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423A1 - 리클라이닝 체어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423A1
WO2020149423A1 PCT/KR2019/000536 KR2019000536W WO2020149423A1 WO 2020149423 A1 WO2020149423 A1 WO 2020149423A1 KR 2019000536 W KR2019000536 W KR 2019000536W WO 2020149423 A1 WO2020149423 A1 WO 20201494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ding frame
backrest
reclining
ang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5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두형
Original Assignee
이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형 filed Critical 이두형
Priority to PCT/KR2019/0005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49423A1/ko
Publication of WO20201494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4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Definitions

  •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fixed frame 110.
  •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the base frame forming the lower support structure of the reclining chair (A).
  • the fixed frame 110 supports the sliding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liding frame 120 and may be formed to be contactable with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frame 110, it is illustrated a case formed to be able to contact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r mor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ase where the friction unit 140 is provided only on the left reclining unit 100 ′ is illustrated. However, if necessary,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spectively.
  • the housing 142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xed frame 110.
  • the housing 142 may rotatably support the dial 141, the rotating block 143, and the like. In some cases, the housing 142 may be omitted, and a part of the fixed frame 110 may replace it.
  • the pressing pad 144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144c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gear 144a.
  • the pressing surface 144c may be disposed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120, and is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pad 144 to move the sliding frame 120 to a predetermined degree. Can be regu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리클라이닝 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석부; 등받이부; 및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의 원호 궤적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좌석부를 후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링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접촉면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소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을 중심으로 제1각도 회동되면, 상기 좌석부를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체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 등에는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근래 들어 리클라이닝 기능은 가정용 안락 의자, 소파, 좌식 의자 등 다양한 종류의 의자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의자의 종류 등을 불문하고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나 젖힘 기능이 포함된 의자를 리클라이닝 체어로 통칭하도록 한다.
리클라이닝 체어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위해 통상 소정의 링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복수의 링크 아암이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착석감이나 작동감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등받이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은 통상 좌석 하부에 위치하는데, 이때 힌지축의 전후 위치에 따라 등받이가 젖힘 동작되는 작동감이나 젖힘 상태에서의 착석감이 달라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경우 힌지축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등받이와의 전후방향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동감이나 착석감은 향상될 수 있다. 등받이가 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젖힘 동작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등받이의 젖힘 반경이 커짐에 따라 링크 아암의 길이나 개수도 늘어나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등받이와 회동 중심인 힌지축 간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힌지축에는 좀 더 큰 부하가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축이나 링크 아암 등에 충분한 보강 구조가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힌지축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등받이와의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면, 상기의 문제점들이 일부 개선될 수 있다. 힌지축과 등받이가 가깝게 배치되므로, 링크 아암의 길이가 짧아지고, 힌지축에 작용되는 부하 또한 비교적 작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배치에 비해 보강 구조가 상당 부분 생략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강도가 약한 저가의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저가형 리클라이닝 체어에서는 이와 같은 배치가 사용된다. 다만, 이러한 배치는 등받이의 젖힘 반경이 작아지므로 작동감 등은 전술한 배치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등받이가 짧은 반경의 궤적을 따라 회동되기 때문에, 등받이가 부드럽게 넘어가지 않고 다소 부자연스러운 작동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등받이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 등의 반발력도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어 작동감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링크 아암 및 힌지축 구조는 제조 단가나 성능 중 어느 하나를 희생하여야 하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작동감 등의 향상을 위해 힌지축과 등받이와의 거리를 멀게 배치하면, 제조 단가가 상승되며, 반대로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힌지축과 등받이의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면, 작동감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작동감이나 착석감 등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27459호(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등받이가 회동되는 중심축을 암레스트에 배치하고 있다. 즉, 등받이를 암레스트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등받이의 회동을 위해 긴 링크 아암 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이나 많은 보강 구조가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의 회동 중심축이 대략 등받이 중하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의 회동시 등받이 하단 부위가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석감도 함께 개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1584046호(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는 종래의 링크 아암이나 힌지축을 사용한 방식과 달리 프레임이 원호 궤적을 따라 접촉 슬라이딩되어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등받이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젖힘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좀 더 자연스러운 작동감이나 착석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원호 궤적의 곡률을 크게 설계함으로써, 등받이 등이 회동되는 반경도 쉽게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특허문헌 2의 방식은 비교적 저가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링크 아암 및 힌지축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하중이 넓게 분산되어 높은 강도의 재질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의 특허문헌 2에서 좌석은 등받이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좌석과 등받이가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이는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앞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경우, 등받이만이 독립적으로 젖힘 동작되어 등받이의 젖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에서 미끄러져 앞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되곤 했는데, 이를 개선한 것이다.
