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56790A1 -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56790A1
WO2016056790A1 PCT/KR2015/010437 KR2015010437W WO2016056790A1 WO 2016056790 A1 WO2016056790 A1 WO 2016056790A1 KR 2015010437 W KR2015010437 W KR 2015010437W WO 2016056790 A1 WO2016056790 A1 WO 20160567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upling
cradle assembly
vehic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4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정은
김승만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60567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567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personal computers, e.g. laptops, note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by interlocking a vehicle internal system provided in the vehicle by simply attaching the mobi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nd driving more safely.
  •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enabling a vehicle seat is provided.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a complex function such as taking a picture or a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hav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mounting operation for interlocking with the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and is mounted on the seat inside the vehicle instead of the front of the vehicle to prevent aesthetic degradation of the front of the vehicle.
  • the coupling portion for interlocking the seat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il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ased on a horizont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 a rotatable body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 a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 coupled to the rotatable body and fix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terminal or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 may include a retainer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fixed and to fix the opposite ends of the mobile terminal up, down, left, and right.
  • the retainer may include a horizontal retainer for fixing the left and right lower edg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vertical retainer for sea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upl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headrest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by the insertion operation of the pair of connecting pins formed to extend downward.
  • the coupling part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pair of connecting pins ar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upling portion,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portion is coupled, the coupling body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groove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connecting pins, the second coupling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connecting pins And a fixing bracket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and the coupling body and the fixing bracket may be fix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form insertion holes.
  • the horizontal retainer may include a first seating block having a first seating groove in which a lower left corner of the mobile terminal is inserted and a second seating hole having a second seating groove in which a lower right corner of the mobile terminal is inserted and seated. It may include a block,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to the rotating body, respectively.
  •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may be moved by the connection part such that when one is moved in one or the other horizontal direction, the other is moved by the same length in the direction of mutual access or separation with the one. Can be connected to the pivot.
  • the connecting portion, the pinion gear portion is elas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n elastic body
  • the first rack gea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block
  • the first rack gear portion is extended to fit to one side of the pinion gear portion
  • the second A second rack gear part connected to a seating block and extended to engage with the other side of the pinion gear part, and a horizontal moving locking part for limiting elastic moving of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 the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may be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 the connecting portion, the pinion gear portion is supported elas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n elastic body, the first rack gea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block, the first rack gear portion is extended to fit to one side of the pinion gear portion, and the second A second rack gear part connected to a seating block and extending to be enga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pinion gear part, wherein the first seating block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are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approac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It may be provided to be.
  • the vertical retainer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a storage panel coupled to the pivot, and a storage panel disposed inside the storage panel to be receivable, and selectively moving up and down. It may include a retaining panel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terminal.
  • the retaining panel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nel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panel, a bending panel that is bent back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panel, and a locking panel that is bent downward from a tip of the bending panel. It may include.
  • the retaining panel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upward by an elastic body, and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moving locking part to limit elastic moving of the retaining panel by the elastic body.
  • the retaining panel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by the elastic body.
  • the vertical moving lock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ack gea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retaining panel in a moving direction, a stopping pinion formed with a pinion gear tooth engaged with the rack gear and rotating, and the stopping pinion by an elastic support force. It is rotatably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locking portion that is engaged to the one-way locking gear teeth formed to be caught in one direction to the stopping pinion, and the unlock button for selectively releasing the locking to the locking gear teeth of the rotation locking portion It may include wealth.
  • the retaining pane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guide part having a plurality of magnetic groups arranged on the front side and extending up and dow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and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magnetic body groups of the first coupling guide unit on the rear side.
  •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forming mutual attraction with each other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guide portion disposed vertically long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first coupling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guide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ferromagnetic material having a stronger magnetism than the magnetic group provided at the remaining positions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 the ferromagnetic material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y crowd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guide may be an electromagnet.
  • the vertical retainer may be coupled to the height 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interviewe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 the rotating body is formed with a pair of guide slot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moving guides are guided by the pair of guide slots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retainer, the guide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rotating body Protruding ends may be formed.
  •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groups are disposed around the pair of guide slots of the rot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groups forming mutual att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groups around the guide protrusion end of the vertical retainer.
  • the second group of magnetic bodies can be disposed.
  • a holder-type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ivoting body in which a part of a connecting wir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and locked therein.
  •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wireless charging, and the mobile terminal attach unit may include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to generate power by interacting with the wireless charging receiver.
  •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can achieve various effects as follows.
  • the height can be adjusted up and down to meet the conditions of the passengers, as well as til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user convenience.
  • FIG. 1a and 1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vehicle terminal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n the se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mounting state on the seat of the second embodiment;
  • 5A and 5B are side views showing a front and rear tilting state of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sheet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vertical til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seat linkage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ng portion capable of tilting up and down of a mobile terminal attach portion to a pivoting body of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9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horizontal retain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FIGS. 10A and 10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mechanism of the retaining panel of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11A and 11B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12A and 12B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illustrating a power cable accommodation state of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ct position holder of a mobile terminal for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 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general mode of a mobile terminal
  •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interlocked with an internal system of a vehicle
  • 1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ehicle mode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 front refers to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when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rear refers to the direction to move backward when based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front” of the attachment part “rotation part” us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surface facing the rear of the vehicle
  • the “back” refers to the surface facing the front of the vehicle.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ure 1a and Figure 1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first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includes a coupling part 110 and 210 for mediating a coupling to the seat 10 in the vehicle, and an upper end and a horizont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110 and 210.
  •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n a tiltable manner, and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ies 120 and 220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terminal G, or
  • mobile terminal attach units 130 and 230 fixing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obile terminal G.
  • the mobile terminal G carried by the user when the mobile terminal G carried by the user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ttach units 130 and 230, the mobile terminal G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It is configured to work together.
  • the mobile terminal G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mobile terminal G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nother tablet PC.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Bluetooth communication, etc. may all be a concept.
  • the driver is more easily accessible to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portion of the vehicle passenger while not distracting atten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it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0 or the passenger seat 10 so that the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G) linked by the rear seat passengers is easier.
  • the mobile terminal G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mounted in the vehicle seat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terlocks with an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contents, vehicle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G are provided.
  • the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includes a first embodiment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moun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G mounted for interlocking and a tilting state of the mounted mobile terminal G. 100) and the second embodiment 200.
  •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00 and the second embodiment 200,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is equipped with a vehicle such that the mobile terminal G is mounted.
  • the seat 10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10, respectively, via the coupling portion (110, 210).
  •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can be used in common as described below, but the first embodiment 100 has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 the second embodiment 200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while being configured to fix the left and right bottom edges of the mobile terminal G while moving to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eat and secure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 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s 130 and 230 may include a retainer (not shown)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G to be fixed and to fix the opposite ends of the mobile terminal G to the upper, lower, or left and right sides. .
  • the case in which the retainers for fixing the opposite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G are provided corresponds to the first embodiment 100,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terminal G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are provided.
  • the case where a retainer for fixing is provided corresponds to the second embodiment 200.
  • the re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100 has a type and size (especially, a horizontal length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G to be mounted.
  • the horizontal retainers 130A and 130B may be referred to in terms of fixing the edges of the left and right lower end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 G whil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G may be mounted.
  • the re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200 has a type and size (especially, a longitudinal length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G to be mounted.
