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278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278B1
KR970008278B1 KR1019880008437A KR880008437A KR970008278B1 KR 970008278 B1 KR970008278 B1 KR 970008278B1 KR 1019880008437 A KR1019880008437 A KR 1019880008437A KR 880008437 A KR880008437 A KR 880008437A KR 970008278 B1 KR970008278 B1 KR 97000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reflecting plate
adjusting member
illumin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603A (ko
Inventor
히데아끼 가도
노부히사 노구찌
유다까 기구찌
이사무 가네고
도시아끼 스기모도
하루데루 기다하라
호시데루오
미노루 스즈끼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요꼬다 마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697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42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748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160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4748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089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5280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02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81121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141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19734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025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076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12559U/ja
Priority claimed from JP9712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1368Y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요꼬다 마꼬도 filed Critical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08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coloured light, e.g. monochromatic; for reducing intensity of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1/00Screens not covered by groups F21V1/00, F21V3/00, F21V7/00 or F21V9/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조명장치
제1도는 종래의 조명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상기 조명장치의 휘도분포를 표시한 그래프.
제3도는 다른 종래의 조명장치에서 사용되는 형광관의 사시도.
제4도는 다른 종래의 조명장치의 휘도분포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5도는 또 다른 종래의 조명장치에서 사용되는 차광관의 평면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제7도는 동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량조정부재의 사시도.
제8도는 동실시예의 휘도분포를 표시하는 그래프.
제9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10도는 동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량조정부재 및 저반사율부의 형상표시도.
제11도 내지 제15도는 모두 상기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광량조정부재의 다른 형상 표시도.
제16, 제17도는 모두 다른 저반사율부의 형상 표시도.
제18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19도는 동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형광관의 단면도.
제20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의 조명장치에서 사용되는 형광관의 사시도.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모두 제4실시예의 형광관상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의 다른 예의 표시도.
제25도는 이 발명의 조명장치에 의한 제5실시예의 사시도.
제25도는 동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형광관의 사시도.
제26도,제27도는 모두 상기 형광관 끝부분의 단면도.
제28도는 상기 형광관의 위치결정기구의 단면도.
제29도 내지 제32도는 모두 위치결정기구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33도, 제34도는 각각 다른 위치결정기구의 평면도.
제35도,제36도는 각각 반사판상으로의 저반사음의 형성을 용이하게한 반사판본체의 단면도이다.
이 발명은 조명장치로서 특히 균일한 휘도의 면광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면광원 조명장치는 제1도와 같이 평면 또는 곡면의 반사판(1)상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형광관등의 직성상의 광원(2)을 배치하고 또한 직선상의 광원(2)에 대하여 반사판(1)의 반대측에 확산판(3)을 배치한 것이다.
이와같은 조명장치중 예를 들면 하나의 직선상의 광원을 사용한 조명장치는 확산판상에서의 휘도가 제2도와같은 분포로서 광원(1)에 가까운 중앙부가 가장 휘도가 크고 주변에 갈수록 휘도가 점차 감소되며 확산판(3)상전체에 걸쳐 균일한 휘도는 아니다.
특히 조명장치는 박형으로 하기 위하여 광원(2)과 확산판(3)을 접근시킬 경우 광원(2)에서 상방으로 발광되어 직접확산판(3)에 도달하는 광선에 의하여 확산판(3)중 광원(2)의 바로위부분의 휘도가 특히 크게 된다.
그 때문에 광원에서 상방으로 향하는 빛을 감소시켜서 확산판상의 휘도분포가 균일하게 되도록 시도되었다.
이와같은 것의 종래에는 일본실개소 61-90106호 공보에 기재된 조명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직선상의 광원인 형광관의 위쪽부분(확산판에 가까운 부분)에 제3도와 같이 일정폭의 선상의 차광부(4)를 단속적으로 다수 설치한 것이다.
이 종래에는 차광부에 의해, 광원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빛의 일부가 차단되며 이에 의하여 직선상의 광원의 바로 위부분인 확산판중앙부에 도달하는 빛이 감소하고 이 중앙부의 휘도는 감소한다.
