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22334A1 -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22334A1
WO2020222334A1 PCT/KR2019/005244 KR2019005244W WO2020222334A1 WO 2020222334 A1 WO2020222334 A1 WO 2020222334A1 KR 2019005244 W KR2019005244 W KR 2019005244W WO 2020222334 A1 WO2020222334 A1 WO 20202223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rap
electronic device
auxiliary
pad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2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동혁
정법성
허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52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22334A1/ko
Priority to US16/490,063 priority patent/US11366323B2/en
Priority to KR1020190089732A priority patent/KR20190094308A/ko
Publication of WO20202223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223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involving arrangement aiming to get lighter or better balanced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69Supporting or connecting means other than the external walls

Definitions

  • VR Virtual Reality
  • Augmented Realit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synthesizes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in a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look like objects existing in the original environment.
  • Mixed reality or hybrid reality refers to creating a new environment or new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 mixed reality when it refers to the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reality and what exists in the virtual.
  • the created virtual environment or situation stimulates the user's five senses and allows them to freely enter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spatial and temporal similarities to the real world.
  • users can not only immerse themselves in this environment, but also interact with things implemented in this environment, such as manipulating or applying commands using an existing device.
  • Another object may be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asily worn on a user's head.
  •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wearing mode in response to content provided from a display module.
  • the first flange includes a fixing hole to which the auxiliary strap is fixed, and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ing hole may be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eb.
  • the first strap connection part 201-1 and the second strap connection part 201-2 are at predetermined angles ⁇ 1 and ⁇ 2 with respect to the virtual central axis AX1. It can be tilted as much.
  • the virtual central axis AX1 may refer to a virtual axis that crosses between the first strap connection part 201-1 and the second strap connection part 201-2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AX1 may gradually increase as the first strap connection part 201-1 go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AX1 may gradually increase as the second strap connection part 201-2 go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 the stopper 323 may be a plate-shaped spring, and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333.
  • the stopper 323 may move along the pattern part 333.
  •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as the stopper 323 is located in the valley of a specific position of the pattern unit 333, the movement of the auxiliary strap connection unit 320 may be restricted.
  • the guide portion 35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351 but is provided in an upwardly open type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art of the main strap 210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353 as well.
  •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include a face pad 500.
  •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502 of the main pad 501.
  •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nner space 502 of the main pad 501.
  •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may be fitted to the main pad 501.
  • the auxiliary pad 503 may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pad 501 based on the central axis AX2 of the coupling pin 601, and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may be limited.
  •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fitted to the main pad 501, and movement of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limited at a desired position due to a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auxiliary pad 503 and the main pad 501. That is, the auxiliary pad 503 may be controlled to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by the frictional fo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고글 프레임; 상기 고글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고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내측에 수용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VR(virtual reality) AR(augmented reality) MR(mix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말한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혼합 현실 (Mixed Reality, MR) 혹은 혼성 현실 (Hybrid reality)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현실과 가상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때 혼합 현실이라 한다.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환경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이러한 환경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최근, 이러한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장비(gea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 일체형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착용 모드를 달리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고글 프레임; 상기 고글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고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내측에 수용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스트랩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틸팅된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2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메인 스트랩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 및 상기 프런트 커버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힌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구조는, 상기 프런트 커버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홀; 상기 서포터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끼움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홀; 그리고 상기 제1 끼움홀 및 상기 제2 끼움홀에 삽입되는 끼움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분을 잡거나 걸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서 상기 후크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메인 스트랩이 삽입되는 오픈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위치하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메인 스트랩에 고정된 일단, 및 상기 어댑터에 고정된 타단을 갖는 보조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두께를 관통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보조 스트랩이 고정되는 제1 플랜지(flange); 상기 제1 플랜지와 마주하며, 상기 걸림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web)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보조 스트랩이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웨브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는 측면에 위치한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요부에 삽입되며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의 형상은 상기 기 설정된 궤적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요부는 상기 철부와 마주하며 마루와 골이 교번하여 배열된 패턴부를 갖는 일 면을 포함하고, 상기 철부는 상기 패턴부에 접촉되어 상기 패턴부의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메인 스트랩에 위치하는 제1 접착 부재; 그리고 상기 보조 스트랩 및 상기 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착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메인 스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거나, 상기 제2 접착 부재가 상기 보조 스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를 노출하는 안면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 패드는, 상기 개구의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여 마련된 내부 공간을 갖는 메인 패드;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보조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조 패드와 상기 메인 패드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힌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 구조는, 상기 보조 패드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메인 패드에 고정되는 결합 핀; 그리고 상기 결합 핀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 패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패드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패드의 회전 시 상기 보조 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착용 모드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조건에 맞추어 전자 디바이스의 착용감(또는, 안면 밀착감)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환경에 맞추어 착용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와 프런트 커버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트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스트랩의 연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패드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도 1 참조),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높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전방(F)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측(front side)과 마주할 수 있다. 후방(B)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후측(rear side)과 마주할 수 있다.
