is disclosed
  • FIGS. 14A to 14D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econd area traveling step in the control method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 FIGS. 1 to 14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
  •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floor surface (the surface to be cleaned). That is, a map for the cleaning are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80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information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may be map information mapped by the robot cleaner 1 by itself.
  • a map can be created by driving the cleaning area through wall following.
  • the robot cleaner 1 may generate a map through obstacle information obtained while cleaning the floor B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map.
  •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n obstacle including a wall or the lik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driving or before starting the driving, and the robot cleaner 1 uses the obstacle information to detect the floor surface (B). You can create a map of
  •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gion setting step (S100), a traveling preparation step (S200), a traveling step (S300), and a traveling end step (S400).
  • the area setting step ( S100 ) includes a cleaning area setting step ( S110 ) and a divided area setting step ( S130 ).
  • the cleaning area A may be set on the floor B.
  • the user may set the cleaning area A by inputting coordinates of a specific location or a specific structure through a terminal (not shown).
  • the sensor unit 120 detects an obstacle o including a wall, furniture, structure, etc., and the control unit 110 reflects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o to the cleaning area (A) can be set.
  • the boundary b of the cleaning area A may be set through a user input or detection of an obstacle o of the controller 110 .
  • the cleaning area A set in the cleaning area setting step S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n.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rectangular virtual divided areas A1 , A2 , ... An in the cleaning area A .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first division area A1 surrounded by the first departure line Ls1 ,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lines Lc1 . can be set (S131).
  • the first starting line Ls1 may be a virtual line within the cleaning area A including the predetermined starting position Ps.
  • the first arrival line La1 may be a virtu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departure line Ls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That is, the first departure line Ls1 and the first arrival line La1 may be se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D1 in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forward in a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S311 to be described later.
  • first connection line Lc1 may be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first departure line Ls1 and the first arrival line La1.
  •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lines Lc1 may be set to be parallel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D2 along the second direction.
  •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 the first divided area A1 may be an area on the floor having a length of a first predetermined distance D1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width of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D2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may be set by detecting an obstacle such as a wall. That is, in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 the sensor unit 120 may detect an obstacle such as a wall, and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virtual first connection line Lc1 a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second divided region ( A2 )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first divided region ( A1 ) ( S132 ).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second divided area A2 surrounded by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 the second arrival line La2 , and 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lines Lc2 .
  •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may be set in the first divided area A1 .
  •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may be set closer to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han the first arrival line La1. Accordingly, in the area between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may overlap each other.
  •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may be set to overlap with the first arrival line La1 at the same location.
  • the robot cleaner 1 rotates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 the robot cleaner 1 moves to the second starting line ( Since it rotates on Ls2), the area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cleans the floor surface B may overlap.
  •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floor surface B, and a specific location with a high degree of contamination is located in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 These can be set to overlap each other. That is, in the division area setting step S130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A second starting line Ls2 may be set.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to arrange a specific location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on the same line of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can be set.
  •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meticulously cleaning while repeatedly driving the floor surface B in a heavily polluted area.
  • the second arrival line La2 may be a virtual lin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may be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and the second arrival line La2.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third divided region A3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first divided region A1 or the second divided region A2 . may be further set (S133).
  • the step of setting the third divided area A3 may refer to the process of the setting of the second divided area A2 ( S132 ).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fourth divided area A4 , the fifth divided area A5 , and the like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 the control unit 110 divides the cleaning area A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n, and sets the divided areas A1, A2,. ..An) may be set such that at least some of them overlap each other (see FIG. 12 ).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robot cleaner 1 as a starting point Ps at which the driving step S300 to be described later starts.
  • the controller 110 may se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first divided region A1 as the starting point Ps. For example, in the division region setting step S130 , the controller 110 may set any one of two points at which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nd the first connecting line Lc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starting point Ps. have. That is, in the dividing region setting step S130 , the controller 110 may set a point corresponding to a corner among the rectangular first divided regions A1 as the starting point Ps. With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robot cleaner 1 starts to travel in a straight line along any one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lines Lc1 at the start of the driving step S300,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A can be thoroughly cleaned. there is an effect
  • the controller 110 may arrange the robot cleaner 1 at the starting point Ps.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move to the starting point Ps.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to face the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Pt1.
  • the first turning point Pt1 exists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and the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starting point Ps and the first turning point Pt1 is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nd / Alternatively, the first arrival line La1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line H of the robot cleaner 1 to face the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Pt1.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10 calculates the angular difference between the traveling direction line H and the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Pt1, rotates the robot cleaner 1 by the angle difference, so that the traveling direction line H and The first motor 56 and/or the second motor 57 may be driven to coincide with the initial turning point Pt1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same rotational speed to rotate the robot cleaner 1 in place. That is, while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re rotated in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the robot cleaner 1 can be rotated in place.
  • the controller 110 may perform a control to compensate for slippage when the robot cleaner 1 rotates in place.
  • control unit 110 may start the driving step (S300).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travel in the cleaning area A .
  • the robot cleaner A may travel in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 A2 , ... An.
  • the controller 110 may set the respective order of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n, and drive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n according to the order. can do.
  • the robot cleaner A After traveling in the first divided area A1 , it is possible to travel in the second divided area A2 .
  • the driving step ( S300 ) may include a first region driving step ( S310 ) and a second region driving step ( S330 ).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in any one of the divided areas A1 , A2 , ...An.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in the first divided area A1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starting point Ps to the first arrival point Pa1 , and in this process, forward driving and The rotational running can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 the starting point Ps may be located at any one corner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having a rectangular shape
  • the first arrival point Pa1 may be a first division located diagonally from the starting point Ps. It may be a corner of the area A1.
  •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S310 may include a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 a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S312 , a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13 , and a second direction changing step S314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a point on the first predetermined starting line Ls1 and travel forward to a point on the predetermined first arrival line La1 .
  • a point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may be dispos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a point on the first departure line Ls1 . That is, in the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S311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forward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the starting point Ps and travel to the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Pt1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any one point (n+1-th point)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nd travel to any one point (n+1-th point)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above, when the first rotating plate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rotates clockwise, the robot cleaner 1 may move forward.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straight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controller 110 may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sens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126 .
  • the control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sens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126 to the robot cleaner 1 is the first distance D1 . ), it is possible to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robot cleaner ( 1) can be stopped.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detects an obstacle o while driving, it may enter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S312 .
  • the sensor unit 120 detects that the robot cleaner 1 collides with an obstacl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traveling, or detects that an obstacle appea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 can do.
  • the controller 110 when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n obstacle i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120 , the controller 110 may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 In this case, even if the robot cleaner 1 does not arrive at the first arrival line La1, it may enter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refer to FIG. 13A ).
  • the control unit 1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toward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fter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 That is, after the robot cleaner 1 travels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in the first forward travel step S311 , it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
  •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in a stationary state on the floor surface.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 S312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to operate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and 2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may be driven t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nd rotate relative to the floor surface B while rubbing the robot cleaner. (1)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may be driven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nd rotate relative to the floor surface B while rubbing the robot.
  • the cleaner 1 may be rotated clockwise.
  •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while moving on the floor surface.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step (S312),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to rotate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and 20 in opposite directions or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20)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while drawing an arc on the floor surface.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toward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 the robot cleaner 1 that has performed the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S311 is positioned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forming the boundary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the outside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 That is, when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is finished,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face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It can be rotated by a preset first direction change angle ⁇ 1.
  •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rotates may be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that the robot cleaner 1 is in contact with at the starting point Ps.
  • the control unit 110 i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S312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ront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to the right.
  • the robot cleaner 1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first direction change angle ⁇ 1 .
  • the first direction change angle ⁇ 1 may be 135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bot cleaner 1 in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cleans the floor surface B. and the area where the robot cleaner 1 cleans the floor surface B in the second forward traveling step S313 to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various angles at which they may overlap each other.
  •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facing outward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has been completed passes through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It may be rotated to face the first starting line Ls1 (see FIG. 13B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1 to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a point on the first predetermined arrival line La1 and travel forward to a point on the predetermined first departure line Ls1 .
  • the point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d arrives in the second forward running step S313 is the first point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starts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S311. 1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n the starting line Ls1.
  • the robot cleaner 1 departs from a point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d arrives in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13 and in the previous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 Points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the two points may be disposed with an interval of 0.5R or more and R or less.
  •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second forward running step S313 may partially overlap with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S311. can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1 may meticulously and repeatedly clean the cleaning area A.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above, when the first rotating plate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rotates clockwise, the robot cleaner 1 may move forward.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straight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vehicle along a path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 the first rotation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first rotation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on plate 2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controller 110 may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1 sens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126 .