그러나 이에 인접한 바깥쪽부분의 휘도는 크며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휘도분포가 되고 확산판상에서의 휘도분포는 그다지 균일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종류의 조명장치의 다른 종래예로서 일본특개소 55-13300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조명장치는 확산판과 광원사이에 제5도에 표시한 흑점등의 점상의 차광부(5)를 적당한 밀도로 분포시킨 광량조정판(6)을 배치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확산판상의 휘도가 높은 부분으로 도달하는 빛을 감소시켜서 비교적 균일한 휘도분포로 하려는 것이다.
상기 종래예의 조명장치는 확산판상에서의 휘도분포가 어느정도 균일하게 되지만, 조명장치를 조립할때 광원과 광량조정판의 간격정도(精度)를 정확히 하지 않으면 이 간격의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고 또한 복수의 광원을 가진 조명장치의 경우 광원의 관면휘도의 차에 따라 광량조정부재의 점상차광부의 분포상태 밀도등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며 그로인한 조정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판과 반사판의 위쪽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직선상의 광원과, 이 직선상의 광원에 대하여 반사판의 반대측에 배치된 확산판과, 직선상의 광원표면 또는 직선상의 광원과 확산판사이에 배치된 광량조정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박형이며 확산판상의 휘도가 균일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의 조명장치는 광량조정수단으로서,
(1) 광원의 적어도 확산판에 가까운 부분을 덮는 광투과부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부분을 교대로 갖춘 광량조정관을 방사판과 일체로 구성한것.
(2) 광원관 상면의 최상부에 차광작용이 큰 차광부를 설치한것.
(3) 광원관상부에 형성한 차광부외에 반사경의 광원직하 또는 그 근처에 반사율이 낮은부분을 형성한 것.
(4) 광원관의 상면에 설치되어 양끝부분부근을 연결하는 연속된 도전성재료로되는 차광부를 설치함으로써 광원관의 트리거코트를 겸용한것.
(5) 반사판의 광원직하 및 그 근처에 도전성재료로되는 저반사율부분을 형성한 것으로 광량조정수단과 광원관의 트리거코트를 겸용한것. 그리고
(6) 광원관의 상면에 광량조정부재를 형성한 것에 더하여 상기 광량조정부재가 확산판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형광관을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다음은 이 발명은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6도, 제7도는 이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으로 제6도는 일부를 파단하여 표시한 사시도, 제7도는 그 광량조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11은 평면상의 저면부(11a)와 양끝부분 및 중간부분에 경사면(11b)으로 되고 그들의 내면이 경면(鏡面)인 반사판, 12는 반사판(11)의 저면부(11a)의 중앙에 위부분에 위치하고있는 선상의 광원, 13은 광원(12)에 대하여 반사판(1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확산판, 14는 광원(12)의 확산판(13)측을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반사판(11)과 일체로 형성된 광량조정부재이다.
상기 광량조정부재(14)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선상의 광원(12)의 적어도 확산판(13)의 상측을 덮도록 그 내면변측이 단면원호상의 오목부를 가지며 외관은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 광량조정부재에는 그 상측(확산판 13측)에 임의의 형상크기의 다수의 개구(14a)가 임의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각 개구(14a)간의 부분(14b)의 외부표면은 반사면으로 되어있다.
즉 차광부(14a)와 불투광부(광이 투과하지 않는 부분)(14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광량조정부재는 (14)는 그 하부에서 반사판(1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광량조정부재(14)의 투광부(14a)의 폭(면적)과 불투광부(14b)의 폭(면적)은 광원(12)의 밝기, 광원과 확산판(13)과의 간격, 사용목적 기타에 의하여 적의선택된다.
또 광량조정부재(14)의 측면에는 구형상의 개구(1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에서는 광원(12)에서 발광되어 위쪽으로 향하는 빛은 광량조정부재(14)에 의하여 약화된 후에 확산판(13)상에 도달한다.
즉 광원(12)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빛은 그 일부가 개구(14a)를 통과하지만 일부는 불투광부(14b)에서 차단된다.
이에따라 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광원(12)과 확산판(13)이 접근하고 있어도 확산판(13)의 광원(12)에 가까운 부분이 특히 휘도가 높게되는 일은 없다.
또 광원(12)의 측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향하는 빛은 광량조정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개구(14c)를 투과하여 확산판(13)상의 광원(12)과 반사정(11)의 경사면(11b)의 중간부분으로, 또 경사면(11b)에서 반사된 후에 확산판(13)의 끝부분 또는 광원과 광원의 중간부분에 도달하고 확산판(13)상에서는 제8도와같이 전체로서 대략 균일한 휘도가 된다.
