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851B1 -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 Google Patents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851B1
KR970011851B1 KR1019930702708A KR930702708A KR970011851B1 KR 970011851 B1 KR970011851 B1 KR 970011851B1 KR 1019930702708 A KR1019930702708 A KR 1019930702708A KR 930702708 A KR930702708 A KR 930702708A KR 970011851 B1 KR970011851 B1 KR 97001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storage chamber
gas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랜달 넬슨 스티븐
스위더스키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다이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지마 아키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지마 아키로 filed Critical 다이셀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1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with inflatable support compartments creating an internal suction volu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을 가진 에어백에 사용되는 가스발생기의 절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일실시에의 개략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충격으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스발생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에어백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에어백은 단일 백형상 부재로 이루어졌으며 연소가스는 이 백형상부재로 방출된다.
종래의 가스발생기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소정량의 연소가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이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소정량의 가스발생제도 또한 필요하다. 더욱이, 소정개수의 필터는 연소가스를 여과 및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정량의 가스발생제, 필터등을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은 가스발생기 내측에 제공되어야 하므로, 가스발생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레이징외 다수(Leising et al)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532,360호는 하우징, 가스발생부, 냉각실 및 팽창 에어백을 갖는 가스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우징은 대체로 사발모양이며, 바닥벽과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가스발생기는 자체를 관통하여 뻗어 있는 구멍과, 가스발생제가 연소되기 시작할때 가압상태에서 파괴되는 격막을 가지고 있는 판에 의해 에어백으로부터 분리된다. 연소혼합물은 에어백안으로 추진되어 들어가 백을 완전히 팽창시킬 때까지 계속해서 연소된다.
레이징외 다수의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18,980호는 점화장약(ignitable propellant)과 장약에 의해 방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백을 가지고 있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것은 연소중인 장약이 가스발생기로 부터 백내부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장치이다. 이 차단장치는 장약을 관쪽으로 향하게 하는 편향기를 포함하고 있다. 관은 챔버벽쪽으로 장약들이 향하게 하며, 이 벽들은 물질들이 대체로 원형인 통로내에서 이동하게 함으로써 장약의 연소를 향상시키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자체의 질량과 속도로 인하여 반응입자들은 완전히 소모될때까지 챔버내에 유지된다. 가스발생기는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함께 연결된 2개의 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있다.
하스(Hass)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32,133호는 축소확대 노즐의 축소측 끝을 통해 팽창 에어백안으로 향하는 고속의 가스류를 점화시에 발생시키는 가스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는 팽창에어백을 개시하고 있다. 이 가스의 고속류는 또한 가스발생기 외부로부터 에어백안으로의 가스흡인에 영향을 미친다.
슈네이터외 다수(Schneiter et al)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85,076호는 가스발생제 합성물에 의해 둘러싸여진 중앙점화수단을 가진 환형챔버를 형성하고 있는 내부하우징 및 외부하우징을 갖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내부하우징은 복수의 주변 오리피스를 가지고 있다. 내부하우징은 외부하우징에 나사식으로 맞물림되어 있다. 가스발생제는 점화시에 파괴되는 격막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발생된 가스는 그리고나서 고체입자들을 거르는 필터를 통과하여, 원주상의 오리피스를 통하여 팽창구조물 안으로 분사되기 전에 pH중화물질과 냉각장치를 통과해 나간다.
아담스외 다수(Adams et al)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96,084호는 오목한 하부절반 쉘에 나사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볼록한 상부 절반 쉘로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는 가스 발생용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우징 내부에는 가스발생제, 점화기, 가연성 물질의 연소실로 부터의 유출을 지연시키기 위해 연소진행 온도에서 팽창하여 점착성을 갖게되는 제직물로 구성된 연소실내의 1차필터 수단 및, 연소실 외부에 위치하는 2차필터를 가지고 있는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다.
닐슨외 다수(Nilsson et al)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278,638호는 필터로 둘러 싸여진, 가스발생제를 수용하고 있는 반응실에 의해 둘러싸여진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중앙관형상 하우징부로 구비된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가스발생기 구조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장치는 가스가 팽창실로 흘러나갈때 통과하는 구멍을 가지고 있는 반응실 부분을 형성하는 S형 벽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아담스외 다수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30,516호는 함께 용접되어 있는 상부쉘 및 하부쉘로 구성된 팽창에어백과, 점화기 추진제 조립체를 수용하고 있는 천공된 원통형 중공몸체를 갖는 하우징 중심을 통해 강고하게 부착된 강제의 기다란 센터타이 부재와 함께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센터타이 부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가스발생제를 수용하고 있는 환형챔버이다. 가스발생제의 연소후에 가스는 하우징의 출구포트를 통하여 에어백안으로 스크린 필터와 디퓨저스크린 조립체를 관통하여 원둘레 방향으로 유동한다.
