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877B1 -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877B1
KR970006877B1 KR1019940001004A KR19940001004A KR970006877B1 KR 970006877 B1 KR970006877 B1 KR 970006877B1 KR 1019940001004 A KR1019940001004 A KR 1019940001004A KR 19940001004 A KR19940001004 A KR 19940001004A KR 970006877 B1 KR970006877 B1 KR 97000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base station
state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히사 마끼
다까아끼 아시이
마사끼 사또오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나까무라 노부히데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나까무라 노부히데, 도시바 에이브이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접속제어동작 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3도는 장치내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판정하기 위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4도는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이 판정된 내용을 나타내는 테이블.
제5도는 장치내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판정하기 위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6도는 장치내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판정하기 위한 제3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7도는 배터리전압과 배터리 소비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8도는 종래의 시분할다원접속(TDMA)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제9도는 TDMA 시스템에서 장치로 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신호포맷과 기지국으로 부터 장치로의 하향신호 포맷도.
제10도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장치의 일부와 배터리에 접속된 배터리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11도는 TDMA 시스템에서 배터리를 갖는 장치가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경우의 배터리전압과 배터리소비 시간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TDMA 시스템내의 장치의 전송파워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무선전화시스템 또는 휴대용전화시스템등 무선통신시스템에 사용하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장치내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통신장치는 크기와 무게가 감소되었다. 이 때문에 그 장치에 소형이고, 경량의 배터리가 요구된다. 몇종류의 소형 경량배터리가 공지되어 있다. 그중 하나는 리튬이온배터리이다(이하 Li-ion 배터리라 한다). 이 배터리는 니켈-카드뮴배터리(이하 Ni-Cd 배터리라 한다)보다도 체적당 에너지밀도가 크다. 또한 Li-ion 배터리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제7도는 배터리에 흐르는 소비전류가 일정한 경우에 배터리 소비시간에 따른 Li-ion 배터리와 Ni-Cd 배터리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제7도를 참조하면 Ni-Cd 배터리전압은 방전중에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한편 Li-ion 배터리전압은 방전이 계속됨에 따라서 감소된다. Li-ion 배터리 전압이 배터리 소비시간에 비례하여 감소되므로 Li-ion 배터리를 갖는 전체 소비시간으로 부터 경과된 소비시간을 감산하여 남은 소비시간을 얻는다. 이 남은 소비시간은 그 배터리의 에너지 잔량에 상당한다. 따라서 Li-ion 배터리 소비시간에 비례하여 Li-ion 배터러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배터리의 에너지 잔량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이 디지탈 무선 통신장치에 적용될 경우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디지탈 무선 통신장치는 통신시스템으로써 시분할다원접속시스템(TDMA 시스템이라고 칭한다)을 이용한다. 제8도는 TDMA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기지국(BS)은 서비스지역 E내의 휴대용무선장치(PS1, PS2, PS3)로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는 복수의 슬롯으로 되어 있다. 3종의 슬롯이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신호는 하향 무선주파수채널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각각의 휴대용장치(PS)는 3개의 슬롯중 하나의 슬롯이 할당되어 있다. 각각의 휴대용 장치는 하향할당 슬롯에 대응하는 기간동안에 하향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그 장치는 하향할당슬롯에만 포함된 정보를 추출한다. 휴대용장치(PS)는 상향신호를 상향무선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지기국(BS)으로 송신된다. 각 휴대용장치는 상향할당슬롯에 대응하는 기간동안에 상향신호를 송신한다.
제9도는 기지국(BS)과 휴대용장치(PS1)간의 상향슬롯 및 하향슬롯을 나타내고 있다. 제9도를 참조하면 휴대용장치(PS1)는 상향슬롯 #1을 사용하여 기지국(BS)으로 중간상향신호를 송신한다. 또 휴대용장치(PS1)는 하향슬롯 #1에 대응하는 기간동안에 하향신호를 수신한다. 상향 및 하향슬롯 #1을 여기서 송신슬롯 및 수신 슬롯이라고 칭한다. 하향슬롯 #2에 대응하는 기간동안에 장치(PS1)는 신호의 송수신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롯 @2에 대응하는 슬롯을 여기서 아이들 슬롯이라 칭한다. 상기 3종의 슬롯이 매프레임에 반복된다.
