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43B1 - 전자석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석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43B1
KR970006443B1 KR1019930010865A KR930010865A KR970006443B1 KR 970006443 B1 KR970006443 B1 KR 970006443B1 KR 1019930010865 A KR1019930010865 A KR 1019930010865A KR 930010865 A KR930010865 A KR 930010865A KR 970006443 B1 KR970006443 B1 KR 970006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ir
actuator
relay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205A (ko
Inventor
노부히로 기따무라
나오끼 가네모또
요오이찌 요꼬야마
기와무 시바따
데스야스 가와모또
마사히로 구쓰나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02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363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02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30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01427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3166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미요시 도시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27Polarised relays in which the movable part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sandwiched between pole-plates, each forming an active air-gap with parts of the stationary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8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자석 릴레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실시예를 내부평면도로 도시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릴레이의 내부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3도는 제1도의 전자석 릴레이가 필수구성요소들로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4a 내지 제4d도는 제1도의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5 내지 제6도는 제1도의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내부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8a 내지 제8e도는 제7도의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9도는 제7도의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10a 내지 제10f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내부평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의 릴레이의 내부측면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릴레이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13a 내지 제13k도는 제13도의 전자석 릴레이에 각각 채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요크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14도는 제11도의 릴레이에 채택된 댐퍼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의 댐퍼의 단면도이다.
제16도는 제14도의 댐퍼의 저면도이다.
제17도는 제14도의 장착된 상태의 댐퍼의 사시도이다.
제18a 내지 제18d도는 제14도의 댐퍼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제19도는 제11도의 전자석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다른 분해된 상태의 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내부평면도로 도시한다.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릴레이의 내부측면도이다.
제23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된 상태의 릴레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된 상태의 릴레이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가 채택된 원격제어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제26도는 제25도의 시스템의 동작을 파형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다.
제27도는 제25도의 시스템에 채택된 분해된 상태의 터미널 디바이스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제28도는 제27도의 터미널 디바이스의 회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전자석 릴레이에 관련되고, 더 자세히는 대량의 돌입 전류의 부하를 구동 및 비구동하는 접촉 개폐수단을 가지거나 또는 원격제어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전자석 릴레이에 관련된다.
언급된 종류의 전자석 릴레이는 조명기구의 ON/OFF 제어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자석 릴레이에 구현된 접촉개폐수단은 고정접촉부와 결합 및 분리가능한 가동접촉부를 지지하는 가동접촉자가 접촉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전자석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제공된다. 덧붙여, 커패시터 부하 또는 램프 부하가 구동 또는 비동되어야 하는 경우, 대량의 돌입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접촉부는 그 돌입전류에 의해 생성된 아아크에 의해 서로 용착(fusion-bounding)되거나 서로 용접되게 되는 위험이 발생한다. 용착저항이 우수한 텅스텐 같은 접촉자 물질을 채용하여 이 위험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그 특정물질은 저항치가 너무 높아 접촉폐쇄상태, 즉 정격전류공급동안 온도가 상승한다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에 관하여, 용착저항이 우수한 한쌍의 접촉부 및 접촉저항이 우수한 또 다른 쌍의 접촉부 모두는 각쌍에서 가동접촉부를 각각 지지하는 접촉자가 접촉개폐수단을 가진 전자석 디바이스에 의해 구동되도록 서로 평행한 관계로 접속된 상태로 동시에 제공되어, 접촉닫힘동작시, 용착저항이 우수한 접촉쌍이 접촉저항이 우수한 다른 접촉쌍보다 먼저 닫히고, 접촉열림동작시, 용착저항이 우수한 접촉상이 접촉저항이 우수한 다른 접촉쌍의 열림후에 열리게 되는 구조로 용착저항 및 저접촉저항의 서로 반대되는 2동작을 동시에 얻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관련된 종류의 종래기술은 일본 실용신안공보(번호 51-23863 및 55-42341) 및 일본 특허 공개공보(번호 61-233919, 62-71137, 62-71138등)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릴레이의 구현된 접촉개폐수단에서,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과 접촉저항이 낮은 다른 접촉쌍은 서로 밀접한 관계로 매치되고,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이 특히 커페시터 부하 등에 대한 닫힘동작시 제일 먼저 닫힐 때,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을 통해 대량의 돌입전류가 흐를 때 접촉부의 튐 운동에 의해 발생된 아아크 열이 접촉저항이 낮은 접촉쌍에 주어지고, 또는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에서의 아아크 발생에 기인하여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의 접촉물질의 용융된 입자가 접촉저항이 낮은 다른 접촉쌍위에 피착되어 접촉쌍 주위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한다.
더욱이,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 및 접촉저항이 낮은 다른 접촉쌍 모두가 플렉서(flexure) 접촉자 타입이므로, 이 접촉쌍들이 쌍안정 전자석 수단에 의해 작동될 때 전자석 수단의 동작효율이 감소될 수 있고,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의 작동부터 접촉저항이 낮은 접촉쌍의 작동까지의 시간간격은 용착저항이 높은 접촉쌍을 통해 흐르는 돌입전류가 종료되기전에 접촉저항이 낮은 접촉쌍으로 돌입전류가 흐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세트될 수는 없고 그러므로 용착의 위험은 계속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있게되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접촉개폐동작시 접촉저항이 낮은 접촉쌍의 접촉 안정성 및 또한 전자석 수단의 동작효율이 개선되고, 접촉저항이 낮은 쌍의 용착이 발생치 않도록 비교적 긴 시간동안 흐르는 돌입전류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충분히 신뢰성있는 전자석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전자석 수단은 자극부에 관한 결합 및 분리운동을 위해 제공되는 전자자를 포함하고, 개폐접촉수단은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저접촉저항접촉쌍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쌍들은 서로 평행한 관계로 접속되고 쌍의 가동접촉부를 지지하는 가동접촉자를 각각 구비하고, 전자석 수단내의 자극부에 대한 전기자의 결합 및 분리운동의 의하여 요동하게 되고, 및 고용착저항접촉쌍은 저접촉저항접촉쌍보다 먼저 닫히고, 상기 고용착저항 및 저접촉저항접촉쌍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전자석 수단의 액츄에이터와 함께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전자석 릴레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전자석 릴레이는 기저부재(11) 및 기저부재(11)에 고정된 덮개부재(12)를 포함하여 이 부재들(11과 12)로 케이싱을 구성한다. 이 케이싱내에는 용착저항이 우수한 고용착저항의 접촉쌍(13) 및 접촉저항이 우수한 저접촉저항의 다른 접촉쌍(14)를 포함하는 개폐접촉수단, 및 액츄에이트(15)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전기자 피스(16 및 16a)와 함께 2 접촉상(13과 14)의 개폐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15)를 포함하는 쌍안정타입 전자석 수단(18), 및 전기자 피스(16 및 16a)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한 자극부(17a)를 가지는 고정 코어판(17)이 수용된다.