  •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that the distance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1 sens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126 to the robot cleaner 1 is the first distance D1 . ), it is possible to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
  • the robot cleaner ( 1) can be stopped.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detects an obstacle o while driving, it may enter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step S314 .
  • the sensor unit 120 detects that the robot cleaner 1 collides with an obstacl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traveling, or detects that an obstacle appea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 can do.
  • the controller 110 when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n obstacle i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120 , the controller 110 may stop the running of the robot cleaner 1 . In this case, even if the robot cleaner 1 does not arrive at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may be entered (refer to FIG. 13F ).
  • control unit 1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toward the first arrival line La1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fter the second forward traveling step S313.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 That is, after the robot cleaner 1 travels to the first starting line Ls1 in the second forward travel step S313 , it may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
  •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in a stationary state on the floor surface.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to operate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and 2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ly,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may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may be driven to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nd rotate relative to the floor surface B while rubbing the robot cleaner. (1)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
  •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may be driven to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rotat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rotating plate 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0, and rotate relative to the floor surface B while rubbing the robot.
  • the cleaner 1 may be rotated clockwise.
  • the robot cleaner 1 may be rotated while moving on the floor surface.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14),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first motor 56 and the second motor 57 to rotate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and 20 in opposite directions or in the same direction. Howev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air of rotating plates (10, 20)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while drawing an arc on the floor surface.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toward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robot cleaner 1 that has performed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13 is positioned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forming the boundary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the outside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 That is, when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13 is finished,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faces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1.
  •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step (S312)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14) are the same, but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step (S312) )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14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It can be rotated by a preset first direction change angle ⁇ 1.
  • the robot cleaner 1 may rotate clockwise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
  •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facing outward of the first divided area A1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orward travel step S313 has been completed passes through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 It may be rotated to face the first arrival line La1 (see FIG. 13D ).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reaches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Then,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 S310 ) may be terminated, and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 S320 ) may be entered.
  •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robot cleaner 1 has reached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 .
  •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robot cleaner 1 so that the robot cleaner 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 can be considered to have arrived.
  •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a distance to an obstacle including a wall surface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robot cleaner 1 ) may be determined to have arrived at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at the robot cleaner 1 collides with an obstacle through the sensor unit 120, the robot cleaner 1 connects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can be considered to have arrived.
  •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and then the robot cleaner 1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can be stopped.
  • the controller 110 may end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S310 and perform a second region driving step S3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can be repeatedly performed.
  •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a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S311, a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and a second forward traveling step (S311).
  • S313)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may be sequentially repeated and performed (refer to FIG. 13F ).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an area different from the area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among the divided areas A1, A2, ...An. can drive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in the second divided area A2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to the second arrival point Pa2 , and in this process,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Running and rotating running can b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may be located at any one corner of the second divided area A2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econd arrival point Pa2 may be diagonally from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It may be a corner of the located second divided area A2.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traveling in the area Ao where the divided areas A1 , A2 , ... An overlap each other.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traveling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ends.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rrival point Pa1 and the second departure point Ps2 may be the same.
  • the robot cleaner 1 may reduce the overall time of traveling in the cleaning area A by immediately performing the second area traveling step S330 at the same time as ending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
  •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S330 may include a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31 , a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S332 , a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33 , and a second direction changing step S334 .
  •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 S331 ),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 S332 ), and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 S330 ) of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 S330 ) S333)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are the first forward travel step S311,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the second forward travel step S313, and the second of the first area travel step S310.
  • Each of the contents of the direction change step (S314) may be cited.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to the second arrival line La2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a point on the second predetermined starting line Ls2 and travel forward to a point on the predetermined second arrival line La2 .
  • a point on the second arrival line La2 may be disposed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a point on the second departure line Ls2 .
  • control unit 1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on the second arrival line La2 toward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after the first forward travel step S331.
  • the robot cleaner 1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second direction change angle ⁇ 2 .
  • the second direction change angle ⁇ 2 may be 135 degrees or more and 180 degrees or l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bot cleaner 1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S331 cleans the floor surface B. and the area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cleans the floor surface B in the second forward traveling step S333 to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various angles at which they may overlap each other.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starts traveling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ends,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32 of the second area traveling step S330, the robot cleaner 1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changing step S312 of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2 to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
  • the robot cleaner 1 may start from a point on the predetermined second arrival line La2 and travel forward to a point on the predetermined second departure line Ls2 .
  • the point on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d arrives in the second forward running step S333 is the first point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departs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S331. 2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point on the starting line (Ls2).
  •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second forward running step ( S333 ) may partially overlap with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 S331 ). can Therefore, the robot cleaner 1 can clean the cleaning area A meticulously and repeatedly.
  • the controller 110 may stop the robot cleaner 1 from traveling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arrival line La2 sensed by the displacement sensor 126 .
  •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33 when the robot cleaner 1 detects an obstacle o while driving,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34 may be entered.
  • control unit 1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on the second starting line Ls2 toward the second arrival line La2 after the second forward travel step S333.
  •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32)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are the same, but in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32)
  •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1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34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of the robot cleaner 1 faces. It can be rotated by a preset second direction change angle ⁇ 2.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starts traveling at the point where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of the second area traveling step S330, the robot cleaner 1 is The direction of rotation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ing step S314 of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
  • the position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may be inside the first divided area A1. That is, in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the area in which the first mop 30 and the second mop 40 of the robot cleaner 1 clean the floor surface B is performed in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The robot cleaner 1 may overlap an area to clean the floor B.
  • the control unit 110 sets the heavily contaminated area as an area where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overlap, so that the heavily contaminated floor can be thoroughly cleaned while repeatedly driving. have.
  • the second area driving step S330 can be repeatedly performed. That is, when the robot cleaner 1 does not reach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a first forward travel step (S331), a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32), and a second forward travel step ( S333)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34) may be sequentially repeated.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reaches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31. Then,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 S330 ) may be terminated.
  • control unit 110 may determine whether the robot cleaner 1 has reached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sensed by the sensor unit 120 . .
  •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the coordinates of the robot cleaner 1 so that the robot cleaner 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Lc2 . can be considered to have arrived.
  • the control unit 110 detects a distance to an obstacle including a wall surface through the sensor unit 120, and when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the robot cleaner 1 ) may be determined to have arrived at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 the robot cleaner 1 connects the second connection line Lc2. can be considered to have arrived.
  • the control unit 110 perform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31 and then the robot cleaner 1 on the second arrival line La2. can be stopped.
  • the driving step (S300)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including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and the second area traveling step (S3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an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the third region driving step S350 , the fourth region driving step S370 , and the like.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in the third divided region A3 that at least partially overlaps the first divided region A1 or the second divided region A2 .
  •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at least a fourth divided region overlapping the first divided region A1 , the second divided region A2 , or the third divided region A3 ( A4) can be driven.
  • the third region driving step S350 and/or the fourth region driving step S370 may refer to the process in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S330 .
  • the robot cleaner 1 can set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to thoroughly clean, and there are a plurality of highly contaminated areas in the cleaning area (A). Even so, it is possible to meticulously repeat cleaning by setting the divided area to overlap with that area.
  • the controller 110 may move the robot cleaner 1 to a preset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step S300 is finished,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move to a charging stand (not shown) for the robot cleaner.
  • the cleaning area 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3, ... An in the area setting step S100, and a plurality of The divided areas A1, A2, A3, ...An at least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 the robot cleaner 1 sequentially travels through the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 A2 , A3 , ...An.
  • cleaning is performed as a whole for all ranges of the cleaning area A, and at the same time, repeated cleaning is performed for a specific area where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A2, A3, ...An overlap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A1 , A2 , A3 , ... An is set to overlap each other for a location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 a location with a high degree of pollution It has the effect of meticulously cleaning the heavily polluted floor surface by controlling it to run overlappingly.
  • the driving step ( S300 ) of cleaning the floor while driving the rectangular divided areas ( A1 , A2 , A3 , ... An) the driving starts from one corner of the rectangle and travels to the diagonal corner. , there is an effect of optimizing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leaning the entire cleaning area A and repeatedly cleaning the highly contaminated portion.
  • 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d rotates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0 and 16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6 .
  •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S310 include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the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the second forward driving step S313,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and the second It may include a third forward driving step (S315) and a third direction change step (S316).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starting line Ls1 to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180 degrees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controller 110 may dri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arrival line La1 to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 the point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travels and arrives in the second forward running step S313 is the first point at which the robot cleaner 1 starts in the first forward running step S311. 1 Same as the point on the starting line (Ls1).