후방(B)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바라 볼 때, 전자 디바이스(100)의 좌측(left side)에서 우측(right side)을 향하는 방향 또는 우측(right side)에서 좌측(left side)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측(top side)에서 하측(bottom side)을 향하는 방향 또는 하측(bottom side)에서 상측(top side)을 향하는 방향은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를 참조하면, 프런트 커버(110)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아웃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10)는 터브(tub) 형상일 수 있다. 윈도우(120)는 프런트 커버(110)의 전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벤트(vent, 130)는 프런트 커버(11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상벤트(top vent, 131)는 스퀘어 형상일 수 있고, 프런트 커버(1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벤트(bottom vent, 132)는 길게 연장된 형상일 수 있고, 프런트 커버(11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조작부(140)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40)는 복수개의 버튼일 수 있다. 입출력부(142,143)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43)는 USB단자일 수 있고, 출력부(142)는 음성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안면패드(facial pad, 150)는 프런트 커버(110)의 후방에서 프런트 커버(110)와 결합할 수 있다. 안면패드(150)는 사용자의 얼굴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면패드(150)는 사람의 얼굴의 전면의 윤곽에 대응하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10)는 프레임(160)에 결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10)는 프레임(160)의 전면에서, 프레임(16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내지 6을 참조하면, 프레임(160)은 고글 프레임(160)이라 칭할 수 있다. 고글 프레임(160)은 전체적으로 터브 형상(tub shape)일 수 있고, 전면에 개구(161,162)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161,162)는 적어도 하나가 고글 프레임(16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1610,1620)가 개구(161,162)를 막을 수 있다.
고글 프레임(160)은 바디(163), 그리고 박스(164)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163)는 터브형상(tub shape)을 지니며, 안면패드(150)가 바디(163)의 후방 내측에 장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개구(161,162)는 복수개일 수 있고, 바디(16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161,162)의 위치는 사용자의 안구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박스(164)는 바디(16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개구(161,162)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161,162)는 바디(163)와 박스(16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박스(164)는 공간(space,S)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163)를 고글 프레임(110)이라 칭할 수도 있다.