다만, 본 출원인이 상당기간 반복 시험해본 결과, 상기와 같이 좌석과 등받이가 함께 회동되는 구조는 경우에 따라 다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등받이가 비교적 작은 각도로 회동된 경우에는 종래에 비해 안락한 자세로 착석이 가능하나, 등받이의 회동 각도가 커지면, 이와 함께 회동된 좌석으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가 들리거나 다소 불편한 자세가 유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의 리클라이닝 체어에 있어서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레임이 원호 궤적으로 슬라이딩되어 등받이의 회동 각도가 조절되는 리클라이닝 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리클라이닝 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석부; 등받이부; 및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의 원호 궤적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좌석부를 후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링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접촉면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소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을 중심으로 제1각도 회동되면, 상기 좌석부를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클라이닝 체어는 등받이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석부를 함께 회동시키되,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에 대비하여 좌석부의 회동 각도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회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리클라이닝 체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리클라이닝 유닛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마찰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제1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제2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체어와 종래기술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리클라이닝 체어(A)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좌석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부(S)는 개략적인 형태만이 도시되고 있다. 좌석부(S)는 소정 넓이를 가지고 착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석부(S) 아래에는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은 리클라이닝 체어(A)의 하부 지지 구조를 제공하고, 좌석부(S) 등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은 하부 다리 등에 의해 소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부 다리에는 가스 실린더 등의 높이 조절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사무용 의자 등에서 볼 수 있는 구성에 해당된다. 단,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하부 다리 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가 좌식 의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하부 다리 등은 생략될 수 있다.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S1)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부(S)는 소정의 지지 구조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좌석부(S)는 후술할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고정 프레임(110) 등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좌석부(S)는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베이스 프레임은 사용자의 체중 등을 지탱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석부(S)는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단,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면 무방하며, 예시된 고정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 등 외에도 필요에 따라 제3의 지지 구조 등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등받이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전술한 좌석부(S)와 마찬가지로 등받이부(B) 또한 개략적인 형태만이 도시되고 있다. 등받이부(B)는 소정 넓이를 가지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B)는 후술할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직접 체결되거나, 소정의 연결 부재를 통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간접적으로 체결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함께 이동되어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전술한 좌석부(S)나 등받이부(B)는 프레임과 쿠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석부(S) 또는 등받이부(B)는 지지 골격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씌워지는 쿠션 부재로 이뤄질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소정의 착석 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쿠션 부재 등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좌석부(S) 또는 등받이부(B)는 쿠션 부재가 생략된 판(plate)형이나, 프레임에 소정의 커버만이 씌워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에 있어서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그 소재가 형상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조절이나 젖힘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의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다리가 생략되고 좌식 의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젖힘 기능이 포함되는 소파형 의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그 적용 범위나 형태가 특정한 종류의 의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한편,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좌석부(S) 및 등받이부(B)에 대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좌석부(S) 및 등받이부(B)의 젖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에 의해 젖힘 동작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등받이부(B)의 회동시 좌석부(S)의 회동 각도가 등받이부(B)와는 상이하게 구현되는 점에서 종래와 구별되는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은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은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 편의를 위해, 도 2의 경우 링크블록(1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을 알려둔다(도 1 참조). 또한, 도 2의 경우 좌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에만 마찰유닛(140)이 도시되고 있다. 단, 마찰유닛(140)은 좌측 또는 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거나, 좌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고정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소정의 지지 구조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프레임(110)은 리클라이닝 체어(A)의 하부 지지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후술할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110)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홈(111)은 소정 곡률을 가지고 원호(arc)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111)은 후술할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레일돌기(124)와 체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110) 일면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은 후술할 복원 스프링(123)의 설치를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레일돌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돌기(124)는 슬라이딩 프레임(120)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돌기(124)는 고정 프레임(110)의 레일홈(111)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돌기(124)는 레일홈(111)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은 전후 방향으로 원호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따라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롤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122)는 링크블록(130)에 접촉 구름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링크블록(130)에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122)는 슬라이딩 프레임(120) 전단에 배치되고 있다. 