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160B1 -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 Google Patents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160B1
KR970010160B1 KR1019890008332A KR890008332A KR970010160B1 KR 970010160 B1 KR970010160 B1 KR 970010160B1 KR 1019890008332 A KR1019890008332 A KR 1019890008332A KR 890008332 A KR890008332 A KR 890008332A KR 970010160 B1 KR970010160 B1 KR 97001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housing
flow path
wate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105A (ko
Inventor
리 레이신
Original Assignee
리 레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레이신 filed Critical 리 레이신
Publication of KR900000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343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the substance being a gas
    • B01D3/346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the substance being a gas the gas being used for removing vapours, e.g. transpo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6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12Vertic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03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using heat-exchange surfaces for indirect contact between gases or vapours and the cooling medium
    • B01D5/0015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9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degasification or de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by direct contact with a particulate solid or with a fluid, as a heat transfer med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제1도는 구성을 상세히 예시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자른 본 발명의 증류 장치의 제1실시 양태의 부분 투시도이다.
제2도는 상기 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판을 도시한, 제1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장치의 다수개의 인접판의 투시도이다.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장치에 대한 판의 대안적 형태를 도시한 투시도이다.
제5a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2실시 양태의 부분적 파단 투시도이다.
제5b도 및 상세5B는 상기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대한 횡단면 및 투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의 제3실시 양태를 도시한 제5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제6a도 및 6b도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도시한 평면 및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화학 공학 분야 및 용질-용매 분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을 증류하는데 있어서 소비자용 및 산업용으로 적합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비휘발성 용매로부터 용질을 분리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고 여러해 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기술은 작업시 종종 복잡하고, 저렴하며 대량의 에너지를 소모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을 대규모로 이용하는 것은 제한된다. 예를 들어, 염수원 또는 염분 공급원으로부터 또는 수도물로부터 물을 정제하는 것은 상당한 양의 구조물을 요한다. 상기 유형의 출처로부터 물을 정제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은 증발시키기 위하여 감압을 이용한 다단계 섬광 증발법, 수압을 이용한 역삼투법, 진공냉동법, 물의 비등에 근거한 증류법(거의 회분식(batch)유형), 대량의 공기-물 접촉에 근거한 습기 회수법 및 이온 교환에 근거한 전기 투석법을 포함한다.
전술한 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특수막의 제조 및 부식 또는 스케일링에 대한 기계 보호용 특수 합금의 사용과 같이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술중 많은 것은 또한 기계적으로 또는 증발시키는데 고에너지를 소비한다. 비교적 비휘발성인 용매 또는 용질의 용액에 대한 정제 농축 및 분리 기술에서도 종종 유사한 사항이 요구된다.
사용 시점에서 음용 및 다른 용도 둘다에 이용 가능한 정수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건강의 유익은 주지되어 있고; 둘째, 통상적인 연관 구조물을 통하여 운반된다면 중앙 집중식 정수 공급은 그것의 양질을 유지할 수 없고; 세째로, 상업적으로이용 가능한 정수 기구가 있다 할지라도, 그들은 가격이 적당하지 않으며, 작동시 대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면서 주요 부품을 빈번히 보수 또는 교체해야 한다.
