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77929A2 -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77929A2
WO2012077929A2 PCT/KR2011/009169 KR2011009169W WO2012077929A2 WO 2012077929 A2 WO2012077929 A2 WO 2012077929A2 KR 2011009169 W KR2011009169 W KR 2011009169W WO 2012077929 A2 WO2012077929 A2 WO 201207792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rbon
group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91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77929A3 (ko
Inventor
장성균
장원석
김제영
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L11847200T priority Critical patent/PL2650953T3/pl
Priority to CN201180058590.8A priority patent/CN103250284B/zh
Priority to EP11847200.0A priority patent/EP2650953B1/en
Publication of WO201207792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7929A2/ko
Publication of WO201207792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7929A3/ko
Priority to US13/904,588 priority patent/US8974962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ions, a core including a crystalline carbon-based material, and low crystallinity.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a composite coating layer (composite coating layer) comprising a hydrophilic material, the composite coating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filler consisting of a remaining component is contained in a matrix composed of one component selected from a hydrophilic material, and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lithium salt is impregnated in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porous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on which an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 current collector.
  •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composite oxide, etc. are used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f 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carbon materials are mainly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silicon compounds, sulfur compounds, etc. Use is also considered.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various problems, some of which are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negative electrode.
  • the carbon material used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hibits a large hydrophobicity, and thus has low compatibility with the hydrophilic solvent in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for electrode preparation, resulting in poor uniform dispersibility of the solid components.
  • the hydrophobic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kes it difficult to impregnate the electrolyte having a high polarity in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the electrolyte impregnation process acts as a bottleneck section of the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greatly reduces the productivity.
  • the carb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during the initial charge and discharge (activation process),
  •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 the electrolyte capacity is depleted during the collapse and regeneration of the SEI layer in the continuous charge and discharge process has a problem that the battery capacity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occlude and release ions
  • a core comprising a crystalline carbon-based material, and a composite coating layer comprising a hydrophilic material and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 the composite coat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ller composed of the remaining components is contained in a matrix compos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one component selected from hydrophilic materials. consist of.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which the composite coating layer having a matrix / filler structure including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a hydrophilic material is coated on the core including the crystalline carbon material With such specific active material structures and components,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ior art can be solved at once.
  • the hydrophilic material included as a matrix or filler component in the composite coating layer exhibits high affinity with the hydrophilic solvent in the slurry for preparing the negative electrode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solids in the slurry. Therefore, when the slurry is applied to the current collector to produce a negative electrode, distribution uniformity between components such as a bind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improved, and thus excellent electrode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 the improvement of the uniformity by the hydrophilic material can minimize the weakening of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partial current collector which appears in the non-uniform electrode, and basically the hydrophilic material increases the affinity with the current collector surface, 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the problem of in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due to separation of the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current collector is also solved.
  • the hydrophilic material included in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mparts hydrophilicity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reby greatly shortening the impregnation time of the polar electrolyte during the electrod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battery.
  • the hydrophilic material included in the composite coating layer has the same function as SEI having a strong chemical bon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and forms a layer having a stronger bond in advanc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rreversible ions required for forming the SEI layer.
  • th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contained in the matrix or filler component in the composite coating layer minimizes the problem of lowe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caused by the inclusion of the hydrophilic material. Furthermore, since the crystalline carbon-based material as a core has a potential close to lithium, dendrite growth of lithium tends to occur in the case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bu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Since the above materials ar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crystalline carbon-based material, this can be suppressed.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including a crystalline carbon material,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one component selected from a hydrophilic material (for example, a composite coating lay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matrix composed of amorphous carbon) includes a filler composed of remaining components (eg, hydrophilic materials).
  •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 a soft carbon having a layered graphite structure, a low crystalline graphite structure (a structure in which hexagonal honeycomb planes of carbon are arranged in layers). soft carbon, and these structures are classified as hard carbon mixed with amorphous portions.
  • the crystalline carbonaceous material of the cor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raphite, or a mixture of graphite and low crystalline carbon, and low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or any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components. It may be a mixture of.
  • the hydrophilic material which is another component forming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relatively high hydrophilicity and polarity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has an effect on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 the material does not have a negative effect, its ki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may be an oxide that does not react with lithium, a nitride that does not react with lithium, a carbide that does not react with lithium,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the form of a mixture of two or more.
  • Preferred examples of the oxid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luminum oxide, magnesium oxide, zirconium oxide, selective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 nitride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ilicon nitride.