단, 롤러(122)는 링크블록(13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링크블록(13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은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의 원호 형상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레일돌기(124) 또는 레일홈(111)이 이루는 원호의 곡률 중심(C)을 기준으로 원호 궤적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된 등받이부(B)는 이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원호 궤적 이동에 의해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그리는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1 참조). 다시 말하면, 레일돌기(124) 또는 레일홈(111)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는 곡률 중심(C)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 및 등받이부(B)의 회동 동작이 사용자의 골반 위치를 중심으로 이뤄지게 되므로, 회동 동작시 안정감을 주고 보다 자연스러운 작동감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고정 프레임(110) 또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일부 또는 전부에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110)이나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가의 강재(steel)를 대신하여 비교적 저가의 플라스틱 재질로 일부 또는 전부가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레일홈(111)이나 레일돌기(124)를 따라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접촉 지지되고 하중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저가 재질로도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또는, 상기와 같은 경우 레일홈(111) 또는 레일돌기(124)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레일홈(111) 또는 레일돌기(124)는 아세탈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일홈(111)과 레일돌기(124) 간 마찰력을 줄여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아세탈 플라스틱의 경우 마찰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비교적 장기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복원 스프링(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원 스프링(123)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원 스프링(123)으로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체결된 인장 스프링이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원 스프링(123) 일단은 슬라이딩 프레임(120) 전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복원 스프링(123) 타단은 소정의 지지 구조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원 스프링(123) 타단은 관통홀(112)을 통해 고정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같은 하부의 지지 구조에 체결될 수 있다. 단, 복원 스프링(123)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체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복원 스프링(123)은 압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 실린더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링크블록(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링크블록(130)은 도 1 및 5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도 2 내지 4의 경우 링크블록(130)의 도시가 생략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링크블록(13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좌석부(S)로 전달하여 좌석부(S)가 이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링크블록(130)은 롤러(122)가 접촉되는 접촉면(13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면(131)은 링크블록(13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있다. 링크블록(130)은 접촉면(131)에 접촉된 롤러(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롤러(122)는 접촉면(131)을 따라 구름 운동될 수 있다. 롤러(122)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에 따라 접촉면(131)을 구름 운동하여 링크블록(130)을 이동시키게 된다.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의 측부나 하부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 후단의 힌지축(S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좌석부(S)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 및 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링크블록(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롤러(122)에 의한 링크블록(130)의 이동은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블록(130)은 롤러(122)에 접촉 지지될 뿐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구속되지는 않으며,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구분되는 별개의 부품 형태로 구현되어 좌석부(S)에 조립될 수 있다. 또는,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에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링크블록(130)'의 명칭은 반드시 좌석부(S)와 구분된 별개의 조립부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의 측부나 하부 등에 일체로 구비된 소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마찰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소정의 마찰력 또는 가압력을 가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가하는 마찰력 또는 가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작동감이나 위치 유지력이 소정 정도 가변될 수 있다.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찰유닛(140)이 고정프레임(110)의 외측 측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외측 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마찰유닛(140)은 좌우 한 쌍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좌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에만 마찰유닛(140)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필요에 따라, 마찰유닛(140)은 좌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마찰유닛(140)의 분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찰유닛(14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141), 다이얼(141) 등을 장착 지지하는 하우징(142), 다이얼(14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록(143) 및, 회전블록(143)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패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141)은 외부로 노출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인가 받는다. 또한, 다이얼(141)은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42)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고정프레임(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다이얼(141), 회전블록(143) 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142)은 생략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10)의 일부가 이를 대체할 수 있다.
회전블록(143)은 다이얼(141)과 체결될 수 있다. 회전블록(143)은 다각 기둥 형태의 결합부(143b)를 구비하고, 다이얼(141)과 축 결합되어 다이얼(14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다각 기둥 형태의 결합부(143b)가 하우징(142)을 관통하여 다이얼(14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력을 가해 다이얼(141)을 회전시키면, 회전블록(143)은 다이얼(141)과 함께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회전블록(143)은 제1경사기어(14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경사기어(143a)는 후술할 가압패드(144)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다이얼(141) 반대측을 향하는 회전블록(143)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각각 반원형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어 구조로 예시되어 있다.