이 실시예의 반사판(11)과 광량조정부재(14)는 제6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형상에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하고 이 성형품은 알루미늄등을 전체에 걸쳐서 한번 증착함으로써 간단히 만들 수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반사판(11)과 광량조정부재(14)가 일체로된 반원통형상부분의 오목부에 선상의 광원(12)을 배치함으로써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광량조정부재의 표면도 반사면이지만 이것을 흑색의 광흡수면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광량조정부재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한 영향이 없기 때문에 광원과 확산판(13)을 극단적으로 접근시켜도 확산판상의 휘도는 균일하게되므로 한층 얇은 조명장치로할 수가 있다.
이 흑색의 광량조정부재를 반사판과 일체로 만들기위하여는 흑색수지로서 전체를 일체성형하고 그후 광량조정부재의 부분을 즉 반원통영상 부분을 마스크하여 알루미늄등을 증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백색수지로 반사판과 광량조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고 같은 방법으로 반사판의 반사면판을 알루미늄 등으로 증착하면은 표면이 백색의 광량조정부재로 형성된다.
이 광량조정부재는 백색표면에서의 반사광의 산란광이므로 광원과 확산판이 비교적 떨어져 있는 조명장치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다음에 투명한 재료로 반사판과 광량조정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개구(14a)(14c)를 설치하지 않아도 불투광부(14b)의 부분을 반사면, 흑색면, 백색면으로하고 또 반사판(11)이 되는 부분에 반사면을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반원통형상부분의 불투광부(14b)이외는 재료가 투명하며 투광부가된다.
또 불투광부(14b)를 반투명으로 하여도 같은 광량조정효과를 얻게되며 또한 반원통형상부분의 위쪽부분을 전체적으로 반투명으로함으로써도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제9도는 이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로, 11은 반사판, 12는 직선상의 광원, 13은 확산판으로 이들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5는 직선상의 광원인 형광관(12)의 상부표면상에 설치한 광량조정부로 예를 들면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단속적인 모양의 차광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차광막은 형광관상에 흑색의 재료를 직접 도포하든가 흑색모양을 그린 투명시트를 형광관상에 붙임으로써 형성된다.
16은 광흡수물질등으로된 저반사율부로 반사판(11)상의 직선상광원(12)의 직하부근에 설치되어있다. 또 그 형상은 예를 들면 제10도와 같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예를들면 광선(ℓ1)과 같이 직선상의 광원(12)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빛은 그 일부가 광량조정부(차광모양)(15)에 의하여 차단되기 때문에 광량이 감소한다.
또 광선(ℓ2)과 같이 광원(12)의 직하부근에서 반사되는 빛은 저반사율부(16)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광량이 감소된다.
이와같이 직선상의 광원(12)에서 위쪽으로 향하여 확산판(13)의 중앙부(13a)에 도달하는 빛이나, 직선상의 광원(12)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비스듬한 위쪽으로 반사되고 확산판(13)상의 중앙부(13a)에 인접하는 부분(13b)에 도달하는 빛은 모두 광량이 감소한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확산판(13)상의 중앙부(13a) 및 그 인접부(13b)에 도달하는 광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확산판(13)상에 휘도분포를 한층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차광모양(15)은 일정폭, 일정길이의 장방형상의 것을 일정간격마다 단속적으로 배치한 것이라도 된다.
그러나 직방형상의 단속모양의 경우 형광관상부의 광량조정부(차광모양)(15)의 부분과 형광관측부의 광량조정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광량의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
이에따라 확산판(13)상에 직선상의 광원에 평행인 선상의 휘도의 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차광부로된 단속모양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 광량조정부의 모양으로서는 제10도에 표시한 것이외에는 제11도 내지 제15도에 표시한 것이라도 좋다.
제11도에 표시하는 광량조정부의 모양은 마름모꼴모양의 차광부를 다수 일정간격마다 정렬한 것이며 제12도에 표시한 모양은 사다리꼴모양을 2개 합친 상의 차광부를 다수 정열한 것이다.
이들 제11도, 제12도의 모양은 모두 형광관의 최상부가 폭이넓은 관의 측부로감에 따라 폭이좁게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차광모양을 설치한 직선상의 광원은 위쪽으로 향하는 광량이 가장적고 관측부로 감에따라 광원으로부터의 광량은 점차 증대한다.
