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007B1 -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007B1
KR101443007B1 KR1020140005227A KR20140005227A KR101443007B1 KR 101443007 B1 KR101443007 B1 KR 101443007B1 KR 1020140005227 A KR1020140005227 A KR 1020140005227A KR 20140005227 A KR20140005227 A KR 20140005227A KR 101443007 B1 KR101443007 B1 KR 10144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unting
antenna
pow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홍
김광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아이디 filed Critical (주)디아이디
Priority to KR102014000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충전 및 거치 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플립커버(Flip Cover)가 끼워져 거치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뒷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며, 0~90도 각도로 회전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가 내부에 안치되거나 0~90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세울 수 있게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기 공명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력 발신회로부로 구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뒷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해 공진을 발신하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가 삽입되는 안테나 설치부와; 상기 단말기 안착부와 안테나 설치부가 하부에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하면이 접촉되고 측면이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 안착부와 안테나 설치부의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플립커버가 삽입되는 플립커버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는 전원을 받아 자기공명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는 발신회로부와; 상기 발신회로부와 연결되어 자기공명에 의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발신안테나부와; 상기 발신회로부에서 인식된 신호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발신회로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충전량 상태를 표기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무선충전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는 동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충전을 위한 충전 잭을 휴대 단말기에 매번 접속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구조의 간소화로 인해 설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별도의 기기 조작이 필요 없이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이 되며,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뷰 각도의 조절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Mobile Device Cradl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올려 놓고 플립커버를 거치부에 끼워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휴대 단말기에 자기공명방식의 무선충전과 거치를 겸할 수 있는 공진형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을 중심으로 무선 전력 충전의 개발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 충전 방식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이 주로 논의되고 있으며, 그 중 자기 공명 방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전자기 유도의 원리를 이용하여 자기에 의한 유도 전류를 발생시켜 충전을 하는 방식인데, 전력 송신체와 전력 수신체 간의 거리가 수 밀리미터(millimeter) 이내로 전자기 유도가 가능할 정도로 가까워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특정 주파수에서 큰 진폭으로 진동하는 공명 현상을 이용하며, 두 개의 코일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을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전자 기기에 연결하여 공명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자기 공명 방식은 전력 송신체와 전력 수신체 간의 거리가 1 내지 2 미터가 되어도 전력 송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그 적용성 및 편리성에 있어서 높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갖는 스마트폰 및 관련 IT 기기 등, 휴대 단말기에 대한 자기공명방식의 무선충전 기술 개발과 제품개발, 상품화가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스마트폰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생활 필수품으로써 외부 활동 시에는 주머니 또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보관하거나 사용하고, 실내나 차량 등의 내부 공간에서는 전력 충전이나 영화감상, DMB 시청, 내비게이션 운영 등을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거치되어 사용된다.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기에 장시간의 기기 사용시에는 유선 케이블을 휴대 단말기의 전력 충전 커넥터에 적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의 사용자 불편 발생과, 커넥터의 잘못된 삽입으로 인한 충전 오류나 화재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 들어 다양한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여러 기능의 추가됨으로 인하여 보다 풍부한 컨텐츠가 보급되었고 단순 통화기능을 기본으로 내비게이션이나, 핸즈프리 통화, 오디오, 무선인터넷 기능 등을 활용하기 위해 차량에서의 사용도 확산되고 있다.
차량 내에서 운용할 때에는 휴대 단말기를 차량 내에 안전하게 고정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손이 쉽게 미칠 수 있는 대시보드(Dash board) 또는 콘솔박스(Console box) 주변에 올려 놓는다. 하지만 자동차는 주행 중 노면상태나 주변 운전 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 또는 자동차의 급회전이나 급정거, 급가속 등으로 인한 관성력으로 인하여 휴대 단말기가 다른 곳에 부딪치거나 떨어져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안전한 거치와 사용을 위해 다양한 모양과 기능을 제공하는 거치대가 개발, 보급되고 있지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무선충전이 불가능하고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어, 다른 기종의 휴대폰으로 교체하면 기존의 거치대는 사용이 곤란하므로, 새로운 거치대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하는 거치대는 차량에서 사용하는 거치대와 겸용하여 사용할 수 없는 관계로 일반 실내용과 차량용을 각각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도 있다.