더 자세히는, 기저부재(11)는 기저부재(11)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직립되어 덮개부재(12)의 내부측벽과 함께 중앙 체임버(21) 및 양측 체임버(22 및 23)를 케이싱내에 한정시키는 파티션(19 및 20)을 가진다. 중앙 체임버(21)에, 가동 프레임으로서 액츄에이터(15)를 포함하는 전자석 수단(18)이 수용된다. 전자석 수단(8)은 보빈(bobbin)에 부분적으로 파묻힌 코일 터미널 도체(25, 26 및 26a)를 지지하는 코일 보빈(24), 및 터미널 도체(25, 26 및 25a)를 통하여 교대로 반대방향으로 전류를 코일을 통하여 흐르게 하는 보빈의 축몸체부에 감긴 코일(27)을 추가로 포함한다. 측면에서 보면 U자 형태인 요크(28)의 지지단부(28a)에 자극부(17a)를 가진 단부에 대향되는 판의 기저단부를 고정시켜 다른쪽 단부에서 한쌍의 평행한 자극부(28a와 28c)가 고정 코어판(17)의 자극부(17a)의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코어판(17)이 이 코일보빈(24)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통과된다. 코일보빈(24)에 부분적으로 묻힌 상태로 제공된 코일 터미널 도체(25, 26 및 26c)는 바람직하게는 기저부재(11)의 아래쪽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액츄에이터(15)는 종단부에서 코일보빈(24)상의 피벗된(24a)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되고, 전기자 피스(16 및 16a)는 대향되는 자극부 및 자극부(17a와 28b 및 17a와 28c)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액츄에이터(15)의 다른 요동 측단부에 고정되고, 영구자석(29)은 전기자피스(16 및 16a)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더욱이 액츄에이터(15)는 폭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작동돌기(15a 및 15b)를 가진 상태로 제공된다. 케이싱내의 일측 체임버(22)에는 고용착저항접촉쌍(13)이 수용되고 타측 체임버(23)에는 저접촉-저향접촉쌍(14)이 수용된다. 이 접촉쌍들(13 및 14)은 가동접촉부(13a 또는 14a)를 지지하는 가동접촉자(13b 또는 14b)는 작동돌기(15a와 15b)와 결합하도록 제공된다.
더욱이, 가동접촉자(13b와 14b)는 기저부재(11)의 아래쪽으로 나온 터미널 도체(13d와 14d)와 결합하고, 필요하다면, 대(大)전류 바이패싱 와이어(13e와 14e)가 각각 제공되고, 그 반면에 고정접촉부(13c와 14c)는 기저부재(11)의 아래쪽으로 나온 터미널 도체(13g와 14g)와 결합된 고정접촉자(13f와 14f)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가동접촉자(13b와 14b)의 가동접촉부(13a와 14a)는 액츄에이터(15)의 요동운동에 이어지는 가동접촉자(13b와 14b)요동운동에 응하여 고정접촉부(13c와 14c)와 결합 및 분리되도록 제공된다. 고용착저항접촉쌍(13)은 바람직하게 리프트-오프형(lift-off type)(즉, 정상적으로는 닫힘 접촉인)이고 반면에 저접촉저항접촉쌍(14)은 바람직하게는 플렉서형(즉, 정상적으로는 열림 접촉인)이어야 한다.
또한 제4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기술하면, 릴레이(10)내의 전자석 수단(18)의 코일(27)에 일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 액츄에이터(15)와 일체로 된 전기자피스(16 및 16a)는 고용착저항접촉쌍(13)의 측면상의 고정 코어판(17) 및 요크(28)의 자극부(17a와 28b)로 끌어당겨져, 액츄에이터(15)는 고용착저항접촉쌍(13)의 측면으로 요동하게 되고, 고용착저항접촉쌍(13)과 저접촉저항접촉쌍(14) 모두는 개방된다(제4a도 참조). 다른 한편으로는 반대방향의 전류가 전자석 수단(18)의 코일(27)에 공급될 때, 액츄에이터(15)의 전기자 피스(16 및 16a)는 저접촉저항 접촉쌍(14)의 측면상의 고정 코어판(17) 및 요크(28)의 극부(17a와 28c)에 끌어당겨지고, 그 수축과 동시에 고용착저항접촉쌍(13)이 먼저 닫히고(제4b도 참조), 액츄에이터(15)는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측면으로 계속 요동하게 되고, 그후에 접촉쌍(14)은 고용착저항접촉쌍(13)에 추가하여 닫혀진다(4c도 참조). 액츄에이터(15)가 저접촉-저항접촉쌍(14)에게만 배타적으로 작용하도록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측면으로 계속 요동하게 되면 각각 충분한 접촉저항하에 리프트-오프형의 고용착저항접촉쌍(13)은 가동접촉자(13b)의 정규닫힘스프링력으로 닫힘상태를 유지하고, 플렉서형의 저접촉저항접촉쌍(14)은 요동된 액츄에이터(15)에 의해 닫힘상태로 된다(제4d도 참조).
제5도에서, 본 실시예의 동작시 각각의 접촉쌍(13 및 14)의 가동접촉자(13b 와 14b)의 수축특성곡선 및 스프링 부하가 도시되고, 요동 스트로크(즉, 전자석 수단(18)의 액츄에이터(15)의 변위거리)가 황좌표상에 취해지고, 스프링 부하 및 수축력은 종좌표상에 취해진다.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된 곡선(FB)은 스프링 부하를 나타내고, 쇄선으로된 곡선(FS)은 가동시의 수축력을 나타내고, 다른 쇄선으로된 곡선(FS)은 중단시 수축력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된 곡선(FO)은 비여자시의 수축력을 나타낸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가동시의 스프링 부하는 스트로크의 시간(xl)에서 고용착저항접촉쌍(13)의 닫힘시의 방향으로 역전되고, 스트로크의 시간(x2)에서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닫힘시 또한 증가된다. 다시 말하면, 스프링 부하는 스트로크의 전반 및 후반부동안 방향이 역전되고 수축력 특성은 균형이 잘 잡혀서, 전자석 수단(18)은 효율이 개선된다.