제10도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종래의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제10도를 참조하면 배터리는 내부저항(R)을 가지며, 각 섹션에 소정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회로에 결합되고, 또한 아날로그출력치를 디지탈출력치로 변환하는 A/D 콘버터에 결합되어 있다. 디지탈화면 배터리전압치(VDET)는 제어회로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배터리의 실제전압이 VL1로 그리고 배터리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IL1로 정의하며,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VDET=VL1-RIL1
상기 식에 의하면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은 배터리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IL1)에 따라서 변화한다.
휴대형 디지탈장치에서는 송신슬롯기간중에 배터리를 통하여 흐르는 평균전류는 450mA∼750mA이다. 한편 수신슬롯기간 및 아이들 기간중에 배터리를 통하여 흐르는 평균전류는 150mA이다. 즉,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기간 중에 흐르는 전류(IL1)는 수신 및 아이들 슬롯에 대응하는 기간중에 흐르는 전류보다도 훨씬 크다. 따라서 식(1)을 참조하면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기간중의 Li-ion 배터리 전압(VDET)은 수신 및 아이들 슬롯중의 전압보다도 훨씬 낮다. 제11도는 휴대용디지탈 전화통신장치에 설비된 배터리의 디지탈환 된 Li-ion 배터리전압(VDET)과 그 소비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프레임내의 송신슬롯(T)에 대응하는 기간중의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은 프레임중의 수신슬롯(R) 및 아이들슬롯(I)에 대응하는 기간중의 그것보다도 훨씬 낮다. 예를들면 시간(T1)에 디지털화 된 배터리전압(VDET)이 V1(V)이고, 시각(T1)후의 시각(T2)에 V2(V)라 하면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예측하는데 소정의 기준이 설정된다. 상기 예측이 V1(V)와 V2(V)간에서 행해져 기준을 사용하여 배터리에너지잔량을 판정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시간(T1)에 배터리 에너지의 잔량이 소정의 기준보다도 낮게 예측되고, 한편시간(T1)후의 시간(T2)에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은 기준보다도 높게 예측된다. 즉, 실제로 배터리가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에너지의 잔량이 너무 높은 레벨로 예측된다. 이런 종류의 에러는 휴대용디지탈 통신장치가 임의의 시간에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의 검출로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산출할 경우에 발생한다.
또,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의 기간중의 배터리전류소비는 서비스지역(E)내의 휴대용 장치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것은 제1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지기국(BS)로 부터의 장치의 거리에 따라서 휴대용장치의 송신파워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휴대용장치(PS)가 기지국(BS) 가까이에 있을 때에 장치의 송신파워는 작다. 장치(PS)가 기지국(BS)으로 부터 멀리 있을 때에 장치의 송신파워가 크다. 이 송신파워는 몇가지 값을 갖고 있다. 제11도에 나낸 것과같이 시간(T1)에서의 송신파워가 시간(T3)에서의 송신파워 보다도 높을 경우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시간이 경과되어 배터리 에너지가 감소됨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전압(VDET)이 V1∼V3간에서 증가되게 예측된다. 예측에 있어서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높게 예측된다.
따라서 송신슬롯을 포함하는 시간기간중에 배터리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행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내에 설비된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적의 예측할 수 있는 디지탈무선전화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들과 이점들은 다음 설명 및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과 이점들은 기재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부첨도면도음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 및 달성할 수 있다.
이들 목적 및 이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시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에 의해서 설정된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고, 배터리의 소비에 따라서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갖는 무선전화통신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 장치는 장치가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장치가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인식 수단에 응답하여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측정된 전압에 따라서 배터리 에너지의 잔량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반설명과 다음 상세설명 모두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들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통신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전화장치라고 칭하는 자동차용무선전화장치의 블록도이다.
이 무선전화장치는 크게 송신섹션, 수신섹션 및 제어섹션으로 나누어져 있다. 부호 40은 배터리등의 전원을 가르킨다. 송신섹션은 마이크로폰(11), 음성부호기(SPCOD)(12), 에러정정부호기(CHCOD)(13), 디지탈변조부호회로(MOD)(14), 가산기(15), 전력증폭기(PA)(16), 고주파스위치회로(SW)(17) 및 안테나(18)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폰(11)으로 부터의 송신음성신호는 음성부호기(12)에서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 음성부호기(12)는 디지탈 송신신호를 출력한다. 에러정정부호기(13)는 디지탈송신신호와 후술하는 제어회로(30)로 부터 발행된 디지탈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그 에러정정코드화 동작을 행한다.