아담스외 다수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47,342호는 함께 용접되어 있는 상부쉘과 하부쉘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 팽창에어백과 함께 사용되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하우징 내부에는 챔버를 형성하는 3개의 일체형성 동심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다. 가스발생제는 연소실내에 수용되어 있다. 가스발생제의 점화시에 가스는 연소실 출구를 통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뻗어 있는 내부스크린 필터팩을 통해 유동하며, 여기에서 가스는 편향기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돌려져 발화폭발된 후 편향기링과 외부 스크린 팩사이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하여 외부스크린 팩을 통과한 후 하우징의 출구포트 구멍을 최종적으로 통과한다.
볼로우(Bolleau)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78,247호는 점화실과 외부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용접에 의해서 함께 접합되어 있는 제1 및 제 2 동심 실린더를 각각 가지고 있는 2개의 반조립체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외부 챔버는 3개의 축방향 챔버로 분할되어 있으며, 제1축방향 챔버는 연료를 담고 있고 제2 및 제 3 챔버는 냉각 및 여과수단을 가지고 있다.
힐(Hill)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90,041호는 가스발생제 펠리트가 가압상태로 유지되어 내구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가스발생제 펠리트의 저급화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압력은 펠리트에 대하여 스프링 가압되어 있는 판에 의해 가해진다.
커닝햄(Cunningham)에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43,086호는 외부 쉘에 용접된 내부 쉘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을 갖는 가스발생기를 개시하고 있다. 쉘에 의해 한정된 하우징 내부에는 내부연소실이 외부디퓨저 챔버내에 존재한다. 점화물질은 임의의 하우징 구조요소에도 자유롭게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내부에 다수의 구멍이 구비되도록 하거나 또는 보다 확산된 패턴의 가스유동이 연소실 안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용기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것을 점화제가 점화파우더를 직접 점화시켜 보다 강한 점화를 보장하므로 점화파우더용 점화컵을 필요하지 않게 해준다.
미조쿠치(Mizoguchi)에 허여된 일본특허 제63-301144호는 격자형상 또는 다중의 기둥 모양 형상을 포함하고 있어 에어백의 팽창에 보다 적은량의 공기가 필요하게 되는 에어백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코교(Kogyo)에 허여된 일본특허 제47-30045호는 충돌후 가속체를 받아들이는 몇 개의 부품으로 함께 연결되어 있는 일련의 튜브모양의 팽창기로 구성된 충격흡수용 급속팽창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토요타 모터 코오퍼레이션(Toyota Motor Corporation)에 허여된 일본 특허 제50-16057호는 백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격자 또는 파도모양의 막힌 연결부에 의해 접합된 내부 및 외부 필름을 갖춘 에어백을 개시하고 있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본 발명은 에어백을 효율적으로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가스량을 감소시키는 이중벽구조를 가진 에어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배치된 가스발생 장치를 구비한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된다. 에어백은 하우징에 끼워지고 가스제트 개구부는 에어백이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한다. 에어백의 팽창은 충격으로 인해 가스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으로 도입됨에 따라 충격으로 부터 승객을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은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을 포함하는 이중벽구조이다. 제 2 에어백은 제 1 에어백 보다 더 큰 용량을 가지고 있으며, 제 1 에어백 둘레에 배채되고 이 제 1 에어백에 부착되어 이들사이에서 가스저장챔버를 형성한다. 공기흡입 통로는 공기가 에어백의 팽창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 1 에어백내에서 대기로부터 공기저장 챔버로 도입되는데 사용된다. 이 공기흡입 통로는 대기로 개방된 한쪽끝과 공기저장 챔버로 개방된 다른쪽끝을 가진 중공의 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전형적으로, 제1 및 제 2 에어백은 공기흡입통로에 의해서 함께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에어백은 가스저장챔버가 공기저장챔버와 연통하도록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연소가스가 가스제트 개구부를 통하여 가스저장챔버로 도입되면, 제 2 에어백은 급속하게 팽창되며 이에 따라 제 1에어백을 개방위치로 끌어당김으로써 제 1 에어백을 역시 팽창시킨다.