차량용 거치장치의 경우 보통 공기 흡착판을 이용한 차량과의 결합과 일직선의 플라스틱 구조물로 형성되고 주로 차량의 앞 유리나 대시보드에 수직상태로 흡착, 고정되는 방식을 갖는데 이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안전운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며, 흡착이 충격이나 진동 또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쉽게 분리되어 낙하함으로써 거치한 휴대 단말 기기의 손상은 물론 안전 운전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반 휴대 단말기 충전기는 기기로부터 분리된 베터리에 대한 충전의 기능만 수행 가능함으로써 기기의 기능 이용과 함께 거치, 충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등록특허 10-1285084로 게시된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기는 상부로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된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수용홈에 삽입 배치되며, 상면에 휴대단말기가 배치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본체 또는 충전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충전부의 내부에 장착된 송전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부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와 충전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부를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시키고,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부에 배치된 휴대단말기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충전부의 타단에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가 상기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수평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충전부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때 상기 수직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나 폴립 커버용이 아니며 충전 방식도 유도기전력 방식으로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등록실용신안 20-0467441로 게시된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고주파를 발생시켜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 가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선단에는 세로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제1정류부, 고주파 발생회로 및 1차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2차 코일과 제2정류부를 구비하고, 배터리가 상기 제2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면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분리가능하게 탈착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를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거치할 때, 상기 가로걸림턱 및 상기 세로걸림턱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위치선정을 위한 기준으로 작용하여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의 중심맞춤이 이루어지나, 이 발명 또한 폴립 커버용이 아니며 충전 방식도 유도기전력 방식으로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공개특허 10-2005-0036170로 게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겸용 거치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이 상기 지지대 상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록 경사진 정도를 커지게 함과 아울러 하방으로 이동할수록 경사진 정도를 낯아지게 하는 슬라이딩 수단;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과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서 상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커짐과 아울러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진 정도가 낮아지는 거치 하우징; 및 상기 거치 하우징에 설치되어 거치된 휴대용 통신 장치의 유동을 막아주는 홀딩 장치로 구성되나 본 발명과 거치대의 구조가 상이하다.
공개특허 10-2011-0034773로 게시된 유도성 결합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기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충전식 내장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를 충전하는 유도성 결합 방식을 이용한 무선 충전기에 있어서, 일면에 터치 패드가 제공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터치 패드가 설치된 면과 평행한 평면상에서 상기 1차 코일을 수평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장치가 상기 터치 패드에 놓여지면, 상기 터치 패드가 상기 휴대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1차 코일을 상기 2차 코일에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이나
공개특허 10-2012-0028726로 게시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의 대시보드나 센터페시아에 설치되며, 일측에 개방구를 갖는 박스형태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에 내장되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단말기가 거치되는 트레이;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고, 케이스에 내장된 상기 트레이를 슬라이드시켜 인출시키는 이젝터; 및 상기 트레이에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인출되는 트레이의 상부에 직립하여, 트레이에 거치되는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본 발명과 구조와 충전 방식이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플립 커버(Flip cover)를 거치대에 형성된 플립커버 삽입홈에 적용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휴대 단말기의 거치 후 충전을 원할 때 전원 코드와 기기간에 전원 라인을 서로 연결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하고 단순하게 거치대 위에 올려 놓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무선으로 전력의 충전이 가능하며, 휴대 단말기의 거치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되며,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뷰 각도의 조절이 되고, 충전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충전 및 거치 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플립커버(Flip Cover)가 끼워져 거치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뒷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며, 0~90도 각도로 회전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가 내부에 안치되거나 0~90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세울 수 있게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자기 공명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력 발신회로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받아 자기공명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회로부로 이루어진 발신회로부와; 상기 거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와 연결되어 자기공명에 의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발신안테나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면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에서 인식된 신호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발신회로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충전량 상태를 표기하는 발광소자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뒷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해 공진을 발신하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가 삽입되는 안테나 설치부와; 상기 단말기 안착부와 안테나 설치부가 하부에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 하면이 접촉되고 측면이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 안착부와 안테나 설치부의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플립커버가 삽입되는 플립커버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단말기 안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안착될 때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거치부를 회전 시 상기 휴대 단말기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겔 패드가 설치되는 겔 패드 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 설치부에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가 삽입 설치되는 안테나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를 0도의 각도를 눕혔을 때 상기 거치부가 완전히 내장되도록 홈이 파여진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발신회로부가 설치되는 발신회로부설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결합부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 내에서 0~90도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와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반원의 곡면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의 상기 거치부가 결합되는 쪽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충격 및 스크레치 방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거치부 회전 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주는 위치고정패드가 설치되는 위치고정패드설치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신회로부가 설치된 발신회로부설치홈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대와 하부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게 하여 상기 거치대의 거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에는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에서 발신하는 공명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회로부가 포함된다.