디지탈변조회로(14)는 에러정정부호기(13)로 부터 발행된 디지탈송신신호에 대응한 변조 신호를 발생한다. 가산기(15)는 디지탈변조회로(14)로 부터 수신한 변조신호와 주파수 변환을 위한 신세사이저(31)로 부터 수신된 캐리어시호를 가산한다. 전력증폭기(16)는 가산시(15)로 부터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소정 레벨 증폭하여 송신신호를 제공한다.
고주파 스위치는 제어회로(30)에 의해서 지정된 송신시간슬롯에 대응하는 시간의 시간 동안에만 ON된다. 이 시간동안에 고주파 스위치(17)는 전력증폭기(16)로 부터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안테나(18)로 공급한다. 송신신호는 무선송신신호의 형태로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을 향하여 송신된다.
수신섹션은 수신회로(RX)(21), 디지탈복조회로(DEMOD)(22), 에러정정복호기(CHDEC)(23), 음성복호기(SPDEC)(24) 및 리시버(25)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회로(21)는 고주파스위치(17)를 거쳐서 안테나로 부터 수신한 무선수신신호를 사용하여 그 주파수변환 동작을 행하여 수신신호를 출력한다. 디지탈복조회로(22)는 수신회로(21)로 부터 수신된 수신신호를 사용하여 비트 및 프레임동기 동작을 행하여 동기된 신호를 얻어 그것을 제어회로(30)로 공급하고, 복조신호를 에러정정복호기(23)로 공급한다. 비트 및 프레임동기동작들은 워드동기로써 정의된다. 에러정정복호기(23)는 디지탈복조회로(22)로 부터 수신된 디지탈복조신호를 사용하여 그 에러정정복호동작을 행하여 디지탈수신신호를 얻는다.
또, 에러정정복호기(23)는 제어회로(30)로 주사 채널들과 통신을 위한 디지탈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에러정정복호기(23)로 부터 발행된 디지탈수신신호는 음성복호기(24)로 보내진다. 음성복호기(24)는 디지탈수신신호를 사용하여 그 복호동작을 행하여 아날로그수신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아날로그수신신호는 스피커(25)로 가해진다.
또, 제어섹션은 상기 제어회로(30), 상기 주파수신세사이저(SYS)(31), 키유니트(32), LCD 구동회로(33) 및 LCD(34)를 구비하고 있다. 신세사이저(31)는 제어회로(30)의 제어하에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에 필요한 발진주파수를 발생한다.
부호 40은 Li-ion 배터리등의 전원을 가리킨다. 이 배터리는 재충전가능하다. 이 Li-ion 배터리는 내부저항(R)을 갖는다. 배터리(40)의 전류는 여기서 전류(I)라고 칭한다. 이 Li-ion 배터리는 배터리회로(41)와 A/D 변환기(42)라고 칭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회로(41)는 출력전압을 수신하여 소정의 전압(Vcc)으로 바꾼다. 이 소정의 전압(Vcc)은 장치의 각 섹션으로 공급된다. A/D변환기(42)는 Li-ion 배터리(40)의 출력아날로그 전압을 이 출력아날로그 전압에 대응하는 디지탈치(VDET)로 변환하여 이 디지탈치(VDET)를 제어회로(30)로 제공한다.
제2도는 장치의 접속제어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스텝 100) 제어회로(30)가 논리 1로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 102). 그런후 초기화동작을 행한다(스텝 104). 이 동작시에 제어채널들(D채널들이라 칭함)의 소정범위를 주사하여 각 채널에 걸쳐서 수신된 신호의 전계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가장 강한 전계 강도를 갖는 채널을 D채널들 중에서 선택하고, 장치는 이 가장 강한 전계강도를 갖는 D채널을 통하여 신호의 수신대기 상태가 된다.
제어회로(30)가 선택된 D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비트 및 프레임 동기 동작(워드동기동작이라고 칭한다)을 행한다.
이 동기동작에 응답하여 제어회로(30)는 송신슬롯, 수신슬롯 및 아이들 슬롯에 대응하는 각 시간 기간을 인식한다. 이 실행을 여기서 슬롯인식이라고 칭한다.