제13도에 표시하는 차광모양은 격자상으로 형광관의 최상부가 가로방향의 줄무늬밀도가 크며, 관의측부로 감에따라 가로방향의 줄무늬의 밀도가 작게 되어있다. 따라서 형광관의 상부는 차광되어있지 않는 공간이 작고 관측부로 감에따라 점차공간이 크게된다. 그 때문에 형광관의 최상부의 광량이 최소이며 측부로 감에 따라 광량은 점차 크게된다.
제14도에 표시하는 차광모양은 격자상의 것으로 가로줄무늬의 굵기를 변화시킨 것이다. 즉 형광관상부가 가장굵고 관측부로 감에따라 점차 가늘게 된다. 이에따라 제13도의 모양과 실질적으로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제15도는 길이가 다른선에 의하여 차광모양을 형상한 것이다.
이 차광모양에 의하여 형광관측부에서의 광량이 장소에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확산판상에서의 선상의 휘도의 얼룩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외에 형광관의 상면부분을 반투과면으로한 광량조정부로하고 그 투과율을 형광관의 최상부에서 측부에 걸쳐 점차증대하도록 하여도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제10도 내지 제15도에 표시하는 차광모양에 투과율의 변화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수의 흑점을 형광관 위쪽부분에 설치하고 그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반사판(12)상에 형성한 저반사율부의 형상도 제10도에 표시한 것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장방형상의 것이라도 된다. 그러나 장방형상의 경우 높은 반사율의 반사판(11)과 저반사율부(16)의 경제가 직선상이기 때문에 확산판(13)상에 직선상의 휘도얼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저반사율부(16)형상의 다른예로서 제6도와 제17도에 표시한 것이 있다.
제16도에 표시하는 저반사율은 일정학폭 t'1선상의 광흡수재료등으로된 저반사율막을 일정간격 t'2마다 배치한 것이다.
제17도에 표시하는 저반사율부는 타원형상의 것을 일정간격마다에 배치한 것이다.
이상 기술한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광량조정부나 저반사율부중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단속모양의 것은 폭 t' 또는 t'1및 간격 t2또는 t'2의 선택에 의하여 광량조정부의 투과광량 또는 저반사율부에서의 반사광량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t1, t2, t'1, t'2의 적절한 선택에 의하여 확산판상에서의 휘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18도는 이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9도와 같이 직선상의 광원인 형광등(12)의 상부 표면에 형성하는 광량조정부(14)로서 반사층(17)을 통하여 광흡수층 또는 저반사율층(18)을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조명장치는 광원(12)에서 발광되어 위쪽으로 향하는 빛증 광량조정부(14)의 존재하지 않는 부분으로 향한 빛은 ℓ1과 같이 직접 확산판(13)에 도달한다.
그러나 광량조정부(14)의 존재하는 부분으로 향한 빛은 그 광원측의 층인 반사층(17)에 의하여 반사되며 또한 광선 ℓ2와 같이 반사판(11)에서 반사되어서 확산판(13)으로 향한다.
이와같이 광원(12)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빛은 다른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가 광량조정부(14)에 의하여 커트되기 때문에 확산판(13)의 중앙부만이 특히 밝게되는 일은 없으며 확산판(13)상의 휘도분포는 비교적 균일하게 된다.
더구나 이 커트되는 빛은 반사층(17)에서 반사되어 광선 ℓ2와같이 확산판(13)상의 주변부에 도달하므로 광량의 손실이 없으며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광흡수층(18)에 광택이 있는 경우 그 표면에서 반사한 빛이 확산판(13)의 특히 중앙부등으로 도달하며 휘도얼룩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광흡수층(18)은 미세한 다수의 요철을 가지는 면으로 하여 광택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흡수층(18)으로서는 흑색도료를 도포한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광원을 점등하지 않을때에 광량조정부재의 패턴이 확산판을 통하여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는 백색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백색도료의 경우도 광택이 없는 면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실시예의 광량조정부의 패턴은 제10도 내지 제15도에 표시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의 모든 패턴이 채용가능하다.
제20도는 이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는 직선상 광원인 형광관상에 형성되는 광량조정부가 다른 실시예와 상이하며 기타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면에서 형광관만이 표시되고 있다.
이 도면에서, 21이 광량조정부이며, 다른 실시예와 달리 도전성재료로 되고 또 형광관(12)의 한쪽끝부분(20) 또는 그 근처에서 다른끝부분(20) 또는 그 근처까지 모두 접속된 형상이다.