  • carbides include silicon carbide, cobalt carbide,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structure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ich components the matrix and the filler are made of.
  • the first exemplary structure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filler of the hydrophilic material is included in the matrix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 the matrix of hydrophilic material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filler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is included.
  • the matrix forms a phase in which its components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the filler forms a phase in which the components thereof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so that the content of the matrix component is necessarily higher than the content of the filler component. no.
  • the content of th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and the content of the hydrophilic material in the composite coating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capable of exhibiting the effects (described above) inten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 the content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ow crystalline carbon and amorphous carbon may be 10 to 9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the content of the hydrophilic material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t may be 5 to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 the amount (coating amount)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s preferably 0.5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f the amount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s too small or the thickness is too thin, it may be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forming the composite coating layer, on the contrary, if the amount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 is too large or too thick, forming the desired core-composite coating layer structure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be difficult and can lead to capacity degrad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ed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binder in the range of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polymer, and may optionall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range of 0 to 20% by weight.
  • binder examples includ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cellulos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Rhodes,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PDM), sulfonated EPDM, styrene butylene rubber, fluorine rubber, various copolymers, high polymer polymerized poly Vinyl alcohol, and the like.
  •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CMC carboxymethyl cellulose
  • EPDM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 EPDM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 EPDM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 EPDM s
  •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graphite Carbon blacks such as carbon black,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summer black
  •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powder, aluminum powder and nickel powder
  • Conductive whiskey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and the like can be used.
  • Specific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nductive materials include Chevron Chemical Company, 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Gulf Oil Company, Ketjenblack and EC, which are acetylene black series. Family (Armak Company), Vulcan XC-72 (manufactured by Cabot Company) and Super P (manufactured by Timcal).
  • a filler may optionally be added as a component that inhibits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 a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filler include olefinic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brous materials, such as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are used.
  • viscosity modifiers such as viscosity modifiers, adhesion promoters, and the like may optionally be further included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viscosity modifier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viscosity of the electrode mixture to facilitate the mixing process of the electrode mixture and the coating process on the current collector thereof, it may be added up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 examples of such viscosity modifi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boxymethyl cellulose, polyvinylidene fluoride, and the like.
  • the solvent described above can serve as a viscosity modifier.
  • the adhesion promoter is an auxiliary component added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active material to the current collector, it may be added in less than 10% by weight compared to the binder, for example, oxalic acid (oxalic acid), adipic acid (adipic acid), Formic acid, acrylic acid derivatives, itaconic acid derivatives,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is coated on a current collector.
  •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adding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to a solvent such as NMP to prepare a slurry, coating the same on a current collector, and drying and compressing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 a solvent such as NMP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 m.
  •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 the surface of copper,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and the like, aluminum-cadmium alloy,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urrent collector may form fine irregularities on its surfac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a sheet, a foil, a net, a porous body, a foam, and a nonwoven fabric.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negative electrode, which may be preferab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is impregnated into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manufactured by coating, drying, and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other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negative electrode, such as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may optionally be further includ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generally made to a thickness of 3 to 500 ⁇ m.
  •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in the battery.
  •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may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forming minute unevenness on the surface thereof, as i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 sheet, foil, net, porous body, foam, and nonwoven fabric. Form is possible.
  •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a material capable of cau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and is a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and includes two or more transition metals, for example,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and lithium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transition metals.
  • LiCoO 2 lithium cobalt oxide
  • the binder,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mponents added as necessary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 the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an insulating thin film having high io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used.
  • the pore diameter of the separator is generally from 0.01 to 10 ⁇ m ⁇ m, thickness is generally 5 ⁇ 300 ⁇ m.
  • a separator for example, a sheet,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made of an olefin polymer such as polypropylene having chemical resistance and hydrophobicity, glass fiber or polyethylene, or the like is used.
  • a gel polymer electrolyte may be coated on the separator to increase battery stability.
  • Representative of such gel polymers ar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acrylonitrile and the like.
  • the solid electrolyte may also serve as a separator.
  • the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is composed of an organic solvent electrolyte and a lithium salt.
