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24863A1 -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24863A1
WO2019124863A1 PCT/KR2018/015747 KR2018015747W WO2019124863A1 WO 2019124863 A1 WO2019124863 A1 WO 2019124863A1 KR 2018015747 W KR2018015747 W KR 2018015747W WO 2019124863 A1 WO2019124863 A1 WO 20191248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active ingredi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57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동선
이윤미
손은정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1248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248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Atopic dermatitis is a type of hypersensitivity that has recently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as its prevalence increases rapidly. From the immunological point of view, the major symptoms caused by immunological reactions of immunoglobulin E and allergens It is defined as a group of allergic diseases with a strong genetic tendency.
  • atopic dermatitis a typical symptom of atopy, accounts for 0.5 to 1% of the total population and 5 to 10% of the children have serious symptoms, but it is presumed that they are related to genetic factors and immune system deficiency The exact cause has not been elucidat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lleviated somewhat through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and diet, but there is no fundamental treatment method.
  • atopic dermatitis shows individual differences, most of them involve extreme itching, skin dryness, rashes, dirt, scabs, scaly skin (arthropods), and the resulting emotional anxiety, stress, Along with feelings of anger, other allergic diseases such as urticaria, metal allergies,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it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that threatens the public health today.
  • representative drugs known to be effective for atopic dermatitis so far include steroids, antihistamines, antibiotics, non-steroids, and other sedatives and nerve stabilizers.
  • Schizandra chinensis is a dicotyledonous plant that is a magnolia plant of the Magnoliaceae. It grows mainly in valleys, the stem is brown and has the property of climbing trees. Leaves are alternate phyllotaxis, wide oval, long oval or ovate, with hairs on the back vein and tooth-like sawtooth on the edge. The flower is bloomed in June to July, is unisolated, and has a slightly reddish yellowish white color. After the flowering, the flower bud of the female flower grows to 3 ⁇ 5cm in length and the fruit runs on the water. Fruits are berries and they are almost round and have several spines.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5-0027676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related diseases including an extract of Omija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7-0017388 disclos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th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has not been dis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TNF- ⁇ , IL-6) secretion in mast cells and secretion of chemokines (TARC, RANTE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 TNF- ⁇ , IL-6 secretion in mast cells and secretion of chemokines (TARC, RANTES)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of Omija,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tihistamine and NO production inhibitory effects on macrophages and mast cells It is.
  • the Omiza leaf extract has superior antihistaminic activity compared to the Omiza fruit or stem extract, and reduces secretion of cytokines (TNF- ⁇ , IL-6) from mast cells and suppresses the secretion of chemokines from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s) TARC, and RANTE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 FIG. 1 show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cell viability (%) of mummified cells of Omima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C9 mouse treated with Omiza fruit extract and Omija stem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 Fig.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ntihistamine effect in the mast cell treated with the extract of Omija leaf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Omija fruit extract and Omija stem extract.
  • FIG. 3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NO (%) scavenging activity in the mummified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st cell treated with the Schizosacraliana fruit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 NMMA was a positive control and treated with 50 ⁇ M N-monomethyl arginine.
  • Fig. 4 is the cell viability (%) as determined by treating Omiza fruit extract and Omiza leaf extract with mast cells
  • FIG. 5 shows that secretion of cytokines (TNF- ⁇ , IL-6) in mast cells was increased.
  • TNF- ⁇ or IL-6 was increased statistically, p ⁇ 0.001.
  • *, **, *** indicate that the content of TNF- ⁇ or IL-6 de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PMACI, *, p ⁇ 0.05, **, p ⁇ 0.01 Lt; 0.001.
  • $, And $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miza fruit extracts at the same concentration.
  • the values of $, p ⁇ 0.05 and $$ were p ⁇ 0.01.
  • HaCaT cell human keratinocyte
  • FIG. 7 shows that the amount of chemokine (TARC, RANTES) secreted i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was increased, and the amount of TARC or RANTES was in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control, # Is p ⁇ 0.01, and ### is p ⁇ 0.001.
