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33038A1 -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33038A1
WO2021133038A1 PCT/KR2020/018933 KR2020018933W WO2021133038A1 WO 2021133038 A1 WO2021133038 A1 WO 2021133038A1 KR 2020018933 W KR2020018933 W KR 2020018933W WO 2021133038 A1 WO2021133038 A1 WO 20211330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ridin
pyrazin
ethoxyphenoxy
amino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89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승현
주현우
서보경
이은진
정진영
윤수영
곽영신
조우영
조민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7/788,39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101389A1/en
Priority to EP20907919.3A priority patent/EP4074701B1/en
Priority to ES20907919T priority patent/ES2969310T3/es
Priority to BR112022012352A priority patent/BR112022012352A2/pt
Priority to AU2020413583A priority patent/AU2020413583B2/en
Priority to CA3161640A priority patent/CA3161640A1/en
Priority to MX2022007810A priority patent/MX2022007810A/es
Priority to CN202080089274.6A priority patent/CN114901653A/zh
Priority to JP2022539022A priority patent/JP7451017B2/ja
Publication of WO20211330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33038A1/ko
Priority to ZA2022/08088A priority patent/ZA202208088B/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5Non-condensed pyrazines
    • A61K31/497Non-condensed py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ide deriva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that exhibit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inhibitory activit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uses thereof.
  • DGAT2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 triglycerides such as triglycerides (TG)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torage function as an energy source in the living body, excessive accumulation in organs or tissues can cause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fatty liver, etc. It causes serious diseases such as hardening, metabolic abnormalities, and organ dysfunction.
  •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which is a crucial enzyme in the biosynthesis of triglycerides, is found in various tissues of mammals, and diacylglycerol in the last step of the glycerol phosphate pathway, which is the main route of triglyceride synthesis.
  • DGAT1 It is an enzyme that synthesizes TG by binding fatty acyl-CoA to the hydroxyl group of
  • DGAT1 and DGAT2 Two isoforms, DGAT1 and DGAT2, are known. Their biochemical functions are similar, but DGAT1 is expressed mainly in the small intestine and adipose tissue, and DGAT2 is mainly expressed in the liver and adipose tissue.
  • Archipelago DGAT1 was of the ACAT family, and DGAT2 was of the MGAT family, so it was expected that the role for TG biosynthesis would also be different.
  • DGAT2 mainly contributes to the biosynthesis of TG in vivo. Unlike DGAT2 knockout mice, which hardly synthesize TG and die shortly after birth due to an abnormal skin layer, DGAT1 knockout mice show only a slight decrease in TG levels and no problems with the survival of the mice (Stone). SJ et al., 2000. Nat. Genet. 25: 87-90).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ducing the expression level of DGAT1 or DGAT2 in an animal model of fatty liver using antisense oligonucleotide (ASO), only when the amount of DGAT2 was decreased, fatty liver symptoms were alleviated and the glucose production rate in the liver was significantly reduced. (Choi CS et al. 2007. Hepatology. 45: 1366-74).
  •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 DGAT2 hepatic VLDL TAG secretion and decreased circulating cholesterol levels.
  • APOB plasma apolipoprotein B
  • DGAT2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the amide derivative compoun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related to DGAT2, comprising the amide derivative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amide derivative compound as an active ingredient to improv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compounds, thereby improving efficacy in disease animal models as well as improving efficacy and improving efficacy in metabolic diseases related to DGAT2 in subjects It is to provide convenience of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a method of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isomer thereof:
  • A, B and E are each independently CH or N;
  • D is N, CH or C-haloalkyl
  • R 1 is alkyl, cycloalkyl or haloalkyl
  • R 2 is hydrogen or alkyl
  • R 3 is -GJL
  • G is -NH- or a direct bond
  • J is alkylene, alkenylene, alkylene-arylene, alkylene-amino-arylene, alkylene-aryloxylene-alkylene, alkylene-cycloalkyl, alkenylene-cycloalkyl, alkoxyene-arylene, arylene, cycloalkyl, aryl, aryl-alkyl, heterocycloalkylene, heterocycloalkylene-arylene, heterocycloalkylene-heteroarylene or heterocycloalkyl;
  • L is hydrogen, halo, amino, nitro, carboxy (-COOH), aminocarbonylalkyl, carboxyalkyl, carboxyalkoxy, carboxyalkyl-aryl, cycloalkyl, aryl, aryloxy, heterocycloalkyl or heteroaryl; or
  • R 2 and R 3 together with the nitrogen to which they are attached may form a heterocycloalkyl
  • alkyl, alkylene, alkylene-arylene, alkenyl, alkenylene, cycloalkyl, carboxyalkyl, carboxyalkoxy, alkoxyalkyl, aminocarbonyl, aryl, aryl-alkyl, arylene, aryloxy, heterocycloalkyl or Heteroaryl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the substituents being hydroxy, halo, oxo, nitro, -COOH, -CH 2 COOH, alkyl, alkenyl, alkoxy, haloalkyl, alkylsulfonyl, alkylcarbonyl, alkoxycarbonyl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heteroaryl-alkyl;
  • the heterocycloalkylene, heterocycloalkyl, heteroarylene or heteroaryl comprises one or more heteroatoms selected from N, O and S.
  • the compounds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include acids that form non-toxic acid addition salts containing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ions, for exampl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and the like; organic acids such as tartaric acid, form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gluconic acid, benzoic acid, lact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salicylic acid and the like; and acid addition salts formed with sulfonic acids such as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toluenesulfonic acid and the like.
  • salts of carboxylic acids include, for example, 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formed by lithium,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the like; amino acid salts such as lysine, arginine, and guanidine; organic salts such as dicyclohexylamine, N-methyl-D-glucamine, tris(hydroxymethyl)methylamine, diethanolamine, choline, triethylamine, and the like.
  • the compound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into its salt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symmetric carbon center and an asymmetric axis or an asymmetric plane, they may exist as E or Z isomers, R or S isomers, racemates, diastereomeric mixtures and individual diastereomers, All these isomers and mixture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und of formula (1) is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isomers thereof.
  • halogen or halo denotes fluorine (F), chlorine (Cl), bromine (Br) or iodine (I).
  • alkyl or “alkylene” is a straight or branched hydrocarbon, which may contain single, double, or triple bonds, and is C 1 -C 10 alkyl or C 1 -C 10 alkylene, or C 1 -C 7 alkyl or C 1 -C 7 alkylene is preferred.
  • the alky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methyl, ethyl, n -propyl, i -propyl, n -butyl, i -butyl, tert -butyl, acetylene, vinyl, trifluoromethyl, and the like.
  • alkenyl or “alkenylene” is a branched or unbranched hydrocarbon having at least one carbon-carbon double bond, which is C 2 -C 10 alkenyl or C 2 -C 10 alkenylene, or C 2 -C 7 alkenyl or C 2 -C 7 alkenylene is preferred.
  • the alkeny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vinyl, allyl, butenyl, isopropenyl, or isobutenyl.
  • cycloalkyl is a partially or fully saturated mono- or fused-ring cyclic hydrocarbon, with C 3 -C 10 cycloalkyl being preferred.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clopropyl, cyclobutyl, cyclopentyl, cyclohexyl, cycloheptyl, and the like.
  • alkoxy means alkyloxy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cycloalkoxy means cycloalkyloxy having from 3 to 10 carbon atoms.
  • aryl or “arylene” means an aromatic hydrocarbon, preferably C 5 -C 12 aryl or C 5 -C 12 arylene, more preferably C 6 -C 10 aryl or C 6 -C 10 is arylene.
  • the aryl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henyl, naphthyl and the like.
  • heteroaryl or “heteroarylene” refers to a single or fused ring that contains one or more heteroatoms selected from N, O and S as a reducing agent and can be fused with benzo or C 3 -C 8 cycloalkyl. It means a 3 to 12 membered aromatic hydrocarbon, more preferably a 5 to 12 membered aromatic hydrocarbon.
  • the heteroaryl is pyridinyl, pyrimidinyl, pyridazinyl, pyrazinyl, oxadiazolyl, isoxadiazolyl, tetrazolyl, triazolyl, indolyl, indazolyl, isoxazolyl, oxazolyl, thia Jolyl, isothiazolyl, furanyl, benzofuranyl, imidazolyl, thiophenyl, benzthiazole, benzimidazole, quinolinyl, indolinyl, 1,2,3,4-tetrahydroisoquinolyl, 3 , 4-dihydroisoquinolyl, thiazolopyridyl, 2,3-dihydrobenzofuran, 2,3-dihydrothiophene, 2,3-dihydroindole, benzo [1,3] dioxane, chroman , thiochroman, 1,2,
  • heterocycloalkyl or “heterocycloalkylene” refers to a partially or completely saturated hydrocarbon comprising at least one hetero atom selected from N, O and S as a reducing agent and forming a single or fused ring, 3 to 12 won or 5 to 12 won is preferable.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yrrolidinyl, piperidinyl, morpholinyl, imidazolinyl, piperazinyl, tetrahydrofuran, tetrahydrothiofuran, and the like.
  • Aryl-alkyl, alkyl-aryl and heteroaryl-alkyl refer to a group formed by combining aryl and alkyl or heteroaryl and alkyl as defined above, and include, for example, benzyl, thiophenmethyl, pyrimidinemethyl, and the like.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B and E are each independently CH or N;
  • D is N, CH or C-halo-C 1 -C 7 alkyl
  • R 1 is C 1 -C 7 alkyl, C 3 -C 10 cycloalkyl or halo-C 1 -C 7 alkyl;
  • R 2 is hydrogen or C 1 -C 7 alkyl
  • R 3 is -GJL
  • G is -NH- or a direct bond
  • J is C 1 -C 7 alkylene, C 2 -C 7 alkenylene, C 1 -C 7 alkylene-C 6 -C 10 arylene, C 1 -C 7 alkylene-amino-C 6 -C 10 aryl ene, C 1 -C 7 alkylene-C 6 -C 10 aryloxylene-C 1 -C 7 alkylene, C 1 -C 7 alkylene-C 3 -C 10 cycloalkyl, C 2 -C 7 alkenylene -C 3 -C 10 cycloalkyl, C 1 -C 7 alkoxyene-C 6 -C 10 arylene, C 6 -C 10 arylene, C 3 -C 10 cycloalkyl, C 6 -C 10 aryl, C 6 -C 10 aryl-C 1 -C 7 alkyl, 5-12 membered heterocycloalkylene, 5-12 membered heterocycloalkylene-C 6 -C
  • L is hydrogen, halo, amino, nitro, carboxy (-COOH), aminocarbonyl-C 1 -C 7 alkyl, carboxy-C 1 -C 7 alkyl, carboxy-C 1 -C 7 alkoxy, carboxy-C 1 - C 7 alkyl-C 6 -C 10 aryl, C 3 -C 10 cycloalkyl, C 6 -C 10 aryl, C 6 -C 10 aryloxy, 5-12 membered heterocycloalkyl or 5-12 membered heteroaryl; or
  • R 2 and R 3 together with the nitrogen to which they are attached may form a 5 to 12 membered heterocycloalkyl
  • alkyl, alkylene, alkylene-arylene, alkenyl, alkenylene, cycloalkyl, carboxyalkyl, carboxyalkoxy, alkoxyalkyl, aminocarbonyl, aryl, aryl-alkyl, arylene, aryloxy, heterocycloalkyl or Heteroaryl may be optionally substituted, the substituents being hydroxy, halo, oxo, nitro, -COOH, -CH 2 COOH, C 1 -C 7 alkyl, C 2 -C 7 alkenyl, C 1 -C 7 alkoxy, from halo-C 1 -C 7 alkyl, C 1 -C 7 alkylsulfonyl, C 1 -C 7 alkylcarbonyl, C 1 -C 7 alkoxycarbonyl and 5 to 12 membered heteroaryl-C 1 -C 7 alkyl 1 to 4 selected;
  • heterocycloalkylene, heterocycloalkyl, heteroarylene or heteroaryl contains 1 to 5 heteroatoms selected from N, O and S.
  • Representative of the compounds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compound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 compound of formula (1).
  • a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xemplary reaction scheme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 by various methods based on the structure of formula (1), and these methods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ed. That is, the compound of formula (1) can be prepared by arbitrarily combining various synthetic methods described herein or disclosed in the prior art, which is understoo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what has been described.
  •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directly introducing a substituted amide group, such as a compound of formula (4), into compound (2) according to the method of Scheme 1 below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1) or to compound (2) After introducing a protected amine and removing the protecting group, the desired compound of formula (1) can be prepared through an amidation reaction on compound (3).
  • a substituted amide group such as a compound of formula (4)
  • Compound (2) can be prepared using tert -butyl-3-hydroxypiperidine-1-carboxylate as a start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method of Scheme 2 below.
  • compound (3)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following scheme (3).
  • the amide derivatives in the compound of formula (4) can be obtained by treatment with thionyl chloride or oxalyl chloride from an appropriate acid followed by treatment with ammonia water.
  • thionyl chloride or oxalyl chloride from an appropriate acid followed by treatment with ammonia water.
  • methyl 4-(3-amino-3-oxopropyl)benzoate is It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Scheme 4 below.
  • a compound not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compound known per se, or a compound that can be easily synthesized from a known compound by a known synthesis method or a method similar thereto.
  • the compound of formula (1) obtained through the above method may be isolated or purified from the reaction product by various methods such as recrystallization, iontophoresis,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r 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 the compound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hibitory effect on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DGAT2-related disease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ogether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isomer thereof.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 DGAT2-related disease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ogether with the compound of Formula (1),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isomer thereof.
  • various types of prodrugs that are converted into the compound of Formula (1) according to the intended purpose in vivo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DGAT2-related diseases that can be treated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fatty live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diabetes, obesity,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and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percholesterolem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diabetes obesity
  • hyperlipidemia atherosclerosis
  • I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percholesterolem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other chemical components such as carriers, diluents, excipients, etc. in addition to the activ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diluent, excipient, or a combination thereof, if necessar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acilitates administration of the active compound into an organism.
  • Various techniques for administering a compound exis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oral, injection, aerosol, parenteral, and topical administration.
  • carrier refers to a compound that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the compound into a cell or tissue.
  • DMSO dimethylsulfoxide
  • carrier facilitates the introduction of many organic compounds into cells or tissues of living organisms.
  • the term “diluent” is defined as a compound that is diluted in water to dissolve the compound as well as to stabilize the biologically active form of the compound. Salts dissolved in buffers are used as diluents in the art. A commonly used buffer is phosphate buffered saline, which mimics the salt form of human solutions. Because buffer salts can control the pH of a solution at low concentrations, it is rare for a buffered diluent to modify the biological activity of a compound.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refers to a property that does not impai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a compound.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to various pharmaceutical dosage forms as desired.
  • the active ingredient specifically the compound of formula (1),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r isomer thereof,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osage form to be prepared, variou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ixed with the carrier.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an injectable preparation, an oral preparation, etc. as desired.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by known methods using known pharmaceutical carriers and excipients and incorporated in unit dosage form or multi-dose containers.
  • the form of the prepar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oil or aqueous medium, and may contain customary dispersing, suspending or stabilizing agents. In addition,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form of a dry powder that is used by dissolving it in sterile, pyrogen-free water before use.
  • the compoun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formulated in suppository form using conventional suppository bases such as cocoa butter or other glycerides.
  • a solid dosage form for oral administration can be capsules, tablets, pills, powders and granules, and capsules and tablets are particularly useful.
  • Solid dosage forms can be prepared by mixing a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one or more inert diluents such as sucrose, lactose, starch, and the like, and carriers such as lubricants, disintegrants, binders, and the like, such as magnesium stearate.
  • inert diluents such as sucrose, lactose, starch, and the like
  • carriers such as lubricants, disintegrants, binders, and the like, such as magnesium stearate.
  • th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ay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ther drugs, for example, other therapeutic agents for metabolic diseases.
  • the dosage of the compound of formul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doctor's prescription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weight, age, and the specific natur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 the dosage required for adult treatment is usually in the range of about 0.3 to 500 mg per day,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administration.
  • a total dose of about 1-300 mg per day, usually divided into single doses, will suffice, although higher daily doses may be desirable for some patients.
  • treatment means stopping, delaying, or alleviating the progression of a disease when used in an object showing symptoms of onset.
  • the novel amide deriva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related to DGAT2.
  • DGAT2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 the novel amide derivativ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increased lipophilicity and liver selectivity, thereby improving efficacy through increased exposure to the liver, as well as disease animals. As the half-life is relatively long in models and clinical trials, the benefit of convenience for patients can be expected.
  • M means molar concentration and N means normal concentration.
  • N means normal concentration.
  • DIPEA diisopropylethylamine
  • Step 1 tert -Butyl-( R )-3-(2-ethoxyphenoxy)piperidine-1-carboxylate
  • tert -Butyl-( R )-3-(2-ethoxyphenoxy)piperidine-1-carboxylate (10.0 g, 31.1 mmol)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100 ml of dichloromethane, and 4M hydrochloric acid was dissolved at room temperature. The solution was added dropwise. After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it was confirmed by TLC experiment that the reaction was complete, and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dilution with ethyl acetate and washing with aqueous sodium hydrogen carbonate solution, the organic solvent was dried over magnesium sulfate, and the compound obtained through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was used in the next reaction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Step 3 ( R )-2-chloro-6- (3- (2-ethoxyphenoxy) piperidin-1-yl) pyrazine
  • Step 1 tert -Butyl ( R )-(6-(3-(2-ethoxyphenoxy)piperidin-1-yl)pyrazin-2-yl)carbamate
  • the reactant was stirred at 110° C. for 5 hours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After filtering through a celite pad and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it was dissolved in ethyl acetate and washed with brine. The organic solvent was dried over magnesium sulfate and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 Step 2 ( R )-6-(3-(2-ethoxyphenoxy)piperidin-1-yl)pyrazin-2-amine
  • tert- Butyl ( R )-(6-(3-(2-ethoxyphenoxy)piperidin-1-yl)pyrazin-2-yl)carbamate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10 ml of dichloromethane and stirred 2 ml of trifluoroacetic acid was added dropwise. After confirming that the reaction was completed by TLC,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diluted with ethyl acetate, and washed with an aqueous sodium hydrogen carbonate solution. The organic solvent was dried with magnesium sulfate and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crude product, and the following reaction was carried out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step 1 4-(2-methoxy-2-oxoethyl)benzoic acid (1.0 g, 5.15 mmol) obtained in step 1 was dissolved in 30 ml of dichloromethane, and thionyl chloride (0.8 ml, 10.3 mmol) was slowly added dropwise at room temperature. After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the organic solvent was removed under reduced pressure, dissolved in 5 ml of THF, and then slowly added dropwise to 25% aqueous ammonia solution at 0°C. After stirring for 1 hour, the resulting solid was filtered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 thionyl chloride 0.8 ml, 10.3 mmol
  • step 3 Using 4-(1-methoxy-2-methyl-1-oxoprop-2-yl)benzoic acid obtained in step 3, the desired product was obtain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in Preparation Example 3 (step 2).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benzoate
  • Step 2 M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benzoate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2-methyl-3-oxoprop-1-en-1yl)benzoate
  • Step 2 ( E )-3-(4-(methoxycarbonyl)phenyl)-2-methylacrylic acid
  • Step 3 methyl ( E )-4-(3-amino-2-methyl-3-oxoprop-1-en-1-yl)benzoate
  • Step 1 Methyl 4-(3-( tert -Butoxy)-2-methyl-3-oxopropyl)benzoate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2-fluorobenzoate
  • Step 2 M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2-fluorobenzoate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2-methylbenzoate
  • Step 2 M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2-methylbenzoate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2-chlorobenzoate
  • Step 2 M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2-chlorobenzoate
  • Step 3 3- (3-chloro-4- (methoxycarbonyl) phenyl) propanoic acid
  • Step 1 methyl ( E )-3-(3-( tert -Butoxy)-3-oxoprop-1-en-1-yl)benzoate
  • Step 1 m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benzoate
  • Step 2 M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benzoate
  • Step 1 tert -Butyl ( E )-3-(4-(1-methoxy-2-methyl-1-oxopropan-2-yl)phenyl)acrylate
  • Step 2 Methyl 2-(4-(3-( tert -Butoxy)-3-oxopropyl)phenyl)-2-methylpropanoate
  • Step 3 3-(4-(1-methoxy-2-methyl-1-oxopropan-2-yl)phenyl)propanoic acid
  • Step 2 using methyl 2-(4-(3-( tert -butoxy)-3-oxopropyl)phenyl)-2-methylpropanoate (0.90 g, 2.92 mmol) obtained in step 2 3)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96%)
  • Step 4 using 3-(4-(1-methoxy-2-methyl-1-oxopropan-2-yl)phenyl)propanoic acid (0.7 g, 2.8 mmol) obtained in step 3
  • the desired product was obtained through the amidation reaction in a similar manner to (yield 99%)
  • Step 1 methyl ( E )-1-(4-(3-( tert -Butoxy)-3-oxoprop-1-en-1-yl)phenyl)cyclopropane-1-carboxylate
  • Step 2 Methyl 1-(4-(3-( tert -Butoxy)-3-oxopropyl)phenyl)cyclopropane-1-carboxylate
  • Step 3 3-(4-(1-(methoxycarbonyl)cyclopropyl)phenyl)propanoic acid
  • Step 4 Methyl 1-(4-(3-amino-3-oxopropyl)phenyl)cyclopropane-1-carboxylate
  • Step 2 2-(trimethylsilyl)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2,6-dichlorobenzoate
  • Step 3 2-(trimethylsilyl)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2,6-dichlorobenzoate
  • Step 4 3-(3,5-dichloro-4-((2-(trimethylsilyl)ethyl)carbonyl)phenyl)propanoic acid
  • Step 2 2-(trimethylsilyl)ethyl ( E )-4-(3-( tert -Butoxy)-3-oxoprop-1-en-1-yl)-2,6-dimethylbenzoate
  • Step 3 2-(trimethylsilyl)ethyl 4-(3-( tert -Butoxy)-3-oxopropyl)-2,6-dimethylbenzoate
  • Step 4 3-(3,5-dimethyl-4-((2-(trimethylsilyl)ethyl)carbonyl)phenyl)propanoic acid
  • Step 2 Ethyl ( E )-1-(4-(3-( tert -Butoxy)-3-oxoprop-1-en-1-yl)phenyl)piperidine-4-carboxylate
  • Step 3 Ethyl 1-(4-(3-( tert -Butoxy)-3-oxopropyl)phenyl)piperidine-4-carboxylate
  • Step 4 Ethyl 1-(4-(3-amino-3-oxopropyl)phenyl)piperidine-4-carboxylate
  • step 1 of Preparation 18 and the method of Preparation 10 were sequentially carried out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66%)
  • Step 1 tert -Butyl 2-(4-(( R )-3-(( S )-4-Benzyl-2-oxooxazolidin-3-yl)-2-methyl-3-oxopropyl)phenyl)acetate
  • Step 2 Methyl ( R )-3-(4-(2-( tert -Butoxy)-2-oxoethyl)phenyl)-2-methylpropanoate
  • Step 3 methyl ( R )-3-(4-(2-amino-2-oxoethyl)phenyl)-2-methylpropanoate
  • Step 1 2-(4-(3-methoxy-2,2-dimethyl-3-oxopropyl)phenyl)acetic acid
  • Diisopropylamine (1.867 ml, 13.10 mmol) was added to anhydrous tetrahydrofuran (20 mL), and 2.5 M n -butyllithium (5.24 ml, 13.10 mmol) was slowly added dropwise at -78°C.
  • the reaction solution was stirred at the same temperature for 20 minutes. After raising the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ing for 10 minutes, it was lowered to -78°C again and stirred for 10 minutes.
  • the reaction solution was added dropwise to methyl isobutyrate (1.501 ml, 13.10 mmol) dissolved in anhydrous tetrahydrofuran (20 mL).
  • reaction solution was stirred at -78°C for 1 hour, and slowly added dropwise to 2-(4-(bromomethyl)phenyl)acetic acid (1 g, 4.37 mmol) dissolved in anhydrous tetrahydrofuran (20 mL). did.
  •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was raised to room temperature and stirred for 20 minutes.
  • the reaction was terminated by adding 1N aqueous hydrochloric acid (10 mL) to the reaction solution, followed by extraction with diethyl ether.
  • Step 4 2-(4-(1-methoxy-2-methyl-1-oxopropane-2-yl)phenyl)acetic acid
  • the desired product was obtained in a similar manner to (yield 77%)
  • Step 1 Benzyl 1-(4-formylphenyl)azetidine-3-carboxylate
  • Step 3 Ethyl 3-(4-(3-(chlorocarbonyl)azetin-1-yl)phenyl)propanoate
  • Step 4 Ethyl 3-(4-(3-carbamoylazetidin-1-yl)phenyl)propanoate
  • Step 1 4-Benzyl 1-( tert -Butyl)-piperidine-1,4-dicarboxylate
  • step 1 4-benzyl 1-( tert -butyl)-piperidine-1,4-dicarboxylate (6.09 g, 19.07 mmol) obtained in step 1 was similar to step 2 of Preparation Example 2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48%)
  • Benzyl piperidine-4-carboxylate (1.9934 g, 9.09 mmol) obtained in step 2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DIPEA (4.76 ml, 27.3 mmol) and cyano bromide (0.573 ml, 10.91 mmol) were added thereto, and then at room temperature was stirred for 2 hours.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water was added, the organic layer was separated, dried with magnesium sulfate, and the obtained material was purified by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by column chromatography (hexane:ethyl acetate), and benzyl 1-cyanopiperidine-4-carboxylate (2.1838 g, 8.94 mmol, yield 98%) was obtained.
  • Step 4 Benzyl 1-(2 H -tetrazol-5-yl) piperidine-4-carboxylate
  • Benzyl 1-cyanopiperidine-4-carboxylate (2.1838 g, 8.94 mmol) obtained in step 3 was dissolved in DMF, and ammonium chloride (0.717 g, 13.41 mmol) and sodium azide (0.872 g, 13.41 mmol) were added. and reacted at 100° C. for 6 hours.
  • Step 5 Benzyl 1-(2-(2-ethoxy-2-oxoethyl)-2 H -tetrazol-5-yl) piperidine-4-carboxylate
  • Benzyl 1-(2H -tetrazol-5-yl)piperidine-4-carboxylate (1.465 g, 5.10 mmol) synthesized in step 4 was dissolved in DMF, potassium carbonate (1.409 g, 10.20 mmol) and ethyl 2 -Bromoacetate (1.277 g, 7.65 mmol) was added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 Step 6 1-(2-(2-ethoxy-2-oxoethyl)-2 H -tetrazol-5-yl)piperidine-4-carboxylic acid
  • Step 7 Ethyl 2-(5-(4-carbamoylpiperidin-1-yl)-2 H -tetrazol-2-yl) acetate
  • Preparation 41 was prepared using ethyl piperidine-4-carboxylate (0.13 g, 0.80 mmol) and tert -butyl 2-(4-bromophenyl)-2-methylpropanoate (0.2 g, 0.67 mmol) A similar procedure was followed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72%)
  • Step 1 3-Benzyl 1-( tert -Butyl) pyrrolidine-1,3-dicarboxylate
  • Step 2 Benzyl pyrrolidine-3-carboxylate
  • step 1 3-benzyl 1-( tert -butyl)pyrrolidine-1,3-dicarboxylate (1.7 g, 5.57 mmol) obtained in step 1 was similar to step 2 of Preparation Example 2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99%)
  • Step 1 3-Benzyl 1-( tert -butyl) ( R )-pyrrolidine-1,3-dicarboxylate
  • Step 2 3-Benzyl 1-( tert -Butyl) 3-methylpyrrolidine-1,3-dicarboxylate
  • Step 3 1-( tert -Butoxycarbonyl)-3-methylpyrrolidine-3-carboxylic acid
  • step 2 3-benzyl 1-( tert -butyl) 3-methylpyrrolidine-1,3-dicarboxylate (80 mg, 0.250 mmol) obtained in step 2 was similar to step 2 of Preparation 10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 (yield 99%)
  • Step 4 tert -Butyl 3-carbamoyl-3-methylpyrrolidine-1-carboxylate
  • step 3 1-( tert -butoxycarbonyl)-3-methylpyrrolidine-3-carboxylic acid (60 mg, 0.262 mmol) obtained in step 3 was similar to step 5 of Preparation 46 to obtain the desired product. (Yield 62%)
  • Step 1 tert -Butyl 3-(4-(1-methoxy-2-methyl-1-oxopropan-2-yl)phenyl)-2,2-dimethylpropanoate
  • Step 1 Benzyl 4-(hydroxymethyl)bicyclo[2.2.2]octane-1-carboxylate
  • Step 2 Benzyl 4-formylbicyclo[2.2.2]octane-1-carboxylate
  • Oxalyl chloride (1.02 g, 8.02 mmol) was dissolved in DCM (25 mL) and the temperature was lowered to -78°C.
  • DMSO (1.25 g, 16.04 mmol) was further added, and after 5 minutes, benzyl 4-(hydroxymethyl)bicyclo[2.2.2]octane-1-carboxylate (2.00 g, 7.29 mmol) obtained in step 1 was added to DCM (10 mL) was dissolved.
  • triethylamine (3.69 g, 36.4 mmol) was added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room temperature. After adding water to the mixture, it was extracted with DCM. The organic layer was dried over magnesium sulfate,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used in the next reaction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 Step 3 Benzyl ( E )-4-(3-amino-3-oxoprop-1-en-1-yl)bicyclo[2.2.2]octane-1-carboxylate
  • Step 2 tert -Butyl ( R )-3-((3-ethoxypyridin-2-yl)oxy)piperidine-1-carboxylate
  • Step 4 ( R )-2-chloro-6-(3-((3-ethoxypyridin-2-yl)oxy)piperidin-1-y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억제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억제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인스턴트 음식물의 잦은 섭취 및 육식 위주의 식생활 변화는 체내에 과다한 열량 에너지의 축적을 유발하였다. 이러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는 운동부족으로 인한 열량 에너지 소모의 감소까지 더해짐에 따라 비만증, 고지혈증, 당뇨병, 심혈관 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의 대사성 질환 유병률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특히, 비만은 현재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질병 중의 하나로서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비만의 주원인이 되는 중성지방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기능 조절을 통한 대사성 질환 치료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 TG)와 같은 중성지방은 생체 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저장기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장기나 조직에 과잉으로 축척 되면 비만, 고중성지방증, 지방간 등을 야기시켜 당뇨, 동맥경화, 대사이상 및 장기의 기능저하 등의 심각한 질병을 유발한다. 이러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생합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효소인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는 포유동물의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되며, 중성지방 합성의 주경로인 글리세롤 포스페이트(glycerol phosphate)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디아실글리세롤(diacylglycerol)의 하이드록실기에 지방 아실-코에이(fatty acyl-CoA)를 결합시켜 TG를 합성하는 효소이다. 현재 2가지 이소체(isoform)인 DGAT1 및 DGAT2가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생화학적 기능은 유사하지만 DGAT1은 소장과 지방조직에서, 그리고 DGAT2는 간과 지방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들이 속해 있는 유전자 군도 DGAT1은 ACAT 패밀리, 및 DGAT2는 MGAT 패밀리로 서로 달라 TG 생합성에 대한 역할 역시 다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동물실험을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생체 내 TG의 생합성에 DGAT2가 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GAT2 녹아웃(knockout) 생쥐는 TG를 거의 합성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피부층으로 인해서 태어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서 죽게 되는 것과는 달리, DGAT1 녹아웃 생쥐는 TG 수준이 약간만 감소하고 생쥐의 생존에는 문제가 없음을 보여준 바 있다(Stone SJ 등, 2000. Nat. Genet. 25: 87-90). 또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ntisense oligonucleotide, ASO)를 이용해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DGAT1 또는 DGAT2의 발현양을 감소시켜본 결과 오직 DGAT2의 양을 감소한 경우에만 지방간 증상이 완화되고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률이 현저히 감소되었다(Choi CS 등. 2007. Hepatology. 45: 1366-74).
이의 기반이 되는 분자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진 바 없으나, DGAT2의 억제가 스테롤 조절 요소-결합 단백질 1c(sterol regularoty element-binding proteins 1c, SREBP1c) 및 스테아로일 CoA-데새투라제1(strearoyl CoA-desaturase 1, SCD1)을 비롯한 지질생성에 수반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다중 유전자의 발현을 하향-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동시에, 카르니틴 팔미토일 트랜스퍼라제 1(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1, CPT1)과 같은 유전자가 증가되는 것으로부터 산화 경로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간성 DAG 및 TAG 지질 수준의 감소, 및 이에 따른 간에서의 개선된 인슐린 반응성을 유도한다. 또한, DGAT2의 억제는 간성 VLDL TAG 분비를 억제시키고, 순환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켰다. 최종적으로 혈장 아포지단백질 B(APOB) 수준이 억제되는데, 이는 새로이 합성되는 APOB 단백질의 지질화에 있어서 감소된 TAG의 공급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즉, DGAT2가 억제되는 경우 혈당 조절 및 혈장 콜레스테롤 프로파일 모두에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이는 DGAT2 억제가 대사 질환의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DGAT2) 억제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 상기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DGAT2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 상기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종래의 화합물에 비하여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개선함으로써 질환 동물모델에서의 효능 개선뿐만 아니라 대상의 DGAT2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을 개선된 효능 및 복용 편의를 제공하며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및 E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는 N, CH 또는 C-할로알킬이며;
R1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알킬이며;
R3는 -G-J-L이고;
여기서 G는 -NH- 또는 직접결합이며;
J는 알킬렌, 알케닐렌, 알킬렌-아릴렌, 알킬렌-아미노-아릴렌, 알킬렌-아릴옥시렌-알킬렌, 알킬렌-사이클로알킬, 알케닐렌-사이클로알킬, 알콕시렌-아릴렌, 아릴렌,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아릴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은 수소, 할로, 아미노, 니트로, 카르복시(-COOH), 아미노카르보닐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카르복시알킬-아릴,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또는
R2와 R3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알킬렌, 알킬렌-아릴렌, 알케닐,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알콕시알킬, 아미노카르보닐, 아릴, 아릴-알킬, 아릴렌,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기는 하이드록시, 할로, 옥소, 니트로, -COOH, -CH2COOH, 알킬, 알케닐, 알콕시, 할로알킬, 알킬설포닐,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및 헤테로아릴-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실산 등과 같은 유기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복실산 염에는,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기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 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그의 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중심과 비대칭축 또는 비대칭평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E 또는 Z 이성질체, R 또는 S 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및 개개의 부분입체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혼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정의함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치환체에 대해 정의된 개념들이 사용된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를 나타낸다.
용어 "알킬" 또는 "알킬렌"은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로서, 단일결합,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C1-C10 알킬 또는 C1-C10 알킬렌, 또는 C1-C7 알킬 또는 C1-C7 알킬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ert-부틸, 아세틸렌, 비닐, 트리플루오로메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케닐" 또는 "알케닐렌"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탄화수소로서, C2-C10 알케닐 또는 C2-C10 알케닐렌, 또는 C2-C7 알케닐 또는 C2-C7 알케닐렌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알케닐은 비닐, 알릴, 부테닐, 이소프로페닐, 또는 이소부테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포화된 단일 또는 융합환 고리형 탄화수소이며, C3-C10 사이클로알킬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콕시"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알킬옥시를 의미한다.