제6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접촉쌍의 동작특성이 도시되고, 시간은 횡좌표상에 취해지고 전자석 수단(18)의 가동접촉부의 변위(M) 및 변위속도(V)는 종좌표상에 취해진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용착저항접촉쌍(13)은 시간(tl)에서 닫히고, 저접촉-저항접촉쌍(14)은 시간(tl)에서 닫힌다. 시간(tl)에서의 고용착조항접촉쌍(13)의 닫힘과 시간(t2)에서의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닫힘사이의 변위(스트로크) 차이( △x2-1)는 임의의 종래의 릴레이에서보다 큰 것으로 도시된다(또한 제5도 참조). 전자석 수단(18)의 가동접촉부의 속도(V)의 곡선은 고용착저항접촉부(13)의 닫힘과 저접촉저항접촉부(14)의 닫힘 사이의 닫힘시간차이(△t2-1)가 길어지게 되어 그 결과로서 접촉부의 용착이 보다 덜 발생하도록 돌입전류가 있는 동안은 저접촉저항접촉쌍(14)이 닫히지 않을 수 있도록 속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변위를 포함한다. 제6도에서, 파형(Ca)은 고용착저항접촉쌍(13)의 개폐상태를 나타내고, 파형(Cb)은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개폐상태를 나타내고, 다른 파형(Ip)은 돌입전류를 나타낸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저접촉-저항접촉쌍(14)은 돌입전류(Ip)가 있는 동안은 닫히지 않도록 억제되며, 추가로, 고용착저항접촉쌍(13)과 저접촉저항접촉쌍(14)은, 고용착저항접촉쌍(13)에 아아크가 발생할 때라도, 저접촉저항접촉쌍(14)의 주위온도의 상승이 효율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그들 사이에 개재된 전자석수단(18)으로 서로 충분히 분리된다.
제7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고, 액츄에이터(45)에는 작동돌기(45a) 및 확장된 작동돌기(45c)사이에 개재된 고용착저항접촉쌍(43)의 가동접촉자(43b)를 가지도록 형성된 확장된 작동돌기(45c)와 함께 고용착저항접촉쌍(43)의 측면상의 작동돌기(45a)가 제공된다. 제8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릴레이(40)의 차단된 상태에서 고용착저항접촉쌍(43)의 가동접촉자(43b)는 액츄에이터(45)의 작동돌기(45a)에 의해 고정접촉부(43c)로부터 분리되도록 바깥쪽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그 반면에 액츄에이터(45)의 작동돌기(45b)로부터 해제된 저접촉저항접촉쌍(44)의 가동접촉자(44b)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분리되어, 양 접촉쌍(43과 44)은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제8a도 참조). 일방향 전류가 전자석 수단의 코일에 공급됨에 따라, 액츄에이터(45)는 저접촉저항접촉쌍(44)의 측면쪽으로 요동을 시작하여 고용착저항접촉쌍(43)이 제일먼저 닫히게 하고 (제8b도를 참조). 그 후 작동돌기(45a)는 고용착저항접촉쌍(43)의 가동접촉자(43b)로부터 분리되고 그 반면에 다른 작동돌기(45b)는 양 접촉쌍(43과 44)이 닫힘상태가 되도록 저접촉-저항접촉쌍(44)의 가동접촉자(44b)를 바깥쪽으로 압력을 가하기 시작한다(제8c도 참조). 그리고 그후에 액츄에이터(45)의 외부확장 작동돌기(45c)는 양 접촉쌍(43과 44)이 결국 단단히 닫히도록(제8e도 참조) 고용착저항접촉쌍(43)의 가동접촉자(43b)를 안쪽으로 압력을 가하기 시작한다(제8d도 참조). 액츄에이터(45)를 반대로 요동시키기 위해서는 전류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전자석수단의 코일에 공급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9도의 특성 곡선을 제5도의 곡선과 비교할 때 명백히지듯이, 액츄에이터(45)의 외부확장 작동돌기(45c)의 압력은, 스프링 부하가 액츄에이터(45)의 요동 스트로크의 전반 및 후반부에서 역전될 때, 수축력 특성이 잘 균형잡히도록 액츄에이터(45)의 스트로크의 시간(x3)에서 가동접촉자(43b)에 추가로 공급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양 접촉쌍(43 및 44)은 저접촉저항접촉쌍(44)상의 고용착저항접촉쌍(44)에서의 아아크 발생의 영향이 취소화될 수 있도록 그들 사이에 개재된 전자석 수단으로 상호간에 충분히 분리되어 있다.
제7 내지 9도의 실시예에서, 모든 다른 구성요소 및 기능은 제1 내지 6도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제1 내지 4도에 사용된 동일한 부재번호에 30을 더하여 제7 및 8도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동작 양상에서, 다른 한편으로, 용착을 방지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접촉쌍에 대하여 대칭되는 점의 위치에 액츄에이터의 적어도 일측면상에 작동돌기를 제공함으로써 개폐접촉수단에서 고용착저항접촉쌍 또는 저접촉-저항접촉쌍에 대하여 취해질 수 있다. 이점에 관하여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좀더 자세히 언급하면, 작동돌기(65b와 65b)는 고정접촉부(64c)와 가동접촉자(64b)상의 가동접촉부(64a)의 접촉쌍에 대하여 대칭인 점에 배치되어, 제10e 및 10f도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64b)를 구부려 고정접촉부(64c)에 대하여 가동접촉부(64a)를 둥글게 하는 외측면상의 작동돌기(65d)에 의해 양 접촉부(64a 및 64c) 사이에 가해진 소위 롤링 동작에 의해 접촉쌍에서 발생되는 용착이 차단될 수 있다.
제11 내지 1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가 수평형인 제1 내지 3도의 전술한 릴레이(10)에 대하여 수직형 전자석 릴레이(70)로서 제공되어 도시되고, 이 릴레이(70)는 또한 전술한 릴레이(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성을 지닌다.