  • *, ** and *** indicate that TARC or RANTES content decreased statistically compared to TI.
  • $$ and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miza fruit extract in the same concentration. $$ is p ⁇ 0.01 and $$$ is p ⁇ 0.001.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Omiza leaf extract may be produced by a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teps:
  • step 3 Concentrating the filtrate obtained in step 2)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o prepare an extract.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water, a C 1 -C 4 low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more preferably an ethanol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acuum concentration in step 3 may be performed using a vacuum decompression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reduced pressure, vacuum drying, boil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not always limited thereto.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ctive ingredient, and may be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a diluent or excipient such as a filler, an extender, a binder, a wetting agent, a disintegrant, or a surfactant is usually used.
  • Sol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capsules, powders, granules, tablets, pills, and the like, which may contain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lactose, gelatin and the like.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and the like.
  •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ing agents, fragrance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water and liquid paraffin which are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examples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 examples of the suppository base include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paper, laurin, glycerogelatin and the like.
  • Intraperitoneal, rectal,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intraperitoneal, or intracerebral injection methods are preferably selected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nd most preferably used for external skin application.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level of effective amount depends on the type of disease, severity, ,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administer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and can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y or in multiple doses.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to administer the amount in which the maximum effect can be obtained in a minimal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atient's body weight, age, sex, health condition,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disease,
  • the dose is 0.01 to 2,000 mg / kg, preferably 30 to 500 mg / kg, more preferably 50 to 300 mg / kg, and can be administered 1 to 6 times a day.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ny one of powder, granule, ring, tablet, capsule, candy, syrup and bever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bove-mentioned Omiza leaf extract may be directly added,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amount of active ingredient can be suitably determined according to its intended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not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raw material, when the food or beverage is produced.
  •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exceeding the above range.
  • the kind of the fo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food.
  • the foods to which the above extract can be added include meat products, sausages,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ll of which include health functiona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ealth drink, various flavors or natural carbohydrates may be added as an additional ingredient such as ordinary beverages.
  • natural carbohydrates are sugar alcohols such as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texturin and cyclotensitrin, and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ers include natural sweeteners such as tau mar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 the ratio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g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concentrating age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preservatives, , A carbonating agent used in carbonated drinks,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lesh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s, fruit juice drinks and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lthough the ratio of such additives is not critical,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il, powder foundation, emulsion, foundation, wax foundation and spr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solvent, a solvent or an emulsifier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s of sorbitan.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carrier such as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sion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etc.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a cream or a gel, an animal fiber, a plant fiber, a wax, a paraffin, a starch, a tragacanth, a cellulose derivative, a polyethylene glycol, a silicone, a bentonite, Etc.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 Propellants such as 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 the carrier component may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c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taurate, sarcosinate ,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aliphatic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enic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t least one ingredient capable of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exhibit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applied to skin using biodegradable micro needles or patch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quasi-drug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an extract of Omija leaf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quasi-drug composition” is a fiber, a rubber product or the like used for tre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of a human or an animal, Or products similar to those which are not machinery, preparations used for sterilization, insecticides and similar us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ns,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treatment, alleviation,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of human beings or animals Means an article other than an apparatus, a machine or an apparatus, and an article other than an apparatus, a machine or an apparatus used for the purpose of giving a pharmacological effect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person or an animal, But not limited to, personal hygiene products.
  •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ained at various weight%, preferably 0.00001 to 10% by weight, as long as it can improve the effect of atopic dermatitis.
  • MC / 9 cells were diluted for each concentration for 24 hours,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t 550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lif., USA) using the MTT assay.
  • the cells were treated with PMA (50 nM) and A23189 (1 ⁇ M) in MC / 9 cells at appropriate concentrations in a 48-well plate and the Omiza leaf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miza fruit extract and Omija stem extract 50, 100 ⁇ ⁇ / ml)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culturing the supernatant, the amount of histamin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method using a histamine ELISA assay kit.