  • N-methyl- 2-pyrrolidinone a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but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Gamma-butylo lactone, 1,2-dimethoxy ethane, 1,2-diethoxy ethane, tetrahydroxy franc, 2-methyl tetrahydrofuran, dimethylsulfoxide, 1,3-dioxolon, 4 -Methyl-1,3-dioxene, diethyl ether, formamide, dimethylformamide, dioxolon, acetonitrile, nitromethane, methyl formate, methyl acetate, phosphate esters, trimethoxy methane, dioxonone derivatives Aprotic organic solvents such as sulfolane, methyl sulfolane, 1,3-dimethyl-2-imidazolidinone, propylene
  • organic solid electrolyte examples include polyethylene derivatives, polyethylene oxide derivatives, polypropylene oxide derivatives, phosphate ester polymers, polyedgetion lysine, polyester sulfides, polyvinyl alcohols, polyvinylidene fluorides, Polymerizers containing ionic dissociating groups and the like can be used.
  • Examples of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nclude Li 3 N, LiI, Li 5 NI 2 , Li 3 N-LiI-LiOH, LiSiO 4 , LiSiO 4 -LiI-LiOH, Li 2 SiS 3 , Li 4 SiO 4 , Nitrides, halides, sulfates and the like of Li, such as Li 4 SiO 4 -LiI-LiOH, Li 3 PO 4 -Li 2 S-SiS 2 ,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lithium salt is a good material to be dissolved in the non-aqueous electrolyte, for example,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LiSbF 6, LiAlCl 4, CH 3 SO 3 Li, CF 3 SO 3 Li, LiSCN, LiC (CF 3 SO 2) 3, (CF 3 SO 2) 2 NLi, chloroborane lithium,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4 phenyl lithium borate, imide and the like can be used.
  • LiCl, LiBr, LiI, LiClO 4 , LiBF 4 , LiB 10 Cl 10 LiPF 6 , LiCF 3 SO 3 , LiCF 3 CO 2 , LiAsF 6, LiSbF 6, LiAlCl 4, CH 3 SO 3 Li, CF 3 SO 3 Li, LiSCN, LiC (CF 3 SO 2) 3, (
  • pyridine triethyl phosphite, triethanolamine, cyclic ether, ethylene diamine, n-glyme, hexaphosphate triamide, nitro Benzene derivatives, sulfur, quinone imine dyes, N-substituted oxazolidinones, N, N-substituted imidazolidines, ethylene glycol dialkyl ethers, ammonium salts, pyrroles, 2-methoxy ethanol, aluminum trichloride and the like may be added. .
  • a halogen-containing solvent such as carbon tetrachloride or ethylene trifluorid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carbon dioxide gas may be further included to improve high temperature storage characteristics, and FEC (Fluoro-Ethylene) may be further included. Carbonate), PRS (Propene sultone) may be further included.
  • lithium salts such as LiPF 6 , LiClO 4 , LiBF 4 , LiN (SO 2 CF 3 ) 2, and the like, may be prepared by cyclic carbonate of EC or PC as a highly dielectric solvent and DEC, DMC or EMC as a low viscosity solvent.
  • Lithium salt-containing non-aqueous electrolyte can be prepared by adding to a mixed solvent of linear carbona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pack using the secondary battery as a unit cell.
  • the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the hydrophilic materia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preferable because it can greatly shorten the time of this impregnation process.
  • Preferred examples of such battery pac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acks for automobiles or power storage.
  • the graphite-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oated with the carbon / aluminum oxide composite was prepared by forming a composite with aluminum oxide and coating the graphite surface while the pitch softened and carbonized during the heat treatment.
  • a coin-type half cell was prepared after preparing an anode active material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magnesium oxide (MgO)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100 nm was used instead of aluminum oxide (Al 2 O 3 ).
  • magnesium oxide MgO
  • Al 2 O 3 aluminum oxide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graphite, pitch, and aluminum oxide was 90: 1: 1, and then coin-shaped half cells were prepared.
  • the content of aluminum oxide is more than 90% based on the entire carbon and aluminum oxide.