박스(164)의 전면은 개방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172)이 박스(164)의 전면에 위치하여 박스(164)의 공간(S)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디스플레이 패널(172)을 포함하고, 박스(164)의 전면에 위치하여 박스(164)의 공간(S)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70)은 LCD 모듈일 수 있고, OLED모듈일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디스플레이 모듈(170)의 전방에 장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의 전방을 윈도우(120)가 덮을 수 있다. 배터리(190)는 디스플레이 모듈(170)과 카메라 모듈(1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전자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서포터(supporter)(200) 및 메인 스트랩(strap)(21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200)는 프런트 커버(110)의 상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200)는 프런트 커버(110)의 상면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터(200)는 사용자의 전두부와 마주할 수 있다. 또는, 서포터(200)는 사용자의 이마(또는, 전액부)와 마주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포터(200)의 후면에는 보조 패드(503)가 제공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전두부 또는 이마에 직접 접촉하여,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사용자의 전두부 또는 이마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서포터(200)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원치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 위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전자 디바이스(100)(예를 들어, 안면 패드(500)(150))가 사용자의 안면에 적절하게 위치하고, 기 설정된 위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서포터(200)는 메인 스트랩(210)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연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연결부(201)는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일측이 개방된 개 루프(open-loo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의 일단은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에 고정될 수 있고, 메인 스트랩(210)의 타단은 제2 스트랩 연결부(20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연결부(201-1)는 두께를 관통하는 제1 오픈홀(203-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의 일단은 제1 오픈홀(203-1)에 인입되어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고, 메인 스트랩(210)의 일단에 인접한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스트랩(210)의 일단은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두께를 관통하는 제2 오픈홀(203-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의 타단은 제2 오픈홀(203-2)에 인입되어 제2 스트랩 연결부(201-2)의 둘레를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고, 메인 스트랩(210)의 타단에 인접한 일부에 접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스트랩(210)의 타단은 제2 스트랩 연결부(201-2)에 고정될 수 있다.
메인 스트랩(210)은 사용자의 이마와 마주하는 서포터(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 시 사용자의 이마와 후두부를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스트랩(210)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좌측과 우측(예를 들어, 프런트 커버(110)의 좌측과 우측)에 직접 고정되는 경우 대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안면 압박감(특히, 안구 주면에서 느낄 수 있는 압박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자 디바이스(100) 착용 시 사용자의 안면 특히, 안구 주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디바이스(100)를 통한 영상 몰입도를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스트랩(210)의 탄성력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상면에 위치한 서포터(200)에 집중됨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가상의 중심축(AX1)에 대하여 소정 각도(θ1, θ2)만큼 틸팅될 수 있다. 가상의 중심축(AX1)은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와 제2 스트랩 연결부(201-2)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트랩 연결부(201-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AX1)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축(AX1)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와 제2 스트랩 연결부(201-2) 사이의 간격(D)은 상측 방향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스트랩 연결부(201-1)와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는 상기 중심축(AX1)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랩 연결부(201-1) 및 제2 스트랩 연결부(201-2)를 틸팅시킴에 따라, 메인 스트랩(21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면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100) 착용 시,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면이 들뜨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100)의 착용감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서포터(200)는 프런트 커버(110)의 폭의 1/2 내지 1/3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서포터(200)의 폭이 프런트 커버(110)의 폭의 1/2보다 큰 경우, 메인 스트랩(210)이 서포터(200)와 인접한 영역에서 들뜨는 등 메인 스트랩(210)과 두부의 밀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서포터(200)의 폭이 프런트 커버(110)의 폭의 1/3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의 이마에 지지될 수 있는 서포터(200)의 유효 면적이 작아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와 프런트 커버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포터(200)와 프런트 커버(110)는 힌지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힌지 구조는 그 일측 지점을 중심으로, 서포터(200)와 프런트 커버(11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절첩되면서 개폐 가능하도록, 서포터(200)와 프런트 커버(11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서포터(20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상태는, 서포터(200)가 프런트 커버(110)의 후측에 마련된 공간으로 접혀,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인지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미 사용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제2 상태는, 서포터(200)가 프런트 커버(110)의 상면을 향하여 펴져,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인지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 구조는 프런트 커버(110)에 마련된 제1 끼움홀(221), 서포터(200)에 마련된 제2 끼움홀(223), 및 끼움 핀(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홀(221) 및 제2 끼움홀(223)은 좌우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끼움 핀(225)은 제1 끼움홀(221) 및 제2 끼움홀(223)에 삽입될 수 있다. 