용어 "사이클로알콕시"는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3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사이클로알킬옥시를 의미한다.
용어 “아릴” 또는 “아릴렌”은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C5-C12 아릴 또는 C5-C12 아릴렌, 더 바람직하게는 C6-C10 아릴 또는 C6-C10 아릴렌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릴은 페닐, 나프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렌”은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환원자로서 포함하고, 벤조 또는 C3-C8 사이클로알킬과 융합될 수 있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환을 이루는 3 내지 12원,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원 방향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테로아릴은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옥사디아졸릴, 이속사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이속사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아이소티아졸릴, 퓨라닐, 벤조퓨라닐, 이미다졸릴, 티오페닐, 벤즈티아졸, 벤즈이미다졸, 퀴놀리닐, 인돌리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3,4-다이하이드로아이소퀴놀릴, 티아졸로피리딜, 2,3-다이하이드로벤조퓨란, 2,3-다이하이드로티오펜, 2,3-다이하이드로인돌, 벤조[1,3]다이옥산, 크로만, 싸이오크로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 4H-벤조[1,3]다이옥신, 2,3-다이하이드로벤조[1,4]다이옥신, 6,7-다이하이드로-5H-사이클로펜타[d]피리미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은 N, O 및 S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환원자로서 포함하고 단일 또는 융합고리환을 이루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포화된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3 내지 12원 또는 5 내지 12원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모폴리닐, 이미다졸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티오푸란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릴-알킬, 알킬-아릴 및 헤테로아릴-알킬은 상기에 정의한 아릴과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과 알킬이 결합되어 형성한 그룹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벤질, 티오펜메틸, 피리미딘메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및 E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는 N, CH 또는 C-할로-C1-C7 알킬이며;
R1은 C1-C7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C1-C7 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7 알킬이며;
R3는 -G-J-L이고;
여기서 G는 -NH- 또는 직접결합이며;
J는 C1-C7 알킬렌, C2-C7 알케닐렌, C1-C7 알킬렌-C6-C10 아릴렌, C1-C7 알킬렌-아미노-C6-C10 아릴렌, C1-C7 알킬렌-C6-C10 아릴옥시렌-C1-C7 알킬렌, C1-C7 알킬렌-C3-C10 사이클로알킬, C2-C7 알케닐렌-C3-C10 사이클로알킬, C1-C7 알콕시렌-C6-C10 아릴렌, C6-C10 아릴렌, C3-C10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C7 알킬,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C6-C10 아릴렌,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렌 또는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은 수소, 할로, 아미노, 니트로, 카르복시(-COOH), 아미노카르보닐-C1-C7 알킬, 카르복시-C1-C7 알킬, 카르복시-C1-C7 알콕시, 카르복시-C1-C7 알킬-C6-C10 아릴, C3-C10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옥시,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이며; 또는
R2와 R3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알킬렌, 알킬렌-아릴렌, 알케닐,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알콕시알킬, 아미노카르보닐, 아릴, 아릴-알킬, 아릴렌,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기는 하이드록시, 할로, 옥소, 니트로, -COOH, -CH2COOH, C1-C7 알킬, C2-C7 알케닐, C1-C7 알콕시, 할로-C1-C7 알킬, C1-C7 알킬설포닐, C1-C7 알킬카르보닐, C1-C7 알콕시카르보닐 및 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C1-C7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대표적인 것에는 하기 화합물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1-(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아;
((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L-페닐알라닌;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몰포린-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롤리딘-1-카르복사미드;
1-((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3-카복실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R)-4-클로로-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톡시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메톡시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니트로벤즈아미드;
(R)-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벤조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아세트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1-아세틸-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아이소프로필설포닐)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4-옥소뷰탄산;
(1R)-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싸이클로펜탄-1-카복실산;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4-옥소뷰탄산;
(R)-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3-다이메틸피롤리딘-2,5-다이온;
(R)-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5-옥소펜탄산;
(R)-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3-다이메틸-5-옥소펜탄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R)-2-(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페닐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페닐프로판아미드;
(R)-2-(3-클로로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메틸-2-페닐프로판아미드;
(R)-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R)-3-(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R)-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뷰탄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톡시벤조산;
(R)-2-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R)-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프로판아미드;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복실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플루오로벤조산;
(R)-2,6-다이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R)-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R)-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R)-2-(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아세트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벤조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3-(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프로판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벤조산;
(R)-3-(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S)-3-(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트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알릴)아미노)페닐)프로판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산;
3-(3-((R)-3-((6-((R)-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l)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아세트산;
(R)-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2-(6-(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산;
(R)-2-(5-(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H-테트라졸-2-일)아세트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4-옥소뷰탄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트산;
3-(3-((R)-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1-(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6-(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틴산;
N-(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사마이드;
6-(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틴산;
(R)-2-(4-(2-((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3-((6-(3-(2-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메틸-2-(4-(3-옥소-3-((6-(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산;
(R)-2-(4-(3-((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3-((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아세트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아세트산;
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S)-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R)-2-(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메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2-(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프-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1-((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및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와 약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그 본래의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예시적인 반응식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화학식 (1)의 구조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에 의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선행기술에 개시된 여러 합성법들을 임의로 조합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하기 설명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의 방법에 따라 화합물 (2)에 화학식 (4)의 화합물 같은 치환된 아미드기를 직접 도입하여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화합물 (2)에 보호된 아민을 도입하고 보호기를 제거한 후 만들어진 화합물 (3)에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2
화합물 (2)는 하기 반응식 2의 방법에 따라 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3
또한, 화합물 (3)은 하기 반응식 (3)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4
반응식 1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 중 아미드 유도체들은 적당한 산으로부터 티오닐 클로라이드나 옥살릴 클로라이드 처리 후 암모니아수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일례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는 하기 반응식 4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5
본 명세서의 제조방법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화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화합물이거나, 공지 화합물로부터 공지의 합성법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상기 방법을 통해 얻어진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반응 생성물로부터 재결정화, 이온영동법,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 등과 같은 여러 방법에 의해 분리 또는 정제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그의 제조를 위한 출발물질 또는 중간체 등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제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GAT2) 저해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DGAT2 관련된 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생체 내에서 목적한 바에 따라 화학식 (1)의 화합물로 전환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구약물(prodrug)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로 치료할 수 있는 DGAT2 관련된 질환은 예를 들면,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죽상(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에 추가하여 담체, 희석제, 부형제 등과 같은 다른 화학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생물체 내로 활성 화합물의 투여를 용이하게 한다. 화합물을 투여하는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며, 여기에는 경구, 주사, 에어로졸, 비경구, 및 국소 투여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carrier)”란 세포 또는 조직 내로 화합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메틸설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 많은 유기 화합물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의 담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희석제(diluent)”란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완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완충액은 인체 용액의 염 형태를 모방하고 있는 포스페이트 완충 식염수이다. 완충제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시키는 일은 드물다.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pharmaceutically acceptable)”이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약제학적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유효 성분, 구체적으로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다양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주사용 제제, 경구용 제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공지된 제약용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되어 단위 용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내입될 수 있다. 제제의 형태는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에 녹여 사용하는 건조 분말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코코아버터 또는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통상의 좌약 기제를 이용하여 좌약형으로 제제화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환제, 산제 및 과립제가 가능하고, 특히 캅셀제와 정제가 유용하다. 정제 및 환제는 장용피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수크로오즈, 락토오즈, 전분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붕해제, 결합제 등과 같은 담체와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타의 약제, 예를 들어, 다른 대사질환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나이 및 질병의 특수한 성질과 심각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성인 치료에 필요한 투여량은 투여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하루에 약 0.3 내지 500 ㎎ 범위가 통상적이다. 성인에게 근육 내 또는 정맥 내 투여 시 일회 투여량으로 분리하여 하루에 보통 약 1 내지 300 ㎎의 전체 투여량이면 충분할 것이나, 일부 환자의 경우 더 높은 일일 투여량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란 발병 증상을 보이는 객체에 사용될 때 질병의 진행을 중단, 지연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은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GAT2)를 억제함으로써 DGAT2와 관련된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아미드 유도체 화합물은 증가된 친유성(lipophilicity) 및 간선택성(liver selectivity)을 보임으로써 간에서의 노출 증가를 통한 효능 개선뿐만 아니라, 질환 동물모델 및 임상에서 반감기가 상대적으로 길어져 환자들의 복용 편의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M은 몰 농도를 의미하고, N은 노르말 농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반응식, 제조예 및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어와 용어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DCM: 다이클로로메탄
DIPEA: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N, N-다이메틸포름아미드
EA: 에틸아세테이트
HCl: 염산
TBAF: 테트라뷰팀암모늄플루오라이드
TEA: 트라이에틸아민
TFA: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제조예 1: ( R )-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6
단계 1: tert -뷰틸-(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S)-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30.0 g, 149 mmol), 2-에톡시페놀 (20.6 g, 149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 (43.8 g, 167 mmol)을 톨루엔 50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에 다이에틸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 (30.4 ml)를 톨루엔 50 ml에 희석하여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15시간 교반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 300 ml로 씻어준 후 3N 수산화나트륨 용액 100 ml로 씻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6)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7%)
m/z (M+NH4)+ calculated for C18H27NO4: 344, found 344.2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6.89-6.95 (m, 4H), 4.07 (m, 3H), 3.9 (bs, 1H), 3.66 (bs, 1H), 3.16 (m, 2H), 2.07 (bs, 1H), 1.76-1.83 (m, 2H), 1.45 (m+s, 3H)
단계 2: (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 염산염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0 g, 31.1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4M 염산 용액을 적가하였다.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TLC 실험으로 확인하였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를 통해 얻은 화합물을 추가 정제 과정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m/z (M+H)+ calculated for C13H19NO2: 221.3, found 222.1
단계 3: ( R )-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단계 2에서 수득한 (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 염산염과 2,6-다이클로로피라진 (5.10 g, 34.2 mmol), 트라이에틸아민 (13 ml, 93 mmol)을 에탄올 100 ml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24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TLC 실험을 통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확인하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여 소금물로 씻어 주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3)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1%)
m/z (M+Na)+ calculated for C17H20ClN3O2:Na 356.8, found 356.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3 (s, 1H), 7.74 (s, 1H), 7.04-6.93 (m, 2H), 6.92-6.80 (m, 2H), 4.35-4.24 (m, 1H), 4.07-3.89 (m, 3H), 3.82-3.68 (m, 1H), 3.67-3.46 (m, 2H), 2.09 (q, J = 4.3 Hz, 1H), 2.02-1.97 (m, 1H), 1.93 (q, J = 4.3 Hz, 1H), 1.68-1.58 (m, 1H), 1.38 (t, J = 7.0 Hz, 3H)
제조예 2: ( R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7
단계 1: tert -뷰틸 ( R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메이트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1.41 g, 4.22 mmol), tert-뷰틸 카바메이트 (0.55 g, 4.65 mmol), 세슘 카보네이트 (3.44 g, 10.56 mmol),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잔틴 (220 mg, 0.38 mmol)과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232 mg, 0.25 mmol)을 1,4-다이옥산 50 ml에 녹인 후 교반 상태에서 질소 버블링을 통해 용존산소를 제거한 후 밀폐 용기 내에서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시켰다. 반응물은 11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에 녹여 소금물로 씻어 주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3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9 %)
m/z (M+H)+ calculated for C22H30N4O4: 415.5, found 415.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40 (s, 1H), 7.78 (s, 1H), 6.96 (t, J = 7.0 Hz, 2H), 6.91-6.77 (m, 2H), 6.66 (s, 1H), 4.48-4.15 (m, 1H), 4.14-3.85 (m, 3H), 3.84-3.69 (m, 1H), 3.52-3.41 (1H), 3.40-3.23 (m, 1H), 2.11 (t, J = 6.1 Hz, 1H), 2.01-1.92 (m, 1H), 1.88 (q, J = 4.3 Hz, 1H), 1.57 (dt, J = 13.4, 4.0 Hz, 1H), 1.52 (s, 9H), 1.37 (t, J = 7.0 Hz, 3H)
단계 2: ( R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메이트를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여 교반하면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을 적가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확인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었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crude 생성물을 얻었고, 더 이상의 정제 작업 없이 다음 반응을 진행하였다.
m/z (M+H)+ calculated for C17H22N4O2: 315.3, found 315.0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7.49 (s, 1H), 7.28 (s, 1H), 7.27 (d, 1H), 6.90-7.05 (m, 3H), 3.80-4.25 (m, 7H), 3.25 (m, 2H), 2.18 (m, 1H), 1.75-1.98 (m, 2H), 1.91 (m, 1H), 1.43 (t, 3H), 1.27 (m, 1H)
제조예 3: 메틸 2-(4-카바모일페닐)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8
단계 1: 4-(2-메톡시-2-옥소에틸)벤조산
0℃에서 메탄올 150 ml에 티오닐 클로라이드 0.34 m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어 4-(카복시메틸)벤조산 (17.0 g, 94 mmol)을 녹이고 상온에서 5.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물을 디에틸에테르 200 ml로 묽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2 × 50 ml)과 물 (30 ml)로 씻어주고 얻어진 수용액층을 진한 염산으로 0℃에서 산성화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여과한 후 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1%)
단계 2: 메틸 2-(4-카바모일페닐)아세테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4-(2-메톡시-2-옥소에틸)벤조산 (1.0 g, 5.15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0.8 ml, 10.3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THF 5 ml에 녹인 후 25% 암모니아 수용액에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4: 메틸 2-(4-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09
단계 1: 2-(트리메틸실릴)에틸 4-(2-메톡시-2-옥소에틸)벤조에이트
제조예 3 (단계 1)에서 얻어진 4-(2-메톡시-2-옥소에틸)벤조산 (7.1 g, 36.6 mmol)을 질소 존재하에서 THF 12 ml에 녹이고 0℃에서 2-(트리메틸실릴)에탄-1-올 (6.5 g, 54.8 mmol), 트리페닐포스핀 (24 g, 91 mmol)을 차례로 첨가한 후 다이아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 (16.35 mL)를 THF 30 ml에 녹여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출발 물질이 사라짐을 TLC로 확인한 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 100 ml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을 3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씻어준 후 유기용매를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10)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5%)
단계 2: 2-(트리메틸실릴)에틸 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롭-2-일)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얻어진 2-(트리메틸실릴)에틸 4-(2-메톡시-2-옥소에틸)벤조에이트 (3.81 g, 12.9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ml에 녹이고 0℃에서 수소화나트륨 (60%, 1.04 g, 25.9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15분간 교반 후 요오드메탄 (1.62 ml, 25.9 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N 염산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에틸아세테이트(2 × 30 ml)로 추출 후 소금물(20 ml)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9)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단계 3: 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롭-2-일)벤조산
질소 존재하에서 단계 2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롭-2-일)벤조에이트 (1.0 g, 3.10 mmol)을 THF 10 ml에 녹인 뒤 0℃에서 1.0 M TBAF (4.65 mL, 4.65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출발 물질이 사라짐을 TLC로 확인한 후 THF를 감압 농축하여 H2O (3 mL)와 함께 1N 염산용액으로 산도 2로 맞추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얻었다.
단계 4: 메틸 2-(4-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롭-2-일)벤조산을 이용하여 제조예 3 (단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5: 에틸 2-(4-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0
벤질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73 g, 3.20 mmol)와 에틸 2-브로모-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563 ml, 3.84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7, 제조예 10의 단계 2, 제조예 6의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72 (d, 2H), 6.85 (d, 2H), 5.97 (s, 1H), 5.75 (s, 1H), 4.23 (m, 2H), 1.63 (s, 6H), 1.23 (t, 3H)
제조예 6: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1
단계 1: 다이메틸 2,2'-(1,4-페닐렌)다이아세테이트
0℃에서 메탄올 (20 mL)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2.9 mL, 40.8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어 1,4-페닐렌다이아세트산 (4.0 g, 20.6 mmol)을 녹이고 5시간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 후 상온으로 식히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 100 ml로 묽힌 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4 (s, 2H), 3.68 (s, 3H), 3.61 (s, 2H)
단계 2: 2-(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수득한 다이메틸 2,2'-(1,4-페닐렌)다이아세테이트 (4.58 g, 20.6 mmol)를 THF(30 mL)과 메탄올 (10 mL)에 녹이고 2N 수산화나트륨 10 ml를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물로 묽힌 후 2N 염산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재결정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5 (d, J = 4.9 Hz, 4H), 3.68 (s, 3H), 3.66-3.62 (2H), 3.61 (s, 2H)
단계 3: 메틸 2-(4-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2-(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1.0 g, 4.8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0.7 ml, 9.6 mmol)을 상온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THF 5ml에 녹인 후 25% 암모니아 수용액에 0℃에서 천천히 적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4%)
1H-NMR (500 MHz, DMSO-D6) δ7.42 (s, 1H), 7.15 (dd, J = 12.2, 7.9 Hz, 4H), 6.83 (s, 1H), 3.60 (s, 2H), 3.57 (d, J = 4.3 Hz, 3H), 3.30 (s, 2H)
제조예 7: 에틸 4-(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뷰탄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2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1.00 g, 6.62 mmol), 에틸 4-브로모뷰탄오에이트 (1.041 ml, 7.28 mmol), 세슘 카보네이트 (4.31 g, 13.23 mmol)를 DMF (22.05 mL)에 녹인다.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액에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2 : 1)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6 (d, 2H), 6.85 (d, 2H), 5.89 (s, 1H), 5.45 (s, 1H), 4.13 (m, 2H), 3.97 (t, 2H), 3.48 (s, 2H), 2.51 (m, 2H), 2.10 (m, 2H), 1.25 (t, 3H)
제조예 8: 에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3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2.0 g, 13.23 mmol), 에틸 2-브로모-2-메틸프로판오에이트 (3.88 ml, 26.5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7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1 (d, 2H), 6.79 (d, 2H), 6.03 (s, 1H), 5.54 (s, 1H), 4.22 (m, 2H), 3.46 (s, 2H), 1.56 (s, 6H), 1.24 (t, 3H)
제조예 9: 메틸 2-(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4
단계 1: 다이메틸 2,2'-(1,4-페닐렌)비스(2-메틸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6 (단계 1)에서 얻은 다이메틸 2,2'-(1,4-페닐렌)다이아세테이트 (3.0 g, 13.5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에 녹이고 0℃에서 수소화나트륨 (60 %, 2.16 g, 54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15분간 교반 후 요오드메탄 (3.71 ml, 59.4 mmol)을 천천히 적가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N 염산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9)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8 (s, 4H), 3.66 (s, 6H), 1.57 (s, 12H)
단계 2: 메틸 2-(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다이메틸 2,2'-(1,4-페닐렌)비스(2-메틸프로판오에이트)를 이용하여 제조예 6의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5-7.29 (m, 4H), 5.31-5.38 (brs, 2H), 3.66 (s, 3H), 1.56 (s, 12H)
제조예 10: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5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메틸 4-브로모벤조에이트 (16.4 g, 0.07 mol),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18 g, 0.14 mol), 트리에틸아민 (50 mL, 0.35 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200 ml에 녹이고 질소 버블링을 통해 용존산소를 제거한 후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 (2.5 g, 3.58 mmol)를 첨가하고 7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묽힌 후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3)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56 (d, J = 15.9 Hz, 1H), 7.46 (d, J = 8.7 Hz, 2H), 7.28 (d, J = 7.9 Hz, 2H), 6.34 (d, J = 15.9 Hz, 1H), 3.70 (s, 3H), 3.64 (s, 2H), 1.53 (s, 9H)
단계 2: 메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5.0 g, 18 mmol)을 메탄올 50 ml에 녹이고 팔라튬 착콜 (0.5 g)을 적가한 후 수소풍선을 이용하여 환원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필터한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7 (dd, J = 18.3, 7.9 Hz, 4H), 3.68 (s, 3H), 3.59 (s, 2H), 2.88 (t, J = 7.9 Hz, 2H), 2.52 (t, J = 7.6 Hz, 2H), 1.41 (s, 9H)
단계 3: 3-(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4.67 g, 16.8 mmol)을 20%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디클로로메탄 용액 10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재결정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9.58 (s, 2H), 7.18 (dd, J = 19.0, 7.9 Hz, 4H), 3.70 (s, 3H), 3.61 (s, 2H), 2.95 (t, J = 7.6 Hz, 2H), 2.69 (t, J = 7.9 Hz, 2H)
단계 4: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2.08 g, 9.9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6 (단계 3)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8 (q, J = 7.7 Hz, 4H), 5.41 (s, 2H), 3.66 (d, J = 15.9 Hz, 3H), 3.59 (s, 2H), 3.02-2.87 (2H), 2.51 (t, J = 7.6 Hz, 2H)
제조예 11: 메틸 ( E )-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6
제조예 10 (단계 1)에서 얻은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0.09 g, 0.44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 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 (수율 100%)과 아미드화 반응 (수율 76%)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05 (d, J = 8.4Hz, 2H), 7.68 (d, J = 15.6 Hz,1H), 7.58 (d, J = 8.4 Hz, H), 6.53 (d, J = 15.6 Hz, 1H), 5.5 (brds, 2H), 3.93 (s, 3H)
제조예 12: 메틸 ( E )-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7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tert-뷰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97 g, 27.9 mmol)와 메틸 4-브로모벤조에이트 (3.0 g, 13.95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8%)
1H-NMR (500 MHz, METHANOL-D3) δ8.04 (d, J = 6.7 Hz, 2H), 7.95 (d, J = 7.3 Hz, 2H), 7.58 (s, 1H), 7.42 (dd, J = 20.5, 13.1 Hz, 2H), 7.25 (dd, J = 4.0, 2.8 Hz, 6H), 3.99-3.85 (m, 7H), 3.63 (s, 2H), 2.11-2.01 (m, 3H), 1.47-1.36 (9H)
단계 2: ( E )-3-(4-(메톡시카보닐)페닐)-2-메틸아크릴산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0.72 g, 2.59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07 (d, J = 7.9 Hz, 2H), 7.97 (d, J = 7.9 Hz, 2H), 7.80 (s, 1H), 7.47 (d, J = 7.9 Hz, 2H), 7.28 (d, J = 7.9 Hz, 2H), 7.25 (s, 5H), 7.23 (s, 1H), 6.41 (s, 1H), 5.62 (s, 1H), 3.93 (s, 3H), 3.89 (d, J = 13.4 Hz, 3H), 3.69 (s, 2H), 2.17-2.07 (m, 3H)
단계 3: 메틸 ( E )-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E)-3-(4-(메톡시카보닐)페닐)-2-메틸아크릴산 (0.57 g, 2.59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10-8.02 (2H), 7.98 (d, J = 7.9 Hz, 2H), 7.45 (d, J = 10.4 Hz, 1H), 7.42-7.34 (m, 2H), 7.29 (d, J = 7.9 Hz, 2H), 5.81 (s, 1H), 5.38-5.28 (m, 1H), 3.93 (s, 3H), 3.90 (s, 3H), 3.72 (s, 2H), 2.17 (s, 2H), 2.12 (d, J = 1.2 Hz, 3H), 2.03 (d, J = 10.4 Hz, 0H), 1.26 (t, J = 7.0 Hz, 2H), 0.88 (t, J = 7.0 Hz, 1H)
제조예 13: 메틸 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8
단계 1: 메틸 4-(3-( tert -뷰톡시)-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제조예 12 (단계 1)에서 얻은 메틸 (E)-4-(3-(tert-뷰톡시)-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1.12 g, 4.05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8-7.91 (m, 2H), 7.28-7.25 (m, 2H), 7.24 (s, 1H), 3.91 (d, J = 10.4 Hz, 3H), 3.05-2.95 (m, 1H), 2.72-2.59 (m, 2H), 1.58 (s, 0H), 1.43-1.32 (m, 10H), 1.17 (s, 0H), 1.17-1.10 (3H)
단계 2: 3-(4-(메톡시카보닐)페닐)-2-메틸프로판산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1.08 g, 3.9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5 (q, J = 7.7 Hz, 2H), 7.35-7.22 (m, 2H), 3.99-3.85 (m, 3H), 3.11 (q, J = 6.5 Hz, 1H), 2.87-2.69 (m, 2H), 2.34 (d, J = 15.3 Hz, 1H), 1.32-1.13 (m, 3H)
단계 3: 메틸 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3-(4-(메톡시카보닐)페닐)-2-메틸프로판산 (0.87 g, 3.9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10-8.02 (2H), 7.98 (d, J = 7.9 Hz, 2H), 7.45 (d, J = 10.4 Hz, 1H), 7.42-7.34 (m, 2H), 7.29 (d, J = 7.9 Hz, 2H), 5.81 (s, 1H), 5.38-5.28 (m, 1H), 3.93 (s, 3H), 3.90 (s, 3H), 3.72 (s, 2H), 2.17 (s, 2H), 2.12 (d, J = 1.2 Hz, 3H), 2.03 (d, J = 10.4 Hz, 0H), 1.26 (t, J = 7.0 Hz, 2H), 0.88 (t, J = 7.0 Hz, 1H)
제조예 14: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19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플루오로벤조에이트
메틸 4-브로모-2-플루오로벤조산 (0.34 g, 1.46 mmol)과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0.37 g, 2.92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4 (s, 1H), 7.51 (d, J = 15.9 Hz, 1H), 7.32 (d, J = 7.9 Hz, 1H), 7.26 (t, J = 5.8 Hz, 1H), 6.43 (d, J = 15.9 Hz, 1H), 3.93 (s, 3H), 1.53 (s, 9H)
단계 2: 메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플루오로벤조에이트 (0.23 g, 0.82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85 (t, J = 7.9 Hz, 1H), 7.04 (dd, J = 7.9, 1.2 Hz, 1H), 6.98 (dd, J = 11.6, 1.2 Hz, 1H), 3.91 (s, 3H), 2.93 (t, J = 7.6 Hz, 2H), 2.55 (t, J = 7.3 Hz, 2H), 1.41 (s, 9H)
단계 3: 3-(3-플루오로-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0.23 g, 0.82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8%)
1H-NMR (500 MHz, CHLOROFORM-D): δ10.05 (s, 1H), 7.87 (t, J = 7.9 Hz, 1H), 7.12-7.04 (m, 1H), 7.00 (d, J = 11.6 Hz, 1H), 3.92 (s, 3H), 2.99 (t, J = 7.6 Hz, 2H), 2.72 (t, J = 7.6 Hz, 2H)
단계 4: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3-플루오로-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0.18 g, 0.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5%)
제조예 15: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0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메틸벤조에이트
메틸 4-브로모-2-메틸벤조에이트 (1.0 g, 4.54 mmol)와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1.15 g, 9.0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0 (d, J = 7.9 Hz, 1H), 7.54 (d, J = 15.9 Hz, 1H), 7.42-7.31 (2H), 6.42 (d, J = 15.9 Hz, 1H), 3.89 (s, 3H), 2.60 (s, 3H), 1.53 (s, 9H)
단계 2: 메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메틸벤조에이트 (1.2 g, 4.3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89-7.78 (m, 1H), 7.06 (d, J = 6.1 Hz, 2H), 3.86 (s, 3H), 2.89 (t, J = 7.6 Hz, 2H), 2.57 (s, 3H), 2.52 (d, J = 7.9 Hz, 2H), 1.41 (s, 9H)
단계 3: 3-(4-메톡시카보닐)-3-메틸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1.16 g, 4.17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10.96 (s, 1H), 7.85 (d, J = 8.6 Hz, 1H), 7.08 (s, 2H), 3.88 (s, 3H), 2.95 (t, J = 7.6 Hz, 2H), 2.70 (t, J = 7.6 Hz, 2H), 2.57 (s, 3H)
단계 4: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4-메톡시카보닐)-3-메틸페닐)프로판산 (0.9 g, 4.0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총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84 (t, J = 4.3 Hz, 1H), 7.08 (d, J = 5.5 Hz, 2H), 5.37 (d, J = 22.0 Hz, 2H), 3.86 (s, 3H), 2.96 (t, J = 7.6 Hz, 2H), 2.56 (s, 3H), 2.52 (t, J = 7.6 Hz, 2H)
제조예 16: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톡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1
메틸 4-브로모-2-메톡시벤조에이트 (0.98 g, 4.00 mmol)를 제조예 10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9%)
제조예 17: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클로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2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 4-브로모-2-클로로벤조에이트 (2.0 g, 8.73 mmol)와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2.24 g, 17.5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84 (d, J = 8 Hz, 1H), 7.58 (d, J = 1.2 Hz, 1H), 7.54 (d, J = 13.6 Hz, 1H), 7.42 (d, J = 8 Hz, 1H), 6.43 (d, J = 16 Hz, 1H), 3.94 (s, 3H), 1.54 (s, 9H)
단계 2: 메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2-클로로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클로로벤조에이트 (0.28 g, 0.9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7.78 (d, J = 8 H, 1H), 7.30 (s, 1H), 7.15 (d, J = 8 Hz, 1H), 3.92 (s, 3H), 2.92 (t, J = 8 Hz, 2H), 2.55 (t, J = 8 Hz, 2H), 1.42 (s, 9H)
단계 3: 3-(3-클로로-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2-클로로벤조에이트 (0.25 g, 0.8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7.79 (s, J = 8 Hz, 1H), 7.32 (d, J = 4 Hz, 1H), 7.17 (dd, J = 8 Hz, 4 Hz, 1H), 3.92 (s, 3H), 2.97 (t, J = 8 Hz, 2H), 2.70 (t, J = 8 Hz, 2H)
단계 4: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클로로벤조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3-클로로-4-(메톡시카보닐)페닐)프로판산 (0.20 g, 0.8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7.78 (d, J = 8 Hz, 1H), 7.32 (s, 1H), 7.17 (d, J = 8 Hz, 1H), 3.92 (s, 3H), 2.99 (t, J = 8 Hz, 2H), 2.53 (t, J = 8 Hz, 2H)
제조예 18: 메틸 3-(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3
단계 1: 메틸 ( E )-3-(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메틸 3-포밀벤조에이트 (0.60 g, 3.65 mmol)과 (tert-뷰톡시카르보닐메틸렌)트라이페닐포스포레인 (2.06 g, 5.48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8.27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4)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4%)
단계 2: 메틸 3-(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3-(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0.90 g, 3.4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단계 3: 메틸 3-(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3-(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0.90 g, 3.40 mmol)을 제조예 10의 단계 3과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8%)
제조예 19: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4
단계 1: 메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메틸 2-(4-브로모페닐)아세테이트 (16.4 g, 70.0 mmol)와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18.0 g, 140.0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56 (d, J = 15.9 Hz, 1H), 7.46 (d, J = 8.7 Hz, 2H), 7.28 (d, J = 7.9 Hz, 2H), 6.34 (d, J = 15.9 Hz, 1H), 3.70 (s, 3H), 3.64 (s, 2H), 1.53 (s, 9H)