  • Vertical retainer 230 in terms of moun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and fixing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G) can be mounted. It can be called.
  •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10 to install the structure using the headrest 20 supporting the head rear parts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seat passenger.
  • the headrest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ng pins 21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o the seat 10 extending downwar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pair of connecting pins 21 may be mounted in an operation of being inserted into pin coupling holes (not show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heet 10, and may be removed in an operation of being separated from the pin coupling holes.
  • an insertion hole 312 is formed through which a pair of connecting pins 21 can be inserted so as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efore being inserted into the pin coupling hole.
  • the headrest 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10 by inserting a pair of connecting pins 21 into the pin coupling hole via the hole 312, and the headrest 20 is connected to the seat 10. As soon as the top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210 is to be coupled to the sheet (10).
  • sealing 23 may be interposed so that an impact due to driving vibration of the vehicle is not transmitted.
  • Sealing 23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can give a feeling of mounting to the assembly when the connecting pin 21 of the headrest 2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12.
  • the insertion holes 312 must be formed to penetrate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no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sertion hole 312 penetr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s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re the first embodiment. Not only may be implemented,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below.
  • the fixing bracket 413 may include a coupling body 411 having the 412a formed therein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412b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connecting pins 21.
  • the coupling body 411 and the fixing bracket 413 are circular insertion holes 412 as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a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2b are joined to each other, as shown in (a) of FIG. 3B. It can be fixed to each other by screwing by the coupling screw 415 to form a).
  • the insertion hole 412 is circular, but may have other shapes such as a spherical shape other than the circular shape as long as the insertion hole 41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n 21.
  • the coupling body 411 and the fixing bracket 413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method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coupling force, such as bolt nut coupling, clip coupling, in addition to screw coupling.
  • the headrest is disposed i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a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2b like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the sealing 23 may be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n 21 of the (20).
  •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the seat 10 without removing the headrest 20 even when the headrest 20 is alread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eat 10. Provide process advantages.
  • the assembler connects the coupling body 411 of the headrest 20 to the front part.
  • the pins 21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fixing bracket 4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s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pin 21 of the headrest 20 at the rear part, and then fixed to each other by screwing.
  • the coupling to (10) can be completed.
  • a pair of hinge coupling ends for mediating the coupling of the rotating bodies 120 and 220 described above. 314, 414 may be formed.
  • the pivoting bodies 120 and 220 are hinged to the pair of hinge coupling ends 314 and 414 so that the pivoting bodies 120 and 220 can be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n the se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mounting state on the seat of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s 5a and 5b is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a side view showing a front and rear direction tilting
  •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 sheet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arts 110 and 210 coupled to the connecting pins 21 of the headrest 20. 100) and the combination of the rotating body (120,220) and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 (130,230)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200 is coupled to be til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mobile terminal G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ttach units 130 and 230.
  •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is centered around the hinge engaging ends 314 and 414 which are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rotating bodies 120 and 220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parts 110 and 210. It may be rotated to (refer to (b) of the figure), or may be provided to rotate backwards (see (c) of the angle).
  • the first embodiment 100 and the second embodi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display angle of the mobile terminal G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s 130 and 23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us, various users.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fitted to your physical condition.
  •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part 230 has a shape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seat 10.
  • a tilting space 30 capable of tilting at least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 230 may be separate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eat 10.
  • the tilting space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space formed in the seat 1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ont and rear tilting rotation of the mounted mobile terminal G.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vertical til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hicle seat linkage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 8 is a mobile terminal for the rotating body of the vehicle seat linkage cradle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onnection part which can tilt up and down of an attachment part.
  •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as the second embodiment 200 is capable of tilting the mobile terminal G to be moun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well as up and down heights. It may be provided to be tilted up and down to enable adjustment.
  • Passengers in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interior may be various user floors, and such various user floors are mounted on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200. Adjusting the terminal (G) to suit their physical conditions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comfortably.
  •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200 has the vertical til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8 to enable the vertical tilting described above.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not shown in FIG. 9) to connect the rotating body 120, respectively.
  • FIG. 9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horizontal retainer during configuration of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movable in one or the other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moved by the connecting part so as to move by the same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one is mutually approached or spaced apart from the other. It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120.
  •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rotating body 120, and a pair of long pair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mmunicates with the predetermined spa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20.
  • Horizontal slots 121A and 121B are formed.
  • the pair of horizontal slots 121A and 121B respectively include a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a second seating block 130B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a predetermined space. It is installed to move.
  •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portion 133, which is elas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body 134, and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 a first rack gear portion 132A extended to be engaged on one side, a second rack gear portion 132B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nd extended to fit on the other side of the pinion gear 133;
  • a horizontal moving locking part 135 for limiting elastic moving of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may be included.
  • the first rack gear part 132A and the second rack gear part 132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rack gear teeth 132A 'and 132B' are pinion gear parts.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133 is disposed so as to be engaged at the same time, when the pinion gear portion 13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rst seating block (132A) and the first seating block (132B)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gear 132B (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mov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when the pinion gear part 133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similarly It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or approaching each other.
  • the elastic body 134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inion gear unit 133 is the first rack gear unit 132A and the second rack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spaced apart.
  •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to move the gear part 132B, and the horizontal moving locking part 135 is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which are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34.
  • the vehicle seat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has horizontal retainers 130A and 130B with a user holding the mobile terminal G to be mounted therein with one hand.
  • the mounting convenience is provided so that it is easy to mount with only one hand that does not hold the mobile terminal (G).
  • an elastic body that adds an elastic force to the pinion gear unit 133 may include the first rack gear unit 132A and the second rack unit 130A and the second mounting block 130B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oun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mounting block 130B approach.
  • An elastic force may be provided to move the rack gear portion 132B. That is,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approached by the elastic body.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mount the mobile terminal G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1 of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the first seating is performed.
  • the mobile terminal G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eating groove 131 and then release the hand,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by elastic force.
  • the mobile terminal G is fixed.
  • the vehicle seat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implemented in the second embodiment 200, as shown in Figures 2b and 8, the type of mobile terminal (G) to be mounted and Regardless of the size, it is provided to enable the mounting of the various mobile terminals (G), and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 a pair of guide slots 221A and 221B are formed in the pivoting body 2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moving guides are guided by a pair of guide slots 221A and 221B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retainer 230.
  • the guide protrusions 234A and 234B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ivot 220.
  • the guide protrusions 234A and 234B are inserted into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ivoting body 220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slots 221A and 221B, thereby enabling the vertical h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groups 290 are disposed around a pair of guide slots 221A and 221B of the rotating body 220, and a plurality of first magnetic body groups 290 are disposed around the guide protrusions 234A and 234B of the vertical retainer 230.
  • a plurality of second magnetic body groups 280 forming mutual attraction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s 290 may be disposed.
  • the first magnetic body group 29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group 280 are mutu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position of each magnetic body group by mutual attraction to enable vertical tilting of the vertical retainer 230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120,220) Up and down height can be adjusted to fit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 the first magnetic group 29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five permanent magnets 291-295, and the second magnetic group 28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three permanent magnets 281-283.
  • FIGS. 10A and 10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mechanism of the retaining panel 233 of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200.