이에따라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광량제어부에 의하여 확산판상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형광관의 트리거코트의 역할도 겸할 수가 있다.
제21도, 제22도, 제23도는 모두 이 제4실시예의 광량조정부(21)의 다른 패턴표시도이다.
이들 패턴도 도전성 재료로 형광관의 한 끝부분에서 다른 끝부분까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패턴외에 기술한 단속적인 패턴을 접속한 형상의 광량조정부라도 괜찮다.
이 실시예와 같이 광량조정부를 도전성재료로 구성하고 트리거코트를 겸하도록 한 경우 광량조정부를 형광관에 형성하는 경우에 단지 관의 중심선에 평행으로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와 같이 트리거코트를 가진 형광간에 광량조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광량조정부재의 위치결정이 쉽다.
다음에 제9도등에 표시되어 있는 저반사율부(16)에 트리거코트를 겸용시키는 일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저반사율(16)를 도전성재료로서 구성하면 된다. 이와같이 저반사율부를 도전성재료로 하면 형광관이 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형광관에 트리거코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 저 반사율부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카본, 알루미늄, 동등을 함유한 인쇄잉크가 사용된다.
이와같이 저반사율부에 트리거코트를 겸용시킨 경우도 형광관에 광량조정부를 형성하는 경우의 위치결정은 용이하게 된다.
제24도는 이 발명의 조명장치의 제6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발명의 조명장치중 형광관상에 광량조정부재를 형성한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조립시 광량조정부재가 확산판측으로 똑바로 향하게 형광관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 형광관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한 것이 제6실시예이다.
제24도에서, 22는 조명장치본체, 23은 위치결정부(23a)를 가진 보존판이며, 본체(22)내에 반사판(11)이 부착되고 또 보존판(23)에 광량조정부재(14)를 설치한 형광관(12)이 보존되고 또한 도시생략하였지만 본체(22)상에는 확산판이 배치되어서 조명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형광관(12)은 제25도와같은 구성의 것으로 그 끝부분(24)이 평면부분(24a)이 있는 형광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25는 리드선이다. 이와같이 형광관(12)의 끝부분(24)에 평면부(2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8도와 같이 이것을 보존판(23)의 위치결정부(23a)에 삽입하여 형광관(12)을 지지하면 형광관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보존된다. 또 설치후에 형광관이 회전하여 광량조정부재(14)의 위치가 벗어나는 경우도 없다.
형광관 끝부분 형상은 제27도와같이 평면이 일면만이라도 된다. 제29도 내지 제34도는 각각 형광관의 위치결정수단의 다른예 즉 보존판(23)의 위치결정부와 형광관끝부분의 형상의 조합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29도의 예는 형광관끝부분(24)의 아래쪽이 평면이고 이것과 보존판의 위치결정부의 면이 바르게 위치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제30도의 예는 형광관끝부분은 v자상(24b)으로하고 보존판(23)의 위치결정부를 v홈(23b)으로 한 것이다.
제31도의 예는 형광관끝부분에 오목부(24c)를 설치하고 이것과 보존판(23)에 설치한 돌기부(23c)에 의하여 위치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제32도의 예는 형광관끝부분에 설치한 구멍(24d)와 보존판(23)의 핀(23d)으로서 위치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제33도의 예는 형광관끝부분의 양측에 형성한 오목부(24e)와 보존판(23)에 설치한 2개의 핀(23e)에 의하여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제34도는 형광관끝부분(24)의 선단(24f)를 얇게하며 보존판(23)의 동일형상의 받이(23f)로 위치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33도, 제34도는 모두 위쪽에서 본 도면이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직선상의 광원인 형광관 직하의 반사판상에 설치되어 있는 저반산율부는 반사판의 소정위치에 저반사음물질을 도포하거나 저반사율부의 시트를 붙여서 형성된다.
이 저반사율부는 조명장치를 조립시에 형광관의 직하에 오도록 정확하게 위치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요구에 적합하며 또한 간단한 저반사율면 형성수단으로서 다음 수단이 있다.