  • Electrolytic solution impregna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the electrod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fter the electrode was rolled to have a porosity of 23%, 1 microliter ( ⁇ l) of an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1 M of LiPF 6 dissolved in a carbonate solvent on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was measured and the time until complete penetration was measured. It i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electrolyte solution impregnation time is coated only with carbon as in Comparative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it is much shorter than the electrode using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is is because a polar electrolyte solution can quickly penetrate between particles by coating a hydrophilic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Charge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using coin type half cell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Specifically, after charging CC mode to 5 mV at a current density of 0.1C at the time of charging, charging was maintained at 5 mV constant in CV mode to complete charging when the current density became 0.01C. When discharged, the discharge was completed in CC mode up to 1.5V at a current density of 0.1C to obtain the first cycle charge and discharge capacity and efficiency. Thereafter, only the current density was changed to 0.5C, and the rest was repeated 50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bov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core / composite coating layer structure, which greatly improv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minimizes the de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collapse of the SEI film and consequently the battery lif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ppres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서,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core)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코팅층(composite coating lay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합체 코팅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친수성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matrix)에 나머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러(filler)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음극 활물질과,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본 발명은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서,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core)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코팅층(composite coating lay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합체 코팅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친수성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matrix)에 나머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음극 활물질, 및 이러한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의 하나인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는 주로 니켈 수소금속(Ni-MH)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되어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류 집전체 상에 각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의 분리막이 개재된 전극조립체에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질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는 리튬 코발트계 산화물, 리튬 망간계 산화물, 리튬 니켈계 산화물,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고,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규소 화합물, 황 화합물 등의 사용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이차전지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는 바, 그 중의 일부는 음극의 제조 및 작동 특성과 관련한 문제점들이다.
우선, 음극의 제조와 관련하여, 음극 활물질로 많이 사용되는 탄소재료는 큰 소수성을 나타내므로, 전극 제조를 위한 슬러리의 준비 과정에서 친수성 용매와의 혼화성이 낮아 고형 성분들의 균일한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의 이러한 소수성은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극성이 큰 전해액의 함침을 어렵게 만들므로, 전해액의 함침 과정은 전지 제조공정의 일종의 병목 구간으로 작용하여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극 또는 전해액 등에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제로서 포함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지의 작동 특성에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음극의 작동 특성과 관련하여,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초기 충방전 과정(활성화 과정)에서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층(layer)이 형성되는 바, 그로 인해 초기 비가역이 유발됨은 물론, 계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SEI 층의 붕괴 및 재생 과정에서 전해액이 고갈되어 전지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EI 층을 더욱 강한 결합으로 형성하거나, 산화물 층 등을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 형성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으나, 상기 산화물 층에 의한 전기전도도의 저하, 추가 공정에 의한 생산성 저하 등 상용화에 적용할 정도의 특성을 발휘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음극 활물질의 표면에서 리튬의 수지상 성장에 따른 단락의 유발 가능성이라는 문제점도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결정성 카본계 코어에 특정한 복합체 코팅층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경우, 음극 제조 과정의 다양한 문제점들과 전지의 작동 특성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서,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core)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코팅층(composite coating lay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합체 코팅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친수성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matrix)에 나머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러(filler)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필러 구조의 복합체 코팅층이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에 코팅되어 있는 음극 활물질은, 그러한 특정한 활물질 구조와 성분들에 의해, 종래기술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첫째, 복합체 코팅층에 매트릭스 또는 필러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친수성 물질은 음극 제조용 슬러리에서 친수성 용매와 높은 친화성을 나타냄으로써 슬러리 내의 고형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하여 음극을 제조할 때, 바인더 등의 성분들과 음극 활물질의 분포 균일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우수한 전극 특성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물질에 의한 균일도의 향상은 균일하지 못한 전극에서 나타나는 부분적인 집전체와의 결합력 약화 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근본적으로는 친수성 물질이 집전체 표면과의 친화도를 높여, 집전체와의 결합력도 향상시켜 줌으로써, 활물질 층과 집전체의 분리로 인한 내부 저항의 증가 문제도 해결한다.