단계 2: 메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5.0 g, 18.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7 (dd, J = 18.3, 7.9 Hz, 4H), 3.68 (s, 3H), 3.59 (s, 2H), 2.88 (t, J = 7.9 Hz, 2H), 2.52 (t, J = 7.6 Hz, 2H), 1.41 (s, 9H)
단계 3: 3-(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4.67 g, 16.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9.58 (s, 2H), 7.18 (dd, J = 19.0, 7.9 Hz, 4H), 3.70 (s, 3H), 3.61 (s, 2H), 2.95 (t, J = 7.6 Hz, 2H), 2.69 (t, J = 7.9 Hz, 2H)
단계 4: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프로판산 (3.73 g, 16.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8 (q, J = 7.7 Hz, 4H), 5.41 (s, 2H), 3.66 (d, J = 15.9 Hz, 3H), 3.59 (s, 2H), 3.02-2.87 (2H), 2.51 (t, J = 7.6 Hz, 2H)
제조예 20: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5
단계 1: tert -뷰틸 ( E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1.0 g, 3.89 mmol)와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0.98 g, 7.8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56 (dd, J = 15.9, 4.3 Hz, 1H), 7.51-7.42 (2H), 7.41-7.31 (m, 2H), 6.34 (dd, J = 15.9, 4.9 Hz, 1H), 3.66 (d, J = 4.9 Hz, 3H), 1.58 (d, J = 4.9 Hz, 6H), 1.53 (d, J = 4.9 Hz, 9H)
단계 2: 메틸 2-(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E)-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아크릴레이트 (0.93 g, 3.06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3 (s, 2H), 7.15 (d, J = 7.9 Hz, 2H), 3.63 (s, 3H), 2.87 (t, J = 7.9 Hz, 2H), 2.52 (t, J = 7.9 Hz, 2H), 1.55 (s, 6H), 1.40 (s, 9H)
단계 3: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2-(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90 g, 2.92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6 (d, J = 7.3 Hz, 2H), 7.16 (d, J = 7.9 Hz, 2H), 3.66 (s, 3H), 3.03-2.84 (2H), 2.82-2.55 (2H), 1.56 (s, 6H)
단계 4: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산 (0.7 g, 2.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5 (dd, J = 6.4, 2.1 Hz, 2H), 7.17 (d, J = 7.9 Hz, 2H), 5.36 (s, 2H), 3.64 (s, 3H), 3.00-2.90 (2H), 2.52 (t, J = 7.6 Hz, 2H), 1.56 (d, J = 4.3 Hz, 6H)
제조예 21: 메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6
단계 1: 메틸 ( E )-1-(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메틸 1-(4-브로모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1.0 g, 3.92 mmol)와 tert-뷰틸 아크릴레이트 (0.99 g, 7.84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8%)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56 (d, J = 15.9 Hz, 1H), 7.44 (d, J = 7.9 Hz, 2H), 7.33 (d, J = 7.9 Hz, 2H), 6.34 (d, J = 15.9 Hz, 1H), 3.62 (s, 3H), 1.62 (t, J = 3.4 Hz, 2H), 1.52 (s, 9H), 1.19 (t, J = 3.4 Hz, 2H)
단계 2: 메틸 1-(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메틸 (E)-1-(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0.93 g, 3.0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4 (d, J = 8.6 Hz, 2H), 7.13 (d, J = 7.9 Hz, 2H), 3.61 (s, 3H), 2.89 (t, J = 7.9 Hz, 2H), 2.53 (t, J = 7.9 Hz, 2H), 1.57 (q, J = 3.7 Hz, 2H), 1.40 (d, J = 4.9 Hz, 9H), 1.16 (q, J = 3.7 Hz, 2H)
단계 3: 3-(4-(1-(메톡시카보닐)싸이클로프로필)페닐)프로판산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1-(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0.90 g, 2.96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7%)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1 (s, 1H), 7.26 (d, J = 8.6 Hz, 2H), 7.15 (d, J = 7.9 Hz, 2H), 3.64 (s, 3H), 2.95 (t, J = 7.3 Hz, 2H), 2.74 (s, 2H), 1.61 (q, J = 3.5 Hz, 2H), 1.20 (q, J = 3.5 Hz, 2H)
단계 4: 메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3-(4-(1-(메톡시카보닐)싸이클로프로필)페닐)프로판산 (0.7 g, 2.82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8-7.24 (m, 2H), 7.15 (d, J = 8.6 Hz, 2H), 5.41 (s, 2H), 3.61 (t, J = 2.4 Hz, 3H), 2.95 (t, J = 7.6 Hz, 2H), 2.52 (t, J = 7.6 Hz, 2H), 1.58 (q, J = 3.7 Hz, 2H), 1.16 (q, J = 3.5 Hz, 2H)
제조예 22: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7
메틸 4-브로모-2,6-다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1.0 g, 3.98 mmol)를 제조예 10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6.81 (d, J = 9.1 Hz, 2H), 5.35 (s, 2H), 3.92 (s, 3H), 3.02-2.92 (t, 2H), 2.51 (t, J = 7.5 Hz, 2H)
제조예 23: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8
단계 1: 2-(트리메틸실릴)에틸 4-브로모-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질소 존재하에서 4-브로모-2,6-다이클로로벤조산 (300 mg, 1.112 mmol)를 THF 8ml에 녹인 뒤 0℃에서 2-(트리메틸실릴)에탄-1-올 (0.250 mL, 1.667 mmol), 다이아이소프로필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 (0.530 mL, 2.56 mmol), 트리페닐포스핀 (729 mg, 2.78 mmol)을 차례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출발 물질이 사라짐을 TLC로 확인한 후 물로 반응을 종료 시킨 후에 에틸아세테이트(30 mL × 3)로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매를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10)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7%)
1H NMR (300MHz, CHLOROFORM-D): δ 7.52 (s, 2H), 4.52-4.46 (m, 2H), 1.20-1.14 (m, 2H), 0.10 (s, 9H)
단계 2: 2-(트리메틸실릴)에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4-브로모-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205 mg, 0.55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MHz, CHLOROFORM-D): δ 7.45 (s, 2H), 7.44 (d, J = 15.9 Hz, 1H), 6.41 (d, J = 15.9 Hz, 1H), 4.53-4.47 (m, 2H), 1.55 (s, 9H) 1.21-1.15 (m, 2H), 0.10 (s, 9H)
단계 3: 2-(트리메틸실릴)에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150 mg, 0.45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7.19 (s, 2H), 3.98 (s, 3H), 2.87 (t, J = 7.5 Hz, 2H), 2.54 (t, J = 7.5 Hz, 2H), 1.44 (s, 9H)
단계 4: 3-(3,5-다이클로로-4-((2-(트리메틸실릴)에틸)카보닐)페닐)프로판산
단계 3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141 mg, 0.42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단계 5: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
단계 4에서 수득한 3-(3,5-다이클로로-4-((2-(트리메틸실릴)에틸)카보닐)페닐)프로판산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제조예 24: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29
단계 1: 2-(트리메틸실릴)에틸 4-브로모-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4-브로모-2,6-다이메틸벤조산 (2.0 g, 8.7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23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9 (s, 2H), 4.40 (t, J = 8.9 Hz, 2H), 2.29 (s, 6H), 1.11 (t, J = 8.9 Hz, 2H), 0.07 (d, J = 3.1 Hz, 9H)
단계 2: 2-(트리메틸실릴)에틸 ( E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4-브로모-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1.99 g, 6.0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49 (d, J = 15.9 Hz, 1H), 7.17-7.10 (2H), 6.35 (d, J = 15.9 Hz, 1H), 4.41 (t, J = 8.9 Hz, 2H), 2.30 (s, 6H), 1.52 (s, 9H), 1.16-1.07 (m, 2H), 0.07 (d, J = 2.4 Hz, 9H)
단계 3: 2-(트리메틸실릴)에틸 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E)-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1.13 g, 3.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6.85 (s, 2H), 4.39 (t, J = 8.9 Hz, 2H), 2.81 (d, J = 7.9 Hz, 2H), 2.49 (t, J = 7.9 Hz, 2H), 2.29 (s, 6H), 1.45-1.39 (9H), 1.16-1.07 (m, 2H), 0.06 (s, 9H)
단계 4: 3-(3,5-다이메틸-4-((2-(트리메틸실릴)에틸)카보닐)페닐)프로판산
단계 3에서 수득한 2-(트리메틸실릴)에틸 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0.78 g, 2.06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3)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0%)
단계 5: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단계 4에서 수득한 3-(3,5-다이메틸-4-((2-(트리메틸실릴)에틸)카보닐)페닐)프로판산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8%)
제조예 25: 에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0
단계 1: 에틸 1-(4-포밀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4-플루오로벤즈알데하이드 (0.864 mL 8.06 mmol), 에틸 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1.490 mL, 9.67 mmol), 포타슘카보네이트 (5.57 g, 40.3 mmol)을 DMF (16.11 mL)에 녹인다. 온도를 100℃로 올리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액에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4)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δ9.72 (d, J = 3.1 Hz, 1H), 7.70 (m, 2H), 6.97-6.78 (m, 2H), 4.12 (m, 2H), 3.91-3.72 (m, 2H), 3.10-2.88 (m, 2H), 2.61-2.43 (m, 1H), 2.08-1.89 (m, 2H), 1.87-1.69 (m, 2H), 1.23 (m, 3H)
단계 2: 에틸 ( E )-1-(4-(3-( tert -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에틸 1-(4-포밀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52 g, 1.990 mmol)과 (tert-뷰톡시카르보닐메틸렌)트라이페닐포스포렌 (0.974 g, 2.59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9.95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4)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50 (d, J = 15.9 Hz, 1H), 7.39 (d, J = 8.6 Hz, 2H), 6.86 (d, J = 8.6 Hz, 2H), 6.19 (d, J = 15.9 Hz, 1H), 4.15 (q, J = 7.1 Hz, 2H), 3.74 (m, 2H), 2.98-2.80 (m, 2H), 2.55-2.37 (m, 1H), 2.11-1.94 (m, 2H), 1.94-1.74 (m, 2H), 1.51 (s, 9H), 1.26 (t, J = 7.0 Hz, 3H)
단계 3: 에틸 1-(4-(3-( tert -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에틸 (E)-1-(4-(3-(tert-뷰톡시)-3-옥소프롭-1-엔-1-일)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60 g, 1.669 mmol)을 제조예 10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환원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단계 4: 에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에틸 1-(4-(3-(tert-뷰톡시)-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60 g, 1.660 mmol)을 제조예 10의 단계 3과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9%)
제조예 26: 에틸 1-(4-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1
tert-뷰틸 3,4,5-트라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0 g, 2.15 mmol)와 에틸 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398 ml, 2.58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25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3,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3 (m, 2H), 5.78 (s, 2H), 4.19 (m, 2H), 3.42 (d, 2H), 3.17 (t, 2H), 2.50 (m, 1H), 2.00-1.82 (m, 4H), 1.29 (t, 3H)
제조예 27: 에틸 2-(1-(4-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2
tert-뷰틸 3,4,5-트라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0 g, 2.15 mmol)와 에틸 2-(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 (0.44 g, 2.58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26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7 (m, 2H), 5.67 (s, 2H), 4.18 (m, 2H), 3.38 (d, 2H), 3.17 (t, 2H), 2.30 (d, 2H), 1.97 (m, 1H), 1.79 (d, 2H), 1.45 (m, 2H), 1.29 (t, 3H)
제조예 28: 에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3
4-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 (1.0 g, 8.19 mmol)와 에틸 2-브로모-2-메틸프로판오에이트 (2.404 ml, 16.38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25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07 (d, 2H), 6.77 (d, 2H), 5.29 (s, 2H), 4.25 (m, 2H), 2.91 (t, 2H), 2.50 (t, 2H), 1.59 (s, 6H), 1.26 (t, 3H)
제조예 29: 에틸 3-(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4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0.5 g, 2.70 mmol)와 (카브에톡시메틸렌)트라이페닐포스포레인 (1.224 g, 3.5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18의 단계 1과 제조예 10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4 (m, 4H), 5.36 (s, 2H), 4.12 (m, 2H), 2.93 (m, 4H), 2.60 (t, 2H), 2.52 (t, 2H), 1.25 (t, 3H)
제조예 30: 에틸 4-(4-카바모일페녹시)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5
벤질 4-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 g, 2.172 mmol), 에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361 g, 2.172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25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2, 제조예 6의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06 (d, 2H), 7.84 (d, 2H), 7.08 (m, 4H), 6.03 (s, 1H), 5.63 (s, 1H), 4.38 (m, 2H), 1.40 (t, 3H)
제조예 31: 메틸 ( R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6
단계 1: tert -뷰틸 2-(4-(( R )-3-(( S )-4-벤질-2-옥소옥사졸리딘-3-일)-2-메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S)-4-벤질-3-프로피오닐옥사졸리딘-2-온 (1.363 g, 5.84 mmol)을 무수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이고 온도를 -78℃로 낮추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소듐 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마이드 (3.38 ml, 6.43 mmol, 1.0 M in THF)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뒤에 tert-뷰틸 2-(4-(브로모메틸)페닐)아세테이트 (2 g, 7.01 mmol)를 적가하였다. 같은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한 뒤에,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고 포화된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넣어 반응을 종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2)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7 (d, J = 7.9 Hz, 2H), 7.10 (d, J = 7.9 Hz, 2H), 3.63 (s, 3H), 3.48 (s, 2H), 3.00 (q, J = 6.7 Hz, 1H), 2.77-2.67 (m, 1H), 2.66-2.58 (m, 1H), 1.42 (s, 9H), 1.13 (d, J = 7.3 Hz, 3H)
단계 2: 메틸 ( R )-3-(4-(2-( tert -뷰톡시)-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2-(4-((R)-3-((S)-4-벤질-2-옥소옥사졸리딘-3-일)-2-메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2.4 g, 5.49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1 mL) 물(7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하이드로젠 퍼록사이드 (3.36 ml, 54.9 mmol)와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0.921 g, 21.94 m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한다. 반응 용액은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1N 염산으로 반응을 종결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정제되지 않은 화합물을 다이에틸 에테르 (28 mL)에 녹이고, 온도를 0℃로 낮추었다. 용액의 색이 노랗게 될 때까지 다이아조메테인 (0.5 M in 다이에틸 에테르)을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은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4)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1%)
단계 3: 메틸 ( R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메틸 (R)-3-(4-(2-(tert-뷰톡시)-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5 g, 1.71 mmol)을 제조예 10의 단계 3,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6 (m, 4H), 5.35 (s, 2H), 3.62 (s, 3H), 3.54 (s, 2H), 3.00 (m, 1H), 2.68 (m, 2H), 1.14 (d, J = 6.9 Hz, 3H)
제조예 32: 메틸 (S)-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7
(R)-4-벤질-3-프로피오닐옥사졸리딘-2-온 (0.744 g, 3.19 mmol)와 tert-뷰틸 2-(4-(브로모메틸)페닐)아세테이트 (1.00 g, 3.51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31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6 (m, 4H), 5.38 (s, 2H), 3.62 (s, 3H), 3.54 (s, 2H), 3.00 (m, 1H), 2.68 (m, 2H), 1.13 (t, J = 7.5 Hz, 3H)
제조예 33: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8
단계 1: 2-(4-(3-메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1.867 ml, 13.10 mmol)을 무수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 넣고 -78℃에서 2.5 M n-뷰틸리튬 (5.24 ml, 13.10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은 같은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고 10분 동안 교반한 뒤에 다시 -78℃로 낮추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은 무수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용해되어 있는 메틸 아이소뷰티레이트 (1.501 ml, 13.10 mmol)에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은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무수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mL)에 용해되어 있는 2-(4-(브로모메틸)페닐)아세트 산 (1 g, 4.37 mmol)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상온으로 온도를 올리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에 1N 염산 수용액 (10 mL)을 가해 반응을 종결하였고, 다이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메탄올 : 다이클로로메테인 = 1 : 9)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7 (d, J = 7.9 Hz, 2H), 7.06 (d, J = 7.9 Hz, 2H), 3.65 (s, 3H), 3.61 (s, 2H), 2.83 (s, 2H), 1.17 (s, 6H)
단계 2: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2-(4-(3-메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0.90 g, 3.6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7%)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17 (d, 2H), 7.09 (d, 2H), 5.36 (s, 2H), 3.66 (s, 3H), 3.55 (s, 2H), 2.84 (s, 2H), 1.17 (s, 6H)
제조예 34: 에틸 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39
에틸 4-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24 ml, 3.57 mmol)과 벤질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염산염 (1.10 g, 4.28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5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2, 제조예 6의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7 (d, 2H), 6.92 (d, 2H), 5.51 (s, 1H), 5.41 (s, 1H), 4.40 (m, 2H), 3.96 (d, 2H), 2.98 (m, 2H), 2.46 (m, 1H), 2.05 (m, 2H), 1.94 (m, 2H), 1.43 (t, 3H)
제조예 35: 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0
단계 1: 에틸 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에틸 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980 mL, 6.3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2.176 g, 6.68 mmol), 2-클로로-5-에틸피리미딘 (0.796 mL, 6.55 mmol)을 DMF (6.36 mL)에 녹이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되면 반응액에 물을 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감압 농축한 다음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4)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16 (s, 2H), 4.61 (m, 2H), 4.14 (q, J = 7.1 Hz, 2H), 3.09-2.91 (m, 2H), 2.62-2.51 (m, 1H), 2.45 (q, J = 7.5 Hz, 2H), 1.96 (m, 2H), 1.80-1.63 (m, 2H), 1.25 (t, J = 7.3 Hz, 3H), 1.18 (t, J = 7.6 Hz, 3H)
단계 2: 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단계 1에서 수득한 에틸 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56 g, 2.127 mmol)를 제조예 6의 단계 2과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4 %)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16 (s, 2H), 5.49 (s, 2H), 4.76 (m, 2H), 2.94 (m, 2H), 2.48 (m, 3H), 1.96 (m, 2H), 1.70 (m, 2H), 1.19 (t, 3H)
제조예 36: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1
단계 1: 메틸 2-(4-(브로모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메틸 2-메틸-2-(p-톨릴)프로판오에이트를 DCE (55.3 ml)에 녹여서 N-브로모숙신이마이드 (4.63 g, 26.0 mmol)와 아조비스아이소뷰티로나이트릴 (0.085 g, 0.520 mmol)을 첨가하였다. 80℃에서 2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EA로 희석시킨 후에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 용매를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수율 56.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7-7.27 (m, 4H), 4.47 (s, 2H), 3.65 (d, J = 4.6 Hz, 3H), 1.56 (d, J = 3.2 Hz, 6H)
단계 2: 메틸 2-(4-사이아노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제조한 메틸 2-(4-(브로모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100 mg, 0.369 mmol)를 DMF (5 ml)에 녹여서 사이안화 칼륨 (36.0 mg, 0.553 mmol)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다이에틸 에테르로 희석시켜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 용매를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4 (d, J = 8.7 Hz, 2H), 7.28 (d, J = 8.2 Hz, 2H), 3.71 (s, 2H), 3.64 (s, 3H), 1.54 (d, J = 15.6 Hz, 6H)
단계 3: 메틸 2-(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2에서 제조한 메틸 2-(4-사이아노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1.46 g, 6.72 mmol) 을 메탄올 (8.4 ml)에 녹여서 4N HCl 용액 (8.40 ml, 33.6 mmol)을 첨가하였다.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시킨 후에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 용매를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2.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8 (d, J = 8.2 Hz, 2H), 7.23 (d, J = 8.2 Hz, 2H), 3.68 (s, 3H), 3.64 (s, 3H), 3.59 (s, 2H), 1.57 (s, 6H)
단계 4: 2-(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페인-2-일)페닐)아세트산
단계 3에서 제조한 메틸 2-(4-(2-메톡시-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27 mg, 0.108 mmol)를 THF (1 ml)와 메탄올 (1 ml)에 녹여서 물 (0.5 ml)에 녹인 수산화리튬 (2.58 mg, 0.108 mmol)을 첨가하였다. 상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EA로 희석시킨 후에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 용매를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0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6-7.19 (m, 7H), 3.75-3.57 (m, 6H), 1.69-1.50 (m, 6H)
단계 5: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4에서 제조한 2-(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페인-2-일)페닐)아세트 산 (26 mg, 0.110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1 (d, J = 8.2 Hz, 2H), 7.22 (d, J = 8.2 Hz, 2H), 5.47 (d, J = 59.9 Hz, 1H), 3.64 (s, 3H), 3.55 (s, 2H), 1.56 (t, J = 14.6 Hz, 6H)
제조예 37: 메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2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산 (1.00 g, 4.11 mmol)을 DCM (21 mL)에 녹이고, 옥살릴 클로라이드 (0.94 g, 7.40 mmol)을 넣고 DMF를 5 방울 넣어주었다. 반응 혼합물은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농축물을 THF (21 mL)에 녹이고 온도를 0℃로 낮추고 포타슘 tert-뷰톡사이드 (0.55 g, 4.94 mmol)을 넣어주었다.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을 가한 뒤에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물과 소금물로 씻어 준 뒤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층을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tert-뷰틸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를 얻었다. 이어서 제조예 10과 유사한 방법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7-7.29 (m, 2H), 7.18 (d, J = 8.2 Hz, 2H), 5.97 (s, 1H), 5.24 (s, 1H), 3.67 (d, J = 1.4 Hz, 3H), 2.94 (t, J = 7.5 Hz, 2H), 2.63 (t, J = 7.8 Hz, 2H), 1.66-1.44 (m, 6H)
제조예 38: 에틸 3-(4-(3-카바모일아제티딘-1-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3
단계 1: 벤질 1-(4-폼일페닐)아제티딘-3-카복실레이트
1-(4-폼일페닐)아제티딘-3-카복실산 (1.50 g, 7.31 mmol), 포타슘카보네이트 (1.11 g, 8.04 mmol), 벤질 브로마이드 (1.25 g, 7.31 mmol)을 DMF (7.3 mL)에 넣고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한 뒤에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물과 소금물로 씻어 준 뒤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층을 건조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6%)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9.74 (s, 1H), 7.72 (d, J = 8.7 Hz, 2H), 7.45-7.29 (m, 5H), 6.42 (d, J = 8.7 Hz, 2H), 5.20 (s, 2H), 4.26-4.13 (m, 4H), 3.70-3.59 (m, 1H)
단계 2: 1-(4-(3-에톡시-3-옥소프로필)페닐)아제티딘-3-카복실산
단계 1에서 얻은 벤질 1-(4-폼일페닐)아제티딘-3-카복실레이트 (1.20 g, 4.06 mmol)을 제조예 25의 단계 2와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52%)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07 (d, J = 8.2 Hz, 2H), 6.43 (d, J = 8.2 Hz, 2H), 4.18-3.97 (m, 6H), 3.59 (dd, J = 14.4, 6.2 Hz, 1H), 2.86 (t, J = 7.8 Hz, 2H), 2.56 (t, J = 7.8 Hz, 2H), 1.30-1.16 (m, 3H)
단계 3: 에틸 3-(4-(3-(클로로카보닐)아제틴-1-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단계 2에서 합성한 1-(4-(3-에톡시-3-옥소프로필)페닐)아제티딘-3-카복실산 (590 mg, 2.13 mmol)을 다이클로로메테인에 녹인 후 0℃로 내리고 옥살릴 클로라이드 (0.37 ml, 4.26 mmol)을 적가하고 상온으로 서서히 올려주었다. 반응 종결 후 감압 농축하여 추가적인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수율 99%)
m/z (M+H)+ calculated for C15H19ClNO3: 296, found 296
단계 4: 에틸 3-(4-(3-카바모일아제티딘-1-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에틸 3-(4-(3-(클로로카보닐)아제틴-1-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629 mg, 2.127 mmol)을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08-6.90 (m, 2H), 6.57 (dd, J = 23.8, 15.6 Hz, 2H), 6.09 (s, NH), 5.59 (s, NH), 4.10 (q, J = 7.0 Hz, 3H), 3.87-3.54 (m, 2H), 3.50-3.32 (m, 2H), 3.02-2.86 (m, 1H), 2.82 (t, J = 7.8 Hz, 2H), 2.72-2.43 (m, 2H), 1.22 (t, J = 7.1 Hz, 3H)
제조예 39: 메틸 2-(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4
단계 1: 1-(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실산
피페리딘-4-카복실산 (50 mg, 0.387 mmol)과 메틸 2-클로로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80 mg, 0.465 mmol)를 DMF에 녹이고 TEA (108 μl, 0.774 mmol)을 넣어준 후 80℃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TLC를 통해 반응이 완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출과정을 통해 DMF를 제거하고 중화시켜 유기층을 얻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메틸렌클로라이드:메탄올 = 10:1)로 정제하여 1-(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실산 (40 mg, 0.151 mmol, 수율 39%)를 얻었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8.77 (d, J = 2.3 Hz, 2H), 4.71 (d, J = 13.7 Hz, 2H), 3.83 (d, J = 2.3 Hz, 3H), 3.22-3.04 (m, 2H), 2.61 (s, 1H), 2.09-1.88 (m, 2H), 1.75-1.49 (m, 2H)
단계 2: 메틸 2-(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1-(5-(메톡시카보닐)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실산 (42.8 mg, 0.151 mmol)을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0 (s, 2H), 8.41 (s, 1H), 4.81-4.70 (m, 2H), 4.68 (s, 1H), 3.86-3.75 (m, 3H), 3.24-3.13 (m, 1H), 2.65 (tt, J = 10.7, 3.9 Hz, 1H), 2.12-1.84 (m, 5H), 1.86-1.61 (m, 3H)
제조예 40: tert -뷰틸 2-(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5
Tert-뷰틸 2-(4-브로모페닐)아세테이트 (0.3 g, 1.106 mmol)와 에틸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0.209 g, 1.328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2의 단계 1,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에서와 유사한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3단계 수율 20.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3 (d, J = 8.7 Hz, 2H), 6.90-6.83 (2H), 5.60 (d, J = 16.9 Hz, 2H), 3.68 (d, J = 12.3 Hz, 2H), 3.42 (s, 2H), 2.70 (td, J = 12.1, 2.4 Hz, 2H), 2.32-2.20 (m, 1H), 1.96 (d, J = 11.0 Hz, 2H), 1.84 (qd, J = 12.2, 3.7 Hz, 2H), 1.43 (d, J = 10.5 Hz, 9H)
제조예 41: 메틸 2-(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6
메틸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20 g, 0.78 mmol)과 tert-뷰틸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0.17 g, 0.93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2와 제조예 6의 단계 3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3-7.13 (m, 2H), 6.91-6.80 (m, 2H), 5.54 (s, 2H), 3.70 (d, J = 12.3 Hz, 2H), 3.63 (d, J = 7.8 Hz, 3H), 2.72 (td, J = 12.1, 2.3 Hz, 2H), 2.27 (qd, J = 7.8, 4.0 Hz, 1H), 1.97 (d, J = 10.5 Hz, 2H), 1.84 (qd, J = 12.2, 3.9 Hz, 2H), 1.54 (d, J = 7.3 Hz, 6H)
제조예 42: 메틸 2-(6-(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7
메틸 2-(6-클로로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오에이트 (2.05 g, 9.59 mmol)과 tert-뷰틸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2.13 g, 11.51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41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15 (t, J = 2.1 Hz, 1H), 7.44 (dt, J = 9.0, 2.4 Hz, 1H), 6.61 (dd, J = 8.9, 1.6 Hz, 1H), 5.58 (s, 2H), 4.30 (d, J = 12.8 Hz, 2H), 3.62 (d, J = 2.3 Hz, 3H), 2.95-2.76 (m, 2H), 2.45-2.28 (m, 1H), 2.00-1.88 (2H), 1.80-1.63 (m, 2H), 1.53 (d, J = 1.8 Hz, 6H)
제조예 43: 에틸 2-(5-(4-카바모일피페리딘-1-일)-2 H -테트라졸-2-일)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8
단계 1: 4-벤질 1-( tert -뷰틸)-피페리딘-1,4-다이카복실레이트
1-(tert-뷰톡시카보닐)피페리딘-4-카복실산 (4.37 g, 19.06 mmol)를 아세톤에 녹이고 벤질 브로마이드 (2.72 ml, 22.87 mmol)와 포타슘 카보네이트 (6.32 g, 45.7 mmol)를 넣고 2 시간 동안 환류냉각기를 연결하고 가열해준다. 반응 종결 후 상온으로 식힌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4-벤질 1-(tert-뷰틸)-피페리딘-1,4-다이카복실레이트 (6.09 g, 19.07 mmol, 수율 99%)를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5-7.27 (m, 6H), 5.12 (s, 2H), 4.07-3.91 (2H), 2.91-2.71 (2H), 2.56-2.39 (m, 1H), 1.88 (d, J = 10.5 Hz, 2H), 1.71-1.56 (m, 2H), 1.44 (t, J = 15.1 Hz, 9H)
단계 2: 벤질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4-벤질 1-(tert-뷰틸)-피페리딘-1,4-다이카복실레이트 (6.09 g, 19.07 mmol)를 제조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8%)
1H-NMR (400 MHz, METHANOL-D4) δ7.40-7.20 (m, 5H), 5.09 (s, 2H), 2.98 (td, J = 8.5, 4.1 Hz, 2H), 2.58 (td, J = 12.1, 2.7 Hz, 2H), 2.50 (qd, J = 7.5, 3.5 Hz, 1H), 1.86 (dd, J = 13.7, 3.2 Hz, 2H), 1.70-1.47 (m, 2H)
단계 3: 벤질 1-사이아노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벤질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1.9934 g, 9.09 mmol)를 아세토나이트릴에 녹이고 DIPEA (4.76 ml, 27.3 mmol)와 사이아노 브로마이드 (0.573 ml, 10.91 mmol)를 넣어주고 상온에서 2 시간 교반해 주었다. 반응 종결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벤질 1-사이아노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2.1838 g, 8.94 mmol, 수율 98%)를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5-7.27 (m, 5H), 5.20-5.05 (2H), 3.41 (td, J = 8.5, 4.3 Hz, 2H), 3.15-2.95 (m, 2H), 2.57-2.37 (m, 1H), 1.98 (dd, J = 14.2, 3.7 Hz, 2H), 1.92-1.73 (2H)
단계 4: 벤질 1-(2 H -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3에서 수득한 벤질 1-사이아노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2.1838 g, 8.94 mmol)을 DMF에 녹이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0.717 g, 13.41 mmol)와 소디움 아자이드 (0.872 g, 13.41 mmol)를 넣고 100℃에서 6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벤질 1-(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2.57 g, 8.94 mmol, 수율 99%)를 얻었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7.95 (s, 1H), 7.31 (dt, J = 12.3, 4.3 Hz, 5H), 5.12 (s, 2H), 3.78 (dt, J = 13.3, 3.9 Hz, 2H), 3.32 (s, 1H), 3.21-3.05 (m, 2H), 2.97 (s, 2H), 2.83 (s, 2H), 2.76-2.56 (m, 1H), 2.00 (dd, J = 13.5, 3.4 Hz, 2H), 1.74 (ddd, J = 24.6, 11.3, 4.0 Hz, 2H)
단계 5: 벤질 1-(2-(2-에톡시-2-옥소에틸)-2 H -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단계 4에서 합성한 벤질 1-(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1.465 g, 5.10 mmol)를 DMF에 녹이고 포타슘 카보네이트 (1.409 g, 10.20 mmol)와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1.277 g, 7.65 mmol)를 넣고 상온에서 12 시간 교반해주었다. 반응 종결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벤질 1-(2-(2-에톡시-2-옥소에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1.8039 g, 4.83 mmol, 수율 95%)를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4-7.27 (m, 5H), 5.17 (s, 2H), 5.13 (s, 2H), 4.31-4.19 (m, 2H), 4.03 (td, J = 8.5, 4.6 Hz, 2H), 3.13-2.93 (m, 2H), 2.55 (tt, J = 11.1, 3.8 Hz, 1H), 1.99 (d, J = 1.8 Hz, 2H), 1.81 (ddd, J = 24.8, 11.1, 4.2 Hz, 2H), 1.32-1.26 (m, 3H)
단계 6: 1-(2-(2-에톡시-2-옥소에틸)-2 H -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산
단계 5에서 얻은 벤질 1-(2-(2-에톡시-2-옥소에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1.8039 g, 4.83 mmol)를 제조예 10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
1H-NMR (400 MHz, METHANOL-D4) δ5.35 (s, 2H), 4.23 (q, J = 7.2 Hz, 2H), 3.96 (dt, J = 13.0, 3.5 Hz, 2H), 3.14-2.93 (m, 2H), 2.61-2.42 (m, 1H), 1.96 (dd, J = 13.7, 3.2 Hz, 2H), 1.71 (ddd, J = 24.7, 11.4, 4.1 Hz, 2H), 1.34-1.21 (m, 3H)
단계 7: 에틸 2-(5-(4-카바모일피페리딘-1-일)-2 H -테트라졸-2-일)아세테이트
단계 6에서 얻은 1-(2-(2-에톡시-2-옥소에틸)-2H-테트라졸-5-일)피페리딘-4-카복실산 (1.085 g, 4.83 mmol)를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3%)
1H-NMR (400 MHz, METHANOL-D4) δ5.35 (s, 2H), 4.32-4.16 (2H), 4.05 (d, J = 12.8 Hz, 2H), 3.32 (d, J = 6.9 Hz, 1H), 2.96 (td, J = 12.6, 2.7 Hz, 2H), 2.50-2.34 (2H), 1.84 (d, J = 12.3 Hz, 2H), 1.74 (td, J = 12.1, 4.4 Hz, 2H), 1.26 (t, J = 7.3 Hz, 3H)
제조예 44: 에틸 2-(4-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49
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300 mg, 2.341 mmol)와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311 μl, 2.81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43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합성하였다. (수율 36%)
1H-NMR (MeOD) δ4.19 (q, J = 7.1 Hz, 2H), 3.24 (s, 2H), 3.00 (d, J = 11.3 Hz, 2H), 2.35-2.16 (m, 3H), 1.88-1.72 (m, 4H), 1.28 (t, J = 7.0 Hz, 3H)
제조예 45: 에틸 1-(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0
에틸 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0.13 g, 0.80 mmol)과 tert-뷰틸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2 g, 0.67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41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7-7.15 (m, 2H), 6.95-6.75 (m, 2H), 5.88 (s, 1H), 5.24 (s, 1H), 4.19-4.06 (2H), 3.60 (dt, J = 12.3, 3.4 Hz, 2H), 2.83-2.66 (m, 2H), 2.46-2.32 (m, 1H), 1.98 (dd, J = 13.3, 2.7 Hz, 2H), 1.92-1.74 (m, 2H), 1.51 (s, 6H), 1.24 (t, J = 7.1 Hz, 3H)
제조예 46: 메틸 6-(3-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1
단계 1: 3-벤질 1-( tert -뷰틸) 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1-(tert-뷰톡시카보닐)피롤리딘-3-카복실산 (1.22 g, 5.67 mmol)를 DMF에 녹이고 벤질 브로마이드 (0.808 ml, 6.80 mmol)와 세슘 카보네이트 (2.216 g, 6.80 mmol)를 넣고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종결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3-벤질 1-(tert-뷰틸) 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1.7 g, 5.57 mmol, 수율 98%)를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4 (s, 5H), 5.12 (d, J = 11.0 Hz, 2H), 3.57 (s, 2H), 3.33 (s, 1H), 3.08 (s, 1H), 2.12 (s, 2H), 1.43 (d, J = 11.0 Hz, 9H)
단계 2: 벤질 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얻은 3-벤질 1-(tert-뷰틸) 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1.7 g, 5.57 mmol)를 제조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4-7.26 (m, 14H), 7.10 (dd, J = 7.5, 1.6 Hz, 6H), 5.12 (s, 2H), 4.11 (q, J = 7.2 Hz, 3H), 4.00 (td, J = 8.5, 4.6 Hz, 2H), 3.07-2.87 (m, 2H), 2.61-2.42 (m, 1H), 1.97 (dd, J = 13.5, 3.9 Hz, 2H), 1.90-1.67 (m, 2H)
단계 3: 메틸 6-(3-((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단계 2에서 얻은 벤질 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 (1.277 g, 6.22 mmol)를 제조예 2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6%)
1H-NMR (CHLOROFORM-D) δ8.82 (d, J = 2.4 Hz, 1H), 8.02 (dd, J = 9.0, 2.3 Hz, 1H), 7.44-7.30 (m, 5H), 6.35 (d, J = 8.8 Hz, 1H), 5.18 (dd, J = 16.0, 12.4 Hz, 2H), 3.88 (s, 3H), 3.87-3.75 (2H), 3.76-3.63 (1H), 3.63-3.48 (1H), 3.29 (t, J = 7.3 Hz, 1H), 2.43-2.28 (m, 2H)
단계 4: 1-(5-(메톡시카보닐)피리딘-2-일)피롤리딘-3-카복실산
단계 3에서 얻은 메틸 6-(3-((벤질옥시)카보닐)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524 mg, 1.539 mmol)를 제조예 10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MeOD) δ8.68 (d, J = 2.1 Hz, 1H), 8.03 (dd, J = 9.0, 2.3 Hz, 1H), 6.55 (d, J = 9.2 Hz, 1H), 3.87 (s, 3H), 3.77 (t, J = 5.0 Hz, 3H), 3.71-3.51 (m, 3H), 3.28 (t, J = 7.2 Hz, 1H), 2.42-2.25 (m, 2H)
단계 5: 메틸 6-(3-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단계 4에서 얻은 1-(5-(메톡시카보닐)피리딘-2-일)피롤리딘-3-카복실산 (423 mg, 1.690 mmol)을 DMF에 녹이고 온도를 0℃로 내린 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380 mg, 7.10 mmol), DIPEA (886 μl, 5.07 mmol)와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337 mg, 2.197 mmol)를 넣어주었다. 반응 용액에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마이드 (389 mg, 2.028 mmol)를 천천히 소분하여 넣어준 후 반응 온도를 상온으로 올리고 12 시간 교반해 주었다. 반응 종결 후 물을 넣어주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메틸 6-(3-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213 mg, 0.854 mmol, 수율 51%)를 얻었다.