릴레이(70)는 2개의 분할된 기저부재(71A 및 71B) 및 단일덮개부재(72)의 세트로 이루어진 케이싱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내에 고용착저항접촉쌍(73) 및 저접촉저항접촉쌍(74)을 포함한 개폐접촉수단 뿐만 아니라, 접촉쌍(73 및 74)의 개폐동작을 위한 액츄에이터(75 및 75A)를 포함한 쌍안정타입 전자석 수단(78), 액츄에이터(75 및 75A)와 일체로 동작하는 전기자 피스(76 및 76a) 및 전기자 피스(76 및 76a)가 결합될 수 있는 자극부(77a)를 가진 고정코어판(77)이 수용된다. 이 경우에, 일 액츄에이터(75)는 서로 평행한 관계로 확장된 한쌍의 상부 및 하부아암(75d와 75e)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전자석 수단(78)은 기저부재(71A)의 아래로 나온 코일 터미널 도체(85, 86 및 86a)를 통한 교류전류공급을 위하여 코일(87)이 감긴 코일보빈(84)를 추가로 포함한다. 고정코어판(77)을 코일보빈(84)을 축상으로 통과하여, 판(77)의 일 기저단부가 한쌍의 분할된 요크부재(88A 및 88B)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단에 만들어진 지지구멍에 고정되고 고정코어판(77)의 타단부가 자극부(77a)로서 형성된다. 요크부재(88A와 88B)의 쌍은 상호 대칭되는 점에 형성되어 케이싱내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타단부의 일측면상에 접속부(88Ab 및 88Bb)를 가진다.
요크부재(88A)에는 윗면에 피벗돌기(88Aa)가 제공되고 다른 요크부재(88B)에는 바닥면에 또다른 피벗돌기(88Ba)가 제공되어, 요크부재(88A 및 88B)의 쌍이 코일보빈(84)에 위 아래로 조립될 때 액츄에이터(75)의 상부 및 하부아암(75d와 75e)의 확장된 피벗단부는 상부 및 하부피벗돌기(88Aa와 88Ba)와 피벗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88Aa와 88Bb)뿐만 아니라 요크부재(88A와 88B)의 타단부는 액츄에이터(75)의 요동단부측에서 볼 때 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고, 그 사각형 형태에 고정코어(77)의 자극부(77a)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요크부재(88A와 88B)의 쌍은 다양한 형태로 향상될 수 있다. 즉,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요크부재(88C)는 측면에서 보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요크부재(88D)는 서로 대향되어 평행하게 직립한 한쌍의 접속부(88Db와 88Dc)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요크부재(88E)는 또한 측면에서 보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요크부재(88F)는 단지 하나의 접속부(88Fb)를 가질 수 있고, 다른 요크부재(88Fc)는 분리제공되어 접속부(88Fb)에 평행하게 부재(88E 및 88F) 모두를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다. 제13c도의 양상에서, 요크부재(88G 및 88H) 모두는 L자 형태로 형성되고, 한쌍의 접속부(88Gb 및 88Hb)는 상호간에 평행하게 양 측면상에서 요크부재(88E 및 88F) 모두를 가로질러 연결되는 분리부재로서 제공된다. 제13d 내지 13g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릴레이에 채택된 요크는 L자 형태의 요크부재의 쌍의 지지 곡주부를 가장자리에서 접속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3d도에 도시된 양상에서, 일 요크부재(88I)는 비교적 짧은 다리부를 가지는 L자 형태이고, 다른 요크부재(88J)는 또한 L자 형태이지만 서로 대향되어 평행하게 직립한 한쌍의 접속부(88Jb와 88Jc) 뿐만 아니라 고정코어의 기저단부를 지지하는 비교적 긴 다리부를 가진다. 제13e도의 양상에서, 요크부재(88k와 88L)는 제13d에서의 양상과 같이 그린 짧은 다리부 및 긴 코어-지지다리부를 가지는 L자 형태이며 조립시 평행하게 대향되는 직립된 접속부(88Kb 및 88Lb) 각각을 가지도록 각각 만들어졌다. 제13f도의 양상에서, 요크부재(88M과 88N)는 상기에서와 같이 짧은 다리부 및 긴 코어-지지다리부를 가진 L-자 형태이고, 요크부재(88N)는 접속부의 쌍중 하나(88Nb)를 가지며, 다른 접속부(88Nc)는 분리 제공되어 부분(88Nb)에 평행하도록 요크부재(88M과 88N) 모두를 가로질러 접속된다.
제13g도의 다른 양상에서, 요크부재(880 및 88P)는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짧은 다리부 및 긴 코어-지지 다리부를 가진 L-자 형태이고, 접속부(880b와 88Pb)의 쌍은 분리제공되어 서로 평행하도록 요크부재(880 및 88P) 모두를 가로질러 접속된다. 제13f 내지 13g도의 양상에서, 요크부재의 짧은 다리부 및 긴 코어-지지 다리부는 상호간에 가장자리에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에 채택된 요크는 물론 둘로 나누지 않고 측면에서 볼 때 U자 형태인 제13h 내지 13k도의 다른 양상에 도시된 단일부재일 수도 있다. 제13h도의 양상에서, 단일 U 자 형태의 요크(88Q)는 하부측 아암의 단부에서 측면 확장판(88Qb 및 88Qc) 모두를 가지며, 그 확장판(88Qb 및 88Qc)은 도시된 상태로부터 위쪽으로 구부려져서 상부측 아암의 대향단부에 접속된다. 제13i도의 양상에서, U자 형태의 요크(88R)는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단부를 가진 각각의 측방향 확장판(88Rb와 88Rc)을 각각 가지는 상부 및 하부측 아암을 가지며, 그 확장판(88Rb와 88Rc)은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구부려져서 상부 및 하부측 아암 모두를 가로지르는 접속부가 된다. 제13j도의 양상에서, 요크(88S)는 윗쪽으로 구부려지는 축 방향 확장판으로서 접속부중 하나(88Sb)를 하부측 아암에서 가지며, 다른 접속부(88Sc)는 분리제공되어 부분(88Sb)에 평행하도록 양측 아암 모두를 가로질러 연결된다. 제13k도의 또다른 양상에서, 한쌍의 접속부(88Tb와 88Tc)가 분리제공되어 상호간에 평행하도록 U-자 형태의 요크(88T)의 상부 및 하부측 아암 모두를 가로질러 접속된다.