마찬가지로, 복합체 코팅층에 포함된 친수성 물질은 음극 활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전극 제조과정에서 극성이 큰 전해액의 함침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그에 따라 전지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둘째, 복합체 코팅층에 포함된 친수성 물질은 음극 표면에 강한 화학 결합을 가지는 SEI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더욱 강한 결합을 가진 층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SEI 층의 형성에 필요한 비가역 이온의 양을 감소시켜 주는 것은 물론이고,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SEI 층의 붕괴를 최소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복합체 코팅층에 매트릭스 또는 필러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는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은 친수성 물질이 포함됨으로써 유발되는 전기전도도의 저하 문제를 최소화한다. 더욱이, 코어인 결정성 카본계 물질은 리튬에 근접한 전위를 가지므로,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리튬의 수지상(dendrite) 성장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지만,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이 결정성 카본계 물질의 표면에 코팅되어 있으므로, 이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친수성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예를 들어,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에 나머지 성분(예를 들어, 친수성 물질)으로 이루어진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의 복합체 코팅층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본계 물질은, 천연 흑연과 같이 층상 결정구조가 완전히 이루어진 그라파이트(graphite), 저결정성 층상 결정 구조(graphene structure; 탄소의 6각형 벌집 모양 평면이 층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소프트 카본(soft carbon), 및 이런 구조들이 비결정성 부분들과 혼합되어 있는 하드 카본(hard carbon)으로 분류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본 발명의 코어 성분인 결정성 카본계 물질은 그라파이트, 또는 그라파이트와 저결정성 카본의 혼합물일 수 있고, 복합체 코팅층 성분들 중의 하나인 저결정성 카본, 비정질 카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복합체 코팅층을 형성하는 또 다른 성분인 상기 친수성 물질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친수성과 극성을 나타내면서 전지의 작동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이라면, 그것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산화물,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질화물,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탄화물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이들의 선택적인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화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실리콘 질화물을 들 수 있지만,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화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실리콘 탄화물, 코발트 탄화물,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복합체 코팅층의 구조는 매트릭스와 필러가 어떠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예시적인 구조에서,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매트릭스에 친수성 물질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두 번째 예시적인 구조에서, 친수성 물질의 매트릭스에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복합체 코팅층에서 매트릭스는 그것의 성분들이 서로 연속적인 상(phase)를 형성하고 있고, 필러는 그것의 성분들이 서로 독립적인 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매트릭스 성분의 함량이 필러 성분의 함량보다 반드시 많은 것은 아니다.
복합체 코팅층에서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함량과 친수성 물질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의도한 효과(상기에서 설명함)를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함량은 복합체 코팅층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5 중량%일 수 있고, 친수성 물질의 함량은 복합체 코팅층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5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이러한 복합체 코팅층의 양(코팅량)은 바람직하게는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 20 중량%일 수 있다. 복합체 코팅층의 양이 너무 적거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복합체 코팅층의 형성에 따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복합체 코팅층의 양이 너무 많거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소망하는 코어 - 복합체 코팅층 구조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용량 저하가 초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음극 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합제에는 합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바인더가 포함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0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도전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의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셀룰로오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테르 폴리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브티렌 고무,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고분자 고검화 폴리비닐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그라파이트;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니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도전재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계열인 쉐브론 케미칼 컴퍼니(Chevron Chemical Company)나 덴카 블랙(Denka Singapore Private Limited), 걸프 오일 컴퍼니(Gulf Oil Company) 제품 등), 케트젠블랙(Ketjenblack), EC 계열(아르막 컴퍼니(Armak Company) 제품), 불칸(Vulcan) XC-72(캐보트 컴퍼니(Cabot Company) 제품) 및 수퍼(Super) P(Timcal 사 제품) 등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음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충진제가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또한, 점도 조절제, 접착 촉진제 등의 기타의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전극 합제의 혼합 공정과 그것의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전극 합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성분으로서, 음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중량%까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도 조절제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등이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용매가 점도 조절제로서의 역할을 병행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촉진제는 집전체에 대한 활물질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보조성분으로서, 바인더 대비 10 중량% 이하로 첨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옥살산 (oxal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포름산(formic acid), 아크릴산(acrylic acid) 유도체, 이타콘산(itaconic acid)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 합제가 집전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 등을 포함하는 음극 재료를 NMP 등의 용매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를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 및 압축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집전체는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며, 상기 전지는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액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극은, 예를 들어,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 활물질을 도포, 건조 및 도포하여 제작되며, 바인더, 도전재 등과 같이 앞서 음극의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한 기타 성분들이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일반적으로 3 내지 500 ㎛의 두께로 만든다. 