1H-NMR (400 MHz, METHANOL-D4) δ8.66-8.61 (1H), 8.02-7.96 (1H), 6.54-6.46 (1H), 3.85-3.80 (4H), 3.79-3.71 (1H), 3.69-3.56 (2H), 3.55-3.42 (1H), 3.23-3.06 (1H), 2.37-2.07 (3H)
제조예 47: tert -뷰틸 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2
단계 1: 3-벤질 1-( tert -뷰틸) ( R )-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R)-1-(tert-뷰톡시카보닐)피롤리딘-3-카복실산 (518 mg, 2.407 mmol)를 제조예 43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4-7.26 (m, 5H), 5.13 (s, 2H), 3.66-3.39 (m, 2H), 3.33 (s, 1H), 3.07 (d, J = 7.3 Hz, 1H), 2.13 (t, J = 7.1 Hz, 2H), 1.50-1.33 (9H)
단계 2: 3-벤질 1-( tert -뷰틸) 3-메틸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얻은 3-벤질 1-(tert-뷰틸) (R)-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684 mg, 2.240 mmol)를 무수의 THF에 녹이고 아이오도메테인 (0.42 ml, 6.72 mmol)을 넣고 반응 용액을 -78℃로 낮춘 후 리튬 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마이드 (6.72 ml, 6.72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TLC 확인 후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으로 반응을 종결 시키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물기를 제거하고 감압 증류를 통해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3-벤질 1-(tert-뷰틸) 3-메틸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594 mg, 2.240 mmol, 수율 83%)를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3 (dd, J = 13.3, 5.5 Hz, 5H), 5.13 (s, 2H), 3.78 (dd, J = 16.0, 11.0 Hz, 1H), 3.40 (td, J = 13.6, 6.7 Hz, 2H), 3.19 (dd, J = 33.6, 11.2 Hz, 1H), 2.32 (q, J = 5.9 Hz, 1H), 1.86-1.66 (m, 1H), 1.43 (s, 9H), 1.29 (d, J = 36.1 Hz, 3H)
단계 3: 1-( tert -뷰톡시카보닐)-3-메틸피롤리딘-3-카복실산
단계 2에서 얻은 3-벤질 1-(tert-뷰틸) 3-메틸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80 mg, 0.250 mmol)를 제조예 10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400 MHz, METHANOL-D4) δ3.75 (d, J = 11.0 Hz, 1H), 3.47-3.31 (m, 2H), 3.09 (d, J = 11.0 Hz, 1H), 2.38-2.21 (m, 1H), 1.77 (dd, J = 12.8, 5.5 Hz, 1H), 1.43 (s, 9H), 1.30 (s, 3H)
단계 4: tert -뷰틸 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단계 3에서 얻은 1-(tert-뷰톡시카보닐)-3-메틸피롤리딘-3-카복실산 (60 mg, 0.262 mmol)를 제조예 46의 단계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2%)
1H-NMR (CHLOROFORM-D) δ5.87-5.28 (2H), 3.81-3.61 (m, 1H), 3.50 (d, J = 36.0 Hz, 2H), 3.23 (s, 1H), 2.28 (s, 1H), 1.79 (dd, J = 12.5, 7.0 Hz, 1H), 1.46 (d, J = 12.5 Hz, 10H), 1.36 (d, J = 13.7 Hz, 3H)
제조예 48: 메틸 6-(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3
단계 1: 벤질 3-메틸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
제조예 47의 단계 2에서 얻은 3-벤질 1-(tert-뷰틸) 3-메틸피롤리딘-1,3-다이카복실레이트 (510 mg, 1.597 mmol)를 제조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400 MHz, METHANOL-D4) δ7.44-7.25 (m, 5H), 5.28-5.11 (m, 2H), 3.76 (d, J = 11.9 Hz, 1H), 3.40 (ddd, J = 12.6, 7.5, 4.3 Hz, 1H), 3.27-3.17 (m, 1H), 3.05 (d, J = 11.9 Hz, 1H), 2.53-2.34 (m, 1H), 2.07-1.87 (m, 1H), 1.41 (s, 3H)
단계 2: 메틸 6-(3-((벤질옥시)카보닐)-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단계 1에서 얻은 벤질 3-메틸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 (357 mg, 1.628 mmol)와 메틸 6-클로로니코티네이트 (307 mg, 1.791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2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8 (d, J = 2.3 Hz, 1H), 7.98 (dd, J = 9.1, 2.3 Hz, 1H), 7.39-7.26 (m, 6H), 6.29 (d, J = 8.7 Hz, 1H), 5.14 (d, J = 1.4 Hz, 2H), 4.13-4.00 (1H), 3.85 (s, 3H), 3.58 (s, 2H), 3.48-3.30 (1H), 2.52 (t, J = 6.2 Hz, 1H), 1.96 (dd, J = 7.1, 5.7 Hz, 1H), 1.43 (s, 3H)
단계 3: 1-(5-(메톡시카보닐)피리딘-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실산
단계 2에서 얻은 메틸 6-(3-((벤질옥시)카보닐)-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130 mg, 0.367 mmol)를 제조예 10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MeOD) δ8.67 (d, J = 2.1 Hz, 1H), 8.01 (dd, J = 9.2, 2.1 Hz, 1H), 6.52 (d, J = 9.2 Hz, 1H), 4.09-3.98 (1H), 3.87 (d, J = 4.6 Hz, 3H), 3.70-3.55 (m, 2H), 3.35 (s, 1H), 2.52 (t, J = 6.3 Hz, 1H), 2.03-1.88 (m, 1H), 1.41 (s, 3H)
단계 4: 메틸 6-(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단계 3에서 얻은 1-(5-(메톡시카보닐)피리딘-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실산 (97 mg, 0.367 mmol)를 제조예 46의 단계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MeOD) δ8.68 (d, J = 2.1 Hz, 1H), 8.03 (dd, J = 9.0, 2.3 Hz, 1H), 6.53 (d, J = 9.2 Hz, 1H), 3.96 (d, J = 10.7 Hz, 1H), 3.88 (d, J = 7.9 Hz, 3H), 3.69-3.56 (m, 2H), 2.87-2.81 (2H), 2.76 (t, J = 7.5 Hz, 1H), 2.56-2.40 (m, 1H), 2.10-1.94 (1H), 1.46 (d, J = 22.3 Hz, 3H)
제조예 49: tert -뷰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4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1.00 g, 6.62 mmol)과 tert-뷰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1.36 g, 6.95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8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2-7.14 (m, 2H), 6.87 (dt, J = 9.5, 2.4 Hz, 2H), 5.34 (s, 2H), 4.50 (s, 2H), 3.52 (s, 2H), 1.48 (s, 9H)
제조예 50: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아세테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5
메틸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1.00 g, 6.02 mmol)과 tert-뷰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1.29 g, 6.62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8의 단계 1, 제조예 2의 단계 2, 제조예 6의 단계 3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5-7.19 (m, 2H), 6.89 (dt, J = 9.3, 2.5 Hz, 2H), 6.53 (s, 1H), 5.68 (s, 1H), 4.49 (s, 2H), 3.69 (s, 3H), 3.58 (s, 2H)
제조예 51: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6
메틸 2-(4-(벤질옥시)페닐)아세테이트 (3.10 g, 12.10 mmol)과 아이오도메테인 (6.87 g, 48.4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4의 단계 2, 제조예 10의 단계 2, 제조예 50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2 (d, J = 8.2 Hz, 2H), 6.86 (d, J = 8.7 Hz, 2H), 6.52 (d, J = 43.9 Hz, 2H), 4.45 (s, 2H), 3.74-3.57 (m, 4H), 1.45 (d, J = 7.3 Hz, 3H)
제조예 52: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7
메틸 3-하이드록시-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80 g, 6.02 mmol)과 메틸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1.00 g, 6.02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4의 단계 1,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3 (d, J = 8.2 Hz, 2H), 6.84 (d, J = 8.7 Hz, 2H), 6.02 (s, 1H), 5.52 (s, 1H), 3.91 (s, 2H), 3.66 (s, 3H), 3.46 (s, 2H), 1.28 (s, 6H)
제조예 53: 에틸 ( R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8
벤질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0.80 g, 3.30 mmol) 과 에틸 (S)-2-하이드록시프로판오에이트 (0.43 g, 3.63 mmol) 을 사용하여 제조예 4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2,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5 (d, J = 8.2 Hz, 2H), 6.83 (d, J = 8.7 Hz, 2H), 5.87 (s, 1H), 5.60 (s, 1H), 4.70 (q, J = 6.9 Hz, 1H), 4.20 (q, J = 7.2 Hz, 2H), 3.49 (s, 2H), 1.59 (d, J = 6.9 Hz, 3H), 1.24 (t, J = 7.1 Hz, 3H)
제조예 54: 메틸 (S)-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59
메틸 (R)-2-하이드록시프로판오에이트 (1.081 ml, 11.35 mmol)와 벤질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2.5 g, 10.32 mmol)를 사용하여 제조예 4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2,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3단계 수율 11.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25-7.16 (m, 2H), 6.88 (dt, J = 9.4, 2.5 Hz, 2H), 5.41 (d, J = 28.4 Hz, 2H), 4.77 (q, J = 6.7 Hz, 1H), 3.79 (s, 3H), 3.54 (s, 2H), 1.43-1.04 (m, 3H)
제조예 55: 에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0
벤질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0.80 g, 3.30 mmol)과 에틸 2-브로모-2-메틸프로판오에이트 (1.29 g, 6.60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8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2,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3 (d, J = 8.2 Hz, 2H), 6.81 (d, J = 8.7 Hz, 2H), 5.88-5.29 (m, 2H), 4.22 (q, J = 7.2 Hz, 2H), 3.51 (s, 2H), 1.58 (s, 6H), 1.24 (t, J = 7.1 Hz, 3H)
제조예 56: 메틸 2-(4-((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1
메틸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테이트 (1.50 g, 9.03 mmol)과 메틸 2-(4-(브로모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2.69 g, 9.93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8의 단계 1,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3-7.28 (m, 4H), 7.18 (dt, J = 9.3, 2.5 Hz, 2H), 6.95 (dt, J = 9.3, 2.5 Hz, 2H), 5.53 (s, 2H), 5.02 (s, 2H), 3.64 (s, 3H), 3.53 (s, 2H), 1.57 (s, 6H)
제조예 57: ( R )-2-클로로-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2
2-(벤질옥시)페놀 (2.00 g, 9.99 mmol)과 브로모사이클로뷰테인 (2.70 g, 19.98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7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2 (s, 1H), 7.74 (s, 1H), 7.02-6.90 (m, 2H), 6.89-6.81 (m, 1H), 6.74 (dd, J = 8.0, 1.6 Hz, 1H), 4.62-4.52 (m, 1H), 4.28 (td, J = 7.2, 3.5 Hz, 1H), 4.03 (dd, J = 13.3, 3.2 Hz, 1H), 3.81-3.68 (m, 1H), 3.68-3.50 (m, 2H), 2.48-2.32 (m, 2H), 2.23-1.75 (m, 6H), 1.73-1.52 (m, 2H)
제조예 58: 메틸 2-(4-(3-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3
단계 1: tert -뷰틸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메틸 2-(4-(브로모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5.40 g, 19.91 mmol)와 tert-뷰틸 아이소뷰티레이트 (3.45 g, 23.90 mmol)를 제조예 33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0 (d, J = 8.2 Hz, 2H), 7.09 (d, J = 8.2 Hz, 2H), 3.63 (s, 3H), 2.78 (s, 2H), 1.54 (s, 6H), 1.41 (s, 9H), 1.11 (s, 6H)
단계 2: 메틸 2-(4-(3-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50 g, 1.50 mmol)를 제조예 10의 단계 3,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9 (d, J = 7.8 Hz, 2H), 7.08 (d, J = 8.2 Hz, 2H), 5.81 (d, J = 49.4 Hz, 2H), 3.61 (d, J = 1.4 Hz, 3H), 2.79 (s, 2H), 1.52 (s, 6H), 1.15 (d, J = 1.4 Hz, 6H)
제조예 59: tert -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4
제조예 58의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3-(4-(1-메톡시-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50 g, 1.50 mmol)를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25 (d, J = 8.2 Hz, 2H), 7.11 (d, J = 8.2 Hz, 2H), 5.85 (s, 1H), 5.31 (s, 1H), 2.78 (s, 2H), 1.53 (s, 6H), 1.41 (s, 9H), 1.10 (s, 6H)
제조예 60: 벤질 ( E )-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5
단계 1: 벤질 4-(하이드록시메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8.50 g, 46.1 mmol)과 벤질 브로마이드 (11.84 g, 69.2 mmol)를 제조예 38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2-7.27 (m, 5H), 5.08 (s, 2H), 3.27 (s, 2H), 1.88-1.76 (m, 6H), 1.49-1.37 (m, 6H)
단계 2: 벤질 4-폼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옥살릴 클로라이드 (1.02 g, 8.02 mmol)을 DCM (25 mL)에 녹이고, 온도를 -78℃로 낮추었다. DMSO (1.25 g, 16.04 mmol)을 추가로 넣고 5분 뒤에 단계 1에서 얻은 벤질 4-(하이드록시메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2.00 g, 7.29 mmol)를 DCM (10 mL)에 녹여 넣어주었다.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한 뒤에 트라이에틸아민 (3.69 g, 36.4 mmol)을 넣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려주었다. 혼합물에 물을 가한 뒤에 DCM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필터한 뒤에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δ9.44 (s, 1H), 7.39-7.27 (m, 5H), 5.09 (s, 2H), 1.91-1.82 (m, 6H), 1.72-1.62 (m, 6H)
단계 3: 벤질 ( E )-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단계 2에서 얻은 벤질 4-폼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1.00 g, 3.67 mmol)을 제조예 18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39-7.27 (m, 5H), 6.76 (d, J = 15.6 Hz, 1H), 5.65 (d, J = 15.6 Hz, 1H), 5.33 (s, 2H), 5.09 (s, 2H), 1.91-1.81 (m, 6H), 1.59-1.55 (m, 6H)
제조예 61: 메틸 4-(2-아미노-2-옥소에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6
2-(4-(메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2]옥탄-1-일)아세트산 (0.90 g, 3.98 mmol)를 제조예 6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5.51 (s, 2H), 3.62 (s, 3H), 2.01 (s, 2H), 1.91-1.70 (m, 6H), 1.62-1.47 (m, 6H)
제조예 62: tert -뷰틸 3-(3-(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7
1-브로모-3-(브로모메틸)벤젠 (5.00 g, 20.01 mmol)와 tert-뷰틸 아이소뷰티레이트 (3.46 g, 24.01 mmol)를 제조예 33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1, 단계 2,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7 (t, J = 7.8 Hz, 1H), 7.04 (d, J = 7.8 Hz, 1H), 6.99 (d, J = 5.5 Hz, 2H), 5.30 (s, 2H), 2.92 (t, J = 7.8 Hz, 2H), 2.78 (s, 2H), 2.50 (t, J = 7.5 Hz, 2H), 1.43 (s, 9H), 1.10 (s, 6H)
제조예 63: tert -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8
2-(4-(브로모메틸)페닐)아세트산 (14.0 g, 61.1 mmol)와 tert-뷰틸 아이소뷰티레이트 (26.4 g, 183 mmol)를 제조예 33과 유사한 방법을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9-7.11 (m, 4H), 5.38 (d, J = 23.8 Hz, 2H), 3.54 (s, 2H), 2.80 (s, 2H), 1.46-1.37 (9H), 1.11 (s, 6H)
제조예 64: tert -뷰틸 ( R )-3-(3-(3-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69
1-브로모-3-(브로모메틸)벤젠 (5.00 g, 20.01 mmol)와 tert-뷰틸 아이소뷰티레이트 (3.46 g, 24.01 mmol)를 제조예 33의 단계 1, 제조예 2의 단계 1, 제조예 6의 단계 2, 단계 3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18-7.09 (m, 1H), 6.82 (d, J = 8.2 Hz, 1H), 6.79-6.66 (m, 3H), 5.80 (s, 1H), 3.30-3.23 (m, 2H), 3.16-3.08 (m, 2H), 2.77 (dd, J = 16.0, 13.3 Hz, 2H), 2.59 (s, 1H), 1.92-1.77 (m, 3H), 1.77-1.64 (m, 1H), 1.45-1.35 (m, 9H), 1.15-1.06 (m, 6H)
제조예 65: 벤질 ( E )-2-(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0
2-(4-브로모페닐)-2-메틸프로판산 (5.00 g, 20.57 mmol)과 벤질 브로마이드 (4.22 g, 24.68 mmol)를 제조예 43의 단계 1, 제조예 10의 단계 1, 단계 3, 단계 4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66-7.59 (m, 1H), 7.54-7.40 (m, 2H), 7.40-7.25 (m, 5H), 7.19-7.10 (m, 2H), 6.47-6.40 (m, 1H), 5.61 (s, 2H), 5.09 (s, 2H), 1.59 (s, 6H)
제조예 66: ( R )-2-클로로-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1
제조예 70의 단계 3에서 수득한 (R)-3-에톡시-2-(피페리딘-3-일옥시)피리딘 염산염 (5.90 g, 22.80 mmol)과 2,4-다이클로로피리미딘 (3.74 g, 25.08 mmol)을 제조예 1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1 (d, J = 6.4 Hz, 1H), 7.70 (dd, J = 4.8, 1.6 Hz, 1H), 7.03 (dd, J = 7.8, 1.4 Hz, 1H), 6.82 (q, J = 4.1 Hz, 1H), 6.32 (d, J = 5.9 Hz, 1H), 5.19 (s, 1H), 4.05-3.59 (m, 6H), 2.25-1.90 (m, 3H), 1.76-1.57 (m, 1H), 1.31 (t, J = 6.9 Hz, 3H)
제조예 67: tert -뷰틸 3-(4-(2-((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2
제조예 63에서 수득한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50 g, 1.50 mmol)와 2,4-다이클로로피리미딘 (0.20 g, 1.34 mmol)를 제조예 2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진행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46 (d, J = 5.5 Hz, 1H), 8.11 (d, J = 5.5 Hz, 1H), 8.01 (s, 1H), 7.17 (s, 4H), 3.72 (s, 2H), 3.70-3.65 (m, 1H), 2.82 (s, 2H), 1.42 (s, 9H), 1.12 (s, 6H)
제조예 68: ( R )-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3
제조예 1의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5.0 g, 46.7 mmol)와 2,4-다이클로로피리미딘 (13.9 g, 9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단계 2,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수율 19%)
m/z (M+H)+ calculated for C17H21ClN3O2: 334, found 334
제조예 69: ( R )-2-클로로-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4
제조예 1의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5.0 g, 46.7 mmol)와 2,4-다이클로로피리미딘 (13.9 g, 9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단계 2,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수율 72%)
m/z (M+H)+ calculated for C17H21ClN3O2: 334, found 334
제조예 70: ( R )-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5
단계 1: 2-클로로-3-에톡시피리딘
2-클로로-3-하이드록시피리딘 (10.0 g, 77 mmol), 아이오도에테인 (14.45 g, 93 mmol), 포타슘카보네이트 (21.34 g, 154 mmol)을 DMF 77 mL에 넣고 상온에서 4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필터하고 물을 가한 뒤에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물과 소금물로 씻어 준 뒤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96 (t, J = 3.0 Hz, 1H), 7.17 (d, J = 3.2 Hz, 2H), 4.10 (q, J = 7.0 Hz, 2H), 1.48 (t, J = 7.1 Hz, 3H)
단계 2: tert -뷰틸 ( R )-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소듐 하이드라이드 (3.38 g, 84 mmol)를 무수의 DMF 96 mL에 넣고, tert-뷰틸 (R)-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17.00 g, 84 mmol)를 추가로 넣었다. 온도를 60℃로 올려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단계 1에서 수득한 2-클로로-3-에톡시피리딘 (12.1 g, 77 mmol)을 넣은 뒤에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가한 뒤에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물과 소금물로 씻어 준 뒤에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5%)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68 (td, J = 3.2, 1.7 Hz, 1H), 7.03 (dt, J = 7.8, 1.4 Hz, 1H), 6.82-6.72 (m, 1H), 5.06 (s, 1H), 4.03 (q, J = 7.0 Hz, 2H), 3.55 (d, J = 100.2 Hz, 4H), 2.16-1.96 (m, 1H), 1.96-1.70 (m, 2H), 1.68-1.50 (m, 1H), 1.50-1.27 (m, 12H)
단계 3: ( R )-3-에톡시-2-(피페리딘-3-일옥시)피리딘 염산염
단계 2에서 얻은 tert-뷰틸 (R)-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31.5 g, 98 mmol)를 제조예 1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단계 4: ( R )-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
단계 3에서 얻은 (R)-3-에톡시-2-(피페리딘-3-일옥시)피리딘 염산염 (30 g, 116 mmol)과 2,6-다이클로로피라진 (19 g, 128 mmol)을 제조예 1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0%)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96 (d, J = 11.0 Hz, 1H), 7.74-7.66 (m, 2H), 7.04 (dd, J = 7.8, 1.4 Hz, 1H), 6.83 (dd, J = 7.8, 5.0 Hz, 1H), 5.24 (td, J = 7.0, 3.4 Hz, 1H), 4.05-3.83 (m, 3H), 3.83-3.70 (m, 2H), 3.67-3.53 (m, 1H), 2.22-2.09 (m, 1H), 2.07-1.93 (m, 2H), 1.75-1.60 (m, 1H), 1.35-1.27 (t, J = 7.1 Hz, 3H)
제조예 71: ( R )-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6
제조예 1(단계 2)에서 얻은 (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 염산염 (10 g, 45.2 mmol)과 2,6-다이클로로피리딘 (11.37 g, 77 mmol)을 제조예 1(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44-7.29 (m, 1H), 7.17-7.05 (m, 1H), 6.94-6.86 (m, 3H), 6.73-6.49 (m, 1H), 6.49-6.32 (m, 1H), 4.30-4.17 (m, 2H), 4.04-3.96 (m, 2H), 3.95-3.78 (m, 1H), 3.35-3.18 (m, 2H), 2.22-2.07 (m, 1H), 1.97-1.75 (m, 2H), 1.64-1.52 (m, 1H), 1.40 (q, J = 6.9 Hz, 3H)
제조예 72: ( R )-2-클로로-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7
제조예 1의 단계 2에서 얻은 (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 염산염 (0.23 g, 0.89 mmol)과 2,4-다이클로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0.21 g, 0.98 mmol)을 제조예 1의 단계 3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86%)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7.14-6.31 (m, 5H), 4.79-3.18 (m, 7H), 2.04 (s, 3H), 1.60 (s, 1H), 1.30 (dt, J = 29.7, 6.7 Hz, 3H)
제조예 73: ( R )-2-클로로-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8
단계 1: 1-(벤질옥시)-2-아이소프로폭시벤젠
2-(벤질옥시)페놀 (1.15 g, 5.74 mmol), 2-브로모프로판 (1.413 g, 11.49 mmol), 포타슘카보네이트 (3.17 g, 22.97 mmol)를 DMF 19 ml에 녹이고 45℃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2 × 30 ml)로 추출 후 소금물 (20 ml)로 씻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 1:30)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3%)
m/z (M+H)+ calculated for C16H18O2: 242, found 243
단계 2: 2-아이소프로폭시페놀
단계 1에서 수득한 1-(벤질옥시)-2-아이소프로폭시벤젠 (1.3 g, 5.36 mmol)을 메탄올 40 ml에 녹이고 팔라듐 착콜 (0.143 g, 1.341 mmol)을 적가한 후 수소풍선을 이용하여 탈보호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것을 확인하고 셀라이트 패드로 필터한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02-6.75 (m, 4H), 5.69 (d, J = 19.0 Hz, 1H), 4.63-4.52 (m, 1H), 1.46-1.32 (m, 6H)
단계 3: tert -뷰틸 ( R )-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단계 2에서 수득한 2-아이소프로폭시페놀 (0.81 g, 5.32 mmol)과 (S)-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07 g, 5.32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 (단계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3.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01-6.81 (m, 4H), 4.45 (td, J = 12.2, 6.1 Hz, 1H), 4.11 (q, J = 7.3 Hz, 2H), 3.62 (s, 1H), 3.27 (s, 1H), 3.16 (s, 1H), 2.03 (d, J = 7.9 Hz, 2H), 1.83 (s, 1H), 1.74 (d, J = 6.7 Hz, 1H), 1.42 (s, 9H), 1.32 (q, J = 2.9 Hz, 6H)
단계 4: ( R )-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
단계 3에서 수득한 tert-뷰틸 (R)-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0.27 g, 0.805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 (단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m/z (M+H)+ calculated for C16H18O2: 235.3, found 236.2
단계 5: ( R )-2-클로로-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단계 4에서 수득한 (R)-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 (0.189 g, 0.803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 (단계 3)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7.93 (s, 1H), 7.74 (s, 1H), 7.01-6.85 (m, 4H), 4.44 (td, J = 12.2, 6.1 Hz, 1H), 4.32-4.22 (m, 1H), 4.02 (dd, J = 13.4, 3.1 Hz, 1H), 3.74 (qd, J = 6.5, 3.8 Hz, 1H), 3.64-3.47 (m, 2H), 2.12-2.05 (m, 1H), 2.03-1.85 (m, 2H), 1.61 (qd, J = 8.7, 4.3 Hz, 1H), 1.32-1.18 (m, 6H)
제조예 74: ( R )-2-클로로-6-(3-(2-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79
(S)-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00 g, 9.94 mmol), 2-메톡시페놀 (1.23 g, 9.9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3 단계 수율 3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5 (s, 1H), 7.77 (s, 1H), 7.13-6.82 (m, 4H), 4.31 (td, J = 7.8, 4.1 Hz, 1H), 4.25-4.15 (m, 1H), 3.97-3.64 (m, 4H), 3.57-3.33 (m, 2H), 2.14 (d, J = 5.0 Hz, 1H), 2.03-1.82 (m, 2H), 1.73-1.59 (m, 1H)
제조예 75: ( R )-2-클로로-6-(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0
(S)-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2.00 g, 9.94 mmol), 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놀 (1.77 g, 9.94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8 (s, 1H), 7.79 (s, 1H), 7.45-7.28 (1H), 7.25-7.07 (m, 2H), 6.98 (t, J = 7.5 Hz, 1H), 4.39 (d, J = 3.7 Hz, 1H), 4.18 (d, J = 13.3 Hz, 1H), 3.93-3.70 (m, 1H), 3.67-3.39 (2H), 2.15 (d, J = 18.3 Hz, 1H), 2.02-1.82 (m, 2H), 1.79-1.60 (m, 1H)
제조예 76: ( R )-2-클로로-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1
단계 1: 1-(벤질옥시)-2-(2-플루오로에톡시)벤젠
2-플루오로에탄-1-올 (1.10 ml, 18.7 mmol), 2-(벤질옥시)페놀 (3.26 ml, 18.7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 (5.50 g, 21.0 mmol)을 톨루엔 5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 반응물에 다이에틸아조다이카르복실레이트 (3.82 ml)를 톨루엔 44 ml에 희석하여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15 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준 후 1N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씻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 (에틸아세테이트:헥산 = 1:20)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53-7.27 (m, 5H), 7.05-6.84 (m, 4H), 5.14 (s, 2H), 4.75 (dt, J = 47.4, 4.2 Hz, 2H), 4.29 (dt, J = 27.7, 4.3 Hz, 2H)
단계 2: 2-(2-플루오로에톡시)페놀
단계 1에서 얻은 1-(벤질옥시)-2-(2-플루오로에톡시)벤젠 (1.50 g, 6.09 mmol), 팔라듐 차콜 (0.65 g, 0.61 mmol)를 메탄올 122 ml에 녹이고 수소 가스를 불어넣으며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15 시간 교반 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수율 9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04-6.75 (m, 4H), 5.76-5.61 (1H), 4.90-4.63 (m, 2H), 4.40-4.18 (2H)
단계 3: ( R )-2-클로로-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S)-tert-뷰틸-3-하이드록시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17 g, 5.83 mmol), 단계 2에서 얻은 2-(2-플루오로에톡시)페놀 (0.91 g, 5.8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5 (s, 1H), 7.75 (s, 1H), 7.11-6.85 (m, 4H), 4.71 (dt, J = 47.6, 4.1 Hz, 2H), 4.41-4.28 (m, 1H), 4.28-4.14 (m, 2H), 4.03 (dd, J = 13.5, 3.0 Hz, 1H), 3.83-3.47 (m, 3H), 2.18-2.05 (m, 1H), 2.04-1.84 (m, 2H), 1.72-1.58 (m, 1H)
제조예 77: ( R )-2-클로로-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2
2-(벤질옥시)페놀 (2.00 g, 9.99 mmol)과 사이클로프로필 브로마이드 (3.63 g, 30.0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73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92 (s, 1H), 7.74 (s, 1H), 7.24-7.18 (m, 1H), 7.04-6.94 (m, 2H), 6.93-6.85 (m, 1H), 4.23 (td, J = 7.5, 3.7 Hz, 1H), 4.09-4.01 (m, 1H), 3.83-3.67 (m, 2H), 3.59-3.44 (m, 2H), 2.15-2.04 (m, 1H), 2.02-1.84 (m, 2H), 1.67-1.51 (m, 1H), 0.74 (d, J = 4.6 Hz, 4H)
제조예 78: tert- 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3
단계 1: tert -뷰틸 2,2-다이메틸-3-(3-(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2-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64에서 수득한 중간체 tert-뷰틸 3-(3-브로모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870 g, 2.78 mmol)와 비스(피나콜라토)다이보론 (0.846 g, 3.33 mmol)과 포타슘 아세테이트 (0.818 g, 8.33 mmol)을 1,4-다이옥세인 (13.89 ml)에 녹이고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0.113 g, 0.139 mmol)을 넣어주었다. 100℃에서 16시간동안 환류교반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2.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7.69-7.54 (2H), 7.23 (d, J = 1.4 Hz, 2H), 2.82 (s, 2H), 1.55 (d, J = 1.4 Hz, 2H), 1.43 (s, 9H), 1.31 (s, 12H), 1.12 (s, 6H)
단계 2: 에틸 3'-(3-( tert -뷰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1,1'-바이페닐]-3-카복실레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2,2-다이메틸-3-(3-(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레인-2-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0.173 g, 0.480 mmol)과 에틸 3-브로모벤조에이트 (0.100 g, 0.437 mmol)과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 디클로로메탄 부가물 (0.018 g, 0.022 mmol)을 1,4-다이옥세인 (4.37 ml)에 녹이고 2M 탄산나트륨 용액 (0.655 ml, 1.310 mmol)을 적가한 후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온으로 식힌 후 셀라이트 패드로 여과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8.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24 (t, J = 1.6 Hz, 1H), 8.00 (dt, J = 7.8, 1.4 Hz, 1H), 7.74 (dt, J = 7.8, 1.4 Hz, 1H), 7.47 (q, J = 7.5 Hz, 2H), 7.39 (s, 1H), 7.34 (t, J = 7.8 Hz, 1H), 7.17 (d, J = 7.8 Hz, 1H), 4.40 (q, J = 7.2 Hz, 2H), 2.90 (s, 2H), 1.43-1.37 (m, 12H), 1.15 (s, 6H)
단계 3: 3'-(3-( tert -뷰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1,1'-바이페닐]-3-카복실산
단계 2에서 얻은 에틸 3'-(3-(tert-뷰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1,1'-바이페닐]-3-카복실레이트 (0.1145 g, 0.299 mmol)와 1N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2.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33 (s, 1H), 8.09 (d, J = 7.8 Hz, 1H), 7.81 (d, J = 7.8 Hz, 1H), 7.53 (t, J = 7.8 Hz, 1H), 7.48 (d, J = 7.8 Hz, 1H), 7.42 (s, 1H), 7.35 (t, J = 7.8 Hz, 1H), 7.19 (d, J = 7.8 Hz, 1H), 2.91 (s, 2H), 1.42 (s, 9H), 1.18 (d, J = 6.4 Hz, 6H)
단계 4: tert- 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3에서 얻은 3'-(3-(tert-뷰톡시)-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1,1'-바이페닐]-3-카복실산 (0.0341 g, 0.096 mmol)을 이용하여 제조예 10 (단계 4)와 유사한 방법으로 아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08-7.93 (m, 1H), 7.75 (dt, J = 7.8, 1.4 Hz, 1H), 7.73-7.68 (m, 1H), 7.48 (t, J = 7.8 Hz, 1H), 7.44 (dd, J = 7.8, 1.4 Hz, 1H), 7.37 (d, J = 6.4 Hz, 1H), 7.33 (t, J = 7.8 Hz, 1H), 7.16 (d, J = 7.8 Hz, 1H), 6.07 (d, J = 135.4 Hz, 2H), 2.89 (s, 2H), 1.50-1.36 (m, 9H), 1.15 (s, 6H)
제조예 79: tert- 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4
단계 1: tert- 뷰틸 3-(4-브로모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1-브로모-4-(브로모메틸)벤젠 (2.311 g, 9.25 mmol)와 tert-뷰틸 아이소뷰티레이트 (2.0 g, 13.87 mmol)를 제조예 33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7.36 (d, J = 8.2 Hz, 2H), 7.02 (d, J = 8.2 Hz, 2H), 2.76 (s, 2H), 1.41 (d, J = 0.9 Hz, 9H), 1.10 (s, 6H)
단계 2: tert- 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단계 1에서 수득한 tert-뷰틸 3-(4-브로모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2.27 g, 7.265 mmol)을 제조예 78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04 (t, J = 1.6 Hz, 1H), 7.82-7.61 (2H), 7.46 (t, J = 8.7 Hz, 3H), 7.21 (d, J = 8.2 Hz, 2H), 6.68-6.16 (m, 2H), 2.84 (s, 2H), 1.43 (s, 9H), 1.15-1.10 (6H)
실시예 1: ( R )-1-(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아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5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49 g, 1.57 mmol),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시아네이트 (0.44 g, 1.73 mmol),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5 ml, 3.14 mmol)을 디클로로메탄 30 ml에 넣고 상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 종결을 확인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1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1%)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11.40 (s, 1H), 8.48 (s, 1H), 7.99 (s, 2H), 7.82 (s, 1H), 7.55 (s, 1H), 7.53 (s, 1H), 6.69-6.89 (m, 4H), 4.46 (m, 1H), 3.95 (m, 3H), 3.78 (m, 2H), 3.65 (m, 1H), 2.07-2.17 (m, 3H), 1.73 (m, 1H), 1.30 (t, 3H)
실시예 2: ((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 L -페닐알라닌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6
단계 1: 메틸 ((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 L -페닐알라닌에이트
(S)-메틸 2-아미노-3-페닐프로판에이트 (32.5 mg, 0.1 mmol)을 디클로로메탄 1 ml에 섞어 0℃에서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포화된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1 ml을 첨가한 후 트라이포스젠 (56.6 mg, 0.191 mmol)을 가한 후,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50 mg, 0.159 mmol)을 가했다. 유기층을 분리해낸 후 용매를 THF로 전환시켜 7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얻어진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아세톤 : 디클로로메탄 = 1 : 3)로 정제하여 원하는 에스테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8%)
m/z (M+Na)+ calculated for C28H33N5O5Na: 542.6, found 542.3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9.07 (d, 1H), 7.74 (s, 1H), 7.68 (s, 1H), 7.44 (s, 1H), 7.25 (m, 3H), 7.09-7.11 (2H, m), 6.87-6.96 (m, 4H), 5.04 (m, 1H), 4.26 (m, 1H), 3.98-4.03 (m, 2H), 3.73 (m, 1H), 3.71 (s, 3H), 3.45-3.50 (m, 2H), 3.17 (d, 2H), 2.98 (t, 1H), 2.07 (m, 1H), 1.80 (m, 2H), 1.58 (bs, 1H), 1.48 (m, 1H), 1.40 (t, 3H), 1.26 (m, 1H)