상기 전력 수신회로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 뒷부분 하부에 설치되며, 자기공명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공진수신안테나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에서 받은 전력을 상기 휴대 단말기에의 배터리에 저장하는 수신회로부로 구성된다.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과; 상기 스파이럴 코일이 접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절연판과; 전자파를 차단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절연판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와; 상기 스파이럴 코일의 종단 및 선단에 각각 납땜 처리에 의해 부가되는 한 쌍의 급전 코일(feed coil)과; 상하 방향에서 각각 밀폐하기 위한 한 쌍의 공진 케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의 하면에는 상기 절연판과의 접착을 위한 제1양면 테이프가 부착되며, 상기 절연판의 하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와의 접착을 위한 제2양면 테이프가 부착된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은 베이스 메탈(base metal)과 상기 베이스 메탈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하기 전에 미리 하면에 부착시킨 상기 제1양면 테이프가 일체로 상기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된다.
상기 발광소자는 1개 또는 2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충전 시에 적색을 발광하고, 충전 오류 시에는 적색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며, 충전 완료 시에 녹색이 발광하고, 상기 발광소자가 2개 일때는 녹색발광소자와 적색발광소자로 나누어지고, 상기 발광소자가 1개 일때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2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어야 하며, 1개 또는 2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충전 시에 적색을 발광하고, 충전 오류 시에는 적색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며, 충전 완료 시에 녹색이 발광하고, 상기 발광소자가 2개 일때는 녹색발광소자와 적색발광소자로 나누어지고, 상기 발광소자가 1개 일때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2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어야 하거나, 충전 진행 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 그 진행 정도를 2개 이상의 단계별로 나누고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무선충전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는 동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충전을 위한 충전 잭을 휴대 단말기에 매번 접속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구조의 간소화로 인해 설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별도의 기기 조작이 필요 없이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전력 충전을 진행할 때, 전원 잭과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단순하게 거치부에 1차 기기를 올려 놓고 구성된 홈에 플립커버를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2차기기의 구성을 휴대 단말기 커버를 이용하여 적용하기에 휴대 단말기의 외형이나 크기, 모양에 관계없이 적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에서 사용시,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과 여러 외부적인 요인에도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거치부의 전면과 지지부의 하단에 적용된 실리콘 타입의 겔 패드를 고정 면에 밀착하여 고정 하므로 플립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치나 고정을 위한 작업이나 과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제1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제2실시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거치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거치부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지지부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지지부 B-B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전력 발신회로부 계통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공진안테나부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공진안테나부 C-C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절연판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수신회로부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제1실시예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제2실시예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거치부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거치부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지지부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지지부 B-B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전력 발신회로부 계통 다이어그램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공진안테나부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공진안테나부 C-C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절연판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력 수신회로부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B)는 휴대 단말기(A)를 충전 및 거치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Flip Cover)(A1)가 끼워져 거치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며, 0~90도 각도로 회전되는 거치부(1)와; 상기 거치부(1)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가 내부에 안치되거나 0~90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세울 수 있게 지지해주는 지지부(2)와; 상기 휴대 단말기(A)를 자기 공명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력 발신회로부(3)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는 상기 지지부(2)의 하부나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1)와, 상기 전원공급부(311)에서 전원을 받아 자기공명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회로부(312)로 이루어진 발신회로부(31)와;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와 연결되어 자기공명에 의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상기 지지부(2)의 전면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에서 인식된 신호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발신회로부(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충전량 상태를 표기하는 발광소자(33)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회로부(31)의 설치를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기 지지부(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2)에 설치에 제한하지 않고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1)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11)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해 