제13a 내지 13k도에 도시된 전술한 양상중의 어느 하나의 요크 또는 요크부재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에 효율적으로 채택될 수 있지만, 요크가 액츄에이터(75)의 요동단부측으로부터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를 가져서 사각형 자기경로가 액츄에이터의 요동단측상에 형성된다는 것은 중요하다. 각각의 양상중 도시되는 배열에서, 각각의 접속부는 자극부로서 동작하지만, 접속부 사이에 개재된 요크 또는 요크 부재의 각각의 단부는, 쉽게 이해되듯이, 제13 및 13a 내지 13k도에 도시된 양태로부터 요크가 90도 만큼 축상으로 회전하는 경우 전기자 피스에 대향되는 자극부로서 채택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요동측단부에 대향되는 측면상에서 요크에 의해 사각형 자기경로를 형성하면, 요크의 조립방향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어, 릴레이는 조립능력 등이 우수하게 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더욱이, 제13a 내지 13k도의 각각의 양상의 요크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75)의 상부 및 하부아암(75d 및 75e)을 위한 한쌍의 상방향 및 하방향 피벗돌기를 포함하여 액츄에이터(74)는 2점에서 피벗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75)의 동작은 피벗 밸런스가 우수해지며, 전자석 릴레이의 동작특성은 현저하게 개선된다. 이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는 액츄에이터중 하나(75)가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수동으로 조작가능한 구조로 될 수 있고, 이 경우, 역시 2점에서 피벗가능하게 지지되는 액츄에이터(75)는 릴레이가 안정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다시 제13도를 참조하는, 전자석 수단(78)의 2 액츄에이터(75 및 75A)중 하나(75)는 상부 및 하부아암(75d와 75e)의 쌍의 기저단부인 2점에서 피벗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기저단부는 요크부재(88A)의 윗면상의 피벗돌기(88Aa) 및, 다른 요크부재(88B)의 바닥면상의 다른 피벗돌기(88Ba)에 각각 결합되어서, 액츄에이터(75%)는, 액츄에이터(75)의 요동가능한 측단부가 제공 되지만, 고정코어(77)의 자극부(77a)와 다른 요크부재(88B)의 자극부(88Bb)사이 및 자극부(77a)와 요크부재(88A)의 자극부(88Ab)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그 사이에 개재된 영구자석(79)를 통하여 결합된 전기자 피스(76과 76a)의 대향 쌍을 가지고 단부의 내측면상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에서 요동가능하다. 더욱이. 액츄에이터(75)의 이 요동가능한 단부의 외측면상에, 수직으로 대향하는 지지돌기(75a 및 75b)의 쌍, 및 이 지지돌기(75a 및 75b) 사이에서 다른 액츄에이터(75A)의 상방향 및 하방향 돌기(75Aa 및 75Ab)에 의해 유지되는 Z-자 형태의 다른 액츄에이터(75A)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75)의 지지돌기(75a 및 75b) 사이에 유지된 상태의 다른 액츄에이터(75A)는 조립시 가동접촉자(73b와 74b) 사이에 위치되어, 액츄에이터(75)의 요동운동에 응하여, 다른 액츄에이터(75A)가 접촉쌍(73과 74)을 개폐하기 위하여 가동접촉자(73b와 74b)에 대하여 누름 및 분리운동을 수행한다.
고용착저항접촉쌍(73)에서, 바람직하게는 텅스텐같은 고용착저항물질로 이루어진 가동접촉부(73a)는 가동접촉자(73b)에 고정되고, 저접촉저항접촉쌍(74)에서, 바람직하게는 은합금같은 저접촉저항물질로 이루어진 가동접촉부(74a)는 가동접촉자(74b)에 고정되고, 이러한 가동접촉자(73b와 74b)는 기저부재(71B)의 바깥으로 나온 공통 터미널 도체(73b)에 접속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텅스텐같은 고용착저항물질의 바람직한 고정접촉부(73c) 및 은합금같은 저접촉-저항물질의 고정접촉부(74c)는 기저부재(71B)의 바깥으로 나와 다른 터미널 도체로서 기능하는 공통 접촉자(73e)에 고정된다. 만약 필요하다면, 대전류 바이패싱 와이어(73f)가 예를 들어 저접촉 저항 접촉쌍(74)의 가동접촉자(74b) 또는 터미널 도체(73b)에 제공된다. 본 경우에서도, 역시 고용착 저항 및 저접촉-저항 접촉쌍(73과 74)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프트-오프 및 플렉서형으로 각각 형성되어야 한다. 더욱이, 액츄에이터(75)에서, 요동단의 외부측면상에 수평으로 대향하는 댐퍼결합돌기(75c)가 제공되어, 기저부재(71A)의 윗면상의 고정돌기(71Aa)에 접속된 댐퍼(90)는 이 돌기(75c)사이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이 댐퍼(90)는 칸막이에 포함된 다량의 유체를 그 사이를 통하여 흘러서 칸막이의 양 측면사이로 이동시키게 하는 관통구멍을 가진 지지판(90A)의 양 측면상에 충분히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 칸막이로서 형성되어, 댐퍼 칸막이의 일 측면부로 외부힘이 인가될 때, 일 측면부는 포함된 유체를 다른 측면부로 이동시켜 수축되며 다른 측면부는 동일한 부분이 팽창하고 충격흡수동작이 처음에 유체로 팽창되었던 일 측면부상에 얻어지고(제13 내지 18도 참조), 충격 또는 외부힘을 댐퍼결합돌기(75c)에 의해 전달된다.
제19도를 참조하면서 동작에 관하여 좀더 자세히 기술하면, 댐퍼(90)를 채택한 접촉쌍의 가동접촉부의 변위특성은 댐퍼가 채택되지 않은 경우의 특성을 나타내는 실선으로된 곡선(M1)으로 표현되어, 접촉쌍 사이의 용착이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즉, 도면에서, 가동접촉부의 변위가 종좌표상에 취해지는 반면에 시간은 횡좌표상에 취해지고, 고용착저항접촉쌍(73)은 시간(t1)에서 닫히고, 저접촉저항접촉쌍(74)은 시간(t2)에서 닫힌다. 곡선을 살펴보면, 댐퍼(90)의 충격흡수동작에 관하여, 접촉쌍(73)의 닫힘과 접촉쌍(74)의 닫힘 사이의 스트로크 차이(△x2-1)는 충분히 확대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전류파형(Ca)은 고용착저항접촉쌍(73)의 개폐상태를 도시하고, 전류파형(Cb)는 저접촉저항접촉쌍(74)의 개폐상태를 나타내고, 파형(Ip)은 돌입전류를 나타내고, 점(a 내지 d)은 제18(A) 내지 18(D)도의 댐퍼위치에 해당한다.
