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9423A1 - Reclining chair - Google Patents

Reclining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9423A1
WO2020149423A1 PCT/KR2019/000536 KR2019000536W WO2020149423A1 WO 2020149423 A1 WO2020149423 A1 WO 2020149423A1 KR 2019000536 W KR2019000536 W KR 2019000536W WO 2020149423 A1 WO2020149423 A1 WO 20201494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ding frame
backrest
reclining
ang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0536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두형
Original Assignee
이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형 filed Critical 이두형
Priority to PCT/KR2019/0005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49423A1/en
Publication of WO20201494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94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Definitions

  •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fixed frame 110.
  •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the base frame forming the lower support structure of the reclining chair (A).
  • the fixed frame 110 supports the sliding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liding frame 120 and may be formed to be contactable with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frame 110, it is illustrated a case formed to be able to contact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r mor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ase where the friction unit 140 is provided only on the left reclining unit 100 ′ is illustrated. However, if necessary,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spectively.
  • the housing 142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xed frame 110.
  • the housing 142 may rotatably support the dial 141, the rotating block 143, and the like. In some cases, the housing 142 may be omitted, and a part of the fixed frame 110 may replace it.
  • the pressing pad 144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144c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gear 144a.
  • the pressing surface 144c may be disposed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120, and is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pad 144 to move the sliding frame 120 to a predetermined degree. Can be regulated.

Abstract

A reclining chair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reclining chair comprising a seat part, a backrest part, and a reclining unit, wherein the reclining unit includes: a fixed frame; a sliding frame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so as to support the backrest part, and which can slid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along a circular arc track in a front-to-back direction; and a link block rotating the seat part around a hinge shaft of the rear end thereof by linking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the link block supports the seat part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hinge shaft, has a contact surface coming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and moves around the hinge shaft while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moves on the contact surface, and the contact surface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so as to rotate the seat part at a second angle that is smaller than a first angle when the backrest part rotates at the first angle around the curvature center of the circular arc track.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체어Reclining chair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lining chair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as needed.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 등에는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 가능한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이 포함되고 있다. 근래 들어 리클라이닝 기능은 가정용 안락 의자, 소파, 좌식 의자 등 다양한 종류의 의자로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의자의 종류 등을 불문하고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나 젖힘 기능이 포함된 의자를 리클라이닝 체어로 통칭하도록 한다.Generally, a reclining function in which an angle of a backrest is adjustable is included in an office chair or the like. Recently, the reclining function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chairs, such as a home armchair, a sofa, and a legless chair. 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a chair including an angle adjustment or a reclining function of a backrest is referred to as a reclining chair regardless of the type of chair.
리클라이닝 체어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위해 통상 소정의 링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복수의 링크 아암이 힌지 결합되어 등받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는 힌지축의 위치에 따라 착석감이나 작동감이 달라질 수 있다. 즉, 등받이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축은 통상 좌석 하부에 위치하는데, 이때 힌지축의 전후 위치에 따라 등받이가 젖힘 동작되는 작동감이나 젖힘 상태에서의 착석감이 달라지는 것이다.The reclining chair usually has a predetermined link structur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backrest. The most common form is that a plurality of link arms are hinged so that the backrest rotates around the hinge axis. In this form, the seating feeling and the operating feeling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inge shaft. That is, the hinge shaft that serves as the pivot center of the backrest is usuall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at.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hinge shaft,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backrest is tilted or the seating feeling in the wet state is changed.
구체적으로, 상기의 경우 힌지축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등받이와의 전후방향 거리가 멀어질수록 작동감이나 착석감은 향상될 수 있다. 등받이가 보다 큰 반경을 가지고 젖힘 동작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등받이의 젖힘 반경이 커짐에 따라 링크 아암의 길이나 개수도 늘어나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는 등받이와 회동 중심인 힌지축 간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힌지축에는 좀 더 큰 부하가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축이나 링크 아암 등에 충분한 보강 구조가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이 사용되어야 한다. 이는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above case, as the hinge shaft moves forward and the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backrest increases, the feeling of operation or sitting can be improved. This is because the backrest is retracted with a larger radius. However, in this case, as the wetting radius of the backrest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ngth or number of link arms must also increase. In addi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ackrest to which the user's weight is applied and the hinge axis,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increases, a larger load may be applied to the hinge axis. Therefore, a sufficient reinforcing structure is required for the hinge shaft or link arm, and a relatively high strength material should be used. This can lead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반면, 힌지축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등받이와의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면, 상기의 문제점들이 일부 개선될 수 있다. 힌지축과 등받이가 가깝게 배치되므로, 링크 아암의 길이가 짧아지고, 힌지축에 작용되는 부하 또한 비교적 작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배치에 비해 보강 구조가 상당 부분 생략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강도가 약한 저가의 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저가형 리클라이닝 체어에서는 이와 같은 배치가 사용된다. 다만, 이러한 배치는 등받이의 젖힘 반경이 작아지므로 작동감 등은 전술한 배치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등받이가 짧은 반경의 궤적을 따라 회동되기 때문에, 등받이가 부드럽게 넘어가지 않고 다소 부자연스러운 작동감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등받이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 등의 반발력도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어 작동감을 저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hinge shaft is moved rearward to close the distance to the backrest, some of the above problems may be improved. Since the hinge shaft and the backrest are disposed close together, the length of the link arm is shortened, and the load acting on the hinge shaft is also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reinforcing structure can be omitted in a large part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and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a low-cost material having relatively weak strength. For this reason, this arrangement is used in most low-cost reclining chairs. However, this arrange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reclining radius of the backrest is small, and thus the operation feeling and the like are inferior to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That is, since the backrest is rotated along a trajectory of a short radius, the backrest does not smoothly fall and forms a somewhat unnatural feeling of operation. In addition, the repulsive force of an elastic member or the like for imparting a restoring force to the backrest is also transmitted directly to the user, which may impair the feeling of operation.