공진을 발신하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가 삽입되는 안테나 설치부(12)와;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가 하부에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에 하면이 접촉되고 측면이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의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A1)가 삽입되는 플립커버 삽입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1)를 0도의 각도를 눕혔을 때 상기 거치부(1)가 완전히 내장되도록 홈이 파여진 거치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의 하부에는 상기 발신회로부(31)가 설치되는 발신회로부설치홈(22)이 형성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A)에는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에서 발신하는 공명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회로부(A2)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거치대(B)를 이용한 상기 휴대 단말기(A)의 충전은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의 공진발신안테나부(32)를 통해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A)의 전력 수신회로부(A2)의 공진수신안테나부(A21)가 전력을 받아 충전하는 것이므로,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공진수신안테나부(A21) 사이에 도체성질의 물체가 위치해서는 아니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플립커버(A1)를 이용한 거치 및 고정 방식은 상기 플립커버(A1)가 일반적으로 부도체 성질로 제작된 제품이기에 유연한 적용과 사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전력 발신회로부(3)가 탑재되어 있어 상기 휴대 단말기(A)를 상기 거치대(B)의 거치부(1)에 올려놓는 동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충전을 위한 충전 잭을 휴대 단말기에 매번 접속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구조의 간소화로 인해 설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별도의 기기 조작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거치부(1)의 전면에 겔 패드(15)가 있고,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적용된 실리콘 타입의 지지패드(23)를 고정 면에 밀착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플립커버(A1)를 사용하지 않는 상기 휴대 단말기(A)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치나 고정을 위한 작업이나 과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플립커버(Flip Cover)(A1)가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A)를 적용한 것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A)의 외형이나 크기, 모양에 관계없이 적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에서 사용시,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과 여러 외부적인 요인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상기 거치대(B)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플립커버(A1)를 사용하지 않는 상기 휴대 단말기(A)에 적용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안착될 때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거치부(1)를 회전 시 상기 휴대 단말기(A)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겔 패드(15)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2)의 상기 거치부(1)가 결합되는 쪽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와의 충격 및 스크레치 방지와,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상기 거치부(1) 회전 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주는 위치고정패드(25)가 설치되므로 상기 플립커버(A1)을 사용하지 않는 상기 휴대 단말기(A)라도 본 발명의 거치대를 사용하여 거치와 충전이 가능하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거치부(1)은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Flip Cover)(A1)가 끼워져 거치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며, 0~90도 각도로 회전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11)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해 공진을 발신하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가 삽입되는 안테나 설치부(12)와;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가 하부에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에 하면이 접촉되고 측면이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의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A1)가 삽입되는 플립커버 삽입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안착될 때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거치부(1)를 회전 시 상기 휴대 단말기(A)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겔 패드(15)가 설치되는 겔 패드 설치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겔 패드(15)는 상기 휴대 단말기(A)에 플립커버(A1)가 적용되지 않는 기기에 대해 본 발명의 거치대(B)의 적용이나 고정을 도와주는 역할을 주로 하고 상기 플립커버(A1)가 적용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A)에서도 상기 휴대 단말기(A)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보조로 한다.
상기 안테나 설치부(12)에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가 삽입 설치되는 안테나설치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2) 내에서 0~90도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2)와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반원의 곡면(131)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부(2)와 결합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돌기(13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결합부(13)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발신회로부(31)를 연결해주는 스파이럴 코일(321)이 통과하는 안테나코일 통과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을 0~90도로 회전할 때 간섭이 되지 않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발신회로부(31)를 연결 방법이 강구된다.
상기 거치부(1)은 먼저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나, 단순 충전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거치부를 0도로 눕혀 놓고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특히 제품의 생산과 포장, 그리고 유통의 과정에서 불필요한 면적을 최소화한 유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무선 충전과 함께, 거치를 통한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요구 각도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함 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A1)는 상기 거치부(1)의 플립커버 삽입홈(14)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 넣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A)와 거치대(B)의 결합이 완료된다.