끼움 핀(225)의 외주 형상은 제1 끼움홀(221) 및 제2 끼움홀(223)의 내주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끼움 핀(225)의 외주 형상은 힌지 구조의 특성상 회전이 용이한 원통형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프런트 커버(110)에 두 개의 제1 끼움홀(221)들이 구비되고, 서포터(200)에 제1 끼움홀(221)들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제2 끼움홀(223)이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서포터(200)는 프런트 커버(110)에 대하여,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수평 및 수직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끼움 핀(225)은 제1 끼움홀(221)의 내주연 및 제2 끼움홀(223)의 내주연에 접촉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서포터(200)의 움직임은, 상기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즉, 서포터(200)는 상기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스트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보조 스트랩(310),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 및 어댑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은 메인 스트랩(2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보조 스트랩(310)의 일단은 메인 스트랩(210)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은 메인 스트랩(210)의 탄성력을 보완할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은 제1 보조 스트랩 및 제2 보조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의 고정부(311)는 사용자의 측두부 및/또는 후두부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보조 스트랩과 메인 스트랩(210)의 고정부(311)는 사용자의 우측두부 및 좌측두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보조 스트랩과 메인 스트랩(210)의 고정부(311)는 사용자의 우측두부 및 좌측두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보조 스트랩과 메인 스트랩(210)의 고정부(311), 및 제2 보조 스트랩과 메인 스트랩(210)의 고정부(311)는, 사용자의 후두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스트랩(310)은 힌지 구조를 통해 메인 스트랩(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는 제1 보조 스트랩 연결부 및 제2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 프런트 커버(1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제2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 프런트 커버(110)의 우측면 및 좌측면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는 후면 방향으로 두께를 관통하는 걸림홀(321)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321)은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어댑터(400)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400)의 일부는 후크 형태로 제공되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구비된 걸림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 어댑터(400)는 제1 플랜지(flange)(401), 제2 플랜지(403), 및 제1 플랜지(401)와 제2 플랜지(403)를 연결하는 웨브(web)(40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400)의 단면은, 제1 플랜지(401), 제2 플랜지(403), 및 웨브(405) 의 연결 구조에 의해 "ㄷ"또는"C"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랜지(401)는 보조 스트랩(310)에 고정될 수 있다. 어댑터(400)는 고정홀(402)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스트랩(310)의 타단은 고정홀(4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플랜지(403)는 제1 플랜지(401)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플랜지(403)는 제1 플랜지(401)와 이격되며 제1 플랜지(401)와 나란한 방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랜지(403)의 면적은 제1 플랜지(40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플랜지(403)의 상단 및/또는 하단은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랜지(403)의 상단 및/또는 하단에 소정의 곡률이 반영됨에 따라, 어댑터(400)와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어댑터(400)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플랜지(403)가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구비된 걸림홀(321)에 삽입됨에 따라, 제1 플랜지(401), 제2 플랜지(403) 및 웨브(405)에 의해 마련된 내부 공간(407)에,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가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댑터(400)의 후면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보조 스트랩(310)을 선택적으로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연결함으로써, 메인 스트랩(210)만을 이용하는 경우 대비 전자 디바이스(100)를 사용자의 안면에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7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다른 모드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사용자가 영화 감상 등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는, 보조 스트랩(310)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연결되지 않아,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면 밀착감이 상대적으로 약한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사용자가 게임 플레이 등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보조 스트랩(310)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연결되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면 밀착감이 상대적으로 강한 모드일 수 있다.