상기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링크 아암 및 힌지축 구조는 제조 단가나 성능 중 어느 하나를 희생하여야 하는 본질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작동감 등의 향상을 위해 힌지축과 등받이와의 거리를 멀게 배치하면, 제조 단가가 상승되며, 반대로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 힌지축과 등받이의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면, 작동감 등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작동감이나 착석감 등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왔다.As described above, the link arm and the hinge shaft structure,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have an inherent limit to sacrifice either manufacturing cost or performance. That i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and the backrest is arranged to improve the operation feel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On the contrar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and the backrest is placed closer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performance such as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It is degraded. Therefore, the applicant has sought various ways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without impairing performance such as a feeling of operation or sitting in implementing the reclining function.
일 예로,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27459호(특허문헌 1)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등받이가 회동되는 중심축을 암레스트에 배치하고 있다. 즉, 등받이를 암레스트에 직접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등받이의 회동을 위해 긴 링크 아암 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의 재질이나 많은 보강 구조가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의 회동 중심축이 대략 등받이 중하단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의 회동시 등받이 하단 부위가 사용자의 요추 부위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석감도 함께 개선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re is 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27459 (Patent Document 1)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In Patent Document 1, the central axis in which the backrest is rotated is disposed on the armrest. That is, the backrest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rotated directly on the armrest. Since such a structure does not require a long link arm or the like for the rotation of the backrest, a relatively high strength material or a large number of reinforcing structures are not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since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backrest is approximately disposed at the lower middle of the backrest,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can support the user's lumbar region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thereby improving the sitting comfort.
다른 예로,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1584046호(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2는 종래의 링크 아암이나 힌지축을 사용한 방식과 달리 프레임이 원호 궤적을 따라 접촉 슬라이딩되어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등받이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젖힘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좀 더 자연스러운 작동감이나 착석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원호 궤적의 곡률을 크게 설계함으로써, 등받이 등이 회동되는 반경도 쉽게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특허문헌 2의 방식은 비교적 저가로 구현될 수 있다. 종래의 링크 아암 및 힌지축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하중이 넓게 분산되어 높은 강도의 재질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이다.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1584046 (Patent Document 2)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Patent Document 2 proposes a method in which the angle of the backrest is adjusted by sliding the frame along the arc trajectory, unlike the method using a conventional link arm or hinge axis. In this method, since the backrest is retracted around an imaginary axis corresponding to the pelvic position of the user, a more natural feeling of operation or seating can be given to the user. In addition, by designing a large curvature of the arc trajectory, the radius at which the backrest is rotated can be easily increased. Despite this advantage,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2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This is because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is not required because the load is widely distributed compared to a method using a conventional link arm and a hinge shaft.
한편, 상기의 특허문헌 2에서 좌석은 등받이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좌석과 등받이가 함께 회동되는 것이다. 이는 등받이가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앞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안락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경우, 등받이만이 독립적으로 젖힘 동작되어 등받이의 젖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석에서 미끄러져 앞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되곤 했는데, 이를 개선한 것이다.Meanwhile, in Patent Document 2, the seat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backrest. That is, the seat and the backrest are rota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rame. This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sitting feeling by preventing a user from being pushed forward while the backrest is tilted. That is, in the general case of the prior art, only the backrest is operated independently, so that the user slips from the seat and pushes forward in the state of the backrest, which is an improvement.
다만, 본 출원인이 상당기간 반복 시험해본 결과, 상기와 같이 좌석과 등받이가 함께 회동되는 구조는 경우에 따라 다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등받이가 비교적 작은 각도로 회동된 경우에는 종래에 비해 안락한 자세로 착석이 가능하나, 등받이의 회동 각도가 커지면, 이와 함께 회동된 좌석으로 인해 사용자의 다리가 들리거나 다소 불편한 자세가 유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의 리클라이닝 체어에 있어서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고안하게 되었다.However, as a result of repeated trials by the applicant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at and the backrest are rotat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some inconvenience. That is,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at a relatively small angle, seating is possible in a more comfortable position than in the prior art, but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is increased, a user's leg is lifted or a somewhat uncomfortable posture is caused due to the seat rotated with the backrest .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newly devised a method for improving the sitting comfort in the reclining chair in the same manner as in Patent Document 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레임이 원호 궤적으로 슬라이딩되어 등받이의 회동 각도가 조절되는 리클라이닝 체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리클라이닝 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lining chair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a user's sitting comfort in a reclining chair in which the frame is slid in an arc trajectory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is adjus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석부; 등받이부; 및 리클라이닝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의 원호 궤적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좌석부를 후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링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블록은, 상기 힌지축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석부를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 일측이 상기 접촉면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소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을 중심으로 제1각도 회동되면, 상기 좌석부를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eat portion; Backrest part; And a reclining unit, wherein the reclining unit comprises: a fixed frame; A sliding frame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to support the backrest, and slidingly movable relative to the fixed frame along an arc trajector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link block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to rotate the seat portion around a hinge shaft at a rear end, wherein the link block supports the sea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hinge shaft. It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that is contact-supported on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and is formed to move around the hinge axis as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is moved on the contact surface, wherein the contact surface is formed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ackrest portion is the When the first angle is rotated around the center of curvature of the arc trajectory, a reclining chair may be provided that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eat portion at a secon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클라이닝 체어는 등받이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석부를 함께 회동시키되, 등받이부의 회동 각도에 대비하여 좌석부의 회동 각도가 작게 형성됨으로써, 회동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다 안정감 있고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clin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seat por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backrest portion, bu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so that the user has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posture in the rotating state. So you can tak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리클라이닝 체어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clin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2.
도 4는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확대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2.
도 5는 리클라이닝 유닛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the reclining unit.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의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frame illustrated in FIG. 4.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의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liding frame shown in FIG. 3.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마찰유닛의 분해도이다.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riction unit shown in FIG. 2.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제1작동도이다.FIG. 9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eclining unit shown in FIG. 2.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의 제2작동도이다.10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eclining unit shown in FIG. 9.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체어와 종래기술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the reclining chair shown in FIG. 1 and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technical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리클라이닝 체어(A)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clining chair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좌석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석부(S)는 개략적인 형태만이 도시되고 있다. 좌석부(S)는 소정 넓이를 가지고 착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at (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e schematic form of the seat portion S is shown. The seat portion S may provide a seating space with a predetermined width.