  • the Omiza leaf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ount of NO induced by LPS treatment.
  • Mouse mast cell MC / 9 cells were purchas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 and incubated with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 / ml penicillin, 100 and cultured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streptomycin at 37 ⁇ ⁇ and 5% CO 2 .
  • FBS Fetal Bovine Serum
  • Cell Counting Kit-8 (CCK-8)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 Samples were pre-treated for 30 minutes at concentrations of 25, 50, 100 and 200 ⁇ g / ml in MC / 9 mast cells in a 96-well plate and then treated with 20 nM PMA (phorbol myristate acetate) (calcium ionophore) A23187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5 ⁇ M and cultured. After 4 hours, CCK-8 was added to th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the mixture was reacted at 37 ° C. for 2 hours. Then, the absorbance at 450 nm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rad, Hercules, CA, USA) , And relative cell viability (%) was calculated by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 PMA phorbol myristate acetate
  • A23187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5 ⁇ M and cultured. After 4 hours, CCK-8 was added to the
  • the cultured MC / 9 mouse mast cells were inoculated in a 96-well plate and pretreated for 30 minutes at concentrations of 25, 50, 100 and 200 ⁇ g / ml. Then, PMA (phorbol myristate acetate ) And calcium ionophore A23187 were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5 ⁇ M and cultured for 4 hours. 0.1 and 1 ⁇ M of dexamethasone were each treated as a positive control. After 4 hours, secretion of cytokines (TNF- ⁇ , IL-6) secreted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ELISA kit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100% activity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ion between the PMA and the A23187 untreated group.
  • amount of cytokine secretion (%) [(amount of cytokine secretion in the sample treated group - amount of cytokine secreted in the untreated group) / (amount of secreted cytokine in the control group - amount of cytokine secreted in the untreated group)] ⁇ 100.
  •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 (FBS), 100 units / ml penicillin and 100 ⁇ g / ml streptomycin at 37 ° C and 5 It was incubated at% CO 2 environment.
  • FBS Fetal Bovine Serum
  • Cell Counting Kit-8 (CCK-8)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ytotoxicity of the extract.
  • the cells were pretreated with HaCaT cells in a 96-well plate at concentrations of 25, 50, 100, 200 ⁇ g / ml and treated with 10 ng / ml of TNF- ⁇ and 10 ng / ml of IFN- ,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24 hours, CCK-8 was added to the medium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the mixture was reacted at 37 ° C. for 2 hours. Then, the absorbance at 450 nm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rad, Hercules, CA, USA) , And relative cell viability (%) was calculated by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 the cultured keratinocyte human keratinocytes were inoculated on a 6-well plate and pretreated with the concentrations of 25, 50, 100, and 200 ⁇ g / ml. Then, 10 ng / ml of TNF- ⁇ and 10 ng / / Ml, and cultured for 24 hours. As a positive control, 0.1 and 1 ⁇ M of dexamethasone and 12 and 25 ⁇ g / ml of silymarin were treated, respectively. After 24 hours, secretion of chemokines (TARC, RANTES) secreted in the medium was measured by ELISA kit (R & 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 100% activity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emokine secreted between the TNF-a and IFN-y (TI) treated groups.