반사판을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제3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저반사율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돌기부(25)가 있는 반사판본체(26)를 형성한다. 다음에 반사판본체(26)의 표면(26a)에 알루미늄층을 형성한다. 또한 돌기부(25)를 절삭함으로써 돌기부(25)부분만 알루미늄층이 절삭되어 저반사음의 합성수지가 나타나 이것이 저반사율부가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절삭면은 미세한 다수의 요철을 가지는 면이 되므로 바람직하다. 다른 수단으로서 제36도와같은 형상의 저반사율부를 형성하는 위치에 오목부(27)가 있는 반사판본체(26)를 합성수지로 성형하고 이 오목부(27)에 저반사율의 테이프를 붙이고 그외의 알루미늄등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저반사율부가 형성된다.
제3반사율부 형성수단은 다음과 같다. 반사판본체의 저반사율부를 형성하는 개소에 핫스템프방식등에 의하여 테이프를 붙이고 그 위에 반사판본체의 표면상에 알루미늄등의 층을 형성한다.
그후 테이프를 벗겨서 반사판본체의 원표면을 노출시켜 저반사율부로 한다. 이 수단의 변형예로서 박리용 테이프와 금속층을 구성하는 금속박을 일체로한 리본을 형성하고 이것을 반사판본체에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 인서트몰드(insert mold)방식에 의하여 경면을 일체로 성형한다.
성형후 테이프를 박리하므로서 반사판의 소정위치에 저반사율부를 형성한다. 제4의 저반사율부 형성수단은 반사판본체의 알루미늄등의 금속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저반사율부와의 경계에 표시를 붙여 이 표시에 따라 저반사음의 테이프를 붙이는 것이다.
표시를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금속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마스크를 사용하면 된다.
또 반사판본체를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경우에 선상의 오목부 또는 선상의 돌기부를 형성하여 이것을 표시로 한다.
또 반사판본체의 표면에 금속박 리본을 인서트몰드방식이나 핫스템프방식등에 의하여 붙이므로 반사판을 형성하는 경우는 리본에 표시를 붙여두면 된다.
이상 설명한 이 발명의 조명장치는 광량조정수단이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그 차광부분의 형광배치의 선택에 의하여 확산판상에서의 휘도분포를 지극히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상에 저반사율부를 형성함으로써 한층 균일한 휘도분포를 얻게 된다.

Claims (14)

  1.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적선상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반사판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확산판과, 상기 광원을 덮고 상기 반사판과 그 상부에 투광부와 불투광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광량조정부재를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정부재는 그 상부에 다수의 개구를 설치한 불투광부이며 상기 개구가 투광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정부재는 상부가 반투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광량조정부재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상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하여 상기 반사판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확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량조정부재가 상기 광원의 최상부에서 폭이 넓고, 측부로 감에 따라 폭이좁은 형상의 것을 단속적으로 배치한 차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마름모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정부재가 격사상의 차광막이며, 그 최상부의 차광면적이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정부재는 최상부의 밀도가 최대인 다수이 흑점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정부재는 최상부의 차광면적이 크고, 측부의 차광면적이 작은 광원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접속되어있는 도전성 재료로된 차광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광원직하부분에 저반사율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율부가 도전성 재료층으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반사율부는 돌기부가 있는 반사판본체에 반사층을 설치한 후, 상기 돌기부를 절삭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이 반사판본체의 오목부에 저반사율층은, 오목부이외에 반사층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에 위치결정수단이 있는 2개의 보존판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상기 광량조정부재가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원을 그 양단에서 보존판으로 보존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19880008437A 1987-07-09 1988-07-07 조명장치 KR970008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69728 1987-07-09
JP62169728A JP2584234B2 (ja) 1987-07-09 1987-07-09 照明装置
JP???62-147482 1987-09-29
JP1987147482U JPH0631605Y2 (ja) 1987-09-29 1987-09-29 照明装置
JP1987147483U JPH0650891Y2 (ja) 1987-09-29 1987-09-29 照明装置
JP???62-147483 1987-09-29
JP???62-152808 1987-10-07
JP1987152808U JPH0530254Y2 (ko) 1987-10-07 1987-10-07
JP18112187U JPH0451417Y2 (ko) 1987-11-30 1987-11-30
JP???62-181121 1987-11-30
JP???62-197346 1987-12-28
JP1987197346U JPH0530253Y2 (ko) 1987-12-28 1987-12-28
JP1988007692U JPH01112559U (ko) 1988-01-26 1988-01-26
JP???63-7692 1988-01-26
JP971288U JPH0451368Y2 (ko) 1988-01-29 1988-01-29
JP???63-9712 1988-01-29
JP???93-9712 1988-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603A KR890002603A (ko) 1989-04-11
KR970008278B1 true KR970008278B1 (ko) 1997-05-22

Family

ID=2757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437A KR970008278B1 (ko) 1987-07-09 1988-07-0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5038259A (ko)
EP (1) EP0298492B1 (ko)
KR (1) KR970008278B1 (ko)
CA (1) CA1333710C (ko)
DE (1) DE385302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8278B1 (ko) * 1987-07-09 1997-05-22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조명장치
JPH05503226A (ja) * 1989-06-09 1993-06-03 アーブ ヘッカー 自然光見せかけ窓ユニット
US5523930A (en) * 1990-08-24 1996-06-04 Fritts; Robert W. Fluorescent backlit displays or the like
US5282117A (en) * 1990-08-24 1994-01-25 Fritts Robert W Light leveling means for fluorescent backlit displays or the like
FR2670561B1 (fr) * 1990-12-14 1994-06-10 Matfor Cloison lumineuse.