상술한 통상적인 구조물과 연관된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가정용 및 공공 용도로는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공급원으로부터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정숭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그러한 물공급원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증류 장치 및 방법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매-용질의 분리, 특히, 물의 증류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향상시킨 고안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 또는 가정용에 특히 적용되는 것이지만 또한 사무실 및 산업 용도와 같이, 기타 사용 시점 이용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분리 구조물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여 증류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획부를 형성한다. 상기 분리 구조물은 또한 물을 그 비등점에 가까이 가열하고 유지시키는 가열기에 의해 하우징내 물의 상부가 증발될 때, 형성되는 수증기를 수용하는 유로는 제공한다
통풍기가 상기 가열기 아래의 하우징 및 상기 물 구획부 내부에 장치된다. 상기 통풍기는 약한 압력하의 공기를 물로 향하게 작동하여 기포가 물속에서 발생하게 한다. 상기 물의 상부가 상기 가열기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기포가 상승하고 물의 표면을 붕괴시킨다. 이것은 증기압을 수위 상부의 공간에 발생시켜 수증기를 유로 하방으로 움직여 수증기가 응축물로 수집되는 하부 격실로 가게 한다. 상기 수증기가 상기 유로에서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구획내 물과 열교환 관계로 움직이고 따라서, 상기 구획내의 물은 예비 가열되는 반면, 상기 수증기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저하시켜 증류수 형태의 증류물이 제거될 수 있는 하부 격실내에서 수집 가능한 증류물 또는 응축물을 형성하도록 응축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이 몇가지 실시 양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한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하우징이 함께 결합하여 다수개의 구획 및 다수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연장된 수직판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통풍기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가열기를 수용하는 벽감(recess)으로 구성된다. 조절기가 설치되어 항상 물의 수위를 상기 가열기 위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은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하부 격실에 증류수 또는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제2실시 양태에서는 물의 구획이 서로 중심이 같고 상기 증류물을 수용하는 하부 격실위에 위치하는 원통형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제3의 실시 양태에서는 단일 원통벽은 다수개의 개방 최상부 튜브를 둘러싸고 있고, 상기 튜브의 외부 지역은 물구획부이고, 상기 튜브는 수증기의 유로이다. 상기 하우징의 모든 실시 양태에서, 통풍기가 물속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통풍기 및 가열기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물속의 기포는, 수증기가 상기 장치의 하부 격실로 접근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응축되도록 유로(들)내로 또는 유로(들)을 통해 수증기가 흐르게 하는 약한 압력하에서 수증기를 형성하기 위해 가열기에 의해 표면 근처의 물을 비등시킬 때, 물 표면까지 상승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물을 증류시키기 위한 향상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장치 및 방법은 가정용 및 기타 사용 시점 이용에 적합하여 사람의 음용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술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최소한의 크기이고, 상대적으로 단시간내에 및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로써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증류시키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상술된 유형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에너지 요구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작동하도록 고안된 용질-용매 분리 능력을 지닌 연합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용질 또는 용매에 포함된 어떠한 이동부도 상기 열교환기에 통과하지 않으면서 열교환을 향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연장된 수직판 사이의 용액을 통하여 상승하는 기포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장치 자체내에서는 이동부가 필요없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첨부 도면에 관한 언급을 통해 분명해질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 양태가 물의 증류에 관한 것일지라도, 본 발명은 용매로부터의 용질의 분리 또는 용질로부터의 용매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증류물보다 농축물에 더 관심이 있을 경우에 그러하다. 이점에 있어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쥬스 또는 시럽을 농축하거나 또는 물에서 알콜을 분리하거나 또는 용해된 광물을 재순환 또는 폐기 처리용으로 농축 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의 통풍기는 대상 용질 또는 용매에 불활성인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적합한 기체에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증류 장치로서 그 제1실시 양태는 총체적으로 숫자 10으로 표시되고, 한쌍의 마주보는 가로면(14 및 16), 한쌍의 세로면(18)(제2도에서는 하나의 세로면만을 도시함) 및 바닥(20)을 구비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상기 가로면 및 세로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을 덮고 있는 덮개(2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2)의 내부는 하우징의 내부를 한 세트의 물구획부(26) 및 한세트의 유로(24)로 구분하는 방법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수직 연장관(23)을 구비하고 있다. 유로(24)는 증류 공정으로부터 유도된 응축물에서 형성된 증류수를 수용하고 함유하기에 적합하게 된 하부 격실(30)과 통하는 개방저부(28)(제2도)를 가진다. 각각 두번째 구획부(26)을 구획하는 2개의 판(23)은 (32)지점(제2도)에서 상호 연결된 수렴성 저단부를 가져서 구획부(26)이 하부 격실(30)과는 유체 소통이 되지 않지만 물구획부(26) 모두는 서로 유체 소통된 상태이다.