제 1 에어백의 팽창으로, 공기는 공기흡입통로를 통하여 제 1 에어백 내측의 공기 저장챔버로 도입된다. 연소가스는 가스저장 챔버와 공기저장챔버 사이의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저장 챔버로 도입된다. 이런 식으로, 연소가스는 가스저장 챔버내로 충전되고 공기 및 연소가스는 공기 저장 챔버내로 충전된다. 따라서, 연소가스량은 사용된 공기량과 동일한 양으로 절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팽창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이 에어백은 에어백의 팽창에 필요한 가스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벽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발생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감소된 가스량을 생산하는데 요구되는 감소된 가스발생제의 양 때문에 감소된 크기의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고 팽창에 필요한 감소된 가스량 때문에 급속하게 팽창될 수 있는 에어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그 이상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의 관찰로부터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을 장착할 수 있는 가스발생기(8)의 절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21로 표시된 이 가스발생기의 하우징 디퓨저쉘(10)과 폐쇄쉘(30)을 포함하고 있다. 디퓨저쉘(10)과 폐쇄쉘(30)각각은, 원형부분(12, 32)각가과, 원형부분(12, 32)의 외주부둘레에 각각 형성된 외벽(14, 34)을 가지고 있다. 디퓨저쉘(10)은 원형부분(12)의 중심에서 원형부분(12)과 일체로 형성된 중심튜브(16)를 장착하고 있다. 중심튜브(16)의 상부는 폐쇄쉘(30)의 외부표면상의 위치로 뻗어 있다. 폐쇄쉘(30)은 이 중앙튜브(16)가 끼워지는 구멍(36)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21)은 내면(20)은 중심튜브(16)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점화장치챔버(22)는 중심튜브(16)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소챔버(26)와 냉각챔버(24)는 연소링(23)에 의해서 점화장치챔버(22)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필터챔버(49)는 연소챔버(26)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화관(점화기)(40)과 강화제(전달추진세)(46)는 점화장치챔버(22)내에 배치되고 가스발생제(도시않됨)는 연소챔버(26)에 장전된다. 냉각제(42) 및 필터(43)는 냉각챔버(44) 및 필터챔버(49)내에 각각 배치된다.
개구부(17)는 전달추진제(46)의 화염을 연소챔버에 전달하기 위하여 점화장치챔버(22)와 연소챔버(26)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연소챔버(26)내에 발생된 가스를 도입하기 이한 개구부(18)는 연소챔버(26)와 냉각챔버(24)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냉각챔버(24)와 필터챔버(49)는 도시되지 않은 개구부를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고 냉각제와 필터를 통과한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개구부 즉 제트포오트(9)는 필터챔버(49)와 에어백 사이의 디퓨저쉘의 외벽상에 배치되어 있다(제 2 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50으로 통상표시된 에어백의 개략도이다. 에어백(50)은 가스발생기(8)의 디퓨저쉘(10)에 끼워지고 제 1 에어백(51)과 제 2 에어백(52)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에어백(52)은 제 1 에어백 보다 더 큰 용량을 가지고 있고 제 1 에어백(51)둘레에 배치 및 부착되어 있다. 제 1 에어백(51)은 대기(66)로 부터 공기흡입통로(60)를 통하여 공기를 수용하고 거기내에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저장챔버(54)를 구성하고 있다. 연소가스를 가스발생기의 제트포오트(9)로 부터 수용하고 동시에 연소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챔버(55)는 제 1 에어백(51)과 제 2 에어백(52)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기흡입통로는 공기가 공기저장챔버(54)에 들어가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공기흡입통로(60)는 에어백내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공기흡입통로(60)는 중공의 통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한쪽끝은 개구부(61)를 통하여 대기로 개방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개구부(62)를 통하여 공기저장챔버(54)로 개방되어 있다. 대기(66)와 가스저장챔버(55)는 공기흡입통로(60)의 벽에 의해서 서로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연소가스는 대기로 누출되지 않는다.