웨브(405)의 연장 방향(또는, 길이 방향)은, 고정홀(402)의 연장 방향(또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α) 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브(405)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고정홀(402)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멀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400)가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홀(402)의 연장 방향은 보조 스트랩(310)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가 어댑터(4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와 웨브(405) 간에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웨브(405)의 연장 방향은 고정홀(402)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α) 틸팅되어 있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와 웨브(405) 간의 충분한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와 어댑터(400) 간의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일측 단부(320-1)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타측 단부(320-2)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타측 단부(320-2)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철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는 철부(32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요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요부(331)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이 두께 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요부(331)의 형상은 상기 기 설정된 궤적에 대응할 수 있다. 요부(331)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이동 경로(또는, 회전 경로)를 가이드 할 수 있고, 외력의 제공 여부에 대응하여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요부(331)는 철부(322)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일 면(332)에 구비된 패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333)는 둥근 마루와 골이 교번하여 배열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루와 골의 배열 방향은 철부(322)의 이동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철부(322)는 패턴부(333)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면에 구비된 스토퍼(32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23)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일단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어, 그 일단이 패턴부(333)에 접촉될 수 있다. 스토퍼(32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323)는 판형 스프링일 수 있으며, 패턴부(333)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를 회전 시키기 위해 외력을 가하면, 스토퍼(323)는 패턴부(33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외력이 해제되면, 스토퍼(323)가 패턴부(333)의 특정 위치의 골에 위치함에 따라, 보조 스트랩 연결부(32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스트랩과 보조 스트랩의 결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보조 스트랩(310)의 타단은 접착 부재(230, 340)를 통해 메인 스트랩(2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및/또는 보조 스트랩(310)의 타단에 고정된 어댑터(400)는 접착 부재(230, 340)를 통해 메인 스트랩(21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착 부재(230, 340)가 메인 스트랩(210) 및 어댑터(400)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접착 부재(230, 340)는 벨크로(Velcro), 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 스트랩(21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접착 부재(2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0)들은 메인 스트랩(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어댑터(400)는 제1 접착 부재(230)와 탈부착이 가능한 제2 접착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댑터(400)에 부착된 제1 접착 부재(230)를 제2 접착 부재(34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230)의 부착 위치에 따라, 메인 스트랩(210)에 제공되는 탄성력의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접착 부재(230)의 부착 위치를 선택하여 보조 스트랩(310)의 탄성력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스트랩(210)의 탄성력을 요구되는 정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접착 부재(230)가 복수 개 이고, 제2 접착 부재(340)가 제1 접착 부재(230)들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제2 접착 부재(340)가 복수 개이고, 제1 접착 부재(230)가 제2 접착 부재(340)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착 부재(340)는 어댑터(400) 및/또는 보조 스트랩(3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스트랩의 연결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후크(35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5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서포터(200)에 고정된 채 연장되는 메인 스트랩(210)의 적어도 일부분을 잡거나 걸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후크(351)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후크(351)는 프런트 커버(11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후크(351)는 하향 개방형일 수 있다. 서포터(200)에 고정된 메인 스트랩(210)은 후크(351)에 걸려 상측 방향으로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가이드부(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53)는 프런트 커버(110)의 측면에 장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53)는 후크(35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353)는 후크(35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오픈부(355)를 형성할 수 있다. 오픈부(355)는 메인 스트랩(2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가이드부(353)는, 오픈부(355)의 위치를 제어하여 메인 스트랩(210)의 체결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고, 오픈부(355)의 크기를 제어하여 후크(351)에 연결된 메인 스트랩(210)의 원치 않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부(353)가 후크(35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상향 개방형으로 마련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부(353)가 상향 개방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메인 스트랩(210)의 일부가 가이드부(353)의 내측에도 삽입될 수 있다.
서포터(200)에 고정된 메인 스트랩(210)은, 후크(351)에 걸림에 따라 사용자의 안구 주위에서 연장되어 측두부 및 후두부를 감쌀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스트랩(210)이 후크(351)에 연결되지 않아 사용자의 이마와 후두부를 감싸는 경우 대비, 전자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안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7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응하여, 다른 모드로 전자 디바이스(100)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는, 사용자가 영화 감상 등 정적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1 모드는, 메인 스트랩(210)이 후크(351)에 연결되지 않아,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면 밀착감이 상대적으로 약한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사용자가 게임 플레이 등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받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메인 스트랩(210)이 후크(351)에 연결되어, 전자 디바이스(100)의 안면 밀착감이 상대적으로 강한 모드일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패드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안면 패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프런트 커버(110)의 후방에 형성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전자 디바이스(100) 착용 시, 프런트 커버(11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전자 디바이스(100) 착용 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전자 디바이스(100) 착용 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중심부 대부분이 관통되어 개구(161, 612, 도 6 참조)를 노출할 수 있다.