  • the vertical retainer 230 has a seating portion 232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is seat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panel 230 and the storage panel 230, which are coupled to the pivot 220. It may include a retaining panel 233 disposed to be possible, and optionally moved upward and downwar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 the retaining panel 233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eceiving panel 230, the movable panel 234, the movable panel 234, as shown in Figures 10a and 10b, the rear of the coupling panel 234 at the rear It may include a bending panel 235 that is bent to the hook panel 236 bent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bending panel 235.
  • the joining panel 234 is a portion that mediates the joining of the retaining panel 233 to the receiving panel 230, and a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the guide panel is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joining panel 234. 239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torage panel 230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and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panel 230 to guide the vertical moving of the retaining panel 233.
  • FIGS. 10A and 10B An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guide panel 239 is inserted in the up and down moving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panel 230 to open up and down, and the guide panel 239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 the upper and lower moving of the retaining panel 233 is guid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panel 230.
  • the lower end of the guide panel 239 may have a guide rod 241 extending vertically.
  • the guide rod 241 is inserted into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panel 230, and the elastic body 245 is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taining panel 233 upward.
  • the elastic body 245 may be a spring that is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24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retaining panel 233 upward.
  • the elastic body 245 may be employed.
  •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units 130 and 230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not shown in FIGS. 239 to 244) for limiting elastic moving of the retaining panel 233 by the elastic body 245.
  • the locking unit includes a rack gear 240 disposed long on a surface of the retaining panel 233 in the moving direction, and a rack gear tooth 240a constituting the rack gear 240.
  • a stopping pinion 243 having a pinion gear tooth 243a which is rotated by being engaged with the shaft, and is rotatably dispos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topping pinion 243 by an elastic support force, and is caught by the stopping pinion 243 in on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lect the locking engagement portion 244 engaged with the one-way engagement gear tooth 243a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inion gear teeth) and the gear engagement end 244c of the rotation engagement portion 244. It may include a unlock button unit 250 to release the.
  • the rack gear 2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rack gear teeth 240a vertical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anel 239.
  • the plurality of rack gear teeth 240a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panel 239 in the form of a groov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protrusion portion in the front portion of the guide panel 239.
  • the pinion gear teeth 243a constituting the stopping pinion 243 may include a gear engaging end 244c of the rotation engaging portion 244.
  • the rack gear 240 is moved upward in the elastic moving direction, the pinion gear teeth 243a of the stopping pinion 243 are caugh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rack gear 240 is caught in the opposite direction, but the slip phenomenon occurs. It may be formed of one-way locking gear teeth 243a, which may occur.
  • the pinion gear tooth 243a of the stopping pinion 243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formed of the one-way catch gear tooth 243a which is engaged in one direction by the rotation catching portion 244, and the rotation catching portion 244 ), Any shape can be adopted as long as the locking in one direction is easy.
  • the rotation locking portion 244 is provided with a gear locking end 244c which is an upper end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rotation center point 244a so as to be able to hook on the one-way locking gear tooth 243a, and the lower end 244b is not shown. It can be guided by the guide unit.
  • the rotation center point 244a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inion gear tooth 243a is always engaged by the elastic body (not shown).
  • the pivot locking portion 244 is spaced apart from the one-way locking gear tooth 243a of the stopping pinion 243, at which time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retaining panel 233 of the elastic body 245. Retaining panel 233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by the elastic support force in the direction, and the mobile terminal G of various sizes is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232 and the locking panel 236 of the retaining panel 233. To make it happen.
  • the user mounts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on the seating portion 232, and then pushes the retaining panel 233 downward to move the mobile terminal G.
  • the locking panel 236 is adjusted to fit the upper and lower size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 G.
  • the gear locking end 244c of the rotation locking part 244 has a slip phenomenon with respect to the one-way locking gear tooth 243a, and the user moves his body while feeling an appropriate feeling of operation.
  • the terminal G can be mounted stably.
  • the unlock button unit 250 separates the rotation locking unit 244 from the one-way locking gear 243a, and when the user pushes the pushing force, the rotation locking unit 244 is in its original position. To be restored.
  • the pivot locking portion 244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always locked to the one-way locking gear tooth 243a by the elastic body, and the unlock button part 250 temporarily stops the elastic body.
  • the elastic support force may be released or the rotation locking part 244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support force.
  • the retaining panel 233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downward by an elastic body.
  • the guide rod 241 is inserted into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panel 230, and interposes an elastic body (not shown)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etaining panel 233 downwar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241.
  • the elastic body here may be a spring that is inter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rod 24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elastic body having any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as long as it can elastically support the retaining panel 233 downward. Of course it is possible.
  • the retaining panel 233 is positioned below by receiving an action of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etaining panel 233 downward.
  • the retaining panel 233 is manually moved upward, and the mobile terminal G of various sizes is retained with the seating portion 232. It is to be opened so that i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panel 236 of the panel 233.
  • the user mounts the lowe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G on the seating portion 232, then places the retaining panel 233 and the retaining panel 233. ) Is moved downward by the action of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retaining panel 233 downward, is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sizes of the mobile terminal (G), the locking panel 236 is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G). .
  • FIGS. 11A and 11B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the mounting of a mobile terminal to an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FIGS. 12A and 12B ar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 2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ower cable receiving state of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FIG. 13 is a position hold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e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for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 the mobile terminal attach portion 23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holder (260, 270) to guide the mobile terminal (G) to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 the position holders 260 and 27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guide 270 formed in the retaining panel 233 and a second coupling guide 260 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G.
  • the retaining panel 233 further includes a first coupling guide 270 described above in which a plurality of magnetic groups 271-275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front side, each of which is disposed vertically longer and longer.
  • the terminal G has a plurality of magnetic body groups 261-265, which form mutual attraction with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y groups 271-275 of the first coupling guide part 270, on the rear surface thereof, which are long and vert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t may include the second coupling guide 260 described above.
  • the first coupling guide 270 and the second coupling guide 260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ic body groups 271-275 and 261-265, and the mobile terminal G to be attached is attached to the right position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 the first group of magnetic bodies 271-275 and 261-265 may b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left side, and the first group of the magnetic groups 271-275 and 261-265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extended upward and downward.
  •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guide 270 and the second coupling guide 260 (273, 263) may be formed of a relatively strong magnetic body, that is, a ferromagnetic body, compared to the magnetism of the remaining magnetic body groups. .
  • the ferromagnetic material is for substantially sett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G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 parts 130 and 230.
  • the ferromagnetic material 273 and the first ferromagnetic material 273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guide 270 are formed.
  • the ferromagnetic material 263 provided in the two coupling guide 260 may be provided as a S pole ferromagnetic material and an N pole ferromagnetic material to generate an adhesion force of a stronger attraction force than the remaining magnetic material.
  • the above-described magnetic material is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permanent magnet is us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may be provided as an electromagnet.
  • the tooth part 230 When the proximity of the mobile terminal G is detected, the tooth part 230 generates an electromagnet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pole ferromagnetic material and the N-pole ferromagnetic material from the above-described magnetic body and has a stronger electromagnetic field than tha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magnetic body group. It is also possible to set to form.
  • the magnetism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guide 270 is change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ferromagnetic material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guide 26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attaching part 230. It can be done.