통풍기(3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23)의 아래 위치에 있는 하부벽감(35)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통풍기(34)는 천공 표면(36)을 가진 속이 빈 박스 형태 구조이다(제1도). 튜브(40)가 장치되어 상기 통풍기(34)를 송풍기 또는 콤프레서(도시하지 않음)의 출구와 같은 공기압 공급원과 연결시킨다.
각 유로(24)는 구획부(26)와 분리되어 있고, 상부(42), 바닥(44) 및 측면(46)에서 적절히 밀봉시킴으로써 통풍기(34) 주위 지역과 분리되어 있다(제1도). 그러나, 구획부(26)는 통풍기(34) 인접 지역과 유체 소통된 상태이다. 따라서, 물이 하우징(12)에서 (48) 준위까지 도달되었을 때(제2도), 물은 구획부(26)에서 및 통풍기(34)를 감싸고 있는 벽감(35)에서 잔류할 것이고; 따라서, 상기 구획부(26) 모두는 서로 유체 소통되지만 유로(24)와는 유체 소통이 되지 않는다. 각 구획부(24)는 한쌍의 인접 구획부(26)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료(24)내의 유체는 인접해 있는 구획부(26)내의 물과 열교환 관계에 있다.
물 가열기(50)가 하우징(12)내의 상부 단부 근처에 장치되어 있다. 가열기(50)는 전기 가열기, 태양열 가열기, 가스 가열기 등과 같이 적절한 유형의 것일 수 있다. 설명 목적상, 가열기(50)는 제1도 및 제2도에 서로 평행하고 상기 하우징내의 판에 있는 벽감(37)(제1도)에서 연장된 한쌍의 튜브(52)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감(37)은 상기 벽감(35)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고, 구획부(26)와는 유체 소통되어 있으나, 함께 그리고 각각 인접판(23)과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측면 패널(54) 및 바닥 패널(56)로 인해 각각의 유로(24)와는 유체 소통이 단절되어 있다. 각 측면 패널(54)은 상응하는 유로(24)와 유체 소통 상태의 벽감(37)의 상부에 위치한 개구부(58)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58) 또한 수위(48)위에 위치한다. 덮개(22)는 상기 하우징(12)을 덮고 및 유로(24) 및 구획부(26)의 상부 말단위에 위치하여 수증기를 유로(24)로 흐르게 한다. 하나 이상의 통기 구멍(25)이 또한 덮개(22)상에 구비되어 있어서 일부 휘발성 물질을 유출시킨다.
작동시, 증류할 물은 벽(14)의 한쪽면에 있는 개구부(29)를 통하는 것과 같은 특정의 적절한 방법으로 하우징(12)으로 향하게 된다(제1도). 물은 하우징내의 가열기(50)위의 수위(48)까지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적정한 수위가 되었을 때, 통풍기(34)를 가동시켜 공기를 상기 통풍기로부터 배출시켜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부(26)를 통하여 물속에서 상승하게 한다. 상기 가열기를 또한 가동시켜 수위(48) 상부 근처에서 물을 비등시키고 수위(48) 위에서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증기는 통풍기(34)로부터 기포의 계속적인 상승으로 인하여 수위(48) 위의 공간에서 특정 압력하에 있게 될 것이다. 이러한 증기압은 상기 증기가 개구부(58) 및 유로(24)의 상단부(제1도)내로 그리고 그후 유로(24)내로 그리고 유로를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기에 충분하며, 상기 유로(24)에서 상기 증기가 응축물로 응축되어 바닥 개구부(28)를 통하여 하부 격실(30)로 침하한다. 유출 튜브(60)를 장치하여 하부 격실(30)로부터 상기 응축물을 인수한다.
물을 개구부(29)내로 그리고 하우징(12)내로 흐르게 하는 밸브를 작동시키는 준위감지기의 조절하에서 튜브(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함으로써 필요시에 하우징(12)내로 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물의 상부 준위(48)를 상기 하우징내에서 특정 높이로 유지시켜 상기 가열기를 항상 물내부에 침지시키고, 계속적으로 상기 수위 위로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세정의 목적으로 개구부(39)를 상기 하우징(12)에 추가 설치하여 물을 물구획부로부터 배출시킨다.