이러한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양극 집전체는, 상기 음극 집전체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전기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2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2) 등의 층상 화합물;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리튬 망간 산화물; 화학식 LiNi1-yMy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Cr, Zn 또는 Ga 이고 상기 원소 중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 0.01≤y≤0.7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계 산화물; Li1+zNi1/3Co1/3Mn1/3O2, Li1+zNi0.4Mn0.4Co0.2O2 등과 같이 Li1+zNibMncCo1-(b+c+d)MdO(2-e)Ae (여기서, -0.5≤z≤0.5, 0.1≤b≤0.8, 0.1≤c≤0.8, 0≤d≤0.2, 0≤e≤0.2, b+c+d<1 임, M = Al, Mg, Cr, Ti, Si 또는 Y 이고, A = F, P 또는 Cl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산화물; 화학식 Li1+xM1-yM'yPO4-zXz(여기서, M = 전이금속, 바람직하게는 Fe, Mn, Co 또는 Ni 이고, M' = Al, Mg 또는 Ti 이고, X = F, S 또는 N 이며, -0.5≤x≤+0.5, 0≤y≤0.5, 0≤z≤0.1 임)로 표현되는 올리빈계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와 도전재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성분들은 음극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며 높은 이온 투과도와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절연성의 얇은 박막이 사용된다. 분리막의 기공 직경은 일반적으로 0.01 ~ 10 ㎛이고, 두께는 일반적으로 5 ~ 300 ㎛이다. 이러한 분리막으로는, 예를 들어, 내화학성 및 소수성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머,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어진 시트나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분리막 위에는 전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겔 폴리머 중 대표적인 것으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리덴플루라이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이 있다. 전해질로서 폴리머 등의 고체 전해질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이 분리막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질은 유기용매 전해액과 리튬염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해액으로는, 예를 들어, N-메틸-2-피롤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부틸렌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디에틸 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감마-부틸로 락톤, 1,2-디메톡시 에탄, 1,2-디에톡시 에탄, 테트라히드록시 프랑(franc),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술폭시드, 1,3-디옥소런, 4-메틸-1,3-디옥센, 디에틸에테르,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소런,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포름산 메틸, 초산메틸, 인산 트리에스테르, 트리메톡시 메탄, 디옥소런 유도체, 설포란, 메틸 설포란,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 유도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유도체, 에테르, 피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비양자성 유기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유도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유도체, 인산 에스테르 폴리머, 폴리 에지테이션 리신(agitation lysine), 폴리에스테르 술파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 불화 비닐리덴, 이온성 해리기를 포함하는 중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고체 전해질로는, 예를 들어, Li3N, LiI, Li5NI2, Li3N-LiI-LiOH, LiSiO4, LiSiO4-LiI-LiOH, Li2SiS3, Li4SiO4, Li4SiO4-LiI-LiOH, Li3PO4-Li2S-SiS2 등의 Li의 질화물, 할로겐화물, 황산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상기 비수계 전해질에 용해되기 좋은 물질로서, 예를 들어, LiCl, LiBr, LiI, LiClO4, LiBF4, LiB10Cl10, LiPF6, LiCF3SO3, LiCF3CO2, LiAsF6, LiSbF6, LiAlCl4, CH3SO3Li, CF3SO3Li, LiSCN, LiC(CF3SO2)3, (CF3SO2) 2NLi, 클로로 보란 리튬, 저급 지방족 카르본산 리튬, 4 페닐 붕산 리튬, 이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에는 충방전 특성, 난연성 등의 개선을 목적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에탄올아민, 환상 에테르, 에틸렌 디아민, n-글라임(glyme), 헥사 인산 트리 아미드, 니트로벤젠 유도체, 유황, 퀴논 이민 염료, N-치환 옥사졸리디논, N,N-치환 이미다졸리딘, 에틸렌 글리콜 디알킬 에테르, 암모늄염, 피롤, 2-메톡시 에탄올, 삼염화 알루미늄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 삼불화에틸렌 등의 할로겐 함유 용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고, 고온 보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산화탄산 가스를 더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FEC(Fluoro-Ethylene Carbonate), PRS(Propene sultone) 등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LiPF6, LiClO4, LiBF4, LiN(SO2CF3)2 등의 리튬염을, 고유전성 용매인 EC 또는 PC의 환형 카보네이트와 저점도 용매인 DEC, DMC 또는 EMC의 선형 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에 첨가하여 리튬염 함유 비수계 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사용하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중대형 전지팩의 경우, 소형 전지팩에 비해 고용량을 위한 목적에서 전지셀(단위전지)의 크기가 훨씬 크므로, 전해액의 함침 공정 등에 더욱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음극은 이러한 함침 공정의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지팩의 바람직한 예로는 자동차용 또는 전력저장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팩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사용하는 중대형 전지팩의 구조 및 그것의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어 재료(A)로 평균 입경이 약 20 ㎛인 흑연, 저결정성 카본(B)의 원료로 탄화수율이 50%인 피치(pitch), 친수성 물질(C)로 평균 입경이 약 100 nm인 산화알루미늄(Al2O3)을 A : B : C = 90 : 8 : 2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의 전기 반응로에서 1200℃로 2 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하는 동안 피치가 연화 및 탄화되면서 산화알루미늄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흑연 표면을 피복함으로써 카본/산화알루미늄 복합체가 피복된 흑연계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활물질을 활물질 : SBR : CMC = 97.0 : 1.5 : 1.5의 중량비가 되도록 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Cu-foil에 도포하여 전극을 준비하였다. 얻어진 전극을 공극율이 23%가 되도록 압연한 후 타발하여 coin형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상기 cell에서 대극(counter electrode)은 Li metal을 사용하였고, 전해액은 carbonate solvent에 LiPF6가 1M 녹아있는 전해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산화알루미늄(Al2O3) 대신 평균 입경이 약 100 nm인 산화마그네슘(MgO)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한 후 coin형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친수성 물질(C)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한 후 coin형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흑연, 피치, 산화알루미늄의 혼합비가 90 : 1 : 9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극 활물질을 제조한 후 coin형 half cell을 제조하였다.