더욱이, 제13도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조가동접촉부를 지지하는 보조가동 접촉자(91a), 및 그 보조가동접촉부에 대한 보조고정접촉부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접촉자(91b)를 포함하며, 보조접촉블럭은 전술한 접촉쌍(73 및 74)의 개폐에 응하여 개폐된다. 이 보조접촉블럭(91)에 의해 얻어지는 개폐신호는 이후에 기술되는 원격감독시스템으로 입력된다.
제20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댐퍼(120)를 위한 지지판은 제11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런 분리부재가 아니라 고정코어판(107)의 자극부(107a)로서 제공되고, 댐퍼(120)는 제14 내지 16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 자극부(107a)에 직접 장착되어, 제11 내지 13도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질 수 있다.
제21 내지 2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2세트의 고용착저항 및 저접촉저항접촉쌍이 제공되어 이중 차단형의 접촉배열인 소위 2a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35)에 연결된 다른 액츄에이터(135A)는 2a를 실현하는 접촉배열내의 2세트의 가동접촉자(133b, 134b와 133b', 134b')를 가로질러 결합하도록 전자석수단(138)의 축방향으로 충분히 폭넓게 형성되어, 가동접촉자(134b, 133b' 및 134b, 134b')상에서 동시에 작동한다. 이제, 예를 들어, 2세트의 접촉쌍(133a, 134c 및 134a', 134c' 뿐만 아니라 133a, 133c 및 133a', 133c')중 어느 하나가 대향 접촉부 사이의 간격이 차이가 나는 경우, 접촉쌍중 하나는 액츄에이터(135 및 135A)의 요동동작을 수반하며 다른 쌍보다 먼저 닫히게 되고, 요동동작으로 액츄에이터(135와 135A)가 계속 이동하면 이미 닫힌 상태의 접촉쌍의 접촉 스프링 부하에 가해지지만 아직 닫히지 않은 다른 접촉쌍의 접촉 스프링 부하에는 가해지지 않는다. 즉, 상세하게는, 이미 접촉부가 닫힌 상태에서 가공접촉자와 함께 다른 액츄에이터(135A)의 결합부는 비교적 큰 접촉 스프링 부하를 받게 되고, 아직 닫히지 않은 접촉부의 다른 가동접촉자와 함께 다른 결합부는 단지 작은 양의 접촉스프링 부하를 받게 되어, 다른 액츄에이터(135A)는 회전 모멘트가 같아지도록 액츄에이터(135)에 대한 액츄에이터(135A)의 상하단 피벗돌기(135Aa)를 지지접으로 가지고 액츄에이터(135) 주위를 회전하게 되고, 그것에 의하여 액츄에이터(135 및 135a) 모두에 주어진 스프링 부하는 균일해지고, 결국 가동접촉자 모두에 대응하는 고정접촉부에 주어진 접촉압력은 동일해질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지지판(150A)에 의해 유지되는 댐퍼(150)는 수평으로 대향하는 액츄에이터(135)의 댐퍼결합돌기(135c) 사이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더욱이, 전술한 실시예(제13도의)에서와 같이 동일한 보조접촉블럭(151)을 채택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제24도에 도시된 또다른 실시예에서, 댐퍼(180)는 2a 접촉배열을 가진 전자석 릴레이에서, 전자석 수단(168)의 고정코어(167)의 자극부에 직접 제공된다.
제11 내지 13, 20, 21 내지 23 및 24도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모든 다른 구성요소 및 그 기능들은 제11 내지 3도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고, 제1 내지 3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60, 90, 120 또는 150을 추가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부재번호로 각각의 실시예에서 나타난다. 제20도의 실시예 및 아래에서도 역시, 고용착저항접촉쌍, 저접촉-저항접촉쌍, 일 액츄에이터(105, 135 또는 165), 일 액츄에이터상에 지지되는 다른 액츄에이터(105A, 135A 또는 165A), 및 보조접촉블럭(121, 151 또는 181)이 11 내지 13도에서와 동일한 목적 및 동작을 하기 위해 채택된다.
이제 제2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술한 전자석 릴레이를 채택한 원격감독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열이 도시되고, 중앙제어유니트(201), 특정 어드레스 세트를 각각 가지며 다수의 스위치(S1 내지 S4)를 감독하는 다수의 감독 터미널 디바이스(202), 부하(L1 내지 L4)를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 터미널 디바이스(203), 무선 사용을 위한 탠덤 터미널 디바이스(207), 외부 인터페이스 터미널 디바이스(208) 및 선택기 스위치 터미널 디바이스(209)는 한쌍의 신호선(204)에 접속된다.
중앙제어유니트(201)로부터 신호 와이어(204)로 전송된 일련의 전송신호(Vs)는, 제26도에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전송개시를 나타내는 시작펄스신호(ST), 신호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신호(MD), 터미널 디바이스(202. 203 및 207 내지 209)를 호출하는 8비트 어드레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신호(AD), 부하(L1 내지 L4)를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 신호(CD), 합계점검 데이터 신호(CS) 및 각각의 터미널 디바이스(202, 203, 및 207 내지 209)의 복귀주기를 세트하는 복귀-대기신호(WT)로 이루어지는 바이폴라(±24V) 시-분할다중신호이다.
이러한 터미널 디바이스(202, 203 및 207 내지 209)는 각 디바이스의 자체 어드레스와 신호선(204)을 통하여 중앙제어유니트(201)로부터 수신된 전송신호(Vs)의 어드레스가 일치할 때 전송신호(Vs)의 제어 데이터가 취해지도록 각각 배열되고, 감독 데이터 신호는 전송신호(Vs)내의 복귀대기신호와 동기된 현재의 모드신호로서 중앙제어유니트(201)로 복귀된다.