  •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second forward traveling step S313 may overlap with the area cleaned while the robot cleaner 1 travels in the first forward traveling step S311. have. Accordingly, the robot cleaner 1 may meticulously and repeatedly clean the cleaning area A.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by 90 degrees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after the second forward travel step S313 .
  •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may be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is located at the start of the first area traveling step S310 .
  • the controller 110 may linearly move the robot cleaner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of the robot cleaner 1 is R, in the third forward running step (S315), the controller 110 may linearly move the robot cleaner 1 by a distance of 0.5R or more and R or less. hav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leaning area A can be repeatedly and meticulously cleaned.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by 90 degrees on the first starting line Ls1 .
  •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s the same as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in the second direction switching step S314 . Accordingly, after the third direction change step ( S316 ),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faces the first arrival line La1 .
  •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can be repeatedly performed.
  •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a first forward travel step (S311), a first direction change step (S312), and a second forward travel step ( S313), the second direction change step (S314), the third forward driving step (S315), and the third direction change step (S316) may be sequentially repeated and performed.
  • the robot cleaner 1 when the robot cleaner 1 reaches the first connection line Lc1,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the first forward driving step (S311). Then, the first region driving step S310 may be terminated and the second region driving step S330 may be entered.
  • FIGS. 17A and 1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starts the second area driving step S330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FIGS. 10, 17A and 17B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17A and 17B .
  • the starting point changing step (S320) of moving the robot cleaner 1 to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is further performed. may include
  •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may be the first direction change point Pt1 in the first area driving step S310 . That is, the second departure point Ps2 exists on the first arrival line La1 , but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arrival point Pa1 .
  • the control unit 110 rotates the robot cleaner 1 by 90 degrees on the first arrival point Pa1 so that the front surface 51 of the main body 50 moves to the second starting point Ps2 . It can be made to look (S321).
  • controller 110 may linearly move the robot cleaner 1 from the first arrival point Pa1 to the second departure point Ps2 ( S322 ).
  • the controller 110 may rotate the robot cleaner 1 by 90 degrees so th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50 faces the second arrival line La2 ( S323 ).
  • the robot cleaner 1 may travel once more in the area Ao in which the divided areas A1, A2, ...An overlap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cleaning effect for a portion requiring repeated cleaning by cleaning the heavily polluted area once more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Manipulator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을 회전시켜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면 상에 청소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청소 영역을 주행하는 주행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므로, 청소 영역 전체를 청소하는 동시에,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반복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 청소기의 걸레를 회전시키고 걸레와 바닥 간의 마찰력을 통하여 주행 및 바닥 청소가 가능한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가 필요한 구역을 주행하면서 청소를 하는 로봇 청소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청소를 할 공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걸레 등을 구비하고, 센서로 인식한 공간의 바닥면을 걸레 등으로 닦으면서 주행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 중에는 바닥면에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을 함유하는 걸레로 바닥면을 닦을 수 있는 습식 로봇 청소기가 있다. 습식 로봇 청소기는 물통을 구비하고, 물통에 수용된 물이 걸레로 공급되어 걸레가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바닥면을 닦아서 바닥면에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습식 로봇 청소기는 걸레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회전하면서 바닥면과 접촉하여 바닥면을 닦을 수 있게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복수개의 걸레가 바닥면과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가 특정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한편, 걸레와 바닥면 간의 마찰력이 클수록 걸레가 바닥면을 강하게 닦을 수 있으므로, 로봇 청소기가 바닥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국등록특허 US8452450B2에는 바닥면을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로봇 청소기는 미리 설정된 주행 패턴을 따라 바닥면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의 벽을 따라 주행하면서 청소 구역을 고르게 청소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봇 청소기는 장애물을 인지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전진하고,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 방향을 전환하여 주행할 수 있다.
그러나, 바닥면의 일부 영역에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로봇 청소기가 한번 지나가는 것 만으로는 충분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KR1412582B1에는 청소 대상 공간의 일정 청소 영역을 설정하여 설정된 영역만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 대상 공간 중에서 오염이 발생한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로봇 청소기도 일부 영역에 대하여 한번 지나가기만 할 뿐, 오염이 발생한 영역을 집중적으로 반복 청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부 영역에 오염이 심한 경우 이를 꼼꼼하게 청소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JP2008-0108201A에는 장애물, 모서리 및 벽 등을 선회하면서 왕복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을 복수의 이동 범위로 분할하고 각 이동 범위마다 주행하며, 이동 범위는 인접한 이동 범위와 중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로봇 청소기의 경우 인접한 이동 범위에서의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이 서로 수직하므로, 결과적으로 로봇 청소기가 청소 영역을 2번 반복 청소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상기의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을 전체적으로 2번 청소한 것일 뿐, 오염이 심한 특정 영역에 대해서 반복 청소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고, 오히려 오염이 낮은 영역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2번 청소하여 에너지 및 청소 시간을 낭비하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청소 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청소를 수행하는 동시에, 오염도가 높은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반복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바닥면을 반복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오염이 심한 바닥면을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 영역에 대한 전체적인 청소를 수행하는 동시에, 오염도가 높은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반복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주행 및 청소하는 데에 필요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에 배터리, 물통 및 모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범퍼가 구비되는 본체; 및 바닥면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면 상의 소정 제1 청소 영역을 주행한 후, 소정 제2 청소 영역을 주행하고, 상기 제2 청소 영역은 상기 제1 청소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청소 영역과 상기 제2 청소 영역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청소 영역은, 상기 바닥면 상의 장애물 또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하여 구획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경계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면 소정 방향 전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바닥면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을 회전시켜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청소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청소 영역을 주행하는 주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는,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청소 영역을 설정하는 청소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는 분할 영역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벽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청소 영역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 내에 직사각형 형태의 가상의 상기 분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소정 출발 위치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출발선 및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1 도착선을 포함하여 상기 분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소정 출발 위치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출발선 및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1 도착선을 포함하여 제1 분할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출발선 및 상기 제2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2 도착선을 포함하여 제2 분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출발선은 제1 도착선과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또는, 제2 출발선은 제1 분할 영역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 내에 가상의 제1 분할 영역 및 가상의 제2 분할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 서로 중첩되며, 상기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 분할 영역을 주행한 후, 상기 제2 분할 영역을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분할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주행하는 제1 영역 주행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분할 영역 중 다른 하나를 주행하는 제2 영역 주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제1 출발선에서부터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도착선까지 주행시키는 제1 전진 주행 단계; 상기 제1 전진 주행 단계 후, 상기 로봇 청소기를 회전시키는 제1 방향 전환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를 상기 제1 도착선에서부터 상기 제1 출발선까지 주행시키는 제2 전진 주행 단계; 및 상기 제2 전진 주행 단계 후, 상기 로봇 청소기를 회전시키는 제2 방향 전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진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주행 중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방향 전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각도와 상기 제2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되,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 전, 상기 로봇 청소기를 출발 지점에 배치시키는 제1 주행 준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가 종료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출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하여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방향 전환 지점까지 주행시킨 후 회전 및 주행을 복수 회 반복하고,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향 전환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며 로봇 청소기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주행하므로, 전체적인 청소를 수행하는 동시에,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반복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이 심한 부분을 분할 영역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설정하여 오염이 심한 바닥면을 반복하여 주행하면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인 청소 영역의 청소 및 오염도 높은 부분을 반복 청소하는 데에 필요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로봇 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블록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영역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2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로봇 청소기가 곡선을 그리면서 전진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2 영역 주행 단계를 시작하기 위하여 출발 지점을 향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들이 개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주행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는 로봇 청소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로봇 청소기(1)에서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로봇 청소기(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로봇 청소기(1)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로봇 청소기(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로봇 청소기(1)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봇 청소기(1)는 바닥에 놓여 바닥면(B)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바닥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을 기준으로, 후술할 제1 하부센서(123)가 결합되는 쪽을 앞쪽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의 '가장 낮은 부분'은, 로봇 청소기(1)가 바닥에 놓여 사용될 때, 각 구성에서 가장 낮게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고, 또는 바닥과 가장 가까운 부분일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본체(50), 회전판(10, 20) 및 걸레(30, 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판(10, 20)은 제1 회전판(10), 제2 회전판(20)을 포함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걸레(30, 40)는 제1 걸레(30) 및 제2 걸레(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는, 로봇 청소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거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50)에는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일부 부품들은 본체(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본체(50)는 하부본체(50a)와 상부본체(50b)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본체(50a)와 상부본체(5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상에 배터리(135), 물통(141) 및 모터(56, 57)를 포함한 로봇 청소기(1)의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회전판(10)은 본체(5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걸레(30)가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회전판(10)은 대체로 가로로 눕혀지고, 이에 따라,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50)에 결합된 제1 회전판(10)은 바닥면(B)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B)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회전판(1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제1 회전판(1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본체(5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걸레(40)가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납작한 판 또는 납작한 프레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회전판(20)은 대체로 가로로 눕혀지고, 이에 따라, 상하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50)에 결합된 제2 회전판(20)은 바닥면(B)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B)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회전판(20)은 원형의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회전판(2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회전판(20)은,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제2 회전판(20)은 제1 회전판(10)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회전판(10)이 로봇 청소기(1)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제2 회전판(20)는 로봇청소기(1)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제1 걸레(30)는 바닥면(B)과 마주하도록 제1 회전판(1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레(3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제1 걸레(3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걸레(30)는, 상하 방향 높이보다 수평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걸레(30)가 본체(50)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제1 걸레(30)의 저면은 바닥면(B)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B)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1 걸레(3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고, 제1 걸레(3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걸레(30)는 제1 회전판(10)의 저면에 탈부착 될 수 있고, 제1 회전판(10)에 결합되어 제1 회전판(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걸레(40)는 바닥면(B)과 마주하도록 제2 회전판(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레(40)는 바닥을 향하는 저면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제2 걸레(40)는 납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걸레(40)는, 상하 방향 높이 보다 수평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충분히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걸레(40)가 본체(50)쪽에 결합됨에 있어서 제2 걸레(40)의 저면은 바닥면(B)과 평행할 수 있고, 또는 바닥면(B)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제2 걸레(40)의 저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룰 수 있고, 제2 걸레(40)는, 전체적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걸레(40)는 제2 회전판(20)의 저면에 탈부착될 수 있고, 제2 회전판(20)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바라볼 때, 제1 회전판(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판(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 중 어느 하나만이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선회할 수 있다.