상기 피치의 탄화수율이 50%이므로, 카본과 산화알루미늄 전체를 기준으로 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은 90% 초과이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전극을 사용하여 전해액 함침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전극을 공극율이 23%가 되도록 압연한 후, 상기 전극 표면에 carbonate solvent에 LiPF6가 1M 녹아있는 전해액을 1 마이크로리터(㎕) 떨어뜨리고 완전히 스며들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KR2011009169-appb-I000001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카본/친수성 물질 복합체로 피복된 음극 활물질을 사용한 전극의 경우, 전해액 함침시간이 비교예 1과 같이 표면이 카본으로만 피복된 음극 활물질을 사용한 전극에 비해 월등히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음극 활물질 표면에 친수성 물질을 피복함으로써 극성이 큰 전해액이 입자 사이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coin형 half cell을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충전 시 0.1C의 전류밀도로 5 mV까지 CC 모드 충전 후, CV 모드로 5 mV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전류밀도가 0.01C가 되면 충전을 완료하였다. 방전 시 0.1C의 전류밀도로 1.5V까지 CC 모드로 방전을 완료하여 첫 번째 사이클 충방전 용량과 효율을 얻었다. 이후, 전류 밀도만 0.5C로 변경하고 나머지는 위와 같은 조건으로 충방전을 50회 반복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CTKR2011009169-appb-I000002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카본/친수성 물질 복합체로 피복된 음극 활물질의 경우, 50회 충방전 후 용량 유지율이 비교예 1과 같이 카본으로만 피복된 음극 활물질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SEI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친수성 물질이 카본을 경유하여 코어 재료와 강한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SEI 층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충방전 전압이 높은 재료가 피복됨으로써 리튬 석출이 방지되고 이온전도도가 향상되기 때문이다.
비교예 2와 같이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친수성 물질(C)의 함량이 매우 높을 경우에는 방전 용량이 매우 낮았고, 음극 활물질 표면의 전기적 저항이 높아져서 50회 충방전 후 용량 유지율이 오히려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 활물질은 특징적인 코어/복합체 코팅층 구조에 의해, 전지의 제조공정을 크게 향상시키고, 전기전도도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SEI 막의 붕괴 및 그에 따른 전지 수명의 저하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로서,
    결정성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core)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과 친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코팅층(composite coating layer)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복합체 코팅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 및 친수성 물질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matrix)에 나머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카본계 물질은 그라파이트 및 저결정성 카본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물질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고 리튬과 반응하지 않는 산화물, 질화물 및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및 지르코늄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은 실리콘 질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물은 실리콘 탄화물 및 코발트 탄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코팅층은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매트릭스에 친수성 물질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코팅층은 친수성 물질의 매트릭스에 저결정성 카본 및 비정질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의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 코팅층의 양은 음극 활물질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음극 합제.
  11. 제 10 항에 따른 음극 합제가 집전체 상에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음극.
  12. 제 11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 13 항에 따른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자동차용 또는 전력저장용 리튬이온 이차전지 팩인 것을 특징으로 전지팩.