도 6과 도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지지부(2)는 상기 거치부(1)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가 내부에 안치되거나 0~90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세울 수 있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2)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1)를 0도의 각도를 눕혔을 때 상기 거치부(1)가 완전히 내장되도록 홈이 파여진 거치홈(21)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21)은 제품의 이동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1)의 매립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지지부(2)의 하부에는 상기 발신회로부(31)가 설치되는 발신회로부설치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발신회로부설치홈(22)의 일단 일정 장소에는 상기 발광소자(33)이 설치되는 발광소자 설치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의 양측면의 상기 거치부(1)의 지지부결합부(13)가 결합되는 곳에는 상기 회전돌기(13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돌기결합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21)는 상기 휴대 단말기(A)가 거치된 상기 거치부(1)가 0도 상태일 때 상기 거치홈(21)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홈(21)의 상기 지지부결합부(13)와 접하는 부분은 마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곡면(131)과 대응하는 곡면(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2)의 상기 거치부(1)가 결합되는 쪽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와의 충격 및 스크레치 방지와,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상기 거치부(1) 회전 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주는 위치고정패드(25)가 설치되는 위치고정패드설치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고정패드(25)는 탄성력과 충격 흡수력이 높은 스펀지나 실리콘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패드(25)는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 성분이 있는 겔 타입의 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발신회로부(31)가 설치된 발신회로부설치홈(22)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대(B)와 하부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게 하여 상기 거치대(B)의 거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패드(23)가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는 상기 지지부(2)의 하부나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1)와, 상기 전원공급부(311)에서 전원을 받아 자기공명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회로부(312)로 이루어진 발신회로부(31)와;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와 연결되어 자기공명에 의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상기 지지부(2)의 전면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에서 인식된 신호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발신회로부(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충전량 상태를 표기하는 발광소자(33)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회로부(31)의 설치를 본 발명의 도면에는 상기 지지부(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부(2)에 설치에 제한하지 않고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소자(33)는 제1예로 1개 또는 2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충전 시에 적색을 발광하고, 충전 오류 시에는 적색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며, 충전 완료 시에 녹색이 발광하고, 상기 발광소자가 2개 일때는 녹색발광소자와 적색발광소자로 나누어지고, 상기 발광소자가 1개 일때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2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발광소자(33)는 제2예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발광하고, 충전 진행 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 그 진행 정도를 2개 이상의 단계별로 나누고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도 9와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321)과;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절연판(322)과; 전자파를 차단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절연판(322)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323)와; 상기 발신회로부(31)에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의 종단 및 선단에 각각 납땜 처리에 의해 부가되며 한 쌍의 급전 코일(feed coil)(324)로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의 하면에는 상기 절연판(322)과의 접착을 위한 제1양면 테이프(326)가 부착된다.
상기 절연판(322)의 하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323)와의 접착을 위한 제2양면 테이프(327)가 부착된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베이스 메탈(base metal)과 상기 베이스 메탈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하기 전에 미리 하면에 부착시킨 상기 제1양면 테이프(326)가 일체로 상기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된다.
상기 절연판(322)에는 상기 스파이럴 형상에 대응되는 홈(3221)이 형성되고, 상기 홈(3221)에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구리 등의 상기 베이스 메탈에 대한 전단 가공, 레이저(laser) 가공 또는 와이어 커팅(wire-cutting)에 의해 생성되며, 원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되어 2개 또는 4개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단면의 스파이럴 형상의 사각형, 원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2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 있고, 구리 등의 베이스 메탈에 대한 전단 가공, 레이저(laser) 가공 또는 와이어 커팅(wire-cutting)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그 하면에 제1양면 테이프(326)가 구비될 수 있는데, 베이스 메탈의 가공 전에 미리 베이스 메탈의 하면에 제1 양면 테이프(326)를 부착한 상태에서 가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의 생성 후 상기 절연판(322)에 고정 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일반적인 구리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에칭(Etching),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공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절연판(322)은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판(322)에는 상기 스파이럴 형상에 대응되는 홈(3221)이 형성되고, 상기 홈(3221)에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절연판(322)의 하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323)와의 접착을 위한 제2양면 테이프(327)가 부착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휴대 단말기(A)는 단말기 본체(A3)와 플립커버(A1)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A3))에는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에서 발신하는 공명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회로부(A2)가 포함된다.