제1 회전판(10)의 회전속도와 제2 회전판(20)의 회전속도가 서로 다르거나,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방향을 전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곡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하부센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센서(123)는 본체(50)의 하측에 형성되어, 바닥(B)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하부센서(123)는, 제1 하부센서(123)가 형성된 지점과 바닥면(B)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센서(123)에 의해 감지되는, 바닥면(B)과의 상대적인 거리(바닥면에서 수직방향의 거리일 수 있고, 또는 바닥면에서 경사방향의 거리일 수 있음)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바닥면이 갑자기 낮아지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하부센서(123)는 낭떠러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하부센서(123)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반사된 빛이 입사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센서(123)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센서(123)는 클리프센서(Cliff Sensor)로 칭하여 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2 하부센서(124) 및 제3 하부센서(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센서(124) 및 제3 하부센서(125)는, 제1 회전판(10)의 중심과 제2 회전판(20)의 중심을 수평방향(바닥면(B)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연결선(L1)이라 할 때, 연결선(L1)을 기준으로 제1 하부 센서(123)와 같은 쪽에서 본체(5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닥(B)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도 4 참조)
제3 하부센서(125)는, 제1 하부센서(123)를 기준으로 제2 하부센서(124)와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센서(124) 및 상기 제3 하부센서(125) 각각은, 바닥면(B)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센서(124) 및 상기 제3 하부센서(125) 각각은, 그 형성되는 위치를 제외하고, 상술한 제1 하부센서(123)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제1 모터(56), 제2 모터(57), 배터리(135), 물통(141) 및 물공급튜브(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56)는, 본체(50)에 결합되어 제1 회전판(1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 모터(56)는 본체(50)에 결합되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기어가 연결되어 제1 회전판(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터(57)는, 본체(50)에 결합되어 제2 회전판(20)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 모터(57)는 본체(50)에 결합되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기어가 연결되어 제2 회전판(2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로봇 청소기(1)에서, 제1 모터(56)의 작동에 의하여 제1 회전판(10) 및 제1 걸레(30)가 회전할 수 있고, 제2 모터(57)의 작동에 의하여 제2 회전판(20) 및 제2 걸레(40)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모터(57)는 제1 모터(56)와 대칭(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배터리(135)는, 본체(50)에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135)는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5)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체(50)의 일측, 또는 배터리(135) 자체에는 배터리(135)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배터리(135)는 본체(50)에 결합될 수 있다.
물통(141)은, 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통(141)은 본체(50)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또는 본체(5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142)는, 튜브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를 통하여 물통(141) 내부의 액체가 흐를 수 있도록 물통(141)과 연결된다. 물공급튜브(142)는, 물통(141)과 연결되는 반대쪽 단부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물통(141) 내부의 액체가 제1 걸레(30) 및 제2 걸레(40)쪽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로봇 청소기(1)에서 물공급튜브(142)는 하나의 관이 2개로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분기된 어느 하나의 단부는 제1 회전판(10) 상측에 위치하고, 분기된 다른 하나의 단부는 제2 회전판(20)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물공급튜브(142)를 통한 액체의 이동을 위하여, 별도의 워터 펌프(143)를 구비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1)는 범퍼(58),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2)를 더 포함할 있다.
범퍼(58)는, 본체(5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본체(50)를 상대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범퍼(58)는, 본체(50)의 중앙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본체(50)에 결합될 수 있다.
범퍼(58)는 본체(5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본체(5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제1 센서(121)는 본체(50)에 결합되고, 본체(50)를 상대로 한 범퍼(58)의 움직임(상대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121)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 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122)는 본체(50)에 결합되고,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122)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서는 변위센서(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위센서(126)는 본체(50)의 저면(배면)에 배치되고,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변위센서(126)는 빛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옵티컬 플로우 센서(Optical Flow Sensor; OFS)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옵티컬 플로우 센서(OFS)는, 바닥면의 영상을 촬영하여 바닥면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센서와, 빛의 양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옵티컬 플로우 센서를 예로 들어 변위센서(126)의 동작을 설명한다. 옵티컬 플로우 센서는 로봇 청소기(1)의 저면(배면)에 구비되어, 이동 중 하방, 즉 바닥면을 촬영한다. 옵티컬 플로우 센서는 이미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하방 영상을 변환하여 소정 형식의 하방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변위센서(126)는 미끄러짐과 무관하게 소정 지점과 로봇 청소기(1)의 상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옵티컬 플로우 센서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1)의 하방을 관찰하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에 의한 위치 보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서는 각도센서(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센서(127)는 본체(5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50)의 이동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각도센서(127)는 본체(5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는 회전 속도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1)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도센서(127)는 소정의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로봇 청소기(1)가 진행하는 방향과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회전판(10, 20)의 회전축을 서로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선(L1)은 제1 회전판(10)의 회전축과 제2 회전판(20)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선(L1)은 로봇 청소기(1)의 전방과 후방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선(L1)을 기준으로 제1 하부센서(123)가 배치된 방향을 로봇 청소기(1)의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고,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물통(141)이 배치된 방향을 로봇 청소기(1)의 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본체(50)의 전방 하측에는 제1 하부센서(123)와 제2 하부센서(124) 및 제3 하부센서(125)가 배치될 수 있고, 본체(50)의 전방 외주면의 내측에는 제1 센서(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50)의 전방 상측에는 제2 센서(12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본체(50)의 전방에는 배터리(135)가 바닥면(B)과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본체(50)의 후방에는 변위센서(126)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본체(50) 중에서 제1 센서(121) 및 범퍼(58)가 위치하는 방향을 본체(50)의 전면이라고 부를 수 있고, 본체(50)의 전면과 반대 방향을 본체(50)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결선(L1)의 중간점(C)에서 연결선(L1)과 수직하게 교차하고, 바닥면(B)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주행 방향선(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 방향선(H)은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배터리(135)가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바닥면(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방 주행 방향선(Hf)과 연결선(L1)을 기준으로 물통(141)이 배치된 방향을 향하여 바닥면(B)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후방 주행 방향선(H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주행 방향선(Hf) 상에는 배터리(135) 및 제1 하부센서(123)가 배치될 수 있고, 후방 주행 방향선(Hb) 상에는 변위센서(126) 및 물통(14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방향선(H)를 중심(기준)으로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대칭적(선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주행 방향선(H)은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가 전방 주행 방향선(Hf)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전진한다고 부를 수 있고, 로봇 청소기(1)가 후방 주행 방향선(Hb)을 따라 주행하는 것을 후진한다고 부를 수 있다.