도시되지 않았으나, 좌석부(S) 아래에는 베이스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은 리클라이닝 체어(A)의 하부 지지 구조를 제공하고, 좌석부(S) 등을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은 하부 다리 등에 의해 소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하부 다리에는 가스 실린더 등의 높이 조절 수단이 부가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사무용 의자 등에서 볼 수 있는 구성에 해당된다. 단,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하부 다리 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가 좌식 의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하부 다리 등은 생략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base frame may be provided under the seat S. The base frame may be formed to provide a lower support structure of the reclining chair (A), an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transmitted through the seat (S). If necessary, the base frame may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lower leg or the like. Further, if necessary, height adjustment means such as a gas cylinder may be added to the lower leg. This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be seen in a typical office chair or the like. However, in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frame, lower legs, and the like may be omitted or replaced as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egless chair, the lower leg or the like may be omitted.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S1)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좌석부(S)는 소정의 지지 구조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좌석부(S)는 후술할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고정 프레임(110) 등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좌석부(S)는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베이스 프레임은 사용자의 체중 등을 지탱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석부(S)는 하부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단,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면 무방하며, 예시된 고정 프레임(110), 베이스 프레임 등 외에도 필요에 따라 제3의 지지 구조 등에 힌지축(S1)을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at portion S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about the hinge shaft S1 at the rear end. The hinge shaft S1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eat portion S may be installed through a hinge shaft S1 on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For example, the seat portion S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hinge shaft S1 on the fixed frame 110 of the reclining units 100 and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seat portion S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base frame via the hinge shaft S1. Typically, since the base frame is formed of a rigid structure with sufficient strength to support the user's weight, the seat portion S may be more preferably installed on the lower base frame via the hinge shaft S1. . However, the seat portion S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hinge shaft S1 at the rear end, and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fixed frame 110, the base frame, and the like, a hinge shaft (for example, a third support structure) S1).
한편,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등받이부(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전술한 좌석부(S)와 마찬가지로 등받이부(B) 또한 개략적인 형태만이 도시되고 있다. 등받이부(B)는 소정 넓이를 가지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ackrest (B). In the case of FIG. 1, like the above-described seat portion S, the backrest portion B also shows only a schematic form.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formed to support a user's back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등받이부(B)는 후술할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직접 체결되거나, 소정의 연결 부재를 통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간접적으로 체결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함께 이동되어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supported by the sliding frame 120 of the reclining units 100 and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directly fastened to the sliding frame 120 or indirectly fastened to the sliding frame 120 through a predetermined connecting member to be supported by the sliding frame 120.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sliding frame 120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필요에 따라, 전술한 좌석부(S)나 등받이부(B)는 프레임과 쿠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석부(S) 또는 등받이부(B)는 지지 골격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씌워지는 쿠션 부재로 이뤄질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소정의 착석 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쿠션 부재 등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좌석부(S) 또는 등받이부(B)는 쿠션 부재가 생략된 판(plate)형이나, 프레임에 소정의 커버만이 씌워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에 있어서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그 소재가 형상 등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If necessary, the above-described seat portion S or the back portion B may include a frame and a cushion member. That is, the seat portion (S) or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made of a frame that provides a support skeleton and a cushion member that is covered with the frame.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 portion S and the backrest portion B provide a predetermined seating space, and as long as it can support a user's back por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lude a cushion member or the like. . For example, the seat (S) or the backrest (B) may be embodied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the cushion member is omitted, or in a form in which only a predetermined cover is covered on the frame. That is, in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 portion S and the backrest portion 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ir shape.
또한,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조절이나 젖힘 기능이 포함되는 것이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의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다리가 생략되고 좌식 의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젖힘 기능이 포함되는 소파형 의자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그 적용 범위나 형태가 특정한 종류의 의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In addition,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as a variety of well-known chairs, as long as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or tilting function of the backrest portion (B) is included. For example,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egless chair with the lower legs omitt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be embodied as a sofa-type chair including a reclining function. That is, it is noted that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chair.
한편,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좌석부(S) 및 등받이부(B)에 대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한편, 좌석부(S) 및 등받이부(B)의 젖힘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좌석부(S) 및 등받이부(B)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에 의해 젖힘 동작되거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등받이부(B)의 회동시 좌석부(S)의 회동 각도가 등받이부(B)와는 상이하게 구현되는 점에서 종래와 구별되는 차이점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reclining unit 100. The reclining unit 100 may provide a support structure for the seat portion S and the backrest portion B, while implementing the reclining operation of the seat portion S and the backrest portion B. That is, the seat portion S and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operated by the reclining unit 100 or the rotation angle may be adjusted. In particular, the reclining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difference from the prior art in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ck portion B when the back portion B is rotat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의 확대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s 100 and 100'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은 좌우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좌우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은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reclining units 100 and 100 ′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Further, the left and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참고로, 도시 편의를 위해, 도 2의 경우 링크블록(13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음을 알려둔다(도 1 참조). 또한, 도 2의 경우 좌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에만 마찰유닛(140)이 도시되고 있다. 단, 마찰유닛(140)은 좌측 또는 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거나, 좌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For reference,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it is noted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link block 130 is omitted in FIG. 2 (see FIG. 1 ). In addition, in the case of FIG. 2, the friction unit 140 is only shown on the left reclining unit 100 ′. However,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any one of the left or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or may be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spectively.
도 3은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좌측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3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 100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2.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clining unit 100 ′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2. 5 is a sid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form of the reclining unit 100.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고정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소정의 지지 구조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 프레임(110)은 리클라이닝 체어(A)의 하부 지지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후술할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지지하고,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2 to 5,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fixed frame 110.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For example, the fixed frame 110 may be fixed to the base frame forming the lower support structure of the reclining chair (A). The fixed frame 110 supports the sliding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고정 프레임(110)의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xed frame 110 shown in FIG. 4.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11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홈(111)은 소정 곡률을 가지고 원호(arc)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111)은 후술할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레일돌기(124)와 체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xed frame 110 may include a rail groove 11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ail groove 11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rc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rail groove 111 may be fastened to the rail protrusion 124 of the sliding frame 120 to be described later.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110) 일면에는 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은 후술할 복원 스프링(123)의 설치를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If necessary, a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xed frame 110. The through hole 112 may provide a passage for installation of the restoration spring 123 to be described later.