따라서 제어회로(30)는 주어진 시간에 대응하는 슬롯을 인식한다. 시간슬롯의 인식에 응답하여 제어회로(30)는 고주파스위치(17)를 제어한다. 안테나(18)는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 동안에 전력증폭기(16)에 결합되고 수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 동안에 수신 회로(21)에 결합된다. 안테나(18)는 아이들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 동안에는 결합되지 않는다.
워드동기가 소정시간 기간내에 행해지면 시스템정보가 이 D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을 거쳐서 검출된다.
이 시스템정보는 다음에 주사될 주파수 채널들(이후 P채널들이라고 칭함)을 포함한다. 시스템정보가 소정시간 기간내에 검출되면 제어회로(30)는 P채널들을 주사한다(스텝 106).
P채널을 주사하여 전계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얻는다. 장치는 가장 강한 전계 강도를 갖는 P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수신할 대기 상태가 된다.
워드동기 동작을 가장 강한 전계강도를 갖는 P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서 행한다. 이때에 슬롯의 인식을 행한다. 그후에 제어회로(30)는 시스템정보를 얻는다.
시스템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어회로(30)는 자동차 식별번호와 시스템의 전계강도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지국을 송신한다. 그런후에 제어회로(30)는 장치를 대기상태로 세트한다(스텝 108).
이 상태에서 장치가 입력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입력응답수순을 행한다(스텝 110).
입력호출신호를 검출한 후에 제어회로(30)는 복조회로가 각 소정의 제어채널(A 채널이라 정의)를 주사하게 수신전계강도정보를 얻는다.
다음에 워드동기를 선택된 A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서 행한다(스텝 404). 이때에 상기 슬롯인식이 행해진다. 워드 동기가 소정의 시간기간내에 행해지면 시스템 정보가 이 A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에 의해서 검출된다. 시스템정보가 소정시간 기간내에 검출되면 제어회로는 선택된 A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수신확인신호를 보낸다.
기지국이 자동차무선전화장치로부터 소정시간 기간내에 수신확인신호를 수신하면 기지국은 지정된 음성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송신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은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런후에 지정된 음성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 신호가 소정기간 기간내에 수신되면 채널들은 이 지정된 음성채널들로 절환된다. 이 지정된 음성채널들은 오디오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포워드채널(forward channel) 호출장치로 부터 오디오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백워드채널(backward channel)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호출전환장치와 피호출장치간에 통신링크가 형성된다.
제어회로가 지정된 음성채널들을 잡은 후에 장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링깅신호수신(ringing signal) 대기상태로 세트된다. 장치는 링깅톤을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장치는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도록 세트된다.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들어올리거나 SEND키를 눌러 응답하면 제어회로(30)는 플래그를 논리 10에 세트한다(스텝 112). 그런후에 제어회로는 호출된 자와 통신하게 한다(스텝 114).
통신중에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올려 놓으면 음성채널을 통한 통신이 중지된다.
그런후에는 통신기능이 기능하지 않게 되고(스텝 116) 초기화가 재개된다(스텝 102).
제2도는 스텝 108에서의 대기상태에서는 호출요청이 키유니트(32)에서의 입력에 의해서 또는 보이스다이얼링에 의해서 검출되면 호출개시동작이 개시된다(스텝 118).
제어회로는 복조기가 각 소정의 A채널(제어채널)을 주사하게 하여 수신전계강도를 정보를 얻는다. 장치는 가장 강한 강도를 갖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세트된다.
다음에 워드동기동작이 선택된 A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들에 대해서 행해진다. 이 워드동기동작이 소정시간기간내에 행해지면 이 제어채널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들로 부터 시스템정보가 검출된다.
호출하는 사용자의 행동이 확인되고, 오리지네이션신호의 방송을 위한 적합한 제어 채널이 선택됨을 제어회로가 검출하면 호출된 전화번호를 포함한 장치의 사용자와 자동차 번호에 의해서 입력된 호출오리지네이션 신호가 이 제어채널을 거쳐서 송신된다.
그런후에 장치는 기지국으로 부터 수신 확인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이 수신확인신호는 지정된 음성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지국은 오리지네이션신호에 포함된 전호번호에 따라서 다른 호출된 측을 기지국이 호출한다. 수신확인신호가 소정시간 기간내에 수신되면 장치와 피호출장치간에 지정된 채널들을 거친 통신링크가 형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초기화가 재개된다(스텝 102).