한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의 전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전단은 연결선(L1)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거리가 가장 먼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의 전단은 범퍼(58)의 외주면 중에서 전방 주행 방향선(Hf)이 통과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의 후단은 연결선(L1)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된 거리가 가장 먼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로봇 청소기(1)의 후단은 물통(141)의 외측 면 중에서 후방 주행 방향선(Hb)이 통과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블록도가 개시된다.
도 9를 참고하면, 로봇 청소기(1)는 제어부(110), 센서부(120), 전원부(130), 급수부(140), 구동부(150), 통신부(160), 표시부(170) 및 메모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블록도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로봇 청소기(1)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로봇 청소기(1)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먼저, 제어부(110)는, 본체(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할 통신부(160)를 통해 제어 장치(미도시)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연결된 제어 장치(미도시)에 로봇 청소기(1)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된 제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로봇 청소기(1)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로봇 청소기(1)는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후술할 메모리(180)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따라 로봇 청소기(1)가 피청소면을 자율 주행하며 청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어부(110)의 직진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부(120)는, 상술한 로봇 청소기(1)의 제1 하부 센서(123), 제2 하부 센서(124), 제3 하부센서(125), 제1 센서(121) 및 제2 센서(12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부(120)는 로봇 청소기(1) 주변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120)가 감지한 로봇 청소기(1)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의 환경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장애물 존재 여부, 낭떠러지 감지 여부 또는 충돌 감지 여부 등이 될 수 있다.
제1 센서(121)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범퍼(58)가 장애물에 접촉한 경우, 제1 센서(121)에 의해 범퍼(58)가 접촉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이러한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122)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방향이 전환하거나,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멀어지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부센서(123), 제2 하부센서(124) 또는 제3 하부센서(125)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정지하거나 주행방향이 전환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방향이 전환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입력된 주행 경로 또는 주행 패턴에서 벗어난 경우, 변위센서(126)가 입력된 주행 경로 또는 주행 패턴에서 벗어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이를 보상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도센서(127)에 의해 감지되는 각도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방향이 전환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로봇 청소기(1)가 향하는 방향이 입력된 주행 방향에서 벗어난 경우, 각도센서(127)가 입력된 주행 방향에서 벗어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이를 보상하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원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30)는 상술한 로봇 청소기(1)의 배터리(13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40)는, 상술한 로봇 청소기(1)의 물통(141), 물공급튜브(142) 및 워터 펌프(143)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청소 동작 중에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에 공급되는 액체(물)의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급수량의 조절를 위해 워터 펌프(143)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상술한 로봇 청소기(1)의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로봇 청소기(1)가 회전 또는 직진 운동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본체(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로봇 청소기(1)와 기 설정된 주변 기기, 또는 상기 로봇 청소기(1)와 기 설정된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듈은, 적외선 통신을 위한 IR(Infrared) 모듈이나 초음파 통신을 초음파 모듈, 또는 WiFi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하여,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등의 다양한 무선 기술을 통해 기 설정된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7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본체(50)의 상부 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피커는 본체(50)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의 위치에 대응하여 본체(50)에는 소리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가 출력하는 소리의 소스는 로봇 청소기(1)에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장된 소리 데이터는 로봇 청소기(1)의 각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안내 또는 에러를 알리는 경고음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180)는, 로봇 청소기(1)의 구동 및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로봇 청소기(1)가 자율 주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에서 센싱되는 각각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다양한 설정(값)들(예를 들어 청소 예약 시각, 청소 모드, 급수량, LED 밝기 정도, 알림음의 볼륨 크기 등)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180)는 현재 로봇 청소기(1)에 주어진 피청소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피청소면의 정보는 로봇 청소기(1)가 스스로 매핑한 지도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도 정보, 즉 맵(Map)은 상기 피청소면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개시되며,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영역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개시되고, 도 13a 내지 도 1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개시되며,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제2 영역 주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제로 로봇 청소기(1)에는 바닥면(피청소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의 메모리(180)에는 청소영역에 대한 지도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피청소면의 정보는 로봇 청소기(1)가 스스로 매핑한 지도 정보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로봇 청소기(1)에 바닥면에 대한 지도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초기동작 시, 벽추종(월팔로윙, Wall Following) 등을 통해 청소영역을 주행하여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는 지도가 없는 상태에서 바닥면(B)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며 획득되는 장애물 정보를 통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중 또는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벽면 등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는 이러한 장애물 정보를 통해 바닥면(B)의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1)의 지도 생성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은 영역 설정 단계(S100), 주행 준비 단계(S200), 주행 단계(S300) 및 주행 종료 단계(S400)를 포함한다.
영역 설정 단계(S100)는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 및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를 포함한다.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에서는 바닥면(B) 상에 청소 영역(A)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미도시) 등을 통하여 특정한 위치의 좌표 또는 특정 구조물을 입력하여 청소 영역(A)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에서는 센서부(120)가 벽, 가구, 구조물 등을 포함하는 장애물(o)을 감지하고, 제어부(110)가 상기 장애물(o)의 위치를 반영하여 청소 영역(A)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110)의 장애물(o) 감지를 통하여 청소 영역(A)의 경계(b)를 설정할 수 있다.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는 청소 영역 설정 단계(S110)에서 설정된 청소 영역(A)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으로 나눌 수 있다.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청소 영역(A) 내에 직사각형 형태의 가상의 분할 영역(A1, A2,...An)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 제1 도착선(La1) 및 한 쌍의 제1 연결선(Lc1)으로 둘러싸인 제1 분할 영역(A1)을 설정할 수 있다(S131).
이때, 제1 출발선(Ls1)은 소정 출발 위치(Ps)를 포함하는 청소 영역(A) 내의 가상의 선일 수 있다. 또한, 제1 도착선(La1)은 제1 출발선(Ls1)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즉, 제1 출발선(Ls1)과 제1 도착선(La1)은 제1 방향을 따라 소정 제1 거리(D1)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후술할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전진 주행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선(Lc1)은 제1 출발선(Ls1)과 제1 도착선(La1)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 연결선(Lc1)은 제2 방향을 따라 소정 제2 거리(D2)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서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할 영역(A1)은 제1 방향으로 소정 제1 거리(D1)의 길이와 제2 방향으로 소정 제2 거리(D2)의 폭을 가진 바닥면 상의 영역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제1 연결선(Lc1)은 벽면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선(Lc1)은 센서부(120)가 벽면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제어부(110)가 장애물의 위치에 가상의 제1 연결선(Lc1)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분할 영역(A1)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2 분할 영역(A2)을 설정할 수 있다(S132).
제어부(110)는 제2 출발선(Ls2), 제2 도착선(La2) 및 한 쌍의 제2 연결선(Lc2)으로 둘러싸인 제2 분할 영역(A2)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출발선(Ls2)은 제1 분할 영역(A1)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출발선(Ls2)은 제1 도착선(La1)보다 제1 출발선(Ls1)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도착선(La1)과 제2 출발선(Ls2) 사이의 영역은 제1 분할 영역(A1) 및 제2 분할 영역(A2)이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출발선(Ls2)은 제1 도착선(La1)과 동일한 위치에 겹쳐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제1 주행 단계(S310)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도착선(La1) 상에서 회전하고, 후술할 제2 주행 단계(S330)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2 출발선(Ls2) 상에서 회전하므로,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하는 영역은 중첩될 수 있다.
한편,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바닥면(B)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오염의 정도가 높은 특정 위치가 제1 분할 영역(A1) 및 제2 분할 영역(A2)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도착선(La1)과 제2 출발선(Ls2) 사이에 오염의 정도가 높은 특정 위치가 배치되도록 제1 도착선(La1)과 제2 출발선(Ls2)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제1 도착선(La1)과 제2 출발선(Ls2)의 동일 선상에 오염의 정도가 높은 특정 위치가 배치되도록 제1 도착선(La1)과 제2 출발선(Ls2)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오염이 심한 지역의 바닥면(B)을 반복하여 주행하면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도착선(La2)은 제2 출발선(Ls2)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선(Lc2)은 제2 출발선(Ls2)과 제2 도착선(La2)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분할 영역(A1) 또는 제2 분할 영역(A2)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3 분할 영역(A3)을 더 설정할 수 있다(S133).