다시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B)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again,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sliding frame 120.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fixed frame 110. Further,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fixed frame 110. As described above, the backrest portion B may be supported on the sliding frame 120.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of the sliding frame 120 shown in FIG. 3.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레일돌기(12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돌기(124)는 슬라이딩 프레임(120) 저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돌기(124)는 고정 프레임(110)의 레일홈(111)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liding frame 120 may include a rail protrusion 124. The rail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120. In addition, the rail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rc shape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 111 of the fixed frame 110.
레일돌기(124)는 레일홈(111)에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은 전후 방향으로 원호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따라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rail protrusion 124 is fastened to the rail groove 111 to be slidably moved. Thereby, the sliding frame 120 can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110. At this time, since the rail protrusion 124 and the rail groove 111 form an arc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sliding frame 120 can be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fixed frame 110 along the arc trajectory.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롤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롤러(122)는 링크블록(130)에 접촉 구름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링크블록(130)에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122)는 슬라이딩 프레임(120) 전단에 배치되고 있다. 단, 롤러(122)는 링크블록(130)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링크블록(130)으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liding frame 120 may include a roller 122. The roller 122 is clouded in contact with the link block 130 to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the link block 13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roller 122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frame 120. However, the roller 122 may contact the link block 130 as long as it is a position capable of transferr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the link block 130,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position.
다시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은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레일돌기(124) 및 레일홈(111)의 원호 형상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레일돌기(124) 또는 레일홈(111)이 이루는 원호의 곡률 중심(C)을 기준으로 원호 궤적을 그리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지지된 등받이부(B)는 이와 같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원호 궤적 이동에 의해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to 5 again, the sliding frame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seated on the fixed frame 110 and moved slidingly.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guided by the rail protrusion 124 and the rail groove 111.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moved along the arc trajectory by the arc shape of the rail protrusion 124 and the rail groove 111. That is,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slidingly moved while drawing an arc trajectory based on the center of curvature C of the arc formed by the rail protrusion 124 or the rail groove 111. The backrest portion B supported on the sliding frame 120 may have a rotation angle adjusted by the circular trajectory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그리는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1 참조). 다시 말하면, 레일돌기(124) 또는 레일홈(111)은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는 곡률 중심(C)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 및 등받이부(B)의 회동 동작이 사용자의 골반 위치를 중심으로 이뤄지게 되므로, 회동 동작시 안정감을 주고 보다 자연스러운 작동감이 구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enter of curvature C of the arc trajectory drawn by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pelvis (see FIG. 11 ). In other words, the rail protrusion 124 or the rail groove 11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n arc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curvature C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pelvis. In this case, since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ackrest portion B are performed around the user's pelvic position, a sense of stability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a more natural operation feeling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고정 프레임(110) 또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일부 또는 전부에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110)이나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가의 강재(steel)를 대신하여 비교적 저가의 플라스틱 재질로 일부 또는 전부가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레일홈(111)이나 레일돌기(124)를 따라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접촉 지지되고 하중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의 저가 재질로도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the fixed frame 110 or the sliding frame 120 may include plastic in part or all. That is, the fixed frame 110 or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replaced with some or all of a relatively low-cost plastic material in place of expensive steel. The reclining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elatively low-strength low-cost material because the sliding frame 120 can be contacted and distributed in a relatively large area along the rail groove 111 or the rail protrusion 124. It can be implemented as well.
또는, 상기와 같은 경우 레일홈(111) 또는 레일돌기(124)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레일홈(111) 또는 레일돌기(124)는 아세탈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일홈(111)과 레일돌기(124) 간 마찰력을 줄여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아세탈 플라스틱의 경우 마찰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비교적 장기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above case, the rail groove 111 or the rail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of plastic. More preferably, the rail groove 111 or the rail protrusion 124 may be formed of acetal plastic material. This is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rail groove 111 and the rail projection 124 so that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can be achieved more smoothly. In particular, acetal plastic has low friction and excellent durability, so that it can maintain a relatively long-term performance even in repeated use.
한편,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복원 스프링(12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원 스프링(123)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복원 스프링(123)으로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체결된 인장 스프링이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원 스프링(123) 일단은 슬라이딩 프레임(120) 전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복원 스프링(123) 타단은 소정의 지지 구조에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복원 스프링(123) 타단은 관통홀(112)을 통해 고정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과 같은 하부의 지지 구조에 체결될 수 있다. 단, 복원 스프링(123)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체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복원 스프링(123)은 압축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 실린더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restoration spring 123. Restoration spring 123 may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sliding frame 12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tension spring fastened to the sliding frame 120 with a restoring spring 123 is illustrated. In this case, one end of the restoration spring 123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restoration spring 123 may be fastened to a predetermined support structure.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restoration spring 123 may pass through the fixing frame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and be fastened to a lower support structure such as a base frame. However, the restoration spring 123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provide a predetermined restoration force to the sliding frame 120,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fastening structure. For example, if necessary, the restoration spring 123 may be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or the like, or may be replaced with a gas cylinder or the like.
또한,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링크블록(13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링크블록(130)은 도 1 및 5에서 도시되고 있으며, 도 2 내지 4의 경우 링크블록(130)의 도시가 생략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링크블록(13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좌석부(S)로 전달하여 좌석부(S)가 이에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link block 130. For reference, the link block 130 is illustrated in FIGS. 1 and 5, and in the case of FIGS. 2 to 4, it is noted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link block 130 is omitted. The link block 130 transfers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the seat portion S so that the seat portion S can be linked thereto.