장치와 피호출장치간에 통신링크가 형성된 후에 제어회로(30)는 플래그를 논리 10으로 세트한다(스텝 112). 그런후 제어회로(30)는 호출자와 통신을 행한다.
통신중에 사용자가 핸드세트를 올려 놓으면 음성채널을 통한 통신은 중지된다. 그후에 통신기능이 기능하지 않을 때에 초기화가 재개된다(스텝 102).
제3도는 Li-ion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측정하는 동작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회로(30)는 워드동기동작에 응답하여 송신슬롯, 수신슬롯 및 아이들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의 각각을 인식한다. 따라서 제어회로는 현시점에 대응하는 슬롯을 인식한다.
이 인식에 응답하여 제어회로(30)는 장치가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보내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즉, 제어회로(30)는 현시점이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200). 제어회로(30)는 현시점이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 한 체크를 반복한다. 현시점이 수신 슬롯 또는 아이들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으면 제어회로(30)는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을 체크한다(스텝 202). 그후에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를 몇가지 설정한 기준의 각각과 비교한다. 3종의 기준들의 각각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제1, 제2 및 제3 기준들을 V1, V2 및 V3으로 정의한다.
V1V2V3
먼저,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을 제1기준과 비교한다(스텝 204). 이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이 제1기준(V1)에 있든지 또는 그 이상이면 제어회로(30)는 75%≤에너지잔량≤100%의 표시를 한다(스텝 206). 그렇지 않으면 이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를 제2기준(V2)과 비교한다(스텝 208). 이 디지탈화 된 배터리 전압(VDET)이 제2기준에 있거나 또는 그 이상이면 제어회로(30)는 50%≤에너지의잔량≤75%의 표시를 한다(스텝 210). 그렇지 않으면 이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은 제3기준(V3)과 비교한다. 이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이 제3기준(V3)에 있거나 그 이상이면 제어회로(30)는 25%≤에너지잔량≤50%의 표시를 한다(스텝 214). 그렇지 않으면 제어회로(30)는 0%≤에너지의 잔량25%의 표시를한다(스텝 216).
제4도는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을 각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응답하여 표시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어회로(30)는 송신슬롯 이외의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중에만 배터리전압을 검출한다. 배터리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실질적으로 수신슬롯 및 아이들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중에 일정하다. 따라서 이들 기간들 동안의 시간의 배터리소비에 응답하여 배터리전압이 감소된다. 따라서 제어회로(30)는 이들 기간중의 배터리전압으로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산출한다. 그결과 제어회로(30)는 장치 사용자에게 배터리에너지잔량을 더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실시예는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을 체크하고 각 기준과 비교하는 시간기간에 대해서 제1실시예와 다르다. 제5도를 참조하면 제어회로는 현시점이 수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300).
제어회로(30)는 현시점이 수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지 않는 한 체크를 반복한다. 현시점이 수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 기간에 있으면 제어회로(30)는 디지탈화된 배터리전압(VDET)을 체크한다(스텝 302). 스텝 302∼스텝 306은 제3도에서 스텝 202∼스텝 216과 같다. 따라서 스텝 302∼스텝 306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서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이 수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중에만 각 기준과 비교하였으나, 아이들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중에만 VDET가 각 기준과 비교할 수도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실시예는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과 비교되는 기준에 대해서 상기 제1, 2실시예와 다르다. 제어회로(30)은 제2도에 나타낸 플래그를 체크한다(제6도의 스텝 400). 제어회로(30)는 장치가 플래그의 값에 응답하여 대기상태로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402). 플레그가 논리 1에 세트되면 제어회로(30)는 장치가 대기 상태에 세트됨을 판정한다. 이 경우에 제어회로(30)는 현시점이 송신슬롯 이외의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404).스텝 404∼스텝 410은 제3도에서의 스텝 200∼스텝 216과 같다. 따라서 스텝 404∼스텝 410의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402에서 논리 10로 플래그가 세트되면 제어회로(30)은 장치가 통신상태로 세트됨을 판정한다. 통신상태에 있어서는 제어회로(30)는 오디오정보와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들을 보내고 받는다. 한편 대기상태에 있어서는 제어회로(30)는 제어정보만 보내고 받는다. 따라서 통신상태에 대응하는 시간 기간중에만 음성부호기와 음성복호기가 사용된다. 그결과 통신상태에 대응하는 시간 기간중에 장치에 흐르는 전류는 대기상태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중에 장치에 흐르는 전류 보다도 크다. 따라서 통신상태에서의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이 대기상태에 있는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보다도 작다. 이 때문에 제어회로(30)는 각 기준을 감소시킨다.