안면 패드(500)는 메인 패드(501)와 보조 패드(5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패드(501)는 사용자 안면의 대부분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패드(501)는 사용자의 안구와 인접한 영역에서, 양 측면에 개방된 내부 공간(5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502)은 개구(도 6의 161, 162)에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의 내부 공간(502)에 삽입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의 상기 내부 공간(502)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보조 패드(503)는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마련되어, 메인 패드(5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로부터 탈착되어, 상기 내부 공간(502)을 개방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502)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502)은,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프레임 일부가 안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도 공간의 제약에 구애됨이 없이 전자 디바이스(100)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22를 참조하면,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에 힌지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 구조는 그 일측 지점을 중심으로, 보조 패드(503)가 메인 패드(50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절첩되면서 개폐 가능하도록, 보조 패드(503)와 메인 패드(501)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패드(50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 상태를 각각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 구조는 결합 핀(60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핀(601)은 보조 패드(503)를 관통하며 그 일단 및 타단이 메인 패드(501)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 핀(60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핀(601)의 외주 형상은 힌지 구조의 특성상 회전이 용이한 원통형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에 대하여, 결합 핀(601)의 중심축(AX2)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수평 및 수직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조 패드(503)는 메인 패드(501)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보조 패드(503)와 메인 패드(501) 간의 마찰력에 의해 보조 패드(503)의 움직임은 원하는 위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즉, 보조 패드(503)는 상기 마찰력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힌지 구조는 토션 스프링(603)(torsion sp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603)은 보조 패드(503)의 회전 시 비틀림을 이용한 탄성력(또는,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603)은 보조 패드(503)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603)은 결합 핀(601)에 끼워져, 회전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603)의 일측 단부는 메인 패드(501)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보조 패드(50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603)은, 그 양측 단부가 각각 메인 패드(501) 및 보조 패드(503)에 지지되어, 보조 패드(503)가 닫히는 방향 즉, 결합 핀(601)의 중심축(AX2)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보조 패드(503)를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6)

  1. 전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구비하는 고글 프레임;
    상기 고글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고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내측에 수용하는 프런트 커버;
    상기 프런트 커버의 상면에 위치하는 서포터; 그리고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메인 스트랩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 틸팅된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제2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메인 스트랩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와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 사이의 거리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전자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랩 연결부 및 상기 제2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제1 축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및 상기 프런트 커버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힌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 구조는,
    상기 프런트 커버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끼움홀;
    상기 서포터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1 끼움홀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끼움홀; 그리고
    상기 제1 끼움홀 및 상기 제2 끼움홀에 삽입되는 끼움 핀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메인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분을 잡거나 걸 수 있는 후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서, 상기 후크의 하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크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메인 스트랩이 삽입되는 오픈부를 형성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위치하는 보조 스트랩 연결부;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 그리고
    상기 메인 스트랩에 고정된 일단, 및 상기 어댑터에 고정된 타단을 갖는 보조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
    두께를 관통하는 걸림홀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보조 스트랩이 고정되는 제1 플랜지(flange);
    상기 제1 플랜지와 마주하며, 상기 걸림홀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web)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보조 스트랩이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의 연장 방향은,
    상기 웨브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틸팅된, 전자 디바이스.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는,
    측면에 위치한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일단은,
    상기 프런트 커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타단은,
    상기 요부에 삽입되며, 상기 보조 스트랩 연결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의 형상은,
    상기 기 설정된 궤적에 대응하는, 전자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철부와 마주하며, 마루와 골이 교번하여 배열된 패턴부를 갖는 일 면을 포함하고,
    상기 철부는,
    상기 패턴부에 접촉되어 상기 패턴부의 형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트랩에 위치하는 제1 접착 부재; 그리고