단계 2: ((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 L -페닐알라닌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15 mg, 0.029 mmol)을 0.3 ml THF 와 0.3 ml 물에 녹였다.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3 mg, 0.1 mmol)을 첨가한 후 4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반응을 식힌 후 1N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pH 4.5에 맞추어 적정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층을 제거하고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반응물을 건조시킨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9.21 (s, 1H), 8.99 (s, 1H), 7.68 (s, 1H), 7.45 (s, 1H), 7.14 (m, 5H), 6.90 (m, 4H), 5.02 (m, 1H), 4.17 (m, 1H), 4.05 (m, 2H), 3.90 (d, 1H), 3.68 (m, 1H), 3.47 (m, 1H), 3.30 (m, 1H), 3.20 (m, 3H), 2.96 (m, 1H), 2.05 (m, 3H), 1.73 (m, 2H), 1.25-1.42 (m, 5H)
실시예 3: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몰포린-4-카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7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모르폴린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54 (s, 1H), 7.82 (s, 1H), 6.86-6.99 (m, 4H), 6.57 (s, 1H), 4.31 (m, 1H), 4.00 (m, 3H), 3.75 (m, 5H), 3.57 (m, 1H), 3.50 (m, 4H), 3.39 (m, 1H), 2.13 (m, 1H), 1.93-1.96 (m, 2H), 1.60-1.63 (m, 2H), 1.39 (t, 3H), 1.26 (m, 1H)
실시예 4: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롤리딘-1-카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8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피롤리딘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3 (s, 1H), 7.78 (s, 1H), 6.87-6.98 (m, 4H), 6.45 (s, 1H), 4.29 (m, 1H), 3.96-4.10 (m, 3H), 3.77 (m, 1H), 3.48 (m, 5H), 3.34 (m, 1H), 2.13 (m, 1H), 1.89-1.99 (m, 7H), 1.61 (m, 1H), 1.39 (t, 3H)
실시예 5: 1-((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3-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89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메틸 피롤리딘-3-카르복실레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Methanol-D): δ 8.27 (s, 1H), 7.69 (s, 1H), 7.00 (d, 1H), 6.93 (bs, 3H), 4.47 (bs, 1H), 3.92 (m, 2H), 3.71 (m, 2H), 3.68 (m, 3H), 3.57 (m, 4H), 3.21 (m, 1H), 2.25 (m, 2H), 2.03 (m, 5H), 2.61 (bs, 2H), 1.28 (m, 10H), 0.92 (m 2H)
실시예 6: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0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15 g, 0.5 mmol), 트라이에틸아민 (0.35 ml, 2.5 mmol)을 0℃에서 디클로메탄 10ml에 녹이고 벤조일 클로라이드 (0.07 ml, 0.5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0℃에서 2시간 더 교반한 후 TLC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고, 소금물로 씻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3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86 (s, 1H), 8.09 (m, 4H), 7.61 (m, 1H), 7.50 (m, 2H), 6.98 (m, 1H), 6.89 (m, 3H), 4.36 (m, 1H), 3.92-4.03 (m, 3H), 3.74 (m, 1H), 3.66 (m, 1H), 3.49 (m, 1H), 2.11 (m, 1H), 2.01 (m, 1H), 1.94 (m, 1H), 1.62 (m, 1H), 1.36 (t, 3H)
실시예 7: ( R )-4-클로로-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1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09 g, 0.25 mmol)과 4-클로로벤조일 클로라이드 (0.04 g, 0.2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9%)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83 (s, 1H), 7.95 (s, 1H), 7.82 (m, 3H), 7.45 9m, 2H), 6.97 (m, 1H), 6.88 (m, 3H), 4.36 (m, 1H), 3.90-4.35 (m, 3H), 3.72 (m, 2H), 3.52 (m, 1H), 2.12 (m, 1H), 2.01 (m, 1H), 1.96 (m, 1H), 1.63 (m, 1H), 1.37 (t, 3H)
실시예 8: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2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3-메톡시벤즈아마이드 (0.03 g, 0.17 mmol),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8.2 mg, 0.009 mmol),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잔틴 (7.7 mg, 0.01 mmol), 세슘 카보네이트 (0.12 g, 0.38 mmol)을 다이옥산 5ml에 넣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 식히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3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 %)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5 (s, 1H), 7.92 (s, 1H), 7.90 (s, 1H), 7.47 (m, 1H), 7.41 (m, 2H), 7.12 (m, 1H), 6.99 (m, 1H), 6.92-6.84 (m, 3H), 4.34 (m, 1H), 4.03-3.91 (m, 3H), 3.89 (s, 3H), 3.75 (m, 1H), 3.67 (m, 1H), 3.48 (m, 1H), 2.13 (m, 1H), 2.02 (m, 1H), 1.94 (m, 1H), 1.62 (m, 1H), 1.36 (t, 3H)
실시예 9: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메톡시벤즈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3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4-메톡시벤즈아마이드 (0.03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4 (s, 1H), 7.91 (s, 1H), 7.84 (m, 3H), 6.99 (m, 3H), 6.92-6.83 (m, 3H), 4.34 (m, 1H), 4.03-3.90 (m, 3H), 3.88 (s, 3H), 3.75 (m, 1H), 3.66 (m, 1H), 3.45 (m, 1H), 2.12 (m, 1H), 2.04 (m, 1H), 1.93 (m, 1H), 1.61 (m, 1H), 1.37 (t, 3H)
실시예 10: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니트로벤즈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4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4-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0.03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1 (s, 1H), 8.37 (d, 2H), 8.06 (d, 2H), 7.97 (s, 1H), 7.88 (s, 1H), 6.95 (m, 1H), 6.87 (m, 3H), 4.37 (m, 1H), 4.02-3.88 (m, 3H), 3.79 (m, 1H), 3.70 (m, 1H), 3.56 (m, 1H), 2.12 (m, 1H), 2.05 (m, 1H), 1.97 (m, 1H), 1.62 (m, 1H), 1.36 (t, 3H)
실시예 11: ( R )-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5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프탈릭 언하이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71 (s, 1H), 8.03 (s, 1H), 7.92 (m, 2H), 7.56 (m, 3H), 6.95 (m, 1H), 6.84 (s, 3H), 4.31 (bs, 1H), 3.95 (m, 3H), 3.78 (m, 1H), 3.64 (m, 3H), 3.40 (bs, 1H), 1.94-2.25 (m, 4H), 1.50 (m, 1H), 1.27-1.42 (m, 5H), 0.90 (m, 2H)
실시예 12: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6
단계 1: 메틸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아세테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864 g, 2.59 mmol)과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메틸 2-(4-카바모일페닐)아세테이드 (0.6 g, 3.11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5 (s, 1H), 7.92 (s, 1H), 7.89 (s, 1H), 7.85 (d, 2H), 7.43 (d, 2H), 6.99-6.85 (m, 4H), 4.34 (m, 1H), 4.13-4.10 (m, 3H), 4.01-3.94 (m, 3H), 3.68-3.65 (m, 4H), 3.47 (m, 1H), 2.13 (m, 1H), 1.95 (m, 2H), 1.61 (m, 1H), 1.38-1.35 (t, 3H)
단계 2: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1N 수산화리튬 수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3 (s, 1H), 7.95 (s, 1H), 7.92 (s, 1H), 7.86 (d, 2H), 7.44 (d, 2H), 6.96 (m, 1H), 6.92-6.83 (m, 3H), 4.35-4.34 (m, 1H), 4.02-3.89 (m, 3H), 3.75 (s, 2H), 3.72-3.68 (m, 2H), 3.51-3.46 (m, 1H), 2.1 (m, 1H), 2.02-1.93 (m, 2H), 1.62-1.59 (m, 1H), 1.37-1.33 (t, 3H)
실시예 13: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7
단계 1: 메틸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과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메틸 2-(4-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에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85 (s, 1H), 7.92 (s, 1H), 7.88 (s, 1H), 7.85 (d, J = 8 Hz, 2H), 7.47 (d, J = 8 Hz, 2H), 6.97-6.87 (m, 4H), 4.38 (m, 1H), 3.98-3.96 (m, 3H), 3.79-3.48 (m, 3H), 3.68 (s, 3H), 2.15-1.95 (m, 3H), 1.63 (s, 6H), 1.63 (m, 1H), 1.37 (t, J = 8 Hz, 3H)
단계 2: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82 (s, 1H), 7.93 (s, 1H), 7.92 (s, 1H), 7.85 (d, J = 8 Hz, 2H), 7.54 (d, J = 8.4Hz, 2H), 6.97-6.83 (m, 4H), 4.34 (m, 1H), 3.99-3.90 (m, 3H), 3.70-3.65 (m, 2H), 3.47 (m, 1H), 2.09 (m, 1H), 2.04-1.92 (m, 2H), 1.65 (s, 6H), 1.65 (m, 1H), 1.35 (t, J = 6.8 Hz, 3H)
실시예 14: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8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5에서 얻은 에틸 2-(4-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8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2 (s, 1H), 8.04 (s, 1H), 7.86 (s, 1H), 7.76 (d, 2H), 6.93-6.79 (m, 6H), 4.31 (m, 1H), 4.13-3.88 (m, 3H), 3.68 (m, 2H), 3.48 (m, 1H), 2.07 (m, 1H), 1.97 (m, 2H), 1.67 (s, 6H), 1.57 (m, 1H), 1.33 (t, 3H)
실시예 15: ( R )-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099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0.03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8 (s, 1H), 7.35 (s, 1H), 6.96 (m, 2H), 6.87 (m, 2H), 4.30 (m, 1H), 4.03-3.89 (m, 3H), 3.80 (m, 2H), 3.69 (m, 1H), 3.62 (m, 1H), 3.45 (m, 1H), 2.88 (m, 2H), 2.80 (s, 3H), 2.40 (m, 1H), 2.12 (m, 1H), 2.07-1.87 (m, 6H), 1.59 (m, 1H), 1.35 (t, 3H)
실시예 16: ( R )-1-아세틸-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페리딘)-4-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0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1-아세틸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0.03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8 (s, 1H), 7.33 (s, 1H), 6.94 (m, 2H), 6.88 (m, 2H), 4.65 (m, 1H), 4.31 (m, 1H), 4.03-3.88 (m, 4H), 3.71 (m, 1H), 3.62 (m, 1H), 3.44 (m, 1H), 3.15 (m, 1H), 2.71 (m, 1H), 2.48 (m, 1H), 2.11 (m, 4H), 2.05-1.88 (m, 4H), 1.85-1.65 (m, 2H), 1.60 (m, 1H), 1.36 (t, 3H)
실시예 17: ( R )-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아이소프로필설포닐)피페리딘-4-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1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1-(아이소프로필설포닐)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0.04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8 (s, 1H), 7.28 (s, 1H), 6.94 (m, 2H), 6.88 (m, 2H), 4.31 (m, 1H), 4.03-3.90 (m, 3H), 3.87 (m, 2H), 3.70 (m, 1H), 3.62 (m, 1H), 3.44 (m, 1H), 3.18 (m, 1H), 3.00 (m, 2H), 2.41 (m, 1H), 2.12 (m, 1H), 2.00 (m, 2H), 1.95-1.82 (m, 3H), 1.60 (m, 2H), 1.35 (m, 9H)
실시예 18: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사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2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제조예 35에서 얻은 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0.04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8.17 (s, 2H), 7.86 (s, 1H), 7.33 (s, 1H), 6.94 (m, 2H), 6.87 (m, 2H), 4.80 (m, 2H), 4.30 (m, 1H), 4.03-3.90 (m, 3H), 3.73 (m, 1H), 3.60 (m, 1H), 3.43 (m, 1H), 2.94 (m, 2H), 2.55-2.42 (m, 3H), 2.13 (m, 1H), 1.99 (m, 3H), 1.93 (m, 1H), 1.80 (m, 2H), 1.59 (m, 1H), 1.35 (t, 3H), 1.20 (t, 3H)
실시예 19: ( R )-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4-옥소뷰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3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숙신 무수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3 (s, 1H), 7.88 (s, 1H), 7.51 (s, 1H), 7.30 (s, 1H), 6.88-7.00 (m, 4H), 4.34 (m, 1H), 4.12 (m, 1H), 3.96 (m, 3H), 3.70 (m, 2H), 3.69 (m, 1H), 2.78 (d, 2H), 2.68 (d, 2H), 2.15 (d, 2H), 1.96-2.10 (m, 3H), 1.61 (m, 1H), 1.44 (t, 3H), 0.89 (m, 1H)
실시예 20: (1 R )-2-((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싸이클로펜탄-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4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Methanol-D): δ 8.26 (s, 1H), 7.69 (s, 1H), 6.89-7.02 (m, 5H), 4.48 (m, 2H), 3.79-3.96 (m, 8H), 3.53-3.65 (m, 6H), 3.22 (q, 2H), 2.30 (m, 2H), 2.09 (m, 10H), 1.61 (bs, 3H), 1.35 (m, 12H), 0.89 (m, 1H)
실시예 21: ( R )-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5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메틸 4-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0.04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7 (s, 1H), 7.35 (s, 1H), 6.96 (m, 2H), 6.88 (m, 2H), 4.29 (m, 1H), 4.07-3.93 (m, 3H), 3.75 (m, 1H), 3.57 (m, 1H), 3.41 (m, 1H), 2.15 (m, 1H), 2.04-1.86 (m, 14H), 1.59 (m, 1H), 1.37 (t, 3H)
실시예 22: ( R )-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4-옥소뷰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6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3,3-다이메틸숙신 무수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1%)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4 (s, 1H), 7.87 (s, 1H), 7.85 (s, 1H), 6.86-6.98 (m, 4H), 4.3 (m, 1H), 3.94-4.03 (m, 3H), 3.7 (m, 1H), 3.57 (dd, 1H), 3.35 (m, 1H), 2.68 (s, 2H), 2.04 (m, H), 1.93 (m, 2H), 1.5 (m, 1H), 1.33 (m+6H s, 10H)
실시예 23: ( R )-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3-다이메틸피롤리딘-2,5-다이온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7
실시예 22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었고 분리 정제 과정에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11 (s, 1H), 7.77 (s, 1H), 6.87-7.01 (m, 4H), 4.30 (m, 1H), 4.15 (dd, 1H), 4.03 (q, 2H), 3.85 (m, 1H), 3.50 (m, 2H), 2.10 (m, 1H), 1.97 (m, 2H), 1.60 (m, 1H), 1.45 (s, 6H), 1.38 (t, 3H), 1.27 (m, 2H), 0.90 (m, 1H)
실시예 24: ( R )-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5-옥소펜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8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3,3-다이메틸글루타릭 무수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8 (s, 1H), 7.89 (s, 1H), 7.66 (s, 1H), 6.87-6.98 (m, 4H), 4.20 (m, 1H), 3.95 (m, 3H), 3.70 (m, 1H), 3.58 (dd, 1H), 3.40 (m, 1H), 2.44 (m, 2H), 1.99-2.16 (m, 6H), 1.39 (t, 3H), 0.90 (m, 2H)
실시예 25: ( R )-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3-다이메틸-5-옥소펜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09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4,4-다이메틸글루타릭 무수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8 (s, 1H), 8.13 (s, 1H), 7.92 (s, 1H), 6.87-7.00 (m, 4H), 4.31 (m, 1H), 4.00 (m, 3H), 3.72 (m, 1H), 3.62 (dd, 1H), 3.45 (m, 1H), 2.45 (s, 2H), 2.00 (m, 3H), 1.60 (m, 2H), 1.38 (t, 3H), 1.28 (s, 2H), 1.20 (s, 3H), 1.92 (s, 3H), 0.90 (m, 2H)
실시예 26: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0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2-(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4%)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5 (s, 1H), 7.83 (s, 1H), 7.55 (m, 4H), 7.38 (s, 1H), 6.85-6.96 (m, 4H), 4.28 (m, 1H), 3.94 (m, 3H), 3.77 (s, 2H), 3.65 (m, 2H), 3.42 (m, 1H), 1.93-2.11 (m, 3H), 1.56 (m, 1H), 1.94 (t, 3H)
실시예 27: ( R )-2-(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1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과 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 NMR (300 MHz, CHLOROFORM-D): δ 8.64 (s, 1H), 7.92 (s, 1H), 7.84 (s, 1H), 7.82 (s, 2H), 7.50 (s, 1H), 6.68-7.00 (m, 4H), 4.35 (m, 1H), 3.95 (m, 3H), 3.84 (s, 2H), 3.70 (m, 2H), 3.50 (m, 1H), 1.97-2.13 (m, 3H), 1.61 (m, 1H), 1.61 (t, 3H)
실시예 28: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2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17 g, 0.50 mmol)과 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0.078 g, 0.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3%)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8.69 (s, 1H), 7.78 (s, 1H), 7.29-7.41 (m, 5H), 6.97 (m, 2H), 6.85 (m, 2H), 4.27 (m, 1H), 3.91-4.00 (m, 3H), 3.72 (s, 2H), 3.68 (m, 1H), 3.52 (m, 1H), 3.37 (m, 1H), 2.09 (m, 1H), 1.96 (m, 1H), 1.86 (m, 1H), 1.56 (m, 1H), 1.34 (t, 3H)
실시예 29: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3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17 g, 0.50 mmol)과 3-페닐포로판오일 클로라이드 (0.08 g, 0.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7.86 (s, 1H), 7.30 (t, J = 7.6 Hz, 2H), 7.22 (dd, J = 17.1, 7.3 Hz, 3H), 7.12 (s, 1H), 6.98-6.90 (m, 2H), 6.88-6.70 (m, 2H), 4.35-4.27 (m, 1H), 4.02-3.85 (m, 3H), 3.72-3.59 (2H), 3.46-3.38 (m, 1H), 3.09-3.01 (m, 2H), 2.66 (t, J = 7.6 Hz, 2H), 2.09 (d, J = 12.2 Hz, 1H), 2.02-1.87 (m, 2H), 1.57 (q, J = 4.3 Hz, 1H), 1.33 (t, J = 7.0 Hz, 3H)
실시예 30: ( R )-2-(3-클로로페닐)-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4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17 g, 0.50 mmol)과 3-클로로페닐아세틸 클로라이드 (0.08 g, 0.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0%)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8.66 (s, 1H), 7.86 (s, 1H), 7.29-7.33 (m, 3H), 7.21 (m, 1H), 6.97 (m, 2H), 6.86 (m, 2H), 4.29 (m, 1H), 3.90-4.00 (m, 3H), 3.72 (m, 3H), 3.59 (m, 1H), 3.41 (m, 1H), 2.09 (m, 1H), 1.96 (m, 1H), 1.86 (m, 1H), 1.56 (m, 1H), 1.36 (t, 3H)
실시예 31: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메틸-2-페닐프로판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5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17 g, 0.50 mmol)과 2-메틸-2-페닐프로판오일 클로라이드 (0.08 g, 0.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0%)
1H NMR (400 MHz, CHLOROFORM-D): δ 8.75 (s, 1H), 7.82 (s, 1H), 7.33-7.43 (m, 4H), 7.31 (m, 1H), 7.02 (s, 1H), 6.79-6.93 (m, 4H), 4.23 (m, 1H), 3.91-4.00 (m, 3H), 3.69 (m, 1H), 3.41 (m, 1H), 3.27 (m, 1H), 2.08 (m, 1H), 1.91 (m, 1H), 1.85 (m, 1H), 1.66 (s, 6H), 1.55 (m, 1H), 1.34 (t, 3H)
실시예 32: ( R )-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6
단계 1: 메틸 ( R )-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에이트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40 g, 1.27 mmol)과 메틸 4-(2-클로로-2-옥소에틸)벤조에이트 (0.74 g, 3.82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에스테르를 얻었다. (수율 5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8.05 (d, J = 8.6 Hz, 2H), 7.86 (s, 1H), 7.40 (d, J = 8.6 Hz, 2H), 7.22 (s, 1H), 6.93 (q, J = 7.9 Hz, 2H), 6.83 (q, J = 7.1 Hz, 2H), 4.34-4.19 (m, 1H), 4.04-3.85 (m, 6H), 3.76 (s, 2H), 3.71-3.64 (m, 1H), 3.57 (q, J = 6.9 Hz, 1H), 3.45-3.33 (m, 1H), 2.09 (td, J = 7.9, 4.1 Hz, 1H), 2.03-1.94 (m, 1H), 1.92-1.80 (m, 1H), 1.56 (q, J = 4.3 Hz, 1H), 1.33 (t, J = 7.0 Hz, 3H)
단계 2: ( R )-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32 g, 0.65 mmol)을 2N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8.09 (d, J = 7.9 Hz, 2H), 7.89 (s, 1H), 7.52 (s, 1H), 7.41 (d, J = 7.9 Hz, 2H), 6.92 (q, J = 7.7 Hz, 2H), 6.86-6.65 (m, 2H), 4.42-4.13 (m, 1H), 4.11-3.86 (m, 3H), 3.78 (s, 2H), 3.70-3.55 (m, 2H), 3.44-3.36 (m, 1H), 2.33-2.02 (m, 1H), 1.96 (td, J = 6.7, 3.7 Hz, 1H), 1.89 (q, J = 4.1 Hz, 1H), 1.65-1.48 (m, 1H), 1.31 (t, J = 7.0 Hz, 3H)
실시예 33: ( R )-3-(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7
단계 1: 메틸 ( R )-3-(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에이트
제조예 2에서 얻은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0.40 g, 1.27 mmol)과 메틸 3-(2-클로로-2-옥소에틸)벤조에이트 (0.74 g, 3.82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6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에스테르를 얻었다. (수율 2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8.00 (d, J = 6.7 Hz, 2H), 7.86 (s, 1H), 7.55 (d, J = 7.3 Hz, 1H), 7.47 (t, J = 7.9 Hz, 1H), 7.21 (s, 1H), 6.94 (q, J = 7.9 Hz, 2H), 6.87-6.77 (m, 2H), 4.34-4.24 (m, 1H), 4.05-3.84 (m, 6H), 3.76 (s, 2H), 3.73-3.64 (m, 1H), 3.58 (q, J = 6.7 Hz, 1H), 3.39 (td, J = 8.9, 4.1 Hz, 1H), 2.19-2.05 (m, 1H), 1.98 (q, J = 3.3 Hz, 1H), 1.90 (q, J = 4.1 Hz, 1H), 1.68-1.58 (1H), 1.33 (t, J = 6.7 Hz, 3H)
단계 2: ( R )-3-(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12 g, 0.25 mmol)을 2N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8.06 (s, 1H), 8.02 (d, J = 7.3 Hz, 1H), 7.87 (s, 1H), 7.81 (s, 1H), 7.56 (d, J = 7.3 Hz, 1H), 7.47-7.41 (m, 1H), 6.95-6.85 (m, 2H), 6.84-6.71 (m, 2H), 4.35-4.21 (m, 1H), 3.98-3.84 (m, 3H), 3.77 (s, 2H), 3.67-3.54 (m, 2H), 3.43-3.35 (m, 1H), 2.05 (q, J = 4.1 Hz, 1H), 1.94 (td, J = 6.7, 3.3 Hz, 1H), 1.90-1.80 (m, 1H), 1.64-1.47 (m, 1H), 1.30 (t, J = 7.0 Hz, 3H)
실시예 34: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8
단계 1: 메틸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98 g, 2.93 mmol)과 제조예 6에서 제조한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0.61 g, 2.93 mmol),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0) (0.16 g, 0.18 mmol), 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9,9-다이메틸잔틴 (0.15 g, 0.26 mmol), 세슘 카보네이트 (2.39 g, 7.33 mmol)을 다이옥산 50 ml에 넣고 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상온으로 식힌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 식히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소금물로 씻은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에틸아세테이트 : 헥산 = 3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8%)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7.85 (s, 1H), 7.32-7.28 (m, 4H), 7.24 (s, 1H), 6.97-6.89 (m, 2H), 6.88-6.77 (m, 2H), 4.31-4.24 (m, 1H), 4.03-3.89 (m, 3H), 3.69 (m, 3H), 3.67 (d, J = 7.9 Hz, 3H), 3.63 (s, 2H), 3.54 (q, J = 6.9 Hz, 1H), 3.41-3.33 (m, 1H), 2.08 (q, J = 4.1 Hz, 1H), 2.00-1.93 (m, 1H), 1.88 (q, J = 4.1 Hz, 1H), 1.55 (t, J = 4.6 Hz, 1H), 1.34 (t, J = 7.0 Hz, 3H)
단계 2: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1.0g, 1.98 mmol)를 THF-메탄올 (40 ml, 3:1)에 녹이고 2N 수산화나트륨 용액(10 ml, 19.8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 시킨 후 물로 희석시키고 2N 염산 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아세톤 : 디클로로메탄 = 1 : 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2 (s, 1H), 7.84 (s, 1H), 7.42 (s, 1H), 7.36-7.17 (m, 4H), 6.95-6.87 (m, 2H), 6.87-6.78 (m, 2H), 4.30-4.21 (m, 1H), 4.00-3.86 (m, 3H), 3.67 (s, 2H), 3.63 (t, J = 14.7 Hz, 3H), 3.51 (td, J = 14.4, 7.4 Hz, 1H), 3.39-3.29 (m, 1H), 2.06 (q, J = 3.5 Hz, 1H), 1.93 (td, J = 6.7, 3.1 Hz, 1H), 1.85 (q, J = 4.1 Hz, 1H), 1.53 (q, J = 4.5 Hz, 1H), 1.31 (t, J = 7.0 Hz, 3H)
실시예 35: ( R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19
실시예 34에서 얻어진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0.27 g, 0.55 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이고 상온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 (0.08 ml, 1.1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4시간 교반시킨 후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고 THF로 묽힌 후 0℃에서 25% 암모니아 수용액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건조시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92-7.77 (1H), 7.36-7.27 (m, 5H), 6.99-6.90 (m, 2H), 6.89-6.80 (m, 2H), 5.39 (s, 2H), 4.31-4.24 (m, 1H), 4.03-3.89 (3H), 3.70 (s, 2H), 3.69-3.65 (m, 1H), 3.58 (s, 2H), 3.56-3.50 (1H), 3.41-3.33 (1H), 2.13-2.06 (m, 1H), 1.96 (td, J = 6.7, 3.5 Hz, 1H), 1.88 (q, J = 4.1 Hz, 1H), 1.59-1.51 (m, 1H), 1.35 (t, J = 6.7 Hz, 3H)
실시예 36: ( R )- N -(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0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25 g, 0.75 mmol)과 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마이드 (0.11 g, 0.7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7.82 (s, 1H), 7.31 (m, 1H), 7.14 (d, 2H), 6.98 (m, 2H), 6.84 (m, 4H), 4.27 (m, 1H), 3.95 (m, 3H), 3.63 (m, 3H), 3.55 (m, 1H), 3.37 (m, 1H), 2.04 (m, 1H), 1.98-1.83 (m, 2H), 1.55 (m, 1H), 1.34 (t, 3H)
실시예 37: ( R )-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뷰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1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 g, 0.15 mmol)과 제조예 7에서 얻은 에틸 4-(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뷰탄오에이트 (0.04 g, 0.1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7.85 (s, 1H), 7.29 (s, 1H), 7.22 (d, 2H), 6.97-6.80 (m, 6H), 4.26 (m, 1H), 4.02 (t, 2H), 3.94 (m, 3H), 3.67 (m, 3H), 3.52 (m, 1H), 3.37 (m, 1H), 2.57 (t, 2H), 2.13 (m, 3H), 1.98-1.83 (m, 2H), 1.56 (m, 1H), 1.35 (t, 3H)
실시예 38: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2
제조예 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30 g, 0.90 mmol)과 제조예 8에서 얻은 에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24 g, 0.9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2 (s, 1H), 7.85 (s, 1H), 7.50 (s, 1H), 7.17 (d, 2H), 6.96-6.82 (m, 6H), 4.29 (m, 1H), 4.01-3.89 (m, 3H), 3.62 (m, 3H), 3.55 (m, 1H), 3.37 (m, 1H), 2.07 (m, 1H), 1.93 (m, 1H), 1.88 (m, 1H), 1.58 (m, 7H), 1.34 (t, 3H)
실시예 39: ( R )-2-(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3
단계 1: 메틸 ( R )-2-(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과 제조예 9에서 제조한 메틸 2-(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5%)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73 (s, 1H), 7.81 (d, J = 4.3 Hz, 1H), 7.41-7.27 (m, 4H), 7.06 (s, 1H), 6.98-6.86 (m, 2H), 6.85-6.69 (m, 2H), 4.33-4.16 (m, 1H), 4.04-3.85 (m, 3H), 3.66 (td, J = 9.0, 3.7 Hz, 1H), 3.61 (d, J = 4.9 Hz, 3H), 3.43 (dd, J = 13.1, 7.6 Hz, 1H), 3.37-3.21 (m, 1H), 2.13-2.04 (m, 1H), 1.98-1.78 (m, 2H), 1.62 (s, 6H), 1.58-1.44 (m, 7H), 1.32 (t, J = 7.0 Hz, 3H)
단계 2: ( R )-2-(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7.83 (s, 1H), 7.44-7.26 (m, 4H), 7.06 (s, 1H), 6.94-6.88 (m, 2H), 6.83-6.77 (m, 2H), 4.23-4.21 (m, 1H), 4.13-3.91 (m, 3H), 3.63 (m, 1H), 3.46 (m, 1H), 3.28 (m, 1H), 2.05 (m, 1H), 1.98-1.78 (m, 2H), 1.64 (s, 3H), 1.59 (s, 3H), 1.58-1.44 (m, 1H), 1.32 (t, J = 7.0 Hz, 3H)
실시예 40: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51 g, 1.53 mmol)과 제조예 10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0.32 g, 1.53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8.02 (d, 2H), 7.89 (s, 1H), 7.33 (m, 3H), 6.93 (m, 2H), 6.84 (m, 2H), 4.31 (m, 1H), 4.00-3.86 (m, 3H), 3.64 (m, 2H), 3.43 (m, 1H), 3.12 (t, 2H), 2.71 (t, 2H), 2.11 (m, 1H), 1.98 (m, 1H), 1.90 (m, 1H), 1.58 (m, 1H), 1.34 (t, 3H)
실시예 41: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5
단계 1: 메틸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9 g, 0.28 mmol)과 제조예 11에서 제조한 메틸 (E)-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0.07 g, 0.33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2 (s, 1H), 8.08-7.94 (3H), 7.88 (d, J = 4.3 Hz, 1H), 7.81-7.69 (m, 1H), 7.54 (t, J = 4.0 Hz, 2H), 7.26 (d, J = 4.9 Hz, 0H), 7.01-6.90 (2H), 6.88-6.78 (m, 2H), 6.66 (d, J = 15.3 Hz, 1H), 4.36-4.18 (m, 1H), 4.10 (qd, J = 7.0, 4.7 Hz, 3H), 4.05-3.94 (m, 3H), 3.93-3.84 (m, 4H), 3.83-3.64 (m, 1H), 3.55 (dt, J = 12.8, 3.7 Hz, 1H), 3.37 (td, J = 8.9, 3.9 Hz, 1H), 2.19-2.07 (m, 1H), 2.03 (d, J = 4.3 Hz, 5H), 1.94 (s, 2H), 1.90-1.78 (m, 1H), 1.63-1.48 (m, 1H), 1.41-1.30 (m, 3H), 1.28-1.10 (m, 6H)
단계 2: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07 g, 0.14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0 (s, 1H), 8.12 (d, J = 7.9 Hz, 2H), 7.93 (s, 1H), 7.80 (d, J = 15.1 Hz, 1H), 7.64 (d, J = 7.8 Hz, 2H), 7.48 (d, J = 18.3 Hz, 1H), 6.96 (t, J = 7.6 Hz, 2H), 6.88 (dd, J = 14.2, 8.1 Hz, 2H), 6.62 (d, J = 15.9 Hz, 1H), 4.35 (s, 1H), 4.08-3.85 (m, 3H), 3.79-3.62 (m, 2H), 3.49 (s, 1H), 2.15 (d, J = 26.9 Hz, 2H), 2.01 (s, 1H), 1.94 (d, J = 7.9 Hz, 1H), 1.58 (d, J = 38.5 Hz, 2H), 1.44-1.33 (m, 4H), 1.23 (dd, J = 38.5, 15.9 Hz, 3H), 0.96-0.75 (m, 2H)
실시예 42: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6
단계 1: 메틸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66 g, 1.99 mmol)과 제조예 12에서 제조한 메틸 (E)-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에이트 (0.52 g, 2.39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7%)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1-8.77 (1H), 8.08 (d, J = 7.9 Hz, 2H), 7.92 (d, J = 4.3 Hz, 1H), 7.67 (s, 1H), 7.51-7.42 (m, 3H), 7.00-6.95 (m, 1H), 6.95-6.90 (1H), 6.87 (d, J = 7.9 Hz, 2H), 4.37-4.29 (m, 1H), 4.06-3.96 (m, 2H), 3.94 (s, 3H), 3.81-3.71 (1H), 3.66 (q, J = 6.7 Hz, 1H), 3.52-3.42 (m, 1H), 2.21 (d, J = 1.8 Hz, 3H), 2.19-2.08 (m, 1H), 2.03-1.87 (m, 2H), 1.61 (qd, J = 8.9, 4.7 Hz, 1H), 1.36 (q, J = 6.5 Hz, 3H)
단계 2: ( R , E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69 g, 1.34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79 (s, 1H), 8.13 (s, 2H), 7.93 (s, 1H), 7.69 (s, 1H), 7.48 (s, 3H), 7.02-6.67 (m, 5H), 4.33 (s, 1H), 4.00 (d, J = 9.2 Hz, 3H), 3.81-3.59 (2H), 2.21 (s, 3H), 2.13 (s, 1H), 2.03 (s, 1H), 1.96-1.87 (1H), 1.65 (d, J = 31.2 Hz, 7H), 1.36 (s, 5H), 1.30-1.16 (1H)
실시예 43: 4-(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7
단계 1: 메틸 4-(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95 g, 2.83 mmol)과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0.75 g, 3.4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81-8.77 (1H), 8.08 (d, J = 7.9 Hz, 2H), 7.92 (d, J = 4.3 Hz, 1H), 7.67 (s, 1H), 7.51-7.42 (m, 3H), 7.00-6.95 (m, 1H), 6.95-6.90 (1H), 6.87 (d, J = 7.9 Hz, 2H), 4.37-4.29 (m, 1H), 4.06-3.96 (m, 2H), 3.94 (s, 3H), 3.81-3.71 (1H), 3.66 (q, J = 6.7 Hz, 1H), 3.52-3.42 (m, 1H), 2.21 (d, J = 1.8 Hz, 3H), 2.19-2.08 (m, 1H), 2.03-1.87 (m, 2H), 1.61 (qd, J = 8.9, 4.7 Hz, 1H), 1.36 (q, J = 6.5 Hz, 3H)
단계 2: 4-(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1.35 g, 2.60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9%)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d, J = 3.4 Hz, 1H), 7.98 (dd, J = 12.5, 8.1 Hz, 2H), 7.86 (s, 1H), 7.30 (d, J = 10.7 Hz, 2H), 7.18 (s, 0H), 7.04 (s, 0H), 6.98-6.89 (m, 2H), 6.85 (d, J = 7.8 Hz, 2H), 6.79 (d, J = 8.3 Hz, 0H), 4.29 (s, 1H), 4.05-3.86 (m, 3H), 3.67 (s, 1H), 3.61-3.51 (m, 1H), 3.44-3.29 (m, 1H), 3.21-3.08 (m, 1H), 2.88-2.75 (m, 1H), 2.64 (t, J = 6.3 Hz, 1H), 2.13 (d, J = 35.2 Hz, 1H), 1.96 (s, 1H), 1.91-1.76 (m, 1H), 1.64-1.49 (m, 1H), 1.34 (q, J = 6.3 Hz, 3H), 1.29 (d, J = 6.8 Hz, 3H)
실시예 44: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8
단계 1: 메틸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39 g, 1.15 mmol)과 제조예 14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에이트 (0.26 g, 1.1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8%)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7 (t, J = 7.6 Hz, 2H), 7.24-7.15 (1H), 7.08 (d, J = 7.9 Hz, 1H), 7.02 (d, J = 12.2 Hz, 1H), 6.93 (t, J = 7.3 Hz, 2H), 6.84 (q, J = 7.9 Hz, 2H), 4.40-4.24 (m, 1H), 3.96 (dd, J = 15.0, 8.3 Hz, 2H), 3.91 (s, 3H), 3.88 (d, J = 2.4 Hz, 1H), 3.67 (t, J = 3.1 Hz, 1H), 3.62 (t, J = 6.4 Hz, 1H), 3.44 (t, J = 4.6 Hz, 1H), 3.08 (t, J = 7.6 Hz, 2H), 2.68 (t, J = 7.3 Hz, 2H), 2.15-2.06 (m, 1H), 1.97 (t, J = 3.4 Hz, 1H), 1.91 (q, J = 4.1 Hz, 1H), 1.57 (q, J = 4.3 Hz, 1H), 1.33 (t, J = 7.0 Hz, 3H)