  • the mobile terminal (G)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ront of the retaining panel 233, the mobile terminal (G), even if the user is arbitrarily attached to the place other than the correct position, the first coupling guide 270 and the second coupling guide described above
  • the attachment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y (271-275, 261-265) constituting the (260) By changing the attachment to the correct position by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y (271-275, 261-265) constituting the (260) by the driving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without the user accidentally dropping the mobile terminal (G) It can improve the user convenience that can be attached.
  • the first seating block 130A and the second seating block 130B are moved in a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n the mobile terminal G is seated and then moved again.
  •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wireless charging, mobile terminal attach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charge the mobile terminal (G) by a wireless charging method instead of wired charging by providing a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wireless charging (130,230).
  •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at least one of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magnetic resonance method may be adopted, and any charging method may be adopted as long as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is capable of charging in accordance with standard wireless charging protocols.
  • the mobile terminal G may be charged by a wired charging method.
  • the mobile terminal G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provided to be charged by a wired charging method,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G is covered by the connecting wire W for electrical connection, ease of use may be deteriorated.
  • a portion of the connecting wire W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G is received inside and lock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rotating bodies 120 and 220. Holder-type receiving grooves 116 and 216 may be formed.
  •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G does not interfer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G and the rotating body 120 in the first embodiment 10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provided pos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200 retaining panel 233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G) and the rotating body (220)
  • the bar may be formed to be adjacent to the side where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hole 280 is provided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rotating body 220.
  • the connecting wire W includes a power terminal 500A inserted in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holes 180 and 280 and a charging terminal 500B inserted into a charging connection terminal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G. Do.
  • the holder-type receiving grooves 116 and 216 may be formed with a holder clip 117 to prevent the received connecting wire (W) to be randomly flows to be separated out.
  • the mobile terminal G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ttach units 130 and 230, the mobile terminal G is interlocked with the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As such,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interlocked with the vehicle's internal system, the mobile terminal G is automatically switched from the unique mobile terminal G mode to the vehicle mod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urther utilize the smart function via the mobile terminal G. You have the advantage.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mode of a mobile terminal
  •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interlocked with an internal system of a vehicle
  • 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mode displayed on a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G may be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attaching part of the vehicl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interlocked with an internal system of the vehicle, the mobile terminal The normal mode of (G)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and the contents in the mobile terminal G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G so as to conform to the vehicle running restrictions.
  • the meaning that the mobile terminal G is interlocked with the vehicle's internal system may mean that the mobile terminal G is interlocked with the vehicle's ECU.
  • the mobile terminal G displays various contents (icons of application programs) on the screen in the normal mode regardless of vehicle regulation, and executes the contents at the request of the user.
  • the mobile terminal G displays the pedestrian navigation information, not the vehicle navig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 the mobile terminal G receives the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 the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synchronizes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erver, the mobil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ynchronized information.
  • vehicle screen mode vehicle screen mode
  • the mobile terminal G When the mobile terminal G is detached from the cradle assembly 100, the mobile terminal G automatically switches the vehicle mode to the normal mode, and provides a service of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driving records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determines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G is mounted in the cradle assembly 100 (S11). For exampl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ntroller is mounted in the cradle assembly 100 when the vehicle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the vehic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ECU electronice control unit
  • the mobile terminal G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not shown) that detects a connection state of the vehicle.
  • the detection unit detects whether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ECU or the port of the ECU of the vehicle, and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mobile terminal G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y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to the controller.
  • the notification signal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not shown).
  • the sensing unit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with the vehicle may be driven automatically or manually.
  • the controller may display navigation data (map data)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G on the display unit.
  • the controller receives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registered in advance from the ECU of the vehicle.
  •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
  • 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mobile terminal G based on the pre-registered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CU of the vehicl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S12).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G and the ECU of the vehicle when the previously registered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control unit moves based on the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of the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memory, and personal information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erver (for example, an ID and password register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G). It is also possible to authenticate the terminal G.
  • the controller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ECU of the vehicle (S13).
  •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air conditioner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level information of a heater or air conditioner), engine oil level information,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tire air pressure information, battery information, radio channel setting information,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revolution per minute (RPM) information,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brak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 air conditioner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level information of a heater or air conditioner
  • engine oil level information for example, temperature level information of a heater or air conditioner
  •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xample,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heater or air conditioner
  •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xample,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of a heater or air conditioner
  • tire air pressure information for example,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 radio channel setting information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 current spee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t may include revolution per minute (RPM) information,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vehicle, brak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ike.
  • RPM revolution per minute
  • the control unit detects contents cor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G (S14).
  • Content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schedule application (Scheduler),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pplications (Facebook, KakaoTalk, Twitter, YouTube, etc.), email applications, phone book applications, videos, etc. It may include.
  • Contents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 media application.
  • the controller configures a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on the basis of conten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G, and displays the vehicle mode on the display unit (S15).
  • a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 conten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G and displays the vehicle mode on the display unit (S15).
  • Contents associ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can be synchronized with the server and / or the user's cellular phone.
  • the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includes a first area 8-1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personal information among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G, and vehicle information.
  • the vehicle mode includes a fourth region 8-4 that displays media data (e.g., a movie, a music video, a drama, etc.) and a fifth region 8-8 that displays an icon for a telephone call. It may further include 5).
  • the controller performs a phone call when an icon for a phone call is selected by the user.
  • the control unit corresponds to the selected email icon 8-1a when the email icon 8-1a is selected in the first area 8-1 displaying conten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mobile terminal G.
  • the contents of the email ar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8-1 b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If the email icon 8-1a is selected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 controller converts the emai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email icon 8-1a into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chedule contents by executing an appli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chedule icon 8-1b when the schedule icon 8-1b is selected in the first area 8-1 displaying conten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t displays on the 1st area
  • the controller selects the air condition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emperature level information of the heater or air conditioner), engine oil amount information,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tire air pressure information, and battery.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radio channel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8-2 or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 the air conditioner inform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emperature level information of the heater or air conditioner
  • engine oil amount information for example, oil amount information, engine temperature information, tire air pressure information, and battery.
  •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radio channel setting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8-2 or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 the user when the user carries the mobile terminal G and mounts it on the cradle assembly 100, the user can easily and quickly check the vehicle mode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 of the mobile terminal G to the vehicle mode.
  • the user when the user carries the mobile terminal G and mounts it on the cradle assembly 100, the user selects a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based on contents, vehicle information, and navigation information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G. By displaying, the personalized vehicle mode can be confirmed.
  •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 the vehicl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arries the mobile terminal G and mounts it on the vehicle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cradl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s, vehicle information, and navigation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G are provided. Displays the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chang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vehicle mode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drive safely by changing the output to meet the vehicle driving regulations. to provide.