JP2575616Y2 (ja) * 1991-12-11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計器の指針装置
IL102898A (en) * 1992-08-21 1995-01-24 Nezer Daniel Lighting systems
US5440467A (en) * 1994-04-22 1995-08-08 Steelcase Inc. Task light
US5610477A (en) * 1994-04-26 1997-03-11 Mra Technology Group Low breakdown voltage gas discharge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operation
US5726446A (en) * 1995-10-31 1998-03-10 Hewlett Packard Company Line-focus system with a self-adhesive occluding aperture attached to a light source
DE29609669U1 (de) * 1996-02-08 1996-08-29 Philips Electronics N.V., Eindhoven Leuchte
US5760541A (en) * 1996-02-26 1998-06-02 Hewlett-Packard Company Electrode for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providing improved longitudinal stability of intensity striations
NL1004563C2 (nl) * 1996-11-19 1998-05-20 Simon Cornelis Van Putten Verlichtingsarmatuur.
JP3543910B2 (ja) * 1996-10-11 2004-07-21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IT1295866B1 (it) * 1997-10-22 1999-05-28 Pietro Maria Castiglioni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fungente da proiettore-diffusore di luce ad elevata intensita' luminosa
EP1111656A4 (en) * 1999-06-07 2007-03-2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DISCHARGE TUBE, DISCHARGE TUBE DEVICE AND IMAGE READER
US6796677B1 (en) 1999-07-23 2004-09-28 Everbrite, Inc. High intensity lamp
US7837361B2 (en) * 2000-07-14 2010-11-23 Ledalite Architectural Products Light control devices implemented with diffusers having controllable diffusion characteristics
DE10048409A1 (de) * 2000-09-29 2002-04-11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Entladungslampe mit kapazitiver Feldmodulation
GB0030301D0 (en) * 2000-12-12 2001-01-24 Indigitale Ltd Lighting apparatus
KR100857990B1 (ko) * 2002-08-05 2008-09-1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니트 구조
US20040165391A1 (en) * 2003-02-20 2004-08-26 Aetek Uv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lamp irradiance correction
JP2005011634A (ja) * 2003-06-18 2005-01-13 Nec Mitsubishi Denki Visual Systems Kk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US20050024881A1 (en) * 2003-07-30 2005-02-03 Jack Lin Shade structure of lamps
US7490961B2 (en) * 2004-02-17 2009-02-17 Focal Point, Llc System of, and method for, indirect lighting
JP4741913B2 (ja) * 2005-09-15 2011-08-10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8047673B2 (en) * 2007-04-10 2011-11-01 Philips Electronics Ltd Light control device exhibiting batwing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s in upper and lower hemispheres
RU2463517C2 (ru) * 2008-03-05 2012-10-1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US10302275B2 (en) 2013-06-19 2019-05-28 Bright View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structure-based diffusers for creating batwing lighting patterns
EP3011372B1 (en) 2013-06-19 2021-12-08 Bright View Technologies Corporation Microstructure-based optical diffuser for creating batwing pattern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WO2015013594A1 (en) 2013-07-26 2015-01-29 Bright View Technologies Corporation Shaped microstructure-based optical diffusers
US10030830B2 (en) * 2015-05-07 2018-07-24 Focal Point, Llc Diffuser for luminaire
JP2017012988A (ja) * 2015-06-30 2017-01-19 岩崎電気株式会社 光照射装置、及び光硬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062C (de) * 1924-10-16 1926-01-16 Siemens & Halske Akt Ges Lichtsignal mit parabolischem Reflektor