단계 2: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41 g, 0.79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93 (d, J = 7.3 Hz, 1H), 7.89 (s, 1H), 7.44-7.30 (1H), 7.09 (d, J = 7.9 Hz, 1H), 7.03 (d, J = 11.9 Hz, 1H), 6.92 (t, J = 7.3 Hz, 2H), 6.84 (q, J = 7.1 Hz, 2H), 4.31 (d, J = 3.1 Hz, 1H), 4.05-3.82 (m, 3H), 3.71-3.57 (m, 2H), 3.55-3.37 (m, 1H), 3.09 (t, J = 7.4 Hz, 2H), 2.77-2.53 (2H), 2.09 (d, J = 4.3 Hz, 1H), 1.98 (s, 1H), 1.90 (d, J = 8.6 Hz, 1H), 1.57 (q, J = 4.3 Hz, 1H), 1.33 (t, J = 7.0 Hz, 3H)
실시예 45: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29
단계 1: 메틸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35 g, 1.05 mmol)과 제조예 15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에이트 (0.23 g, 1.0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3%)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5 (d, J = 7.3 Hz, 2H), 7.23 (s, 1H), 7.10 (d, J = 6.1 Hz, 2H), 7.03-6.90 (m, 2H), 6.89-6.73 (m, 2H), 4.45-4.24 (m, 1H), 4.09-3.80 (m, 6H), 3.80-3.57 (2H), 3.42 (dd, J = 8.9, 3.4 Hz, 1H), 3.03 (t, J = 7.9 Hz, 2H), 2.66 (t, J = 7.6 Hz, 2H), 2.57 (s, 3H), 2.09 (d, J = 4.9 Hz, 1H), 1.97 (td, J = 6.7, 3.7 Hz, 1H), 1.91 (q, J = 4.1 Hz, 1H), 1.57 (t, J = 4.3 Hz, 1H), 1.44-1.29 (m, 3H)
단계 2: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33 g, 0.64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98 (d, J = 8.8 Hz, 1H), 7.87 (s, 1H), 7.14 (s, 3H), 6.95-6.91 (m, 2H), 6.88-6.83 (m, 2H), 4.31 (m, 1H), 3.98-3.92 (m, 3H), 3.65 (2H), 3.45 (m, 1H), 3.06 (m, 2H), 2.68 (m, 2H), 2.61 (s, 3H), 2.09 (m, 1H), 1.97 (m, 1H), 1.91 (m, 1H), 1.57 (m, 1H), 1.35 (t, 3H)
실시예 46: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톡시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0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16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톡시벤조에이트 (0.07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8.09 (d, 1H), 7.88 (s, 1H), 7.38 (s, 1H), 7.02-6.83 (m, 6H), 4.31 (m, 1H), 4.05-3.89 (m, 6H), 3.63 (m, 2H), 3.44 (m, 1H), 3.12 (t, 2H), 2.73 (t, 2H), 2.08 (m, 1H), 1.94 (m, 2H), 1.58 (m, 1H), 1.35 (t, 3H)
실시예 47: ( R )-2-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1
단계 1: 메틸 ( R )-2-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과 제조예 17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클로로벤조에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65 (s, 1H), 7.87 (s, 1H), 7.78 (d, J = 8 Hz, 1H), 7.36-7.33 (m, 2H), 7.18 (d, J = 8 Hz, 1H), 7.36-7.33 (m, 2H), 7.18 (d, J = 8 Hz, 1H), 6.95-6.91 (m, 2H), 6.87-6.82 (m, 2H), 4.31-4.30 (m, 1H), 3.99-3.92 (m, 3H), 3.91 (s, 3H), 3.66-3.61 (m, 2H), 3.42 (m, 1H), 3.05 (t, J = 7.4 Hz, 2H), 2.67 (t, J = 7.4 Hz, 2H), 2.09-2.07 (m, 1H), 1.96-1.89 (m, 2H), 1.58 (m, 1H), 1.33 (t, J = 7 Hz, 3H)
단계 2: ( R )-2-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64 (s, 1H), 7.88 (s, 1H), 7.79 (m, 1H), 7.64 (m, 1H), 7.11 (m, 1H), 6.91-6.89 (m, 2H), 6.85-6.81 (m, 2H), 4.29 (m, 1H), 3.98-3.88 (m, 3H), 3.62 (m, 2H), 3.40 (m, 1H), 3.00 (m, 2H), 2.66 (m, 2H), 2.04 (m, 1H), 1.94 (m, 1H), 1.88 (m, 1H), 1.56 (m, 1H), 1.31 (t, J = 6 Hz, 3H)
실시예 48: ( R )-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18에서 제조한 메틸 3-(3-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0.06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8.01 (s, 1H), 7.98 (d, 1H), 7.90 (s, 1H), 7.60 (s, 1H), 7.49 (d, 1H), 7.45 (t, 1H), 7.02-6.80 (m, 4H), 4.32 (m, 1H), 4.02-3.85 (m, 3H), 3.67 (m, 2H), 3.46 (m, 1H), 3.14 (t, 2H), 2.74 (t, 2H), 2.12-1.92 (m, 3H), 1.60 (m, 1H), 1.37 (t, 3H)
실시예 49: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3
단계 1: 메틸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1.00 g, 3.00 mmol)과 제조예 19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테이트 (0.66 g, 3.0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80%)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7.90-7.81 (1H), 7.35 (d, J = 7.3 Hz, 1H), 7.18 (td, J = 8.9, 2.6 Hz, 4H), 6.96-6.88 (m, 2H), 6.86-6.75 (m, 2H), 4.37-4.24 (m, 1H), 4.00-3.86 (m, 3H), 3.69 (t, J = 2.4 Hz, 1H), 3.66 (s, 3H), 3.61 (t, J = 6.7 Hz, 1H), 3.58 (s, 2H), 3.40 (td, J = 8.7, 3.9 Hz, 1H), 3.09-2.94 (m, 2H), 2.64 (t, J = 7.6 Hz, 2H), 2.08 (q, J = 4.1 Hz, 1H), 1.96 (td, J = 6.7, 3.1 Hz, 1H), 1.92-1.83 (m, 1H), 1.56 (q, J = 4.5 Hz, 1H), 1.32 (t, J = 6.7 Hz, 3H)
단계 2: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1.24 g, 2.39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7%)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94-7.77 (1H), 7.40 (s, 1H), 7.19 (dd, J = 19.9, 8.3 Hz, 4H), 6.95-6.88 (m, 2H), 6.87-6.73 (2H), 4.35-4.26 (m, 1H), 4.04-3.84 (m, 3H), 3.69-3.60 (m, 2H), 3.59 (s, 2H), 3.41 (t, J = 4.6 Hz, 1H), 3.00 (t, J = 7.3 Hz, 2H), 2.63 (t, J = 7.6 Hz, 2H), 2.07 (q, J = 4.1 Hz, 1H), 1.96 (q, J = 3.3 Hz, 1H), 1.89 (q, J = 4.1 Hz, 1H), 1.55 (q, J = 4.3 Hz, 1H), 1.31 (t, J = 6.7 Hz, 3H)
실시예 50: ( R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프로판아미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4
실시예 49에서 얻어진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0.21 g, 0.42 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35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2%)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6 (s, 1H), 7.21 (q, J = 7.5 Hz, 5H), 6.98-6.90 (m, 2H), 6.89-6.80 (m, 2H), 5.38 (s, 2H), 4.35-4.25 (m, 1H), 4.02-3.87 (m, 3H), 3.68 (qd, J = 6.5, 4.0 Hz, 1H), 3.61 (q, J = 6.9 Hz, 1H), 3.54 (s, 2H), 3.46-3.37 (1H), 3.03 (t, J = 7.6 Hz, 2H), 2.66 (t, J = 7.6 Hz, 2H), 2.15-2.05 (m, 1H), 2.04-1.94 (m, 1H), 1.94-1.83 (m, 1H), 1.57 (q, J = 4.5 Hz, 1H), 1.34 (t, J = 7.0 Hz, 3H)
실시예 51: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5
단계 1: 메틸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48 g, 1.44 mmol)과 제조예 20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36 g, 1.4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1%)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6 (s, 1H), 7.27 (d, J = 7.9 Hz, 2H), 7.20 (d, J = 8.6 Hz, 2H), 7.16 (s, 1H), 6.93 (qd, J = 7.3, 1.5 Hz, 2H), 6.85 (td, J = 7.6, 1.4 Hz, 1H), 6.80 (d, J = 7.9 Hz, 1H), 4.45-4.24 (m, 1H), 4.06-3.80 (m, 3H), 3.78-3.65 (m, 2H), 3.64-3.57 (3H), 3.45 (q, J = 3.9 Hz, 1H), 3.15-2.93 (2H), 2.65 (t, J = 7.6 Hz, 2H), 2.21-2.07 (1H), 1.99 (td, J = 6.7, 3.1 Hz, 1H), 1.92 (q, J = 4.1 Hz, 1H), 1.59 (t, J = 4.0 Hz, 1H), 1.55 (s, 6H), 1.33 (t, J = 7.0 Hz, 3H)
단계 2: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72 g, 1.32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6 (s, 1H), 7.33 (d, J = 8.6 Hz, 2H), 7.19 (d, J = 7.9 Hz, 3H), 6.98-6.89 (m, 2H), 6.88-6.76 (m, 2H), 4.29 (q, J = 3.7 Hz, 1H), 4.08-3.81 (m, 3H), 3.65 (d, J = 2.4 Hz, 1H), 3.60 (q, J = 6.7 Hz, 1H), 3.40 (s, 1H), 3.01 (t, J = 7.3 Hz, 2H), 2.65 (t, J = 4.0 Hz, 2H), 2.08 (q, J = 4.1 Hz, 1H), 1.96 (q, J = 3.5 Hz, 1H), 1.89 (q, J = 4.3 Hz, 1H), 1.57 (s, 7H), 1.32 (t, J = 7.0 Hz, 3H)
실시예 52: ( R )-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6
단계 1: 메틸 ( R )-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48 g, 1.44 mmol)과 제조예 21에서 제조한 메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르복실레이트 (0.36 g, 1.4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의 단계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6 (s, 1H), 7.35-7.24 (m, 2H), 7.21-7.10 (m, 3H), 6.98-6.89 (m, 2H), 6.86 (dd, J = 7.6, 1.5 Hz, 1H), 6.81 (dd, J = 7.6, 1.5 Hz, 1H), 4.37-4.26 (m, 1H), 4.06-3.83 (m, 3H), 3.72-3.62 (m, 2H), 3.60 (s, 3H), 3.48-3.38 (m, 1H), 3.03 (td, J = 7.6, 3.3 Hz, 2H), 2.66 (t, J = 7.3 Hz, 2H), 2.15-2.06 (m, 1H), 2.02-1.95 (m, 1H), 1.92 (q, J = 4.1 Hz, 1H), 1.60-1.51 (m, 3H), 1.33 (t, J = 7.0 Hz, 3H), 1.15 (q, J = 3.5 Hz, 2H)
단계 2: ( R )-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복실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 (0.6 g, 1.10 mmol)을 실시예 34의 단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를 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5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6 (s, 1H), 7.36-7.27 (3H), 7.17 (d, J = 7.9 Hz, 2H), 6.92 (t, J = 7.0 Hz, 2H), 6.84 (q, J = 7.9 Hz, 2H), 4.30 (q, J = 3.5 Hz, 1H), 4.07-3.82 (m, 3H), 3.76-3.55 (m, 2H), 3.42 (t, J = 4.6 Hz, 1H), 3.01 (t, J = 7.6 Hz, 2H), 2.64 (t, J = 7.6 Hz, 2H), 2.08 (q, J = 4.1 Hz, 1H), 2.04-1.94 (m, 1H), 1.90 (q, J = 4.1 Hz, 1H), 1.63 (q, J = 3.3 Hz, 2H), 1.56 (q, J = 4.3 Hz, 1H), 1.33 (t, J = 7.0 Hz, 3H), 1.21 (q, J = 3.3 Hz, 2H)
실시예 53: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플루오로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7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2에서 제조한 메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6-다이플루오로벤조에이트 (0.07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1 (s, 1H), 7.90 (s, 1H), 7.44 (s, 1H), 7.05-6.80 (m, 6H), 4.33 (m, 1H), 4.06-3.85 (m, 3H), 3.68 (m, 2H), 3.47 (m, 1H), 3.04 (t, 2H), 2.67 (t, 2H), 2.15-1.84 (m, 3H), 1.60 (m, 1H), 1.34 (t, 3H)
실시예 54: ( R )-2,6-다이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8
단계 1: 2-(트리메틸실릴)에틸 ( R )-2,6-다이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과 제조예 23에서 제조한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클로로벤조에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6%)
1H NMR (300MHz, CHLOROFORM-D): δ 8.65 (s, 1H), 7.89 (s, 1H), 7.32 (s, 1H), 7.22 (s, 2H), 6.97-6.84 (m, 4H), 4.50-4.44 (m, 2H), 4.41-4.33 (m, 1H), 3.98-3.89 (m, 1H), 3.98-3.89 (m, 2H), 3.73-3.66 (m, 2H), 3.51-3.38 (m, 1H), 3.04-2.66 (m, 4H), 2.13-2.06 (m, 4H), 1.34 (t, J = 7.2 Hz, 3H), 1.19-1.13 (m, 2H), 0.09 (s, 9H)
단계 2: ( R )-2,6-다이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를 질소 존재하에서 THF 1 ml에 녹인 뒤 0℃에서 1.0M 테트라뷰틸암모늄플로라이드 (0.063 mL, 0.063 mmo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출발 물질이 사라짐을 TLC로 확인한 후 THF를 감압 농축하여 물 3 ml와 함께 1N 염산용액으로 산도 2로 맞추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얻었다.
1H NMR (300MHz, CHLOROFORM-D): δ 8.58 (s, 1H), 7.88 (s, 1H), 7.47 (s, 1H), 7.18 (s, 2H), 6.96-6.86 (m, 4H), 4.41-4.35 (m, 1H), 4.00-3.88 (m, 1H), 4.00-3.88 (m, 2H), 3.73-3.69 (m, 2H), 3.67-3.54 (m, 1H), 3.01-2.66 (m, 4H), 2.14-1.42 (m, 4H), 1.00 (t, J = 7.2 Hz, 3H)
실시예 55: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39
단계 1: 2-(트리메틸실릴)에틸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35 g, 1.05 mmol)과 제조예 24에서 제조한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4-(3-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에이트 (0.34 g, 1.0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5%)
1H NMR (400MHz, CHLOROFORM-D): δ 8.67 (s, 1H), 7.87 (s, 1H), 7.13 (s, 1H), 6.81-6.96 (m, 6H), 4.37-4.41 (m, 2H), 4.31 (m, 1H), 3.94 (m, 2H), 3.66-3.75 (m, 2H), 3.45 (m, 1H), 2.99 (m, 2H), 2.63 (m, 2H), 2.30 (s, 6H), 2.15 (m, 1H), 2.02 (m, 1H), 1.85 (m, 1H), 1.34 (t, 3H), 1.12 (m, 2H)
단계 2: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0.29 g, 0.47 mmol)를 실시예 54의 단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8%)
1H NMR (400MHz, CHLOROFORM-D): δ 8.63 (s, 1H), 7.86 (s, 1H), 7.19 (s, 1H), 6.82-6.95 (m, 6H), 4.31 (m, 1H), 3.91-3.78 (m, 3H), 3.65 (m, 2H), 3.43 (m, 1H), 2.97 (m, 2H), 2.64 (m, 2H), 2.38 (s, 6H), 2.08 (m, 1H), 1.92 (m, 1H), 1.89 (m, 1H), 1.59 (m, 1H), 1.34 (t, 3H)
실시예 56: ( R )-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0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5에서 제조한 에틸 1-(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09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7 (s, 1H), 7.87 (s, 1H), 7.14 (s, 1H), 7.14 (d, 2H), 6.95-6.82 (m, 6H), 4.31 (m, 1H), 4.15-3.89 (m, 3H), 3.70-3.58 (m, 4H), 3.46 (m, 1H), 2.98 (t, 2H), 2.76 (t, 2H), 2.65 (t, 2H), 2.47 (m, 1H), 2.17-1.91 (m, 7H), 1.59 (m, 1H), 1.36 (t, 3H)
실시예 57: ( R )-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6에서 제조한 에틸 1-(4-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09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7 (s, 1H), 7.94 (s, 1H), 7.80 (s, 1H), 7.39 (d, 2H), 6.98-6.84 (m, 4H), 4.36 (m, 1H), 4.04-3.91 (m, 3H), 3.80-3.68 (m, 2H), 3.53 (m, 1H), 3.49 (m, 2H), 3.21 (t, 2H), 2.57 (m, 1H), 2.11-1.88 (m, 7H), 1.63 (m, 1H), 1.36 (t, 3H)
실시예 58: ( R )-2-(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7에서 제조한 에틸 2-(1-(4-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아세테이트 (0.10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7 (s, 1H), 7.93 (s, 1H), 7.81 (s, 1H), 7.40 (d, 2H), 6.98-6.83 (m, 4H), 4.36 (m, 1H), 4.04-3.90 (m, 3H), 3.78-3.68 (m, 2H), 3.52 (m, 1H), 3.49 (m, 2H), 3.17 (t, 2H), 2.36 (m, 2H), 2.21 (m, 1H), 1.99 (m, 3H), 1.85 (m, 2H), 1.62 (m, 1H), 1.45 (m, 2H), 1.36 (t, 3H)
실시예 59: ( R )-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34에서 제조한 에틸 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 (0.08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7.98-7.90 (m, 3H), 7.54 (s, 1H), 7.02-6.86 (m, 6H), 4.32 (m, 1H), 4.13-3.87 (m, 5H), 3.69 (m, 1H), 3.63 (m, 1H), 3.43 (m, 1H), 2.94 (m, 2H), 2.50 (m, 1H), 2.09-1.92 (m, 7H), 1.60 (m, 1H), 1.39 (t, 3H)
실시예 60: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8에서 제조한 에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8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2 (s, 1H), 7.85 (s, 1H), 7.36 (s, 1H), 7.09 (d, 2H), 6.95-6.80 (m, 6H), 4.30 (m, 1H), 4.00-3.87 (m, 3H), 3.63 (m, 2H), 3.42 (m, 1H), 2.98 (t, 2H), 2.2.64 (t, 2H), 2.08 (m, 1H), 1.96 (m, 1H), 1.90 (m, 1H), 1.56 (m, 7H), 1.33 (t, 3H)
실시예 61: ( R )-3-(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5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29에서 제조한 에틸 3-(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프로판오에이트 (0.08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5 (s, 1H), 7.43 (s, 1H), 7.15 (m, 4H), 6.93 (m, 2H), 6.82 (m, 2H), 4.30 (m, 1H), 3.94 (m, 3H), 3.64 (m, 2H), 3.43 (m, 1H), 2.99 (t, 2H), 2.92 (t, 2H), 2.64 (m, 4H), 2.08 (m, 1H), 1.96 (m, 1H), 1.90 (m, 1H), 1.57 (m, 1H), 1.33 (t, 3H)
실시예 62: ( R )-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벤조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6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30에서 제조한 에틸 4-(4-카바모일페녹시)벤조에이트 (0.09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4 (s, 1H), 8.14 (d, 2H), 7.93 (m, 4H), 7.16 (d, 2H), 7.10 (d, 2H), 6.97 (m, 1H), 6.88 (m, 3H), 4.36 (m, 1H), 4.00 (m, 3H), 3.73 (m, 2H), 3.52 (m, 1H), 2.12 (m, 1H), 2.04 (m, 1H), 1.95 (m, 1H), 1.62 (m, 1H), 1.45 (t, 3H)
실시예 63: ( R )-3-(4-(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7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31에서 제조한 메틸 (R)-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펜오에이트 (0.07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3 (s, 1H), 7.49 (s, 1H), 7.21 (m, 4H), 6.89 (m, 2H), 6.83 (m, 2H), 4.25 (m, 1H), 3.95 (m, 3H), 3.66 (m, 3H), 3.50 (m, 1H), 3.33 (m, 1H), 3.02 (m, 1H), 2.74 (m, 2H), 2.04 (m, 1H), 1.92 (m, 1H), 1.85 (m, 1H), 1.54 (m, 1H), 1.32 (t, 3H), 1.17 (d, 3H)
실시예 64: ( S )-3-(4-(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8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32에서 제조한 메틸 (S)-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펜오에이트 (0.07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3 (s, 1H), 7.52 (s, 1H), 7.22 (m, 4H), 6.89 (m, 2H), 6.83 (m, 2H), 4.25 (m, 1H), 3.94 (m, 3H), 3.66 (m, 3H), 3.53 (m, 1H), 3.35 (m, 1H), 3.04 (m, 1H), 2.73 (m, 2H), 2.06 (m, 1H), 1.92 (m, 1H), 1.86 (m, 1H), 1.53 (m, 1H), 1.32 (t, 3H), 1.16 (d, 3H)
실시예 65: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49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33에서 제조한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8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2 (s, 1H), 7.85 (s, 1H), 7.36 (s, 1H), 7.09 (d, 2H), 6.91 (m, 2H), 6.85 (m, 4H), 4.30 (m, 1H), 3.92 (m, 3H), 3.63 (m, 2H), 3.42 (m, 1H), 2.98 (t, 2H), 2.64 (t, 2H), 2.08 (m, 1H), 1.96 (m, 1H), 1.90 (m, 1H), 1.56 (m, 7H), 1.33 (t, 3H)
실시예 66: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0
단계 1: 메틸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제조예 71에서 얻은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과 제조예 6에서 얻은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4.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78 (d, J = 27.0 Hz, 1H), 7.52-7.36 (m, 2H), 7.30-7.19 (4H), 6.99-6.90 (m, 2H), 6.89-6.78 (m, 2H), 6.40-6.28 (m, 1H), 4.28-4.18 (m, 1H), 4.18-4.07 (1H), 4.05-3.91 (m, 2H), 3.86-3.74 (m, 1H), 3.65 (d, J = 8.2 Hz, 3H), 3.64-3.60 (m, 2H), 3.59 (s, 2H), 3.31-3.19 (1H), 3.15-3.02 (m, 1H), 2.20-2.05 (m, 1H), 1.86 (qd, J = 8.6, 4.5 Hz, 1H), 1.81-1.69 (m, 1H), 1.60-1.46 (m, 1H), 1.41-1.31 (m, 3H)
단계 2: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1.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64 (s, 1H), 7.47-7.37 (m, 2H), 7.27 (s, 4H), 7.00-6.91 (m, 2H), 6.91-6.78 (m, 2H), 6.34 (t, J = 4.6 Hz, 1H), 4.30-4.12 (m, 2H), 4.08-3.95 (m, 2H), 3.83-3.72 (1H), 3.66 (s, 2H), 3.63-3.56 (2H), 3.15 (dd, J = 12.8, 8.2 Hz, 1H), 3.10-2.97 (m, 1H), 2.22-2.08 (m, 1H), 1.86 (q, J = 4.4 Hz, 1H), 1.79-1.65 (m, 1H), 1.61-1.48 (m, 1H), 1.42-1.31 (m, 3H)
실시예 67: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1
단계 1: 메틸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테이트
메틸 2-(4-아미노페닐)아세테이트 (0.2 g, 1.211 mmol)를 DCM (18 ml)에 녹여서 트라이포스겐 (0.119 g, 0.400 mmol)과 TEA (0.338 ml, 2.421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감압 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해당 화합물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R)-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아민 (190 mg, 0.606 mmol)을 THF (20 ml) 녹여서 DIPEA (0.317 ml, 1.817 mmol)를 첨가하였다.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유기용매를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유기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10.86 (s, 1H), 9.15-9.09 (1H), 7.74 (d, J = 12.3 Hz, 1H), 7.61 (s, 1H), 7.51-7.41 (m, 2H), 7.15 (t, J = 9.1 Hz, 2H), 7.03-6.72 (m, 4H), 4.44-4.36 (m, 1H), 4.06-3.85 (m, 3H), 3.73 (q, J = 6.7 Hz, 1H), 3.68 (s, 3H), 3.67-3.63 (m, 1H), 3.56 (s, 2H), 3.54 (s, 1H), 2.16-2.01 (m, 2H), 2.01-1.86 (m, 1H), 1.74-1.60 (m, 1H), 1.31 (q, J = 7.3 Hz, 3H)
단계 2: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제조한 메틸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테이트 (11 mg, 0.022 mmol)을 사용하여 제조예 34의 단계 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5.9%)
1H-NMR (400 MHz, METHANOL-D4) δ7.83 (s, 1H), 7.70 (s, 1H), 7.68-7.64 (1H), 7.35 (d, J = 8.7 Hz, 2H), 7.15 (d, J = 8.7 Hz, 2H), 6.90-6.78 (m, 2H), 6.75-6.68 (m, 1H), 4.51 (d, J = 2.7 Hz, 1H), 4.00-3.90 (1H), 3.90-3.72 (m, 4H), 3.60-3.53 (1H), 3.51 (s, 2H), 2.11-2.00 (m, 2H), 1.95 (s, 1H), 1.25-1.14 (m, 3H), 0.79-0.68 (m, 1H)
실시예 68: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2
제조예 7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 (0.120 g, 0.361 mmol)과 제조예 36에서 제조한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02 g, 0.433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단계 수율 37.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23 (s, 1H), 7.54-7.39 (m, 2H), 7.36 (d, J = 7.8 Hz, 2H), 7.31-7.25 (m, 2H), 7.02-6.90 (m, 2H), 6.90-6.76 (m, 2H), 6.40-6.26 (m, 1H), 4.31-4.16 (m, 1H), 4.10-4.04 (m, 1H), 4.04-3.90 (m, 2H), 3.83-3.70 (m, 1H), 3.66 (d, J = 11.9 Hz, 2H), 3.19 (dd, J = 12.6, 8.5 Hz, 1H), 3.11-2.98 (m, 1H), 2.20-2.06 (m, 1H), 1.85 (q, J = 4.4 Hz, 1H), 1.79-1.65 (m, 1H), 1.63-1.54 (m, 6H), 1.54-1.44 (m, 1H), 1.42-1.30 (m, 3H)
실시예 69: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18 g, 0.354 mmol)과 제조예 36에서 제조한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 g, 0.42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단계 수율 20.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2 (s, 1H), 7.82 (d, J = 16.0 Hz, 1H), 7.55-7.43 (1H), 7.43-7.33 (m, 2H), 7.26 (dd, J = 23.8, 15.1 Hz, 2H), 6.91 (ddd, J = 14.8, 6.5, 1.7 Hz, 2H), 6.86-6.75 (m, 2H), 4.31-4.20 (m, 1H), 4.02-3.84 (m, 3H), 3.68 (d, J = 14.2 Hz, 2H), 3.62 (q, J = 4.3 Hz, 1H), 3.52 (q, J = 6.9 Hz, 1H), 3.41-3.28 (m, 1H), 2.11-2.04 (m, 1H), 1.99-1.78 (m, 2H), 1.61 (t, J = 15.3 Hz, 6H), 1.56-1.46 (m, 1H), 1.31 (q, J = 7.2 Hz, 3H)
실시예 70: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4
제조예 7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 (0.50 g, 1.50 mmol)과 제조예 20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38 g, 1.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84 (s, 1H), 7.46 (d, J = 4.6 Hz, 2H), 7.32 (d, J = 8.2 Hz, 2H), 7.17 (d, J = 8.2 Hz, 2H), 6.83-6.99 (m, 4H), 6.36 (t, J = 4.3 Hz, 1H), 4.25 (td, J = 8.2, 4.0 Hz, 1H), 4.08-4.13 (m, 1H), 3.96-4.04 (m, 2H), 3.79 (td, J = 8.7, 4.1 Hz, 1H), 3.28 (dd, J = 12.8, 8.2 Hz, 1H), 3.10-3.16 (m, 1H), 2.99 (t, J = 7.8 Hz, 2H), 2.61 (t, J = 7.5 Hz, 2H), 2.15 (dd, J = 12.6, 4.3 Hz, 1H), 1.89 (q, J = 4.4 Hz, 1H), 1.74-1.83 (m, 1H), 1.53-1.61 (m, 7H), 1.37 (t, J = 7.1 Hz, 3H)
실시예 71: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5
제조예 7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 (0.15 g, 0.45 mmol)과 제조예 33에서 제조한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펜오에이트 (0.11 g, 0.4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7.87 (s, 1H), 7.51-7.38 (m, 2H), 7.18 (dd, J = 22.9, 8.2 Hz, 4H), 7.02-6.78 (m, 4H), 6.34 (d, J = 8.7 Hz, 1H), 4.27-4.17 (m, 1H), 4.16-4.04 (m, 1H), 4.04-3.92 (m, 2H), 3.79 (td, J = 8.7, 4.3 Hz, 1H), 3.65 (s, 2H), 3.21 (dd, J = 12.8, 8.7 Hz, 1H), 3.12-3.02 (m, 1H), 2.87 (s, 2H), 2.18-2.07 (m, 1H), 1.92-1.69 (m, 2H), 1.61-1.46 (m, 1H), 1.37 (t, J = 6.9 Hz, 3H), 1.19 (s, 6H)
실시예 72: ( R )-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6
제조예 72에서 얻은 (R)-2-클로로-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0.18 g, 0.45 mmol)과 제조예 63에서 제조한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3 g, 0.4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을 통해 얻은 tert-뷰틸 (R)-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에 DCM (0.30 mL)와 TFA (0.45 mL)를 천천히 넣어 주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N HCl을 가해 중성으로 만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과 소금물로 씻어주었다. 혼합 용액은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400 MHz, METHANOL-D4): δ7.24-7.04 (m, 4H), 6.97-6.07 (m, 5H), 4.46 (s, 1H), 4.12-3.49 (m, 5H), 3.49-3.31 (m, 1H), 3.28 (s, 2H), 2.81 (d, J = 9.6 Hz, 2H), 1.96 (d, J = 2.3 Hz, 3H), 1.54 (s, 1H), 1.17 (t, J = 7.1 Hz, 3H), 1.09 (d, J = 15.1 Hz, 6H)
실시예 73: ( R )-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7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5 g, 0.45 mmol)과 제조예 37에서 얻은 메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0.11 g, 0.4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1 (s, 1H), 7.83 (s, 1H), 7.33 (d, J = 8.2 Hz, 2H), 7.24 (d, J = 8.2 Hz, 2H), 7.07 (s, 1H), 6.96-6.73 (m, 4H), 4.27-4.17 (m, 1H), 4.03-3.86 (m, 3H), 3.73-3.59 (m, 1H), 3.42 (dd, J = 13.0, 7.5 Hz, 1H), 3.36-3.23 (m, 1H), 2.97 (t, J = 7.8 Hz, 2H), 2.66 (t, J = 7.8 Hz, 2H), 2.08 (m, 1H), 1.97-1.74 (m, 2H), 1.63 (s, 6H), 1.54 (m, 1H), 1.33 (t, J = 6.9 Hz, 3H)
실시예 74: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알릴)아미노)페닐)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8
단계 1: 에틸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알릴)아미노)페닐)프로판오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20.13 mg, 0.060 mmol)과 제조예 38에서 제조한 에틸-3-(4-(3-카바모일아제티딘-1-일)페닐)프로판오에이트 (20 mg, 0.072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8-8.63 (m, 1H), 8.42 (s, 1H), 7.94-7.78 (m, 1H), 7.01 (dd, J = 8.7, 2.7 Hz, 2H), 6.91 (td, J = 7.8, 2.4 Hz, 2H), 6.86-6.72 (m, 2H), 6.62 (dd, J = 8.2, 2.7 Hz, 2H), 6.01 (d, J = 2.7 Hz, 1H), 5.72 (s, 1H), 4.28 (q, J = 3.5 Hz, 1H), 4.11 (td, J = 7.1, 2.9 Hz, 5H), 4.03-3.81 (m, 4H), 3.81-3.63 (m, 1H), 3.63-3.48 (m, 1H), 3.50-3.29 (m, 1H), 2.92-2.72 (m, 2H), 2.54 (td, J = 7.8, 2.7 Hz, 2H), 2.19-2.02 (m, 1H), 2.02-1.78 (m, 2H), 1.47-1.29 (m, 3H), 1.29-1.09 (m, 3H)
단계 2: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알릴)아미노)페닐)프로판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1 N 수산화리튬 수용액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0 (s, 1H), 8.42 (s, 1H), 7.86 (s, 1H), 7.02 (d, J = 8.2 Hz, 2H), 6.91 (t, J = 7.5 Hz, 2H), 6.83 (d, J = 6.4 Hz, 2H), 6.62 (d, J = 8.2 Hz, 2H), 6.01 (s, 1H), 5.72 (s, 1H), 4.28 (d, J = 3.7 Hz, 1H), 4.10 (d, J = 12.3 Hz, 2H), 4.02-3.80 (m, 4H), 3.77-3.63 (m, 1H), 3.58 (q, J = 6.9 Hz, 1H), 3.52-3.29 (m, 1H), 3.00-2.74 (m, 2H), 2.60 (t, J = 7.5 Hz, 2H), 2.18-2.02 (m, 1H), 2.01-1.77 (m, 2H), 1.57 (td, J = 8.6, 4.1 Hz, 2H), 1.33 (t, J = 7.1 Hz, 2H), 0.84 (q, J = 6.6 Hz, 3H)
실시예 75: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59
단계 1: 메틸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20.13 mg, 0.060 mmol)과 제조예 39에서 제조한 메틸 2-(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레이트 (95 mg, 0.359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4 (d, J = 9.1 Hz, 2H), 8.66 (s, 1H), 7.87 (s, 1H), 7.03-6.78 (m, 5H), 4.94 (d, J = 14.2 Hz, 2H), 4.39-4.22 (1H), 4.04-3.89 (m, 4H), 3.87 (s, 3H), 3.77-3.66 (m, 1H), 3.60 (q, J = 6.9 Hz, 1H), 3.51-3.33 (m, 1H), 3.19-2.98 (m, 2H), 2.64-2.47 (m, 1H), 2.15-2.07 (m, 1H), 2.02-1.88 (m, 2H), 1.83 (t, J = 12.3 Hz, 2H), 1.67-1.56 (m, 1H), 1.35 (t, J = 6.9 Hz, 3H)
단계 2: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4 (d, J = 9.1 Hz, 2H), 8.66 (s, 1H), 7.87 (s, 1H), 7.03-6.78 (m, 5H), 4.94 (d, J = 14.2 Hz, 2H), 4.39-4.22 (1H), 4.04-3.89 (m, 4H), 3.87 (s, 3H), 3.77-3.66 (m, 1H), 3.60 (q, J = 6.9 Hz, 1H), 3.51-3.33 (m, 1H), 3.19-2.98 (m, 2H), 2.64-2.47 (m, 1H), 2.15-2.07 (m, 1H), 2.02-1.88 (m, 2H), 1.83 (t, J = 12.3 Hz, 2H), 1.67-1.56 (m, 1H), 1.35 (t, J = 6.9 Hz, 3H)
실시예 76: 3-(3-(( R )-3-((6-(( R )-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0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64에서 얻은 tert-뷰틸 (R)-3-(3-(3-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1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8%)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4 (s, 1H), 7.75 (d, J = 4.1 Hz, 1H), 7.66-7.58 (m, 1H), 7.18-7.05 (m, 2H), 6.94-6.75 (m, 3H), 6.70 (d, J = 7.3 Hz, 1H), 5.16 (q, J = 2.7 Hz, 1H), 4.14-3.93 (m, 1H), 3.94-3.70 (m, 4H), 3.65-3.50 (m, 2H), 3.49-3.40 (m, 1H), 3.05-2.94 (m, 1H), 2.90-2.69 (m, 4H), 2.18-1.90 (m, 4H), 1.90-1.65 (m, 3H), 1.60 (d, J = 9.1 Hz, 1H), 1.24-1.16 (m, 3H), 1.12 (d, J = 2.3 Hz, 6H)
실시예 77: ( R )-3-(4-(1-((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l)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1
제조예 69에서 제조한 (R)-2-클로로-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10 g, 0.30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6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11.51 (s, 1H), 8.34 (s, 1H), 7.89-7.76 (m, 1H), 7.29 (d, J = 7.3 Hz, 2H), 7.10 (d, J = 7.3 Hz, 2H), 7.01-6.87 (m, 2H), 6.87-6.74 (m, 2H), 6.07 (d, J = 5.9 Hz, 1H), 4.24 (s, 1H), 4.02-3.42 (m, 6H), 2.75 (s, 2H), 2.12-1.80 (m, 3H), 1.67-1.45 (m, 7H), 1.32 (td, J = 6.9, 1.4 Hz, 3H), 1.10 (s, 6H)
실시예 78: ( R )-3-(4-(1-((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2
제조예 66에서 제조한 (R)-2-클로로-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10 g, 0.30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5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11.71-10.30 (bs, 1H), 7.80 (d, J = 5.5 Hz, 1H), 7.73-7.61 (m, 1H), 7.28 (d, J = 7.8 Hz, 2H), 7.11 (d, J = 8.2 Hz, 2H), 6.96 (d, J = 7.8 Hz, 1H), 6.82-6.69 (m, 1H), 6.10 (d, J = 6.4 Hz, 1H), 5.13-5.03 (m, 1H), 4.01-3.48 (m, 6H), 2.76 (dd, J = 17.2, 13.5 Hz, 2H), 2.14-2.02 (m, 1H), 1.99-1.86 (m, 2H), 1.59 (s, 7H), 1.33-1.17 (m, 3H), 1.11 (s, 6H)
실시예 79: ( R )-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32 g, 0.097 mmol)과 제조예 40에서 제조한 tert-뷰틸 2-(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아세테이트 (0.031 g, 0.09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단계 수율 9.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7 (s, 1H), 7.46 (s, 1H), 7.17 (d, J = 8.7 Hz, 2H), 6.99-6.81 (m, 6H), 4.35-4.25 (m, 1H), 4.03-3.88 (m, 3H), 3.78-3.67 (m, 3H), 3.60 (q, J = 6.6 Hz, 1H), 3.55 (s, 2H), 3.46-3.37 (1H), 2.82-2.66 (2H), 2.43-2.29 (m, 1H), 2.19-2.06 (1H), 2.02-1.82 (m, 6H), 1.58 (td, J = 8.8, 4.4 Hz, 1H), 1.35 (t, J = 7.1 Hz, 3H)
실시예 80: ( R )-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2 g, 0.36 mmol)과 제조예 41에서 얻은 메틸 2-(4-(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1 g, 0.36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7 (s, 1H), 7.40 (s, 1H), 7.32-7.26 (m, 2H), 6.99-6.81 (m, 6H), 4.35-4.25 (m, 1H), 4.04-3.88 (m, 3H), 3.79-3.66 (m, 3H), 3.59 (q, J = 6.9 Hz, 1H), 3.47-3.36 (m, 1H), 2.75 (t, J = 11.4 Hz, 2H), 2.37 (t, J = 11.2 Hz, 1H), 2.18-2.06 (m, 1H), 2.02-1.83 (m, 6H), 1.65-1.48 (m, 7H), 1.35 (t, J = 7.1 Hz, 3H)