더욱이, 중앙제어유니트(201)는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한 특정 터미널 디바이스를 액세스하여 특정 터미널 디바이스로부터 복귀한 감독신호를 가지도록 감독 터미널 디바이스(202), 탠덤 터미널 디바이스(207), 외부 인터페이스 터미널 디바이스(208) 및 선택기 스위치 터미널 디바이스(209)중 어느 하나로부터 복귀한 인터럽트 신호(Vi)를 처리하는 인터럽트 처리수단, 및 더미모드로 만드는 모드 데이터 신호(MD)의 더미전송신호를 항상 전송하는 더미신호전송수단을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 터미널 디바이스(208)는 디바이스(208)와 외부제어디바이스(208a)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선택기 스위치 터미널 디바이스(209)는 디바이스(209)와 데이터 전송 터미널 디바이스(209a)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많은 부하의 중앙집중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분배보드(206) 및 릴레이 제어보드(206a)에 배치된 제어 터미널 디바이스(203) 및 감독 터미널 디바이스(202)의 제어출력을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릴레이(205)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 보드(206 및 206a)상에 제공된다. 추가로, 무선 사용되는 탠덤 터미널 디바이스(207)는 광학적 무선 오실레이터(X), 광학적 무선 수선기(Y) 및 무선-사용 신호선(204a)을 포함하는 광학적 무선 시스템에서 데이터 릴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에 부분적으로 언급된 원격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가 채택된 제어 터미널 디바이스(300)가 제2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이 제어 터미널 디바이스(300)는 상호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재(311 및 312), 하부 하우징 부재(312)내에 배치된 인쇄 배선판(314)상에 장착된 원격제어릴레이(Ry1 내지 Ry4), 및 마이크로컴퓨터 및 EEPROM 등으로 이루어진 프로세싱 회로에 의해 형성된 어드레스세터(316), 포토 다이오드(PD), 발광 다이오드(LD1 및 LD2등), 및 필요한 만큼 제공된 범용제어스위치(SW1 및 SW2)를 포함하며 이 릴레이 상에 장착된 전송모듈(310)을 포함하고, 전송모듈(310)은 분리된 인쇄 배선판 상에 제공된다.
상부 하우징 부재(311)의 한쪽끝 측면에서, 임의의 종래 구조의 다수의 접속 터미널 나사가 제공되고, 리드 와이어(322)는 이 나사에 접속되고, 덮개판(326)은 터미널 나사를 통하여 고정되고 나사(325)에 의해 상부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다. 상부 하우징 부재(311)의 다른쪽끝 측면에서, 신호 입력 터미널 나사(324)가 제공되고, 부재(311)의 윗면판은 전송모듈(310)상의 발광 다이오드(LD1)로부터의 빛 뿐만 아니라 포토 다이오드(PD)의 전송을 위한 빛을 통과시키는 연장된 구멍(319), 및 신호수용을 확인하게 하는 모듈(31)상의 발광다이오드(LD2)로부터의 빛을 위한 작은 구멍(318)을 포함한다. 구멍(319)에는 적외선을 차단하는 필터(320)가 고정되어 제공되고, 명판(317)은 부재(311)의 윗면판위에 고정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부 하우징 부재(312)에는 장착 프레임(도시안됨)에 부재를 쉽게 장착하는 장착 그루우브(313), 및 상부 하우징 부재에 부재를 고착시키기 위해 나사(323)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제공된다.
또한 제28도를 참조하면서 터미널 디바이스(300)에 관해 좀더 자세히 언급하면, 각각의 릴레이(Ry1 내지 Ry4)는 상호 평행한 관계로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저접촉저항접촉쌍(R1 내지 R4) 및 보조접촉블럭(r1 내지 r4)에 접속되고, 그 반면에 접촉쌍(R1 내지 R4)은 각각의 부하에 각각 접속되고 접촉쌍(r1 내지 r4)은 전송 모듈(310)의 신호처리회로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릴레이에 접속된 부하는 원격제어를 순조롭게 하도록 인가된 스위치(SW1 및 SW2)의 턴온 및 오프에 따라 동시에 턴온 및 오프된다. 제28도에서, 터미널(T1 내지 T8)은 접속터미널나사(321)에 대응하고, 터미널(T9 및 T10)은 신호입력터미널나사(324)에 대응하여, 원격제어신호는 전송모듈(310)로 적절히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6)

  1. 자극부, 상기 자극부에 대한 결합 및 분리동작을 위해 제공된 전기자, 상기 전기자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전자석 수단; 및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저접촉-저항접촉쌍을 포함하는 개폐접촉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쌍은 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전자석 수단의 상기 액츄에이터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고정접촉부에 대한 개폐동작을 하는 가동접촉부를 지지하는 가동접촉자 및 고정접촉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접촉쌍 모두의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전자석 수단의 상기 자극부에 대한 상기 전기자의 상기 결합 및 분리운동에 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요동하게 되고, 상기 고용착저항접촉쌍은 상기 저접촉-저항접촉쌍보다 먼저 닫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에 연결된 상기 액츄에이터는 전기자의 상기 운동과 함께 액츄에이터의 요동운동을 위해 피벗부를 각각 구비한 한쌍의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아암쌍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대칭위치에 상기 피벗부를 배치하고, 상기 전자석 수단은 액츄에이터의 상기 피벗부를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대칭적으로 위치된 한쌍의 지지부를 가진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수단은 그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전기자와 함께 상기 자극부에 대향되는 자극수단, 및 단부측 방향에서 볼 때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요동가능한 측단부에 대향하는 단부가 제공되는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쌍의 아암부 및, 상기 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는 상기 단부에서 양측면상의 상기 아암부를 가로질러 접속하는 한쌍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 형태의 한쌍의 상기 아암부 및 접속부중 하나는 요크의 상기 자극수단으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각각의 상기 평행한 아암부의 쌍을 각각 포함하는 2분할된 반부로 구성되고, 상기 2분할된 반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접속부쌍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각각의 상기 평행한 아암부쌍을 각각 포함하는 2분할된 반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쌍중 하나는 상기 2분할된 반부중 하나의 연장된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쌍중 다른 하나는 2분할된 반부로부터 분리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수단은 여자코일이 감긴 코일보빈, 및 상기 코일보빈을 축상으로 통과하는 고정코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코어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비-요동가능한 측단부에 대향하는 다른 단부에서 상기 요크에 고정된 기저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착저항접촉쌍은 리프트-오프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저접촉-저항접촉쌍은 플랙서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착저항접촉쌍은 리프트 오프 및 플렉서형 모두로 제공되고, 상기 저접촉저항접촉쌍은 플랙서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상기 저접촉-저항접촉쌍은 각각의 접촉쌍이 서로 평행한 관계로 접속된 2세트로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제1 및 제2 액츄에이터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전기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액츄에이터 부재는 피벗돌기를 통하여 상기 제1액츄에이터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피벗돌기에 대하여 동일한 거리의 위치에서 상기 2세트의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저접촉저항접촉쌍의 상기 접촉쌍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접촉수단은 상기 전자식 수단의 상기 자극부에 대하여 상기 전기자의 상기 결합 및 분리운동의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관통구멍을 가진 파티션, 상기 파티션의 상기 관통구멍의 양 측면상의 팽창 및 수축을 위해 만들어진 칸막이, 및 상기 수축 및 팽창을 위해 파치션의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칸막이내에 봉입된 다량의 유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고정된 상기 전기자쌍 및 상기 고정코어의 상기 자극부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수단은 상기 고정코어의 상기 자극부에 직접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접촉수단은 상기 고용착저항접촉쌍 및 상기 저접촉-저항접촉쌍의 상기 개폐동작에 응한 개폐운동을 위해 제공된 접촉부를 구비한 보조접촉블럭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접촉블럭은 릴레이를 원격제어하는 관련수단에 개폐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1019930010865A 1992-06-15 1993-06-15 전자석 릴레이 KR970006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521192 1992-06-15