상기 전력 수신회로부(A2)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단말기 본체(A3) 뒷부분 하부에 설치되며, 자기공명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공진수신안테나부(A22)와;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단말기 본체(A3)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와 연결되어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에서 받은 전력을 상기 휴대 단말기(A)에의 배터리에 저장하는 수신회로부(A21)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 수신회로부(A2)는 수신회로 실드 캔(A221)에 설치된다.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는 수신안테나베이스(A211)에 스파이럴 코일을 배치하며 상기 수신안테나베이스(A211)는 절연판을 사용한다.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지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전력 발신회로부로 명명된 무선충전모듈이 탑재되어 있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부에 휴대 단말기를 올려놓는 동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진행되기 때문에 충전을 위한 충전 잭을 휴대 단말기에 매번 접속시키는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구조의 간소화로 인해 설치 미관을 보호할 수 있고, 별도의 기기 조작이 필요 없이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즉, 전력 충전을 진행할 때, 전원 잭과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단순하게 거치부에 1차 기기를 올려 놓고 구성된 홈에 플립커버를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무선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2차기기의 구성을 휴대 단말기 커버를 이용하여 적용하기에 휴대 단말기의 외형이나 크기, 모양에 관계없이 적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에서 사용시,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과 여러 외부적인 요인에도 휴대 단말기가 거치대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거치부의 전면과 지지부의 하단에 적용된 실리콘 타입의 겔 패드를 고정 면에 밀착하여 고정 하므로 플립커버를 사용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설치나 고정을 위한 작업이나 과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 : 휴대 단말기 A1 : 플립커버
A2 : 전력 수신회로부 A21 : 공진수신안테나부
A211 : 수신안테나 베이스 A212 : 수신안테나
A22 : 수신회로부 A221 : 수신회로 실드 캔
A3 : 단말기 본체
B : 거치대
1 : 거치부 11 : 단말기 안착부
111 : 겔 패드 설치홈 12 : 안테나 설치부
121 : 안테나설치홈 13 : 지지부결합부
131 : 곡면 132 : 회전돌기
133 : 안테나코일 통과홀
14 : 플립커버 삽입홈 15 : 겔패드
2 : 지지부 21 : 거치홈
211 : 곡면 212 : 회전돌기결합구
22 : 발신회로부설치홈
221 : 발광소자 설치홈 23 : 지지패드
24 : 위치고정패드설치부 25 : 위치고정패드
3 : 전력 발신회로부 31 : 발신회로부
311 : 전원공급부 312 : 무선전력 송신회로부
32 : 공진발신안테나부 321 : 스파이럴 코일
322 : 절연판 3221 : 홈
323 : 페라이트 시트 324 : 급전 코일
325 : 공진케이스 326 : 제1양면 테이프
327 : 제2양면 테이프 33 : 발광소자

Claims (6)

  1. 휴대 단말기(A)를 충전 및 거치 할 수 있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B)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B)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Flip Cover)(A1)가 끼워져 거치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거치되며, 0~90도 각도로 회전되는 거치부(1)와;
    상기 거치부(1)의 하부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1)가 내부에 안치되거나 0~90도 내에서 임의의 각도로 세울 수 있게 지지해주는 지지부(2)와;
    상기 휴대 단말기(A)를 자기 공명 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전력 발신회로부(3)로 구성되며,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는 상기 지지부(2)의 하부나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11)와, 상기 전원공급부(311)에서 전원을 받아 자기공명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회로부(312)로 이루어진 발신회로부(31)와;
    상기 거치부(1)에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와 연결되어 자기공명에 의하여 전력을 송신하는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상기 지지부(2)의 전면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에서 인식된 신호에 의해 발광하고, 상기 발신회로부(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충전량 상태를 표기하는 발광소자(33)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뒷면이 접촉되어 안착되는 단말기 안착부(11)와;
    내부에 무선 충전을 위해 공진을 발신하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가 삽입되는 안테나 설치부(12)와;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가 하부에서 만나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에 하면이 접촉되고 측면이 결합되는 지지부결합부(13)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와 안테나 설치부(12)의 사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플립커버(A1)가 삽입되는 플립커버 삽입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의 상부에는 상기 거치부(1)를 0도의 각도를 눕혔을 때 상기 거치부(1)가 완전히 내장되도록 홈이 파여진 거치홈(21)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A)에는 상기 전력 발신회로부(3)에서 발신하는 공명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 수신회로부(A2)가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 안착부(11)의 일측면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안착될 때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거치부(1)를 회전 시 상기 휴대 단말기(A)가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겔 패드(15)가 설치되는 겔 패드 