링크블록(130)은 롤러(122)가 접촉되는 접촉면(13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촉면(131)은 링크블록(130)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있다. 링크블록(130)은 접촉면(131)에 접촉된 롤러(1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롤러(122)는 접촉면(131)을 따라 구름 운동될 수 있다. 롤러(122)는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에 따라 접촉면(131)을 구름 운동하여 링크블록(130)을 이동시키게 된다.The link block 130 may have a contact surface 131 to which the roller 122 is conta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1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nk block 130. The link block 130 may be supported by the roller 122 contacting the contact surface 131, and the roller 122 may be rolled along the contact surface 131. The roller 122 moves the link block 130 by rolling motion of the contact surface 13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의 측부나 하부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 후단의 힌지축(S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좌석부(S)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석부(S)는 후단의 힌지축(S1) 및 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링크블록(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Link block 130 may be provided in the seat (S). For example, the link block 130 may be provided on a side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S). Preferably, the link block 130 may be provided in the seat portion S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hinge shaft S1 at the rear end of the seat portion S. In this case, the seat portion S may be supported by the hinge shaft S1 at the rear end and the link block 130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rom.
상기와 같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롤러(122)에 의한 링크블록(130)의 이동은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블록(130)은 롤러(122)에 접촉 지지될 뿐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구속되지는 않으며,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The link block 130 as described above may be moved around the hinge axis S1 together with the seat S. That is, the movement of the link block 130 by the roller 122 may be performed around the hinge axis S1. In other words, the link block 130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roller 122 but is not constrained by the sliding frame 120, and may be moved around the hinge axis S1 together with the seat S. This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구분되는 별개의 부품 형태로 구현되어 좌석부(S)에 조립될 수 있다. 또는,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에 일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링크블록(130)'의 명칭은 반드시 좌석부(S)와 구분된 별개의 조립부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의 측부나 하부 등에 일체로 구비된 소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link block 130 may be implemented in a separate part form separated from the seat part S and assembled to the seat part S. Alternatively, the link block 130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with the seat portion S. That is, the name of the'link block 130'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necessarily mean a separate assembly part separated from the seat portion S. For example, the link block 130 may be implemented in a predetermined shape integrally provided with a side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S, and the like.
한편, 필요에 따라,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마찰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소정의 마찰력 또는 가압력을 가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가하는 마찰력 또는 가압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작동감이나 위치 유지력이 소정 정도 가변될 수 있다.Meanwhile, if necessary, the reclining unit 100 may include a friction unit 140. The friction unit 140 may apply a predetermined frictional force or a pressing force to the sliding frame 120 to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a certain degree. In addition,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formed to vary the friction force or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sliding frame 120. Thereby, the operating feeling or the position-holding force of the sliding frame 120 can be varied to a predetermined degree.
마찰유닛(14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일측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찰유닛(140)이 고정프레임(110)의 외측 측면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외측 측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The friction unit 1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liding frame 120 and may be formed to be contactable with one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unit 14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frame 110, it is illustrated a case formed to be able to contact the outer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마찰유닛(140)은 좌우 한 쌍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좌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에만 마찰유닛(140)이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필요에 따라, 마찰유닛(140)은 좌우측의 리클라이닝 유닛(100, 10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r more of the left and right pair of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ferring to FIG. 2, in the case of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case where the friction unit 140 is provided only on the left reclining unit 100 ′ is illustrated. However, if necessary, the friction unit 14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reclining units 100 and 100', respectively.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마찰유닛(140)의 분해도이다.8 is an exploded view of the friction unit 140 shown in FIG. 2.
도 8을 참조하면, 마찰유닛(14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이얼(141), 다이얼(141) 등을 장착 지지하는 하우징(142), 다이얼(14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블록(143) 및, 회전블록(143)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패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riction unit 140 includes a dial 141 for user manipulation, a housing 142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dial 141, a rotating block 143 rotated by the dial 141, and , It can b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rotating block 143 may include a pressure pad 144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sliding frame 120.
다이얼(141)은 외부로 노출 배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인가 받는다. 또한, 다이얼(141)은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42)에 장착 지지될 수 있다.The dial 141 is disposed exposed to the outside and receives an operating force from the user. In addition, the dial 141 may be mounted and supported on the housing 14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left and right axes R.
하우징(142)은 고정프레임(110)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42)은 다이얼(141), 회전블록(143) 등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142)은 생략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10)의 일부가 이를 대체할 수 있다.The housing 142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xed frame 110. The housing 142 may rotatably support the dial 141, the rotating block 143, and the like. In some cases, the housing 142 may be omitted, and a part of the fixed frame 110 may replace it.
회전블록(143)은 다이얼(141)과 체결될 수 있다. 회전블록(143)은 다각 기둥 형태의 결합부(143b)를 구비하고, 다이얼(141)과 축 결합되어 다이얼(14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다각 기둥 형태의 결합부(143b)가 하우징(142)을 관통하여 다이얼(14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력을 가해 다이얼(141)을 회전시키면, 회전블록(143)은 다이얼(141)과 함께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The rotating block 143 can be engaged with the dial 141. The rotating block 143 has a polygonal column-shaped coupling portion 143b, and is axially coupled to the dial 141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dial 141. That is, the polygonal column-shaped coupling portion 143b may penetrate the housing 142 and be coupled to the dial 141. 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dial 141 by applying the manipulation force, the rotation block 143 may be rotated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R together with the dial 141.
회전블록(143)은 제1경사기어(14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경사기어(143a)는 후술할 가압패드(144)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다이얼(141) 반대측을 향하는 회전블록(143)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rotating block 143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gear 143a. The first inclined gear 143a is for coupling with the pressure pad 1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otary block 143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dial 141.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제1경사기어(143a)는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각각 반원형으로 연장된 한 쌍의 기어 구조로 예시되어 있다.The first inclined gear 143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axes R. Alternatively, the first inclined gear 143a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spiral shape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R. According to the drawing, the first inclined gear 143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a pair of gear structures extending in a semicircular shape, each drawing a spiral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R.
한편, 가압패드(144)는 회전블록(143)에 의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패드(14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룰 수 있으며, 회전블록(143)을 향한 일면에 제2경사기어(144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경사기어(144a)는 전술한 제1경사기어(143a)에 치합될 수 있으며, 제1경사기어(14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경사기어(144a) 또한 좌우 축(R)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좌우 축(R)을 중심으로 나선형을 그리며 연장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sure pad 144 may be formed to be moved from side to side by the rotation block 143. The pressure pad 14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may have a second inclined gear 144a on one surface facing the rotating block 143. The second inclined gear 144a may be engaged with the aforementioned first inclined gear 143a,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gear 143a. That is, the second inclined gear 144a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axes R, or may be formed to extend spirally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R.