현시점이 송신슬롯 이외의 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 경우에(스텝 412),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을 체크한다(스텝 414). 제어회로(30)은 현시점이 송신슬롯에 대응하는 시간기간에 있는 한 체크를 반복한다. 스텝 414후에 제어회로(30)는 각 기준을 감소하여 제어회로(30)가 대기상태에 있어서의 것보다도 작게 통신상태에 있어서의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을 보상한다. 따라서 제어회로(30)는 디지탈화 된 배터리전압(VDET)을 각 감소된 기준과 비교한다(스텝 418). 각각의 감소된 기준과 VDET를 비교하는 방법과 Li-ion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표시(스텝410)하는 방법은 제1실시예에서의 방법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장치에 설비된 Li-ion 배터리의 전압검출을 설명하였으나, 연배터리, 알칼리 배터리 또는 망간 배터리와 같은 기타 배터리가 배터리소비에 따라서 배터리전압이 감소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이 종류의 배터리들도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시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통해 수신기간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TDMA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통해 상기 기간 이외의 기간동안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시 수신기간동안에만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측정된 전압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상기 판정수단에 응답하는 통보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수단이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에 대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수단이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측정된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기준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이 이 비교결과에 따라서 판정되는 무선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리튬-이온 배터리인 무선통신장치.
  6. 배터리의 소비에 따라서 그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시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제1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통화채널을 거쳐 다른 무선통신장치와 통화하고,제2상태에서 제어채널을 거쳐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인식수단, 상기 인식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에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1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장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2기준과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을 수치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
  7. 배터리의 소비에 따라서 그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시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송신기간중에 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제1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음성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을 거쳐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고, 제2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하고만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송신기간 이외의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인식하는 인식수단, 상기 인식수단에 응답하여 송신하지 않는 시간에만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1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장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2기준과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에너지의 잔량을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구비한 무선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의 각각이 상기 제2기준의 각각 보다도 작은 무선통신장치.
  9. 배터리의 소비에 따라서 그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시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수신기간중에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시분할다원접속(TDMA)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통해 상기 수신기간 이외의 기간동안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공급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설비된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수신기간 중에만 측정하는 스텝, 및 상기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측정된 전압에 따라서 판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배터리에너지의 잔량판정방법.
  10. 배터리의 소빙 따라서 그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며,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제1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통화채널을 거쳐 다른 무선통신장치와 통화하고, 제2상태에서 제어채널을 거쳐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설비된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판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하는 스텝,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상기 장치가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측정하는 스텝, 상기 측정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1기준과 비교하고, 상기 장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측정된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2기준과 비교하는 스텝 및 상기 배터리의 측정된 전압을 수치로 변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 판정방법.
  11. 배터리소비에 따라서 그 전압이 감소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분할다원접속(TDMA)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무선채널들을 사용하여 송신기간중에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1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음성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을 거쳐서 다른 장치와 통신하고, 제2상태에서 무선채널들의 제어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하고만 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설비된 배터리의 에너지잔량판정방법에 있어서, 송신기간 이외의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인식하는 스텝,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송신하지 않는 시간에만 측정하는 스텝, 상기 장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1기준과 비교하고, 제2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제2기준과 비교하는 스텝, 및 상기 배터리의 에너지잔량을 비교결과에 따라서 판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배터리의 에너지잔량판정방법.