  • TARC chemokines
  • amount of chemokine secretion (%) [(amount of chemokine secretion in the sample treated group - amount of chemokine in the untreated group) / (amount of secreted chemokine in the control group - amount of chemokine in the untreated group)] ⁇ 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오미자 추출물은 대식 세포와 비만 세포에서의 항히스타민 효과 및 NO 생성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오미자 잎 추출물은 오미자 열매 또는 줄기 추출물에 비해 항히스타민 활성이 우수하고, 비만세포에서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며, 인간각질세포(HaCaT cell)에서의 케모카인(TARC, RANTES)의 분비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는 최근 들어,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그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과민증(hypersensitivity)의 일종으로, 면역학적 관점에서는 면역글로불린E(immunoglobulin E)와 알레르겐(allergen)의 면역반응에 의한 주요증상을 동반하는 유전경향이 강한 알레르기성 질환군으로 정의된다. 특히, 아토피의 대표적 증상인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전 인구의 0.5~1%, 어린이의 5~10%가 심각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면역계 결핍에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될 뿐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바 없고, 환경 및 식생활 개선을 통해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기대될 뿐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은 개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극심한 가려움증을 비롯한 피부건조증,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을 수반하며, 이로 인한 정서적 불안, 스트레스, 긴장, 좌절, 분노의 감정과 함께 기타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금속 알레르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오늘날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제(steroid),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항생제(antibiotic), 비스테로이드제를 비롯한 기타 진정제와 신경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는 쌍떡잎 식물로 목련목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식물이다. 주로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줄기는 갈색이고 나무를 기어 오르는 성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며 뒷면 잎맥 위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이다. 꽃이 핀 다음 암꽃의 꽃턱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수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거의 둥글고 이삭 모양으로 여러 개가 달린다.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홍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열매에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의 다섯 가지 맛이 섞여 있어 오미자라 하며 약용한다. 한방에서 자양(滋養), 강장, 진해(鎭咳), 거담(祛痰), 지한(止汗) 등의 효력이 있어 해수·유정(遺精), 구갈, 도한(盜汗), 급성간염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며 술도 담근다.
오미자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7676호에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공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17-0017388호에 오미자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며, 항히스타민 효과와 NO 소거활성이 우수하고, 비만세포에서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며, 인간각질세포(HaCaT cell)에서의 케모카인(TARC, RANTES)의 분비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오미자 추출물은 대식 세포와 비만 세포에서의 항히스타민 효과 및 NO 생성억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오미자 잎 추출물은 오미자 열매 또는 줄기 추출물에 비해 항히스타민 활성이 우수하며, 비만세포에서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분비량을 감소시키고, 인간각질세포(HaCaT cell)에서의 케모카인(TARC, RANTES)의 분비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과, 비교예의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줄기 추출물을 처리한 MC9 마우스의 비만세포의 세포생존율(%)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과, 비교예의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줄기 추출물을 처리한 비만세포에서의 항히스타민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 ****은 오미자 잎 추출물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Con)에 비해 현저하게 히스타민 함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01이고, ****은 p<0.0001임을 의미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과, 비교예의 오미자 열매 추출물을 처리한 비만세포에서의 NO(%) 소거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NMMA는 양성대조군으로, 50μM의 N-모노메틸 아르기닌(N-monomethyl arginine)을 처리한 것이다.
*, ***, ****은 음성대조군(Con)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이며, ***은 p<0.001이고, ****은 p<0.0001임을 의미한다.
도 4는 비만세포에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을 처리하여 확인한 세포생존율(%)이다
도 5는 비만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분비량을 확인한 결과로, ###은 control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TNF-α 또는 IL-6의 함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01이다. *, **, ***는 PMACI에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TNF-α 또는 IL-6의 함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며, ***는 p<0.001이다. $, $$는 동일 농도를 기준으로 오미자 열매 추출물 대비 오미자 잎 추출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다.
도 6은 사람각질세포(HaCaT cell)에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을 처리하여 확인한 세포생존율(%)이다.