가압패드(144)는 좌우 축(R)을 따라 소정 정도 이동될 수 있다. 가압패드(144)는 하나 이상의 키(144b)를 구비하고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키(144b)는 가압패드(144)의 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프레임(110) 등에 마련된 가이드홈에 체결되어 가압패드(144)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pressure pad 144 may be moved to a predetermined degree along the left and right axes R. The pressure pad 144 has one or more keys 144b and rotation can be restricted. The key 144b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surface of the pressure pad 144, but is not shown, it is fastened to the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fixed frame 110, etc.,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ure pad 144.
또한, 가압패드(144)는 제2경사기어(144a)의 반대면에 가압면(144c)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압면(144c)은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측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패드(144)의 좌우 이동에 따라 상기 측면에 마찰 접촉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ad 144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surface 144c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inclined gear 144a. Although not shown, the pressing surface 144c may be disposed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120, and is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pressing pad 144 to move the sliding frame 120 to a predetermined degree. Can be regulated.
필요에 따라, 가압패드(144)는 전체 또는 가압면(144c)을 포함한 일부가 탄성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가압면(144c)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보다 효과적인 이동 규제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f necessary, the pressure pad 14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whole or in part, including the pressure surface 144c. This is to increase the friction between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pressing surface 144c so that more effective movement regulation can be achieved.
가압패드(144)는 회전블록(143)의 회전 위치에 따라 좌우로 위치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블록(143)이 회전 조작되면, 제1, 2경사기어(143a, 144a)에 의해 가압패드(144)로 작동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가압패드(144)는 키(144b)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있으므로, 제1, 2경사기어(143a, 144a)의 경사에 의해 좌우 축(R)을 따라 이동되어 위치 조절되는 것이다.The pressure pad 144 may b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rotating block 143. Specifically, when the rotation block 143 is rotated, an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ressure pad 144 by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gears 143a and 144a. Here, since the rotation of the pressure pad 144 is constrained by the key 144b, it is moved and adjusted along the left and right axes R by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gears 143a and 144a.
이상과 같은 마찰유닛(140)는 사용자의 다이얼(141) 조작에 의해 회전블록(14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가압패드(144)가 전후진 이동되어,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가압면(144c) 간의 가압력 또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작동감이나 위치 유지력을 가변시켜 보다 편안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In the friction unit 140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block 143 is rotated by the user's dial 141 operation, and accordingly, the pressure pad 144 is moved back and forth to move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pressure surface 144c. ) Between the pressing force or friction force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user can obtain a more comfortable feeling of use by varying the operating feeling or the position holding force of the sliding frame 120 as necessary.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제1작동도이다.9 is a first operation view of the reclining unit 100 shown in FIG. 2.
도 9는 등받이부(B)가 회동되지 않은 초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고정 프레임(110)에 안착 지지된 상태로, 롤러(122)가 링크블록(130)의 접촉면(131) 일단에 배치되게 된다.9 shows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B is not rotated. Referring to this, the sliding frame 12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fixed frame 110, and the roller 122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contact surface 131 of the link block 130.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제2작동도이다.10 is a second operation view of the reclining unit 100 shown in FIG. 9.
도 10은 도 9과 같은 초기 상태에서 등받이부(B)가 소정 각도 회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부(B)에 체중을 실어 등받이부(B)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120)은 원호 궤적을 그리며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등받이부(B)는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9. Referring to this, when the user puts weight on the backrest portion B in the initial state and pushes the backrest portion B backward, the sliding frame 120 may be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fixed frame 110 while drawing an arc trajectory. have. Thereby,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B can be adjusted.
또한,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이동됨에 따라 롤러(122)는 접촉면(131)을 따라 구름 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링크블록(130)이 이동되게 된다. 이때, 링크블록(130)은 좌석부(S)와 함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롤러(122)의 위치에 따라 링크블록(130)은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하며 좌석부(S)를 회동시키게 된다. 즉,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이동됨에 따라 롤러(122)가 접촉면(131)을 밀어 올려 링크블록(130)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링크블록(130) 및 좌석부(S)는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sliding frame 120 is moved, the roller 122 moves in a rolling motion along the contact surface 131, whereby the link block 130 is moved. At this time, since the link block 130 moves around the hinge axis S1 together with the seat portion S, the link block 130 moves around the hinge axis S1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roller 122. And it will rotate the seat (S). That is, as the sliding frame 120 is moved, the roller 122 pushes the contact surface 131 to move the link block 130, thereby causing the link block 130 and the seat portion S to have a hinge axis ( It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S1).