실시예 81: ( R )-2-(6-(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5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80 g, 0.24 mmol)과 제조예 42에서 얻은 메틸 2-(6-(4-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73 g, 0.2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8.23 (d, J = 2.3 Hz, 1H), 7.86 (s, 1H), 7.57-7.41 (m, 2H), 6.98-6.89 (m, 2H), 6.89-6.78 (m, 2H), 6.65 (d, J = 9.1 Hz, 1H), 4.31 (d, J = 11.9 Hz, 3H), 4.03-3.87 (m, 3H), 3.69 (d, J = 13.7 Hz, 1H), 3.59 (q, J = 6.9 Hz, 1H), 3.41 (t, J = 9.6 Hz, 1H), 2.88 (t, J = 12.6 Hz, 2H), 2.46 (t, J = 10.7 Hz, 1H), 2.16-2.04 (1H), 2.02-1.73 (m, 6H), 1.64-1.48 (7H), 1.34 (dd, J = 7.5, 6.6 Hz, 3H)
실시예 82: ( R )-2-(5-(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 H -테트라졸-2-일)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6
단계 1: 에틸 ( R )-2-(5-(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2 H -테트라졸-2-일)아세테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167 mg, 0.499 mmol)과 제조예 43에서 제조한 에틸 2-(5-(4-카바모일피페리딘-1-일)-2H-테트라졸-2-일)아세테이트 (141 mg, 0.499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7 (s, 1H), 7.35-7.27 (1H), 7.05-6.90 (m, 2H), 6.90-6.77 (2H), 5.19 (s, 2H), 4.31 (t, J = 3.7 Hz, 1H), 4.29-4.23 (2H), 4.19 (d, J = 14.2 Hz, 2H), 4.11 (q, J = 7.0 Hz, 2H), 4.06-3.84 (4H), 3.81-3.66 (m, 1H), 3.60 (dd, J = 13.5, 7.5 Hz, 1H), 3.42 (t, J = 9.6 Hz, 1H), 3.02 (t, J = 11.9 Hz, 2H), 2.43 (d, J = 11.0 Hz, 1H), 2.20-2.05 (m, 2H), 2.02-1.79 (m, 7H), 1.60 (q, J = 4.6 Hz, 1H), 1.36 (q, J = 6.9 Hz, 5H), 1.28 (t, J = 7.1 Hz, 3H), 1.23 (d, J = 7.3 Hz, 3H)
단계 2: ( R )-2-(5-(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2 H -테트라졸-2-일)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3%)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5 (s, 1H), 7.73 (s, 1H), 7.04-6.76 (m, 4H), 4.99 (s, 2H), 4.42 (s, 1H), 4.07 (q, J = 7.2 Hz, 3H), 4.00-3.86 (m, 1H), 3.86-3.80 (m, 3H), 3.80-3.68 (m, 1H), 3.62-3.50 (m, 1H), 3.32 (s, 1H), 3.08-2.86 (m, 2H), 2.62 (t, J = 11.4 Hz, 1H), 2.13-2.00 (m, 2H), 1.97-1.68 (m, 6H), 1.57 (s, 1H), 1.25 (t, J = 6.4 Hz, 3H)
실시예 83: ( R )-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4-옥소뷰탄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7
단계 1: ( R )-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50 g, 1.50 mmol)과 tert-뷰틸 4-카바모일피페리딘-1-카복실레이트 (0.41 g, 1.8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5%)
단계 2: ( R )-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4-옥소뷰탄산
단계 1에서 얻은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페리딘-4-카복사마이드 (0.095 g, 0.22 mmol)을 DCM (2 mL)에 넣은 용액에 DIPEA (0.078 mL, 0.45 mmol)과 숙신산 무수물 (0.034 g, 0.34 mmol)를 천천히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2N HCl, 소금물로 씻어주고,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시켰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9 (s, 1H), 7.53 (s, 1H), 7.01-6.80 (m, 4H), 4.58 (d, J = 11.4 Hz, 1H), 4.31 (q, J = 3.5 Hz, 1H), 4.07-3.87 (m, 4H), 3.71 (d, J = 13.7 Hz, 1H), 3.60 (q, J = 6.7 Hz, 1H), 3.43 (t, J = 9.6 Hz, 1H), 3.23-3.07 (1H), 2.88-2.61 (m, 5H), 2.51 (d, J = 10.5 Hz, 1H), 2.20-2.05 (m, 1H), 2.05-1.66 (m, 6H), 1.66-1.48 (m, 1H), 1.36 (t, J = 6.9 Hz, 3H)
실시예 84: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8
단계 1: 에틸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테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232 mg, 0.696 mmol)과 제조예 44에서 제조한 에틸 2-(4-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테이트 (179 mg, 0.83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1%)
1H-NMR (CHLOROFORM-D) δ8.70 (s, 1H), 7.89 (s, 1H), 7.33 (s, 1H), 7.04-6.92 (m, 2H), 6.92-6.83 (m, 2H), 4.39-4.27 (m, 1H), 4.21 (q, J = 7.2 Hz, 2H), 4.09-3.90 (m, 4H), 3.79-3.69 (m, 1H), 3.61 (dd, J = 13.4, 7.3 Hz, 1H), 3.49-3.36 (m, 1H), 3.27 (s, 2H), 3.04 (dd, J = 10.4, 2.7 Hz, 2H), 2.42-2.30 (m, 2H), 2.30-2.21 (m, 1H), 2.21-2.10 (m, 1H), 2.05-1.85 (m, 7H), 1.68-1.55 (m, 1H), 1.36-1.21 (m, 6H)
단계 2: ( R )-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1%)
1H-NMR (MeOD) δ8.50 (s, 1H), 7.85 (s, 1H), 7.02-6.82 (m, 5H), 4.52 (s, 1H), 4.12 (s, 2H), 4.08-3.92 (m, 3H), 3.92-3.84 (m, 1H), 3.81 (dd, J = 13.7, 2.4 Hz, 1H), 3.79-3.70 (1H), 3.56 (s, 1H), 2.17 (s, 3H), 2.10-1.93 (m, 2H), 1.62 (d, J = 3.1 Hz, 1H), 1.28 (t, J = 7.0 Hz, 3H)
실시예 85: 3-(3-(( R )-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69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64에서 얻은 tert-뷰틸 (R)-3-(3-(3-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1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9.33 (s, 1H), 8.67 (s, 1H), 7.91-7.79 (m, 1H), 7.15 (t, J = 7.8 Hz, 1H), 7.00-6.75 (m, 6H), 6.65 (d, J = 7.3 Hz, 1H), 4.34-4.21 (m, 1H), 4.04-3.86 (m, 3H), 3.78-3.57 (m, 2H), 3.51 (dd, J = 12.8, 7.3 Hz, 2H), 3.42-3.29 (m, 1H), 3.22 (dd, J = 13.3, 8.7 Hz, 1H), 3.17-3.03 (m, 1H), 3.03-2.91 (m, 1H), 2.68 (d, J = 13.3 Hz, 2H), 2.16-2.04 (m, 1H), 2.01-1.80 (m, 4H), 1.78-1.65 (m, 2H), 1.65-1.49 (m, 1H), 1.35 (td, J = 7.0, 3.5 Hz, 3H), 1.25 (s, 3H), 1.09 (s, 3H)
실시예 86: ( R )-1-(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0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2 g, 0.36 mmol)과 제조예 45에서 얻은 에틸 1-(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레이트 (0.11 g, 0.36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2 (s, 1H), 7.81 (s, 1H), 7.27 (d, J = 8.7 Hz, 2H), 7.09 (s, 1H), 6.97-6.73 (m, 6H), 4.26-4.15 (m, 1H), 4.03-3.87 (m, 3H), 3.72-3.59 (m, 3H), 3.39 (dd, J = 13.3, 7.8 Hz, 1H), 3.33-3.19 (m, 1H), 2.87-2.73 (m, 2H), 2.53-2.41 (m, 1H), 2.07 (d, J = 3.7 Hz, 3H), 1.97-1.74 (m, 4H), 1.66-1.46 (m, 7H), 1.33 (t, J = 7.1 Hz, 3H)
실시예 87: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틴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1
단계 1: 메틸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틴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34.8 mg, 0.104 mmol)과 제조예 46에서 제조한 메틸 6-(3-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26 mg, 0.104 mmol) 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1%)
1H-NMR (CHLOROFORM-D) δ8.83 (d, J = 2.4 Hz, 1H), 8.68 (s, 1H), 8.05 (d, J = 8.8 Hz, 1H), 7.92 (s, 1H), 7.40 (d, J = 3.7 Hz, 1H), 6.94 (dd, J = 39.5, 8.7 Hz, 5H), 6.39 (dd, J = 8.8, 3.1 Hz, 1H), 4.35 (q, J = 3.6 Hz, 1H), 4.02 (q, J = 7.2 Hz, 1H), 3.99-3.91 (m, 3H), 3.89 (s, 4H), 3.88-3.77 (m, 2H), 3.71 (s, 2H), 3.60 (d, J = 8.8 Hz, 1H), 3.49 (s, 1H), 3.29-3.13 (1H), 2.49-2.35 (m, 2H), 2.13 (s, 1H), 2.06-1.89 (2H), 1.61 (s, 11H), 1.38 (t, J = 7.0 Hz, 3H)
단계 2: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틴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MeOD) δ8.71 (s, 1H), 8.51 (s, 1H), 8.06 (d, J = 9.2 Hz, 1H), 8.00 (s, 1H), 7.85-7.74 (1H), 7.00 (d, J = 7.6 Hz, 1H), 6.98-6.83 (m, 3H), 6.57 (d, J = 8.8 Hz, 1H), 4.48 (s, 1H), 4.03-3.90 (m, 1H), 3.90-3.86 (m, 3H), 3.84 (d, J = 14.3 Hz, 2H), 3.80-3.68 (m, 2H), 3.68-3.52 (m, 2H), 3.48-3.35 (1H), 2.45-2.28 (2H), 2.13-2.02 (2H), 1.96 (d, J = 9.2 Hz, 1H), 1.63 (s, 1H), 1.29 (td, J = 7.0, 1.5 Hz, 3H)
실시예 88: N -(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사마이드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2
단계 1: tert -뷰틸 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59.5 mg, 0.178 mmol)과 제조예 47에서 제조한 tert-뷰틸 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카복실레이트 (26 mg, 0.10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CHLOROFORM-D) δ8.71 (s, 1H), 7.91 (s, 1H), 7.41 (s, 1H), 7.04-6.83 (m, 4H), 4.33 (q, J = 3.7 Hz, 1H), 4.10-3.91 (m, 3H), 3.87-3.70 (m, 2H), 3.69-3.24 (m, 5H), 2.52-2.24 (1H), 2.13 (d, J = 8.2 Hz, 1H), 2.02 (s, 1H), 1.99-1.81 (m, 2H), 1.62 (qd, J = 8.8, 4.3 Hz, 4H), 1.49 (s, 10H), 1.46 (s, 3H), 1.39 (t, J = 7.0 Hz, 3H)
단계 2: N -(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사마이드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DCM에 녹이고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31 ml, 4.04 mmol)을 넣어준 후 상온에서 2 시간 교반해준다. 반응이 종결된 후 감압증류하여 과량의 유기용매를 제거해 준 후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켜준다. 유기용매로 추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수분을 제거해주고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 (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원하는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99%)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5 (s, 1H), 7.78 (s, 1H), 7.03-6.76 (m, 4H), 4.51-4.34 (m, 1H), 3.97-3.71 (m, 6H), 3.64-3.50 (m, 1H), 3.50-3.37 (m, 1H), 3.03 (dd, J = 11.9, 1.4 Hz, 1H), 2.62-2.43 (m, 1H), 2.17-1.99 (m, 3H), 1.99-1.83 (m, 2H), 1.66-1.55 (m, 1H), 1.53 (s, 3H), 1.33-1.22 (m, 4H)
실시예 89: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틴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3
단계 1: 메틸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틴에이트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138 mg, 0.414 mmol)과 제조예 48에서 제조한 메틸 6-(3-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티네이트 (99 mg, 0.376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3%)
1H-NMR (400 MHz, METHANOL-D4) δ8.64 (d, J = 2.3 Hz, 1H), 8.42 (s, 1H), 8.06-7.91 (1H), 7.78-7.67 (1H), 7.02-6.75 (m, 5H), 6.50 (d, J = 9.1 Hz, 1H), 4.42 (s, 1H), 4.01-3.84 (m, 3H), 3.82 (s, 4H), 3.81-3.71 (m, 3H), 3.70-3.37 (m, 5H), 2.55 (t, J = 6.4 Hz, 1H), 2.17-1.99 (m, 3H), 1.98-1.83 (m, 2H), 1.64-1.51 (m, 1H), 1.51-1.41 (3H), 1.25-1.21 (3H)
단계 2: 6-(3-((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틴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터 화합물을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방법으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14%)
1H-NMR (400 MHz, METHANOL-D4) δ8.66 (d, J = 2.3 Hz, 1H), 8.42 (s, 1H), 8.01 (dd, J = 9.1, 2.3 Hz, 1H), 7.74 (d, J = 3.2 Hz, 1H), 6.95 (d, J = 7.3 Hz, 1H), 6.92-6.77 (m, 3H), 6.51 (d, J = 9.1 Hz, 1H), 4.43 (s, 1H), 4.16-3.97 (m, 2H), 3.97-3.86 (m, 2H), 3.86-3.70 (m, 3H), 3.70-3.49 (m, 3H), 3.46 (d, J = 11.0 Hz, 1H), 2.56 (t, J = 6.4 Hz, 1H), 2.18-2.04 (1H), 2.04-1.87 (m, 6H), 1.54 (d, J = 23.3 Hz, 1H), 1.49 (s, 3H), 1.34-1.24 (m, 2H), 1.21 (dd, J = 7.3, 6.4 Hz, 3H)
실시예 90: ( R )-2-(4-(2-((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4
단계 1: 메틸 ( R )-2-(4-(2-((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제조예 73에서 얻은 (R)-2-클로로-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70 mg, 0.201 mmol)과 제조예 6에서 얻은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테이트 (50 mg, 0.241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7%)
m/z (M+H)+ calculated for C29H34N4O5: 518.6, found 519.3
단계 2: ( R )-2-(4-(2-((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단계 1에서 얻은 에스테르 화합물을 5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2의 단계 2와 유사한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4%)
1H NMR (500MHz, CHLOROFORM-D) δ 8.67 (s, 1H), 7.93 (s, 1H), 7.74 (s, 1H), 7.33-7.21 (m, 3H), 7.01-6.85 (m, 4H), 4.4 (td, 1H), 4.25 (m, 1H), 4.02 (dd, 1H), 3.71 (qd, 3H), 3.65 (m, 2H), 3.39 (m, 1H), 3.31 (m, 1H), 2.12-2.05 (m, 1H), 2.03-1.85 (m, 2H), 1.61 (qd, J = 8.7, 4.3 Hz, 1H), 1.32-1.18 (m, 6H)
실시예 91: ( R )-2-(4-(3-((6-(3-(2-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5
제조예 74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3 g, 0.40 mmol)과 제조예 20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0 g, 0.4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 단계 수율 1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8 (s, 1H), 7.32 (t, J = 8.7 Hz, 2H), 7.26-7.09 (m, 3H), 7.01-6.76 (m, 4H), 4.40-4.21 (m, 1H), 4.05 (d, J = 13.3 Hz, 1H), 3.89-3.58 (m, 4H), 3.57-3.39 (m, 1H), 3.39-3.21 (m, 1H), 3.02 (t, J = 7.3 Hz, 2H), 2.77-2.56 (2H), 2.16-2.06 (m, 1H), 2.03-1.78 (m, 2H), 1.72-1.46 (m, 7H)
실시예 92: ( R )-2-메틸-2-(4-(3-옥소-3-((6-(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6
제조예 75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5 g, 0.40 mmol)과 제조예 20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0 g, 0.4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 단계 수율 1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8 (s, 1H), 7.88 (s, 1H), 7.43 (s, 1H), 7.33 (d, J = 8.2 Hz, 2H), 7.25-7.10 (m, 4H), 7.10-6.86 (m, 2H), 4.44-4.26 (m, 1H), 4.07 (dd, J = 13.3, 2.7 Hz, 1H), 3.83-3.58 (m, 1H), 3.48 (dd, J = 13.3, 7.8 Hz, 1H), 3.41-3.25 (m, 1H), 2.97 (dt, J = 32.6, 7.9 Hz, 2H), 2.66 (t, J = 7.5 Hz, 2H), 2.23-2.05 (m, 1H), 2.02-1.76 (m, 2H), 1.76-1.37 (m, 7H)
실시예 93: ( R )-2-(4-(3-((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7
제조예 76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4 g, 0.40 mmol)과 제조예 20에서 제조한 메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0 g, 0.4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 단계 수율 1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6 (s, 1H), 7.33 (d, J = 8.2 Hz, 3H), 7.18 (dd, J = 14.6, 8.2 Hz, 2H), 7.04-6.77 (m, 4H), 4.64 (dt, J = 47.6, 4.1 Hz, 2H), 4.38-4.23 (m, 1H), 4.23-4.00 (m, 2H), 3.96 (dd, J = 13.3, 2.7 Hz, 1H), 3.68-3.53 (m, 2H), 3.53-3.34 (m, 1H), 3.02 (t, J = 7.5 Hz, 2H), 2.65 (t, J = 7.5 Hz, 2H), 2.13-2.05 (m, 1H), 2.04-1.79 (m, 2H), 1.68-1.46 (m, 7H)
실시예 94: ( R )-3-(4-(2-((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8
제조예 76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80 g, 0.23 mmol)과 제조예 33에서 얻은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57 g, 0.23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3 (s, 1H), 7.56 (s, 1H), 7.23-7.08 (m, 4H), 6.99-6.82 (m, 4H), 4.69 (t, J = 4.1 Hz, 1H), 4.58 (t, J = 4.1 Hz, 1H), 4.30-4.21 (m, 1H), 4.20-3.99 (m, 2H), 3.94 (dd, J = 13.0, 3.0 Hz, 1H), 3.66 (s, 2H), 3.64-3.57 (m, 1H), 3.52 (q, J = 6.9 Hz, 1H), 3.42-3.30 (m, 1H), 2.91-2.81 (m, 2H), 2.12-2.05 (m, 1H), 1.99-1.78 (m, 2H), 1.53 (qd, J = 8.6, 4.5 Hz, 1H), 1.22-1.13 (s, 6H)
실시예 95: ( R )-3-(4-(2-((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79
제조예 77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4 g, 0.41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2 g, 0.41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7-7.79 (m, 1H), 7.60 (s, 1H), 7.24-7.10 (m, 5H), 7.01-6.78 (m, 3H), 4.23-4.14 (m, 1H), 4.01-3.92 (m, 1H), 3.73-3.60 (m, 4H), 3.45-3.34 (m, 1H), 3.32-3.20 (m, 1H), 2.87 (t, J = 14.0 Hz, 2H), 2.11-1.99 (m, 1H), 1.96-1.72 (m, 2H), 1.61-1.44 (m, 1H), 1.21-1.12 (m, 6H), 0.75-0.63 (m, 4H)
실시예 96: ( R )-3-(4-(2-((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0
제조예 57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4 g, 0.39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1 g, 0.39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6 (s, 1H), 7.86 (d, J = 20.1 Hz, 1H), 7.65-7.47 (m, 1H), 7.18 (q, J = 8.1 Hz, 4H), 6.97-6.84 (m, 2H), 6.84-6.74 (m, 1H), 6.71 (d, J = 7.8 Hz, 1H), 4.53 (td, J = 14.6, 7.6 Hz, 1H), 4.29-4.18 (m, 1H), 3.93 (dd, J = 13.3, 3.2 Hz, 1H), 3.73-3.58 (m, 3H), 3.48 (dd, J = 13.0, 7.5 Hz, 1H), 3.39-3.27 (m, 1H), 2.87 (t, J = 14.2 Hz, 2H), 2.42-2.27 (m, 2H), 2.17-2.04 (m, 3H), 1.98-1.70 (m, 3H), 1.68-1.44 (m, 2H), 1.21-1.11 (m, 6H)
실시예 97: ( R )-2-(4-(3-((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1
제조예 77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4 g, 0.41 mmol)과 제조예 65에서 얻은 벤질 (E)-2-(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3 g, 0.41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8과 유사한 방법을 통해 얻은 벤질 (R, E)-2-(4-(3-((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에 메탄올 (1.82 mL)과 팔라듐/카본 (12 mg)을 넣고, 수소 기체를 충전한 상태에서 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필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8-7.81 (m, 1H), 7.56-7.39 (m, 1H), 7.32 (d, J = 8.2 Hz, 2H), 7.22-7.12 (m, 3H), 7.00-6.79 (m, 3H), 4.22 (s, 1H), 4.00-3.90 (m, 1H), 3.73-3.60 (m, 2H), 3.49 (ddd, J = 13.0, 7.5, 2.7 Hz, 1H), 3.40-3.27 (m, 1H), 3.00 (t, J = 7.3 Hz, 2H), 2.65 (t, J = 7.5 Hz, 2H), 2.12-2.04 (m, 1H), 1.98-1.76 (m, 2H), 1.63-1.46 (m, 7H), 0.75-0.62 (m, 4H)
실시예 98: ( R )-2-(4-(3-((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2
제조예 57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4 g, 0.39 mmol)과 제조예 65에서 얻은 벤질 (E)-2-(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3 g, 0.39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8-7.81 (m, 1H), 7.46 (d, J = 32.5 Hz, 1H), 7.32 (d, J = 8.2 Hz, 2H), 7.20-7.12 (m, 2H), 6.94-6.78 (m, 3H), 6.69 (dd, J = 7.8, 1.4 Hz, 1H), 4.55-4.45 (m, 1H), 4.32-4.22 (m, 1H), 3.92 (dd, J = 13.3, 3.2 Hz, 1H), 3.71-3.52 (m, 2H), 3.45-3.33 (m, 1H), 3.05-2.94 (m, 2H), 2.70-2.58 (m, 2H), 2.44-2.27 (m, 2H), 2.17-2.04 (m, 3H), 2.01-1.70 (m, 3H), 1.69-1.47 (m, 8H)
실시예 99: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49에서 얻은 tert-뷰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아세테이트 (0.079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2%)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2 (s, 1H), 7.71 (s, 1H), 7.23 (d, J = 8.2 Hz, 2H), 6.97-6.78 (m, 6H), 4.58 (s, 2H), 4.40 (s, 1H), 4.00-3.66 (m, 4H), 3.62 (d, J = 7.8 Hz, 3H), 3.58-3.46 (m, 1H), 2.08-1.78 (m, 3H), 1.63-1.48 (m, 1H), 1.21 (t, J = 7.1 Hz, 3H)
실시예 100: ( R )-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아세트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5 g, 0.45 mmol)과 제조예 50에서 얻은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아세테이트 (0.10 g, 0.4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1 (s, 1H), 8.37 (s, 1H), 7.93 (s, 1H), 7.28 (m, 2H),7.04-6.88 (4H), 6.88-6.78 (m, 2H), 4.59 (s, 2H), 4.35-4.25 (m, 1H), 4.08-3.85 (m, 3H), 3.73 (m, 1H), 3.65-3.54 (m, 3H), 3.49-3.39 (m, 1H), 2.17-2.06 (m, 1H), 2.03-1.85 (m, 2H), 1.59 (m, 1H), 1.34 (q, J = 7.3 Hz, 3H)
실시예 101: 2-(4-(2-((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5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70 g, 2.1 mmol)과 제조예 51에서 얻은 메틸 2-(4-(2-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프로판오에이트 (0.50 g, 2.1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6%)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8.36 (s, 1H), 7.91 (s, 1H), 7.42-7.26 (m, 2H), 7.04-6.75 (m, 6H), 4.57 (s, 2H), 4.36-4.22 (m, 1H), 4.09-3.83 (m, 3H), 3.71 (q, J = 7.2 Hz, 2H), 3.66-3.53 (m, 1H), 3.52-3.35 (m, 1H), 2.29-1.76 (m, 3H), 1.67-1.52 (m, 1H), 1.49 (d, J = 6.9 Hz, 3H), 1.39-1.26 (m, 3H)
실시예 102: ( R )-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6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2 g, 0.36 mmol)과 제조예 52에서 얻은 메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5 g, 0.36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5 (s, 1H), 7.84 (s, 1H), 7.38-7.27 (1H), 7.19 (d, J = 8.7 Hz, 2H), 6.99-6.76 (m, 6H), 4.29-4.20 (m, 1H), 4.01-3.86 (m, 5H), 3.71-3.59 (m, 3H), 3.51 (dd, J = 13.0, 7.5 Hz, 1H), 3.40-3.28 (m, 1H), 2.13-2.04 (m, 1H), 2.00-1.80 (m, 2H), 1.61-1.47 (m, 1H), 1.32 (t, J = 6.6 Hz, 9H)
실시예 103: ( R )-2-(4-(2-((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7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8 g, 0.54 mmol)과 제조예 53에서 얻은 에틸 (R)-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오에이트 (0.14 g, 0.5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4%)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2 (s, 1H), 7.71 (s, 1H), 7.21 (d, J = 8.7 Hz, 2H), 6.99-6.77 (m, 6H), 4.69 (q, J = 6.7 Hz, 1H), 4.39 (dd, J = 8.5, 3.4 Hz, 1H), 3.95-3.70 (m, 5H), 3.60 (s, 2H), 3.56-3.45 (m, 1H), 2.07-1.82 (m, 3H), 1.53 (d, J = 6.9 Hz, 4H), 1.21 (t, J = 7.1 Hz, 3H)
실시예 104: ( S )-2-(4-(2-((6-(( R )-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8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354 g, 1.061 mmol)과 제조예 54에서 얻은 메틸 (S)-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오에이트 (0.277 g, 1.168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2단계 수율 3.7%)
1H-NMR (CHLOROFORM-D) δ8.61 (s, 1H), 7.85 (s, 1H), 7.42 (d, J = 8.2 Hz, 1H), 7.25-7.15 (2H), 7.01-6.88 (m, 4H), 6.88-6.77 (m, 2H), 4.78 (q, J = 6.8 Hz, 1H), 4.28 (td, J = 7.2, 3.8 Hz, 1H), 4.01-3.82 (m, 3H), 3.72-3.49 (m, 4H), 3.46-3.31 (m, 1H), 2.09-2.05 (m, 1H), 1.96 (td, J = 6.7, 3.4 Hz, 1H), 1.91-1.80 (m, 1H), 1.68 (d, J = 6.7 Hz, 3H), 1.61-1.47 (1H), 1.37-1.29 (3H)
실시예 105: ( R )-2-(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89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60 g, 0.18 mmol)과 제조예 55에서 얻은 에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48 g, 0.18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56 (s, 1H), 7.85 (s, 1H), 7.70-7.66 (m, 1H), 7.35 (d, J = 13.3 Hz, 1H), 7.21-7.11 (m, 2H), 6.98-6.87 (m, 3H), 6.79-6.75 (m, 1H), 5.15-5.05 (m, 1H), 3.93-3.71 (m, 4H), 3.61 (d, J = 11.0 Hz, 3H), 3.50-3.39 (m, 1H), 2.14-2.04 (m, 1H), 1.92 (t, J = 5.0 Hz, 2H), 1.60 (s, 7H), 1.25 (t, J = 7.0 Hz, 3H)
실시예 106: ( R )-2-(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0
제조예 68에서 제조한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060 g, 0.18 mmol)과 제조예 55에서 얻은 에틸 2-(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48 g, 0.18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18 (d, J = 5.5 Hz, 1H), 7.68 (s, 1H), 7.34-7.21 (m, 1H), 7.11 (d, J = 6.4 Hz, 2H), 7.04-6.77 (m, 6H), 4.41-4.13 (m, 2H), 4.09-3.85 (m, 3H), 3.58 (s, 2H), 3.55-3.44 (m, 1H), 3.44-3.30 (m, 1H), 2.12-1.99 (m, 1H), 1.95-1.74 (m, 2H), 1.67-1.40 (m, 7H), 1.35 (t, J = 7.2 Hz, 3H)
실시예 107: ( R )-2-(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메틸)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8 g, 0.54 mmol)과 제조예 56에서 얻은 메틸 2-(4-((4-(2-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8 g, 0.5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9%)
1H-NMR (400 MHz, METHANOL-D4): δ8.42 (s, 1H), 7.71 (s, 1H), 7.41-7.30 (m, 4H), 7.21 (d, J = 8.7 Hz, 2H), 7.18-7.11 (m, 1H), 6.95-6.76 (m, 5H), 5.01 (s, 2H), 4.43-4.34 (m, 1H), 4.01-3.68 (m, 5H), 3.60 (s, 2H), 3.55-3.49 (m, 1H), 2.08-1.80 (m, 3H), 1.58-1.45 (m, 7H), 1.24-1.15 (m, 3H)
실시예 108: ( R )-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2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0 g, 0.15 mmol)과 제조예 28에서 얻은 에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42 g, 0.1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57 (s, 1H), 7.85 (s, 1H), 7.69 (dd, J = 5.0, 1.4 Hz, 1H), 7.18 (d, J = 5.5 Hz, 1H), 7.08 (d, J = 8.2 Hz, 2H), 6.86 (t, J = 8.5 Hz, 3H), 6.74 (dd, J = 7.8, 5.0 Hz, 1H), 5.19-5.08 (m, 1H), 3.91-3.71 (m, 4H), 3.66-3.44 (m, 2H), 3.04-2.86 (m, 2H), 2.58 (dd, J = 7.3, 5.5 Hz, 2H), 2.08 (dd, J = 9.6, 3.7 Hz, 1H), 2.02-1.87 (m, 2H), 1.68-1.47 (m, 7H), 1.24 (t, J = 7.1, 3H)
실시예 109: ( R )-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3
제조예 68에서 제조한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050 g, 0.15 mmol)과 제조예 28에서 얻은 에틸 2-(4-(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42 g, 0.15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3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19 (d, J = 5.9 Hz, 1H), 7.61-7.48 (m, 1H), 7.30-7.20 (m, 1H), 7.11-6.74 (m, 8H), 4.32-4.09 (m, 2H), 4.07-3.86 (m, 3H), 3.68-3.52 (m, 1H), 3.53-3.19 (m, 1H), 2.92 (t, J = 7.3 Hz, 2H), 2.59 (t, J = 7.3 Hz, 2H), 2.18-2.04 (m, 1H), 1.98-1.75 (m, 2H), 1.52 (s, 7H), 1.35 (t, J = 7.1, 3H)
실시예 110: ( R )-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50 g, 1.50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48 g, 1.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8 (d, J = 10.5 Hz, 1H), 7.80 (s, 1H), 7.29 (d, J = 8.2 Hz, 2H), 7.18 (d, J = 8.2 Hz, 2H), 7.04 (s, 1H), 6.95-6.72 (m, 4H), 4.21 (t, J = 3.0 Hz, 1H), 4.01-3.77 (m, 3H), 3.58 (td, J = 9.7, 3.7 Hz, 1H), 3.47 (dd, J = 13.0, 7.5 Hz, 1H), 3.38-3.26 (m, 1H), 2.87 (s, 2H), 2.08-1.96 (m, 1H), 1.96-1.74 (m, 2H), 1.63 (t, J = 6.4 Hz, 6H), 1.56-1.41 (m, 1H), 1.30 (t, J = 7.1 Hz, 3H), 1.16 (s, 6H)
실시예 111: ( R )-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5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50 g, 1.50 mmol)과 제조예 58에서 얻은 메틸 2-(4-(3-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48 g, 1.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70 (s, 1H), 7.86 (s, 1H), 7.36-7.22 (m, 3H), 7.09 (d, J = 8.7 Hz, 2H), 6.97-6.71 (m, 4H), 4.33-4.23 (m, 1H), 4.00-3.82 (m, 3H), 3.70-3.55 (m, 2H), 3.43 (t, J = 9.1 Hz, 1H), 2.88 (dd, J = 24.2, 13.3 Hz, 2H), 2.12-1.80 (m, 3H), 1.59-1.47 (m, 7H), 1.35-1.21 (m, 9H)
실시예 112: ( R )-3-(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6
제조예 68에서 얻은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1.35 g, 4.04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1.07 g, 3.67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7%)
1H-NMR (400 MHz, METHANOL-D4): δ8.09 (d, J = 5.5 Hz, 1H), 7.29-7.16 (m, 3H), 7.13 (d, J = 8.2 Hz, 2H), 7.04-6.74 (m, 4H), 4.39-4.22 (m, 1H), 4.12 (dd, J = 13.5, 3.4 Hz, 1H), 4.00-3.81 (m, 3H), 3.75 (q, J = 6.7 Hz, 1H), 3.69-3.55 (m, 3H), 2.82 (s, 2H), 2.11-2.00 (m, 1H), 1.96-1.76 (m, 2H), 1.61-1.42 (m, 1H), 1.32-1.23 (m, 3H), 1.12 (s, 6H)
실시예 113: ( R )-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7
제조예 69에서 제조한 (R)-2-클로로-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18 g, 0.54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6 g, 0.5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9%)
1H-NMR (400 MHz, METHANOL-D4): δ7.77 (d, J = 64.5 Hz, 1H), 7.22 (d, J = 7.3 Hz, 2H), 7.15 (d, J = 7.8 Hz, 2H), 6.99-6.44 (m, 5H), 4.64 (s, 1H), 4.33-3.31 (m, 8H), 2.83 (s, 2H), 2.10-1.85 (m, 3H), 1.65 (s, 1H), 1.30-1.14 (m, 3H), 1.12 (s, 6H)
실시예 114: ( R )-3-(4-(2-((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8
제조예 66에서 제조한 (R)-2-클로로-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18 g, 0.54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6 g, 0.54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2%)
1H-NMR (400 MHz, METHANOL-D4): δ8.06-7.51 (m, 2H), 7.29-7.07 (m, 5H), 7.02-6.46 (m, 2H), 5.35 (d, J = 44.8 Hz, 1H), 4.65-3.49 (m, 8H), 2.83 (s, 2H), 2.06 (s, 3H), 1.71 (s, 1H), 1.14 (t, J = 6.6 Hz, 9H)
실시예 115: ( R )-3-(4-(2-((2-(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199
제조예 70의 단계 3에서 얻은 (R)-3-에톡시-2-(피페리딘-3-일옥시)피리딘 염산염 (0.40 g, 1.55 mmol)과 제조예 67에서 얻은 tert-뷰틸 3-(4-(2-((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62 g, 1.55 mmol)를 이용하여 제조예 1의 단계 3과 실시예 88의 단계 2의 방법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3%)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15 (d, J = 5.5 Hz, 1H), 7.74 (dd, J = 5.0, 1.4 Hz, 1H), 7.49 (s, 1H), 7.28-7.00 (m, 5H), 6.96 (dd, J = 7.5, 1.6 Hz, 1H), 6.82-6.69 (m, 1H), 5.09 (s, 1H), 4.01-3.47 (m, 8H), 2.99-2.70 (m, 2H), 2.12-1.83 (m, 3H), 1.64-1.56 (m, 1H), 1.33-1.09 (m, 9H)
실시예 116: ( R )-3-(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0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1.50 g, 4.48 mmol)과 제조예 63에서 얻은 tert-뷰틸 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1.31 g, 4.48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0 (s, 1H), 7.86 (s, 1H), 7.77-7.70 (m, 1H), 7.30 (s, 1H), 7.18 (s, 4H), 6.96 (dd, J = 7.8, 1.4 Hz, 1H), 6.78 (dd, J = 7.5, 5.3 Hz, 1H), 5.11 (td, J = 6.4, 3.2 Hz, 1H), 3.97-3.77 (m, 3H), 3.72 (d, J = 12.3 Hz, 1H), 3.64 (s, 2H), 3.61-3.42 (m, 2H), 2.99-2.89 (m, 1H), 2.82 (d, J = 13.3 Hz, 1H), 2.13-1.87 (m, 3H), 1.69-1.53 (m, 1H), 1.27 (t, J = 7.1 Hz, 3H), 1.20 (d, J = 12.8 Hz, 6H)
실시예 117: ( R )-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20 g, 0.60 mmol)과 제조예 60에서 얻은 벤질 (E)-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0.19 g, 0.6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6 (s, 1H), 7.28 (s, 1H), 6.99-6.82 (m, 4H), 4.36-4.24 (m, 1H), 4.05-3.87 (m, 3H), 3.77-3.65 (m, 1H), 3.60 (q, J = 6.9 Hz, 1H), 3.47-3.35 (m, 1H), 2.27 (t, J = 8.5 Hz, 2H), 2.17-2.05 (m, 1H), 2.01-1.85 (m, 2H), 1.81 (t, J = 7.8 Hz, 6H), 1.68-1.50 (m, 3H), 1.42 (t, J = 7.8 Hz, 6H), 1.36 (t, J = 7.0, 3H)
실시예 118: ( R )-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2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50 g, 1.50 mmol)과 제조예 61에서 얻은 메틸 4-(2-아미노-2-옥소에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0.48 g, 1.5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7 (d, J = 7.3 Hz, 1H), 7.86 (s, 1H), 7.14 (s, 1H), 7.00-6.92 (m, 2H), 6.89-6.83 (m, 2H), 4.33-4.24 (m, 1H), 4.05-3.91 (m, 3H), 3.79-3.68 (m, 1H), 3.63 (s, 2H), 3.55 (dd, J = 13.3, 7.8 Hz, 1H), 3.44-3.34 (m, 1H), 2.16-2.07 (m, 1H), 2.02-1.92 (m, 1H), 1.92-1.85 (m, 1H), 1.85-1.75 (m, 6H), 1.67-1.56 (m, 7H), 1.36 (td, J = 6.9, 2.7 Hz, 3H)
실시예 119: ( R )-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3