도 7은 사람각질세포(HaCaT cell)에서의 케모카인(TARC, RANTES)의 분비량을 확인한 결과로, ##, ###은 control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TARC 또는 RANTES의 함량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며, ###는 p<0.001이다. *, **, ***는 TI에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TARC 또는 RANTES의 함량이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이고, **는 p<0.01이며, ***는 p<0.001이다. $$, $$$는 동일 농도를 기준으로 오미자 열매 추출물 대비 오미자 잎 추출물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이고, $$$는 p<0.001이다.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미자 잎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오미자 잎 건조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오미자 잎의 추출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캡슐제,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량의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오미자 잎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2,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500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300mg/kg이며, 하루 1~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오미자 잎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체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 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는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생분해성 마이크로 니들 또는 패치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의약외품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피부 외용제 또는 개인위생용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오미자 잎 추출물의 제조
1kg의 오미자 잎 건조분말에 대하여, 15ℓ의 70%(v/v) 에탄올을 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후, 여과한 액을 50℃에서 감압 농축, 건조하여 오미자 잎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2. 세포 생존률 분석
MC/9 세포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MTT 어세이 기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550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오미자 열매, 잎 및 줄기 추출물 모두 세포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항히스타민 효과 분석
48웰 플레이트에 적정 농도로 분주한 MC/9 세포에 PMA(50nM)와 A23189(1μM)를 처리하고,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과 비교예로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줄기 추출물을 농도별(25, 50, 100㎍/㎖)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취한 후 히스타민 ELISA 어세이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히스타민(histamine)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히스타민의 농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오미자 잎 추출물의 경우, 오미자 열매 추출물 또는 오미자 줄기 추출물에 비해 현저하게 히스타민의 함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NO 측정
48웰 플레이트에 적정 농도로 분주한 RAW 274.7 세포에 본 발명의 오미자 잎 추출물과 비교예로 오미자 열매 추출물을 농도별(25, 50, 100㎍/㎖)로 처리한 후 LPS(500ng/㎖)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취한 후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NO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오미자 잎 추출물은 LPS 처리에 의해 유도된 NO의 생성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실시예 5.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능 분석
(1) 세포 배양
마우스 비만세포(mast cell) MC/9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Rockville, MD, USA)로부터 구입하여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100 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 배지로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독성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고자 Cell Counting Kit-8(CCK-8) assay를 실시하였다.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MC/9 비만세포에 시료를 농도별(25. 50, 100, 200㎍/㎖)로 30분 동안 전처리한 다음, PMA(phorbol myristate acetate) 20nM과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인 A23187을 0.5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배양하였다. 4시간 후에 배지에 CCK-8을 10% 농도로 첨가한 다음 2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3)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능 분석
배양된 MC/9 마우스 비만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여 시료를 농도별(25. 50, 100, 200㎍/㎖)로 30분 동안 전 처리한 다음, PMA(phorbol myristate acetate) 20nM과 칼슘 이오노포어(calcium ionophore)인 A23187을 0.5μM의 농도로 처리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0.1 및 1μM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각각 처리하였다. 4시간 후에 배지에 분비된 사이토카인(TNF-α, IL-6)의 분비량을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로 측정하였다. 100% 활성은 PMA와 A23187이 처리되지 않은 군에서 처리된 군 사이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사이토카인 분비량(%)은 식 (1)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사이토카인 분비량(%)= [(시료 처리군 사이토카인 분비량 - 무처리군 사이토카인 분비량) / (대조군 사이토카인 분비량 - 무처리군 사이토카인 분비량)] × 100.
모든 측정 결과는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p < 0.05 값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MC/9 마우스 비만세포에는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 처리에 의해 사이토카인 분비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오미자 열매 추출물에 비해 오미자 잎 추출물에서의 사이토카인 분비량이 더 감소하였다(도 5).