한편, 제3 분할 영역(A3)을 설정하는 단계(S133)는 제2 분할 영역(A2)을 설정하는 단계(S132)에서의 과정을 원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상기한 방식으로 제4 분할 영역(A4), 제5 분할 영역(A5) 등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청소 영역(A)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으로 나누어 설정하되,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설정할 수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후술할 주행 단계(S300)를 시작하는 출발 지점(Ps)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분할 영역(A1) 내의 소정 지점을 출발 지점(P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과 제1 연결선(Lc1)이 서로 연결되는 두 지점 중 어느 한 지점을 출발 지점(P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분할 영역 설정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분할 영역(A1) 중에서 모서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출발 지점(P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는 주행 단계(S300)의 시작 시에 한 쌍의 제1 연결선(Lc1)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직선 주행 시작하므로, 청소 영역(A)의 외곽을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주행 준비 단계(S20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출발 지점(Ps)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1)가 출발 지점(Ps)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출발 지점(Ps)까지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1)가 출발 지점(Ps)에 위치하면, 제어부(110)는 본체(50)의 전면(51)이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은 제1 도착선(La1) 상에 존재하고, 출발 지점(Ps)과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을 연결한 가상의 선은 제1 출발선(Ls1) 및/또는 제1 도착선(La1)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방향선(H)이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을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주행 방향선(H)과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 사이의 각도 차이를 연산하고, 상기 각도 차이만큼 로봇 청소기(1)를 회전시켜 주행 방향선(H)과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을 일치시키도록 제1 모터(56) 및/또는 제2 모터(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동일한 회전 방향 및 동일한 회전 속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동일한 회전 방향 및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되면서 로봇 청소기(1)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제자리 회전 시 미끄러짐이 발생하면 이를 보상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50)의 전면(51)이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을 향하면, 제어부(110)는 주행 단계(S300)를 시작할 수 있다.
주행 단계(S30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청소 영역(A)을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 단계(S300)에서는 로봇 청소기(A)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에 각각의 순서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An)을 주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 설정 단계(S100)에서 청소 영역(A)을 제1 분할 영역(A1) 및제2 분할 영역(A2)으로 나누어 설정한 경우, 주행 단계(S300)에서는 로봇 청소기(A)가 제1 분할 영역(A1)을 주행한 후, 제2 분할 영역(A2)을 주행할 수 있다.
주행 단계(S300)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 및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분할 영역(A1, A2,...An) 중 어느 하나를 주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분할 영역(A1)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출발 지점(Ps)에서 출발하여 제1 도착 지점(Pa1)까지 주행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전진 주행 및 회전 주행을 복수 회 반복시킬 수 있다.
이때, 출발 지점(Ps)은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분할 영역(A1)의 어느 한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도착 지점(Pa1)은 상기 출발 지점(Ps)과 대각선 상에 위치한 제1 분할 영역(A1)의 모서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도착선(La1)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는 소정 제1 출발선(Ls1) 상의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소정 제1 도착선(La1) 상의 한 지점까지 전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착선(La1) 상의 한 지점은, 상기 제1 출발선(Ls1)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는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출발선(Ls1)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 도착선(La1)까지 전진 주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주행 준비 단계(S200) 후, 로봇 청소기(1)는 출발 지점(Ps)에서 출발하여 제1 도착선(La1) 상의 최초의 방향 전환 지점(Pt1)까지 주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를 복수(n) 회 반복한 후, 로봇 청소기(1)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어느 한 지점(n+1번째 지점)에서 출발하여 제1 도착선(La1) 상의 어느 한 지점(n+1번째 지점)까지 주행할 수 있다.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의 위에서 바라볼 때, 제1 회전판(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판(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도착선(La1)까지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ω1)와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ω2) 서로 동일할 수 있다(ω1=ω2). 즉,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동일한 출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1 걸레(3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1)와 제2 걸레(4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2)는 동일할 수 있다(v1=v2).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출발선(Ls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출발선(Ls1)으로부터 로봇 청소기(1)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D1)과 같을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좌표를 감지하여 로봇 청소기(1)가 제1 도착선(La1)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 중에 장애물(o)을 감지하면,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0)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중에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충돌하였다는 것을 감지하거나, 로봇 청소기(1)의 전진 방향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장애물이 나타났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로부터 장애물이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1 도착선(La1)에 도착하지 못하였더라도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로 진입할 수 있다(도 13a 참조).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후, 제1 도착선(La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제1 출발선(Ls1)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1 도착선(La1)까지 주행한 후,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정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회전판(10, 2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바닥면)에서 수직한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바닥면(B)과 마찰하면서 상대 회전하여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면(바닥면)에서 수직한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과 함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바닥면(B)과 마찰하면서 상대 회전하여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회전 주행 시작 시, 한 쌍의 회전판(10, 20)을 동일한 속도(ω1=ω2)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방향 전환 단계(S4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동일한 출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향 전환 단계(S40)에서 제1 걸레(3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1)와 제2 걸레(4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2)는 그 크기(절대값)가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제어하여 한 쌍의 회전판(10, 20)을 서로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한 쌍의 회전판(10, 2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호를 그리면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출발선(Ls1)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를 수행한 로봇 청소기(1)는 제1 분할 영역(A1)의 경계를 이루는 제1 도착선(La1)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시점에,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의 전면(51)은 제1 분할 영역(A1)의 외측을 바라보고 있다. 즉,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가 종료된 시점에 본체(50)의 전면(51)은 제1 출발선(Ls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의 전면(51)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 전환 각도(θ1)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방향은 출발 지점(Ps)에서 로봇 청소기(1)가 접하고 있던 제1 연결선(Lc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지점(Ps1) 및 제1 방향 전환 지점(Pt1)에서 로봇 청소기(1)의 좌측에 제1 연결선(Lc1)이 있었던 경우,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정면이 우측을 향하도록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는, 로봇 청소기(1)를 소정 제1 방향 전환 각도(θ1)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 전환 각도(θ1)는 135도 이상 180도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의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한 영역과 후술할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의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한 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다양한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를 종료한 상태에서 제1 분할 영역(A1)의 바깥쪽을 향하고 있던 본체(50)의 전면(51)은,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를 통하여 제1 출발선(Ls1)을 바라보도록 회전될 수 있다(도 13b 참조).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선(La1)에서부터 제1 출발선(Ls1)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는 소정 제1 도착선(La1) 상의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소정 제1 출발선(Ls1) 상의 한 지점까지 전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여 도착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출발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여 도착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과 종전의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출발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은, 제1 출발선(Ls1) 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의 직경을 R이라고 할 때, 상기의 두 지점은 0.5R 이상 R 이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영역(A)을 꼼꼼하게 반복 청소할 수 있다.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을 시작하면,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의 위에서 바라볼 때, 제1 회전판(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판(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도착선(La1)까지 직진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회전판(10)의 회전 속도(ω1)와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ω2) 서로 동일할 수 있다(ω1=ω2). 즉,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동일한 출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1 걸레(3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1)와 제2 걸레(4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2)는 동일할 수 있다(v1=v2)(도 13c 참조).