제3도는 하우징(12)의 판구조물의 제2실시 양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것 같이, 판(23a 및 23b)의 인접한 외부 수직 모서리(23c)를 따라 함께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판이 전체를 통틀어 완전히 평행하고 외벽(23d)(제1도)에 의해 판의 외부 단부에서 결합되어 있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된 판의 실시 양태외 비교될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판구조물은 또한 상기 통풍기를 수용하는 하부벽감(35) 및 상기 가열기를 수용하는 상부벽감(37)을 포함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판구조물의 제3실시 양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판(23) 각각은 그것의 한면(23h)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3f 및 23g)를 가지고 있어 구획부(26)에서 기포가 상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유로(24)를 통하여 수증기가 하방으로 흐르는 꼬불꼬불한 통로(화살표로 도시함)를 형성한다. 상기 판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될 수 있다. 판 하나의 두께는 0.002인치 내지 0.050인치인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 판상에서 돌출부(23f 및 23g)는 기포 및 수증기의 유동 거리를 증가시켜 더욱 많이 열교환을 하게 되고 따라서 증기를 응축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물을 증발시켜 필요로 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f 및 23g)는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돌출부(23f 및 23g)의 높이는, (24)와 같은 유로 또는 (26)과 같은 물구획부의 너비를 또한 구획하는데, 1/16인치 내지 3/4인치인 것이 통상적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양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장치는 전체적으로 숫자 70으로 표시되고, 하우징내에서 증류된 물로부터 유도된 수증기의 응축에 의해 형성된 응축물의 형태인 증류수를 수용하는 하부 격실(76)이 위에 위치한 바닥(74)을 가진 원통형 하우징(72)을 포함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72)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외벽(7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동일 중심의 한쌍의 원통형 벽부재(74 및 76)를 포함하여 한쌍의 원통형 물구획부(80 및 82)를 제각기 형성한다. 이러한 구획부는 물로 특정 수위까지 채워지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고, 내부 구획부(80)는 상기 원통형 벽부재(74)에 의해 경계 범위가 정해진 원통형 유로(84)를 둘러싸고 있다. 내벽(74)은 (100)을 통하여 물구획부(80 및 82)와 소통되는 중앙 개방 공간(88)을 둘러싸고 있어 중앙 공간(88)에서의 수위는 구획부(80 및 82)에서의 수위와 동일한 수위(92)에 위치하게 된다. 수위(92) 위의 개구부(88)의 상부는 유로(84)와 유체 소통 상태에 있다.
하우징(72)에서 중앙 공간(88)의 상부 수위(92) 근처에 적절한 방법으로 고리형 가열기(90)를 장치한다. 상기 가열기는 수위(92) 아래 위치하고, 가동되면 상기 가열기 근처의 물은 비등하게 되어 상기 수위 위의 공간(88)에서 수증기를 형성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고리형 통풍기(94)는 공간 하단 근처 가열기(90) 아래 하우징내에 위치한다. 송풍기와 같은 적절한 유압 기구가 통풍기(94)의 입구(96)와 연결되어 통풍기(94) 표면의 천공내로 그리고 천공을 통해 공기가 흐르게 한다. 따라서, 상기 통풍기가 가동될 때, 공간(88)에서 증류시키려는 물속에서 기포가 상승하게 된다.