  • vehicle mode vehicle screen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내부 시스템을 이동 단말기를 간단하게 장착시키는 동작으로 연동시켜 차량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보다 안전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멀티 기능이 자동차의 영역으로도 영향을 미쳐, 자동차의 고유 기능인 주행 기능을 넘어서서, 승객(운전자 포함)들에게 보다 편안하게 안전 주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러나, 차량 내부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다양한 기능 동작부들이 구비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를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크래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야 하는 바, 기존 네비게이션 장치나 블랙박스 장치, 하이패스 장치 등이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 대쉬보드 패널 주변에 설치되어 차실 전방부가 혼잡하여 안전 주행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다가 차량에 탑승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기 위한 장착 동작이 용이함은 물론, 차실 전방부가 아니라 차량 내부의 시트에 장착되어 차실 전방부의 미관 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운전자 외의 탑승객의 접근이 용이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고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부를 고정시키는 수평 리테이너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수직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삽입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시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결합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바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이 삽입홀을 형성하도록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과,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을 각각 상기 회동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상기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 및 제2안착 블록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과, 상기 수납 패널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수납 패널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과,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과, 상기 절곡 패널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직무빙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탄성체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무빙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1결합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배면부에 상기 제1결합 안내부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2결합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 안내부 및 상기 제2결합 안내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나머지 위치에 구비된 자성체 군보다 강한 자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 안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중의 강자성체는 전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회동체에 대하여 면접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배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상기 회동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의 주변에는 복수의 제1자성체 군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상기 가이드 돌출단의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자성체 군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와 상호 작용으로 전원을 생성하도록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차량 시트의 배면측에 배치되므로 운전자 외의 탑승객의 접근이 용이하여, 차량 주행 중인 운전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운전자 외의 탑승객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손쉽게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탑승객의 조건에 맞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실시예별 이동 단말기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제1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 및 제2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상하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회동체에 대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하 틸팅이 가능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수평 리테이너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리테이닝 패널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원 케이블 수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정위치 홀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15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6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방”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할 시의 전진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후방”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할 시의 후진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방”은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고, “상방”은 하방과 반대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어태치부 “회동부”의 “전면”은 차량의 후방을 향한 면을 가리키고, “배면”은 차량의 전방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실시예별 이동 단말기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차량 내부의 시트(10)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110,210)와,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120,220)와, 회동체(120,220)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G)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G)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하면 이동 단말기(G)로 하여금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G)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기타 태블릿 피씨(Tablet PC) 등 이동통신망이나 블루투스 통신 등 무선통신 가능한 무선통신 기기라면 모두 해당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에서는, 운전자는 차량의 주행 중 주의력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차량 탑승 승객 중 뒷자석 부분에 탑승한 승객의 접근이 더 용이하고, 뒷자석 탑승 승객에 의하여 연동된 이동 단말기(G)의 제어가 더 용이하도록 운전석 시트(10) 또는 조수석 시트(10)의 배면 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의 주행 중이더라도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게 하고, 차량 운전자는 더욱 차량의 주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연동을 위하여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장착 모습 및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틸팅 모습에 따라 후술하는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하, 각 실시예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1a 및 도 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되도록 차량의 시트(10), 특히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10)의 배면 측에 결합부(110,210)를 매개로 결합된다.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의 경우 결합부(110,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되, 제1실시예(100)는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부 부분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에 반하여, 제2실시예(200)는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시키고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구성 중 결합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는, 고정되는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경우가 제1실시예(100)에 해당되고, 이동 단말기(G)의 상하의 상호 대향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구비된 경우가 제2실시예(200)에 해당된다.
제1실시예(100)의 리테이너는,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특히, 이동 단말기(G)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가로방향 길이)에 관계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부 부분을 고정시키는 점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라 칭할 수 있다.
제2실시예(200)의 리테이너는, 도 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특히, 이동 단말기(G)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세로방향 길이)에 관계 없이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G)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무빙되면서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점에서 수직 리테이너(230)라 칭할 수 있다.
결합부(110,21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시트(1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 승객의 머리 후방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20)를 이용하여 설치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20)에는 시트(10)에의 착탈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한 쌍의 커넥팅 핀(21)은 시트(10)의 상단에 형성된 미도시의 핀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는 동작으로 장착되고, 핀 결합홀로부터 이탈되는 동작으로 탈거될 수 있다.
결합부(110,210)에는, 도 3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핀 결합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312)이 형성되고, 삽입홀(312)을 거쳐 핀 결합홀에 한 쌍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되는 동작으로 시트(10)의 상단에 헤드레스트(20)가 결합되고, 헤드레스트(20)가 시트(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순간 결합부(110,210)가 시트(10)에 결합되게 된다.
한편, 삽입홀(312)의 내주에는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된 후 차량의 주행 진동에 따른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씰링(23)이 개재될 수 있다. 씰링(23)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삽입홀(312)에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삽입될 때 조립자에게 장착감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110,210)가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을 이용하여 시트(10)에 결합되기 위하여 반드시 결합부(110,210)에 삽입홀(31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110,2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312)이 형성된 경우를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라 할 경우, 결합부(110,210)는 제1실시예로 구현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결합부(110,210)는, 도 3b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가 결합되고, 한 쌍의 커넥팅 핀(21)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412a)이 형성된 결합 바디(411)와, 한 쌍의 커넥팅 핀(21)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412b)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41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바디(411)와 고정 브라켓(413)은, 도 3b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412a)과 제2결합홈(412b)이 상호 합쳐지면서 원형의 삽입홀(412)을 형성하도록 결합 나사(415)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상호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412)은 원형이라고 하였지만, 커넥팅 핀(21)의 외주에 접하는 형상이기만 하면 원형이외의 구형 등 기타 모양일수도 있다. 또한, 결합 바디(411)와 고정 브라켓(413)은 나사 결합이외에 볼트 너트 결합, 클립 결합 등과 같이 일정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결합방식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에도,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와 같이 제1결합홈(412a) 및 제2결합홈(412b)의 내주에 배치되어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의 외주에 씰링(23)이 개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는, 헤드레스트(20)가 이미 시트(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헤드레스트(20)를 탈거하지 않고서도 시트(10)에 결합될 수 있는 공정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즉,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이 이미 시트(10)의 상단부의 핀 결합홀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립자는 결합 바디(411)를 전방부에서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 외주 일부에 밀착시키고, 고정 브라켓(413)을 후방부에서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 외주 나머지에 밀착시킨 다음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호 고정시킴으로써 결합부(110,210)의 시트(10)에 대한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결합부(110,210)의 후방부에는, 도 3a 및 도 3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회동체(120,220)의 결합을 매개하는 한 쌍의 힌지 결합단(314,414)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 결합단(314,414)에는 회동체(120,220)가 힌지 결합됨으로써 결합부(110,210)에 대하여 회동체(120,220)가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무빙될 수 있다.
도 4는 제1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 및 제2실시예의 시트에 대한 장착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후 방향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제2실시예가 적용된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0)의 커넥팅 핀(21)에 결합된 결합부(110,210)를 매개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회동체(120,220) 및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의 조합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는, 도 5a 및 도 5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상하 수직되게 장착된 상태에서(각 도의 (a) 참조), 결합부(110,210)에 대한 회동체(120,220)의 결합 부분인 힌지 결합단(314,414)을 중심으로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가 전방으로 회동되거나(각 도의 (b) 참조),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각 도의 (c)참조).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200)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디스플레이 각도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춤 거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20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가 시트(10)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바, 전후 방향 틸팅 회동 시 시트(10)에 의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시트(10)의 배면 측에는 적어도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의 틸팅이 가능한 틸팅 공간(30)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레스트(20)에도 미도시 되었지만,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전후 방향 틸팅 회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시트(10)에 형성된 틸팅 공간과 대응되는 틸팅 공간이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상하 틸팅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회동체에 대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의 상하 틸팅이 가능한 연결 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틸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차량 실내의 뒷자석 부분에 탑승한 승객은 다양한 사용자 층일 수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층이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G)를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조절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은 상하 틸팅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상하 틸팅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실시예(1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는, 도 2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131)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130A)과, 이동 단말기(G)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131)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130B)과, 제1안착 블록(130A)과 제2안착 블록(130B)을 각각 회동체(1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 도 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구성 중 수평 리테이너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안착 블록(130A)과 제2안착 블록(130B)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연결부에 의하여 회동체(12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120)의 내부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회동체(120)의 전면에는 소정 공간과 연통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수평 슬롯(121A,121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수평 슬롯(121A,121B)에는 각각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연결부가 소정 공간 내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무빙되도록 설치된다.