다른 예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도착선(La1)까지 소정 곡률을 갖는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되,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는 서로 다르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의 회전 속도 차이(ω1-ω2=△ω)는 일정할 수 있다(도 15 참조).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제1 도착선(La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제1 도착선(La1)으로부터 로봇 청소기(1)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거리(D1)과 같을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좌표를 감지하여 로봇 청소기(1)가 제1 출발선(Ls1)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 중에 장애물(o)을 감지하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20)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중에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충돌하였다는 것을 감지하거나, 로봇 청소기(1)의 전진 방향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장애물이 나타났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로부터 장애물이 감지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1 출발선(Ls1)에 도착하지 못하였더라도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로 진입할 수 있다(도 13f 참조).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후, 제1 출발선(Ls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선(La1)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1 출발선(Ls1)까지 주행한 후,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정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회전판(10, 2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바닥면)에서 수직한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바닥면(B)과 마찰하면서 상대 회전하여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지면(바닥면)에서 수직한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제1 회전판(10)과 제2 회전판(20)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레(30)와 제2 걸레(40)가 제1 회전판(10) 및 제2 회전판(20)과 함께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바닥면(B)과 마찰하면서 상대 회전하여 로봇 청소기(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회전 주행 시작 시, 한 쌍의 회전판(10, 20)을 동일한 속도(ω1=ω2)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와 제2 모터(57)를 동일한 출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1 걸레(3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1)와 제2 걸레(40)의 바닥면(B)에 대한 상대 이동 속도(v2)는 그 크기(절대값)가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제1 모터(56) 및 제2 모터(57)를 제어하여 한 쌍의 회전판(10, 20)을 서로 반대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한 쌍의 회전판(10, 20)의 회전 속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청소기(1)는 바닥면 상에서 호를 그리면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선(La1)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를 수행한 로봇 청소기(1)는 제1 분할 영역(A1)의 경계를 이루는 제1 출발선(Ls1)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 시점에,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의 전면(51)은 제1 분할 영역(A1)의 외측을 바라보고 있다. 즉,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가 종료된 시점에 본체(50)의 전면(51)은 제1 도착선(La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
한편,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각도와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되,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과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의 전면(51)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를 미리 설정된 제1 방향 전환 각도(θ1)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로봇 청소기(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다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로봇 청소기(1)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로봇 청소기(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였다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로봇 청소기(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를 종료한 상태에서 제1 분할 영역(A1)의 바깥쪽을 향하고 있던 본체(50)의 전면(51)은,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를 통하여 제1 도착선(La1)을 바라보도록 회전될 수 있다(도 13d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한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를 수행한 다음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종료하고, 제2 영역 주행 단계(S320)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연결선(Lc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또는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좌표를 감지하여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벽면 등을 포함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를 수행한 다음 제1 도착선(La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종료하고, 후술할 제2 영역 주행 단계(S32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 후,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를 차례대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도 13f 참조).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분할 영역(A1, A2,...An) 중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 주행한 영역과 다른 하나의 영역을 주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2 분할 영역(A2)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2 출발 지점(Ps2)에서 출발하여 제2 도착 지점(Pa2)까지 주행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전진 주행 및 회전 주행을 복수 회 반복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출발 지점(Ps2)은 직사각형 형태의 제2 분할 영역(A2)의 어느 한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도착 지점(Pa2)은 상기 제2 출발 지점(Ps2)과 대각선 상에 위치한 제2 분할 영역(A2)의 모서리일 수 있다.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 로봇 청소기(1)는, 분할 영역(A1, A2,...An)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Ao)에서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 로봇 청소기(1)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가 종료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착 지점(Pa1)과 제2 출발 지점(Ps2)이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종료함과 동시에 바로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수행하여 청소 영역(A)을 주행하는 전체적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의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의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의 내용을 각각 원용할 수 있다.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2 출발선(Ls2)에서부터 제2 도착선(La2)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에서 로봇 청소기(1)는 소정 제2 출발선(Ls2) 상의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소정 제2 도착선(La2) 상의 한 지점까지 전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도착선(La2) 상의 한 지점은, 상기 제2 출발선(Ls2)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최단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에서 제어부(110)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 후, 제2 도착선(La2)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제2 출발선(Ls2)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에서는, 로봇 청소기(1)를 소정 제2 방향 전환 각도(θ2)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 전환 각도(θ2)는 135도 이상 180도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에서의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한 영역과 후술할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의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한 영역이 서로 중첩될 수 있는 다양한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청소기(1)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가 종료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 경우,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의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에서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방향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의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선(La2)에서부터 제2 출발선(Ls2)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로봇 청소기(1)는 소정 제2 도착선(La2) 상의 한 지점에서 출발하여 소정 제2 출발선(Ls2) 상의 한 지점까지 전진 주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여 도착하는 제2 출발선(Ls2) 상의 지점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출발하는 제2 출발선(Ls2) 상의 지점과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영역(A)을 꼼꼼하게 반복 청소할 수 있다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제어부(110)는, 변위센서(126)에 의해 감지되는 제2 도착선(La2)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주행 중에 장애물(o)을 감지하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제어부(110)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 후, 제2 출발선(Ls2)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제2 도착선(La2)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각도와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되,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과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의 전면(51)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로봇 청소기(1)의 본체(50)를 미리 설정된 제2 방향 전환 각도(θ2)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1)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가 종료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 경우,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의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방향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의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로봇 청소기(1)가 회전하는 위치는 제1 분할 영역(A1)의 내부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로봇 청소기(1)의 제1 걸레(30) 및 제2 걸레(40)가 바닥면(B)을 청소하는 영역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 로봇 청소기(1)가 바닥면(B)을 청소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바닥면(B)의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제1 분할 영역(A1)과 제2 분할 영역(A2)이 중첩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가 이를 반복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10)가 오염이 심한 부분을 제1 분할 영역(A1)과 제2 분할 영역(A2)이 중첩되는 영역으로 설정하여 오염이 심한 바닥면을 반복하여 주행하면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 후,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 제1 방향 전환 단계(S332),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 및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를 차례대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달한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를 수행한 다음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연결선(Lc2)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 또는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의 좌표를 감지하여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방향 전환 단계(S334)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벽면 등을 포함한 장애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장애물과의 거리가 소정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33)에서 제어부(110)는, 센서부(120)를 통하여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충돌하였음을 감지한 경우,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착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2)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전진 주행 단계(S331)를 수행한 다음 제2 도착선(La2)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는 주행 단계(S300)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 및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포함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제3 영역 주행 단계(S350), 제4 영역 주행 단계(S370) 등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3 영역 주행 단계(S350)은 로봇 청소기(1)가 제1 분할 영역(A1) 또는 제2 분할 영역(A2)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3 분할 영역(A3)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영역 주행 단계(S370)은 로봇 청소기(1)가 제1 분할 영역(A1) 또는 제2 분할 영역(A2) 또는 제3 분할 영역(A3)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제4 분할 영역(A4)을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제3 영역 주행 단계(S350) 및/또는 제4 영역 주행 단계(S370)는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서의 과정을 원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영역(A)이 복잡한 평면 형태를 가지더라도, 로봇 청소기(1)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설정하여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고, 청소 영역(A) 내에 오염이 심한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하더라도 그 영역에 분할 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정하여 꼼꼼하게 반복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한 주행 및/또는 청소가 종료되면, 제어부(110)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로봇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주행 단계(S300)가 종료되면, 로봇 청소기(1)를 로봇 청소기용 충전대(미도시)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영역 설정 단계(S100)에서 청소 영역(A)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 A3,...An)으로 나누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 A3,...An)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다.
그리고, 주행 단계(S300)에서 로봇 청소기(1)가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 A3,...An)을 차례대로 주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 영역(A)의 모든 범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청소를 수행하는 동시에,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 A3,...An)이 서로 중첩되는 특정 영역에 대해서는 반복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역 설정 단계(S100)에서 오염의 정도가 높은 위치에 대해서 복수 개의 분할 영역(A1, A2, A3,...An)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정하고, 주행 단계(S300)에서는 오염이 심한 위치를 중첩적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오염이 심한 바닥면을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태의 분할 영역(A1, A2, A3,...An)을 주행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주행 단계(S300)에서는, 직사각형의 한쪽 모서리에서 주행을 시작하여 그 대각선 상의 모서리까지 주행하므로, 로봇 청소기(1)의 동선을 최적화하여 전체적인 청소 영역(A)의 청소 및 오염도 높은 부분을 반복 청소하는 데에 필요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 및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반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 제3 전진 주행 단계(S315) 및 제3 방향 전환 단계(S3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출발선(Ls1)에서부터 제1 도착선(La1)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에서 제어부(110)는, 제1 도착선(La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선(La1)에서부터 제1 출발선(Ls1)까지 주행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여 도착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출발하는 제1 출발선(Ls1) 상의 지점과 같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은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에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는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는 청소 영역(A)을 꼼꼼하게 반복 청소할 수 있다.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 제어부(110)는,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후, 제1 출발선(Ls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90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의 시작 시에 로봇 청소기(1)가 위치하던 제1 연결선(Lc1)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전진 주행 단계(S315)에서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소정 거리만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의 직경을 R이라고 할 때, 제3 전진 주행 단계(S315)에서 제어부(110)는, 0.5R 이상 R 이하의 거리만큼 로봇 청소기(1)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청소 영역(A)을 반복적으로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제3 방향 전환 단계(S316)에서 제어부(110)는 제1 출발선(Ls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90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은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에서의 로봇 청소기(1)의 회전 방향과 같다. 따라서, 제3 방향 전환 단계(S316) 후 본체(50)의 전면(51) 제1 도착선(La1)을 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3 방향 전환 단계(S316) 후,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로봇 청소기(1)가 제2 연결선(Lc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 제1 방향 전환 단계(S312), 제2 전진 주행 단계(S313), 제2 방향 전환 단계(S314), 제3 전진 주행 단계(S315) 및 제3 방향 전환 단계(S316)를 차례대로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제1 연결선(Lc1)에 도달한 경우, 로봇 청소기(1)는 제1 전진 주행 단계(S311)를 수행한 다음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를 종료하고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1)가 청소 영역(A)을 고르게 반복적으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청소 영역(A)에 대하여 꼼꼼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7a 및 도 17b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서 로봇 청소기(1)가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를 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0, 도 17a 및 도 1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반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의 종료 후, 제2 영역 주행 단계(S330) 전에, 로봇 청소기(1)를 제2 출발 지점(Ps2)까지 이동시키는 출발점 변경 단계(S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출발 지점(Ps2)은 제1 영역 주행 단계(S310)에서의 제1 방향 전환 지점(Pt1)일 수 있다. 즉, 제2 출발 지점(Ps2)은 제1 도착선(La1) 상에 존재하되, 제1 도착 지점(Pa1)과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
따라서, 출발점 변경 단계(S320)에서 제어부(110)는 제1 도착 지점(Pa1) 상에서 로봇 청소기(1)를 90도 회전시켜 본체(50)의 전면(51)이 제2 출발 지점(Ps2)을 바라보도록 할 수 있다(S321).