JP92-155211 1992-06-15
JP18135292 1992-07-08
JP92-181352 1992-07-08
JP4202595A JP2836390B2 (ja) 1992-07-29 1992-07-29 電磁石装置
JP4202596A JPH0653032A (ja) 1992-07-29 1992-07-29 電磁石装置
JP92-202595 1992-07-29
JP92-202596 1992-07-29
JP5014278A JPH06231668A (ja) 1993-01-29 1993-01-29 接点開閉装置
JP93-14278 1993-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205A KR940001205A (ko) 1994-01-11
KR970006443B1 true KR970006443B1 (ko) 1997-04-28

Family

ID=2751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865A KR970006443B1 (ko) 1992-06-15 1993-06-15 전자석 릴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59305A (ko)
KR (1) KR970006443B1 (ko)
CA (1) CA2097965C (ko)
DE (1) DE4319752C2 (ko)
TW (1) TW2383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9197B2 (ja) * 1997-02-06 2006-11-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リレー
JP4241606B2 (ja) * 2004-12-22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電磁リレー
CN101231923B (zh) * 2007-02-05 2010-1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抵抗电动斥力的电磁继电器
DE102007029633A1 (de) * 2007-06-26 2009-01-02 Gruner Ag 2-poliges Relais
US8203403B2 (en) * 2009-08-27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US8514040B2 (en) * 2011-02-11 2013-08-20 Clodi, L.L.C.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ith x-drive motor
JP5741338B2 (ja) * 2011-09-15 2015-07-01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部材のシール構造、及び、電磁継電器
CN102436976B (zh) * 2011-10-06 2014-03-12 武汉长海电气科技开发有限公司 高压直流接触器
GB201200331D0 (en) * 2012-01-09 2012-02-22 Dialight Europ Ltd Improvements in switching contactors (II)
JP6037730B2 (ja) * 2012-08-31 2016-12-0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245557B2 (ja) * 2013-12-13 2017-12-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6312021B2 (ja) 2014-01-30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モコンリレー
GB201402560D0 (en) * 2014-02-13 2014-04-02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tactors
GB201407705D0 (en) * 2014-05-01 2014-06-18 Johnson Electric Sa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sets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KR101727145B1 (ko) 2015-08-17 2017-04-26 주식회사 한국리레이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CH713442B1 (de) * 2017-02-08 2021-03-31 Elesta Gmbh Ostfildern De Zweigniederlassung Bad Ragaz Relais.
JP2018170241A (ja) * 2017-03-30 2018-11-0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19096460A (ja) * 2017-11-22 2019-06-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74706C (de) * 1936-11-21 1939-04-19 Franz Baumgartner Zeitschalteinrichtung mit Kolbendaempfung durch Luft oder Fluessigkeit
DE816366C (de) * 1949-05-14 1951-10-11 Friedrich Victor Von Alten Elektromagnetischer Selbstunterbrecherschalter fuer elektrische Beleuchtungs- und Signalanlagen
JPS5123863A (en) * 1974-08-21 1976-02-26 Nippon Steel Chemical Co Jushito ibutsuno bunriho
JPS5542341A (en) * 1978-09-19 1980-03-25 Toshiba Corp Data transfer system
DE8324216U1 (de) * 1983-08-23 1983-12-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ontaktsatz für ein Relais
DE3425889C1 (de) * 1984-07-13 1986-02-13 SDS-Relais AG, 8024 Deisenhofen Sicherheitsrelais
JPS61233919A (ja) * 1985-04-10 1986-10-18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EP0218022B1 (en) * 1985-08-14 1992-07-29 OMRON Corporation Mounting structure for a surface-mounted-type component, and method of mounting a component of this type on a printed-circuit board
JPS6271137A (ja) * 1985-09-25 1987-04-01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JPS6271138A (ja) * 1985-09-25 1987-04-01 松下電工株式会社 接点開閉装置
DE9016328U1 (de) * 1990-11-30 1992-04-02 EURO-Matsushita Electric Works AG, 8150 Holzkirchen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H06271138A (ja) * 1993-03-19 1994-09-2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案内装置
JP2902259B2 (ja) * 1993-03-24 1999-06-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59305A (en) 1994-10-25
DE4319752A1 (de) 1993-12-16
TW238395B (ko) 1995-01-11
DE4319752C2 (de) 1997-09-04
KR940001205A (ko) 1994-01-11
CA2097965C (en) 1999-03-16
CA2097965A1 (en) 1993-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443B1 (ko) 전자석 릴레이
US6084281A (en) Planar magnetic motor and magnetic microactuator comprising a motor of this type
US6677840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19980069872A (ko) 전자(電磁) 릴레이 어샘블리
EP0935808B1 (en) Integral armature retention spring for electromagnetic relays
EP0732717B1 (en) Matrix relay
RU93004768A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с качающимся рычагом для прерывате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пи с фазным и нулевым контактами
US3921107A (en) Electro-magnetic relay
US4638274A (en) Relay switch apparatus
JP2842148B2 (ja) リレー
JP3319814B2 (ja) 高周波リレー
PL69862B1 (en) Miniature electromagnetic relay[us3688229a]
US4482875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midget relay
US3962659A (en) Electromagnetic switch
JPH03105824A (ja) 電磁継電器
US4347548A (en) Electrical relay
SU838790A1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ое магнитоуправ-л ЕМОЕ КОММу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U1257716A1 (ru) Реле
KR890004369A (ko) 밀폐형 전자기 릴레이
JPH06260072A (ja) リレー
JPH02256128A (ja) 接点装置
JPH0581988A (ja) リレー
JPS58216325A (ja) 電気開閉装置
JPH0582000A (ja) リレー
JPH07226140A (ja) 多極集合型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