설치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설치부(12)에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가 삽입 설치되는 안테나설치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의 하부에는 상기 발신회로부(31)가 설치되는 발신회로부설치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하면은 상기 지지부(2) 내에서 0~90도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2)와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반원의 곡면(131)을 이루고,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부(2)와 결합해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회전돌기(13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의 상기 거치부(1)가 결합되는 쪽의 일단 상부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A)와의 충격 및 스크레치 방지와,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상기 거치부(1) 회전 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주는 위치고정패드(25)가 설치되는 위치고정패드설치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발신회로부(31)가 설치된 발신회로부설치홈(22)의 하부에는 상기 거치대(B)와 하부 표면과의 마찰력을 높게하여 상기 거치대(B)의 거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패드(23)가 설치되고,
    상기 전력 수신회로부(A2)는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단말기 본체(A3) 뒷부분 하부에 설치되며, 자기공명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공진수신안테나부(A22)와;
    상기 휴대 단말기(A)의 단말기 본체(A3)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와 연결되어 상기 공진수신안테나부(A22)에서 받은 전력을 상기 휴대 단말기(A)에의 배터리에 저장하는 수신회로부(A21)로 구성되고,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는 자기 공명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스파이럴 코일(spiral coil)(321)과;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되기 위한 절연판(322)과;
    전자파를 차단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절연판(322)의 하면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페라이트 시트(ferrite sheet)(323)와;
    상기 발신회로부(31)에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의 종단 및 선단에 각각 납땜 처리에 의해 부가되며 한 쌍의 급전 코일(feed coil)(324)로 구성되며,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의 하면에는 상기 절연판(322)과의 접착을 위한 제1양면 테이프(326)가 부착되며,
    상기 절연판(322)의 하면에는 상기 페라이트 시트(323)와의 접착을 위한 제2양면 테이프(327)가 부착되고,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은 베이스 메탈(base metal)과 상기 베이스 메탈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하기 전에 미리 하면에 부착시킨 상기 제1양면 테이프(326)가 일체로 상기 스파이럴 형상으로 가공되며,
    상기 위치고정패드(25)는 스펀지나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A)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 성분이 있는 겔 타입의 패드를 사용하고,
    상기 발광소자(33)는 1개 또는 2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충전 시에 적색을 발광하고, 충전 오류 시에는 적색이 일정 간격으로 점멸하며, 충전 완료 시에 녹색이 발광하고, 상기 발광소자가 2개 일때는 녹색발광소자와 적색발광소자로 나누어지고, 상기 발광소자가 1개 일때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2개의 색상을 발광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발광소자(33)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여 발광하고, 충전 진행 상태를 표시함에 있어서 그 진행 정도를 2개 이상의 단계별로 나누고 3개 이상의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부결합부(13)는 상기 공진발신안테나부(32)와 발신회로부(31)를 연결해주는 스파이럴 코일(321)이 통과하는 안테나코일 통과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의 양측면의 상기 거치부(1)의 지지부결합부(13)가 결합되는 곳에는 상기 회전돌기(13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돌기결합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홈(21)의 상기 지지부결합부(13)와 접하는 부분은 마찰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결합부(13)의 곡면(131)과 대응하는 곡면(211)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판(322)에는 상기 스파이럴 형상에 대응되는 홈(3221)이 형성되고, 상기 홈(3221)에 상기 스파이럴 코일(321)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05227A 2014-01-15 2014-01-15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44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227A KR101443007B1 (ko) 2014-01-15 2014-01-15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227A KR101443007B1 (ko) 2014-01-15 2014-01-15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007B1 true KR101443007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227A KR101443007B1 (ko) 2014-01-15 2014-01-15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00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90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WO2016056793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KR101618643B1 (ko) * 2015-01-19 2016-05-10 그린파워전자(주)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KR101756206B1 (ko) * 2016-11-18 2017-07-26 주식회사 아이엔티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7871600A (zh) * 2016-09-22 2018-04-03 三星电机株式会社 线圈模块及利用该线圈模块的无线电力发送装置