GB629266A (en) * 1946-08-10 1949-09-15 James Eldred Skewes Improvements in colour filters and projection apparatus for using such filters
DE863696C (de) * 1950-07-10 1953-01-19 Milan Stojkovitch Reflektor fuer Leuchtroehren
US3351409A (en) * 1963-06-12 1967-11-07 Irvin H Mcguire Light diffusion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US3349233A (en) * 1966-01-31 1967-10-24 Structural Electric Products C Inset paving light
JPS55133008A (en) * 1979-04-03 1980-10-16 Ono Gijutsu Kenkyusho:Kk Thin type shaukasten
US4267489A (en) * 1978-12-01 1981-05-12 Ohno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Company Limited Thin schaukasten
FR2476798A1 (fr) * 1980-02-25 1981-08-28 Cibie Projecteurs Feu, notamment pour la signalisation de vehicules automobiles
FR2477995A1 (fr) * 1980-03-13 1981-09-18 Cibie Projecteurs Feu, notamment pour la signalisation de vehicules automobiles
US4418378A (en) * 1981-03-05 1983-11-29 Plan Hold Corporation Light box
US4432044A (en) * 1981-03-26 1984-02-14 Steelcase Inc. Task lighting system
DE3113964C2 (de) * 1981-04-07 1984-02-23 Westfälische Metall Industrie KG Hueck & Co, 4780 Lippstadt "Innenleuchte für Fahrzeuge"
US4391847A (en) * 1981-10-19 1983-07-05 Edison International, Inc. Coating for halogen lamps
JPS6134188A (ja) * 1984-07-26 1986-02-18 Tipton Mfg Corp 化学研磨併用のバレル研磨法
JPS6190106A (ja) * 1984-10-09 1986-05-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の接続装置
JPS6240151A (ja) * 1985-08-14 1987-02-21 Hitachi Ltd 蛍光ランプ
ATE85413T1 (de) * 1985-10-08 1993-02-15 Whitecroft Plc Leuchten.
JPS6380460A (ja) * 1986-09-24 1988-04-11 Hitachi Ltd 紫外線ランプ
KR970008278B1 (ko) * 1987-07-09 1997-05-22 다이이찌 세이꼬 가부시끼가이샤 조명장치
JPH01137558A (ja) * 1987-11-25 1989-05-30 Hitachi Ltd フイルム被覆蛍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8492A3 (en) 1990-05-16
US5038259A (en) 1991-08-06
EP0298492B1 (en) 1995-02-15
DE3853024T2 (de) 1995-06-08
KR890002603A (ko) 1989-04-11
US5101330A (en) 1992-03-31
US5101331A (en) 1992-03-31
DE3853024D1 (de) 1995-03-23
US5105345A (en) 1992-04-14
EP0298492A2 (en) 1989-01-11
CA1333710C (en) 1994-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278B1 (ko) 조명장치
US11170950B2 (en) Keyboard backlight module with light-guide pattern, reflector pattern,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80335559A1 (en) Backlight unit and luminous flux control member for local dimming
US6174064B1 (en) Light guide panel and plane illuminator apparatus
US6259082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5641219A (en) Uniform illumination light emitting device
JP4004178B2 (ja) ライン照明装置
KR100420192B1 (ko) 도광판, 사이드 라이트형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EP0198088A1 (en) Lighting apparatus
US20060044825A1 (en) Lamp for vehicle
US7784978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CD unit
KR100402718B1 (ko) 각을 형성하면서 측면에 광을 주사하는 광원 엘리먼트
JPH0627376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20010050816A1 (en) Spread illuminating apparatus
US5144539A (en) Illumination device
US6742914B2 (en) Light having a non-uniform light emission
CN113260908A (zh) 显示装置、照明装置、导光部件及导光构造
JP3736822B2 (ja) 面発光装置
KR101933571B1 (ko)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
JP3417261B2 (ja) 照明装置
JPH08271895A (ja) 面光源装置
JP4152025B2 (ja) 線状光源ユニット
JP3758708B2 (ja) ライトボックス
JP2584234B2 (ja) 照明装置
US7410285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