공기흡입통로(60)의 직경은 소정의 시간내에 충분하게 팽창하도록 공기저장챔버(54)에 필요한 공기량이 공기저장챔버(54)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이다. 제 1 에어백(51)과 제 2 에어백(52)은 전형적으로 각각의 백의 입구근처의 공기흡입통로(6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 2 에어백은, 리브, 이음매 및 용접등과 같은 다른 부착수단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가스저장챔버(55)와 공기저장챔버(54)사이의 연통을 성립시키는 개구부(67)는 제 1 에어백(51)내에 형성되어 있다.
센서(도시않됨)가 충격에 의해서 작동되면, 전기신호는 도화관(40)의 기폭약에 송신되며, 점화기는 전달추진제(46)를 점화한다. 발생된 고압 및 고온 화염은 개구부(17)를 통과하고 연소챔버(26)내측의 가스발생제를 점화시킨다. 연소챔버(26)내측에서 발생된 가스는, 개구부(18)를 통하여, 그리고 냉각제(42) 및 필터(43)를 통하여 통과하고, 그리고 제트개구부(9)를 통하여 에어백(50)으로 유동한다.
제트개구부(9)로 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분출된 고압연소가스는 가스저장챔버(55)내측에서 팽창하고 제 2 에어백(52)은 축방향뿐만아니라 방사상 방향으로 급속하게 팽창한다. 동시에, 제 1 에어백(51)은 제 2 에어백(52)에 의해서 당겨져서 개방되고 또한 팽창하고, 그리고 이 팽창으로 대기로 부터의 공기는 공기흡입통로(60)를 통하여 공기저장챔버(54)로 흡입된다. 이런 식으로, 연소가스가 가스저장챔버(55)내에 충전되고 연소가스가 가스저장챔버(55)로 부터 개구부(67)를 통하여 공기저장챔버(54)내로 충전되면서, 공기와 연소가스는 공기저장챔버(54)내로 충전되고 에어백은 급속하게 팽창하고 승객과 단단한 구조물사이에서 완충을 형성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에어백(5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에어백(52)이 복수의 리브부재(70)에 의해서 제 1 에어백(51)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리브부재970)는 복수의 가스저장챔버(55)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개구부(67)가 복수의 가스저장챔버(55)와 공기저장챔버(54)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거기에는 각각의 가스저장챔버(55)용의 하나의 개구부(67)가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감소된 가스발생제의 양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 실시예는 에어백(50)의 균일한 팽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에어백을 제 2 에어백에 체결하는 수단을 더 제공한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의 이점은 복수의 가스저장챔버(55)에 의해서 제공된 구조적 견고성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 2 에어백 사이에서 다양한 부착수단을 제공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려된다.
이중벽 에어백은 개구부(67)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 개구부 없이 설계될 수 있다. 개구부(67)는 가스충전을 처리하기 위하여 에어백의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가스저장챔버(55)과 공기저장챔버(54)와 대기(66)사이의 연통은 에어백이 종래의 에어백 보다 더 경량으로 설계되도록하여 해당 비용을 절감하고 그리고 치수를 절감하는 이점을 가능하게 한다.
가스저장챔버의 크기는 제 1 에어백 또는 제 2 에어백의 기능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저장 챔버의 형상은 또한 그렇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와의 충격에 대한 접촉점 근처의 백의 상부에서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간에 더 넓은 간격을 가지는 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가스가 고압하에 있는 에어백의 바닥을 향해 제1 과 제 2 에어백 사이에서 더 좁은 치수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과 제 2에어백 사이의 공간을 에어백 구조의 바닥에서 더 좁게 형성함으로써, 공기흡입통로960)는 대기(66)로 부터 공기저장 챔버(54)내로 공기유동을 도모하도록 최소거리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의 사용은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연소가스량을 절감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소가스는 에어백 내측의 공기체적 만큼 절감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발생제의 양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가스발생제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연소챔버의 용량도 마찬가지고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연소가스를 여과 및 냉각하는데 필요한 필터량도 더 작게되고 필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챔버의 용량도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이결과 가스발생기의 크기 및 중량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 가스발생제, 필터등의 양이 더욱 작게되므로, 생산비도 더욱 절감된다.