고리형 가열기 및 통풍기를 (82) 및 (80)과 같은 물구획부에 다중으로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2 이상의 물구획부도 설치할 수 있다. 제5b도 및 상세5B는 가열기(90,91 및 92) 및 유로(86,84 및 83)가 도시된 다중 구획부의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직판 구조물은 또한 상기 원통형 벽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작동시, 상기 통풍기를 가동하여 제5도에 도시된 것같이 기포를 상방으로 유동시킨다. 가열기(90)를 또한 작동시켜 수위(92) 아래에 있는 물의 상부를 가열하고 비등시킨다. 상기 기포가 상승하고 물이 비등함에 따라, 증기압이 수위(92)위 공간(88)에서 형성된다. 상기 증기압으로 인하여 상기 수증기를 유로(84)를 진입 통과하여 상기 수증기가 수집되는 하부 격실(76)로 향한다. 상기 수증기가 유로(84 및 86)를 통하여 하방 유동하게 됨에 따라 공간(88) 및 구획부(80 및 82)에 있는 물과 열교환을 하여 상기 수증기는 냉각되고 따라서 고비율로 응축되는 반면 상기 수증기로부터의 열은 원통형 벽(74 및 76)을 통하여 전도되어 물을 예비 가열시키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물은 수로(98)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상기 하우징(72)에 공급된다(제5도). 이 때문에, 준위 감지기(도시하지 않음)를 장치하여 상부 수위(92)를 계속 감지함으로써 가열기(90)의 상부 표면 아래로 물의 준위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장치의 한 실시 양태를 제6도에 도시하였고, 원통형 하우징(112)이 하우징 내부 영역(118)내에서 수직으로 위치한 배치물에 고리형 통풍기(114) 및 고리형 가열기(116)를 가진다는 점에서 제5도에 실시 양태와 유사하다. 제6b도는 하우징(112)의 상부에서의 또 다른 가열기(116) 고안물을 도시한다. 그리고 제6a도는 상기 하우징(112)의 하부에 있는 평평한 통풍기(114)를 도시한다. 기포는 상기 통풍기(114)로부터 상승하고 유로 튜브(122)를 전반적으로 둘러싼다. 적절한 유압 기구를 유입구(130)에 연결하여 기포를 발생시킨다.
물은 구멍(120)을 통하여 하우징(112)에 직접 제공된다. 가열기(116)위의 물을 비등시킴으로써 발생된 수증기는 하우징(112) 바닥의 하부 격실(124)과 하단부에서 소통하는 유로를 구획하는 개방 상부 튜브(122)로 진입 통과하여 흐른다. 튜브(122)는 열교환을 더 많이 하기 위해서 나선형 또는 꼬불꼬불한 형태로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작동시, 통풍기(114)를 가동하면, 기포가 공간(118)에서 상승하게 되고 상기기포는 가열기(116)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가열기는 그 근처의 물을 비등시킨다. 상기 수위 위의 공간(118)으로 기포가 유동하면 증기압이 형성되어 튜브(122)의 개방 상부로 수증기가 진입하여 상기 튜브를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하는 동안 상기 튜브를 감싸고 있는 물과 유체 흐름 사이에 열이 교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증기는 증류물로 응축하게 되어 하부 격실(124)로 낙하되고, 여기에서 통로 또는 튜브(126)를 통하는 것과 같이 상기 증류물을 주기적으로 취할 수 있다.