KR1019940001004A 1993-01-21 1994-01-20 무선통신장치 KR970006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08243 1993-01-21
JP00824393A JP3229050B2 (ja) 1993-01-21 1993-01-21 ディジタル無線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877B1 true KR970006877B1 (ko) 1997-04-30

Family

ID=1168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004A KR970006877B1 (ko) 1993-01-21 1994-01-20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13227A (ko)
EP (1) EP0608086B1 (ko)
JP (1) JP3229050B2 (ko)
KR (1) KR970006877B1 (ko)
CA (1) CA2113950C (ko)
DE (1) DE69434516T2 (ko)
FI (1) FI114576B (ko)
TW (1) TW2353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3190A (ja) * 1994-11-30 1996-06-21 Sony Corp 送受信機
JP2739845B2 (ja) * 1995-07-21 1998-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電圧検出機能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5960327A (en) * 1996-12-06 1999-09-28 Motorola Method for a transceiver to select a channel
DK141897A (da) * 1996-12-09 1998-06-10 Nec Corp Kredsløb til visning af batterirestmængde
SE520420C2 (sv) * 1997-10-28 2003-07-08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samt förfarande för att identifiera batterityp samt för att mäta batteritemperatur
KR100238529B1 (ko) * 1997-12-16 2000-01-15 윤종용 시분할 무선단말기의 배터리 전압 표시 방법
AT408280B (de) * 1999-04-09 2001-10-25 Akg Acoustic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restspielzeit von batteriebetriebenen geräten
JP5181536B2 (ja) * 2007-05-30 2013-04-10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装置
JP2017022613A (ja) * 2015-07-13 2017-01-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7230361B2 (ja) * 2018-07-23 2023-03-01 富士通株式会社 電池残量計測装置、電池残量計測方法および電池残量計測プログラム
US20240195185A1 (en) 2021-01-27 2024-06-13 Musashi Seimitsu Industry Co., Ltd. Stor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4986A (en) * 1988-02-25 1993-04-20 Kabushiki Kaisha Toahiba Battery powered radio devices having a battery saving function
EP0458850B1 (en) * 1989-02-14 1994-04-27 Pacesetter AB In a living body implantable electromedical device
JPH0349109A (ja) * 1989-04-11 1991-03-01 Sumitomo Electric Ind Ltd 無機絶縁導体
US4964121A (en) * 1989-08-30 1990-10-16 Motorola, Inc. Battery saver for a TDM system
US5095308A (en) * 1990-01-09 1992-03-10 Southern Marine Research, Inc. Transceiver with battery sav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506602Y2 (ja) * 1990-05-31 1996-08-1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
KR920005515A (ko) * 1990-08-09 1992-03-28 정용문 무선 휴대용 전화기의 무선 호출방법
JPH04150625A (ja) * 1990-10-15 1992-05-25 Seiko Instr Inc 電池電圧検出機能付受信機
JPH04176218A (ja) * 1990-11-09 1992-06-23 Casio Comput Co Ltd 無線受信機
JP2616509B2 (ja) * 1991-05-07 1997-06-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量測定装置
US5203009A (en) * 1991-12-19 1993-04-13 Motorola, Inc. Radio transceiver having fixed calling capa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34516T2 (de) 2006-07-27
EP0608086B1 (en) 2005-10-26
DE69434516D1 (de) 2005-12-01
US5613227A (en) 1997-03-18
EP0608086A3 (en) 1994-12-07
CA2113950A1 (en) 1994-07-22
FI940288A0 (fi) 1994-01-20
FI940288A (fi) 1994-07-22
CA2113950C (en) 1999-02-23
FI114576B (fi) 2004-11-15
TW235389B (ko) 1994-12-01
JPH06224844A (ja) 1994-08-12
JP3229050B2 (ja) 2001-11-12
EP0608086A2 (en)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076B1 (ko) 이동모국장치 및 이동자국장치를 갖는 이동무선통신시스템 및 그의 무선회선 접속방법
US6044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over voice channel
KR950000359B1 (ko) 무선통신시스템
JPH0815267B2 (ja) 無線電話機
KR950000360B1 (ko) 무선통신시스템
KR930002083B1 (ko) 무선 전화장치
JP2001218258A (ja) 移動状態検出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60081374A (ko) 이동 무선 통신 방법,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장치 및 이동 무선 단말 장치
US6192239B1 (en) Handset based automatic call re-initiation for multi-mode handsets
GB2343590A (en) Power saving diversity receiver
KR970006877B1 (ko) 무선통신장치
JP33133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固定ユニットおよび移動ユニット
JPH1169434A (ja) 移動体通信装置
EP0435775B1 (en) Cordless telephone
EP0284325B1 (en) Radio telephone
US65425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station in voice mode or pager mode
CA2080709C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ystem identification number
US6321097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modes in a dual mode cellular phone
US6006107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stored system identification numbers
US5784690A (en) Transceiver measuring battery voltage when receiving in a TDMA system
JPH02241235A (ja) 無線電話装置
EP0650307A2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4398547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16986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圏内判定方法
EP0433166B1 (en) Cordless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