본 발명의 이중벽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가스발생기의 크기의 감소 때문에, 이 안전특성은 너무 작아서 이미 종래의 에어백을 사용한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다시 말하면 이 장치는 자동차에 대하여 비스듬한 충격과 관련된 상해를 방지하도록 자동차문을 따라서 정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 필요한 가스발생제의 감소때문에, 또한 공기가 에어백을 팽창시키도록 자동차의 대기내로 부터 흡입되기 때문에, 에어백의 팽창으로 인한 승객실의 가압은 감소된다. 더욱이, 연소가스가 공기저장챔버내에서 공기와 혼합되므로, 에어백의 팽창에 따라 승객실로 방출될때 합성된 혼합물은 종래의 에어백으로 부터의 혼합물보다 더 냉각되고 완화된 가스농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발생된 가스량이 적기 때문에, 발생된 압력이 낮아지고, 따라서, 가스발생기의 외부쉘의 두께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성으로 부터, 본 발명의 에어백은 가스발생기의 치수 및 중량을 감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서 부가적으로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앞서의 설명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물론 아니다.
본 출원명세서에 의해서 보호받고자 하는 것은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Claims (12)

  1.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에 있어서, 공기저장챔버를 형성하는 제 1 에어백 ;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서 가스저장챔버를 형성하는 제 1 에어백 둘레에 배치되고 이 제 1 에어백에 부착되는 제 2 에어백 ; 에어백을 가스발생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 공기저장챔버를 제 2 에어백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공기흡입통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제 1 에어백이 공기가 공기저장챔버내로 제 2 에어백의 외부로부터 흡입되게 하는 팽창된 위치로 당겨지는 제 2 에어백을 팽창시키기기 위하여 가스저장챔버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저장챔버를 공기저장챔버와 연통시키기위하여 제 1 에어백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가스저장챔버에 채워진후 공기저장챔버내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에어백은 공기흡입통로에 의해서 제 2 에어백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4.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흡입통로는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 뻗어있는 2개의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5.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을 가스발생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 공기저장챔버를 형성하는 제 1 에어백 ; 제 1 에어백 보다 더 큰 용량을 가지고 있고 제 1 에어백 둘레에 배치된 제 2 에어백 ; 제 1 에어백을 제 2 에어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 형성된 가스저장챔버 ; 제 1 에어백의 공기저장챔버와 제 2 에어백의 외부상의 대기사이에서 뻗어있는 공기흡입 통로 ; 가스저장챔버를 공기저장챔버와 연통시키기 위하여 제 1 에어백의 적어도 하나의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에 대하여,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제 1 에어백이 대기로부터의 공기가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공기저장챔버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팽창된 위치로 당겨지도록 하는 제 2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가스저장챔버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에어백은 공기흡입통로에 의해서 제 2 에어백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7. 제 6 항에 있어서, 공기흡입통로는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 뻗어있는 2개의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8. 가스발생기와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에 있어서, 에어백을 가스발생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 공기저장챔버를 형성하는 제 1 에어백 ; 제 1 에어백 둘레에 배치된 제 2 에어백 ;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에 부착하기 위하여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서 뻗어있는 복수의 리브 ;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과 인접한 리브 사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가스저장챔버 ; 제 1 에어백의 공기저장챔버와 제 2 에어백의 외부상의 대기사이에서 뻗어있는 공기흡입통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격에 대하여,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제 1 에어백이 대기로부터의 공기가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공기저장챔버내로 흡입되도록 하는 팽창된 위치로 당겨지도록 하는 제 2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가스저장챔버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스저장챔버와 공기저장챔버 사이에서 연통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에어백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가스발생기에 의해서 발생된 가스는 가스저장챔버에 채워진후 공기 저장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0. 제 8 항에 있어서, 가스가 가스저장챔버로 부터 공기저장챔버로 유동하도록 각각의 가스저장챔버와 공기저장챔버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에어백은 공기흡입통로에 의해서 제 2 에어백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2. 제11항에 있어서, 공기흡입통로는 제 1 에어백과 제 2 에어백 사이에 뻗어있는 2개으 중공 튜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KR1019930702708A 1992-04-08 1993-04-02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KR970011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65,311 US5338061A (en) 1992-04-08 1992-04-08 Air bag having double-wall construction