연결부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탄성체(134)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133)와, 제1안착 블록(130A)과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133)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132A)와, 제2안착 블록(130B)과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133)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132B)와,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되, 상호 평행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랙 기어치(132A',132B')가 피니언 기어부(133)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동시에 치합되도록 배치되어, 피니언 기어부(1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에 연결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은 상호 접근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무빙되고, 피니언 기어부(133)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마찬가지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상호 이격되거나 접근되는 방향으로 무빙된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부(133)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체(134)는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를 무빙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고, 수평무빙 락킹부(135)는, 이와 같은 탄성체(134)의 탄성력 제공에 의하여 무빙되는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1실시예(1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시킬 이동 단말기(G)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고 있는 상태에서 수평 리테이너(130A,130B)의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삽입 안착시키고자 할 경우 이동 단말기(G)를 들고 있지 않은 자유로운 한 손으로만으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착 편의성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수평무빙 락킹부(135)를 피니언 기어부(133)가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 무빙을 조절한 후, 상호 이격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각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삽입되도록 이동 단말기(G)를 장착한 다음, 장착된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맞추어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 중 어느 하나만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부(133)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체(미도시)는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접근되는 방향으로 제1랙 기어부(132A) 및 제2랙 기어부(132B)를 무빙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안착 블록(130A)과 상기 제2안착 블록(130B)은,탄성체에 의하여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의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 중 어느 하나만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이동시켜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이 상호 이격되게 하고, 각 제1안착홈(131) 및 제2안착홈(131)에 삽입되도록 이동 단말기(G)를 장착한 다음 손을 놓으면 제1안착 블록(130A)과 제2안착 블록(130B)은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G)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200)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2b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G)의 종류 및 크기에 관계 없이 다양한 이동 단말기(G)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물론,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회동체(220)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이 형성되고, 수직 리테이너(230)의 배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회동체(22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은 회동체(22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어 가이드 슬롯(221A,22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무빙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회동체(220)의 한 쌍의 가이드 슬롯(221A,221B)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자성체 군(290)이 배치되고, 수직 리테이너(230)의 가이드 돌출단(234A,234B)의 주변에는 복수개의 제1자성체 군(290)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2자성체 군(2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성체 군(290)과 제2자성체 군(280)은 상호 인력에 의하여 각 자성체 군의 위치마다 상호 결합됨으로써 회동체(120,220)에 대한 수직 리테이너(230)의 상하 방향 틸팅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1자성체 군(290)은 적어도 5개의 영구 자석(291-295)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자성체 군(280)은 적어도 3개의 영구 자석(281-28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실시예(200)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리테이닝 패널(233)의 작동 메커니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수직 리테이너(230)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32)가 형성되고, 회동체(220)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230)과, 수납 패널(23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닝 패널(233)은,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납 패널(230)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234)과, 결합 패널(234)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235)과, 절곡 패널(235)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236)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패널(234)은, 수납 패널(230)에 대한 리테이닝 패널(233)의 결합을 매개하는 부분으로써,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결합 패널(234)의 전면부에 가이드 패널(239)이 전면에 대하여 수납 패널(2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납 패널(2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테이닝 패널(23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수납 패널(230)의 상부면에는 가이드 패널(239)이 상하 무빙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 홀(미도시)이 상하로 개구되게 구비되고, 삽입 홀로 삽입된 가이드 패널(239)은,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납 패널(230)의 내부 공간 중 배면부 측 내벽면을 접하면서 리테이닝 패널(233)의 상하 무빙을 안내한다.
한편, 가이드 패널(239)의 하단부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가이드 로드(24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241)는 수납 패널(23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외주에 탄성체(245)가 개재되어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의 탄성체(245)는, 가이드 로드(24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245)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는, 탄성체(245)에 의한 리테이닝 패널(233)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락킹부(도면부호 미표기, 도면부호 239 내지 244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는,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리테이닝 패널(233)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240)와, 랙 기어(240)를 구성하는 랙 기어치(240a)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243a)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243)과,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스토핑 피니언(243)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토핑 피니언(243)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 피니언 기어치와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시한다)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244)와,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랙 기어(240)는,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복수개의 랙 기어치(240a)가 상하로 길게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랙 기어치(240a)는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홈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 패널(239)의 전면부에 돌출 형태로 일체 성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도 10a 및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토핑 피니언(243)을 이루는 피니언 기어치(243a)는,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이 랙 기어(240)가 탄성 무빙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스토핑 피니언(243)의 피니언 기어치(243a)가 회전되는 방향으로는 걸림되고, 그 반대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는 걸림되기는 하나 슬립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스토핑 피니언(243)의 피니언 기어치(243a)가 회동 걸림부(244)에 일방향으로 걸림되는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동 걸림부(244)에 의하여 한쪽 방향의 걸림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여하한 형상의 채용도 가능하다.
회동 걸림부(244)는, 가운데의 회전 중심점(244a)을 기준으로 상단부인 기어 걸림단(244c)이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부(244b)는 미도시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회동 안내될 수 있다. 회전 중심점(244a)에는 미도시의 탄성체에 의하여 항상 피니언 기어치(243a)와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키기 전에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측으로 무빙시키기 위하여 수납 패널(230)의 일측에 구비된 언락 버튼부(250)를 푸쉬 작동시키면, 도 10a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244)가 스토핑 피니언(243)의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탄성체(245)의 리테이닝 패널(233)에 대한 상측 방향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리테이닝 패널(233)이 상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되면서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안착부(232)와 리테이닝 패널(233)의 걸림 패널(23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진다.
안착부(232)와 걸림 패널(23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부(232)에 거치한 후,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밀어서 이동 단말기(G)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 패널(236)이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에 걸림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걸림부(244)의 기어 걸림단(244c)은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대하여 슬립 현상이 일어나는 바, 사용자는 적당한 조작감을 느끼면서 자신의 이동 단말기(G)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언락 버튼부(250)는,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작동되면 회동 걸림부(244)를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로부터 이격시키고, 사용자의 푸쉬 작동력이 해제되면 회동 걸림부(244)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동 걸림부(2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운데 부분이 탄성체에 의하여 원웨이 걸림 기어치(243a)에 대해 상시 걸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바, 언락 버튼부(250)는 일시적으로 탄성체의 탄성지지력을 해제시키거나 탄성지지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 걸림부(244)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233)은, 탄성체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이드 로드(241)가 수납 패널(230)의 내부 공간에 삽입 배치되되, 가이드 로드(241)의 외주에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미 도시)를 개재한다. 여기서의 탄성체는, 가이드 로드(241)의 외주에 개재된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여하한 구성의 탄성체의 채용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키기 전에, 리테이닝 패널(233)은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의 작용만 받아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키려 할 시, 수동으로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측으로 무빙시키고, 다양한 크기의 이동 단말기(G)가 안착부(232)와 리테이닝 패널(233)의 걸림 패널(236)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벌어지도록 한다.