Claims (28)

  1. 하우징 내에서 예정된 준위로 액체를 수용하는 구획부를 형성하는 수단(상기 하우징은 상기 액체 준위 위에 상부 공간을 가짐); 상기 하우징의 하단 부근에 유체를 수용하는 격실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상부 공간과 상부 하부 격실 사이에서 연장되며 또한 그들과 유체 소통 상태로 연장된 유로를 구획하는 수단; 하우징 내에서 액체의 상부 준위 근처 및 그 아래에서 액체를 가열하여 상기 상부 공간에 액체 증기를 형성시키는 수단; 및 액체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가열기 아래 공간에서 액체에 통기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액체 증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 수단 및 구획 수단이, 공간을 다수개의 액체-수용 구획부 및 다수개의 유로로 분할하는 거의 수직인 다수개의 판을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쌍의 인접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유로가 포함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에 형성된 제1벽감(recess)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가 상기 제1벽감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판에서 제1벽감 아래로 제2벽감이 있고, 상기 통풍기가 상기 제2벽감에 있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한쌍의 마주보는 면을 가지고, 각 판의 한면이 그위에 다수개의 돌출부를 가져 상기 판의 면들을 지나 유체를 유동시키는 꼬불꼬불한 유로를 형성시키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판의 상부 모서리와 하부 모서리 사이에서 수평으로 엇갈려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한쌍의 마주보는 가로면 및 한쌍의 마주보는 세로면을 구비하고, 상기 판은 세로면과 거의 평행하고 가로면에 거의 수직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구획부와 열교환 관계에 있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하우징이 원통형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외벽과 떨어져 있는 동일 중심의 다수개의 원통형 내벽을 가지고, 상기 벽들 사이의 공간은 상기 유로 및 상기 구획부를 제공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가 상기 구획부에서 고리형 몸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내벽과 거의 동일 중심을 갖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기가 구획부내의 하부 근처에서 고리형 몸체를 가지고, 상기 고리형 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과 거의 동일 중심을 갖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내부 공간과 유체 소통되는 상부 개구부를 갖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원통형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튜브가 있고, 상기 튜브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부 공간과 유체 소통되는 상태이고, 상기 튜브의 하단은 상기 하부격실과 유체 소통되는 상태이고, 상기 튜브는 유로를 구획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원통형 외벽을 가지고, 상기 가열기는 상기 하우징의 중심축과 거의 일치하는 중심축을 가진 휘어 있는 몸체를 갖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벽과 거의 동일 중심을 가진 휘어진 몸체를 갖는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액체를 상기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유통 수단을 가져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준위로 유지시키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공기압 공급원과 연결되어 있는 장치.
  18. 액체 컬럼의 저준위 근처지점에서 대량의 액체에 통기시키고, 상기 액체가 통기됨에 따라 상부 준위근처의 상기 대량의 액체를 가열하여 상기 액체 준위 위의 공간에서 액체 증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액체 증기를 액체 컬럼과의 열교환 관계로 이동시켜 상기 액체를 응축시켜 응축물을 형성시키고, 상기 응축물을 수집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액체의 증류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액체 컬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 단계는 상기 액체 컬럼의 하단 근처에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액체 컬럼을 제공하는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 단계는 각 액체 컬럼에서 기포를 각각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가 상기 각 액체 컬럼의 상단 근처에서 액체를 각각 가열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 상승 단계가 상기 액체 준위 위의 공간과 응축물 격실을 유체 소통시키는 다수개의 수직 및 꼬불꼬불한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액체 컬럼과 열교환 관계에 있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컬럼 및 유로가 원통형인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액체 컬럼과 동일 중심을 갖는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액체 컬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가열 대역이 상기 액체 컬럼과 동일 중심을 갖는 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통기 대역이 상기 액체 컬럼과 동일 중심을 갖는 방법.
KR1019890008332A 1988-06-16 1989-06-16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KR970010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757288A 1988-06-16 1988-06-16
US207,572 1988-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105A KR900000105A (ko) 1990-01-30
KR970010160B1 true KR970010160B1 (ko) 1997-06-21

Family

ID=2277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332A KR970010160B1 (ko) 1988-06-16 1989-06-16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347244B1 (ko)
JP (1) JP2800836B2 (ko)
KR (1) KR970010160B1 (ko)