상기와 같은 회동 상태는 사용자의 체중 및,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 간의 마찰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마찰유닛(140)에 의한 가압력 또는 마찰력이 회동 상태 유지를 보조할 수 있다.The rotational st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maintained by the user's weight and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fixed frame 11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ase, the pressing force or the frictional force by the friction unit 140 may assist in maintaining the rotational state.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슬라이딩 프레임(120)과 고정 프레임(110)이 원호 궤적을 따라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어 정지 상태에서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고,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이 무게 중심인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 및 마찰력을 통해 상기와 같은 회동 상태가 보다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동 전 상태(도 9의 상태)와 회동 후 상태(도 10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골반 위치는 곡률 중심(C)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임의의 회동 위치에서도 안정적으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회동 조작시의 안정감을 개선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reclining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ing frame 120 and the fixed frame 110 are contacted in a large area along the arc trajectory to ensure sufficient friction in the stationary state, and the center of curvature C of the arc trajectory Since)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pelvis of the user who is the center of gravity, the rota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can be more easily maintained through the user's weight and frictional force. In addition, in the pre-rotation state (state of FIG. 9) and post-rotation state (state of FIG. 10), the user's pelvis position is maintained at the center of curvature C, so that the pos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at any rotational position. This structure can als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ense of stability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외력(사용자의 체중)이 제거되면, 복원 스프링(123)에 의해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복귀되면서 다시 도 9과 같은 초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user's weight) is removed in the above state, the sliding frame 120 is returned by the restoring spring 123 and can be switched back to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9.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 유닛(100)의 작동은 등받이부(B)의 회동에 연동하여 좌석부(S)가 함께 회동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유닛(100)은 등받이부(B)와 좌석부(S)가 일체로 회동되는 것이 아니라, 등받이부(B)의 회동에 좌석부(S)가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좌석부(S)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롤러(122)가 구름 운동되는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대비 좌석부(S)의 회동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대비 좌석부(S)가 작은 각도로 회동되도록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설계함으로써, 종래 등받이부(B)와 좌석부(S)가 일체로 회동되던 경우에 대비하여 좀 더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reclining unit 100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portion S is rotated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backrest portion B. In particular, the reclining unit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 portion B and the seat portion S are not rotated integrally, but the seat portion S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back portion B, If necessary,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S can be easily changed.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S compared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B by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131 through which the roller 122 rolls. In particular, by design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131 so that the seat portion S is rotated at a small angle compared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back portion B, the conventional backrest portion B and the seat portion S are rotated integrally In preparation, it may provide a more comfortable seating feeling.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접촉면(131)은 복수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소정 곡률을 가진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접촉면(131)을 전후 방향의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별로 경사각을 상이하게 구성함으로써, 등받이부(B)의 회동 각도 별로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롤러(122)가 곡면을 따라 구름 운동되어 좀 더 부드러운 작동감을 구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Meanwhile, if necessary, the contact surface 131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inclination angles, or may be formed as a gentle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former case, by dividing the contact surface 131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configuring the inclination angle differently for each section, the contact surface 131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seating feeling for each rotation angle of the backrest portion B. In addition, in the latter case, the roller 122 may be rolled along the curved surface, contributing to realizing a more smooth operation feeling.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체어(A)와 종래기술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lining chair A shown in FIG. 1 and the prior art.
도 11의 (a)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링크아암 및 힌지축을 사용한 방식으로, 힌지축으로의 하중 집중으로 인해 설계에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은 등받이부의 회동시 좌석부가 함께 회동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의 회동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소 불편한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 즉, 등받이부만 독립적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석부에서 미끄러져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11(a) is a method using a link arm and a hinge axis,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in the past, and a lot of restrictions in design follow due to concentration of loads on the hinge axis. In addition, in this way, the seat portion is not rotated together when the back portion is rotated, so that the user may cause a somewhat uncomfortable posture in the rotated portion of the back portion. That is, since only the backrest portion is independently rotated,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user slides out of the seat portion and pushes forward.
도 11의 (b)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0-1584046호(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함께 회동되므로 등받이부의 회동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현상이 없으며, 앞서 본 도 11의 (a)에 비해 좀 더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일체로 동일 각도 회동되므로, 경우에 따라서 다소 불편한 자세가 유발될 수 있다. 즉, 회동 각도가 커지면, 좌석부의 전단이 높이 들려 사용자의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거나, 다소 구부정한 자세가 유발될 수 있는 것이다.FIG. 11(b) is the same method as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1584046 (Patent Document 2) previously filed by the applicant. In this way,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are rotated together, so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user is pushed forward even when the backrest portion is rotated,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posture compared to FIG. 11(a). However, since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are rotated integrally at the same angle, a somewhat uncomfortable posture may be caused in some cases. That is, when the rotation angle is increased, the front end of the seat is lifted high, so that the user's foot may fall off the floor, or a slightly crooked posture may be caused.
도 11의 (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체어(A)의 경우이다. 본 실시예의 리클라이닝 체어(A)는 도 11의 (b)와 같이 등받이부(B)와 함께 좌석부(S)가 회동되되, 접촉면(131)의 경사각을 통해 좌석부(S)의 회동 각도가 등받이부(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등받이부(B)가 제1각도(θ1)로 회동시, 좌석부(S)는 제1각도(θ1)보다 작은 제2각도(θ2) 만큼만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석부(S)의 회동 각도는 전술한 접촉면(131)의 경사각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본 도 11의 (b)와 비교하여 회동 각도가 커지는 경우에도 좌석부(S)의 회동 각도는 적절한 각도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좌석부(S)의 전단이 지나치게 들리거나, 다소 구부정하게 불편한 자세를 유발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11(c) is a case of the reclining chair 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reclining chair 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 portion S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backrest portion B as shown in FIG. 11(b), bu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S throug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131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back portion (B). That is, when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at the first angle θ1, the seat portion S may be rotated only by the second angle θ2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θ1.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S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act surface 131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when the rotation angl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FIG. 11(b),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S may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angle range, and the front end of the seat portion S may be excessively lifted or slightly bent. Inducing an uncomfortable posture can be prevented.