제조예 68에서 제조한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20 g, 0.60 mmol)과 제조예 60에서 얻은 벤질 (E)-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0.19 g, 0.6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4%)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20 (d, J = 5.5 Hz, 1H), 7.66 (s, 1H), 7.26 (s, 1H), 7.01-6.81 (m, 4H), 4.36-4.20 (m, 2H), 4.06-3.88 (m, 3H), 3.58 (dd, J = 12.8, 7.8 Hz, 1H), 3.50-3.39 (m, 1H), 2.29-2.17 (m, 2H), 2.11 (q, J = 4.9 Hz, 1H), 1.97-1.82 (m, 2H), 1.82-1.72 (m, 6H), 1.60-1.47 (m, 3H), 1.46-1.30 (m, 9H)
실시예 120: ( R )-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4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20 g, 0.60 mmol)과 제조예 60에서 얻은 벤질 (E)-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레이트 (0.19 g, 0.6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0 (s, 1H), 7.88 (s, 1H), 7.71 (q, J = 2.3 Hz, 1H), 7.21 (s, 1H), 7.03-6.94 (m, 1H), 6.79 (dd, J = 7.5, 4.8 Hz, 1H), 5.23-5.12 (m, 1H), 4.00-3.76 (m, 4H), 3.75-3.69 (m, 1H), 3.56-3.44 (m, 1H), 2.24 (t, J = 8.2 Hz, 2H), 2.15 (qd, J = 9.2, 4.5 Hz, 1H), 2.02-1.90 (m, 2H), 1.87-1.73 (m, 6H), 1.70-1.59 (m, 1H), 1.58-1.49 (m, 2H), 1.45-1.39 (m, 6H), 1.31 (t, J = 6.8 Hz, 3H)
실시예 121: (R, 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프-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5
실시예 117의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400 MHz, CHLOROFORM-D): 8.72 (s, 1H), 7.88 (d, J = 7.8 Hz, 1H), 6.99-6.90 (m, 3H), 6.90-6.81 (m, 3H), 5.74 (d, J = 15.6 Hz, 1H), 4.37-4.27 (m, 1H), 4.03-3.86 (m, 3H), 3.75-3.67 (m, 1H), 3.63 (q, J = 6.9 Hz, 1H), 3.49-3.38 (m, 1H), 2.16-2.05 (m, 1H), 2.02-1.77 (m, 7H), 1.70-1.53 (m, 8H), 1.34 (t, J = 7.0, 3H)
실시예 122: ( R )-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6
제조예 68에서 제조한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20 g, 0.60 mmol)과 제조예 65에서 얻은 벤질 (E)-2-(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9 g, 0.6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2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23-8.17 (m, 1H), 7.69 (d, J = 11.4 Hz, 1H), 7.35-7.26 (m, 3H), 7.15 (d, J = 8.2 Hz, 2H), 6.99-6.77 (m, 4H), 4.30-4.18 (m, 2H), 4.03-3.85 (m, 3H), 3.59 (dd, J = 13.7, 8.2 Hz, 1H), 3.52-3.41 (m, 1H), 2.96 (t, J = 7.5 Hz, 2H), 2.61 (t, J = 7.8 Hz, 2H), 2.14-2.04 (m, 1H), 1.95-1.79 (m, 2H), 1.60-1.44 (m, 7H), 1.32 (t, J = 6.9 Hz, 3H)
실시예 123: ( R )-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7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20 g, 0.60 mmol)과 제조예 65에서 얻은 벤질 (E)-2-(4-(3-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페닐)-2-메틸프로판오에이트 (0.19 g, 0.6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97과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4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0 (s, 1H), 7.86 (s, 1H), 7.69 (dd, J = 5.0, 1.4 Hz, 1H), 7.32 (d, J = 8.2 Hz, 2H), 7.24-7.13 (m, 3H), 6.84 (dd, J = 8.0, 1.6 Hz, 1H), 6.73 (dd, J = 7.8, 5.0 Hz, 1H), 5.19-5.08 (m, 1H), 3.95-3.70 (m, 4H), 3.66-3.55 (m, 1H), 3.55-3.44 (m, 1H), 3.07-2.89 (m, 2H), 2.60 (dt, J = 20.4, 7.3 Hz, 2H), 2.15-2.04 (m, 1H), 2.01-1.87 (m, 2H), 1.68-1.50 (m, 7H), 1.24 (t, J = 7.1 Hz, 3H)
실시예 124: ( R )-3-(4-(1-((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8
제조예 68에서 제조한 (R)-4-클로로-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 (0.10 g, 0.30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6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0%)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18 (d, J = 5.9 Hz, 1H), 7.36-7.26 (m, 3H), 7.22-7.07 (m, 3H), 6.97-6.75 (m, 4H), 4.29 (d, J = 12.8 Hz, 1H), 4.21-4.11 (m, 1H), 4.06-3.88 (m, 3H), 3.40 (d, J = 5.0 Hz, 2H), 2.87 (dd, J = 22.4, 13.3 Hz, 2H), 2.12-2.04 (m, 1H), 1.91-1.72 (m, 2H), 1.61 (s, 6H), 1.47 (dd, J = 9.4, 3.9 Hz, 1H), 1.32 (t, J = 6.9 Hz, 3H), 1.18 (d, J = 3.7 Hz, 6H)
실시예 125: ( R )-3-(4-(1-((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09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5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77%)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1 (s, 1H), 7.82 (s, 1H), 7.75-7.67 (m, 1H), 7.28 (d, J = 8.7 Hz, 2H), 7.23-7.11 (m, 2H), 6.95 (dd, J = 8.0, 1.1 Hz, 1H), 6.87 (s, 1H), 6.78 (dd, J = 7.8, 5.0 Hz, 1H), 5.14-5.02 (m, 1H), 3.95-3.65 (m, 4H), 3.59-3.37 (m, 2H), 3.00-2.75 (m, 2H), 2.05 (t, J = 4.1 Hz, 1H), 2.00-1.84 (m, 2H), 1.59 (dd, J = 18.3, 2.7 Hz, 7H), 1.34-1.25 (m, 3H), 1.23-1.12 (m, 6H)
실시예 126: ( R )-3-(4-(1-((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0
제조예 57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80 g, 0.22 mmol)과 제조예 59에서 얻은 tert-뷰틸 3-(4-(1-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71 g, 0.22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2%)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9 (s, 1H), 7.80 (s, 1H), 7.29 (d, J = 8.2 Hz, 2H), 7.18 (d, J = 8.2 Hz, 2H), 7.04 (s, 1H), 6.91-6.81 (m, 2H), 6.81-6.72 (m, 1H), 6.72-6.63 (m, 1H), 4.58-4.43 (m, 1H), 4.25-4.14 (m, 1H), 3.90 (dd, J = 13.3, 2.7 Hz, 1H), 3.67-3.54 (m, 1H), 3.43 (dd, J = 13.0, 7.5 Hz, 1H), 3.36-3.20 (m, 1H), 2.87 (dd, J = 15.1, 13.3 Hz, 2H), 2.42-2.26 (m, 2H), 2.16-2.03 (m, 3H), 1.97-1.68 (m, 3H), 1.67-1.40 (m, 8H), 1.20-1.09 (m, 6H)
실시예 127: ( R )-3-(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1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62에서 얻은 tert-뷰틸 3-(3-(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1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1%)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64 (s, 1H), 7.84 (s, 1H), 7.66 (s, 1H), 7.15 (t, J = 8.0 Hz, 1H), 7.03 (d, J = 6.9 Hz, 2H), 6.98 (d, J = 7.3 Hz, 1H), 6.94-6.87 (m, 2H), 6.87-6.76 (m, 2H), 4.27 (td, J = 7.2, 3.5 Hz, 1H), 4.00-3.83 (m, 3H), 3.69-3.51 (m, 2H), 3.45-3.32 (m, 1H), 2.95 (t, J = 7.5 Hz, 2H), 2.83 (s, 2H), 2.59 (t, J = 7.8 Hz, 2H), 2.10-2.00 (m, 1H), 2.00-1.80 (m, 2H), 1.53 (td, J = 8.5, 4.3 Hz, 1H), 1.31 (t, J = 7.1 Hz, 3H), 1.16 (s, 6H)
실시예 128: ( R )-3-(3-(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2
제조예 70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10 g, 0.30 mmol)과 제조예 62에서 얻은 tert-뷰틸 3-(3-(3-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91 g, 0.30 mmol)를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8%)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58 (s, 1H), 7.86 (s, 1H), 7.73 (dd, J = 5.0, 1.4 Hz, 2H), 7.15 (t, J = 7.5 Hz, 1H), 7.04 (d, J = 9.1 Hz, 2H), 7.00-6.90 (m, 2H), 6.80 (dd, J = 7.8, 5.0 Hz, 1H), 5.20-5.11 (m, 1H), 3.97-3.72 (m, 4H), 3.71-3.60 (m, 1H), 3.56-3.42 (m, 1H), 2.96 (t, J = 7.1 Hz, 2H), 2.82 (dd, J = 19.2, 13.3 Hz, 2H), 2.62 (t, J = 7.3 Hz, 2H), 2.19-2.07 (m, 1H), 2.02-1.90 (m, 2H), 1.71-1.55 (m, 1H), 1.28 (t, J = 7.1 Hz, 3H), 1.17(s, 3H), 1.14 (s, 3H)
실시예 129: ( R )-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3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29 g, 0.086 mmol)과 제조예 79에서 제조한 tert-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34 g, 0.095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55%)
1H-NMR (400 MHz, CHLOROFORM-D): δ 8.80 (s, 1H), 8.09-7.93 (m, 2H), 7.86 (s, 1H), 7.77 (dd, J = 30.2, 8.2 Hz, 2H), 7.59-7.41 (m, 3H), 7.35 (t, J = 7.5 Hz, 1H), 7.22-7.11 (1H), 7.01-6.87 (m, 1H), 6.87-6.70 (m, 3H), 4.31 (td, J = 7.1, 3.5 Hz, 1H), 4.03-3.79 (m, 3H), 3.77-3.56 (m, 2H), 3.52-3.32 (m, 1H), 2.96 (s, 2H), 2.17-2.04 (m, 1H), 2.01-1.79 (m, 2H), 1.56 (qd, J = 8.5, 4.2 Hz, 1H), 1.32 (t, J = 7.1 Hz, 3H), 1.24-1.06 (m, 6H)
실시예 130: ( R )-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4
제조예 1에서 제조한 (R)-2-클로로-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 (0.052 g, 0.154 mmol)과 제조예 80에서 제조한 tert-뷰틸 3-(3'-(클로로카보닐)-[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오에이트 (0.060 g, 0.170 mmol)을 이용하여 실시예 7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수율 69%)
1H-NMR (400 MHz, CHLOROFORM-D): δ8.86 (s, 1H), 8.08 (d, J = 12.3 Hz, 2H), 7.93 (s, 1H), 7.78 (dd, J = 22.0, 7.8 Hz, 2H), 7.62-7.43 (m, 3H), 7.29 (d, J = 8.2 Hz, 2H), 7.03-6.89 (m, 1H), 6.88-6.72 (3H), 4.41-4.23 (m, 1H), 4.04-3.80 (m, 3H), 3.69 (q, J = 6.7 Hz, 2H), 3.57-3.37 (m, 1H), 2.97 (d, J = 8.7 Hz, 2H), 2.18-2.05 (m, 1H), 2.03-1.81 (m, 2H), 1.58 (qd, J = 8.4, 4.5 Hz, 1H), 1.33 (t, J = 7.1 Hz, 3H), 1.26 (s, 6H)
실험예: DGAT2 효소 활성 저해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들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여 DGAT2 효소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1. DGAT2 발현벡터 제조
DGAT2 발현벡터인 pBacPAK9-DGAT2를 제조하기 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에 의해 증폭한 인간 DGAT2 유전자를 pBacPAK9 (clonctech) 벡터의 EcoR1 and Xho1 sites에 넣어 클로닝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정방향 프라이머 5' CTATAAATACGGATCCCGGGAATTCATGGACTACAAGGACGACGATGACAAGCTTAAGACCCTCATAGCCGCC과 역방향 프라이머 5' TAAGCGGCCGCCCTGCAGGCCTCGAGTCAGTTCACCTCCAGGAC를 사용하였다, 반응액의 조성은 50 ng의 cDNA 클론 (OriGene), 200 μM의 dATP, dCTP, dTTP, dGTP, 200 nM의 각 프라이머, 1 유닛의 Tag DNA 중합효소 (Toyobo), 1x PCR 버퍼를 포함하도록 하고 최종 부피를 20 μl로 맞추었다. 반응조건은 95℃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94℃20초, 60℃20초, 72℃90초 과정을 30회 실시한 다음 추가적으로 72℃에서 7분간 반응시켰다.
2. DGAT2 발현 및 막단백질 제조
재조합 인간 DGAT2 단백질은 BacPack 베큘로바이러스 발현 시스템 (Clontech)을 사용하여 곤충세포인 Sf-21 세포에서 발현시켰다. 간략한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pBacPAK9-DGAT2 발현벡터를 BacPAK6 바이러스 DNA(Bsu36I digest)와 함께 sf21 세포에 Bacfectin을 사용하여 형질감염(transfection) 시켜 재조합 DGAT2 발현 베큘로바이러스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베큘로바이러스를 Sf-21 세포에 10 MOI (multiplicity of infection)로 감염시키고 72시간 후 감염된 곤충세포를 모아 막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막단백질 분리를 위해 세포 펠렛을 250 mM 수크로스, 10 mM Tris (pH 7.4), 1 mM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이 포함된 수크로스 용액에 녹인 후 균질기(dounce homogenizer)를 사용하여 균질화한 후 600×g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한후 100,000×g로 1시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남은 펠렛을 20 mM HEPES 완충용액 (pH 7.4)에 재부유(resuspension) 하였다. 제조한 DGAT2 과발현 막단백질은 100 μl로 분주하여 사용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단백질 농도는 BCA 단백질 분석 키트 (Thermo Scientific)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3. DGAT2 효소 활성 저해효과 측정
인 비트로 DGAT2 분석은 SPA (Scintilation proximity assay) 원리에 바탕을 둔 인지질 플래쉬 플레이트 (Phospholipid Flash Plate, PerkinElmer)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3 nM부터 10 μM까지(최종농도, 1% DMSO) 5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한 DGAT2 저해 화합물들을 2 μg DGAT2-막단백질과 함께 20 mM HEPES, 20 mM MgCl2, 1 mg/mL BSA, 50 μM 1,2 sn-올레오엘 글리세롤 (sn-oleoyl glycerol, Sigma)를 포함하는 최종 부피 90 μL 완충용액에 섞고 96 웰 플래쉬 플레이트 (FlashPlate)에 넣어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다음 1 μM [14C]올레오일 CoA (PerkinElmer, NEC651050UC)을 최종부피 100 μL가 되도록 넣고 37℃에서 15 분간 추가로 반응시켰다. 효소 반응이 끝난 후 100 μL 이소프로판올을 넣고 플레이트를 필름으로 밀봉한 후 플레이트 셰이커(plate shaker)에서 천천히 흔들어 주었다. 다음 날 Topcounter (Packard)에서 증폭된 섬광 시그널(cpm)을 측정하여 반응 산물인 [14C]-표지된 트리아실 글리세롤 (TG)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의 측정값을 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이에 대한 화합물 처리군의 측정값을 상대적인 %로 계산하여 화합물의 TG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TG 생성을 50% 저해하는 화합물의 농도인 IC50값은 화합물 농도에 따른 반응값을 PRISM (Graphpad Inc.)을 사용하여 비선형회귀곡선 (nonlinear regression curve)으로 처리하여 결정하였다.
화학식 (1)의 화합물에 대하여 DGAT2 효소작용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개별적인 실시예 화합물들의 구체적인 IC50 값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았다.
[표 1]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5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6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화학식 (1)]
    Figure PCTKR2020018933-appb-I000217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및 E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는 N, CH 또는 C-할로알킬이며;
    R1은 알킬,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알킬이며;
    R3는 -G-J-L이고;
    여기서 G는 -NH- 또는 직접결합이며;
    J는 알킬렌, 알케닐렌, 알킬렌-아릴렌, 알킬렌-아미노-아릴렌, 알킬렌-아릴옥시렌-알킬렌, 알킬렌-사이클로알킬, 알케닐렌-사이클로알킬, 알콕시렌-아릴렌, 아릴렌,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아릴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은 수소, 할로, 아미노, 니트로, 카르복시(-COOH), 아미노카르보닐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카르복시알킬-아릴, 사이클로알킬,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이며; 또는
    R2와 R3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알킬렌, 알킬렌-아릴렌, 알케닐,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알콕시알킬, 아미노카르보닐, 아릴, 아릴-알킬, 아릴렌,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기는 하이드록시, 할로, 옥소, 니트로, -COOH, -CH2COOH, 알킬, 알케닐, 알콕시, 할로알킬, 알킬설포닐, 알킬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및 헤테로아릴-알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A, B 및 E는 각각 독립적으로 CH 또는 N이고;
    D는 N, CH 또는 C-할로-C1-C7 알킬이며;
    R1은 C1-C7 알킬, C3-C10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C1-C7 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C7 알킬이며;
    R3는 -G-J-L이고;
    여기서 G는 -NH- 또는 직접결합이며;
    J는 C1-C7 알킬렌, C2-C7 알케닐렌, C1-C7 알킬렌-C6-C10 아릴렌, C1-C7 알킬렌-아미노-C6-C10 아릴렌, C1-C7 알킬렌-C6-C10 아릴옥시렌-C1-C7 알킬렌, C1-C7 알킬렌-C3-C10 사이클로알킬, C2-C7 알케닐렌-C3-C10 사이클로알킬, C1-C7 알콕시렌-C6-C10 아릴렌, C6-C10 아릴렌, C3-C10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C1-C7 알킬,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C6-C10 아릴렌,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렌 또는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L은 수소, 할로, 아미노, 니트로, 카르복시(-COOH), 아미노카르보닐-C1-C7 알킬, 카르복시-C1-C7 알킬, 카르복시-C1-C7 알콕시, 카르복시-C1-C7 알킬-C6-C10 아릴, C3-C10 사이클로알킬, C6-C10 아릴, C6-C10 아릴옥시,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이며; 또는
    R2와 R3은 이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5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알킬, 알킬렌, 알킬렌-아릴렌, 알케닐, 알케닐렌, 사이클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시알콕시, 알콕시알킬, 아미노카르보닐, 아릴, 아릴-알킬, 아릴렌, 아릴옥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기는 하이드록시, 할로, 옥소, 니트로, -COOH, -CH2COOH, C1-C7 알킬, C2-C7 알케닐, C1-C7 알콕시, 할로-C1-C7 알킬, C1-C7 알킬설포닐, C1-C7 알킬카르보닐, C1-C7 알콕시카르보닐 및 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C1-C7 알킬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이며;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렌 또는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R)-1-(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아;
    ((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L-페닐알라닌;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몰포린-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롤리딘-1-카르복사미드;
    1-((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3-카복실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R)-4-클로로-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톡시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메톡시벤즈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4-니트로벤즈아미드;
    (R)-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벤조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아세트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메틸설포닐)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1-아세틸-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아이소프로필설포닐)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1-(5-에틸피리미딘-2-일)피페리딘-4-카르복사미드;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4-옥소뷰탄산;
    (1R)-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싸이클로펜탄-1-카복실산;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바이싸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4-옥소뷰탄산;
    (R)-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3-다이메틸피롤리딘-2,5-다이온;
    (R)-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5-옥소펜탄산;
    (R)-5-((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3-다이메틸-5-옥소펜탄산;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아미드;
    (R)-2-(3,5-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페닐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페닐프로판아미드;
    (R)-2-(3-클로로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메틸-2-페닐프로판아미드;
    (R)-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R)-3-(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벤조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세트아미드;
    (R)-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2-(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아미드;
    (R)-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뷰탄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롭-1-엔-1-일)벤조산;
    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3-옥소프로필)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플루오로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틸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메톡시벤조산;
    (R)-2-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아세트산;
    (R)-3-(4-(2-아미노-2-옥소에틸)페닐-N-(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프로판아미드;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싸이클로프로페인-1-카복실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플루오로벤조산;
    (R)-2,6-다이클로로-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벤조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2,6-다이메틸벤조산;
    (R)-1-(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R)-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R)-2-(1-(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2,6-다이플루오로페닐)피페리딘-4-일)아세트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벤조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3-(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프로판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페녹시)벤조산;
    (R)-3-(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S)-3-(4-(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우레이도)페닐)아세트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알릴)아미노)페닐)프로판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미딘-5-카복실산;
    3-(3-((R)-3-((6-((R)-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l)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아세트산;
    (R)-2-(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메틸프로판산;
    (R)-2-(6-(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2-메틸프로판산;
    (R)-2-(5-(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2H-테트라졸-2-일)아세트산;
    (R)-4-(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4-옥소뷰탄산;
    (R)-2-(4-((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르바모일)피페리딘-1-일)아세트산;
    3-(3-((R)-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페리딘-1-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1-(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피페리딘-4-카복실산;
    6-(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피롤리딘-1-일)니코틴산;
    N-(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3-메틸피롤리딘-3-카복사마이드;
    6-(3-((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3-메틸피롤리딘-1-일)니코틴산;
    (R)-2-(4-(2-((6-(3-(2-아이소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아세트산;
    (R)-2-(4-(3-((6-(3-(2-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메틸-2-(4-(3-옥소-3-((6-(3-(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프로필)페닐)프로판산;
    (R)-2-(4-(3-((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6-(3-(2-(2-플루오로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3-((6-(3-(2-사이클로프로폭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아세트산;
    (R)-2-(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아세트산;
    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톡시)페닐)프로판산;
    (R)-3-(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S)-2-(4-(2-((6-((R)-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프로판산;
    (R)-2-(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녹시)메틸)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녹시)-2-메틸프로판산;
    (R)-3-(4-(1-((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2-(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2-다이메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2-((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4-(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2-(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2-((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2-((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옥소에틸)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E)-4-(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프-1-엔-1-일)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1-카복실산;
    (R)-2-(4-(3-((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2-(4-(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산;
    (R)-3-(4-(1-((2-(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리미딘-4-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4-(1-((6-(3-(2-사이클로뷰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2-메틸-1-옥소프로판-2-일)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3-((6-(3-((3-에톡시피리딘-2-일)옥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아미노)-3-옥소프로필)페닐)-2,2-다이메틸프로판산;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3-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및
    (R)-3-(3'-((6-(3-(2-에톡시페녹시)피페리딘-1-일)피라진-2-일)카바모일)-[1,1'-바이페닐]-4-일)-2,2-다이메틸프로판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
  4. 활성성분으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이성질체와 함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DGAT2) 관련된 질환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GAT2 관련된 질환이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죽상(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및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PCT/KR2020/018933 2019-12-23 2020-12-22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13303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88,393 US20230101389A1 (en) 2019-12-23 2020-12-22 Novel amide derivative useful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 and use thereof
EP20907919.3A EP4074701B1 (en) 2019-12-23 2020-12-22 Novel amide derivative useful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 and use thereof
ES20907919T ES2969310T3 (es) 2019-12-23 2020-12-22 Nuevo derivado de amida útil como inhibidor de diacilglicerol aciltransferasa 2, y uso del mismo
BR112022012352A BR112022012352A2 (pt) 2019-12-23 2020-12-22 Novo derivado de amida útil como inibidor de diacilglicerol aciltransferase 2 e uso do mesmo
AU2020413583A AU2020413583B2 (en) 2019-12-23 2020-12-22 Novel amide derivative useful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 and use thereof
CA3161640A CA3161640A1 (en) 2019-12-23 2020-12-22 Novel amide derivative useful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 and use thereof
MX2022007810A MX2022007810A (es) 2019-12-23 2020-12-22 Derivado de amida novedoso util como inhibidor de diacilglicerol aciltransferasa 2, y uso del mismo.
CN202080089274.6A CN114901653A (zh) 2019-12-23 2020-12-22 可用作二酰基甘油酰基转移酶2抑制剂的新的酰胺衍生物及其用途
JP2022539022A JP7451017B2 (ja) 2019-12-23 2020-12-22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2抑制剤として有用な新規アミド誘導体及びその使用
ZA2022/08088A ZA202208088B (en) 2019-12-23 2022-07-20 Novel amide derivative useful as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456 2019-12-23
KR20190173456 2019-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3038A1 true WO2021133038A1 (ko) 2021-07-01

Family

ID=7657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8933 WO2021133038A1 (ko) 2019-12-23 2020-12-22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30101389A1 (ko)
EP (1) EP4074701B1 (ko)
JP (1) JP7451017B2 (ko)
KR (1) KR102557329B1 (ko)
CN (1) CN114901653A (ko)
AU (1) AU2020413583B2 (ko)
BR (1) BR112022012352A2 (ko)
CA (1) CA3161640A1 (ko)
ES (1) ES2969310T3 (ko)
MX (1) MX2022007810A (ko)
WO (1) WO2021133038A1 (ko)
ZA (1) ZA202208088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055A2 (en) * 2008-08-20 2010-02-25 Amgen Inc. Inhibitor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O2011031628A1 (en) * 2009-09-14 2011-03-17 Schering Corporation Inhibitors of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WO2012024179A1 (en) * 2010-08-18 2012-02-23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amide derivatives as dgat-1 inhibitors
KR20160115997A (ko) * 2014-03-17 2016-10-06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대사 및 관련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
WO2018033832A1 (en) * 2016-08-19 2018-02-22 Pfizer Inc.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35A1 (ko) * 2019-12-23 2021-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노 아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TWI817191B (zh) * 2020-09-04 2023-10-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新穎聯芳基衍生物及其作為針對二醯基甘油醯基轉移酶2之抑制劑之用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2055A2 (en) * 2008-08-20 2010-02-25 Amgen Inc. Inhibitors of voltage-gated sodium channels
WO2011031628A1 (en) * 2009-09-14 2011-03-17 Schering Corporation Inhibitors of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WO2012024179A1 (en) * 2010-08-18 2012-02-23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amide derivatives as dgat-1 inhibitors
KR20160115997A (ko) * 2014-03-17 2016-10-06 화이자 인코포레이티드 대사 및 관련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
WO2018033832A1 (en) * 2016-08-19 2018-02-22 Pfizer Inc.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2 inhibito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I CS ET AL., HEPATOLOGY, vol. 45, 2007, pages 1366 - 74
STONE SJ ET AL., NAT. GENET., vol. 25, 2000, pages 87 - 9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413583B2 (en) 2023-12-14
EP4074701B1 (en) 2023-12-13
CN114901653A (zh) 2022-08-12
JP2023508969A (ja) 2023-03-06
KR20210081285A (ko) 2021-07-01
ZA202208088B (en) 2024-03-27
CA3161640A1 (en) 2021-07-01
AU2020413583A1 (en) 2022-07-14
MX2022007810A (es) 2022-07-19
JP7451017B2 (ja) 2024-03-18
ES2969310T3 (es) 2024-05-17
EP4074701A4 (en) 2023-01-11
KR102557329B1 (ko) 2023-07-19
US20230101389A1 (en) 2023-03-30
EP4074701A1 (en) 2022-10-19
BR112022012352A2 (pt)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69686A1 (en) Glp-1 receptor agonist
WO2017018803A1 (en) 1,3,4-oxadiazole sulfonamid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3116859A1 (en) Novel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WO2017065473A1 (en) Oxadiazole amin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1187886A1 (ko) Glp-1 수용체 효능제,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18804A1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6 억제제로서의 1,3,4-옥사다이아졸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EP2958913A1 (en) 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agonists,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agent
WO2020162725A1 (ko) 표적 단백질 eed 분해 유도 데그라듀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ed, ezh2, 또는 prc2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U2018353759B2 (en) Heterocyclic compound as a protein kinase inhibitor
WO2021194318A1 (en) Plk1 selective degradation inducing compound
WO2012128582A2 (en) A COMPOUND FOR INHIBITING HUMAN 11-β-HYDROXY STEROID DEHYDROGENASE TYPE 1,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EP3344613A1 (en) Heteroaryl compound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drugs
EP3089977A1 (en) Novel indole derivativ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1162562A2 (en) [6+5] fused bicycles as a thrombin antagonist,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bicycles
WO2021133035A1 (ko)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노 아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133038A1 (ko)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아미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2050749A1 (ko)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제 2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바이아릴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3017442A1 (en) Novel plk1 degradation inducing compound
AU2020360000B2 (en) N-(1H-imidazol-2-yl)benzamid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U2021255176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12111995A1 (en) Oxime derivatives as gpr119 agonists
WO2023074936A1 (ko) Ubr 박스 도메인 결합 리간드를 이용한 이중기능성 화합물
WO2011149213A2 (ko) 11베타-hsd1 효소의 억제활성을 갖는 신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068755A1 (ko)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3229378A1 (ko) 다이아실글리세롤 키나아제 저해제로서 헤테로사이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079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3161640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3902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2012352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413583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01222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0791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71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2012352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2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