한편, 가압패드(144)는 회전블록(143)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패드(14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룰 수 있으며, 회전블록(143)을 향한 일면에 제2경사기어(14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경사기어(144a)는 전술한 제1경사기어(143a)에 치합될 수 있으며, 제1경사기어(14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경사기어(144a) 또한 좌우 축(R)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패드(144)는 좌우 축(R)을 따라 소정 정도 이동될 수 있다. 가압패드(144)는 하나 이상의 키(144b)를 구비하고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키(144b)는 가압패드(144)의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프레임(110) 등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체결되어 가압패드(144)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압패드(144)는 제2경사기어(144a)의 반대면에 가압면(144c)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압면(144c)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측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패드(144)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측면에 마찰 접촉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압패드(144)는 전체 또는 가압면(144c)을 포함한 일부가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가압면(144c)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보다 효과적인 이동 규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압패드(144)는 회전블록(143)의 회전 위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블록(143)이 회전 조작되면, 제1, 2경사기어(143a, 144a)에 의해 가압패드(144)로 작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가압패드(144)는 키(144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있으므로, 제1, 2경사기어(143a, 144a)의 경사에 의해 좌우 축(R)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마찰유닛(140)는 사용자의 다이얼(141) 조작에 의해 회전블록(14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가압패드(144)가 전후진 이동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가압면(144c) 간의 가압력 또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작동감이나 위치 유지력을 가변시켜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제1작동도이다.
도 9는 등받이부(B)가 회동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롤러(122)가 링크블록(130)의 접촉면(131) 일단에 배치되게 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제2작동도이다.
도 10은 도 9과 같은 초기 상태에서 등받이부(B)가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부(B)에 체중을 실어 등받이부(B)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그리며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B)는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이동됨에 따라 롤러(122)는 접촉면(131)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링크블록(130)이 이동되게 된다. 이때,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롤러(122)의 위치에 따라 링크블록(130)은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하며 좌석부(S)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이동됨에 따라 롤러(122)가 접촉면(131)을 밀어 올려 링크블록(130)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링크블록(130) 및 좌석부(S)는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동 상태는 사용자의 체중 및,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마찰유닛(140)에 의한 가압력 또는 마찰력이 회동 상태 유지를 보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이 원호 궤적을 따라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어 정지 상태에서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이 무게 중심인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 및 마찰력을 통해 상기와 같은 회동 상태가 보다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전 상태(도 9의 상태)와 회동 후 상태(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 위치는 곡률 중심(C)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동 조작시의 안정감을 개선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복원 스프링(123)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복귀되면서 다시 도 9과 같은 초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작동은 등받이부(B)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석부(S)가 함께 회동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등받이부(B)와 좌석부(S)가 일체로 회동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부(B)의 회동에 좌석부(S)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좌석부(S)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롤러(122)가 구름 운동되는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대비 좌석부(S)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대비 좌석부(S)가 작은 각도로 회동되도록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설계함으로써, 종래 등받이부(B)와 좌석부(S)가 일체로 회동되던 경우에 대비하여 좀 더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접촉면(131)은 복수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소정 곡률을 가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접촉면(131)을 전후 방향의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경사각을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별로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롤러(122)가 곡면을 따라 구름 운동되어 좀 더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체어(A)와 종래기술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의 (a)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링크아암 및 힌지축을 사용한 방식으로, 힌지축으로의 하중 집중으로 인해 설계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등받이부의 회동시 좌석부가 함께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의 회동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소 불편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 즉, 등받이부만 독립적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석부에서 미끄러져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도 11의 (b)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1584046호(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함께 회동되므로 등받이부의 회동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이 없으며, 앞서 본 도 11의 (a)에 비해 좀 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일체로 동일 각도 회동되므로, 경우에 따라서 다소 불편한 자세가 유발될 수 있다. 즉, 회동 각도가 커지면, 좌석부의 전단이 높이 들려 사용자의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거나, 다소 구부정한 자세가 유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의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체어(A)의 경우이다.