또한, 등받이부(B)가 사용자의 골반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등받이부(B)가 회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요추 부위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도 10의 (a)와 같은 경우, 등받이부의 회동시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므로, 요추 부위가 등받이부로부터 들떠 편안하게 지지되지 못하는데 반해, 도 11의 (c)와 같은 경우, 등받이부(B)의 하단이 사용자의 요추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등받이부(B)가 그대로 회동되게 되므로, 젖힘 상태에서도 요추 부위가 밀착 지지되어 보다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around the user's pelvis, the user's lumbar region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That is, in the case of (a) of FIG. 10, the backrest part is retracted backward when the backrest part is rotated, whereas the lumbar region cannot be comfortably supported from the backrest part, whereas in the case of FIG. 11(c), the backrest part Since the lower portion of (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lumbar region,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as it is, so that the lumbar region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even in a wet state, there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seating feeling.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1. 좌석부(S);Seat (S);
    등받이부(B); 및Backrest part (B); And
    리클라이닝 유닛(100);을 포함하되,Reclining unit 100; includes,
    상기 리클라이닝 유닛(100)은,The reclining unit 100,
    고정 프레임(110);Fixed frame 110;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상기 등받이부(B)를 지지하되, 전후 방향의 원호(arc) 궤적을 따라 상기 고정 프레임(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프레임(120); 및A sliding frame 120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ed frame 110 and supports the backrest portion B, but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110 along an arc trajector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좌석부(S)를 후단의 힌지축(S1)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링크블록(130);을 포함하고,Includes a; link block 130 that is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rotate the seat portion (S) around the hinge shaft (S1) of the rear end;
    상기 링크블록(130)은,The link block 130,
    상기 힌지축(S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좌석부(S)를 지지하되,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 일측에 접촉 지지되는 접촉면(13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 일측이 상기 접촉면(131)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힌지축(S1)을 중심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며,While supporting the seat portion (S)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hinge shaft (S1), the sliding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contact surface 131 that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one side, the sliding frame (120) As one side is moved on the contact surface 131 is formed to move about the hinge axis (S1),
    상기 접촉면(131)은,The contact surface 131,
    소정 각도의 경사각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B)가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을 중심으로 제1각도(θ1) 회동되면, 상기 좌석부(S)를 상기 제1각도(θ1)보다 작은 제2각도(θ2)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and when the backrest portion B is rotated at a first angle θ1 around the center of curvature C of the arc trajectory, the seat portion S is rotated at the first angle θ1 A reclining chair formed to rotate a smaller second angle (θ2).
  2.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The sliding frame 120,
    상기 원호 궤적의 곡률 중심(C)이 상기 좌석부(S)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리클라이닝 체어.The reclining chair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of curvature (C) of the arc trajectory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pelvis of the user seated in the seat portion S.
  3.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The fixed frame 110,
    전후 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연장된 레일홈(111)을 구비하고,It is provided with a rail groove 111 extending in an arc shape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The sliding frame 120,
    상기 레일홈(111)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111)과 체결되는 레일돌기(124)를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체어.A reclining chair having a rail protrusion 124 extending in an arc shape to correspond to the rail groove 111 and fastened to the rail groove 111.
  4.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은,The sliding frame 120,
    상기 링크블록(130)을 접촉 지지하는 롤러(122); 및A roller 122 that supports and supports the link block 130; And
    슬라이딩 이동시 초기 상태로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123);을 구비하는, 리클라이닝 체어.A reclining chair comprising a; restoring spring 123 that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to an initial state when sliding.
  5.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마찰 접촉되어,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이동을 소정 정도 규제하는 마찰유닛(140);을 더 포함하되,Further comprising; a friction unit 140 that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sliding frame 120 and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liding frame 120 to a predetermined degree.
    상기 마찰유닛(140)은,The friction unit 140,
    외부로 노출 배치된 다이얼(141);Dial 141 is placed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다이얼(141)과 축 결합되어 상기 다이얼(141)에 인가된 조작력에 의해 좌우 축(R)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일 측면에 제1경사기어(143a)가 구비된 회전블록(143); 및A rotary block 143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dial 141 and rotated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R by an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dial 141,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gear 143a on one side; And
    상기 제1경사기어(143a)와 치합되는 제2경사기어(144a)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블록(143)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좌우 축(R)을 따라 위치 이동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120)에 마찰 접촉되는 가압면(144c)을 구비하는 가압패드(144);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닝 체어.A second inclined gear 144a engaged with the first inclined gear 143a is provided, and is moved along the left and right axes R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lock 143, and the sliding frame 120 ), a pressure pad 144 having a pressing surface 144c in frictional contact; including, reclining chair.
PCT/KR2019/000536 2019-01-14 2019-01-14 Reclining chair WO2020149423A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en) 2019-01-14 2019-01-14 Reclining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en) 2019-01-14 2019-01-14 Reclining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423A1 true WO2020149423A1 (en) 2020-07-23

Family

ID=7161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0536 WO2020149423A1 (en) 2019-01-14 2019-01-14 Reclining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149423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27A (en) * 1990-10-29 1995-10-24 Serber; Hector Seat assembly and method
US6334648B1 (en) * 1997-03-21 2002-01-01 Girsberger Holding Ag Vehicle seat
US20080100121A1 (en) * 2006-10-10 2008-05-01 Hector Serber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KR101584046B1 (en) * 2014-07-14 2016-01-22 이두형 Locking assembly for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JP2016520466A (en) * 2013-04-08 2016-07-14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with dual actuators for seat movement and seat reclining
KR20170093425A (en)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427A (en) * 1990-10-29 1995-10-24 Serber; Hector Seat assembly and method
US6334648B1 (en) * 1997-03-21 2002-01-01 Girsberger Holding Ag Vehicle seat
US20080100121A1 (en) * 2006-10-10 2008-05-01 Hector Serber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JP2016520466A (en) * 2013-04-08 2016-07-14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Aircraft seat with dual actuators for seat movement and seat reclining
KR101584046B1 (en) * 2014-07-14 2016-01-22 이두형 Locking assembly for chair and chair having the same
KR20170093425A (en)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77145B1 (en) An adjustable sitting device
EP0339089B1 (en) Reclining chair
US20030052521A1 (en) Chair
CA1287291C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KR101928964B1 (en) Folding type chair with sliding seat
JP4137536B2 (en) Chair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US6679779B2 (en) Structure for an infant's rocket
JPH06253941A (en) Chair
JPH0734772B2 (en) Work chair
US5918935A (en) Reclining chair
WO2011087264A2 (en) Multifunctional chair
DE59809667D1 (en) CHAIR WITH AN ACTUATOR
WO2020149423A1 (en) Reclining chair
JP2024031988A (en) Function single chair with self-adaptive interlocking control
KR20040049039A (en) a tilting chair
WO2013085214A1 (en) Seat-plate slide tilting seat
KR20210007693A (en) Sofa having Movable Back
KR102032781B1 (en) Reclining chair
WO2001076418A1 (en) Chair
KR102303651B1 (en) Partially adjustable structure for chair seat
JPWO2020255195A5 (en)
KR102491240B1 (en) A chair with tilt function
WO2023211051A1 (en) Armrest assembly and chair comprising same
KR200329536Y1 (en) The angle regulation device for the back in a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7.09.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104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