PCT/KR2011/009169 2010-12-08 2011-11-29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12077929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1847200T PL2650953T3 (pl) 2010-12-08 2011-11-29 Materiał katody oraz akumulator, w którym się go stosuje
CN201180058590.8A CN103250284B (zh) 2010-12-08 2011-11-29 负极活性材料和包含所述负极活性材料的二次电池
EP11847200.0A EP2650953B1 (en) 2010-12-08 2011-11-29 Cathod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US13/904,588 US8974962B2 (en) 2010-12-08 2013-05-29 An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809 2010-12-08
KR20100124809 2010-12-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904,588 Continuation US8974962B2 (en) 2010-12-08 2013-05-29 An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7929A2 true WO2012077929A2 (ko) 2012-06-14
WO2012077929A3 WO2012077929A3 (ko) 2012-10-04

Family

ID=4620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9169 WO2012077929A2 (ko) 2010-12-08 2011-11-29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74962B2 (ko)
EP (1) EP2650953B1 (ko)
KR (1) KR101334594B1 (ko)
CN (1) CN103250284B (ko)
PL (1) PL2650953T3 (ko)
WO (1) WO20120779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8015B1 (en) * 2010-12-21 2017-11-29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WO2012086940A2 (ko) * 2010-12-21 2012-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12091301A2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5709231B1 (ja) * 2014-02-20 2015-04-30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199655B2 (en) 2015-11-30 2019-02-05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structured conductive buffer layer
US10038195B2 (en) 2015-11-30 2018-07-31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structure having structured conductive buffer layer
US10103386B2 (en) 2015-12-15 2018-10-16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with modified current collect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728786B2 (en) 2015-12-21 2017-08-08 Nissan North America, Inc. Electrode having active material encased in conductive net
US10319987B2 (en) 2015-12-21 2019-06-11 Nissan North America, Inc. Active material with expansion structure for use in lithium ion batteries
KR102250201B1 (ko) 2017-11-24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109692A (ko) * 2020-02-27 2021-09-07 주식회사 엘피엔 신규한 복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복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2450634B1 (ko) * 2021-06-09 2022-10-06 주식회사 엘피엔 신규한 복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및 상기 복합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KR102574545B1 (ko) 2023-01-17 2023-09-08 (주) 매그나텍 커피박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음극재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350B2 (ja) * 2000-06-16 2008-08-2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材料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材料の製造方法
JP3466576B2 (ja) * 2000-11-14 2003-11-10 三井鉱山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複合材料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5373388B2 (ja) * 2001-08-10 2013-12-18 Jfe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03304A (ja) * 2002-09-05 2004-04-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高性能二次電池
WO2004049473A2 (en) * 2002-11-26 2004-06-10 Showa Denko K.K. Electrode material comprising silicon and/or tin particles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20040082803A (ko) * 2003-03-20 2004-09-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95896B1 (ko) * 2003-07-29 2006-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45053A (ko) * 2003-09-05 2012-05-0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용 음극재, 그 제조방법, 상기 음극재를 이용한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용 음극 및 비수전해액 이차전지
KR20050087245A (ko) * 2004-02-26 2005-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도전재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1738425B1 (en) 2004-04-23 2013-10-16 LG Chemical,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node active material with improv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US7745047B2 (en) * 2007-11-05 2010-06-29 Nanotek Instruments, Inc. Nano graphene platelet-base composite anode composition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090094575A (ko) * 2008-03-03 2009-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활물질, 이를 구비하는 음극 및 리튬이차전지
JP5300502B2 (ja) * 2008-03-13 2013-09-25 株式会社東芝 電池用活物質、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US8097364B2 (en) * 2008-03-31 2012-01-17 Integrated Resource Recovery, Inc Electroactive material for charge transport
KR101002539B1 (ko) * 2008-04-29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057162B1 (ko) * 2008-12-01 2011-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활물질, 이를 구비하는 음극 및 리튬이차전지
US8241793B2 (en) * 2009-01-02 2012-08-14 Nanotek Instruments, Inc. Secondary lithium ion battery containing a prelithiated anode
WO2012086940A2 (ko) * 2010-12-21 2012-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EP2658015B1 (en) * 2010-12-21 2017-11-29 LG Chem, Ltd. Cath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WO2012091301A2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650953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023A (ko) 2012-06-18
WO2012077929A3 (ko) 2012-10-04
PL2650953T3 (pl) 2019-12-31
US8974962B2 (en) 2015-03-10
KR101334594B1 (ko) 2013-11-29
EP2650953A4 (en) 2017-01-11
US20130260237A1 (en) 2013-10-03
CN103250284B (zh) 2015-12-02
EP2650953B1 (en) 2019-08-28
CN103250284A (zh) 2013-08-14
EP2650953A2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77929A2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9012081B2 (en) An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8968933B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node active material
KR101422650B1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US8974961B2 (en) An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12096472A2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3157856A1 (ko) 다층구조 전극 및 그 제조방법
WO2014196816A1 (ko) 신규한 이차전지
WO201408124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333553B1 (ko)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WO2015141997A1 (ko) 양극 활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8962184B2 (en) Anode active materia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WO2015012640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15783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극
WO2014081254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2008774A2 (ko) 이차전지용 음극
WO2014081240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314616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4081253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72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