안착부(232)와 걸림 패널(236) 사이가 벌어지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의 하단부를 안착부(232)에 거치한 후, 리테이닝 패널(233)을 놓으며, 리테이닝 패널(233)은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의 작용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동 단말기(G)의 상하 크기에 맞춤되어 걸림 패널(236)이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에 걸린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전원 케이블 수납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1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에 대한 이동 단말기의 정위치 홀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는, 도 1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 중 승객이 이동 단말기(G)를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에 장착할 때,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의 정위치에 이동 단말기(G)가 부착되도록 유도하는 정위치 홀더부(260,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위치 홀더부(260,270)는, 리테이닝 패널(233)에 형성된 제1결합 안내부(270)와, 이동 단말기(G)에 형성된 제2결합 안내부(2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닝 패널(233)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술한 제1결합 안내부(270)를 더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G)는, 배면부에 제1결합 안내부(270)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61-265)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상술한 제2결합 안내부(260)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결합 안내부(270) 및 제2결합 안내부(260)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으로 이루어지되, 부착되는 이동 단말기(G)가 좌우 양측에서 정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좌측에 1군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이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우측에 1군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의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 안내부(270) 및 제2결합 안내부(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 중 적어도 하나(273,263)는 나머지 자성체 군의 자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자성체, 즉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자성체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의 전면에 대한 이동 단말기(G)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제1결합 안내부(270)에 구비된 강자성체(273) 및 제2결합 안내부(260)에 구비된 강자성체(263)는 나머지 자성체보다 강한 인력의 부착력을 생성하는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시예(200)로 구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자성체가 영구 자석일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단말기 어태치부(230)는 이동 단말기(G)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술한 자성체 군 중 상술한 S극 강자성체 및 N극 강자성체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을 다른 자성체 군에 해당하는 부분의 전자석보다 더 강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1결합 안내부(270)에 구비된 강자성체의 자성을 제2결합 안내부(260)에 구비된 강자성체의 자성과 같게 변경하여 이동단말기를 어태치부(230)로터 탈착하는 동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리테이닝 패널(233)의 전면에 접근시키면, 사용자의 실수로 정위치가 아닌 곳에 임의 부착되더라도 상술한 제1결합 안내부(270) 및 제2결합 안내부(26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271-275,261-265)에 의하여 정위치로 부착되도록 변경시킴으로써 차량 주행 중 발생하는 주행 진동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이동 단말기(G)를 떨어뜨리는 일 없이 안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사용자가 자신이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G)를 장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100)의 경우, 제1안착 블록(130A) 및 제2안착 블록(130B)을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무빙시킨 다음에 이동 단말기(G)를 안착시킨 후 다시 이동 단말기(G)의 크기에 맞추어 무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이 가능함은 물론, 도 11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200)의 경우, 리테이닝 패널(233)을 상측으로 무빙시킨 다음 이동 단말기(G)를 안착부(232)에 안착시킨 후 다시 리테이닝 패널(233)을 하방으로 무빙시켜 걸림 패널(236)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G)의 상단부가 걸림되도록 조절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G)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된 경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됨으로써 유선 충전이 아닌 무선 충전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G)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명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충전 방식이 채택되되, 표준 무선 충전 규약에 준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한 한도에서는 여하한 충전 방식의 채택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G)가 유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가 유선 충전 방식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구비된 경우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W)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G)의 전면이 가려질 경우 사용 편의성이 저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동체(120,220)의 상부면에, 도 12a 및 도 12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W)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116,216)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형 수납홈(116,216)은 제1실시예(100)의 경우 이동 단말기(G)와 회동체(120) 사이에 이동 단말기(G) 외의 구성이 간섭되지 않으므로 회동체(120)의 상부면 중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구비 위치 상 바람직하고, 제2실시예(200)의 경우 이동 단말기(G)와 회동체(220) 사이에 이동 단말기(G)의 배면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패널(233)이 구비되는 바, 회동체(220)의 상부면 중 전원 연결 단자 홀(280)이 구비된 측에 인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 와이어(W)는 전원 연결 단자 홀(180,280)에 삽입되는 전원 단자(500A)와 이동 단말기(G)에 구비된 미도시의 충전 연결 단자 홀에 삽입되는 충전 단자(500B)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홀더형 수납홈(116,216)에는 수납된 커넥팅 와이어(W)가 임의로 유동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클립(1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G)가 이동단말기 어태치부(130,230)에 장착되면,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 이처럼,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고유의 이동 단말기(G)의 모드에서 차량 모드로 자동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이동 단말기(G)를 매개로 한 스마트 기능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에 이동 단말기(G)가 연동된 경우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이동 단말기의 일반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5는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6은 이동 단말기에 표시된 차량 모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동 단말기(G)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의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 장착 가능하고,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되면, 이동 단말기(G)의 일반 모드를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로 자동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G) 내의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맞도록 이동 단말기(G)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가 차량의 내부 시스템과 연동된다는 의미는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차량 규제와 상관없이 다양한 콘텐츠들(응용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들)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들을 실행한다. 이동 단말기(G)는, 일반 모드일 때 내비게이션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면 차량 내비게이션 정보가 아닌 보행자 내비게이션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일 때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차량 정보와 서버의 개인 정보, 모바일 정보를 동기화하고, 그 동기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G)는 크래들 어셈블리(100)로부터 탈착되면 차량 모드를 일반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고, 차량의 주행 기록 등의 정보를 기록(recoding)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었는지를 결정(판단)한다(S11). 예를 들면, 제어부는 차량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연결되면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동 단말기(G)는 차량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는 차량의 ECU 또는 차량의 ECU의 포트에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고, 그 감지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G)가 차량과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발생하고, 그 알림 신호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차량과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이동 단말기(G)에 설치된 내비게이션 데이터(지도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예를 들면,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ECU로부터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한다(S12). 예를 들면, 제어부는 수신된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와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가 서로 일치하면 이동 단말기(G)와 차량의 ECU 간의 정보 교환을 허용한다.