CN (1) CN1024760C (ko)
BR (1) BR8902926A (ko)
CA (1) CA1322986C (ko)
DE (1) DE68912210T2 (ko)
ES (1) ES2050236T3 (ko)
GB (1) GB2219752B (ko)
HK (1) HK139293A (ko)
MX (1) MX170944B (ko)
PH (1) PH27508A (ko)
SA (1) SA90100119B1 (ko)
ZA (1) ZA8945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92B1 (ko) * 2007-03-28 2008-02-12 한국해양연구원 증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7378C2 (de) * 1996-11-15 1998-08-06 Georg Dipl Ing Litinas Apparat und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Wirkungsgrades eines Verdampfungsprozesses
US20040231970A1 (en) * 2003-05-21 2004-11-25 Lang Chou Fluid distill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efficiency
EP1845070B1 (en) 2005-02-03 2012-10-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WO2009035081A1 (ja) 2007-09-12 2009-03-19 Sekisui Chemical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WO2018010027A1 (en) * 2016-07-12 2018-01-18 Bioturbine Systems Inc. Water distillation system and method of distilling wa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16867A (fr) * 1937-01-25 1937-08-19 Procédé et appareil permettant d'extraire de certains liquides des parties volatiles
US3240683A (en) * 1962-05-02 1966-03-15 Pactide Corp Distillation apparatus useful for treating sea water to produce potable water
US3779871A (en) * 1969-03-07 1973-12-18 Aluminum Co Of America Method of multiple effect evaporation
JPS5129621Y2 (ko) * 1971-07-26 1976-07-26
GB1569729A (en) * 1978-05-30 1980-06-18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Vapourisation bubbler
JPS5667574A (en) * 1979-11-07 1981-06-06 Kunio Saito Method for collecting fresh water from sea water
US4595460A (en) * 1983-09-12 1986-06-17 Hurt Charles F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distillation with energy recovery
JPS6125601A (ja) * 1984-07-14 1986-02-04 Hitachi Kiden Kogyo Ltd 有機溶剤の回収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92B1 (ko) * 2007-03-28 2008-02-12 한국해양연구원 증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822270D0 (en) 1988-10-26
SA90100119B1 (ar) 2004-07-26
ZA894520B (en) 1990-05-30
DE68912210T2 (de) 1994-08-04
MX170944B (es) 1993-09-22
JPH0256295A (ja) 1990-02-26
KR900000105A (ko) 1990-01-30
EP0347244A3 (en) 1990-02-14
GB2219752A (en) 1989-12-20
JP2800836B2 (ja) 1998-09-21
CN1038589A (zh) 1990-01-10
CN1024760C (zh) 1994-06-01
DE68912210D1 (de) 1994-02-24
HK139293A (en) 1993-12-31
EP0347244B1 (en) 1994-01-12
GB2219752B (en) 1992-05-06
ES2050236T3 (es) 1994-05-16
BR8902926A (pt) 1990-02-06
CA1322986C (en) 1993-10-12
EP0347244A2 (en) 1989-12-20
PH27508A (en) 199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82921A1 (en) Systems including a condensing apparatus such as a bubble column condenser
KR100232014B1 (ko) 증류 장치
RU20720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 крайней мере частичного выпар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посредством теплоотдающего пара
US4976824A (en) Water distillation and aeration apparatus
JPH0677728B2 (ja) 廃液濃縮器および廃液処理装置
US4329204A (en) Multiple effect thin film distillation system
US20190344193A1 (en) Distillation apparatus with cartridge and use thereof for distilling water
US20120055776A1 (en) Multi effect distiller with falling film evaporator and condenser cells
KR970010160B1 (ko) 증류 장치 및 증류 방법
KR102478955B1 (ko) 판형 열 교환기, 열 교환 판 및 해수 등의 공급물을 처리하는 방법
US5030327A (en) Distillation and aeration method
KR100858669B1 (ko) 증류장치 및 방법
EP1340527B1 (en) Evaporator with heat surface formed by an open, descending channel in the shape of a concentric spiral
IL24856A (en) Evaporators for distillation of sea water and other liquids
US3515645A (en) Evaporator-condenser unit for a distillation system
KR20170114690A (ko) 태양열을 이용한 담수화장치
US4265701A (en) Liquid concentration method
JP4155871B2 (ja) 減圧蒸発濃縮装置
NO324285B1 (no) Apparat for a rense vaeske i form av damp fra et kretslop.
US3403719A (en) Multi-effect evaporation system
CN113023993A (zh) 一种化工废水零排放的处理***
RU213322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акуум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алюминатных растворов
US329074A (en) Liquids
US20150041306A1 (en) Fresh water generator
JPH02218402A (ja) 蒸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