그 다음,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제1 도착 지점(Pa1)에서 출발하여 제2 출발 지점(Ps2)까지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S322).
그 다음, 제어부(110)는 로봇 청소기(1)를 90도 회전시켜 본체(50)의 전면이 제2 도착선(La2)을 바라보도록 할 수 있다(S323).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1)는 분할 영역(A1, A2,...An)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Ao)을 한번 더 주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오염이 심한 지역을 한번 더 청소함으로써 반복 청소가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청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와 함께, 직사각형의 한쪽 모서리에서 주행을 시작하여 그 대각선 상의 모서리까지 주행하는 장점을 유지하므로, 로봇 청소기(1)의 동선을 최적화하여 전체적인 청소 영역(A)의 청소 및 오염도 높은 부분을 반복 청소하는 데에 필요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19)

  1. 내부에 배터리, 물통 및 모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에 범퍼가 구비되는 본체; 및
    바닥면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바닥면 상의 소정 제1 청소 영역을 주행한 후, 소정 제2 청소 영역을 주행하고,
    상기 제2 청소 영역은,
    상기 제1 청소 영역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청소 영역과 상기 제2 청소 영역이 중첩되는 위치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 영역은,
    상기 바닥면 상의 장애물 또는 가상의 선을 경계로 하여 구획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경계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면 소정 방향 전환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바닥면과 마주하는 걸레가 하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을 회전시켜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상에 청소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청소 영역을 주행하는 주행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 설정하되, 상기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는,
    상기 바닥면 상에 상기 청소 영역을 설정하는 청소 영역 설정 단계; 및
    상기 청소 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는 분할 영역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벽을 포함하는 장애물을 감지하고, 상기 장애물의 위치를 반영하여 상기 청소 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 내에 직사각형 형태의 가상의 상기 분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소정 출발 위치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출발선 및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1 도착선을 포함하여 상기 분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소정 출발 위치를 포함하는 가상의 제1 출발선 및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1 도착선을 포함하여 제1 분할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도착선과 중첩되는 제2 출발선 및 상기 제2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가상의 제2 도착선을 포함하여 제2 분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에서는,
    상기 청소 영역 내에 가상의 제1 분할 영역 및 가상의 제2 분할 영역을 각각 설정하고,
    상기 제1 분할 영역과 상기 제2 분할 영역은,
    적어도 일부 서로 중첩되며,
    상기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제1 분할 영역을 주행한 후, 상기 제2 분할 영역을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분할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주행하는 제1 영역 주행 단계; 및
    상기 로봇 청소기가 상기 분할 영역 중 다른 하나를 주행하는 제2 영역 주행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단계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제1 출발선에서부터 상기 제1 출발선과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 제1 도착선까지 주행시키는 제1 전진 주행 단계;
    상기 제1 전진 주행 단계 후, 상기 로봇 청소기를 회전시키는 제1 방향 전환 단계;
    상기 로봇 청소기를 상기 제1 도착선에서부터 상기 제1 출발선까지 주행시키는 제2 전진 주행 단계; 및
    상기 제2 전진 주행 단계 후, 상기 로봇 청소기를 회전시키는 제2 방향 전환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진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가 주행 중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방향 전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각도와 상기 제2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각도는 동일하되, 상기 제1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2 방향 전환 단계에서의 상기 로봇 청소기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 전, 상기 로봇 청소기를 출발 지점에 배치시키는 제1 주행 준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분할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영역에서 주행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가 종료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소정 출발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하여 소정 거리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방향 전환 지점까지 주행시킨 후 회전 및 주행을 복수 회 반복하고,
    상기 제2 영역 주행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방향 전환 지점에서 주행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PCT/KR2021/005147 2020-04-24 2021-04-23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2121586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920,981 US20230180988A1 (en) 2020-04-24 2021-04-23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cleaner
CN202180029811.2A CN115426930B (zh) 2020-04-24 2021-04-23 扫地机器人及扫地机器人的控制方法
DE112021002542.2T DE112021002542T5 (de) 2020-04-24 2021-04-23 Reinigungsrobot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 Reinigungsroboters
AU2021259042A AU2021259042A1 (en) 2020-04-24 2021-04-23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233 2020-04-24
KR1020200050233A KR20210131747A (ko) 2020-04-24 2020-04-24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869A1 true WO2021215869A1 (ko) 2021-10-28

Family

ID=7826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5147 WO2021215869A1 (ko) 2020-04-24 2021-04-23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80988A1 (ko)
KR (1) KR20210131747A (ko)
CN (1) CN115426930B (ko)
AU (1) AU2021259042A1 (ko)
DE (1) DE112021002542T5 (ko)
TW (1) TWI809382B (ko)
WO (1) WO20212158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2931A1 (zh) * 2022-01-27 2023-08-03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机器人移动路径规划方法、***及清洁机器人
USD1006358S1 (en) * 2020-09-03 2023-11-28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vacuum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116A (ja) * 1995-02-14 1996-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90104388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13000221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882B1 (ko) * 2014-05-02 2015-12-18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965B1 (ko) * 2016-07-14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24A (ja) * 1996-03-18 1997-10-03 Fujitsu General Ltd 無人清掃車の制御方法
JP3598881B2 (ja) * 1999-06-09 2004-1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清掃ロボット
JP2008108201A (ja) 2006-10-27 2008-05-08 Nec Corp 生体高分子の部分選択制御装置
KR101412582B1 (ko) 2008-01-02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3490B1 (ko) 2008-04-24 2015-08-10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로봇 가능화 모바일 제품을 위한 위치 측정 시스템, 위치 결정 시스템 및 운전 시스템의 적용
CN105824310B (zh) * 2015-01-08 2018-10-1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机器人的行走控制方法和机器人
CN108209741B (zh) * 2017-08-30 2020-05-26 深圳乐动机器人有限公司 清洁机器人控制方法和清洁机器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5116A (ja) * 1995-02-14 1996-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走式掃除機
KR20090104388A (ko) * 2008-03-31 2009-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KR2013000221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8882B1 (ko) * 2014-05-02 2015-12-18 에브리봇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5965B1 (ko) * 2016-07-14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06358S1 (en) * 2020-09-03 2023-11-28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vacuum cleaner
WO2023142931A1 (zh) * 2022-01-27 2023-08-03 追觅创新科技(苏州)有限公司 机器人移动路径规划方法、***及清洁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47A (ko) 2021-11-03
US20230180988A1 (en) 2023-06-15
CN115426930B (zh) 2024-06-18
CN115426930A (zh) 2022-12-02
TWI809382B (zh) 2023-07-21
TW202207860A (zh) 2022-03-01
AU2021259042A1 (en) 2022-11-10
DE112021002542T5 (de)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03077A1 (en) Clean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020930A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21215869A1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15076593A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60662A1 (ko) 로봇청소기 및 로봇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20060155A1 (en) Robot cleaner,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WO2014200252A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60661A1 (ko) 로봇 청소기
WO2016200035A1 (en) Moving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13750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6028021A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54568A1 (ko) 청소기
WO2022005067A1 (ko) 로봇 청소기와 이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및 로봇 청소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19054676A1 (ko) 이동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06436A1 (en) Lawn mowe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20932A2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WO2021040160A1 (ko) 인공지능 로봇청소기 및 그를 포함하는 로봇 시스템
WO2021137522A1 (ko) 로봇 청소기
WO2021215871A1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21137476A1 (ko) 로봇청소기의 충전대
WO2021215870A1 (ko)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방법
WO2022010029A1 (ko) 로봇 청소기
WO2021006671A1 (en) Mobile rob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15023A1 (ko) 로봇 청소기
WO2020004839A1 (ko)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926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59042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423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7926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