    상기 보조 스트랩 및 상기 어댑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착 부재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 부재가 상기 메인 스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거나, 상기 제2 접착 부재가 상기 보조 스트랩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커버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를 노출하는 안면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면 패드는,
    상기 개구의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여 마련된 내부 공간을 갖는 메인 패드;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보조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드와 상기 메인 패드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힌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 구조는,
    상기 보조 패드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메인 패드에 고정되는 결합 핀; 그리고
    상기 결합 핀에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메인 패드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패드에 지지되어, 상기 보조 패드의 회전 시 상기 보조 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PCT/KR2019/005244 2019-05-02 2019-05-02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WO20202223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5244 WO2020222334A1 (ko) 2019-05-02 2019-05-02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US16/490,063 US11366323B2 (en) 2019-05-02 2019-05-02 Electronic device for VA, AR, and MR
KR1020190089732A KR20190094308A (ko) 2019-05-02 2019-07-24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5244 WO2020222334A1 (ko) 2019-05-02 2019-05-02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334A1 true WO2020222334A1 (ko) 2020-11-05

Family

ID=6762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244 WO2020222334A1 (ko) 2019-05-02 2019-05-02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66323B2 (ko)
KR (1) KR20190094308A (ko)
WO (1) WO20202223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7156A1 (zh) * 2021-05-10 2022-11-17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头戴式设备的侧绑带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8807B2 (en) 2019-08-28 2022-07-0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US11768518B1 (en) * 2020-08-13 2023-09-26 Apple Inc. Head securement for head-mountable device
US12019248B1 (en) * 2020-09-15 2024-06-25 Apple Inc. Adjustable head securement for head-mountable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878A (ja)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70017085A1 (en) * 2014-03-14 2017-01-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ead-mounted display
US20170139215A1 (en) * 2014-05-02 2017-05-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system eye relief adjustment mechanism
US10078349B1 (en) * 2017-02-11 2018-09-18 Oculus Vr, Llc Strap system for attaching to head-mounted display
KR20190018518A (ko) * 2016-08-23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322B1 (ko) * 2015-09-25 2023-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 연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JP7149322B2 (ja) * 2017-07-17 2022-10-06 ビュージ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両眼式バーチャルイメージング装置の画像シフト補正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878A (ja) *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70017085A1 (en) * 2014-03-14 2017-01-1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Head-mounted display
US20170139215A1 (en) * 2014-05-02 2017-05-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system eye relief adjustment mechanism
KR20190018518A (ko) * 2016-08-23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078349B1 (en) * 2017-02-11 2018-09-18 Oculus Vr, Llc Strap system for attaching to head-mounted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7156A1 (zh) * 2021-05-10 2022-11-17 青岛小鸟看看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头戴式设备的侧绑带结构
US11627393B2 (en) 2021-05-10 2023-04-11 Qingdao Pico Technology Co., Ltd. Side-strap structure for head-mount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6323B2 (en) 2022-06-21
KR20190094308A (ko) 2019-08-13
US20210356750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2334A1 (ko)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WO2018230790A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8203588A1 (ko) 헬멧 장착용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CA2934987A1 (en) Stereoscopic viewing of an image on a body supported computer
WO2018074657A1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8124344A1 (ko) 자동 메커니즘을 구비한 웨어러블 vr 헤드밴드구조
WO2016159444A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용 휴대 단말기 고정 프레임
WO2017188740A1 (ko) 가상 현실 핸드폰
WO2017204523A1 (ko) 가상 현실 겸용 핸드폰 케이스
JP3853888B2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WO2019225922A1 (ko) 광 시야각을 제공하는 vr 헤드셋 기기
WO2019088501A1 (ko) 헤드 마운팅 장치
WO2014065528A1 (ko) 고글
WO2015076484A1 (ko)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
WO2021054661A1 (ko) 광을 이용한 스킨케어장치
CN205581406U (zh) 一种虚拟现实设备
WO2023090775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마스크
WO2020241909A1 (ko) 전자 디바이스
WO2018080130A1 (ko) 스피커 모듈 및 안경형 웨어러블 장치
WO2020179946A1 (ko) Vr ar mr을 위한 전자 디바이스
WO2011025084A1 (en)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input apparatus
WO2015111944A1 (ko) 복안형 표시장치
KR20220076711A (ko) 스마트 글라스
WO2018151350A1 (ko) 헤드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9124849A1 (ko) 접이식 가상현실 뷰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275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275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