US865,311 1992-04-08
PCT/JP1993/000429 WO1993021036A1 (en) 1992-04-08 1993-04-02 Air bag having double-wall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851B1 true KR970011851B1 (ko) 1997-07-18

Family

ID=2534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708A KR970011851B1 (ko) 1992-04-08 1993-04-02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38061A (ko)
EP (1) EP0589059B1 (ko)
JP (1) JP3467271B2 (ko)
KR (1) KR970011851B1 (ko)
DE (1) DE69303445T2 (ko)
WO (1) WO19930210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7809A1 (de) * 1994-03-09 1995-03-09 Daimler Benz Ag Gassack
US7338069B2 (en) * 2004-04-02 2008-03-04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Airbags with internal valves
US5489117A (en) * 1994-07-25 1996-02-06 Huber; John F. Occupant restraint system
FR2724350B1 (fr) * 1994-09-13 1996-12-06 Aerazur Sac de retenue a gonflage peripherique, pour vehicule
JP3989563B2 (ja) * 1995-09-22 2007-10-1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5599041A (en) * 1995-10-24 1997-02-0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vehicle occupant restraint
US7744122B2 (en) * 1995-12-12 2010-06-2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river side aspirated airbags
US6050596A (en) * 1997-05-05 2000-04-18 Boerger; Freida Air bag safety device
US5901979A (en) * 1997-05-06 1999-05-11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and mounting therefor
DE29709389U1 (de) 1997-05-28 1997-09-25 Trw Repa Gmbh Gassack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in Fahrzeugen
DE19730161A1 (de) * 1997-07-14 1999-01-21 Wolfgang Heigl Gassack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3463598B2 (ja) * 1999-04-13 2003-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3239118B2 (ja) * 1999-09-30 2001-12-1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6416093B1 (en) 2001-06-11 2002-07-09 Phillip Schneider Energy absorption, rotation and redirection system for use with racing vehicles and a surrounding barrier
JP4550816B2 (ja) 2003-07-08 2010-09-22 カール・ジェイ・シェイドラー 織物および皮革の光退色抵抗性および防汚性を改良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7824566B2 (en) * 2003-07-08 2010-11-02 Scheidler Karl J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light-fade resistance and soil repellency of textiles and leathers
DE102005049209A1 (de) * 2005-10-07 2007-04-12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Airbagmodul eines Kraftfahrzeugs
US7523891B2 (en) * 2005-12-21 2009-04-28 A-Hamid Hakki Safety pre-impact deceleration system for vehicles
DE102006038124B4 (de) * 2006-08-14 2019-05-23 Daimler Ag Rückhalt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6038125B4 (de) 2006-08-14 2022-08-18 Mercedes-Benz Group AG Rückhaltesystem
JP2009040220A (ja) * 2007-08-09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7052246B4 (de) * 2007-11-02 2020-06-04 Daimler Ag Airba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US8777262B2 (en) 2009-04-27 2014-07-15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abilizer straps
US20100270782A1 (en) * 2009-04-27 2010-10-28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bag straps for wrapping the airbags and optimizing deployment
US8118325B2 (en) * 2009-04-27 2012-02-21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s and internal tethers produced from single panels of material
US8500157B2 (en) 2009-04-27 2013-08-06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8083254B2 (en) * 2009-04-27 2011-12-27 Autoliv Asp, Inc. Knee airbag assemblies configured for inflator insertion and inflator-mediated coupling to an airbag housing
US8297649B2 (en) * 2009-07-16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having two chambers separated by an internal tether
US8272667B2 (en) * 2009-11-03 2012-09-25 Autoliv Asp, Inc. Low-mount inflatable knee airbags having serial chambers
US8500155B2 (en) * 2009-12-22 2013-08-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tegral cover
US8297650B2 (en) 2010-08-31 2012-10-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articulating housings