제어부는 차량의 미리 등록된 차량 운전자 식별 정보, 메모리에 등록된 식별 정보, 서버에 미리 등록된 개인 정보(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G)의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근거로 이동 단말기(G)를 인증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가 인증되면 차량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S13). 차량 정보는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차량의 현재 속도 정보, 차량의 RPM(revolution per minute) 정보, 차량의 조향각도 정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검출한다(S14).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스케줄 응용 프로그램(Scheduler),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응용 프로그램(페이스 북, 카카오 톡, 트위터, 유튜브 등), 이메일 응용 프로그램, 폰 북(Phone Book)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구성하고, 그 차량 모드를 표시부에 표시한다(S15).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은 서버 및/또는 사용자의 셀룰러 폰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과,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과;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제3 영역(8-3)을 포함한다.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면, 영화, 뮤직 비디오, 드라마 등)를 표시하는 제4 영역(8-4)과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5 영역(8-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전화 통화를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G)의 콘텐츠들 중에서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이메일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이메일 아이콘(8-1a)이 선택되면 선택된 이메일 아이콘(8-1a)에 대응하는 이메일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을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표시하는 제1 영역(8-1) 내에서,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스케줄 내용을 제1 영역(8-1) 상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 스케줄 아이콘(8-1b)이 선택되면 선택된 스케줄 아이콘(8-1b)에 대응하는 스케줄 내용을 음성 신호로 변한하고, 그 음성 신호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제어부는 차량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영역(8-2)이 선택되면 차량의 공조기 정보(예를 들면, 히터 또는 에어컨의 온도 레벨 정보), 엔진 오일량 정보, 엔진 온도 정보, 타이어 공기압 정보, 배터리 정보, 라디오 채널 설정 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2 영역(8-2) 또는 표시부의 전체 표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의 모드를 차량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고 빠르게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함으로써, 개인화된 차량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G)를 휴대하다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100)에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G)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 차량 정보 및 내비게이션 정보를 근거로 차량 모드(차량 화면 모드)를 표시하고, 차량이 주행중일 때 차량 모드 내의 개인 정보에 연관된 콘텐츠들을 차량 주행 규제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출력받음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차량 내부의 시트에 대한 결합을 매개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수평축을 기준으로 상단 및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고, 이동 단말기의 상단 및 하단 또는 이동 단말기의 좌우 양단을 고정시키는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고정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크기에 따라 신축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하 또는 좌우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를 고정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우 하단부 모서리부를 고정시키는 수평 리테이너;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를 안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수직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삽입 동작에 의하여 상기 시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이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가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일부를 감싸는 제1결합홈이 형성된 결합 바디와;
    상기 한 쌍의 커넥팅 핀의 외주 나머지를 감싸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바디와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이 삽입홀을 형성하도록 상호 고정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좌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우측 하단부 모서리부가 삽입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 블록과;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을 각각 상기 회동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어느 하나가 일측 또는 타측 수평 방향으로 무빙된 경우 나머지 하나도 상기 어느 하나와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무빙되게 상기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에 연결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 및 제2안착 블록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평무빙 락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체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탄성 회전되게 지지된 피니언 기어부와;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일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1랙 기어부와;
    상기 제2안착 블록과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연장된 제2랙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착 블록과 상기 제2안착 블록은,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에 결합되는 수납 패널과;
    상기 수납 패널의 내부에 수납 가능하게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 무빙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리테이닝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상기 수납 패널의 내측에 무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패널과;
    상기 결합 패널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 패널과;
    상기 절곡 패널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걸림 패널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탄성체에 의하여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탄성 무빙을 제한하는 수직무빙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탄성체에 의하여 하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직무빙 락킹부는,
    상기 리테이닝 패널의 일면에 무빙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치가 형성된 스토핑 피니언과;
    탄성 지지력에 의하여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밀착되도록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토핑 피니언에 일방향으로 걸림되게 형성된 원웨이 걸림 기어치에 걸림되는 회동 걸림부와;
    상기 회동 걸림부의 상기 걸림 기어치에 대한 걸림을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언락 버튼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패널은, 전면부에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1결합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배면부에 상기 제1결합 안내부의 복수개의 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이 좌우에 각각 상하로 길게 배치된 제2결합 안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안내부 및 상기 제2결합 안내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나머지 위치에 구비된 자성체 군보다 강한 자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 안내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자성체 군중의 강자성체는 전자석인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리테이너는, 상기 회동체에 대하여 면접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배면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에 의하여 상하 무빙이 가이드되고, 상기 회동체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게 가이드 돌출단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슬롯의 주변에는 복수의 제1자성체 군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 리테이너의 상기 가이드 돌출단의 주변에는 상기 복수의 제1자성체 군과 상호 인력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자성체 군이 배치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팅 와이어의 일부가 내부에 수납되어 걸림되는 홀더형 수납홈이 형성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충전 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단말기 어태치부에는, 상기 무선충전 수신부와 상호 작용으로 전원을 생성하도록 무선충전 송신부가 구비된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PCT/KR2015/010437 2014-10-10 2015-10-02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WO20160567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861A KR101807155B1 (ko) 2014-10-10 2014-10-10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2014-0136861 2014-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6790A1 true WO2016056790A1 (ko) 2016-04-14

Family

ID=5565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437 WO2016056790A1 (ko) 2014-10-10 2015-10-02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07155B1 (ko)
CN (1) CN105501134B (ko)
WO (1) WO20160567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9220A (zh) * 2017-03-09 2018-09-25 福特环球技术公司 装置保持器
WO2021087554A1 (en) * 2019-11-05 2021-05-14 Nsv Group Fzco Multi-use device for attachment to a vehicle seat and configured as a combination clothes hanger and support f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9769A (zh) * 2018-08-10 2019-01-01 芜湖鸣人汽车维修服务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上的支架
CN110979201B (zh) * 2020-01-07 2020-07-24 浙江利恩工程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车载平板电脑固定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28Y1 (ko) * 2002-04-24 2002-07-31 이건동 차량용 액정 모니터 거치대
JP2012153210A (ja) * 2011-01-25 2012-08-1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40002927U (ko) * 2012-11-09 2014-05-19 홍주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140069894A (ko) * 2012-11-30 2014-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715B1 (ko) * 2008-09-26 2009-11-10 주식회사 아이니츠 차량용 휴대기기 크래들
KR101284028B1 (ko) * 2011-05-23 2013-07-09 그라스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일라이트를 이용한 기능성 도료
KR20140019665A (ko) * 2012-08-07 2014-02-17 강인식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028Y1 (ko) * 2002-04-24 2002-07-31 이건동 차량용 액정 모니터 거치대
JP2012153210A (ja) * 2011-01-25 2012-08-1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40002927U (ko) * 2012-11-09 2014-05-19 홍주연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20140069894A (ko) * 2012-11-30 2014-06-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KR101443007B1 (ko) * 2014-01-15 2014-09-23 (주)디아이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9220A (zh) * 2017-03-09 2018-09-25 福特环球技术公司 装置保持器
WO2021087554A1 (en) * 2019-11-05 2021-05-14 Nsv Group Fzco Multi-use device for attachment to a vehicle seat and configured as a combination clothes hanger and support for wireless charging of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01134B (zh) 2018-05-18
KR20160042658A (ko) 2016-04-20
CN105501134A (zh) 2016-04-20
KR101807155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56793A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WO2016056792A1 (ko)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WO2016056790A1 (ko)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WO2017111341A1 (en) Cradle assembly for vehicle capable of connecting with mobile terminal
WO2017010632A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78209A1 (ko)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WO2017034287A1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808867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1264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9146850A1 (ko) 이동 단말기
WO2012002603A1 (ko) 외부 장치의 동작 상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WO2012020863A1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20864A1 (ko)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33265A1 (en) Display apparatus
WO2017094972A1 (ko) 전자 프레임의 충전 어셈블리 및 전자 프레임의 충전 방법
WO202010144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vehic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5080347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eer to peer service by using contacts information
WO2019182185A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WO2019142958A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68901A1 (ko) 이동 단말기
WO2015064852A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WO20142089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environment
WO2017159945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vr 영상 제공 방법
WO2018079869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92990A2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89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89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