실시예 6. 케모카인 분비 억제 효능 분석
(1) 세포 배양
인간 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 HaCaT 세포를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e Serum(FBS), 100units/㎖ 페니실린(penicillin), 100㎍/㎖의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첨가한 DMEM 배지로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2) 세포 독성 실험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고자 Cell Counting Kit-8(CCK-8) assay를 실시하였다.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서 HaCaT 세포에 시료를 농도별 (25, 50, 100, 200㎍/㎖)로 전처리한 다음, TNF-α 10ng/㎖과 IFN-γ 10ng/㎖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에 CCK-8을 10% 농도로 첨가한 다음 2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스펙트로포토미터(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대조군과의 비교를 통해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3) 케모카인 분비 억제 효능 실험
배양된 keratinocyte 인간 각질 세포를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접종하여 시료를 농도별 (25, 50, 100, 200㎍/㎖)로 전처리한 다음, TNF-α 10ng/㎖과 IFN-γ 10 ng/㎖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0.1 및 1μM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12 및 25㎍/㎖의 실리마린(silymarin)을 각각 처리하였다. 24시간 후에 배지에 분비된 케모카인(TARC, RANTES)의 분비량을 ELISA 키트(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로 측정하였다. 100% 활성은 TNF-α와 IFN-γ(TI)이 처리되지 않은 군에서 처리된 군 사이의 케모카인 분비량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케모카인 분비량(%)은 식 (2)에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2): 케모카인 분비량(%)=[(시료 처리군 케모카인 분비량 - 무처리군 케모카인 분비량) / (대조군 케모카인 분비량 - 무처리군 케모카인 분비량)] × 100.
모든 측정 결과는 평균(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p < 0.05 값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인간 각질세포에는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오미자 열매 추출물 및 오미자 잎 추출물 처리에 의해 케모카인 분비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오미자 열매 추출물에 비해 오미자 잎 추출물에서의 케모카인 분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감소하였다(도 7).

Claims (8)

  1.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잎 추출물의 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미자 잎 추출물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PCT/KR2018/015747 2017-12-22 2018-12-12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2486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765A KR101874462B1 (ko) 2017-12-22 2017-12-22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7-0177765 2017-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863A1 true WO2019124863A1 (ko) 2019-06-27

Family

ID=6292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5747 WO2019124863A1 (ko) 2017-12-22 2018-12-12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4462B1 (ko)
WO (1) WO2019124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7748B1 (ko) * 2019-08-30 2020-05-08 주식회사 아제라바이오텍 불로화, 오미자, 시호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103B1 (ko) * 2020-05-20 2022-06-14 남종현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6659B1 (ko) * 2021-10-15 2023-09-08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76662B1 (ko) * 2021-10-15 2023-09-08 주식회사 하람 흑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환경호르몬에 의해 손상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39B1 (ko) *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289B1 (ko) * 2003-07-12 2006-10-16 오시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17891B1 (ko) * 2004-11-25 2007-05-14 이지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1567B1 (ko) * 2009-12-24 2012-07-10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39B1 (ko) * 2002-12-10 2005-04-18 이진형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34289B1 (ko) * 2003-07-12 2006-10-16 오시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보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717891B1 (ko) * 2004-11-25 2007-05-14 이지은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1567B1 (ko) * 2009-12-24 2012-07-10 사단법인 진안군친환경홍삼한방산업클러스터사업단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74462B1 (ko) * 2017-12-22 2018-07-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G, Y. H. ET AL.: "Inhibitory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IMMUNOPHARMACOL IMMUNOLOXICOL, vol. 34, no. 2, April 2012 (2012-04-01), pages 292 - 2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462B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4863A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165843A2 (ko)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79202A (ko) 감귤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5002391A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WO2019132625A1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90501A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0091265A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2124803A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6739B1 (ko)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822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77202B1 (ko) 감잎으로부터 추출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성추출물
KR2019004331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18186705A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43610A (ko) 모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민성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120758B1 (ko)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03571A1 (ko) 대나물 지상부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EP1157693A1 (en) Use of epigallocatechin 3-o-(3-o-methyl) gallate and/or epigallocatechin 3-o-(4-o-methyl) gallate for the treatment of allergy and/or inflammation
KR20200124107A (ko) 차조기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9078606A2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 또는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레르기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WO2020091232A1 (ko) 구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204364A1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4591A (ko) 쇠고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90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907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