CN107968489A (zh) * 2017-12-29 2018-04-27 中山市飞特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形变展纳无线充电装置
KR101889089B1 (ko) * 2016-10-31 2018-08-16 (주)차칸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0236717B2 (en) 2015-06-08 2019-03-19 Lg Innotek Co., Ltd.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KR20190124607A (ko) 2018-04-26 2019-11-05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US10722014B2 (en) 2016-04-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on cover
KR20200126947A (ko) 2020-10-26 2020-11-09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CN114122802A (zh) * 2021-12-03 2022-03-01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恒力弹簧驱动翻盖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30127910A (ko) * 2012-05-15 2013-11-25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시스템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용의 송전코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358U (ko) * 2011-07-06 2013-01-16 성부현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기 겸용 거치대
KR20130127910A (ko) * 2012-05-15 2013-11-25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시스템 및 비접촉 급전시스템용의 송전코일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1134B (zh) * 2014-10-10 2018-05-18 Lg电子株式会社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WO2016056793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105501134A (zh) * 2014-10-10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车座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CN105501135A (zh) * 2014-10-10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WO2016056790A1 (ko) * 2014-10-10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동단말기 연동 크래들 어셈블리
CN105501135B (zh) * 2014-10-10 2018-11-06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移动终端联动支架组件
KR101618643B1 (ko) * 2015-01-19 2016-05-10 그린파워전자(주)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장치
US10236717B2 (en) 2015-06-08 2019-03-19 Lg Innotek Co., Ltd. Portable wireless charger and cradle
US10722014B2 (en) 2016-04-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tection cover
CN107871600A (zh) * 2016-09-22 2018-04-03 三星电机株式会社 线圈模块及利用该线圈模块的无线电力发送装置
KR101889089B1 (ko) * 2016-10-31 2018-08-16 (주)차칸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756206B1 (ko) * 2016-11-18 2017-07-26 주식회사 아이엔티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CN107968489A (zh) * 2017-12-29 2018-04-27 中山市飞特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形变展纳无线充电装置
KR20190124607A (ko) 2018-04-26 2019-11-05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KR20200126947A (ko) 2020-10-26 2020-11-09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KR20210058775A (ko) 2020-10-26 2021-05-24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CN114122802A (zh) * 2021-12-03 2022-03-01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恒力弹簧驱动翻盖机构
CN114122802B (zh) * 2021-12-03 2024-02-20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恒力弹簧驱动翻盖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007B1 (ko)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US11404913B2 (en) Induction charg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grip attachment
US9059592B2 (en) Fixing apparatus with wireless charging
US7868585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9130397B2 (en) Wireless charging and powering of electronic devices in a vehicle
US20080265835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925786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70028137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CN111373628A (zh) 便携式终端设备无线充电装置
KR101461101B1 (ko) 차량용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795557B1 (ko) 무선 충전 장치
CN203537034U (zh) 一种车载无线充电器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105471119A (zh) 定位准确操作便捷的无线充电磁力支架
ITMI20140367U1 (it) Aletta parasole con dispositivo di carica elettrica wireless.
CN104917219A (zh) 无线充电基座
KR20170020058A (ko) 휴대단말기용 컵형 무선충전기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KR20140062837A (ko)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휴대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용 거치형 도킹 스테이션
CN105610217B (zh) 一种车载移动电源装置
KR101259784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장치
KR20160129511A (ko) 충전 장치
KR101408149B1 (ko) 전자기 감응공명을 이용한 무선 충전용 핸드폰 케이스
KR101626044B1 (ko) 자가 충전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