US8360464B2 (en) 2010-08-31 2013-01-29 Autoliv Asp, Inc. Covers for inflatable knee airbag housings
US8540276B2 (en)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US8505963B1 (en) 2012-02-24 2013-08-13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strap clamps
US9010804B2 (en) 2013-03-15 2015-04-21 Autoliv Asp, Inc. Airbag assemblies with constrained stabilizer straps
DE102013017695A1 (de) * 2013-10-24 2014-07-24 Daimler Ag Airbag für einen Kraftwagen
US10696266B2 (en) 2017-11-10 2020-06-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360A (en) * 1968-07-22 1970-10-06 Chrysler Corp Gas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safety device
US3632133A (en) * 1969-02-25 1972-01-04 Eaton Yale & Towne Vehicle safety apparatus including an inflatable confinement
US3618980A (en) * 1969-10-31 1971-11-09 Chrysler Corp Trap for nongaseous matter
CA957404A (en) * 1970-11-24 1974-11-05 Isao Maeda Rapidly inflatable impact cushioning device for high-speed travelling vehicle
DE2105428A1 (de) * 1971-02-05 1972-08-24 Uniroy al AG, 5100 Aachen Sicherheitsvorrichtung in Fahrzeugen zur Verminderung des Aufpralles
US3762741A (en) * 1971-10-04 1973-10-02 Gen Motors Corp Occupant restraint cushion
US3752501A (en) * 1971-10-20 1973-08-14 Ford Motor Co Steering wheel inflatable cushion device
BE794296A (fr) * 1972-01-19 1973-07-19 Des Soc Nat Nouveau dispositif de securite a coussin gonflable, notamment pour vehicules uatomobiles
FR2168668A5 (ko) * 1972-01-19 1973-08-31 Poudres & Explosifs Ste Nale
FR2168669A5 (ko) * 1972-01-19 1973-08-31 Poudres & Explosifs Ste Nale
JPS5322327B2 (ko) * 1973-02-27 1978-07-07
JPS5541107B2 (ko) * 1973-06-18 1980-10-22
US3985076A (en) * 1973-11-19 1976-10-12 Thiokol Corporation Gas generator
US4296084A (en) * 1979-10-29 1981-10-20 Thiokol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as generation
DE2915202B2 (de) * 1979-04-14 1981-02-19 Bayern-Chemie Gesellschaft Fuer Flugchemische Antriebe Mbh, 8261 Aschau Gasgenerator in Blechbauweise
US4547342A (en) * 1984-04-02 1985-10-15 Morton Thiokol, Inc. Light weight welded aluminum inflator
US4561675A (en) * 1984-04-02 1985-12-31 Morton Thiokol, Inc. Auto ignition device
US4530516A (en) * 1984-07-09 1985-07-23 Morton Thiokol Inc. Aluminum inflator with steel center-tie
US4578247A (en) * 1984-10-29 1986-03-25 Morton Thiokol, Inc. Minimum bulk, light weight welded aluminum inflator
US4590041A (en) * 1984-11-21 1986-05-20 Morton Thiokol, Inc. Gas bag inflators
US4722551A (en) * 1987-03-19 1988-02-02 Morton Thiokol, Inc. Initiator and method for the incorporation thereof in an inflator
JPS63301144A (ja) * 1987-06-01 1988-12-08 Kyoko Mizoguchi 気体緩衝体
DE3829368A1 (de) * 1988-08-30 1990-03-01 Dynamit Nobel Ag Sicherheits-airbagsystem
US4943086A (en) * 1989-06-30 1990-07-24 Morton Thiokol, Inc. Gas bag inflator with a two welded joint housing
US5249824A (en) * 1991-11-19 1993-10-05 Trw Inc. Air bag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89059B1 (en) 1996-07-03
DE69303445D1 (de) 1996-08-08
WO1993021036A1 (en) 1993-10-28
JP3467271B2 (ja) 2003-11-17
US5338061A (en) 1994-08-16
DE69303445T2 (de) 1996-10-31
JPH06509301A (ja) 1994-10-20
EP0589059A1 (en) 1994-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851B1 (ko) 이중벽 구조를 가진 에어백
US5624134A (en) Gas generator formed with electron beam welding
KR0131594B1 (ko) 에어백용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KR0183410B1 (ko) 차량 탑승자 구속 시스템용 하이브리드 팽창기
US6010153A (en) Hybrid inflator for airbags
JPH0729868B2 (ja) エアバツ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KR0156299B1 (ko) 자동차 핸들장착용 하이브리드 에어백 장치
KR970001743B1 (ko) 팽창가능한 리브를 갖춘 에어백
JP2001511734A (ja) 車両搭乗者安全装置のための改良型エアバッグ膨張装置
US5374407A (en) Gas generator with porous outer wall
EP0589061B1 (en) Gas generator with circumferential joints
KR20060038962A (ko) 집약적인 다중 레벨 출력 하이브리드 개스 발생기
KR0125255B1 (ko) 수직적층 배열을 갖춘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JPH0245240A (ja)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US5419875A (en) Gas generator with novel nozzle structure
JP2554134B2 (ja)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KR0156298B1 (ko) 연소성가스에 의해 점화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인플레이터와 그 전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