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도 11의 (b)와 같이 등받이부(B)와 함께 좌석부(S)가 회동되되,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통해 좌석부(S)의 회동 각도가 등받이부(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부(B)가 제1각도(θ1)로 회동시, 좌석부(S)는 제1각도(θ1)보다 작은 제2각도(θ2) 만큼만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부(S)의 회동 각도는 전술한 접촉면(131)의 경사각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본 도 11의 (b)와 비교하여 회동 각도가 커지는 경우에도 좌석부(S)의 회동 각도는 적절한 각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좌석부(S)의 전단이 지나치게 들리거나, 다소 구부정하게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B)가 사용자의 골반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등받이부(B)가 회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요추 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10의 (a)와 같은 경우, 등받이부의 회동시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요추 부위가 등받이부로부터 들떠 편안하게 지지되지 못하는데 반해, 도 11의 (c)와 같은 경우, 등받이부(B)의 하단이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등받이부(B)가 그대로 회동되게 되므로, 젖힘 상태에서도 요추 부위가 밀착 지지되어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좌석부(S);
    등받이부(B); 및
    리클라이닝 유닛(100);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고정 프레임(110);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부(B)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의 원호(arc) 궤적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프레임(120);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좌석부(S)를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링크블록(130);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130)은,
    상기 힌지축(S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석부(S)를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면(13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 일측이 상기 접촉면(131)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131)은,
    소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B)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을 중심으로 제1각도(θ1) 회동되면, 상기 좌석부(S)를 상기 제1각도(θ1)보다 작은 제2각도(θ2)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이 상기 좌석부(S)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연장된 레일홈(11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상기 레일홈(111)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11)과 체결되는 레일돌기(124)를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체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상기 링크블록(130)을 접촉 지지하는 롤러(122); 및
    슬라이딩 이동시 초기 상태로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123);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체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마찰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하는 마찰유닛(1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찰유닛(140)은,
    외부로 노출 배치된 다이얼(141);
    상기 다이얼(141)과 축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141)에 인가된 조작력에 의해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일 측면에 제1경사기어(143a)가 구비된 회전블록(143); 및
    상기 제1경사기어(143a)와 치합되는 제2경사기어(144a)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록(143)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 축(R)을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마찰 접촉되는 가압면(144c)을 구비하는 가압패드(144);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체어.
PCT/KR2019/000536 2019-01-14 2019-01-14 리클라이닝 체어 WO202014942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ko) 2019-01-14 2019-01-14 리클라이닝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ko) 2019-01-14 2019-01-14 리클라이닝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23A1 true WO2020149423A1 (ko) 2020-07-23

Family

ID=7161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ko) 2019-01-14 2019-01-14 리클라이닝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4942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27A (en) * 1990-10-29 1995-10-24 Serber; Hector Seat assembly and method
US6334648B1 (en) * 1997-03-21 2002-01-01 Girsberger Holding Ag Vehicle seat
US20080100121A1 (en) * 2006-10-10 2008-05-01 Hector Serber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KR101584046B1 (ko) * 2014-07-14 2016-01-22 이두형 의자용 록킹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의자 및 좌식의자
JP2016520466A (ja) * 2013-04-08 2016-07-14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座席移動及び座席リクライニング用のデュアル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航空機座席
KR20170093425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27A (en) * 1990-10-29 1995-10-24 Serber; Hector Seat assembly and method
US6334648B1 (en) * 1997-03-21 2002-01-01 Girsberger Holding Ag Vehicle seat
US20080100121A1 (en) * 2006-10-10 2008-05-01 Hector Serber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JP2016520466A (ja) * 2013-04-08 2016-07-14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座席移動及び座席リクライニング用のデュアル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航空機座席
KR101584046B1 (ko) * 2014-07-14 2016-01-22 이두형 의자용 록킹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의자 및 좌식의자
KR20170093425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7145B1 (en) An adjustable sitting device
EP0339089A1 (en) Reclining chair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JP4137536B2 (ja) 椅子
US6679779B2 (en) Structure for an infant's rocket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JPH06253941A (ja) 椅 子
JPH0734772B2 (ja) 作業椅子
US5918935A (en) Reclining chair
WO2011087264A2 (ko) 다기능 의자
DE59809667D1 (de) Stuhl mit einer stellmechanik
US6588847B2 (en) Chair
US20190200763A1 (en) Seating furniture
WO2020149423A1 (ko) 리클라이닝 체어
EP1011389B1 (en) Adjustment device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JP2024031988A (ja) 自己適応連動制御の機能シングルチェア
KR20040049039A (ko) 틸팅 가능 의자
WO2013085214A1 (ko) 좌판 슬라이드 틸팅 의자
KR20210007693A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WO2010123234A2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WO2010128800A2 (ko) 등받이 회전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102303651B1 (ko) 의자용 좌판의 국부 변동 구조
JPWO2020255195A5 (ko)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7.09.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